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간중심적 미술치료가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아개념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

        서로사 건국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인간중심적 미술치료가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아개념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S시 J대학병원에서 강직성 구음장애와 연하장애를 동반 한 강직성 편마비성 뇌성마비 판정을 받은 20대 초반의 성인 여성이며, 2013년 2월 27일 보호자 초기 면담 및 내담자의 사전면담을 시작으로 2차례에 걸친 면담 후 2013년 3월 13일부터 2013년 10월 2일까지 사전검사, 사후검사를 제외한 총 30회기로 주 1회~2회기씩 90분간 인간중심적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인간중심적 미술치료가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아개념 및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자아개념 검사,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K-HTP), 얼굴 자극 그림검사(FSA), 자기표현행동 척도를 사전·사후에 실시하였고, 미술자기표현능력 평가로 양적 및 질적 분석을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들을 바탕으로 자기표현에 나타난 단계별 상징의 변화를 질적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간중심적 미술치료가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아개념 검사의 사전·사후 점수를 살펴 본 결과, 사전검사에 비해 사후검사에서 총 10가지 하위영역의 점수가 전체적으로 상승하였고, 개인의 전체적 자아존중감을 나타내는 총 자아긍정점수가 217점에서 312점으로 95점으로 증가하여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둘째, 인간중심적 미술치료가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동적 집-나무-사람 그림검사를 통해 투사된 자아개념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자신의 모습이 아닌 타인에 대한 그림을 그렸던 사후검사에서는 남자친구를 기다리는 행복한 자신의 모습을 그려 넣음으로써 이상적 자아에 대한 욕구와 타인과의 자연스러운 관계형성의 희망을 상징적으로 표현하는 등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셋째, 인간중심적 미술치료가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아개념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얼굴자극 그림검사를 통해 투사된 자아개념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사전검사에서는 3개의 그림이 공통적으로 인물의 신체표현의 생략, 왜곡, 성별과 감정을 알 수 없는 모호한 표현, 인물에 대한 부정적인 설명 등을 보였다면, 사후검사에서는 안정된 인물 표현과 인물에 대한 긍정적인 설명, 다양한 색의 사용, 채색범위의 증가, 신체일부의 묘사 등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아개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넷째, 인간중심적 미술치료가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자기표현행동 척도의 사전·사후 점수를 살펴 본 결과, 4가지 하위영역의 점수가 전체적으로 상승하였으며, 사전검사의 총점 259점에서 사후검사의 총점 335점으로 76점의 점수가 증가하여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다섯째, 인간중심적 미술치료가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미술자기표현 평가의 양적 및 질적 분석을 통한 변화를 살펴 본 결과, 5가지 하위영역들의 점수가 회기가 지날수록 점차 증가하였고 작품에서도 자기표현의 변화가 보이는 등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여섯째, 인간중심적 미술치료가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기표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성인여성의 자기표현에 나타난 단계별 상징의 변화를 살펴 본 결과, 작품, 글쓰기, 대화내용 등의 상징에서 보여 지는 자기표현의 변화들이 초기단계에서는 타인에 대한 분노와 적개심 표출, 현실 부정 등의 부정적인 표현이 대부분이었다면, 후기단계로 갈수록 자아성찰과 통합, 타인수용, 자아수용, 목표를 향상 자아 실현성 등의 성숙해지는 자신을 표현하여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인간중심적 미술치료가 뇌성마비 성인여성의 자아개념을 긍정적으로 향상시켰으며, 미숙하고 부정적이던 자기표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따라서 뇌성마비 성인여성을 대상으로 한 심리치료에 기초적인 임상자료로 제공되기를 기대해 본다.

      • 소아암 청소년 대상 미술치료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개인미술치료 중심으로

        김진주 용인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소아암에 대한 인식이 만성질환으로 변화됨에 따라 소아암 청소년의 심리사회적 적응과 삶의 질에 영향을 주는 유의한 변수로 회복탄력성에 대한 중요도가 증가하고 있다. 본 연구는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개인미술치료가 소아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2016년 7월 2일부터 2016년 10월 3일까지 D도시 K대학병원 입원중인 소아암 청소년 3인을 대상으로 총 14회기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진행하였다. 양적 분석을 위해 사전 사후 검사 도구로 청소년용 회복탄력성 척도(Youth Korea Resilience Quotient-27; YKRQ-27)를 사용하여 양적 결과 변화를 비교하였다. 그리고 작품 주제, 대상자의 행동 변화, 정서에 주목하여 회기 진행에 따른 변화 양상을 회복탄력성 하위요인별로 질적 분석하여 양적 분석 결과에 대한 내용을 보완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과정을 통해 도출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개인미술치료를 통해 소아암 청소년의 자기조절능력은 향상되었다. 연구대상자는 미술치료를 통해 감정을 인식하고 조절하게 되었으며, 현실에 대해 통합하고 수용하는 태도를 보여 문제해결의 대처가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개인미술치료를 통해 소아암 청소년의 대인관계능력은 향상되었다. 연구대상자는 관계 형성에 대해 자발적이고 능동적으로 변화하였다. 셋째,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개인미술치료를 통해 소아암 청소년의 긍정성은 향상되었다. 연구대상자의 부정적 정서가 감소되었으며, 현실에 대한 긍정적 요소의 발견을 통해 삶의 만족도와 감사성향이 증진되었다. 본 연구의 결론을 통해 소아암 청소년의 부정적인 정서들이 콜라주 기법의 개인미술치료를 통해 자기표현의 기회를 갖게 되었으며, 반복된 기법을 통해 자기조절능력이 증진되고 대인관계가 확장되어 긍정성에 영향을 줌으로써, 소아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현재 항암치료 중인 소아암 청소년을 대상으로 외상에 대한 조기 중재를 통해 대상자의 회복탄력성을 향상시켜 궁극적으로 외상 후 스트레스를 예방하고자 하였으며, 그에 대한 선행 자료를 제시하였다. 또한 소아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위한 미술치료 중재의 실증적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고 본다. 소아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하여 콜라주 기법을 활용한 개인미술치료를 수행한 본 연구가 향후 소아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미술치료 임상현장에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In tune with the changes of recognition of childhood cancer as a chronic disease, the importance of resilience is on the rise as a significant factor influencing psycho-social adaptation and quality of life of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This study aims to inquire into the influences of individual art therapy based on collage technique on resilience of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For the purpose of this, this study carried out art therapy programs of 14 sessions, oriented to 3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hospitalized at K University Hospital of D City, from July 2 to October 3 of 2016. To make a quantitative analysis, this study counted on Youth Korea Resilience Quotient-27; YKRQ-27) as a pre/post test tool and compared the quantitative results. By paying attention to the subject of art work, behavioral change of research participants and their emotions, a qualitative analysis by subfactors was made regarding the changed aspects according to the progress of sessions, to complement the results of quantitative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drawn from the research proces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ly, the individual art therapy based on collage technique helped adolescents in improving self-control capacity. Moreover, the research participants showed attitudes of integrating and accepting the reality, which led the problem-solving coping behavior to the positive dimension. Secondly, through the individual art therapy based on collage technique,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showed improve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e research participants demonstrated spontaneous and active attitudes in terms of the changes of relationship formation. Thirdly, the individual art therapy based on collage technique contributed to improving positivity of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The negative emotions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were relieved while the positive emotions were strengthened.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made it possible to confirm that the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could have the opportunity of self-expression of negative emotions through the individual art therapy based on collage technique, and they can enhance self-control capacity and exp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through the repeated technique, giving influences on positivity, which ultimately contributes to improving resilience in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This study intended to improve resilience of the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who are under the anticancer treatments, through the early mediation of trauma, and ultimately prevent th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while presenting the preceding data relevant to the subject. Moreover, this study ha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proposed empirical materials of art therapy mediation for resilience in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This study regarding the individual art therapy based on collage technique for the improvement of resilience in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expects to be helpful in the future for the clinical field of art therapy oriented to adolescents with childhood cancer.

      • 미술치료 석사과정생의 현장실습을 위한 주 치료사 경험연구

        장수아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미술치료 석사과정생들이 입학하여 1년 동안의 현장실습 훈련과정의 경험을 탐색해 봄으로써, 그들이 어떤 체험을 했는지, 초기 현장실습 경험의 본질은 무엇인가에 대해 알아보는 것이다. 이에 질적 연구 방법 중 Giorgi의 현상학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참여자들의 경험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참여자들은 서울에 거주하는 7명의 25세에서 42세까지의 여성이었으며, 2008년 8월부터 11월까지 심층면담을 주로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의 비언어적인 특성에 대한 메모와 연구자의 생각이나 느낌을 적은 노트를 참고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미술치료 석사학위 과정생의 초기 현장실습에 관한 경험을 분석한 결과, 〈아무린 준비도 없이 현장에 뛰어듦에 따른 나날의 두려움〉, 〈미술치료에 대한 지식의 부족함으로 혼란스러움〉, 〈내담자와 힘겨운 씨름을 하고 있는 나〉, 〈실제적으로 도움이 되는 경험이 필요함〉, 〈실습기관이 미술치료에 대해 잘 모르기 때문에 부대낌〉, 〈현장 실습을 하면서 배우는 범위가 확대됨〉, 〈현장실습에 더 깊이 참여하면서 느끼는 보람〉, 〈미술치료 공부를 통해 발전하고 있는 나를 발견함〉의 8개의 구성요소 아래 30개의 하위 구성요소들이 도출되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내린 결론은 첫째, 미술치료 석사과정 2학기생이 현장실습에서 주 치료사로서 갖는 현장 경험은 앞으로의 성장을 가지기위한 인지, 정서적으로 대 혼란을 가지는 경험이다. 둘째, 미술치료 석사과정 2학기생은 현장실습을 하면서 혼란기를 경험하지만 그 환경에 적응을 하는 단계를 거치게 된다. 셋째, 미술치료 석사과정 2학기생은 현장실습을 통해서 성장하고 있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넷째, 미술치료를 하고 있는 기관에서의 미술치료에 대한 인식이 매우 중요하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제한점 및 제언을 제시하였다. This research is about the investigation of the field practical training that the students enrolled in the master's course for art therapy experienced for a year after entering the course. It examined their experience details and the essence of the initial field practical training experience. Giorgi's phenomenological research method, which is a qualitative research method, was applied to analyze the participants' experience.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7 females living in Seoul in the ages of 25~42. From August to November 2008, this research had in-depth interviews and collected necessary data. The memos of the participants' non-lingual characteristics and the researcher's notes about thinking and feelings were referred. Based on the collected data, this paper analyzed the initial field practical training that the students enrolled in the master's course for art therapy experienced. As a result, 8 constituents -〈Daily fear for having jumped into the field without any preparation〉, 〈Feeling confused because of the insufficient knowledge of art therapy〉, 〈Myself who struggle with a client〉, 〈Necessity for the experience that is actually helpful〉, 〈Being troubled because the training institution has no idea of art therapy〉, 〈I get to learn more while taking the field practical training〉, 〈Feeling fruitful while attending the field practical training more sincerely〉, 〈Finding myself who am being developed through the study of art therapy〉- and 30 sub-constituents were produced out. Based on the research results, this paper made these conclusions: the field experience that the students enrolled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master's course for art therapy have as major therapists gives them cognitional and emotional big confusion for their future growth; secondly, the students enrolled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master's course for art therapy experience confusion while having the field practical training, but they go through the stage of adapting themselves to the environment; third, the students enrolled in the second semester of the master's course for art therapy find themselves who are being developed through the field practical training; and fourth, it is very important that the institutions that offer art therapy need to understand art therapy. Finally, this paper talked about its meaning and limitations, and made some suggestions.

      • 집단미술치료가 성인의 지각된 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연구

        허명옥 한양대 예술디자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성인의 지각된 스트레스 및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K시에 거주하는 성인을 대상으로 모집공고를 통하여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성인을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으로 구성 하였다. 집단미술치료의 효과성을 보기 위해 실험집단에는 매 회기 90-120분씩 진행하며 16회기의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미술치료적 개입을 하지 않았다.

      •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자기통제 및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

        문리학 서울여자대학교 특수치료전문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등학생의 급격한 인터넷 사용 증가는 인터넷의 부작용에 노출될 위험성과 그 위험성의 지속성이 크며, 학년에 올라갈수록 위험군이 될 수 있는 잠재성이 크다고 할 수 있다. 이에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에 대한 치료와 예방적 접근이 필요하나 치료방법이 인지행동적 치료방법이 대부분으로 치료적 접근이 다양하지 않다. 따라서 대상에 맞는 다양한 접근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으며, 본 연구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을 감소시키는데 유용한지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자기통제와 사회성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위하여 경기도 소재 K초등학교 5, 6학년을 대상으로 학부모와 학교장 및 교사의 동의를 받아 14명의 인터넷 위험사용자군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 7명과 통제집단 7명으로 구분하였다.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2007년 9월 28일부터 11월 2일까지 주 1~2회기로 60분씩 총 10회기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하였다. 인터넷 중독을 측정하기 위해 한국정보문화진흥원(2002)에서 개발한 한국형 인터넷 중독 자가진단 척도(K-척도)를 사용하였으며, 자기통제 측정도구는 Gottfredson과 Hirschi(1990)의 자기 통제력 척도와 김현숙(1998)의 자기통제평정척도를 남현미(1999)가 청소년을 대상으로 재구성하고 이계원(2001)이 수정, 보완 한 것을 사용하였다. 또한 사회성 측정도구는 Greshman과 Elliott(1990)의 사회 기술 평정 척도를 문성원(1996)이 번안, 수정한 사회 기술 평정 척도(SSRS)-학생용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감소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본 결과,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의 인터넷 중독 전체 점수와 하위요인의 일상생활 장애와 긍정적 기대에서 유의미하게 감소하였다.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자기통제에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본 결과,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의 자기통제 전체 점수와 하위요인의 장기적 만족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영향을 미치는가 알아본 결과, 통제집단은 유의미한 변화가 없었으나 사회기술 전체 점수와 하위요인의 공감에서 유의미한 증가를 보였다. 위의 연구결과로 보면, 집단미술치료가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감소와 함께 자기통제와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집단미술치료는 인터넷 중독 초등학생의 인터넷 중독 감소에 효과적인 치료적 접근이 될 수 있으며, 집단미술치료의 경험을 통해 긍정적 자아를 강화시키고 자기통제와 사회성을 증가시켜 인터넷 중독의 예방적 접근으로도 효과적일 것으로 기대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a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the self-control and the social skill of the internet-addic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I selected 14 danger users of internet to test who are on 5th and 6th grade in K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Gyeonggi-do as the subject of this study with the allowance from their parents and the principle and teachers of the school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then, divided them to seven children for the experimental group and seven for the controlled group. I operated the group art therapy ten sessions with the experimental group once or twice a week with 60 minutes per each session from 28th September 2007 to 2nd November 2007. I used Korean Internet Addiction Self-Diagnostic Standard to measure the internet addiction in this study, which is developed by KADO-Korea Agency for Digital Opportunity & Promotion-(2000). Also I used what Lee Gyewon(2001) corrected and complemental which Nam Hyeonmi(1999) reorganized of Gottfredson & Hirschi(1990)'s Self-Control Standard and Kim Hyeonsook(1998)'s Self-Control Rating Standard work for adolescent as the method of self-control measurement in this study. Finally, I used SSRS(Social skill Rating System)-for Students which Moon Seongwon(1996) translated and corrected work of Greshman & Elliott(1990)'s Social skill Rating System as the method of measuring social skill.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followed. First, the total internet scores, and Disturbance of Adaptive Functions and Addictive Automatic Thoughts in the sub-factors are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the group art therapy as far as result on how the group art therapy has an effect on reducing internet addiction for elementary school children, but nothing is significantly reduced in the controlled group. Second, the total self-control scores, and the long-term satisfaction of the sub-factor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the group art therapy as far as result on how the group art therapy has an effect on increasing self-control of the internet addic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but nothing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ntrolled group. Third, the total social skill scores, and empathy in the sub-factors a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experimental group who had the group art therapy as far as result on how the group art therapy has an effect on increasing social skill of the internet addic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but nothing is significantly increased in the controlled group. As a results of this study, the group art therapy has a numerous positive effects on the reduction of the internet addiction and the increase of self-control and social skill for the internet addicted elementary school children. Therefore, a group art therapy can have desired which can be used as a tool reduce internet addiction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also as a tool to prevent the internet addiction to increase their positive self-esteem, self-control and social skill.

      • 미술치료가 네말린근병증 발달장애 유아의 자기표현력 증진 및 눈-손 협응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 아쏘피노아트와 조소활동을 중심으로

        권금남 국제신학대학원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네말린근병증 발달장애 유아의 자기표현력 증진 및 눈-손 협응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및 효과성을 알아보려는 목적이 있다.희귀질환인 네말린근병증 발달장애는 선천적 발병이 많고, 일반 유아에 비해 대근육과 소근육 발달이 지체되고 자기표현이 제한적인데, 조기에 정서불안 표출을 통해 표현력 기능회복을 위한 치료적 접근이 필요하다. 연구는 S시 Y구 소재 장애통합어린이집에 다니는 만 5세 네말린근병증발달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2017년 1월부터 7월까지 주 1회 60분씩 미술치료 프로그램 20회, 아쏘피노아트 프로그램 28회를 실시하였다. 연구방법은 어머니와 특수교사를 대상으로 K-CDI아동발달검사, 자기표현력 향상 검사를, 유아를 대상으로 HTP, 동적가족화(KFD) 검사를 사전, 사후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또한 미술치료 회기 기록과 유아 행동관찰 및 활동을 토대로 사례를 질적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네말린근병증 발달장애 유아의 미술치료와 아쏘피노아트에 대한 변화 추이 분석결과 자기표현력이 향상되었고, 어머니와 특수교사도 유아의 지적 표현, 정서적 표현, 사회적 표현, 신체적 표현, 그리고 창조적 표현에 긍정적 향상이 보였다고 응답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에서 유아가 매체를 탐색하고 응용하며, 세부적 표현과 구체적 형상 표현이 증진되었으며 신체적 어려움을 겪는 네말린근병증 발달장애 유아에게 미술치료가 눈과 손의 협응을 통해 신체적 표현으로 구체화되었다. K-CDI아동발달검사 결과 미술치료 전, 후에 소근육 발달 및 운동에서 발달범위가 지연에서 정상으로 향상되었다. 전체 발달 영역에서도 3세 0개월 수준에서 4세 2개월 수준으로 발달연령보다 높은 능력을 보였다.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소근육 발달장애가 생기는 희귀질환인 네말린근병증 유아를 대상으로 효과가 나타났으며, 희귀근육질환 발달장애 아동대상 미술치료 연구라는데 의의가 있다.

      •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

        심은지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 J초등학교 1, 2 학년 아동 중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기술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에 참여를 희망하는 아동 총 18명으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각 9명씩 무선배치 하였다. 실험집단에는 2017년 6월 12일부터 2017년 8월 28일까지 매주 1회 90분 동안 총 12회기에 걸쳐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아무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에서는 Coopersmith(1967)의 자아존중감 검사를 윤수일(1998)이 한국의 초등학생들에게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한 자아존중감 척도와 양윤란, 오경자(2005)가 개발한 자기보고식 아동 청소년 또래관계기술 척도를 정순택(2015)이 초등 저학년에 맞게 수정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0.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해 분석하였으며,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동질성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맨 위트니 U 검정을 실시하고,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자아존중감 척도와 또래관계기술 척도의 사전사후검사 간의 점수 차이를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통해 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 중 나타난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기술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Knoff와 Prout(1988)가 개발한 동적 학교 생활화 그림검사(KSD)와 연구자와 연구 보조자의 관찰기록, 프로그램 과정이 녹화된 영상 분석을 토대로 KSD 그림 변화와 개인 및 집단별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자아존중감 향상에 부분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전체 자아존중감 점수가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지는 않았으나, 평균점수는 상승하여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통제집단의 전체 자아존중감 점수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하위요인 중 일반적 자아존중감의 사후 검사 결과가 사전 검사 결과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낮아지는 변화를 보였다. 둘째,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가 아동의 또래관계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험집단의 전체 또래관계기술 점수가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고, 하위영역 중 협동/공감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으나, 주도성에서 사전‧사후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증가하였다. 셋째,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KSD 그림 변화와 개인 및 집단별 변화를 통해 살펴본 결과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기술에 긍정적인 변화가 관찰되었다. 그림 안에서 표현된 자아상이 긍정적으로 변화하였으며, 또래와의 친사회적 행동과 관련된 주제가 자주 등장하였다. 행동 측면에서는 초기에 소극적이고 자기표현이 어려웠던 모습에서 후기에 적극적이며 자기표현이 증가한 모습으로 변화하였고, 또래와의 작업을 거부하던 모습에서 자발적으로 또래와 상호작용하는 모습으로 변화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해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는 아동의 긍정적 자아개념 확립 및 자아존중감 향상과 또래관계기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또래관계기술 향상을 위한 북 아트를 활용한 집단미술치료의 구체적 아이디어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미술치료가 맞벌이가정 아동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천혜경 신라대학교 사회복지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미술치료가 맞벌이 가정 아동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이 어떠한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연구 대상자는 맞벌이가정 아동으로 주로 가정에서 문제행동을 보이고 있으며 본인 스스로는 스트레스가 많다고 호소하고 있다. 아동은 S시에 소재한 D초등학교에 다니고 있는 여자 아이로, 2018년 2월부터 05월까지 40분씩 주 1회, 총 20회기를 과정으로 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Achenbach와 Resorla(2001)가 개발한 K-CBCL 6-18로 학령기 아동 및 청소년의 문제행동을 측정하는 검사이며 주 양육자가 평가하는 것이다(김성은, 2017). 스트레스 지각 검사지로는 주은숙(2005)이 사용한 것에 내용을 재구성한 것으로 총4개 영역 40문항으로 구성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자는 위 검사들을 사전, 사후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투사 그림검사로는 스트레스 정도를 알아보는 빗속의 사람 그림 검사로 이 또한 사전, 사후 실시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연구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맞벌이 가정 아동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연구하였으며 “ 미술치료가 맞벌이 가정 아동의 스트레스와 문제행동에 미치는 영향 ”의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술치료는 맞벌이가정 아동의 스트레스 감소와 대처능력이 향상되는 결과를 보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미술치료는 맞벌이가정 아동의 내재화, 외현화 되는 문제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 규칙위반에 대한 문제행동이 많이 감소되어 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론으로 스트레스를 호소하는 내담자의 문제행동은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스트레스 감소 및 문제행동 감소를 보였으며 이는 가정 내에서 보다 원활한 상호작용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따라서 미술치료는 아동의 스트레스 및 문제행동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stress and problematic behaviors of children in dual - income famil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children in double –income family. The children have often showed the problematic behaviors in their homes, confessing that they have a lot of stresses. For a girl who attends D elementary school in S city, the art therapy program was conducted for 40 minutes once a week and a total of 20 times from February to May, 2018. The data were collected with K-CBCL 6-18 developed by Achenbach and Resorla (2001), which measures the problematic behaviors of school-aged children and adolescents and the result is evaluated by the main caregiver (Kim Seong-eun, 2017). The stress perception test sheet was a reconstruction of the one used by Ju Eun-suk (2005). It was composed of 40 items in 4 areas. The researcher carried out the above tests before and after the therapy and performed a comparative analysis. For the projected picture test, the picture test of the person in the rain was adopted to see the stress degree of the subjects, the result of which was also compared with the pre-test status.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art therapy programs on the stress and problematic behaviors of the children in dual-income families. The research results of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Stress and Problematic Behavior in Children in Dual-income Family” are as follows: First, the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decreasing the stress and increasing the proactive ability of the dual-income family children. Second, the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internalizing and externalizing problematic behaviors of the children to reduce a lot their behaviors breaking the rules. Therefore, as the result of this study, the children with problematic behaviors showed the reduction of stresses and problematic behaviors through the art therapy program and came to have a smoother life in their family.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s on the children's stress and problematic behaviors.

      • 기억력회상 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연구

        박현철 원광대학교 동서보완의학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기억력회상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적용하여 과거의 경험과 내적 심상을 표현하고 현재를 재정립하여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살펴보고자 한 것이다. 연구의 진행은 2008년 7월 15일부터 10월 16일까지 주 1회 회기 당 90분씩 총 12회기를 실시하였다. 연구의 대상은 전북 W군 S요양원에 입소 중인 65세 이상의 치매노인을 대상으로 한국판 간이 정신 상태검사를 실시하여 20점 이하의 경증에 해당되는 치매노인 10명을 추출하고 각각 5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어 구성하였다. 프로그램 절차는 3개월에 걸쳐 기억력회상 미술치료 프로그램의 연구, 대상자 선정, 관찰자 훈련, 사전검사, 기억력회상 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및 적용, 사후검사, 자료처리의 순으로 이루어졌으며, 측정 도구로는 MMSE-K 와 GQOL-D를 사용하였다. 미술치료 프로그램 후 치매노인의 인지기능 전체점수에 미치는 효과, 결과는 실험집단의 경우 사전 점수 평균이 18.20점 이었으나, 사후점수는 평균이 20.10점으로 1.90점 증가 하였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t=-1.134. p<.01) 나타났다. 하지만 통제집단의 경우는 사전 점수의 평균이 18.38점 이었으나, 사후 점수의 평균은 16.61점으로 오히려 낮아진 것을 알 수 있다(t=1.034. p>.05). 즉, 실험집단의 치매노인의 전반적인 인지기능 전체점수는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치매노인의 삶의 질을 알아본 결과, 통제집단의 경우 프로그램을 실시하기전의 평균은 41.10(SD=7.80)이었으며, 실시 후에는 평균이 38.71(SD= 7.48)로 2.39점이 감소하였고, 이는 p<0.05 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였다(t=2.39). 실험집단의 경우에는 프로그램을 실시하기전의 평균은 44.28(SD=10.19)이었으며, 실시 후에는 평균이 51.89(SD=5.18)로 7.60 증가하였고, 통계적으로 유의미 하지 않았다(t=-1.96). 한편으로는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지 않은 실험집단은 삶의 질은 낮아졌고, 프로그램을 실시한 경우는 더 이상 나빠지지 않았음을 볼 때 기억력회상 프로그램이 치매노인의 삶의 질에 효과가 있었다고 해석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미술치료가 치매노인의 인지기능과 삶의 질 향상에 효과가 있음이 입증 되었고, 기억력회상 미술치료 프로그램을 통해 정서적ㆍ사회적 변화를 가져왔음을 프로그램 내용분석을 통하여 확인하였다. 기억력회상 미술치료는 노년기에 신체적, 정신적, 사회적, 경제적 능력이 쇠퇴되고 역할상실로 인한 소외감으로 심리적 부적응을 겪고 있는 치매노인들에게 긍정적인 자아상을 회복하고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하리라 생각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find out what effects the art therapy of memory recollection has on improving cognitive functions and life quality by expressing the past experiences and inner images and reestablishing the present. The research was conducted totally 12 times once a week (for 90 minutes everytime) from July 15 to October 16, 2008. The elderly with dementia above the age of 65 in S nursing hospitals of W province, Jeonbuk, participated in the Korean mini-mental state test. 10 mild cases under 20 points were chosen. They were placed in two groups - 5 in the experiment group and 5 in the control group. This research was conducted for 3 months in the order of the study of art therapy of memory recollection, the selection of subjects, observer training, preliminary inspection, the conduct and application of art therapy programs of memory recollection, post inspection, and data processing. MMSE-K and GQOL-D were used as research tools. In the effects of art therapy on the total points of th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 group, the average point of preliminary inspection was 18.20, while the average point of post inspection was 20.10, which means that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t=-1.134. p<.01). But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the average point of preliminary inspection was 19.10, while the average point of post inspection was 16.61 (t=1.034. p<.05). That is, it is shown that the total point of the whole cognitive function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increased after group art therapy. The results of the study of life qualit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show that in the case of the control group, the average point was 41.10(SD=7,80) before the program, while the average point after the program was 38.71(SD=7.48, which means that it i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t=2.39). But in the case of the experiment group, the average point before the program was 44.28(SD=10.19), while the average point after the program was 51.89(SD=5.18), which means that it i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1.96). The results suggest that group recollection therapy has some effects on the life quality of the elderly with dementia, given that the life quality of the experiment group that didn't participate in the program lowered, while the program stopped it from getting worse. It proved that the art therapy of memory recollection brought emotional and social changes to them. The art therapy of memory recollection is expected to help the elderly with dementia, who suffer from psychological maladjustment due to the decline of physical, mental, social, and economic abilities and their sense of alienation, and improve their life quality.

      •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김소희 명지대학교 사회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는 목적으로 시행되었다. 연구대상은 S시의 I초등학교 6학년 학생들 중 자아탄력성이 낮고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학생 16명으로, 각 8명씩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무선배치하고, 실험집단의 학생에게는 2016년 4월 말부터 2016년 7월 중순까지 주 1회, 80분씩 총 12회기에 걸쳐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도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사전 ․ 사후 검사로는 박은희(1996)가 개발하고 박상희(2009)가 수정, 보완한 자아탄력성 척도와 오미향과 천성문(1994)의 학업스트레스 척도를 초등학생에게 맞게 수정한 김효진(2010)의 학업스트레스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바탕으로 SPSS 18.0 프로그램을 가지고, 프로그램 실시 전 맨-휘트니 검증(Mann-Whitney U test)을 실시하여 동질성을 검증하고, 프로그램을 실시 후 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윌콕슨 부호순위 검증(Wilcoxon signed ranks test)을 실시하여 결과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프로그램 진행과정에서 드러난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 변화과정을 질적으로 분석하여 변화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자아탄력성의 사전, 사후 점수 변화를 살펴본 결과 자아탄력성 전체(Z=-2.03,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으며, 하위요인에서는 활력성영역(Z=-1.98, p<0.5), 감정통제영역(Z=-2.25, p<0.5), 낙관성영역(Z=-2.02, p<0.5)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왔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학업스트레스 전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지만, 하위요소 중 대인관계적 요소(Z=-2.03, p<0.5), 학업스트레스 증상(Z=-2.10, p<0.5)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내며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학생의 자아탄력성과 학업스트레스의 변화를 살펴볼 때 참여자들은 미술작업을 통해 스트레스와 부정적 감정을 해소하고, 감정 조절과 문제해결과정을 경험했으며 이런 과정을 거쳐 작품을 완성하면서 성취감과 자신감을 갖게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집단 내 공동작업을 통하여 서로 협동하고 작품에 대한 피드백을 주고받으며, 공감과 소통을 통한 지지를 경험하면서 대인관계적 측면에서도 긍정적인 변화를 보였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집단미술치료가 정서적, 대인관계적, 인지적 측면의 변화를 통해 자아탄력성 향상과 학업스트레스 감소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가 초등학생에게 변화하는 사회에 적절하게 대처하고 적극적으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의지를 갖도록 하며, 스트레스를 건강하게 해소하여 유연하게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다는 점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그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were conducted to examine influences of the group art therapy on ego-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in elementary student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6th grade elementary students in S city who have low ego-resilience high academic, and a total of 16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into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 The program was composed of a total of 12 sessions, 80 minutes per session, and once a week, and the control group was not given any treatment. The Park Eun-hee(1996)`s Ego-Resilience Scale and Oh Mi-hyang and Cheon Seong-mun(1994)`s Academic Stress Inventory were used in this study, an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using SPSS 18.0. The Mann-Whitney U test was conducted to test homogeneity between groups before conducting the program, and the Wilcoxon signed ranks test was conducted to test the effect of the program. Also, the qualitative analysis was conducted to assess changing processes of ego-resilience and academic stress appeared during the program proces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 First, the group art therapy had positive effects on the ego-resilience of elementary students. The change of pre-post scores was significant in the total of ego-resilience(Z=-2.03, p<0.5), and was significant in the vitality(Z=-1.98, p<0.5), emotion control(Z=-2.25, p<0.5), and optimism(Z=-2.02, p<0.5) of sub-factors. Second, the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academic stress of elementary students. Specifically,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was significant in the interpersonal relationship(Z=-2.03, p<0.5) and academic stress symptoms(Z=-2.10, p<0.5) of sub-factors, although the effect was not significant in the total of academic stress. Third, the participants solved stresses and negative emotions, and experienced emotional control and problem-solving processes which made the participants feel self-confidence and achievement during the group art therapy. In addition, the cooperations, feedbacks, and emotional supports among the group members had positive influences on interpersonal relationships in children. The findings of this study is that the group art therapy positively influenced on the ego-resilience and decrease of academic stress by changing emotional, interpersonal, and cognitive aspects. Thus, This study provided a meaningful implication that the group art therapy is effective on psychological adjustment in elementary studen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