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3D 모델링을 활용한 구축조각 교수·학습 방법 연구

        김동현 경상국립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디지털 전환 시대를 맞아 미술교육의 방법에 변화를 꾀하며 미술과의 본질적 내용을 효과적으로 지도할 수 있는 교수·학습 방안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에 따라 3D 모델링을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제안하며 구축조각을 적합한 교수내용으로 선정하였다. I장에서는 연구 필요성과 연구 목적 그리고 연구 내용 및 방법을 제시하였다. II장은 구축조각의 개념과 미술교육적 의의, 3D 모델링의 개념과 미술교육적 의의에 대해 분석하였다. 여기에서 구축조각은 양감과 공간을 새로이 해석한 점에서 교육적 의의를 가지고 있음을 밝혔다. 또한 3D 모델링 활용 교육은 공간능력을 신장할 수 있다는 기존 연구에 동의하였다. 그리고 3D 모델링의 작동방식과 구축주의 작가들의 양감과 공간에 대한 해석 사이의 유사점을 근거로 3D 모델링을 활용한 구축조각 교수·학습의 당위성을 확보하였다. III장에서는 분석한 이론을 토대로 고등학교 현장에 적용할 수 있는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양감과 공간은 기존 미술교육에서 주요하게 다루는 본질적인 내용임을 확인하였고, 이를 재구성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시하였다. 학교 현장에서 실행하여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조형요소를 인지적으로 이해하는 학습이 이루어졌다. 학습자는 구축조각 작품 감상과 3D 모델링을 활용한 제작 활동을 통해 3차원에서의 양감과 공간 표현에 대해 이해하였다. 둘째, 학습자의 삶 속에서 디지털 기반 시각문화에 대해 관심을 가지는 태도를 함양하게 되었다. 데이터의 형태로 결과물을 만들어 내는 활동을 통해 디지털 매체 활용 능력을 기를 수 있다고 기대할 수 있으며, 3D 모델링 기반 시각문화와 관련된 경험을 공유하는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생활 속에서 그에 대한 관심을 기울이는 계기가 될 것이라 기대할 수 있다. 셋째, 협동하는 자세를 가지게 되었음을 알 수 있다. 모둠을 이루어 진행하는 활동 속에서 매체 활용 능력이 우수한 학생들은 모둠 구성원들에게 기능적인 측면에서 도움을 주며 협동하는 분위기를 조성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시대의 변화에 대응하는 교수학습 방법을 모색하고 그에 적합한 교수내용을 선정하여 구체적인 방안을 제안한 데 의의가 있다. 이로써 미술과의 본질적인 개념을 효과적으로 지도하는 미래지향적 교육이 이루어지기를 기대한다. The study intends to develop Teaching-Learning Solution to instruct essential content with art in new and more effective ways, which pursues changeable way of art education on coming digital conversion age. It has become to select Constructivist Sculpture with suitable teaching content, suggesting '3D modeling' as a new Teaching -Learning method. The Chapter 1 suggests necessity, purpose, content and the method of the study. The Chapter 2 is based on the study of theoretical background which analyses the concept of Constructivist Sculpture, 3D modeling and the importance of an art education. The Constructivist Sculpture has educational meaning, which could explain 'mass and space' revolutionary. 3D modeling application education agreed to previous studies that the education could increase spatial ability. Constructivist Sculpture Teaching-Learning Method using 3D modeling gives appropriate prominence because of similarity between 3D modeling operation method and constructivists' interpretation on volume sense and space. The Chapter 3 suggests Teaching-Learning Program which could apply to the education field on high school based on analyzed theory. The Chapter could make possible and specific solution through curriculum reconstruction, verifying that volume sense and space are important and essential in accordance with original art education content. The first result on the school field shows Teaching and Learning type to understand formative element cognitively. Students could figure out three dimensional volume sense and space expression though Constructivist Sculpture artwork appreciation and production activity using 3D modeling. Secondly, students could individually improve an attitude of being interested in visual culture based on digital media in their lives. which could expect to develop digital media utilization ability by producing digital result and to focus on their digital lives with activities, sharing experiences relate to visual culture based on 3D modeling. Thirdly, researcher could realize that students could cooperate each other. The setting of the study was group activities. Through this activities students, who are remarkable on media utilization ability, made possible help on the functional aspects to the group and cooperated in their classes. The study has been significance to find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on the changeable contemporary society and to suggest specific way to draw appropriate teaching content. Thus, it is certain that essential concept of art education could be future-oriented and effective.

      • 다중지능 유형별 퍼포먼스 미술활동 연구

        김효경 한세대학교 친환경디자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아동들의 미술교육은 과거에 비해 질 높은 교육으로 발전했다. 그러나 아직도 기교위주의 교육이 중심이고 결과중심의 교육 방식이 아동들의 상상력 개발과 창의성 개발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이러한 교육이 계속 된다면 아동들은 미술활동에 흥미를 잃게 되고 즐거워서 하는 미술활동이 아니라 의무감에 어쩔 수 없이 하는 교육으로 전락하게 된다. 본 연구는 미술교육의 문제점을 다중지능 이론과 퍼포먼스 미술활동에 근거를 두고 논하고자 한다. 다중지능 이론은 하워드 가드너 박사가 인간에게는 누구나 무한한 능력이 있다는 전제하에 8가지의 다중지능 유형을 주장 했는데 각 다중지능 유형별로 퍼포먼스 미술활동을 분석 적용하여 아동들의 다양한 지능을 고루 증진시키고 창의성을 높이기 위한 미술교육을 하기 위하여 새로운 프로그램을 제안한다. 새로운 프로그램은 아동들이 미술시간에 결과물을 완성해야 한다는 생각을 버리고 다양한 경험과 과정을 통해 서로가 가진 자기만의 강점지능을 발전시키고 모자란 능력을 보완시키는데 그 목적이 있다. 프로그램의 타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아동 미술 교육 전문가들로 구성된 표본 집단을 통해 FGI를 진행했으며 분석 결과 표본 집단의 전반적인 생각이 연구자의 기대효과와 부합하는 결과를 얻었다. 현재, 그리고 미래의 모든 아동들이 미술활동을 할 때 꼭 잘 그린 작품을 완성해야 한다는 중압감에서 벗어나 활동 과정에서 즐거움을 느끼고 자신의 능력을 향상 시킬 수 있는 교육이 이루어진다면 교육적으로 한 차원 발전된 의미를 가진다고 본다. Art education for children has developed into quality education compared to the past. However, its method focusing on techniques and results has a bad effect on developing their imaginations and creativities. Continuing such education makes them lose interest in art activities. Thus, they show the activities not with pleasure but with a sense of duty. This study tries to discuss the problems of art education based on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performance art activity. For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Dr. Howard Gardner asserted eight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s under the presupposition that anyone had infinite ability. He analyzed and applied performance art activity by types of multiple intelligences and proposed a new program for the art education aiming to evenly promote children's various intelligences and heighten their creativities. The purpose of the new program is to have children throw away the idea that they should perfect their resultants in art time, develop their own strong intelligences through various experiences and processes and complement their lacking abilities. To prove the validity of the program I made FGI(Focus Group Interview) to the sample group consisting of child art education experts. Analyzing the interview showed that the general idea of the group corresponded to the researcher's expectation effect. I see that art education has one-dimensionally developed significance if it enables all the children of the present and the future not to have the oppressive feeling that they should produce masterpieces in art activities but to take pleasure in the activities and improve their own abilities.

      •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페이퍼 퀼링(Paper Quilling)을 활용한 표현지도 연구.

        정미경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미술교육은 전문가 육성보다는 조형 활동을 통해 정서와 감성을 지닌 심미적이고 창조적인 인간을 육성하는데 목적이 있다. 미술교육에서의 표현은 실제적으로 학생들의 미술행위를 의미하며, 재료와 도구를 이용해 자신의 조형성을 형상화해내는 일련의 과정을 말한다. 이러한 조형 활동에 오랜 역사를 통해 형성된 공예기술 중의 하나인 페이퍼 퀼링(Paper Quilling)을 활용해보는 것은 학습자로 하여금 다양한 발상과 표현을 제공해 줄 수 있다. 페이퍼 퀼링은 언제 어디서든 누구나 손쉽게 구하는 매우 익숙한 소재를 이용함으로 경제적 가치 또한 매력적이며 무언가를 만들려는 이의 의도에 순응하는 가변성과 적용력이 뛰어난 장점을 갖고 있다. 이러한 점은 미술교육에서 학습자의 적극적인 참여와 발상을 요구할 수 있는데 매우 효과적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중학교 미술교육에서 효과적인 표현지도를 위해 정서적 안정과 상상력 신장 및 자아발견의 기회를 제공하고, 페이퍼 퀼링을 활용하여 다양한 표현지도 속에서 창의력 함양을 목적으로 이루어졌다. 획일적인 사고에서 벗어나 학생들의 능동적인 참여가 요구되는 미술교육에서 본 연구는 학생들에게 친숙하고 다양하게 이용할 수 있는 종이라는 소재와 페이퍼 퀼링을 활용하여 표현지도 방안을 연구하였다. 미술표현 활동에서 발생하는 어려움은 사실적으로 표현하고자 하는 인지적 발달에 비해 학생들의 표현 능력이 저하되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 이를 보완하기 위해 페이퍼 퀼링을 활용한 표현은 다양한 특성과 기법을 활용하여 쉽게 조형감각을 끌어낼 수 있다. 그리고 조형 원리와 종이의 물성에 따른 그 자체만으로도 무한한 표현이 이루어 질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이를 페이퍼 퀼링의 실제수업에 적용하여 교사의 발문과 표현 특성에 맞는 교수·학습 모형으로 학습자의 흥미와 동기를 유발시키고, 창조적인 표현능력을 창출하여 학생들의 인지적 욕구를 적절히 조화시키고자 하였다. The fine arts education is on the purpose of raising creative persons having aesthetic point of view through formative and figurative activities than producing professional artists. The expression on the fine arts education means procedural process that visualizes their imagination by the actual activity of students with materials and tools. To put 'Paper Quilling' which has a long art and craft history to the art curriculum gives them chances to express their artistic idea and concept. The strength of 'Paper Quilling' lies in the economic way to take into art class by using easy-handling and purchasing materials and the ability to adjust to students' own intension. In that way, it is one of the most effective ways to attract student's attention to the fine art. So this study has objects to provide the emotional stability, expended imagination, self discovery and enriched creativity to middle school students by 'Paper Quilling' in the art curriculum. In the art education requiring active participation of students beyond an uniform education, we have studied the method of expression education using 'Paper Quilling' crafted by paper that students are familiar with. The difficulties in the fine art activity come from lowering of ability to express themselves rather than weakening of ability to recognize a realistic expression. To complement the deficit, we use 'Paper Quilling' having the possibility to apply various features and techniques on it to augment an aesthetic sense. So students are able to acquire the principle of the formative arts and express unlimitedly by the property of paper in itself . To apply 'Paper Quilling' as one of the learning model to the art class will improve interest and motivation of learners and satisfy their desire to express themselves.

      • 표현재료 영역확장을 통한 아동미술교육 연구 : 6〜9세 아동을 중심으로

        고정숙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selecting of materials in the case of children's art education does not only help in releasing children's desire for expression, but can also be seen to influence the amount of interest that is aroused in children towards art. According to this, with the subjects of the study being children of the ages 6 to 9, by expressing various themes with diverse artistic materials, differences between the artistic materials presented in current art textbooks were reviewed, and the study aimed to carry out the expansion of utilization of artistic materials from textbooks. Also, this study was started with the hope that children could awaken their potential on artistic materials to proceed in art classes with confidence and interest. Today the materials and tools for art expression activities have been diversely put on the market with diverse ingredients in terms of types and quality. However, current artistic materials presented in art textbooks for lower elementary school students not only reveals limited areas of use, but also carries great risk of students simply repeating the use of art materials that they may have come across before admission to elementary school.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the construction of a new concept of materials that uses diverse materials and also a need to study education methods where children can broadly express their art. To realize the goal of this study, by analysing and making into data the materials from art textbooks of the summer and winter terms of elementary grade 1 and 2, an understanding was made of the extent of material use by current textbooks. Also, by referring to activity books for artistic materials, that are on the market today, classes proceeded, and the responses to these various types of resources by children were observed. With this as a base, by finding out the appropriate artistic materials for children, an art education plan was devised through the new materials. By actually applying the results of executing the plan by recomposing the content of the education curriculum for art textbooks, the expansion of expression materials was execu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cquired from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students who were disinterested by art because they thought they were not confident about art themselves, could clearly express the theme and recovered their confidence through diverse expression material activities. Through the children's opinions about the materials they used, it was possible to measure the degree of confidence and interest. It is judged that this is a desired phenomenon that contributes to the aim and significance of Children Art Education. Second, as a result of researching the dispersion of materials in the art field of 'fun life' textbooks for elementary grades 1 and 2, which correspond with the ages 8 and 9, there is a need for intense awareness by teachers to make sure that children are not simply re-learning expression materials that were widely experienced before entering elementary school, in nurseries or private academies. Also, there is a need for an active teacher approach in introducing new materials. Third, in the 'fun life' textbooks of elementary grade 1 and 2 students, there is insufficient explanations of the materials and expression methods used in each unit. For understanding and methods of application for the materials, there is a need for sufficient explanation through pictures and text. This is because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expression materials strengthens the ability to find and utilize other materials. Fourth, other than what was developed to be used as specialized art materials, children also showed curiosity and interest in diverse materials related to everyday life. Therefore, the expansion of the scope of expression materials, to exceed existing materials from elementary textbooks, will increase the curiosity and interest of children. Therefore, in Art Education, through the expansion of the area of expression materials, children were made aware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heir surrounding environments, and open attitudes towards their living environments were fostered, while the pro-active attitude that children came to possess had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rt Education of Children. 아동 미술 교육에 있어서 재료의 선택은 아동의 표현 욕구를 해결해 줄 뿐만 아니라, 미술에 대한 아동의 흥미를 유발시키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 있다. 이에 따라 6~9세 아동들을 대상으로 주제에 따른 다양한 재료들을 이용해 표현함으로서 현 미술과 교과서에 제시된 표현재료와의 차이를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과서 표현재료의 영역확장을 진행하고자 한다. 또한 아동들이 표현재료에 대한 가능성을 일깨워 자신감과 흥미를 갖고 미술수업에 임할 수 있도록 힘쓰고자 이 연구에 임하게 되었다. 오늘날 미술 표현 활동을 위한 재료와 용구는 종류와 품질 면에서 세분화된 재료들이 다양하게 출시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초등학교 저학년 미술 교과서에 제시된 미술재료는 사용범위의 한계성을 드러내고 있을 뿐 아니라 아동들이 취학 전 보편적으로 많이 접해왔던 재료들을 일률적으로 답습할 수 있는 위험성을 가지고 있다. 따라서 다양한 재료들을 이용한 재료의 새 개념을 구축하고 아동들에게 폭 넓은 미술 표현을 하게 하기 위한 교육 방안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을 실현하고자 초등학교 1학년 1․2학기, 2학년 1․2학기 미술과 교과서 재료를 분석․자료화하여 현 교과서 재료사용에 대한 범위를 파악하였다. 또한 시중에 나와 있는 표현재료 활동서적을 참고하여 수업을 진행한 후 다양한 재료에 대한 아동들의 반응을 살펴보았다. 이를 토대로 아동에게 적합한 표현재료를 파악하여 새로운 재료를 통한 미술교육계획을 구안하였다. 계획의 실행에 따른 결과를 실제 미술교과 교육과정내용에 재구성하여 적용해 봄으로서 표현재료의 영역확장을 실행․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 스스로 미술에 대한 자신감이 부족하다고 생각하여 흥미를 느끼지 못하던 아동이 다양한 표현재료 활동들을 통해 주제 표현을 경쾌하게 하고 자신감을 회복하였다. 재료사용에 대한 아동소감을 통해 긍정적인 자신감과 흥미 정도를 알 수 있었다. 아동미술 교육의 목표와 의의에 기여하는 바람직한 현상이라고 판단된다. 둘째, 8~9세에 해당하는 초등학교 1․ 2학년 즐거운 생활 미술영역 재료분포를 조사해본 결과 아동들이 초등학교 입학 전 유치원 및 사설 학원에서 보편적으로 많이 경험해 본 표현 재료들을 일률적으로 재 답습 되지 않도록 학교교사의 세심한 관심이 필요하다. 또한 새로운 재료를 도입하도록 하는 적극적인 교사의 태도가 요구된다. 셋째, 초등학교 1․2학년 즐거운 생활 교과서에는 각 단원에서 사용되는 재료와 표현방법 등에 대한 설명이 부족하다. 재료에 대한 이해와 활용방법을 위해서는 그림 및 사진 등을 통한 충분한 설명이 필요하다. 표현재료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또 다른 재료를 찾고 활용할 수 있는 힘을 길러주기 때문이다. 넷째, 아동은 전문적인 미술재료로 개발된 것 외에도 일상생활과 관련한 폭넓은 재료에도 호기심과 흥미를 보인다. 그러므로 초등 교과서 기존 재료 외의 표현재료 영역확장은 아동의 호기심과 흥미를 높여줄 것이다. 따라서 표현재료의 영역확장을 통한 미술교육은 아동들에게 주변 환경과의 상호관계성을 인식시켜 주며 생활공간에 대한 개방적인 태도를 길러 주고, 아동 스스로 적극적인 자세를 취하게 하여 아동미술교육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할 수 있다.

      •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미술감상교육에 대한 연구

        김수경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was done to know about realities and recognition of teachers 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in order to suggest basic information to revitalize art appreciation education. 1. How about realities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1-1. How about the actual condition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method? 1-2. How about usage rate on instructional media? 2. How about kindergarten teacher's recognition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is study was conducted with 127 kindergarten teachers, 115 daycare center teachers, 242 teachers in total. For the study, I have used a survey of the preceding study (Jin-Hee Kim, 2000; In-Sook Lee, 2001) as a reference and I have revised it to fit in this study with the help of my faculty advisor and two professionals in the field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The contents of the survey is composed of questions about personal background of teachers, realities of learning method on appreciation education, usage rate of instructional media, teachers' recognition on art appreciation education. The analysis of data was conducted by using the SPSS WIN 12.0 program to get the response distribution and after that crosstabulation analysis was done by X2 .to see the difference among the groups. The result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ctivity of expression in kindergarten has unbalanced. Most teachers response that the most important activity of expression subject is research. Depending on the type of educational institution, the time it takes to art appreciation education and how to educate of art appreciation are meaningly different. Second, as for instructional media, copies of textbooks such as photo, collection of famous picture, are the most popular response. And although most teachers are well recognize the positive effect of usage of instructional media,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e effect of usage of instructional media is meaningly different. Third, most teachers are well recognize the object and contents of an instruction, and response that the object of art appreciation is creative expression. And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ducational institution, the most difficult problem of art appreciation is meaningly different. 본 연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미술감상교육의 현장실태와 교사 인식도가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고 미술감상활동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 하고자 한다. 1.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미술감상교육 실태는 어떠한가? 1-1. 미술감상교육 교수학습방법의 실태는 어떠한가? 1-2. 미술감상교육 교수매체 활용정도는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에서의 미술감상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와 경기도에 소재한 유치원 교사 127명, 어린이 집 교사 115명, 총 242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김진 희, 2000; 이인숙, 2001)에서 사용한 설문지를 참고하여 유아교육 전문가 2명과 지도교수의 도움을 받아 연구의 목적에 맞게 본 연구자가 수정, 보완 하여 사용하였다. 설문지 내용은 교사의 개인적 배경, 미술감상교육에 대한 교수학습방법의 실태, 교수매체 활용정도, 미술감상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 식에 관한 질문으로 구성되어 있다. 자료분석은 SPSS WIN 12.0 프로그램 을 이용하여 응답반응의 분포를 구하고 난 후, 집단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교차분석 X²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되고 있는 표현생활영역의 활동은 대체로 불균형하게 이루어지고 있었으며 탐색활동, 표현활동, 감상활동의 순으로 비중을 두고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감상수업은 주1회로 유아작품 이나 자연 및 사물을 감상소재로 주로 활용하여 실시하고 있으며, 교사가 감상에 대한 자료를 먼저 찾아보고 난 후, 활동을 계획하여 대집단으로 운영하고 있었다. 또한 미술감상수업에서 감상대상에 대한 생각과 느낌을 언어적으로 상호작용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내용으로 다루며 연계활동으로 는 표현활동을 주로 한다고 응답하였다. 기관유형별로 살펴 본 결과, 미술 감상교육 시 1회 소요시간과 미술감상교육의 진행방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미술감상교육의 1회 소요시간시 유치원의 경우는 5~10 분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난 반면, 어린이집의 경우는 5분 이내라는 응답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미술감상교육의 진행방법에서 유치원의 경 우는 감상뿐 아니라 느낌에 대한 토론으로 진행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난 반면, 어린이집의 경우는 대상의 특징과 감상관점에 대해 교사가 먼저 설명 하는 방식으로 진행한다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에서 미술감상교육을 위한 교수매체로는 사진 인쇄물, 명화집 등의 복사물 교재를 가장 많이 사용하고 있다고 응답하였으며, 교사 들은 교수매체에 대한 교육효과에 대해 긍정적인 인식을 하면서도 교수매체를 별로 사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교수매체(기자재)가 구비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라고 응답하였다. 기관유형별로 살펴 본 결과, 교수매체 활용정도에서 유치원 교사들이 어린이집 교사들보다 미술감상교육 시 교수 매체활용의 교육효과에 대해 더욱 긍정적으로 응답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교사들은 표현생활의 목표와 내용을 대체로 잘 인지하고 있었으며 창의적으로 표현하는 것을 가장 중요한 미술감상목표 라고 응답하였다. 미술감상교육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 다 미술감상 활동에 필요한 교재 및 교구에 대한 다양한 연구개발이 필요 하다고 보았으며, 미술감상교육을 위한 교사 재교육 프로그램시 희망하는 교육내용으로는 미술품을 분석하는 미술비평과 같은 감상교육 방법론이라고 응답하였다. 기관유형별로 살펴 본 결과, 미술감상교육 시 가장 어려운 문제 에서 유치원 교사의 경우는 미술감상교육의 교수자료 및 시청각 교재부족 이라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어린이집 교사의 경우에는 미술감상 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부족이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나 통계적으로 유의 미한 차이를 보였다.

      • 미술과 수업의 감상지도방안에 관한 연구 : 후기인상주의를 중심으로

        강봉순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미술과 교육의 목적은 ‘다양한 미술활동을 통하여 주변세계의 아름다움을 느끼며 향유할 수 있는 심미적인 태도와 상상력, 창의성, 비판적인 사고력을 길러주고, 아울러 미술문화를 이해하며 계승, 발전시킬 수 있는 능력을 갖춘 전인적 인간을 육성하는’ 것에 있다. 따라서 미술교육은 미술활동을 통하여 표현 및 감상능력을 기르고 창의성을 개발하며 심미적인 태도를 함양한다는 목표를 갖는다. 본 연구에서는 후기 인상주의 감상방법을 지도함으로서 미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미술에 있어서 다양한 표현 방법과 감상능력을 길러주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의 내용은 미술 감상의 개념과 교육적 의의, 감상교육의 필요성 등 미술 감상 교육의 이론적 배경을 살펴보고 감상교육이 갖는 의미와 중요성에 대해 고찰하였으며 미술교육을 통하여 미술에 대한 올바른 감상방법을 이해하기 위하여 교과서를 중심으로 미술 감상 지도의 개선방안에 대해 모색하였다. 후기 인상주의에 대한 이해와 후기 인상주의 대표적 화가의 작품의 특징에 대해서 알아보았으며 후기 인상주의가 현대미술에 미친 영향에 대해 살펴보고 효과적인 미술 감상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ICT를 활용하여 학생들이 후기 인상주의 미술을 이해하고 나아가 현대미술을 이해하는 계기가 될 수 있도록 하였다. 감상수업을 감상 시간에만 지도하기보다는 미적체험 활동과 표현활동 과정에서도 수시로 연관 지어 지도함으로써 감상의 효과를 높이는 하나의 방안이라고 생각한다. 미술교과에서 표현 영역과 더불어 미적 체험, 감상영역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앞으로도 이 분야에 관한 연구는 꾸준히 계속 되어야 하리라고 본다. The purpose of arts education is to 'cultivate imagination, creativity, critical thought and the aesthetical attitude with which to be able to feel and enjoy the beauty of surroundings through various artistic activities, and to rear the whole person with the ability to understand, succeed and develop the artistic activities'. Therefore arts education has the goal to grow the expressive and appreciational ability, to develop creativity and to cultivate aesthetical attitude through artistic activ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r the right understanding of arts, various expressive methods and appreciational ability by investigating the way of appreciation in postimpressionism. As for the contents of study,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artistic appreciation education including the concept, the significance and the necessity of artistic appreciation education were examined, and the meaning and importance of appreciation education were considered. The plan of improving arts appreciation instruction was groped for focusing on the textbook to understand the right way of arts appreciation. Also investigated were about the postimpressionism, the characteristics of representative postimpressionistic painters' works, the influence of postimpressionism on modern arts and the plan of effective arts appreciation instruction. ICT was applied to let the students understand the postimpressionistic arts as well as the modern arts. It might be a way of increasing the effect of appreciation that the appreciation instruction should be connected to aesthetical experience activity and expressive activity, rather than just confining it to the appreciation class. In department of arts, the importance of aesthetical experience and appreciation area together with the expressive area should be recognized and research on it should be continued.

      • 박물관과 학교미술교육의 연계성 연구

        유지현 건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Due to Informatization as a result of developments in digital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through various means like the Internet, which can be used any time, any where, people world wide are now able to easily and speedily exchange each other's cultures. Thus, the main objective of School Art Education has arisen as the ability to gain critical thinking methods in understanding and judging art cultural phenomenons correctly, and to foster the ability to accept and apply visual culture from within the influx of diverse visual mediums in contemporary society. Visual Culture Education can effectively be accomplished with multi-cultural Art Education through Museum Education. By artistic experience of Art Education through field trips to Museums, students are presented with cultural space of a high standard, and thus these students can foster artistic sensitivity, and gain opportunities to directly see and feel real pieces of work, so as to more deeply understand national art culture and overcome the problems of art lessons that are generally carried out in the classroom. To this, the following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Middle School Art Education planned and applied an art class in relation to the activity of a museum field trip, thus aiming to present and learn a new teaching supervision method to make school art education gain practical substance. This study searches for a solution through the liaison of museum and school by analysing the reality of utilizing museums for education, and researching the connection between museums and school art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functions of museums. The implementation of the study was mainly divided into 3 units, categorized by 'Prehistoric Art, Baekjae Art, and Shinra Art', and suggested and carried out a teaching supervision plan regarding museums. The results that were found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lesson connecting museums to school art education improved appreciation abilities of art pieces. Thus, fostering the appreciative ability to interpret and understand cultural heritage became an opportunity to expand artistic experience. Second, experience activities that were carried out at school after visiting the museum became an experience for students to extend art into their everyday lives. In particular, from the activities in relation to prehistoric art that was carried out in the study, the program where students returned to prehistoric times by cooking rice in combed pattern earthenware, not only helped students to understand the awareness of art by ancestors, but was effective as a cooperative activity where good relations were formed between friends. Third, there was a high preference for activities where practical handicraft pieces that could be used in everyday life were made in the learning process in the expression field. While supervising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t was noticed that students found more enjoyment in making pieces when they could possess the experience of making and using the pieces they had made, rather than simply repeating the remains found in museums in the same way, while addressing the field of expression. Fourth, through lessons for learning the amassed cultural heritage of ancestors, students came to acquire an affection for our culture and could come in touch with museums in a friendly way. The author of this study hopes that with this study as a base, more entertaining lesson models for art lessons in relation to museums are actively developed, and that education programs in museums of Korea are carried out more broadly and diversely. Also, it is hoped that this study will become an opportunity for teachers in the education scene to directly apply and utilize so that students may acknowledge the importance of the ways of life, culture and sense of art of our ancestors, and come to cherish our traditional culture. 21세기는 디지털 기술의 발전에 따른 정보화로 인하여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비롯한 다양한 매체를 통하여 전 세계인들이 서로의 문화를 쉽고 빠르게 교류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 인하여 미술교육에서는 현대사회의 다양한 시각매체의 홍수 속에서 학생들이 미술 문화 현상을 올바르게 이해하고 판단할 수 있는 비판적 사고력을 가지고 시각문화를 수용하고 활용할 수 있는 능력을 기르는 것이 학교 미술교육의 주된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시각문화교육은 다문화미술교육과 함께 박물관 교육을 통해서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박물관 견학을 통한 미술교육은 미적체험으로서 학생들에게 높은 수준의 문화공간을 제시함으로써 미적 감수성을 기를 수 있고, 실제 작품을 직접 눈으로 보고 느끼는 기회를 가짐으로서 우리 미술문화를 좀 더 깊이 있게 이해할 수 있으므로 교실에서 이루어지는 미술수업의 문제점을 극복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중학교 학교미술교육 측면에서 박물관 견학 학습과 연계한 미술수업을 고안하고 적용함으로서 학교미술교육의 실질적인 내실화를 위한 새로운 교수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 학습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내용은 박물관의 교육적 기능과, 박물관과 학교미술교육의 연계성에 대해 조사하고, 박물관을 활용한 교육 실태를 분석하여 박물관과 학교의 연계를 통한 해결방법을 모색해 본다. 연구의 실행은 크게 3가지 단원으로 ‘선사시대 미술, 백제의 미술, 신라의 미술’로 구분하여 박물관과 연계한 학습지도안을 제시하고 실행한다. 본 연구의 실행을 통해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박물관과 학교미술교육의 연계 수업은 미술품 감상능력을 향상 시킨다. 즉 문화적 유산을 해석하고 이해할 수 있는 감상능력을 신장시켜 미적 체험을 확대시키는 기회를 제공한다. 둘째, 박물관 견학 후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체험학습 활동은 학생들에게 미술이 삶 속으로 확장되어지는 경험을 하게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실시한 선사시대 미술과 연계한 학습에서 빗살무늬 토기에 밥을 지어 먹어보고 선사시대로 돌아가는 프로그램은 체험학습을 통해 조상들의 미의식을 이해할 뿐 만 아니라 친구들과 좋은 유대관계를 형성시키는 협동학습으로도 효과적이다. 셋째, 표현영역의 학습과정에서는 실생활에서 쓸 수 있는 실용성 있는 공예작품을 만드는 활동이 선호도가 높다. 표현영역의 교수-학습을 지도함에 있어 단지 박물관에 있는 유물을 똑같이 재현해보는 학습이 아닌, 만들고 사용하는 즐거움을 향유할 수 있는 활동은 학생들이 작품을 제작함에 있어 흥미도가 높다. 넷째, 조상들이 이룩해 놓은 문화유산을 배우는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우리의 문화에 대한 애착심을 갖고 박물관을 친근하게 접할 수 있게 되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연구를 바탕으로 우리나라의 박물관 교육 프로그램이 좀 더 폭넓고 다양하게 이루어져서 미술수업에서 박물관과 연계된 흥미로운 수업모형이 적극적으로 개발되어지길 바라며, 이 논문이 교육 현장에 있는 교사들이 직접 적용하고 활용하여서 학생들에게 우리 조상들의 삶의 방식과 문화, 미의식의 중요성을 인식하게하고, 우리의 전통문화를 사랑할 수 있는 계기가 되길 기대한다.

      • 경산지역 문화재를 활용한 미술문화 감상지도 방안

        조 정은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Traditional art culture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art culture in the era of diversified culture. To understand traditional art culture, education with the cultural assets scattered on our regions before finding farther. We can understand the art culture through this method and it's essential information. The students can understand various kinds of traditional images easily through local great cultural assets and join it with more interests because the study contents are on their books. Also, it can enhance the efficiency of learning due to a lot of opportunity for a real life. Moreover, the feature, history and soul of local cultural assets enhance the sense of aesthetics, heighten the students' interests and pride with the pride and affection. I selected and studied Kyungsan where various kinds of cultural assets are scattered because of excellent environment surrounded by the famous mountains to suggest certain instruction plan for activating the education of these local cultural assets and I was born and lived. Moreover, to activate the art education of cultural assets in Kyungsan, I complemented the problematic education of the local cultural assets appreciation and suggested a new possibility. First, I selected proper local cultural assets for the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inspecting the background of culture forming in Kyungsan and data for the cultural assets to develop the appreciation data of local cultural assets. Also, I fostered systemic and self-directed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field experience. One more time, I introduced my experienced feeling, feature and history of the appreciation activity of the local cultural assets through making appreciation guide of the local cultural assets that appreciation and expression activity to let them feel the pride and affection for the local cultural assets in Kyungsan. Moreover, to deepen interests for the local cultural assets to let them lead to the pride for the traditional art culture, research for the various instruction guides should be per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