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동시대 미술의 쟁점을 통한 미술 감상교육 연구

        김단우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현대 사회의 미술교육에 있어 감상영역의 문제점으로부터 시작하여 학습자들과 맞닿아있는 동시대 미술에 대한 미술 감상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미술 감상교육은 동시대의 학습자들에게 시각적 문해력, 인지능력, 커뮤니케이션 소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그 중에서도 동시대 미술의 작품을 감상하고 동시대 미술이 가지고 있는 쟁점적 특성을 이용하여 다원주의 사회 속에서 요구되는 다양한 역량을 기를 수 있다. 최근 미술교육자들은 다양한 쟁점 사항들의 감상과 비평의 필요성을 제기하고 있다. 동시대에서 제작되는 미술작품들은 여러 가지 특징을 가지고 있고 그 매체와 종류가 무한하여 학습자로 하여금 많은 시각에서 해석하고 감상할 수 있는 가능성이 존재한다. 이러한 동시대의 미술작품들은 다원주의를 띄고 있는 현재(現在)사회와 같은 맥락과 특성을 가지고 있다. 동시대 미술은 이율배반(二律背反)성과 무질서(無秩序)성을 띈다. 이러한 동시대 미술은 감상자로 하여금 쟁점을 발생시킨다. 즉 안정적인 미술 사조와 같은 고정된 개념이 사라짐에 따라 동시대 미술에서는 많은 논쟁이 발생하고 이를 동시대 미술의 쟁점이라고 한다. 미술은 주관적인 개인의 이해 이상으로 사회와 연결되어 있고 그렇게 개인과 사회의 관계에 있어서 소통을 제공하는데, 복잡해진 사회 구조 속에서 학습자들이 경험하는 일상적 삶의 양상 또한 다원화된다. 많은 현상과 삶의 사유는 다의적 해석이 가능한 위치에 놓여있고, 의미에 대한 탐구는 창의적인 재구성과 함께 가치 탐색을 위하여 사회 내에 존재하는 쟁점 사안에 대한 비평적 탐구는 필수 요소이다. 이러한 비평적 탐구의 방법으로 동시대 미술을 채택하고, 미술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데, 이 감상교육에서 ‘커뮤니케이션’, ‘대화’형 미술 감상교육방법을 활용한다면 동시대의 미술 작품을 감상하는 데에 있어서 학습자들이 알지 못했던 새로운 관점으로 미술 작품을 감상할 수 있게 되고 잠재된 감정과 비언어적 미적 체험을 언어화시키고 구체화 하는데 도움을 줄 것 이다. 이러한 연구의 선구자로는 A. Arenas가 대화중심 미술 감상교육을 선행 연구하였고, Engle과 Ochoe의 쟁점중심수업 의사결정모형연구가 존재한다. 여러 가지 선행연구와 사례들은 커뮤니케이션이 발생하는 대화형 미술 감상교육과 쟁점중심수업의 필요성의 근거를 마련한다. 인천시 소재 Y고등학교의 미술비평동아리를 대상으로 설정하고 수업모형을 개발한다. 그에 따른 교육방법매체를 설정하고 교수학습방법의 실제를 개발하여 적용한다. 이러한 적용 방법에서는 미술지식의 향상, 의사소통능력, 자기주장능력, 시각적 문해력, 쟁점을 도출하는 능력등 여러 가지 방면의 향상의 결과를 기대한다. 결론을 토대로 동시대 미술의 쟁점을 통한 감상교육에 관한 효과를 밝힐 수 있으며, 본인이 개발한 교육 프로그램의 한계점을 도출하여, 교육 프로그램을 발전시킬 기회 또한 마련할 수 있다. 이러한 연구와 더불어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 본 논문의 지표를 통하여 동시대 미술을 매체로 하는 미술 감상교육 프로그램의 발전을 도모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is paper aims to develop an art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 for contemporary art that is in contact with learners, starting with problems in the field of appreciation in art education in modern society. Art appreciation education provides contemporary learners with an opportunity to improve their visual literacy, cognitive skills, and communication skills. Among them, you can appreciate the works of contemporary art and develop various competencies required in a pluralistic society by using the controversial characteristics of contemporary art.  Recently, art educators have raised the need for appreciation and criticism of various issues. Art works produced at the same time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and their media and types are infinite. Thus there is a possibility that learners can interpret and appreciate them from many perspectives. These contemporary artworks have the same context and characteristics as the current society, which has pluralism. Contemporary art is antinomy and disorderly. This contemporary art creates an issue for the viewer. In other words, as fixed concepts such as stable art trends disappear, many debates arise in contemporary art, which is called an issue of contemporary art.  Art is connected to society beyond subjective individual understanding and provides communica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individuals and society, and the aspects of daily life experienced by learners in the complex social structure are also diversified. Many phenomena and thoughts of life are placed in a position where multiple interpretations are possible, and the exploration of meaning is essential for creative reconstruction and critical exploration of issues existing in society for value exploration. Using 'communication' and 'interactive' art appreciation education methods in this appreciation education will allow learners to appreciate art works from a new perspective that they did not know and help verbalize and materialize latent emotions and non-verbal aesthetic experiences. As a pioneer in this study, A. Arenas previously studied conversation-oriented art appreciation education, and Engle and Ochoe's issue-oriented class decision-making model study exists. Various previous studies and cases provide the basis for the need for interactive art appreciation education and issue-oriented classes in which communication occurs.  It will set up an art criticism club at Y High School in Incheon and develop a class model. Accordingly, the educational method medium is set up and the actual teaching and learning method is developed and applied. In this application method, we expect the results of improvement in various fields such as improvement of art knowledge, communication ability, self-assertion ability, visual literacy, and ability to derive issues.  Based on the conclusion, the effect of appreciation education through issues of contemporary art can be revealed, and opportunities to develop educational programs can also be provided by deriving the limitations of educational programs developed by oneself. In addition to these studies, it is hoped that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art appreciation education programs based on contemporary art can be promoted through the indicators of this paper.

      • '소통'의 관점에서 본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한국 동시대 미술 관련 교육내용 분석

        김지현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소통’의 관점에서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의 한국 동시대 미술교육 관련 내용을 분석한 연구이다. 현대 사회에서 공감과 소통이 중요시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한국 동시대 미술은 대중과 소통하고 사회와 공감하며 우리들의 삶 속에 다양하고 적극적인 방식으로 나타나는 특성이 강하다. 그러나 교육현장의 주요 매체인 교과서에서는 주로 표현기법의 소개를 위한 참고 도판으로써 한국 동시대 미술을 제시하는데 그치고 있다. 이에 본고에서는 한국 동시대 미술이 지닌 중요한 교육적 가치라 할 수 있는 바람직한 공동체 인식함양을 위한‘소통’관점에서 분석하였다. 즉, 2015 개정 미술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미술 교과서 10종을 대상으로 한국 동시대 미술의 비중, 교과 영역 및 미술 영역의 분포, 학생활동의 비중, 소통의 하위영역 분포 등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첫째, 한국 동시대 미술이 표현 영역에 치우쳐 있다. 출판사별 한국 동시대 미술의 비중을 살펴보면 최대 교학도서 45%, 최소 미진사 21%로 적지 않은 비율이라는 것을 알 수 있으나, 그 영역을 살펴보면 표현 영역이 360개의 도판으로 72% 이상을 차지한다. 미술 영역에서는 한국 동시대 미술의 다양한 장르에도 불구하고 회화가 약 30%로 최대 비율을 차지고 중점적으로 다루어지고 있고, 전체 학습에서 소통이나 맥락적인 배경 정보에 대한 학습보다는 표현기법의 내용이 다루어지고 있다. 둘째, 한국 동시대 미술이 실제적인 학생활동과 연계되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대부분 한국 동시대 미술이 참고작품으로 제시되었으나 이에 관한 탐구나 내용 연구 없이 별개의 활동이 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에, 한국 동시대 미술에서 ‘소통’에 중점을 둔 교육을 위해서는 학생들에게 다양한 작품예시와 함께 구체적인 발상 기법을 안내함으로써 학생들에게 선택의 폭을 넓혀주어, 학생의 사고를 미술을 통해 세상과 소통할 수 있도록 도와야 한다. 이뿐만 아니라 ‘감상’영역의 미술사에서도 현대미술의 비중을 높여 한국 동시대 미술의 맥락에 대한 학습으로 자국의 문화 이해를 토대로 자신의 정체성을 정립하는 것에 도움이 되게 한다. 이를 바탕으로 자신의 일상과 맥락에서 세상과 소통하는 방법을 배울 수 있다. 학생활동에서는 학생들이 관심 있는 주제와 관련한 한국 동시대 미술작품의 맥락적 조사와 이를 위한 여러 가지 방법의 활용을 통한 탐구가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국 동시대 미술은 사회와의 소통의 장이며 삶의 현장 모습을 담고 있기에 이를 통한 미술교육은 다양한 상호작용과 참여를 바탕으로 현대 사회에서 가장 필요로 하는 이해와 존중이 바탕이 되는 소통의 중요성 인식시킬 수 있다. 따라서 한국 동시대 미술 인식 교육을 위한 다양한 접근의 교육방법들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판단된다. 주제어 : 소통, 한국 동시대 미술, 미술교육 keyword : communication, Korean Contemporary Art, art education This paper is the study that Korean contemporary art educational contents analysis in the high school art textbooks from a view of 'communication'. In the modern society, the sympathy and communication is highly regarded. In this side, Korean contemporary art has a strong characteristic of showing itself through various and active means of communicating and empathizing with the public and our lives. But in the public education textbooks, only few plates exist to introduce expression technique without deliver the importance of Korean contemporary art. Hence, this paper analysis Korean contemporary arts in the high school's textbooks in view of communication to establish the positive community spirit through fostering communication skills which consider as the most important education value in Korean contemporary arts(With 10 kinds of high school art textbooks published in 2015 which follows the revised art education curriculum. Korean contemporary arts' Specific gravity, distribution in art education area, Students tasks, Communication area were review to analyze this paper's concept) Analysed result is following as below : First, Korean contemporary arts lean to the expression realm. Examine the 10 kinds of textbooks, Korean contemporary arts give weight to high proportion (the highest 45% in Kyohak publication and the lowest 21% Mijin publication) but it leans to the expression realm (360 plates, over 72%). In the area of arts, even Korean contemporary art have wide fields, painting give weight to 30%(the highest proportion) and expression technique handling more than education of communication and contextual understanding. Second, Korean contemporary art have not ties with the practical student activity. Most of Korean contemporary art presented by the reference work but there was no exploratory about this or research of content. Though, for the education including communication skills in Korean contemporary art, guiding the concrete conception technique to the students with the various work examples to develop students broader ways of thinking to communicate with the society is required. Moreover, increasing the proportion of Korean contemporary art in the area of art appreciation is helpful to students to establish its own identity by comprehensive there culture. Based on this, students can learn the way to communicate with the world in their daily life. In the student activity, it will have to advance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exploratory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connection investigation and many ways, therefore Korean contemporary art which the students are related to the subject of concern are realized. In conclusion, as Korean contemporary art is the place of the communication with the society and contains the scene of life, it enables recognition of importance of communication which is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skills for comprehension and respect in modern society to the students by various interaction and participation. Therefore, continuous research about the instructional methods of the various accesses is needed for awareness education of Korean contemporary art. keyword :communication, Korean Contemporary Art, art education

      • 선물(gift)로서의 현대미술 가치 연구 : 제도에 경합하는 예술적 실천과 의의

        김현주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687

        This dissertation studies the relationship between gift and art by relating the subject of anthropology to contemporary art. Contemporary art has partially applied the concept of a gift to an artistic form, but there are few cases in which the thought related to the gift is actively reflected in the practice of contemporary art. Between gift theory and contemporary art, discussions about gifts derived from anthropology, philosophy, aesthetics, sociology, and economics are fragmented. Therefore, I tried to introduce the fragmented discussion of gifts to illuminate the meaning of contemporary art, especially artistic practice that competes with institutions. Etymologically, a gift has two meanings: a favorable 'present' and a contrasting 'poison'. In other words, the gift is Pharmakon, which means both medicine and poison. Gifts are also voluntary in theory, but in practice they are obligatory given or received in return. Gifts contain the simultaneous paradox of not being able to sacrifice either of the two values ​​of freedom and duty. In addition, the most radical expression of the character of a gift is the potlatch. Gifts do not stop at emotional elevation of joy, gratitude, and happiness, but also create negative emotions such as debt and guilt, and a hierarchy is projected in them. Also, in the stage of giving, receiving, and returning, the gift goes beyond the level of an object such as a thing or object, and the involvement of the subject with the other and the object is clearly revealed. So far, gifts have been regarded as symbolic values ​​for social integration. However, in the second half of the 20th century, anthropology radicalized the discussion of gifts by exposing that gifts, which had been raised in terms of social integration, were constructs. This achievement provides an opportunity to link the question of the imaginary value of a gift with the question of the value of art, the most imaginary practice in our lives. Therefore, This dissertation focuses on contemporary art as a destructive potlatch that threatens, disturbs, and violates order, taking as the main research period from the 20th century on which the historical avant-garde art practice occurred to contemporary art. Art, which is considered to be extremely useless, surplus, or extravagant, exhausts the light of radicality as it is incorporated into society, but there is another artistic struggle that emerges to destroy the institutional order, causing a turbulence in the system. This dissertation intends to signify the artistic practice that emerges with questions about the institutions and systems as a gift, and in this case, art as a gift assumes the ambiguity of the gift that Mauss prepared in The Gift as a possibility rather than a limit. 본 논문은 인류학의 주제인 선물(膳物, gift)을 현대미술에 접목시켜 선물과 예술의 관계에 대한 학제 간 연구를 시도한다. 현대미술은 부분적으로 예술적 형식에 선물 개념을 대입해 왔으나 현대미술의 실천에 선물과 관련한 사유가 적극적으로 반영된 사례는 많지 않다. 선물 사유와 현대미술 사이에는 인류학, 철학, 미학, 사회학, 경제학에서 파생된 선물에 대한 논의가 파편적으로 펼쳐져 있다. 따라서 파편적으로 펼쳐져 있는 선물에 대한 논의를 현대미술, 그 중에서도 제도에 경합하는 예술적 실천의 의미를 조명하기 위해 도입하고자 했다. 선물은 어원학적으로 호의적인 ‘선물(present)’과 이에 대비되는 ‘독약(poison)’이라는 두 가지 의미를 담보한다. 즉 선물은 약과 독을 동시에 의미하는 파르마콘(pharmakon)이다. 또한 선물은 이론상으로는 자발적이지만 실제로는 의무적으로 주어지거나 답례받는다. 선물에는 자유와 의무라는 두 가지 가치 중 하나를 희생시킬 수 없는 동시적 역설이 내포된 것이다. 더불어 선물의 성격이 가장 급진적으로 발현된 형식은 포틀래치(Potlatch)이다. 선물은 기쁨, 감사, 행복이라는 정서적 고양에 그치지 않으면서 채무와 죄책감과 같은 부정적 감정을 낳으며 그 속에 위계와 서열이 투영되어 있다. 또한 주고, 받고, 되돌려주는 단계에서 선물은 사물이나 오브제와 같은 대상의 차원을 넘어서서 마주하는 주체와 타자, 대상과의 연루가 분명히 드러난다. 그동안 선물은 사회 통합적 의미를 위한 상징적 가치로 간주되었다. 그러나 20세기 후반 인류학은 사회 통합적 차원에서 제기되던 선물이 구성물임을 폭로하여 선물 논의를 급진화시켰다. 이 성과는 선물의 상상적인 가치에 대한 질문을 우리 삶에서 가장 상상적인 실천이라고 할 수 있는 예술의 가치에 대한 물음과 연동시킬 수 있는 계기를 마련해 준다. 따라서 본 논문은 역사적 아방가르드 미술 실천이 발생한 20세기 이후의 미술부터 동시대 미술까지를 주된 연구 시기로 삼고 질서를 위협하고 교란하며 위반하는, 파괴적인 포틀래치로서 현대미술에 주목한다. 극단적으로 무용함이나 잉여, 여분으로 간주되는 예술은 사회에 편입되면서 급진성의 빛을 소진하지만, 제도의 질서를 무너뜨리기 위해 새롭게 등장하는 또 다른 예술적 분투가 있기에 체제에 격랑이 일어난다. 본고는 바로 이처럼 제도와 체제에 질문을 품고 등장하는 예술적 실천을 선물로써 의미화하고자 하며 이때 선물로서의 예술은 모스가 『증여론』에서 예비한 선물의 모호성을 한계가 아닌 가능성으로 상정한다.

      • 영국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public gallery)의 운영 현황 연구

        최혜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687

        20세기 후반에 들어 세계의 뮤지엄들은 다양한 형태로 변화하였고, 독특한 프로그램을 선보이거나 운영 형태의 변화를 시도하는 등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고 있다. 특히 소장품 기능을 배제하거나 축소한 형태로 운영되면서 동시대 작가들을 지원하고 활발한 전시를 기획하는 유형의 기관들은 유럽에서 일반적 형태로 다양하게 나타나며, 미국에는 일부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중국과 일본 등 아시아에서도 극히 일부의 형태로 나타나고 있는 추세이다. 이러한 형태로 운영되는 기관으로는 독일의 쿤스트할레(Kunsthalle) 개념 등의 기관이 있고 미국에는 디아 아트 재단(Dia Art Foundation)에서 운영하는 디아 아트 센터 · 첼시 미술관, 현대 미술관(Museum of Modern Art/MoMA)이 운영하는 P.S.1 동시대미술 센터(P.S.1 Contemporary Art Center) 등이 있다. 한편 아시아권에는 중국 베이징의 울렌스 아트 센터, 일본 도쿄의 국립신미술관(国立新美術館) 등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아르코미술관이 유사한 성격을 지니고 있다. 이러한 공공 갤러리들은 뮤지엄의 주요 기능인 소장품과 관련된 기능을 배제하거나 최소화하고, 동시대 작가들을 위한 전시와 각종 지원을 하며 지역 사회 속 예술의 근거지 역할을 담당한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특히 1901년 화이트채플 갤러리의 설립을 시작으로 전시중심형의 공공 갤러리들의 설립이 확산되어 온 영국의 경우 다양한 기관들이 운영되고 있다. 그러나 한국을 비롯한 아시아에서는 이러한 개념 및 운영 형태는 일반화 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영국의 런던과 뉴캐슬을 중심으로 위치하고 있는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들 중 설립 및 운영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7개 기관의 운영 현황을 분석 연구하였다. 2장에서는 영국의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들의 설립 및 역사와 성격 및 운영분류에 대해 기술하였다. 이들 공공 갤러리들은 소장기능을 배제하거나 최소화하고 동시대 작가들을 위주로 전시를 기획한다는 유사성을 지니며 지역 사회와 연계된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한다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특징을 토대로 문헌 조사 및 현지답사를 하여 설립 배경 · 설립 시기 · 운영 분류 등을 분석함으로써 각 기관들의 형성 및 설립배경을 기술하였다. 또한 해당 기관의 담당자 및 큐레이터와의 인터뷰를 통해 실질적인 연구를 진행하였다. 3장에서는 이들 공공 갤러리의 운영 현황과 성격을 비교하였다. 직제와 재정지원 기구, 전시 중심 시스템과 동시대 작가 중심의 전시, 다양한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전반적인 현황을 기술함으로써 7개 기관의 운영 체계 · 전시중심의 성격 · 동시대 작가 중심의 전시 · 교육 프로그램 및 네트워크 · 특별프로그램 및 서비스 등의 운영 현황을 분석하였다. 4장에서는 이들 기관의 특징을 도출하였다. 영국의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들의 특징은 크게 세 가지로 나뉠 수 있다. 우선 뮤지엄의 주요 기능 중 하나인 소장기능을 배제하거나 최소화 하여 소장품의 수집 · 관리 · 보존 · 전시 · 연구 · 교육 등에 대해 발생하는 비용 즉, 수장고 등의 공간이나 인건비 및 관리비 등을 절감한다. 다음으로 이 기관들은 동시대 작가를 지원한다. 주로 생존 작가를 중심으로 전시회를 개최하고, 레지던시 프로그램 통해 작업공간을 지원하거나 작가가 주도하는 교육프로그램 및 특별 프로그램을 통해 동시대 작가들의 연구 범위를 확대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또한 지역사회와 연계된 각종 프로그램 운영을 통해 지역의 학교와 시설, 거주자 등 지역민을 위한 전시공간으로서 운영된다. 유 · 무료로 운영되는 지역민 미술 교육 프로그램과 아카이브 및 도서관의 개방, 홈페이지를 통한 교육자료 제공 등의 활동을 통해 이들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들이 지역 커뮤니티 속에서 상호작용하고자 하는 모습을 엿볼 수 있다. 이러한 전시 중심형 공공 갤러리들은 기존의 미술관이 행해오던 영역을 넘어 그 역할을 확장 및 보완하여 운영되고 있으며, 아시아를 비롯한 한국에서는 극히 일부만이 이러한 형태를 취하고 있는 실정이다. 동시대 작가들을 지원하고 소장품의 기능을 축소 · 배제하여 운영하는 형태의 기관들은 ‘살아 있는 미술관’ ‘제 3의 미술관’으로서 절실히 요구되며 지속적인 연구와 관심이 필요하다. Abstract Museums around the world are evolving in the late 21st century. A new paradigm is being built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special programs and the development of new organizational structures. This change is especially apparent in the museums which do not hold, or attempt to minimalize, permanent collections. These museums are most commonly located in Europe, but are sometimes located in the US. Recently, these types of museums have started appearing in Asian countries such as China and Japan on a very small scale. Public galleries following this paradigm typically play the roles of supporting contemporary artists, and serving as bastions of art for the local community. In the UK there are a large number of these exhibition-focused galleries. Though this type of art organization is not yet common in Asia. In this dissertation, I analyze the operational characteristics of seven galleries in the UK which exemplify this new paradigm. In chapter two I categorize the different organizational structures of these seven galleries. They are all similar in that they are not collection focused, but geared more towards interacting with the local community. In chapter three I compare these organizations’ operating philosophies and characteristics. I provide and interpret a graphic showing the working hierarchies of each of these organizations. I discuss the financial support structures, the exhibition-focused systems, contemporary-artist focused exhibitions, and the operations of various programs. In chapter four I discuss the unifying characteristics of these seven galleries. There are three main similarities. They conserve resources that would otherwise be spent on manpower, space, management overhead associated with maintaining collections. The organizations all support contemporary artists by sponsoring exhibitions, running residential programs, and running special educational programs. Last, Through programs aimed towards the local community, the organizations serve as educational centers. This new paradigm requires the art community’s focus as it represents the cutting edge of art exhibition and culture today.

      • 모더니즘과 동시대미술에서 키치에 대한 연구

        이영일 단국대학교 2008 국내박사

        RANK : 248686

        The study is on kitsch in modernism and contemporary art. Focus of discussion lies in the position of kitsch in modernism and contemporary art and its significance and issues followed by it. Having complex relation with 'Art' in modern and contemporary society, Kitsch forms the backbone of daily lives in society of mass consumption. In the aspect, study on kitsch is inevitable to be the study on complex and multi-layered issues that is interdependent on 'Art', 'Daily Lives' and 'Life'. The researcher focused on collapse of 'Macro-Segmentation Theory' in studying such 'Chapter' together with the trend of 'Restoration', 'Expansion' and 'Transformation' in kitsch as 'Forefront' of avant-garde - modernism and 'Return to Restraint'. Also, emphasis was put on issue of duality and ambivalence of kitsch as 'Colonization of Daily Lives' and 'Aesthetics of Daily Lives'. Considering the logics of cultural products-consumer culture in modern society, analysis on kitsch within the chapter with complex formation of sensibility, culture, daily lives, taste, 'Works', aesthetics in product, 'Difference'-preference, spectacle, politics, economy and system is inevitably to be the discussion on backbone of contemporary art and analysis on daily lives. The researcher analyzed and criticized the myth and ideology of modernism - avant-garde with kitsch as its forefront as it has been introduced in late 19th century. In the context, multi-layered meaning of avant-garde - modernism and 'Theory of Kitsch' by C. Greenberg &Th.W.Adorno is looked into in the study. Although, discussion of the two advocates ('Theory of Kitsch') is performed with the demand of the era, it is still true in that myth of avant-garde - modernism was 'formed' within the course of the discussion. Namely, avant-garde - modernism was 'consecrated' by putting kitsch 'The Forefront' aside. As discussion is expanded to the 'Restoration of Kitsch', the researcher moved the focus to the position of leftist Susan Sontag regarding the 'Trans-Aesthetic' state of pop art that gives significance to the 'Objects in Daily Lives or Subject of Materialism Itself' and 'implodes' the boundary of 'Daily Live and Art'. It may be considered that 'Camp' and 'New Sensibility' of Santag is primarily the opposition to the standardized modernism and furthermore the 'self-reflection' and alternative for the intellectual whom could not return to 'Avant-Garde' or propose new alternative with the position of being 'A Resistant Elite' of the past at the moment where boundary of art and daily lives are becoming ambiguous. In the circumstances where narrative of modernism is decaying and aesthetics and colonization of daily lives are integrated as one with the product & culture, logic of capital & daily lives and logics of capital as its backbone, it may referred to the withdrawal of previous role of intellectual, namely the role of 'criticism and resistance' taken by the intellectual. A process where Kitsch have 'transformed' in delicate 'form' based on logics of consumer culture may be considered to have penetrated into the sensibility of the intellectuals and incapacitated the 'resisting and criticizing' intellectuals and it can also be considered as process in that aesthetics are penetrating to the daily lives. As it is widely known, death of 'Modern Subject-Reason' is inevitable to be expanded to the skepticism on 'Genius-Artist' that produces the creative works of art and skepticism on the significance and backbone of the art works in contemporary art is followed from discussion on 'Death of Subject'. Also, it is the premise in that 'Civil Right' is given to the kitsch. The researcher points out that 'Post-Humanism' followed by the 'Death' of 'Modern Subject - Reason' is the 'Expansion of Reason' and potential 'Structure of Measures' that may correspond to logics of capital, the colonization of daily lives. The researcher attempts to propose the 'Intertextuality' & 'Multiplicity of Meaning' in contemporary art and 'Expansion' & 'Transformation' of kitsch in the context of Pastich F. Jameson and Parody L. Hutcheon. It means to discourse upon the deepening of the paradox as the strategy of criticism derived from parodying the common, inferior, coarse and garish elements of kitsch together with the 'crossing' and 'crossover' state of kitsch presented in the modern consumer society, the 'Spectacle' society. It is the discussion on contrast meanings that kitsch possess in contemporary art and the art works given as an example of pastich by researcher (EX 1) is the art work <Vacuum Cleaner> by J. Koons as an commercial sculpture and its analysis and art works given as an example of parody, 'Politics of Reproduction', is the art work <Homage to Delacroix: Liberty Leading the People> by R. Colescott. In post-capitalist society, kitsch exists within the multi-layered and complex relation - items together with the spectacle. Kitsch is penetrated and unevenly distributed to the life, art, culture and living and it is in harmony with aesthetics, daily lives, product, preference, rest, consumption, etc as a one. Kitsch and spirit of kitsch can be considered to possess the functions such as colonization & aesthetics of daily lives in such 'Chapter'. The researcher focuses on the multiplicity of meaning, ambivalence & duality of kitsch and sets focus of analysis of work on the paradox of 'Ambiguity in Expression' (Represented as 'Language of Silence') and its value as an attempt to radicalize the ambiguity and anxiety brought about by the 'Signal Arrangement in Daily Lives by Capital' and kistchy status. Kitsch is 'realized' through the culture, signal, daily lives, value of symbol, 'Art Works', materialized consciousness. Also, one-sided criticism on kitsch may be the opposition to the sensibility and sensible culture of people in aesthetic and modern society considering such complex structure and relation. To consider and affirm kitsch as the aesthetics of daily lives can only be interpreted to affirm the 'Colonization of Daily Lives' as the background to realize the ideology of post-capitalism. 'Colonization of Daily Lives' with 'Aesthetics of Daily Lives' as its backbone solidifies the capitalistic social structure and produces and reproduces the hegemony. Also it complicates the structure of class as preference furthermore. For the kitsch with such duality, the research concluded that the leaving the ambiguous distance that is 'Affirmation' and 'Criticism' at the same time is one of the active 'Strategy' to deal with the kitsch. 'Co-Existence' of 'Affirmation' and 'Criticism' presents 'Duality' and irony but such 'Co-Existence' is concluded to be 'Neutral', practical and exercisable in relation-item of the kitsch with traits of duality and ambivalence. When affirmation on aesthetics of daily lives and criticism on kitsch as post-humanism is carried out in aspect of complementary dialectic, namely when deepening and crossover of kitsch is progressed simultaneously, more exercisable attitude toward the correspondence of kitsch state will be proposed. 본 논문은 모더니즘과 동시대미술에서 키치에 대한 연구이다. 모더니즘과 동시대 미술에서 키치의 위치와 그 의미, 및 그에 따르는 문제점이 중심적으로 논의되었다. 근, 현대사회에서 ‘예술’과 복잡한 관계를 맺었던(맺고 있는) 키치는 대량소비사회에서 일상의 근간을 이룬다. 그런 점에서 키치 연구는 ‘예술’과 ‘일상’과 ‘삶’을 아우르는 복합적이고 중층적인 문제에 대한 연구일 수밖에 없다. 연구자는 이러한 ‘장’에 대한 연구를 함에 있어서 ‘거대-분할론’의 붕괴에 주목했고 동시에 아방가르드-모더니즘의 ‘타자’인 키치와 ‘억압된 것의 귀환’으로서의 키치의 ‘복권’ ‘확장’ 및 ‘변용’이라는 흐름에 주목했다. 또한 논의를 확장시켜 ‘일상의 식민화’와 ‘일상의 심미화’로써의 키치의 이중성과 양가성 문제에도 집중하였다. 현대사회의 문화상품-상품문화의 논리를 유념한다면 우리는 감성, 문화, 일상, 취향, '작품', 상품미학, '차이'-기호, 스펙터클, 및 정치, 경제, 제도가 복합적으로 구성된 장 내부에 놓인 키치에 대한 분석이란 곧 동시대 미술의 근간에 대한 논의이고 일상에 대한 분석일 수밖에 없다. 연구자는 논문을 구성하면서, 19세기 말 키치의 등장을 시작으로, 키치를 타자로 하는 모더니즘-아방가르드의 신화와 이데올로기를 분석, 비판했고 그 맥락 안에서 아방가르드-모더니즘의 다층적 의미와 그린버그와 아도르노의 ‘키치론’을 살펴보았다. 물론 두 논자의 논의(‘키치론’)는 시대적 요청에 의한 것이기는 하지만, 그 와중에 아방가르드-모더니즘의 신화가 ‘구성’된 것은 분명한 사실이다. 즉 ‘내부의 타자’인 키치를 밖에 둠으로써 아방가르드-모더니즘은 ‘신성화’되었던 것이다. 이어서 연구자는 ‘키치의 복권’으로 논의를 확장하면서, 그 초점을 ‘대중적인 사물 혹은 물신 그 자체’를 '현전'시키고, ‘일상과 예술’의 경계를 ‘내파’시키는 팝아트의 ‘초-미학’적인 현상에 대한 (좌파)지식인 손택의 입장으로 이동시켰다. 손택의 ‘캠프’와 ‘새로운 감수성’은 일차적으로는 획일화된 모더니즘(Modernism)에 대한 반발이며, 나아가 예술과 일상과 심미의 경계가 붕괴되는 상황에서, 단순히 과거의 ‘저항적 엘리트’의 포지션인바 ‘아방가르드’로 돌아갈 수(도피할 수)도 없고 그렇다고 다른 새로운 대안을 제시할 수도 없었던 상황에서 등장한 지식인의 ‘자기-성찰’과 일종의 ‘대안’이었다고 이해해볼 수 있다. 이는 모더니즘의 내러티브가 쇠락하고, 상품과 문화, 자본의 논리와 일상, 자본의 논리를 근간으로 한 일상의 심미화와 식민화가 복합적으로 하나로 합류하는 상황에서 지식인의 기존의 역할, 즉 ‘비판하고 저항하는’ 지식인의 역할의 ‘종말’을 의미하는 것으로도 이해해볼 수 있다. 아울러 이는 키치가 상품문화의 논리 속에서 섬세한 ‘형태’로 ‘변이’되어 지식인의 감수성으로 파고들었고, ‘저항하고 비판하는’ 지식인을 무력화시켰다고도 볼 수 있는 동시에, 심미화가 일상으로 확산되는 과정이라고 볼 수 있다. 주지하다시피, ‘근대주체이성’의 죽음은 창조적인 작품을 생산하는 ‘천재-작가’에 대한 회의로 확장될 수밖에 없으며, ‘주체의 죽음’이라는 담론은 동시대미술에서 작품의 의미와 근간에 대한 물음(회의)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또한 이는 키치에게 ‘공민권’이 주어지는 전제조건이기도 하다. 연구자는 ‘근대주체-이성’의 ‘죽음’이후 ‘포스트-휴머니즘’은 ‘이성의 확장’이라는데 논의를 모았고, 아울러 ‘포스트-휴머니즘’은 자본의 논리에 다름 아닌 일상의 식민화에 상응하는(대응할 수 있는) 일종의 잠정적인(잠재적인) ‘지층구조’라고 볼 수 있겠다. 연구자는 동시대 미술에서 ‘상호-텍스트성’과 ‘해석의 다의성’에 대한 논의와 더불어서 키치의 ‘확장’과 ‘변용’을 패스티쉬(제임슨)와 패러디(린다 허천)의 맥락에서 제시하고자 하였다. 이는 ‘스펙타클’ 사회인 현대소비사회에서 나타나는 키치의 ‘횡단’과 ‘가로지르기’ 현상 및 키치의 통속적이고 열등하고 조악하고 원색적인 요소들을 차용(패러디)할 때 파생되는 비판적 전략으로서의 역설의 심화를 이야기하는 것이다. 이는 동시대 미술에서 키치가 갖는 상반된 의미작용에 대한 논의인데 연구자가 패스티쉬의 예(1))로 든 작품은 ‘상품조각’으로서의 쿤스의 작품<진공청소기>와 그에 따른 분석이고, 패러디, 즉 ‘재현의 정치학’의 사례(2))로 든 작품은 콜스콧의 <들라크루아에 대한 경의: 민중을 이끄는 자유의 여신>이다. 후기-자본주의 사회에서 키치는 스펙터클과 함께 중층적이고 상호복합적인 관계-항 속에서 존재한다. 키치는 삶과 예술, 문화와 생활 곳곳에 침투하고 편재하면서 심미, 일상, 상품, 기호, 휴가(휴식), 소비 등등과 하나로 어우러져 있다. 이러한 ‘장’속에서 일상의 식민화와 일상의 심미화 기능을 동시에 담지하고 있는 것이 키치와 키치의식이라고 볼 수 있다. 연구자는 이러한 키치의 다의성과 양가성, 및 이중성에 주목하면서 연구자의 작품분석의 키워드(초점)를 ‘자본에 의한 일상의 기호배치’와 키치적 상황이 일으키는 모호성과 불안을 첨예화하려는 시도로써 ‘표상의 애매모호함’(‘침묵의 언어’로 대변되는)의 역설과 그 가치를 분석하였다. 키치는 문화, 기호, 일상, 상징가치, ‘작품’, 물화된 의식을 통하여 ‘실체화’된다. 또한 키치에 대한 일방적인 비판은 이러한 복합적인 구조와 관계를 놓고 볼 때 일상의 심미, 현대 사회인들의 감성과 감성문화에 대한 부정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물론 키치를 일상의 심미화로 보고 긍정한다면 이는 후기 자본주의 이데올로기를 실현하는 장으로서의 ‘일상의 식민화’에 대한 긍정일 수밖에 없다. ‘일상의 심미’를 근간으로 한 ‘일상의 식민화’는 자본으로서의 사회적 구조를 더욱 공고히 하고 헤게모니를 생산(재생산)하고 기호로서의 계층의 구조를 더욱 구조화한다. 이러한 키치의 양면성 앞에서 연구자는 키치에 대한 긍정이며 동시에 비판인 모호한 거리두기가 키치를 다루는 일종의 적극적인 ‘전략’이라고 판단했다. 이러한 ‘긍정’과 ‘비판’의 동시성은 ‘이중적’이고 아이러니하지만 이런 전략의 ‘동시성’은 키치의 양가적이고 이중적인 속성과의 관계-항에서 ‘중용적’이고 실용적이고 실천적이라고 판단된다. 일상의 심미에 대한 긍정과 포스트-휴머니즘으로써의 키치에 대한 비판이 상호 보충적이고 변증법적으로 실행되었을 때, 즉 키치의 심화와 가로지르기가 동시에 진행될 때 키치 현상에 대응하는 보다 실천적인 태도가 제시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 미셸푸코의 회화론 연구 : 『마네의 회화』를 중심으로 본 동시대 미술의 이질성

        이연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683

        본 논문은 미셸 푸코의 장치개념을 통해 동시대미술의 이질성에 대해 규명하고, 마네 회화와의 연속성 안에서 동시대미술의 자리를 마련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동시대미술의 두드러진 특징은 ‘이질성(hétérogénéité)의 공존’이다. 본고에서 대상으로 삼고 있는 회화의 이질성은 특히 단일한 주체의 통합적 시선의 파괴와 캔버스의 내부 요소들 간의 동질성 파괴를 의미한다. 그리고 이러한 이질성은 회화의 형식적인 다양함뿐 아니라 작품 안에 구현된 주체들의 드러남까지 포함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한 것이다. 푸코의 논의는 동시대미술에서 나타나는 주체의 위치 변화를 논하는 가운데 다양한 미술 작품에 대한 형식적 분석을 도입하고 있다는 점에서 동시대미술의 이질성 문제를 이해하는 좋은 틀을 제공한다. 이러한 이질성은 푸코의 장치 개념을 통해 설명할 수 있다. 푸코에 따르면 장치는 ‘한 사회 내의 제도와 규칙, 담론과 비담론, 가시적인 것과 비가시적인 것들을 모두 포함하는 이질적인 요소들의 집합’이다. 푸코는 사회의 가시적인 요소들 뿐 아니라 권력-지식과의 역학관계를 통해 숨겨져 있는 비가시적 요소들까지 장치의 범위라는 점을 밝힌다. 또한 푸코는 이질적인 요소들로 구성되어 있는 장치가 주체화의 과정에 관여한다는 점에 주목한다. 장치에 대한 푸코의 논의를 통해 동질적인 것으로 여겨졌던 회화라는 장치 안에 있는 여러 구성 요소들의 어긋남과 그것을 바라보는 통합적 시선의 파괴를 설명할 수 있다. 그런데 회화에서의 이질성은 근대적 재현회화를 이끌어 온 유사성이라는 원리에 의해 오래도록 은폐되어 왔다. 푸코는 외부세계에 대한 지시와 참조를 기초로 삼고 있는 근대의 표상적 재현을 비판하였다. 이러한 표상적 재현의 구성 원리인 유사성은 플라톤의 이원적 존재론을 근간으로 한다. 플라톤에게 있어 이데아에 대한 이중적 복제로 존재하는 시뮬라크르는 대상과의 외적 유사성만을 지닌 저급한 것이었으나, 르네상스의 미술개념 획득과정을 통해 대상과의 본질적인 유사성을 지닐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지게 되었다. 이런 과정으로 확립된 근대적 재현회화는 대상과의 유사성 획득을 가장 중요한 목적으로 삼아 캔버스 내부의 모든 요소들이 동질성을 이루며 주체의 통합적 시선을 구성한다. 그런데 푸코는 근대적 재현회화가 규범으로 삼고 있었던 유사성과 동질성이 사실은 그 내부에 이질성을 은폐하고 있었음을 <시녀들> 해석에서 보여준다. 푸코는 <시녀들>에서 맹아로 존재하던 이질성이 <마네의 회화>에서 전면에 등장하고 있음을 발견하고, 근대적 재현회화의 통합적 시선과 캔버스의 동질성이 파괴되는 지점을 화면의 구성, 조명, 관람자의 자리라는 요소를 통해 분석하였다. 이 세 요소의 분석을 통해 푸코는 마네의 회화가 지닌 특징을 ‘타블로-오브제’(le tableau-objet)라고 명명한다. 타블로-오브제는 근대적 재현회화에서 없는 것으로 간주되었던 캔버스가 물질로서의 2차원의 평면이라는 사실을 강조함으로써, 3차원의 환영을 폐기한다. 나아가 푸코는 근대적 재현회화의 유사성이 폐기된 자리에 상사성(similitude) 개념을 도입한다. 상사성의 규범을 통해 더 이상 원본과 지시 대상을 갖는 이미지가 아닌 그 자체로 고유한 의미와 맥락을 생산하는 시뮬라크르로서의 회화가 가능하게 되었다. 이 논문이 주목하는『마네의 회화』는 비록 푸코가 명시적으로 밝히고 있지는 않지만, 회화 역시 이질성에 바탕을 두고 주체의 구성에 관여하고 있다는 점에서 푸코의 장치 개념을 분명하게 보여준다. 푸코는 근대적 재현회화의 이질성을 드러내기 위해 추상회화에서처럼 재현을 벗어나기 위해 형태를 없애버리는 방법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명백히 대상과 닮은 이미지를 전면에 내세우는 회화를 예시하여 동시대미술을 설명한다. 동시대미술에 관한 푸코의 논의는 근대적 재현에 대한 비판을 넘어서 동시대미술에 관여하는 변화된 주체의 자리까지도 보여준다는 점에서 여타의 논의를 종합하고 있다. 이로부터 본고는 푸코의 장치개념을 통해 동시대미술이 보여주는 이질성과 주체의 구성을 어떻게 해석해야 할 것인지에 관해 보다 설득력 있는 설명을 제시한다. 주요어: 미셸 푸코, 동시대미술, 이질성, 장치, 재현, 시뮬라크르, 마네의 회화 학번: 2007-20068

      • 회화와 매체미술의 상호관계성과 동시대미술의 새로운 경향

        김성연 동명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670

        20세기를 지나면서 예술과 비예술, 순수미술과 상업미술, 삶과 미술, 과학과 예술, 작가와 일반인, 고급예술과 저급예술 그리고 장르와 장르간의 구분이 모호해졌다. 이러한 현상들은 이전까지 미술의 장 안에서 통용되었던 범주와 규범에 대한 논의가 균일한 방향으로 전개되기가 어려워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 같은 미술의 변화를 촉발하게 된 중요한 배경 중 하나는 19세기 중반부터 등장한 새로운 시각매체들로 인해 회화 행로의 좌표가 재설정되었기 때문이다. 본 논문에서는 회화의 변화를 가져온 매체미술과 회화의 상호관계를 조명하고 또 모더니즘을 지나 1990년대 이후 사회적 관계 속에서 나타나고 있는 새로운 경향들을 살핀다. 이를 통해 회화/미술이 외부의 새로운 자극/현상들을 만나면서 어떻게 스스로를 위치하게 되는지를 확인하고 또 어떤 관점에서 미술을 바라볼 것인지의 문제를 제시한다. 회화와 새로운 매체의 관계는 지속적으로 새로운 미학적 관점이 발생되며 전개되어 왔는데, 전통적인 회화/미술의 표현양식들은 새로운 매체들과 단절적으로 구성되지 않고 다른 미디어와 접속하고 융합하며, 여전히 동시대미술을 지탱하는 동력으로 작동하고 있다. 또한 모더니즘 시기와 ‘회화의 죽음’이라는 선언적 문구 이후, 즉, 20세기 후반부터 전개되고 있는 ‘미술의 사회적 참여’나 ‘공동체와 미술’과 같이 공적 영역과 연결된 예술적 실천들은, 이전의 제도미술과 예술규범에 귀속되기 보다는 사회적 맥락과 삶의 가치를 중요한 문제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미술의 변화에 주목해 보면, 회화가 다른 매체들을 만나면서 그 외형을 확장하고 새로운 매체들과 상호관계하면서 미술의 확장을 견인한 것처럼, 20세기 후반에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미술담론의 장(場) 내․외부에서 행해지고 있는 여러 유형의 실험과 실천들 까지도 ‘미술과 사회(집단/공동체)’와의 상호관계로 확장하여 이해될 필요가 있다. 즉 19세기 중․후반부터 새로운 매체와의 상호관계에서 촉발된 미술의 정체성에 대한 고민을 넘어, 오늘날에 이르러서는 미술과 공동체의 밀접한 관계 형성으로 미술과 삶의 구분이 어려워지는 지점으로까지 미술지형의 폭이 넓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Over the 20th century, the distinction between art and non-art, life and art, science and art, artist and ordinary person, high art and low art, and genres have become obscured. These phenomena mean that previous discourses on category and norm were used within field of art are becoming difficult to develop in a unificative direction. One of the significant backgrounds that triggered this change of art is reset of path coordinate of painting by emergency of new visual media from the mid-19th century. In this paper, I review the mutual relationship between media art and painting which brought the change of painting, and examine new tendencies appearing in social relationship after the 1990s beyond modernism. Through this, I verify how art/painting is positioned for themselves through encountering new stimulation and phenomena from the external, also raise a question that which perspective we would have for understanding art. The relationship between painting and new media has developed with continuous creation of new aesthetic perspective, and expression form of traditional painting/art functions as a power to support contemporary art by accessing and assimilating with other media without severance from new media. Also, since the modernism period and a declarative phrase, the death of painting, in other words, artistic practices which are related to public domains such as 'social participation of art' or 'community and art' have been developed from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regard social context and value of life as more important issue rather than to be vested in institutional art and artistic canons. Focusing on this change of art, as painting extended its appearance through contacting other media and took the lead in the extension of art, it is necessary that even various forms of experiments and practices which have been conducted in inside and outside of field of discourse on art to be understood by extending to mutual relationship with art and society (group / community). So to speak, passing over the thought of identity of art which was precipitated by mutual relationship with new media from the mid and the latter half of the 19th century, the range of topography of art is expanding even to the point where is difficult to distinguish between art and life through forming relationship with art and community today.

      • 비인간 생명과의 연속성 회복을 위한 동시대미술 연구 : 아마존 인류학의 관점주의를 기반으로

        김정아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67

        본 논문은 이원론적 사유를 전복하는 아마존 인류학의 관점주의 논의를 통해 인간과 비인간 생명 간의 대안적인 관계론을 수립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고, 앞선 논의를 바탕으로 인간과 비인간 생명 간의 연속성 회복을 도모하는 동시대미술을 살펴보고자 한다. 비인간 타자를 향해 열린 관계 맺기는 에두아르두 비베이루스 지 카스트루와 에두아르도 콘의 인류학적 연구를 따라 논의된다. 이들은 아메리카 원주민의 우주론을 중심으로 인간과 비인간 생명이 공유하는 존재론적 토대를 재설정하고자 한다.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를 이전과 다르게 바라보기 위해서는 근본적인 것에 대한 고찰, 즉 지금까지 우리가 세계를 바라보았던 관점이나 인간 이외의 대상에 부여해 온 가치의 검토가 요청된다. 본고는 이러한 요청을 근대 서구의 이원론적 사고 형식에 관한 비판적 성찰로 이어나가며, ‘자연과 문화’라는 대립항이 어떻게 인간적인 세계와 그 외부를 가로지르는 정식으로 자리잡게 되었는지 진단하기 위해 각 개념이 형성된 역사적 배경을 검토한다. 인간과 비인간을 구분하는 축과 그에 따른 위계 설정이 특정한 지리적・시대적 조건에 불과하다는 것을 깨닫는 일은 비인간 생명과의 새로운 관계론을 논의하기 위한 첫 번째 단계가 된다. 이원론을 넘어서 자연과 문화를 재개념화하고자 하는 시도는 에두아르두 비베이루스 지 카스트루가 ‘관점주의’와 ‘다자연주의’로 명명한 아메리카 원주민의 사유를 통해 전개된다. 인간과 비인간 간의 문화적 단일성과 다수의 자연을 전제하는 아메리카 원주민의 개념화는 서구적 다문화주의의 보편성을 부정한다. 다양한 관점과 타자와의 관계에 따라 인칭이 변하는 원주민의 세계에서 인간 개념은 수정되고, 인간과 비인간의 존재론적 우위는 매순간 상대적으로 변화한다. 본고에서는 관점주의적 다자연주의를 통해 고정된 관념을 뛰어넘어 이에 부여되어 온 기존의 가치에 의문을 제기하고자 한다. 인간과 비인간 생명 간의 연속성 회복은 에두아르도 콘이 전개한 숲의 기호작용에 대한 탐구를 생명의 기호학으로 제시하며 논의하고자 한다. 이러한 기호학은 인간이 모든 비인간 존재와 얽히기를 시도할 때 필수적인 조건이자 토대가 되기에 중요하다. 콘은 인간만이 표상한다는 기존의 관념을 뒤집으며 기호가 인간적인 것 너머에도 존재한다는 사실을 강조한다. 인간의 언어가 더 넓은 기호 형식들 안에 내포되어 있다는 점은 우리 주위의 창발하는 세계들에 대한 열린 가능성으로 확장된다. 앞서 살펴본 논의를 경유해 인간과 비인간 존재의 관계를 새롭게 조망하고 이들의 연속성을 회복하고자 하는 동시대미술 사례로 우르슬라 비에만과 홍이현숙을 제시한다. 우르슬라 비에만은 아마존 원주민들이 숲을 주체적인 존재로 내세우고 비인간 생명과의 관계 맺기를 통해 앎에 이르는 과정을 탐구하며 아마존 인류학의 전복성을 예술적 언어로 드러낸다. 홍이현숙은 비인간 동물의 기호 활동에 주목하며 재접지의 경험을 통해 인간적인 감각이 갖는 한계에서 벗어나 비인간 동물과의 공생 가능성을 탐색한다. 이들의 작품은 인간과 자연의 근본적인 정의를 다시 검토하도록 만들며 타자와의 대안적인 관계 정립을 위한 예술적 실천이 된다. This paper proposes the possibility of establishing an alternative relationalism between human and non-human life through a discussion of perspectivism in Amazonian anthropology that subverts dualistic thinking, and examining contemporary art that seeks to restore human-nonhuman continuity based on the previous discussions. Open relationality towards the non-human other is discussed by following the anthropological work of Eduardo Viveirose de Castro and Eduardo Kohn. Works of Viveirose de Castro and Kohn centers around Amerindian cosmology and seeks to reset the ontological foundations shared by human and non-human life. In order to transition the perspectives around human - non-human relationship, Viveiros de Castro and Kohn critically reflect on the dualistic thinking of the modern West as a way of examining the fundamental concepts. This paper examines the historical background behind formation of the concepts of nature and culture and diagnoses how the antithesis of 'nature and culture' has become a canonical division between the human world and the outside world. Attempts to reconceptualize nature and culture beyond dualism are explored through Amerindian thoughts, which Viveiros de Castro has labeled as "perspectivism" and "multinaturalism." Amerindian conceptualizations of human-nonhuman cultural unity and of multiple natures deny the universality of Western multiculturalism. This paper attempts to transcend stereotypes and question universally held values through perspectivist multinaturalism.  The restoration of continuity between human and non-human life is discussed by presenting Eduardo Kohn's exploration of the semiosis of the forest as a semiotics of life. Kohn overturns the conventional notion that only humans represent, emphasizing that signs exist beyond the human. The idea that human language is embedded within a wider range of semiotic modalities opens the possibility of the emergent world around us. Based on the preceding discussion, this paper presents Ursula Biemann and HongLee Hyunsook as examples of contemporary art that seeks to rethink the relationship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and restore their continuity. Biemann explores the process by which indigenous Amazonian peoples claim the forest as a subject rather than an object and arrive at cognizance through their relationships with the non-human life. Through depiction of the process, Biemann reveals the subversiveness of Amazonian anthropology in artistic language. Through her work, HongLee Hyunsook focuses on the symbolic activities of non-human animals and explores the possibility for symbiosis with non-human animals through "re-grounding," liberating herself from limitations of human senses.

      • 인터랙티브 아트의 특성과 교육방향 연구 :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김규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상호작용성’을 기준으로 인터랙티브 아트를 정의하고 그 특성과 교육적 의의를 밝히며, 이를 바탕으로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교육 방향을 제안한 연구이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감상자가 작품을 조작하고 재구성하는 물리적인 개입을 통해 작품의 의미를 만드는 예술 형태로, 기존의 일방향적 관계에서 벗어나 작품과 감상자 사이에 적극적인 상호작용을 바탕으로 한 쌍방향 의사소통이 일어나는 예술이다. 따라서 디지털 아트 영역에 한정된 좁은 의미의 인터랙티브 아트가 아닌, 비테크놀로지 예술까지 포괄하여 정의하였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작품의 내용적 측면에서 ‘개방성’과 ‘유희성’, 형식적 측면에서 ‘신체성’과 ‘융합성’의 특성을 가진다. 이러한 특성은 교사가 수업을 구성할 때 작품 및 활동 선정의 기준이 되며, 각각의 특성은 고유한 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첫째, 개방성은 열린 형태의 작가와 감상자의 관계를 바탕으로, 비결정형의 상태로 작품이 제시되며 감상자가 의미구성의 주체가 되는 특성이다. 이를 통해 학생들은 작가가 되어 상호작용적 작품 창작의 초보적 형태를 경험하며 예술의 범위와 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 둘째, 유희성은 조작과 몰입을 통한 즐거움을 제공하는 특성이다. 학생들은 작품에 직접적으로 참여하고 조작하거나 몰입하는 과정을 통해 즐거움을 느끼며 이는 적극적인 미술향수자로서 생활 속에서 미술을 가까이 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 셋째, 신체성은 오감을 이용해 작품과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특성이다. 학생들은 시각, 촉각, 청각, 미각과 후각의 오감은 물론이고 개인적, 사회적 행위의 신체성의 특징을 바탕으로 직접적인 감각의 회복은 물론 타인과의 관계 형성 및 감각의 확장과 발달을 이룰 수 있다. 넷째, 융합성은 예술 내부적으로 장르의 융합을, 예술 외부적으로는 다른 학문 영역과의 융합을 이루는 특성이다. 학생들은 융합적 사고를 통해 접근해야 하는 인터랙티브 아트를 체험하며 창의와 인성, 지성과 감성의 균형을 추구할 수 있고, 이는 통섭적 인재교육으로서 의의를 가진다. 인터랙티브 아트의 특성은 교사가 수업을 구성하는데 작품 선정 및 활동 조직의 기준이 될 수 있고, 교육적 의의는 단위 수업 목표로 기능할 수 있다. 이를 초등학교에서 실제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2009 개정 교육과정 미술과의 목표와 내용 체계에서 적용 근거와 가능성을 찾고, 이를 바탕으로 체험/표현/감상영역에서 지도 방안을 제안했다. 인터랙티브 아트를 처음 접하며 발달 단계상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3-4학년은 직관적이고 직접적인 특성을 갖는 유희성과 신체성의 특성 중심으로, 연역적 사고가 가능하고 다른 교과와의 초보적인 응용을 시도할 수 있는 5-6학년은 개방성과 융합성의 특성을 중심으로 유희성과 신체성을 반영하는 단계적 구성을 했다. 또한 인터랙티브 아트를 ‘통한’ 수업은 주로 3-4학년을 대상으로했고, 자료로서 작품을 이용하는 수준으로 접근했다. 인터랙티브 아트에 ‘관한’ 수업은 인터랙티브 아트 자체를 가르치는 것으로, 5-6학년을 대상으로 개방성, 유희성, 신체성, 융합성의 특성을 이해하고 표현하며 감상할 수 있도록 했다. 인터랙티브 아트는 다른 예술 형태나 장르와 대체할 수 없는 고유한 특성 및 교육적 의의를 가지며 교육과정에서도 그 적용의 근거를 찾을 수 있지만, 동시대 미술에 대한 이해부족과 교육과정의 보수성, 환경적 제약 등을 이유로 현재 교육 내용에서 소외되고 있다. 그러나 바로 지금 나와 동시대를 살아가는 작가와 작품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은 매우 중요한 문제이다. 이는 생활 속에서 미술을 향유할 수 있는 향수자를 기르는 과정이며, 앞으로 다가올 융합적이고 소통적인 미래사회를 미술 교육적 견지에서 대비하는 일이 될 것이다.

      • 동시대 미술에서 표현되는 포스트휴먼 형상에 대한 연구 : 캐서린 헤일스의 이론을 중심으로

        김지선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논문은 동시대 미술에서 표현되고 있는 포스트휴먼 형상에 대한 연구이다. 연구자는 캐서린 헤일스(Katherine Hayles) 이론을 중심으로 포스트휴먼의 조건에 대해 탐구하는데 목적을 가진다. 기술혁명의 시대에 살고 있는 지금 인간과 비인간, 환경, 등의 존재들과 관계에 대한 새로운 시선들이 등장하였고, 여기서 나타난 것이 포스트휴먼이다. 동시대의 작가들은 새로운 미래적 존재를 표현하기 위해 비인간에 시선을 돌리고 이들과 융합하여 인간의 경계를 해체하는 데 도전하며, 복합한 개념인 포스트휴먼을 재현하고자 유기체와 기계의 결합시켜 사이보그 캐릭터를 만들게 됐다. 그러나 포스트휴먼을 향한 담론은 다양하게 존재하고 있다. 헤일스는 “인위적인 신체 변형이 없이도 우리는 포스트휴먼이 될 수 있다.”라고 말하며 인간의 신체 활동을 통한 인지능력을 강조한다. 수 세기 전 과거로부터 지금까지 인간은 변해가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통해 진화해왔으며, 기술 발전이 핵심인 동시대에는 기술과 인지능력을 교류하게 됐다. 이 지점에서 헤일스는 포스트휴먼의 조건으로 인지능력을 언급하며, 인간(Human)/비인간(Nonhuman)이 아닌 인지자(Cognizers)/비인지자(Noncognizers)로 기술을 포함한 비인간과 인간의 관계를 재정의하여 기술과 융합됐음을 인정한다. 그리고 인간 외 인지자의 인지능력을 분석하기 위해 인지능력을 삼단계로 나눈 프레임워크를 제안하였으며, 프레임워크의 인지능력과 외부에 분산되어 있는 인지가 집합된 ‘인지적 집합(Cognitive assemblage)’이라는 개념을 제안하여 비인간과의 공존을 도모한다. 연구자는 이러한 조건들을 통해 동시대미술에서 나타나는 포스트휴먼에 대한 새로운 해석을 시도하는 바이다. This study is about the post-human forms expressed in the contemporary art. The researcher aims to explore the conditions of the post-human, centering around Katherine Hayles. Now or in the age of technological revolution, new perspectives into the beings such as human beings, non-human beings, environment and the relationships thereof have emerged, and the concept of the post-human has emerged. In order to express a new futuristic being, the contemporary artists avert their eyes to the nonhuman beings, and challenge the dismantling the boundaries among human beings by merging with them, while succeeding in making the cyborg character or the combination of the organic being and machines that represent the complicated concept ‘post-human’. But the discourses toward the post-human exist in diverse forms. Hayles says, “Without an artificial transformation of human body, we can be post-humans”, emphasizing our cognitive ability through the physical activities. Since several centuries ago, our human beings have evolved through an interaction with the changing environment, and in our contemporary age featuring the technological development, technology exchanges with our cognitive ability. Here, Hayles mentions about the cognitive ability as a condition for the posthuman, while redefining the relation not between human and nonhuman, but between cognizers and non-cognizers, admitting the merge between our human beings and technology. Moreover, in order to analyze non-human cognizer’s ability, he suggested a framework dividing the cognitive ability into 3 stages, while suggesting ‘cognitive assemblage’ where the cognitive ability of the framework and the cognitions dispersed outside are combined in an effort for co-existence between human beings and non-human beings. The researcher attempted to newly interpret the post-human implied in our contemporary ar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