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루소의 敎育思想에 관한 硏究

        김경자 關東大學校 敎育大學院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루소 사상 형성된 시대적 배경, 그리고 그의 교육사상적 기저인 자연주의, 낭만주의, 사회존중 사상을 고찰하였다. 마지막으로 그의 아동교육과 여성교육을 중심으로 연구하였다. 그리고 전체적인 루소의 교육 사상적인 체계 속에서 특히 아동교육의 위상과 그 본질을 밝히려고 했다. 그리고 아동교육의 성격과 의미를 이해하고 해석함으로써 현대아동교육의 이념정립과 아동교육의 방향을 모색하고 그의 아동교육목적, 교육내용 그리고 교육방법이 갖는 교육적 가치를 설명해 보고자 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었다. 또한 루소 교육상의 틀 안에서 그의 여성교육 사상의 특징과 문제점을 고찰하였다. 물론 루소의 교육사상은 전통적인 교육에 대한 비판을 통해 새로운 진보적인 교육사상을 정초 지우고 있다는 점에서 현대 교육사상의 근원적인 가치를 갖는다고 할 수 있다. 루소는 권위주의적이고 형식주의적이며 교사중심의 주지주의교육과 실천과 행동 그리고 생활과 유리된 이상주의 교육이나 본질주의 교육, 주조형의 인간형성을 목표로 하는 틀에 박힌 획일적인 교육을 비판하였다. 루소는 시대와 현존사상에 대한 비판과 거부를 통해 새로운 인간과 새로운 사회, 나아가 새로운 교육이념을 추구하는데 앞장선 계몽주의시대의 혁명적 교육사상가였다. 그는 인습과 전통의 틀을 깨고서 교육의 전체적인 구조와 체제를 재구성하고 재발견하고저 했던 것이다. 루소의 교육론은 아동존중사상과 자연주의사상을 핵심으로 사회개조를 목표로 한 교육사상이며, 현대 인본주의 교육사상의 효시라 하겠다 루소는 Emile을 통해서 인간의 심리적 근거에 따라 교육을 설명하려 했다. 그러나 그 가운데 독단적인 의견과 편견도 포함되어 있으며, 한편의 진리를 제시하면서도 지나치게 과장하여 진리 그 자체를 흐리게 한 부분도 적지 않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의 예언적인 사상과 정열적인 문장에는 교육사상계에 많은 자극을 주었고, 페스탈로찌·프뢰벨·헤르바르트·케이 등 근세의 교육사상가들에게 큰 영향을 끼쳤다. 특히 20세기의 신루소주의자 엘런 키의 『아동의 세기(Das Jahrhundert des Kindes)』에 계승된 아동중심주의의 신교육론은 루소의 교육사상을 반영한 것이다. 루소 교육사상의 근본은 『Emile』에 내재되어 있다. 루소 교육사상은 '자연으로 돌아가라'를 핵심사상으로 하고 있다. 따라서 루소는 현대 교육에 있어서의 아동의 발견과 자연적 과정의 적용을 강조하는 진보주의 교육 기초를 마련해 주었다. 아동의 개성의 존중, 아동의 자유로운 활동, 경험을 통한 교육 등 듀이를 중심으로 하는 진보주의 교육자들의 주장은 이미 루소에 의해서 그 기반이 굳혀졌다고 할 것이다. 이러한 점에서 볼 때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의 의의는 지금도 매우 큰 것이라 할 수 있다. 진보주의 교육사상가들도 루소가 주장하였던 바와 같이 정치적, 정신적으로 자유로운 곳에서 개인을 교육의 주체로 삼았다 여기에서 개인은 국가보다 우위에 두는 교육이 된다 민주국가의 교육은 개인과 자유, 개성의 신장을 존중한다. 이런 이상이 존재하는 곳에서 여전히 루소의 「Emile」 정신은 살아 있는 것이다. 루소는 교육내용의 선정에 있어서나 교육방법에 있어 아동의 성장단계에 따라 방법을 달리하였던 점이 특징이다. 그는 교육에서 인위적인 요소를 제외하려고 노력하였다 그는 유쾌하게 배우게 하고, 초보에서부터 차례로 학습케 하고, 실제로 유용한 지식만을 학습시키자는 것이었다. 그리고 루소에게 있어서 이상적인 훌륭한 여성은 아내와 어머니로서 가정생활에 충실한 여성이다. 그의 여성교육의 목적은 여기에 촛점이 맞추어진다. 이상적인 여성 곧 아내와 어머니로서 가정생활에 충실한 여성을 만드는 것이 루소의 여성교육의 목적이었다. 이같은 루소의 여성교육론은 현대적 남녀평등사상에 비춰 볼 때 비판의 여지가 많은 것이 사실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루소의 인도주의적, 자연주의적 교육사상은 오늘날 우리가 채택하고 있는 민주주의 교육사상, 아동중심 교육사상, 자연주의 교육사상의 기저가 되었음이 확실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into education) thought of Roussau. The educational thought of J.J.Rousseau is characterized by Naturalism, Child-centered and Life-centered education. The Rousseau's theory of education is mostly found in 『Emile』. The educational theory of Rousseau consists of the naturalism and romanticism and his social Philosophy synthetically. J.J.Rousseau's educational aim is to recover humanity, that is, to bring a citizen i.e, citizen who continues the characteristics of natural man in civilized society. There are two methods to achieve it, one is the return to the state of nature, another the reconstruction of civil society, but the former is impossible because of the irrevocability of history therefore the latter remains. In the light educational purpose, Rousseau's educational thoughts had influence on Pestalozzi, Frobel and as well as on American progressive very deeply. The formation of a new humanism was the basic idea of 『Emile』 combining the 17th century natural scientific realism with the 18th century rationalist enlightenment thought. Also a child-centered education was the center of his thought, Rousseau thought that even in an unhealthy culture, such an education provide a base for children to be immune from social non-interference from, cold treatment, and from any temptation. They then would grow up honestly, which is his immortal contribution. His principle of teaching by real things can be said to embody a concrete educational method. As such, Rousseau's thoughts on child education exerted a great pressure on modern education. His thought, because of its contradictions and paradoxical meaning is accused of as being impractical, attaching too much importance to idealism and to the negation of science, especially in its the 18th century aspects. The education for citizenship in private education secures the freedom of individual to the utmost. The individual who acts by the conscience and reason directs the common good which is aimed by general will. Also Rousseau emphasized the law of nature in his woman's educational thought. The object of the woman's educational thought of Rousseau is to realize the figure of the ideal woman who follows nature. The ideal woman the one who is faithful in her home life as a mother and wife. The contents of the woman's education that Rousseau suggests are distinguished between the education in childhood and that in adult time. In conclusion, Rousseau tried to harmonize individual freedom with social duty through citizenship education.

      • 순수미술과 장식적 요소의 결합으로 나타나는 앙리루소(HenriRousseau)의 회화연구

        정윤희 동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루소의 회화에서는 그 시대상이 나타난다. 혹자들은 루소를 ‘일요화가’또는 ‘나이브 화가’라 치부하지만, 그의 회화에서는 그 이상의 시대적 분위기와 유행이 드러나고, 그러한 시대적 흐름 속에서 루소만의 새로운 화풍이 만들어진다. 동시대 화가들이 대부분 철학적 이념을 바탕으로 자신만의 회화 양식을 확립하고 그와 비슷한 화풍을 유지하는 사람들을 중심으로 활동 했지만, 루소는 어떠한 유파에도 속하지 않고 독학으로 회화를 한 철저한 개인주의자 이었다. 그렇기 때문에 루소를 아마추어 화가로 보는 경향이 있는데 이는 그의 회화에서 보이는 독자적인 특성, 즉 장식적이고 디자인적인 특성과 비현실적인 세계를 표현하는 관념적 특징, 그리고 원시 미술이라 불리는 ‘프리미티비즘’적 경향들을 간과해서 야기되는 결과이다. 루소의 주제는 그가 그림으로 그 시정을 담아낸 파리 교외뿐 아니라, 솔직하게 표현된 초상화, 장엄양식에 따른 알레고리, 꽃그림, 무엇보다도 파리의 공원이나 식물원, 동물원 등을 돌아다니면서 얻은 영감으로 그린 이국적이고 환상적인 정글화 등으로 다양했다. 그는 비록 정규교육을 받지 못했지만 화폭 전반을 공예가적인 자세로 열심히 채워놓는 그 나름의 철학 뿐 아니라 디자인과 구성에 대한 탁월한 직관력을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구성력과 상상력은 그를 그때까지 출현했던 다른 ‘나이브’한 화가들을 뛰어넘어 20세기에 기억할만한 화가로 남게 했다. 루소 회화는 형태의 단순화, 공간의 평면화, 디자인적인 정돈 그리고 신비스런 분위기 등으로 요약될 수 있고 이러한 요소들이 결합되어 시대를 앞선 ‘마술적 리얼리즘’을 창출해 낸다. 특히 그의 회화 속에서 표면적으로 보이는 디자인적인 형태들은 단순·조화·균형·강조·리듬 등의 조형요소들이 적절히 구사되어 뛰어난 구성력을 선보이는데 이러한 양식은 그가 즐겨 그리던 정글화 속에서 ‘프리미티비즘’적 양식과 결부돼 그만의 독특한 회화가 완성된다. 즉 ‘프리미티비즘’적 회화 속에서 보이는 장식적이고 구성적인 특징은 루소만의 새롭고 신비로운 회화를 만들어 내는데 큰 역할을 했다. 이러한 신비롭고 환상적인 화풍은 후에 있을 초현실주의를 예고한다. 본 논문은 루소의 회화 속에서‘프리미티비즘’적 요소를 찾아보고, 그‘프리미티비즘’적 경향 들이 당시 장식 미술 사이에서 유행하던 의 디자인적 요소들과 결합하여 루소의 회화 속에서 어떻게 구성되고 초현실적인 현상으로 나타나는 지 찾아보는데 의의가 있다. Paintings of Rousseau reveal the images of his era. Some refer to Rousseau as "Sunday painter" or "Naive painter", his paintings reveal ambience and trends in his era that transcends such references, and creates new style of painting unique to Rousseau in the midst of such trends of the era. Although majority of painters in the same era established one's own painting formats on the basis of philosophical ideology and performed around those who maintained similar style of painting, Rousseau did not belong to any school of painting and pursued painting entirely on his own. As such, there are inclinations of viewing Rousseau as an amateur painter. However, this is the result brought about by overlooking unique characteristic illustrated in his paintings, that is decorative and design characteristics, conceptual characteristics of expressing non-idealistic world, and trend of "primitivism" that is referred to as primitive arts. The themes of Rousseau were diverse including not only the paintings through which he captured the poetic sentiments of suburban sceneries of Paris, but also portraits with frank expressions, allegory in accordance with solemn style, paintings of flowers, and exotic and visionary paintings of jungle that he drew on the basis of the inspirations he acquiredby traveling through parks, botanic gardens and zoos in Paris. Although he had not received formal education, he not only had his own philosophy but also outstanding intuitional ability on design and composition that has filled up his canvas with the attitude of an artisan. Furthermore, such abilities in composition and imagination has made him an artist who transcended other "nave painters"who appeared before him and to be remembered as an artist in the 20th century. Paintings of Rousseau may be summarized with simplicity of form, 2- dimentionality of space, organized design and mysterious ambience. Such factors combine and generate "magical realism"that transcended the era. In particular, design formats that are illustrated artificially in his paintings, displays outstanding composition capability with appropriate command of formative elements including simplicity, harmony, balance, accentuation and rhythm. Such style, in association with the format of 'primitivism' that he enjoyed in his paintings of jungles, completes his own unique painting. That is, decorative and compositive characteristics that are illustrated in his paintings of 'primitivism' played significant role in generating unique and mysterious paintings of Rousseau. Such mysterious and visionary style of painting forecasted the arrival of surrealism. This thesis seeks to find the elements of 'primitivism' in the paintings of Rousseau, and how such 'primitive' trends combine with design elements that were trendy among the decorative arts of the era in composing the paintings of Rousseauand reveal themselves as surrealistic phenomenon.

      • Rousseau의 Emile에 나타난 고전 텍스트와 권두화의 비판적 분석을 통한 교사의 역할 탐색

        정은주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연구목적은 루소의 저서 『에밀』에 인용된 고전 텍스트와 다섯 개의 권두화를 중심으로 루소의 교사 역할관을 규명하려는데 있다. 연구방법은 해석학적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자는 두 개의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 번째 연구문제는 루소는 『에밀』에서 어떠한 고전 텍스트를 활용하였으며 인용된 고전 텍스트가 제시하는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루소가 인용한 호메로스, 플라톤, 예수 및 『성서』, 플루타르코스, 몽테뉴, 그리고 로크의 저서를 고찰하였다. 두 번째 연구문제는 루소의 『에밀』에 제시된 권두화가 시사하는 교사의 역할은 무엇인가 하는 것이다. 연구자는 호메로스의 저서를 중심으로 권두화에 등장하는 신들, 신화적 인물, 그리고 반인반마인 케이론의 성격을 고찰하였다. 연구자가 연구주제에 대한 탐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루소는 교사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교육은 교사에 의해 주도되어야 한다. 루소가 인용한 여섯 명의 인물들과 작품에서 나타난 일반적인 특징은 교육에 있어서 교사의 역할을 강조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개인의 성장과 공동체의 발전을 위한 교육은 교사의 사려 깊은 주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둘째, 교사는 탁월성과 위엄을 가져야 하며 어린이의 발달단계에 따른 덕목들을 주도적으로 지도할 수 있어야 한다. 루소는 건강한 신체와 강한 의지력의 훈련자, 사물을 이해하고 해석하는 능력, 사랑과 경건의 덕목 등을 갖춘 교사로서 탁월성과 위엄을 갖고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연구자는 루소의 교육이론을 이해하기 위한 현행의 교육연구와는 대조적으로 고전 텍스트 연구와 권두화를 통해 『에밀』을 비판적으로 분석했다. 루소는 종종 교육의 담론에서 교육의 아동중심관을 주도한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에밀』을 주의 깊게 읽으면 루소가 교사의 역할과 권위도 똑 같이 강조했음을 알게 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role of teachers delineated in Rousseau's Emile by analyzing the classic texts quoted and five frontispieces in the book. Hermeneutic method was applied for the study. Two research problems were set up. First, what kinds of classic texts were used in Rousseau's Emile and what would be the role for teachers suggested by the quoted classic texts? Selected were writings of Homer, Plato, Plutarch, Montaigne, Locke and Jesus's Biblical teachings, cited by Rousseau in Emile. The second problem was what the five frontispieces suggested with regard to the teachers' role in Emile's perspective on education. For this aspect of the study, characters of gods, myth, and the centaur, cheiron appearing on the frontispiece were analyzed and discussed in light of the writings of Homer. The conclusions regarding teacher's roles implied in Rousseau's Emile were as follows: First, Rousseau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teacher. education should be led by teacher. In observing Rousseau's six cited characters and the general features of his work, teacher's roles was characterzed as important in educating a child. Emile suggests that education for individual and community growth could be achieved by teachers’ thoughtful direction. Second, teachers should possess dignity and superior ability. They should also be able to teach the virtues of children’s developmental stage. Rousseau emphasized the excellence and dignity of teachers who possess a sound body, strength of will, understanding, love and piety. Rousseau's Emile, through classical texts research and frontispiece illustrations, is critically examined against contemporary educational research for understanding Rousseau's educational theory. Rousseau is often acknowledged in initiating the 'child-centered' view in the educational discourse. But a thoughtful reading of Emile reveals that Rousseau equally stressed the importance of the role and authority of the teacher.

      • 루소의 『에밀』에 나타난 결혼교육 : 결혼을 위한 교육과 결혼을 통한 교육

        이영진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의 목적은 『에밀』 5부를 중심으로 루소의 교육이론을 재해석함으로써 루소의 ‘결혼교육’의 의미를 드러내는 데 있다. 지금까지 『에밀』에 대한 연구들은 주로 『에밀』 1-4부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고, 5부에 그다지 주의를 기울이지 않았다. 그에 따라 루소의 결혼교육론은 루소 연구에 있어서 크게 주목받지 못하였다. 『에밀』 5부는 종종 성차별적인 교육론으로 오해되어 왔고, 정치교육은 자유를 지키기 위한 교육이 아니라 자유를 희생하더라도 평등을 유지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으로 잘못 이해되어 왔다. 또한 루소의 부모교육에 대한 강조는 에밀의 교사교육으로 대체됨으로 인해 논점이 불분명해졌다는 비판을 받아왔다. 이러한 비판들은 루소의 의도를 충분히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일어난 것이다. 루소의 의도는 에밀을 단순히 ‘자연인’이 아니라 ‘사회 속의 자연인’으로 기르는 것이다. 루소의 결혼교육은 성이나 정치 자체를 교육하려는 목적이 아니다. 그것은 자연인이자 사회인이 될 수 있는 바탕을 형성한 에밀과 소피가 실제로 사회 속의 자연인이 되도록, 나아가 그러한 사람들의 공동체를 형성하도록 ‘교육되고’ 또한 실제로 ‘되는’ 과정을 그리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한다. 그렇기에 루소의 성역할 교육과 정치교육이 ‘결혼을 위한 교육’으로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루소가 그러한 공동체의 시작을 그리고 있다고 할 때, 루소의 이론을 따라 살아가고 교육하는 부부 혹은 부모는 아직 탄생하지 않았다. 그 과제는 에밀과 소피에 이르러서 시작된다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루소는 에밀과 소피의 그러한 실천에 대해서는 그리지 않고 있다. 그러한 실천, 즉 ‘결혼을 통한 교육’은 에밀과 소피가 루소라는 교사의 충실한 제자라고 할 때,『에밀』을 1-4부를 통해 재구성함으로써 확인될 수 있을 것이다. 그렇다면 루소는 결혼을 위한 교육에서 무엇을 드러내려고 하고 있는가? 한편으로 루소는 ‘사랑의 공동체’의 구성원리와 그에 따른 두 역할에 대해 드러내고자 한다. 사랑의 공동체는 성적인 매력과 유대를 바탕으로 한다. 그러한 성적인 매력과 유대를 통해 결합한 남성과 여성은 공동체 속에서 서로 다른 두 역할을 부여받게 된다. 그 역할은 미래를 준비하면서 방향성을 제시하는 역할과 현재를 직시하면서 현실의 문제를 해결하는 역할이다. 그 각각의 역할은 서로 보완적이며 상승적이다. 전자는 후자를 전제로 하고, 후자는 전자를 통해 그 타당성을 점검받게 된다. 다른 한편으로 루소는 이 사랑의 공동체가 보다 확장된 공동체 속에서도 전과 다름없이 제 기능과 역할을 잘 수행할 수 있는 원리와 방법이 무엇인가를 드러내고자 한다. 그것은 사회계약과 사회계약의 정신인 일반의지를 이해하는 것을 통해서 가능하다. 사랑의 공동체는 이제 사회계약과 일반의지를 학습함으로써 ‘자연’과 더불어 ‘법’의 구속력을 갖게 된다. 나아가 보다 확장된 사회 속에서 조화로운 관계 맺음을 형성해 나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억압적 강제력이 아니라 자발적 규제이기에 구성원들은 여전히 자유롭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교육이 단순한 표면적 학습으로 그쳐서는 안 된다. 왜냐하면 지금까지 학습한 모든 것들은 ‘실천적 지식’들이기 때문이다. 따라서 결혼을 위한 교육은 표면적 의미를 배운 것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 삶 속에서 실천되고, 그럼으로써 확인되고 이해되고 실험될 때에만 진정으로 교육되었다고 말할 수 있게 된다. 그렇다면 루소의 결혼을 위한 교육을 성공적으로 이수한 사람의 교육실천은 어떤 모습인가? 먼저, 공동체의 모습에 대해서 살펴보면, ‘아이’는 교육의 수혜자로서 자신에게 주어진 ‘잘 규제된 자유’를 충분히 누린다. ‘부부’는 교육을 수행하는 사람으로서 서로 분업과 전문화의 원리에 따라 자녀를 교육한다. 뿐만 아니라 그러한 방식은 서로 유기적인 조화를 이룬다. 서로가 같지 않고 또한 자유롭기에 갈등은 생겨나기 마련이지만, 그러한 갈등은 쉽게 조정가능하다. 아이를 제대로 교육한 부부는 아이에 대해 교육적 권위를 갖게 되며, 부부는 일반의지라는 원칙을 내면화 하였기에 개인의지나 집단의지를 고집하지 않고, 기꺼이 옳은 원칙을 따라 분쟁을 조절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러한 모습에 비추어 교육실천의 의미를 생각해보면, 그 교육실천은 ‘자기교육적’ 성격을 갖는다. 부부는 자신들이 경험했던 자연교육을 다시 수행함으로써 그 교육을 재경험하게 되고, 그럼으로써 자신들이 받았던 교육의 의미를 이제야 제대로 이해하고, 그것을 다시 새로운 맥락에서 새롭게 적용함으로써 자신의 삶에 대해 보다 깊이 이해하고 보다 풍부하게 의미를 부여하게 되는 것이다. 지금까지 루소의 『에밀』 5부를 바탕으로 성공적인 결혼을 위한 교육과 결혼에 의한 교육적 실천과 그것이 갖는 의미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이러한 관점에서 보면 결혼은 교육적 제도라고 말 할 수 있을 것 같다. 즉, 결혼은 교육적으로 준비될 수 있고, 결혼이라는 장 속에서의 교육실천을 통해 교육적 경험과 성장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교육적 의미를 담지한 제도로 이해될 수 있다.

      • 루소의 판단력 교육 연구 : 엘베시우스에 대한 응전과 루소 사상 형성을 중심으로

        김영희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루소의 교육철학은 교육에 관한 관조와 명상이 아니라, 그것을 낳게 한 시대사조, 무엇보다 루소를 비판하던 동시대 유물론자의 도전과 그에 대한 루소의 응전의 결과이다. 이런 관점에서 본 논문에서는 계몽주의를 살피고, 루소의 도덕론과 교육사상에 대결하였던 엘베시우스의 사상과 교육론을 불가결한 주제로 간주하여 다루었으며, 이를 토대로 루소의 사상과 교육론의 고유성을 제시하였다. 루소가 직접적인 영향사 속에 들어 있었던 18세기 프랑스 계몽주의의 특징은 그들 계몽주의 사상가를 통칭하는 ‘필로조프’로 설명된다. 필로조프들은 대체로 유물론자로서, 자유의지를 거부하고 도덕적 상대주의적 관점을 나타낸다는 공통점이 있다. 루소와 대립했던 유물론자 엘베시우스 역시 필로조프 가운데 한 명이었다. 엘베시우스는 로크의 감각론을 수용하고 심화시켜 사고와 정신 기능을 감각으로 환원시키는 인식론을 제시했다. 또한 도덕의 목적을 최대 다수의 행복에서 찾았고 인간행위의 동기를 쾌락과 고통의 원리로 보았으며, 인간의 자유의지를 부정하였다. 엘베시우스는 감각하는 것과 판단하는 것이 다르지 않다고 하였으며, 이 입장은 루소와의 대표적인 논쟁으로 발전되었다. 엘베시우스는 『인간론』를 통해 루소의 내재적인 도덕관념과 도덕감정을 비판한다. 엘베시우스는 루소의 선성 개념을 거부하고, 도덕적 행위를 개인의 이익 문제로 환원시킨다. 나아가 그는 도덕을 국가에서의 입법 형태로 간주하며, 좋은 인간의 형성은 국가의 정치체제의 건전성과 좋은 법을 통해 가능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그의 사상은 교육론에서 인간 지성의 평등과 ‘교육은 무엇이든 할 수 있다’는 명제를 통해 교육의 무한한 가능성을 긍정했다. 공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 역시 유의미하다. 그러나 그의 도덕 교육론은 유년기 교육에서 주입식 도덕교육이 가능하다고 하거나, 학생 간의 경쟁심 고취를 강조하며, 학생의 흥미와 관심을 고려하지 않은 채 습관과 훈련을 강조한 점에서 다소 거칠고 섬세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반면, 루소는 판단과 감각을 동일시한 엘베시우스의 관점을 비판한다. 루소는 판단을 감각 판단에서의 수동성과 관념 혹은 비교 판단에서의 능동성으로 나누며, 오류는 감각 판단에서가 아닌, 가설이나 추측을 동반하는 능동적 차원의 판단에서 발생된다고 보았다. 루소는 이러한 오류를 줄이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경험이 중요하다고 강조하였다. 또한, 루소는 엘베시우스와 달리 도덕의 문제에서 감성과 이성을 종합하고자 노력하였다. 본 연구는 도덕감정론으로서 자기애와 이기애, 연민에 대한 논의를 다루면서도, 그동안 간과되어온 이성 발달의 측면을 부각시키며, 루소의 도덕론을 감정과 이성의 종합으로서 제출하였다. 이성은 선과 악을 분별하는 판단의 역할을 하기에, 루소의 양심이라는 도덕적 내적 감정은 이성 발달을 필수불가결하게 요청한다. 이런 의미에서 루소는 단순한 도덕감정론자가 아니다. 이성에 기초한 판단력 교육의 관점에서 루소 교육론을 분석하고, 제시하는 이 연구는 루소 연구에 대한 새로운 지평을 열어 줄 것이다. 루소의 판단력 교육은 루소 교육론의 초기 및 후기 교육을 일관하고 있다. 『에밀』 전체는 ‘이성’의 전개를 바탕으로 논의되고 있으며, 루소의 소극적 교육 역시 이 점에서 예외가 아니다. 유년기의 감각 이성 시기의 교육은 신체와 감각 훈련이 중심이 되고, 지적 이성 시기에서는 감각‧실물교육 및 인간 교육이 이루어진다. 이 시기 동안 형성된 이성의 발달은 이성이 그 근저를 이루는 도덕교육론으로 이어진다. 루소는 자기애가 양심으로 전환될 때 판단과 선악의 분별에서 이성의 역할을 강조하기 때문이다. 도덕론에서 ‘스스로 판단’할 것을 강조하는 루소의 판단력 교육은 이성의 중요한 역할을 명시화할 뿐만 아니라, 무엇보다 이성의 발달은 부단한 이성 교육의 결과임을 시사한다. 루소 교육사상의 고유성은 18세기 프랑스 유물론자에 대한 루소의 응전 속에서, 루소의 판단 이론으로 나타났다. 루소의 감각 이성과 지적 이성의 발달에 따라 감각적, 지적, 도덕적 교육을 밝혀 낸 본 연구는 소극적 교육을 다시 해석하고, 루소 교육론을 새롭게 구축할 수 있는 한 가지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것이다.

      • 루소의 자연주의 교육사상에 관한 연구

        이신지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7807

        20世紀를 풍미하고 있는 兒童 中心 敎育 혹은 進步主義 敎育의 泰斗인 루소(Jean Jacke Rousseau; 1712-1778)의 自然主義 敎育思想의 배경에는 교육에 대한 個人的인 體驗과 時代的인 環境이 크게 작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는 젊었을 때 가정 교사 체험을 통하여 교육에 대한 洞察力을 갖게 되었고, 이 때의 경험과 알게 된 인물들과의 인연을 통하여 교육에 대한 그의 사상이 정립되고, 마침내는 『에밀(Emile)』을 著述하는 데 이르렀던 것이다. 루소의 生涯는 방랑의 일생이었으며, 고난과 시련의 연속이었다. 母親의 따뜻한 애정을 받아보지 못하였던 그는 일생 동안 모성형의 여성을 찾아 방황했으며, 가정생활의 행복감을 전혀 맛보지 못했으며, 항상 현실에 만족하지 못하고 理想의 세계를 염원하였다. 感受性이 예민한 루소의 感傷的이고 반항적인 기질은 현실 속에서 理想을 追求하는 豫言者가 되게 하였다. 루소의 自然主義 敎育論은 인간의 내부에 숨어있는 자연에 대한 再發見과 그것에 대한 설명이었다. 즉 루소는 교육의 원천을 自然, 事物, 人間의 세 요소에 있다고 보았으며, 인간, 사물의 교육을 자연의 교육에 일치시켜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敎師와 事物을 통해서 인간이 태어날 때부터 지니고 있는 성향과 능력인 自然性을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敎育의 目的面에서, 루소는 자연인의 완성을 目的으로 하고 있다. 自然性과 社會性을 계발함으로써 자연인을 유능한 사회인으로 어떻게 연결시킬 것인가 하는 문제를 전제로 해서 각 발달단계에 적합한 교육목적을 설정하고, 그 단계에서 완성해야 할 目的이 있음을 主張하였다. 교육의 內容面에서, 루소는 발달 단계에 따라 교육내용이 달라져야 한다고 보았다. 感覺敎育에서 시작하여 시련을 이겨낼 수 있는 체력을 기르고, 좋은 습관을 형성하여 맨 나중의 적극적인 교육을 준비하는 내용으로 구성하였는데, 항상 아동의 直接的인 活動과 經驗을 중시할 것을 강조하였다. 敎育의 方法面에서 루소는 한마디로 自然을 따르는 교육, 즉 內的언 自然性이 발현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는 消極的 敎育 方法을 사용할 것을 주장하고, 비형식적이고 자연스러운 身體的, 道德的, 知的 그리고 宗數的 訓練을 중시하였다. 루소의 교육사상이 當代와 後代에 미친 영향은 至大하다. 아직까지 루소의 이상에 부합하는 학교는 지상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러나 그같은 이상이 존재하는 한 루소가 제안한 敎育的 理想鄕은 언제까지나 살아서 영향력을 발휘할 것이다. We can be aware that personal experience and the enviornment of the age make a great action to education in the background of the educational thought of naturalism advocated by Jean Jacques Rousseau(1712-1778), the pioneer of child-centered education or progressive education that is dominant throughout the 21st Century. When he was young, he could cultivate his own faculty of penetration into education through his experience as a tutor and also, through his experience and implications of persons became to be known to him at that time, he could establish his own thought of education, which at last led him to the writing of "Emile". His life, as it were, a constant roaming here and there and also a series of hardship and bitter trial. Without the experience of receiving any affectionate embracing from his own mother, he had a roaming life throught his life thirstily seeking after a mother-like woman longing after his own mother. Consequently, he has never experienced homely happiness and he could never be satisfied with reality all the time but wished for the realization of ideal and perfect world. Finally, he became a prophet seeking after an ideal drawn by himself appreciating peripheral reality out of his temperament being unusually sensitive in receptivity, melancholy and rebellious. Rousseau's theory of naturalistic education was to re-discover the nature concealed in man and to explain about it. In other words, he viewed that the source of education existed in three elements; the nature, things and man. He claimed that the education of man and things should be made consistent with that of the nature. The basis of his theory was that natural character of man's inherent disposition and ability should continue development through teachers and things. As to the purpose of education, he aimed at the perfection of a natural person. He claimed that, under a premise of a problem that how a natural person could be connected to a capable social person after enlightening natural and social characters, the purpose of education suitable to each development level should be established and that there is, on that level, a purpose that should be made perfect. As to the contents of education, Rousseau viewed that they should be varied according to development level. He constituted the contents of education in such a way of preparing a positive education and then cultivating enough influence that can overcome trials and then forming good habits. He always attached importance to direct activity and experience by children. As to the type of education, in short, Rousseau always claimed to employ a method for negative education that follows the nature or such a method that does not hinder the revelation of internal natural character. Also, he stressed informal and natural physical, moral, intellectual and religious trainings. Influence of Rousseau's educational ideology during his time and subsequent time is enormous. So far, there has never been realized and existed on the earth such a school that has corresponded to his ideal. However, as long as such an ideal exists, such an ideal and of education as proposed by Rousseau will be alive forever to display its influ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