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 한국어 기본어휘 선정 연구 : 경영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이영우 경희사이버대학교 문화창조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초록】 상경계열 외국인 유학생을 위한 전공 한국어 기본어휘 선정 연구-경영학 전공자를 중심으로- Lee, Young Woo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이 연구는 상경계열 진학 외국인 유학생들이 입학과 동시에 배우게 되는 전공과목인 ‘경영학원론’ 의 교재를 중심으로 연구함으로써 경영학 전공 기본 어휘를 밝혀 유학생들에게 도움을 주고자 시작되었다. 우리나라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들이 대학 입학에 있어 ‘공인 한국어능력시험(TOPIK) 3등급~4등급’의 실력을 요구하는 것과는 달리 내국인에게도 어려운 전공용어를 공부해야 하는 학생들에게는 실로 어려운 상황이라 하지 않을 수 없다. 입학 전 대부분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전공용어를 별도로 학습한 적이 없으며, 입학과 동시에 전공용어를 접하게 됨으로써 학업을 하는데 있어 큰 어려움을 겪고 있는 것이다. 실제 대부분의 경영학 전공 어휘들은 기존에 공부했던 ‘의사소통 중심의 한국어’ 와는 다른 의미로 사용되어지고 있다. 또한, 대다수 어휘들이 한자어로 구성되어 있으며 많은 외래어가 서로 혼용되어 사용되어지거나 어휘간의 상호결합에 의해 또 다른 의미로 사용되어 지는 경우가 많다. 우리나라 대학에 진학하는 가장 많은 유학생들이 상경계열로 입학을 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나 아직까지는 이러한 경영학과 유학생을 위한 어휘 연구나 교수방법에 대해서는 연구가 매우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수도권 주요 대학 10곳을 선정하여 교과서로 사용되어지고 있는 9개의 경영학원론 교재를 연구 대상으로 어휘를 분석함으로써 교육과정에 있어 필수적으로 익혀야 할 주요 어휘들을 파악해 보았다. 9개 서적에 수록된 약 101만 어절을 분석하여, 이 중 명사를 중심으로 약 26만 빈도수, 3,551개의 어휘를 추출하였다. 이 중 총 빈도수의 50%이상을 점유하고 있는 고빈도 어휘 1,475개를 다시 추출하였다. 이는 1,475개의 어휘를 익히면 9개 전공교재에서 출현하는 명사형 어휘 빈도 중 50% 이상의 빈도를 이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그러나, 1,475개의 다빈도 어휘에는 ‘일반목적의 한국어 어휘’와 중복되는 어휘들이 상당수 존재하고 있었다. 이들에 대한 제거를 위해 한국어능력시험(TOPIK) 초ㆍ중급 어휘와 중복되는 어휘들을 제거하였으며 더불어 경영학전공자들을 대상으로 ‘집단 심층면접’ 방식을 활용하여 ‘1차 어휘평정 작업’을 실시, 비전공어휘를 뺀 546개의 어휘를 추출하였다. ‘2차 어휘평정 작업’은 1차 어휘평정 작업까지의 제거된 어휘들에 대한 검증 후 재 산입을 위한 과정으로 활용하였으며 1차 어휘평정 작업보다는 보다 전문성있는 ‘경영컨설턴트’들을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생산성 경영체제(PMS;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인증제’ 심사원 10명 중 4명이상이 추천한 어휘를 채택하였으며 초급 어휘에서 14개, 중급어휘에서 45개, 원시말뭉치에서 탈락되어 재 추천된 어휘 38개 등 총 97개의 어휘를 추가하였다. 이를 통해 643개의 어휘가 확보되었다. 3차 어휘평정 작업은 2차 평정작업을 마친 후의 전공 어휘 목록 643개를 ‘전공 기본 어휘’와 ‘전공 심화 어휘’로 분류하기 위한 작업을 하는 과정으로 ‘경영학 전공 교수’ 3명이 어휘평정 작업을 진행하였고 2명 이상의 교수가 선정할 경우 ‘전공 심화 어휘’로 분류하여 ‘전공 기본 어휘’에서 제외하였다. 3차 어휘평정 작업 결과 총 18개의 ‘전공 심화 어휘’를 제외한 625개의 최종 결과물을 추출할 수 있었다. 625개의 ‘경영학 전공 기본 어휘’의 누적빈도는 약 30%로 Coverage 50%의 명사 어휘였던 1,475개에 비해 1어휘 당 보다 많은 빈도 Coverage를 가지고 있음이 밝혀졌다. 이는 625개의 명사형 어휘를 학습할 경우 9개 교재의 평균 명사 어휘 출현에 있어서 30%를 cover 할 수 있음을 뜻하는 유의미하는 수치라 할 수 있다. 그러나, Coverage 50%의 명사 어휘군인 1,475개의 어휘에서 제외된 850개의 탈락 어휘들 또한 사실은 상경계열에서는 ‘일반 목적의 한국어’에서 기 학습한 어휘들과는 상당부분이 다르게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이에 대한 빈출 문장을 함께 조사하여 수록하였다. 마지막으로, 경영학 전공서적의 주제를 크게 ‘11개 주제’로 분류하였으며, 연구 대상인 9개 교재, 총 127개의 단원을 주제별 카테고리로 재분류하였다. 각 카테고리에 대한 말뭉치 작업을 거친 후 625개의 ‘경영학 전공 기본 어휘’와 비교, 분석하여 각 주제별로 100개씩의 다빈도 어휘를 추출한 결과 각 주제별로 매우 상이한 결과를 도출할 수 있었다. 가령 ‘투자’라는 어휘는 ‘회계ㆍ재무관리 카테고리’에서 가장 높은 빈도로 나타났으나 ‘조직관리 카테고리’에서는 순위에서 빠져 있었다. 또한, ‘창업’이라는 어휘는 ‘창업(경영자)ㆍ정보화’ 카테고리에서는 최상위 빈도 어휘지만 ‘경제(거시)’카테고리를 제외하고는 모두 순위 내에 존재하지 않았다. 이러한 어휘 분포의 연구는 해당 주제의 카테고리 교육에 있어 어떤 어휘가 주로 출현하는지, 어떤 어휘를 선행하여 교육시킬 때 학습자 【Abstract】 A Study on Basic Vocabulary Selection of Korean for Major Field of Studies for Foreign Students -With focus on Majors in Business Administration- Lee, Young Woo Department of Global Korean Studies Graduate School of Culture Creation Kyung Hee Cyber University This study is aimed at giving assistance to foreign students by making clear the basic vocabulary for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by doing research with focus on the text for the major subject- ‘Principl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which foreign students in business and economics come to study on entering college. Unlike the case where domestic colleges require foreign students to possess the Korean ability equivalent to Class-3~4 in the certified Test of Proficiency in Korean(TOPIK), it’s really a difficult situation to foreign students who have to learn major subject terms which are hard even to domestic students. Most of the foreign students come to be in contact with major subject terms at the same time when they enter college without any preparation for major subject terms before college entrance, which makes it more difficult for them to carry out schoolwork. Actually, most of the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vocabulary is used in a different meaning from ‘Communication-centered Korean’ which they learned before. Moreover, a great many words are composed of Sino-Korean words, and not a few foreign words are used mixed with the Sino-Korean words, or used in another different meaning through the mutual combination between words in many cases. It’s true that a largest number of foreign applicants for domestic colleges are entering the field of business and economics, but, extremely insufficient is the vocabulary research or teaching method for foreign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business administration as yet. Accordingly, this study grasped the major vocabulary that should be essentially mastered in the curriculum through the analysis of the vocabulary with focus on the currently used 9 textbooks for ‘Principles of Business Administration’ by selecting 10 major universities in metropolitan area. This study extracted about 260,000 frequencies of use, and 3,551 words around a noun by analyzing 1,010,000 words included in the 9 books. Then, this study extracted 1,475 high frequency words again, which accounted for more than 50% of total frequency numbers. This means mastering 1,475 words leads to the understanding more than 50% frequencies out of the noun-form word frequencies. However, this study found that there were a considerable number of words which were overlapped with ‘Korean words for general purpose’ in 1,475 high-frequency words. In order to remove the overlapping words, this study first removed the word overlapped with the elementary-intermediate level words set in Test Proficiency in Korean, and also extracted 546 words excluding non-major words by implementing ‘the Primary Word Rating’ using the ‘Group In-depth Interview’ method targeting majors in business administration. This study used the ‘Secondary Vocabulary Rating’ as the process for re-inclusion of the removed words during the primary vocabulary rating after verifying them, and implemented the ‘Secondary Vocabulary Rating’ targeting more specialized ‘Management Consultants’ than the Primary Vocabulary Rating. In addition, this study adopted the vocabulary recommended by more than 4 persons out of 10 judges of ‘Productivity Management System (PMS) Certification’, and added a total of 97 words, such as 14 words from the elementary vocabulary, 45 words from the intermediate vocabulary, 38 re-recommended words after being dropped out of raw corpus, Through this, a total of 643 words were secured. The ‘Tertiary Vocabulary Rating is the task process for classifying 643 lexicons of the major subjects after finishing the secondary rating as ‘basic vocabulary for major subjects’ and ‘intensive major vocabulary’ and the tertiary rating was conducted by 3 major ‘professors in business administration’, and this study excluded them from the basic vocabulary for major subjects by classifying the vocabulary selected by more than 2 professors as intensive major vocabulary. As a result of the tertiary rating, this study could extract the final output of 625 words exclusive of a total of 18 ‘intensive major words.” The cumulative frequency of 625 ‘basic words for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is about 30%, being found to have a lot more frequency coverage per 1 word in comparison with 1475 noun words whose cumulative coverage was 50%. This is a significant numerical value meaning that it can cover 30% of the average noun words appearance of the 9 texts in case of learning 625 noun-form words. However, a considerable portion of 850 rejected words which were excluded from the lexis of 1,475 nouns whose coverage is 50% are also are used in departments of business and economics differently from the already learned words in ‘Korean for general purpose’; accordingly, this study surveyed & included their frequency sentences. Finally, this study roughly classified the subjects of business management major books as ’11 subjects’ and re-classified the research subjects, or 9 textbooks, and a total of 127 Units into a category by subject. After doing a corpus task of individual categories, this study extracted 100 multi-frequency words evenly by each subject by doing comparative analysis of ‘625 basic words for business administration major’; as a result, this study could draw a very dissimilar result by each subject. For example, the word of ‘Investment’ appeared in the highest frequency in ‘Accounting & Financial Management Category’, but the word was dropped out of the ranking in ‘Organization Management Category.’ In addition, the word of ‘Start-up’ was the highest frequency word in ‘Start-up & Informatization’ cat

      • 日韓語彙の比較硏究 : 「小學生基本語彙」を對象として

        신민철 名古屋大學 2001 해외박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序章, 第1章, 第2章, 第3章, 第4章으로 구성되어 있다. 序章에서는 연구의 목적 및 비교의 대상과 방법에 대해 기술하고 있다. 본 논문은 다지마 이쿠도(田島毓堂)씨가 주장하는 비교어휘론의 방법을 한국어와 일본어의 어휘의 비교연구에 적용한 것으로 그 목적은 어휘총체론(語彙總體論)의 입장(어휘를 단어의 집합으로 보는 입장)에서 어휘를 통해서 본 양언어의 상이점을 밝히고 그 원인을 규명하는 데 있다. 또한 비교어휘론적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언어간의 어휘비교를 통해 문화의 차이를 보고자 하는 것인데, 본 논문은 그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하는 것이다. 그리고 비교대상어휘는 한일 양언어에 있어서 가장 기본적이라고 생각되는 어휘로서 선정한「소학생 기본어휘(小學生基本語彙)」이며, 비교방법으로는 어휘분석법 중에서 가장 유효한「의미분야별 구조분석법(意味分野別 構造分析法)」을 사용하고 있다. 第1章 비교대상어휘의 선정이다. 한국어와 일본어의「소학생 기본어휘(小學生 基本語彙)」를 선정함에 있어서는 자의적이 아닌, 엄밀한 객관적 방법에 따랐다. 한국어 자료로서는 이응백(1972)의「국민학교 學習用 基本語彙」를 비롯한 5종, 일본어 자료로서는『日本語敎育のための基本語彙調査(일본어교육을 위한 기본어휘조사)』를 비롯한 6종의 자료로부터 각각 4007語, 4054語를 선정하고, 거기에 부속어를 포함시켜 최종적으로 한국어 4159語, 일본어 4133語를 비교대상어휘로서 선정했다. 또한 대상어휘가 최종적으로 선정되기까지의 방법 및 절차에 대하여 상세히 규정하여 서술하고 있다. 第2章에서는 「의미분야별 구조분석(意味分野別構造分析)」을 행하기에 앞서 의미를 수치화하는 기준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의미를 수치화하기 위해서는 어휘의 요소인 단어의 의미에 의미번호(코드)를 부여하지 않으면 안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지금까지 비교어휘론에 있어서 의미번호(코드)부여의 기준이 어떻게 변천되어 왔는가를 재검토하고 한국어와 일본어의 어휘비교상 특히 주의해야 할 점에 대해서 상술하고 있다. 그리고 세밀한 분석을 위해서는 단순어이건 복합어이건 간에 한 단위로 보고 부여하는 코드(1語 1코드:단어코드)와 단어를 구성하는 요소에 부여하는 코드(語素코드)가 모두 필요하며, 비교어휘론의 기본 방침에 따라 언어의 모든 요소를 어휘의 요소로서 파악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어휘론에서는 배제되어 왔던 문법 요소에도 코드를 부여해야 하기 때문에 가능한 한 세밀하게 코드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第3章의 의미분야별 구조분석은 본 논문의 중심이다. 먼저 의미분야별 구조분석법에 대해 간단히 정의한 다음, 종래에는 이 방법으로 語種등의 차이를 고려하지 않고 단지 의미분야별 구성비에 의한 구조분석을 행하였는데, 새로이 語種의 관점을 도입함으로써 더욱 세부적인 검토가 가능하다는 것을 지적했다. 또한 이 분석법이 사용하는 통계기법인 카이자승검정법에 대하여, 이 검정법을 어휘연구에 이용할 때의 주의점과 아울러 상세히 기술하고 있다. 의미분야별 구조분석은 단어의 의미에 부여한 코드를 집계하여 의미분야별 구성비에 차이가 있나 없나를 보는 것인데, 그때 코드를 세밀하게 분류하냐 대략적으로 분류하냐에 따라 결과에 차이가 있다. 그런데 각각의 분석결과를 비교해 본 결과 상이점을 자세히 지적하기 위해서는 양쪽 모두 의 분석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와 같이 하여「소학생 기본어휘(小學生基本語彙)」 에 있어서의 한국어와 일본어의 차이점을 자세히 지적하고 차이가 난 원인을 규명하고 있다. 第4章은 본 연구의 개괄이다. 第3章의 분석에서 자료 및 어휘조사단위에 의해 차이가 난 의미분야에 관해서는 비교대상어휘 선정시 문제점이 있었을 개연성이 있으므로 앞으로의 검토 과제로 삼고자 한다. 그와 아울러 비교대상어휘를 선정할 때 유의해야 할 점에 대해서 기술하고 있다.

      • 고등학교 일본어과 교육과정 기본 어휘 고찰

        고은영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ある言語で意思疎通をするために音素、形態素、単語、文章など言語の全般的な要素についての理解が必要である。しかし、すべての文法構造を詳しく知っているとしても語彙の知識に欠けていると、円滑な意思疏通は不可能である。得に学習者が外国語を習う際、目標言語のすべての語彙を全部習うのは期待しかねる。従って教師にとってどの語彙を先に教えるかということは大変重要な問題になる。 そこで、本稿では思疎通能力の向上を目標とする6次、7次、7次改正案の基本語彙をテキストデータベース化して基本語彙の特徴を分析し、對照分析資料を利用して変化語彙の妥当性を検討することにした。また、7次改正案の基本語彙を中心に比較基準語彙との対照分析を通じてこれからの基本語彙選定に参考してほしい語彙を提示しようとした。その結果、次のような結論が出された。 1. 基本語彙を語種面、品詞面、意味項目面によって分類してみた結果、語種面から見られる特徴の中で得に目立つのは外来語の数の増加である。6次に比べて7次は16語、7次に比べて7次改正案は27語が増加されている。7次改正案で追加された外来語は「クラス、 クリスマス、 アドレス、 ㅡウォン、 カㅡド、 メㅡトル、 ボランティア、 コンビニ、 ホㅡムステイ」などである。また、品詞によって分類してみた結果、基本語彙が全般的に名詞を中心として動詞、形容詞、其他の順に構成されているが分かった。そのなかで、名詞に関する語彙が6次は 47.47%, 7次は 50.65%, 7次改正案は 53.91%へ 増加している。最後に基本語彙を意味項目によって分類してみた結果、一番高い比率を占めているのは抽象的關係で、 40~43%を占めている。これに続いて 人間活動-情神および行爲が 27~28%, 自然物および自然現象が 10~12%を占めている。 2. 各敎育課程における基本語彙の変化を比較してみた結果、6次敎育課程の基本語彙に提示されていたが、7次で省略された語彙は49語であり、7次に新しく提示された語彙は 110語であった。また、7次では提示されていたが、7次改正案で省略された語彙は86語であり、7次改正案に新しく提示された語彙は276語であった。また、6次では提示されていたが、7次改正案で省略された語彙は63語であり、7次改正案に新しく提示された語彙は319語であった。 3.比較基準語彙というのは對照分析資料7種の中、4種以上の資料に共通に出現する語彙として、使用頻度が高くて日本語の意思疏通能力の向上に役に立つ語彙だと思われる。したがって、 7次敎育課程改正案の基本語彙との比較․ 分析を通じて比較基準語彙にだけ出現する語彙に注意し、基本語彙選定に参考になってほしい 語彙を提示した。比較基準語彙にだけ出現する語彙は601語で、 名詞類 367語, 動詞類 154語, 形容詞類 69語, 其他類10語の順であった。そのなかで、得に「した(舌)、くび、ひざ、あご、つめ、ひげ、はら(腹)、むね(胸)、くちびる、しんぞう(心臓)」などの身體に関する語彙や「かなしい、くるしい、ねむい、にくい(憎い)、さびしい、ゆかい(愉快)」などの感情表現に関する語彙は日常生活で使用頻度が高い語彙だと思われるので、 基本語彙選定の際、参考になってほしい。 基本語彙を選定する際は学生が日本語の勉強に興味を持ち、日本文化や事情なども味わえるように細心の注意を払う必要性がある。

      • 우리말 漢字語彙에 對應하는 現代 中國語語彙 比較 硏究 :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中國語基本語彙表 중심으로

        최귀숙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우리나라는 유구한 역사의 흐름 속에서 중국과 다방면으로 광범위하게 교류를 진행하여 왔으며, 문화와 언어 등 많은 분야에서 적지 않은 영향을 받았다. 그 중에서도 현재 우리가 사용하는 한자는 중국에서 유입된 후 漢字倂用期, 漢字部分混用期, 漢字除去期, 漢字部分倂用期, 漢字廢?期 등으로 변천하면서 지금까지도 우리의 일상 어문생활에 빼놓을 수 없는 것이 되었다. 현재 우리나라 어휘의 60%이상은 한자 어휘로 이루어져 있다. 따라서 우리말을 정확하게 사용하려면 한자에 대한 지식이 없어서는 안 될 것이다. 그러나 우리말 한자어휘는 현재 중국에서 사용하는 현대 중국어 어휘와 모두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어떤 것들은 그 형태와 의미 모두가 일치하는가 하면, 또 어떤 것들은 형태 또는 의미, 혹은 형태와 의미 모두가 상이한 것들도 있다. 중국어 어휘가 한국어 한자 어휘와 동일한 경우에는 이를 학습하기가 용이한 반면, 한국어의 한자 어휘와 형태가 같고 의미가 다르거나 동일한 의미가 상이한 형태를 취할 경우에는 다른 외국어를 학습하는 것보다 더욱 모국어의 영향으로부터 자유로울 수 없다. 따라서 바람직한 중국어 어휘 학습을 위해서는 한국어 한자 어휘화의 비교 작업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현대 중국어는 대략 6700余字가 사용되고 그 중 3700余字가 현대 출판물상에 99.9%가 나타나고, 나머지 3000여자는 0.1%에 불과하다. 따라서 이 3700여 개의 語素만으로도 중국어를 배우고자 하는 외국학생들은 충분히 중국어를 익힐 수 있으므로 중국어 敎學은 이 상용중국어어휘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에 외국어 교육에 있어 기본 어휘 선정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중국어 어휘교육은 발음교육과 함께 초급과정으로 시작하는 기본교육이기 때문이다. 중국어 교육에 있어 교재 편찬, 교실 수업, 평가 등 여러 면에서 어휘 선정은 아주 중요하다. 실제 교육부에서 고등학교 중국어 교과서 편찬을 관장하는 데 있어 어휘수가 중요한 기준이 되고 있다. 예를 들면, 초급중국어 회화 교재는 어휘수가 1,000개로 한정되어 있고, 독해 교재는 1,500개로 통제된다. 이 어휘 수는 ‘평가’에 직결되어 있기 때문이다.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국어 교과서는 기본어휘를 중심으로 800여 낱말 내외를 사용한다. 본고에서는 초급 수준에서 선정된 제 7차 교육과정에 선정 된 중국어 교과서Ⅰ의 기본어휘를 중심으로 우리말 한자어휘와 비교 분석함으로서 현대 중국어의 바람직한 교수와 학습 및 중국어 어휘구사에 도움이 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국어Ⅰ 기본 어휘 표에 나타난 중국어 어휘 중 한국에서 쓰이는 한자 어휘와 형태 및 의미상 관련이 있는 어휘만을 연구대상으로 고찰해 보고자 한다. 이에 연구 대상으로 현대 중국어 어휘 부분은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中國語基本語彙表에 수록 된 어휘를 대상을 삼으며, 그 어휘와 관련된 예문은《진명 대한사전》에 수록된 문장으로 하고, 현재 우리말에서 통용되고 있는 한자 어휘 부분은《동아 새 국어사전》에 수록 된 어휘 중 漢字 어휘를 대상으로 한다. 본고에서 연구대상으로 한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국어 기본 어휘 표에 수록된 어휘의 수는 822개로 분석한 결과 이 중에서 한국어 한자어휘와 비교할 수 있는 단음절 어휘가 134개, 다음절 어휘가 209개로 한정된다. 단음절 어휘는 同形同義語, 同形部分已義語, 同形已義語, 다음절 어휘는 同形同義語, 同形部分已義語, 同形已義語, 已形同義語, 部分已形同義語, 逆序同義語의 수치는 다음의 분석 자료 표와 같다. ◁표1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위의 분석표를 살펴보면, 韓ㆍ中 어휘를 비교할 수 있는 어휘수가 단음절보다는 다음절 어휘가 더 많은 것을 알 수 있다. 그 원인은 단음절어의 경우에 중국어 어휘는 한 개의 글자가 하나의 음절(一字一音)로 되어 있으며, 또 한 글자가 의미를 지니는 특성이 있어 단독으로 쓰이는 경우가 많은 반면, 한국어는 소리글자로 하나의 형태소가 단독의 의미를 갖는 경우가 많지 않아서 중국어 어휘와 비교할 수 있는 어휘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또한 다음절어의 경우에도 중국어 어휘에 해당하는 한국어가 한자 어휘가 아닌 순수 한국어로 되어 있어 한자어를 비교할 수 없는 경우가 존재하는 것이다. ◁표2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위의 분석 자료에서 모든 중국어 어휘를 한국어 어휘로 이해할 수 는 없지만, 동형동의어가 55.7%를 차지하는 것에서 알 수 있듯이 중국어를 처음 접하는 학습자가 다른 문화권의 학습자보다 유리한 조건을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한국인이 중국어를 학습하는데 있어 처음부터 중국어 어휘를 어느 정도 알고 있다는 전제 하에서 시작한다고 생각해도 무리가 아닐 것이다. 그러나 同形已義語, 同形部分已義語, 已形同義語, 部分已形同義語, 逆序同義語도 54.3%를 차지함으로, 학습자들에게 혼란을 가져올 수 있는 난점도 간과할 수 없다. 따라서 중국어를 학습하는 학생들에게 중국어 어휘와 한국어 한자 어휘를 비교하여 공통으로 이해될 수 있는 것과 차이점이 존재하는 부분을 지적하여 준다면 중국어 어휘 학습에 상당한 효과가 증대 될 것으로 본다. 외국어 학습에 있어서 올바른 어휘 사용은 가장 기본적인 것이다. 최근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중국어 학습자들에게 ‘우리말 한자 어휘’를 활용한 ‘현대 중국어 어휘’를 비교하여 敎學ㆍ學習 한다면, 한국 학생들의 중국어 학습과 더 나아가 중국인의 한국어 학습에도 많은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된다.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컴퓨터·통신계열 기본어휘 선정 연구

        DING YAN 전남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컴퓨터·통신계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의 학술적 읽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 ‘컴퓨터·통신계열 기본어휘’를 선정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 대학에 입학하기 전에 일반적으로 초급과 중급 단계의 한국어를 학습하면서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어휘를 주로 공부한다. 그러나 한국 대학에 진학한 후엔 전공 지식을 공부하므로 일반적인 한국어 교육 내용과는 큰 차이가 있다. 3급이나 4급 토픽 성적을 취득한 유학생들이 전공 교재를 읽으면서 접하는 기초어휘부터 전문 용어까지 다양한 학술적 어휘로 어려움을 겪는 것이다. 외국인 유학생들의 학술적 읽기 능력을 함양하기 위해서 학술적 읽기 능력의 바탕이 된 어휘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그러므로 현재 외국인 유학생의 어휘력 부족으로 인해 발생하는 전공 관련 텍스트 읽기의 부담을 줄이기 위하여 전공 영역의 기본어휘를 선정하고 교육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어휘 선정의 필요성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컴퓨터·통신계열의 한국어 학습자들에게 학술적 읽기의 바탕이 된 어휘력을 함양시키기 위해 ‘컴퓨터·통신계열 기본어휘’ 목록을 마련한다. 본 연구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교육에서 학술적 읽기와 어휘력의 관계를 밝히고 ‘컴퓨터·통신계열 기본어휘’의 개념을 정의하며, 어휘 선정 방법에 대해 알아본다. 그다음 컴퓨터·통신계열 기본어휘 선정의 방법과 절차에 따라 기본어휘를 조사한다. 컴퓨터·통신계열 전공 교재로 말뭉치를 구축하여 빈도와 사용 범위를 바탕으로 하여 일차적으로 어휘를 선별, 컴퓨터·통신계열 유학생의 한국어 숙달도를 고려하여 이차적으로 어휘 목록을 추출한다. 이차적으로 어휘 목록을 선별한 후에 ‘컴퓨터·통신계열 기본어휘’ 목록의 품사별, 어종별, 전문 용어 사전 등재 비율, 전문성 판정에 따른 특징을 분석한다. 빈도와 사용 범위 및 학습자의 한국어 숙달도를 통하여 ‘컴퓨터·통신계열 기본어휘’를 선정하고 분석한 결과를 다음과 같은 내용으로 정리할 수 있다. 첫째, 컴퓨터·통신계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은 명사와 동사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컴퓨터·통신계열 기본어휘’ 목록에서 높게 출현되는 품사는 명사와 동사이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단어족 단위로 어휘 목록을 제시하기 때문에 어휘 단위가 크고 여러 활용형 어휘를 포함하므로 어휘 단위가 작은 것보다 의미 투명도가 적다. 이에 한국어 교사가 명사 어휘를 교육할 때 어휘 목록에서 제시된 어휘에 포함된 다양한 파생어와 합성어도 같이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컴퓨터·통신계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은 특히 한자어와 외래어를 중심으로 진행해야 한다. 일반 목적 한국어 어휘 목록에 비하여 컴퓨터·통신계열 기본어휘 목록에서는 한자어와 외래어의 비율이 특히 높게 출현하므로 한국어 교사는 한자어와 외래어 교수·학습의 중요성에 대해 의식해야 한다. 셋째, 컴퓨터·통신계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전문 용어 교육은 정보·통신 분야의 전문 용어를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 외에 수학, 물리 등 학문 분야의 전문 용어도 어휘 교육에 포함시켜야 한다. 정보·통신 분야의 기술과 연구가 수학적, 물리적 원리에 깊게 기반하고 있으므로 수학, 물리 등에 관한 기반 지식을 바탕으로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혁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러한 분야 간의 연관성을 고려하여 컴퓨터·통신계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어휘를 교육할 때 다양한 분야의 전문 용어에 대해 교육해야 한다. 넷째, 컴퓨터·통신계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은 어휘의 전문성에 대해 제대로 파악한 후에 교육해야 한다. 학술적 텍스트에서 등장하는 어휘의 유형 사이의 관계가 폐쇄적이지 않고 개방적이기 때문에 전문성이 있는 어휘를 변별하는 것이 쉽지 않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선정된 명사 어휘의 의미의 경운 『표준국어대사전』과 『정보통신용어사전』을 통해 전문적 의미 검증으로 이루어졌으며 전문성 정도에 따라 이는 다시 세 가지로 분류하였다. 이로써 한국어 교사가 어휘의 전문성에 따라 어휘 학습의 용이도를 판단할 수 있고 학습자의 숙달도와 적합한 어휘를 교육할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컴퓨터·통신계열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어휘 교육을 수행하는 한국어 교사에게는 정보·통신 분야에 대한 일정 수준 이상의 전문 지식이 필요하다. 전문 사전에 제시된 의미는 추상적이고 전문적인 지식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단순히 사전의 의미를 제시하는 것만으로는 학습자가 이해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한국어 교사가 정보·통신 분야에 대한 기본적인 지식을 갖추고 있다면, 전문성이 있는 어휘를 효과적으로 교육할 수 있으며, 학습자가 전문적인 내용을 보다 쉽고 정확하게 이해하도록 도와줄 수 있을 것이다.

      •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식생활 기본 어휘 선정과 분류 방안 연구

        윤지현 배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어휘 교육 중 주부로서 한국의 문화와 삶의 정착에 밀접한 관련이 있는 식생활 어휘 교육을 위해 식생활 기본 어휘를 선정한다.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한국어 교재의 식생활 주제와 관련된 어휘 항목 제시를 위한 하나의 기준으로써 어휘 목록의 활용을 목적으로 한다. Ⅰ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을 밝히고 본 연구를 위한 선행 연구를 검토한다. 여성결혼이민자는 한국어 교육에 있어 매우 중요한 대상이며 그들의 필요와 요구에 맞는 식생활 어휘 교육이 필요함을 언급한 후 본 연구의 방법과 절차를 설명한다. Ⅱ장에서는 본 연구를 위한 이론적 배경이 되는 어휘와 어휘력, 기초 어휘와 기본 어휘, 어휘의 의미 분류와 어휘장에 대해서 살펴본다. Ⅲ장에서는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식생활 기본 어휘를 선정한다. 본 연구의 식생활 어휘의 개념과 범위에 대하여 설명하고, 식생활 어휘를 주제별 하위분류하는 기준과 범위에 대해 설명한다. 어휘 선정의 대상과 방법에 대해 설명한 후 여성결혼이민자를 위한 식생활 기본 어휘를 선정하는 구체적인 방법과 절차를 설명한다. Ⅳ장에서는 Ⅲ장에서 선정한 어휘를 교재를 통해 제공하여 교육하고자 할 때 실생활에서 주부가 경험하는 식생활 활동 중심의 주제로 분류한 어휘 항목을 제시하여 주부인 학습자가 한국의 음식 문화 내용을 쉽게 배울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또한 학습자에게 어휘 항목의 다양한 정보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어휘의 의미 관계의 정보를 제공하고 결합 관계의 예문과 어휘가 쓰이는 상황을 제시한 예문을 구성하여 어휘 학습을 효과적으로 할 수 있는 자료를 제공할 것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Ⅴ장에서는 앞에서 다룬 내용을 요약하고,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점을 제기하는 것으로 마무리를 한다. 본 연구는 교재 편찬 시 의미와 주제에 따른 체계적인 어휘 선정이 한국어 학습에 효과적이라고 보고, 그에 따른 어휘 선정을 위한 기초 작업으로 여성결혼이민자 한국어 학습자들이 초기 정착 단계에서 필요한 식생활 기본 어휘를 선정한다. 또한 어휘의 의미 분류를 통해 다양한 의미 정보를 제공하는 방안을 모색한다.

      • 디자인 전공 학문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기본어휘 연구

        석몽단 세한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2

        최근 들어서는 학문적 또는 직업적 목적으로 한국어를 습득하려는 학습자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기 때문에 본 연구는 국내 대학기관에서 디자인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디자인 전공 기본어휘를 선정하는 데 그 목적을 갖는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기술하고, 선행연구를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 대해 연구과 학문 목적 기본어휘 선정에 대해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에서 필요한 어휘는 전문 지식 어휘와 관련되어 있는 어휘로써 학문 목적 기본어휘와 학문 목적 전문어휘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였 본 연구에서 선정하고자 하는 디자인 전공 기본어휘를 정의하였다. 3장에서는 디자인 전공 기본어휘를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를 절충적인 방법을 통하여 살펴보았다. 디자인 전공 교재 <기초 디자인>과 <디자인과 형태론>두 권을 선정하여 52,275어절 규모의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일반명사를 분석하여 디자인 전공 기본어휘는 최종 813개를 선정하였다. 4장에서는 선정된 디자인 전공 기본어휘 목록을 분석하였다. 디자인 전공 기본어휘 목록의 한자어, 고유어, 외래어 비율을 살펴보고,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디자인 전공 기본어휘 목록 내 의미적으로 유사한 어휘들을 의미군으로 묶어 14개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본 연구의 결론으로 전체 내용을 요약, 정리하고 한계점을 지적하였다. 본 연구는 디자인 전공 기본어휘 목록을 선정하고 분석하여 국내 대학기관에서 디자인을 전공하고자 하는 외국인 유학생에게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결혼이민자를 위한 학부모용 기본어휘 선정과 교육 방안 연구

        장윤영 韓國外國語大學校 大學院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결혼이민자의 성공적인 학부모 역할 수행을 위해서는 그에 필요한 의사소통을 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을 전제로 시작되었다. 학부모로서 학교 및 교사와 의사소통할 수 있어야 하며, 자녀의 학교생활을 이해하고 자녀와 소통할 수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학부모용 기본어휘를 선정하고 교육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연구의 목적이다. 선행 연구와의 차이점으로 학부모로서 의사소통을 위해서는 학교생활 범주 어휘를 포함해야 함을 제시하였다. 지금까지 학부모 역할을 위한 어휘 연구의 기초자료는 가정통신문에 치중되어 있어 자녀의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을 이해하고자 하는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했다고 보기 어려웠기 때문이다. 이에 학습자의 요구를 반영하기 위해서 학교생활 범주의 어휘 자료와 가정통신문의 어휘 자료를 통합한 학부모용 기본어휘를 선정하고자 하였다. 학교생활 범주 어휘는 「KSL 초등학생을 위한 표준 한국어-의사소통 한국어」교재를 기초자료로 다문화 교재와 비교를 통해 초등학생의 학교생활과 일상생활의 특수성이 반영된 어휘를 추출하였고 이를 체언류 604개와 용언류 127개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가정통신문의 어휘는 선행 연구의 결과 4건을 수집하여 2건 이상의 연구에서 중복 출현한 어휘 107개를 정리하였다. 이상의 어휘들을 통합하여 전문가에게 중요도 판정을 실시한 결과, 선정된 어휘는 684개이다. 따라서, 이를 최종적으로 ‘학부모용 기본어휘’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어휘는 실제 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이해도를 조사하여 학습의 필요성을 검증하였는데 모든 응답자가 알고 있는 어휘는 학부모용 기본어휘 전체의 약 10%에 불과했다. 이를 통해 선정된 ‘학부모용 기본어휘’의 대부분은 의도적인 학습이 필요한 어휘임을 알 수 있었다. 교육 방안을 제시하기에 앞서, 학부모용 기본어휘는 특징을 살피기 위해 2017년 4단계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의 등급별 어휘 목록과 비교하여 1~6등급으로 구분하였다. 그 결과, 일치하는 목록이 없어 어떠한 등급에도 해당하지 않는 어휘는 296개였다. 이로써 학부모용 기본어휘는 등급별 교육에는 적합하지 않다고 판단하여 어휘 목록을 주제별로 분류하여 분석하고 어휘의 형태적 특성을 살폈다. 마지막으로 이를 바탕으로 하여 어휘장을 활용한 교육 방안과 형태적 특성을 고려한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경영학 기본어휘 선정 및 분석 : 경영학 전공 기본 교재 분석을 중심으로

        이상민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는 국내 대학기관에서 경영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경영학 기본어휘를 선정하고 그 어휘 목록의 특성을 분석하여 경영학 기본어휘 교수 방안을 모색해 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1장에서는 본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기술하고, 선행연구를 학문 목적 한국어 교육 관련 연구과 학문 목적 어휘 목록 선정 관련 연구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학문 목적 교육과정에서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어휘 능력을 고찰해 보고 학문 목적 어휘로써 학문 목적 기본어휘와 학문 목적 전문어휘에 대한 이론을 정리하여 본 연구에서 선정하고자 하는 경영학 기본어휘의 개념을 정의하였다. 3장에서는 경영학 기본어휘 학습 대상자와 학습시기, 학습의 필요성을 제시하였고 어떤 어휘를 어떻게 선정할 것인가를 전문어휘의 특성을 통해 살펴보았다. 경영학 기본어휘 선정 과정을 명사 어휘 선정 과정과 경영학 기본어휘 분류기준으로 나누어 제시하였고 최종 884개의 경영학 기본어휘를 선정하였다. 4장에서는 선정된 경영학 기본어휘 목록을 분석하였다. 경영학 기본어휘 목록의 고유어, 한자어, 외래어 비율을 살펴보고, 일반 목적 한국어 기본어휘 목록인 ‘한국어 학습용 어휘 목록’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경영학 기본어휘 목록 내 의미적으로 유사한 어휘들을 의미군으로 묶어 12개 영역으로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5장에서는 읽기 수업을 바탕으로 한 어휘 수업안을 구성하였다. 읽기 자료로서 신문기사를 선택하였고 기사문 내에 경영학 기본어휘 목록 비율을 조사하여 구축된 어휘 목록의 타당성을 검증하고자 했다. 전체적인 수업은 읽기 수업으로 하되 경영학 기본어휘를 중심으로 한 어휘 교수방안을 구성해 보았다. 6장은 본 연구의 결론으로 전체 내용을 요약 ? 정리하고 한계점을 지적하여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을 덧붙였다. 본 연구는 경영학 기본어휘 목록을 선정하고 분석하여 국내 대학에서 경영학을 전공하고자 하는 외국인 유학생뿐만 아니라 본 대학에 입학하기 전 그들을 지도해야 하는 언어교육기관 교사들에게도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뷰티미용 전공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전공 기본어휘의 선정 및 교재 개발 연구

        유상 호남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8702

        -뷰티미용 전공 중국인 학습자를 위한 전공 기본어휘 의 선정 및 교재 개발 연구- 제 출 자: 유 상 지도교수: 권문화 한국에서 유학 중인 외국인 학부생과 대학원생의 한국어 학습에서 가장 어려움을 느끼는 부분은 어휘이다. 또한 어휘는 학업의 내용을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한국어교육을 위해 중국과 한국은 오래전부터 양국 교류 프로그램, 한국어 시험, 언어 인증 등 학습 항목을 개발하고 진행해 왔다. 현재까지 한국의 대학에 입학하고자 하면 한국어능력시험 3급 이상의 수준을 갖춰야 한다. 하지만 중·고급 단계의 학습자들도 여전 히 어휘 습득 양이 많이 부족하다고 느끼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 내 대학교의 뷰티미용학과에 진학하고자 하는 학 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를 위한 뷰티미용 전공용 전공 기본어휘를 선정하 고 해당 기본어휘 목록의 특징을 분석하여 뷰티미용 전공 어휘 교수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뷰티미용 전공 외국인 학습자 의 학업 성취에 도움을 줄 것이라 기대한다. 1장에서는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 선정의 필요성과 연구 목적을 제시하 였으며 학문 목적 한국어 어휘 선정에 관한 선행 연구를 검토하였다. 선 행 연구 검토는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첫 번째는 학문 목적 한국어 학술 어휘 교육 관련 연구, 두 번째는 뷰티미용 한국어 관련 연 구, 세 번째는 뷰티미용 한국어 교재 개발 기초연구이다. 선행 연구를 통 해 뷰티미용 전공에 대해 어휘 선정 연구가 많이 이루어지지 않았음을 확인하고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 선정의 필요성을 밝혔다. 2장에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학술 어휘의 개념과 분류를 제시하고, 전공 학습에 필요한 전공 기본어휘를 선정하는 방법과 연구 절차를 알아 보았다. 이를 통해서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의 개념을 명확히 정의하 고 어휘 선정 과정을 통해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 선정의 연구 방법과 향후 연구 방향을 밝히고자 하였다. 한편 대학의 뷰티미용 한국어 교육 현황도 제시하고자 한다. 3장에서는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의 선정 방법과 절차를 제시하였으며 먼저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를 선정하기 위하여 대학의 뷰티미용 전공 필수 과목의 교재를 수집하고 이를 바탕으로 원시 말뭉치를 구축하였다. 그다음으로 기초어휘 및 사고 도구어 제거 작업을 하였다. 이에 따라 선 정된 뷰티미용 학술 어휘는 뷰티미용 전공 재직 교수 2명과 현장 전문가 1명의 중요도 및 실용성에 대한 판정을 거쳐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에 대해 목록화하였다. 한편 선정된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를 분석하였으 며 마지막으로 어휘 목록의 주제를 메이크업, 헤어, 피부관리, 피부미용 기기학, 네일의 다섯 가지로 분류하여 제시하였다. 4장에서 제3장의 내용을 바탕으로 뷰티미용 한국어의 교재 내용에 대한 기초 연구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학문 목적 한국어 학습자들을 위한 뷰 티미용 한국어 어휘에 있어 교수요목 설계와 교육 방안을 설계하였다. 이는 외국인 학습자의 언어적인 교육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교사에게 도 교육 자료를 제공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고 볼 수 있다. 5장 결론에서는 앞서 고찰한 내용을 요약하고 결과를 정리하였으며 본 연구의 가치와 한계점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학문 목적 학습자를 위한 뷰티미용 전공 기본어휘 목록을 선 정하고 분석하여 뷰티미용 전공에 진학하고자 하는 유학생뿐만 아니라 교육 현장의 교사에게도 참고 자료로 삼을 수 있을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