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독일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미각형용사 교육 방안 연구

        김기빈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A Study on Teaching Korean Taste Adjectives for German Speaking Learners Kim, Gibi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aste is one of the human five senses. And taste word is the expression of feelings of taste words and any kind of language contains more or lees a certain amount of words, which express the senses of taste. Because of the same feeling, so different nations haver the same taste and taste words, and because of cultural differences, so that different ethnic and cultural meaning of the word given to taste differen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study of what ar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in the exact comprehension and use of the basic and extension meaning between Korean and German vocabularies {sweet}, {sour}, {salty}, {bitter}, {spicy} and {astringency}, and also know about how would it be used in daily life. Then help German Speaking learners through the comparative analysis. The structure and content of this thesis are as follows. This thesis consists of 5 chapters. Chapter 1 described the purpose and need of the study, presented the direction of the study by reviewing previous studies on taste adjectives and sensory adjectives, and discussed the contents and methods covered in this study. Chapter 2 presented the educational implications of Korean taste adjectives using the concepts and semantic change of taste adjectives. The implications were drawn through the importance of cultural factors in language education. Chapter 3 compared the characteristics of taste adjectives between Korean and German. In this chapter, the semantic and morphological characteristics of taste adjectives of Korean and German were compared. Also compared the factors of semantic extension appearing in taste adjectives of Korean and German. In Chapter 4, the Korean taste adjectives for educational purpose were selected using the pattern of semantic change for German speaking leaners based on the comparison made in Chapter 3. In addition, the components of education for Korean using the taste adjectives were presented. The present study focused on the differences in the pattern of semantic change appearing in Korean and German for the purpose of teaching the meaning of Korean taste adjectives. This study differs from previous studies in a significant way, as the present study, in particular, summariz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attern in semantic change of Korean taste adjectives and presented the teaching methods of the meaning of Korean taste adjectives by extending its scope to the comparative study with German, which is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Korea in terms of culture and language. Eine Studie zum Lehren koreanischer Geschmacksadjektive für deutschsprachige Lernende Kim, Gibin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s a Foreign Language The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Zusammenfassung Der Geschmack ist einer der fünf menschlichen Sinne. Und Geschmackswort ist Ausdruck von Gefühlswünschen, und jede Art von Sprache enthält mehr oder eine bestimmte Menge an Wörtern, die die Geschmackssinne ausdrücken. Aufgrund des gleichen Gefühls haben so unterschiedliche Nationen dieselben Geschmacks- und Geschmackswörter und wegen kultureller Unterschiede, so dass unterschiedliche ethnische und kulturelle Bedeutung des Wortes anders geschmeckt werden. Der Zweck dieser Arbeit ist es, zu untersuchen, welche Unterschiede und Gemeinsamkeiten im genauen Verständnis und in der Verwendung der Grund- und Erweiterungsbedeutung zwischen koreanischen und deutschen Vokabeln(süß, sauer, salzig, bitter, scharf und herb) bestehen und wissen auch, wie sie im täglichen Leben eingesetzt werden würde. Dann helfen Sie den deutschsprachigen Lernenden durch die vergleichende Analyse. Aufbau und Inhalt von dieser Arbeit sind wie folgt. Diese Arbeit besteht aus 5 Kapiteln. Kapitel 1 beschrieb den Zweck und die Notwendigkeit der Studie, stellte die Richtung der Studie dar, indem sie frühere Studien zu Geschmacks- und sensorischen Adjektiven durchging und die in dieser Studie behandelten Inhalte und Methoden erörterte. Kapitel 2 präsentierte die pädagogischen Implikationen koreanischer Geschmacksadjektive anhand der Konzepte und semantischen Geschmacksadjektiven. Die Implikationen wurden durch die Bedeutung kultureller Faktoren für den Sprachunterricht gezogen. In Kapitel 3 wurden die Merkmale der Geschmacksadjektive zwischen Koreanisch und Deutsch verglichen. In diesem Kapitel wurden die semantischen und morphologischen Merkmale der Geschmacksadjektive von Koreanisch und Deutsch verglichen. Verglichen wurden auch die Faktoren der semantischen Erweiterung, die in Geschmacksadjektiven von Koreanisch und Deutsch vorkommen. In Kapitel 4 befanden sich die koreanischen Geschmacksadjektive zu Bildungszwecken ausgewählt nach dem Muster des semantischen Wandels für deutschsprachige Leaner auf der Grundlage des in Kapitel 3 durchgeführten Vergleichs. Darüber hinaus wurden die Komponenten der koreanischen Schulung anhand der Geschmacksadjektive vorgestellt. Die vorliegende Studie konzentrierte sich auf die Unterschiede im Muster des semantischen Wandels in Koreanisch und Deutsch, um die Bedeutung koreanischer Geschmacksadjektive zu vermitteln. Diese Studie unterscheidet sich in bedeutender Weise von früheren Studien, da insbesondere die vorliegende Studie die Merkmale des Musters beim semantischen Wandel koreanischer Geschmacksadjektive zusammenfasste und die Lehrmethoden für die Bedeutung koreanischer Geschmacksadjektive präsentierte vergleichende Studie mit Deutsch, die sich in Kultur und Sprache deutlich von Korea unterscheidet. 독일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미각형용사 교육 방안 연구 김기빈 부산대학교 대학원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전공 요약 본 논문의 목표는 한국어와 독일어 미각형용사인 ‘달다, 짜다, 시다, 쓰다, 맵다, 떫다’의 기본 의미를 비교⦁대조하고 더 나아가 비유적 의미를 비교⦁분석하여 독일어권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비유적 의미의 한국어 미각형용사를 효과적인 방법으로 교육할 수 있는 방안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2장에서는 미각형용사의 특징을 알아보기 위해 우선 미각형용사의 개념 과 교육적 의의를 알아보았다. 또한 미각형용사의 특징을 기술하기 전에 한국어와 독일어의 형용사의 개념과 특징을 알아보고 형용사 중에서도 미각형용사가 어떠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지 기술하였다. 3장에서는 한국어와 독일어의 미각형용사를 대조하였다. 한국어 미각형용사와 독일어 미각형용사의 형태적 측면을 먼저 살펴보았다. 한국어와 독일어는 기본적으로 그 뿌리가 서로 다른 만큼 독일어 형용사는 한국어 형용사가 가지고 있는 형태적인 특성에는 많은 차이가 있다는 전제에서 그 특성을 살펴본 다음 두 언어의 미각형용사의 형태적으로 비교⦁대조 하였다. 한국어 미각형용사 ‘달다, 시다, 짜다, 쓰다, 맵다, 떫다’에 대응되는 독일어 미각형용사를 제시하였으며, 의미적으로 한국어와 독일어 미각형용사의 기본 의미를 제시하고 대조 양상을 살펴보았다. 또한 기본 의미에 그치지 않고 비유적 의미 즉, 의미가 전이 되어 공감각적 전이를 표와 예문으로 제시하였다. 앞서 제시한 형태적, 의미적, 그 안에서의 기본 의미와 비유적 의미를 토대로 형태 및 의미를 대조 분석하여 어떠한 공통점과 차이점이 있는지 기술하였다. 4장에서는 3장에서 알아본 한국어와 독일어의 미각형용사의 특징들을 가지고 독일어에는 없는 한국어 미각형용사의 비유적 의미 즉, 의미 전이가 된 2차적 의미를 가지는 한국어 미각형용사를 교육용 미각형용사 목록을 먼저 제시했다. 그 후 이 교육용 미각형용사 목록에 있는 미각형용사를 어떻게 교육 할 것인가에 대해 교수-학습 모형을 제시하고 거기에 따른 기본 의미 교육 방안과 비유적 의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중국인 학습자들과 일본인 학습자들에 비해 독일어권 학습자들은 많지는 않지만 확실히 다른 문화권이기 때문에 다른 교육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은 의심할 여지가 없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와 독일어의 미각형용사를 올바르게 알아보고 어떠한 차이점을 발견할 수 있는지에 대해 간결하게 제시하여 독일어권 학습자는 한국어에서 어떠한 미각형용사를 어려워하며 독일어권 학습자의 모국어에 없는 미각형용사의 비유적 의미를 이해시키기 위한 교육 방안에 초점을 두었다.

      • 독일어 교과서의 교육과정 반영실태 분석 : 제7차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신연승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재 제7차 교육과정의 도입과 시행으로 인하여 그에 따른 학습방법·교수방법이 변화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제7차 교육과정의 개정내용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하게 되었다. 현재까지 진행된 교육과정의 변천과 함께 제7차 교육과정상의 장점과 문제점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기존의 교육과정인 제6차 교육과정을 비교하는 것이 제7차 교육과정을 상세하게 파악할 수 있는 바탕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논문에서는 제6차 교육과정과 제7차 교육과정을 성격, 목표, 내용, 교수방법 등을 중심으로 비교 고찰하고, 각 교육과정을 반영하는 독일어 교과서 에서 그 근거 자료를 찾아보았다. 현재 일선 고등학교에서 교수되고 있는 독일어 교과서를 모두 분석, 반영하는 데에는 무리가 있으므로 몇 종류의 교과서를 선별하였다. 또, 중학교 교과서는 제외하고 고등학교 독일어 교과서만을 다루었다. 또한 본 논문은 제7차 교육과정이 현행 독일어 교과서에 어떻게 반영되었는지를 비교 분석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따라서 좀 더 확실한 비교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 두 교육과정기의 교과서 중 동일인물이 제6차와 제7차 교과서를 모두 집필한 교과서를 우선적으로 선택하였다. 본 논문에서 고찰한 바에 따르면 제7차 교육과정이 제6차 교육과정과 비교해 볼 때 눈에 띄는 점은 독일어로 의사 소통하려는 적극적인 태도를 가지도록 하고, 또 독일어권을 여행하거나 간단한 정보를 수집하고자 할 때 유용한 언어적 표현으로 학습 내용을 구성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제7차 교육과정이 반영된 독일어 교과서에는 독일어 교과가 단순한 언어 교육의 차원을 넘어서 문화 상호간의 이해를 도모하도록 하고, 독일어권 문화의 대표적 특성들을 다룬 점등이 나타난다. 문화의 소개는 단순한 제시보다는 학생들이 자기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서 건전한 비판적 시각을 기르도록 하였다. 이러한 비교 고찰 후, 독일어 교과서에는 제7차 교육과정이 얼마나 충실히 반영되었는지를 살펴보았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 추구하려는 바를 형식적으로만 제시하였는지, 또는 언어학적인 면에서 어떤 의미를 내포하고 있는지를 모색해 보았다. 그리고 제7차 교육과정이 반영된 독일어 교과서에 나타난 문제점과 그에 따른 개선책을 모색해보았다. 본 논문에서 고찰한 바로는 제7차 교육과정은 단점과 문제점이 물론 존재하지만 교육과정이 갖는 장점과 가능성으로 인해 학습효과면에서의 가치나 가능성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현재 제7차 교육과정의 내용상의 문제와 운영상의 문제를 계속적으로 고찰하여 보다 효율적인 학습방법을 제시하는 것은 큰 의의를 가진다. 본 논문에서도 이러한 현황과 문제점 그리고 개선책을 제시하여 살펴보았으나 이에 Ⅳ장에서 살펴보았듯이 즘 더 연구되어져야 하는 부분들이 많이 있었다.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과 반영내용을 고찰하는 것이 교수-학습 방법에 완벽한 방안은 아니지만 본 논문이 보다 발전된 교육과정을 위해 조금이나마 보탬이 될 것이라고 본다. 교육과정이 앞으로 더 많이 발전할 수 있도록 체계적인 연구와 노력을 아끼지 않는다면 제2외국어로서의 독일어 교육 학습 전망은 더욱 밝아질 것이다. This thesis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contents of the newly revised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nd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hich high school students will be using from the year 2003. As it was mentioned previously, the mainly revised part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German Language Learning are adjusting the appropriateness of the amount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communication focused education, increasing the importance of cultural understanding, emphasizing learner-focused teaching and learning activities, etc. Also, the contents of the teaching was adjusted so that it will be useful in everyday practical usage, and by using conversations, songs, games, various group activities etc., it was made so that students can learn more easily. In addition, by using various motivational constituents, it was made that by themselves can learn creatively. In doing so, the role of teachers is minimized and the role of students is maximiz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n Chapter 3 and the content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reflected on the German Language textbooks in Chapter 4, here I studied problems of the German Language textbooks in which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are reflected and suggested some directions of improvement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German Language textbooks. In this thesis, textbooks from Chunjae Inc., Jinmyong Publishers Inc., Minjung Suhrim Inc. are used as references. In these references, the following problems have been found. First of all,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German Languages Studies is trying to devise the mutual understanding between cultures thus the textbooks emphasize cultural education. The textbook of Chunjae emphasized aspects of culture - Kultur, the one of Jinmyong Publishers Inc., added Learning Germany Deutschland kennen lernen at the end of each chapter, the one of Minjung Inc. added Regional Features Landeskunde as an appendix. Each textbook, however, emphasized different aspects of German culture resulting in mere conveyance of the differences between German and Korean cultures. In order to achiev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cultural education, therefore, rather than adding these features at the end of each chapter or as an appendix, it is perhaps much more important and effective that inciting students to cognize differences, characteristics or uniqueness of German Language Cultural Area naturally through writing, reading, speaking, listening etc. according to the learning goals. Secondly,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has pointed out that the textbooks should be more interesting and fun to the students so that students would be active in participating actual communications in German language. As I have showed in this thesis, the contents of the examples, the pictures, and the illustrations are used in the textbooks to induce students interests; however, the actual contents of the teaching and learning do not have much difference from the ones of the previously used textbooks. Thirdly, one of the intention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as the emphasis on showing current issues and updated materials. Current issues and updated materials, however, were very rare in the textbooks, published by Chunjae Inc., Jinmyong Publishers Inc., Minjung Suhrim Inc. used as references of this thesis. For example, in the 7th edition textbook made by Chunjae Inc. one can only find the Unification of the two Germanys and Berlin on the page where culture should be. In order to improve the subject matters which have been appeared in the German Language textbooks for years, it should be selected for the textbooks that topics and issues that current students are interested in, and it should be tried that the statistics and the actual examples of or related to the those topics and issues should be shown through tools such as the Internet. And then, through classes teachers maybe able to introduce interesting sites that are related to Germany to students. Finally, to induce students interests and to motivate students, the creativity of the subject matters is improved in general. As studied in Chapter 4, creating pen pal advertisement and writing scenarios for role playing are examples which reflect the aim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ell. The worrisome thing in that case is that whether those are appropriate for that level of students. As aiming for commonality in creativity, motivational subject matters, the structure of the contents, the level of the learners must also be considered. If these are improved, more effective Germ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will be possible. As it has been written above, there are advantages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German Language textbooks; however, as it is shown in comparison of the revised contents in Chapter 3, the actual textbooks and the mentioned contents have differences in reality. It means that the revision of the educational curriculum is not reflected on the actual textbooks thus staying merely as revision in the system. If these problems become improved, the value or the possibility in the effectiveness of learning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ogether with the advantages and possibilitie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would increase very much. In this thesis, 1 have looked at the examples, problems, together with some directions for improvement which are reflected in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textbooks, but there are many things to be studied more deeply and improved. Studying the reflected contents, problems, and directions for improvements of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is not the perfect and complete scheme for the German Language teaching and learning; however, if systematic study is done so that the 7th Educational Curriculum can be improved much more, and if above mentioned problems are remedied, the prospect of the German Language Education will become brighter.

      • 1870년대 독일 문화투쟁에 대한 연구

        이주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목적은 1870년대 독일 프로이센을 중심으로 전개되었던 문화투쟁의 성격과 의미를, 당시 독일 사회의 문화, 정치, 경제 등 여러 상황과 관련하여 평가해 보는 데 있다. 1871년 프로이센에 의하여 오스트리아가 배제된 통일제국이 탄생하자, 독일 가톨릭 세력은 제국 내에서 소수집단으로 전락하였다. 독일 민족주의자들과 자유주의자들은 통일제국을 통하여 자신들의 염원을 실현하고자 하였으며, 독일 내의 가톨릭적 요소들을 독일사회의 통합에 방해가 되는 구시대적 산물로 치부하였다. 독일 통일 이후 중앙당의 정치세력이 커지자 비스마르크는 제국의 반대세력들이 중앙당을 중심으로 결집할 것을 우려하였으며, 반대 세력인 중앙당의 힘을 약화시키기 위하여 그들의 지지기반인 가톨릭교회에 대한 억압정책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그리하여 그는 당시 프로테스탄트를 중심으로 한 독일 국민들의 사회·문화적 통일에 대한 염원을 정치적으로 이용하여, 사회 각 분야에 걸쳐 가톨릭을 차별하는 문화투쟁을 1871년부터 전개하였다. 자유주의자들은 비스마르크가 자유주의 사상을 실현시켜 줄 것으로 믿고 문화투쟁에 적극 동조한 반면, 비스마르크는 중앙당의 세력 약화를 위한 정치적인 목적으로 국민자유당을 이용하고자 하였다. 문화투쟁의 의도에 대한 이들간의 차이는, 이후 가톨릭에 대한 비스마르크의 정책이 온건하게 변화하면서 더욱 두드러지게 되었다. 비스마르크는 문화투쟁을 통하여 사회 전반에서 교회와 국가간의 역할과 책임 관계를 명확하게 재정립하는 한편, 여러 억압적 법률을 통하여 가톨릭교회의 중추적 부문까지도 제어하여 교회의 전통적인 기득권을 강력하게 제한하고자 하였다. 그러나 일련의 강력한 법률 체계에도 불구하고 제국의 제도상의 전근대성과 재정적 한계점 등으로 말미암아, 가톨릭 세력을 억제하기 위한 문화투쟁은 일관성 있게 지속되지 못하였다. 또한 정치적으로 중앙당의 세력이 꾸준히 확장되고 사회적으로도 가톨릭 시민들의 계속되는 저항에 직면하게 됨에 따라, 독일 제국은 전면적인 가톨릭 억압정책을 지속하기 어려웠다. 이와 같은 상황에서 1873년 대불황이 시작되자, 비스마르크는 제국의 재정 개선과 경제적 기반 유지를 위하여 간접세의 확대와 보호무역주의의 도입을 추진하였으며, 결과적으로 그동안 정치적인 협력자였던 자유주의자들과 대립하게 되었다. 결국 비스마르크는 국민자유당을 대신하여 독일 보수당과 중앙당을 자신의 지지 세력으로 끌어들이는 한편 사회주의 혁명을 두려워하던 독일시민계급을 이용함으로써, 사회주의 탄압법(1878년)과 보호관세 법안(1879년)을 통과시킬 수 있었다. 비스마르크는 중앙당과의 협조적 관계를 유지하게 됨에 따라 문화투쟁의 책임에서 벗어나고자 하였으며, 결국 문화투쟁은 1879년에 이르러 사실상 종결되었다. 문화투쟁의 기간 동안 비스마르크는 국민자유당을 이용하여 가톨릭 세력을 견제하고자 한 자신의 정치적 의도를 달성하였으며, 독일 사회에서 국가의 역할과 권한을 제고시켜 통일 근대국가의 기틀을 확립하였다. 가톨릭측은 더욱 단합된 공동체를 구성하여 독일 제국 내에서 영향력 있는 정치세력으로 결집하였으나, 교회의 전통적인 권한 가운데 상당 부분을 국가에게 넘겨주지 않을 수 없었다. 한편, 억압정책으로 인하여 이후 가톨릭과 프로테스탄트간의 갈등과 불화가 더욱 악화되었는바, 비스마르크가 문화투쟁의 명분으로 내세웠던 사회·문화적 통합은 달성되지 못하였다. 결론적으로 문화투쟁은 국가 제도적 측면에서 독일제국이 근대 국가의 기틀을 확립하는 계기를 마련토록 하였으나, 민족·종교 문제가 얽힌 독일 사회, 문화적 통합 과정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essay is to review features and significance of the Kulturkampf with relation to cultural, political and economic aspects of the German society. the Kulturkampf is a historical event which was enforced in 1870s, especially actively in Prussia. The German Empire was established by Prussia in 1871. But because Austria was not included in the unification, the German Catholic group fell to a minority in the German State. The German nationalists and liberalists wanted to realize their ideologies through the new Empire and considered the traditional Catholic legacy or culture in German society as products of old age which would be serious obstacles against the unification of German society. After the German Unification, the Catholic Centre Party had a political power to a considerable extent. Bismarck worried that the Centre Party could concentrate the opposition group against the German Empire. In this regard, he concluded that repression policies to the Catholic Church were necessary in order to weaken the political power of the Centre Party. In 1871, Bismarck planned and enforced the Kulturkampf, the repression policies against German Catholics in all social areas. To acquire social supports to the policies, he intended to politically use German Protestants' desire for the social and cultural unification. Because the liberalists believed that Bismarck could realize the liberalism in the new Empire, they united actively their efforts for the Kulturkampf. But Bismarck planed just to take advantage of National Liberals for the political purpose of weakening the Centre Party's power. This difference between their intentions to the Kulturkampf became more prominent as Bismarck's policies against German Catholics changed to be moderate. Through the Kulturkampf, Bismarck planned to reorganize the relation of function and responsibility between the Church and State in all social areas. Besides, he wanted to control the Catholic Church's core part by enforcing several repressive laws so as to retrain the Catholic Church's traditional rights. But in spite of a series of strong legal system, the repression of Catholic power could not continue coherently. That resulted from pre-modernity of governmental organization and financial problems. In addition, the German Empire faced difficulty in maintaining the Catholic repression policies, because the Centre Party's political power grew steadily and the government confronted continuous resistance by Catholic citizens. In such situations, the Great Depression began in 1873. Bismarck pushed the expansion of indirect tax and the introduction of trade protectionism, for the purpose of improving the Empire's finance and maintaining its economic base. As a result, he revealed opposite attitude against the liberalists who had been his political partners during the former times. After all, Bismarck attracted the German Conservative Party and the Centre Party in place of National Liberals into his supportive group. And by making use of the German middle class who feared a possibility of revolution, he could pass the Anti-Socialist Law of 1878 and the protective tariff of 1879. Because Bismarck wanted to maintain the cooperative relation with the Centre Party, he intended to escape from the responsibility for the Kulturkampf. As a result, the repression of Catholic power was ended actually in 1879. During the period of the Kulturkampf, Bismarck achieved his political purpose. He restrained Catholic group by using National Liberals, and reinforced the function and authority of the State to establish foundations of the unified modern State. On the other hand, German Catholics became a more united community and concentrated to be an influential political group with the Centre Party. But they had to transfer the substantial part of their traditional authorities to the State. In addition, the Kulturkampf made the conflicts and differences between German Catholics and Protestants become more deteriorated. In this regard, the social and cultural unification could not be achieved. Eventually, in aspects of the organization and system of the State, the Kulturkampf provided an opportunity to enable the German Empire to establish foundations of the modern State. But it can be said that the Kulturkampf had negative influence on the unification process of the German society and culture involved in complicated racial and religious matters.

      • 한국과 독일의 학교 통일교육 비교 연구

        박봉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한반도의 통일환경과 남북관계의 변화함에 따라 그 어느 때보다 통일 교육의 시급함과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다. 아울러 기존의 통일교육 목표, 내용, 교수 학습방법에 대한 반성과 변화의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우리의 학교 통일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재정립하는 작업은 우리와 같이 분단국이었던 독일의 통일 경험과 통독 전 통일교육에서 많은 교훈을 얻을 수 있다. 비록 여러 측면에서 독일과 우리의 상황과는 다른 면이 있기는 하지만, 상당히 유사한 면을 많이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최근의 한반도 통일 환경의 변화에 발맞추어 학교 통일교육의 발전방향을 모색하고, 학교 통일교육의 방향과 내용을 재정립하기 위해, 문헌연구를 통해 통일 전 독일과 한국의 학교 통일교육을 교육목표, 교육내용, 교수학습 방법의 세가지 측면에서 비교·분석하였다. 통일 전 독일과 한국의 학교 통일교육을 목표 측면에서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독일의 통일교육은 정치교육, 평화교육, 독일 민족화합 교육이라는 세 가지의 큰 틀 속에서 간접적으로 이루어진, 반면 한국의 통일 교육은 통일에 관한 직접적인 지식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독일 통일교육은 통일 전, 통일과정, 통일 후 적응 교육을 포괄하는 장기적인 목표를 설정하였으나 한국은 통일 전, 통일과정에 머무르는 통일에 관한 지식 중심의 단기적인 통일교육을 중심으로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셋째, 독일은 통일 교육을 정치교육, 평화교육, 민족교육의 큰 테두리 안에 통일교육을 그 하위 영역으로 설정하고 민주시민 양성, 평화의식 고취, 민족의식 배양, 통일의식 함양 등을 그 목표로 설정하였으나 한국의 경우는 통일관련 영역을 여타 민주시민 양성 등의 목표 설정과는 별도로 통일교육의 목표를 설정하고 있다. 양국의 학교 통일교육을 내용 측면에서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서독에서는 통일과 관련하여 직접적인 교육내용을 구성하여 가르치지 않았으나, 한국은 교육과정별, 시기별로 성격과 형태는 다르지만 통일교육의 목표를 별도로 제시하고 직접적인 통일교육 내용을 구성하여 가르치고 있다. 둘째, 독일의 정치교육이나 평화교육은 구체적인 생활 상황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으나 한국의 통일교육은 주로 통일 논리와 이데올로기 비판 등 추상적인 개념을 중심으로 교육내용을 구성하고 있다. 셋째, 독일의 정치교육, 평화교육을 중심으로 하는 통일교육은 전체 교육과정과 전 교과에 침투되어, 탐구와 이해의 능력을 배양하는 기존 교과 교육에 스며들어가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나, 한국의 통일교육은 통일에 관련된 직접적인 지식을 전달하는 독립된 교과교육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양국의 학교 통일교육을 교수학습 방법 측면에서 비교·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독일 통일교육은 개방적인 이데올로기 교육을 바탕으로 이루어지고 학생 중심의 개방적 사고 활동위주의 교수학습 방법을 주로 사용하는데 반해서 한국의 경우, 독립된 교과에서 교사중심의 강의식 교수학습방법이 주를 이루고 보완적으로 학생 중심의 토의, 토론 학습이 이루어지고 있다. 둘째, 독일은 통일 전 정치, 사회, 문화적인 교류, 협력을 이루어낸 바탕에서 학생들의 직접적인 왕래, 여행의 직접 체험적인 통일교육방법을 사용하였으나, 한국은 지금까지도 학생들의 교류나 왕래는 이루어지지 못하고 간접적인 체험에 국한되어, 독일처럼 직접적인 체험 통일교육에 한계를 갖는다. Recently, according to changing of circumstance and south - north relationship in korean peninsula, importance of education for unification has been emphasized. At the same time reconsideration of the existing objectives, content and teaching - learning method in education for unification is needed. Because West Germany and Korea have not only different aspects but also similar aspects, we can learn a lot from experience in unification of Germany and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West Germany as divided nation like us, for reestablishing of our direction and cont ent in education for unifi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enhancement, the new direction, and the content of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Korea. So this study attempt s to compare and analyse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Korea and West Germany at the three aspects of educational objectives, content, and teaching - learning method by bibliographical investigation.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al objectives for unification in Korea and West Germany are as follows. First, while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West Germany is performed indirectly by political education, peace education, and education of combining race,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Korea is made up with direct knowledge about unification. Second, while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West Germany has set a long term goal in education for pre-unification, process-in-unification, and post - unification,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Korea just has a short term goal. Third,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West Germany is subordinat ed and integrated to political education, peace education, and education of combining race, but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Korea has the separate goal from other educations for democratic citizen.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 for unification in Korea and West Germany are as follows. First, while school education cont ent for unification in West Germany consist s of indirect content of education for unification,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Korea mainly bases on direct content of it. Second, while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West Germany focuses in subject matter of real situation in our living,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Korea limits its content to abstract idea like logic of unification and criticism of ideology . Third,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West Germany is absorbed into whole curriculum in school, but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Korea consist s of a independent subject of delivering direct knowledge in unification. The results of comparative analysis of teaching - learning method for unification in Korea and West Germany are as follows. First, while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west germany has developed learner centered teaching - learning method based in open education of ideology,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Korea mainly bases in teacher centered teaching method, complimented by learner cent ered discus sion learning method. Second,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West Germany has adopted direct experience method of education for unification at the base of political, social, and cultural correspondence for long time, but school education for unification in Korea only has the indirect experience method.

      • 인터넷을 활용한 독일어 교육 : 독일어 학습사이트를 중심으로

        권봉아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독일어 학습사이트로 운영되고 있는 웹사이트에 대해 살펴보고, 듣기, 말하기, 읽기 그리고 쓰기 능력을 신장시키기 위한 독일어 학습사이트의 활용 방법에 대해 논하고자 한다. 다양화, 개별화로 표현되는 정보화시대에 부응하는 교육패러다임의 전환 요구와 교육정보화 정책으로 인한 초고속 정보통신망 구축 등으로 학교 교육환경은 학습자 중심으로 변화되고 있다. 또한 요즘 학생들은 멀티미디어 세대라고 표현될 만큼 문자 위주의 책보다는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매체를 선호한다. 대표적인 매체인 인터넷에서 메일확인, 게임, 자료정보검색, 채팅 등을 하는데 학생들은 많은 시간을 보내고 있다. 이제 인터넷은 정보화시대에 필요한 정보와 지식을 얻을 수 있는 도구로 자리잡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고등학교에서 인터넷을 활용한 독일어 교육은 저조하다. 정부의 교육정보화 사업으로 기술적인 측면과 교사․학생들의 컴퓨터 사용능력 측면은 개선되었지만 교수-학습활동에 도움을 받을 수 있는 학습사이트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학생들의 학습활동에 도움이 되는 학습사이트가 개발되어야 한다. 풍부한 학습 자원을 시공간의 제약 없이 얻을 수 있고, 세계 누구와도 의견을 교환할 수 있다는 인터넷의 이점을 활용하여 독일어 수업에서 상호활동 수업의 기회를 제공할 수 있다. 그 중에서 교사가 구축한 학습사이트는 멀티미디어 도구를 교사 자신이 교과에 맞게 꾸며 효과적인 학습활동을 전개하여 학생들이 쉽게 접속하여 새로운 정보와 학습자료를 얻을 수 있으며, 독일어에 대한 동기유발을 불러일으킬 수 있다. 독일어 학습사이트를 통해서 교사는 학생들에게 학습에 대한 흥미와 동기유발을 시켜 학습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키고, 학생들에게 최적의 언어학습 환경을 제공해야 하며, 교사는 학습자료를 개발하고 효율적인 수업매체로 이용 될 수 있게 노력해야 한다. 인터넷은 독일어 수업에서 많은 가능성을 부여해주고 있다. Diese Studie untersucht Websites, die als Unterrichtsseiten zur Erlernung der deutschen Sprache betrieben werden. Darüber hinaus wird diskutiert, wie man Websites als Deutschunterrichtsmaterial anwenden kann, um die Fähigkeiten des Hörens, Sprechens, Lesens und Schreibens zu verbessern. Die Zeit wird immer informativer und nimmt an Vielfältigkeit und Individualität zu. Um diesem Umstand entgegenzukommen, wird ein Wechsel des Erziehungsparadigmas gefordert und als politische Maßnahme wird ein schnelles Informationsnetz errichtet. Dieses fordert die stetige Wandlung der Schulerziehung und ihrer Rahmenbedingungen, so dass das eigenständige Erlernen der Studierenden vermehrt in den Mittelpunkt rückt. Außerdem bevorzugen die gegenwärtigen Schüler, die als Multimediageneration betrachtet werden kann, zur Zeit Medien, die einen vielseitigeren Informationszugang vermitteln können, als es Bücher in bloßer Schriftform vermögen. Die Schüler verbringen viel Zeit damit, E-Mails zu lesen, Spiele zu spielen, sich Informationsunterlagen zu beschaffen und Chats zu führen. Dieses wird durch das Medium Internet als wichtigster Vertreter der Medien vermittelt. Gegenwärtig wird das Internet als Werkzeug eingestuft, welches in der heutigen Informationszeit die erforderlichen Auskünfte und Erkenntnisse zugänglich macht. Aber in der Realität wird das Internet in der Oberschule für den Deutschunterricht wenig verwendet. Denn es werden zu wenige Websites mit Lehrinhalten angeboten, um die Lehrtätigkeit der Lehrenden zu unterstützen, obwohl die Regierung Maßnahmen zur elektronischen Informationserlangung in der Erziehung ergriffen hat und dadurch die technische Seite der Lehrer und Schüler im Hinblick auf die Fähigkeit der Computeranwendung verbessert wurde. Das Internet bietet die Vorteile, eine Fülle von Lehrmitteln ohne Einschränkungen durch Raum und Zeit zur Verfügung zu stellen und mit Anderen in der Welt Meinungen auszutauschen. Diese Vorzüge sollten als Möglichkeit zur Gestaltung gegenseitiger Aktivitäten in der Lehrstunde des Deutschunterrichts angewendet werden. In Bezug auf das Lehrmaterial können vor allem durch Websites mit Lehrinhalten, welche von Lehrern eingerichtet werden, in denen Multimediaanwendungen als Werkzeug benützt werden, um den Lernprozess effektiv zu gestalten, Schüler ganz einfach neue Informationen und Lehrmaterialien erhalten. Dieses kann zum Deutschlernen motivieren. Durch deutsche Websites mit Lehrinhalten kann der Lehrer bei den Schülern das Interesse und die Motivation hervorrufen, und sie können durch aktive Teilnahme am Lernprozess profitieren. Lehrer sollten sich verstarkt bemühen, Lehrmaterial besser zu gestalten, um es als effektives Unterrichtsmedium benützen zu können. Das Internet bietet vielfältige Möglichkeiten im Deutschunterricht.

      • 독일 표현주의 회화와 영화 연구 :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을 중심으로

        서영주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영화는 무용, 건축, 회화 등 공간 예술과 문학, 음악 등 시간 예술을 아우르는 제 7의 예술로 다양한 기법과 테크놀러지를 통해 일상적 공간과 시간의 제한성을 넘어 무한하게 시공간을 확장할 수 있게 되었다. 그러나 영화가 처음부터 이처럼 독자적인 가치를 지니게 된 것은 결코 아니었다. 초기 영화 산업의 정점을 이루던 무성영화에서의 장면화(mise-en-sce`ne)는 서사를 이끌어 가는데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특히 독일 표현주의 영화는 이러한 장면의 연결, 인물의 표정, 화면의 배경, 카메라, 빛, 소도구, 분장, 세트 등 영화의 서사구조를 성립시키는 모든 요소들인 장면화를 통해 미술 사조인 표현주의의 회화적 요소를 충실히 반영하여 화면을 통하여 독특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제 1차 세계대전을 전후해서 주로 독일을 중심으로 일어난 강렬하고 불안정한 느낌의 양식인 표현주의는 명확한 미학에 근거한 그룹 운동은 아니었지만, 창작 태도상에 있어서는 공통점을 갖고 있던 예술운동이었다. 그 당시 독일은 전통적 가치의 붕괴와 전쟁, 급속한 산업화로 정치적 불안감과 심리적으로 혼란 상태로, 객관적 가치나 절대적 이념은 부재하게 되고 강렬한 내면적 감정 표현을 우위로 하는 새로운 접근이 이루어졌다. 이들은 인상주의의 자연의 사실적 재현에 반대하고, 내면성을 추구했으며, 다리파의 심리적 표현주의와 청기사파의 추상적 표현주의를 포함하였다. 1905년 독일 드레스덴(Dresden)에서 조직된 다리파(Die Bru¨ke)의 창단으로 표현주의는 본격적인 활동을 시작하였다. 그들은 그 당시의 후기 인상주의(Post-impressionism)와 야수파(Fauvism) 화가들과는 달리 자연을 모방하는 것에서 탈피하여 색채와 선의 선택으로 감정의 표현을 추구했고, 이들의 작품은 모든 면에서 훨씬 과격하여 사물과 인간의 신체가 훼손, 변형되기도 했다. 1911년에는 청기사파(Der Blaue Reiter)가 뮌헨(Mu¨nchen)에서 본격적으로 활동을 시작하면서 직관에 바탕을 둔 정신 세계를 조형적인 요소로 전달했다. 독일 표현주의 영화는 인접 미술에서의 표현 양식, 사상과 철학을 받아들여 그들만의 독특한 영화 양식을 창조하게 되었다. 로베르트 비네의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은 표현주의 영화의 모태가 된 작품으로 그 시각적 이미지나 주제가 이러한 표현주의 회화의 전통을 잘 반영하고 있다 표현주의 영화는 '현실의 재구성'이라는 영화매체의 특성과 표현주의 회화의 기법을 수용하여 그들만의 독특한 영화양식을 창조했다. 이것은 또한 그 당시의 정책적 후원과 전후 사회상까지 맞물려 그 유례를 찾기 힘들 정도로 영화 형식과 내용의 합치를 이루었다. <칼리가리 박사의 밀실>에서 표현주의 회화와 영화는 서로 자극하며 발전해 나가는데, 이는 표현주의가 갖는 미학적인 가치와 함께 표현주의가 영화라는 매체를 통해 자신이 지향하는 것을 가장 적절하게 드러낼 수 있다는 의미이다. 이는 실제로 '살아 움직이는 표현주의 회화'라 할 수 있으며 화면을 통하여 미학적 가치와 정신적 가치를 담아낼 수 있는 가능성을 열었다는 점에 있어 매우 중요한 경향이라고 할 수 있다. Rendu par les circonstances d'apre`s la premie`re guerre mondiale (l'incertitude pour l'avenir ; la frustration et le bouleversement psychique, du^s a` l'effondrement de valeur traditionnelle, a` lindustrialisation radicale, a` l'angoisse politique et a` la crise econimique), l'expressionnisme avait tendance a` traduire des sensations et des sentiments exacerbe´s, instables et pulsationnels. Comme un courant contradictoire avec l'impressionnisme qui avait largement domine´ des arts a` l'e´polque en Europe, l'expressionnisme synthe´sait l'inquie´tude sociale d'Allemand et son propre affect. Et puis, De´sormais, il evolue vers les deux directions : Die Bru¨cke et Der Blaue Retier. L'expressionnisme en peinture reclame que la represantation de nature est secondaire, et donc que la subjectivite´ expressive doit e^tre le plus remarquante et supe´rieure. Appuyant sur le me´thod pratique du post-impressionnisme et du premier cubisme, l'expressionnisme e´tait Influence a la fois par le style de gravure allemand du moyen a^ge qui a des figures bru^tales et irre´gulie`res, et le romantisme de lart primordiale. Ainsi, il soutient la figure accentue´e par le trait, le couleur simplifie´ et la planitude de surface. L'expressionnisme appartenait non seulement a` la peinture, mais aussi il e´tait diachroniquement apparu dans presque toute les donmains de l'art comme la litte´rature, le the´a^tre, la music, etc. Surtout au the´a^tre, pour faire apparai^tre la spiritualite´ de l'homme qui est substantiellement invisible et abstraite, il lui fallut re´aliser un corps concre`t a travers la manie`re picturale. La nature du cine´ma re´aliste pourrait de´fini par l'enregistrement me´canique et objective, en tant que le fournisseur de divertissement (voir des film de fre`re Lumie`re, ils ope´rent exactement ces deux propriete´s au-dessus : le paysagiste fide`le et le marchand exploitant). A partir de la difference e´vidente entre l'oeil cine´matographique et celle humain, le cine´ma expressionniste devait de´tourner et modifier de la valeur re´aliste a` la ≪ nouvelle re-presentation ≫ de re´el. A cet e´gard, la restriction conditionel du cine´ma de´tourne reconstitue le monde exte´rieur qui est devant l'objective a` la differente fac¸on cre´atirice et e´sthe´tique, De´clanche´ par Le cabinet du Dr Caligari (1919), le cine´ma expressionniste pre´sent bien tant de carate´ristique expressionniste. Il en fait le re´el plus psychique et dramatique. Pour la compostion totale, toutes les e´le´ments, comme la ligne decorative en biais, maquillage excessive, le jeu dacteur exage´re´, se me^lent graphiquement dans le cine´ma.

      • 독일 제국주의 행위 주체의 교육 : 식민지 전쟁에서 나타난 영웅주의 및 폭력 행사와 교육의 상호 관계를 중심으로

        노형석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고는 독일 제국기 동안에 일어난 대표적인 식민지 전쟁 중에서 의화단 전쟁과 헤레로·나마 전쟁에 참여하였던 행위 주체, 특히 빌헬름 2세, 장교, 부사관과 병사가 받은 교육 또는 교육내용이 무엇을 고취하였고 어떠한 영향을 끼쳤는지를 가능한 범위 내에서 규명하는 것을 통하여 그들이 보여준 영웅주의 및 잔혹한 폭력 행사와 교육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는 우선 이러한 행위 주체가 식민지 전쟁 이전과 식민지 전쟁 중에 보여주었던 신조, 태도, 감정, 성향 및 행위를 분석하였다. 이후에 교육목표에 따라 교육내용을 선정하고 조직하여 자신의 관점을 섞어가면서 가르치는 것을 통하여 영향력을 행사한 것으로 보이는 교원의 신조, 태도, 감정, 성향 및 행위를 다루면서 그들이 무엇을 고취하고자 하였는지를 살펴보았다. 아울러 본 연구는 그러한 행위 주체 중에서 접근이 가능하였던, 빌헬름 2세, 프로이센 사관학교 출신의 위관급 장교와 부사관, 부사관·재복무병학교 출신의 부사관과 병사가 “국가 이데올로기 장치”에 속하는 군사학교와 군대에서 받은 교육 또는 교육내용, 특히 사고, 신조, 태도, 감정, 성향 및 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평가되는 독일어·역사·복무 교육 또는 교육내용에 대하여 분석하였다. 이것에 덧붙여 그러한 교육 또는 교육내용의 영향 또는 효과를 추적하기 위하여 상술한 행위 주체가 그러한 교육 또는 교육내용에 대하여 보였던 견해, 기억과 반응을 알려주는 사례를 발굴하고자 시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밝혀진 것처럼 그들이 받은 교육 또는 교육내용은 독일 제국 행위 주체에게 특히 용기, 인종·국수·전체주의, 군주주의, 반가톨릭, 반사회주의, 반유대주의, 반의회주의, 투쟁사로서의 역사관, 팽창·식민주의, 기독교 전파, 함대 유지 및 증강, 대화의 무용성, 영웅주의, 제국, 조국, 상관, 왕 및 황제에 대한 애호, 충성, 복종과 희생, 관용의 무익함, 적에 대한 적개심과 잔혹한 처벌·복수·폭력 성향 및 행위를 다양한 방식으로 고취하였다. 이외에도 그러한 교육 또는 교육내용은 겸손, 공손, 근면, 명예, 성실, 시간 엄수, 신앙심, 의무실현, 준법 및 법의 옹호, 질서 유지, 순종, 순결, 기타 등등과 같은 기존의 지배 체제와 질서의 유지 및 재생산에 도움이 되는 도덕, 신조, 태도, 감정, 성향 및 행위를 자극하였다. 이러한 교육 또는 교육내용이 독일 제국 행위 주체에 대하여 어떠한 영향을 어느 정도 미쳤는지를 완벽하게 밝히는 것은 사료상의 한계로 인하여 어려운 것이었다. 그렇지만 연구 성과가 없었던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교육 또는 교육내용의 분석과 함께 이루어진 사례 연구와 동일시 이론의 응용을 통하여 역할 논쟁의 주요한 대상이었던 빌헬름 2세에 대한 교육 또는 교육내용의 부정적인 영향 또는 효과의 일부가 규명되었다. 다시 말해서 그가 받은 교육 또는 교육내용이 다른 1·2차 사회화 기관처럼 독일 황제를 특히 영웅주의, 잔혹한 적에 대한 강한 적개심과 잔혹하고 파괴·살인·살육·대량학살·절멸적인 처벌·복수·폭력 성향 및 행위를 보이는 행위 주체로 만드는 것에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 밝혀졌다. 결과적으로 보자면 빌헬름 2세가 받은 고전어·독일어·역사 교육 또는 교육내용은 독일 황제를 강한 적개심과 상술한 처벌·복수·폭력 성향 및 행위를 보여주는 행위 주체로 만드는 것에 기여하는 것을 통하여, 이 행위 주체가 독일의 독특한 정치·법적 구조와 결합하면서 식민지 전쟁에서 잔혹한 폭력과 살육·대량 학살 또는 “제노사이드”가 일어나는 것에 적지 않게 기여한 것 같다. 동일한 연구 방법을 통하여 식민지 전쟁에 참여한, 1880·90년대에 일반 학교와 사관학교에서 수학한 위관급 장교와 부사관, 부사관·재복무병학교 출신의 부사관과 병사 중 일부에 대한 교육 또는 교육내용의 영향 또는 효과도 일부 밝혀졌다. 즉 그들이 받은 교육 또는 교육내용이 그들 중 적어도 일부를 영웅주의를 보이고 제국, 왕 및 황제에 대하여 애호·충성·복종·희생하는 행위 주체로 만드는 것에 영향을 끼쳤다는 것이 규명되었다. 마찬가지로 이를 통하여 그들이 받은 교육 또는 교육내용은 식민지 전쟁에서 잔혹한 폭력과 살육·대량 학살 또는 “제노사이드”가 일어나는 것에 그러한 만큼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한편, 본 연구의 교과서 분석을 통해서 빌헬름 2세와 식민지 전쟁에 참여한 사관학교 출신의 위관급 장교 및 부사관과 부사관·재복무병학교 출신의 부사관이 학습한 독일어·역사 교육내용이 상당히 유사하다는 것과 특히 빌헬름 2세와 1880년대와 1890년대 초에 사관학교를 다닌 위관급 장교의 독일어 교과서가 동일하다는 것이 밝혀졌다. 이러한 유사성과 동일성에 근거할 때 그들이 받은 독일어·역사 교육 또는 교육내용은 빌헬름 2세의 경우처럼 식민지 전쟁에 참여한 사관학교 출신의 위관급 장교 및 부사관과 부사관·재복무병학교 출신의 부사관 중 일부가 영웅주의, 잔혹한 적에 대한 강한 적개심과 잔혹하고 파괴·살인·살육·대량학살·절멸적인 처벌·복수·폭력 성향 및 행위를 보이는 또는 그러한 행위 주체가 되는 것에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마찬가지로 이를 통하여 그러한 교육 또는 교육내용은 식민지 전쟁에서 잔혹한 폭력과 살육·대량 학살 또는 “제노사이드”가 일어나는 것에 그러한 만큼 기여한 것으로 보인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했을 때 우리는 독일 식민지 전쟁에서 나타난 영웅주의, 잔혹한 폭력과 절멸전과 관련하여 교육이 지니는 역할과 기여를 확인할 수 있었다. This paper tries to find out the relationship between heroism and brutal violence in the colonial war and education by identifying to the extent possible what education received or educational contents learned by Wilhelm II, officers, noncommissioned officers, and soldiers, who participated in the the Boxer War and Herrero·Nama War, inspire them and what kind of effect they has on them. To this end, this study first analyzed beliefs, attitudes, emotions, tendencies, and behaviors that these agents showed before and during the colonial war. Later, this study looked at what they tried to inject into these agents in dealing with beliefs, attitudes, emotions, tendencies, and behaviors of teachers that seemed to have exerted influence through teaching by selecting and organizing educational contents according to educational goals. This study analyzed educational Contents of German, History, and Military Service about which Wilhelm II,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from Prussian Military Academy, noncommissioned officers from noncommissioned schools and re-service schools and soldiers were taught in military schools, and military belonging to “ideological state apparatus”, especially those that are considered to influence thinking, beliefs, attitudes, emotions, tendencies, and behaviors. In addition, in order to track the impact or effect of such education or educational contents, an attempt was made to discover cases which informed us of the above-mentioned agents’s view, memory and reaction of such education or educational contents. As revealed in this study, their education or educational contents inspired German imperial agents with courage, racism, chauvinism, totalitarianism, monarchism, anti-Catholicism, anti-socialism, anti-Semitism, anti-parliamentarism, a view of history as struggle, expansionism, colonialism, Christian propagation, fleet maintenance and augmentation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these things, their education or educational contents encouraged uselessness of dialogue, heroism, love, loyalty, obedience and Sacrifice for empire, superiors, king and emperor and the futility of tolerance with hostility and propensity to punishment, revenge, violence against enemies in German imperial agents in various ways. In addition to promoting beliefs, attitudes, emotions, tendencies, and actions described above, their education or educational contents instilled morality, beliefs, attitudes, emotions, tendencies, and actions, such as Modesty, diligence, honor, sincerity, punctuality, faith, fulfillment of obligations, adherence to law and law advocacy, maintenance of order, compliance, purity, etc., to help maintain and reproduce existing governmental system and order into German imperial agents. It was difficult to fully reveal how and the extent to which such education or educational contents influenced the subjects of the German Empire due to limitations in historical records. However, it is not that there has been no result. Through the case study and the application of identification theory with this analysis of educational contents, some of the negative effects of such education or educational contents on Wilhelm II, which is a major subject of role debate, are revealed. In other words, such education or educational contents are found to have had a significant impact on making Wilhelm II, like other primary and secondary socialization institutions, show heroism, strong hostility and brutal, destructive, violent, genocidal punishment, revenge and violence against brutal enemies. As a result, Wilhelm II's education or the contents of his education contributed to making the German emperor a hostile subject and the subject of punishment, revenge, violence, combining him with Germany's unique political and legal structure, and contributing to brutal violence, mass murder, or "genocide" in colonial wars. Through the same research method, some influence or effect of education or educational contents on some of the rank-and-file officers, noncommissioned officers, and soldiers who studied at schools, military schools and military in the 1880s and 1990s, who participated in the colonial war, was also revealed.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such education or educational contents influenced at least some of them to show heroism and to make them love and obey german empire, kings, and emperors and Loyal and sacrifice to them. Likewise, through this, such education or educational contents seems to have contributed as much to the brutal violence, slaughter, massacres, or "genocide" occurring in the colonial war. Meanwhile, through the textbook analysis, it was found that the education received or educational contents learned by Wilhelm II, company-grade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from military academy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from noncommissioned and re-service schools, who participated in the colonial war, are quite similar and identical Based on these similarities and identities, as in the case of Wilhelm II., such education or educational contents seem to have influenced some of company-grade officers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from the Military Academy and noncommissioned officers from non-commissioned and re-service schools to show strong hostility and brutal, destructive, violent and genocidal punishment, revenge and violence against brutal enemies. Likewise, through this, such education or educational contents seems to have contributed as much to the brutal violence, slaughter, massacres, or "genocide" occurring in the colonial war. When putting the above studies together, we were able to confirm the roles and contributions of education in relation to heroism, brutal violence and the war of extinction in the German colonial war.

      • 독일과 한국의 중학교 음악 교과서 비교연구

        이인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사회는 정보통신의 발달로 세계의 문화, 학술, 정치, 경제 등이 활발하게 교류되고 있으며 새롭게 얻어진 정보들은 자국의 성장과 발전에 이용되고 있다. 우리 나라 교육계에서도 변화하는 시대적 흐름에 부응하고 미래사회에 대비하기 위하여 많은 노력과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음악교육의 기본적인 도구가 되는 음악 교과서를 중심으로 독일과 한국의 학교 음악과정을 비교·분석함으로써, 두 나라 교육내용의 차이점과 공통점을 찾아보고 이것을 바탕으로 한국 교과서의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우선, 독일과 한국의 학제 및 음악 교육과정을 살펴본 후, 두 나라 각각의 음악 교과서를 분석하였으며, 마지막으로는 가창, 창작, 기악, 감상 영역과 대중음악 영역으로 구분하여 양국 교과서의 내용을 비교·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학습내용의 구성에 있어서, 독일은 주제(Theme)에 따라 학습내용을 전개하는데 비하여 한국은 내용체계를 이해, 표현(가창·창작·기악), 감상 등 3개영역으로 나누고 가창곡을 주요 제재곡으로 하여 이들 영역을 다루고 있었다. 음악 교과서의 내용면에 있어서, 독일 교과서에는 민요, 예술가곡, 발라드, 그레고리안 성가, 흑인영가, 대중음악, 국가 등 다양한 가창곡이 수록되어 있는데 비해, 우리 나라 교과서의 가창곡은 주로 가곡과 민요의 형태로서 비교적 단순함을 알 수 있었다. 많이 사용되는 조성으로는 독일은 바장조(20%), 우리나라는 다장조(27%)이며, 단조의 비율은 양국 모두 22%로 나타났다. 가창곡의 최저·최고 음역은 독일 F-g^("), 한국 G-f^(#")이며, 성부구성(짜임새, Texture)에 있어서 독일은 단선율(58%)이, 한국은 합창곡(57%)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또한, 두 나라 모두 4/4 박자의 악곡이 가장 많았다. 독일 교과서에서 볼 수 있는 창작활동의 형태는 악곡을 듣고 음악의 흐름에 따라 신체표현하기, 언어놀이, 즉흥반주, 컴퓨터를 이용한 창작 활동 등이며, 우리 나라에서는 한도막·두도막 형식의 가락짓기를 중심으로 전개되고 있다. 또한 두 나라의 교과서에 제시된 기악곡을 살펴보면 독일 교과서에 수록된 기악곡은 여러 악기를 통한 기악합주의 형태인 데 비하여 우리 나라의 기악곡은 가창곡을 응용한 형태로 되어 있다. 교과서의 감상 제시곡에 있어, 독일은 근대·현대의 음악(37%)이, 우리 나라는 낭만시대의 악곡(50%)이 가장 높은 비율로 나타났다. 내용면에 있어서, 독일 교과서가 우리 나라 교과서와 다른 가장 큰 특징은 대중음악을 비중있게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독일 교과서 「Musik um uns」에서 대중 음악과 관련된 단원은 전체 18단원 중 6단원을 차지한다. 이 여섯 단원에서는 락, 재즈, 광고음악, 영화음악, 배경음악 등을 비롯하여 일상생활에서의 인간과 음악의 관계를 다루고 있으며, 또한 CD 및 오디오의 제작·보급과 음악 공연상황 및 관람안내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 있다. 우리 나라 교과서에서는 이와 같은 내용이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우리 나라 음악 교과서에 대한 개선안을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먼저, 교과서를 발행할 때 음악 교과서의 제시 악곡에 대한 CD를 함께 만들어 교사나 학생의 선택에 따라 구입하도록 한다면, 학교의 음악수업에 있어 활용될 뿐만 아니라, 학교 밖에서의 학생들의 감상활동에 있어서도 효과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보인다. 또한 학생들이 음악을 폭 넓게 이해하고 경험하도록 하기 위하여 가창곡에 있어서 보다 다양한 시대와 종류의 악곡을 선곡해야 할 것으로 여겨지며, 음악 교과서에서 제시되는 감상곡은 어느 한 시대에 편중되지 않도록 고려해야 할 것이다. 창작영역에 있어서도 '가락짓기'만이 아닌 보다 다양하고 흥미로운 창작활동을 연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 Modem Society is changing and developing very rapidly. People are exchanging knowledge concerning literature, studies, politics, and economics on the basis of brilliant communication technology and the knowledge is stimulating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the countries. The education in Korea is also keeping pace with this change of the world and is preparing for the coming future society. Now It seems very meaningful to compare our textbooks, which is one of the basic teaching materials, with those of Germany, to analysis our problems, and to find ways to improve our textbooks of music For this, first, this study examined the grade system and music curriculums of both countries, analyzed their textbooks and finally divided their contents into singing, creation, instrumental music, and popular music and compare and analyzed them. Followings are the conclusion. In the organization of learning contents, while the textbooks of Germany develop their contents according to their themes, those of Korea divide their content system into three parts, understanding, expressing(singing, creation, instrument), and appreciating and put much value on singing. In the contents of textbooks, there are various songs such as folk songs, classics, ballad, Gregorian chants, Negro spirituals, popular songs, national anthems and so on in the German textbooks but Korean ones are relatively simple in their construction. They contain mainly two parts, classical songs and folk songs. German textbooks generally use F-major most(20%), while ours use C-major most(27%), and both countries use minor at the same percentage(22%), The highest and lowest compasses are F-g" in German textbooks and G-f #". In texture, the analysis showed that German textbooks have homophony most(58%) whde ours have chorals most(57%). the music at 4/4 rhythm takes the highest proportion in both countries. The form of creation activities we can see easily in German textbooks are expressing with bodies to the music, language game, instant accompaniment, and creation with computer and ours have simply 'the composition in the song form.' In the aspects of instrumental songs, German textbooks require students to play various instruments but ours turn the music for singing into instrumental musics. In the appreciation parts, while the Modem and Contemporary periods takes the highest percentage(37%) in German textbooks, the romantic period takes the highest ratio(50%) in ours. In the contents, German textbooks put much importance on popular music. For examples, in 『Musik um uns』 , one of the German music textbooks, the contents concerned with popular music takes six chapters out of 18 chapters. In these six chapters, there are rock, jazz, commercial music, film music, sound tracks, and so on and they also contain the relationship between man and music in daily life. Besides they provide various and practical information such as making CD and audio, concerts schedules and ours don't have such kind of things. With these results, I suggest followings as the ways to improve our music textbooks. First, when publishing textbooks, they should be accompanied by CDs which contain the music and songs in the textbooks. Students as well as teachers could take the best advantage of it both in presentation and appreciation, even not in the classrooms, if they are available. Besides the textbooks should cover wider range of musical periods. In creation activities, there should be much more interesting and various activities. Simple and monotonous 'Composition in the song form' is not sufficient.

      • 獨逸勞動運動에서의 라살레주의

        金熙慶 전남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독일 노동운동의 방향을 민족 국가를 인정하는 사회민주적 개혁주의로 이끈 페르디난드 라살레(Ferdinand Lassalle)의 사회주의 이론과 그 당시 독일 노동운동과의 관계를 살펴본 것이다. 유럽의 사회주의 운동이 국제적 성격을 띠며 카알 마르크스(Karl Marx)를 중심으로 확대되는 시기에, 라살레는 독일에 남아서 1850년대의 반동시대(Reaktionsare)에 살아남은 노동운동에 사회주의라는 방향을 제시하였다. 라살레는 국가의 기능에 우위를 두어 사회주의 사상을 전개시킨 사상가이다. 1848년 혁명의 실패로 개별적인 노동운동의 활동은 사라졌다. 이후 자유주의자들의 주도하에 1850년 말 이후에 노동운동이 다시 활기를 띠었으나, 자유주의자들은 노동자들을 자신들의 정치단체의 후원세력으로서만 생각하였다. 이에 노동자들은 자신들의 독자적인 정치활동을 강구하였고, 라살레는 1860년대 초에 독일 노동자들에게 독자적인 노동조직의 필요성을 역설하였다. 이에 1863년 5월 23일 라이프찌히(Leipzig)에서 독일 최초의 노동자계급의 정치조직인 '전 독일 노동자 총연맹(Allgemeiner Deutscher Arbeiterverein: 이하 ADAV라고 칭함)'이 결성되어 노동자들의 결속을 꾀하였다. 이것이 독일의 사회민주주의 시작이다. 이 조직은 오늘날의 '독일 사회민주당(Sozi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s: SPD) 의 전신이다. ADAV의 창설자이며, 초대의장인 라살레는 소위 라살레주의로 통용되는 그의 사회주의 이론을 통해 사회민주주의 운동에 중요한 흔적을 남겼다. 라살레주의는 국가와의 협력을 통해, 그리고 점진적인 방식으로 노동운동의 목표에 도달하려는 것을 그 주요 특징으로 하고 있다. 즉 라살레주의는 첫째로 노동자계급은 독자적 정당을 결성한 다음에 보통선거권을 토대로 합법적이고 평화적인 방식에 의해서 사회주의를 달성하며, 둘째로 국가의 보조를 받는 생산자 협동조합을 창설하여 노동자들의 경제적 지위를 신장시킨다는 것 등이 핵심내용이다. 라살레주의와 그의 노동운동은 당시 독일사회의 특수성 때문에 독창성이 부족하고 그 자체의 한계성은 있다. 그러나 라살레는 지속적인 이론가라기 보다는 침체된 노동운동을 독일에서 다시 활성화시키기 위한 선동가로서, 노동자들을 각성시키기 위해 노력한 사람이었다. 그리고 그는 사회혁명에 대립하는 개혁주의의 길을 취하여, 노동운동에 점진적 개혁주의라는 방향과 성격을 낳아, 독일의 사회민주주의의 사상의 원형을 성립시켰다. 제 1장에서는 1848년 혁명기의 노동운동과 1860년대 노동운동간의 연속성을 살펴보았다. 1848년 혁명기, 독일에서 노동자들은 최초로 대규모 정치적 조직인 '전 독일 노동자 형제단(Allgemeine deutsche Arbeiterverbruderung: 이하 형제단이라고칭함)'을 결성하였다. 1848년 노동운동을 주도한 사람은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아닌 스테판 보른(Stephan Born)이었다. 그는 노동자 해방에 대해서, 자신이 추종하였던 마르크스와 엥겔스가 주장한 무산계급적 혁명과 공산주의적 미래사회 대신에 평화적인 방법으로 철저한 사회개혁을 옹호하였다. 또한 그는 노동자가 지배하는 그리하여 모든 계급지배가 종식되는 사회를 지향하였으며, 이러한 새로운 사회는 단계적으로 실현되리라고 그는 생각하였다. 그리고 그는 국가가 후원하는 노동자들의 생산협동조합을 새로운 사회로의 이행기의 생산방식으로 보았다. 이 조직이 중심이된 1848년 혁명기의 노동운동은 혁명의 실패와 독일 각 연방 정부의 반동적 정치상황으로 인해 정치세력으로 성장하지 못하고 침체하다가 이후 이 조직의 전통은 1860년대 출연한 노동운동에 이어진다. 제 2장에서는 1860년대 이후 노동자 자신들이 자유주의 세력에서 벗어나 독자적으로 정치화를 모색한 과정 즉 1863년 ADAV 결성과정을 살펴보았다. 1850년대 말 독일의 노동운동은 자유주의자들에 의해 주도되었다. 그러나 이들은 자신들의 정치적 기반을 확대하기 위해서 노동자들 후원하였을 뿐이다. 이들은 노동자계급의 '사회적 시민화'로 그들의 사회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고 생각하였다. 즉 자유주의자들은 노동자계급도 자신들 처럼 교양과 재산을 쌓으면, 그들의 문제가 해결될 것라고생각하였다. 그 결과로 등장한 것이 협동조합운동과 교육클럽운동이다. 그러나 이러한 운동은 노동자들을 정치활동으로부터 이탈시켰다. 이에 반해 라살레는 많은 강연들을 통해서 노동자들의 의식을 각성시키고, 노동자들만의 정당을 조직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ADAV는 평화적이고 합법적인 방법으로 특히 직접, 보통, 평등선거을 통해서 노동자들이 정치적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노력하였다. 그래서 강령상으로 볼 때, ADAV는 사회주의적이라기 보다 오히려 민주적이며 개혁적이다. 그렇지만 ADAV는 확고한 반(反)부르주아적 노동자계급 당이다. 제 3장에서는 라살레의 사회주의 이론인 라살레주의에 대해서 크게 국가관, 생산자 협동조합론과 민주주의론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라살레의 이론의 대부분은 마르크스의 이론과 유사하다. 그러나 두 사람의 가장 큰 차이점이 국가관이다. 라살레의 국가관은 사고 방법 전체와 불가분의 관계이며, 그의 사회주의 사상의 특징을 이루는 것이다. 그의 국가관은 마르크스와 이후 마르크스주의자들에게 오랫동안 비판을 받아 온 이론이다. 마르크스는 국가를 전복할 대상으로 생각하였으나, 라살레는 국가를 인간공동체사회의 윤리적인 이념으로서 긍정하였으며, 기존 국가가 노동자의 해방을 위해 노력해 줄 것을 기대하였다. 라살레는 이러한 국가관에 기반을 두고 '임금철칙(eherne Lohngesetz)'의 철폐와 보통, 직접 선거권의 도입을 주장하였다. 라살레의 '임금철칙'은 노동자들의 평균적인 노동임금이 최소한의 생존비에 국한되며, 이 수준에서 벗어날 수 없다는 것이다. 이에 라살레는 착취당하는 노동자를 구제하는 방법으로 국가보조의 생산자 협동조합을 주장하였다. 라살레는 노동자 자신들이 소유권과 통제권을 가진 생산자 협동조합을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이러한 생산자 협동조합이 창설되기 위해서는 보통 직접 선거권이 먼저 실행되어야 한다고 그는 주장하였다. 그 이유는 노동자들이 정부를 통제할 수 있을 때야만 비로소 국가보조의 생산자 협동조합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라살레의 민주주의론은 의회민주주의가 아니라 독재적인 쟈코뱅적 민주주의이다. 이러한 점은 ADAV의 조직 구조가 엄격한 중앙집권적인 형태를 띠고 있음을 보면 알 수 있다. 라살레주의는 특히 보통선거권, 국가지원하의 생산조합, 임금철칙설 등의 개념들은 슈바이쩌에 의해 계승되었다. 그리고 라살레주의의 점진적 개혁주의의 노선은 이후 독일 사회민주주의 역사 속에 지속되어 1875년 고타 강령에 반영되었다. 이 강령은 임금철칙론과 국가 보조하의 생산자 협동조합 육성을 내세운 라살레주의와 프롤레타리아 국제주의를 내세운 마르크스주의와의 타협된 합작물이었다. 즉 이 강령은 마르크스주의의 색채가 가미되기는 하였으나 여전히 라살레주의에 비중을 두어 작성된 것이었으며, 1891년까지 유지되었다. 사회민주당은 1891년에 더욱 마르크스주의의 색채가 강한 에어푸르트 강령을 채택하였으나, 여전히 실천적인 면에서는 라살레가 제안한 개혁주의 노선을 추구하였다. This paper studies about the German labor movement and Ferndinand Lassalle, who leads the social democracy reformism and accepts the ethnicnation. His opinion is different from internationalism social revolutionists Marx and Engels. In this paper deals with Lassalle as a reformer. After Failure of revolution in 1848, all individual labor movement is disappear. After that late 1850 some liberalists lead lively labor movement, but liberalists think the laborers are just their political reserve force. So laborers pursuit their own independent political activity and Lassalle exclaim the need of independent labor organization, in early 1860's. On May 23, 1863, laborers conglomerat e t hemselves with 'General German Workers Association(Allgemeiner Deutscher Arbeiterverein: ADAV). This is the begin of Germany Social Democracy. Lassalle urged two slogans ; the first is ADAV has a universal suffrage and the second is the government guarantees the producers union. This union is German Social Democratic Party(Sozialdemokratische Partei Deutschlands: SPD)'s former organization. Lassalle, the establisher of ADAV and the first President of ADAV, left important chase by his unique society movement theory in Social Democracy. To short the long story, Lassalleism has it's crucial point that the government cooperates increasingly and reach the labor movement's goal. In the concrete, Lassalleism's method are like this. The first step is labor class forms it's own political party and then legal and peaceful method to make the socialism goal on universal suffrage. The second step is that establish the producers collaborate union and it is supported by the government. Lassalleism and his labor movement lack of productivity and it has its limit because of the Germany social particularity, but Lassalle is not an endurable theologist but an instigator. He tries to be awakened laborers and he vitalizes the labor movement in German. So he is against the social revolution, takes thereformism method, and forms the Germany Social Democracy ideology. After failure of revolution in 1848, he resuscit at es the social movement in German. We should remind it. In Chapter I, I study the labor movement in the early German. In 1848, the labor movement was leaded by Stephan Born, not Marx and Engels. He organizes 'Brotherhood of German Workers (Allgemeine deutsche Arbeiterverbruderung)' at that time. He supports the social reformation it was progressed smoothly, not forcedly instead of a proletarians revolution and communistic society. Also he wants to build rejects the society with ruled by laborer and wipes out all ruling classes. In Chapter II, I study about laborer establishes the independent political organization ADAV. ADAV tries to get a direct, normal, and equality election by peaceful and legal ways. So ADAV is democratic than socialistic. However it is a anti-bourgeoisie and a party of labor classes. In Chapter III, I study about Lassalle's nation theory, producer cooperative association theory and democracy theory. The Lassalle's out look of nation was criticized for a long time by Marx and Marxist who considers the nation is upset. But Lassalle insists that nation has a moral idea of human common society. Furthermore he require to get a emancipation of labor at nation. Lassalle's exclaims that abolition of Iron Law of Wages(ehernes Lohngesetz) and induces the normal, direct election. Iron Law of Wages(ehernes Lohngesetz) is limited by laborer's average minimum exist expense. In this case, exploit laborer save method is producer's cooperative association by nation assist. Lassalle insists that laborer establishes the producer cooperative association that laborer has the right of possession and control for themselves. Also he insistst his producer cooperative association based on normal and direct election. The reason is laborers control the government, and then it can be established the goverment assistant producer cooperative association. But Lassalle's democracyt heory is not a parliamentarism democracy but aut ocratic Jacobin democracy. In this point ADAV has strict form of centraliza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