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메니티(Amnity)를 위한 거리디자인에 關한 硏究 : 광주광역시 중앙로를 중심으로

        이만재 광주대학교 산업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류문명의 발달과 함께 진행되어 온 도시화는 산업활동의 효율적 필요에서, 또한 생활의 편리함과 풍요를 위해 자연스럽게 형성되고 당연하게 받아들인 인류의 주거양식이지만 오늘날에는 적잖은 문제를 야기시키고 있다. 그리고 그 문제는 도시가 인위적인 산물로서 자연과 대치되는 데서 오는 생리적(生理的)이고 근본적인 것이라기 보다는, 인간이 추구하는 이상(理想)과 자연의 일부분으로서 생명(生命)의 사이에서 야기되는 도시의 모순에 기인하는 바가 크다. 산업화 이후 도시의 문제가 무엇인가로부터 이를 극복하고 해결하기 위한 시도와 노력은 지난 20세기 후반부터 꾸준히 있어 왔지만 그 대부분은 도시 계획적 접근과 자연보존, 오염방지에 초점이 맞추어졌고 그것은 시행착오와 함께 다른 모순을 드러냈고 보다 근본적인 해결방법을 모색하기에 이르렀다. 유럽과 일본 등 산업발달이 앞선 국가들에서 먼저 개념이 정립되고 시도된 어메니티(Amenity)가 그것인데, 어메니티는 우리말로 사람사는 '종합쾌적성'으로 표현된다. 그러나 쾌적함이란 인간을 둘러싼 모든 환경 외에도 인간 내면의 정서와 감성까지 포함되는 것이기에 그 영역과 분야는 다양하며 방대하다. 또한 이 어메니티에 대한 연구와 방법론의 제시는 인류문화학적 접근과 도시행정, 복지, 철학사상, 환경공학, 환경단체 등과 같은 전문관련 분야에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디자인 영역에서는 이 용어와 개념을 다루게 된 데에는 인간의 모든 활동에 수반하여 현대 디자인의 기능과 역할이 확대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은 '도시 환경의 문제와 모순'을 극복하는 방법론으로서 어메니티를 실현코자 할때 그 도시를 형성하는 요소를 가운데 디자인이 담당해야 하고 또한 할 수 있는 대상은 예를 들어, 건축물과 각종 거리의 시설물 등 구체적인 것에서부터 도시 전체에 이르기까지 무수히 많으며, 디자인은 도시의 경관과 시설물에 대한 기능성과 편리성은 물론 형태적 조형미와 색채로써 도시민으로 하여금 밝은, 편안함, 즐거움 등 감성적 환경을 창조해 낼 수 있는 영역이기 때문이다. 오늘날, 도시 어메니티 운동가들도 디자인 영역과 역할에 의존하는 바가 적지 않다. 도시 환경 디자인은 건축, 미술, 그래픽적 요소로만 완성되는 것은 아니지만 도시사람들이 보고 느끼며 사용하는 많은 도시의 물체들은 디자인의 범주를 벗어나 제작·설치되는 경우가 거의 없다. 본 연구논문에서는 어메니티 사상과 도시전체, 그 방대한 범주와 분야를 모두 다룰 수는 없기 때문에 단일한 지역 즉, 광주광역시의 중앙로 거리에 한정하여 거리 시설물(Street furniture)과 간판, 중앙로 위계내에 있는 도심공원(광주공원) 및 가로경관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디자인과 입체적인 렌더링(Rendering)으로 표현해 보았다. 그리고 이러한 디자인 연구는 소속 자치단체의 정책적 입안과 실행이 가능하도록 이론적 검토와 국내·외 사례를 병행하여 수행된 것이다. 본 논문의 제I장 서론에서는 어메니티를 위한 중앙로 거리 디자인에 대한 이론적, 환경적 배경과 목적 및 범주를 기술하였으며, 제II장에서는 현대 도시환경의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이론적 배경으로써 어메니티를 살펴보고, 적용 디자인 시설물들에 대한 일반적인 검토를 통해 도시환경의 구성요소와 디자인의 관계를 조형해 보았다. 제III장에서는 중앙로 디자인 거리 연구의 기초조사를 검증하기 위해 중앙로 와 도시기반 분석 및 거리 가꾸기의 방향을 설정하고 주민 설문을 통해 주민들의 의식을 조사·분석하였고, 국내·외 사례를 찾아봄으로써 그 방향성을 확인하였으며, 제IV장 중앙로 거리 디자인 연구에서는 연구의 개용와 적용시설물에 대한 디자인 의도를 기술하고 디자인 구상 스케치와 결과물을 3D렌더링(Rendering)으로 표현해보았다. 제V장 결론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을 재확인하고 미래의 도시 어메니티를 위한 디자인과 디자이너의 역할을 짚어 봄과 아울러 향후 보충되어어야 할 중앙로 도시 어메니티의 구현요소들과 이번 연구에서는 다루지 못한 주민자치적 성격의 어메니티 부분을 간단하게나마 언급하므로써 본 연구논문의 의의를 명확히 하였다. City planning has been progressed with the development of the human civilization is naturally constituted by the industrial activity, and in order to get convenient life. But, the present time, it can be a problem. It caused by the contradiction of the city which human preferred an ideal and as a part of the nature rather than the city is artificial outcome. After the industrial development, we have continued to try to overcome and resolve the problem since the end of the 20th contury. The most of them was focused on city planning approach, reserve the nature, pollution prevention but it made mistakes with revealing the other contradiction. Therefore, they have tried to find a basic resolution. In Europe and Japan, advanced countries, firstly set up a notion for 'Amenity' and tried to come true. Amenity could be translated into 'synthetic pleasantness'. But the pleasure is included all surroundings and environment as well as human's emotion and susceptibility, therefore its sphere is so various and huge. Also, the research of the amenity and the way of the presentation for the amenity must be achieved by the anthropological approach, the wealth, the city administration, the environment engineering and philosophy. This is the way which overcome 'the problem of the city environment and contradiction' to realize amenity. One of the important element for the city environment is design. for example, buildings, various equipments for the street and so on. The design can create the formative art, colour, function, convenience and sensitive surroundings for citizen. The present time, city amenity players rely o the design's sphere and role in society. The environmental design is not completed by architecture, art, such a graphic elements, but all of the equipments for the city environment are hardly installed without the category of the design. This dissertation can't deal with amenity philosophy and whole city, therefore I selected specific area which is Chung-Ang road in Kwang-Ju city for the street furniture, a sign board, city-park and so on. I would show it as a 3dimensional rendering and concrete design. This design can be realized for local government's political plan by review domestic and abroad examples theoretically. The first part, I described the objective and category for the street design of Chung-Ang road theoretically. The second part, I take a good look at amenity as a suggestion for the modern city environment theoretically and managed between the element of the city environment and design through the general investigation about applies installments. The third part, in order to verify the basic investigation of Chung-Ang street design, I set up the direction to decorate the street and analysis the city's foundation through the citizen question. The forth part, I made design concept for equipments in Chung-Ang street and I showed the result as a hand drawing and 3D renderings. The fifth part, I would reaffirm the need of this research and confirm the role of the designers for the city amenity all the future. Also, I would like to clear up this point of the dissertation through simply mention about the elements of the city and unmanaged local self-governing body.

      • 픽춰레스크 관점에서의 디자인거리 결합성 분석 연구

        이진영 영남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2

        최근 거리환경에 대한 미적관심의 증가로 거리를 디자인하려는 시도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는데, 초기에는 서울 디자인 가이드라인을 적용한 일괄적이고 규제된 디자인으로 디자인거리가 많이 생겨났다. 그러나 사람들은 거리에서 통일된 디자인의 정리뿐만 아니라 눈길을 끄는 흥미요소를 통해 아름다운 거리환경을 기대한다. 이와 유사하게 18세기 영국에서 유행한 픽춰레스크 이론은 다양한 성질을 가진 구성요소들이 시각적으로 조화로운 전체를 구성하기 위한 여러 기법들을 모색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픽춰레스크 관점에서 디자인거리의 결합성을 분석하고자한다. 연구방법은 첫째, 디자인거리의 동향과 픽춰레스크 이론을 통해 디자인거리 및 픽춰레스크의 결합성 내용을 파악한다. 둘째, 디자인거리에서 결합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디자인거리를 구성하는 요소를 파악한 후, 구성요소 각각이 시각적으로 나타내는 표현요소를 추출한다. 요소들이 어우러져 있는 방법을 통해서 픽춰레스크의 미가 나타남으로, 결합방법 및 결합특성도 함께 추출한다. 셋째, 추출된 디자인거리의 구성요소(보도, 건축물입면, 간판, 시설물)에서 표현요소(형태, 색채, 재료)와 픽춰레스크의 결합방법(유지, 추가, 대체, 제거) 및 결합특성(중첩, 연속, 변형, 한정)을 함께 고려하여 구체적인 분석기준을 제시한다. 넷째, “제1회, 제2회 대한민국 경관대상(2011, 2012)”에서 수상 받은 거리 중 통합디자인을 추진방향으로 설정한 ‘디자인서울거리 조성사업’이 시작된 2007년 이후에 사업이 시작된 거리를 대상으로 한정하였다. 각 디자인거리의 정비계획을 참고하여 디자인거리 시행 전과 후의 구성요소를 파악하여 분석틀에 맞춰 분석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중첩’은 기존의 구성요소와 새롭게 도입된 구성요소가 가까이 배치될 때 유사한 표현요소로 인해 시각적으로 겹쳐지는 특성을 말하며, 이는 주로 색채를 통해 나타났다. ‘연속’의 경우는 기존 구성요소의 표현요소를 유사하게 적용한 개선된 구성요소가 반복적으로 배치되고 질서를 형성하면서 결합하는 것으로, 특히 구부러진 거리에서 전체의 구간을 시각적으로 연결할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으로 사료된다. ‘변형’은 기존 구성요소의 표현요소 중 일부를 동일하게 적용하면서 하나의 표현요소만 다르게 변화시켜 상징적으로 나타내는 특성을 가지는데, 조사대상지를 통해서는 많은 적용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그러므로 향후 여러 대상지들을 토대로 픽춰레스크의 결합성 관점에서 디자인거리를 평가하여 객관적이고 보다 다양한 결합성을 유도하기 위한 구성요소의 표현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새롭고 다양한 표현요소로 미적인 만족을 줄 수 있는 디자인 방법을 모색하는데 기초적 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In recent years, attempts on the street design appeared due to the increase about aesthetic interest of street environment. In early days, street of collective regulatory design by Seoul Design Guideline appeared. But people expect eye-catching interesting elements as well as unity of design in harmony of street environment. Similarly, the picturesque theory that was very popular in the UK in the 18th century sought several techniques for make Harmonious configuration with existing elements of the natural environment and intercalated interesting artificial elements match up partially. Therefore, this study is analyzed Conjunctivity of Design Street from the Picturesque perspective. Methods First, Conjunctivity of Design street and Picturesque grasp through Design street trends and Picturesque theory. And design street composition(sidewalk, building elevation, sign, facility-natural/artificial), elements of expression(shape, color, material), combination method(Maintenance, Addition, Replacement, Removal) and combination character(Superposition, Succession, Transformation) have been deduced by referring to earlier studies. Second, the specific analysis standard proposes considering all deduced elements and analyze “1st, 2nd Republic of Korea Landscape Grand prize(2011, 2012)” in the award-winning street since 2007. And Refer to the maintenance plan for each design street, before and after the project was to identify the components. The result is as follows. ‘Superposition’ is When placed close to existing elements and newly introduced component, refers to visual overlapping attributes due to similar expression elements and this is mainly shown through color. ‘Succession’ is that the expression elements of the existing components and improved the component similarly applied is repeatedly arranged and combined. Especially this character is Effective way that crooked street in the whole region can be connected to a visual. ‘Transformation’ is the character that a part of the existing components of the expression was similarly applied and changing only one expression elements different from the other symbolically represents, It did not applied through object of investigation. This study is assessed Conjunctivity of Design Street from the Picturesque perspective, it has been suggested that objective and more many expression method for inducing Conjunctivity of component. The result of this study shall act as basic reference materials in new and different connection method of Design Street.

      • 도시가로환경조성을 위한 가로시설물 디자인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 디자인서울거리 사례분석을 중심으로 -

        정여란 서울산업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1

        City streets are not only to provide simple passages but also to provide a role of design display by themselves. The street facilities of urban street environment have roles of safety, convenience, community, information-transformation, induction, limitation, control and pleasure to citizens. This dissertation shows that urban street policy will combinate several elements to the organic unity and effect them as the cultural production. To do this, the Seoul Metropolitan Government has developed the standard type and general type of the street facilities on the designated three streets as "Designe Seoul Street", that is, history-culture, specified sightseeing area, Dae-hwak ro. The policy presents four strategies: making comfortable and margin space applied the design guideline, making vacant street of low density and high efficiency, making unity street of urban design system, and making a sustainable street formation. Is it sure to make a street design to fit the purpose of guide line that present to make vacant and unity design? This research has chosen three areas to seek for improvement of street design. Three areas are Dae-hwak ro which is the most attractive street, Guem-chun gu which is lack of diversity in commuting fluidity, and Gang-nam gu which has strong identity as a metropolitan borough. The street facilities are main tolls to create street environment and important elements to create whole identity. Among street facilities, items such as bus shelters, street boots, bollards, benches, bins, manhole covers, electricity boxes, and street lamps should apply the ideas of citizens, professional experts and the design manual of public facilit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street facilities design. First, the unity of street facilities means to make visual unity of unit and form from different functions. The standardization and formation can guarantee mass production and economy in the management, salary and manufacturing. Also it can secure the easiness of maintenance from the organization and unification of the management. Second, the symbolization of the street facilities means the localization of street space. Thus it should be planned, designed and established as the area symbol to institute its own idea to consider functional and plastic matter. Third, the management of street facilities should intensify total management. It should be operated regular examination, clearance and renewal by the management system. It should be corresponded rapidely by arranging the report system through the connection enforcement between the street facility manager and the road manager. The street facilities are not only fundamental factors to reflect regional specification and to combine sustainable "Design Seoul Street" but also important factors to improve competitiveness as culture icons of unique and attractive identity in urban environment. 도시의 가로는 단순히 통과를 위한 목적만 수행하는 것이 아닌 거리 자체가 디자인 전시장으로서의 역할이 필요하게 되고, 도시가로환경의 가로시설물들은 일반 시민들에게 안전과 편리의 기능뿐 아니라, 의사소통, 정보전달, 유도, 제한, 조절, 보로, 즐거움을 주는 추가적인 기능을 담당하고 있다. 도시 거리들을 통해 거리사업이 단순한 기능 위주에 단일사업에서 거리의 요소들이 유기적 통합이 필요하고 거리의 정체성을 확보하여 문화상품으로서의 효과를 거두고자 함에 있다. 이에 서울시는 역사문화, 관광특구, 대학로 등의 특화거리나 3류 이상의 대로 등 사업파급효과가 큰 거리를 대상으로 “디자인서울거리”를 지정하여 가로시설물에 대한 디자인을 표준형, 일반형으로 개발하여 적용 하였으며,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디자인서울을 위한 가로환경조성에 있어 쾌적하고 여유 있는 공간, 저밀도 고효율의 비우는 거리, 통합된 도시디자인 체계의 통합하는 거리, 시민, 전문가, 행정 참여형의 더불어 하는 거리, 미래지향의 지속가능한 거리 형성의 4대 전략을 제시 하였다. 디자인서울거리 조성 사업에 디자인가이드라인을 적용하여 비우고 통합하는 목적성에 부합하고, 디자인가이드라인에 알맞은 통합된 디자인이 되어있는가? 디자인서울거리 10개 거리 중 가로환경상태 및 가장 필요로 하는 사항 등에 대한 설문조사를 통하여 매력적 요소가 가장 큰 종로구 대학로, 다양성이 부족하여 유동인구를 흡입할 수 있는 매력요소가 부족한 금천구, 자치구만의 아이덴티티를 추구하는 강남구를 대표적인 사례로 선정하여 디자인에 대한 문제점 조사․분석하여 개선방안을 찾고자 함에 있다. 가로시설물은 가로환경을 창조하기 위한 중심도구로 개별 시설물의 차원을 달리하여 전체적이고 아이덴티티를 창출하기 위한 중요한 요소이다. 가로시설물 중 디자인서울거리 조성을 위하여 공모전을 통한 시민과 전문가가 참여하고 공공시설물 디자인매뉴얼을 적용한 가로시설물 아이템(버스쉘터, 가로판매대, 볼라드, 벤치, 휴지통, 맨홀, 분전함, 가로등 등)을 적용하고 가로시설물의 디자인에 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첫째, 가로시설물의 통합화는 가로공간에서 기능이 다른 각각의 시설물을 단위화, 규격화하여 시각적 일치성을 갖게 하는 통합화이다. 반복되는 요소가 표준화, 규격화함에 따라 양산체계 확보가 가능하여 관리, 보수, 제작상의 경제성이 보장되며, 관리의 주체가 체계화, 일원화되어 유지관리의 용이성까지 확보할 수 있어야 한다. 둘째, 가로시설물의 지역 상징화는 가로공간 거리의 장소화를 의미하며, 가로시설물은 기능적인 측면과 조형적인 측면을 충분히 고려한 디자인으로 장소에 독자성을 심어주는 지역의 상징물로 계획, 디자인, 설치되어야 한다. 셋째, 가로시설물 관리에 있어 포괄적인 일괄관리를 강화하고, 관리시스템에 따라 정기적인 점검․청소․갱신을 계획적으로 시행하며, 시설물의 관리주체와 도로관리자의 연계성 강화로 오손․파손의 상태 발생 시 즉각적인 통보․보고체계를 갖춤으로서 신속히 대응하도록 해야 한다. 가로시설물은 지역적 특성을 반영하고 비우는, 통합하는, 더불어 하는, 지속가능한 디자인서울거리 조성을 위한 요소들로 기본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그 도시만의 독특하고 매력적인 아이덴티티를 구축하여 문화 아이콘으로 경쟁력 제고를 향상 시킬 수 있는 중요한 요소임을 알 수 있다.

      • 디자인서울 공공공간 가이드라인의 한계와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고재웅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87

        Seoul is a city that has high population density where over 1/4 of population in the Republic of Korea dwell. Due to it, many urban problems occurred. Especially a problem about securing and improving public space in downtown was emerged as an interest of every city in the world according to the rapidly-expanded urbanization. As for this, a problem about improving public space at the current point of time that over a half of residential population in the world live in a city can be regarded as natural result as an element that is related to quality of life in urban people. In addition, the advanced cities in the world arranged a plan and execution system for urban design in order to maximiz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s in a city even amid this rise in population of dwelling in a city. This is because the urban design induces corporate investment by reinforcing urban image and is used as a strategy for regional development through luring the advanced manpower. Even Seoul city is recently showing an effort to strengthen urban competitiveness while spreading design policy. It suggested the bible of executing a project of designing Seoul through Design Seoul Guideline including introducing a system of driving project such as newly installing Design Seoul General Headquarters and Design-Exclusively Department based on establishing regulations for urban design. This has significance in a sense that became an opportunity for a rise in people's awareness of design in addition to the public space, which has been regarded carelessly in the meantime, and that arranges foundation of driving a systematic project. On the other hand, a limitation is indicated as well in applying guidelin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the improvement plans for guideline through examining problems about Design Seoul Guideline, which becomes the standard for forming public space in Seoul. It arranged 6 conformity frames such as understanding, connection and approach, safety & flexibility, characteristic & image, use & activity, and maintenance, by considering characteristics in the standard and guideline for evaluating good public space in the advanced cities abroad in establishing the improvement plans for Design Seoul Guideline. It examined problems that are shown in Design Seoul Guideline through the conformity frames according to this and inquired into which problem these matters of guideline cause in design-street project, thereby having elicited improvement plans for guideline. As for problems about Design Seoul Guideline, first, the guideline, which suggests general design direction, fails to offer specific design method, which will need to be considered in forming space. As a driver's visual field interception caused by the facilities, which are installed in the one-corner part on the pedestrian street, is an element of threatening safety, it is a case that was shown due to unpreparedness for the provisions of guideline. Second, the guideline, which is connected with the diverse criteria for forming space, makes it difficult to form the unified street environment. A projection, which occurs according to the diverse provisions for lowering sill, is functioning as big barrier to movement of the weak pedestrian. Third, the guideline, which is subject-oriented and short of flexibility, may overlook the whole harmony in space. The installation of the excessive facilities on the design street is the result that was reflected the features in guideline unavailable for flexible application, and is failing to be harmonized with characteristics of the whole street. Fourth, the spatial formation according to guideline, which fails to reflect regional characteristics, may lead to the uniformed landscape. Most of the target sites on the design street were used the same pavement material, and are shown the similar spatial-formation direction called the expansion in the plant-able space. Fifth, the fractionally design provision makes it difficult to suggest a general problem-solving plan for the target sites. the inappropriate distribution of the facilities and the spatial formation, which is biased to design, are accredited to having failed to rightly grasp the present status for the target sites and the spatial problems. Sixthly, Design Seoul Guideline doesn't suggest a plan for spatial maintenance. Accordingly, the spatial formation on the design street is shown many design elements with the center on visual improvement, not the direction of design from the sustainable and long-term perspective. As problems, which occur on design street, are the limitations of Design Seoul Guideline, which cannot help addressing general provisions, those can be improved through fundamentally establishing specific guideline by region and by subject.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forming public space is to expand function of space and to form space that characteristic is alive. This requires enhancement in our understanding level about public space and design. Accordingly, Design Seoul Guideline needs to offer information that can increase understanding about the design subjects, and to make it available for establishing right direction on public-space design. Also, there is necessity for offering information in order to be available for right selection in choosing element of forming space, and for considering diverse methods for improving space such as the common standard for evaluating design. As this is a study on establishing improvement plans for Design Seoul Guideline, it has significance in having established the basic principle for good spatial formation and in having arranged a ground that can be referred to future establishment and improvement for guideline by applying it to actual subject. 서울은 대한민국 인구의 1/4 이상이 거주하는 높은 인구밀도를 지닌 도시이며, 그로 인해 많은 도시문제가 발생하였다. 특히 도심에서의 공공공간 확보와 개선의 문제는 빠르게 확산된 도시화에 따라, 세계 모든 도시의 관심사로 부각되었다. 이는 세계 주거인구의 절반 이상이 도시에서 생활하는 현 시점에 공공공간 개선의 문제는 도시민의 삶의 질과 관계있는 요소로서, 당연한 결과로 바라볼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세계 선진 도시들은 이러한 도시 주거인구의 증가 속에서도 도시의 특성과 기능을 극대화시키기 위해, 도시 디자인 계획과 실행체계를 마련하였다. 이는 도시 디자인이 도시의 이미지를 제고하여 기업 투자를 이끌어 내고, 고급 인력의 유치를 통해 지역 개발을 위한 전략으로도 사용되고 있기 때문이다. 최근 서울시 또한 디자인 정책을 펴면서, 도시의 경쟁력을 제고 하려는 노력을 보이고 있다. 도시 디자인 조례 수립을 기반으로, 디자인서울 총괄본부와 디자인 전문 부서의 신설 등 사업추진 체계 도입을 비롯하여,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을 통해 서울을 디자인 하는 사업 실행 바이블을 제시하였다. 이는 그동안 소홀히 여겨졌던 공공공간과 대중들의 디자인 인식이 상승하는 계기가 되었고, 체계적인 사업 추진 기반 마련이라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반면 가이드라인 적용에 있어 한계점이 나타나기도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서울의 공공공간 조성의 기준이 되는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의 문제점 검토를 통한 가이드라인 개선방안 설정에 있다.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개선방안을 설정함에 있어, 해외 선진 도시의 좋은 공공공간 평가를 위한 기준과 가이드라인의 특성을 고려하여 이해, 연계와 접근, 안전과 융통성, 특성과 이미지, 이용과 활동, 유지관리 6가지 준거의 틀을 마련하였다. 이에 따른 준거의 틀을 통해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에서 나타나는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러한 가이드라인의 문제가 디자인거리 사업에서 어떤 문제를 야기하는지 살펴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을 도출하였다.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의 문제는 첫째, 일반적 디자인 방향을 제시하는 가이드라인은 공간조성에 있어 고려해야할 구체적인 디자인 방법을 제공하지 못한다. 보행가로의 가각부에 설치된 시설물로 인한 운전자의 시야 차단은 보행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로서, 가이드라인의 규정 미비로 인해 나타난 사례이다. 둘째, 다양한 공간조성 기준과 연계된 가이드라인은 통일성 있는 거리 환경 조성을 어렵게 한다. 다양한 턱낮춤 규정에 따라 발생하는 돌출은 보행약자의 이동에 큰 장애물로 작용하고 있다. 셋째, 대상 지향적이며, 융통성이 결여된 가이드라인은 공간의 전체적인 조화를 간과할 수 있다. 디자인거리의 과도한 시설물 설치는 융통성 있는 적용이 힘든 가이드라인의 특징이 반영된 결과이며, 전체적인 거리의 특성과 조화를 이루지 못하고 있다. 넷째, 지역특성을 반영하지 못한 가이드라인에 따른 공간 조성은 획일적인 경관을 초래할 수 있다. 디자인거리 대부분의 대상지는 동일 포장 재료가 사용되었으며, 식재 공간 확장이라는 유사한 공간 조성 방향이 나타난다. 다섯째, 단편적인 디자인 규정은 대상지의 종합적인 문제해결 방안 제시를 어렵게 한다. 적절치 못한 시설물 배치와 디자인에 치우친 공간 조성은 대상지 현황과 공간의 문제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했기 때문이다. 여섯째,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은 공간 유지관리 방안을 제시하지 않는다. 따라서 디자인거리의 공간 조성은 지속적이고 장기적인 관점의 디자인이 방향이 아닌 시각적 개선 위주의 디자인 요소가 많이 나타난다. 디자인거리에서 발생하는 문제는 일반적인 규정을 다룰 수밖에 없는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의 한계로서 근본적으로 지역별, 대상별 특정 가이드라인 수립을 통해 개선될 수 있다. 공공공간 조성에서 가장 중요한 요소는 공간의 기능을 극대화하고, 특징이 살아있는 공간을 조성하는 것이다. 이는 공공공간과 디자인에 대한 우리의 이해수준 향상을 필요로 한다. 따라서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에서는 디자인 대상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공공공간 디자인에 대한 올바른 방향 설정이 가능하도록 해야 한다. 또한 공간 구성의 요소 선택에 있어 올바른 선정이 가능하도록 정보를 제공해야 하며, 공통의 디자인 평가 기준 등 공간개선을 위한 다양한 방법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는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의 개선방안 수립에 관한 연구로서 좋은 공간 조성을 위한 기본원칙을 정립하고, 실제 대상에 적용하여 향후 가이드라인 수립과 개선에 참고할 수 있는 근거 마련한 것에 의의가 있다.

      • 가로경관의 공간적 특성이 도시이미지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분석 : 디자인서울거리를 중심으로

        고은정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8685

        Jacobs(1993)는 “그 도시를 생각할 때 최초로 마음에 떠오르는 것은 가로이다. 가로가 재미있으면 도시도 재미있고 가로가 지루하면 그 도시도 지루하다”라고 말함으로써 가로의 중요성을 잘 표현해 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가로경관의 공간적 특성이 도시 이미지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기 위한 것이다. 이에 본 연구는 도시이미지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가로경관을 대상으로 가로경관의 공간적 특성을 분석하고 가로경관의 공간석 특성이 보행자의 도시이미지 선호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이고 객관적인 예측지표로 제시하고자 한다. 이를 통해 이용자 위주의 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근거를 제시하여 향후 가로경관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초자료로 활용하고자 한다. 본 연구의 대상지는 서울시 ‘디자인서울거리’ 50개소 중 현재 공사가 완료된 곳 중 4개소, 디자인서울거리로 지정되었으나 아직 공사가 시행되지 않은 곳 중 4개소를 선정하였다. 시각적으로 드러나는 경관 평가를 수행하기 위해 해당 경관을 현장에서 직접 평가하였다. 디자인서울거리를 실제로 이용하는 보행자의 가로경관 이미지를 평가하기 위하여 일반인 집단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방법은 예비조사와 본조사에 걸쳐 수행하였다. 예비조사는 8개의 사례가로를 이용하는 보행자 320명을, 본조사는 보행자 400명을 조사하였다. 본 연구의 조사대상자에 대한 분포와 기술통계량을 추정하기 위하여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기술통계분석(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독립표본, t-검증(independent samples t-test), 일원분산분석(one-way anova)을 수행하였다. - viii - 본 연구에서 제시한 세 개의 연구문제를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2.0 통계패키지를 활용하여 실증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연구문제의 실증분석은 유의수준 95%에서 채택과 기각을 판단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인구사회학적 특성과의 관련성은 성별이 남자인 경우 사회적 특성 중 질서성과 상징성을 높게 인식한다. 학력이 중졸 이하일수록 물리적 특성 중 자연성과 형태, 사회적 특성 중 조화성, 쾌적성, 안정성, 질서성을 높게 인식한다. 연령이 60대 이상일수록 문화적 특성 중 전통성을 높게 인식한다. 직업이 농?어?축산업일 경우 물리적 특성 중 자연성을 높게 인식한다. 디자인서울거리를 인지하고 있는 경우 문화적 특성 중 상징성을 높게 인식한다. 방문횟수와 가로경관 이미지 선호와의 관련성은 낮다. 체류시간이 1시간∼3시간 미만인 경우 물리적 특성 중 공간성과 문화적 특성 중 상징성을 높게 인식하며 체류시간이 30분 이하인 경우 낮게 인식한다. 방문계기와 가로경관 이미지 선호와의 관련성은 낮다. 이용목적이 집회참여일수록 물리적 특성 중 형태를 높게 인식한다. 도시이미지의 선호에 미치는 영향으로서 가로경관 이미지에 대한 공사유형 간 차이는 물리적 특성, 사회적 특성, 문화적 특성에 대하여 공사 이후와 공사 이전의 차이가 있으며 특히 물리적 특성 중 자연성, 사회적 특성 중 쾌적성, 안정성, 질서성, 문화적 특성 중 상징성, 독특성은 다른 특성에 비해서 공사유형에 대한 특성이 높았다. 이는 디자인서울거리 사업 시행의 효과가 확실히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가로경관 이미지에 대한 지역유형 간 차이는 물리적 특성, 사회적 특성, 문화적 특성에 대하여 강북과 강남의 차이가 있으며 특히 물리적 특성 중 공간성, 형태, 위치, 사회적 특성 중 조화성, 친근성, 문화적 특성 중 문화성은 다른 특성에 비해서 지역유형에 대한 특성이 높았다. 이는 대상지로 삼은 강남의 거리가 강북의 거리에 비해 상대적으로 공사이전과 이후의 차이가 크지 않아 즉, 원래 가로정비 상태가 양호하여 차이를 덜 인식한다고 볼 수 있다. - ix - 가로경관 이미지에 대한 거리특성 간 차이는 상업형 가로는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특성에 차이가 없었다. 이는 상업형 가로는 가로경관과 무관하게 보행유인요소가 있으며 일상적으로 가로정비가 잘 이루어져 디자인서울거리와 같은 가로경관개선에 대한 효과를 덜 느낀다고 볼 수 있다. 문화형 가로는 물리적, 사회적 특성에 차이가 있고 문화적 특성에만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기존에 문화적이라는 지역적인 분위기를 인지하고 있는 경우 가로경관 개선에 의해 문화적 요소가 발생한다고 여기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업무형 가로는 물리적, 사회적 특성에 차이가 없고 문화적 특성에만 차이를 보였다. 이는 지역에 문화적인 요소가 없이 평범한 가로의 경우 디자인서울거리와 같은 가로경관 개선으로 인해 새로이 문화적 특성을 느끼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생활형 가로는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특성에 차이가 있었다. 이는 통행인 대다수가 타 지역에서의 방문자보다는 지역 주민이므로 대상 거리의 변화에 대해 더 잘 인지하고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모든 거리에서 사회적 특성, 물리적 특성, 문화적 특성 순으로 가로경관 이미지의 선호가 높게 나타났다. 이는 물리적 환경을 개선하는 효과로 사회적 특성 즉 조화성, 쾌적성, 안정성, 질서성, 친근성이 우선적으로 향상될 수 있다는 의미이다. 문화형 가로로 분류한 대학로와 서교로의 경우에서 문화적 특성 중 문화성이 가장 강조된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앞서 언급한 것과 같이 문화형 가로에서는 가로경관 개선으로 인해 문화성이 새롭게 발생되지 않고 지역특성으로서 문화적 특성을 인지한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8개의 가로 중 물리적, 사회적, 문화적 특성이 도시이미지의 선호에 가장 높게 나타난 곳은 대학로로 나타났다. 각각의 가로경관 이미지에 대한 종합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강남대로(공사후)는 물리적 특성 중에서 공간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자연성에 대한 특성은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사회적 특성 중에서 조화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친근성이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문화적 특성 중에서 도시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전통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대학로(공사후)는 물리적 특성 중에서 공간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색채에 대한 특성은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사회적 특성 중에서 조화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질서성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문화적 특성 중에서 문화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전통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반포로(공사후)는 물리적 특성 중에서 자연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공간성에 대한 특성은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사회적 특성 중에서 쾌적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안전성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문화적 특성 중에서 도시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독특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통일로(공사후)는 물리적 특성 중에서 자연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색채에 대한 특성은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사회적 특성 중에서 친근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조화성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문화적 특성 중에서 도시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상징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압구정로(공사전)는 물리적 특성 중에서 위치에 대한 특성이 - x - 가장 강조된 반면에 자연성에 대한 특성은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사회적 특성 중에서 친근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쾌적성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문화적 특성 중에서 도시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전통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서교로(공사전)는 물리적 특성 중에서 위치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자연성에 대한 특성은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사회적 특성 중에서 조화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친근성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문화적 특성 중에서 도시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전통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 사되었다. 반포로(공사전)는 물리적 특성 중에서 위치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자연성에 대한 특성은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사회적 특성 중에서 조화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안전성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문화적 특성 중에서 도시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독특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통일로(공사전)는 물리적 특성 중에서 형태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자연성에 대한 특성은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고, 사회적 특성 중에서 친근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쾌적성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문화적 특성 중에서 도시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강조된 반면에 전통성에 대한 특성이 가장 결여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결과적으로 8개 가로 모두 문화적 특성으로 도시성이 강조된 특성으로 나타났고 특히 반포로의 경우 조성 전과 조성 후 모두 사회적 특성으로서 안전성이 결여된 특성으로 조사된 것이 주목되며, 생활형 가로인 통일로의 경우는 사회적 특성으로서 친근성이 강조된 특성으로 나타난 것도 주목되는 부분이다. 또한 8개의 가로 중 색채가 회색 계열의 서울색 등으로 색채계획이 된 타 거리와 달리 혼합된 색채가 나타나고 있는 대학로와 통일로(조성전)의 경우에서만 물리적 특성 중 색채가 결여된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가로경관 조성에서 정돈된 색채계획의 중요성을 나타내준다. 8개의 가로 중 띠녹지가 - xi - 타 거리에 비해 현저히 보강된 반포로(조성후)와 통일로(조성후)에서 물리적 특성 중 자연성이 가장 강조된 특성으로 나타났다. 이는 띠녹지의 확충만으로도 녹시율을 높여 자연성을 인지하게 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과 같은 결과는 가로공간을 이용하는 이용자 관점에서 어떻게 가로경관이 도시이미지의 선호에 영향을 주는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해 준다. 본 연구는 가로공간의 실제 가로를 구성하고 있는 여러 가지 물리적 구성요소의 형태, 색채, 재질, 위치 등에 대한 상관성도 중요할 것으로 여겨지나 가로 경관의 이미지 선호에 대한 영향만을 고찰한 한계가 있다. 추후 연구에서는 가로공간을 구성하는 구성요소와 가로경관과의 관련성에 대한 논의가 있을 수 있겠다. 또한 공사유형에 있어 동일 대상지에 대한 공사 이전과 공사 이후를 비교할 경우 보다 확실한 차이를 알 수 있을 것이다.

      • CPTED 기법의 디자인서울 가이드라인 적용성 연구

        이해주 高麗大學校 大學院 2013 국내석사

        RANK : 248655

        Design Seoul Guidelines requires not only design consideration but various complements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One of them is reducing public space users’ fear of crime and adopting CPTED strategies for safer public space. This study aims to consider the possibility of applying CPTED in public space by analyzing linkability between Design Seoul Guidelines and principles of CPTED. For this, we checked if each items of Design Seoul Guidelines has complementary relationship with 6 CPTED Principles and conducted observation survey and estimated pedestrian´s satisfaction of safety. As a result, items of public space and public facilities design guidelines showed wide applicability to CPTED principles. After the enforcement of business, improved from the point of view of CPTED from the previous show the difference in the score depending on whether the business enforcement design Seoul street. Furthermore, a result of pedestrian´s fear of crime showed that Control Group was higher than Test Group in theft, robbery, sex crimes and assault and pedestrian´s satisfaction of Test Group was higer than satisfaction of Control Group in ensuring visibility, brightness of the lighting, maintenance items. In particular, The top three satisfacion after the project was ease route using the signal, ensuring visibility and sidewalk and roadway segment.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change in crime rate based on crime data, unlike the results of crime experience questionnaire was analyzed project and had no significant effect on the change in crime rate designs Seoul stree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