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대구달성습지의 식생분포 공간분석

        김수진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431

        범람은 관수(冠水) 기간, 침수(浸水) 깊이, 물 속 광조건, 물리적 훼손 등에 영향을 미치게 되는 하천 물길구간 내에서의 식물종 출현과 소멸에 매우 중요한 생태적 요소로 작용한다. 본 연구는 서대구달성습지를 포함하고 있는 하천 물길 구간 속에서 범람에 의한 식물종의 행동양식(빈도와 피도)을 linetransect 방법을 이용하여 규명하였다. 낙동강 우안과 좌안 사이의 조사 대상 물길구간 내에서 관찰되는 모든 유형의 서식처형을 포함하는 1.54 km 구간에 대하여 식생-지형 조사 라인을 설치하였다. 지형측정 장비 Total Station을 이용하여 1cm 수준의 해상도를 가지는 초정밀 미지형도가 구축되었다. 설치된 라인을 따라서 출현하는 모든 식물종의 위치와 피도 정보가 본 연구를 위해 개발된 식생-지형 조사표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조사 기록되었다. 하천물길 구간 내의 여러 가지 서식처에 따라서 식물종의 출현과 소멸 그리고 생활형의 구성 등에 상당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범람에 의한 관수 전후의 유관속식물상 변화율은 59.5%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범람에 의한 식물상의 변화율을 통해, 1-2년생 식물과 수생식물로 구성된 광엽초본형 식물(65.2%)이 범람에 의한 관수에 가장 취약하고, 화본형 식물(50.0%)이 중간, 목본형 식물(33.3%)이 가장 영향이 적은 것으로 밝혀졌다. 범람에 의한 식물종의 행동양식은 크게 4 가지로 구분될 수 있었다: 범람의존쇠퇴형, 범람의존발전형, 범람의존혼합형, 범람독립형. 본 연구는 하천물길구간 내에서의 범람이란 교란 요소가 식물종의 행동(출현)양식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밝혔으며, 그러한 범람은 물길구간에서의 외래귀화식물종의 분포와 분산에 대한 중요한 조절 인자가 됨을 확인하였다. Floods in the river channel have a great impact on the occurrence of plant species, due to their severity affected by ecological factors such as flooding duration, submerged depth, underwater light availability, and physical disturbance. The present study was accomplished in order to quantify plant performances, i.e. ground cover and frequency of plant species, before and after extreme flooding events in the Seo-Daegu Dalseung wetland. The line transect method was used to measuring plant performances. A fine-scale topographical map on the transect line of 1.54 km distance, which is comprised all kind of habitat types in the Nakdong river right bank, the mid-channel bar, and the Nakdong River left bank, was prepared by a surveying instrument, Total Station. Knotted ropes could be read at 1cm intervals and plant performances were evaluated at points along a line. Species of different habitats and life-forms had significantly different rates of extinction and new occurrence. The comparison revealed that 59.5% of all vascular plants that occurred between before and after flooding was extinct or newly-established. Aquatics and annuals were most prone to extinction, perennial grasses were intermediate, and phanerophytes and chameophytes were least affected. Plant performances against flooding event were grouped into four different types: ⅰ) flooding dependent-declining type, ⅱ) flooding dependent-facilitating and/or tolerating type, ⅲ) flooding dependent-mixed type, and ⅳ) flooding-independent type. This study suggests that plant species performance is significantly influenced by extreme flood disturbances and major flooding event may play a prominent role to control a dispersal and distribution of alien species in the river channel.

      • 대구 달성의 입지와 풍수지리 특성에 관한 연구

        조호원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447

        요 약 대구 달성은 자연적인 언덕을 이용하여 그 위에 흙으로 쌓아 올린 토성이다. 2천년 동안 변함없이 대구 달구벌의 상징으로 대구의 중심지에 자리 잡고 있다. 대구 달성은 대구의 뿌리로 유구한 역사성을 가진 대구의 모태(母胎)적 장소로서 토성을 되살리고 올바로 알리는 것이야말로 대구의 정체성을 되찾고 명예를 회복하여 자긍심을 고취 시키는 일이다. 대구 달성은 삼한시대 이래로 달구벌의 중심 세력을 이루고 있던 집단들이 생활 근거지에 쌓은 자연발생적 성으로 청동기시대 이래로 달구벌을 지배하던 세력집단의 지도자가 생활하는 근거지로 사용하기 위하여 쌓은 것으로 대략 BC. 2세기에서 AD. 3세기 전후에 수축(修築)한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대구는 이 시기에 달성 토성을 중심으로 소국(小國)인 달벌국(達伐國)이 이 지역을 다스리고 있었던 것으로 그 뿌리를 두고 있다. 대구는 옛 지명은 다벌(多伐), 달벌(達伐), 달구벌(達句伐), 달구화현(達句火縣) 등으로 불렸고, 달성의 옛 이름은 달구화(達句火) 달불성(達弗城)에서 유래된 것이다. 달성 토성의 공간구성에 있어서 신라에 합병된 3세기 말경에는 군사요충지로 중시되었던 시기로 나타나고, 삼국시대부터 통일신라시대, 고려시대까지는 관아(官衙)가 있었던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달성 토성은 고려 중기 무렵부터 달성서씨 일족들이 살았던 곳이다. 나라에서 군사 목적으로 필요하다 하여 조선 세종 2년(1420) 나라에 양도되어 군사 병참시설 공간으로 사용되었으며, 임진왜란 선조29년(1596)에 석축으로 보강하고 통합 경상감영을 두었으나 정유재란으로 침략한 왜적들에 의해 소실 되었다. 그 후 1894년부터 청일전쟁과 동학혁명의 명분으로 일제의 병참기지가 되었으며, 일제강점기에‘대구신사(大邱神社)’와‘국체명징관(國體明徵館)’등 신사 관련 시설들이 설치되었고, 근대에는 달성공원 조성공사와‘종합문화관’건립과 동물원 축사 공사를 하면서 토성이 많이 훼손되었다. 그러나 2천년의 유구한 세월 동안 변함없이 대구 달성이 현존하는 것은 풍수지리적 명당지세의 역량을 받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달성 토성의 내룡맥(來龍脈)은 백두대간과 낙동정맥, 비슬지맥, 청룡지맥으로 이어지고 청룡산·월백산·두류산·달성산(달성토성)으로 행룡하는 동안 수많은 과협과 위이(逶迤), 기복(起伏)의 반복과정을 거쳐 박환(剝換)을 이루어 탈살(脫殺) 된 강한 역량을 분출하는 용맥에 기인하며 주산은 토형체로 유정(有情)하다. 청룡과 백호는 현무에서 개장하여 달성의 중심공간을 향하여 펼쳐진 사격으로 환포장풍(環抱藏風)을 이루고 있어 혈장으로 흘러들어오는 지기와 기류의 순환이 오랫동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갈무리하는 유정(有情)한 사격이다. 안산(案山)은 부각(俯角)을 이루면서 가까운 거리에 있으며 편안한 토형체의 청룡본신안산(靑龍本身案山)으로 안정된 기운을 지속적으로 공급해주는 강한 역량을 갖춘 유정한 사격이라 할 수 있다. 달성의 수세는 달성의 좌우 청룡과 백호사이에서 모여든 원진수가 달성의 초입에서 달서천과 1차 합수를 이루고, 달성의 감방(坎方:북쪽)에서 달서천과 2차 합수를 이룬다. 그리고 달서천과 금호강이 북서쪽에서 3차 합수가 일어나고 있는데 이는 달성의 정기가 쉽게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갈무리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혈장은 주산에서 내룡맥이 입수하여 현무정에서‘잉(孕)’을 이룬 뒤 중심공간으로 입맥하여‘육(育)’을 이루고 있다. 일제의 대구신사 요배전(遙拜殿)이 육(育)에 해당하는 곳에 설치된 것으로 확인된다. 달성서씨‘학유공파보’에 실린 달성도(達城圖)에서도 잘 나타나 있다. 따라서 달성 토성은 환포(環抱)하는 수세와 입수룡맥과 사신사 그리고 지세가 음양조화를 이룬 합국(合局)으로 장풍득수국(藏風得水局)의 명당이라 할 수 있다.

      • 달성의 보존과 활용에 관한 연구 : -역사적인 변천과정과 현황분석을 중심으로-

        옥희정 대구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32447

        우리나라의 주요 도시는 오랜 역사를 배경으로 그 도시만의 정체성을 가지고 발달하여 왔다. 그러나 이러한 도시 중 일부는 개화기와 일제 식민지시대를 거치면서 도시의 발전 방향이 전통적인 방향을 고려하지 않은 채 왜곡되어 발전되어 왔고 특히 60년대 이후부터는 경제적인 원리가 더 중요시 되어 도시의 역사적 환경은 그다지 중요하게 고려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특히 대구는 삼국시대를 거쳐 조선시대까지 경상도 지역의 문화·행정·정치의 중심지로서 그 역할을 수행하면서 오랜 역사 도시로 발전하여 왔고, 전쟁 속에서도 다른 지역에 비하여 피해가 크지 않아 적지 않은 역사적 공간이 존재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환경에도 불구하고 현재 대구만이 가지는 역사적 도시로서의 독특한 개성을 찾아보기가 힘들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대구의 역사적 공간 중에 특히 달성은 선사시대부터 방어에 유리한 자연 구릉지를 바탕으로 토성이 축조된 이후 대구의 대표적 공간으로 자리잡아 왔다. 고려 중엽 서(徐)씨 세거지로 전환된 시기를 제외하고는 조선말 까지는 원래 초기 달성의 성립의도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은 공간으로 사용, 즉 구릉지라는 환경적 입지조건을 실증적 입장에서 활요한 군사 방어적인 시설이나 행정 중심지로 이용되었다고 보여 진다. 그리고 달성은 정유재란 시 내부의 감영 공간 소실과 읍성이 대구의 중추적인 시설로 부각되는 계기를 통하여 이후부터는 군사적 방어 시설이나 행정시설 등 실증적 입장을 고려한 공간에 대한 요구가 줄어들었다고 보이며 이전의 역사를 바탕으로 한 상징적인 공간으로서 그 존재성을 약하게 이어졌다고 판단되어진다. 이러한 상징적인 공간의 존재성은 일본헌병대가 주둔하면서 본래의 실증적인 공간으로 잠시 복귀다가 이후 공원과 신사가 들어오면서 표면적으로 상징적인 공간과 실증적인 공간을 동시에 수용하는 공간으로 근대 말까지 이어진다고 할 수 있다. 이렇듯 달성은 대구 도시 형성 과정에 있어 중추적인 역할을 수행하였으며 대구의 오랜 대표적 공간으로서 자리 잡고 있으나 이를 잘 보존·활용하고 있지 못하다고 할 수 있다. 이는 대구 도시 속에서 존재하는 역사적인 공간에 대한 가치를 올바로 인식하지 못하고 물리적인 환경 개선의 어려움으로 적극적인 보존·활용되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으로 생각 할 수 있다. 달성과 달성 주변지역의 현황조사와 설문조사를 통해 살펴본 바로 다행히 아직까지 달성을 보존 활용하기 위한 긍정적인 요소들이 많이 남아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대구를 정체성을 가지는 도시로 정비하기 위한 지방 자치단체나 시민단체의 관심과 노력이 시작되고 있다. 이를 잘 활용하여 달성을 지난 시대의 역사적 산물로서의 공간 보존에 그칠 것이 아니라 현재 활용되고 있는 공원의 기능을 충족시키면서 앞으로도 대구의 역사를 답을 수 있고 대구를 상징할 수 있는 역사적 공간으로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Major cities in Korea has been developed with their own identification based on the background of long history. However, some of these cities has gone under distorted development process not considering traditional direction while going through enlightenment and Japanese colonial age. Particularly, economical principles became to have more importance since 1960s, so historical environment of the city started to go out of consideration. Daegu has been an important historical city operating its rule as a center of culture, administration, politics n Kyeong-sang do area from the era of the Three States to Chosun Dynasty. It also has relatively diverse historical places since their have not experienced severe damages despite the wars. However, it is hard to find a unique characteristics in Daegu as a historical city nowadays. Among these historical places in Daegu, Dal-seong has been a representative place based on mud castle on hill areas advantageous for defense since prehistoric age. Except for the times of being a residence of 'Seo‘ in Middle Goryeo, Dal-Seong was used as a place not so different from the original establishment purpose. It was used as a military defense or administrative facility utilizing environmental requirement of hill areas. And Dal-Seong was not required to have a practical position such as military defense or administrative facility after Jeong-yu Jaeran, just remained as a symbolic place based on former history. The existence of this symbolic place became an originally practical place while Japanese military police was stationed. After the parks and shrines were built in the place, Dal-Seong became the location simultaneously accepting symbolic and practical concepts until the modern times. So Dal-Seong has been a representative place in Daegu for a long time after doing a major role in formation of Daegu city. But its maintenance and utilization is not so actively done. This is because we do not properly recognize the value of historical place existing in Daegu while having difficulties in the active maintenance and utilization with the hardness of improvement in physical environment. We found that there is still a positive factors to maintain and utilize Dal-Seong after situational analysis and surveys of Dal-Seong and near units. Also, efforts and concerns of civic groups or local government have been started to make Daegu as a city with its own identity. Not only considering Dal-Seong with a spatial maintenance as a historical remains of old ages, we should develop it as a symbolic place of Daegu while satisfying functions of currently utilized parks.

      •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도시공원 이용특성 분석

        허대겸 계명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34

        도시공원은 시민들의 건강·휴양 및 정서 생활을 위한 오픈스페이스로써 생태·사회·문화적으로 중요한 담당을 하고 있다. 도시에서 발생하는 환경문제에 관한 해결책으로 공원 및 녹지의 역할이 중요해지고 있으며, 공원에 대한 지속적인 확충과 관리에 대한 필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도시공원을 관리하고 유지하기 위해서는 공원을 이용하는 도시민들의 행태 파악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도시공원 이용 행태를 파악하기 위하여 빅데이터 수집과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사용하였다. 기존 설문지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다양한 키워드와 행태특성을 분석하기 위해 빅데이터를 수집하였다. 대상지는 대구광역시 중구에 위치한 달성공원을 선정하였으며, 시간적 범위는 2017년 1월 1일부터 2019년 12월 31일까지로 설정하였다. 연도별·계절별 자료를 수집·분석하였으며, 자료 수집 대상은 네이버 블로그·카페, 다음 블로그·카페, SNS(Instagram, Facebook, twitter 등) 으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 4가지로 첫째. 달성공원은 동물원을 관람하기 위한 이용객이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동물원에 관련된 키워드가 많이 나타났으며, 다양한 동물들이 키워드로 나타났다. 둘째. 산책, 나들이, 소풍, 운동 등 여가생활에 관한 키워드가 많이 나타났다. 특히 봄과 가을에 소풍 키워드가 많이 나타났으며, 도보를 활용한 달성공원 내 산책, 나들이 등의 활동이 많을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서문시장, 송해공원, 국채보상운동공원 등 다양한 대구명소가 달성공원과 함께 나타났다. 넷째. 벚꽃, 핑크뮬리, 갈대밭 등 특정 계절에 나타나는 키워드가 많이 나타났다. 벚꽃, 핑크뮬리 등은 공원을 이용하는 중요한 요소 중 하나 인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는 달성공원을 중심으로 빅데이터 분석을 실행하였으며, 도시공원의 특성과 행태특성을 파악하였다. 텍스트마이닝 분석결과에 따르면, 달성공원은 시민의 건강·휴양 및 정서적 함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파악되었으며, 생태·사회·문화 등 복합적인 기능을 함축하고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통하여 기존의 공원 이용 행태분석에서 오랫동안 사용되던 설문 방식에서 벗어나, 빅데이터 활용 및 텍스트 마이닝 기법을 통한 새로운 도시공원의 이용 행태분석을 시도하였다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향후 빅데이터를 활용한 도시공원행태분석의 기초연구로써 활용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A city park plays important parts in ecological, social and cultural aspects as an open space for the health, recuperation, and emotional life of citizens. Parks and green belts play increasingly important roles as solutions to environmental issues in cities, and there is a growing emphasis on the need for the continuous expansion and management of parks. It is critical to figure out the behavior of citizens using a city park for its management and maintenance. This study employed the Big Data collection and text mining techniques to examine the behavior of using a city park among citizens. Big Data was collect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old questionnaire approach and analyze various keyword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Analyzed in the study was the Dalseong Park in Jung-gu, Daegu Metropolitan City. The research spanned from January 1, 2017 to December 31, 2019. Data by the year and season was collected from Naver blogs and cafes, Daum blogs and cafes, and SNS(Instagram, Facebook, Twitter, etc.) for analysis.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it was estimated that the Dalseong Park had many visitors for the zoo. There were many keywords related to the zoo, and a variety of animals appeared in the keywords; second, there were many keywords about leisure life including walks, outings, picnics, and exercise. These keywords appeared a lot especially in spring and autumn. It was estimated that citizens engaged actively in walking-based activities such as walks and outings in the park; third, an array of Daegu's attractions appeared along with the Dalseong Park including the Seomun Market, Songhae Park, and Commemorative Park of National Debt Redemption Movement; and finally, many keywords were unique to certain seasons such as cherry blossoms, pink muhly and fields of reeds. Cherry blossoms and pink muhly seemed to be important elements for citizens to use the park. The present study conducted Big Data analysis of the Dalseong Park, examining the features and behavioral characteristics of a city park. According to text mining-based analysis results, the Dalseong Park had huge impacts on the health, recuperation, and emotional cultivation of citizens and performed complex functions involving ecology, society and culture. The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made an attempt at a new form of analysis for citizens' behavior of using a city park based on Big Data and text mining instead of the old questionnaire approach used in previous studies that analyzed citizens' behavior of using a park. Its findings will serve as basic data in future analyses of citizens' behavior of using a city park based on Big Data.

      • 농촌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실태 및 서비스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대구광역시 달성군을 중심으로

        황순애 계명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32319

        This study investigated the state of in house welfare service on the subjects of the in house welfare service users and non users living in Dalseong gun, Daegu cit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baseline data for in house service activation for elders in rural community. For the purpose, I examined the demographic and socioeconomic characteristics of the elders in rural community in Dalseong gun, and I also investigated their health and illness status, their perception of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elders, utilization, and needs for the service according to the users of home care helper service, the users of day care service, and non us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ntage of elders living alone was high with 47.2%, and 63.3% of the elders were no longer taking part in economic activity due to their physical disabilities or aging. Second, 52.8% of them had lived in rural areas for more than 51 years, they seemed to be left alone in places of a lifetime. With regard to livelihood assistance, 73.4% of the elders were not included in livelihood security, when compared this figure to the high percentage of living alone elders, the number of basic livelihood security beneficiaries was too low. Third, the most urgent priority in rural areas seemed to be the expansion of welfare facilities (51.3%) and the most difficult obstacle for the elders was economic difficulty with low income and health problem caused by old age. Fourth, only a few elderly people appeared to be in healthy condition and most of them were having one or more diseases. Fifth, They showed low perception of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elders. With regard to utilization, home care helper was shown as the most frequently used service (81.4%) and followed by day care service (18.6%). The reason for not using the service was because they didn’t have any information for the service. Sixth, with regard to the state and needs for in house welfare service in users of home care helper service, in house care servic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ervice by the elders and supporting service the most wanted. They expressed satisfaction with the service and 85.7% of them responded to have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again. The reason that they didn’t want the service any more was because they felt a burden from the institutes or helpers attitude. Seventh, in respect of the state and needs for the in house welfare service in users of day care service, nursing care was the most frequently used service and nursing and function recovery service was the most wanted service. Most of the users showed satisfaction and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again. They responded to be helped in that they had useful time with the service. Eighth, In regard to non user’s state and needs, most elders responded to have intention to use the service after informed. They wanted to use supporting service among home care helper services and nursing care among day care services. Reasons that they didn’t want the service were because they were still in healthy state and because they didn’t want to attract people’s attention (not to cause any harm to their children). And most of those elders in rural community responded that they should have the right to have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elders. Ninth, the most needed service among in house welfare services for rural elders were shown to expand livelihood assistance and pension for elderly people having a hard time maintaining a livelihood and followed by diversification of home care helper service for those who had difficulty with every day tasks and supporting service for elders living alone. Job creation service associated with teaching vocation skills was shown less needed. Based on these results, suggestions to activate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rural elders living in their home in Dalseong gun were made as follows. First, since enough basic livelihood assistance was not provided to rural elders living in their home and in house welfare service was not enough, governmental level support for the elders in rural community should be provided. Second, as the perception of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elders was low, the publication of in house welfare service for elders are required to be facilitated. Third, comprehensive services needed for each individual of elders in rural community were not appropriately provided. Therefore, diversification of the service needs developing. Fourth, since welfare facilities for elders living in their home was not enough and limited to certain subjects and short term care service was not at all provided as well, the expansion of welfare facilities and professional personnel is required. Lastly, effective service delivery system and exchange of welfare information will be facilitated when connecting close institutes together in communities. Thus delivery network service system among communities should be expanded as well as appropriate finance distribution. 본 논문은 농촌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활성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한 기초자료를 위하여 대구광역시 달성군에 거주하는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이용자와 비이용자를 대상으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현황과 실태를 파악하였다. 이를 위하여 달성군 농촌재가노인의 인구학적 특성과 사회경제적 특성, 건강 및 질병상태를 알아보고,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인지도, 이용실태, 욕구 등을 가정봉사원서비스 이용자,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자, 재가노인복지서비스 비이용자를 통해 알아보았다. 이러한 실태 및 욕구를 통해 얻어진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 혼자 거주하고 있는 노인 단독가구의 비율이 47.2%로 높았고. 노인의 직업은 63.3%가 신체적 불편, 고령화 등으로 더 이상 경제적인 활동을 할 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농촌에 거주한 기간은 52.8%가 51년 이상으로, 평생 살아온 농촌에 홀로 남아 지속적으로 거주한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보조비 수급여부는 비수급자가 73.4%로 독거노인 비율이 높은 것에 비해 공적부조를 받는 국민기초생활보장 수급대상자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농촌에서 가장 시급히 해결해야할 문제는 복지시설 확충이 51.3%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현재 겪고 있는 어려움이나 문제는 낮은 수입으로 인한 경제적 어려움과 고령에 따른 건강상의 문제로 나타났다. 넷째, 건강상태는 대부분이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고, 대다수의 노인이 한 두개 이상의 질병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인지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용실태는 가정봉사원서비스가 81.4%로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주간보호서비스는 18.6%로 나타났다. 서비스 이용경험이 없는 이유는 대부분이 있는지 몰라서 이용한 적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가정봉사원서비스 이용자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실태 및 욕구를 살펴보면, 가사지원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가장 받고 싶은 서비스는 후원서비스로 나타났다. 만족도는 대부분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서비스 재이용 여부는 85.7%가 다시 이용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 재이용 의향이 없는 이유는 기관/봉사원의 태도가 부담스럽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주간보호서비스 이용자의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실태 및 욕구를 살펴보면, 간호서비스를 가장 많이 이용하였고, 가장 받고 싶은 서비스는 간호, 기능회복서비스로 나타났다. 만족도는 대부분이 만족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서비스 재이용 의사는 대부분이 재이용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서비스 후 도움이 된 것은 낮시간을 유용하게 보냈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 비용자의 실태 및 욕구를 살펴보면, 인지 후 이용의향에 대해서는 대부분의 노인들이 이용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용하고 싶은 서비스로 가정봉사원서비스는 후원서비스, 주간보호서비스는 간호서비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서비스 이용할 의사가 없는 이유는 아직 건강하기 때문에와 타인의 이목(자식들에게 피해가 갈 것 같아서)으로 나타났다. 또한 대부분의 재가노인이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혜택을 받을 권리가 있다로 나타났다. 아홉째, 농촌 재가노인복지서비스 중 가장 필요하고,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하는 서비스는 생활이 곤란한 노인에게 생활비 지급 및 경로연금 확대가 가장 필요하다고 하였고, 거동이 불편한 노인을 위한 가정봉사원서비스의 다양화, 독거노인을 위한 결연사업 순으로 나타났다. 직업관련 기술을 가르쳐 주는 일자리 창출 서비스에 대해서는 낮음을 나타내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달성군 농촌 재가노인을 위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활성화를 위해서 제언을 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농촌재가노인에 대한 국민기초생활보조비 수급여부가 적절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농촌노인에 대한 재가노인복지서비스 혜택이 미치지 못하고 있는 현실에 비추어 농촌재가노인에 대한 국가적 지원이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재가노인복지서비스의 인지도가 낮게 나옴에 따라 재가노인복지서비스에 대한 홍보가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재가노인 개개인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 제공이 포괄적으로 적절하게 제공되지 못하고 있어, 농촌재가노인 개개인의 욕구에 맞는 서비스의 다양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넷째, 재가노인복지시설이 부족하여 대상인원이 한정되어 있고, 단기보호서비스는 전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어, 재가노인복지시설의 확충과 전문인력이 보충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별 일원화하는 시스템을 구축하여 가까운 인접지역에 있는 기관과 상호연계하면 효과적인 서비스 전달체계와 복지정보교류에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그러므로 지역 간 네트워크 서비스의 전달체계 및 올바른 재정이 확충되어야 한다.

      • 대구 달성 묘골마을의 입지 및 공간구성에 관한 풍수지리 연구

        김길희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1999

        본 연구는 순천 박씨가 묘골에 터를 이루어 500여 년간 가문이 이어질 수 있었던 마을입지에 대해 살펴보고, 정주지에 형성된 생활공간(종택,삼가헌), 강학공간(파산서당, 낙빈서원), 수기 및 여가공간(태고정, 하엽정), 의례 및 제례공간(숭절사, 충의사, 도곡재) 등을 중심으로 풍수지리의 형식논리를 적용하여 어떠한 입지 및 공간구성을 이루고 있는 곳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이에 대한 분석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첫째, 산세(山勢)는 낙동정맥에서 팔공기맥과 황학기맥으로 분맥하면서 행룡한 용맥이 주산인 금무산을 세웠다. 이곳에서 다시 뻗어내린 용맥이 현무봉을 이룬 곳을 의지하고 있다. 둘째, 지세(地勢)는 현무봉에서 개장한 용맥이 중앙으로 중심룡을 내밀었고, 좌로는 청룡지맥이 우로는 백호지맥을 뻗어 백호안산을 이루고 있다. 셋째, 수세(水勢)는 보국내의 사격에서 발원한 내수(內水)에 의해 지당 1곳과 용출수 2곳을 득수한 것으로 나타난다. 넷째, 정혈(定穴)은 현무봉의 중심룡맥이 잉(孕)을 이룬 뒤 입수하여 중심공간을 이룬 곳에 태고정과 종택이 입지하였다. 이곳은 청룡지맥이 감싸고 있으며 문필봉(文筆峰)을 이룬 안산과 조응하고 있다. 다섯째, 입향조의 묘역공간은 백호지맥을 의지하는 곳에 터를 잡고 있어 후손들에게 정신적 지주로써의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묘골의 정주공간을 이룬 좌향도 좋은 기가 들어오는 남동방위에 마을입구가 이루어져 있어, 지금까지 500여 년동안 지속적으로 현존할 수 있는 명당 터에 입지를 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 대구 용연사 석가여래부도 연구

        김정윤 용인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183119

        This study is on ‘the Stupa of Sakyamuni Buddha(釋迦如來浮圖)’ of‘Yongyeonsa Temple(龍淵寺)’, ‘Daegu(大邱)’,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aTreasure under the name of the “Ordination Platform(戒壇) of Yongyeonsa Temple, Dalseong”, focused on its construction group, the structures of its‘stylobate(基壇部)’ and ‘body(塔身部)’, and the production and iconographic origin of ‘the divine generals(神將像)’. The study aimed to present a new perspective on the value of the Stupa of Sakyamuni Buddha.So far, the results of previous research on the Stupa of YongyeonsaTemple have only partially explained this Stupa and have not fully ascertained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art history and Buddhist history.Therefore, the link with the ‘Seosan clan families(西山門中)’ is need to be examined to find the reason for building this Stupa of Sakyamuni Buddha,and its connection with various other Buddhist cultural heritages is also studied in an effort to deepen understanding of the circumstances of its structure and construction.Founded by the Buddhist priest Boyang in ‘the Later Three Kingdomsperiod (後三國時代)’, Yongyeonsa Temple was rebuilt by the Buddhist master ‘Hae-un Cheon-il(海雲天日)’ in the early Joseon period, but it was completely destroyed by fire during the Japanese Invasion of Korea in 1592. In the early 17th century, some years after the devastating war, the reconstruction of the temple was resumed, at which time the Stupa of Sakyamuni Buddha was also built. Shakyamuni’s sarira of the Stupa was originally housed in the ordination platform of ‘Tongdosa Temple(通度寺)’, but it was taken by Japanese troops during the aforementioned Japanese Invasion of Korea. It was recovered by the monk general ‘Samyeong(四溟) [dharma name: Yujeong(惟政); pen-name: Song-un(松雲)]’, after which his disciples moved it to Yongyeonsa Temple and built the Stupa. Although a group of stupas is located near the Stupa of Sakyamuni Buddha,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people related with the earliest among them. They were monks from the Seosan clan, one of whom, ‘Uwun Jinhui (友雲眞熙)’, is believed to have been deeply involved with the construction of the Stupa of Sakyamuni Buddha, because his name is inscribed in the Dongseongsangeungnyu(同聲相應流) of the Seokgayeoraebi (釋迦如來碑, Record of the construction of the Stupa of Sakyamuni Buddha, 1676). Meanwhile, although the Monk ‘Hwanjeok Uicheon(幻寂義天)’ was not directly involved with the construction, his disciple ‘Soyeong Singyeong(昭影神鏡)’ is believed to have participated in it, because it is understood that Soyeong Singyeong is the same person as ‘Singyeong(信敬)’, whose name is inscribed in the main temple’s Seokgayeoraebi. At present, the Stupa of Sakyamuni Buddha is regarded as an ordination platform, unlike the original title of its construction, because, like the ordination platform of Tongdosa Temple, it consists of a square framed stylobate on top of which is a ‘stone bell type(石鐘形)’ of body inside which the Sakyamuni’s sarira is enshrined. However, there is no mention of the title ordination platform referring to this stupa in any records produced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addition, given that after his Buddhist initiation ceremony at Fayuan Temple in China, the Monk ‘Manha Seunglim(萬下勝林)’ of Yongyeonsa Temple returned to Korea in the 19th century, which was later than the construction of the Stupa, it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Buddhist initiation ceremony was properly performed at that time. Assuming that the ceremony was held at Yongyeonsa Temple, as the Buddhist initiation ceremony of Tongdosa Temple was held inside ‘Daeungjeon Hall(大雄殿)’, which served as a ‘Sarira Hall(舍利閣)’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ceremony at Yongyeonsa Temple could have been carried out inside a hall near the Stupa of Sakyamuni Buddha, and the similar circumstances of these two temples might have been the reason why the Stupa’s title was perceived as an ordination platform.While the lower stylobate of the Stupa consists of single-layer stonework placed on the foundation stone, its upper stylobate features a “weakened” dual-framed style in which the lower platform, the slab stone, and the top flat stones are fitted together. This stylobate structure differs from that of the ordination platform of Tongdosa Temple, whose upper and lower stylobates display the framed style. The body of the Stupa has the shape of Soyeong Singyeong is the same person as ‘Singyeong(信敬)’, whose name is inscribed in the main temple’s Seokgayeoraebi. At present, the Stupa of Sakyamuni Buddha is regarded as an ordination platform, unlike the original title of its construction, because, like the ordination platform of Tongdosa Temple, it consists of a square framed stylobate on top of which is a ‘stone bell type(石鐘形)’ of body inside which the Sakyamuni’s sarira is enshrined. However, there is no mention of the title ordination platform referring to this stupa in any records produced from the 17th century to the Japanese colonial era. In addition, given that after his Buddhist initiation ceremony at Fayuan Temple in China, the Monk ‘Manha Seunglim(萬下勝林)’ of Yongyeonsa Temple returned to Korea in the 19th century, which was later than the construction of the Stupa, it raises the question of whether the Buddhist initiation ceremony was properly performed at that time. Assuming that the ceremony was held at Yongyeonsa Temple, as the Buddhist initiation ceremony of Tongdosa Temple was held inside ‘Daeungjeon Hall(大雄殿)’, which served as a ‘Sarira Hall(舍利閣)’ during the late Joseon period, the ceremony at Yongyeonsa Temple could have been carried out inside a hall near the Stupa of Sakyamuni Buddha, and the similar circumstances of these two temples might have been the reason why the Stupa’s title was perceived as an ordination platform.While the lower stylobate of the Stupa consists of single-layer stonework placed on the foundation stone, its upper stylobate features a “weakened” dual-framed style in which the lower platform, the slab stone, and the top flat stones are fitted together. This stylobate structure differs from that of the ordination platform of Tongdosa Temple, whose upper and lower stylobates display the framed style. The body of the Stupa has the shape of a stone bell, which is understood to have followed the style of the Stupa of Monk Seosan of Boyeonsa Temple in Hyangsan (1604, built by families of the Seosan clan) and the Stupa of Monk Yujeong of Hongje-am Hermitage in Hapcheon (1610), although it is known to have originated from the Stupa for State Preceptor Wonjeung of Sanasa Temple in Yangpyeong (1383). The lotus leaf design and the lotus flower ornament on the finial of the stupa’s body are different to the finial with a nine-dragon ornament stone of the ordination platforms at Tongdosa Temple, Geumsansa Temple, and the Bulilsa Temple Site (in Kaesong), which were built before the late Joseon period. The divine generals engraved on the stylobate of the stupa include the ‘Four Heavenly Kings(四天王)’, which are stone sculptures in the round, and the ‘Eight Deva Kings(八金剛)’, which are carved in relief on the slab stone. The expression of the Four Heavenly Kings’ martial arts postures, clear facial lines, vambraces worn over ordinary clothes, belt accessories, and helmets is similar to that of the Four Heavenly Kings from the Wooden Amitabha Buddha’s Sermon of ‘Daeseungsa Temple(大乘寺)’, Mungyeong (1675), and the Deva Kings from ‘Yongmunsa Temple(龍門寺)’ in Yecheon (1684), ‘Gwangheungsa Temple(廣興寺)’ in Andong (1692), and ‘Gimryongsa Temple(金龍寺)’ in Mungyeong (1714), all of which were carved by the monk-sculptors ‘Daneung(端應)’ and ‘Takmil(卓密)’, who worked together with Soyeong Singyeong. As the eight divine generals embossed on the stone pagoda built during the Unified Silla and Goryeo Dynasty, are mostly the ‘Eight Legions(八部 衆)’, those of the Stupa of Sakyamuni Buddha were also regarded as the Eight Legions. However, no iconographic elements were found in the expressions of their features and clothes, so it is difficult to ascertain whether they are actually the Eight Legions. Nonetheless, the divinegenerals carved on the slab stone of the upper stylobate of the stupa at the Hoeamsa Temple site, Yangju display a similar iconography to the Eight Deva Kings depicted in the ‘Diamond Sutra(金剛經)’ published by Gwangheungsa Temple, Andong, particularly in terms of the techniques used to express their martial arts postures and the way they are holding their swords, so it is assumed that this iconography must have been made into embossed images. Meanwhile, in the Chapter, Bulsariyiun (佛舍利移運, Transfer of the Buddhist Sarira) in Beomeumsanbojip (梵音刪補集, Collection of Buddhist Ceremonies) published by ‘Jungheungsa Temple(重興寺)’, Yangju in 1721, which was right after the construction of the Stupa of Sakyamuni Buddha, there is a phrase in which a request for protection was made to the Eight Deva Kings and the Four Heavenly Kings during the transfer ceremony of the Buddha’s sarira, providing the scriptural ground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statues of the divine generals at the Stupa of Sakyamuni Buddha. 본 논문은 ‘달성 용연사 금강계단’이라는 명칭으로 보물 지정된 대 구(大邱) 용연사(龍淵寺) 석가여래부도(釋迦如來浮圖)에 관한 연구로 조성 집단, 기단부와 탑신부의 구조, 신장상의 조형과 도상적 연원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하여 석가여래부도가 지닌 가치에 관한 새 로운시각을 제시하였다. 현재까지 용연사 석가여래부도와 관련된 기존 연구 성과들은 이 탑 에 관해 부분적으로만 설명하였을 뿐, 미술사 및 불교사적인 의의를 충분히 규명하지 못했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석가여래부도의 조성 계기를 서산문중(西山門中)과의 연관성 속에서 살펴보았고, 부도의 구 조와 조형의 연원을 파악하기 위해 건축물, 승탑, 조각, 불화 등 여러 불교문화재와의비교고찰을시도하였다.대구 용연사는 후삼국시대 보양국사(寶壤國師)에 의해 창건되고 조 선 전기 해운천일(海雲天日)에 의해 중창되며 사세가 유지되다가 임 진왜란 때 왜군의 침략을 받아 전소되었다. 그리고 전쟁이 끝난 후 17세기에 용연사 재건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는 과정 중에 석가여래부도가 조성되었다. 석가여래부도 진신사리의 원봉안처는 통도사 계 단이었으나, 임진왜란때침략한 왜군이 약탈한것을사명대사(四溟大 師) 송운유정(松雲惟政)이 되찾아왔으며, 그의 제자들이 용연사로 이 안(移安)하고 부도를건립한것이다.석가여래부도의 인근에는 승탑군(僧塔群)이 있는데 그중 가장 이른 시기에 세워진 승탑의 인물들을 주목하였다. 이들은 서산문중의 승려 들로 특히 우운진희(友雲眞熙)는 석가여래부도의 조성에 깊게 관여한 것으로 추정된다. 석가여래부도 건립 내력이 기록된 『석가여래비(釋 迦如來碑)』(1676) 동성상응류(同聲相應流)에 이름이 새겨져 있기 때 문이다. 한편 환적의천(幻寂義天)은 석가여래부도 조성과 직접 관련되 어 있지 않으나, 그의 제자 소영신경(昭影神鏡)이 참여한 것으로 추정 된다. 『석가여래비』 본사(本寺)에 새겨져 있는 신경(信敬)과 동일인 으로판단되기때문이다. 석가여래부도는 건립 당시의 명칭과 달리 현재 계단(戒壇)으로 여 겨지고 있다. 이는 아마도 통도사 계단처럼 방형(方形)의 가구식(架構 式) 기단(基壇) 위에 석종형 탑신이 올려진 구조적 유사성과 그곳에 안치된 진신사리의 내력이 일치하는 데서 기인하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석가여래부도가 조성되었던 17세기부터 일제강점기까지의 기 록 어디에도 이 탑이 ‘계단’이라는 명칭으로 표기된 예를 찾아볼 수 없다. 게다가 석가여래부도가 조성된 이후인 19세기에 용연사 승려 만하승림(萬下勝林)이 중국 북경(北京) 법원사(法源寺)에서 수계(授戒) 를 받고 귀국하였다는 점을 헤아려 볼 때이 당시에 수계의식이 제대 로 수행되었는지 의문을 가지게 한다. 가령 용연사에서 수계의식이 진행되었다 하더라도, 조선 후기 통도사의 수계의식이 사리각(舍利閣) 역할을 하는 대웅전 내부에서 진행되었던 것처럼 용연사에서도 석가여래부도 인근의 사리각 안에서 진행되었을 것이며, 두 사찰의 비슷통일신라와 고려시대 석탑에 부조된 여덟 구의 신장상은 대체로 팔 부중(八部衆)이기 때문에 석가여래부도 부조상 역시 지금까지 팔부중 으로 인식되어왔다. 하지만 지물이나 복식 표현에서 도상적 근거를 찾을 수 없기 때문에 팔부중으로 보기 어렵다는 견해를 본 논문에서 제시하였다. 양주 회암사지 사리탑(16세기)의 상층 기단의 면석에 권 법자세를 취하거나 검을 쥔 신장상들이 1570년에 안동 광흥사에서 간 행된 『금강경(金剛經)』의 팔금강(八金剛) 도상과 매우 유사하여, 석 가여래부도의 기단 면석에 새겨진 도상들이 팔금강일 가능성에 힘을 실어 준다. 석가여래부도가 조성된 직후인 1721년에 양주 중흥사에서 간행된 『범음산보집(梵音散補集)』「불사리이운(佛舍利移運)」에는 붓다의 사리를 옮기는 의식 중에서 팔금강과 사천왕에게 옹호를 요청 하는 내용이 석가여래부도 신장상 조형의 경전적 근거를 제공하고 있 다.

      • 대구광역시 신청사의 입지에 대한 풍수지리 고찰 : 달서구 두류정수장 부지를 중심으로

        정영근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17647

        풍수지리는 인간이 살아가면서 바람과 물 그리고 땅의 지형지세를 살펴 최적의 환경을 갖춘 터에서 행복하고 풍요로운 삶을 영위하고자 연구하는 학문이다. 우리 선조들은 도읍지나 도성을 선정함에 있어서 그 자연환경과 조화를 이루면서 입지를 선정하려고 노력하였고 이러한 흔적은 삼국유사 등 각종 문헌으로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1995년 지방자치시대를 맞아 광역자치단체는 주민들의 다양한 요구와 시대적 변화에 맞춰 부서가 확대되고 개편됨에 따라 공공건물의 필요성이 더욱 증대되어 시도청사의 이전과 함께 청사건립이 확대되고 있다. 풍수지리에서 광역시도청사는 집단 양기·양택풍수에 해당한다. 개인의 양택·양기풍수는 개인이나 문중에 길흉의 영향이 미친다. 이와 달리 도읍이나 군·읍면 취락 등 그 규모가 큰 것에서부터 작게는 소단위의 마을에 해당하는 집단 양기·양택풍수는 길흉에 따라서 주민들의 생활과 삶에 많은 영향을 미친다는 점이 서로 다르다고 할 수 있다. 신청사는 길흉에 따라 3백만 시민의 생활과 미래를 책임지는 청사로서 그 역할과 책임이 막중하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옛 두류정수장에 대한 양기·양택풍수를 고찰하기에 앞서 최근 도청사를 이전하였던 광역단체의 청사인 경북도청사, 경남도청사, 전남도청사 세 곳의 사례지를 선택하여 전통적인 풍수지리이론을 적용하여 용·사·수·혈·향의 관점에서 분석하였다. 경북도청사는 검무산을 의지하며 개장천심하여 형성된 보국의 중심지에 위치하고 사격이 명당을 환포하는 공간에 입지하고 있으며, 풍수지리적 이론을 적용한 건물배치와 비보를 적극 활용한 점은 매우 긍정적으로 판단되고 역수형태를 갖춘 수세로 득수국의 명당이라 할 수 있다. 경남도청사는 백두대간룡에서 분맥한 낙남정맥룡이 둥글게 에워싸고 있는 국세 안에 형성된 도청사로서 비음산을 주산으로 하여 입지한 현무봉에 의지하고 있으나 입수룡맥이 파쇄 되어 있는 등 결함이 있는 것으로 보이고, 국세를 거시적으로 보면 장풍과 득수를 이룬 것으로 볼 수 있겠으나, 미시적으로 보면 직거수(直去水)의 형태를 보여 장풍은 물론 득수에도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경남도청사의 입지공간과 건물의 배치를 보면 풍수지리적 이론에 의한 판단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 전남도청사는 2005년 광주에서 이곳 무안으로 이청(移廳)하였다. 도읍지를 형성하는 래룡맥은 백두대간룡과 호남정맥과 영산기맥으로 이어지고 다시 분기하여 뻗어 내린 지룡맥에서 남악의 오룡산을 기봉하고 펼쳐진 보국에 도청사가 입지하여‘천리래룡일석지지(千里來龍一席之地)’라 할 수 있다. 주산은 오룡쟁주형(五龍爭珠形)으로 개장천심을 하여 펼쳐진 현무와 청룡과 백호 안산으로 구성된 사신사는 엄마의 가슴에 안기듯 포근하고 따듯하게 혈장을 감싸 안고 있는 형국을 이루고 있다. 청룡은 꿈틀거리듯 기풍 있고 힘차게 뻗어내려 혈을 환포하고, 백호는 넓게 보국을 감싸 안고 있으며, 안산은 가까이서 반갑게 맞이하는 단정하고 단아한 엄마의 모습과 같다. 이러한 보국에 입지한 전남도청사는 사격의 면(面)에 해당하는 양기풍수로서 吉格으로 본다. 한편 수세는 오룡산 청룡과 백호사이에서 흐르는 원진수는 남악호수로 들어가 축장한 후 천천히 개천을 따라 흐르다가 안산을 한바퀴 돌아 영산강으로 흘러들어가고, 좌입우출 하는 남창천은 영산강과 함께 외수(外水)로서 역수(逆水)형태를 이루고 있는데 이것은 內·外백호가 거수(拒水)하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중심용맥은 도지사가 근무하는 행정동으로 입수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는데 지기와 생기가 입체 공간속으로 들어가면 근무하는 공직자에게는 긍정적인 에너지를 불어넣을 수 있다. 전체적인 건물배치는 청사의 출입구를 중심으로 민원동과 도의회건물 도지사공관 등 주요 건물들은 풍수지리 이론을 적용하여 길한 방위에 건축물의 배치하였을 뿐만 아니라 자연생태 경관과 사신사가 조화를 이룬 장풍득수국의 명당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대구광역시 신청사예정지는 주변이 넓은 공간으로 조성되어 시민들의 휴식공간들이 산재되어 있는 두류공원과 인접해 있는 곳이다. 이러한 좋은 여건과 환경이 갖추어진 곳임에도 불구하고 건축물과의 균형이 맞지 않고 건축물이 제대로 배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생기를 받을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좋은 형태의 건물이 배치되도록 하는 것이 풍수지리적인 공간 배치가 되는 것이다. 자연의 훼손을 최대한 억제하면서 자연을 건물 안으로 끌어들여 자연과 함께 살아가려는 인간의 욕구도 충족시킬 수 있는 친환경 건축물을 지어야 하기 때문이다. 신청사가 입지하는 용맥과 사격은 백두대간룡과 낙동정맥룡 그리고 비슬지맥을 거쳐 청룡지맥으로 이어져 대구 월백산을 거쳐 대명동 캠프워크와 영남이공대학교를 지나 두류산과 주산인 금봉산을 기봉하고 중심 용맥은 남쪽 대구문화예술회관을 향해 감싸고 있다. 신청사 예정지는 북서쪽에 위치하여 사신사의 면배(面背)에 있어 배(背)에 해당하기 때문에 청룡과 백호는 무정하여 혈장을 조응하거나 환포하지 못하고 안산은 보이지 않는다. 이러한 사신사는 인문학적인 시각으로 접근해야 설명이 가능하다. 그러나 사신사의 결함에도 불구하고 신청사 예정지의 수세는 우측 두류산에서부터 와룡산에 이르는 외백호 사이의 계류수는 공배수로 흐르는 대명천과 합수하여 화원부근에서 낙동강으로 합수하고 있고, 거시적으로는 신천과 금호강, 낙동강과 대명천으로 이어지는 물길로 사방으로 둘러싸여 계수즉지가 되어 보국내의 정기가 모여 머물고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 암공수(暗拱水)인 금호강이 弓水로 감싸면서 우출좌류(右出左流)하고 있는데 비록 청룡이 逆水형태는 갖추지 못했으나, 내수와 외수 모두 환포가 되어 득수국 명당이라 할 수 있다. 신청사 예정지에 대한 제언을 크게 신청사 주요 건물배치와 건물형태 그리고 신청사 좌향과 신청사 비보로 나눈다. 특히 신청사 예정지의 주요 건축물의 배치는 양택삼요의 동서사택이론에 따른 생기, 천의, 복덕 방위를 찾아 적용하는데 신청사 예정지는 동사택에 해당한다. 신청사의 비보제언은 첫째, 단맥(斷脈)된 입수용맥을 복원시켜야 하고, 둘째, 청룡과 백호사를 되살려야 하고, 셋째, 청룡의 약한 어깨를 보강해야한다. 넷째, 북서향의 건물은 앞뒤가 없는 건물을 지어야 하고, 다섯째, 안산역할을 하는 지당(池塘)을 설치하여야 한다. 따라서 사신사의 비보에 있어서는 청룡과 백호는 건축물로 비보하고, 지당(池塘)을 만들어 안산으로 삼는다면 능히 조응하는 사신사가 될 수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