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RISS 인기논문

        테이핑과 물리치료 요법이 요통 환자 허리의 유연성과 근력에 미치는 영향

        이승환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요통환자들을 대상으로 테이핑과 물리치료요법이 요통환자들의 유연성과 배근력, 악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대상은 요통치료를 받는 성인남자 12명을 대상으로 하여 테이핑집단 6명과 물리치료집단 6명으로 나누어 처치 전, 2주후, 4주 처치후에 처치시기별로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물리치료집단과 테이핑집단의 유연성은 처치 전에 비해 2주후와 4주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2. 물리치료집단과 테이핑집단의 배근력은 처치 전에 비해 2주후와 4주후에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3. 물리치료집단과 테이핑집단의 악력은 집단과 처치시기별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상호작용 효과도 나타나지 않았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보면, 테이핑 요법과 물리치료 요법이 요통환자의 유연성과 배근력에 다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요통환자들의 치료 시 사용되는 테이핑과 물리치료요법 간에 뚜렷한 차이를 규명해내지는 못하였다. 따라서, 요통 환자의 치료적용시 유연성과 근력향상 및 재활을 위해서는 테이핑요법과 물리치료요법을 병행하는 치료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aping intervention and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on flexibility, abdominal muscle power and grasping power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 adults with low back pain and divided in two groups ; taping intervention group(6 patients),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group(6 patients). The flexibility, abdominal muscle power and grasping power were measured in pre intervention, after 2 weeks and 4 weeks - intervention each. The result of this study were as following. 1.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re, after 2 wks and after 4 wks of taping invention and physical therapy invention in the flexibility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2.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pre-intervention and 4 wks - intervention in the abdominal muscle power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3.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pre, after 2 wks and after 4 wks of taping invention and physical therapy invention in the grasping power. In conclusion,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and taping intervention had positive effects on flexibility and abdominal muscle power for patients with low back pain. I concluded that to increase flexibility and muscle power of patients with low back pain need to combine taping and physical therapy intervention.

      • 할리윅 수중 물리치료가 발달지연 영아의 대동작 기능 및 수중적응에 미치는 영향

        박민희 대구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할리윅 수중 물리치료가 발달지연 영아의 대동작 기능과 수중 적응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자는 본 연구에 충족한 발달지연 진단을 받은 22명의 영아들(0-36개월)을 대상으로 하였다. 10주간 주 2회(1일 30분)의 할리윅 수중 물리치료를 실시하였으며, 실험 중 일반 지상 물리치료가 함께 시행되었다. 모든 대상자는 사전에 지상 평가로 대동작 기능(GMFM-88)과 수중평가로 수중적응(WOTA1)을 측정하였고, 10주 후에 각각의 평가를 재 측정하여 전후 비교를 하였다. 또한 지상평가와 수중평가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평가도구 사이의 상관관계를 분석하였다. 실험 후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대동작 기능은 총점과 함께 누운 자세, 앉은 자세, 네발기기와 무릎서기, 서기, 걷기, 뛰기, 도약의 모든 항목에서 할리윅 수중 물리치료 전과 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수중적응은 총점과 일반적응, 입수, 퇴수, 거품불기, 옆으로 뜨기, 뒤로 뜨기, 물장구, 수직균형, 서기, 물속에 앉기에서 할리윅 수중 물리치료 전 후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5), 잠수와 다이빙, 벽 타기, 줄에 매달리기 항목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 평가도구 사이의 상관관계는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p<.05). 결론적으로 임상에 적용 할 때, 발달지연 영아에게 일반 지상 물리치료와 함께한 할리윅 수중 물리치료가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고 평가도구 사이에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향후 연구에서 발달지연 영아의 수중 물리치료 효과에 대한 자세하고 다양한 연구와 더불어 획일화된 수중 물리치료프로그램과 영아에 더 알맞은 수중평가도구의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effects of an aquatic physiotherapy method (Halliwick-Therapy) upon gross motor function and aquatic adjustment in development delayed infants. Subjects were infants (N=22,0-36month) who were diagnosed with the development delayed to meet this case of study. Subjects in the control group received the treatment over a period of 10 weeks included 30 minutes of aquatic therapy two times per week and a round conventional physical treatment as well. All subjects were evaluated by the measurements called the Gross Motor Function Measurement-88(GMFM-88), Water Orientation Test of Alyn1(WOTA1). The outcome of the evaluations was measured again compared to the before the therapy after 10 weeks. Also,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measuring tools(GMFM-88 and WOTA1) was analyzed in order to make sure of the correlation of the two evaluations. The result indicates followings after experiments. GMFM-88 had it that subjects in the Halliwick-Therapy attained significantly higher total score in the GMFM-88 with all the items including lying & rolling, sitting, crawling & kneeling, standing, walking, Running & jumping(p<.05). The improvement of total score of WOTA1 with the items(general adjustment, entering the pool, exiting the pool, blowing bubbles, side floating, back floating, splashing, vertical balancing, standing, sitting in water)was significantly higher(p<.05), but the improvement with the items(diving, progressing along the wall using hands and feet, holding rope)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The correlation between the measurement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p<.05). In conclusion, applying into the clinic, it was discovered that Halliwick-Therapy with round conventional therapy would be effective and there would b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measurements. From this moment to the future, the various and further research of the effects of an aquatic therapy method for development delayed infants as well as the development of an aquatic physiotherapy measuring tools and the standardized aquatic physiotherapy programs that are more suitable for the infants should be made up consistently.

      • 물리치료사의 감염관리 교육과 인지도 및 실천도의 상관성 분석

        이홍준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물리치료사의 감염관리 교육과 인지도 및 실천도의 상관성 분석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의 감염관리 행태를 손 씻기, 개인관리, 치료실 환경관리, 감염관리 교육 영역으로 구분하고 각 영역별 인지도 및 실천도를 조사하였으며, 그 중 물리치료사들이 가장 인지하지 못하고 있는 감염관리 교육 영역의 중요성을 파악하기 위해 감염관리 교육 영역과 다른 영역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의 대상자는 220명의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인터넷 기반의 설문지를 제작하여 비대면으로 진행하였고 연구의 목적과 내용을 요약한 요약문과 연구 참여 동의서를 설문과 같이 제작하여 배포하였다. 설문지는 미국, 영국, 대한민국의 감염관리 예방지침 및 감염관리의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수정, 보완하여 제작하였다. 총 220명의 설문자료 중 자료 분석에 부적합한 20명의 설문을 제외한 200명의 설문을 대상으로 자료 분석을 진행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조사 결과 값을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5.0을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본 연구에서 분류한 4가지 영역인 손 씻기, 개인 관리. 치료실 환경관리, 감염관리 교육 영역의 인지도와 실천도에 해당하는 변수들은 기술적 통계를 실시하였고, 감염관리 교육 영역과 다른 영역간의 상관성을 확인하기 위해 Pearson의 상관분석을 진행하였다. 또한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으며 감염관리 교육 영역이 다른 영역들의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기 위해 단순선형회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유의수준 .05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물리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인지도의 차이가 있다. 둘째, 물리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염관리 실천도의 차이가 있다. 셋째, 물리치료사의 감염관리 교육 영역과 손 씻기, 개인 관리, 치료실 환경관리 영역 간에 상관관계가 존재한다. 넷째, 물리치료사의 감염관리 교육 영역은 손 씻기, 개인 관리, 치료실 환경관리 영역의 인지도 및 실천도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감염관리 교육은 물리치료사의 감염관리 인지도와 실천도를 중가 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 지상과 수중 물리치료가 몸 쪽 정강뼈 자름술을 받은 여성 환자의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

        김예찬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상 물리치료 중재군, 수중 물리치료 중재군, 지상과 수중 물리치료 결합 중재에 대하여 중재를 시행 후 균형과 보행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몸 쪽 정강뼈 자름술을 받은 여성 환자 21명을 지상 물리치료 중재군 7명, 수중 물리치료 중재군 7명, 지상과 수중 물리치료 결합 중재군 7명으로 나누어 주 3회 1시간씩 총 6주간 중재를 진행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세 그룹 모두에서 중재 전·후 한 발 서기 균형이 증가되었고(p<.05), 세 그룹 간 비교에서도 단일 중재군보다 결합 중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10m 걷기 검사는 세 그룹 중재 모두에서 중재 전·후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5), 세 그룹 중재 간 비교에서도 단일 중재군보다 결합 중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koos-12 Pain score는 세 그룹 중재 모두에서 중재 전·후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5), 세 그룹 중재 간 비교에서도 단일 중재군보다 결합 중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koos-12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ore는 세 그룹 중재 모두에서 중재 전·후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5), 세 그룹 중재 간 비교에서도 단일 중재군보다 결합 중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koos-12 Quality of life score는 세 그룹 중재 모두에서 중재 전·후 유의하게 증가되었으며(p<.05), 세 그룹 중재 간 비교에서도 단일 중재군보다 결합 중재에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p<.05). 위의 결과로 몸 쪽 정강뼈 자름술을 받은 여성 환자에게 지상과 수중 물리치료 결합한 중재 방법이 단일로 중재하는 방법보다 더 효과적인 중재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n balance and gait after intervention was implemented on the land based physical therapy program intervention group, aquatic physical therapy program intervention group, and land based and aquatic physical therapy program combination intervention. This study divided 21 female patients who have undergone high tibial osteotomy into 7 people interventions on the ground physical therapy program, 7 people interventions on the underwater physical therapy program, and 7 people combined interventions on the ground and underwater physical therapy programs. The one leg standing balance te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all three groups (p<).05), the comparison between the three group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binding intervention than in a single intervention group (p<.05). The 10m walking test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all three groups (p<).05), the comparison between the three group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binding intervention than in a single intervention group (p<.05). The koos-12 Pain sco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all three groups (p<).05), the comparison between the three group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binding intervention than in a single intervention group (p<.05). The koos-12 Activities of Daily Living Sco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all three groups (p<).05), the comparison between the three group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binding intervention than in a single intervention group (p<.05). The koos-12 Quality of Life score was significantly increased before and after intervention in all three groups (p<).05), the comparison between the three groups also significantly increased in binding intervention than in a single intervention group (p<.05). As a result of the above, an intervention method that combines land based physical therapy and aquatic physical therapy programs with female patients who have high tibial osteotmy can be suggested as a more effective intervention method than a single program intervention method.

      • 物理治療士의 職務滿足에 관한 硏究

        최덕호 단국대학교 대학원 1992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는 경제적인 발전에 따라 사회의 전반적인 질이 향상되어 가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고도의 산업화와 도시화의 확대로 산업재해 및 교통사고등이 급증하였다. 이로 인하여 장애인이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장애인을 치료하는 물리 치료사의 중요성이 증대되어 가고 있다. 이에 물리치료사의 직무 만족이 환자 및 장애인에게 제공하는 치료 및 교육적 서비스가 향상된다고 보고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도를 측정하고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요인을 밝히고자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연구자료는 재활원 및 특수시설, 일반 병의원 시설 등 114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법에 의하여 수집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체에 대한 만족도는 재활원 및 특수시설의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도가 일반 병, 의원시설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도 보다 약간 높았다. 툴째, 만족요인은 동료관계의 우호성, 환자의 존경, 책임의 분명성, 직장에 대한 자부심, 직무에 대한 적성, 상사의 인정등의 순이었다. 세째, 주변요인은 신분의 안정, 상위자격, 학위를 얻기위한 노력, 상사의 감독 및 영향력, 승진 등이었다. 네째, 불만족 요인은 보수수준, 기관의 학술 습득 기회 제공, 직장의 관리 운영방침 둥의 순서로 불만족도가 높았다. 이상에서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을 증대시키고 직무의 불만족 요인을 제거시키기 위한 요인별 만족도를 구하였다. 그러나 모든 서비스의 조직이 그러하듯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도를 정확히 측정하기는 곤란하였다. 특히 물리치료사의 개인적 특성과 기관의 특성이 미치는 영향을 면밀히 관련시켜서 고려하여야 하나 이 연구에서는 다만 물리치료사의 표면적인 직무만족만을 고려하였다. 앞으로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과 치료성과에 관련된 연구가 요망 된다. There are many factors to determine effectiveness in Special Education. In these factors, the physical Therapy is one of the key factor. Therefore, the main purpose do this study is to find the basic suggestion which is needed to make a plan in order to optimize the efficiency of Physical Yherapist. We analyzed the components related to Physical Therapist's job satisfaction and discussed the relationship between Special Institution Physical Therapists and General Hospital Physical Therapists. These questionaires were collected 114 persons in Special Institution and Gensral Hospital. The result were as follows: 1.Special Institution Physical Therapist's job satisfaction higher than General Hospital Physical Therapists'. 2.The factors of satisfaction were patient's esteem, the good relationship of peers, the responsibility, the self-esteem on the job works, adaptation on the job and recognition of the superintendent. 3.The factors of circumstance were guarantee of status, employment security an desire for licence and diploma in order, the management of superintendent and climbs. 4.The factors of unsatisfaction were work's management plan, opportunity of accademic and practical experience and fair wages. In the result, I got satisfaction of each factor to increase Physical Therapist job satisfaction and to reject his job an satisfied factor. I found it difficult to measure like this all service organization. In particular, I had to consider that Physical Therapist' individual character and the character of organization influenced upon it, but this report was only considers Physical Therapist's suficial job satisfaction. In future, I wish Physical Therapist job satisfaction and therapeutic outcome are worked.

      • 2035년까지 우리나라 공중보건물리치료사의 인력수급전망에 관한 연구

        이윤실 건양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목적 :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공중보건물리치료사의 인력 수급에 대한 공공데이터를 바탕으로 인력현황에 대해 파악하고, 여러 가지 기준에 따른 적정 비율을 적용하여 2035년까지의 수요추계를 실시해 공중보건물리치료사 인력의 적정수준을 제시하고자 한다. 방법 : 본 연구에서는 건강보험심사평가원, 보건복지부, 한국보건사회연구원, 통계청, 한국보건산업진흥원의 공공데이터 및 연구정책보고서에 보고된 2006년부터 2016년까지 지역보건의료기관의 운영현황과 인력현황, 방문보건사업실태와 관련된 자료를 선정하였다. 결과 : 전국의 모든 행정구역에 지역보건의료기관을 설치하여 기관 당1명의 물리치료사가 배치될 경우, 공중보건물리치료사 1인당 담당인구비율을 고정하여 추계한 결과, 3,844명의 공중보건물리치료사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지역별 보건소 내 공중보건물리치료사의 비율이 1: 1을 충족한다고 가정할 경우, 이때 공중보건물리치료사 1인당 담당인구 비율을 고정하여 추계한 결과, 1,284명의 공중보건물리치료사가 필요할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0년간 공중보건물리치료사의 평균 증감률이 2035년까지 같은 증감률로 인력공급을 증가시킨다고 가정했을 때, 1,696명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보건소 방문보건사업에 필요한 인력 종별 구성비에 따른 추가인력 추계 시, 전문가 의견조사에 따른 10.3%의 경우 2,288명, 미국의 기준 6.6%의 경우 1,466명, 일본의 기준 4.5%의 경우 1,000명의 물리치료사가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결론 : 공중보건물리치료사의 수요가 계속해서 증가하게 됨에 따른 현재 공중보건물리치료사 인력인 671명보다 훨씬 많은 수의 인력이 공급될 수 있도록 최소인력배치기준을 확대하여 추가인력을 배치해야 할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current status of human resources based on public data regarding the supply and demand of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in Korea, and to estimate the demand of these professionals by the year 2035, by applying appropriate ratios according to various criteria. Methods: In this study, we selected data on the current status of the operation, manpower and Visiting Health Care Services in the Public Data, as well as reviewing Research Policy Reports by the Health Insurance Review and Assessment Servic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Korea Institute for Health and Social Affairs, Statistics Korea, and the Korea Health Industry Development Institute resource data from the years 2006 to 2016. Results: If a physical therapist is deployed per the institution by installing a public health center in all dministrative areas nationwide, the ratio of the number of persons in charge of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 is fixed and estimated at 3,844. Assuming that the ratio of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in public health centers is 1: 1, it is estimated that 1,284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will be needed by fixing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per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 as required by the population. It has been shown that a number corresponding to 1,696 people are estimated to be needed, assuming that the average rate of increase in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over the last decade will increase their workforce supply at the same rate of change by the year 2035. When estimating the additional manpower for each type of workforce required for health center visit health projects, a survey of 10.3 % found 2,288 persons, which calculates to a total of 1,466 persons of 6.6 % in the United States and a total of 1,000 persons of 4.5 % in Japan. Conclusion: As demand for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continues to increase, the minimum manpower criteria should be expanded and deployed for the necessary additional manpower, in order that more human resources can be supplied to meet the anticipated demands, than relying on the current 671 public health physical therapists that are available in professional practice today.

      • 물리치료사의 노인에 대한 인식, 의사소통 장애요인, 의사소통 행위와의 관계

        양인숙 원광대학교 보건·보완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시행한 설문조사를 통해 노인에 대한 인식, 노인과의 의사소통 장애요인, 노인과의 의사소통 행위를 파악하여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연구도구는 선행연구자들의 각 분야의 검사 문항을 기초로 하여 137명의 물리치료사를 대상으로 원광대학교 건강정보소통연구소에서 수정·보완한 문항들을 사용하여 설문조사 하였다. 본 연구 결과 물리치료사는 노인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물리치료사와 노인과의 의사소통 시 의사소통 장애요인으로 노인의 청각능력을 첫 번째로 꼽았으며, 물리치료사는 노인과 바람직한 의사소통 행위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살펴보면, 물리치료사의 일반적 특성인 연령, 임상경력, 근무환경, 노인대면비율이 노인에 대한 인식을 결정하는 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며, 의사소통 장애요인과 의사소통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나타난 물리치료사의 노인에 대한 부정적 인식을 변화시키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물리치료사는 노인을 보다 이해하고 공감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또한 노인의 특성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정보를 바탕으로 한 적절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도록 맞춤형 의사소통 매뉴얼 개발과 검증이 이루어져야 하며, 물리치료사의 의사소통역량 강화를 위한 체계적 교육과 제도 마련이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perception of the elderly, the communication barriers with the elderly, and communication behaviors with the elderly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conducted on physical therapists, and to deter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The research tool was based on the test items of each field of the preceding researchers, and a questionnaire survey of 137 physical therapists was conducted using the corrected and supplemented by Wonkwang University Cure-Care-Edu Platform(CCEP). As a result of research, physical therapists were found to perceive the elderly negatively. When communicating between physical therapists and the elderly, the elderly's hearing ability was the first factor of communication barriers, and physical therapists were found to have desirable communication behaviors with the elderly.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bove stud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physical therapists such as age, clinical experience, working environment, and the elderly-facing rate have an important influence in determining perception of the elderly, and the communication barriers and communication behaviors. Therefore, in order to change the negative perception of the elderly that the physical therapists have through this study and enable effective communication, they should try to understand and empathize with the elderly. In addition, customized communication manuals should be developed and verified to ensure proper communication based on accurate knowledge and information about the elderly, and systematic education and systems should be prepared to strengthen communication ability.

      • 물리치료사의 임파워먼트, 직업전문성, 직무스트레스,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김성환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물리치료사의 임파워먼트, 직업전문성, 직무스트레스, 소진이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은 의료기관에서 1년 이상 근무한 물리치료사 240명이며, 자료 수집은 남부대학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 후 2022년 4월 1일부터 30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온라인 설문조사(Google survey)로 변형하여 진행하였다. 조사 연구 도구로 임파워먼트는 Spreitzer(1995)가 개발한 도구를 심재훈(2009)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직업전문성은 Lindsay & Lindsay(1987)가 개발한 직업전문성 도구를 박인환(2020)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직무스트레스는 장세진 등(2005)이 개발한 도구를 윤치호(2017)가 수정·보완한 도구를, 소진은 Maslach & Jackson(1981)이 개발한 도구를 정혜연(2008)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직무만족도는 Weiss et al.(1967)이 개발한 도구를 박아이린(2005)이 번안한 도구로 측정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IBM SPSS version 25.0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t-test, one-way ANOVA, 사후분석은 Scheffe’s test로,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Hierarchial 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도은 5점 만점에서 3.43±0.52점, 임파워먼트는 5점 만점에서 3.60±0.60점, 직업전문성은 5점 만점에서 3.74±0.40점, 직무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서 2.64±0.45점, 소진은 5점 만점에서 2.50±0.55점 이었다. 2.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도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은 연평균소득(F=5.63, p<.01), 근무부서(F=3.49, p<.01), 치료대상자(t=2.32, p<.05), 직업만족도(F=30.59, p<.01)인 것으로 나타났다. 3.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도는 임파워먼트(r=.59, p<.001), 직업전문성(r=.68,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r=-.80, p<.001), 소진(r=-.59, p<.001)과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4.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확인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만족도에 가장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무스트레스(β=-.58, p<.001)이며, 다음으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직업전문성(β=.24, p<.001), 직업만족도(β=.11, p<.01) 순으로 나타났다. 설명력은 72%(F=123.73, p<.001)였다. 본 연구결과를 통하여 직무스트레스가 낮고, 직업전문성이 높을수록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물리치료사의 직무만족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직무스트레스 수준을 감소하고, 직업전문성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이 필요하며,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향후 물리치료사의 직무환경과 정책 개선을 위한 기초자료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근 활성과 몸통조절 및 균형에 미치는 효과

        박영훈 용인대학교 재활복지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근 활성과 몸통조절 및 균형에 미치는 효과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뇌졸중 환자 30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블록 무작위 배정으로 연구군 15명, 대조군 15명으로 분류하여 8주간 주 3회, 회당 30분 동안 치료를 실시하였고, 측정도구로는 표면 근전도, 몸통손상척도, 버그균형척도, 기능적 팔 뻗기를 사용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과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치료 전·후 몸통근 활성도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척추세움근의 등뼈부분 근활성도는 마비쪽에서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에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p<.01) 보존적 물리치료군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p>.05). 비마비쪽에서는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훈련군과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p>.05). 2) 척추세움근의 허리뼈부분 근활성도는 마비쪽에서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에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p<.01) 보존적 물리치료군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p>.05). 비마비쪽에서는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훈련군과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p>.05). 3) 배속빗근의 근활성도는 마비쪽에서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과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p>.05). 비마비쪽에서는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에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p<.05)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p>.05). 4) 배바깥빗근의 근활성도는 마비쪽에서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과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p>.05). 비마비쪽에서는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에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p<.05)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p>.05). 집단 간 차이에서 통계적으로 비마비쪽 배바깥빗근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과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치료 전·후 몸통근 활성을 활용한 대칭성 점수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척추세움근의 등뼈부분 근활성도의 대칭성 검사에서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p<.01)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p>.05). 집단 간 차이에서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과 보존적 물리치료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척추세움근의 허리뼈부분 근활성도의 대칭성 검사에서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p<.05)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p>.05). 3) 배속빗근의 근활성도의 대칭성 검사에서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과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5). 4) 배바깥빗근의 근활성도의 대칭성 검사에서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훈련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으며(p<.05)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는 없었다(p>.05). 3.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과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치료 전·후 몸통조절능력 점수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몸통손상척도의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과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1). 집단 간 차이에서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과 보존적 물리치료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4.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과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치료 전·후 균형능력 점수 변화는 다음과 같다. 1) 버그균형척도의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과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1). 집단 간 차이에서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과 보존적 물리치료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2) 기능적 팔 뻗기 검사의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과 보존적 물리치료군의 변화량에서 유의한 변화를 보였다(p<.001). 집단 간 차이에서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군과 보존적 물리치료군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5). 위의 결과로 보아, 8주간의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몸통근 활성도의 대칭성과 몸통조절 및 균형 향상을 위한 훈련법으로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어깨뼈 근육의 등척성 훈련이 보존적 물리치료에 비해 배바깥빗근의 근활성도, 몸통근 활성도로 분석한 척추세움근의 등뼈부분의 대칭성, 몸통조절, 균형에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effects of isometric training of the scapular muscles on trunk muscle activity, control, and balance in patients with stroke. A total of 30 patients with histories of stroke were included in the study. Subjects were assigned as block randomization to either the experimental group, which carried out isometric training of the scapular muscles (15 patients), or the control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15 patients). Each treatment session, in both groups, lasted for 30 minutes, with three sessions per week for eight weeks. Surface Electromyography, the Trunk Impairment Scale, the Berg Balance Scale, and the Functional Reach Test were utilized. The results of the study showed the following: 1. There were changes in trunk muscle activity scores before and after isometric training and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These changes included: 1) Erector spinae muscle activity on the paretic side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patients who underwent isometric training of the scapular muscle (p<0.01), whil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observed in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p>0.05). Neither the isometric training nor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s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in activity scores on the nonparetic side (p>0.05). 2) On the paretic side, erector spinae muscle activity was significantly changed in the isometric training group (p<0.01).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p>0.05). On the nonparetic side,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lumbar muscle activity scores for either the isometric training or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s(p>0.05). 3) On the paretic side, in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was not significantly changed either the isometric training or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s (p>0.05). On the nonparetic side, in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scores were significantly altered for the isometric training group (p<0.05), while no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p>0.05). 4)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ex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for either the isometric training or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s (p>0.05). However, the isometric training group exhibited significant changes in the muscle activity on the non-paretic side (p<0.05).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the ex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scores on the nonparetic side in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p>0.05). For the external oblique, we only observed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muscle activity between the two treatment groups on the nonparetic side(p<0.05). 2. These are the changes we observed in trunk muscle symmetry scores before and after isometric training of the scapular muscle and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1) Patients who received isometric training of the scapular muscle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spinal muscle activity symmetry scores for the erector spinae (p<0.01). In contrast, no significant changes we observed for symmetry scores in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p>0.05). There were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in the symmetry scores for the two treatment groups. 2) There were significant changes in erector spinae symmetry test scores for the isometric training group (p<0.05), and no significant changes were observed in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p>0.05). 3) Both the isometric training and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in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symmetry scores (p<0.05) 4) For the isometric training group, external oblique muscle activity symmetry scores showed significant changes pre- to post-training (p<0.05); however, such changes were not observed for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 (p>0.05). 3. Pre- to post-training changes in trunk muscle control before for the isometric training and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s were as follows: 1) Both the isometric training and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Torso Injury Scale scores pre- to post-training (p<0.001). There were also statistically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p<0.05). 4. Changes in balance ability pre- to post-treatment for the isometric training and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s were as follows: 1) Both groups demonstrat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Berg Balance Scale scores (p<0.001).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between-group differences (p<0.05). 2) Both the isometric training and the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groups showed significant changes in their Functional Reach Test scores pre- to post-treatment (p<0.001).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inter-group differences in the scores of the functional reach test (p<0.05). The above findings demonstrate that eight weeks of isometric training of the scapular muscle can improve trunk muscle activity symmetry, trunk muscle control, and balance in patients who with histories of stroke. Furthermore, isometric training of the scapular muscle was a more efficient means of improving the erector spinae symmetry, trunk control, and balance than conservative physical therapy, as determined by analysis of external oblique and torso muscle activi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