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브랜드 포지셔닝 관점에서 본 한 일 캔커피 패키지디자인 비교 분석

        김나은 조선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an coffee package design between Korea and Japan, in view of on the Brand positioning Kim Na Eun Advisor : Prof. Kim Nam-Hoon Major in Package Design, Graduate School of Design Chosun University With highly advanced industrialization and rapid economic growth in the 21st century, a great number of brands and various products have been created, which provides broader ranges of choice for customers and in selecting products, they tend to select those which can satisfy their own personalities and tastes. Brands have values as brands through being recognized by customers when products trade in markets. Package design plays a significant role in helping customers to recognize the value of brand on the product. Therefore, it needs effectiveness that the value and image of a brand can be effectively delivered to customers easily and definitely while it meets emotional and aesthetic elements. That is, brand and package design has correlations and when brands can be differentiated by package designs, sales of products can increase and the brands can be competitive. As global markets are currently expanding, package design needs strategies to identify advantages and supplement disadvantages rather than it is not confined internally. In particular, Japan is advancing toward world best and we need to understand and accept characteristics of distinctive designs developed by Korea and Japan. This study investigates package designs for canned coffee developed by both countries through a comparative analysis on canned coffee package designs in a viewpoint of brand positioning and identifies similarity and differences between design elements from both countries. Based on the results, it aims to present directions on which package design of Korean products can grow according to cultural characteristics at global markets and fundamental theories for package design of future canned coffee

      • BX디자인 유형에 따른 하이브리드 자동차 브랜드 웹사이트 광고 효과 연구

        오지은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브랜드 마케팅 커뮤니케이션에 있어서 온라인 미디어의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는 가운데 자동차 브랜드 웹사이트는 소비자와 유대적인 관계를 형성하고 브랜드 경험을 제공하는 효과적인 광고 채널로 그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자동차 브랜드 기업은 웹사이트 광고를 통해 브랜드를 가시적으로 차별화시킬 수 있으며 경험적 측면에 소구할 수 있는 차별화된 디자인과 콘텐츠를 제공하여 적극적인 관심과 참여를 이끌어 내기 위해 기존의 디자인이나 광고 콘텐츠에 시각적인 경험요소를 추가하여 전략적인 BX디자인이 구축되어야 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BX디자인을 활용한 자동차 브랜드 웹사이트 광고에 대한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자는 자동차 산업에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브랜드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으며 온라인 경험제공수단인 웹사이트 광고에 있어서 효과적인 지침을 제시하기 위해 2017년 상반기 국내에서 시중판매 되고 있는 하이브리드 자동차 브랜드 웹사이트 광고에 대한 수용자의 브랜드 경험 반응을 1차 측정·분석하였으며 BX디자인 유형에 따른 시각적 표현 특징을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소비자 행동으로 이어질 수 있는 긍정적인 반응을 이끌어 내는 광고 효과에 대해 실증적으로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BX디자인을 적용한 웹사이트 광고는 광고를 경험적 접근 방식으로 제시함으로써 의도적으로 광고 수용자의 인지적, 감정적, 행동적 반응을 이끌어내 소비자 반응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온라인상에서 브랜드 경험을 높일 수 있는 방안으로 BX디자인을 활용한 웹사이트 광고에 대해 정의하였으며 기존 연구에서 논의가 되고 있지 않은 BX디자인 유형에 따른 웹사이트 광고 효과에 대해 검증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제언을 바탕으로 온라인 브랜드 경험 광고에 대한 다양한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어 기업들이 보다 효과적으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는 광고를 집행하는데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While the influence from online media on corporation marketing has been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brand Web site for automobile companies is also increasing as an effective advertisement channel to creat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and provide brand experiences with them. Automobile companies can visually differentiate their brands through Web site advertisement. In order to drag out active attention and participation from consumers, they need to construct strategic BX design with differentiated design and contents to appeal on consumers’ empirical aspects by adding visual elements on their existing design or advertising contents. However, the study about brand website advertisement for automobile companies is insufficient. Accordingly, I selected the hybrid automobile brands which are a steadily growing industry as a subject of my study. This study has been conducted to analyze strategy research based on advertising effects of brand website for hybrid automobile companies by their BX design types in order to propose effective guidelines on website advertisement for automobile companies. This study first measured and analyzed the experience reaction of consumers on website advertisement for hybrid automobile company brands that have sold in the market during the first half of 2017 and deducted features for visual expression by BX design type. With the result, I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advertisement effect to create positive reactions which connect to consumer’s behavior. The conclusion from the study result is as follow. I discovered the website advertisement with BX design has an influence on consumer’s response by suggesting empirical approach method to intentionally elicit cognitive, emotional, and behavioral responses from consumers of the advertisement. Based on the study, it was verified that website advertisement for hybrid automobile company brand can intentionally stimulate recognition response, emotional response and behavioral response from consumers of the advertisement according to BX design expression type and that this advertisement method is appropriate to create communication with consumers on empirical aspect This study defined the advertisement method using BX design as a measure to increase brand experience on online and verified the advertisement effect of websites using BX design types that haven’t discussed in the existing studies. I expect that hereafter researches would help companies to execute more effective method about experiment advertisement for online brand by containing limits of this study and proposals for hereafter studies.

      • 한국기업의 중국진출을 위한 브랜드디자인 연구 : 브랜드네임과 색채를 중심으로

        이명옥 강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감성문화의 세기”, “브랜드중심의 세기”라 일컫는 오늘날, 국제시장에서의 경쟁이 날로 치열해 짐에 따라 기업의 핵심적 과제는 마케팅에서 브랜딩으로 경영 패러다임이 급속도로 바뀌기 시작했다. 그만큼 현대 소비자들의 상품구매 의사결정에 있어서 브랜드 요소가 큰 영향력을 갖고 있다. 특히 기업들은 자사의 브랜드를 자국의 시장에만 국한시키는 것이 아니라 국제 브랜드로 그 위상을 높이려 한다. 이러한 시점에서 자국의 브랜드를 글로벌화 할 때 각 국가별 문화에 쉽게 적응할 수 있는 전략과 디자인이 성공의 관건이 되고 있다. 중국시장은 세계 기업들의 각축장으로써 세계 500대 기업이 대부분 진출한 현황이다. 최근 십여 년 사이에 한국 브랜드의 중국시장 진출은 급속한 증가추세를 보이고 있다. 당초 단순히 저임의 노동력을 확보하기 위해 시작된 중국 투자가 이제는 중국의 거대한 내수시장에서의 판매 확대를 목적으로 전환되어 가고 있다. 그러나 중국의 내수시장은 이미 상당한 시장을 선점한 선진국의 다국적 기업들과 최근 급속성장하고 있는 중국 기업들과의 치열한 경쟁을 요구하고 있어 한국 진출 기업들이 성공적인 비즈니스를 영위하는 것이 결코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의 목적은 중국에 진출한 한국기업 브랜드 사례를 중심으로 브랜드 디자인의 문제점과 성공 요인을 연구 분석하여 한국기업의 중국 시장에서의 효과적인 브랜드 전략을 제시하는데 있다. 연구문제는 한국기업들이 중국시장 진출 시 브랜드 디자인에서 브랜드네임으로서의 중요성과 색채로서의 중요성 두 가지로 제시한다. 글로벌 브랜드 전략에 대한 이론적 기초를 바탕으로 하여 중국에 진출되어 있는 대표적 성공기업인 오리온 초코파이, 이마트, 농심-신라면; 그리고 브랜드 디자인에 문제점이 있는 기업인 백볼트, 웅진코웨이, 해찬들, 아가방 등 브랜드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하여 이들 기업의 성공요인과 문제점을 검증하였고 나아가서 글로벌 기업으로서의 브랜드디자인 마케팅의 중요성을 도출하였다. 분석된 자료를 총론적으로 볼 때 이론적 문헌조사, 중국현황조사, 사례연구, 등 과정을 통하여 브랜드 네임과 색채로써 對중국 진출의 한국기업들의 브랜드 디자인 발전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즉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시각적 커뮤니케이션이 조화를 이루어 중국 소비자들의 감성을 자극하고 그들의 마음을 사로잡아 사랑을 받을 수 있는 한국기업 브랜드만의 독특한 이미지를 키워 이를 통해 한국기업 브랜드의 對중국 진출사업에서의 더욱 강력한 경쟁력과 브랜드 디자인의 발전을 위한 연구의 결과를 도출 하였다. Today named “century of sensitive culture”, “century of Brand point”, Management paradigm is changing that firm’s core missions are breading according to competition is more and more hot on international markets. It shows Powerful influence to consumers’ making intention for commodities purchasing brand factors. Especially, not only enterprises are limited to the brand domestic markets, but also progress images as international brands. It is a point that strategies and design at this point of time like that domestic brand globalization get acclimated to each countries culture easily. China market is sharp contest area which all of Top 500 Multinational corporations entries nearly. It shows increasing trends rapidly with Korea enterprises brands enter China markets. The beginning of investments to China Towards to get low income labors is exchanging to targeting extension of the largest domestic demand markets. However it asked hot competition in domestic markets by prior occupational Multinational corporations of developed countries and local firms are growing rapidly in China. Therefore Korea enterprises of China entry is not easy that business operating successfully. This thesis based on theoretical foundations of brand design and global brand strategies, also focusing on brand name and color, examine the factors and problems, besides point up the importance of brand design marketing as a global corporations through had investigated the brand that Orion-chocopie, E-mart, Nongshim-shinramyun, as representative succeed corporations, and 100Volt, Woongjin coway, Haechandle, Agabang and so on has the problems for design. This study had suggested design improvement strategies as brand name and color through theoretical investigation, local survey, case study etc. for Korea enterprises in China. Exactly, linguistic communications and visual communications is harmonized, in order to excite sensitivity of Chinese consumers and take hold of their attachment, growing special brand image of Korea enterprises. It has the significance that is groundwork for a stronger competitive power and development of brand design by brand of Korea enterprises on China business.

      • 국내 플라워디자인 브랜드 활성화 방안

        양성은 경희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2000년대에 들어 기업들은 정보화 시대에 기술 정보가 일반화되어 품질 우위나 가격 경쟁력만으로는 제품의 판매가 어려워 차별화의 유일한 대안으로 브랜드를 선택했다. 브랜드를 통한 제품의 이미지가 구매에 더 큰 영향을 미치게 되었으며 무형 자산으로서의 브랜드 가치가 기업 자산이 되는 브랜드경영 시대에 접어들고 있다. 이에 국내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업계에서도 해외의 유명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의 벤치마킹 후 브랜드 개념을 도입하여 변화를 추구하고 있다. 또한, 디지털 시대의 환경변화에 따른 소비자들의 구매방법과 선호도의 변화가 급격히 이루어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플라워 상품은 대부분 플라워 숍에서 구매하나 인터넷 사용 인구의 증가와 함께 전자상거래를 통한 구매경향이 급속도로 증가될 것으로 전망되면서 브랜드의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는 추세이다. 그러나 국내의 플라워디자인 업계는 브랜드의 개념이나 브랜드의 필요성에 대해 인식이 부족하고, 플라워디자인 브랜드에 대한 선행연구 결과가 미비한 상태이다.국내의 대부분의 플라워 숍들은 브랜드화가 되어있지 않고 개인 디자이너 숍으로 운영되고 있다. 플라워 디자이너브랜드 숍은 플라워디자인의 예술적인 측면은 뛰어나나 브랜드 이미지나 마케팅 전략이 부족한 실정이다. 몇몇 국내 플라워 디자인의 숍에서는 상업적 마케팅전략을 실행하여 플라워디자인 브랜드화 하고 있으나 디자인적 사고가 취약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내의 플라워디자인 브랜드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위하여 플라워디자인과 브랜드마케팅을 연구하여 플라워디자인 브랜드를 정립하고자 한다. 그리고 국내와 국외의 플라워디자인 브랜드들의 사례를 분석하여 국내의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의 개선방향을 제안하고자 한다. 첫째, 브랜드 컨셉 및 포지셔닝 전략은 국내 플라워디자인 브랜드들이 타 브랜드와의 디자인 브랜드로서의 차별화된 컨셉과 포지셔닝 전략을 일관적이고 지속적으로 관리하여 국내 시장에서 자리를 잡아야 한다. 둘째, 국내 플라워디자인 브랜드들은 국외 플라워디자인 브랜드에 비해 인지도가 낮은 상태이며, 대부분은 플라워디자인 브랜드에 대해 무지한 상태이다. 시장탐색을 통하여 플라워디자인 브랜드들은 시장에서의 위치를 파악하고, 브랜드 수명주기에 따라 관리해야한다. 셋째, 플라워디자인 브랜드들은 상품, 서비스, 인적 교육, 경로, 브랜드 이미지 등의 차별화 전략을 통하여 경쟁적 우위를 획득하여야 한다. 넷째, 전자상거래를 통한 구매가 상승하는 디지털 시대의 흐름에 맞춰, 국내 플라워디자인 브랜드들도 인터넷을 통한 브랜드 구축을 해야 한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적용하여 국내의 플라워 디자인 브랜드들이 체계적이고 차별화된 이미지의 강력한 브랜드로 국내 고부가가치의 플라워 산업시장 뿐만 아니라, 세계적인 글로벌 브랜드로서 성장할 것으로 기대된다. As technical information has become common since 2000 in the era of information, Enterprises have chosen product differentiation as a sole alternative after realizing that only the quality superiority or price competitiveness make it hard to sell products. Product images associated with a brand have a great deal of influence in the purchasing decision and we enter a new era in brand management in which the value of a brand name becomes the property of an enterprise. Therefore, domestic flower design brand business has introduced the concept of a brand after benchmarking international well-known flower design brands. The majority of domestic flower shops are run as private designer shops without brands. Flower designer brand shops have much skill in artistic aspect, yet brand images or marketing strategies are invisible. Although several domestic flower design shops attempt to establish unique brand identities by pursing commercial marketing strategies, the concept of design still seems weak. In addition, the methods and preferences in purchasing have been rapidly changed by the change in digital environment. In general, flower products are purchased at flower shops, yet the importance of brands emerges as the purchasing tendencies through electronic commerce are expected to grow rapidlywith the growth of the internet -using population. But, domestic flower design business is lack of the recognition of the concepts of brands or the importance of brands and the outcomes in previous studies on flower design images are not noticeable. This study aims to establish flower design brands by examining various flower designs and brand marketing in order to conduct the study on domestic flower design brands. And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reform direction by analyzing the examples of domestic and international flower design brands. Firstly, brand concepts and positioning strategies should be a growing trend asdomestic flower design brands manage the unique concepts and positioning strategies in comparison with other design brands consistently and continuously. Secondly, domestic flower design brands are relatively lower in brand recognition than international flower design brands, and most domestic flower design brands are ignorant about flower design brands. Flower design brands should understand and manage their positions in markets with regard to the duration of brands by researching markets. Thirdly, flower design brands should achieve superior competitive power through products, services, personal education, courses, brand images and etc. Lastly, domestic flower design brands should establish brands through the internet with regard to the flow of digital era which increases purchase over electronic commerce. Applying the outcomes of this study, domestic flower design brands are expected to become well-known global brands as well as domestic high-profit flower markets by systematical and powerful brand images.

      • 가상가치평가법(CVM)을 이용한 디자인가치평가에 관한 연구 : 브랜드디자인을 중심으로

        번강강 전북대학교 일반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Recently, with the increase of enterprise competition, design also needs new evaluation method in response to changes in the marketing environment. The innovative and creative characteristic of design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 products differentiation process, but it is still hard work to grasp consumers' demands which are so personal and uncertain. Therefore, on the basic of brand design, this study newly evaluated the design value by using Contingent Valuation Method (CVM). Till now, research on consumers mainly focus on products' price and functions, however, with the enhancement of influence of brand and the intangible part such as service, a new evaluation method which is more comprehensive is urgently needed. To create brand value, a huge market cost is needed s well as advertising expense. In the design field, most of the existing researches pay more attention to design preference and consumers’ emotional appeals rather than consumers' demand and design's direct value. So, in this study, CVM was leaded in, which could evaluate the product design value and consumers’ need directly. By comparing the main present research methods used in design field and introducing the CVM, the difference between design value standard and competing products could be judged and predicted. Particularly for brand design, the application of preset price and percentage conversion methods is able to help the standard of consumers' value judgment formed in new products development. Further more, the CVM evaluation method could possibly be used not only in brand designI, but also in other variety of design fields. 1) The CVM evaluation model is able to help the standard of consumers' value judgment formed in new products development. 2) The CVM could be applied not only in brand design, but also product design, environment design field and so on. The process of CVM research with payment card form is as follows: select sample,, input collected data, analysis the data to get the preset price, analysis the result to see whether the preset price is suitable. The CVM used in this research could be applied as a more scientific and rational research method in design evaluation field. For the design contingent valuation, more areas should be integrated. In other words, design evaluation should be regarded as a sustainable study.

      • 금융기업의 브랜드디자인경영 프로세스 구축에 대한 연구 : 서비스디자인을 중심으로

        전혜영 高麗大學校 工學大學院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3

        현대사회에는 새로운 기술의 발전과 산업구조의 변화로 인해 날로 치열해져만 가는 경쟁사회 속에서 차별화라는 명제 하에 브랜드가 넘쳐나고 있고, 이러한 치열한 경쟁상황에서 영속하는 기업이 되기 위해서는 기업이 추구하는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소비자가 연상하는 브랜드 이미지와 일치하여 소비와 재생산으로 이루어지는 순환구조를 가동시킬 수 있도록 하는 브랜드 동시성(Brand Synchronism)을 이루어내는 것이 기업의 필수 조건이 되었다. 현대사회의 산업구조는 산업시대를 거쳐 정보화시대로, 현재는 고도정보화시대에서 감성시대로 들어가고 있는 시점에 있고, 각 국가의 산업 비중이 제조산업에서 서비스산업으로 옮겨져 가고 있다. 최근 금융산업에서 나타나는 경쟁의 가속화는 고객 중심적 서비스를 통하여 보다 효과적인 고객가치 창출을 모색하게 하였고, 여기에서 디자인 중심의 혁신 방법론이 주목을 받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변화에도 불구하고 유형의 제품을 판매하는 제조업의 경우 시대환경의 변화에 맞추어 브랜드디자인경영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는데 반해 브랜드 경영과 디자인 경영을 통시적 기업전략으로 활용하고 있는 금융기업 – 무형의 상품, 서비스를 판매하는 서비스기업 - 은 거의 전무한 것이 현실이다. 금융에 대해 현대사회 소비자는 단순한 금융거래가 아닌, 삶의 복지(Life Care)와 같은 복합금융 형태를 강력히 원하기 시작하였다. 그만큼 금융기업에서도 고객에게 가치를 창출해 주는 서비스디자인과 브랜드의 자산가치를 제고시켜 줄 수 있는 브랜드디자인경영 – 디자인 중심의 통시적 브랜드 관리체계 - 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이런 시점에서 본 연구는 서비스 상품을 기반으로 하며, 현재 가장 극심한 시장환경의 변화를 겪고 있는 금융기업에게 고객가치를 창출하고 브랜드 자산가치 제고를 효과적으로 구현하기 위한 방안으로써 브랜드디자인경영 프로세스를 제안하고 이를 서비스디자인과 연계하여 실행해야 하는 중요성을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구성하였다. • 금융기업, 서비스기업, 브랜드 경영, 디자인 경영, 브랜드디자인경영, 서비스디자인의 개념 이해 및 상관관계 규명 • 금융기업의 서비스디자인과 브랜드디자인경영과의 상관관계 규명 • 브랜드 자산가치 제고를 위한 브랜드디자인경영 프로세스 구축 이러한 내용을 중심으로 문헌조사와 실증적 사례 연구들을 토대로 분석하여 도출한 제안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금융기업을 포함한 서비스기업에게 산업의 패러다임이 제조업에서 서비스업으로 이동하고 있는 만큼 시장에서 경쟁우위를 선점하기 위해서 차별적인 서비스와 이를 통한 고객가치를 창출하기 위한 서비스디자인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다. 이 때문에 금융기업은 서비스디자인을 중심으로 소비자들의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해주며 총체적인 브랜드 경험을 구현하기 위한 노력을 전개하여야 한다. 둘째, 브랜드디자인경영 프로세스는 디자인을 중심으로 브랜드를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브랜드 경영과 디자인 경영의 개별적 관리 영역에서 확장하여 통시적 관점에서 디자인을 중심으로 브랜드 전체를 지속적으로 관리하는 기틀을 마련하는 기업경영체계이다. 브랜드와 디자인은 상호보완관계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그간의 디자인 경영은 주로 디자인 개발에 초점을 두었으며 브랜드 경영은 마케팅 관점에서 브랜드 자체의 관리에 초점을 두고 있었다. 이제는 서비스기업도 ‘디자인 경영’ 이나 ‘브랜드 경영’을 각각의 독립된 별개의 개념으로 다루기보다는 브랜드 자산가치의 제고를 궁극적인 목적으로 통시적 개념인 브랜드디자인경영을 구현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금융기업의 브랜드디자인경영 실행 프로세스를 제안하였고, 금융기업은 브랜드디자인경영 프로세스의 지속적인 실행을 통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브랜드 이미지간의 간격(gap)을 줄여 브랜드 동시성을 실현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였다. 셋째, 서비스기업의 서비스디자인은 고객에게 차별화 가치를 제공하여 경쟁우위 선점을 가능하게 하지만 브랜드디자인경영과 연계되어 실행되어야만이 궁극적 목적인 기업의 브랜드 자산가치 제고로 이어질 수 있다. 본 연구의 브랜드디자인경영 프로세스 설계 과정은 브랜드 경영의 특성과 디자인 경영의 특성뿐 아니라 금융기업의 서비스상품 특성인 무형성, 비분리성, 소멸성, 이질성을 고려하여 서비스의 차별화를 가능하게 하는 서비스디자인과 브랜드디자인경영과의 상관관계를 고찰하며 진행되었다. 서비스디자인은 브랜드디자인경영 프로세스 단계 중 통합 커뮤니케이션단계(Integrated Communication)와 가장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고객과 브랜드가 커뮤니케이션하는 모든 접점에서 서비스디자인이 제공하는 브랜드 체험이 브랜드 아이덴티티와 일치하여 소비자의 브랜드 이미지 연상으로 이어질 때 비로소 서비스디자인이 효과적으로 브랜드 자산가치를 높이는데 기여했다고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의 가치는 금융서비스기업에게 서비스의 차별화를 목적으로 디자인적 사고 및 서비스디자인을 활용하여 고객 중심적 브랜드 경험을 제공해야 하는 중요성을 제시했다는 점과 브랜드 자산가치 제고를 목적으로 브랜드 동시성을 실현시킬 수 있는 기업경영체계인 브랜드디자인경영 프로세스를 제안했다는 점에 있다고 할 수 있다. 특히 금융기업의 기업 내에서 분리적으로 시행되었던 브랜드 경영과 디자인 경영의 통시적 관점에서의 융합과 새로운 정합적 프로세스를 도입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갖는다고 판단된다. 이러한 브랜드디자인경영 프로세스는 금융기업 외에도 서비스를 제공, 판매하거나 브랜드 동시성을 실현시켜 브랜드 자산가치를 높이는 기업경영체계를 필요로 하는 기업들에게 확대되어 기업가치를 창출하고 차별화된 경쟁우위를 선점하는 데에 도움이 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를 통해 서비스 경제시대의 서비스기업들에게 서비스디자인에 대한 고찰과 함께 브랜드디자인경영 프로세스를 제안함으로써 향후 기업경영전략 수립에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본다.

      • 지역방언이 브랜드디자인에 미치는 영향

        김진아 조선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3

        오늘날 지역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역 상품의 개발이 발전되고 지역의 브랜드 디자인 또한 다양화되고 있다. 브랜드 디자인은 소비자와 브랜드 간 장기적인 유대관계를 구축시켜 준다. 브랜드의 정체성을 제시하기도 하고, 각종 의사결정을 하는 데 도움을 주기도 한다. 좋은 브랜드 디자인은 지속 가능한 성장을 보장해 주기도 한다. 특히 차별화된 브랜드디자인의 경우, 그 효과는 배가 된다. 지역 소멸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는 지금, 오히려 지역의 희소한 가치가 주목받으면서 지역방언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우리나라에는 각 지역마다 저마다의 언어 즉 방언이 있다. 지역방언은 각 지역의 언어적 특색은 물론 문화이자 지역 사람들의 살아온 삶을 보여주는 매우 중요한 요소이다. 표준어 사용이 강조되며, 과거에 비해 방언 사용이 다소 줄어들고 있지만 지역방언 사용은 여전히 현재진행형이다. 일상적인 대화나 모바일 메신저를 통한 개인 단위 사용은 물론이고 지역사회나 소수민족, 특정 집단이나 커뮤니티 등에서 자주 사용된다. 이는 지역의 문화와 정체성을 반영하기에 사회적 연결과 소속감을 형성하는 데 기여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지자체 등 공공기관에서는 홍보 마케팅 수단으로도 지역방언을 사용한다. 또한 소셜미디어를 포함한 다양한 미디어에서도 지역방언 사용의 브랜드 사례를 발견할 수 있다. ‘지역의 특색을 나타내는 브랜드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 지역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브랜드 디자인 중, 홍보 문구로 지역방언이 활용되는 예가 종종 있다. 지역을 중심으로 상품을 만들 때 해당 지역의 방언을 떼어놓고는 온전히 그 지역의 정체성을 표현할 수 없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것이 실제 브랜드로 구체화된 경우는 많지 않다. 기존 연구는 브랜드디자인 중 지역방언을 활용한 브랜드의 다양한 디자인 연구 관점에서 진행되었다. 이에 반해 본 연구는 지역방언이 브랜드디자인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지역방언 브랜드 요소를 매개로 하여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까지 입증함으로써 점점 사라져가는 지역방언의 활용이 브랜드디자인 가치 제고에 효과가 있음을 증명하고자 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역방언을 활용한 브랜드디자인 사례에 대한 디자인 요소와 감정반응, 브랜드 태도와 구매의사 및 구매 후 추가행위 의사 등에 대해 분석과 설문 조사를 통해 분석하고, 지역방언을 활용한 브랜드디자인의 브랜드 가치를 높여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고, 자리매김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연구의 목적을 두고자 했다. 이를 위하여 연구는 총 5장의 구성으로 진행하였다. 서론에서는 브랜드디자인 개발의 배경과 지역방언에 대한 세부적인 연구의 목적을 통해 논문의 구성을 제시하였다. 본론에서는 브랜드디자인과 지역방언, 브랜드태도에 대한 개념을 토대로 특성을 파악하였고, 지역방언 브랜드 요소를 도출해 냈으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연구모형과 가설을 제시하였다.사례조사는 국내외 방언브랜드에 대한 분석표로 구성하였으며, 연구방법으로는 브랜드디자인을 독립변수로, 브랜드태도, 구매의사를 각각의 종속변수로, 지역방언브랜드 요소를 매개변수로 설저하여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가설을 토대로 연구의 결론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지역방언 브랜드는 브랜드 디자인과 브랜드 제품 태도 간 관계에서, 브랜드 디자인과 구매의사 간 관계에서 매개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지역방언 브랜드 매개효과는 브랜드 디자인과 브랜드 제품 태도 간 관계보다는 브랜드 디자인과 구매의사 간 관계에서 좀 더 크다는 것을 실증적인 분석을 통해 확인 할 수 있었다. 이는 지역방언이 특정 지역이나 집단에서 사용되는 언어의 변형으로 그 지역이나 집단의 독특한 문화와 정체성이 반영된다는 것을 바탕으로 브랜드디자인에 지역방언을 활용함에 따라 소비자들이 브랜드와의 강한 정서적 연결을 형성할 수 있는지를 탐구한 것이다. 그리고 연구 결과, 브랜드디자인이 지역방언 브랜드에 매개했을 때 브랜드태도와 구매의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본 연구는 선행연구의 사례 미흡으로 인해 다소 주관적일 수 있으나 통계분석 결과를 통해 표준화한 바 신뢰도가 확보되었으므로 향후 지역방언을 활용한 브랜드에 대한 선례가 되길 희망한다. 나아가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지역방언이 브랜드디자인에 효과적으로 활용되어 소비자들과 강한 정서적 연결을 형성하고, 지역의 문화와 지역 기반의 경쟁력을 높이며 제품에 대한 구매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지역방언을 활용한 브랜드의 자료들이 후속 연구 및 긍정적인 변화의 가능성을 모색하였다는 점에서 그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지역방언 브랜드디자인은 one of them이 아닌 only one 브랜드를 추구하는 시대의 흐름에서 지역성과 고유성 외에 상품성에도 긍정적 영향을 주게 되어 디자인 마케팅 영역에서 더욱 활발하게 적용될 것이다. 지역에 대한 인식이 변하고 있는 요즘, 지역방언 또한 우리의 소중한 문화유산임을 인지함과 동시에 본 연구자료가 향후 지역브랜드 개발에 있어 ‘지역’이 새로운 문화로 발돋움이 되기를 희망하며, 지역을 방문하는 이들의 재방문의도 및 추천 의사의 증가로 지속적인 지역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The Impact of Regional Dialects On Brand Design Kim Jin A Advisor : Prof. Lim Chae Hyeong Department of Design Graduate University School of Chosun Today, as interest in the region increases, the development of local products is developed, and local brand design is also diversifying. Brand design builds long-term ties between consumers and brands. It presents the identity of the brand and helps make various decisions. Good brand design also guarantees sustainable growth.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differentiated brand design, the effect doubles. Now that we are facing an era of regional extinction, interest in local dialects is increasing as rare values of the region are attracting attention. In Korea, each region has its own language, or dialect. The local dialect is a very important element that shows the linguistic characteristics of each region, as well as the culture and the lives of local people. The use of standard language is emphasized, and the use of dialect is somewhat decreasing compared to the past, but the use of local dialect is still ongoing. It is frequently used in local communities, ethnic minorities, specific groups, or communities, as well as in the use of individual units through daily conversations or mobile messengers. This is because it contributes to the formation of social connections and a sense of belonging by reflecting the culture and identity of the region. Therefore, public institutions such as local governments also use local dialects as a means of public relations and marketing. In addition, brand examples of the use of local dialects can be found in various media including social media. What are some brands that represent the characteristics of a region? Among brand designs created around the region, the local dialect is often used as a promotional phrase. This is because when creating a product centered on a region, the identity of the region cannot be fully expressed without the dialect of the region. However, this is not often embodied as an actual brand. Existing research has been conducted from the perspective of various design studies of brands using local dialects among brand designs. On the other hand, this study attempted to prove that the use of increasingly disappearing local dialects is effective in enhancing the value of brand design by demonstrating the influence of local dialects on brand design through local dialect brand elements as a mediu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design elements and emotional responses to brand design cases using local dialects, brand attitudes and purchase intentions, and additional actions after purchase through analysis and questionnaire surveys, and to find ways to revitalize and establish the local economy by increasing the brand value of brand design using local dialects. To this end, the study consisted of a total of five chapters. In the introduction, the composition of the thesis was presented through the purpose of detailed research on the background of brand development and local dialect. In the main body, characteristics were identified based on the concept of brand design, regional dialect, and brand attitude, local dialect brand elements were derived, and research models and hypotheses were presented based on previous studies. The case study consisted of an analysis table for domestic and foreign dialect brands, and as a research method, brand design was designed by setting brand design as an independent variable, brand attitude, purchase intention as each dependent variable, and local dialect brand element as a parameter, and the research hypothesis was verified. Finally,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were drawn based on the research hypothesi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local dialect brands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design and brand product attitude, and between brand design and purchase intention, and that the mediating effect of local dialect brands was greater in the relationship between brand design and purchase intention than between brand design and brand product attitude. Based on the fact that local dialects reflect the unique culture and identity of a region or group as a transformation of the language used in a specific region or group, it was explored whether consumers could form a strong emotional connection with the brand by using local dialects in brand design. And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brand design had a positive effect on brand attitude and purchase intention when mediated by local dialect brands. However, although this study may be somewhat subjective due to the lack of cases in previous studies, it is hoped that it will set a precedent for brands using local dialects in the future as it has been standardized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results. Furthermore,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local dialect will be effectively utilized in brand design to form a strong emotional connection with consumers, increase the competitiveness of local culture and regional base, and promote the purchase of products. In addition, the value of brand data using local dialect can be recognized in that it sought the possibility of follow-up research and positive change. In conclusion, local dialect brand design will have a positive effect on marketability in addition to locality and uniqueness in the trend of pursuing only one brand instead of one of them, which will be applied more actively in the field of design marketing. In these days, when the perception of the region is changing, we recognize that the local dialect is also our valuable cultural heritage, and at the same time, we hope that the "region" will become a new culture in the development of local brands in the future, and it is expected that this research material will contribute to the continuous revitalization of the local economy by increasing the willingness to revisit and recommend the local visitors.

      • 브랜드디자인의 평가기준에 관한 연구 : 디자인 어워드 기준을 중심으로

        최효진 성균관대학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사회변화에 따라 수많은 브랜드가 나타나고 사라지기를 반복하는 브랜드 홍수의 시대에 브랜드이미지를 소비자에게 각인시킬 수 있는 방법은 진정성 있는 브랜드디자인이다. 이러한 브랜드디자인은 프로세스가 진행되는 과정이나 끝난 다음에도 브랜드의 핵심이자 본질인 아이덴티티와 관련지어 평가가 되어져야 제대로 유지 및 관리가 될 수 있다. 본 연구는 브랜드디자인의 합리적이고 타당한 평가기준을 알아보기 위해 먼저 공신력 있는 국내외 주요 디자인 어워드를 연구범위로 지정하였고 그 중에서 브랜드디자인을 평가 할 수 있는 디자인 어워드를 선정하였다. 국내외 디자인 어워드의 평가요소를 종합적으로 비교조사 한 결과, 총 24개의 평가요소(독창성, 사용성, 심미성, 경제성, 고객지향성, 환경성, 형태, 컨셉, 내구성, 생산성, 유니버셜, 혁신성, 실용성, 편의성, 윤리성, 사회성, 통합성, 기능성, 인간공학, 시장성, 안전성, 외부조화, 감성, 완성도)로 정리될 수 있었으며 이 중 개의 평가요소(심미성, 적용성)가 브랜드디자인을 평가할 수 있는 요소로 나타났다. 이 2개의 평가요소 중에서도 주로 심미적인 미적표현에 중점을 둔 평가가 이루어져 있었으며, 브랜드의 본질이나 개념이 디자인에 구체화 되어있는지 또 평면적인 부분을 넘어 입체적인 부분의 사용성이 고려되었는지 더 나아가 시대변화에 따라 일관적이며 지속적으로 나타나는지에 대한 평가요소가 없어 심도 있는 평가는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브랜드의 무형적인 가치를 디자인을 통해 조형적으로 함축시켜 잘 나타나게 하는 것은 중요하다. 하지만 브랜드에서 보이는 것은 로고 외에 상품, 건축, 기업의 경영활동, 서비스 등 소비자에게 실제로 영향을 미치는 총체적인 부분에서 나타나기 때문에 2차원적인 평가요소에서 다차원적인 평가요소로 평가기준을 확장시켜 브랜드 디자인을 평가하여야 한다. 즉, 브랜드디자인의 평면적인 적용에 대한 부분과 브랜드 경험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부분을 평가 할 수 있는 통합적인 평가기준이 제시되어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디자인 어워드에서 이러한 평가요소를 보완한다면 진정성 있는 평가에 중요한 척도가 될 것이고, 이러한 기준으로 선정된 브랜드디자인을 발표함으로서 소비자와 기업, 사회에 우수한 브랜드디자인이란 무엇을 고수하고 무엇을 추구하는 해야 하는가에 대한 기준의 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브랜드 디자인에 나타난 미적 가치가 추가비용 지불의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지각된 혁신성의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고진규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research about the effect of aesthetic value shown in brand design on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 : based on mediated effect of recognized innovativeness I intended to suggest frame work for aesthetic value of brand design as the measure regarded as competitiveness of the company in the phenomenon that improvement of consumption level and technology level are standardized. Especially, I tried to examine what recognition consumers actually have on aesthetic value of brand design aside from perspective of the company. Lastly, I intended to see the relation between innovativeness, that recognition level shown in aesthetic design of brand design perceived, and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 I suggested 5 kinds of initial composition factor about aesthetic value of brand design by conducting in-depth interview of majors in 20s and experts. But, through the process of reliability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I finally deducted 4 things(aesthetic, practicality, identity, briefness) as recognition level to aesthetic value of brand design. The survey to verify research hypothesis was conducted targeting 351 students and company workers who live in Seoul and capital area from 18th April to 3rd May in 2016. Firstly, I eventually composed measurement questions through reliability analysis, EFA(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FA(Confirmatory Factor Analysis). Also I used SEM(Structual Equation Modeling) to verify research hypothesis and Multiple Regression to verify relation between meaningful factors empirically. As a result of research, the relation among aesthetic value of brand design, perceived innovativeness and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 was shown all positive. Therefore, aesthetic value of brand design is shown to affect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 directly and it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affects between aesthetic value of brand design and willingness to pay additional cost while the path through perceived innovativeness which is mediator variable shown significantly.

      • 중소기업의 이미지개선을 위한 브랜드디자인 개발사례 연구 : B2C사업진출을 위한 통합브랜드 개발을 중심으로

        허재연 인천대학교 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중소기업이 차별화된 이미지개선를 위해 브랜드디자인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소비자가 기업 브랜드이미지에 대한 공감대가 동시에 형성되면서 중소기업에 대한 브랜드디자인의 중요성이 확대되어 가고 있다. 또한 중소기업과 소비자의 가교 역할을 해줄 수 있는 관심사에 브랜드디자인의 진정성이 중요하게 작용하고 더불어 소비자의 브랜드충성도로 인하여 중소기업의 브랜드 가치가 매출로 이어짐으로써 기업은 이미지개선을 위한 차별화된 브랜드디자인 개발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불확실한 미래의 산업환경으로 인해 B2B기업의 선제적 대응이 필요한 현재의 시장상황 속에서, B2C사업진출을 꾀하는 대다수의 중소기업은 소비자가 인지하는 기업의 브랜드이미지가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브랜드에 대한 애착과 브랜드신뢰, 브랜드일치의 특성을 통한 브랜드디자인 이미지 형성은 매우 중요한 포인트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중소기업의 지역적 특성에 맞는 브랜드디자인을 개발하고 권리화 함으로써 중소기업의 경쟁력 강화 및 지적재산권 보호를 중심으로 성공적인 브랜드디자인 개발사례를 연구하고자 한다. 브랜드디자인 개발사례 M기업은 부직포 원단을 활용한 생활용품과 의료용품 등을 제조 유통하는 중소기업으로 20여년 이상을 제품개발에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기업이다. 하지만 점차 B2B시장의 한계성에 부딪치고 있으며, 중소기업 브랜드라는 낮은 인지도로 인해 B2C시장의 높은 장벽 진입에 많은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수많은 제품군에 따른 다양한 브랜드명이 산재되어 있어 M사의 정체성을 찾기 어렵고, 제각기 다른 형태의 디자인으로 인해 브랜드이미지 정립 또한 어려운 실정이다. 이러한 단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M기업의 통합브랜드 확립이 절실히 필요하며, 브랜드의 이미지개선 및 브랜드의 역할과 가치에 대해 살펴보고, M기업 브랜드의 SWOT분석 기법을 통해 가치사슬 분석모델을 제시하고, 가치사슬 분석을 토대로 M사의 기본시스템과 응용시스템을 개발하였다. 응용시스템 개발 범위로는 통합브랜드 네이밍개발, 통합브랜드 로고개발, 통합브랜드 디자인을 활용한 패키지디자인 개발을 제시하였다. 기업의 브랜드디자인 가치창출은 한나라의 산업적 아이덴티티를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이며, 기업의 방향성을 제시해 줄 수 있는 중요한 가교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개발된 브랜드디자인의 장기적인 관리체계 구축과 지속적인 후발연구의 필요성을 논의하였으며, 디자인개발를 통해 B2C 통합브랜드를 새롭게 개발하고 상표를 출원하여 기업의 브랜드가치를 높이고 체계적인 관리를 통해 기업의 비전 확립에 이바지할수 있도록 제시하였으며, 차별화된 브랜드디자인 개발이 중소기업의 신뢰회복과 소비자만족으로 부합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소비자의 만족을 위한 브랜드디자인 영역이 기업의 브랜드진정성과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시사하는 연구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