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만성신장질환자의 말기신부전, 뇌졸중 발생과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 탐색

        유영미 가천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전 세계적으로 인구의 고령화, 만성질환의 증가로 만성신장질환(Chronic kidney disease; CKD)의 유병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만성신장질환자의 증가는 말기신부전 (End-stage renal diseases; ESRD), 심뇌혈관질환의 발생과 이를 원인으로 한 사망으로 이어진다. 본 연구에서는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구축한 표본 코호트 데이터베이스 (NHIS-NSC 2002~2013) 자료를 사용하여 만성신장질환자의 주요 임상적 결과인 말기신부전, 뇌졸중 발생 및 사망 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03년에서 2012년 사이에 만성신장질환이 발생한 신규 환자 2,168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만성신장질환자의 말기신부전, 뇌졸중 발생 및 사망은 10만 인년 당 발생 건수로 확인하였으며, 위험인자별 말기신부전, 뇌졸중발생 및 사망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콕스의 비례위험 회귀분석으로 확인하였다. 자료 분석은 R 4.0.0을 이용하였다. 총 연구대상자의 평균 추적기간은 4.28±2.89년이었다. 자료분석 결과, 관찰 기간 동안 만성신장질환자 중 말기신부전은 10만 인년 당 105.49건, 뇌졸중은 10만 인년 당 15.80건, 사망은 10만 인년 당 15.80건이 발생하였다. 만성신장질환자의 말기신부전 비례위험은 연령이 낮을수록 높았고 (50세-59세 미만 HR=0.748, 95% CI=0.606-0.922; 60세-69세 미만 HR=0.641, 95% CI=0.518-0.792; 70세-79세 미만 HR=0.609, 95% CI=0.482-0.770), 고혈압 (HR=1.415, 95% CI=1.200-1.667)과 빈혈 (HR=1.824, 95% CI=1.554-2.141)이 있는 환자의 비례위험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All p<0.05). 뇌졸중의 비례위험은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고 (50세-59세 미만 HR=2.374, 95% CI=1.128-4.995; 60세-69세 미만 HR=0.641, 95% CI=2.356-9.334; 70세-79세 미만 HR=7.117, 95% CI=0.482-0.770), 고혈압 (HR=1.531, 95% CI=1.074-2.183)과 빈혈 (HR=1.600, 95% CI=1.125-2.276)이 있는 환자의 비례위험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All p<0.05). 사망의 비례위험은 연령이 높을수록 높았고 (50세-59세 미만 HR=1.984, 95% CI=1.228-3.204; 60세-69세 미만 HR=4.486, 95% CI=2.911-6.913; 70세-79세 미만 HR=9.520, 95% CI=6.201-14.617), 빈혈 (HR=1.600, 95% CI=1.073-1.609)이 있는 환자의 비례위험이 높았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All p<0.05). 결론적으로, 만성신장질환자의 말기신부전 발생은 연령이 낮을수록, 뇌졸중과 사망률은 연령이 높을수록 비례위험이 높았으며, 빈혈이 있는 환자는 말기신부전, 뇌졸중 그리고 사망의 비례위험이 높게 분석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기반으로 이들 환자의 인구학적 및 임상적 특성에 따른 치료계획의 수립에 활용되기를 제언한다.

      • 노인만성질환자의 여가생활에 관한 연구

        차경련 동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cause great changing of family' structure to nuclear family from big family in Korean society. It causes change of traditional consciousness for the support of the elderly from their family. In addition, developing medical technology makes the increasing number of the elderly over 75. They have a lot of problems such as income, health, housing and so on. Among these matters, this thesis attempted to develop actual program after analyzing the actual condition of the elderly' leisure activities based on the type of chronic disease. According to the national statistic office, around 90% of the all elderly people have more than one type of chronic disease. This thesis obtained the result as following: Firstly,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prefer leisure activities making a functional retrogression such as reading, praying, listening to music more than proper leisure activities for functional maintenance like yoga, sports and so on. It originated from the lacking of information and habitual ways of daily living. From these reasons, regional office that responds the elderly health will establish a counterplan dealing with this problem. Because the elderly functional retrogression causes not only help from others, but also increasing the amount of social expenditure to be charged with the nation. Secondly, there is absolutely shortage of agency to provide leisure program for the elderly people with chronic disease. Most community welfare agencies for the elderly provide a various kinds of leisure service for the elderly with good health condition in these days. However, around 90% of all the elderly in Korea have chronic disease, having a problem of physical condition as enjoying a general leisure program. In addition, community welfare agency for the elderly should provide information about the leisure program to the elderly who live in the community. Because, the elderly people have a lot of limitations to obtain information from both online or off line compared to young generation. Thirdly, according to this study, generally,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focused on the in-home activities rather than outside activities of their home. Especially, the elderly with paralysis have a cutting of outside activities. However, they should receive to respect the community as a personal right. These kinds of the elderly have a lot of limitation to get outside activities because of the unsuitable path, toilet, and transportation and so on. Since 1960, Wolfensburger and many scholars claim the right of people with disability named by Normalization. Therefore, developed countries try to make infrastructure to suit people with disability for living together in community. It needs to require more consideration of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 in the community welfare system.

      • 호흡운동 유형이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폐기능과 호흡근활성도 및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정대근 세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호흡운동 유형이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등급에 따른 호흡의 효율성 및 폐의 기능을 분석함으로써 만성폐쇄성폐질환의 호흡기능 향상을 위해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중증도 분류에 따라 피드백호흡운동과 맨손가슴물리치료 그리고 복합호흡운동이 폐기능과 산소포화도, 피로도, 건강관련 삶의 질 및 호흡근활성도에 효율적인 영향이 미치는지를 규명하기 위하여, 전라남도에 소재한 H 병원에서 치료 중인 55~75세 연령범위의 남성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 64명으로, 실험 전 중증도 분류에 따라 경증 만성폐쇄성폐질환 남성 환자 34명 중, 피드백호흡운동군 11명, 맨손가슴물리치료군 12명, 그리고 11명을 선정하고,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남성 환자 30명 중, 피드백호흡운동군 10명, 맨손가슴물리치료군 9명, 그리고 11명을 선정하여 8주 간 중재프로그램을 시행하였다. 중재 전 폐활량측정기로 폐기능을 측정하였고, 표면근전도로 호흡근활성도를 측정하였으며, 혈액분석기로 피로도를 측정하였다. 그리고 맥박산소측정기로 산소포화도를 측정하였으며, 세인트 호흡기 설문지를 통해 건강관련 삶의 질을 측정하고, 4주 후에 이들의 항목을 동일하게 재 측정하였으며, 다시 4주 후에 항목을 재 측정하여 전․후 비교와 집단 간 분석을 실시하여 호흡운동 유형이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의 폐기능과 산소포화도, 피로도, 건강관련 삶의 질 및 호흡근활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중증도 분류에 따른 경증 만성폐쇄성폐질환의 1초간 노력성 날숨량과 1초간 노력성 날숨량/노력성 폐활량의 변화는 피드백 호흡운동군에서 0주, 4주보다는 8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맨손가슴물리치료군에서는 0주, 4주보다는 4주, 8주에서 높게 나타났다. 집단 간 비교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p<.01), 사후검정 결과, 복합호흡운동군, 맨손가슴물리치료군 보다는 맨손가슴물리치료군, 피드백 호흡운동군이 더 효과적이었다. 중증도 분류에 따른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의 1초간 노력성 날숨량 변화는 복합호흡운동군에서 0주, 4주보다는 8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1초간 노력성 날숨량/노력성 폐활량 변화 비교는 복합호흡운동군에서 0주, 4주보다는 4주, 8주에서 높게 나타났다. 집단 간 비교에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사후검정 결과 피드백 호흡운동군, 맨손가슴물리치료보다는 맨손가슴물리치료군, 복합호흡운동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증도 분류에 따른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산소포화도 변화는 복합호흡운동군에서 0주, 4주보다는 4주, 8주에서 산소포화도가 높게 나타났다. 중증도 분류에 따른 경증 만성폐쇄성폐질환의 피로도 변화는 피드백 호흡운동군에서 0주, 4주보다는 4주, 8주에서 낮게 나타났다. 집단 간 비교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p<.05) 사후검정 결과, 복합호흡운동군, 맨손가슴물리치료군 보다는 맨손가슴물리치료군, 피드백 호흡운동군이 낮게 나타났다. 중증도 분류에 따른 경증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목빗근과 목갈비근 활성도 변화는 0주, 4주보다는 8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배곧은근 활성도변화는 피드백 호흡훈련군에서 0주, 4주 보다는 4주, 8주에서 높게 나타났고, 복합호흡운동군은 0주, 4주보다는 8주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증도 분류에 따른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목빗근 활성도 변화는 0주, 4주보다는 8주에서 높게 나타났으며, 목갈비근과 배곧은근활성도 변화는 0주, 4주보다는 4주, 8주에서 높게 나타났다. 중증도 분류에 따른 경증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총 건강관련 삶의 질 변화는 피드백 호흡훈련군에서 0주, 4주보다는 8주에서 낮게 나타났고. 맨손가슴물리치료에서는 0주, 8주보다는 8주, 4주에서 낮게 나타났으며, 활동영역 건강관련 삶의 질에서는 두 군 모두 0주, 4주보다는 8주에서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증상영역 건강관련 삶의 질의 비교는 피드백 호흡운동군에서 0주, 4주보다는 4주, 8주에서 증상영역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집단 간 비교에서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사후검정 결과, 맨손가슴물리치료군 보다는 피드백 호흡운동군에서 총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으며, 복합호흡운동, 맨손가슴물리치료군 보다는 맨손가슴물리치료군, 피드백 호흡운동군에서 활동영역 건강관련 삶의 질이 낮게 나타났다. 중증도 분류에 따른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의 활동영역 건강관련 삶의 질 변화는 복합호흡운동군이 8주, 4주보다는 4주, 0주에서 낮게 나타났고, 증상영역에서는 맨손가슴물리치료군이 0주, 4주보다는 4주, 8주에서 낮게 나타났다. 경증 만성폐쇄성폐질환 집단에서는 피드백호흡운동이 폐기능을 향상시키고, 피로도는 낮추며, 호흡근활성도를 증가시켜 건강관련 삶의 질을 높이는데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증의 만성폐쇄성폐질환 집단에서는 복합호흡운동이 폐기능의 향상과 호흡근의 활성도를 증가시켜 건강관련 삶의 질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중증 만성폐쇄성폐질환 환자들은 특히 호흡근의 경우 작용근과 협력근의 활성도가 모두 증

      • 만성질환아동 자녀를 둔 빈곤 부모의 경험 : 만성질환과 빈곤의 대물림 굴레에서 살아가기

        유빈 중앙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research question of this study is ‘what is the experience of impoverished parents with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to propose practical and policy intervention methods from social welfare point of view to achiev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 and provide effective support in improving their lives.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qualitative case study, and when analyzed the experience of parents with sick children, a total of 315 meaningful statements, 30 central meanings, 13 subtopics and 6 fundamental topics. These experiences were composed under the categories of ‘exhausted life from passed down chronic disease’, ‘wanting to be an isolated island’, ‘destined cycle of sickness and poverty’, ‘lost and hanging on a cliff’, ‘a strand of hope in despair: job, family and welfare service’, and ‘becoming a candlelight for one another in a long dark tunnel’, based on the statements of parent with firsthand experience in the impoverished life with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First, the lower-level topics of [exhausted life from passed down chronic disease] are ‘passed down chronic disease’, ‘reality of bearing child’s disease’, and ‘life confined in a disease’. Most of the participants already experienced poverty and chronic diseases prior to their children being diagnosed with a chronic disease. The realization that their child also had to bear the burden of chronic disease for life became an increased affliction on their already hard lives. Upon a diagnosis, the parents began a life of long-term treatment that encapsulated their lives for years. The diagnosis and treatment of a chronic disease led to exhausted life from passed down chronic disease for the parents. Second, the lower-level topics of [wanting to be an isolated island] are ‘isolated life through labeling and prejudice’, and ‘no one understands me’. What was most difficult in the course of their children’s treatment was ‘labeling and prejudice by others’. Participants and their children lost self-esteem by others, which often led to anxiety and sociophobia. They eventually came to resent the world and gradually ceased all what used to be active social activities, leading a life of isolation. These unfortunate events not only pulled them apart from other but, in due course, from their family members, deepening family conflict. At the end, they closed their hearts and chose to live a life as an isolated island. Third, the lower-level topics of [destined cycle of sickness and poverty] are ‘unable to focus on treatment for child’, and ‘being poor is a sin’. All participants chose being unable to provide treatment in timely manner attributable to being poor as ‘the most repentant event as parents’. Before the diagnosis, being poor was just an inconvenience, but after the diagnosis, it became a sin on their part. Poverty led to weaker health of children and weaker health of children led to even greater poverty for the participants. Taking on a regular job became unattainable for them and medical bills started to pile up. These participants were not able to break away from the vicious cycle of being unhealthy due to poverty. Fourth, the lower-level topics of [lost and hanging on a cliff] are ‘lack of information on nurturing sick child’ and ‘impossible times’. From the time of diagnosis on their children until becoming accustomed to their new lives of treatment, the participants never had a chance for a proper training or received a manual. They never met someone who had the same experience nurturing for a sick child and help them. Each and every participant had to find solutions to their problems on their own, which was prone to countless trial and error. Most of them are still unsure about their methods of sick child nurturing. In worst cases, some parents who could not bear the burden of parenting their sick children lost any will to live and attempted suicide. As such, the participants lost their way and hanged on a cliff, experiencing contemplating for death. Fifth, the lower-level topics of [a strand of hope in despair: job, family and welfare service] are ‘fortunate human relationship and support network are what brace me’ and ‘stability and hope in life by welfare services’. Some participants were able to find support in their jobs, family and welfare services through fortunate human relationship. Through the supports, they were able to narrowly escape death and realized stability and hope in life that could ‘help the child and thereby helping me’. For them, it was a precious strand of hope found in despair. Sixth, the lower-level topics of [becoming a candlelight for one another in a long dark tunnel] are ‘nevertheless, my child is the reason for my life’ and ‘the unabandonable hope: preparing for the future of my child’. Through the prolonged nurturing for their children, the participants came to grant meanings to their roles and responsibilities and grasped that the purpose of their lives were their children. Like any other parents, the participants pondered for the preparation of their children’s future. They are just sorry that they won’t be comprehensive in supporting their children who would have difficulty in self-sufficiency due to their physical and psychological impairments. Then again, the parents wanted to, at least, be a tiny candle lighting the way of their children and also wanted for their children to the light of their existence as well.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was concluded that the experience of impoverished parents with children with chronic diseases could be summed up as ‘living in the vicious cycle of chronic diseases and poverty’. Based on the results, practical and policy implic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posed from the viewpoint of social welfare. 본 연구의 연구 질문은 ‘만성질환아동 자녀를 둔 빈곤 부모의 경험은 어떠한 가?’이다. 빈곤 부모들이 자녀 만성질환의 치료과정의 삶 속에서 어떠한 경험들을 해왔는지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와 이들의 삶을 효과적으로 지원하기 위한 사회복지 적 관점의 실천적, 정책적 개입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질적 사례연구로 수행되었으며, 만성질환아동 빈곤 부모의 경험을 분 석한 결과, 총 315개의 의미 있는 진술과 중심의미 30개, 소주제 13개, 본질주제 6 개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삶의 경험은 ‘만성질환의 대물림으로 피폐해진 삶’,‘외 딴섬이 되기를 자처함’,‘벗어날 수 없는 질병과 가난의 숙명적 굴레’,‘길을 잃 고 절벽 끝에 매달림’,‘절망 속에서 찾은 한줄기 희망의 빛 : 직장, 가족 그리고 복지서비스’,‘어둡고 긴 터널 안에서 서로의 촛불 되어주기’ 라는 주제 범주들 로 구성하였으며 만성질환아동 자녀를 둔 빈곤 부모의 삶의 경험에 대한 참여자들 의 진술로 내용을 정리하였다. 첫 번째, [만성질환의 대물림으로 피폐해진 삶]에서 하위주제는 ‘만성질환의 대물림’,‘아이의 병마저 짊어지게 된 현실’,‘병에 갇혀버린 삶’이다. 참여자들 은 자녀의 만성질환을 진단받기 전, 이미 배우자의 만성질환으로 가족 내 시련을 겪으며 빈곤을 경험하고 있었던 경우가 많았다. 부모에 이어 자녀들 또한 만성질환 을 대물림받게 되었다는 진단 소식은 힘겹게 살아가는 부모에게 또 하나의 짐을 짊 어져야 하는 현실로 느껴졌다. 자녀의 만성질환 진단 직후부터 부모들은 장기간 치 료가 시작되며 수년간 병에 갇힌 생활들을 해야만 했다. 자녀들의 만성질환 진단과 치료의 과정으로 부모들은 ‘만성질환의 대물림으로 피폐해진 삶’을 살게 되었다. 두 번째, [외딴섬이 되기를 자처함]의 하위 주제는 ‘낙인과 편견으로 고립되 는 삶’,‘내 마음 아무도 몰라줌’이다. 참여자들이 자녀의 치료과정 중 가장 힘들 었던 것은 ‘참기 힘든 다른 사람들의 시선과 편견’이었다. 참여자들과 자녀들은 사람들에 의한 상처로 자존감이 낮아지며 심리적으로 불안하고 결국 대인기피증까 지 생기게 되었다. 또한 사람에 대한 그리고 세상에 대한 원망감을 갖게 되었으며 기존에 활발하게 유지했던 사회활동을 점차 차단하고 낙인과 편견으로 고립되는 삶 을 살아가게 되었다. 그러나 이는 참여자들은 타인 뿐 아니라 결국 가족마저도 내 마음을 몰라주고 남보다 못하다는 생각이 들어 갈등이 심화되었다. 이로 인해 마음 의 문을 닫고 고립되는 삶을 살기로 하여 외딴섬이 되기를 자처하였다. 세 번째, [벗어날 수 없는 질병과 가난의 숙명적 굴레]의 하위 주제는 ‘아이 의 치료에만 전념할 수도 없음’,‘가난이 죄’이다. 참여자들은 치료비가 없어 제 때 자녀의 치료를 해주지 못했던 경험들에 대해서‘부모로써 가장 미안한 일’로 떠올렸다. 자녀가 아프기 전 참여자들에게 가난은 그저 불편함을 의미했지만 아이 가 아프고 나서 가난은 죄가 되었다. 참여자들은 가난으로 아이의 건강이 나빠지고, 아이 건강이 악화되면서 가족들은 더 가난해지기 마련이었다. 아이의 좋지 않은 건 강상태로 인해 참여자들 역시 지속적으로 일해 정기적인 소득을 얻기 어려웠으며 늘어나는 의료비 때문에 지출은 더 늘어나게 마련이었다. 참여자들은 가난해서 건 강이 나쁘고, 이로 인해 가난해지는 질병과 가난의 숙명적인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었다. 네 번째, [길을 잃고 절벽 끝에 매달림]의 하위 주제는 ‘아픈 아이 양육에 대 한 정보 부재’,‘죽을 만큼 힘들었던 시간’이다. 연구참여자들 모두는 처음 자녀 의 만성질환을 진단받은 시점부터 이후 치료를 지속하며 새로운 일상생활에 적응할 때까지 한 번도 제대로 된 교육이나 매뉴얼을 제공받을 기회는 없었다. 또한 아픈 자녀 양육에 대한 어려움에 대해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사람을 만나본 경험도 역시 없었다. 일상생활 속에서 자녀의 질병과 관련되어 발생하는 일들에 대해 스스로 해 결방법을 찾아야 했으며 이로 인해 부모와 자녀들은 많은 시행착오를 겪어야만 했 고, 지금도 아픈 아이 양육법에 대한 확신이 없어 불안할 때가 많았다. 또한 참여자 들은 아픈 아이의 부모 역할이 너무나 버거워, 일부는 삶의 의지를 상실한 채 자살 시도를 한 경험들이 있었다. 이처럼 참여자들은 길을 잃고 절벽 끝에 매달려 죽음 까지 고민하는 경험들을 해왔다. 다섯 번째, [절망 속에서 찾은 한 줄기 희망의 빛 : 직장, 가족, 복지서비스]의 하위 주제는 ‘운좋은 인간관계, 지지망은 나의 버팀목’,‘복지서비스로 안정과 삶 의 희망을 갖게 됨’이다. 참여자들은 운좋은 인간관계를 통해 직장, 가족, 복지서 비스의 버팀목을 갖게 되었다. 이를 통해 절벽 끝에서 ‘구사일생’할 수 있었고 ‘아이를 살리고 덕분에 나도 살게 되는’안정과 삶의 희망을 경험하게 되었다. 이 는 참여자들에게 절망 속에서 어렵게 찾은 한 줄기 희망의 빛이었다. 여섯 번째, [어둡고 긴 터널 안에서 서로의 촛불 되어주기]의 하위 주제는 ‘그래도 내 삶의 이유는 바로 아이’,‘포기할 수 없는 희망 :아이의 미래를 준 비’이다. 참여자들은 자녀의 발병 이후 오랜 시간 돌봄을 통해 삶 속 자신의 역할 과 책임에 대해 스스로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내 삶의 이유는 바로 아이’라는 것을 알게 되었다. 참여자들은 여느 부모들과 마찬가지로, 자녀의 미래에 대한 준비에 대 해 고민하고 있었다. 자녀가 질병으로 인한 신체적ㆍ정신적 손상으로 인해 홀로서기가 가능하지 않을 것만 같고 관련된 준비에 있어 적극적으로 지원해주기도 어려 운 현실에 미안한 마음뿐이다. 그러나 최대한 노력하는 부모의 모습을 통해 간신히 앞길을 내다볼 수 있게 작은 촛불이라도 되어주고 싶은 심정이며 삶의 이유인 아픈 내 아이도 내게 촛불처럼 빛이 되는 존재로 살기를 바라고 있다. 본 연구를 통해, 빈곤한 만성질환아동 부모의 경험은‘만성질환과 빈곤의 대물림 굴레에서 살아가기’로 파악되었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통해 만성질환아동 자녀를 둔 빈곤 부모의 경험에 대한 사회복지적 관점에서의 실천적, 정책적 함의와 후속연 구를 위한 제언을 하였다

      • 만성질환 관리 진료비 지불제도 개선방안 : 미국과 일본 사례의 비교제도론적 고찰

        이동현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This paper studied the issue of payment system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in Korea by comparing the systems of other countries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This paper suggests a method of application to Korea by comparison with countries that have a payment system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such as Japan, Australia and US in terms of the roles of physicians, the payment and incentive system, the quality management system, and the legal issues. As a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improvement of payment system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in Korea should be made by establishing the standard of human resources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the actualization of the physicians' fee, reviewing the range of chronic diseases, And the redefining non-face-to-face care. In terms of the roles of physicians, there is no detailed regulation for the physicians' roles of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management and treatment of chronic disease currently in Korea but only classifies level of Clinic by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Act.  It is necessary that the activity of a multidisciplinary team that is comprised of doctors, nurses, physiotherapists, and nutritionists. Because chronic diseases need to manage through that various forms of approach and roles must be accompanied by various stages such as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nd treatment of chronic disease. The physicians' fee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needs to be adjusted because the cost in Korea is 1.5 to 2 times lower than that of the United States or Japan. Therefore, compensation for physicians should be made in the form of an incentive or increased. In order to adjust physicians' fee, above all, the scope of chronic diseases must be clear. The current range of chronic diseases is more unfocused and unclear than Japan and the United States. This is because they are listed as the diagnosis group rather than a specific name of disease. Therefore, for the application of adjusting physicians' fee, it is necessary to distinguish the chronic diseases according to a specific name of disease. Moreover, an evaluation system and detailed rules are required in order to guarantee the quality of chronic disease management, and experts in chronic disease management need to be trained by means of certification and education. Also, it is necessary to clarify the definition of non-face-to-face treatment. The United States is also actively utilizing non-face-to-face care in chronic disease management. Japan and the United States clearly distinguish between non-face-to-face and telemedicine, and non-face-to-face care is restricted to patient management such as counseling or consultation without medical examinatio.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istinguish between clear definition and scope of non-face treatment and telemedicine. Since September 2016, the Ministry of Health and Welfare in Korea has been enforcing a 'pilot project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The main purpose is to actively manage chronic diseases through patient self-management, disease management and counseling through physician.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the patient and the physician should actively perform each other's role and institutionally be supported.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remedies of the payment system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in Korea. It will increas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ject and help to get settled. 이 논문은 만성질환 관리와 관련한 진료비 지불제도에 대한 문헌 고찰 및 각 국가의 제도를 비교하여 우리나라의 만성질환 관리 진료비 지불제도 운영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연구하였다. 우리나라와 유사하게 별도의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진료비 지불제도를 운영하고 있는 일본과 미국의 사례에 대하여 인력기준, 지불내용, 평가방안을 중심으로 비교·분석함으로서 우리나라에 대한 적용방안을 제시하였다. 연구 결과, 우리나라의 만성질환 관리 진료비 지불제도의 개선방안으로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의료인의 인력기준 마련, 적정수가의 지급, 만성질환 범위의 재검토, 질 관리체계의 도입, 비대면 진료에 대한 명확한 범위 설정 등을 제시할 수 있었다.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인력기준 마련이 필요한 이유는 만성질환의 예방, 만성질환의 관리 및 처치, 합병증 발병 등의 각 단계에 따라 다양한 형태의 접근과 역할이 동반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의사나 간호사, 물리치료사 및 영양사 등 각 전문 인력의 수준에 따라 상담, 처치 및 시술, 관리 등의 사항을 적절히 분담하여 다학제적 팀으로 만성질환 관리를 시행해야 한다. 또한 만성질환 범위를 재검토해야 한다. 현재의 만성질환 범위는 일본과 미국에 비해 구체적이고 명확하지 않다. 그 이유는 명확한 질병 명이 아닌 각 계열별 질환으로 나열되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수가적용을 위하여 명확한 질병 명에 따라 만성질환을 구분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적절한 질병범위 내에서 만성질환 관리가 이루어지게 되면 그에 따라 적정한 수준에서 수가가 지급되어야 한다. 현재 우리나라의 만성질환 관리에 대한 진료비 지불금액이 동일한 행위를 기준으로 할 때, 미국이나 일본에 비해 약 1.5배에서 2배 정도 낮다. 따라서 기존의 행위료 외에 인센티브 형식으로 보상하거나 만성질환 관리 수가를 인상하는 형식으로 적절한 수준의 보상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리고 현재 우리나라가 시행하고 있는 만성질환 관리 진료비 지불제도의 시범사업 운영 상에 논란이 되고 있는 비대면 진료에 대한 명확한 정의가 필요하다. 미국 역시 만성질환 관리에 있어 비대면 진료를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일본과 미국은 비대면 진료와 원격의료를 명확히 구분하여 비대면 진료는 처치나 시술을 동반하지 않는 상담 등의 환자관리, 검사결과 확인 등으로 제한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역시 비대면 진료와 원격의료에 대한 명확한 정의와 범위를 구분할 필요성이 있다. 만성질환 관리 진료비 지불제도의 평가방안은 수가를 적정하게 지급하고 각 인력수준에 따른 행위가 적절하게 이루어졌는가를 평가하기 위해 필요하다. 일본과 미국은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의료행위 등에 대하여 진료 및 상담 등의 횟수와 구체적인 내용, 환자의 관리결과 평가를 통한 질 관리체계를 수립하여 시행하고 있다. 지난 2016년 9월부터 보건복지부는 ‘동네의원 만성질환 관리 시범사업’을 시행하고 있다. 주요 목적은 환자의 자가 관리, 의료인을 통한 질병 관리 및 상담 등을 통해 만성질환을 적극적으로 관리하기 위함이다. 사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환자와 의료인이 각자 맡은 역할을 적극적으로 수행하고 이를 제도적으로 뒷받침해야 한다. 이 연구에서 제안된 우리나라 만성질환 관리를 위한 진료비 지불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이 해당 사업의 효과를 증대시키고 실질적인 만성질환 지불·보상제도로 자리 잡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노인의 만성질환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 :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남사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생활수준 및 교육수준 향상과 더불어 경제성장과 의학기술의 발전은 기대수명을 증가시켰고, 이에 따라 노인 인구는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고령화 속도는 다른 국가에 비해 매우 빠르게 진행되어 2017년에 이미 65세 이상 노인 인구가 전체인구의 14%를 차지하면서 고령화 사회에 진입하였다. 고령화는 사회·경제적 문제뿐만 아니라 보건의료 측면에서 의료비 상승으로 인한 사회적 비용과 부담의 증가를 유발한다. 노인의 신체 및 생리적 기능 저하로 다른 연령층에 비해 질병에 이환될 확률이 상대적으로 높아지며, 다수의 질병을 함께 갖는 경우가 많다.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통해 만성질환을 보유는 경우 주관적 건강상태 인식에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확인되었으며, 만성질환 노인에게 주관적 건강상태는 삶의 만족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노인의 만성질환 그룹에 따른 주관적 건강상태를 살펴보고,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와 관련이 있다고 보고된 인구사회적, 건강행태 요인을 통제한 후 성별 접근을 통한 비교분석을 통해 만성질환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전국적으로 진행된 2017년 노인실태조사 자료를 이용하였으며, 주관적 건강상태에 대해 대리응답 및 결측치 등을 제외하여 총 10,299명 중에서 최종적으로 9,845명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통계분석은 SAS version 9.4를 사용하였으며, 기술분석 및 Survey 특성을 반영한 Rao-scott Chi-square 검정, Survey logistic regression을 3개의 모델로 관련 요인을 나누어 시행하였다. 회귀모형은 다른 변수를 보정하지 않은 1단계 모형, 인구사회적 요인을 보정한 2단계 모형과 건강행태요인까지 보정한 3단계 모형으로 각각 구성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전체 연구 대상자 중 주관적 건강상태가 나쁨인 노인은 4,019명(40.1%)으로 남성 노인은 1,293명(32.6%), 여성 노인은 2,726명(46.4%)이었다. 모든 변수를 통제한 상태에서, 남성 노인은 만성질환이 없는 정상군을 준거집단으로, 고혈압 환자군에서 1.35(95%CI=1.05-1.73), 뇌졸중 환자군에서 2.86(95%CI=2.10-3.91), 협심증·심근경색증 환자군에서 2.62(95%CI=1.84-3.72), 기타 심질환 환자군에서 2.46(95%CI=1.66-3.65), 당뇨 환자군에서 2.45(95%CI=1.95-3.08), 골관절염 또는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군에서 1.83(95%CI=1.42-2.36), 요통 환자군에서 1.83(95%CI=1.41-2.39), 천식 환자군에서 3.09(95%CI=1.88-5.05), 호흡기질환 환자군에서 2.29(95%CI=1.27-4.15), 백내장 환자군에서 1.57(95%CI=1.04-2.36), 암 환자군에서 7.65(95%CI=4.50-13.00), 위십이지장궤양 환자군에서 1.83(95%CI=1.28-2.61), 비뇨기계질환 환자군에서 1.98(95%CI=1.57-2.50), 치매 환자군에서 2.69(95%CI=1.22-5.95), 파킨슨 환자군에서 4.66(95%CI=1.39-15.67), 기타질환 환자군에서 1.42(95%CI=1.07-1.8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여성 노인은 만성질환이 없는 정상군을 기준으로 주관적 건강상태와 고혈압 환자군에서 1.32(95%CI=1.12-1.56), 뇌졸중 환자군에서 2.54(95%CI=1.84-3.50), 고지혈증 환자군에서 1.25(95%CI=1.07-1.46), 협심증·심근경색증 환자군에서 2.08(95%CI=1.56-2.77), 기타 심질환 환자군에서 1.80(95%CI=1.39-2.33), 당뇨 환자군에서 2.23(95%CI=1.88-2.64), 갑상선질환 환자군에서 1.70(95%CI=1.21-2.39), 골관절염 또는 류머티즘 관절염 환자군에서 1.93(95%CI=1.66-2.25), 골다공증 환자군에서 1.60(95%CI=1.35-1.90), 요통 환자군에서 1.66(95%CI=1.42-1.95), 호흡기질환 환자군에서 2.01(95%CI=1.30-3.10), 천식 환자군에서 3.56(95%CI=1.66-7.64), 백내장 환자군에서 1.50(95%CI=1.18-1.92), 녹내장 환자군에서 1.70(95%CI=1.06-2.71), 암 환자군에서 1.92(95%CI=1.23-2.99), 위십이지장궤양 환자군에서 1.71(95%CI=1.33-2.19), 간 질환 환자군에서 4.62(95%CI=2.17-9.83), 비뇨기계질환 환자군에서 1.58(95%CI=1.10-2.25), 빈혈 환자군에서 1.98(95%CI=1.23-3.20), 우울증 환자군에서 2.06(95%CI=1.38-3.07), 치매 환자군에서 2.19(95%CI=1.28-3.77), 골절·탈골 및 사고 후유증 환자군에서 2.44(95%CI=1.38-4.33), 불면증 환자군에서 1.67(95%CI=1.17-2.39), 파킨슨 환자군에서 3.11(95%CI=1.03-9.3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그밖에 남녀 노인 모두에서 연령, 교육수준, 가구 형태, 연간 가구 소득수준, 취업 여부, 거주 지역, 건강행태 요인은 평소 운동 여부, 비만도, 일상생활수행능력, 수단적 일상생활수행능력, 영양상태, 만성질환 개수 변수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노인인구 전체를 대표할 수 있는 65세 이상의 대규모 노인인구 집단을 대상으로 다양한 혼란변수를 보정한 상태에서 분석한 연구이며, 특히 인구사회적 요인, 건강행태 요인을 통제한 상태에서 다양한 만성질환과 주관적 건강상태와의 관련성을 성별로 비교 분석한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노인의 주관적 건강상태에 영향을 끼치는 만성질환 요인을 질환별로 파악하고 이를 고려한 만성질환 관리의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 초고령 사회를 앞두고 노인들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만성질환을 예방하고 만성질환별 관리, 치료에 대한 종합적인 보건정책 및 다양한 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노인의료복지 재정의 절감에 기여할 수 있는 기초자료가 되길 기대한다. Economic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ology, along with the improvement of the quality of life(QOL) and educational standards, have increased life expectancy, thereby increasing the elderly population rapidly. South Korea became an “aged society” where the elderly older than 65 years made up 14% of the total population in 2017. South Korea, one of the most rapidly aging countries in the world, is projected to become a “super-aged society” by 2025. The aging population not only causes social and economic problems but also increases social costs and burdens caused by rising medical costs in health care. Older people are relatively more likely to carry the disease than other age groups due to poor physical and physiological functions, and often have multiple diseases together. Previous studies related to the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have confirmed that having chronic diseases has a negative effect on the perception of self-rated health, and it is reported that self-rated health affect the satisfaction of life for the elderly with chronic diseases. In this study, we wanted to examine self-rated health according to groups of chronic diseases of the elderly, control the factors of Socio-demographic and health behavior reported to be related to the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and confirm the relevance of chronic diseases and self-rated health through comparative analysis through gender access. This study used the 2017 National Survey of the Living Conditions and Welfare Needs of Korean Older Persons. Among the 10,299 respondents in the survey, 216 proxy responses and 238 respondents with missing independent variables were excluded, resulting in a total of 9,845 respondents for our analyses. The statistical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SAS version 9.4, and descriptive analyses, Rao-scott Chi-square tests and logistic regression that reflected survey characteristics by dividing the related variables into three models. Model 1 examined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diseases and self-rated health. The factors related to socio-demographic were added in Model 2 and the factors related to health behavior were added in Model 3. As a result of this study, 4,019 elderly older than 65 years(40.1%) were in poor self-rated health, male elderly people made up 1,293 (32.6%) and female elderly people made up 2,726 (46.4%), showing a difference between genders. With all variables controlled, this study set the normal group of male elderly people without chronic diseases as the reference group. Among them, the odds ratio of the hypertension patients group was 1.35(95%CI=1.05-1.73), while the odds ratio of the cancer patients group was 7.65(95%CI=4.50-13.00), showing a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hat of to the elderly with poor self-rated health. In the case of the female elderly people, the odds ratio of the hyperlipidemia patients group was 1.25(95%CI=1.07-1.46), while the odds ratio of the liver disease patients group was 4.62(95%CI=2.17-9.83), showing that significantly higher compared to the poor self-rated health. Moreover,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observed in other variables including age, education, type of housing, annual household income, current job, region, physical activity, body mass index, ADL, IADL, nutritional status, number of chronic diseases. This study is an analysis of a large group of elderly people over 65 who can represent the entire population of the elderly in Korea, with various confusion variables corrected. In particular, various chronic conditions are under control of demographic factors and health behavior factors. It is significant in that it is a study that comparatively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chronic diseases and self-rated health by gender.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chronic disease factors affecting the self-rated health of the elderly were identified for each disease, and policy intervention for chronic disease management is necessary. It is anticipated that this research will be used as basic data in elderly welfare policies as well as prevention of chronic diseases, management of chronic diseases, comprehensive health policies for treatment and development of various programs, and financial savings for elderly medical welfare.

      • 만성질환아동가족의 가족탄력성이 가족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선애 부산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8703

        Family resilience is a relatively new concept, which describes how family members can adapt to stress and bounce back from adversity. Families with a chronic disease child have some qualities that allow them to resolve their problems and survive the difficult situation, one of which is family resilience. This powerful quality can help the family members relieve the stress and aid them to adapt to their inevitable hard circumstances. This study focuses on the family resilience, which is one of the strongest benefits among those qualit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at this quality relieves the stress of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and to prove that family adaptation is influenced by the quality in an affirmative way. The projects to achieve the aim of the study are First, to find out whether there are families which have intensive family resilience among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Second, to find out whether the stress of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have relation with family adaptation,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the relation, if any. Third, to find out whether the family resilience of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has relation with family adaptation,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 and the amount of the relation, if any. Fourth, to find out whether family stress has relation with family resilience, and what is the characteristic and the amount of the relation, if any. Fifth, to find out how and how much these three factors -family stress,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affect one another. This study applied data out of the survey of 202 families with chronic illness child and 240 families with common child. The survey tools utilized the stress, hardiness, cohesion, problem solving communication, crisis evaluation, health inquiry, and adaptation of families. The methods for analyzing the results are frequency analysis, mean analysis, one 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 SPSS 10.0 for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AMOS 4.0 for path analysis. The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1. There exist some families which have intensive family resilience, in spite of family adversity coming out from taking care of chronic illness child. But there is no meaningful difference between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and common ones about the family resilience. 2. Family stress have some negative influence on family resilience and family adaptation.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have intensive family stress, and showed a meaningful difference, compared with common child family. 3. Family resilience of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has meaningful cause-and-effect relation with family adaptation. Also, subordinate factors of family resilience influences positively on family adaptation. 4. Family resilience leads to the family adaptation in the process of decreasing stress. In conclusion, this study confirms that family resilience affects family adaptation in a cause-and-effect way, and buffers the adversity of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The result of this study will be able to provide some practical and theoretical implications to the social workers and professions helping chronic illness child families.

      • 만성질환노인을 위한 의료사회복지실천 모형 개발

        왕경희 부산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from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a comprehensive and continuous practical model of medical social work, with the intention of helping aged chronic patients with their rehabilitation and reducting the care-giving burden of their family. For the research the aged chronic patients, their family members and medical social workers were surveyed. Based on this survey, the comprehesive needs of the aged chronic patients, the assessment and characteristics of their needs, and the hardships of their families were analyzed. The various factors influential in the practice of social work in health care, such as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medical socail workers and the process of their intervention were also analyzed. The summary of this analysis is as follows: 1. The needs of aged chronic patients range over the solution of disease-related problems, social-welfare programs and other things including discharge. These needs are affected by many factors such as the type of the disease the age of the patient, the kind of insurance, and the difference of supporting family. 2. As the family plays a very importnat part in the decision of the hospitalization and discharge of the patient it is necessary that with the client system the family should be regarded as the main supporting system. 3. The survey reveals that the treatment of the aged chronic patients is deeply connected with the community resources, making it necessary for the medical institution to actively take advantage of them. 4. It is also shown that in the final phase of the patients the discharge from hospital is primarily decided by the doctors, and the consulting service at the discharge centers on the patients' prognosis, the evaluation of the patients' economic situation, and the ways of helping them. Therefore the practical model for medical social work developed to satisfy the needs of the aged chronic patients and intended to help the family in difficulty has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1. As the aged chronic patients are needed to be taken care of continuously rather than medical intervention, this model, based on the ecological point of view, lays a great emphasis on a comprehensive assessment, paying attention to the importance of the role of the family and to the resources of the community. 2. Besides an approach to a client system, this model is a supporting system for the family of the patients, the family of the patients is a resource system as well as a client system. 3. This is a practical model which needs the professional intervention of medical social workers who are supposed to assess the needs of the aged chronic patients and their family. 4. This is a practical social work model emphasizing the continuity and sustain ability of the service, which is caused by the repetition of hospitalization and discharge. 5. This is a kind of community-related model needing an active social intervention of the medical social worker. 6. This is a model demanding to plan discharge at the terminal phase and in most cases at the! patients' death, when the discharge is decided by the patients' family and the doctor. In short, the practical model for medical social work in dealing with the aged chronic patients is a model composed of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medical social workers, their intervention skill in the process of social work practice, and the interaction of various factors. This study is thought to have developed a new practical model for the treatment of the aged chronic patients.

      • 노인 만성 질환과 우울증의 상관성 연구

        김연하 동아대학교 정책과학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노인의 만성 질환은 신체의 노화와 관련된 현상으로 간주하고 있기에 주로 의료적 차원의 접근으로 이루어졌으나, 사회심리적인 차원에서의 접근은 부족하다. 만성 질환 노인은 치료의 장기화에 따른 경제적 부담의 가중, 가족의 지지 약화, 사회적 관계망의 약화 등 우울 요인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우울 인자를 분명하게만 밝혀낸다면 만성 질환 노인의 정서적 안정감 진작과 함께 사회적 보호망을 강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에서 만성 질환 노인의 우울 요인을 개별 심층 면담을 통해 밝혀서 어떠한 요인들이 만성 질환에서 우울증으로 전이되며 또한 어떠한 요인이 우울증을 감소시키고 증폭시키는가를 파악하였다. 본 연구는 20명의 만성 질환 노인의 사례 연구를 통해 심층적으로 접근하였다. 질적 연구를 통한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만성 질환이 우울증으로 진행하는 우울 요인으로는 죽음에 대한 두려움, 가족 지지의 약화, 사회적 격리, 경제적 어려움의 가중, 지나온 삶에 대한 회한 등의 순으로 파악되었다. 둘째, 우울증에서 만성 질환의 치료를 악화하는 질환 요인으로는 절망감, 수면장애, 식욕부진, 약효에 대한 불신, 삶의 의욕 상실 등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만성 질환 노인의 우울 현상이 감소되는 요인으로는 종교적 믿음, 가족 지지의 강화, 자식에 대한 기대와 희망, 의존하는 자식에 대한 책임감, 현재 상태의 수용, 나보다 못한 사람 존재한다고 생각하는 심리적 안도감, 사회적 집단 생활 등의 요인으로 파악되었다. 넷째, 만성 질환에 따른 우울을 증폭하는 요인으로는 계속되는 통증, 반복되는 병원 생활, 동료의 사망과 퇴원, 의료진의 불친절, 병명의 불확실성 등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결과에 따라 다음과 같은 대안이 제시되었다. 먼저 심리적 차원의 대책으로는 우선 만성 질환자가 지금의 상태를 수용하고 질환이 노인에게 일어나는 자연스런 상태로 이를 수용하는 긍정적인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또한 만성 질환자의 심리적 안정을 위한 상담이나 교육을 통해 자신의 상태를 객관화하고 심리적으로 위안을 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 등이 대안으로 제시되었다. 다음으로 가족적 차원의 대책으로 먼저, 가족들의 손자를 동반한 만남과 빈번한 전화 면담 등으로 만성 질환 노인에 대한 지속적인 지지가 필요함을 지적하였다. 특히 손자나 손녀의 재롱과 대화가 중요하게 작용할 수 있으므로 가족을 동반한 만남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며 환자의 가족에 대한 교육을 통해 만성 질환 노인에 대한 인식의 변화가 필수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차원의 대안으로는 사회적 관계망을 좀더 확충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제시하였다. 특히 동일 질환을 가지고 있는 노인들의 만남과 교류의 장소를 마련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또한 만성 질환 노인들에게 우선적으로 경제적 차원의 도움이 필요함을 제시하였다. As the chronic disease of the aged is viewed as physical aging-related phenomenon, it is obvious that we lack the psychological-social approach to the problem, though there is an access on the medical level. Geriatric chronic diseases are mainly due to the depressive factors caused by the heavy burden following a prolonged treatment, the weakened family support and the collapse of the social relation net, and so on. We should make clear the causes of this situation and also devise proper measures to secure the emotional stability of the aged and the social relation ne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crutinize the depressive factors seen in the aged invalid by means of individual further interview and find out the general factors which can be changed into hypochondria and the particular factors which can reduce or deepen the disease. This study is carried out through case studies of 20 aged invalids with chronic diseases. The results coming from qualitativ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ly, among the depressive factors which lead the chronic disease to depression are the fear of death, the loose family support, the isolation from society, an economic deadlock, and a sharp regret for past deeds. Secondly, the feeling of desperation, sleeping disturbance, lack of appetite, distrust about the effect of medicines and loss of motivation are the causes which can hinder the treatment. Thirdly, the factors which can mitigate the affliction are one's religion, reinforcement of family support, hopes for one's sons and daughters, a sense of responsibility for them, acceptance of the existing state, a relieved feeling from the fact that there are many people suffering from bad health, and so on. Fourthly, the factors which can aggravate the affliction are continual pain, recurrent hospital treatment, the death or leaving hospital of peers, unkind medical staff and fear of an unidentified disease. The countermeasures for these problems are presented following aforementioned results. Above all, as a measure on the personal level, the chronic invalid should make desperate efforts to accept the present state and realize that chronic disease is a natural process triggered by aging. In addition, the invalid need to seek advice from a consultant, who can make him realize his condition and give comfort emotionally. Next, as a measure on the family level, the family members should give steady support to the aged invalid by means of frequent meeting and calling. Also the family members should be educated to have a correct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Finally, as a measure on the society level, it is necessary that the community need to expand the social relation net of the aged chronic invalid and provide an economic aid program as well as a suitable location for the aged invalid to meet and share their concerns one another.

      • 만성폐쇄성폐질환 유소견 성인의 폐쇄성 기류제한 상태 인지율 및 비인지 위험요인 : 제6기 1-2차년도(2013-2014) 국민건강영양조사를 이용하여

        조미래 을지대학교 임상간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만성폐쇄성폐질환의 높은 유소견율에 비해 만성폐쇄성폐질환에 대한 낮은 인지율은 문제이다. 연구의 목적은 만성폐쇄성폐질환 유소견 성인의 폐쇄성 기류제한 상태 인지율 및 비인지 위험요인을 규명하여 만성폐쇄성폐질환의 인지율 향상, 질병의 악화와 합병증 예방으로 궁극적으로 만성폐쇄성폐질환자의 삶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는데 있다. 본 연구는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2013년, 2014년)자료를 활용한 이차분석 연구이며, 제 6기 국민건강영양조사에서 폐기능 검사를 시행한 만 40세 이상-79세 이하인 자 중 폐기능 검사 소견상 FEV₁/FEV<0.7인 833명을 대상자로 선정하였다. 연구 자료 분석은 SPS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폐쇄성 기류제한 상태 인지율은 3.2%로 만성폐쇄성폐질환 유소견자 833명 중 808명인 96.8%가 질병을 인지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최근 1년간 음주빈도에 따른 폐쇄성 기류제한 상태 비인지 위험은‘월 1회 미만’을 기준으로 할 때 ‘월1~4회 정도’가 3.80(95% CI, 1.153~12.513)배, ‘주 2~3회 이상’이 4.99(95% CI, 1.221 ~20.392)배 높았다. 폐결핵, 천식 진단여부에 따른 폐쇄성 기류제한 상태 비인지 위험은 폐결핵을 진단 받은 자보다 진단 받지 않은 자가 4.20(95% CI, 1.101~16.002)배 높았으며, 천식을 진단 받은 자보다 진단 받지 않은 자가 5.98(95% CI, 1.843~19.394)배 높았다. 연속 3개월 이상 객담 경험여부에 따른 폐쇄성 기류제한 상태 비인지 위험은 객담 경험이 있는 자보다 없는 자가 3.99(95% CI, 1.509~ 10.553)배 높았다. 이상의 결과를 토대로 만성폐쇄성폐질환 위험군에게 무증상적인 기도점막의 변화와 위험요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조기발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건강교육 및 정책개발을 통하여 폐기능이 악화되는 것을 예방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