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Rosenblatt의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교사관점과 유아의 반응에 관한 연구

        진현미 위덕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의 목적은 포항시에 소재한 W어린이집의 만 3, 4, 5세반과 그 담임 교사를 대상으로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교사의 관점(그림책 선정 기준, 질문방법)이 어떻게 변화되었는지, 그림책 읽기 활동 후 Rosenblatt의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정보추출적, 심미적 관점의 질문에 대한 유아의 반응이 연령별로 어떻게 나타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실험은 2008년 1월 28일부터 2월 18일까지 4주 동안 4권의 그림책으로 읽기 활동이 실시되었다. 자료 분석은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교사의 관점 변화는 실험 전, 후 개별 면담 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Rosenblatt의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정보추출적·심미적 관점의 질문에 나타난 유아의 반응은 전사하여 유아의 연령에 따라 분류하고 점수화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Rosenblatt의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그림책 읽기 활동을 한 후 교사의 관점(그림책 선정 기준, 질문 방법)은 변화를 보였다. 실험전 자신의 그림책 선정 기준에 대해서 언급하지 않았던 만 4세반 교사도 실험후에는 주간교육계획안에 따라 그림책을 선정한다고 하였다. 질문방법에 있어서도 실험전에는 만 3, 4, 5세반 교사 모두 제한된 질문 방법을 사용하였으나 실험 후 교사 모두 심미적 질문 방법의 필요성을 지각하게 되었으며, 그림책 읽기와 관련한 교사들의 재교육 기회가 부여되길 바란다고 언급하였다. 특히 만 5세반 교사는 이러한 연구의 참여에서 그림책 읽기 활동과 관련한 질문방법(정보추출적)의 다양성에 대한 지식을 가질 수 있는 기회가 되었다고 제시하였다. 둘째, Rosenblatt의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한 그림책 읽기 활동에서 정보추출적·심미적 질문에 대한 연령별 유아의 반응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정보추출적 질문에서 유아의 반응 점수가 가장 높게 나타난것은 만 3세반은 ‘떡잔치’에서 질문 2의 ‘그림책 속에 무슨떡이 있었는지 말해볼 수 있겠니?’이고, 만 4세반은 ‘고릴라’에서 질문 1의 ‘이야기 속에 누가 누가 나왔니?’이며, 만 5세반은 ‘나도 아프고 싶어’에서 질문 1의 ‘이야기 속에 누가 누가 나왔니?’이다. 또한 심미적 질문에서 유아의 반응 점수가 가장 많이 나타난것은 만 3세반은 ‘팥죽할머니와 호랑이’에서 질문 1의 ‘이야기 속에 나오는 등장인물 중에 누가 마음에 드니?’와 ‘떡잔치’에서 질문 6의 ‘그림책 속에 소개된 떡 중 네가 만들어 보고 싶은 떡이 있니?’이고, 만 4세반은 ‘팥죽할머니와 호랑이’에서 질문 7의 ‘이 이야기를 다르게 만들어 볼 수 있겠니?’이며, 만 5세반은 ‘떡잔치’에서 질문 1의 ‘이야기 속에 나오는 떡 중 무슨떡을 좋아하니?’이다. 결론적으로 정보추출적 관점의 유아 반응은 ‘등장인물과 관련한 질문’에 대한 반응이 가장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고 심미적 관점의 유아 반응은 경험과 관련한 반응이 나타남을 알 수 있다.

      • 독자반응전략의 지도가 초등 영어 학습자의 쓰기 반응 양상에 미치는 영향

        김다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95

        학교 영어 교육은 영어 의사소통 역량 및 창의적 역량을 신장시키는 것을 목표로 한다. 본 연구는 학생들의 역량 신장을 촉진하는 다양한 반응을 증진시키기 위한 방법을 탐색하기 위해, 독자반응전략을 활용한 그림책 영어 수업이 초등 영어 학습자의 쓰기 반응 양상에 영향을 미치는지를 확인하고자 설계되었다.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 영어 학습자에게 적용 가능한 독자 반응 양상의 체계는 어떻게 설계될 수 있는가? 둘째, 초등 영어 학습자의 그림책 독후 쓰기에 나타난 독자 반응 양상의 변화는 어떠한가? 셋째, 초등 영어 학습자의 그림책 독후 쓰기활동이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은 어떠한가? 첫 번째 연구 문제에 대해 문헌 연구를 수행하였다. 선행연구에서 확인된 독자들의 반응 양상을 선별해 그림책 내부와 외부의 요소로 범주화한 뒤, 각각 4가지로 분류하여 초등 영어 학습자에게 적용 가능한 독자 반응 양상 체계를 설계하였다. 8가지의 반응 양상은 주제에 대해 반응하기, 인물에 대해 반응하기, 그림에 대해 반응하기, 표현기법에 대해 반응하기, 나와 연관 지어 반응하기, 다른 텍스트와 연관 지어 반응하기, 사회와 연관 지어 반응하기, 작가와 연관 지어 반응하기이다. 두 번째와 세 번째 연구 문제를 확인하기 위해 서울시 O 초등학교의 5학년 학생 22명을 대상으로 실험 수업을 실행하였다. 실험 수업은 일주일에 3차시씩 약 6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참여한 학생들은 그림책을 읽은 후 독자 반응 양상의 체계에 대해 학습하고, 이를 전략으로써 활용하는 방법을 익힌 뒤 독후 반응 표현 쓰기 활동지를 작성하였다. 실험 수업 시작 전 학생들은 사전 설문지와 사전 반응 쓰기 표현 평가지를 작성하였으며, 실험 수업을 마친 뒤 학생들은 사후 반응 쓰기 평가지를 작성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학생들의 독자 반응 양상의 변화를 살펴보기 위하여 사전/사후반응 쓰기 평가지에 드러난 독자 반응 양상을 각 8가지의 유형별로 수치화하여 표현하였으며, 사전 사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는지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8가지 독자 반응 양상의 합계가 사전 사후 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인물에 대해 반응하기를 제외한 모든 반응 양상에서 학생들의 반응 양상의 수가 평균적으로 증가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중 그림에 대해 반응하기, 나와 연관 지어 반응하기, 사회와 연관 지어 반응하기의 세 가지 반응 양상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함이 드러났다. 마지막으로 초등 영어 학습자의 그림책 독후 쓰기활동이 영어 쓰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학생들의 반응의 총 길이에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학생들의 반응 쓰기 활동지의 총 단어의 수, 총 T-단위의 수, 총 T-단위 당 단어의 수를 확인한 뒤, 학생들의 반응의 길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가 있었는지 분석하였다. 그 결과, 단어의 수, T-단위의 수, T-단위 당 단어의 수가 유의하게 증가하였음을 확인했다. 이는 학생들이 독자반응전략을 학습함에 따라 학생들의 사고가 복잡하졌음을 시사하며, 학생들은 자신의 반응을 글로 표현하기 위해 보다 복잡한 문장 표현을 사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시 말해, 그림책 독후 쓰기활동을 통해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이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확인되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독자 반응 양상의 직접적인 교수는 학생들의 반응의 종류가 다양하고 풍부해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둘째, 독자 반응 전략의 사용은 학생들의 사고를 풍부하게 해주어 학생들의 영어 쓰기 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끝으로 본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사항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수업은 20명의 한 학급을 대상으로 한 수업으로 학생 개개인의 반응의 반응 양상을 이끌어 내는 데 어려움이 있었다. 더욱 다양한 반응을 이끌어내기 위해 문학 서클과 같은 활동을 추가적으로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교사가 학생들의 반응 양상을 더욱 다양하게 하는데 필요한 배경 지식을 확인하고 이를 활성화한다면 학생들의 반응을 더욱 풍부하게 할 수 있을 것이다. Elementary school English education aims to improve English communication skills and creative thinking skills. This study is designed to explore ways to promote response variation that encourages students' competency to develop, and to find out whether classes using picture storybooks which are based on reader response strategies affect the writing response patterns of elementary school English learners. The research questions are established as follows. First, how can the frame of reader responses system for elementary English learners be designed? Second, what are the changes in the reader responses shown in the picture book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of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ird, what is the effect of picture book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on English writing ability of elementary English learners? A literature study in conducted on the first research question. The reader responses identified in previous studies were selected, and categorized as from the inside and the outside of the picture storybook. Then each were classified into four categories to design a response pattern system applicable to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e 8 response patterns were drawn; respond to a topic, respond to a character, respond to a picture, respond to a literary technique, respond to self, respond to other texts, respond to society, respond to the author. Experimental classes were conducted for the second and third research questions. 22 fifth-grade students from O Elementary School in Seoul participated. The experimental class was held three times a week, for 6 weeks. In the classes, the students read the picture book, learned how to use reader responses as a strategy, and wrote a journal. Students filled out a pre-questionnaire and a pre-response journal before every classes, and filled out a post-response journal after the classes. The reader responses in the response journals were coded in the 8 patterns defined in the literature study. The coded responses from the pre/post response journals were analysed statistically. As a result, the sum of the eight response patterns increased significantly between pre-post response journal. In detail, three response patterns (respond to a picture, respond to self, respond to society)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increases and four response patterns (respond to a topic, respond to a literary technique, respond to other texts, respond to the author) showed marginal increases. In order to reveal the effect of picture book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on English writing ability of elementary English learners, the total length of students' responses were examined. The total number of words, T-units and the number of words per total T-units were extracted from the pre/post response journal. Statistical analysis show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s in all three domains. This suggests that students' thinking has become more advanced as they learned reader response strategies, and students could use more complex expressions to express their responses in writing. In other words, it is supported that the students' English writing skills improved through picture book reading and writing activitie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direct teaching of the reader responses allows students reponses to be diverse and abundant. Secondly, the use of reader response strategies can enrich the students' thinking and have a positive effect on the students' ability of English writing. This study has some limitation as well. First of all, there was difficulty in deriving the response pattern of individual students because the class had too many students. Instead, additional activities such as literary circles would be possible, in order to elicit more diverse responses. Also, teachers could conform and activate the background knowledge necessary to facilitate the students' response patterns.

      • 독자반응이론에 의한 동시지도가 유아의 동시감상 및 짓기에 미치는 영향

        김재숙 德成女子大學校 大學院 2002 국내박사

        RANK : 249679

        본 연구의 목적은 교사의 동시 지도전략이 유아의 동시에 대한 감상 반응 유형과 짓기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연구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의 정보추출적 동시지도 전략, 구체적 심미적 동시지도 전략, 구성적 심미적 동시지도 전략은 유아들의 동시감상 반응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1-1 동시에 대한 유아의 반응은 세 가지 동시지도 전략에 따라 차이를 보이는가? 1-2 동시에 대한 유아의 반응은 세 가지 동시지도 전략에 따라 어떤 변화과정을 보이는가? 2. 교사의 세 가지 동시지도 전략은 유아의 동시 짓기의 하위요소인 문학적 요소사용, 시적 언어사용, 구조에 영향을 미칠 것인가? 2-1 유아가 지은 동시는 세 가지 동시지도 전략에 따라 문학적 요소 사용에 차이를 보이는가? 2-2 유아가 지은 동시는 세 가지 동시지도 전략에 따라 감각적 이미지, 비유적 이미지, 시어, 운율과 같은 시적 언어 사용에서 차이를 보이는가? 2-3 유아가 지은 동시는 세 가지 동시지도 전략에 따라 내용, 형식, 유기적 관계와 같은 구조에서 차이를 보이는가? 연구의 대상은 안양에 위치한 H, E, S 유치원의 만 5세 유아 100명이다. 각 동시지도 전략에 따라 각 집단별로 10회의 동시수업을 진행하였다. 유아들의 동시 수업 1, 4, 7, 10회를 실시한 후 개별 변접을 통해 감상반응을 수집하였고, 매 수업 후에는 유아들에게 동시짓기를 유도하여 유아의 동시를 수집,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집단별 반응유형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χ² 검증을 하였고, 유아들이 지은 동시의 문학적 구성요소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반복 측정 분산분석과 일원변량 분산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구성적 심미적 동시지도 전략과 구체적 심미적 지도전략 집단의 유아들이 정보추출적 지도 전략집단의 유아들보다 통계적으로 유의한 심미적 반응유형을 보였다. 2. 구성적 심미적 지도 전략과 구체적 심미적 지도전략은 유아들의 반응유형을 정보추출적 반응이나 초점이 불분명한 반응에서 심미적 반응 유형으로 변화시켰다. 3. 구성적 심미적 동시지도 전략은 유아들이 짓는 동시의 문학적 요소를 증가시켰다. 4. 구성적 심미적 동시지도 전략은 구체적 심미적 동시지도 전략과 정보추출적 동시지도 전략보다 유아들의 시적 언어사용을 증진 시켰다. 5. 구성적 심미적 동시지도 전략은 구체적 심미적 동시지도 전략과 정보추출적 동시지도 전략보다 유아들의 시적 구조를 향상시켰다. 위의 연구결과는 세 가지 동시 지도 전략 중 구성적 심미적 동시지도 전략이 유아의 동시에 대한 심미적 감상반응 유형과 짓기에서의 문학적 요소의 사용을 증진시키는데 가장 효과적이었음을 나타내 준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oetry instruction based on reader-response theory on children's response to poetry and writing poetry To guide the investigation,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roposed: 1.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ree patterns of teaching on children's responses to poetry. 1-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response-type to poetry among an efferent approach group, a mere aesthetic approach group and a constructive aesthetic approach group? 1-2.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change in response-types among the three groups? 2.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three patterns of teaching on children's poetry writing. 2-1.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quality of children's poetry among the three groups? 2-2.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etic language of children's poetry among the three groups? 2-3. Are there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oetic structure of children's poetry among the three group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one hundred five year old children from three kindergartens in the AnYang area. To analyze children's types of responses the researcher had an individual interview with each child to collect his or her responses to the poetry after the first, fourth, seventh and tenth sessions. After each poetry lesson, the teacher induced the children to write poetry and then collected it in orders to analyze literary elements. Chi-square was used for children's type of responses and ANOVA was used for analyzing children's poetry The results are as follows : 1. There were statistically mo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esthetic responses of the constructive aesthetic group and the mere aesthetic group than in those of the efferent group. 2. The constructive and mere aesthetic approach transferred children's response-types into aesthetic responses. 3. The constructive aesthetic approach significantly affected children's poetry writing. 4. The constructive aesthetic approach affected the use of poetic language in writing poetry significantly more than other approaches. 5. The constructive aesthetic approach significantly affected the use of poetic structure in writing poetry significantly more than other approaches.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serve to illustrate that the effects of the constructive aesthetic approach on children's aesthetic responses and poetry writing are greater than the effects of the two others approaches.

      • 만화 독자층 다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 웹툰을 중심으로

        김수정 한국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78

        A Study on Reading Population's Change of Comics: Focusing on Webtoon Recently, Webtoon (Webcomic) is actively used as a One Source Multi Use (OSMU) resource in various fields. Accordingly, studies of Webtoon’s use values for media-mix strategy, storytelling research and educational resources have continuously been published, but studies dealing with the reception of Webtoon from the position of readers tend to have been quantitative research-oriented, and there are not many studies. In order to complement this point, this study conducts in-depth interviews based on the reader response theory and looks into the diverse aspect of the reception of Webtoon readers. This study analyzes what factors acted for Webtoon to be incorporated into the mainstream of the cartoon market, Webtoon, and in particular, looks into the process of the diversification of the class of Webtoon readers into middle-aged class through portal sites, Naver and Daum. The reader response theory refers to a theory recognizing that readers are important subjects who read texts, recalling personal and social experiences and reproduce their meanings. The readers are immersed in the characters and situations in the stories and rebuild the plots through the exchanges with the texts. This study discusses the aspects of the reception of the domestic Webtoons, paying attention to the fact that, since they have different growth environments, the meanings implied in the texts may be interpreted in various ways. As a result of a literature study and in-depth interviews, the reasons for the expansion of the age group of Webtoon readers can be divided into two as follows: First, with the emergence of the Internet medium, as cartoons began to be published on the Web, instead of paper, the presentation of frames was vertically transformed, and thanks to this change, commitment increased, so the generations that had been familiar with published cartoons, too, continue to read Webtoons. In addition, this study could receive the response that the Webtoons in a new format using interactive effects by inserting sound effects, background music and videos were expressed more dramatically than general digital cartoons, which enhanced the readers’ commitment further. It seems that the class of readers who are a generation of multimedia education could be newly introduced. As a concrete example, secondly, breaking from the existing cartoons, which mainly dealt with unusual everyday lives, such as fantasy, martial arts and romance, as a number of Webtoons dealing with everyday lives appeared, various age groups could appreciate that. The interviewees responded that readers appreciate usual lives of cartoonists through mutual communications between the cartoonists and the readers, and between the readers by replies, and that individual readers could find pleasure of reading Webtoons through an activity of giving new meanings to their everyday lives. In addition, it is found that realist Webtoons that realistically reproduced social issues in everyday lives were the biggest factor that could lead the age group in their mid-to-late 30s to a new class of readers. What this study ultimately insists is that advances in technologies and changes in themes broadened the width of the age groups that read cartoons, and the various attempts of Webtoon cartoonists enable the recipients to break from a recognition that “Cartoon is a vulgar popular culture.” Therefore, Webtoons in a newly emerging genre have great significance in that they expanded the diversity of the domestic cartoons, which had been growing for the sake of amusing, and it is expected that, in the future, through works that several generations could appreciate and exchange, Webtoons’ value in terms of reception theory will increase. 만화 독자층 다변화 양상에 관한 연구: 웹툰을 중심으로 최근 웹툰은 다양한 분야에서 OSMU (One Source Multi Use) 자원으로 적극 활용되고 있다. 이에 웹툰의 미디어믹스 전략, 스토리텔링, 교육 자료로서의 이용 가치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발표되고 있지만, 독자의 입장에서 웹툰의 수용을 다룬 연구는 양적연구 위주로 진행되고 있는 편이며 그 수가 많지는 않다. 이러한 점을 보완하기 위해, 본 논문은 독자반응이론을 바탕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웹툰 독자들의 다변화된 수용 양상을 살펴보고자 했다. 만화시장에서 웹툰이 주류로 편입되는 데에 어떠한 요인이 작용했는지 분석하고, 특히 웹툰 독자층이 중장년층으로 다변화하는 과정을 포털사이트 네이버와 다음에 한정하여 연구하였다. 독자반응이론이란, 독자가 개인적, 사회적 경험을 떠올리며 텍스트를 읽고 그 의미를 재생산하는 중요한 주체임을 인식하는 이론이다. 독자들은 텍스트와의 교류를 통해 작중인물과 상황에 몰입하고 스토리를 재구축한다. 이들은 각각 다른 성장 환경을 가지고 있으므로 텍스트에 내재된 의미 또한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는 것에 주목하며 국내 웹툰의 수용양상을 고찰해 본다. 문헌연구와 심층면접을 실시한 결과, 웹툰 독자연령대가 확대될 수 있었던 이유는 다음의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다. 첫째, 인터넷 매체의 등장으로 종이가 아닌 웹에서 만화가 구현되기 시작하면서 칸 연출이 세로로 변형되었는데, 이러한 변화 덕분에 몰입도가 높아져 출판만화에 익숙하던 세대도 웹툰을 지속적으로 감상하게 된다는 반응을 보였다. 더불어 효과음, 배경음악, 동영상 등을 삽입하여 인터랙티브 효과를 이용한 새로운 형태의 웹툰은 일반 디지털 만화보다 극적으로 표현되어 몰입도를 더욱 향상시킨다는 응답을 얻을 수 있었는데, 이를 통해 멀티미디어 교육 세대의 독자층을 유입시킬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 둘째, 판타지, 무협, 로맨스 등의 비일상을 주로 다루던 기존의 만화에서 벗어나, 일상을 소재로 다룬 웹툰이 다수 등장하면서 다양한 연령층의 공감을 얻을 수 있게 되었다. 독자들은 작가가 겪은 평범한 일상을 댓글을 통해 상호 커뮤니케이션 활동을 하며 공감하고, 독자 개개인이 자신의 일상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웹툰 읽기의 즐거움을 찾게 되었다고 응답하였다. 또한 일상의 사회문제를 현실적으로 재현한 사실주의 웹툰이 30대 중후반 이상의 연령층을 새로운 독자층으로 이끌 수 있었던 가장 큰 요인으로 분석된다. 본 논문이 궁극적으로 주장하는 것은, 기술의 발전과 테마의 변화가 만화를 감상하는 연령층의 폭을 넓혔으며 웹툰 작가들의 다양한 시도가 수용자로 하여금 “만화는 저급한 대중문화”라는 인식에서 벗어나게 만들었다는 것이다. 따라서 새로이 등장한 장르의 웹툰은 오락 위주로 성장하고 있던 국내 만화의 다양성을 확대시켰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크며, 앞으로도 여러 세대가 공감하고 소통할 수 있는 작품을 통해 웹툰의 수용미학적 가치가 높아지기를 기대해본다.

      • 문학 감상 교육을 위한 발문 전략 연구 : -<자전거 도둑>과 <엄마 걱정>을 대상으로-

        한빛여울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77

        The currentteaching-learning paradigm have changed teacher-into learner-centered and result-into process-centered.To keep pace with thechangesineducationtheroleofthelearnerinliteraryeducationis also being emphasized in the literature teaching-learning process. However it is the reality that the learner's participation is not properlyperformedintheactualliteraryclass.Becauselearner'sactive processofsemanticcomposition toliteraturetextisnotconsidered,it has the problem that the literature education purpose of overall understanding oflife through a literary textis even difficultto be achieved. This thesis considers the aims of literary education is achieved through 'literature appreciation',separating the existing fragmentary textcomprehension -centered literary education,theliterary education to inductlearner'sgeneralunderstanding oflifehas been called 'the literature appreciation education'.Examining by presenting the reader response theory as the theoreticalbasis for literature appreciation education,itsuggests the type and strategy ofquestioning as the teaching-learning method to encourage learner's participation and appreciationtoliteraturetextintheliteratureappreciationeducation. Therefore, it looked into the reader response theory and the response-centered literary education modelwhich is based the reader response theory first in chapter Ⅱ.It emphasized the meaning of literature appreciation as 'the mutual semantic composition of a literaturetextand thelearner'in theliteratureappreciation education and the importance of learner's role in a process of literature appreciation.And also itsetthe teaching-learning framework ofthe literature appreciation education formed by 'forming of response-clarification-intesifying' through the response-centered literaryeducationmodel. In addition, classifying the type of the literature appreciation questioning through the dimension ofliterature appreciation in other wordsrequiredthelearner'sthinking leveltoliteratureappreciation it suggestedliteraryreadingmethodwhichRosenblatt(1991)suggestedin thereaderresponsetheoryasthebasis.Throughthis,itorganizedthe type of the literature appreciation questioning as 'the verbatim recognition and recallquestioning','the speculative questioning','the critical questioning', 'the evaluative questioning', 'the applying questioning'. Itborrowedtheresponse-centeredteaching-learning modelwhichis suggested 'response preparation→response forming→response clarification→response intensifying' in the 7th Revised Educational Curriculum manualasthemodeloftheliteratureappreciationeducation in order to design the questioning strategy for the literature appreciation education in chapterⅢ. The model of the literatur appreciation education issetto classify theteaching-learning levelof literature appreciation.It is to suggest and apply proper type and strategyoftheliteratureappreciationquestioningtoeachofthestage. ChapterⅣ,itapplied actualliterary writing based on designed the literature appreciation questioning strategy in chaperⅢ.Itsuggested and applied the questioning type and strategy 'response preparation', 'response forming', 'response clarification', 'response intensifying' stage by stage to <The Bicycle Thief> of Park Wan-suh and <EummaGeokjung> ofKiHyung-Do. Thisthesismadetheaim ofsuggestionofthequestioning strategy fortheliteratureappreciationeducationbecauseitisregardedthatthe existing literary education doesn't properly reflect in therms of learner'svalueformation and internalization as literatureappreciation. Emphasizing literature appreciation through the learner's participation and semantic composition in literary education,utilizing the teacher's questioning through teaching-learning to inductliterature appreciation oflearner,applying and suggesting the questioning strategy through dividing the questioning type to each appreciation teaching-learning stage,thisresearchisexpectedtohelpinductlearner'sappreciationin literaryeducation. 최근 교육의 패러다임은 교사 중심에서 학습자 중심으로, 결과 중심에서 과정 중심으로 변화하고 있다. 교육의 변화에 발맞춰 문학 교육 역시 문학 교수․학습의 과정에서 학습자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그러나 실제 문학수업에서는 문학 교수․학습에 학습자의 참여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이러한 현실은 문학 텍스트에 대한 학습자의 능동적인 의미 구성 과정이 고려되지 못하고 있기 때문에 문학 텍스트를 통한 삶의 총체적인 이해라는 문학 교육의 목적마저 달성되기 어렵다는 문제점을 가진다. 본고에서는 문학 교육의 목적은 ‘문학 감상’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고 보고 기존의 단편적인 텍스트 이해 중심의 문학 교육과 구분하여 학습자의 총체적인 삶의 이해를 유발하는 문학 교육을 ‘문학 감상 교육’이라 칭하였다. 이에 문학 감상 교육의 이론적 토대로서 독자 반응 이론을 제시하여 살펴보고, 문학 감상 교육에서 문학 텍스트에 대한 학습자의 참여와 감상을 유도하는 교수․학습 방법으로서 발문의 유형과 전략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Ⅱ장에서는 먼저 독자 반응 이론과 독자 반응 이론을 토대로 한 반응 중심의 문학 교육 모형을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문학 감상 교육에서 ‘문학 텍스트와 학습자의 상호 의미 구성’이라는 문학 감상의 의미와 문학 감상 과정에서 학습자 역할의 중요성을 강조하였다. 또한 반응 중심의 문학 교육 모형을 통해 ‘반응의 형성-명료화-심화’로 구성된 문학 감상 교육의 교수․학습의 틀을 설정하였다. 또한 문학 감상의 차원, 즉 문학 감상에 요구되는 학습자의 사고 수준에 따라 문학 감상 발문의 유형을 분류하기 위해 그 근간으로 독자 반응 이론에서 로젠블렛(1991)이 제시한 문학 읽기 방식을 제시하였다. 이를 통해 문학 감상 발문의 유형을 ‘축어적 재인 및 회상 발문’, ‘추론적 발문’, ‘비판적 발문’, ‘평가적 발문’, ‘적용적 발문’으로 체계화하였다. Ⅲ장에서는 문학 감상 교육을 위한 발문 전략을 구안하기 위해서 제 7차 개정 교육과정 지도서에서 ‘반응 준비하기→반응 형성하기→반응 명료화하기→반응 심화하기’로 제시된 반응 중심 교수·학습 모형을 차용하여 문학 감상 교육의 모형으로 제시하였다. 문학 감상 교육의 모형은 문학 감상의 교수·학습 단계를 구분하기 위해 설정하였다. 이는 각 단계에 따라 적절한 문학 감상 발문의 유형과 전략을 제시·적용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Ⅳ장에서는 앞서 Ⅲ장에서 구안된 문학 감상 발문 전략을 바탕으로 실제 문학 작품에 적용하였다. 박완서의 <자전거 도둑>과 기형도의 <엄마 걱정>을 대상으로 ‘반응 형성하기’, ‘반응 명료화하기’, ‘반응 심화하기’ 단계별로 발문 유형과 전략을 적용하여 제시하였다. 본고는 기존의 문학 교육이 문학 감상이라는 학습자의 가치 형성 및 내면화의 측면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보고 이를 위해 문학 감상 교육을 위한 발문 전략의 제시를 목적으로 삼았다. 이 연구는 문학 교육에 있어 학습자의 참여와 의미 형성을 통한 문학 감상을 강조하고 학습자의 문학 감상을 유발하기 위한 교수․학습의 방법으로 교사의 발문을 활용했다는 점과 발문의 유형을 나누어 각 문학 감상 교수․학습 단계에 따라 적용하고 발문 전략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앞으로의 문학 교육에서 학습자의 감상을 유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A Study on Experience Representation Focused on Image in Poetry Education

        김민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9675

        본 연구는 학습자가 시를 읽으며 자신의 지각 반응으로부터 출발하여 작품을 주관적으로 의미화할 수 있는 교육을 구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체험 표상’은 본고에서 학습자의 시 읽기 과정을 탐구하기 위해 설정한 개념으로, 학습자의 시 감상을 내면적인 작업인 동시에 외적인 표현을 수반하며 이미지를 중심으로 하여 이루어지는 것으로 보는 관점을 담고 있다. 따라서 학습자는 체험 표상을 통해 자신의 신체에 근거한 지각 반응에서 출발하여 상상 작업을 하여 자신의 고유한 방식으로 시 작품을 의미화할 수 있게 된다. 이를 위해 본고는 시 읽기에서 학습자가 이미지를 중심으로 체험을 표상하는 양상을 밝히고, 이렇게 탐구된 학습자의 시 감상 과정을 절차화하여 실제 문학 교실에서 구현할 수 있는 교육을 설계하고자 하였다. 한 편의 시에 대해 학습자가 스스로 느끼고 의미를 형성하는 것은 시 읽기의 필수적인 과정이지만, 많은 학습자들이 이에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학습자가 자기 주도적으로 시를 읽는 교육을 설계하고 실행하기 위해서는 실제 학습자의 문학 감상 과정의 탐구가 선행되어야 한다. 그런데 학습자의 문학 감상은 그것이 심리적인 과정이라는 측면에서 내적인 성질의 것으로 이해되고 있기 때문에 학습자의 감상에 대한 이해는 그 실체가 모호하다는 한계를 안고 있다. 이에 본고는 ‘체험 표상’이라는 개념을 설정하여 지금까지 내적인 작업으로 여겨졌던 문학 감상을 실제 독자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탐구할 수 있는 가능성을 모색하였다. 이렇게 실제 학습자의 시 감상 과정을 파악하기 위하여 본고는 연구 방법으로 근거이론방법을 적용하여, 학습자의 자료를 근거로 시 교육의 현장에서 적용할 수 있는 실질 이론을 도출하고자 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방법을 채택함으로써 본고의 논의는 가설을 자료로 검증하는 방식이 아니라 자료에서 이론이 발견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졌다. 코딩 작업을 통해 최종적으로 이론의 핵심 범주를 도출하였는데, 이는 독자의 시 읽기에서의 체험 표상의 원리를 인간의 신체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는 현상을 탐구한 현상학에 근거하여 이루어졌다. 따라서 본고에서는 체험 표상의 원리를 반응의 기저가 되는 지각, 연상의 종합으로서의 상상, 체험의 환언으로서의 의미화의 세 단계로 나누어 이론화하였다. 이 범주에 의해 파악된 학습자의 시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체험 표상의 양상은 다음과 같았다. 첫 번째로 학습자는 지각을 통한 이미지를 생성하였는데, 텍스트를 읽으며 잠정적인 단위를 인식하고 자신이 주목한 단위에 대해서 분위기를 감지하여 정서적 반응을 생성하였다. 다음으로 학습자는 상상을 통하여 지각 단계에서 생성된 이미지를 세 가지 방식으로 연합하였다. 먼저 학습자는 텍스트의 세계를 모의하는 과정에서 텍스트 내적으로 이미지를 연합하였으며, 다음으로 시를 읽으며 환기된 자신의 기억 이미지와 연합하였으며, 마지막으로 상호텍스트적으로 이미지를 연합하는 양상을 보였다. 끝으로 학습자는 의미화를 통해서 이미지를 보다 소통 가능한 언어로 전환하였는데, 이는 자기언어화를 위한 이미지의 선택과 연결, 텍스트에 대한 반응의 평가적 전환, 타자 의식을 통한 표상 내용의 객관화의 세 가지 양상으로 나타났으며 이 단계에서 표현의 부재가 발생하기도 하였다. 본고는 이렇게 파악된 학습자의 시 감상 과정을 원활하게 하기 위한 교육을 설계하고 검증을 시도하였다. 먼저 시 이미지를 중심으로 한 체험 표상 교육의 내용으로 독자와 텍스트의 접점 형성, 이미지의 상상적 재구성을 통한 체험의 확장, 이미지에 근거한 체험의 주관적 의미화를 설정하였으며 이들이 표현과 이해의 피드백을 통해 단계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이러한 교육 내용을 구체적인 학습 활동으로 실현시키기 위해서 각 교육 내용의 단계에 대응하는 세 가지 방법으로 반응 촉진을 위한 몰입 환경 조성하기, 발산적인 연결을 통한 체험 간 통합하기, 지각과 개념의 혼성물로서의 창조적 명제 생성하기를 제안하였다. 이중 의미화 단계의 명제 생성을 돕기 위해서 문학 지식의 선택적 도입과 학습자 간 횡적 소통을 세부적인 방법으로 제안하였다. 또한 학습자가 자신의 체험 표상의 과정을 메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자신의 고유한 시 감상 방식으로 구축할 수 있게 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가 지니는 교육적인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가공되지 않은 학습자의 감상 자료를 제시하고 이 자료에서 출발하여 문학 감상이라는 현상을 실제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둘째, ‘체험 표상’의 개념을 설정함으로써 외적으로 드러나는 표현을 추적하여 학습자의 심리적인 과정을 탐구하고자 하였으며, 이를 통해 학습자의 체험에 조응하는 다양한 표현 방식을 모색하고 시 교육에 수용하고자 하였다. 셋째, 학습자가 문화의 생산적 수용자로 참여하고 시 텍스트를 향유할 수 있는 가능성을 마련하고자 하였다.

      • 고려속요 감상을 위한 독자관점 교육 연구 : <서경별곡>을 중심으로

        이루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educational possibilities of using reader's stance in appreciating Goryeosokyo (Goryeo folk song), and to design specific instructional methods for appreciating Goryeosokyo through using reader's stance. In the process of production, reception, composition and development of literary texts, several subjects constantly engage and intervene. Among literary texts, Goryeosokyo is a representative genre in which various inter-subject communication takes place in the process of appreciation of works. As a key part of the appreciation education of Goryeosokyo, this study focused on various 'subjects' involved in the work. The learners can enhance their ability to utilize sense of distance by standing in the perspective of the various subjects surrounding the text. The main them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educational design by explor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ppreciation of Goryeosokyo and exploration of the reader’s stance, and the stages and aspects of education of the reader’s stance. Education on the use of an reader's stance in appreciation of Goryeosokyo based on the learner-generated queries, a self-generated inquiry for understanding and appreciation of the text. This study examined the education of <Seogyeongbyeolgok> in the Goryeosokyo. The type of reader’s stance for appreciation of <Seogyeongbyeolgok> can be divided into the primary reader’s stance and the reader’s stance consisting of dialogue and negotiation between stances. The primary reader's stance is the learner's stance, the character's stance, and the past acceptor's stance. The past reader's stance is also divided into the people of Seokyeong's stance in the Goryeo Dynasty and the Confucian scholar's stance in the Choseon Dynasty. There are three steps to use reader's stance. First, the exploration of reader's stance through making queries. Second, the application of reader's stance through writing an essay. Third, the synthesis of reader's stance through comparison between other reader's stance. The three steps will be taken for each using reader's stance activity. As a result of applying the theoretically prepared steps to the class, the learners were largely divided into three categories. The first aspect was "the formation of reader's stance through the Exploration of the reader's stance," in which learners were shown to be aware of the learner's stance through question generation activities to recognize the reader's stance of the author and to reproduce the point of view of the former acceptor. The second was the "application aspect of the reader's stance", which showed understanding of the work through subjective semanticization of the learner, clarifying the text centered on the composition of the writing material and imaginative context centered on the former acceptor. Third, in a comprehensive way of viewing the reader's stance, learners were shown to either expand their horizons or selectively aggregate their responses to recognize the new value of their work.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the reader's stance, learners were shown to expand their horizons through empathy for the reader's stance and the act of distance-keeping and to recognize their works in a general manner by activating literary communication between the past and present. However, problems have been found because the failure to establish the reader's stance due to the creation of a breakaway question or cut-off of follow-up queries. Some students had difficulty applying reader's stance due to Incomplete representation of the subject of the Problems also caused by considering the text as historical information. This research emphasizes the activism of learners in classical literature appreciation education and considers developing prior studies that attempted to apply reader-response theory to education of the reader's stance. There is a significance that proves that it can be a concrete method of appreciation education. Also there is a significance in exploring the educational realities of appreciation education and examining the possibilities. In the future, I hope that research will be conducted to see if education-significant results can be obtained in appreciation by applying it to the appreciation of other classical poems as well as <Seogyeongbyeolgok>. 본 연구는 독자관점의 탐구를 통하여 고려속요 감상하는 것의 교육적 가능성을 밝히고, 이를 바탕으로 고려속요 감상을 위한 독자관점 교육의 구체적 방법의 설계를 목적으로 한다. 문학 텍스트의 생산과 수용, 구성과 전개 과정에는 여러 주체가 끊임없이 관여하고 개입한다. 그중 고려속요는 작품 감상 과정에 다양한 주체 간 의사소통이 중층적으로 이루어지는 대표적 장르이다. 이에 본 연구는 고려속요 감상 교육의 핵심으로 작품에 관여하는 다양한 ‘주체’에 주목하였다. 학습자는 고려속요를 둘러싼 다양한 주체의 관점에 서서 고려속요를 입체적으로 감상하며 시공간적 거리감의 활용 능력을 신장시키고 감상의 깊이를 더할 수 있다. 본고는 고려속요 감상과 독자관점 탐구의 관계, 독자관점 교육의 단계와 양상을 탐색하여 교육적 설계를 마련하는 것을 핵심 내용으로 한다. 독자관점 교육은 ‘학습자 생성 질문’을 기반으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학습자가 텍스트의 이해와 감상을 위해 스스로 생성한 탐구질문이다. 본 연구는 고려속요 중 <서경별곡>을 대상으로 학습자의 독자관점 탐구 과정을 고찰해보았다. <서경별곡> 감상을 위한 독자관점의 종류는 1차적 독자관점과 관점 간 대화·교섭을 통해 구성된 독자관점으로 나눌 수 있다. 1차적 독자관점은 학습자의 관점, 작중인물의 관점, 과거 수용자의 관점이 있으며 과거 수용자의 관점은 고려 시대 서경인의 관점과 조선 시대 성리학자의 관점으로 나뉜다. 독자관점 교육의 단계는 첫째, 질문 생성과 답변 구성을 통한 독자관점의 탐색, 둘째, 감상문 쓰기를 통한 독자관점의 적용, 셋째, 관점 간 대화·교섭을 통한 독자관점의 종합이다. 이론적으로 마련한 단계를 적용하여 실험한 결과, 학습자 양상은 크게 3가지로 나뉘었다. 첫 번째는 ‘독자관점의 탐색을 통한 관점의 형성’으로 학습자들은 질문 생성 활동을 통해 학습자의 관점을 자각하거나, 작중인물의 관점을 인식하고 과거 수용자의 관점을 재현하는 모습을 보였다. 두 번째는 ‘독자관점의 적용을 통한 텍스트 의미의 확장’으로 학습자 중심으로 주관적 의미화하거나 작중인물 중심의 텍스트 구체화, 과거 수용자 중심의 상상적 맥락 구성을 통해 작품을 이해하는 모습을 보였다. 셋째, ‘독자관점의 종합을 통한 텍스트의 전유’로 학습자들은 독자관점 간 대화·교섭하는 사고 과정을 통해 여러 독자관점을 포용적으로 구성하며 지평을 확장하거나 선택적으로 구성하여 자신의 반응을 조정하고, 창조적으로 구성하며 작품의 새로운 가치를 전이하는 양상을 나타냈다. 다만 몇몇 학습자에게서는 탈맥락적 질문의 생성, 후속 탐구질문의 단절로 인한 독자관점 적용의 실패, 독자관점 주체의 불완전한 표상화, 역사적 사료로 대상화 등의 문제 양상이 발견되기도 하였다. 이상에서 살핀 바를 바탕으로 ‘고려속요 감상을 위한 독자관점 교육’의 목표를 설계하고 그 내용과 방법을 구안하였다. 교육 내용으로는 ‘유의미한 질문 생성을 통한 독자관점 주체의 표상화’, ‘공감을 통한 독자관점 몰입’, ‘심미적 인식을 통한 다층적 문학 소통의 활성화’를 제시하였다. 또한 독자관점 교육의 방법으로 ‘교사의 발문을 활용한 후속 탐구질문 생성 촉진’, ‘교육 연극 기법을 활용한 사고의 확장’, ‘상호텍스트를 활용한 통시적 작품 감상’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는 고전문학 감상 교육에 독자반응이론의 적용을 시도한 선행연구들을 발전시켜 독자관점의 탐구를 통한 학습자 활동 중심의 고려속요 감상의 구체적 교육 내용과 방법을 제시해보았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학습자의 독자관점 탐구 과정을 추적하며 학습자의 고려속요 감상 과정을 실제적으로 이해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학습자가 문화의 생산적 수용자로서 고려속요를 향유할 가능성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앞으로 <서경별곡>뿐 아니라 다른 고전 시가 감상에도 독자관점 교육 활동을 적용하여 고려속요 감상에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이끄는지를 살피는 연구가 이루어지기를 기대하는 바이다.

      • 존 버닝햄의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상에 대한 유아 인식 연구 : Rosenblatt의 독자반응이론에 기초하여

        박문영 동국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1

        본 연구는 존 버닝햄의 그림책을 통해 Rosenblatt의 독자반응이론 ‘정보추출적과 심미적’ 관점에 기초하여 유아가 인식하고 있는 부모상의 차이점과 부모상에 대한 유아의 인식을 부모표상을 기준으로 하여 알아보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와 같은 연구 목표를 위해 존 버닝햄의 작품 중 부모상이 잘 나타나 있는 그림책을 선별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존 버닝햄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상에 대한 만5세반 유아의 인식을 독자반응이론(정보추출적, 심미적 인식)으로 나누어 살펴보았을 때 책 내용의 정보를 잘 이해하는 정보추출적 인식보다 유아의 내적 경험을 바탕으로 그림책의 내용을 이해하는 심미적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즉, 존 버닝햄 그림책의 정보추출적 인식과 심미적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았을 때 존 버닝햄의 작품에서 유아의 사고 및 정서를 반영하고 공감하며 내면화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존 버닝햄 그림책에 나타난 부모상에 대한 유아의 표상범주를 살펴보았을 때 긍정적 표상이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존 버닝햄 그림책에서 보여 지는 부모상은 부정적으로 보여 질 수 있음에도 유아들은 부모의 상태에 대해 감정적 이해를 하며 부모의 상태를 공감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사항을 시사하고 있다 할 수 있다. 첫째, 유아들은 그들 나름의 관찰과 해석을 통해 제시되고 있는 사항에 대한 정보의 추출과 심미적 판단을 적극적으로 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유아들의 지각활동이 활발히 전개되고 있다는 것으로 특히 제시된 정보에 대해 충분히 지각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유아들의 반응은 심미적 관점을 훨씬 더 적극적으로 전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즉 객관적 상황인식보다는 주관적 관점에서의 심미적 판단이 더욱 적극적으로 전개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유아들의 반응은 개인의 경험에 기인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는 점이다. 부모의 상황에 대해 외부로 들어난 정보에 대한 인식은 개인적 경험에 따른 판단과 결부되어 나타나고 있다. 넷째, 유아들의 부모들에 대한 판단의 대체적으로 긍정적이라는 점이다. 이는 개인의 경험에 의한 판단과 결부되었을 때 가정에서의 부모상과 직접 연결된 판단으로 이해될 수 있다. 다섯째, 동화책을 통해 유아의 경험의 폭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동화책을 통한 간접 경험은 유아들에게 또 다른 새로운 경험으로서 동화책 읽기와 토론과정을 통해 유아의 인식 상황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교육적 지지 또는 수정을 통해 유아들의 건전한 인성을 구축해 나갈 수 있다는 점이다. 이상과 같이 동화책을 통한 유아 대상 활동은 유아의 현재 인식 상황을 이해하고 긍정적 변화를 유도할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 있는 활동이라고 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search the perception of infant on parents image and the difference of parents image recognized by infant through the "information extractive" and "aesthetic" perspectives based on Rosenblatt 's theory of reader response through John Burningham' s picture book.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we selected and analyzed the picture books of John Burningham in which parents images are well represented, and the result of study is as follows. First, when researching the perception of full 5-year-old infants about the parent image in John Burningham 's picture book by dividing it according to the reader reaction theory (information extraction and aesthetic recognition), the aesthetic awareness which understands the contents of picture book based on the internal experience of infant of understanding was higher than the informative extractive awareness which understands the information of book. That is, when researching the difference between the information - extractive perception and the esthetic perception of John Burningham 's picture book, it was found that John Burningham' s work reflects, sympathizes and internalizes the child 's thoughts and emotions. Second, when examining the category of children 's representation on the parental image shown in John Burningham' s picture book, the positive representation appeared the most. This shows even though the parental image seen in John Burningham picture book may be seen as negative, children have an emotional understanding of their parents' status and they are sympathizing with their parents. It can be said that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following facts. First, young children are actively engaged in the extraction of information and aesthetic judgments about the matters presented through their own observation and interpretation. This shows that infant’s perception activity is actively developed and especially children are fully aware of suggested information. Second, the response of the infant is much more active in the aesthetic point of view. That is, the aesthetic judgments are more actively developed from the subjective point of view than the objective situation recognition. Third, children 's reactions tend to be attributed to individual experience. Perception of information which is revealed outside on parent' s situation is associated with judgment based on personal experience. Fourth, children 's judgment about parents is generally positive. This can be understood as a judgment directly linked to the parent's image in home when coupled with judgment by an individual's experience. Fifth, the broadness of children's experiences can be improved through fairy tale books. The indirect experience through the fairy tale book can be another new experience for young children to understand the child's cognitive situation through reading and discussing the fairy tale book and to build up the child's true personality through educational support or modification. As mentioned above, it can be said that activities for young children through the fairy tale book can be regarded as meaningful in that we can understand the current awareness situation of infants and it can be one of the ways to induce positive change.

      • 독서반응일지를 활용한 토의전략이 중학생의 독서능력과 독서태도에 미치는 영향

        이하연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47

        이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읽기 발달 단계를 살펴보고, 발달 단계에 알맞은 독서 프로그램으로 독서반응일지를 작성하게 하여 학생들의 독서능력과 독서태도의 향상 여부를 알아보았다. 현재 중학생들의 독서 실태를 살펴보면 시간 부족이나 독서에 대한 흥미부족, 잘못된 습관으로 인해 초등학교에 비해 독서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이 저하된 것이 사실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중학생의 독서환경을 개선하고 독서능력과 독서태도의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본 연구자가 재직 중인 부천시 소재 중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토의과정을 통한 독서반응일지를 작성하도록 하였다. 본격적인 실험에 들어가기 전, 천경록(2006)의 독서능력 표준화 검사와 조숙이(2007)의 독서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8차시로 구성된 프로그램 동안 8개의 독서반응일지를 작성하였으며 중학교에 갓 입학하여 아직 중학교 수준의 텍스트 읽기가 익숙하지 않은 학생들의 원활한 수업을 위해 자유롭게 자신의 생각을 이야기하는 조별 토의로 수업을 진행하였다. 사전검사 결과와 사후검사 결과를 SPSS20 프로그램으로 분석한 결과, 독서능력과 독서태도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In this study, we examined the reading development stag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analyzed the improvement of reading ability and reading attitude by writing a reading reaction journal with a reading program suitable for developmental stage. In the current state of reading among middle school students, it is noteworthy that lack of time, lack of interest in reading, and wrong habits make the reading less positive than at elementary school. In order to improve the reading environment of the middle school students, the reading reaction journal was used for the first grade students during the reading class. Before entering into the full-scale experiment, Chun Kyung-rok's (2006) reading ability standardization test and Cho suk-i's (2007) reading attitude test were conducted. During the eight-session program, the students read the texts every hour and wrote the reading reaction journal. And, they entered the classroom to talk about their thoughts freely to the students who are not accustomed to reading text at middle school level. The lessons were conducted through a formal discussion.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sults of the pre-test and post-test by the SPSS20 program,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reading ability and the read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