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도덕과 교수 · 학습지도에서의 문제중심학습적용 연구

        이경주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문제중심학습의 이해를 바탕으로 성실과 근면을 주제로 적용 가능한 문제를 계획하며 그에 따른 도덕과 수업안을 설계하고 이를 실제 수업에 적용, 결과를 분석함으로써 도덕적 판단력 및 문제 해결력,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 사회성 변화 등을 알아보고 도덕과의 교수·학습 방법으로서의 효과 및 적용가능성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를 위해 먼저 Ⅰ장 서론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연구의 내용과 방법, 연구의 제한점을 제시하였다. 문제중심학습의 본질적 특성을 이해하기 위해 Ⅱ장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의 바탕이 되는 구성주의의 정의 및 구성주의 교수학습이론, 구성주의와 문제중심학습의 관계를 살펴본 후, 문제중심학습의 정의, 특성, 가치, 문제중심학습에서의 교사의 역할을 고찰하였다. Ⅲ장에서는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도덕과 수업안을 설계하고 노래와 율동, 역할극, 현장조사, 보고서 작성 등과 같은 다양한 활동 유형들을 실제 수업에 적용해보았다. 초등도덕과 수업에 문제중심학습을 적용한 후 결과를 분석한 Ⅳ장에서는 도덕적 판단력 및 문제 해결력, 자기 주도적 학습태도, 사회성 변화 등을 알아보고 도덕과의 교수·학습 방법으로서의 효과 및 적용가능성에 대한 결과를 제시하였다. 이와 같은 초등도덕과 교수·학습 지도에서의 문제중심학습 적용은 현대 사회에서 추구하는 다양한 교육적 요구에 부합하여 초등 도덕 교육의 교수·학습의 방법으로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첫째, 문제중심학습은 학습자의 도덕적 판단력 및 문제 해결력 향상에 도움을 주는 매우 적합한 교육방법이다. 실생활과 관련된 비구조화된 문제 속에서 다양한 가치들을 학습자 스스로 판단하고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도덕적 판단력 및 문제해결력을 기를 수 있다. 둘째, 적극적이며 능동적인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 향상을 가져왔다. 문제중심학습은 학습자가 문제를 인식한 뒤 스스로 자기에게 필요한 지식을 찾고 문제 해결 방법을 모색한 후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 안에서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참여를 하게 됨으로써 자기 주도적 학습 능력의 향상에 도움을 주었다. 셋째, 모둠별 협동학습을 통해 민주적인 의사 결정 능력 및 사회성 발달이 이루어졌다. 문제중심학습의 과정을 통해서 모둠원 각각 맡은 역할에 충실하며 문제를 해결위한 다른 모둠원과의 토의·설득·타협의 과정을 통해 민주적인 의사 결정 능력이 향상되었으며 문제를 선정하고 자료를 찾아 발표하는 활동을 하게 됨으로써 자연스럽게 협동심 및 사회성을 기를 수 있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위의 결론을 종합하여 살펴 볼 때 문제중심학습은 도덕과 수업에서 새로운 교수·학습 방법으로 적용 가능함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plans applicable issues on the subject of good faith and diligence based on understanding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and then, designs an educational program of the morality course and applies the program to the actual classes. 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by analyzing the results, to inquire out the moral judgment, the ability of problem-solution, the self-initiative learning attitude the change of sociality, etc and to purpose the results of the application perspective and the effects as the way of teaching-learning in the morality course. For those things, this study presents the necessities and the goals, the contents and the methods,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in the introduction. For understanding the inherent characteristics of problem-based learning, this study considers the definition, characteristics, values and the teacher's role of the problem-based learning after inquiring out the definition and the teaching-learning theory of construction deriving the problem-based learning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uction and the problem-based learning in the chapter Ⅱ. In the chapter Ⅲ, this study designs an educational program of the morality course based on problem-based learning and applies the variety of activities, such as songs, dance, roll plays, field research, making a report, etc into the actual classes. In the chapter Ⅳ analyzing the result applying problem-based learning to the classes of the elementary morality course, this study inquires out the moral judgment, the ability of problem-solution, the self-initiative learning attitude, the change of sociality, etc and presents the result of the application perspective and the effects as the way of teaching-learning in the morality course. Since the application of problem-based learning to teaching-learning of elementary morality course meets the variety of educational needs that the modern society pursues, it may be able to suggest the way of learning that lesson. The First, learning based on problems is a very appropriate education method to help improving the learner's moral discernment and abilities of resolution. Among the unconstructed problems related to the real life, through the procedures in which the learners figure out the various values by themselves, they can advance the abilities of moral discernment and resolution. The second, problem-based learning has brought the positive, active and self-controled learning skill improvement. After recognizing problems, the problem-based learners, by finding the knowledge needed to themselves and seeking for the trouble-shots, ha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actively and aggressively and helped improve self-initiative learning skills. The Third, through "All in one-typed" cooperative learning, democratic decision-making ability and social development have been done. Moreover, through the process of problem-based learning, each one of the group of cooperate learning has sticked to their role and in the time of discussion, persuasion and agreement with other members of the group, the democratic decision-making ability has improved too. By the activity of selecting issues and searching datum and representing them, the learners could improve the abilities of cooperation and sociality. Therefore, concluding the above results, I am sure that the problem-based learning has an applicative perspective to the classes of the morality course as a new method of teaching-learning.

      • 도덕적 사고하기’에 기초한 도덕교육의 접근법 : 윌슨(J. Wilson)의 이론을 중심으로

        전희복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윌슨(J. wilson)의 ‘도덕적 사고하기(moral thinking)’를 통해 ‘도덕’에 대한 올바른 개념 확립과 진정한 도덕교육의 접근법을 모색해 보는데 있다. 우리는 도덕이 무엇인지 제대로 알지 못하며 도덕에 대한 오해와 편견들로 합리적인 도덕교육에 이르지 못하고 있다. 즉 도덕교육의 실패는 교육제도나 교육과정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가 가지고 있는 편견과 환상, 그리고 그 밖의 뿌리 깊은 비합리적 감정에 있으며 이를 지적하는 것이 본 논문의 중요한 출발점이다. 도덕교육은 인간이 생각할 수 있는 힘, 즉 사고력과 가치의 실현, 탐구력 신장 등 흔히 도덕교육에 대해 접하는 방식의 도덕성을 단지 길러주고 선한 사람을 만드는 일차적 차원에 주목하는 것이 아니라 철학적인 사색을 통해 토론을 하고 합의를 도출하고 철학에서 출발하여 이성이 강조되는 철학적 접근의 도덕교육이 가장 적절할 것이다. 그리고 이는 윌슨이 제시한 ‘도덕적 사고하기’를 통해 실현될 수 있다. 도덕적 사고하기는 도덕적 문제 해결의 방법론으로 도덕성요소들을 학생들에게 직접 가르치고 이해시키는 것이며 도덕적 사고하기란 어떤 이론이나 지침, 덕의 의미가 아니다. 이는 현실에서 사고와 행동을 묶을 수 있는 통합적인 체계이며 도덕 교육 자체의 본질적 개념이다. 본 연구자는 이를 도덕교육의 ‘직접적 방법’에서 보다 더 폭넓게 해석하여 윌슨의 도덕교육론을 뜻하는 의미로 살펴보았다. 물론 그 어떤 이론이나 사상가들도 도덕교육에 대한 완전한 해법을 제시할 수는 없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윌슨의 도덕 교육론과 그 배경이 되는 철학적 사회적 심리학적 요소들을 통해 도덕이 무엇인지 이해하고 그에 따라 올바르게 합리적으로 행동할 수 있다면 그것이 일종의 해법일 수 있으며 도덕교육의 기획으로서 도덕적 사고하기의 정립에 이를 수 있다고 생각한다. 결국 어떤 특정한 도덕이론으로 바라보는 것은 도덕교육에서 배제되어야 할 문제이지만 분명 주제는 있어야 하고 도덕교육의 주제를 ‘도덕적 사고하기’를 통한 도덕교육의 접근법을 마련하는 입장에서 살펴보았다.

      • 아담 스미스의 공감이 도덕교육에 주는 의미

        김향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아담 스미스(Adam Smith) 도덕론의 기본이 되는 공감(sympathy)에 대해서 살펴본 후, 인간이라면 누구나 가지고 있는 감정인 공감이 하나의 도덕 판단의 원리로 성립할 수 있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또한 이를 바탕으로 해서 공감이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도 살펴보고자 한다. 스미스가 살던 시대는 중세적 질서가 붕괴되고 본격적으로 근대시민사회가 형성되던 시기로서 근대시민사회의 구성 및 질서원리에 대한 해답을 인간 본성에 대한 이해에서 찾고자 하였다. 그는 스코틀랜드 철학자의 영향으로 인해서 도덕을 이성이 아닌 감정에 의해서 형성되는 것으로 보았다. 또한 뉴턴의 과학적 방법을 적극적으로 수용하여 일상생활의 관찰을 중시하고 다양하고 평이한 사실에 기초해서 새로운 도덕철학체계를 구축하려고 하였다. 이렇게 해서 형성된 스미스의 도덕론은 ‘도덕이란 무엇인가?’, ‘그 도덕을 인간은 어떻게 인지하고 판단하는가?’라는 두 가지 문제에 대해서 기존 이론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섭취해서 자신만의 이론을 제시하고 있다. 첫 번째 문제인 ‘덕의 본질’에 관해서 기존의 다양한 이론을 분석한 다음 덕을 이기적인 덕인 신중과 이타적인 덕인 정의와 자애로 구분하여 설명한다. 그는 이 세 가지 덕목을 인간 본성을 구성하는 기본 요소로 보았으며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신중의 덕이 타인의 행복에 관심을 갖는 정의와 자애의 덕과 결합할 때 타인의 이익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자신의 이익을 추구할 수 있다고 보았다. 두 번째 문제인 ‘덕의 시인원리’를 스미스는 이성이 아닌 인간의 자연스러운 감정인 공감에서 찾고 있다. 스미스 도덕철학체계의 전체를 관통하는 것이 공감의 원리이며 또한 근대시민사회의 질서유지와 발전을 위한 해답으로 제시한 것이 공감의 원리인 것이다. 스미스는 인간은 이기심뿐만 아니라 이타심도 가지고 있는 존재로 보았다. 사회적 존재인 인간은 다른 사람에게서 공감을 얻을 때 기쁨을 느끼며 그 반대일 때 고통을 느끼는 즉 상호 공감의 기쁨을 느끼는 존재이다. 이러한 상호 공감의 기쁨은 다른 사람에게 칭찬을 받고자 하는 욕구와 더불어 칭찬을 받을 만한 성품을 지니고 싶은 욕구 때문에 느끼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인간이 사회 속에서 다른 사람의 감정에 상호 대응성을 가짐으로 인해서 생기는 것이다. 이러한 상호 대응성은 인간이 본성적으로 가지고 있는 공감 즉 다른 사람이 처해 있는 상황에 대해서 입장을 바꿔서 생각함으로써 생기는 동포감정에 의해서 이루어진다는 것이다. 따라서 스미스는 이기적 존재인 인간들이 사회 속에서 서로 어울려 살아갈 수 있는 원리를 공감에서 찾고 있는 것이다. 스미스는 상상에 의한 입장 전환을 함으로써 생기는 동포감정으로서의 공감은 아무런 도덕적 판단도 포함하지 않는 단순한 감정으로 보았다. 이러한 동포감정으로서의 공감을 바탕으로 하는 관찰자의 공감적인 열정과 행위자의 본원적인 열정이 일치할 때 완전한 공감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다시 말해서 관찰자가 행위자의 열정에 공감할 뿐만 아니라 행위자가 자신의 본원적인 열정을 관찰자가 공감할 수 있는 수준으로 억제하고자 노력할 때 완전한 공감이 이루어지는 것이다. 이때 관찰자는 공평한 관찰자로서 객관적인 입장에서 행위자의 열정이 적정하면 시인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시인으로서의 공감은 단순한 공감이 아니라 행위의 적정성을 판단하는 도덕 판단 원리로 작용하는 것이다. 인간들은 경험을 통해서 적정성을 판단하는 일반원칙을 가지게 되며 이러한 일반원칙을 판단의 기준으로 삼아서 행위를 시인하거나 부인하게 되는 것이다. 이처럼 스미스는 단순한 공감과 도덕 판단 원리로서의 공감을 구분하고 있다. 스미스의 공감의 원리가 도덕교육에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공감을 하기 위해서는 상상에 의한 입장 전환을 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서 도덕교육에서는 아동들에게 다양한 경험과 체험의 기회를 제공해서 다른 사람의 입장에서 생각하는 것을 습관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둘째, 스미스는 행위자의 열정이 이기적이든 이타적이든 상관없이 공평한 관찰자의 공감을 얻을 수 있다면 다시 말해서 적정하다고 시인을 얻는다면 하나의 덕으로서 성립한다고 보았다. 그러므로 도덕적 행동이 꼭 이타적인 행동에만 한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도 공평한 관찰자의 공감을 얻을 수 있다면 도덕적 행동이 될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스미스의 이러한 생각은 자신의 이익을 추구하는 것이 도덕과 양립가능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도덕교육은 다른 사람의 이익을 고려하면서도 자신의 이익을 신중하게 추구할 줄 아는 사람을 기르도록 해야 할 것이다.

      • 도덕 판단교육을 위한 립맨의 합당성 개념 연구

        김혜숙 경상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807

        Moral character education is important in moral education. So moral judgement education is also very important. Because the person who has no capacity for moral judgement can't be a man of moral character. But unfortunately so far there has been a very little interest in moral judgment education. As a result moral judgement education didn't carry out enough. The dominant cause is that the concept of moral judgement is too narrow. We have regarded it as a moral judgement by moral virtue or rational principle, that is not appropriate concept. That effected the whole paradigm in moral judgement education and result in the fact that practical approach is not appropriate. Actually most of moral judgement education in a classroom dose not carry out authentically. Especially moral judgement education for children is not watched with keen interest. Therefore we should reconstruct the concept of moral judgement if we really want moral judgement education to carry out appropriately. Moreover we should search for proper practical approach. For that reason, this paper pay attention to M. Lipman' concept of reasonableness and his philosophical community of inquiry. M. Lipman' concept of reasonableness is on the way between foundationalism and anti-foundationalism. It can be called contextual objectivism because it maintains balance between contextual peculiarity and objective judgement like Aristotle's concept of mean and practical wisdom and Rawls's reflective equilibrium. So reasonableness is a regulative idea for every practical context. It is a status of reflective equilibrium by multi-dimensional thinking and disposition. According to this, the character of moral judgement which is based on reasonableness stresses out practical context and achieves reflective equilibrium by using critical - creative - caring thinking and disposition. Also, It is a moral judgement which integrates cognitive - affective - active morality and many respect of duality in moral education field. Briefly the moral judgement based on reasonableness is a reflective equilibrium by multi-dimensional inquiry in moral practical context or in other words, it is getting multi-dimensional practical wisdom. It is totally different from moral judgement by moral virtue or rational principle. Therefore reasonableness can lead moral judgement education which is suitable to its essential. Philosophical community of inquiry is a practical approach which can actualize reasonableness in education. It is a community of inquiry which its members construct a reasonable judgement with 'doing philosophy'. It is a field for practical exercise based on caring community in which members can construct a reasonable judgement with psychological safety and getting cognitive encouragement. So it means that moral judgement education through philosophical community of inquiry is a communicative ethical inquiry with characteristic dimension and integration. Especially it gives a chance for practical exercise for children which allow children to grow multi-dimensional practical wisdom step by step. Therefore philosophical community of inquiry can be a relevant practical approach for moral judgement education. In conclusion, moral judgement education with philosophical community of inquiry based on reasonableness can provide a field for psychological- cognitive- practical exercise for reasonable judgement and provides an environment where children can get experience of meeting the world, people and life together with their teachers and friends. Also, they can get experience of discovering meaning and discovering worth to of failure and disappointment. That experience gives children a sense of reflective equilibrium between 'I and people', I and it', 'I and the world'. Finally, that experience leads children to reasonable judgement of their problem and it also makes children to be positive moral humane- being who recognize herself/himself as a person can construct 'something', as not a person just follow ready-made world without 'herself/himself'.

      • 도덕과 행동 평가를 위한 수행평가 방안 연구

        이문국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학생들은 교사가 지켜보면 올바른 행동을 하다가도 잠시 한눈을 팔게 되면 다른 친구를 괴롭히거나 공동규칙을 어기는 행동을 흔히 한다. 또한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지필 평가와 형성 평가에서도 백 점을 맞는 학생이라도 그 점수에 어울리는 행동을 하는 학생은 많지 않다. 그리고 현재 실시되고 있는 수행 평가는 단순히 지필평가에 실기 평가의 형식을 가미하여 학생들의 학업 성취도를 평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학생들의 계속적인 도덕적 성장과 도덕과의 교수?학습을 개선할 수 있는 수행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이는 학생들의 학습 수행 과정과 태도를 통합적으로 평가함으로써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다양한 문제 사태에 주도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능력을 함양시키기 위해서이다. 본 연구 결과를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목표 지향적 수행평가 자료를 구안하여 적용한 수업을 전개한 결과 학생과 학생, 학생과 교사 사이에 대화가 원만하게 이루어졌다. 이러한 환경 조성을 통하여 수업 중 혹은 수업 후에 서로 가식 없고 진솔한 평가와 자기반성을 할 수 있었다. 둘째, 수업 중에 활용한 자료인 학습활동 수행평가 자료, 학습영역 수행평가자료, 학습실천 수행평가 자료들은 도덕적 덕목에 대한 자기평가, 동료평가, 교사평가를 포함하고 있다. 이러한 평가는 학습 내용과 관련지어 학생 각자 자신이 실천해야 할 일을 스스로 선정하여 일상생활 속에서 꾸준히 실천하고 반성하는 계기를 제공하여 줌으로써 학생의 자기 주도적 도덕성의 함양에 기여 하였다. 셋째, 한 제재의 학습을 마칠 무렵 실시되는 자기주도적 수행평가 자료인 학습종합 수행평가 자료는 학생의 평가를 교사 및 학생이 편지형식으로 대화함으로써, 학생의 행동이 도덕적 덕목의 실천에 옳은 방향으로 진행되는 계기가 되었다. 넷째, 수행평가 자료로서의 포트폴리오는 학습 활동 중심의 평가로 수행평가의 본질에 맞게 이루어졌으며, 평가 결과가 다음 도덕 수업 시간에 피드백 되어 학생의 자기 주도적 도덕성 함양에 많은 도움을 주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사용된 수행평가 자료를 좀 더 보완하여 학생의 자기 주도적 도덕성 함양을 위해 자료를 투입한다면 보다 학문성 있는 연구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방법을 좀 더 다양하고 일목요연하게 분석할 수 있다면 포트폴리오를 활용한 학생의 자기 주도적 도덕성 함양에 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기대한다. Most students behave themselves while teachers are watching them, but they start to harass the classmates or violate the school regulations soon after the teachers step out of the classroom. Besides, the so-called exemplary students, who get good grades on written tests and accomplishment assessments, can also rarely meet the expected standards when it comes to school life practices. In reality, the current accomplishment evaluations are nothing more than the written tests in another form which include only a few aspects of practical assessments. Therefore, in this study, as a way to solve this problem I have presented an objetive-oriented evaluation method in which we may be able to improve the moral educations in teaching and in learning, thus helping the students grow further into the desirable personalities. With the integrated evaluation of the process of the students' accomplishments in learning and their attitudes, we intended this should prompt the students to improve the ability to initiate to deal with various kinds of problems they face in real life situations. The following is what we have found out as a result in this study: First, in the cases in which we taught the class by utilizing the dialogue activities model and the objective-oriented accomplishment, the dialogue table formed between students and students, between students and teachers. So, this atmosphere lead to the unbiased, fair evaluation, providing the opportunity of self examination during and after the classes. The creation of these environments made it possible to fully utilize the data of the objetive-oriented accomplishment evaluation: on required, weekly and monthly basis. Secondly, the materials used during the class, such as the data of the accomplishment evaluation of learning activities, learning area accomplishment evaluation and learning practice accomplishment evaluation, also includes the evaluations of the individual student about the ethical virtues by her/him-self, by her/his peer group, and by the teachers. These evaluations exerted considerable effects on the students' improvement of morality on the their own initiatives by providing the students with the opportunities to volunteer the practice events related to the moral subjects and to continue to execute them with the reflections thereof in the daily lives. Thirdly, the comprehensive evaluations of learning accomplishment, the total report of the assessments at the end of one material term, provided an opportunity for the students to develop their behaviors into the right direction through the mail exchange dialogues between the teachers and the students. Fourth, the portfolios as data of the accomplishment evaluation have been appropriately established to meet the requirements of the essential accomplishment evaluation - centered on the learning activities, and have helped the students to enhance their morality on their own initiatives especially when the evaluation results are playing an feedback on the consequent ethics(or morality) classes. Finally, if we could supplement the objective-oriented accomplishment evaluation data further in details and add the aids which will help the students to enhance their morality on their own initiatives, this would be the basis of the more academic study. We also anticipate that if we could analyze in more varied and visualized manner the way to configure the portfolio, this will be of a great instrument to help the students to strengthen their moral integrity on their own initiatives.

      • 자기 성찰적 도덕일기 쓰기를 통한 도덕과 교육의 실효성 제고

        김영숙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It is not easy to enable our elementary children to be equipped with desirable moral values for their real life through one hour moral education lesson per weak. To overcome this problem, the thesis accommodates children's self-reflective diary writing as a supplementary activity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moral education practices in elementary schools. For the study, a fourth grade class was selected and the whole students participated in the study for an academic year. Children were supposed to write each 'self-reflective diary' once or twice a week. Three types of diary writing format were presented, 1) 'Diary of Experience' that helps children to make sense of their real life moral issues by writing about their life experiences, 2) 'Diary of Reflection' that provides children with an opportunity to reflect on each virtue in detail based on what they learned in moral education class, 3) 'Diary of Practice' that encourages children to freely and actively decide what they would practice and work on the values they set on their own. More specifically, 'Diary of Experience' was used for enhancing children's cognitive growth. 'Diary of Reflection' was used as group presentation materials for children's emotional growth. 'Diary of Practice' was used as class materials for growing children's practice capability. The topics for the self-reflective diary writing were presented regularly by the homeroom teacher, and the teacher used 'The Three Stage Model in Dialogical Learning' presented by Dr. Jongmoon Kim. to draw on children's active and free dialogues in moral education classes. While writing their self-reflective diaries, children were also presented some important moral issues to promote their self-reflective practices. The homeroom teacher provided them with written feedback on a regular basis. Parents were also asked to write feedback on their children's diaries a few times during the study. During the study, it was noticeable that there are some good attitudinal changes through 'self-reflective diary writing.' The major themes of the findings are presented, not to mention the whole process in the thesis. The findings support that 'self-reflective diary writing' can be a meaningful supplement for the weakness of one hour moral education class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moral growth, particularly, their moral practices. Self-reflective diary writing is evaluated as a good moral education strategy by the children and their parents as well. Besides, it is also helpful for teachers to evaluate the process of children's moral growth through portfolio.

      • 무도 지도자의 도덕교육인식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이승호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무도 도장 지도자의 도덕교육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기술?분석하는데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도장 도덕교육의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도장 도덕교육의 방법은 무엇인가? 셋째, 도장 도덕교육의 특성은 무엇인가? 넷째, 도장 도덕교육의 문제점은 무엇인가? 다섯째, 도장 도덕교육의 나아갈 방향은 무엇인가?본 연구의 연구 방법은 무도 지도자의 도덕교육에 대한 인식을 심층적으로 기술하여 무도 지도자 교육에 기초적 자료를 제공하고 바람직한 무도 지도자상을 정립하기 위해 질적 사례연구방법을 적용하였으며 태권도 지도자 3명, 합기도 지도자 3명, 그리고 검도 지도자 3명을 연구 참여자로 선택하였다.연구 참여자들과의 심층면담 내용과 관련 자료들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도장 도덕교육의 내용은 사자소학, 컨설팅 회사의 월별 인성교육 자료, 생활예절, 도덕적인 내용의 신문기사나 TV 방송 프로그램 등을 도덕교육의 내용으로 삼았으며, 도덕교육 가운데 예절교육을 가장 중시하였다.도장 도덕교육 방법은 주로 이해를 통한 규범의 수용, 지도자의 모범, 강화와 벌, 실천과 체험, 반복을 통한 습관화, 자율적 참여 유도 등으로 나타났다.도장 도덕교육의 특성은 무도수련을 통한 도덕성 체득, 객관적 교육의 실시, 무도 지도자에 대한 긍정적 이미지의 활용, 실천과 반복의 중시 등으로 나타났다.도장 도덕교육의 문제점은 가정 도덕교육과 도장 도덕교육의 일관성 부족, 연령별?수준별 교육의 부족, 지도자의 도덕교육에 관한 전문지식 부족 등으로 나타났다.도장 도덕교육의 나아갈 방향은 가정과의 연계 강화, 연령별?수준별 교육 실시, 도덕교육에 관한 지도자 교육 실시 등으로 나타났다.도장 도덕교육의 문제점을 해결하고 도장의 도덕교육이 바른 방향으로 나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무도 지도자의 도덕교육에 대한 바른 인식과 지도자 자신의 자질향상을 위한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하다. 무도가 지속적으로 사랑받고 발전하기 위해서는 어떤 틀에 얽매여 고정된 방식에 연연할 것이 아니라 무도의 근본정신은 살리되 사회의 변화에 맞추어 무도 수련의 목표를 설정하고, 그에 따른 적절한 교육방법을 꾸준히 개발하고 실천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scribe and analyze the martial arts instructor's perception of moral education. The specific questions for this study are followed. First, what are the contents of martial arts instructor's moral education? Second, what is the method of martial arts instructor's moral education? Third, what is the characteristic of martial arts instructor's moral education? Fourth, what is the problem of martial arts instructor's moral education? Fifth, what is the direction to which martial arts instructor's moral education has to follow?For the research of this study, I applied the qualitative case study to describe and analyze martial arts instructor's perception of moral education, to provide basic data to the education of martial arts instructor, and to establish the standard of martial arts instructor. For this study, I chose three Taekwondo instructors, three Hapkido instructors, and three Kendo instructors as the participants.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interview with the participants are followed.They regarded Sajasohak, monthly humanity education of consulting company, etiquette, moral newspaper articles, or TV programs as the contents of the moral education, and emphasized etiquette among all of them.The methods of martial arts instructor's moral education are mainly the acceptance of regulations through understanding, the instructor as a model, strengthening and punishment, practice and experience, habit through repetition, and inducement of active participation.The characteristics of martial arts instructor's moral education are attainment of morality through the practice of martial arts, practice of objective education, utilization of the instructor's positive image, and education through practice and repetition.The problems of martial arts instructor's moral education are the lack of coherence between home moral education and martial arts instructor's moral education, the lack of education according to age and level, and the lack of the instructor's professional knowledge on moral education.The direction to which martial arts instructor's moral education has to follow came out to be the strengthening of the connection with home, practice of education according to age and level, and education for the instructor on moral education.To resolve the problems of martial arts instructor's moral education and take the proper route, the consistent effort to set up the proper perception of martial arts instructor's moral education and to upgrade the quality of the instructor. To achieve the improvement of martial arts, martial arts instructors have to revise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martial arts, set up the goal of the training of martial arts according to the social change, and consistently develop and practice the proper education method.

      • 大學敎育과 道德判斷力의 關係 硏究

        김지영 서울大學校 2004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대학의 민주시민교육체제의 특성에 의해 대학의 교육적 유형을 구분하고, 이 유형이 대학의 도덕적 풍토와 대학생의 도덕판단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탐색함으로써, 대학교육이 대학생의 인성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교양교육과 봉사학습을 준거로 전국의 4년제 종합대학 139개교의 민주시민교육 수준을 상·중·하로 구분하였다. 이렇게 구분한 민주시민교육의 수준과 설립주체와 위치를 고려하여 14개교를 선정하였고, 이 대학들의 교수와 교직원을 대상으로 대학의 민주시민교육 체제에 대한 면접조사를 실시하였다. 이 결과를 토대로 한국 대학의 민주시민교육 체제의 특성을 대학 민주시민교육체제의 세 차원인 민주적 제도·시민교육과정·지역사회 참여를 중심으로 분석하고, 역점을 두고 있는 차원에 따라 대학 민주시민교육 체제의 유형을 제도형·교육형·참여형·무특성형으로 구분하였다. 한국 대학의 민주시민교육 체제의 활성화 정도는 시민교육과정, 지역사회 참여, 민주적 제도 순이었고, 대학유형에서도 무특성형을 제외하면 교육형 대학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 대학의 민주시민교육 체제가 대학의 도덕적 풍토에 대한 대학생들의 지각과 도덕판단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유형별로 각 1개교씩 총 4개교의 표본대학을 선정하고 이 대학의 신입생 695명과 재학생 936명을 표집하였다. 대학의 도덕적 풍토는 학생-학생 관계·교수-학생 관계·대학-학생 관계·학내규범 준수 등 4가지 하위요인별로 측정되었는데, 대학 민주시민교육체제의 유형에 따라 하위요인들의 수준과 구조에 차이가 있었다. 무특성형 대학은 모든 하위요인의 수준이 전반적으로 낮았다. 교육형 대학은 학생의 특성과 관련이 있는 학생-학생 관계, 학내규범 준수의 평균은 낮았으나 교수-학생 관계의 수준은 상대적으로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민주시민교육을 위한 노력이 대학의 도덕적 풍토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대학경험이 도덕판단력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해, 재학기간·경험유형·가치지향에 따라 도덕판단력의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검증하였다. 또한 대학유형에 따라 도덕판단력의 변화경향이 다르게 나타나는지 확인하였다. 재학기간에 따른 도덕판단력의 변화경향은 교육형과 참여형 대학 간에, 그리고 제도형과 무특성형 대학 간에 유사하게 나타났다. 교육형과 참여형 대학에서는 신입생의 도덕판단력 수준은 낮은 편이나, 2학년에서는 신입생보다 유의미하게 높아졌고, 3학년과 4학년에서는 다시 낮아졌다. 제도형과 무특성형 대학에서는 신입생의 도덕판단력 수준은 높았으나 2학년과 3학년에서는 낮아졌다가 4학년에서 다시 상승했다. 경험유형의 양상은 대학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고, 경험유형이 도덕판단력에 미치는 영향도 대학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무특성형 대학에서는 자신이 학비를 조달한 경험이 있는 학생의 도덕판단력 점수가 더 높았다. 교육형과 참여형 대학에서는 기숙사 거주경험이 있는 학생의 도덕판단력 점수가 더 높았다. 가치지향의 하위요인인 생활지향·학문지향·학업지향이 도덕판단력 점수를 설명하는 정도는 전반적으로 매우 낮았고, 대학유형에 따라 차이가 있었는데, 무특성형에서만 학문지향이 유의미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결과들을 통해 민주시민교육 체제라는 교육적 지향과 실천에 의해 대학의 유형을 구분할 수 있으며, 이러한 교육적 지향과 실천이 대학의 도덕적 풍토와 대학생의 도덕판단력 발달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후속연구에서는 대학생의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대학수준과 개인수준의 변인들이 확인되고, 대학경험을 통해 변화하는 인성특성들이 보다 포괄적으로 다루어져야 할 것이다. 또한 장기종단연구를 통해 대학재학기간 동안에 일어나는 변화와 발달의 양상을 보다 정확하게 확인하는 것은 물론, 대학교육이 대학 졸업 후의 삶에 미치는 영향도 밝혀내야 할 것이다. The study aims to identify the types of citizenship education systems in Korean universities, to compare the students' perceptions of moral climate in relation to the citizenship education system,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of college experience to the development of moral judgement. Documents on 139 Korean universities were reviewed to assess the level of citizenship education provided through the general curriculum and volunteer activities. The universities were then ranked high, medium, or low. 14 universities were selected for intensive research based on consideration of the citizenship education level, location and whether the university is public or private. The faculty and administrators of the 14 universities were interviewed. The interview focused on 3 dimensions of university citizenship education system: civic education, community involvement and the university as a democratic institution. The 14 universities were then categorized into four types of citizenship education system according to the scores on each dimension. Out of the 14 universities, 4 universities were classified as the Civic Education type, 2 universities as the Democratic Institution type, 2 universities as the Community Involvement type, and 6 universities as the Non-activated type. Instruments gauging moral judgement-Campus Moral Climate Scale (CMCS), Campus Life Experience Scale (CLES) and Defining Issues Test (DIT) were administered to students attending one of the universities representing each of the four types of citizenship education. The sample for the CMCS and CLES included 936 students of sophomore standing and above. 695 freshmen were added to the sample for the DIT. The CMCS evaluated four aspects of moral climate: student-student relationships, faculty-student relationships, university-student relationships, and observance of campus norms. The results showed that each type of citizenship education system generated a different profile. For the Non-activated type, the scores for all four factors were lower than in the other types. For the Civic Education type, the scores for faculty-student relationships and university-student relationships were higher than for the other types; student-student relationships and observance of campus norms were lower than for the Democratic Institution and Community Involvement types. When development of moral judgement, as measured by the DIT, was correlated with the citizenship education system, students from the Civic Education and Community Involvement types had similar scores. Likewise, students from the Democratic Institution and Non-activated types had similar scores. Development of moral judgement was also associated with factors of campus life experience; specific associations depended on the citizenship education system of the university. For the Non-activated type, the DIT score of students who had ever earned money for their schooling was higher than for other students. For both the Civic Education and Community Involvement types, the DIT score of students who had ever lived in the dormitory was higher than for other students. DIT score trends were linked to the degree of social orientation, academic orientation, and achievement orientation; the strength of association varied for each type of citizenship education system. The best predictor was the positive effects of academic orientation on the DIT score for the Non-activated type. Results indicate that the concept of citizenship education system is useful in classification of specific educational practices and orientation, and that practices and orientation affect campus moral climate and development of moral judgement.

      • 도덕 교육 방안으로서의 이야기하기(story-telling)에 관한 연구

        위선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도덕교육은 전인교육을 지향한다. 전인교육은 일반적으로 지적 정의적 의지적 영역을 통합하여 인간 전체의 조화로운 발달을 추구하는 입장으로 파악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점과 연관하여 볼 때 바람직한 도덕 교육은 인격의 여러 측면들을 고려한 수업이 요구된다. 따라서 도덕교육은 지적 정의적 의지적 영역을 유기적으로 결합시킬 수 있을 때 소기의 교육적 성과를 거둘 수 있을 것이라 생각된다.도덕교육의 방법으로서 이야기하기는 이야기가 인간 생활과 도덕 경험에서 가지는 의의에 대한 새로운 조망으로부터 기인한다. 인간은 이야기를 하는 동물이며 인간의 삶과 행위는 이야기를 통해서만 제대로 이해될 수 있다. 또한 인간은 이야기라는 형태를 통하여 자기 삶과 행동에 의미를 부여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우리는 도덕적 가치 선택이나 판단이 개입되는 도덕 경험에 대해서도 개인의 반성적 도덕 이야기를 통해서 제대로 파악할 수 있다. 도덕 경험에 관계된 이야기 속에는 도덕성의 영역이라고 할 수 있는 도덕적 인지 정서 행위적 요소가 통합되어 들어 있기 때문이다.개인이 실생활의 도덕 경험을 이야기하도록 조장될 때, 개인은 자신의 도덕적 이야기의 저자로서 자신의 고유한 도덕적 권위를 형성하고 발달시킬 수 있는 기회를 가지게 된다. 또한 이러한 도덕 경험의 표현 과정을 통해서 자신의 경험을 숙고하게 되고, 자신의 사고 감정 행위에 대하여 책임감을 질 수 있는 것이다.이야기하기의 소재에는 자신의 실제적 도덕 경험에서부터 전통적인 신화나 민담, 문학 작품 속에 나오는 도덕적 이야기를 학생들이 현실 상황에 맞게 재구성하여 자신의 도덕적 목소리로 이야기하는 것을 포함한다.이야기를 수업자료로써 활용하는 주요한 장점으로는 재미와 감동을 주고 생각거리를 제공하는 것으로, 전통적인 이야기하기 수업에서는 물론이고, 최근의 열린 교육을 주장하는 여러 수업 모형에서도 사용되고 있다. 또한 본 논문에서는 이야기의 활용은 이야기의 내용을 교육하는 기존의 방식과 더불어 이야기를 매개체로 사용하여 도덕 판단력을 기르는 역할을 하는 점에 대해서도 강조되었다.이야기하기 수업은 도덕교육에서 다양한 이야기의 종류를 탐색하고 이야기를 활용한 도덕 수업을 전개하여 도덕교육에서 정서적인 환경을 먼저 제공해주는 일에서 시작될 수 있다. 그리하여 왕성한 정신적 활동을 자극하고 궁극적으로는 학생들이 실천적 행동으로 옮길 수 있는 수업지도 방안을 모색함과 동시에 지식 위주의 도덕과 수업에서 벗어나 아동 스스로가 자율성을 증진시킬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으로 도덕과 수업의 토대를 마련하고자 한다.이야기하기 수업은 도덕교육의 주안점인 전인교육을 수행하는 하나의 방법이 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이야기자료의 체계적인 정리 및 필요할 때 즉시 사용할 수 있는 시스템 마련이 필요하며, 학생 수준에 맞는 이야기를 활용한 다양한 수업모형의 개발이 요청된다. 이는 도덕 교육이 학생 중심의 흥미롭고도 효율적인 수업과 직결될 수 있는 조건이며 또한 교수-학습의 여러 가지 여건에 따라 이야기하기 기법을 다양한 수업 모형에 담을 수 있게 되므로 의도하고자 하는 좋은 수업을 더욱 잘 창출할 수 있게 한다. Moral education method aims at an all-round education. Generally, an all-round education means the education that pursues human’s harmonious growth by integrating moral cognitive, emotional and active dimensions. From this point of view, considering various sides of human character is essential for good moral education. So, moral education will make enough results only when moral cognitive, emotional and active dimensions are combined organically.Story-telling in moral education method has started at the point that story has a role in human life and moral experience. Human is a story-telling animal, so we can understand one’s life and behavior through one’s narrative and story. And story form gives meaning to human life and behaviors. Similarly we can understand moral experience, which involves moral value or judgment choice, through on one’s reflected story of moral experience. That’s because story of moral experience includes three major elements of moral dimensions; moral cognition, emotion, action.When one is encouraged to tell real life moral experience, one has an opportunity to develop moral authority of one’s own as an author of his story. Also, one reflects on oneself about moral experiences through this process and takes responsibility of one’s moral cognitive, emotional and active dimensions.Story-telling includes student’s real life moral experiences, traditional folk-tale and the moral story of literatures which students reorganize and tell with their own moral perspectives true to present conditions.The key benefit of using story-telling as an educational material is giving us fun, impression and inspiration. Story-telling is used not only in traditional education but also in recent educational method that advocates open-education. In this paper, it’s strongly asserted that use of story-telling is not only just teaching what is the contents of stories but also develop moral judgment by or through stories.Like this, the using story-telling would build up emotion ambience in moral instruction, and it’s worth doing to find ways to stimulate student’s mental activities, urge them to do what they’ve learned, and further their autonomy, instead of sticking to knowledge-centered instruction.Story-telling can be one method for conducting an all-round education which is the prime aim of moral education.Accordingly, there should be some systematic device in school to put story materials in order and make them available at any time, and different story-telling instructional models should be developed. The application of story-telling will make moral education more efficient, successful and appealing to students, as it could be used in diverse ways according to the given conditions.

      • F. W. Nietzsche의 道德思想에 關한 硏究

        송현석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니이체는 기존의 도덕사상가들의 도덕 이론을 배격하고, 그들에 의해 천시된 충동력을 다시 살아나게 하였다. 이와 같이 니이체는 기존의 도덕사상가로부터 버려졌던 인간의 충동적인 면을 인간의 가장 원천적인 중심으로 가져오게 하였다. 이는 더 이상 선과 악이라는 개념으로 도덕을 결정짓지 않고 강과 약이라는 개념이 도덕을 결정짓는 잣대가 된다는 도덕사상의 가치전도를 의미하였다. 이는 니이체의 철학의 방향을 제시하게 되었으며 군주도덕과 노예도덕이라는 도덕사상을 탄생시켰다. 니이체는 신을 믿는 기독교 도덕을 가축 또는 노예도덕이라고 하였으며 초인의 도덕을 군주도덕이라고 하였다. 기독교 도덕이 주장하는 선은 약자가 자기 보존의 가면을 쓴 권력에의 의지이며 이성적인 생활만을 강조하여 약동하는 인간의 충동성을 무시하게 되었다. 한편 초인은 강한 인간으로서 권력에의 의지를 갖게 되고권력이라는 체계 속에서 강과 약이라는 개념이 인간의 도덕 문제를 해결하게 된다. 그의 학설은 도덕에 있어서 강과 약이라는 개념이 선과 악이라는 개념을 대체해야 된다고 주장한다. 즉 강한 것이 선이고, 약한 것은 악이 되는 것이다. 위에서 알아보았듯이 니이체의 도덕사상은 기존의 상식을 뛰어 넘는 것이기에 많은 반향을 일으켰다. 파격을 두려워하는 것은 예나 지금이나 마찬가지인 것 같다. 그 당시에 많은 사람들이 니이체의 가치전도사상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 주지는 않았다. 그렇지만 그가 죽은 지 100년이 넘어선 지금 니이체는 현대인들에게 새로운 조명을 받고 있다. 전통을 해체해야만 새로운 사상이 나올 수 있다는 그의 철학적 사고방식은 오히려 현대인에게 뜨거운 호응을 받고 있다. Nietzsche rejected the moral of the previous moral ideologists, and revived the impulse power which was despised by them. he attached importance to the human being's impulse power thrown away by the previous moralists. By Nietzsche, the moral value are decided not the good and bad but the power. This means the value of the morality was turn over. This presents the new direction of philosophy, and in addition gives rise to the morality of masters and that of the herd. While Nietzsche refers to the christian morality as the morality of the slaves. The good of the christian morality is the will to power which the weak wear to protect themselves. It look down on the human impulse power, thanks to the emphasis on only the rational life. But the superman comes to have the will to power as the strong. And then the strength and weakness resolves the moral problems occurring in the human society in the system of power. He asserts that the concepts strength and weakness should be substituted for the good and bad. In the other words, the strength is the good and the weakness is the bad. Examined from above, Nietzsche's moral ideology outdid the common sense which had ever been before. That's why his thoughts created a sensation. It seemed that many people didn't show affirmation reactions to his ideology at that time. But he attracts public attention in these days. His philosophy which new idea comes out when tradition is dissolved is receiving good response from modern peopl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