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텍스트 스토리에서 이벤트의 감정과 등장인물의 역할 인식

        유혜연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2

        스토리는 등장인물이 어떠한 배경 속에서 사건을 진행하는 줄거리를 가지며, 스토리를 이해하기 위해서 등장인물과 사건은 중요한 구성요소이다. 스토리에서 등장하는 인물과 사건을 식별하고, 등장인물들간의 관계를 분석하며, 등장인물들간에 발생하는 사건을 이해하는 것은 스토리를 이해하는 중요한 과정이다. 본 논문은 크게 스토리를 구성하는 인물과 사건에 대한 분석으로 구성되며, 감정 및 감성 중심의 분석 방법으로 컴퓨터가 텍스트 스토리를 이해하는 과정을 모델링한다. 먼저, 스토리 속에서 등장하는 인물들을 그레마스의 행위소 모델(Actantial model)에 기반하여 주체자(subject, 또는 주인공)를 식별하고, 등장인물들간의 상호작용으로 생성되는 관계에 기반한 감성 흐름을 분석하여 조력자(Helper) / 반대자(Opponent)의 관계를 자동으로 식별한다. 등장인물을 식별하기 위해서 제안하는 방법은 3단계로 구성된다. 먼저, 텍스트 스토리에서 등장하는 개체(인물)를 식별한다. 다음으로, 이들의 상호관계를 통한 관계 정보를 추출하여 관계정보로 표현되는 텍스트에서 감성을 분류한다. 마지막으로, 등장인물들간 감성의 흐름을 방향성 그래프로 도출한다. 그래프에서 차수가 가장 높은 노드 (즉, 가장 많은 관계 정보를 형성하는 노드)는 주체자로 간주하며, 주체자에 긍정적 / 부정적인 감성을 가장 많이 보내는 노드를 조력자 / 반대자로 각각 간주한다. 또한 스토리에서 등장인물의 역할을 식별하기 위한 행위소 모델의 세 가지 구성요소들(즉, 주체자, 조력자, 반대자)을 자동으로 추출하는 계산 모델을 제시한다. 스토리의 등장인물의 역할에 대해 4명의 평가자들의 설문 결과를 기준으로 주체자 역할의 식별은 97%의 정확도를 보이며, 감성을 분석하는 3가지 방법으로 조력자와 반대자의 역할을 식별한다. 조력자에 비해 반대자를 식별하는 정확도가 높았으며(66%, 62%, 66%) 조력자를 식별하기 위한 정확도는 다소 낮았다(34%, 52%, 48%). 두번째로, 스토리에서 사건을 의미하는 이벤트가 어떻게 표현되고 추출될 수 있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분류된 클러스터와 서로 다른 감정적 이벤트가 연관될 수 있다는 가정 하에서, 감정의 관점에서 이벤트를 추출하고 클러스터링 하는 실험의 결과를 다룬다. 각 감정 클러스터는 심리학자 플루칙 (Plutchik)의 8가지 기본 감정 모델에 기초하여, NLTK-VADER의 속성 값이 분류 기준으로 사용된다. 스토리를 구성하는 이벤트를 추출하여 감정을 분류하고, 인물의 감성적 관계를 그래프로 도출하여 텍스트 스토리를 분석한다. 이벤트의 감정 분석의 결과와 평가자들의 결과 비교는 감정의 일부 유형에 대한 정확도는 떨어지는 반면, JOY와 SADNESS와 같은 감정 유형은 상대적으로 높은 정확도를 보인다. NRC Word Emotion Association Lexicon(a.k.a. EmoLex)을 사용한 평가 결과는 정밀도(precision)와 재현율(recall)에서는 상대적으로 낮지만 정확도 (accuracy)에서 다소 높은 결과(anger, disgust, fear, surprise 감정에서 90% 이상)를 보여준다. In this paper, identifying characters who appear in a story and analyzing their relationships is essential to understanding the story. This paper aims to identify the two actants (or character roles) as Helper and Opponent in Greimas's Actantial model by identifying Subject (i.e., protagonist) and analyzing the emotional interactions between the Subject and the two actants (Helper/Opponent). Our proposed method consists of three steps. First, we identify objects (i.e., characters) appearing in the text story. Next, we extract relational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action of the characters, and then classify emotions in the text expressed as relational information. Finally, we represent the flow of emotional relations among characters as a directed graph. The node with the highest degree is considered as the Subject because it includes the most relational information. The node that sends the most positive/negative emotions to the Subject is considered as the Helper/Oppenent, respectively. Our research contributes to the computer-based narrative understanding by providing a computational method that automatically extracts the three key character roles (Subject, Helper, and Opponent) from the text stories. Also, we explored how events can be extracted from text stories and conducted an experiment on extracting and clustering events from ROCStories dataset. After converting story sentences to tuple-formatted events, we applied NLTK-VADER sentiment analyzer and k-means clustering algorithm to test whether emotionally similar events can be clustered into emotional groups based on Plutchik's eight basic emotions. The evaluation by human raters showed that JOY and SADNESS emotions are highly matched. We also evaluated our approach using the EmoLex dataset which has a different emotion labeling scheme. The evaluation results showed high scores in accuracy but relatively low scores in precision and recall. Among the eight emotions, JOY showed the highest F1 score (0.42).

      • 청소년의 영상매체 등장인물 동일시 현상과 자아개념간의 관계

        이종우 홍익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대중스타 우상화 현상이 가장 활발하게 일어나고 있는 청소년들이 다양한 영상매체 속에 등장하는 인물 즉, 가상 속에 존재하는 인물이 아니라 자신의 역할 모델로 동일시 할 수 있는 현실 속에 존재하고 있는 인물에 대해 어떻게 모델링 및 동일시하고 있는가를 살펴보고 또한 동일시 현상이 자신의 자아개념과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를 규명해 보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선정하였다. 첫째, 고등학생의 성별, 학년별, 성적, 그리고 부서별(미대 희망반, 미술반, 비미술반)에 따라 영상매체 등장인물에 대한 동일시 현상(수준과 원인)은 차이가 있는가? 둘째, 중학생의 성별, 학년별, 성적, 그리고 부서별에 따라 자아개념에 대한 인식 차이가 있는가? 셋째, 영상매체 등장인물에 대한 동일시 현상과 자아개념 간에는 어떤 관련성이 있는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질문지에 의한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조사연구 대상으로 TV, 비디오, 영화 등 다양한 영상매체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받으며 이를 통해 자신의 역할 모델링 및 동일시의 대상의 변화가 일어나는 고등학생들을 본 연구의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특히 영상매체를 많이 접하는 미술부원과 일반 학생 간의 인식 비교를 위해 미술부원 58명, 일반 학생 48명, 총 106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이들에게 배포되어 회수된 자료는 SPSSWIN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처리되었다. 첫째,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사하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를 산출하였다. 둘째, 고등학생의 성별, 학년별, 성적, 그리고 부서별(미대 입시반, 미술반, 비미술반)에 따라 영상매체 등장인물에 대한 동일시 현상(수준과 원인)과 자아개념에 대한 인식 차이를 검증하기 위해 t 또는 F 검증을 실시하였다. F검증의 사후검증으로 Scheffé 검증(p<.05)을 실시하였다. 셋째, 영상매체 등장인물에 대한 등일시 현상과 자아개념 간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Pearson의 단순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된 연구결과를 요약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영상매체 등장인물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동일시 수준을 분석한 결과, 4점 만점에 평균이 2.23점으로 나타나 그렇게 높지도 낮지도 않는 동일시 수준을 보여주고 있다. 그리고 영상매체 등장인물에 대한 동일시 원민을 분석해 보면, 고등학생들은 자신의 역할 모델로서 인식하는 모델링 변인에 가장 높은 평균을 보였고, 그 다음으로 등장인물을 통해 대리만족을 느끼기에 동일시한다는 대리만족 변인, 그리고 영상매체 속에 등장하는 인물이 나와 유사하기 때문에 동일시한다는 유사성 변인 순으로 인식 하였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개념을 분석한 결과, 고등학생들은 정의적 자아 변인을 가장 높게 인식하였고, 그 다음으로 사회적 자아, 신체적 자아, 학문적 자아 순으로 인식하였다. 셋째, 영상매체 등장인물의 동일시 현상과 자아개념 간의 관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관계는 나타나지 않았지만 동일시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아개념에는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연구 결론을 도출하였다. 첫째,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영상매체 등장인물 동일시 현상은 언론에서 보도하고 있는 만큼 염려할 수준은 아니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동일시 수준이 지나치게 높은 경우에는 청소년의 사회화 과정에 있어 바람직한 가치관 형성에 문제가 제기될 수 있으므로 가정과 학교에서 더욱 많은 관심과 지도가 필요하다고 본다. 둘째, 청소년의 자아개념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형성되어 있으나 신체적 자아와 학문적 자아에 대한 정체감은 아직 완전하게 형성되어 있지 않다. 특히 자신의 신체의 소중함에 대한 정체감과 학업을 통해 어떤 사회적 인간으로 형성되어야 할 것인가에 대한 학문적 자아가 상대적으로 낮게 형성되어 있어 정책적인 차원에서 자아개념 및 자아정체감 형성 프로그램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한 과제라고 생각된다. 셋째, 영상매체 등장인물의 동일시 현상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자아개념 형성에는 다소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다. 즉, 영상매체 속에 등장하는 등장인물에 대한 동일시 현상은 청소년들에게 하나의 역할 모델로서, 때로는 대리만족의 도구로서 이용되지만 이것이 지나칠 때 자신들의 자아개념을 형성하는 데 부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teenagers whom there is the most active idolization phenomenon take the model of the people and place them in the same class who appear in various image media, that is, the individuals who exist in reality so they can identify themselves as their role models, not the people who exist in their imagination. Also its purpose is to find out what relation the identification phenomenon has with self-perception. For this, following subjects of the study were selected. First, is there any difference in identification phenomenon (levels and causes) toward the characters in the image media, depending on distinction of sex, grades, scores and departments (class candidates for a college of fine arts, art class, not an art class) of high school students? Second, is there any perception gap about self-perception, depending on distinction of sex, grades, scores and departments of middle school students? Third, what relation is between identification phenomenon toward the characters in the image media and self-perception? To solve these study subjects, the research by a written inquiry was executed. For this research, high school students were selected who get relatively affected by various image media such as TV, video, movie, etc. and get some changes on their objects of identification and their role models through these media. Especially, for the perception comparison between the general students and art club members who encounter many image media, 58 art club members, 48 general students (106 students in total)were selected for this study. The materials distributed to them and collected from them were handled like a following way, using the program, SPSSWIN. First, to investigate reliability of a measuring tool, figured out 'coefficient' of Cronbach's α.Second, to verify perception gapabout self-perception and identification phenomenon toward the characters in the image media depending on distinction of sex, grades, scores and departments (class candidates for a college of fine arts, art classes, not art classes) of high school students, t or F verification were conducted. By after-verification of F verification, Scheff■ verification (p<.05) was carried out. Third, to examine relation between identification phenomenon toward the characters in the image media and self-perception, bivariate correlation analysis of Pearson was carried out. Arranging and summing up the analyzed study results, it is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identification level of high school students toward the characters in the image media, its average was 2.23 out of the full score, 4, which shows identification level, not that high and not that low. And analyzing the cause of identification toward the characters in the picture media, high school students showed the highest average on modeling variable which they recognize as their role models, followed by 'satisfaction by proxy variable' which they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charactersbecause they feel satisfaction by proxy throughthem, and 'similarity variable' which they identify themselves with the characters because those characters showing up in the image media are similar to them.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self-perception of teenagers, the high school students recognized 'defining self variable' as the highest. Then comes social ego, physical ego and academic ego in that order.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 between self-perception and identification phenomenon toward the characters in the image media,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 revealed, but, as identification level went higher, it turned out to affect self-perception of teenagers somewhat negatively. Based on above study results, following study conclusion was drawn. First, the identification phenomenon toward the characters in the image media shown in adolescence is not as anxious as the things reported in the press. But, in case the level of identification is excessively high, it can be a problem to desirable value formation in the process of teenagers' socialization, so it is considered that more attention and guidance from home and schools are necessary. Second, self-perception of teenagers is positively formed in general, but identity for physical and academic self is not completely formed yet. Especially, since the identity about the importance of their bodies and academic self about what kind of a social person should be made through studies are relatively low-formed, it is thought that program developments and supplements on self-perception and self-identity building are necessary tasks in the dimension of policy. Third, as identification phenomenon toward the characters in the image media goes higher, it affects self-perception building of teenagers somewhat negatively. That is, the identification phenomenon toward the characters showing up in the image media is alone role model to the teenagers, and is sometimes used as a means of satisfaction by proxy, but, if it goes too far, it affects negatively on their building self-perception.

      • 포토라인 등장인물 이미지 분석 : 언어 및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중심으로

        윤일식 한국방송통신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2

        유명인이 포토라인에 등장하는 순간, 카메라 셔터가 눌러지고 플래시가 터진다. 사진기자는 1차로 카메라 앵글 위치를 선택하고 결정하는데 그 위치에 따라 주제나 인물에 대한 특정부분을 선택하고 동시에 배제한다. 이런 상황에서 포토라인 등장인물은 자신에게 유리한 방향으로 다툼이 진행되도록 사건의 관계에 따라 가공된 이미지를 제공하려 한다. 여기서 표출된 이미지와 신문사에서 제공한 이미지를 분석하여 언어 및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포토라인 등장인물의 이미지 형성과 표출 효과에 관한 이해를 조금이라도 넓히려는 목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이미지 속성은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를 통해 나타난 긍정, 부정, 중립 이미지 효과를 의미하며 그 예를 다음과 같다. 첫째, 긍정적 이미지는 대상자가 사건에 대해 인정 또는 사과하며 깨끗한 헤어스타일에 안경, 넥타이를 착용하고 양복을 입고 웃는 표정으로 정면을 응시하는 표현이다. 둘째, 부정적 이미지는 대상자가 사건에 대해 부인하거나 책임을 전가하며 모자를 쓰거나 지저분한 헤어스타일로 선그라스, 마스크를 착용하고 작업복을 입고 찡그린 표정으로 시선을 외면하는 표현이다. 셋째, 중립적 이미지는 대상자가 사건에 대해 침묵하거나 답변을 회피하며 가발 등으로 헤어스타일을 바꾸고 일상복 차림으로 무표정에 모호한 시선 표현이다. 본 연구는 포토라인 등장인물의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이 등장인물의 이미지 형성에 어떤 영향을 끼치고 커뮤니케이션 상호 간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기 위해 4가지 연구문제를 상정하였다. 연구문제 1. 포토라인 등장인물에 대한 신문사의 보도 특성 및 감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2. 참고인, 피내사자, 피의자, 피고인이 등장할 때 이미지 속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3. 화이트칼라와 일반인이 등장할 때 이미지 속성은 어떠한가? 연구문제 4. 언어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상호관계는 어떠한가? 자료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보수, 진보, 중도성향의 신문사를 선정하여 242건의 유의미한 자료에서 대상자 252명을 선정하였다.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의 언어표현은 베노이트와 숀바흐의 이론을 갱신하여 3가지 하위변수로 구체화하였고,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은 외모, 표정, 시선을 1차 요인으로 설정하였다. 이미지 분석을 위해 언어적 커뮤니케이션에서는 인정, 침묵, 부인을 긍정적, 중립적, 부정적으로 세분화하였고 코딩방식을 활용하여 3점 척도로 구분하였다.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도 언어적 커뮤니케이션과 동일하게 3점 척도로 코딩하였다. 언론사 보도 분석에 대한 자료는 교차분석 및 분산분석으로, 법적 신분에 따른 이미지 분석은 빈도분석과 분산분석으로, 사건 유형에 따른 이미지 분석은 빈도분석과 독립표본 t검정으로, 커뮤니케이션 상호관계 분석은 요인분석과 다중회귀분석으로 수행하였다. 신문사 보도성향에 따른 포토라인 등장인물 보도사진 차이 분석 결과, 보수 성향인 동아일보는 타 신문사 대비 검찰관서, 경찰관서, 법원관서에서 고르게 촬영장소를 선정하였고, 진보 성향의 경향신문은 검찰관서에서 높은 촬영 빈도를 보여 주었으며, 중도 성향의 한국일보와 국민일보는 촬영장소 선정에서 유사한 빈도를 보여주었다. 보수 성향인 동아일보는 타 신문사 대비 검찰수사 중인 등장인물의 보도 비율이 가장 낮았고, 진보 성향인 경향신문은 검찰수사 중인 등장인물의 보도 비율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포토라인 등장인물을 최초 보도한 사진과 2차, 3차 보도에 걸쳐 가공되거나 생산된 보도사진은 신문사 집단 내 편집진의 편집 과정에서 차이가 존재하였다. 각각의 신문사는 동일 조건에서 대상자를 맞이하는데 포토라인 등장인물이 설정한 이미지와 신문사의 가치와 편집진의 취지가 결합된 보도사진을 분석한 결과 신문사 집단 간에서도 보도성향에 따라 기사와 보도사진에 차이가 있었다. 선행연구에서 제시한 게이트키핑(gate keeping) 행위를 본 연구에서 확인하였다. 포토라인 등장인물에 대한 신문사의 감성 선호도를 샷의 크기를 통해 분석한 결과에서는 보수 성향의 동아일보가 긍정적 감성이 가장 낮았고, 진보 성향의 경향신문이 긍정적 감정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도 성향의 한국일보와 국민일보는 두 신문사와 비교하여 감성 선호도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법적 신분에 따른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한 결과, 피의자의 시선보다 피고인의 시선이 긍정적 이미지가 높게 나타났다. 피고인은 고개를 숙이거나 시선을 외면하기보다는 당당하게 시선을 정면으로 응시하는 경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사건 유형에 따른 커뮤니케이션을 분석한 결과 화이트칼라는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인 헤어스타일, 의복 유형, 장신구, 시선에서 긍정적인 이미지를 보여주었고, 일반인은 언어표현에서만 화이트칼라에 비해 높은 긍정적 이미지를 보여주었다. 일반인이 화이트칼라와 비교해 적극적으로 자신의 잘못을 인정하고 사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언어와 비언어적 커뮤니케이션 상호 작용에 대한 분석 결과 언어표현에 영향을 주는 변수는 시선이었다. 시선은 언어커뮤니케이션에 부적 영향을 주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The moment a celebrity appears on the photo line, the camera shutter is pressed and the flash is on. The photographer selects and determines the position of the camera angle as the first step, and simultaneously excludes certain parts of the subject or character depending on that position.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hoto line character tries to provide a processed image depending on the relationship of the incident so that the fight can proceed in a direction that is favorable to him. The research was conducted with the aim of analyzing the images expressed here and the images provided by the newspaper to broaden the understanding of the image formation and display effects of photo-line characters through languag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 this study, image properties refer to positive, negative and neutral image effects from theoretical background and prior study, for example: First, a positive image is an expression in which the subject admits or apologizes for the incident and looks straight ahead in a clean hairstyle, wearing glasses, ties and a suit. Second, the negative image is an expression in which the subject wears a hat or a dirty hairstyle, wears sunglasses, masks and frowns on his face. Third, a neutral image is an expression of expressionless and ambiguous gaze, with the subject silent about the incident or avoiding answers, changing his hairstyle to wigs, etc. and wearing daily clothes. This study put forward four research questions to verify how the verbal and non-verbal communication of the photo-line characters affects the image formation of the characters and how they affect each other in communication. Research Question 1. What are the newspaper's reporting characteristics and sensibilities about the photo line characters? Research question 2. What are the image attributes like when a reference person, a person under internal investigation, a suspect, or a defendant appears? Research Question 3. What about image properties when white-collar and ordinary people appear? Research question 4. What is the interrelation between languag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To secure objectivity of the data, conservative, progressive and moderate newspapers were selected from 242 meaningful materials and 252 were selected. The linguistic expression of linguistic communication has been updated with the theories of Benoit and Schobach, embodied in three subpar variables. Nonverbal communication sets appearance, expression, and gaze as primary factors. For image analysis, in linguistic communication, recognition, silence and denial were subdivided into positive, neutral and negative. A three-point scale was divided using the coding scheme. Non-verbal communication was coded on a three-point scale just like verbal communication. The data on press report analysis were cross tabulation analysis and ANOVA, the image analysis according to legal status was perform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ANOVA, the image analysis according to event type was performed with frequency analysis and T-test, and the communication interrelationship analysis was performed with factor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difference in photo line characters according to the newspaper's tendency, the conservative Dong-A Ilbo evenly selected the filming location from the prosecution office, police department, and court compared to other newspapers. The progressive Kyunghyang Shinmun showed a high frequency of filming at the prosecution office. The conservative Dong-A Ilbo reported the lowest percentage of the characters being investigated by prosecutors compared to other newspapers. The progressive Kyunghyang Shinmun reported the highest percentage of the characters under investigation by the prosecution.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editing process of the editorial staff within the group of newspapers between the first photos of the photo line characters and the second and third reports. There were also differences in articles and press photos among newspaper groups depending on their tendency to report. Gatekeeping behavior suggested in the preceding study was identified in this study. According to an analysis of newspaper's preference for the photo line characters through the size of the shot, the conservative Dong-A Ilbo had the lowest positive emotion, while the progressive Kyunghyang Shinmun had the highest positive emotion. An analysis of nonverbal communication based on legal status showed that the defendant is more likely to stare squarely at the eye rather than bowing or turning away from the eyes. As a result of analyzing communication according to case type, white collar showed positive image from non-verbal communication: hairstyle, clothing type, jewelry and gaze. Compared to white-collar, ordinary people actively admit and apologize for their wrongdoings. The analysis of language and non-verbal communication interaction showed that the variable that affected language expression was the gaze. The gaze was identified as a factor affecting amulets in language communication.

      • 한중 청춘 로맨스 웹 드라마 등장인물 분석 : <연애 플레이리스트>와 <아름다웠던 우리에게(致我们单纯的小美好)>를 대상으로

        박소현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청춘 로맨스 웹 드라마 등장인물을 분석함으로써 추후 상대국 진출을 고려하여 웹 드라마를 제작한다면 등장인물에게 어떤 특성을 부여해야 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한국의 <연애 플레이리스트>와 중국의 <아름다웠던 우리에게>의 등장인물을 대상으로 논의를 진행하였다. 웹 드라마는 한국과 중국 모두 2010년대 중반부터 주목받기 시작했으며, 현재도 활발히 제작되고 있는 대표적인 웹 콘텐츠이다. 등장인물은 웹 드라마와 같은 스토리텔링 콘텐츠를 구성하는 필수 요소로, 줄거리와 더불어 가장 중요한 요소인 동시에 가장 수용자의 흥미를 끄는 요소이기도 하다. 즉 드라마의 흥행을 위해서 수용자가 선호하는 특징을 가진 등장인물은 필수적이다. 또 콘텐츠의 국경이 없어진 지금은 해외 수용자의 선호도 역시 고려해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한국과 중국에서 각각 흥행하였던 웹 드라마 등장인물의 특성을 도출하는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이 진행되었다. 연구 대상의 대사를 수집한 후 형태소 분석을 실행하였고, 결과를 토대로 각 인물의 에니어그램 유형을 도출하였다. 또 의상 색채가 각 인물의 특성을 어떻게 반영하였는지 살펴보았으며, 이를 바탕으로 웹 드라마의 등장인물 설정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여성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졌다. <연애 플레이리스트>의 인물은 에니어그램의 감정 중심 유형 2인, 사고 중심 유형 1인으로 구성되었으며, 의상 색채의 경우 색상을 사용하여 인물 간의 차이를 명백히 보여주었다. <아름다웠던 우리에게>의 인물은 감정 중심 유형, 사고 중심 유형, 본능 중심 유형이 고르게 분포하였다. 의상 색채는 명도와 채도를 활용하여 인물의 특성을 드러냈다. 둘째, 남성 등장인물은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졌다. <연애 플레이리스트>의 인물은 감정 중심 유형 3인과 본능 중심 유형 1인으로 구성되었다. 의상 색채는 두 가지 양상을 보였는데, 20대 대학생이 선호하는 색상을 사용하였거나 인물의 특성에 맞춘 색상을 사용하였다. <아름다웠던 우리에게>의 인물은 감정 중심 유형 2인, 사고 중심 유형 1인이 등장하였으며, 의상 색채는 색상을 통해 인물의 성격을 부각하였다. 셋째, 첫 번째와 두 번째 연구 결과를 토대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한국에서 중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 웹 드라마를 제작할 경우 등장인물은 에니어그램의 감정 중심 유형, 사고 중심 유형, 본능 중심 유형에 고르게 분포하도록 설정하여야 한다. 의상 색채에 있어 여성 등장인물은 색상보다 명도와 채도를 통해 특성을 표현하고, 남성 등장인물은 색상을 확고히 하는 것이 좋다. 반대로 중국에서 한국 시장을 중심으로 한 웹 드라마를 제작할 경우 등장인물은 감정 중심 유형 위주로 설정하여야 하며, 색상을 통해 인물의 성격을 드러내는 편이 좋다. 本篇论文通过分析韩国和中国的青春罗曼史网络电视剧中的人物,为了将来成功进入对方国家的网络电视剧市场,探讨应该给予人物什么样的角色和特点。本篇论文的研究对象为韩国电视剧《恋爱播放列表》和中国电视剧《致我们单纯的小美好》中的人物。 在韩国和中国,网络电视剧自2010年代中期开始引起关注。如今网络电视剧在两国都是持续被制作的网络内容。剧中角色是构成网络电视剧等故事内容的必要要素,与情节一起是最重要的元素,同时也是吸引观众兴趣的要素。换句话说,为了电视剧的票房,必须具备符合受众偏好的剧中人物特征。此外,如今国家之间文化信息的境界已消失,需要考虑海外观众的喜好。因此,本研究对在韩国和中国分别受欢迎的网络电视剧中人物角色的特点进行了研究。 本篇论文的研究方法按照如下步骤进行:首先收集电视剧人物的台词,并进行分词和词性标注,然后根据词性标注的结果制作了每个人物角色的九型人格。接着本人研究了服装颜色如何反映每个角色的特点,并以此为基础提出了网络剧角色设置的方向。通过这些,得出了以下研究结果。 一、女性角色具备以下特点:在《恋爱播放列表》中,角色被构建为九型人格情感导向类型2和思考导向类型1,服装颜色的运用明确展现了角色之间的差异。在《致我们单纯的小美好》中,角色的情感导向类型、思考导向类型和本能导向类型的分布均匀。服装的颜色则通过明度和彩度的运用来展现了人物的特点。 二、男性角色具备以下特点:在《恋爱播放列表》中,人物由三个感情导向类型的人物和一个本能导向类型的人物组成。服装的颜色有两种情况,要么使用了20多岁韩国大学生喜欢的颜色,要么使用了符合人物特点的颜色。在《致我们单纯的小美好》中,人物由两个情感导向类型的人物和思考导向类型的人物组成。服装的色彩体现了人物的个性。 三、根据以上的研究结果,得出了以下结论:如果要制作针对中国观众的韩国网络电视剧,人物类型应该均匀分布于九种人格中的情感导向类型、思考导向类型和本能导向类型。在服装色彩方面,女性人物应通过明度和彩度来表现个性,而男性人物则更加强调固定的某种颜色。相反,如果在中国制作针对韩国观众的网络电视剧,人物应该以情感导向类型为主,通过颜色展现人物的个性较为合适。

      • 전래동화의 동물 등장인물 연구 : 조선전래동화집을 중심으로

        이인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1

        동물은 전래동화에 많이 등장하고 있으며 그 속에서 특정한 기능을 수행한다. 본 연구는 전래동화에 나오는 동물 등장인물의 문학적 특성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전래동화는 아동을 주 대상으로 하여 민중들이 동심을 바탕으로 만들어낸 허구적인 산문 문학이다. 따라서 전래동화에는 그 목적에 맞는 인물이 등장한다. 전래동화의 동물 등장인물에는 작가층인 민중들의 집단의식이 반영되어 있다. 또한 물활론적 사고를 가지고 있는 아동은 동물 등장인물에 흥미를 가진다. 동물이 등장함으로써 전래동화는 환상성을 가지게 되고 아동의 상상력을 충족시켜 줄 수 있다. 따라서 동물 등장인물은 전래동화에 필연적으로 등장한다고 할 수 있다. 전래동화에 등장하는 동물은 다양한 서사적 지위를 가진다. 단순히 실재하는 동물이나 중심인물이 사용하는 도구에 불과한 동물부터 전래동화의 사건을 이끌어가는 중심인물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양상을 보인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전래동화의 동물 등장물을 의인화, 주체성, 플롯과의 관계를 기준으로 하여 동물 등장인물과 배경으로 구분하였다. 배경으로서의 동물은 인물을 돋보이게 하는데 단순동물로 등장하거나 동물의 이미지가 차용되어 등장하는 경우가 있다. 그리고 전래동화의 분위기 형성에 기여하고 있다. 동물 등장인물은 전래동화의 내포독자인 아동의 특성에 맞게 중심인물과 주변인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동물-동물 관계담에서의 동물 중심인물은 우화성을 띠고 있어 이를 바탕으로 주제전달에 기여하고 있으며 인간-동물 관계담에서는 중심인물인 동물이 희화화되어 등장하여 독자에게 흥미를 준다. 주변인물은 중심인물과의 관계에 따라 조력자, 대립자, 중립자로 구분된다. 조력자는 조력의 방향에 따라 양방향적 조력과 일방향적 조력으로 구분된다. 양방향적 조력은 주로 보은담에서 볼 수 있는 것으로 중심인물인 사람이 동물에게 시은(施恩)을 하면 그에 대해 동물이 보은(報恩)함으로써 이야기가 진행된다. 동물이 보은함으로써 주제를 더욱 의미있게 전달하는 효과가 있다. 일방향적 조력은 중심인물이 신성(神性)을 가지거나 신성의 도움이 있는 경우에 나타난다. 시은이 없더라도 동물은 중심인물을 도와주는데 신성이 바탕이 되기 때문에 서사 전개의 개연성을 가진다. 대립자는 중심인물의 사건전개를 방해하는 등장인물이다. 주로 호랑이, 구렁이, 여우와 같은 포식자가 대립자로 등장한다. 독자는 중심인물이 동물 대립자를 물리치고 위기를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대리만족을 느끼고 흥미를 가지게 된다. 중립자는 중심인물과 평행한 관계를 가지는 등장인물이다. 조력이나 대립없이 중심인물과 일정한 거리감을 유지하며 서사가 진행된다. 이렇게 동물 등장인물은 인간과는 다른 능력을 가지고 전래동화에 등장함으로써 이야기에 환상성을 부여하고 흥미를 높이는 역할을 한다. 동물 등장인물의 성격은 크게 세 가지로 유형화 할 수 있다. 첫째, 생태학적 성격이다. 동물이 가지고 있는 본래의 성격이 그대로 전래동화에 반영되는 경우이다. 둘째, 민중의식의 반영적 성격이다. 동물은 인간과 오랜 세월을 함께 하며 특정한 상징의 의미를 가지게 되었는데 이러한 상징적인 성격이 반영되는 경우이다. 마지막은 재구(再構)된 성격이다. 앞선 생태학적 성격과 민중의식의 반영적 성격을 바탕으로 전래동화 내에서 서사구조에 알맞도록 작가로부터 창작된 고유한 성격이다. 동물 등장인물의 성격의 장점은 하나의 전래동화에서 뿐만 아니라 다른 전래동화에도 그대로 적용됨으로써 구체적인 인물묘사 없이 등장할 수 있으며 독자가 인물의 성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다는 점이다. 동물 등장인물은 전래동화의 주제를 효과적으로 전달하는데 필요한 중요한 요소이며 독자인 아동과의 소통을 용이하게 만드는 기능을 한다. 또한 사회의식이 반영되어 있어 사회적 가치를 아동에게 전달하는 기능을 한다. 동물 등장인물은 아동에게 교육적인 의의를 지닌다. 전형적 성격을 바탕으로 한 동물 등장인물은 아동에게 교훈성과 흥미를 줌으로써 문학에 대한 관심을 가지게 한다. 또한 동물 등장인물은 아동의 수준에 맞는 서사인물 이해의 기회를 제공한다. 동물 등장인물은 아동이 동일시하기도 하고 자신과 거리를 두고 비교하는 대상이 됨으로써 아동의 자아 발견 및 성장에 기여한다. 이 연구는 전래동화에 많이 등장하고 교육적 의의가 있지만 그 동안 소홀히 다루어 졌던 동물 등장인물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서사문학의 인물로서의 관점에서 동물을 새롭게 정립하고 이를 바탕으로 그 문학적 특성과 교육적 의의를 밝혔다는 데 의의가 있다.

      • 청소년의 영상매체 등장인물 동일시 현상과 자아개념간의 관계

        김연옥 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1

        이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의 영상매체 등장인물에 대한 동일시 현상과 자아개념간의 관계를 알아보는데 있으며,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청소년의 영상매체 등장인물에 대한 동일시 현상은 그들의 성,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2. 청소년의 자아개념은 그들의 성, 연령에 따라 차이가 있는가? 3. 청소년의 영상매체 등장인물에 대한 동일시 원인과 동일시 수준 및 자아 개념간에 유의한 관계가 있는가? 4. 청소년의 영상매체 등장인물에 대한 동일시 수준에 따라 동일시 원인과 자아개념 간에 차이가 있는가?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의 초등학생 242명, 중학생 266명으로 총 508명이었다. 질문지 조사방법으로 수집한 자료를 SPSS WIN 10.0 프로그램으로 분석하였으며, 분석기법으로는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t검정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기에 나타나는 영상매체 등장인물 동일시 현상은 동일시 수준이 중간 이상인 집단이 69%로 나타나 청소년기의 동일시 현상은 청소년의 발달 과정에 나타날 수 있는 일반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었다. 둘째, 청소년의 영상매체 등장인물에 대한 동일시 수준은 성, 연령에 따라 차이가 없었으나 동일시 원인의 하위변인에 있어서 초등학생의 경우에는 남자는 대리만족 요인에서 여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고, 개인적인 특성요인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더 높게 나타났다. 셋째, 등장인물에 대한 동일시 수준과 자아개념에 있어서 연령별 차이로는 하위 변인인 친구자아, 자기확신, 신체자아가 높을수록, 동일시 수준이 높게 나타나다가 성장하면서 능력자아와도 정적인 상관관계를 보인 반면에 가정자아와 학급생활 자아는 동일시 수준과 부적 관계를 나타냈다. 연구결과 청소년의 영상매체 등장인물에 대한 동일시는 대체로 모델링과 대리만족 차원에서 동일시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동일시의 대상은 폭력적이거나 선정적인 드라마의 등장인물이거나 혹은 마법을 행하는 드라마의 주인공으로 이들의 공통점은 외모보다는 힘이 세거나 말을 잘하는 등 뛰어난 능력의 소유자였다. 남자의 경우에는 등장인물의 능력이나 성격, 그리고 행동에 관심을 갖고 있으나 여자의 경우에는 남자와는 달리 그 역할을 맡은 탤런트나 배우가 좋다는 이유만으로 이를 모델링하는 경우도 있었다. 전체적으로 자아개념이 긍정적인 경우에 동일시 수준도 높게 나타났으나, 가정과 학급생활 자아개념은 반대로 부정적인 경우에 동일시 수준이 높게 나타났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what is the degree and causes of early teenagers'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s of visual media and what relationship is there among the degree, causes and self-concept. The research questions were as follows: 1. Is t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 and age in a phenomenon of teenagers' identification with mass media characters? 2. Is there the difference between the gender and age in early teenagers' self-concept? 3. Do the causes and the degree of early teenagers'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s of visual media and self-concept have some connection with another? 4. Does the level of early teenagers'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s of visual media make the cause and self-concept different? The subjects were 242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266 middle school students in Seoul - totally 508. Questionnaires were used and analysed with the SPSS WIN 10.0 program. As analysis methods, frequency, percentage, average, the standard deviation, and T-inspection are used. The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ixty-nine percent of the participants was above the middle of the degree of adolescents'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s of visual media. So, this identification phenomenon can be viewed typical in development. Second, there was no difference of the degree of early teenagers'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s of visual media in sex and age. However, substitute satisfaction of boys was higher than that of girls. Third, in the degree of identification with characters and self-concept at early teens the higher of friend-ego, self-confidence or physical ego was, the higher degree of identification was. At late teens ability-ego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identification, but family-ego and class-ego was inversely proportional to that. The results of the research show that : - teenagers' identification was found in the level of modeling and substitute satisfaction. - the subjects of identification are characters of violent or erotic dramas or main characters who charm. A common feature of those subjects for identification is that they have extraordinary abilities such as being strong or articulate, rather than good looking. - boys were interested in abilities, characteristics, and behaviors of characters. However, girls make a model of characters because they just like actors. - positive self-concept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e degree of identification. But negative self-concept in family and class was directly proportional to that.

      •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폭력성과 여성관 분석

        이유라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초등학교 아동들이 선호하는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폭력성과 여성관을 분석하는 연구이다. 전래동화에 등장하는 인물의 행동 유형에 따라 선인과 악인으로 나누고, 선인과 악인을 비교하여 폭력성과 여성관을 분석하였다. 폭력성은 폭력의 종류, 내용, 사용하는 이유, 사용한 결과를 분석하였고, 여성관은 여성의 지위, 행동, 구원의 인물, 구원의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폭력성과 여성관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는 교사의 전래동화 수업시 역기능적인 면을 순기능으로 전환시킬 수 있는 시각과 전래동화의 개작시 기초 자료로서 활용코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Ⅰ. 한국 전래동화에 폭력성은 어떠한 방식으로 나타나는가? Ⅰ - 1. 폭력을 사용하는 인물은 누구인가? Ⅰ - 2. 폭력의 종류는 무엇인가? Ⅰ - 3. 폭력을 사용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Ⅰ - 4. 폭력을 사용한 결과는 어떠한가? Ⅱ. 한국 전래동화에 여성은 어떠한 방식으로 표현되는가? Ⅱ - 1. 여성의 지위는 무엇인가? Ⅱ - 2. 여성의 행동은 어떠한가? Ⅱ - 3. 여성에 대한 구원의 인물은 누구인가? Ⅱ - 4. 여성에 대한 구원의 결과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한국 전래동화 30화를 연구 대상으로 하였고, 연구 방법은 내용분석법을 사용하였다. 한국 전래동화에 나타난 등장인물의 폭력성과 여성관을 4개의 주항목으로 분석 범주를 정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한국 전래동화에서 폭력적인 장면이 93%의 전래동화에서 나타나고 있으며 강도 높은 폭력과 직접적인 폭력의 사용 빈도가 매우 높게 나타났다. 특히 선인이 사용하는 폭력은 30%로 나타나는데 이것은 아동들에게 도덕적인 갈등없이 명분있는 폭력으로 받아들여질 수 있다고 본다. 등장인물이 폭력을 사용한 후 성공적인 결과를 얻게되는 경우가 65%로 나타났다. 이것은 폭력의 사용이 문제해결에 있어서 효과적인 수단으로 보일 수도 있다. 둘째, 한국 전래동화에 등장하는 여성의 지위는 딸, 어머니, 아내, 할머니 등으로 나타나고, 자신의 이름이 없으며 가난한 생활을 하고 있는 것으로 묘사된다. 여성의 행동은 남성에게 순종하고 의존하면서 희생적으로 살아가는 나약한 인물로 나타났다. 때문에 항상 구원의 인물에 의해서만 긍정적인 결과를 얻게되어 여성은 무력한 존재로 묘사되었다. 구원의 인물도 대부분이 남성으로 설정되어 남성의 우월함을 잠재적으로 나타내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was twofold. The one was to study the violent acts perpetrated by bad characters and good characters in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for children. The other was to analyze feminine traits in them. In doing so, thirty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most preferred by children were selected and analyzed. In order to study violence perpetrated by characters and feminine traits depicted in Korean traditional folk tales, following specific research questions were formulated: Ⅰ. In what way are the violent acts shown in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Ⅰ-1. Who perpetrate violence? The bad character or the good character? Ⅰ-2. What kinds of violence are used by the characters? Ⅰ-3. What are the reasons of violent acts? Ⅰ-4. What are the results of violent acts? Ⅱ. In what way are woman portrayed in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Ⅱ-1. What are the prevalent status of female characters? Ⅱ-2. What are the prevalent female behaviors? Ⅱ-3. Who help female characters to be saved? Ⅱ-4. What are the rewards given to female characters by being saved? In order to explore the research questions, content analysis was made. The prevalent violent acts portrayed in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were categorized into 4 major units. The feminine traits were also categorized into 4 major units. The results were in the following. In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the prevalence of violence was proven. In 93% of the tales, violent acts were used. Among them, cruel violence and direct physical attack were most frequent. Violence perpetrated by the good characters were present in 30% of the tales. This results imply that children can see the violence with good reasons, without feeling or expressing indignation over it, 65% of the violent acts used in the tales were shown as being rewarded. It is likely to be seen that violent acts may be an effective means to be used to get what someone wants. In Korean traditional fairy tales, the status of female characters were daughter, mother, wife, grandmother, etc. They were not given any proper names and were in poverty. Prevalent female behaviors were portrayed as weakness, dependence, docility, resignation, etc. Women were described powerless. In most cases women were saved by male figures. This results imply that children can relegate the female traits as inferior to masculine traits.

      •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노르웨이의 숲(ノルウェイの森)에 대한 고찰 : 남성 등장인물들의 의미를 중심으로

        박종현 高麗大學校 敎育大學院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무라카미 하루키(村上春樹)의 『노르웨이의 숲(ノルウェイの森)』에 대한 연구이다. 무라카미 하루키의 작품 안에서 여성인물의 역할이 중요하게 다루어 지고 있고 작가 역시 여성 등장인물의 역할에 대해 영매적인 지위를 인정하고 있는 반면에 남성인물에 대한 연구는 진행된 사례가 드물다. 따라서 남성 등장인물에 대한 연구가 더 활발히 진행될 필요성 느끼고 작품 안에서의 남성등장인물의 역할과 의의 분석을 통해 작품의 이해를 돕고자 남성등장인물을 중심으로 연구를 전개해 나간다. 본 연구에서는 남성등장인물과 주인공 와타나베와의 관계를 중점으로 남성등장인물의 유형을 무라카미 하루키가 여성 등장인물을 중심으로 분류하고 있는 기준인 현실세계형 인물과 정신세계형 인물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있다. 현실세계형 인물은 현실 세계를 반영하고 있는 인물로 유머러스하고 활동적이며 긍정적인 인물이다. 정신세계형 인물은 침착하고 인텔리젠트하며 조금 소극적이고 사려가 깊은 유형의 인물이다. 작품 안에서의 등장하는 남성인물은 기숙사에서 만나게 된 룸메이트 돌격대, 미도리의 아버지, 고등학교 때의 유일한 친구인 기즈키, 기숙사의 2년 선배 나가사와로 이 4명의 남성을 처음 만나는 장면부터 그들의 배경을 분석하고 특징적인 성격과 행동을 분석하여 해당하는 유형을 찾는다. 본 연구에서는 분석의 결과 돌격대와 미도리의 아버지가 현실세계형 인물에 해당이 되었고 기즈키와 나가사와는 정신세계형 인물로 해당되었다. 각각의 인물 유형은 각각 와타나베에게 다른 작용을 하고 있다. 따라서 각각의 남성 인물들과 와타나베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사건위주로 인물들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이를 바탕으로 와타나베의 행동의 변화나 정신적인 변화를 고려하여 남성인물과 어떤 관계이며 남성인물들의 작품 안에서의 의의가 무엇인지 고찰해보았다.

      • 가장연희로서 탈춤 등장인물의 특징에 관한 연구 : 해서탈춤을 중심으로

        박연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1

        This paper conducts studies on the character’s features of masked dance as a disguise play, focused on the Haeso Masked Dance. The study analyzes the features of the characters with the Marebito theory of Oricuchi Shinobu and the theory of Komatsu Kazuhiko. Additionally, the study applies the passage rite concept of Van Gennep and the Liminoid of Victor Tuner to newly categorizes each character’s features. First, the Marebito argued by Oricuchi Shinobu, originated from a disguised god. Then later, the Marebito appeared of each era, as the historical features were reflected on this identity. Therefore, he suggested four types of Marebito: First, Marebito in the ritual. Second, Marebito in the play. Third, Marebito who is a fictional character or a god in folktales. Fourth, Marebito in the history including the transformed Marebito caused by historical situations or external factors. On the other hand, Komatsu used the stranger concept to analyze the characters of the masked dance. Referring to his theory, the stranger is someone who lives outside of folk society and contacts with the residents in folk society through various opportunities. He categorized the stranger as four types : First, the stranger who temporarily visits the community. Second, the stranger who enters the community and settles down. Third, the stranger who discriminated against or abandoned in a community. Fourth, the stranger who exists only in imagination or could be encountered in an indirect way. With those perspectives, we considered the character’s features and classified characters presented in masked dance in the following manner. First, we could find that a master-servant relationship between Nojang(the Old Buddist Monk), Palmokjung(the eight unworthy monks) and Chwibari is reversed. We could also see the same aspect with the relationship between Yangban and Malddugi. Second, We studied about the Old Man, Miyal Grandma of Bongsan Masked Dance and Gangryeong Masked Dance, the ChoiGwari, Grandma Clown and the Elderly Namgang of Eunyul Masked Dance. Those characters are represented as gods. The research shows the gods are temporarily appeared on the Talpan(a performance stage) as humans. Third, the young women in the Haeso Masked Dance, Sangjwa(the young monk), Somu(prostitute), Socheop(concubine), and mudang(shaman), have various features in the boundary space ‘Talpan’. The features could be explained by Oricuchi and Komatsu’s theory. Fourth, two animals in the Haeseo Masked Dance, lion and monkey, have two two different aspects. Lastly, Shinjangsoo(the shoes merchant), who only appears in Bongsan Masked Dance, is a character that shows the transaction between the gods and humans. The characters that correspond to Oricuchi’s theory are Sangjwa, lion as a first type, and the monkey as a second type. Next, the Old Man, Miyal Grandma of Bongsan Masked Dance and Gangryeong Masked Dance, the ChoiGwari, Grandma Clown of Eunyul Masked Dance are third type. Finally, Nojang, Palmokjung, Chwibari, Yangban, Somu, and Malddugi are the fourth type. Above this, Socheop has both the second and fourth types of characteristics, and Shinjangsoo is a character represented by the transformation of the third and fourth types. Also, the Old Man of the Eunyul Masked Danceis the second type because unlike the Old Man of Bongsan Masked Dance and Gangryeong Masked Dance, he is not a god and shows dramatic elements. On the other hand, in Komatsu's theory, characters are classified as follows. The first type includes Nojang, Palmokjung, Sangjwa, as well as Shinjangsoo. Likewise, the Old Man and Miyal Grandma of Bongsan Masked Dance and Gangryeong Masked Dance, the ChoiGwari and Grandma Clown of Eunyul Masked Dance, the Elderly Namgang belong to this type because they are gods visit for a moment to the community. Since the second type is the type where the first type settled in the community, there are representative figures as Chwibari and Somu. The third type is a group of people discriminated against or abandoned by the community, including the old man’s concubine, Socheop and a lowly status, Malddugi and Mudang. The fourth type is a lion and a monkey. because they are animals from abroad. Finally, Yangban, who did not belong to the above four, were classified separately as an other type. The core of this study is that all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aracters in the masked dance are Marebito and stranger at the same time. However, the remarkable part is that the concept of the stranger is not a fixed concept but a relative concept. Since the concept of relationship between each object is key, Oricuchi and Komatsu, as well as, scholars who expressed their opinions on the stranger theory, say that it can change fluidly depending on which part they focus on. Thu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asked dance characters are different, but in common, the characters are all Marebito and stranger. We could find that the cast members enjoyed playing away from their daily lives as disguised as these characters. 본 논문은 가장연희로서 탈춤에 등장하는 인물의 특징을 해서지방 탈춤을 사례로 알아보았다. 등장인물의 특징을 분석하는데 있어서 오리쿠치 시노부의 마레비토론과 고마쓰 가즈히코의 이인론을 연구방법론으로 제시하였고, 부가적으로 반 겐넵의 통과의례와 빅터 터너의 리미노이드도 함께 적용시켜 등장인물을 새롭게 유형화하여 각각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먼저 오리쿠치 시노부가 말하는 마레비토는 가장한 신에서 유래되었고, 이후에 역사적인 특성이 반영되면서 각 시대에 인물인 마레비토도 등장했다고 말한다. 그는 마레비토 유형을 첫째는 제의에 등장하는 마레비토, 둘째는 연극에 등장하는 마레비토, 셋째는 설화 속에 등장하는 가상의 인물이거나 신인 마레비토, 넷째는 역사에서 실재했던 마레비토 이렇게 크게 네 가지로 정리했고, 추가적으로 역사적인 상황이나 외부의 요인으로 변용이 발생한 마레비토도 대상에 포함시켰다. 반면에 고마쓰가 말하는 이인은 민속사회 외부에 살면서 다양한 기회를 통해 정주민과 접촉하는 사람이라고 정의하며 분석 개념으로 활용하였다. 그는 이인의 유형으로 첫째는 공동체에 일시적으로 방문하는 이인, 둘째는 일시적인 방문자가 공동체 안으로 들어와 정착하는 이인, 셋째는 공동체 안에서 차별받거나 버림받는 이인, 넷째는 상상 속에서만 존재하거나 간접적으로 접할 수 있는 이인으로 크게 네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러한 이론들을 적용시켜서 탈춤에 등장하는 인물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여 특징에 대해 고찰하였다. 먼저 노장과 팔목중 및 취발이, 양반과 말뚝이 간의 관계에서 모두 주종관계가 역전된다는 특징을 보여준다. 두 번째로는 봉산탈춤·강령탈춤에서의 영감과 미얄할미, 은율탈춤의 최괄이와 할미광대, 그리고 남강노인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 이들은 모두 신으로 탈판에 일시적으로 인간으로 전환하여 등장하였다. 세 번째로 해서탈춤 속에 등장하는 젊은 여성들인 상좌·소무·소첩·무당은 모두 탈판이라는 경계적인 공간에서 오리쿠치와 고마쓰가 유형화한 특징을 다양하게 가지고 있으며, 네 번째로 해서탈춤에 등장하는 동물인 사자와 원숭이는 양의적인 모습을 가지고 있다. 마지막으로 다섯 번째로 봉산탈춤에서만 등장하는 신장수는 신과 인간 사이의 거래를 보여주는 인물이라는 특징을 보여준다. 오리쿠치의 마레비토론에서 각각 해당되는 인물로 먼저 첫 번째 유형은 상좌, 사자이고, 두 번째 유형으로 원숭이가 있다. 그 다음에 세 번째 유형은 봉산탈춤·강령탈춤의 영감과 미얄할미, 은율탈춤의 최괄이와 할미광대, 남강노인, 무당이고, 마지막으로 네 번째 유형은 노장, 팔목중, 취발이, 양반, 소무, 말뚝이가 있다. 이 외에 소첩은 두 번째와 네 번째 유형의 특징을 모두 가지고 있고, 신장수는 세 번째 유형과 네 번째 유형이 변용되어 나타난 인물이다. 그리고 은율탈춤의 영감은 봉산탈춤과 강령탈춤의 영감과는 다르게 신이 아니며 극적인 요소를 보여주기 때문에 두 번째 유형에 해당된다. 반면에 고마쓰의 이인론에서는 등장인물이 다음과 같이 분류된다. 첫 번째 유형으로 노장, 팔목중, 상좌는 물론 상인인 신장수도 이에 해당된다. 또한 봉산탈춤·강령탈춤의 영감과 미얄할미, 은율탈춤의 최괄이와 할미광대, 남강노인은 공동체에 잠시 내방하는 신이기 때문에 이 유형에 속한다. 두 번째 유형은 첫 번째 유형이 공동체에 정착한 유형으로, 대표적인 인물로 취발이와 소무가 있다. 세 번째 유형은 공동체에서 차별받거나 버림받는 인물로 영감의 첩인 소첩과 천한 신분인 말뚝이와 무당이 해당되고, 네 번째 유형은 사자와 원숭이로, 외국에서 온 동물이기 때문에 이 유형에 해당된다. 마지막으로 위의 네 가지에 속하지 않는 인물인 양반은 기타 유형으로 따로 분류했다. 본 연구의 핵심은 마레비토론과 이인론을 적용시켜서 탈춤 속에 등장하는 인물이 가지고 있는 특징은 모두 마레비토이자 이인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여기서 주목할 부분으로 이인론이 고정된 개념이 아닌 상대개념이라는 점이다. 각 대상 간의 관계개념이 핵심이기 때문에 오리쿠치와 고마쓰는 물론 이인론에 대해 의견을 밝힌 학자들은 본인이 어느 부분에 중점을 두느냐에 따라서 유동적으로 변할 수 있다고 말한다. 그래서 탈춤의 등장인물이 가지고 있는 특징은 각각 다르지만 공통점으로 등장인물이 모두 마레비토이면서 이인에 해당되며, 연행자들이 이러한 인물들로 가장하여 일상으로부터 벗어나 놀이를 즐겼다는 것을 알 수 있다.

      • 디즈니 애니메이션에 나타난 캐릭터 유형 및 특징 분석 : 프로브의 일곱 가지 등장인물 유형에 따라서

        강민우 세종대학교 영상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0

        현대는 과거와는 달리 지식기반의 고부가가치 산업의 시대를 맞이하고 있다. 과거의 자본과 생산성 위주의 산업은 정보, 지식 기반의 문화 컨텐츠 산업으로 변하고 있다. 애니메이션 산업은 이러한 문화 컨텐츠 산업 중에서도 큰 시장과 다양한 부가 산업을 창출 할 수 있다는 점에서 그 중요성은 특별하다 하겠다. 애니메이션 산업에서 파생되는 부수산업은 실로 무궁 무진 하다고 할 수 있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예만 들어도, 극장 입장 수입 뿐 아니라, 뒤이어 속편으로 출시되는 비디오도 수천만부의 판매 실적을 올렸고, 이것은 다시 레이저디스크, CD롬 등으로 판매되었고, 주제가 모음은 음악 CD · 카세트로, 주인공 캐릭터는 무수한 상품에 응용되어 큰 수익을 내고 있다. 영상산업은 팬시, 머천다이징산업과 연관 된데다가 심지어는 교육용 CD에까지 확산되는 등 황금 알을 낳는 부가가치 극대산업으로 인식되고 있다. 이러한 애니메이션 산업의 증심에는 캐릭터가 있다. 애니메이션의 독특한 캐릭터는 관객의 뇌리에 남아 그 캐릭터가 그려진 상품들을 보면서 자신이 보았던 애니메이션을 다시 생각하게 되고, 이는 좋은 순환 효과를 발휘한다. 애니메이션이 실패하더라도 캐릭터는 성공하여 부수적인 사업으로 성공을 거둔 예도 많이 있다. 이렇듯 애니메이션 캐릭터는 큰 장점을 가지고 있는 고부가가치 산업의 중요한 소재이다. 그리고 이러한 캐릭터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부각시키느냐에 따라 성공 여부에 많은 영향을 줄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구성요소를 분석하여 디즈니 애니메이션 캐릭터들의 각 요소들이 어떠한 공통점을 내포하고 있는지 도출해 내려 한다. Ⅰ. 서론에서는 연구 목적과 연구 문제, 연구 범위 및 연구방법 그리고 기존 연구에 대한 검토를 한다. 선진화된 디즈니 애니메이션 캐릭터의 유형별 공통적인 특성들을 도출해 내어 국내 애니메이션 캐릭터 제작 시 보편적인 지표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으며 이에 따라서, 디즈니 캐릭터를 프로브의 일곱 유형에 따라 나눌 수 있는지, 그리고 유형별로 분류를 하였다면 분류된 캐릭터들은 유형별로 어떠한 공통적인 특징이 있는지를 연구 문제로 하였다. 이러한 내적 및 외적으로 공통적인 특징을 산출하는 방법에 대해서도 언급하였다. Ⅱ장에서는 캐릭터의 일반적인 이론적 배경에 대해서 간략히 설명을 한 후, 프로브의 민담 구조론과 거기에 언급되어있는 일곱 가지 등장인물 유형에 대해 서술한다. 그리고 내적 특성 요소의 산출 방법에 사용할 MBTI와 DISC에 대한 설명과 외적 특성 요소에서 다루어지는 얼굴 유형과 특징에 대해서 서술한다. Ⅲ장에서는 본 논문에서 연구대상으로 정한 디즈니 캐릭터들을 프로브의 일곱 가지 등장인물 유형으로 분류하는 작업을 한다. Ⅳ장에서는 분류된 캐릭터들을 유형별로 내적 및 외적 특성을 산출하여 어떠한 공통적인 코드가 있는지 분석하는 작업을 한다. 즉, 캐릭터들의 MBTI와 DISC 유형을 산출하여 유형별로 어떠한 공통점이 있는지를 분석하여 내적 공통점을 도출해 내고, 마찬가지로 얼굴 유형을 분석하여 외적 공통점을 도출해 낸다. 마지막 Ⅴ 결론에서는 연구 문제에 대한 답안을 제시한다. 본문에서 조사한 캐릭터들의 유형별 내적 및 외적 특성의 공통점을 정리하고 이에 대한 실용 방안을 간단하게 언급한다. The present day, differently from the past days, is hight value added industry age that stands on ths basis on knowledge. the industry of the past, that was based on capital and productivity, is changing to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based on information and knowledge. Importance of the animation industry is very special because it has big market among the cultural contents industry and can make various supplement industry. Supplement industries derived from animation industry are infinite. For a instance, Disney animation gave very much actual results by sequel video as mush as theater income. And they making big profits from the sales of 0ST CD-ROMs and character merchandises. There is a Character at center of Such an animation industry. Spectators remember characters while see various goods drawn the characters, and this situation displays fine circulation effect. There are some success examples animation was failed but it's characters succeeded very much. Thus, animation character is an important matter of the high value industry. Bringing character into relief effectively has an much effect on success or failure, I think. So then, how can we create characters impact-fully? I think analyzing organization of character firstly, and drawing a common feature in connection with success cases is a important prior subject. So in this dissertation, I intend to analyze personality type and physiognomic appearance of grouped characters. And I purpose to make common features and different things clear each other. In the introduction, I will investigate a research purpose, problem, scope, method and existing research. It is the purpose that I draw common features of grouped Disney Characters and then, offer universal manual to interior animation makers. And the research problem is that Disney Characters can be grouped into Probe's Seven Character Types and if it is possible, what common features there is. I also, refer the method to solve the problem. In chapter Ⅱ, after explain about public theory of character, descript Probe's Seven Character types in folk story. And I explain about MBTI and DISC those are used to research internal features, and explain about face types those are used to research external features. Tn Chapter Ⅲ, I classify according to Probe's Seven Character types. In Chapter Ⅳ, I analyse that there are what common features in grouped characters. Namely, I draw inner features by research MBTI types and DISC types of grouped characters, and in the same way, draw external features by research Face types of characters. For the last time, int Chapter Ⅴ, I draw conclusion. I summarize inner and external features of grouped characters researched in the body, and I comment shortly about us pla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