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노인방문요양보호서비스 수급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추창엽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727

        Recently our society has been enforcing the system of long-term recuperation care service in full-scale with the introduction of long-term recuperation insurance system having the public characters by escaping from the traditional system of the care for the aged. The practical application of long-term recuperation insurance for the aged has the meaning that the government and society would perform the responsibility of caring the aged practically. This study had the aim of analyzing the form of the use of visiting care service, degree of daily life supporting service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m. Also this study had the aim of providing basic materials needed in the development of the instrument that measure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visiting care service through this study. For such purpose, this research has been conducted by me, the researcher, and 3 care workers who have been providing service with the qualification licence of 1st class care worker at present as the assistants for the reserch for about 30 days from March 23 to April 14, 2010 in way of visiting the users of visiting care service residing in the City of Seoul and Kyonggi, Incheon Province districts together at the time of providing the care service. The question investigation has been conducted with 280 people selected at random by using the systematized question papers. Total 264 answers have been used as the final data of analysis excepting unsuitable question papers to this study of them all. The main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is study are as the below : First- "The family except the spouse' in relation with the users of visiting care service was most by 36% followed by the case of 'the beneficiaries themselves' as the next by 26.8% and while the case of 'spouse' was 17.6%. Of the type of the respondents have showed the rate of about 54% as the results of the reserch. Besides them, most of the relatives has showed to have been the form of helping the grade elderlies. When we see by the sex, 65.6% was 'female' while 'male' by 34.4% to mean that female has showed to be the double in number. When see the proportion by age, '70s' was 35.7%, 'over the age of 80' 32.2%, '60s' 20.2%, and 'under the age of 50s' 12.0%, The aged over the age of 70 has showed about 66% occupying over 2/3, and the case under the age of 50 has been understood as the supporters rather than the beneficiaries. The aged having the religion was 62.2% while the aged with no religion has showed 35.8% to show that the aged having the religion was higher by 2 times. When we see the family type, the case of 'the old couple' was 41.4%, the case that answered as 'the children and others' was 36.7% and the case that answered as 'the aged living alone' occupied 21.9%. In case of monthly income, 67.5% was 'under 1 million Won' as most distribution while 17.7% was 'under 1.01-2 million Won', 11.6% was 'under 2.01-2.99 million Won' and 3.2% was 'under 3 million Won'. Second- The result of the analysis of the type of the use of visiting care service has showed that the grade of care of the users with 3rd class was most by 63.9%, and the times of the use of the weekly service was 1-3rd class all most by 30.8% by using '5 times'. The hour of being served by one time was that 5 times has been most by 39.4%, and 'the inconvenience in walking or moving' was most by 22.2% as the disease type presently suffering from the disease after being judged the grade while 42.4% has showed to have been suffering from one disease as most in number. As the reason why they have been cared by the visit, the respondents who answered that they had the thought of 'being separated from family when they enter the care facilities' by 42.3% as most in number. In case of the form of the burden their own pay was 64.7%, 'general users' 64.7% and the rate of the answer who said that it is 'suitable' when asked if their own burden was suitable or not by 35.2%. Also in the respects of the use of the limited amount, the answer that they use as much as the monthly limited amount was showed by 69.5%. The result of the investigation if the present service has been agreeing with the standard contract has showed that the answer of 'yes' was 80.0% saying that the service has been agreeing with the standard contract generally. 78.8% answered as 'no' in relation with experience of changing the recuperation care center was because of 'the publicity and allurement of other facilities' by 36.4% as the most cases. When we investigated about the experience of changing care worker, the answer of 'no' was most by 77.7% while the case that changed the care worker was ?? 새 ‘the unkindness and unfaithfulness of the care workers' as most by 33.3%. Third-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trends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duty and service of care worker, and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daily life support service showed that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duty attitude of care worker recognized by the users and their families was 3.78 point by higher point. When we examine the degree of satisfaction by the questions concretely,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difficult problems which care workers can solve are solved by consulting with the responsible persons in the center was 4.09 by the highest followed by 3.99 point that said that 'they kept promise with me' and 3.73 point that said that 'they made every effort to provide the best service while 3.73 point said that 'they kept me maintain the close friendship relation with the persons around me by the highest. The total average point of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care workers was 4.02 point as the highest to show the trend of being generally satisfied with the service of the care workers. When we examined the average by the questions, the answers of 'I would like to use this place once more or' the service I had in this place has been very helpful' were 4.21 point by the highest while the answer of 'the care workers let me know what help I can have at another place' was 3.83 point as the lowest. The degree of satisfction with the daily life support service was 4.00 in average by the highest. When we see the average degree of satisfaction per the lower area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physical activity service' was 4.05 in average by the highest while 'the degree of the satisfaction with the home affairs activity service' was 3.99, 'an individual activity service' was 3.93,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other services' was 3.73 by the lowest. When we examine by the questions,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laundry aid' was 4.19 in average by the highes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cleaning and vicinity arrangement aid' was 4.14 in averag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aid in eating food' was 4.12 by considerably higher while the averag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problem behavior situation aid' corresponding to 'other services' was 3.73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aid to meet the emergency situation' was 3.74 by the lowest. Fourth- The results of the investigation on the interrelation between the form of the use of care service, duty attitude of care workers, satisfaction degree with the service of care workers,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daily life support service have showed that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duty attitude has showed to have been higher when the form of the use of care service in relation with the duty attitude of care worker agreed with the standard contract, and the recuperation care center has not been changed. Also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recuperation care worker service has showed higher in the cases the limited monthly amount of use has been used, the recuperation care service center has not been changed and the service has been agreed with the standard contract. On the other hand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degree of satisfation with the service per the lower areas of daily life support service, and the form of the use of recuperation use service have showed that the cases that used all of the monthly limited amount, and the service has been agreed with the standard contract have showed to have been higher in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emotional support service, physical activity service, home affairs activity service and other support service. In case of an individual life support service, the degree of satisfaction has showed to have been higher in cases when they use all of the monthly limited amount, the service has been agreed with the standard contract and they have not changed the care center. On the other hands, there existed clos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itude of duty of care worker,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care worker,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support service, especially in relation with the form of the use of care servic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duty attitud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care worker,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daily life support service, there existed deep relation with such main causes as they are the variables like the use of the limited monthly amount of use, agreement with the standard contract and the change or no change of recuperation care center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This study, I expect, would be providing useful basic data in evaluating the policy of long-term recuperation care service through providing service oriented by the long-term recuperation care insurance system by understanding the whole present situations of the analysis of the form of the use of the visiting care service and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The results of this study, I expect, would be able to provide important suggestive point necessary for the development of the policy of ling-term care service more progressive in the future. 최근 우리 사회는 전통적인 노인요양체계에서 벗어나 공공적 성격의 장기요양보험제도가 도입되어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체계를 본격적으로 실시하고 있다.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실시는 본격적으로 국가와 사회가 노인 돌봄의 책임을 다하겠다는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도입 이후 노인장기요양보호서비스의 체계를 구축하는데 필요한 기초자료와 정책적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방문요양보호서비스의 이용형태 및 요양보호사 업무만족도 및 서비스 만족도, 일상생활지원서비스 만족도의 일반적 경향 및 이들 간의 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본 연구를 통해 방문요양보호서비스 만족도의 측정도구 개발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해 주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조사는 2010년 3월 15일부터 4월 14일까지 약 30일에 걸쳐 연구자 본인과 현재 요양보호사 1급 자격증을 가지고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요양보호사 3명을 연구보조원으로 하여 서울특별시 영등포구와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인천광역시 계양구 지역 거주 방문요양보호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이용자를 방문하여 조사하였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무작위 추출로 28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가운데 본 연구에 부적합한 설문지를 제외하고 총 264부를 최종 분석자료로 이용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방문요양보호서비스 이용자와 관련해 ‘배우자 이외 가족’이 36%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수혜당사자’인 경우는 26.8%, ‘배우자’인 경우는 17.6%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방문요양보호서비스 이용 응답자 유형 중 배우자 및 가족 응답자가 약 54%의 비율로 나타났다. 그 외에도 대부분 친척들이 등급노인을 도와주는 형태로 나타나고 있다. 성별은 65.6%가 ‘여성’, 34.4%가 ‘남성’으로 나타나 여성이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연령별 분포를 보면 ‘70대’가 35.7%, ‘80대 이상’이 32.2%, ‘60대’가 20.2%, ‘50대 이하’가 12.0%로 나타났다. 70대 고령 노인이 약 66%로 2/3 이상을 나타났으며, 50대 이하의 경우 수혜자라기보다는 부양자로 해석된다. 종교를 보면, 종교가 있는 조사대상자가 64.2%, 종교가 없는 조사대상자는 35.8%로 종교가 있는 대상자가 2배 정도 높게 나타났다. 가족유형을 보면, ‘노부부’인 경우가 41.4%, ‘자녀 및 기타’라고 대답한 경우는 36.7%, ‘독거’로 응답한 경우가 21.9%를 차지하고 있었다. 월 소득의 경우, ‘100만 원 이하’인 조사대상자가 67.5%로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냈다. ‘101~200만 원 이하’가 17.7%, ‘201~299만 원 이하’가 11.6%, ‘300만 원 이상’인 조사대상자는 3.2%로 조사되었다. 둘째, 방문요양보호서비스 이용형태를 분석한 결과 이용자의 요양등급은 3등급이 63.9%로 가장 많았으며, 주당 서비스 이용 횟수는 요양등급 1-3급 이용자 모두 ‘5회’가 평균 30.8%로 가장 많았다. 1회 서비스 받는 시간은 ‘4시간’이 61.5%로 가장 많았으며, 등급 판정을 받은 노인이 현재 앓고 있는 질병의 유형은 ‘거동불편’이 22.2%로 가장 많았고, 1가지 질병을 앓고 있는 조사대상자가 42.4%로 가장 많았다. 조사대상자가 방문요양보호서비스를 이용하게 된 이유로는 ‘요양시설에 입소하면 가족과 격리되는 것 같으므로’라고 응답한 조사대상자가 42.2%로 가장 많았다. 본인부담금 부담형태의 경우 ‘일반이용자’가 64.7%로 가장 많았고, 본인부담금이 적당한지에 대해서는 ‘적당하다’고 응답한 비율이 35.2%로 나타났다. 또한 이용한도액 이용의 측면에서는 월 이용한도액 만큼 이용한다는 응답이 69.5%로 나타났다. 현재 제공받고 있는 서비스가 표준계약서와 일치하는지 조사한 결과는 ‘그렇다’고 응답한 경우가 80.0%로 대체로 일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가장기요양센터를 교체한 경험과 관련해서는 78.8%가 ‘없다’고 응답하였고, 교체한 경우 그 이유로는 ‘다른 센터의 홍보 및 유인’때문이라고 한 응답자가 36.4%로 가장 많았다. 요양보호사를 교체한 경험이 있는지에 대해 조사한 결과 교체 경험이 ‘없다’라는 조사대상자가 77.7%였고, 교체한 경험이 있다면 그 이유로는 ‘요양보호사의 불친절 등 성의가 없어서’라고 한 경우가 33.3%로 가장 많았다. 셋째, 요양보호사 업무만족도 및 서비스 만족도, 일상생활지원 서비스 만족도의 경향을 분석한 결과, 이용자 및 그 가족이 지각한 요양보호사 업무태도에 대한 만족의 정도는 3.78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문항별 만족도를 살펴보면, ‘요양보호사가 해결하기 어려운 문제는 센터 담당자와 상의하여 해결해준다’에 대해 4.09점으로 만족도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음으로 ‘나와의 약속을 잘 지킨다’는 3.99점, ‘나에게 최선의 서비스를 제공하려고 노력한다’ 3.95점의 순으로 나타났다. 반면 ‘나의 주변인들과 친분관계를 유지하도록 해준다’가 3.7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요양보호사 서비스 만족도는 전체 평균 4.02점으로 높게 나타나 요양보호사가 제공하는 서비스에 대해 대체로 만족하는 경향을 나타났다. 문항별 평균을 살펴본 결과, ‘나는 이곳을 다시 이용하고 싶다’와 ‘이곳에서 받은 서비스는 나에게 큰 도움이 된다’가 평균 4.21점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요양보호사는 내가 다른 곳에서 어떤 도움을 받을 수 있는지를 알려준다’는 평균 3.83점으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일상생활지원 서비스 만족도는 평균 4.00점으로 높게 나타났다. 하위영역별 만족도 평균을 보면, ‘신체활동서비스 만족도’가 4.05점으로 가장 높은 만족도를 보였고, ‘정서지원서비스 만족도’가 4.02점, ‘가사활동지원서비스 만족도’가 3.99점, ‘개인활동서비스 만족도’가 3.93점의 순이었고, ‘기타 서비스 만족도’가 3.73점으로 가장 낮은 만족도를 보였다. 문항별 평균을 살펴보면, ‘세탁 도움’의 만족도가 평균 4.19점으로 가장 높았고, ‘청소 및 주변 정돈 도움’의 만족도가 평균 4.14점, ‘신체기능 유지 도움’ 만족도가 평균 4.13점, ‘식사도움’ 만족도가 평균 4.12점 등이 높은 만족도를 보인 반면에, ‘기타 서비스’에 해당하는 ‘문제행동 상황도움’의 만족도는 평균 3.73점, ‘응급상황 대처 도움’의 만족도가 평균 3.74점으로 가장 낮게 나왔다. 넷째, 요양보호서비스 이용형태, 요양보호사의 업무태도, 요양보호사 서비스 만족도, 일상생활지원서비스 만족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요양보호서비스 이용형태와 요양보호사 업무태도간의 관계를 보면, 표준계획서와 일치할수록, 재가장기요양센터 교체를 하지 않을수록 업무태도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또한 요양보호사 서비스 만족도는 월 이용액 한도를 다 사용한 경우일수록, 표준계획서가 일치할수록, 재가장기요양센터를 교체하지 않을수록 요양보호사 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일상생활지원 서비스의 하위영역별 서비스 만족도와 요양이용서비스 이용형태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월 이용액 한도를 다 사용한 경우일수록, 표준계획서와 일치할수록 신체활동서비스 만족도, 가사활동서비스 만족도, 정서지원서비스 만족도, 기타지원서비스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개인생활지원서비스의 경우 월 이용한도 사용을 다 이용할수록, 표준계획서와 일치할수록, 재가장기요양센터 교체를 하지 않은 경우일수록 개인생활지원 서비스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다. 한편, 이용자가 지각한 요양보호사 업무태도, 요양보호사서비스 만족도, 일상생활지원서비스 만족도는 서로 간의 밀접한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요양보호서비스 이용형태와 관련해 월 이용액 한도 사용, 표준계획서 일치, 재가장기요양센터 교체 유무와 같은 변수들인 업무태도 만족도, 요양보호사 서비스 만족도, 일상생활지원 서비스 만족도 요인과 깊은 관련성이 있는 것으로 본 연구결과 나타났다. 본 연구는 방문요양서비스의 이용형태 분석 및 서비스 만족도의 전반적 현황을 파악함으로써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지향하는 서비스제공을 통한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정책을 평가하는데 유용한 기초자료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결과가 향후 보다 발전적 장기요양보호서비스 정책개발에 필요한 중요한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 방문요양서비스 이용 노인 배우자의 부양부담 연구

        정수현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는 방문요양서비스 이용 노인 배우자의 부양부담에 대한 질적 연구이다. 2008년 7월 도입된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이용률이 가장 높으며 노인, 가족, 국가의 욕구를 모두 반영한 서비스는 재가서비스 중에서 방문요양서비스이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는 이용하는 노인의 삶의 질 향상과 가족의 부양부담을 낮추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대상이 되는 노인뿐만 아니라 가족을 고려하는 이유는 돌봄으로 인해 생기는 어려움이 크기 때문이다. 노인부부 가구가 점차 증가하여 배우자가 돌볼 확률이 높아지고 있고, 배우자들은 대상이 되는 노인과 같은 노인이기에 부담이 크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연구 방법으로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이 배우자의 신체적, 심리적, 사회적 활동, 경제적, 가족관계 부양부담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경험 과정을 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신체적 부양부담에서는 체력적인 부분이 일부 도움이 되었으나 주5일 하루 3시간에서 4시간으로 한정이 되어 있었다. 참여자들은 특히 노인의 용변 보조와 야간 돌봄으로 충분한 휴식을 취하지 못하는 것에 큰 부담을 갖고 있었다. 둘째, 심리적 부양부담에서는 요양보호사가 오는 시간만큼은 정서적인 안정을 느낄 수 있었다. 그러나 짧은 시간 안에 완치가 어렵고 재발의 가능성이 있는 우울증의 증상은 줄어들거나 없어지지 않았다. 셋째, 사회적 활동 부양부담에서는 일부 시간적 여유가 생기기도 하였으나, 이용시간 이외에는 부담이 여전히 남아 있었다. 친구, 이웃과의 관계적인 측면에서는 특히 개선되기 어려운 점이 있었다. 넷째, 경제적 부양부담에서는 일부 참여자에게는 서비스 이용이 도움이 되었으나 대부분의 참여자들은 경제적인 활동을 할 시간적인 여유가 없었다. 돌봄으로 인해 발생하는 병원비, 약값 등으로 경제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가족관계에서의 부양부담이다. 자녀, 형제와의 관계와 노인에 대한 감정은 서비스를 이용한다 하더라도 쉽게 변화할 수 없는 것이었다. 결론적으로 방문요양서비스를 이용한 후에도 모든 부양부담은 여전히 남아 있었다. 본 연구는 서비스를 이용한 후에 부양부담에 대한 단순 증감이 아니라 경험과정을 배우자들의 언어로 보여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실제적으로 노인과 가족 모두에게 도움이 되는 서비스가 제공되어야 할 것이다.

      • 노인장기요양보험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자 만족도에 관한 연구 : 영월지역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자를 중심으로

        엄기탁 상지대학교 사회복지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본 연구에서는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서비스 중 방문요양이용자의 만족도 요인을 제도적 측면과 서비스이용자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을 통하여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안정적 발전과 서비스제공의 효율성, 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 제고를 위한 정책적 대안 마련과 실천의 방향성을 제시함을 그 목적으로 한다. 이를 위해 조사대상지역인 영월군 내에 실거주하는 노인장기요양보험 등급 인정자 중 방문요양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수급자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총 125부를 조사·분석에 사용하였으며, 분석방법으로는 빈도분석, 교차분석, 분산분석 등을 적용하였다. 연구결과를 통하여 도출된 함의를 핵심적 연구결과를 토대로 요약해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서비스 만족도 차이 조사대상자의 인구 사회학적 특성 중 성별, 동거 여부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서비스이용의 만족도 차이를 나타냈으며, 이에 반하여 이용자의 요양등급, 의료보장형태, 동거자의 형태, 주요소득발생원에 따라서는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방문요양서비스 이용행태에 따른 서비스 만족도 차이 조사대상자의 서비스 이용행태 중 방문요양이용내용(이용기간, 이용횟수, 이용시간, 이용비용), 서비스이용사유, 서비스이용내용, 비용부담자유형 등에 따라 통계적으로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셋째,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활용도에 따른 서비스 만족도 차이 조사대상자 표준장기요양이용계획서의 활용, 상담제공자 유형에 따라 통계적으로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넷째, 방문요양서비스 기대효과에 따른 서비스 만족도 차이 조사대상자의 기대효과, 즉 건강상태·요양환경변화, 보호자의 부양부담경감(수발시간 활용, 신체적 부담 감소, 심리적 부담 감소), 보호자의 경제활동·사회활동기회 증가의 기대효과에 따라 통계적으로 서비스 만족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수발시간 활용의 기대효과와 사회적 활동 기회증가의 기대효과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지만, 만족도의 차이가 일관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위의 연구결과를 토대로 노인장기요양서비스 만족도 개선방안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서비스내용의 전문화 및 다양성 추구 2. 서비스 이용자의 적정급여 선택 강화 3. 서비스 선택권의 형평성 보장 4. 서비스 본인부담비용 구조의 개선 본 연구의 조사결과 노인장기요양보험 재가급여 중 방문요양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이용자의 만족도는 전반적으로 높은 수준을 보였다. 이는 급속한 고령화 등으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의 해결을 위한 사회적 필요보다, 기존의 제도에서 충족되지 못하던 서비스영역에 대한 국민적 기대가 표출된 것이고, 이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가 앞으로 우리나라 사회보장제도의 큰 축으로 발전해야 하는 가장 큰 이유로 보인다.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안정적이고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제도적이고 공급자 차원의 노인장기요양서비스에서 이용자 중심체계의 노인장기요양서비스로의 질적 변화가 필연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is research considers the factors for users' satisfaction when visiting recuperation services by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in the institutional and service-user's aspects.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search for political alternative and practical ways for the stable National Long term care insurance by improving the efficiency of services and boosting service-users' satisfaction. This research has been carried out with by studying the aged people living and using the visiting recuperation service in Youngwol. In this research, 125 subjects have been used for research and analysis. The methods of analysis are frequency analysis, cross-tabulation, analysis of variance and so on. The essential results derived through research finding are as following. First, the service satisfaction difference formed by the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of population. It has been shown that there is a meaningful service satisfaction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cohabit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of population. On the contrary,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n't any special difference of service satisfaction by looking at users' convalescence rating, medical social security, the type of cohabitation, and the main income. "It has shown that there is a meaningful service satisfaction difference between gender and cohabit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sociology of population.""On the contrary, it was analyzed that there was any special difference of service satisfaction by users' convalescence rating, medical social security, the type of cohabitation, and the main income." Second, the service satisfaction difference by looking at user behavior when visiting recuperation service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occurred based on the contents of service (the period and frequency of service use, time, and expenses) reasons, quality of service and who pays the expenses. Third, the service satisfaction difference by looking at the practical use of the standard long term care insurance plan. Results show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for the service satisfaction by the practical use of the standard long term care insurance plan and the type of counselor. Fourth, the service satisfaction difference by looking at expected effect of the service. When analyzing the researchers' expected effects, that is to say, body condition, the change of convalescent environment, lightening the burden of guardians' support and the increasing chances of guardian's economic and social activity, significant statistical differences occurred. As expected, in the cases of the effect of caring and the increase of social activity chance, there was a meaningful difference, but the difference of satisfaction was consistent. These results provide some reformations of satisfaction in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1. Specialization and the pursuit of diversity of service 2. Service users' optimal choice reinforcement 3. Fairness security of service choice 4. Sevice self-expenses' structural improvemen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user satisfaction of visiting recuperation services by long term care insurance for the elderly has been shown to be high. In a rapidly growing elderly society, there is an increasing national expectation to solve the various problems which are not being dealt with satisfactorily in the present system. This is the very reason why long term care insurance will have to take an important role in social security system from now on. To improve long term care insurance consistently and stably, it is necessary for the service to see qualitative change from institutional and supplier-centered services to user-centered services. These are the follow-up researches: In this survey, the service users are in the low beneficiary feeling category. Many are illiterate, have little awareness of the service and are senior citizens who live alone. So, there can be the dangerous possibility of the distortion or reduction of information by subjective evaluation. In other words, to compensate for the limit of quantitative research and to reflect the service users' satisfaction, professionals should have a group interview , consider the distinct characteristics, and keep working on qualitative research like service use step-by-step high-impact interview questions.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재가복지서비스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일반이용자와 수급권자의 재가방문요양서비스를 중심으로

        김동여 우송대학교 보건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에서 재가복지서비스의 방문요양서비스를 이용하는 일반이용자와 수급권자의 이용실태 및 만족도가 어떠한지 파악하고,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전광역시에 거주하고 노인장기요양보험에서 재가복지서비스의 방문요양서비스를 제공받고 있는 만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7개소를 임의 선정하여 의료보장형태에 따라 일반이용자 73명, 수급권자 50명이 조사대상자로 선정되었다. 자료분석방법은 대상 노인의 일반적 특성의 의료보장형태별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𝛘2 검증과 만족도의 차이를 알아보기위해 t-test, ANOVA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간 관계를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대상 노인의 방문요양 서비스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해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의료보장형태에 따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서 학력수준, 거주유형에 따른 방문요양서비스 만족도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학력수준이 낮을수록, 혼자 사는 노인일수록 만족도 점수가 더 높게 나타난 것은 의료보장형태에 따른 특성이 선요인이 된다고 할 수 있으며 차후 의료보장형태에 따른 만족도 차이의 원인을 심도 있게 분석하는 후속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의료보장형태에 따른 경제적 특성의 차이는 다른 요인들에 비해 더욱 확고하게 차이가 나는 부분이며 비용을 본인이 부담했을 때 만족도 평균이 떨어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따라서 본인부담 지불능력의 한계가 있는 경우 본인부담금 경감방안을 확대하고, 장기적으로는 장기요양 비용의 소득수준별 본인부담 차등적용방식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조사대상 노인의 신체적 특성에 대한 분석에서 흥미로운 점은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는 대부분 없었지만 앓고 있는 질병 중 ‘신경통’에 대해서는 의료/생계급여 수급자가 월등히 많은 경우가 있었다. 차후 자세한 연구를 통해 경제적 제약 또는 요양보호사 외의 여타 수발보호자가 없음으로 인해 생길 수 있는 질병 또는 기타 문제들에 대해 더 밝혀내고, 이에 따른 세심한 배려와 부가적인 서비스의 개발이 필요하다. 넷째, 요양보호사의 태도에 관한 분석에서 전체적으로 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지만 일반이용자에 비해 수급권자가 만족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이는 수급권자가 요양보호사에 대해 좀 더 심리적으로 의지를 하고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만족도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 요양보호사에 대해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인 보수교육과 훈련시스템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노인장기요양보험의 재가복지서비스를 신청하는 노인들 대부분의 이유가 가족과 함께 지내며 요양서비스를 받고 싶어 하는 것이며, 본 서비스를 신청하는 사람 또한 본인보다는 가족에 의해 신청되어지고, 요양보호사가 없을 때에도 수발보호자가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가족적인 형태의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여섯째, 조사대상 노인들을 대상으로 추가로 필요하다고 느끼는 서비스에 대해 조사한 결과, 대중탕 이용도움, 이미용서비스 등의 일상생활 활동에 대해 서비스받기를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요양급여 수급자의 경우는 추가로 수발가족에 대한 지원을 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방문요양서비스의 경우는 일상생활에 대한 서비스 항목들을 좀 더 구체화 할 필요가 있다.

      • 노인방문요양서비스품질이 만족도를 매개효과로 서비스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

        박동일 경기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11

        Social welfare services in korea since the 1990s, is expanding very rapidly, the amount of resources spent on social services by increasing the effective allocation of resources has increased the need to build systems (Nam, Chan Seop, 2009). Under such circumstance in july, 2008 long term elderly care insurance services was launched in the 5 social insurance bringing the completion of external social welfare systems. Long term care services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many home care agencies was established to visit elderly care services will be conducted as of now at this point, visit the elderly care services through the medium of the quality of service satisfaction for users of the reuse decision became necessary. This facility is an issue directly related to the income and the growing elderly subjects, hence the service users satisfied with the services required for the problem because direct. In this study, five kinds of service quality sub-mediated recycling service satisfaction for the doctor to discern the impact on research was aimed the result is as followed. First, five kinds of study sub-dimensions of quality of service tangibles, confidence, responsiveness, reliability, responsiveness and empathy among the types only the reliability and empathy showed significant influence on service satisfaction. Such is in a study of the existing service quality and service satisfaction and reuse research focus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hysicians unlike some other medical services as a result of visiting the elderly in the home care service quality from existing levels of service quality measures that reflect that part does not fit. The other only significant effect on service quality as control variables is the seniors and the income and living arrangements of unmarried children, christianity, catholicism, buddhism, shamanism and other religions and IADL, such as visiting elderly care services and other agencies have recognized a significant effect. Second, the service quality influences positive effect on re-use. Reuse of service quality, especially for the standardized coefficients of 0.608 shows high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of a higher re-use has to be tendency to increase. Else the only significant control variable influenced on re-use is the senior and non-related residence form, rent of house hold, and if the religion is catholic significant influence was inspected. Third, service quality, five kinds of sub-dimensions tangibles, confidence, responsiveness, reliability, empathy among them tangible and responsiveness and confidence excluding reliability and empathy shows significant effect on re-use. Five kinds of sub-level quality of service and service satisfaction reliability and empathy equally have a significant effect. Such is the quality measurement of elderly visiting care service is section that need more in-depth research. Fourth, service satisfactory is researched to act as intermediary between elderly visiting care service quality the sub-five type and re-use. Such is re-use of services directly related to the quality rather than a user's satisfaction with service quality should precede the re-use is reflected in the satisfaction that can be interpreted. In short the quality of elderly visiting care service needs to be high so the user's satisfaction will increase this is the re-use of home welfare facility has tendency to increase can be identified. Service satisfaction is from sub-dimension of service quality reliability and empathy works as intermediary to re-use was inspected and relating to user's re-use of home welfare facility the effort to improve the quality of service is needed can be concluded. 우리나라의 사회복지 서비스가 1990년대 이후 매우 빠른 속도로 확대되고 사회복지서비스에 투입되는 자원량이 증가하면서 효과적인 자원배분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높아졌다(남찬섭, 2009). 이러한 환경 속에서 2008년 7월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가 제 5대 사회보험으로 출범하여 외형적인 사회복지체계의 완성을 가져오게 되었다. 노인장기요양보험 서비스의 실시로 인해 많은 재가복지기관들이 설립되어 노인방문요양서비스를 실시하게 된 지금의 이 시점에서, 노인방문요양서비스의 품질이 서비스 만족도를 매개로 이용자의 재이용의사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는 시설에 수입과 직결되는 문제이며 나아가 서비스 대상자가 늘어나고 있는 노인 이용자가 필요로 하는 서비스에 대한 만족과도 직결되는 문제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에서는 서비스 품질의 하위 5개 차원이 서비스 만족도를 매개로 재이용의사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고 연구하였고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결과 서비스 품질의 하위 다섯 가지 차원인 유형성, 확신성, 대응성, 신뢰성, 공감성 중에서 유형성과 대응성을 제외한 신뢰성과 공감성과 확신성만이 서비스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존의 연구에서 서비스 품질과 서비스 만족과 재이용의사간의 관계에 중점을 둔 연구들과는 좀 다른 결과로써 노인방문요양서비스라는 재가 복지서비스의 품질이 기존 서비스 품질의 측정 차원과는 맞지 않는 부분이 반영된 것이라고 할 수 있겠다. 그 밖에 서비스 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준 통제변수로는 어르신과 기혼딸(미혼자녀)의 거주형태와 소득과 기독교, 천주교, 불교, 무교, 기타 등의 종교와 IADL 그리고 타 노인방문요양서비스기관 인지도가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둘째, 서비스 만족은 재이용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특히 재이용의사에 대한 서비스 만족의 표준화 계수가 0.608로 비교적 높게 나타나 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높을수록 재이용의사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 밖에 재이용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준 통제변수에는 어르신과 비혈연의 거주형태와 월세의 주택보유형태, 천주교가 종교인 경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서비스 품질 하위 다섯 가지 차원인 유형성, 확신성, 대응성, 신뢰성, 공감성 중에서 유형성과 대응성과 확신성을 제외한 신뢰성과 공감성만이 재이용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품질 하위 다섯 가지 차원과 서비스 만족에 신뢰성과 공감성이 동일하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노인방문요양서비스의 품질 측정에 대한 좀 더 심도 깊은 연구가 필요한 부분이라고 생각된다. 그 밖에 재이용의사에 유의한 영향을 준 통제변수에는 어르신과 비혈연의 거주형태와 월세의 주택보유형태, 천주교가 종교인 경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넷째, 서비스 만족은 노인방문요양서비스 품질 하위 다섯 가지 차원과 재이용의사 사이에서 매개 역할을 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는 서비스의 품질이 재이용의사에 직결된다기 보다는 이용자의 서비스 품질에 대한 만족이 선행되어야 그 만족감이 재이용의사에 반영되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요약하면 노인방문요양보호서비스 품질이 높아야 이용자의 만족도도 높아지며, 만족도가 높아져야 재가복지시설의 재이용의사도 높아지는 경향이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서비스 만족은 서비스 품질의 하위 다섯 가지 차원 중 신뢰성과 공감성이 재이용의사에 매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조사되었고 재가복지 시설이 이용자의 재이용의사와 관련하여 서비스의 질적 향상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고 결론내릴 수 있다.

      • 요양보호사의 인식이 노인의 요양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영향 : 방문요양서비스 중심으로

        황에스더 광운대학교 상담복지정책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방문요양서비스를 제공하는 요양보호사의 인식이 노인의 요양서비스 만족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여 방문요양 서비스만족을 증진시킬 수 있는 실천방안의 기초자료로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및 경기도에 소속된 장기요양기관에서 종사하는 요양보호사 115명과 방문요양서비스를 이용하는 노인 115명을 1:1 연결로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패키지(SPSS WIN 17.0) Program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조사대상자인 노인이 지각한 요양서비스 만족도 수준을 검증한 결과 총 5점 만점의 3.20점(SD=0.82)으로 보통정도로 지각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양보호사의 인식이 서비스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검증한 결과 요양보호사의 인식에 대한 태도(β=.379), 요양보호사와 노인과의 관계인식(β=.279), 요양보호사의 업무만족 인식(β=.236), 요양보호사의 교육수준(β=.184), 요양판정등급(β=-.157)이 요인으로 나타났다. 요양 서비스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가 긍정적일수록, 요양보호사와 노인과의 관계가 좋다고 인식할수록, 요양보호사의 업무만족 인식이 높을수록, 요양판정등급(1급)이 높을수록 노인의 요양 서비스 만족도는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방문요양 서비스 만족도를 높이기 위한 방안으로 요양보호사의 노인에 대한 태도와 노인과의 관계인식, 업무만족 인식을 긍정적으로 높이기 위한 재교육 및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다.

      • 방문요양서비스 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만족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직무자긍심의 매개효과

        김경호 서울사이버대학교 휴먼서비스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에서는 ‘방문요양보호사의 근무환경만족도가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과 ‘근무환경만족도는 직무자긍심을 매개하여 직무만족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 이를 통해 방문요양보호사의 직무만족을 증진시키기 위한 정책적, 실천적 개입방향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2019년도 장기요양 실태조사’의 원자료(Raw data)에서 방문요양보호사 625명을 연구대상으로 확정하고 빈도분석, 기술통계분석, 상관관계분석, 바론과 케니의 위계적 회귀분석, 소벨테스트를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근무환경의 하위요인으로 선정한 임금수준, 업무내용, 직장내 인간관계 및 직장문화의 만족도는 직무만족과 직무자긍심 모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고, 근무시간 조정의 유연성은 직무만족에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국 근무시간 조정의 유연성을 제외한 임금수준, 업무내용, 직장내 인간관계 및 직장문화의 만족도는 직무자긍심을 매개하여 직무만족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재가기관 차원에서 시도해볼 수 있는 방문요양보호사 직무만족 향상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50~60대 고졸이하 여성이 큰 비중을 차지하는 방문요양보호사의 정신적, 신체적, 사회적 특성을 고려한 인력관리. 둘째, 장기근속장려금 지급규정 개정과 교통비 지급 등 수당체계의 개선. 셋째, 수급자와 보호자의 협의를 거친 상세 업무매뉴얼 작성. 넷째, 경력에 따른 방문요양보호사의 역할부여와 직제개편. 다섯째, 직무자긍심 고취를 위한 직무교육프로그램 도입. 마지막으로 직업협동조합으로 재가노인복지시설을 창업하는 것 등을 제언하였다.

      •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

        육홍숙 서울기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11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서울지역에서 방문요양서비스를 받고 있는 노인 중 의사소통이 가능한 노인 200명을 대상으로 이용자의 만족도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방문요양서비스를 이용하고 있는 노인을 대상으로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서비스 이용형태 특성에 따른 만족도와 조사대상자의 특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SPSS 통계 프로그램 이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을 진행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조사대상자의 이용자 만족도를 서비스 계약, 서비스 내용 및 과정, 불만 및 희망사항 반영여부, 전반적 만족도 등 4개의 하위 요인으로 나누고 각 하위 요인별 점수를 5점 리커트 척도를 사용하여 측정 결과 이용만족도 전체 평균은 4.30으로 나타났으며, 4개 하위요인에서 서비스 이용계약에 대한 만족도 평균은 4.49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서비스 이용과정 및 내용의 평균 만족도는 4.37, 전반적 만족도 평균은 4.08 순으로 불만 및 희망사항여부의 평균 만족도 평균 4.37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서비스 계약은 전체 평균 4.49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으며, 서비스 내용 및 과정은 전체 평균 4.37로 하위요인을 구성하고 있는 14개 문항 중 ‘건강상태가 좋지 않거나 예상치 못한 사고가 났을 때 가족 등에게 연락해 준다’가 평균 4.85로 가장 높았으며, 일상지원 서비스 4.74의 순으로 나타났으며, ‘현재 이용하고 있는 서비스 시간이 적당하다’가 평균 3.08로 가장 낮은 점수를 보였고, 다음으로 ‘요양보호사는 전문가로서의 충분한 능력을 갖추었다’가 4.01의 낮은 점수를 보였다. 신체지원서비스와 가사지원서비스, 개인생활지원서비스, 정서지원 서비스 중에서는 가사지원서비스가 평균 4.74로 가장 높았으며 정서지원서비스 평균 4.39, 신체지원서비스 평균 4.29. 개인생활지원서비스 평균 4.23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방문요양서비스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를 분석한 결과 각 변인들의 하위집단간의 만족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하위요인별 집단별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방문요양이용자의 서비스 이용형태 특성에 따른 만족도 차이에서는 부담금 인지여부와 부담금 부담주체, 부담금에 대한 부담수준 등의 변인들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서비스 이용기간, 하루 서비스 이용시간, 주 이용횟수, 서비스 제공자에 따른 만족도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넷째, 조사대상자의 특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분석결과 서비스 이용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과 서비스 이용형태 특성이 만족도에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성별, 이용기간, 주 이용횟수, 하루 이용시간, 비용부담에 대한 수준은 만족도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서비스 이용기간과 하루 이용시간은 만족도에 상당한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토대로 정책적, 실천적, 그리고 후속연구에 대한 제언이 제시되었다.

      • 노인장기요양보험제도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방문요양서비스를 중심으로

        김미경 전북대학교 경영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711

        Korea has become an aging society when the population of the elderly 65 years or older reached 7% of the total population in 2000, and in 2017, the elderly population accounted for more than 14% of the total population, becoming an aged society. In particular, it is estimated that the elderly population will reach 10,58,000 by 2025, which means entering into a “super-aged society” in which the elderly account for more than 20% of the total population. Such an aging population is progressing so rapidly that it is difficult to find in any other country in the world. The transition from an aging society to an aged society took 24 years for Japan, while Korea took the first time in 17 years, and the increasing proportion of the elderly population means that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are increasing significantly. The proportion of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over 65 in the total medical expenses of health insurance exceeded 40% in 2018 and is expected to exceed 50% by 2025. looks like it's going to be huge. In particular, in the age of aging, if the hospital-centered medical system system is maintained, it will be impossible to manage medical expenses for the elderly, and they will face financial difficulties. In addition, it was intended to examine the results of changes since the implementation of the long-term care insurance system for the elderly in Korea, which was introduced to satisfy the social needs caused by the rapid aging of the population and the needs of the elderly. I would like to suggest for.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