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학교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의 가능성에 관한 연구

        박보영 경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In celebration of the era of multicultur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help teachers to substantially carry out multicultural education in order to foster students' cross-cultural awareness and attitudes, maintain their cultural unique identity, and help them to understand various classes and ethnic cultures. To accomplish this, after conducting literature study through analysis of previous research, the lesson of mathematics to include educational content of multicultures is selected, targeting at eight mathematics teachers in Pung-Mu middle school. In the curriculum of the middle school 2nd grade mathematics, the teaching-learning process which develops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6th period's middle school mathematics is written by including the contents about multicultural diversity, identity, and social justice. And targeting at 121 2nd grade students in the middle school from 3 classes, before and after applying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awareness about and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and a change i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math classes were respectively surveyed by questionnaire. To statistically prove the difference of perception, t-test using SPSS 12.0 package was carried and the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after conducting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multicultural awareness has been indicated significantly high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99% confidence interval. It has been proven that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multicultural perception. Secondly, after conduct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 classes, the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has decreased significantly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99% confidence interval. And multicultural educational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have been proven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reducing the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Third, after conducting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 classes, a change i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dentity,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in math classes has appeared statistically and meaningfully high in the level of significance 99% confidence interval. Multicultural education programs in the middle school mathematics have been verified to have a positive effect in the change in students' perceptions of the identity, diversity, and social justice in math classes. This study naturally includes multicultural education in the curriculum of middle school mathematics and helps middle school students to understand the diversity of minority cultures and foster the attitude which realizes social justice and overcome prejudice against multicultures. Therefore, this study is very significant and gives effective aid to mathematics teachers in the field. 본 연구는 다문화 시대를 맞이하여 수학시간에 학생들이 다문화적 인식과 태도를 기르기 위해서 문화의 다양성을 적절하게 반영하여 그들 문화의 독특한 문화적 정체성을 유지함과 동시에 다양한 계층과 민족의 문화를 이해하도록 하기 위해 필요한 내용을 반영하여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교사들이 수학시간에 실질적으로 다문화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돕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서 선행연구 분석을 통한 문헌 연구를 실시한 뒤, 풍무중학교 수학과 8명 교사를 대상으로 중학교 2학년 수학의 내용 중에 다문화 교육내용을 포함시킬 수학의 단원을 선정하였다. 중학교 2학년 수학의 내용에서 다문화교육 내용의 다양성, 정체성, 사회정의의 내용을 포함시켜 6차시의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한 교수·학습과정안을 작성하였다. 그리고 중학교 2학년 3개반 학생 121명을 대상으로 하여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전과 후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 다문화에 대한 편견과 수학시간의 인식변화를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한 후 집단별 인식의 차이를 통계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SPSS 12.0 패키지를 이용하여 t-test 를 실시하였는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다문화 인식이 유의수준 99% 신뢰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인식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둘째,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다문화에 대한 편견이 유의수준 99% 신뢰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감소하게 나타났으며,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다문화에 대한 편견 감소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셋째,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을 실시한 후 중학교 수학시간의 인식변화, 수학시간의 정체성, 다양성, 사회정의 반영에 대한 인식변화가 유의수준 99% 신뢰구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게 나타났으며, 중학교 수학과의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은 중학교 수학시간의 인식변화, 수학시간의 정체성, 다양성, 사회정의 반영으로 학생들의 인식변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음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는 다문화교육을 중학교의 수학과 교육과정에 자연스럽게 포함시켰으며 중학생들이 소수문화의 다양성을 이해하고 다문화에 대한 편견을 극복하고 사회정의를 실현하려는 태도를 육성하게 만들었으므로 매우 의미가 있으며 현장의 수학교사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줄 것이다.

      • 다문화가정 밀집지역 여부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다문화 태도 차이 연구

        이신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다문화가정 밀집지역 여부에 따른 초등학생의 다문화 태도 차이를 조사함으로써 다문화가정 밀집지역 거주여부가 초등학생의 다문화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 알아보고 다문화가정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의 다문화교육 방향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조사 대상은 서울특별시 영등포구 대림동에 소재하고 있는 초등학교 3∼6학년 학생 171명과 동작구 신대방동과 강남구 청담동에 소재한 초등학교 3∼6학년 학생 174명이며, 다문화 태도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고 검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345부를 배포하여 모두 회수되었으나 설문지 중 답변하지 않은 문항의 경우는 통계자료 처리 시 제외하였다. 다문화 태도 측정도구로는 Munroe et al.(2006)가 개발한 MASQUE(Multic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를 번역한 정문성 외(2017)의 설문지와 김미진 외(2010)에서 개발한 아동 다문화 수용성 척도, 백미순 외(2014)의 연구에서 번역한 Ang et al(2007)의 문화지능 측정도구를 수정 및 보완하여 사용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서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다문화가정 밀집지역 거주여부와 개인 특성인 성별,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친구 유무,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라 다문화 태도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다문화 태도 전체는 다문화가정 비밀집지역에 거주하고, 다문화교육(2) 경험이 있는 경우 더 높게 나타났다. 둘째, 다문화가정 밀집지역 거주여부와 개인 특성인 성별,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친구 유무, 다문화교육 경험 간의 상호작용에 따른 다문화 태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마지막으로 다문화가정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초등학생 중 다문화가정 여부가 다문화 태도에 차이가 있는지 살펴본 결과, 다문화가정 초등학생이 일반가정 초등학생보다 다문화 태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영역별로 살펴보면, 인지적 영역과 다문화 태도 전체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더 낮았고(p < 0.05), 행동적 영역과 정의적 영역은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또한, 성별, 다문화교육 경험, 다른 문화적 배경을 가진 친구의 유무와 다문화가정 여부가 상호작용하여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본 결과, 다문화교육(2) 경험이 있는 경우, 다문화 태도의 정의적 영역에 유의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p < 0.05). 본 연구의 설문 분석에 따른,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가정·외국인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학생들을 위한 다문화교육에 대한 지원이 더욱 필요하다. 둘째, 다문화가정·외국인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학생들에게 적합한 내용과 유의미한 방식으로 다문화교육을 실시해야 한다. 셋째, 다문화가정·외국인 밀집지역에 거주하는 학부모와 다문화 학생이 많은 학교에 근무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다문화교육을 실시하여 초등학생의 다문화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어야 한다. 따라서 후속 연구를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 대상의 개인 및 가정환경 변인을 더욱 조사하여 일반화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둘째, 다문화가정 학생을 연구 대상에 포함할 경우, 연구방법을 신중하게 고려하여 연구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확보해야 한다. 셋째, 다문화교육의 핵심가치와 영역을 고려한 세분화된 다문화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the densely-populated area of multicultural families affects multicultural attitu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provide basic data on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living in areas where multicultural families are concentrat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71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Daerim-dong, Yeongdeungpo-gu, Seoul, and 174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Sindaebang-dong, Dongjak-gu, and Cheongdam-dong, Gangnam-gu. All 345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retrieved, but those that were not answered were automatically excluded from the processing of statistical data. The questionnaire for measuring multicultural attitudes were combined with several preceding research, which are Chung Moon-sung(2017), which translated MASQUE (Multural Attitude Scale Questionnaire) developed by Munroe and Pearson (2006), and Kim Mi-jin (2010) on the multicultural acceptability scale, Baek Mi-soon and Jang In-sil (2014). The conclusions and suggestions fro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more support is needed for multicultural education for students living in areas where multicultural families are concentrated. Secon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in a meaningful way and content suitable for students. Third,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provided to parents living in areas where multicultural families are concentrated and teachers working at schools with many multicultural students, so it could have a positive impact on multicultural attitude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a subsequent study is proposed as follows. First, the individual and household environment variables of the subjects should be further investigated so that they can be generalized. Second, when students from multicultural families are included in the study subjects, research methods should be carefully considered to ensur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study. Third, research on classifica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is needed, considering the core values and areas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its effect on multicultural attitude of students.

      • 고등학교 통합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분석

        조민주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831

        Today, due to the inflows of the international marriage migrant women, the foreign workers, etc., the Korean society has been rapidly changing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And, at the schools, too, the ratio of the students who possess the multi-cultural backgrounds has been getting high. However, due to the confusion of the identity, the school underachievements, the ostracizations, the maladaptations, etc. that come from the differences of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 children of the multi-cultural families have been experiencing the discriminations and the inequalities at the school. Such a reality suggests that the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enables all of the students to understand the cultures that are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to live while coexisting, is an urgent educational task.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draw the special features and the problems of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at appears in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for the high schools that had been developed according to the curriculum of the department of the society as revised in the year 2015 and to make a proposal for the development of a textbook in the future based on this. For this, by referring to the precedent researches that are related with the multi-cultural education, I, the researcher, had organized an analysis framework that has the diversity, the relativity, the identity, and the equality as the content elements, and I had analyzed all of the units of the 5 kinds of the 'Integrated social studies' textbooks. The results of the analysis of the textbooks and the proposal regarding them are the following: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iversity domain, firstly, the introductions on the cultures of the Asian countries had been the main things. In the textbooks to be written in the future, there is a need to evenly present the cultures of the diverse countries and regions by continent so that the learners living in the multi-cultural society can lower the sense of difference regarding the other cultures. Secondly, the contents regarding the minority ethic group cultures have not been presented much. And the contents, too, regarding the cultures of the minority ethnic groups that had been presented had stopped at the simple introductions to the cultures. There is a need to more specifically present the contents related to the abundance that the culture of a minority ethnic group can give to the mainstream culture and not the simple introduction to a culture that is related to the food, clothing, and shelter. Also, the presentation must be made through a method in which the learners solve the problems of the minority groups who are racially, ethnically, and culturally alienated and can have the critical awareness regarding these and not the method of adding the contents that are related with the minority groups while maintaining the basic structure of the preexistent curriculum just the way it is. Thirdly, the contents related to the lower-ranking cultures had nearly not been presented. There is a need for the textbooks to deal with the contents related to the diverse, lower-ranking cultures like the youth culture, the immigrants culture, etc., which exist within one societ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vity domain, it has been emphasizing the cultivation of the culturally relative attitude and the cultural considerations on the level of the universal ethics. As a desirable attitude for understanding the culture, in the future, too, there is a need for the textbooks to continue to maintain such a keynote. Meanwhile, there is a need for the culturally relative attitude to emphasize not only the cultures of the other countries but, also, the contents regarding the cultural diversity within the society, too.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identity domain, firstly, the contents that enable the learners to recognize the fact that Korea had changed into a multi-cultural society had been presented in the five kinds of the textbooks. Because such learning contents are the basic learning contents that are needed in the multi-cultural education, there is a need for the textbooks that will be compiled in the future to present them together with the specific case examples continuously. Secondly, the contents that enable the cultivation of the pride regarding, and the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Korean culture had been presented. There is the possibility of such contents being continued with the descriptions that will implant the ethnocentrism and the exclusive, superiority awareness. In the future, too, regarding the narrations that show the pride in relation to the culture of one's own country, the attention must be paid so that the superiority is not shown through a comparison with a specific culture, the balanced evaluations based on the objective facts must take place, one must carefully take a look so that the presentation can be made based on the respect for the other cultures. Last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domain of the equality, each textbook has been differently introducing the social minorities. There is a possibility for the learners to not sensitively accept regarding the social minorities that have not been explained in the textbooks. As a result, by mentioning about the diverse, social minorities like the non-regular workers, the residents who escaped from North Korea, etc., which could not be recognized to be the social minorities by the learners, it must be organized so that the learners can have the interest. Secondly, as for the contents related ot the discrimination of the women, the women who receive the discriminations because of the religious and cultural reasons had been presented. And, as for the cases of the discriminations of the colored races, many of the case examples of the discriminations of the black people had been presented. However, in case the focus is made too much on this problem only, there is the possibility of the learners to accept less sensitively regarding the problem of the discrimination of the women and the discrimination of the other, colored races that take place in the everyday life. Accordingly, the case examples of the representative minorities must be dealt with mainly. Except, by dealing by including the problem of the discrimination of the women, the other case examples of the colored races, etc. that appear in the everyday life, the more diverse case examples must be made to be come in contact. Thirdly, a plan for the solution of the problems of the diverse discriminations and the inequalities had been narrated abstractly. Although the theoretical method for the solution can be important by itself, when seen from the position of the students, they can be thought to be the things in the domain which have the distance from them or which they cannot do. As a result, instead of presenting only an abstract and theoretical plan for the solution, there is a need to present a method which can be put into practice realistically together with it. Also, it is highly expected that, if the activities through which the learners can personally worry, in depth, regarding this problem are organized, the ability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learners will get even higher. Fourthly, there had been the texts which contained the prejudices and the stereotypes regarding the immigrant foreigners. When organizing a textbook, the attention must be paid even more regarding whether there are no expressions that can implant the distortions and the biases regarding the multi-cultural, constituent members or the social minorities. Also, by going further, there is a need to additionally present the research activities that enable to learners to think critically regarding the prejudices and the fixed ideas. 오늘날 한국 사회는 국제결혼 이주 여성과 외국인 근로자 등의 유입으로 인해 다문화사회로 급속히 변화하고 있으며, 학교에도 다문화적 배경을 가진 학생들의 비율이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다문화가정의 자녀들은 사회‧문화적 환경의 차이에서 오는 정체성 혼란, 학습 부진, 따돌림과 부적응 등으로 인해 학교에서 차별과 불평등을 경험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모든 학생들이 서로 다른 문화를 이해하고 공존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하는 다문화교육이 시급한 교육적 과제임을 시사해준다. 본 연구의 목적은 2015 개정 사회과 교육과정에 따라 개발된 고등학교 ‘통합사회’교과서에 나타난 다문화교육의 특징과 문제점을 도출하고, 이를 바탕으로 앞으로 교과서 개발을 위한 제언을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다문화교육과 관련된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다양성, 상대성, 정체성, 평등성을 내용 요소로 하는 분석 틀을 구성하였고, ‘통합사회’ 교과서 5종의 전 단원을 분석하였다. 교과서 분석 결과와 이에 대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다양성 영역 분석 결과 첫째, 아시아 국가의 문화에 대한 소개가 주를 이루고 있었다. 앞으로 집필될 교과서에서는 다문화사회를 살아가는 학습자들이 타문화에 대한 이질감을 낮출 수 있도록 대륙별로 다양한 국가와 지역의 문화를 고르게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소수 민족 문화에 대한 내용은 많이 제시되지 않았으며, 그나마 제시된 소수 민족의 문화에 대한 내용도 단순한 문화 소개에 그쳤다. 의식주와 관련된 단순한 문화 소개가 아닌 소수 민족의 문화가 주류 문화에 줄 수 있는 풍요로움과 관련된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해야 할 필요가 있다. 또한 기존 교육과정의 기본 구조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소수 집단 관련 내용을 추가하는 방식이 아닌, 학습자들이 인종적, 민족적, 문화적으로 소외된 소수 집단들의 문제를 해결하고 이에 대한 비판 의식을 가질 수 있는 방법으로 제시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하위문화와 관련된 내용은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교과서에서는 한 사회 내에 존재하는 청소년 문화, 이민자 문화 등과 같은 다양한 하위문화와 관련된 내용을 다룰 필요가 있다. 상대성 영역 분석 결과, 문화 상대주의적인 태도의 함양과 보편 윤리 차원에서의 문화 성찰을 강조하고 있었다. 이는 문화를 이해하는 바람직한 태도로서 앞으로도 교과서에서는 이러한 기조를 계속해서 유지할 필요가 있다. 한편 문화 상대주의적인 태도는 다른 나라의 문화에 대해서 뿐만 아니라, 한 사회 내의 문화적 다양성에 대해서도 가져야 하는 것이니만큼 이에 대한 내용 역시 강조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정체성 영역 분석 결과 첫째, 5종의 교과서에 한국이 다문화 사회로 변화했다는 사실을 학습자들이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이 제시되었다. 이러한 학습 내용은 다문화교육에서 필요한 기본적인 학습 내용이기 때문에 앞으로 편찬될 교과서에서도 계속해서 구체적 사례들과 함께 제시할 필요가 있다. 둘째, 한국 문화에 대한 자부심과 긍정적 태도를 함양하도록 하는 내용이 제시되어 있었다. 이러한 내용은 자칫 자문화중심주의나 배타적 우월 의식을 심어줄 수 있는 서술로 이어질 가능성도 있다. 앞으로도 자국문화에 대한 자긍심을 나타내는 서술은 특정 문화와의 비교를 통해 우월성을 나타내지 않도록 유의하고, 객관적 사실에 근거한 균형 잡힌 평가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며, 다른 문화에 대한 존중을 바탕으로 제시될 수 있도록 세심하게 살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평등성 영역 분석 결과 첫째, 교과서마다 사회적 소수자를 다르게 소개하고 있었다. 학습자들은 교과서에서 설명하지 않고 있는 사회적 소수자에 대해서는 민감하게 받아들이지 않을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학습자들이 사회적 소수자로 인식하지 못하고 있는 비정규직 근로자, 북한이탈주민 등과 같은 다양한 사회적 소수자에 대해 언급하여 학습자들이 관심을 가질 수 있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다. 둘째, 여성 차별과 관련된 내용으로는 종교적‧문화적 이유로 차별받는 여성, 유색인종 차별 사례로는 흑인 차별 사례가 다수 제시되었다. 그러나 너무 이 문제에만 초점을 맞추게 될 경우 학습자들은 일상생활에서 일어나는 여성 차별의 문제와 다른 유색인종 차별에 대해서 덜 민감하게 받아들이게 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대표적 소수자의 사례를 주로 다루되, 일상생활에서 나타나는 여성 차별문제와 다른 유색인종의 사례 등도 포함하여 다룸으로써 보다 다양한 사례를 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다양한 차별과 불평등 문제에 대한 해결방안이 추상적으로 서술되었다. 원론적 해결방법은 그 자체로는 중요할 수 있지만 학생들의 입장에서 볼 때 자신들과는 거리가 있는, 혹은 자신들은 할 수 없는 영역의 일들로 생각될 수 있다. 따라서 추상적이고 원론적인 해결방안만 제시하기보다는 이와 함께 현실적으로 실천 가능한 방법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학습자들이 직접 이 문제에 대해 심도 있게 고민할 수 있도록 하는 활동들을 구성한다면 학습자들의 문제해결력이 더욱 높아질 것으로 기대된다. 넷째, 이주 외국인에 대한 편견과 고정관념이 내포된 지문들이 있었다. 교과서를 구성할 때, 다문화 구성원이나 사회적 소수자에 대한 왜곡이나 편견을 심어줄 수 있는 표현은 없는지 더욱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또한 더 나아가 편견과 고정관념에 대해 학습자들이 비판적으로 사고할 수 있도록 돕는 탐구활동을 추가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 다문화사회의 통일교육의 방향

        정주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세계화가 진행되면서 전 세계적으로 다문화의 바람이 불고 있고 여기에 대해서 우리나라도 예외가 아니다. 다문화가 우리나라보다 먼저 진행된 지금까지의 해외 사례들로 보았을 때 다문화는 그 국가에 노동력의 공급과 문화적 다양성과 같은 긍정적인면의 작용도 있었지만, 사회적으로 증가하게 되는 구성원들의 문화적 다양성이 제대로 된 논의와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을 때에 그 사회에 많은 혼란과 갈등을 발생시킴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앞으로 우리는 이런 다문화적 움직임에 대한 대비가 필요하지만, 다른 나라와는 다르게 우리나라는 현재 분단이라는 특수한 상황 속에 처해 있음을 유념해야 한다. 분단국이었다가 지금은 통일을 이룬 독일의 사례를 보았을 때, 통일 또한 제대로 된 준비 없이 이루어지게 된다면 경제적, 사회적으로 많은 어려움을 불러일으킴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이런 어려움과 갈등은 경제적인 것 보다 서로 다른 이념과 문화를 가지고 있던 사람들의 충돌로 인한 사회적인 갈등과 대립이 훨씬 더 심각한 문제를 일으킨다는 것 또한 독일의 사례를 통해서, 그리고 각종 선행 연구들을 통해서 우리는 알 수 있다. 따라서 우리는 앞으로 다가올 우리 사회에 발생하게 될 다문화적인 요인과, 통일로 인한 사회적 갈등의 이중적인 문제에 대한 대비를 할 필요가 있으며, 이 두 가지 문제는 어쩌면 다른 차원에서 논의될 문제가 아닐 수 있다. 이런 문제에 대해서 논의해보기 위해서 먼저 서론에서는 이 연구의 목적과 내용, 그리고 방법에 대해 밝혔다. 그리고 Ⅱ장에서는 다문화교육과 통일교육에 대해서 개념과 그 변천과정에 대해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서 통일교육과 다문화교육이 우리나라를 중심으로 어떻게행해져 왔는지 실태를 먼저 점검해보고, 관련된 선행연구에 대해서 살펴보면서 통일교육과 다문화교육이 각각 지향해온 방향과 과제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또한 앞으로 다문화사회에서 다문화교육과 함께 이루어지게 될 통일교육의 모습이 지금까지의 모습들과 어떻게 달라야 할 지 알아보기 위해서 다문화교육과 통일교육을 함께 살펴본 연구를 살펴보았다. 이를 통해 다문화교육과 통일교육이 공통의 지향점을 가질 수 있고, 이는 ‘다양성’이라는 키워드로 함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Ⅲ장에서는 이렇게 도출된 ‘다양성’이라는 키워드와, 다문화주의를 넘어선 ‘상호문화주의’적 입장에서 우리나라 통일교육이 이루어져야함을 살펴보았다. 또한 다문화사회에서 통일교육은 교육의 주체에 대해서 현재의 정부중심의 방식에서 벗어나 ‘민・관 협력 거버넌스’를 중심으로 하여 구조적인 개선이 필요함을 논하였고, 통일교육의 교육과정의 측면에서 다문화교육과 통일교육의 일관성 있는 교육과정, 그리고 교육의 양적・질적 보완이 필요함을 말하였다. 끝으로 Ⅳ장에서는 이 연구의 전체적인 요약과 제언을 제시하였다. 요약을 통해서 각 장의 요지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여 요약하였고, 제언으로 연구의 한계와 향후 뒷받침 되어야 할 논의들에 대해서 이야기하였다.

      •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른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수용성과 교육지원 활동 차이 분석

        한정원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의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른 다문화 수용성과 다문화 교육지원 활동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의 연구문제는 크게 두 가지로 구성하였다. 첫째,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라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 수용성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는 것이며, 둘째,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라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지원활동에 차이가 있는지를 확인하는 것이다. 위와 같이 설정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경상남도 일부와 부산 지역 일부 유아교육기관 교사 3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조사된 데이터를 활용해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절차와 주요 연구 결과를 통하여 얻어진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에 따라 다문화 수용성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다문화관련 연수 참여 유무에 따라서 다문화 수용성에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그리고 다문화 관련 연수에 참여하는 횟수가 많을수록 다문화 수용성이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예비교사 시기 다문화 관련 내용을 수강한 교사들과 다문화 유아 지도경험이 있는 유아 교사가 다문화수용성이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유아교육기관 교사가 참여한 연수유형과 시간에 따라서는 다문화수용성에 차이가 없었다. 둘째,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다문화교육 경험 여부에 따라 다문화교육 지원활동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을 진행하였다. 유아교육기관 교사들은 다문화 관련 연수 경험이 있을 경우 다문화교육 지원활동을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연수 경험이 있는 교사들은 연수에 1회 이상 참여 할수록, 그리고 5시간 이상 진행하는 다문화 관련 연수에 참여 할수록 다문화교육 지원활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다문화가정 유아를 교육한 경험, 예비교사 시기 다문화 관련 내용의 과목을 수강한 경험이 있을 경우 그렇지 않은 경우보다 다문화교육 지원활동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유아교육기관 교사를 대상으로 시행되고 있는 다문화연수는 많지 않은 상황이며, 교사들의 참여 수준도 초·중등교사들에 비해 낮은 상황이다. 다문화가정의 유아가 증가할 것을 감안할 때 유아교사들의 다문화 수용성 제고를 위하여 다문화 관련 연수를 확대할 필요가 있으며, 유아교사 양성기관과 대학 전공과정에 반드시 다문화에 대한 이해와 교육의 실제를 포함한 전반적인 내용이 채택되어서 미래사회에 대처하는 교사들이 배출 될 수 있도록 노력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다문화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교사가 다문화교육을 받지 않은 교사에 비해 다문화교육 지원활동을 많이 하는 결과를 본다면 현장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한 다양한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다문화교육 지원활동이 필요할 것이며 다문화 관련 연수에 참여 할 수 있도록 하는 유인체계도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 카니발 페다고지(Carnival Pedagogy) 기반 비판적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 학교-박물관 연계를 중심으로

        장진혜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831

        수업은 가치중립적인가? 교사는 학생을 평등하게 대하는가? 교실과 학교는 공동체인가? 교육은 학생의 성장과 사회 정의에 기여하는가? 이러한 질문으로부터 연구가 시작되었다. 수업, 학생, 교사, 교실 등을 포함하는 교육 실재에 관한 재해석과 반성적 사유는 다분히 철학적인 사회문화이론을 기반으로 제기되고 있다. 교실에서의 학습에 관한 실재적 논의를 위해 본 연구는 비판적 다문화교육을 제안하였다. 비판적 다문화교육은 비판적 다문화주의 패러다임에 근거하며, 권력과 지식, 구조에 내재하는 불평등, 차별과 편견에 관한 비판적 인식을 내포하는 비판 이론을 기반으로, 어떻게 학교 문화를 공평한 기회 제공의 측면에서 개혁할 것인가에 관한 논의를 포함한다. 다문화 학습 공간인 교실에서의 학습이 얼마나 평등한가에 대한 질문으로부터 비판적 다문화교육은 출발한다. 학습 콘텐츠에 내재된 지식의 형성과정에 관한 비판적 시각, 교실이 내포하는 다양한 층위에 관한 관심과 문화적 다양성에 관한 포괄적 관점, 배제되거나 강조되는 목소리의 분별을 통해 교실은 평등해져야 한다. 하지만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은 이런 관점을 견지하지 못했다. ‘다문화’라는 용어에 대한 부정적 개념 해소에 주력하다보니 폭넓은 논의를 펼치지 못했다. 다문화가정 구별 짓기에 관한 비판, 타 문화에 관한 이해, 다름에 대한 존중, 차별과 편견의 감소 등 그 목표가 다소 지협적이거나 편향되었다. 이런 의미에서 우리나라 다문화교육은 확장적 논의가 요청되며,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제안은 이러한 맥락과 관련한다. 비판적 다문화교육은 기존의 다문화교육에서 논의를 기피해 왔던 권력이나 계층, 담론과 지식 등의 주제를 학습의 장(場)으로 불러들이려는 시도이다. 우리 삶에 내재한 불평등과 불의, 모순, 빈곤, 정치와 권력의 폐해와 피억압자의 고통 등을 심도 있게 다룬다. 학습자는 사회 구조와 권력의 관련을 비판적으로 인식함으로써, 자신과 사회를 정의롭게 변화시키는 실천가로 성장하도록 돕는 것이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목표이다. 이러한 관점에서 비판적 다문화교육은 학생들에게 사회적 이슈와 문제에 관한 비판적 해석과 민주적 행위에의 관심, 사회적 참여와 실천을 위한 다문화적 학습 경험으로 설계되어야 한다. 이는 교육과정 변혁의 수준에서 논의되어야 한다. 하지만 우리 교육은 비판적 다문화교육 실천을 위한 방법적 논의를 구체적으로 확보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비판적 담론의 수용을 통해 다문화교육의 재개념화에 활로를 열고, 교육과정 변혁이 실천과 닿을 수 있는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실질적 교수법으로서 ‘카니발 페다고지’ 기반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사례를 현장에 제안하는 것을 목적으로 설정하였다. 카니발 페다고지는 이전 연구(강인애, 장진혜, 이현민, 2016)를 통해 형식적 교육기관인 학교에 이미 제안되었다. 이 연구는 박물관으로 학습의 장(場)을 확장하였다. 박물관이 가진 무궁무진한 예술작품 즉 전시물을 학습 자원으로 활용하기 위함이다. 학예사와의 파트너십이 전혀 없는 수준에서 교사가 단독으로 전시물을 수업에 활용하는 방식의 박물관 연계 교육으로 설계되었다. 본 프로그램은 서울K초등학교 6학년 3개 학급 55명을 대상으로 개발 및 적용되었다. 연구 문제는 첫째, 개발 프로그램은 어떤 내용과 절차를 담고 있는지, 비판적 다문화교육 실천에 적합한지 현상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둘째, 그 결과로써 사회적 정의 실천적 태도가 함양되는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구자에 의한 참여 관찰과 심층 면담, 학생과 교사의 성찰일지, 학습 결과물 등 자료를 수집하고 결과를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첫 번째 연구 문제와 관련한 연구 결과는 5가지로 요약 가능하다. 첫째, 카니발은 예술 창작과 관련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둘째, 학습 내용의 설계는 비판적 다문화교육의 5가지 내용 요소, 즉 역량적 측면에서의 비판적 인식과 사회적 실천의 증진, 변혁적 측면에서의 교육과정, 구조, 패러다임을 고루 고려할 필요가 있다. 셋째, 프로그램은 7가지 설계 원칙과 전략에 근거하여 설계되어야 한다. 넷째, 교사는 학예사의 파트너십이 전혀 없는 수준에서의 박물관 연계 교육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프로그램의 절차는 교육과정의 변혁을 기반으로 구조와 패러다임의 변혁이 포함되어야 한다. 두 번째 연구 문제와 관련하여 본 프로그램은 7가지 측면에서 사회적 정의의 실천적 태도가 증진되는 것이 확인되었다. 첫째, 권력과 지식, 구조가 관여하는 불평등에 관한 비판적 인식이 증진되었다. 이러한 비판은 풍자와 해학을 통해 발현되었다. 둘째, 자신의 경험에 대한 비판적 성찰이 가능해졌다. 셋째, 차별과 편견이 감소되었다. 넷째, 사회에 기여하려는 참여적 실천 태도가 증진되었다. 다섯째, 정의에 대한 개념이 형성되었다. 여섯째, 정치 및 사회적 문제에 대한 관심이 증진되었다. 일곱째, 불의에 대한 저항과 전복적 상상이 발현되었다. 이상의 결과는 현재의 우리 교실 속에서 왜 비판적 다문화교육을 적극적으로 실천해야 하는지 당위성을 확인시켜 주었다. 비판적 다문화교육은 사회적 정의의 태도를 지닌 시민으로의 성장에 기여한다. 자신의 삶을 비판하고 해체함은 물론 카니발이 갖는 즐거운 상상 발현이라는 특성을 통해 사회적 참여와 실천을 활성화하는 카니발 페다고지는 비판적 다문화교육에 적합한 교수법이다. 본 연구가 제안하는 프로그램 사례가 시작이 되어 우리나라 교실에서 비판적 다문화교육이 활성화되기를 기대해 본다. This research started from the questions : “ Is the class neutral?”, “Does the teacher pay equal attention to all the students?”, and “Does education contribute to student growth and social justice?” Reinterpretation and reflective thought of education reality including classes, students, teachers and classrooms is based on the theory of philosophical social culture. For practical discussion on classroom learning, this study suggests a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is based on a critical multicultural paradigm and includes discussions on how to reform the school culture in terms of fair opportunity. This is based on criticism reflecting the critical perception of inequality,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underlying bias,discrimination and prejudice.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starts from the question of how egalitarian education is in the classroom, a multicultural learning space. The classroom should be equalized through a critical viewpoint of the formation of knowledge embedded in learning contents, the perspectives on the diversity of the various layers of the classroom, a comprehensive view on cultural diversity, and the discrimination of voices that are excluded or emphasized. But our multicultural education did not adhere to this perspective. Focus on resloving the negative concept of ‘multicultural’ has failed to have a wide range of discussion. Its aims were somewhat narrow or biased, such as criticizing discrimination on multicultural families, understanding the interests of other cultures, respect differences, and decreasing discrimination and prejudice. In this sense,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needs to expand, and the proposal of cric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is related to this context.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is an attempt to bring topics such as power, hierarchy, discourse and knowledge that have long been avoided in traditional multicultural education to the realm of learning.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deals deeply with inequality in our lives, the injustice, poverty, the curse of politics and power and pain of the oppressed. The aim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is to empower learners to develop themselves into a doer of justly change in themselves and society by critically recogni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structure and power. In this regard,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should be designed as a multicultural learning experience for students to engage in critical interpretation of social issues, interest in democratic action, and social participation and practice. This should be discussed at the level of curriculum transformation. However, our education has not specifically secured concrete discussions on how to implement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Through the acceptance of critical discussions, this study opens a way to foster reconception of multicultural education,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Carnival Pedagogy’ based program as a practical teaching method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can bring about the transformation of curriculum. Carnival Pedagogy has already been proposed to schools as a formal educational institution through previous research(강인애, 장진혜, 이현민 , 2016). This study extends the field of learning to museums. It is to utilize the museum's immense art works, i.e. exhibits, as learning resources. It was designed as a museum-linked education in which the teacher uses the exhibit alone in the class at a level where there is no partnership with the curator. This program was developed and applied to 55 6th grade students from 3 classes in Seoul K Elementary school.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development and application process, we analyzed how the program is suitable for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practice and how it gains meaning about the curriculum transformation. Second, as a result, to see whether the attitude to practice social justice is cultivated. To do this, we collected data, such as participation observation and in - depth interviews by researchers, reflection diaries of students and teachers, and learning outcomes, and analyzed the results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e first research question are summarized in five points.First, the Carnival must be designed in relation to art creation. Second, the instructional design of the learning contents need to consider five factors of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critical awareness and promotion of social practice, transformation of curriculum, transformation of structure, and transformation of paradigm. Third, the program should be designed based on seven instructional design principles and strategies. Fourth, teachers need to actively utilize museum-related education at a level where there is no partnership with the curator. Fifth, the concept of justice was formed. Sixth, interest in political and social issues was promoted. Seventh, resistance to injustice and subversive imagination were expressed. The above results gave us a reason why we should actively practice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in our current classroom.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contributes to the growth of citizens with an attitude of social justice. Carnival Pedagogy is a teaching method suitable for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which not only criticizes and dismantles its own life, but also stimulates social participation and practice through the characteristic of expressing the joyful imagination of Carnival. This study suggests that the program will be started, and critical multicultural education will be activated in our classrooms.

      • 다문화 감수성 신장을 위한 다문화교육용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의 효과 분석

        고관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다문화 감수성 신장을 위해 다문화교육을 실천하는 초등학교 교육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서울교대와 한국산업은행 대우증권이 협업하여 개발보급된 다문화교육용 애니메이션 중 하나인 초등 다문화교육 길라잡이 시리즈1: 애니메이션과 함께하는 다문화이해(2013)가 효과가 있는지 또한 구체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하는 연구이다. 일반 아동들에게 체계적인 다문화교육용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을 정규 교육과정을 통해 경험하게 함으로써 그 효과성을 입증하고, 다문화 감수성 신장을 포함한 다문화 인식 및 교육 발전에 기여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다문화 감수성 신장을 위한 다문화교육용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을 어떻게 수업에 적용할 것인가? 둘째, 다문화교육용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의 적용이 초등학생들의 다문화 감수성에 유의미한 영향을 주는가? 이러한 연구문제의 해결을 위해 다문화 감수성의 개념과 다문화교육용 매체에 관한 선행연구를 검토한 뒤 이를 토대로 다문화교육용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21편 중 7편을 선정하였다. 그 후 체계적인 적용을 위하여 다문화 감수성 증진 수업모형을 이용한 수업안 설계 후, 2016년 4월-5월의 약 2개월간 10차시에 걸쳐 실험집단(초등학교 5학년 24명의 학생)에게 창의적 체험활동시간에 투입하였다. 또한, 실험집단과의 비교를 위해 동일 학년 1개 학급의 비교집단을 선정하여 일반 교육과정 내의 창의적 체험활동인 독서토론수업을 진행하였다. 이 두 집단에게는 다문화 감수성의 하위영역(개방성, 수용성, 존중성)으로 구성된 19문항의 다문화 감수성 설문지를 사전과 사후에 각각 실행하여 그 효과를 비교분석하였다. 이와 함께 양적 검사 보완을 위하여 학생 활동지 및 소감문 분석 등의 질적 검사를 함께 사용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다문화교육용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다문화 감수성 신장에 미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프로그램 실시 후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다문화 감수성 전체 점수 및 영역별 점수가 의미 있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다. 각 영역별로 모두 유의미하게 향상된 것으로 나타났으며 전체 다문화 감수성 점수에서도 79.83점에서 87.62점으로 큰 향상을 보였다. 둘째, 비교집단 학생들의 다문화 감수성 전체 점수 및 영역별 점수는 95%의 유의수준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나 실험집단의 효과가 다문화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의 효과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프로그램 평가표 및 수업 만족도 분석에서 실험집단의 학생들의 긍정적인 응답 및 태도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양적 연구는 다문화교육용 애니메이션 프로그램 투입여부가 학생들의 다문화 감수성 신장에 효과적임을 입장하는 결과이다. 이 외 학생들의 활동지 및 소감문을 다문화 감수성 하위영역을 기준으로 질적으로 분석한 결과에서도 각 영역에서 다문화 감수성의 의미 있는 진전을 보여주었다. 애니메이션 프로그램의 교육적 효과에 주목하여 다문화 감수성 신장 수업모형에 적용하여 다문화 감수성의 각 하위영역을 신장시키기에 적합한 체계적인 수업안을 구안했다는 점에서 시사 하는 바가 크다. 본 연구가 초등학교 교육현장에서 다문화 교육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 한·미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교육 내용 비교 분석

        오경민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831

        이 연구는 앞으로 학교 현장에 적용될 우리나라의 2015 개정 초등 사회과 교육과정과 미국의 National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에서 다문화교육의 내용 반영 정도와 기술 양상을 파악하여 양국의 사회과 교육과정 내용의 비교를 통해 우리나라 초등 사회과 교육에서의 발전적인 다문화교육의 방향에 대한 시사점을 찾고자 하였다. 이에 대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에 비해 우리나라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는 다문화교육 내용을 반영하는 정도가 더 낮게 나타났으며 이는 우리나라의 초등학교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을 실현하기 위해 단순히 다문화교육의 내용을 양적으로 확대시켜야 한다는 것을 넘어서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의 목표와 내용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균형 있는 내용 선정을 위해 ‘정체성’에 대한 내용을 보다 직접적이고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셋째,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다문화교육을 위한 균형 있는 내용 선정을 위해 ‘문화’에 대한 본질적인 내용을 보다 구체적으로 제시할 필요가 있다. NCSS에서는 문화 자체에 대해 비중 있게 다루며 본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통해 문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문화의 다양성에 대한 학습을 제시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과정에서 문화에 대한 본질적인 접근이 필요하다. 넷째, 전 학년에 걸쳐 다문화교육의 다양한 영역을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맞추어 고르게 내용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효과적인 다문화교육을 위해 다문화교육의 전체 영역이 학생들의 발달 단계에 맞게 여러 학년에 걸쳐 심화되는 형식으로 제시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다섯째, 사회과 교육과정의 ‘역사 영역’에도 다문화교육 관련 내용이 포함되어야 한다. 단편적인 역사 지식의 학습을 뛰어 넘어 학생들이 역사 학습을 통해 정체성 영역뿐만 아니라 불평등을 극복한 역사적 사례를 통한 인권과 평등 영역의 내용이 교과서나 수업에서 반영된다면 역사 단원에서 또한 다문화 시민성을 기르는 다문화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다. 여섯째, 미국의 사회과 교육과정에서는 ‘문화의 다양성’을 학습하기 위한 시작으로 학급 친구들과 상호작용하며 또래 친구들의 문화에 기반 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발견한다는 접근에 주목하여, 우리나라 교육과정에서 문화의 다양성을 다른 지역과 세계의 범위에서 찾는 것에서 보다 학생들의 주변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범위와 내용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동향 탐구 : 석사학위 논문(2010-2019)을 중심으로

        김미우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research trend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and to explore the direction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focusing on master's theses submitted from 2010 to 2019. Multicultural education has been emphasized continuously from the 7th curriculum to the 2015 revised curriculum, which has promoted the gradual progres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search. This study analyzed 100 master's theses in music education major by setting four classification criteria such as year, object, research subject, and music pedagogy area. First, the annual analysis showed that the number of master's theses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was the highest at 17 in 2010, and the number of researches in the first half of 2019 was only five, falling to 70.6% in 2010. Second, the analysis of the objects of researches showed that 58% of them were conducted on middle school students, followed by elementary school students 18%, high school students 15%, multicultural students 7%, teachers 3%, others 3%, and infants 1%. Third, analysis of the research subjects revealed that 68% of them were conducted about teaching methods, followed by 22% for textbook research, 8% for education status survey, and 8% for education review, respectively. Research subjects tended to be biased toward teaching methods and textbook research, which were repeated, and similar subjects on the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Fourth, analysis of the areas showed that 63% of the researches were done in the areas of music class design and teaching methods, followed by 21% in music curriculum, 7% in music education and sociology, 3% in music education psychology, 3% in music education engineering, 3% in others, respectively. Researches belonging to the class design and teaching methods were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arning activity content system of the current curriculum, followed by 56% in expression area, 28.4% in appreciation area, and 15.6% in a way of life area. Studies belonging to the class design and teaching methods were reclassified according to the learning activity content system of the current curriculum, followed by 56% in expression area, 28.4% in appreciation area, and 15.6% in everyday life area. The results of the classification by four tasks of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revealed that researches focused on the cultural sphere, showing that 64.5% of classes contained cultural areas, 23.3% in history and social areas, 12.2% in educational areas, and 0% in political areas. Based on these results of the analysis, the following suggestions are made on the direction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First,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infants and lower grade elementary school students, multicultural students and teachers in order to achieve a balance of research subjects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Second, research subjects in the areas of music education engineering, music education psychology and music education sociology are required for diversity and expansion of research subjects. In particular, research in the field of music education and engineering is needed in preparation for the education system that will change due to the influence of the upcoming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As there are no cases of research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using actual released applications, we look forward to studying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using applications that help cooperative activities, even if they are not music-related applications or music released on the market. Third, more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on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that combines other arts and other subjects. Multicultural music education should be a means of understanding history and social background, not only to the extent of other cultural experiences through music in other countries, but also to contribute to solving problems in the political realm. 본 연구의 목적은 2010년도부터 2019년까지의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동향을 파악하고 다문화 음악교육이 나아갈 방향을 탐구하는 것에 있다. 다문화 교육은 7차 교육과정부터 그 중요성이 대두하기 시작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이르기까지 계속해서 강조되어왔으며 이와 관련하여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도 꾸준히 진행돼왔다. 본 연구에서 음악교육 전공의 석사학위 논문 100편을 대상으로‘연도’,‘대상’,‘연구주제’,‘음악교육학 영역’ 등 4가지의 분류기준을 세워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도별 분석결과 다문화 음악교육을 주제로 한 석사학위 논문은 2010년에 17건으로 가장 많았고 이후 지속해서 줄어 2019년도 상반기 연구 수는 5개에 그쳐 2010년도 대비 70.6% 하락하였다. 둘째, 대상별 분석결과 중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58%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이어서 초등학생 18%, 고등학생 15%, 다문화 학생 7%, 교사 3%, 기타 3%, 유아 1% 순으로 나타나 연구대상이 중학생에 편중된 경향을 알 수 있다. 셋째, 연구주제별 분석결과 다문화 음악교육의 수업 지도방안을 제시한 연구가 68%로 가장 많으며 다음으로 다문화 음악교육 교재연구 22%, 다문화 음악교육 현황조사 8%, 다문화 음악교육 고찰 8% 순으로 나타났다. 연구주제가 수업 지도방안과 교재연구에 편중된 경향을 보였으며 그 안에서도 비슷한 주제의 연구가 반복되는 문제점이 보였다. 넷째, 음악 교육학 영역별 분석결과 음악 수업설계 및 교수법 영역이 63%로 가장 많은 연구가 이루어졌다. 이어서 음악 교육과정 영역이 21%, 음악교육사회학 7%, 음악교육심리학 3%, 음악교육공학 3%. 기타 3% 순으로 나타났다. 수업 설계 및 교수법에 속하는 연구를 현 교육과정의 학습활동 내용 체계에 맞추어 분류한 결과는 표현 영역 56%, 감상 영역 28.4%, 생활화 영역 15.6% 순으로 나타났다. 다문화 음악교육의 4가지 연구과제별 분류 결과는 문화적 영역을 담은 수업이 64.5%, 역사 및 사회적 영역 23.3%, 교육적 영역 12.2%, 정치적 영역 0%로 나타나 문화적 영역에 치중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앞으로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첫째, 연구대상의 균형을 이루기 위해서 유아와 초등학교 저학년 학생, 다문화 학생, 교사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연구주제의 다양성과 확장을 위해 음악교육공학, 음악교육심리학, 음악교육 사회학 영역의 연구주제가 요구된다. 셋째, 협동학습을 접목해 다문화 음악교육 연구과제의 교육적 영역을 확장해야 한다. 넷째, 융합교육의 형태로 나아가야 한다. 타 예술이나 타 교과를 융합해 역사 및 사회적 배경을 더 이해할 수 있도록 하고 더 나아가 정치적 영역의 연구과제도 담아낼 수 있어야 한다. 다문화 음악교육이 다른 나라의 음악을 통한 타문화체험의 정도에 그치지 않고 다문화 음악교육의 연구과제인 교육적, 문화적, 역사 및 사회적, 정치적 영역에 고루 걸쳐 균형적 형태로 발전되어야 한다.

      • 다문화감수성 함양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 적용

        김지혜 서울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고학년의 다문화감수성 함양을 위하여 교육연극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적용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는 데 있다. 다문화감수성 함양을 위해 초등6학년 27명을 대상으로 정성적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다문화감수성 함양을 위한 교육연극프로그램은 어떻게 구성되어야 하는가? 둘째, 다문화감수성 함양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이 초등고학년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프로그램은 40분씩 총 11차시에 걸쳐 프로그램이 개발되었으며 1차시에서 7차시는 대면수업으로 학교 교실에서 진행되었으며, 코로나19로 인해 8차시부터 11차시는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하였다. 비대면 수업을 위해 참여자들은 온라인 프로그램 줌(ZOOM)을 통해 연구에 참여하였다. 본 연구는 사례 연구로써 연구 진행을 통해 얻은 녹화자료, 사진, 음성 자료, 활동지, 성찰일지, 인터뷰 등의 정성적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역할입기를 통한 참여자들이 공감능력이 형성되었다. 둘째, 친구에 대한 의미와 가치를 인식하게 되었다. 셋째, 다문화 문제에 대한 관심과 인식이 확장되었다. 본 연구가 가지는 시사점으로는 첫째, 6학년 국어과 연극단원의 교과와 연계하여 다문화감수성 함양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했다는 점과 둘째, 사회적 이슈가 되는 실제 다문화 차별과 관련된 사건을 과정드라마로 다룸으로써 참여자들이 현실감 있게 다문화에 대해 인식하게 되는 계기를 마련했다. 셋째, 다문화감수성 함양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을 대면, 비대면 수업으로 진행하는 수업방식의 범위확장으로의 가능성을 발견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한 제언으로는 첫째, 다문화감수성 함양을 위한 교육연극 프로그램의 정성적 연구가 지속적으로 개발 될 필요가 있다. 둘째, 청소년 시기에 맞는 다문화감수성 함양 교육연극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할 필요가 있다. 셋째, 다문화감수성 함양을 위한 교육연극프로그램을 온라인 수업으로도 진행할 수 있는 커리큘럼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본 연구는 초등고학년의 다문화감수성 함양을 위한 교육연극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는 것에 의미가 있으며, 교육현장에서 비 다문화 학생들의 다문화감수성함양에 대한 수업방안을 제시함으로 앞으로의 다문화감수성 함양 교육연극프로그램이 다양하게 개발되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