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기업 메세나의 예술지원 현황 및 예술후원 제도화 방안 연구

        이주현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국내외 메세나 활동 현황과 사례를 알고, 예술문화에 기업의 지원현황과 예술후원에 대해 연구하여 구체적으로 현재 메세나활동이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는 국내외 메세나 활동의 현황을 파악하고, 또한 기업 문화예술지원 형태를 알고 어떠한 조건에서 잘 이루어질 수 있는지에 대한 향후 과제를 연구함으로써 기업지원을 통한 예술문화의 방향을 제시하기 위해 문헌연구와 관련 자료 및 조사연구의 방법을 병행하였다. 현대는 과학문명의 발달로 우리의 생활을 풍족하고 편리하게 만들어 주면서 이미지, 이야기, 감성 등이 중시되는 문화의 시대로 접어들고 있다. 문화관광부는 『문화강국 C-KOREA 2010』이라는 비전을 제시하며, 창의성(Creavity), 문화(Culture), 컨텐츠(Contents)를 활용하여 문화관광레저스포츠산업을 육성, 상호연계를 통한 시너지 창출의 계획을 내놓았다. 이처럼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21세기를 ‘문화의 세기’라 부르며, 사람들은 일상생활에서 여유를 느끼고 여가시간을 유용하게 보내고자 하는 욕구들이 생겨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다. 예술에 대한 기업과 정부의 지원은 기업의 입장에서 보면 사회적 참여의 기회를 넓히는 계기가 되고, 문화예술인에게는 창조적인 작품 활동을 하는데 보다 실질적인 도움을 주게 되어 일반관객에게 더욱 알차고 완성도 높은 작품을 보여줄 수 있다. 또한 정부의 입장에서는 예술지원을 통해 교육, 외교, 경제 분야까지 유기적인 파급효과를 얻게 된다. 메세나 전략은 기업의 명분에 따라 선정되어야 하지 특정 예술분야에 치우쳐서는 곤란하며 기업의 경우 지원방식 채택과 관련, 다른 기업과 차별화 된 정책을 시도할 필요가 있다 또한 장기적인 전략으로 예술창조과정의 초기부터완성, 작품배급에까지 장기적으로 책임을 지는 것이다. 지식 정보화시대에 기업문화를 정착하고 예술의 재정적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공생 할 수 있는 전략을 세워야 한다. 우리나라에서 기업의 메세나 활동이 효율적으로 추진되기 위해서는 매해 매출액 또는 추정이익의 일정한 비율을 메세나 활동예산으로 책정해서 계획된 활동을 지속적으로 추진해 나가야 한다. 메세나 홍보와 더불어 일반 대중들로 크게 확대됨에 따라 메세나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도우고 메세나 관련 전문지로서의 정보를 제공하고, 해외 메세나 동향을 전하는 등 메세나의 저변 확대에 힘써야 하고, 그간 혼용되었던 문화마케팅의 개념을 기업의 예술 활용 관점에서 정리하고, 기업 문화마케팅의 개념에서부터 실행 전략, 그리고 국내외 다양한 문화마케팅 사례까지 설명하여 문화마케팅을 도입하고자 하는 기업인들 뿐 아니라 기업의 문화예술 협력 필요성을 이해하려는 문화예술계 종사자들에게까지 유용한 자료로 활용되어야 한다. 기업의 지원은 흔히 협찬으로 대표되지만 실제로는 다양한 유형의 지원이 가능하다. 기업으로 부터의 재원 조성은 먼저 지원 내용의 가시성과 대가성의 여부에 따라 후원과 협찬으로 구분될 수 있다. 두 번째로 직접 현금으로 지원하는 지의 여부에 따라 현금 지원과 비 현금 지원으로 구분할 수 있으며, 세 번째로 지원의 목표와 대상을 기준으로 하여 운영비 지원과 사업비 지원으로 구분해 볼 수도 있다.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 조건부 기부금을 기탁한 기업은 392개사로 2007년도(317개사)보다 23.7%가 증가 하였다. 2008년도 기업의 문화예술지원현황은 총 469개 기업이 2,402건의 사업에 대해 약 1,659억 원을 지원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기업 당 평균 지원금은 15억, 건당 평균 지원 금액은 8천 2백만 원으로 나타났다. 2008년 문화예술지원 실적이 있는 한국메세나협의회 회원사 수는 63개사, 한 기업 당 평균 22억 원을 지원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는 비회원사보다 평균 지원 금액에 있어서 약 5배나 높은 수치이다. 기업의 공연예술 지원과 관련, 무용예술 분야는 다른 장르에 비해 상대적으로 열세이다. 그것은 기업 스스로가 무용이 대중화의 정도에서 상대적으로 미약하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일반적으로 기업에서 무용계에 재정적인 지원을 하는 형태는 페스티벌 형태의 공연, 외국 무용 단체의 내한공연, 직업 무용단의 신작 공연으로 나뉜다. 2007년 무용공연은 모두 1,775회로 2006년 2,085회보다 310회 감소했으나, 공연건수는 1,165건으로 2006년 1,057건보다 108건이 증가했다. 기업의 문화예술 분야별 기업의 지원현황을 보면, 미술/전시 163.1%, 문화예술교육 90.5%, 무용 67.9%, 연극 26.5%의 순으로 높은 증가율을 보였다. 미술, 무용은 2007년에 60∼600% 가량의 감소율을 기록했던 분야였으나 2008년에 들어서 지원의 회복세로 돌아서고 있다. 이는 한국무용협회 등 공연예술종사자들이 극심한 지원 난을 공론화 시킨데 따른 정부의 무대예술 특별 지원책에서 비롯된 것이라 생각된다. 기업메세나 확대 방향으로 정부는 민간부문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세제상 각종 혜택과 유인 정책들을 마련하고 있다. 가장 대표적인 것은 기업이나 개인이 문화예술분야에 지원하는 자금을 일정 한도 내에서 손금산입(損金算入)하는 것이다. 그리고 기업이 속한 지역사회의 발전과 문화수준의 향상이 기업 시장의 윤활유로서 예술문화단체가 공공지원, 민간지원, 독립적 지원 세 부문에서 고루 지원을 받을 수 있다면 정부에만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소신 있는 활동을 지속할 수 있게 되며 이는 곧 다양하고 수준 높은 문화예술 프로그램의 창출을 가능하게 하는 방법이 되는 것이다. 메세나 운동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문화예술단체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체계적으로 기금개발을 해야 하며 기업의 지원을 유인하고 지역발전에 기여할 프로그램을 도입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무용예술 단체가 스스로 기업 지원에 대한 유익한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 스스로 조직을 체계화하고 기업에 대한 설득을 좀 더 효과적으로 할 수 있도록 인적, 물적 기반을 확충하는 것이 절실하다. 2008년도 기업들은 문화예술지원 활동의 문제점으로는 ‘기업 내의 자금부족’이 29.4%로 가장 많이 지적되었고, ‘사내 문화예술지원 활동에 대한 이해부족’이 13.7%, ‘문화예술가/단체의 정보부족’이 12.7%, ‘전담부서나 전문 인력의 부족 11.8% 큰 문제점으로 꼽았다. 이들 문제점들은 대부분 기업 내적인 측면에서의 한계점들로써 앞으로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이 확대되기 위해서는 기업 내부의 문화예술지원에 대한 인식전환 및 이해도 제고가 필수적인 사항임을 고려해야 할 것으로 해석된다. 문화예술 지원 동기로는 ‘지역 사회공헌’이라는 응답이 36%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기업이미지 제고‘가 35%, 문화예술계 발전’ 17% 순으로 나타났다. 기업은 문화예술지원을 통해 기업 이미지 제고와 같은 기업의 마케팅 성과뿐만 아니라, 지역 사회공헌과 문화예술발전이라는 사회적 후생(social welfare)도 증가시키는 사회적 마케팅 콘셉트(social marketing concept)를 실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기업과 예술의 만남을 통하여 기업과 예술단체가 한 자리에 모여 결연을 표함으로써, 지속적이고 전략적인 파트너십 관계를 공고히 하고 기업의 예술의 지원 및 협력에 대한 사회적 관심을 확대하고 행사는 더 활발히 이루어져야 하며, 대기업-예술단체 기업에는 창조적 문화를 심고, 예술에는 안정된 창작활동을 지원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하여 기업과 예술단체 모두의 성공전략으로 자리 매김할 수 있어야 한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 볼 때, 메세나 활동과 같은 보다 체계화된 단체가 더 활동하여 문화예술과 무용공연에도 지원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고 생각된다. 또한 기업의 문화예술 분야로의 지원과 노력이 학교무용 뿐만 아니라 공연무용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고 문화예술 전반의 입장에서는 기능적, 구조적으로 사회와 서로 상호 연계적으로 발전시켜나가는 것인 매우 중요하다고 사료된다. In modern days, the development of science civilization has resulted into making our lives more convenient and abundant which directing to the cultural era that emphasizes the importance of image, discourse, emotion, and etc. Cultural arts transfer the theory and significance beyond which cannot be educated by general instruction and information available. This study aims for focusing on the current status of Mecenat activity and its examples and also the current status of the general support and sponsorship in arts from enterprises in Korea. Specifically, it endeavors to assess the current activities from Mecenat whether they have been successful at home and abroad or not, Furthermore, it intends to study on the framework of the enterprises supporting in cultural and artistic aspects and which conditions they perform best. To suggest the best direction for the issue, a literature review and relevant references and the method of the research have been demonstrated in this study. From the enterprises’ perspectives, the support for arts by both private and government would provide and broaden the range of opportunity available to participate socially. From the artists’ perspectives, this would also provide a direct support for their activity in creative works which a high quality of their works can be expected by the public. Moreover, from the government perspectives in the support for artistic and cultural aspects, prominent outcomes can be expected by influencing contribution into education, diplomatic relationship, economy, and other privotal areas. Like the present days, especially during the time which creativity governs predominantly, the manner and stage of artists which were trained for last hundred years should be emphasized. This value of attitude could offer the foundation of creativity which are desired by many enterprisers, This meant understanding and interpreting the creativity factors from artists are essential since this significantly contributes enterprisers to acquire originality and creativity. Mecenat strategy should be determined by enterprises’ moral obligation. Being partial toward a certain aspect of art should be avoided. Especially in enterprises’ case, distinctive policy should be attempted for the method related to the support and its adoption. Moreover, as for a long-term strategy, enterprises must be responsible for the process of a creation of art from the beginning to the completeness and also its distribution. A commensal strategy should be invented to solve the financial difficulty toward supporting arts aspects and also to establish the cultural aspect of enterprise especially during this intellectual and informative modern days In Korea, to promote the mecenat activity to be more efficient and effective, annual sale records and estimated profits should be shared proportionally to continue the planned activity Together with advertisement for the mecenat and expansion of public, promotion for understanding of their activity is indicated by providing related specialised information. An attempt should be made to broaden area of influence under the Mecenat activity by communicating with overseas countries to inform its current trends and status. Meanwhile, organization of concept toward cultural marketing is encouraged in the aspect of practical use of artistic activity by enterprises and followed by establishing its action plan. This is to further prevent confusion toward establishment of the concept. In addition, successful instances including variety of a cultural marketing strategy at home and abroad should be demonstrated. This will be an invaluable material for the best practical use not only for the enterpriser who intends to induce this strategy, but also for the people who attempt to understand the necessity of cooperation in both cultural and artistic aspects supported by enterprises. In conclusion from this study, a more systematized organization than the Mecenat activity should be established to maximize support on the aspects of cultures and arts such as dance performance. Furthermore, supporting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by enterprises should be promoted with a great effort. Hence, this would contribute significantly into the development of dance performance including school dance and others. Overall, functional and structural interaction which is closely connected within a community should be strongly highlighted for future development in this field.

      • 기업메세나 활동이 조직 동일시 및 노사관계 만족에 미치는 영향 : H 사 문화센터 운영을 중심으로

        문동주 울산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연구의 목적은 어려운 기업환경에서 메세나 운동이 얼마나 중요하며 선택이 아니라 꼭 해야 하는 기업의 본연의 임무라는 것을 기존 연구에 추가하고 싶었다. 현대중공업은 중후 장대한 산업이며 내수가 아닌 수출을 주로 하는 기업으로 45,000명(협력사 포함)이 근무하는 노동집약적이며 기술집약적인 기업이라 볼 수 있다 이러한 기업은 자칫 영업, 설계, 생산, 관리의 중요성만 부각될 수 있는데 현대중공업에서 운영하는 7개 문화센터가 얼마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가와 내부직원들이 열악한 환경에서 제조부서가 아닌 서비스업에 근무하면서 업무에 대한 자긍심, 회사에 대한 애사심이 부족하여 이것을 내외에 조사, 정리, 분석 계수화 하여 모든 고객들에게 알려주고 싶었고 사명에 대한 용기를 불어넣어 가장 극렬했던 회사가 16년 노사무분규 회사로 탈바꿈하는데 큰 기여 했던 점을 알려주고 싶었다. 문헌적 고찰에서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지속가능 성장의 필수적인 것이 메세나 운동의 동기라 할 수 있다. 국내외 대표적인 기업 중 사회공헌적전략, 마케팅전략, 경영전략적 차원에서 하는 메세나 운동의 사례를 살펴보았다. 각 기업마다 동기, 방법, 전략등 각기 다르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현대중공업의 메세나 운동의 동기, 시대적 상황, 운영상의 특징, 활동상황, 문화센터 현황을 살펴봄으로써 구체적인 메세나 운동의 과정을 정리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은 첫째, 문화센터 외관이 문화센터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둘째, 문화센터 서비스가 문화센터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셋째, 문화센터 접근성이 문화센터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라는 가설은 서비스, 외관, 접근성 순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왔다. 특히 서비스의 중요성이 부각됨으로 좀 더 구체적인 실행방안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얻었다. 넷째, 문화센터 만족도가 조직동일시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가설은 본 연구자의 생각과는 다르게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왔다. 중요한 사실은 두 변수의 조절효과로 문화센터 운영동기 중 이익지향 동기가 높을수록 조직 동일시에 상대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회사의 이익을 사회에 환원하는 것 중 문화센터 운영에 투자하는 것이 회사이익에 중요하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다. 다섯째, 조직 동일시가 노사관계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조직 동일시가 노사관계만족에는 영향이 많으므로 조직 동일시에 관계되는 회관운영 및 PGM개발을 해야 되겠다는 결론을 얻었다. 본 연구는 내부직원에게는 자긍심을, 회사 직원들에게는 회관의 중요성을 주민들에게는 기업의 고마움을 아는 계기가 되었으면 하고, 새롭게 메세나 운동의 일환으로 공연장, 미술관, 스포츠, 문화교실을 운영하고자 하는 기업에게 설립의 동기, 운영방법 등에 얼마나 중요한 요소인가 알려주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 메세나 활동이 기업이미지 형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 전통음악극과 대중음악극을 중심으로

        손민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제 문화예술은 고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원동력이자 시대를 이끌어갈 원 천으로 주목받고 있다.그러나 일찍이 보몰과 보웬의 연구에서 지적되었듯 이 문화예술이 가진 경제학적 한계로 인해 시장에서의 자생력이 부족한 것 이 사실이다.이러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해 공공지원이 많은 부문에 걸쳐 이뤄지고 있으나,공무원의 비전문성과 지원금 분배의 불균형 등 정부 지 원의 문제점이 드러나기 시작하였다.따라서 민간부문의 지원이 주목받고 있으며,개인 후원문화 정착이 미흡한 국내에서는 특히 기업의 문화예술 지원 활동인 메세나가 기업의 사회공헌 의무화와 함께 더욱 각광받고 있 다.국내에서도 1994년 한국메세나협의회 설립 이후 꾸준히 메세나 활동이 이어져 오고 있으며,외부의 영향을 많이 받던 과도기적 시기를 지나 2003 년부터는 비교적 안정된 지원규모를 보이기 시작했다.그러나 지원 분야에 있어서 미술전시와 서양음악,인프라 부문에 70%이상이 편중되는 문제점 을 안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뮤지컬을 필두로 최근 커지고 있는 국내 공연예술 시장 에 주목하고 대중음악극과 전통음악극에 대한 지원이 기업이미지 제고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실증적으로 연구하였다. 이를 위하여 국내의 공연예술 시장 현황을 분석하여 그 규모와 문제점, 발전 가능성을 살펴보았다.또한 국내의 메세나 현황을 분석하여 지원 동 기와 지원 규모,지원 분야별 편중성 정도를 파악하였다.이를 바탕으로 기 업의 이미지 제고에 있어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활동인 메세나가 긍정적 영 향을 미칠 것으로 판단하고,실증적 연구를 위한 연구변인과 가설을 설정 하였다.연구 방법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 방식으로 이뤄졌으며,뮤지컬과 창극을 관람한 경험이 있는 관람객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T-test와 일원변 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선호도에 있어서 대중음악극인 뮤지컬이 전통음악극인 창극보 다 높게 나타났으나,메세나활동인식과 기업이미지 평가는 전통음악극인 창극의 경우에 높게 나타났다.이를 세부적으로 살펴보면,비즈니스 행위요 인 평가의 경우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사회적 행위요인 평가 와 지역사회공헌 행위요인 평가에 있어서 전통음악극인 창극의 경우에 더 높게 나타났다.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기초(순수)예술지원 활동을 통해 기업은 높은 기업이미지 제고 효과를 기대해볼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문화예술 발전을 도모할 기초(순수)예술에 대한 지원으로 기업 메세나의 공정하고 균등한 지원 정착과 이를 통한 문화예술계의 발전,국민의 문화 예술 향유 기회 확대라는 선순환 구조가 확립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메세나활동 지원에 관한 법률안’을 통한 조세 혜택과 함 께 국·공립 공연장의 ‘창작예술쿼터제’도입 등 정책적 지원 역시 함께 이 뤄져야 하겠다. 문화예술계와 메세나 지원을 하는 기업 모두 효율을 극대화할 수 있는 정확한 대상의 선정과 체계적인 기획으로 메세나 활동을 지속한다면,보다 발전되고 안정된 문화예술 지원이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이라 생각한다.

      •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의 활성화 방안 : 외국 메세나기관과 국내 관련 법인의 모델링을 통한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의 재단법인화 추진 방향

        송경희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 세계는 무한경쟁의 시대로 돌입하였으며, 이러한 시대에 기업이 살아남기 위해서는 기존의 대응방식이나 안일한 발상, 비창조적인 기업전략으로는 곤란하다. 따라서 경영전략으로서의 문화예술지원과 투자의 가치가 새롭게 부상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기업의 문화예술지원활동은 대부분 합리성을 확보하지 못하고, 혈연·지연·학연 등을 통한 로비활동에 많이 의지하고 있는 것 또한 사실이다. 이러한 원인은 무엇보다도 기업이 현 예술단체에 대한 객관적 자료가 미비하고, 이를 평가할 기준이나 전문인력까지도 부족한 상황이며, 우리나라 예술단체의 안이한 행정 능력과 그나마 그 단체를 운영해 줄 전문예술행정인력자체가 부재하기 때문이다. 이런 우리의 상황을 좀 더 발전된 방향으로 모색하기 위해서, 우리의 기업과 문화예술의 상호협력 관계의 개선을 도모하기 위해서 탄생한 것이 바로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의 발족이라 하겠다.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는 '문화예술에 대한 국민의 인식을 제고하여 문화예술의 저변확대를 기하고 우리나라 경제와 문화예술의 균형적 발전에 기여'라는 설립목적을 가지고 1994년 4월 18일에 비영리 사단법인으로 창립, 출범하였다. 그로부터 8년간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는 많은 연구와 홍보사업을 진행하여 왔지만, 예술단체들의 메세나협의회의 활동에 대한 인식부족과 97년 IMF 이후 나라경제의 부실로 협의회를 지탱하고 있는 회원 기업들의 소멸과 경제적 악 여건으로 메세나활동이 활성화되기 전에 같이 동반하락 하는 상황을 맞게 되었다. 1994년 이후 8여년의 기간이 지났지만, 현실적 상황은 8여년간의 기간에도 불구하고, 사회적으로 기업메세나라는 용어의 필요성에 공감하지도 못한 채 정부의 방침에 호응하여 메세나 운동에 참여해온 기업들의 참을성도 이제는 한계에 이른 것으로 생각된다. 그 결과 메세나운동을 주도하는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에 대한 기업들의 참여도가 점점 낮아져가고 있으며, 이것은 전체 회원사의 50%~60% 정도의 회비납부율로 알 수가 있을 것이다. 이런 상황에서 협의회의 기본운영조차 힘든 것이 자명한 사실이며, 협의회의 운영자체가 갈피를 못 잡게 되었고, 협회자체의 존립 이유에 대해 많은 기업들이 의문을 제기하고 있는 상황이다. 현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는 과연 누구를 위해, 무엇을 위해 존재하는가에 대한 의문을 갖게 하고 있으며, 그 이유는 협의회 설립취지에 대한 예술계와 기업들에게 기본적으로 메세나운동을 통해 회원기업과 문화예술계에 이익을 주기 위해 존재하고 있다는 공감대를 끌어 내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현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가 가지는 큰 문제는 실효성 있는 예술지원체계의 툴도 없을 뿐 아니라 그런 일련의 사업을 하기 위한 조직의 체계나 환경여건이 조성되어 있지 않다는 점이다. 조직의 운영비조차 감당해내지 못하는 조직에서 그 위에서 다른 사업활동을 바란다는 것은 어불성설(語不成說)인 것이다. 따라서 안정된 조직체계의 설립이 우선이며, 그 안정된 조직 위에서 기업과 문화예술 모두를 위한 지원사업을 수행되어야 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상적인 모델링 방안으로 3가지의 조직 방안 -①특수법인화 방안, ②일반비영리재단법인화, ③현 법인의 산하단체화-과 2가지의 사업 방안 -①문화예술인증시스템, ②기업메세나기금활용시스템-을 모색해 보았다. 물론 조직형태가 꼭 재단화를 이루지 않는다 하더라도 조직의 운영재정만은 확실히 확보되어야 하고, 거기에 따른 전문인력들의 대거 등용이 필요하다 하겠다. 아무리 재정이 확실히 보장된다 하더라도 전혀 기반지식도 갖지 않은 인력이 중요한 업무총괄과 사업을 운영한다는 것은 협의회를 다시 원점으로 돌리는 것과 같다 하겠다. 이런 일련의 안정적 기반 위에서 메세나의 본연의 업무인 기업의 문화예술지원에 관한 체계적인 시스템을 개발 운영한다면 한국의 기업메세나활동도 대안이 없는 것은 아니라 하겠다. 앞에서 개발한 시스템의 운영으로 기업은 기업메세나에게 매년 초 그 해에 책정된 문화예술부문 지원 예산부분을 기탁하거나 홍보비 규모를 알려주어, 이를 어떤 분야의 예술에 지원하고 싶으며, 그 대가로는 어떤 형태의 혜택(예를 들어, 입장권, 사원 혹은 고객들을 위한 특별공연, 프로그램 등 홍보물에 대한 홍보문구 삽입 등등)을 바라는가에 관한 구체적인 조건을 이야기해주면 되는 것이다. 그리고 기업메세나는 이러한 기업들의 지원프로그램 운영 위탁을 받아 문화예술단체로부터의 지원신청을 받고 이를 평가하여, 과연 어떤 문화예술단체가 그 기업의 이미지 제고와 홍보에 가장 적합할 것인가에 관하여 기업의 요청사항에 맞게 검토·심의한 뒤 그 평가보고서를 기업 쪽에 제출하여 기업의 이미지마케팅에 필요한 데이터로써 이용하게 하면 되는 것이다. 이 같은 지원시스템을 취할 경우 얻어지는 효과는 첫째 사적인 관계가 아닌 체계적인 지원 프로그램에 의해 지원함으로써 한정된 지원예산을 가지고도 효율적이고 합리적인 지원관행을 정착시킬 수 있으며, 둘째, 불필요하게 문화예술단체와 접촉함으로써 낭비되는 기업의 인력자원과 시간을 아낄 수 있다. 셋째, 지원내용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가 가능하다. 많은 문화예술단체들이 지원신청을 하고 이들 가운데 엄정한 심사를 거쳐 최종 지원대상자를 선발된다면, 예술단체뿐만 아니라 기업에게도 대단한 이벤트로 기업이미지 홍보에 기여할 수 있다. 넷째, 문화예술단체들에 대해서도 합리적인 지원신청 관행과 바람직한 재원조성 환경을 정착시킬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바람직한 재원조성 환경이 비단 현재보다 더 많은 수준의 지원이 이루어지는 환경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지원규모와는 상관없이 투명하고 체계적인 지원절차가 확립됨으로써, 우수한 문화예술단체들이 더욱 쉽게 재원조성을 해나갈 수 있고, 기업의 입장에서는 한정된 지원예산으로도 체계적인 분석자료를 통해 기업이미지 제고나 시장 확대에 보다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지원할 수 있는 그런 환경을 의미하는 것이다. 21세기 한국의 문화예술의 발전을 위해서는 정부와 기업, 예술계 모두가 함께 이끌어 나가야만 하는 중요한 시점에 서 있다 하겠다. 한국기업메세나운동의 활성화는 선진국으로 발돋음 하기 위한 도구이며, 한국기업메세나협의회의 활성은 곧 우리나라의 경제와 예술의 균형적인 발전을 도모하게 되어 선진문화한국으로 나아갈 수 있는 중추라 하겠다. In this age of endless competition, former measures, a peace-at-any-price, and uncreative thinking way are obstructors against the development of an enterprise. Accordingly, it is a fact that support in culture and arts is getting more important. However, it is true that the supporting fund is not being managed well but rather depends on lobbyism through kinship, regionalism, and school ties. It is because most enterprises have not enough objective data about the present association of arts and the standard and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to evaluate it are insufficient, and also the idle attitudes of our country's arts association and the shortage of the experts who can manage that institutions are also the reasons. In this condition, one of the efforts to improve this situation is establishment of the Korean Business Council for the Arts. This council was started as a nonprofit corporation in April 18, 1994 with the aims of the organization, 'extension of the foundation of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and the balanced development of our country's economy and culture by inspiring the people. Although the Korean Business Council for the Arts has been carrying out related study and publicizing it, because of the lack of understanding about the activities of the organization and the financial difficulties of member companies after the import of IMF system in 1997, m c nat has faced crisis even before it is activated. Despite the 8 years after its establishment, actually it has been reached the limits of the patience of the companies that have been participated in mecenat just following the government's policy without sympathizing with the government about the necessity of m c nat. As a result, the participation of the leading corporations of the organization is getting depressed and the fact that the paying rate of the whole members is just 50~60% proved that. Under these circumstances, many questions about the possibility of the subsistence of the organization is being raised. Because the Korean Business Council for the Arts cannot evoke the companies' agreement about the purpose of the organization that aims at giving benefits to the members and help the field of culture and arts, the doubt about who and what the organization exists for is spreading over. The biggest problem of the Korean Business Council for the Arts is that the environment and system to administrate such business as well as efficient tools are not prepared. Expecting to start another business in the circumstances even operating capital is not enough does not hold any water. Therefore, founding a stable organization system takes first priority and on the basis of it, supporting business for companies and culture and arts should be proceeded. I have come up with 3 desirable concrete plans for organizing; ①making into special corporation, ②making into general nonprofit foundation, and ③making into a subsidiary foundation, and 2 plans for administration; ①the system of culture and arts authentication, ②the system of application of the fund of m c nat. Even if the form of the organization has not to be a foundation, the finance of the organization must be secured and also appointing professional labor is necessary. Although the problem of the finance is settled, that low-qualitied human resources who do not have any basic knowledge manages the business means returning the business to the beginning again. When the m c nat is administrated systematically on this stable foundation, there is some possibility for the Korean m c nat. Following the system referred to above, companies could inform the budget allocated to the area of culture and arts to the m c nat institution and then suggest the terms desired, for example, requiring admission tickets, a special performance for the staff or customers, and inserting commercial words. And the m c nat institution, commissioned to manage the supporting program of companies, could take the applications from the organizations of culture and arts and after evaluating which one is most suitable for improving the image of the company and publicizing it, submit the report to the company offering data helpful for the company's image marketing. The effects of this system are like following. First, the custom of support carried on efficiently and reasonably with limited budget can be settled through the systematic program rather than private relationship. Second, it will be able to reduce the human resources and time wasted contacting cultural institutions unnecessarily. Third, it can maximize the commercial effect of a company. If the cultural institution selected through strict screening takes the job, it will contribute to the betterment of the company's image as well as the cultural institution itself. Forth, it can settle a reasonable custom of application and the circumstances of resource creation. In this point, the reasonable resource creation does not mean making an environment that more support is given than now. Rather, regardless of the supporting scale, it means that superior cultural institutions can make up resources more easily and also the companies are able to improve their image and extend the market using well-organized reportwith a limited budget. It is time for the government, enterprises, and cultural organizations to cooperate all together for the development of the Korean culture and arts of 21th century. It could be said that the activation of Korean m c nat and the Korean Business Council for the Arts is the most important assignment to plan a balanced development of economy and arts and advance to a senior culture nation.

      • 기업메세나와 전통예술공연 활성화 방안 연구

        곽혜은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시대의 변화와 함께 문화는 새로운 국가 경쟁력의 결정요인으로 인식되고 있다. 현대 사회에서 기업은 경제의 중심을 차지하고 있다. 기업은 본연의 영리추구를 위한 활동 외에 공익을 위해 기업이 가진 보유자원을 활용해 사회를 풍요롭고 활기차게 유지할 책임이 존재하며 이러한 책임에 대한 사회적 요구는 점점 커지고 있다. 기업메세나는 기업의 사회적 활동과 차이가 있지만 홍보적 성격을 띤 사회적 활동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두산, 삼성 등의 대기업과 중소기업들도 포함되어 적극적인 활동을 수행하고 있다. 국내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1990년대 시작되어 2000년대 초반에 안정된 상황에 놓이게 된다. 월드컵과 같은 국제적 행사를 통해 많은 기업이 문화의 경제적 효과에 대한 관심을 높이기 시작했으며, 이러한 지원이 기업메세나 활동의 촉진을 유발했다. 문제는 기업메세나 활동의 지원 대상이 제한적이라는 것이다. 주로 미술, 서양음악, 문화예술 인프라 등의 분야에 집중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이러한 경향으로 문화예술 분야의 불균형 성장이 야기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기업메세나와 전통예술공연의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정책적 고려 사항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문헌연구를 진행하였으며, 국가별 메세나 정책과 사례도 살펴보았다. 또한 실증분석을 통해 기업메세나 활동의 인지도와 만족도도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총 5장으로 구성되었다. 연구의 구성을 살펴보면 제1장에는 연구의 배경과 목적, 연구의 방법과 구성등을 정리하였다. 제2장에서는 기업메세나 연구와 전통예술공연 연구에 대한 이론적 배경에 대해 기술하였다. 제3장에서는 기업메세나 현황과 각국의 메세나 정책을 살펴보고, 2016년 이후에 공연되고 있는 전통예술공연 프로그램을 소개하였다. 제4장에서는 기업메세나와 인지도, 그리고 만족도의 관계를 실증분석하였으며, 제6장에서 활성화 방안을 위한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면 기업의 메세나 활동의 수단으로 전통예술공연이 활용되어야 할 이유를 넒은 개념에서 다음과 같이 두 가지 이유를 제시할 수 있다. 하나는 전통예술공연을 기업이 마케팅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이다. 첫째, 기업은 전통예술공연은 마케팅 수단으로서 인식하고 있다. 기업의 소비자의 높아진 욕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다양한 마케팅활동을 수행하고 있으며, 전통예술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메세나 활동은 기업이 문화 활동을 지원함으로써 가치를 향상시키는 가치경영을 가능하게 한다. 둘째, 기업의 사회적 책임으로서 메세나 활동이다. 다변화되고 있는 기업의 경영활동에 문화적 요소를 결합시켜 기업의 높은 수준의 사회적 기업으로 변화될 수 있으며, 지속가능한 성장이 이어 갈 수 있다. 또한 전통예술공연은 인적자원의 잠재능력을 높게 끌어올려 내부 직원의 생산성 증대, 직원만족도 증가 등의 인적자원 활성화를 통해 조직경영 전략으로 활용될 수 있다.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330분가 배포되어 193부가 최종 분석되었다. 설문지는 5점 리커트 척도로 진행되었다. 설문지는 일반적 소비특성에 대한 분석과 인지도와 만족도에 대한 분석, 그리고 요인을 도출하여 연구가설을 검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활성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인지도 분석에서 공통성(communality)이 0.590로 0.4이상으로 나타남에 따라 측정한 자료가 요인분석을 실시하는데 무리가 없었으며 분석결과 ‘긍정적 인지’와 ‘정보와 관심’으로 이름을 붙였으며, 0.604의 신뢰도 계수를 나타냈다.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만족도 분석에서 공통성(communality)도 모두 0.568 이상으로 요인분석을 실시하는데 무리가 없었으며, 분설결과 ‘외부적 만족’과 ‘내부적 만족’으로 명명하였으며, 이 요인을 구성하는 문항들의 신뢰도 계수는 0.812로 나타났다. 전통예술공연을 활용한 기업의 메세나 활동에 대한 문항들에 대해 요인분석 실시 전 측정한 자료와 요인분석의 가정을 만족시키는지 알아보았는데, 분석 결과 두 가지 요인이 추출되어 ‘메세나 활동’‘메세나 효과’로 명명하였으며, 신뢰도 계수는 0.866으로 나타났다. 연구가설에 대해 검증한 결과 가설1은 ‘기업메세나 활동은 전통예술공연 인지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로 설정되었으며하였. 분석결과 부분적으로 정의 효과가 나타났다. 가설2는 ’기업메세나 활동은 전통예술공연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로 설정하였으며, 분석결과 메세나 활동 증가에 따라 외부적 만족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보였으나, 메세나 효과는 부(-)의 관계를 나타냈다. 가설3은 ’전통예술공연 인지도는 전통예술공연 만족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칠 것이다’. 로 설정하였으며, 분석결과 긍정적 인지와 정보와 관심 요인이 증가할수록 외부적 만족도 증가하는 정(+)의 관계를 나타냈다. 이상의 문헌연구과 실증연구를 바탕으로 기업메세나의 방법으로 전통예술공연을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전통예술공연 산업이라는 인식의 확대가 필요하다. 전통예술공연도 개인의 활동이라기보다는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산업적 성격을 각지고 있다. 둘째, 전통예술공연의 상품성 확보이다. 대중의 음악적 취향은 항상 변화된다.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 사회적 사상의 변화 등과 함께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관심도 꾸준히 변화되는 것이다. 셋째,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지원 확충이다. 전통공연에 대한 지원은 현대공연인 연극, 음악에 대한 지원보다 부족하다. 넷째, 전통예술공연의 유통경로 확보이다. 유통경로를 확보하기 위해서는 공연장 확충이 먼저일 것이다. 문화예술 공연장은 상품과 소비자를 연결시키는 매개체이다. 다섯째, 전통예술공연에 대한 홍보가 체계적이지 못하다는 점이다. 공연의 정보를 얻는 경로는 친인척이나, 동료 등의 주변 사람들에 권유가 많았다. 기업메세나를 통해 전통예술공연과 기업이 상생(win-win)하기 위해서는 기업과 문화예술계의 상호적 필요성을 인정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기업은 기업메세나를 통해 기업의 이미지, 사회적 기여 등을 통해 순수예술의 발전을 이끌 필요가 있고, 문화예술은 이러한 기업의 노력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 국내 기업메세나 활동의 추세변화 연구

        김혜원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2

        As culture and arts have emerged as an important measure of national competitiveness, national interest in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is growing around the world. Korean pop culture and arts is a new cultural phenomenon called ‘Hallyu’, which contributes greatly to national competitiveness and is at the center of the world‘s pop culture and arts. Pure culture and arts, the foundation of pop culture and arts, is also true that interest and demand have increased compared to the past, and capital and market related to pure culture and arts are rapidly growing. For the continued development of pure culture and arts in the growth trend, various options should be provided to the demander. Unlike popular culture and arts, which can be re-assisted by the demander, the present pure culture and arts market has been settled under a winner-take-all system, showing a deficiency of market expansion and diversity. This deficiency is subsidized by a wide variety of cultural and artistic support. The government proposed a mid-to-long term policy vision to gradually increase the cultural-related budget to 3 percent by 2030 from 「Culture with People_Culture Vision 2030」, but in reality, cultural-related budget is considered after the political, economic and social foundations and expansion of support are given priority. The reality is that support for culture and arts is likely to be the first to be cut when new issues such as lack of tax revenue or welfare, national defense and living support emerge. The creation of new resources is necessary to keep the culture and arts community from being swayed much by the scale of the nation‘s public support. In the end, private support is essential. And from a different perspective, private support is required for long-term support, depending on the attribute of cultural and artistic public support, which is not guaranteed continuity of support. In this paper, in order to study the ‘corporation mecenat‘, which refers to the support of corporations among private cultural and artistic support, the business type led by Korea Mecenat Association(mecenat agency in Korea) was investigated, and the scale of support was analyzed by project and field. Based on the quantitative outcome of the support scale, look into the current trends in the cultural and artistic fields. And focusing on the role among government, corporation, cultural and arts fields, which play the most important role in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and the three-way partnership relationship, the development method of corporation mecenat was studie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research, the corporation has been engaged in one-sided solicitation, individual approach, and patronizing positions, and has revealed limitations on the stability of support. It was confirmed that a paradigm shift was needed to supplement for these limitations. The government has been increasing accessibility to corporation mecenat and activities and encouraging corporations to voluntarily support them, but further policy-making seems necessary for gradual development. The government should play its role as an arbitrator in consideration of regional public corporations‘ mecenat expansion to bridge the regional gap in culture and arts, and the benefits of effective tax support for consume of culture and arts. Corporations should understand that culture and arts management is not an option but a necessity, and form a horizontal network so that corporations can benefit from culture and arts. It needs to change its perception that brings positive effects within corporations, such as construction corporate image through long-term interchanges and improving organizational confidence, rather than one-off sponsorship. The culture and arts field should strengthen trust with the corporation by approaching as a strategic partner,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trend of corporation mecenat and proposing programs suitable for the corporation, instead of hoping for temporary benefits. The development method presented in this study adds potential to the continuous development of corporate mecenat. In accordance with the suggest, the government-corporation-culture and arts circles hope to become a mutually beneficial partnership and carry out active corporate mecenat activities. Furthermore, becoming the key to enhancing the nation‘s cultural competitiveness and the development of culture and arts in the future. 문화예술이 국가경쟁력의 중요한 척도로 대두됨에 따라 전 세계적으로 문화예술의 발전에 대한 국가적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의 대중문화예술은 한류라는 새로운 문화적 현상으로 국가경쟁력에 큰 기여를 하고 있으며, 세계 대중문화예술의 중심에 서있다. 대중문화예술의 기반이 되는 순수문화예술 또한 과거에 비해 관심과 수요가 높아진 것은 사실이며, 순수문화예술과 관련된 자본과 시장이 급성장하고 있다. 성장추세에 있는 순수문화예술의 지속적인 발전을 위해서는 수요자에게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해야 하는데, 수요자에 의한 재원조성이 가능한 대중문화예술과 달리 현재의 순수문화예술시장은 승자독식의 체제로 정착되어 시장 확대와 다양성 확보에 결핍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결핍을 다방면의 문화예술지원을 통해 보조하고 있다. 정부는 「문화비전2030_사람이 있는 문화」에서 2030년까지 문화재정을 3%까지 단계적으로 증액하는 중장기적인 정책비전을 제시하였지만 현실적으로 문화재정은 정치, 경제나 사회 전반의 기반마련과 지원확대가 우선적으로 선행된 이후 고려되어 진다. 세수의 부족이나 복지, 국방, 생활 지원 등 새로운 이슈가 등장하면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이 가장 먼저 감축될 가능성이 높은 것이 현실이다. 국가의 공공지원의 규모에 따라 문화예술계가 크게 흔들리지 않으려면 새로운 재원의 조성, 결국 민간의 지원이 필수적이며 다른 관점에서는 지원의 연속성이 보장되지 않는 문화예술에 관한 공공지원의 특성에 따라 장기적 차원의 지원을 위해서도 민간의 지원이 요구되어 진다. 본 논문에서는 요구에 따른 민간의 문화예술지원, 그 중에서도 기업의 문화예술지원을 일컫는 ‘기업메세나’를 연구하기 위해 메세나 매개기관인 한국메세나협회가 주도하는 사업유형을 조사하고, 사업별·분야별로 지원규모 분석을 실시하였다. 지원규모의 계량적 성과를 토대로 현재 문화예술계의 추세를 살펴보고 문화예술의 발전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정부, 기업, 문화예술 간의 역할과 3각간의 파트너십 관계에 초점을 두고 기업메세나의 발전방안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결과에 따르면 그 간의 기업메세나는 일방적 청탁, 개별적 접근, 후원자적 입장에서 이루어졌으며 지원의 안정성에 한계를 드러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자 패러다임의 전환이 필요함을 확인하였다. 정부는 기업의 메세나 활동에 대해 접근성을 높이고 기업의 자발적 지원을 독려하고 있으나 점진적 발전을 위해 추가적인 정책수립이 필요해 보인다. 문화예술의 지역적 격차 해소를 위한 지역공기업 메세나 확대, 문화예술 소비를 위한 실질적인 세제지원 혜택 등을 고려하여 중재자로서의 정책 개선의 역할을 다해야 한다. 기업은 문화예술경영이 선택이 아님 필수임을 이해하고 문화예술을 통해 기업이 혜택을 얻을 수 있도록 수평적 네트워크를 형성해야 한다. 일회성 후원이 아닌 장기적인 교류를 통한 기업이미지 구축, 조직신뢰도 향상 등 기업내부의 긍정적 효과를 이끌어내는 인식의 변화가 필요하다. 문화예술계는 일시적인 시혜를 바라지 않고 전략적인 파트너로서 접근하여 기업메세나의 추세를 고려하고 기업에 적합한 프로그램을 제안함으로써 기업과의 신뢰를 다져야 한다. 본 연구를 통해 제시한 발전방안으로 기업메세나의 지속발전에 가능성을 더하고, 방안에 따라 정부-기업-문화예술계는 상호 호혜적으로 작용하는 파트너십으로 나아가 활발한 기업메세나 활동을 이루고, 향후 국가의 문화경쟁력 제고와 문화예술의 발전에 결정적 관건이 되길 기대한다.

      • 企業 文化藝術活動에 對한 效用性 硏究 : 현대예술관 중심으로

        하영대 慶州大學校 2002 국내석사

        RANK : 248671

        그 동안 우리 나라 기업들이 수행하여 온 문화예술에 대한 지원은 선진사회의 오랜 전통과 역사를 감안할 때 단기간에 많은 성장을 하였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기업의 문화예술지원에 대한 우리사회의 인식은 매우 미미한 수준에 머물러 왔다. 따라서 기업의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파급효과를 알아보기 위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으며, 이번 연구는 이러한 목적 하에서 기업의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참여의지가 가장 높다고 판단되는 목적사업장(현대예술관)을 중심으로 고객 평가조사를 실시하여 기업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효용성을 새롭게 조명해 보고자 하였다. 우선 기업 문화예술활동과 관련된 이론과 선행연구사례를 검토하였고, 연구과제는 기업 문화예술활동의 파급효과 측면과 예술마케팅의 기초자료 조사차원에 초점을 맞추었으며, 추가적으로 기업 문화예술활동의 각 요소간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첫째, 기업 문화예술활동의 파급효과 측면에서 고객 인식정도를 평가한 결과 5점 만점을 기준으로 할 때 '지역 문화예술발전'과 '지역의 삶의 질 향상', '지역주민의 자부심 향상', '기업이미지 향상', '기업의 광고·홍보효과 상승' 등에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둘째, 기업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평가한 결과 5점 만점을 기준으로 할 때 상품측면의 '공연, 전시물 관람내용'과 편의성 측면의 '시설 및 환경', '교통' 등에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기업 문화예술활동의 각 요소간의 관계를 규명한 결과 고객 인식도와 목적사업장의 고객 만족도는 인과관계를 형성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목적사업장의 고객만족도가 1점 정도 상승하면 기업의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고객 인식도도 약 0.56점 정도 상승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따라서 기업의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우리사회의 인식을 높이고 그 파급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해당 기업이 운영하는 목적사업장에 대한 고객 만족도를 재고하여야 한다는 사실이 밝혀진 것이다. 넷째, 예술마케팅의 기초자료 조사차원에서 고객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도와 목적사업장 이용실태 및 공연예술 참여실태를 조사한 결과, 고객들의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도는 '신문의 문화면'과 'TV방송의 문화프로그램'에서 평균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목적사업장 이용실태에 있어서는 년간 방문횟수가 6회 이상 자주 방문하는 사람의 비율이 58.0%로 나타났다. 또한 고객들의 목적사업장 방문횟수는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도와 약한 상관관계를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 고객들의 목적사업장 방문횟수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먼저 고객들이 가지고 있는 문화예술에 대한 관심도를 높일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공연예술에 대한 고객들의 참여실태에 있어서 참여동기는 '여가활용'이나 '문화예술에 대한 욕구충족'이 가장 높게 나타난 반면 공연관람 장애요인으로는 '시간적인 여유가' 가장 높게 나타나고 있었다. 이번 연구는 우선 기업의 사회적 책임과 사회공헌활동으로서 기업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고객들의 영향력 인식정도와 만족도 및 이용실태 등을 분석함으로써 기업 문화예술활동에 대한 효용성 측면의 연구를 한 차원 높였다는데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e support of Korean companies on Culture and Art can be considered as a big growth in a short time considering the long tradition and history of the other advanced countries. However, the social perception on Corporate support has remained in very timid level. Therefore the necessity to review the influence of Corporate Culture and Art activities has emerged. This study is to review the effectiveness of corporate culture and art activities by executing customer evaluation survey focused on the purpose business site (Hyundai Arts Center) where it is judged that the participation will of the companies is relatively high.. First of all we have reviewed the theories and precedents related with Corporate Culture and Art Activities. We have focused on the influence of corporate culture and art activities and basic material survey for art marketing and additionally we have tri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of Corporate art and cultural activities. When we have evaluated the customer perception in the side of the influence on of Corporate Culture and Art activities (Full Score: 5), above average value has been shown in following criteria; 'Community Culture and Art Development', 'Enhancement of Quality of life in the Community', 'Enhancement of self-respect of local residents', 'Enhancement of Corporate Image' and 'Improvement of Corporate Advertising and PR Effect' Secondly, we have evaluated customer satisfaction on Corporate Culture and Art activities. Above average values were shown on 'Performance and Exhibition contents' in the side of Product and 'Facilities and Environments' and 'Transportation' in the side of convenience. Thirdly, we have identified the relationships of the elements of Corporate Culture and Art activities. Customer perception level and customer satisfaction level on purpose business site seemed to be in cause and effect relationship. When customer satisfaction level on the purpose business site rises by one point, customer perception level rise about 0.56 point. Therefore to raise the perception level of our society on corporate culture and art activities and to enhance the influence, we should improve the customer satisfaction level on the purpose business site. Fourthly, we have reviewed customers' interest on Culture and Art, utilization status of the purpose business site and performance art participation status to get the basic materials for art marketing. The customers have higher interest on 'Cultural Pages of Newspaper' and 'Culture Programs of TV Broadcasting' than average. In purpose business site utilization status, those who visit the purpose business site more than 6 times a year was 58.0%. It was proved that customers' visiting frequency to the purpose business site had been slightly related to their interest on Culture and Art. Thus we should find out the methods to enhance interest on culture and art to increase the visiting frequencies to the purpose business site. Finally, the motivation to participate on performance art seemed to be 'spare time utilization' or 'Desire Satisfaction on Culture and Art'. They answered the obstacles to see the performances would be 'not much spare time for entertainment'. We can find the meaning of this study in that it has developed more the study in the side of effectiveness on Corporate Culture and Art activities by analyzing the influence on the customers perception level, satisfaction level and utilization status as social liability and contribution activities.

      • 무용공연 활성화와 기업메세나의 상관관계 연구

        오미린 우석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669

        The 21st century is the age of emotion and awakes people's interesting in enterprise's mecenat activities as a mean of cultural marketing for improving the brand image of enterprise. This study attempts a study for the effects and present situation of mecenat activities with a dancing performance art on the cultural marketing of enterprise in order to raise a high dignity of enterprise brand and fine articles. In addition,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develop a method, which is to keep in contact with enterprise's cultural marketing, based on a specialized value of dancing performance art through the mutual win-win strategy between enterprises and the dancing world. This study defines initially a property and concept of dancing performance in the present status of dancing performance art and summarizes the dancing organizations, dancing theaters, and audience in the present status of dancing performance in Korea. Moreover, this study seeks the future direction of mecenat through an analysis of enterprise mecenat and some case studies of foreign countries. In addition, this study summarizes the changes in enterprise marketing and cultural marketing methods for the arrival of the age of culture when we discuss the effects of cultural marketing of enterprise mecenat. By investigating some case studies in the fields of dancing performance art, this study considered that the results of this investigation is to be used as a reference material and actual application of a theory. Moreover, this study analyzes the performances of support and improvements in the future based on the effects of mecenat to enterprise activities and presents a future direction of domestic enterprises and government by introducing some case studies in advance countries and first-rate enterprise in Korea. Finally, this study examines a value of dancing performance art for enterprise mecenat and analyz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arts and the image of a brand. According to these results, this study discusses what the cooperation should do for the enterprise mecenat utilization ways and mutual development between enterprises and the dancing world. Dancing performance arts present a specialty that combines image marketing by introducing the emotion with a property that dancing performance art abstractizes the essence of art using a symbolized action. In addition, a plan of creative mecenat and strategy is required by the fact that dancing performance art can support various audiences preferentially according to the fields of performance. Moreover, it is necessary that the dancing performance art world attempts a creation of specialized value for dancing performance art itself through cultural marketing and develops a multipurpose cooperation method for a real cooperative partnership between the audience and the arts in order to extend public values, facilitate an industrialization trend, and improve the level of performance arts. As a result, this study attempts to examine a new way of development that exhibits potential for growing the dancing world in Korea by introducing enterprise mecenat and its methods and strategies related to enterprise's cultural marketing from the analysi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ctivation of dancing performance art and the enterprise mecenat.

      • 발레 이미지를 통한 문화마케팅이 S기업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박현선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55

        본 연구는 S기업의 발레 문화마케팅 활동이 기업이미지 제고에 어떠한 연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연구로서 일반인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현황을 파악하고 문화마케팅의 일환인 발레공연 지원활동을 활발히 이끌어 내기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전국의 20대 초반 남녀대학생 152명을 대상으로 했으며, 분산분석(ANOVA),X² t-test와 단순회귀분석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다음과 같은 결론이 도출되었다. 발레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마케팅과 사후 S기업의 이미지의 관계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이는 기업의 발레 이미지를 통한 문화마케팅의 활동이 클수록 기업의 이미지는 향상된다는 것으로 사료된다. 발레의 명품, 환상적 이미지가 기업의 문화마케팅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낭만적·여성적·열정적 이미지는 유의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일부 이미지에 한정된 것이지만 발레 이미지를 통한 문화마케팅의 활동이 기업의 이미지 개선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사료된다. 결론적으로, 발레의 이미지를 활용한 기업의 문화마케팅은 성별, 학력, 연령, 가계소득 등 인구 통계적 일반 특성 요인과 상관없이 발레이미지를 활용한 문화마케팅의 활동이 클수록 기업의 이미지는 향상된다는 긍정적인 인식 임에도 불구하고 발레를 활용한 문화마케팅은 다른 장르에 비하면 저조하다. 그러므로 발레이미지를 활용한 문화마케팅에 대한 기업들의 참여를 유발시키기 위해서는 각 기업에게 발레 이미지가 일반인들에게 긍정적인 인식이라는 것을 명확히 인지시켜야 한다. 이에 발레는 기존에 갖고 있는 이미지의 특성을 더 강조하거나 시대에 발맞추어 다양하고 긍정적인 이미지를 개발하여 발전시켜야 할 것이다. 그리하여 발레 이미지를 활용한 문화마케팅이 기업들에 의해 더욱 활성화 되어 발레의 특성을 고려한 다양한 문화마케팅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사료된다. This thesis was concerned with a study on the effect of the cultural marketing through ballet activity of 'S' enterprise on its corporate image. This study was intended to provide the basic material to investigate the awareness of the general public about it, identify its situation and induce the activity of support for ballet performance as part of cultural marketing. For this purpose, the questionnaire research was conducted for 152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in their 20s across the country. Collected data were statistically analyzed by using the analysis of variance(ANOVA),X² t-test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As a result, the following findings were obtaine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the cultural marketing using the ballet image of the 'S' enterprise and its resultant corporate image. It is thought to be because the greater cultural marketing activity of the 'S' enterprise through the ballet image led to the improvement of its corporate image. It was found that the prestigious and fantastic image of the balle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corporate image of the enterprise. But it was found that the romantic · feminine · passionate images did not do so. This is thought to be because the activity of cultural marketing through the ballet image, thought limited to some of the ballet images, had an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the corporate image. In conclusion, it has positively been understood that the greater cultural marketing of the enterprise using the images of the ballet improves the corporate image regardless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such as gender, educational level, age, household income and the like. Nevertheless, the cultural marketing of enterprises through the ballet has poorly been employed compared to any other genr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convince enterprises that the general public are positively aware of the ballet image in order to induce them to participate in the cultural marketing using the ballet image. Therefore, the ballet should highlight the existing characteristics of its image or develop its diverse and positive images in keeping with the stream of the times. It is thought that enterprises should further revitalize the cultural marketing using the ballet image and engage in diverse cultural marketing activities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ballet under consideration.

      • 예술과 기업의 관계 고찰 : 파트너쉽의 도출을 중심으로

        이진아 한국예술종합학교 무용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655

        현대사회에서 예술과 기업은 대립이나 별개의 관계가 아닌 심화와 발전을 통한 상호 보완적인 관계로 나타나고 있다. 그에 비하여 이러한 예술과 기업의 관계가 균등한 시각에서 논의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서로 다른 영역인 것과 같이 인식되었던 예술과 기업의 관계에 대한 많은 논의들을 균형적인 시각에서 파악하는 시도가 필요하였다. 그리고 왜 예술과 기업이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으며, 예술과 기업의 관계가 지속되기 위해서는 어떠한 것이 연구되어야 하는 지에 대한 고찰이 필요하였다. 이와 같은 필요에 의해 본 논문에서는 예술과 기업의 관계를 다음의 세가지 연구과제를 통하여 고찰해 보았다. 연구과제 1. 현대 사회에서 예술과 기업의 관계는 어떻게 정의되고 있는가? 용어를 중심으로 알아본다. 연구과제 2. 예술과 기업의 관계는 어떤 유형으로 나타나는가? 연구과제 3. 예술과 기업 양자의 관계에 있어서 기업이 얻는 반대급부는 무엇인가? 첫 번째 연구과제에서는 예술과 기업의 관계를 나타내는 기존의 용어들을 살펴 봄으로써, 예술과 기업의 별개의 실체로 존재할 때는 기업이 우월한 입장이 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예술과 기업의 관계를 지칭하는 용어들은 대부분 기업의 일방적인 지원을 나타내는 용어들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그 용어들은 외국에서 우리나라로 유입되는 과정에서 같은 개념이 다른 뜻으로 정착되기도 하였고 일부 용어들은 왜곡된 상태로 쓰이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관계를 지칭하는 용어는 기본 철학을 설명하는 수준과 직접적인 활동을 의미하는 수준으로 나누어 보아야 할 것으로 파악되었다. 아울러, 정차 상호 보완적인 관계를 의미하는 용어가 사용되고 있는 가운데, 일반적인 의미로서의 파트너쉽(partnership)이라는 용어는 예술과 기업의 관계를 상호 보완적이고 동반자적인 관계를 설명하기에 적합한 용어라는 것을 확인 할 구 있었다. 두 번째 과제에서는 예술과 기업의 관계를 거시적으로 어떻게 볼 것인가를 고찰해 보았다. 우선 예술과 기업의 관계를 먼저 연구하였던 미국, 영국, 일본의 연구 사례를 보았다. 미국은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과 예술에 대한 투자(Investment)라는 두 양상이 결합하고 확장하는 모형을 지닌다. 영국은 1999년 플로렌스(Florence)에서 개최된 세계 은행의 "개발을 위한 문화정책" 회의에서 예술과 기업의 연대 모델을 개발 모형(Develop Model), 결속사회 모형(Cohesive Society Model), 마케팅 모형(Marketing Model), 지식경제 모형(Knowledge Economy Model)이라는 네 가지 모형으로 추출했다. 일본은 기업과 문화의 관계는 문화경영의 시점에서 사회측면, 경제측면, 인간측면이라는 세 개의 지향점을 통하여 문화와 기업의 관계를 유형화하여 각각 문화마케팅, 문화의 사업화, 문화지원, 기업의 문화화로 구분하였다. 이 선례를 종합하여 예술과 기업의 관계를 사회관계 모형,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모형, 문화산업 모형, 미래가치 모형으로 재편해 볼 수 있었다. 이 모형들은 상호 유기적인 관계를 지니고 있으며, 각 모형간의 영역이 뚜렷하게 구분되지는 않았고 예술과 기업의 관계 유형이 어느 한 모형만 집중적으로 나타나지도 않았다. 세 번째 과제에서는 예술과 기업의 관계에서 기업이 취할 수 있는 반대급부를 분석해 보았다. 특별히 기업의 입장을 중심으로 예술과 기업의 관계에서 기업이 취할 수 있는 반대급부를 분석한 것은 예술과 기업의 파트너쉽은 기업의 의지에 의존하는 정도가 크기 때문이다. 기존의 예술과 기업의 관계에서 분석되었던 기업이 취할 수 있는 반대 급부는 기업의 사회관계에 해당하는, 공중과의 관계인 홍보의 측면과 사회적 책임이라는 측면으로 다루어졌었다. 그러나 본 논문에서는 예술과 기업의 관계에서 기업이 취할 수 있는 반대급부에 대한 분석에 대해 기업의 가치활동을 분석하는 가치사슬, 그 가운데 지원활동을 중심으로 보았다. 기업의 가치활동에서 지원활동은 기업의 하부구조, 인적자원관리활동, 기술 개발활동, 획득활동이다. 이에 따라 예술과 기업의 관계가 기업에 주는 반대급부로 각각에 해당하는 것은 개방적인 의사소통 구조, 창의적인 인력의 확보와 개발, 변화에의 대응 능력, 문화기반시설이 해당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분석은 기업의 지원활동을 중심으로 하는 파트너쉽이 주는 반대급부에 대한 것으로 예술과의 파트너쉽이 기업경쟁력의 기반이 된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차이를 찾을 수 있다. 위의 세가지 연구과제의 해결을 통하여 예술과 기업의 관계는 파트너쉽의 관계라는 현상을 파악하고, 그 유형은 사회관계 모형, 마케팅 커뮤니케이션 모형, 문화산업 모형, 미래가치 모형으로 구분하여 구분 기준을 통해 시사점을 찾아보았으며, 기업이 받는 반대급부로 개방적인 의사소통 구조, 창의적인 인력의 확보와 개발, 변화에의 대응 능력, 문화기반시설로 분석, 기존의 것과 비교하여 무엇을 더 고려할 수 있는지를 알 수 있었다. 본 논문에서 이루어진 예술과 기업의 관계에 대한 고찰은 일차적으로 기업의 경쟁력 재고의 강조 Beginning from the modern age, the relationship of the Arts and Business has been consolidated and developed with much stability. Until today, despite such facts, the relationship of the Arts and Business has not reflected upon nor been discussed with balanced viewpoints. This dissertation attempts to confer the relationship of the Arts and Business as understood from different fields, with unbiased perspective. Furthermore, there are some necessities to study these problems; why the Arts and Business have built relationship for mutual benefit, and what is necessary to research in order to sustain this relationship. Therefore, in this dissertation with these requirements, the relationship of the Arts and Business has been examined with three subjects of studies. First, what is the definition, focused on examples of terms, of the word of relationship of the Arts and Business? Second, which types appear as the relationship of Arts and Business? Third, what are the benefits created through the relationship of Arts and Business? Main points for the research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various terminologies such as Patronage, Sponsorship, M?c?nat, Support and so on to define the relationship of the Arts and Business, which came from other countries, like France, England, Japan and America. But it is implicated that business always lays a profitable position; "Business implicitly supports the Arts". Moreover, those terms often confuse their original meanings. As a result, partnership looks for a pertinent term to stand for the relationship of Arts and Business to reveal its mutual relationship. Secondly, the former studies of America, England, and Japan have been advised to restructure the relationship of the Arts and Business. In America, it retains the concept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and Corporate Investment. In England, it has been refined on Develop Model, Cohesive Society Model, Marketing Model, and Knowledge Economy Model. In Japan, it has been introduced in company as Cultural Marketing Corporate, Cultural Industry Corporate, Cultural Support Corporate, and Cultivated Corporate. To sum these up, it can be remodeled as Social Relation Model, Marketing Communication Model, Cultural Industry Model and Future Value Model. Lastly, as Corporate prefers partnerships to gain profits through the relationships with the Arts, it has been analyzed the advantage of the relationship of the Arts and Business. Porter's Value Chain Model has been applied as a measurement tool for this subject focused on support activities. Firm Infrastructure, Human Resource Management, Technology Development, and Procurement confirm to, each, Open Communication Construction, Creative Human Resource Management, Flexible Reaction for Changes and Cultural Infrastructure. This analysis is distinctive from former research in the aspect that the partnership of the Arts and Business is viewed as the origin of the corporate competitiveness. This dissertation aims to prosper the partnership of the Arts and Business, taking notice of corporate competitiveness. Continued study wilt be its practical case studies and cultural policy studies to promote partnership.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