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모래쥐 Peyer板의 Follicle-associated epithelium(FAE)內 M(microfold) 細胞에 關한 광학 및 電子顯微鏡的 硏究

        김석채 全南大學校 1991 국내석사

        RANK : 248639

        모래쥐 회장 Peyer판을 덮는 FAE(follicle-associated epithelium)내 M 세포를 광학 및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광학현미경 관찰에서 Peyer판은 주로 장간막이 부착하는 반대편에 있었고, 이를 덮고 있는 FAE가 상피층을 형성하였다. FAE의 상피세포는 원주형의 융모부 상피에 비해 입방형을 하고 있었고, FAE 세포사이에는 임파구가 단독 또는 집단으로 존재하였다. Alkaline phosphatase 반응에서 융모부상피는 강한 양성 반응을 보였으나, FAE에서는 강한 양성반응을 보이는 부위와 음성반응을 보이는 부위로 구별되었는데, 음성반응을 보이는 부위는 쇄자연이 엷은 상피세포였다. 전자현미경관찰에서 FAE는 주로 흡수세포와 M 세포로 구성되어 있고, 많은 임파구가 단독 또는 집단으로 출현하였다. 흡수세포는 입방형에 가까운 형태를 하고 있는 것외에는 전형적인 흡수상피였다. M 세포는 흡수세포 사이에 단독으로 출현하거나 M 세포로만 임파절을 덮고 있는 부위도 있었다. 특히 전자는 M 세포의 강측표면이 오목한 형태를, 후자는 볼록 또는 편평한 형태를 하고 있는 경우가 많았다. 전자의 경우는 강측세포질내 소포의 양이 후자에 비해 적었고. 임파구와의 관련도 적었다. M 세포는 대부분 흡수세포에 비해 더 작고 굵은 미세융모를 갖고 있었다. 임파구를 둘러싸고 있는 M 세포는 강측 세포질에 많은 소포를 함유하였고, 세포질에는 많은 Golgi장치, 조면내형질망, 사립체, 유리리보솜, 용해소체 등을 함유하고 있었다. 대개 집단으로 출현하는 임파구는 세포질내 소기관이 거의 발달되어 있지 않았으나 간혹 사립체와 소포를 함유하기도 하였고. 임파구들끼리는 위족을 내는 경우가 많았다. 임파구가 단절된 기저막사이에 위치하기도 하였다. 이상의 결과로 미루어 모래쥐 Peyer판 FAE는 사람, 토끼, 흰쥐 및 돼지 등의 것과 형태학적으로 유사하였고 특히 M 세포는 상피내 임파구 및 상피하 임파절내 세포와 더불어 소화관내 면역기능을 수행하리라 추측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ultrastructure and enzymatic characteristics of M cells in the follicle-associated epithelium(FAE) covering Peyer's patches. In the light microscpy. FAE represent typical dome structue covering the Peyer's patch. The brush border of the villous epithelium was continuous and regular in height, but the brush border of FAE was not continuous and don't appeared intermittently. In the study using alkaline phosphatase, FAE represented the sites with the negative or positive reactions, in contrast with the epthelium of villous portion that represented the strongly positive reaction. In the electron microscopic findings, FAE was composed of the absorptive cells, many M cells and a few goblet cells. M cells were distributed both in the upper and lower portions of the dome, FAE. A number of M cells enclosed the individual and grouped lympohocytes which are located in FAE, Some lymphocytes located between in the epithelal laayer and in the subepithelial layer through the interrupted basal lamina. These findings indicate that FAE in Mongolian gerbil are similar to ones in the other animals.

      • 모래쥐 松果體의 微細構造

        오창석 全南大學校 1989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연구는 미성숙과 성숙 모래쥐 송과체에서 연령이 증가함에 따른 미세구조의 변화와 석회침착물의 출현부위에 다른 형태적 차이를 구명하기 위해서 광학 및 전자현미경적 관찰을 행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광학현미경적 소견: 미성숙 모래쥐 송과체실질을 구성하는 세포는 송과세포와 신경교세포 두 종류였는데 이중 신경교세포는 toluidine blue에 가장 진하게 염색됐고 송과세포는 중등도로 염색된 경우와 가장 엷게 염색된 경우로 다시 구분할 수 있었다. 한편 미성숙일때에 비해 공포의 수와 크기가 훨씬 증가된 성숙 송과체에서는 공포내부에 내용물을 함유하고 있지 않거나 망상 혹은 진하게 염색된 소체를 내포하고 있었다. 전자현미경적 소견 1. 미성숙 모래쥐 송과세포의 세포내 소기관은 전반적으로 발달이 안된 상태였으나 사립체는 비교적 풍부했고 다양한 크기의 공포를 내포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석회침착물은 전혀 볼 수 없었다. 신경교세포는 송과세포에 비해 작고 세포질 농도 또한 진했으며 세포체로 부터 수개의 가느다란 돌기가 나와 주위의 송과세포 사이를 지나가고 있다. 혈관주위 간극에선 다수의 신경종말, 교원섬유, 섬유모세포 및 혈판주위세포를 관찰 할 수 있었다. 2. 성숙 모래쥐 송과세포의 세포질은 거의 균등한 농도를 갖고 있었으나 석회침착물을 내포하는 경우 인접하는 다른 송과세포에 비해 훨씬 밝은 경우도 드물게 관찰되었다. Golgi장치 및 중심체에 인접한 부위에서는 섬유세근(rootlet)과 유사한 구조물의 기저부에서 미세관속이 나타났고 세포막에 인접한 부위에서 synaptic ribbon을 볼 수 있었다. 공포는 세포전역에 걸쳐 다양한 크기로 나타났는데, 내부에 막성분의 작은 구조물을 갖는 것도 간혹 관찰할 수 있었다. 석회침착물은 그 출현부위에 따라 형태적 차이를 보였는데, 세포내에 출현한 경우는 다시 두종류로 나눌 수 있었다. 즉 명암이 반복되는 층을 가지며 햇살모양을 보인 때와, 내부는 어둡고 주변부는 밝은 층으로 구성된 경우였다. 세포외부에 출현한 경우도 실질과 정하는 바깥층이 층판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과 그렇지 않은 것으로 구분되었다. 세포체에서 유래한 세포돌기는 그 내부에 장축방향으로 배열된 미세관, 세섬유를 함유하연서 그 종말부는 많은 소포를 내포하는 경우도 관찰되었다. 신경교세포는 세포자체와 핵의 크기 및 천자밀도가 송과세포에 비해 작고 진했으며, 사립체 또한 더 작고 잘 보존되어 있었다. 수개의 돌기가 세포체로 부터 나와 주위의 송과세포 사이를 지나면서 마치 송과세포 전체를 싸고 있는 듯한 양상을 보인 경우도 있었다. 혈관주위간극에 인접한 신경교돌기들은 교장벽(glial barrier)을 형성하면서 종지하고 있었다. 혈관주위간극에서는 균등농도의 미세과립성 농물질을 자주 볼 수 있었단 점이 미성숙의 경우와 비교할때 큰 특징이었다. The pineal body in some animal species including human is known to form the calcareous deposit with the advancement of age. To understand the pineal concretion process, light and electron microscopic study were done on the pineal body of Mongolian Gerbil in the different stages of maturity. Light microscopy The pineal parenchyme of the immature gerbil was consisted of pinealocytes and glial cells. The pinealocytes, predominent and larger cell type, were stained lightly by toluidine blue, whereas the glial cells, fewer and smaller cell type, were stained intensely. The pineal parenchyme of mature gerbil had vacuoles that were more abundant and larger than those of immature gerbil. Some vacuoles were empty, and others had irregular calcareous deposit. Electron microscopy 1. Immature gerbil The pinealocytes had many mitochondria, abundant polyribosomes, moderately developed Golgi apparatus, endoplasmic reticulum with collapsed narrow cisternae, round or angular vaculoes, and synaptic ribbons, but did not show any evidences of calcareous deposit. The glial cells were denser and smaller than the pinealocyte, and had slender and long processes which interposed between the pinealocytes. The perivascular space bordered by glial cell processes contained nerve endings, collagen fibers, fibroblasts and pericytes. 2. Mature gerbil The pinealocytes of mature gerbil contained cell organelles mostly similar to those of immature gerbil, and often had centrioles and microtubular sheaves associated with ciliary rootlet-like structures. No appreciable differences in fine structure of glial cells between mature and immature gerbil were observed. However, the pineal body of mature gerbils showed the significant differences from that of the immature animals in that it had intra-and extra-cellular calcareous deposit, and extracellular homogenous aggregations of amorphous materials. Intracellular calcareous deposits (5-6㎛ in diameter) noted were mainly two forms; the one was composed of alternating concentric layers of dense and light, giving appearence of sun-burst. The other was composed of aggregated mass of needle-shaped calcareous crystals surrounded by cytoplasmic zone that was lighter than ordinary cytoplasm. Extracellular calcareous deposits showed to be composed of concentric laminae or aggregates of dense granular materials without showing the laminae. Dense amorphous aggragates were seen close to the calcareous deposit and often were associated closely with 10nm-filaments. These results suggest that large vacuoles and amorphous dense materials with its closely associated microfibrils contribute to the formation of pineal concretion in the gerbil.

      • 모래쥐(Mongolian gerbil)副腎髓質의 微細構造와 神經支配

        박현준 전남대학교 대학원 1983 국내박사

        RANK : 248623

        모래쥐(Mongolian gerbil)에서 副腎髓質의 크롬 親和性 細胞에 대한 微細構造와 副腎髓質의 神經終末의 形態學的 特性을 電子顯微鏡으로 檢鏡하였다. 電子顯微鏡的 所見上에서 glutaraldehyde와 osmium酸으로 先·後固定한 標本에서 epinephrine 細胞와 norepinephrine 細胞內에 含有되어 있는 顆粒의 電子密度가 다르게 나타났다. 크롬親和性顆粒의 電子密度는 epinephrine細胞보다 norepinephrine細胞가 높게 보였다. 크롬親和性細胞의 顆粒性物質이 最初에 Goigi複合體內에 凝集되고 終局에는 細胞表面으로 排出됨을 觀察하였다. 髓質을 支配하는 神經은 無髓神經纖維로 크롬親和性細胞와 血管 사이로 侵入한 神經束이 점차 가늘어져 크롬 親和性 細胞 사이에서 神經終末로 그치고 있었다. 髓質의 크롬親和性細胞와 連接하는 콜린性 神經終末은 絲粒體와 작은 無顆粒性 小胞를 含有하고 있었는데 5-hydroxydopamine 投與 後에도 無顆粒性 小胞로 나타났었다. 크롬親和性細胞와 連接을 이루는 神經終末은 콜린性 神經終末이었고 이들은 크롬親和性細胞의 表面에 平行하게 또는 細胞內로 埋沒된 狀態에서나 細胞의 棘狀突起部에서 各各 連接을 하고 있었다. 本 實驗을 바탕으로 副腎髓質의 크롬親和性細胞를 支配하는 神經纖維는 콜린性 神經終末임을 알 수가 있었다. The fine structure and innervation of the chromaffin cells in the adrenal meddulla of control and 5-hydroxydopamine-administrated Mongolion gerbil were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Using the glutaraldehyde-osmium tetroxide technique, noradrenaline-and adrenaline-storing cells could be distinguished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ir granules. Norepinephrine-storing granules were intensely osmiophilic and electron-dense, while epinephrine-storing granules were only moderately electrone-dense. The granular substance of chromaffin cells appeared to accumulate intially in the Golgi apparatus and extrude finally from the cell surface. Only non-myelinated nerve fibers were observed innervating chromaffin cells. The intramedullary nerve bundles were found to pass among chromaffin cells and vessels. Finally small groups of axon terminals entered into a group of chromaffin cells. The cholinergic axon terminals contained mitochondria and small agranular vesicles which remained unchanged after the administration of 5-hydroxydopamine. A great number of synaptic contacts between the cholinergic axon terminals and chromaffin cells were observed. They were either attached to the innervated cells or embedded into the cells, or connected to short spines of the cells. One axon terminal was observed to innervate two or three epinephrine-and norepinephrine-storing cells. The blood vessels of adrenal medulla were innervated by both cholinergic and adrenergic fibers.

      • 모래쥐 神經下垂體의 電子顯微鏡的 硏究

        이은주 全南大學校 1988 국내박사

        RANK : 248623

        모래쥐 신경하수체의 미세구조를 전자현미경으로 관찰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모래쥐 신경하수체는 신경분비축삭섬유 및 팽대부, 하수체세포, 모세혈관 및 혈판주위간극으로 구성되어 있고 신경분비축삭 섬유 및 팽대부는 그 내부구조에 따라 네가지 종류가 있었다. 즉 크기와 내용물에 있어서 광범위하게 다양한 신경분비과립으로 내부가 거의 채워져 있는 경우, 용해소체가 많은 경우, 세포내소기관이 거의 없고 축삭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매우 낮은 경우, 다른 팽대부보다 크기가 작고, 미세소포가 세포막 가까이에 밀집하여 있는 경우 등이었다. 대다수의 하수체세포는 길고 불규칙한 세포질돌기를 세포의 한쪽방향으로 내고 있으며, 주위에 많은 신경분비축삭섬유 및 팽대부를 둘러싸고 있었다. 세포질돌기부에 많은 미세사와 미세관이 있으며 골지부가 발달되어 있고, 미세사와 미세관이 조면내형질망 주위에 밀집하는 구조가 특이하였다. 세포내소기관의 양상이 대다수의 하수체세포와 유사하나 세포질의 전자밀도가 더 높은 다수 하수체세포들이 있었다. 모세혈관은 유창성모세혈관이며, 혈관주위간극은 두께의 변동이 매우 심하고, 주위 하수체세포, 신경분비축삭섬유 및 팽대부 사이로 분포하고 있었다. 혈관주위 간극과 신경분비축삭팽대부 또는 하수체 세포가 접촉하는 부분은 산발적으로 전자밀도가 증가되어 있었다. The fine structure of the neurohypophysis of the Mongolian gerbil was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e. The neurohypophysis of the Mongolian gerbil was consisted of the neurosecretory axons and their dilatations, pituicytes, capillary and perivascular spaces. Based on the predominant figures of the intracellular structures, the neurosecretory axons and their dilatations wer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types: Type I is characterized by abundant neurosecretory granules of various size and density; type II by abundant lysosomal bodies; type III by an electron-lucent matrix with few organelles; type IV by numerous microvesicles. Pituicytes were generally elongated and irregular in shape, giving rise to slender, long cytoplasmic processes. The axons and their dilations are frequently indented within pituicyte cytoplasm. The cytoplasmic processes of pituicytes contain numerous fine filaments and specific structures formed by rEr and fine filaments. Pituicytes with a dark cytoplasm relative to the electron-lucent cytoplasm of the major pituicytes were observed. No ultrastructural difference in their cytoplasmic organelles between the dark and major pituicytes was noted. The neurohypophysis was vascularized by a dense network of fenestrated capillaries. The perivascular space consisted of two basement membrane and intervening layer was very variable in width and the extensions originating from this space penetrated the surrounding neural parenchyma. The electron density increased sporadically in the contact site of the perivascular space with the neurosecretary axon dilatations or pituicytes.

      • 모래쥐(Mongolian gerbil) 膵島의 微細構造

        이은주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4 국내석사

        RANK : 248623

        모래쥐(Mongolian gerbil) 膵島의 微細構造와 神經支配를 硏究하기 爲하여 電子 顯微鏡으로 檢鏡하였다. 膵島細胞는 그 分泌顆粒의 特性에 따라 A細胞,B細胞, D細胞로 區分되었다. A 細粒顆粒의 直徑은 約 190nm 이며 暈輪은 電子密度가 높고 限界膜과는 좁고 一定한 間隙을 두고 中心에 位置하였다. B細胞顆粒의 直徑은 約 240nm 이며 그 電子 密度는 多樣하였다. D細胞에는 直徑이 約 120nm 이며 電子密度는 中等度인 分泌 顆粒이 分泌物質에 依해 거의 채워져 있었다. 膵島細胞를 支配하는 神經은 無髓神經이며 A,B,D 細胞型과 相關없이 콜린性 또는 dopamine性 神經終未이 直接 또는 Schwann 細胞質이 介在된 狀態에서 特別한 構造없이 相接하고 있었다. 하나의 神經終末이 2∼3個의 膵島細胞를 神經支配함을 볼 수 있었다. 5-HODA 投與群에서 血管周圍部에는 osmiophilic substance가 小胞內에 含有된 아드레날린性 神經終末이 存在하였다. 血管周圍部나 膵島周邊部에서 Schwann 細胞는 軸索, 神經終末을 둘러쌈으로써 Schwann 細胞-軸索 複合體를 形成하고 가늘고 긴 細胞突起를 내어 膵島細胞와 接觸하고 있었다. The fine structure and innervation of the pancreatic islets of the Mongolian gerbil were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The pancreatic islet cells could be distinguished as A, B, and D cells according to the character of their granules. The diameter of A cell granules was 190nm and the core of them was electron-dense and centrally located. The B cell granules were 240 nm in diameter and the density was variable. The diameter of D cell granules was 120nm and the granules were filled with secretory substances. Only nonmyelinated nerve fibers were observed to innervate islet cells. Cholinergic and dopaminergic nerve endings were either attached to the innervated cells, or intercalated by thin Schwann cell cytoplasm or embedded into the islet cell. One axon terminal was observed to innervate two or three islet cells, regardless of the cell type. After administration of 5-hydroxydopamine, the core materials within the vesicles of the adrenergic nerve endings accumulated the osmiophilic substances, while the vesicles of the cholinergic nerve endings remained unchanged. In the pericapillary space or in the peryphery of islets, Schwann cell-axon complex consisted of axons, nerve endings and Schwann cell investing them and processes of Schwann cell contacted with islet cells.

      • 모래쥐의 일과성 전뇌 허혈 후 해마의 c-fos, p53,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및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의 발현

        이재화 고신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박사

        RANK : 248623

        Especially in hippocampus, selective and delayed neuronal death is a well known sequelae of transient cerebral ischemia. Recent studies have shown that delayed neuronal death is closely associated with early gene (c-fos or c-jun)-related apoptosis in addition to hypoxiainduced energy deficiency. Tumor suppressor gene p53, neurotrophic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1 (TGF-β 1) and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 are sporadically investigated concerning in hypoxia-induced delayed neuronal death. To elucidate the role of c-fos, p53, TGF-β 1 and GFAP and their interaction, cellular expression with immunohistochemistry was examined in the time course of 10-minute hypoxia with variable reperfusion intervals (30mn, 2hr, 4hr, 6hr, 24hr, 3d, 5d and 7d) in mongolian gerbil hippocampus. The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1) Hippocampal CA1 shows progressive and delayed neuronal damage beginning from 24-hour reperfusion, while CA2-3 reveals non-progressive, eosinophilic inclusion body within neuron throughout the time course. 2) CA1 neruons show short-term expression of c-fos prior to significant cellular damage, however, CA2-3 neurons show persistent expression by 3-day reperfusion. 3) In both CA1 and CA2-3, p53 is expressed for short-term period of early timepoints. However, its intensity and duration are much less in CA2-3 than CA1 4) While TGF-β 1 is transiently expressed at 24-hour reperfusion in CA1, its expression in CA2-3 is persistent in late timepoints. 5) GFAP is more intensely reactive in CA1, which is positively related with time course of hypoxia-reperfusion. Moreover, GFAP-positive cells with hypertrophic patttern are exceptionally observed in pyramidal layer of CA1. In conclusion, the author confirmed that transient forebrain ischemia leads to selective and delayed neuronal death in hippocampus of mongolian gerbil. c-fos and p53 are expressed in neurons prior to morphologic changes of neuronal cell death, especially in CA1. TGF-β 1 and GFAP, however, are expressed in late timepoints of hypoxia-reperfusion. Due to appearance of GFAP-positive cells in CA1 pyramidal layer prior to morphologic changes of neurons, astrocytes might play a role for active protective mechanism to neuronal death. However, significance of expression and interaction of these proteins remain to be clarified. 배경: 뇌 혈류가 일시적으로 차단되면 해마와 같은 특정 부위에서 신경세포의 선택적인 지연성 세포 손상(delayed neuronal injury)이 관찰된다. 뇌 허혈후 발생하는 뇌 신경세포 손상에 대한 기전은 단순히 에너지 고갈만으로만 설명할 수 없으며, 최근 c-fos 또는 c-jun과 같은 조기 유전자와 관련한 신경세포의 apoptosis로 설명되고 있다. 그러나 신경세포의 지연성 손상에서 조기 유전자의 발현 뿐만 아니라 종양억제 유전자 p53, 신경영양성 인자 transforming growth factor-β 1 (TGF-β 1) 및 별아교세포 표식자 glial fibrillary acidic protein (GFAP)의 발현에 관한 산발적인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만족할만한 연구 결과가 없으며, 특히 신경세포의 형태학적 변화와 관련한 연구에서조차 상이한 결과를 보고하고 있다. 대상 및 방법 : 척추동맥과 속목동맥간의 문합이 없어 온목동맥 결찰만으로 일과성 허혈을 유도할 수 있는 모래쥐 32 마리를 대상으로 10분간의 온목동맥 결찰후 30분, 2시간, 4시간, 6시간, 1일, 3일, 5일 및 7일간 재관류시킨 실험군에서 시간적 경과에 따른 해마의 영역별 신경세포의 손상 유형과 정도를 관찰하고 c-fos, p53, TGF-β 1 및 GFAP의 발현을 avidin-biotin complex 법을 이용하여 면역조직화학적 염색으로 검색 하였다. 결과: 1) 해마의 CA1 영역은 재관류 24시간부터 호산성 세포로 시작되어 7일째까지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지연성 신경세포 사망을 보인 반면, CA2-3 영역에서는 손상의 점진적 경과가 없는 호산성 봉입체로 표현되었다. 2) 대조군에서 c-fos의 발현은 없었고, CA1 영역에서는 재관류 2시간대에 시작하여 6시간대까지 발현되었으나, CA2-3 영역에서는 재관류 3일째까지 지속적인 발현을 보였다. 3) p53은 CA1 영역에서 재관류 2시간대부터 발현하기 시작하여 24시간대까지 지속적으로 발현을 보인 반면, CA2-3 영역에서는 그 지속 시간도 짧고 강도도 미약하였다. 대조군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4) TGF-β 1은 CA1 영역에서 재관류 24시간대에 미약한 발현을 보이다가 곧 소실되고, 5일째 신경아교세포에서 발현을 보였으나, CA2-3 영역에서는 재관류 후기에서 지속적인 발현을 보였다. 대조군에서는 발현되지 않았다. 5) GFAP는 CA2-3 영역에 비해 CA1 영역에서 재관류의 시간적 경과에 따라 현저히 증가된 발현을 보였으며, 특히 신경아교세포가 존재하지 않는 CA1의 피라미드 세포층에서 두꺼워진 세포돌기를 갖는 별아교세포의 증식이 관찰되었다. 결론: 일시적 전뇌 허혈로서 해마의 선택적인 신경세포의 지연성 손상이 초래됨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c-fos 및 p53은 신경세포의 지연성 손상의 형태학적 변화 전부터 발현되는 반면, TGF-β 1과 GFAP는 세포손상이 있는 시기에 현저하게 발현되었다. 형태학적 변화 이전에 CA1 피라미드 세포층에서 신경아교세포의 출현은 허혈성 손상에 대한 이 세포의 적극적인 방어기전으로 생각되나 이들의 상호관련성과 발현의 의의에 대하여 심도있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 모래쥐 心臟神經節의 微細構造

        신기우 全南大學校 大學院 1986 국내박사

        RANK : 248623

        모래 쥐 心臟神經節의 神經細胞體와 神經終末의 連接에 關한 微細構造를 電子顯微鏡으로 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心臟神經節은 神經節細胞體와 細胞突起, 이를 둘러싸고 있는 衛星細胞들의 集團과 毛細血管들로 構成되어 있었다. 神經節細胞는 커다란 核과 1∼2個의 核小體를 가지고 있으며, 細胞質에는 多量의 組面內形質網, 絲粒體를 含有하고 있었고 細胞體와 突起들은 術星細胞의 突起로 被覆되어 있었다. 5-hydroxydopamine 投與群의 神經節細胞는 Golgi 複合體 周邊部에서 작은 顆粒小胞의 集團이 觀察되었고, 아드레날린性 神經終末에는 osmiophilic material이 顆粒 및 無顆粒性 小胞에 蓄積되는 反面, 콜린生 神經終末은 無顆拉性 小胞의 內容物에 아무런 變化가 없었다. 連接의 大多數는 콜린性 節前 神經軸索과 節後神經細胞의 樹狀突起와의 軸素樹狀突起連接이었고, 軸索體連接은 드물게 觀察되었다. 神經節細胞의 樹狀突起와 아드레날린性 神經終未과의 連接은 極히 드물게 볼 수 있었다. 이와 같은 所見으로 미루어 心臟神經節細胞는 적어도 2가지 刺戟이 心臟의 作用組織에 同時에 影響을 주는 最終共同通路임을 暗示해 주었다. The fine structure of ganglionic cell bodies and the synapses in the cardiac ganglia of control and 5-hydroxydopamine administrated Mongolian gerbils were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The cardiac ganglia of the Mongolian gerbil consisted of small to large clusters of neurons and nerve processes together with satellite cells and blood vessels. The ganglion cells were large and each contained a prominent nucleus with one or more nucleoli. The perikaryon of the ganglion cells contained numerous profiles of rough endoplasmic reticulum, extensive Golgi apparatus and mitochondria. Both the perikaryon and dendrites were covered by processes of the satellite cells. After administration of 5- hydroxydopamine clusters of small granular vesicles were observed near the Golgi apparatus. Core materials within agranular and granular vesicles of adrenergic nerve fibers increased in density, while agranular vesicles incholinergic nerve fibers did not change. A greater number of synaptic junctions between the cholinergic preganglionic axon terminals and the dendrites of postganglionic neuron were found, and a few axosomatic synapses were also observed. Synaptic contacts between the adrenergic nerve terminals to dendrites of cardiac ganglion were rarely seen. These finding suggested that the cardiac ganglia serve as a final common pathway, through which at least two kinds of input may simultaneously influence the effector tissue of the heart.

      • 모래쥐 心臟이 顆粒含有細胞에 關한 電子顯微鏡的 硏究

        정진원 全南大學校 1986 국내박사

        RANK : 248623

        모래쥐 心臟에 分布하고 있는 顆粒含有細胞의 微細構造를 電子顯微鏡으로 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顆粒含有細胞는 心臟의 洞房 및 房室結節附近의 心外膜下結合組織과 大動脈 및 肺動脈 基始 部에 位置하고 있었다. 顆粒含有細胞는 心臟神經細胞사이에 있거나 그들과 近接하여 存在하고 있었고 2-5個의 細胞들이 集團을 이루고 있으며 초세포에 依해 둘러싸여 있었다. 이들 細胞의 特徵은 細胞質에 電子密度가 높은 顆粒을 含有하고 있었으며 그 外에 많은 絲粒體, 粗面內形質網, 잘 發達된 Golgi裝置, 고루 分布하고 있는 自由 ribosome 等을 內包하고 있었다. 5-hydroxydopamine 投與群에서 顆粒含有細胞의 顆粒小胞는 形態學的 變化를 認知할 수 없었다. 神經終末로서 두가지 神經終末을 區別할 수 있었으며 아드레날린性 神經終末은 작은顆粒小胞를 內包하고 있었고, 콜린性 神經終末은 無顆粒小胞를 含有하고 있었으며 이 두가지 神經終末은 모두 큰 顆粒小胞를 가지고 있었다. 顆粒含有細胞體는 心臟神經節細胞의 節後軸索인 콜린性 神經終未과 軸索體連接을 이루고 있었고 또한 顆粒含有細胞突起가 心臟神經節細胞의 樹狀突起와 連接을 이루고 있음을 觀察하였다. 本 硏究에서 觀察된 顆粒含有細胞는 心臟神經節의 節後軸索과 樹狀突起사이에 介在 neuron으로 存在하고 있었으며 이는 神經回路에 興奮傳達役割을 하는 것으로 推理된다. The fine structure of the granule containing cells in the heart of 5 hydroxydopamine administrated Mongolian gerbil was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The granule containing cells were located in the subepicardial connective tissue in the vicinity of the sinuatrial and atrioventricular nodes within the interatrial septum, and at the base of aorta and pulmonary artery. They are sparsely distributed in small clusters of about 2∼5 cells within or near the cardiac ganglia. The individual cells or cell clusters were covered by the cytoplasm of sheath cells. The granule containing cells were characterized by the presence of dark cored vesicle. Other cytoplasmic organelles included abundant mitochondria, rough endoplasmic reticulum, well developed Golgi apparatus, and widely distributed free ribosomes. In 5 hydroxydopamine treated Mongolian gerbil, the cytoplasmic organelles of the granule containing cell showed no detectable morpbological alterations. Two types of axon terminals were differentiated by their vesicular inclusion after 5-hydroxydopamine treatment. One type contained small agranular vesicle which were identified as postganglionic cholinergic axon terminal. The other type contained a majority of small granular vesicles which were classified as adrenergic. Large granular vesicles were seen in the both type of axon terminals. Synaptic contacts between the cholinergic axon terminals and somata of granule-containing cells were observed. ]n addition, synaptic junction between processes of granule containing cells and dendrite of cardiac ganglion cells were also observed. This study had shown that the granule-containing cells in the heart of Mongolion gerbil were connector neurons interposed in effector circuits between postganglionic cholinergic axon and dendrite.

      • 모래쥐 腺下垂體細胞의 微細構造

        고강석 全南大學校 1986 국내석사

        RANK : 248623

        모래쥐 腺下垂體細胞의 微細構調를 電子顯微鏡으로 觀察하여 다음과 같은 結果를 얻었다. 腺下垂體細胞는 細胞의 特性과 細胞質안에 含有하고 있는 顆粒小胞의 크기, 形態 및 內部構造에 따라 7種類로 區分하였다. 成長刺戟細胞는 外形이 球形 또는 多角形이였으며 顆粒小胞의 크기는 直徑 350∼500nm이였고 隣接細胞와 連接複合體를 이루고 있었다. 乳腺刺戟細胞의 外形은 球形 또는 多角形이고 顆粒小胞는 直徑 600∼800nm로 腺下垂體細胞에서 가장 큰 顆粒을 含有하고 있었다. 性腺刺戟細胞는 卵胞刺戟細胞와 黃體形成細胞로서 卵胞刺戟細胞는 細胞質 안에 多數의 空胞와 잘 發達된 Golgi裝置를, 黃體形成細胞는 核이 不規則한 外形을 갖추고 있었고, Golgi裝置는 잘 發達되지 않았다. 이들 두 細胞의 顆拉小胞의 크기는 둘다 直徑이 200∼300nm였다. 副腎皮質刺戟細胞는 外形이 星狀으로 기다란 細胞突起를 내고 있었으며 顆粒小胞의 크기는 直徑 150∼200nm로 細胞質 全域에 分布하고 있었다. 甲狀腺刺戟細胞는 外形이 多角形이고 顆拉小胞의 크기는 150nm 內外이였으며 隣接細胞와 連接複合體를 이루고 있었다. 小胞細胞는 他 細胞사이로 細胞突起률 내고 있는 星狀의 細胞로 觀察되었고 細胞質에는 絲粒體, 自由 ribosome을 含有하고 있었다. The fine structure of each type of adenohypophysial cells in Mongolian gerbils was studied by electron microscopy. Based on the size, shape and internal structure of secretory granules and on the ultrastructural characteristjcs seven cell types were classified. Somatotrophs were spherical or polygonal in shape and contained spherical secretory granules averaging 350∼500nm in diameter. Some somatotrophs and other neighbouring cells were joined by junctional complex. Mammotrophs were generally spherical or polygonal in shape with secretory granules 600∼800nm in diameter. These granules were the largest in all cells in the pars anterior. Two types of gonadotrophs, follicle-stimulating hormone cells and luteinizing hormone cells contained granules averaging 200∼300nm in diameter. Follicle stimulating hormone cells were characterized by numerous oval vacuoles and well developed Golgi apparatus, while luteinizing hormone cells contained irregularly shaped nuclei and inconspicuous Golgi apparatus. Adrenocorticotrophs were stellate-shaped with long cytoplasmic processes and contained secretory granules averaging 150∼200nm in diameter. The granules scattered throughout the cytoplasm. Thyrotrophs were polygonal in shape with secretory granule about 150nm in diameter. Junctional complex excisted between the thyrotrophs and neighboring cell of other types. Follicular cells were typically stellate with long cytoplasmic processes extending between other cells of glandular parenchyma. In the cytoplasm, the follicular cells contained a few mitochondria and free ribosomes.

      • 모래쥐에서 뇌허혈시 Nitric oxide synthase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고체온증의 효과

        김두권 東亞大學校 大學院 1999 국내박사

        RANK : 248623

        모래쥐의 경동맥을 결찰하여 뇌허혈을 유발하는 모델에서 고체온증이 뇌허혈에 따른 뇌손상에 미치는 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nNOS 유전자 발현에 미치는 고체온증의 효과를 관찰하였다. 정상체온 및 고체온증 모두 허혈시킨 대뇌반구에서 RT-PCR 결과 nNOS mRNA는 대조군의 대뇌반구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으나 정상체온 및 고체온증 유도에 있어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그러나 조직내 nNOS 단백질을 western blot한 결과 정상체온에서는 허혈에 의하여 단백질의 생성이 증가했으나 고체온증에서는 오히려 감소하는 양상을 보였다. 뇌절편에서 병리학적 검사 결과 정상체온에서 허혈시킨 경우는 nNOS 염색 결과로 허혈 대뇌반구의 해마부에서만 뇌경색이 관찰되었으며 고체온증 유도시에는 대조군 및 허혈부의 해마부에서 신경세포의 손상이 모두 관찰되었고 허혈부의 신경세포 손상이 더욱 심하게 관찰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뇌허혈시 고체온증에 의하여 nMOS의 유전자 발현은 증가하지만 단백질 생성이 억제되며 허혈에 따른 뇌손상이 고체온증 유도에 의하여 심화되는 특성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lucidate the effect of hyperthermia on neuronal nitric oxide synthase (nNOS) expression in both cerebral hemispheres after left common carotid artery occlusion in gerbils. Methods: Using Mongolian gerbils, cerebral ischemia was produced by occluding carotid artery for 1 - 4 hours. Rectal temperature was maintained at a 36℃ for normothermia and 40℃ for hyperthermia by heating pad. Western blot and RT-PCR was used to examine the nNOS and the mRNA expression. Neuronal damages were observed by histological study. Results: After cerebral ischemia, mRNA of nNOS was expressed more abundantly in ischemic hemisphere than control in both normothermia and hyperthermia. Hyperthermia reduced nNOS protein expression markedly. In pathological study, neurons of hippocampal region were degenerated by ischemia. Hyperthermia by itself induced neuronal degeneration in both control and ischemic region. In immunohistochemistry of brain,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of nNOS expression between normothermia and hyperthermia. Conclusions: These findings suggest that the increase of body temperature might enhance nNOS mRNA expression but reduce nNOS protein production, and that hyperthermia aggravate neuronal damage by ischemia, independently of nNOS gene express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