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년여성의 요부안정화 운동시 체간근 활성도 비교

        전지경 고려대학교 의용과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국문요약 중년여성의 요부안정화 운동시 체간근 활성도 비교 본 연구는 요부 안정화 운동으로 시행되고 있는 bridging exercise를 세가지 다른 운동 방법에 따른 중년여성의 요부 안정화 근육들의 근활성도 비교와 국소근육/광역근육간의 근활성도 비율의 차이를 알아보고, 또한 bridging exercise의 세가지 다른 운동 방법에 따른 중년 여성과 20대 여성과의 각 근육의 근활성도와 국소 근육/광역 근육간의 근활성도 비율의 차이를 비교함으로써 중년여성의 척추 안정화를 위한 바람직한 운동형태를 설계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대상자는 중년여성 17명과 20대 여성 15명을 대상으로 실시하였으며, 운동 방법으로 bridgingⅠ은 바로 누운 자세에서 무릎을 60˚정도 구부린 상태에서 엉덩이뼈 무릎 두 번째 발가락이 일직선이 된 상태로 골반을 들어 올려 골반 앞이 0˚가 될 수 있을 정도로 유지하는 것이고 bridgingⅡ은 운동1과 같은 자세에서 무릎 안쪽에 지름 35cm인 링을 끼고 링을 조이면서 골반을 들어 올리는 것이며, bridgingⅢ은 bridgingⅠ과 같은 자세에서 지름15cm 길이90cm인 원통형 모양인 formllor를 세로로 바닥에 놓고, 그 위에 척추뼈가 일직선이 되게 누운 상태에서 골반을 들어 올리는 것이다. 운동을 하는 동안 표면 근전도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복직근, 내복사근, 다열근 요장늑근 흉추부의 각근육의 근활성도와 내복사근/복직근, 다열근/요장늑근 흉추부의 근활성도 비율을 측정하였다. 각 근육의 근활성도는 맨손근력검사자세에서 최대등척성 수축시 측정한 %MVIC(%maximal voluntary isometric contraction)로 표준화 하였다. 20대 성인여성그룹과 중년 여성그룹의 연령, 신장, 체중, BMI의 비교는 독립 t 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으며, 각 집단간(20대 성인여성그룹, 중년 여성그룹) 각 Bridging 동작(Bridging I, Bridging II, Bridging III)에 따른 근활성도 평균 비교는 독립 t 검정(independent t-test)을 실시하였다. 각 집단에서 각 Bridging 동작간(Bridging I, Bridging II, Bridging III)의 근활성도와 근활성도 비율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서는 일원배치반복측정분산분석(one-way repeated measured ANOVA)을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정은 bonferroni를 이용하였다. 통계적 검정을 위한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 중년 여성의 세 가지 다른 방법의 bridging exercise에 따른 각 근육의 활성도를 비교한 결과 모든 근활성도에서 bridging Ⅱ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그중 복직근과 다열근, 요장늑근 흉추부에서 bridgingⅡ가 bridging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p<0.05), bridgingⅡ가 bridgingⅢ보다도 유의하게 높았다(p<0.05). 내복사근에서 bridgingⅡ가 bridgingⅠ보다 bridgingⅡ가 bridgingⅢ보다 bridgingⅢ가 bridgingⅠ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국소근육/광역근육의 근활성도 비율의 차이는 모두 다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bridgingⅡ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중년 여성과 20대 여성에서의 Bridging 동작간(Bridging I, Bridging II, Bridging III)의 각 근육의 근활성도는 중년 여성군에서 모두 높게 나타났으며, 그중 다열근과 요장늑근 흉추부에서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p<0.05). 비율적으로 보았을때 유의한 차이는 없지만 20대 여성에서 내복사근/복직근의 활성도가 bridgingⅡ에서 높고 bridgingⅢ에서는 같았으며, 다열근/요장늑근 흉추부에서는 bridgingⅡⅢ에서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중년 여성은 bridgingⅡ에서 모든 근육의 근활성도와 근활성도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므로 요부 안정화에 관여하는 체간근육의 활성도를 bridgingⅡ를 통하여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중년 여성이 모든 근활성도는 높게 나타났으나 비율적인 면에서는 20대 여성이 높게 나타나는 경우로 보아서 다른 연령대의 근활성도와 비교하여 프로그램을 선정한다면 보다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을 것이다. 주요 단어: 요부 안정화 운동, 복직근, 내복사근, 다열근, 요장늑근 흉추부, 국소근육, 광역근육, 표면근전도

      • 컴퓨터 마우스 작업 시 보조기 유형에 따른 근활성도 분석 : - 20〜40대 사무직 근로자를 중심으로 -

        배지우 동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에서 근무하는 20∼40대 사무직 근로자를 대상으로 세 가지 컴퓨터 마우스 작업 시 보조기 유형(미착용, 손목보조기, 팔꿉보조기)에 따른 근활성도의 차이를 비교하였다. 세 가지 마우스 작업은 과제 1(8개의 칸에 마우스 왼쪽 버튼을 이용하여 지그재그 클릭하기), 과제 2(검지를 이용하여 6페이지 분량의 문서를 마우스 휠을 돌려서 가장 마지막 페이지로 이동하였다가 다시 되돌아 오기), 과제 3(모니터 바탕화면에 깔린 아이콘 별로(한글파일, 엑셀파일, 파워포인트파일) 폴더에 드래그하여 옮기기로 구성하였다. 과제 수행 중 대상자의 근활성도는 표면근전도 장비를 사용하여 등세모근, 손가락굽힘근, 긴노쪽손목폄근, 자쪽손목폄근을 측정하였다. 연구 결과, 과제 1에서 손목보조기 착용 시 긴노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고, 팔꿉보조기 착용 시에는 긴노쪽손목폄근 및 자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과제 2에서는 손목보조기 착용 시 및 팔꿉보조기 착용 시 모두 긴노쪽손목폄근과 자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가 유의하게 감소되었다. 과제 3에서는 미착용, 손목보조기 착용, 팔꿉보조기 착용 간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근활성도 차이가 없었다. 요컨대 과제 유형에 따라 손목보조기 또는 팔꿉보조기 착용 효과가 근육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나, 일부 과제에서 보조기 착용이 긴노쪽손목폄근 또는 자쪽손목폄근의 근활성도 감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compare the differences in muscle activity among types of orthoses(unequipped, wrist orthosis and elbow orthosis) when using a computer mouse, targeting office workers in their twenties to forties, who live in Busan. The three tasks conducted in this study are clicking eight different spaces in zigzags using the left button, moving from the first page to sixth page and then going back to the first one again, rolling the mouse wheel with the index finger and dragging the icons(an Hwp file, an Excel file and a PowerPoint file) on the desktop to another folder. The surface electromyographic device examined trapezius, flexor digitorum, extensor carpi radial longus and extensor carpi ulnaris to measure participants’ muscle activity during the tasks. The result of the three tasks is as follows. In the first task, when participants wore the wrist orthosis, their muscle activity in extensor carpi radial longus significantly decreased while when they wore the elbow orthosis, muscle activity in extensor carpi radial longus and extensor carpi ulnaris also decreased evidently. In the second task, when participants wore either the wrist orthosis or the elbow orthosis, their muscle activity in extensor carpi radial longus and extensor carpi ulnaris significantly decreased. In the third task, there was no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 in muscle activity between the types of orthoses; unequipped, equipped with the wrist orthosis and equipped with the elbow orthosis. Therefore, although the effect of wearing a wrist orthosis or an elbow orthosis differs on the types of muscles, in some tasks wearing orthoses appears to be effective on decreasing muscle activity in extensor carpi radial longus and extensor carpi ulnaris.

      • Comparative electromyographic analysis of masticatory muscles between bilateral and unilateral masticators

        나선혜 조선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편측 저작시에 나타나는 근활성도를 정상 저작자와 비교 분석하여 편측 저작시의 근기능의 변화에 대해 조사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양측 저작 습관을 가진자와 편측 저작 습관을 가진자를 실험대상으로 하였고, 설문조사와 구강내 검사를 통해 악관절이 건강하고 교합이 정상이며 28개 치아를 모두 가지고 있고 치관 보철물이 없으며 양측 저작 습관을 가진 10명의 양측 저작군과 편측 저작 습관을 가진 10명의 편측 저작군을 선정하였다. 교근과 측두근의 근활성도를 안정위, 이악물기, 껌 저작시로 나누어 측정하였다. (BIO-PAK system, Bio-Research Associates Inc. USA) 두 군 모두 각각의 조건에서 측정하기를 3회 반복하였고 이 값의 평균치를 얻어 두 군을 비교하였다. 이상의 실험에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1. 안정위에서 근활성도가, 양측 저작군에서는 측두근의 전방부가 1.0-1.5㎶이고, 교근의 천부에서는 0.5-1.0㎶이며, 좌, 우측의 근활성도는 대칭성을 보였다. 그러나, 편측 저작군에서는 선호되는 저작측의 측두근 전방부에서 약간 높은 근긴장도의 양상을 보이고(p<.01), 측두근과 교근의 좌, 우측 기록 수치상의 비대칭 양상을 보이고 있었다. (p<.05) 2. 최대 교두감합위로의 이악물기시의 근활성도는 두 군에서 모두 측두근의 전방부보다 교근의 천부에서 훨씬 높은 근활성도를 보이고 있으나, 편측 저작군에서는 측두근에서의 근활성도가 양측 저작군에서 보다 약간 더 높았고, 교근과 측두근 모두에서 좌우 비대칭적 양상을 보이고 있었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p<.05) 3. 껌 저작시의 근활성도는 두 군 모두에서 측두근의 전방부가 교근의 천부 보다 먼저 활성화되고 최대 저작력은 교근에 의해 발생되는 것으로 보인다. 한편, 양측 저작군에서는 저작시 근활성도의 크기 순서는 저작측 교근, 반대측 교근, 저작측 측두근, 반대측 측두근순이다. 그러나, 편측 저작 군에서는 좌, 우측 저작에 상관없이 선호되는 저작측의 교근과 측두근의 근활성도가 양측저작군에 비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특히 측두근에서는 유의성 있는 차이를 보이고 있다. (p<.01) 이상의 결과에 근거하여 보았을 때, 편측 저작 습관을 가진 경우에 근활성도의 불균형이 저작계에 불균형을 유발할 수 있으므로 편측 저작 습관의 원인을 근활성도의 측정을 통하여 규명하여 원인을 제거한 후 양측 저작을 유도함으로써 저작계의 기능향상에 유용할 것이라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obtain basic data which is electromyographic activity in unilateral masticators. Twenty subjects, ranging from 21 to 27 years of age without symptoms of stomatognathic system, were selected from dental students in Chosun University by the questionnaire and oral examination. Among the twenty subjects, ten bilateral mastication subjects and ten unilateral mastication subjects were divided. The electromyographic activities of anterior temporal and masseter muscle were investigated by BIO-PAK system (Bio-Research Associates Inc. USA). Each subjects were measured three times during rest, clenching in maximum intercuspation and gum chewing and the mean of 3 recordings were compared and analyze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1. In electromyographic activity during rest, records of anterior part of temporal muscle in bilateral mastication group were ranged 1.0-1.5㎶ and superficial part of masseter muscle were ranged 0.5-1.0㎶ and pattern of muscle activity of right and left side was symmetrical. But, in unilateral mastication group, records of anterior part of temporal muscle was higher than that of bilateral mastication group( p< .01 ) and patterns of muscle activity of right and left side in both muscle were asymmetrical. ( p< .05 ) 2. In electromyographic activity during clenching in maximum intercuspation, records of superficial part of masseter muscle were higher than anterior part of temporal muscle in both group. Muscle activity of temporal muscle in unilateral mastication group was a little higher than bilateral mastication group and asymmetry of activity pattern in temporal and masseter muscle was shown but these differences were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 p< .05 ) 3. In electromyographic activity during gum chewing, temporal muscle was activated earlier than masseter muscle and maximum bite force is derived from masseter muscle in both group. The order of muscle activating time in bilateral mastication group was masseter muscle of chewing side, contralateral masseter muscle, temporal muscle of chewing side and contralateral temporal muscle But, in unilateral mastication group, electromyographic activity of masseter and temporal muscle of preferred chewing side, regardless of right or left side chewing, was higher than that of bilateral mastication group and especially, difference in masseter muscl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 .01 ) Based on the above results, our study suggested that recording of masticatory muscle activity will be helpful in the effective diagnosis and treatment of some types of the parafunctional habits.

      •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어서기 동작 시 손의 접촉이 하지 근활성도와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

        양시은 동신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and support on muscle activation and foot pressure of lower limbs during sit-to-stand in patients with chronic stroke. A total 30 hemiplegia participated non hand support during sit-to-stand(n=10), non affected hand support during sit-to-stand(n=10), affected hand support during sit-to-stand(n=10). The analysis of muscles activation (rectus femoris, biceps femoris, tibialis anterior, gastrocnemius) distribution was conducted by the Free EMG 1000, and the analysis of foot pressure distribution was conducted by the PA200. Hemiplegic stroke patients were instructed to perform sit-to-stand three times. First,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ffected side rectus femoris muscle activation within affected hand support group(p<.05). Second. There was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ibialis anterior muscle activation within affected hand support group(p<.05). Third.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on affected side and affected side foot pressure within affected hand support group(p<.05). Four.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non affected side fore-foot and hind-foot pressure within non hand support group and affected hand support group(p<.05).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at hand support during sit-to-stand is related to muscle activation and the characteristics of foot pressure. This information was observed in the affected hand support, suggestion that rehabilitation programs should be implemented. 본 연구는 만성 뇌졸중 환자의 일어서기 동작 시 손 지지가 하지 근활성도와 족저압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올바른 신체 자세 및 마비측 하지의 동원을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를 가지고 있는 환자 총 30명을 대상으로 손을 지지하지 않고 일어서는 비 손 지지군(n=10), 비마비측 손을 테이블에 지지한 후 일어서는 비마비측 손 지지군(n=10), 마비측 손을 테이블에 지지한 후 일어서는 마비측 손 지지군(n=10)으로 나누었다. 양하지의 근활성도를 측정하기 위하여 Free EMG 1000을 사용하였으며, 양하지의 족저압을 측정하기 위하여 PA200을 사용하였다. 손 지지에 따른 일어서기 동작 시 양하지 넙다리곧은근, 넙다리두갈래근, 앞정강근, 장딴지근의 근활성도와 좌·우, 앞·뒤 족저압을 측정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마비측 넙다리곧은근의 근활성도 결과는 비 손 지지군과 비마비측 손 지지군에 비해 마비측 손 지지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둘째, 마비측 앞정강근의 근활성도 결과는 비마비측 손 지지군에 비해 마비측 손 지지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셋째, 비마비측 하지와 마비측 하지의 족저압 결과는 비 손 지지군에 비해 마비측 손 지지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넷째, 비마비측 하지의 앞·뒤 족저압 결과는 비 손 지지군에 비해 비마비측 손 지지군과 마비측 손 지지군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5). 이상의 결과로 일어서기 동작 시 마비측 손 지지가 뇌졸중 환자의 일어서기 동작 시 근활성도와 족저압을 개선시키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훈련기간 없이 손 지지의 변화만으로 마비측 하지의 동원을 증가시킬 수 있었다. 따라서 임상에서 만성 뇌졸중 환자의 치료계획을 수립할 때, 선행 연구들의 반복적인 훈련프로그램과 함께 적절한 손 지지가 필요할 것으로 여겨진다.

      • 양손 과제 수행 시 뇌졸중 환자와 정상인의 상지 근활성도 비교

        김남우 삼육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2

        본 연구의 목적은 양손 과제 수행 시 뇌졸중 환자와 정상인의 상지 근활성도를 알아보는 것이다. 편마비를 가진 뇌졸중 환자 13명과 정상인 12명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근전도 측정은 양손 과제를 수행 시 장요측수근신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에 근전도 전극을 부착하여 나타나는 신호를 수집하였다. 양손 과제는 손목 들기, 손바닥 뒤집기, 손끝 어깨 닿기, 수직 점찍기, 손 뻗어 컵으로 물먹기, 바깥으로 원 그리기, 안쪽으로 원 그리기, 손가락 쥐기, 총 8가지 과제로 구성하였다. 양손 과제 수행 시 수집된 근전도 데이터를 분석하여 근활성도(%MVIC)를 계산하고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과 비마비측 그리고 정상인의 양측을 비교하였다. 뇌졸중 환자의 마비측 장요측수근신근과 상완이두근, 상완삼두근은 연구에서 제시한 8가지 과제 수행 모두에서 비마비측과 정상인의 양측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큰 근활성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또한 장요측수근신근은 대부분의 과제에서 가장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냈다. 그리고 비마비측도 정상인보다 높은 근활성도를 나타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뇌졸중 환자의 양손 과제 수행 시 근활성도(%MVIC)를 이해하고, 임상에서 다양하고 적절한 중재적 시도가 이루어지며, 근활성도를 활용하는 재활 중재 장비 개발이나 보다 객관화된 평가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되길 기대한다.

      • 윈드서퍼의 플레이닝 시 풋스트랩 위치와 경기력에 따른 하지 근활성도 비교분석 연구

        천사빈 부경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2

        This study aimed to identify the lower limb muscle activity during windsurfing planing depending on the different position of footstrap and their skill level among windsurfers and to provide the useful information on the development of training programs for enhancing windsurfers’ performance. Seven elite and 6 amateur windsurfers who had no neurological or musculoskeletal impairment in the past two years in lower extremities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muscle activation of their tibialis anterior, peroneus longus, medial gastrocnemius, and biceps femoris in the front and rear legs were measured during the starboard and port tacks of windsurfing planing. All participants used two footstraps located in metatarsophalangeal joint and tarsometatarsal joint in any order they wanted. The mean value of each muscle in 15s was calculated and analyz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both elite and amateur windsurfers had no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front and rear legs depending on the planing directions regardless of positions of footstrap. Second, elite windsurfers had the higher activity of tibialis anterior or peroneus longus compared to medial gastrocnemius or biceps femoris on the front leg during both starboard and port tacks. But, amateurs had no differences among the muscles in the low extremities. Third, tibialis anterior in elite windsurfers showed higher activity than in amateurs, but both medial gastrocnemius and biceps femoris in amateurs showed higher activation than in elites, regardless of different positions of footstrap and planing directions. Fourth, both elite and amateur windsurfers had no difference in the muscle activity of front and rear legs depending on positions of footstrap regardless of the planing directions. These results can explain that amateur windsurfers used the larger muscles such as medial gastrocnemius and biceps femoris in the front leg for controlling their board and maintaining the balance on board, whereas elites used the tibialis anterior or peroneus longus more strongly compared to amateurs for maintaining board control with an ankle strategy. These information can help windsurfers and coaching to understand the motion for planning and improve windsurfing-related skills. 본 연구는 윈드서퍼를 대상으로 육상 기반 시뮬레이터를 사용하여 플레이닝 시 풋스트랩 위치와 경기력 및 범주 방향에 따른 하지 근활성도를 확인하고 이를 기반으로 경기력 향상과 트레이닝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실업팀 소속으로 활동 중인 건강한 엘리트 윈드서퍼 7명과 동호회 소속으로 활동 중인 건강한 아마추어 윈드서퍼 6명을 선정하여 사전 교육된 방법대로 발허리발가락관절과 발목발허리관절에서 풋스트랩을 사용하는 동안 스타보드와 포트 방향에 따라 앞정강이근, 긴종아리근, 안쪽장딴지근,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를 수집하였다. 모든 자료는 15초의 평균값을 산출 하였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엘리트 집단과 아마추어 집단의 풋스트랩 위치에 따른 하지 근활성도 차이는 범주 방향과 앞·뒷발 모두에서 발견하지 못하였다. 둘째, 엘리트 집단은 범주 방향과 풋스트랩 위치와 상관없이 앞발에서 앞정강이근 또는 긴종아리근의 근활성도가 안쪽장딴지근 또는 넙다리두갈래근보다 높게 나타났으며, 아마추어 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엘리트 집단은 범주 방향과 풋스트랩 위치와 상관없이 앞발에서 앞정강이근의 사용이 아마추어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아마추어 집단은 범주 방향과 풋스트랩 위치와 상관없이 앞발의 안쪽장딴지근 또는 넙다리두갈래근의 근활성도 사용이 엘리트 집단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엘리트 집단과 아마추어 집단의 범주 방향에 따른 하지 근활성도 차이는 풋스트랩 위치와 앞·뒷발 모두에서 발견하지 못하였다. 본 연구결과에서 엘리트 윈드서퍼는 앞발의 앞정강이근과 긴종아리근을 사용한 발목전략으로 보드조절하는 반면, 아마추어 윈드서퍼는 안쪽장딴지근과, 넙다리두갈래근 같은 상대적으로 큰 근육을 사용해 무릎과 엉덩전략으로 보드조절하는 것을 설명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풋스트랩을 사용하는 플레이닝 동작을 이해하고 경기력 향상을 위한 트레이닝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 편마비 환자의 semi-squat동작 시 지지면의 형태가 하지 근활성도와 체중분포에 미치는 영향

        양용필 한서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1

        편마비로 인한 하지 기능의 손상은 전체의 80%의 체중을 비마비측에 지지할 정도로 양측의 비대칭성을 증가시키고, 기립균형시 안정성 저하로 낙상의 위험을 증가 시킨다.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보조 도구를 이용하여 체중이동을 유도하거나, 불안정판 등을 사용하여 균형능력을 증진시키는 방법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보고되었다. 그러나, 대부분 양 하지에 동일한 지지면을 적용하였고, 자세조절을 위해 비마비측에서 나타나는 과도한 보상작용을 제한하기 위한 연구들은 부족하였다. 본 연구는 편마비 환자에게 불안정판과 안정판을 이용하여 양 하지 지지면의 형태에 변화를 주어 semi-squat동작 시 양 하지의 안쪽 넓은근, 앞정강근, 가쪽 뒤넙다리근, 가쪽 장딴지근의 근활성도와 체중분포율의 변화를 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자는 뇌졸중으로 인한 편마비 환자 32명 이었다. 대상자들은 4가지 조건의 지지면 위에서 semi-squat동작을 무릎관절 굴곡 단계와 신전단계로 나누어 실시하였다. 조건 1은 양 하지에 모두 안정판, 조건 2는 비마비측에 불안정판과 마비측에 안정판, 조건 3은 비마비측에 안정판과 마비측에 불안정판, 조건 4는 양 하지 모두 불안정판을 적용하였다. 실험 결과, 체중분포율 차이에서는 조건 2(비마비측-불안정판, 마비측-안정판)에서 굴곡 단계와 신전 단계에서 다른 조건과 비교하여 감소하였고(p<.05), 양측 하지 근활성도 차이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조건 2에서 감소함을 보였다(p<.05). 또한, 지지면의 조건에 따른 마비측의 근활성도를 근육별로 비교하였을 때 조건 2에서 다른 조건들에 비하여 증가하였다(p<.05). 본 연구의 결과, 편마비 환자의 semi-squat동작 시 지지면의 형태로서 마비측에 안정판, 비마비측에 불안정판을 적용한 경우, 양 하지의 체중분포와 근활성도의 대칭성이 증가하였다. 추후 연구에서는 편마비 환자의 비대칭성으로 인한 자세 조절의 문제를 개선시키기 위하여 지지면 형태에 변화를 주어 기능적인 훈련을 할 수 있는 방법들이 개발되어야 할 것이다. Damage to the function of the lower limbs due to hemiplegia can cause asymmetry of both side. The asymmetry of the weight support, in particular, can be serious enough for 80% of the total weight to be supported by the non-hemiplegic side. This increases the risk of falling due to decreased stability in standing balance. The improvement in symmetric postural control ability is regarded as important in rehabilitation treatment for hemiplegic patients. Many studies have examined various kinds of aids to induce weight shift and the use of an unstable platform to improve balance abilities. However, most of the prior investigations only applied identical support surfaces to both lower limbs, and few studies tried to restrict the found in the non-hemiplegic side for hemiplegic patients' postural control. This study intended to use an unstable platform to change the support surface type and position of both lower limbs to report changes in weight distribution and muscle activity in the vastus medialis, tibialis anterior, lateral hamstring muscle, and lateral gastrocnemius of both lower limbs in knee joint flexing and extending sections in a semi-squat movement among 32 hemiplegic patients. The support surface conditions applied to the lower limbs were divided into four categories: Condition 1 with a stable platform for both lower limbs; Condition 2 with an unstable platform for the non-hemiplegic side and a stable platform for the hemiplegic side; Condition 3 with a stable platform for the non-hemiplegic side and an unstable platform for the hemiplegic side; and Condition 4 with an unstable platform for both sides. As a result, there was a significant increase in the weight support distribution for the hemiplegic side in flexing and extending sections in Condition 2(hemiplegic side-unstable platform, non-hemiplegic side-stable platform) than in the other conditions (p < .05).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in differences in the weight support distribution rate in flexing and extending sections in Condition 2 than in other conditions (p < .05). There was a similar significant decrease in differences in muscular activity for both lower limbs in Condition 2 (p < .05). As for the muscular activity of the hemiplegic side by support surface for each muscle, it more significantly increased in Condition 2 (p < .05). The results demonstrated that Condition 2, an unstable platform for the non-hemiplegic side and a stable platform for the hemiplegic side, increased symmetry in terms of the weight support distribution rate and muscular activity of lower limbs for hemiplegic patients. To solve the problem of postural control due to asymmetry of hemiplegic patients, further studies need to develop methods of functional training by changing the type and position of the support surfaces.

      • 기구 필라테스 동작의 강도변화에 따른 근활성도 차이 분석 : 필라테스 동작별 근활성도 차이 분석

        변재진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1

        본 연구의 목적은 현대인들의 건강관리 운동법으로 각광받고 있는 기구 필라테 스 리포머 운동 시 스프링 강도 변화에 따른 근활성도 차이를 비교 분석하여 필 라테스 자세를 지도하는데 있어 정량적 정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경력 3년 이상의 성인 여성(나이: 34.62±3.99, 체중:50.52±2.48) 8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수행하였고, 스프링 종류와 개수에 따라 약(Low,), 중(Mid,), 강 (High) 설정할 수 있는 기구 필라테스를 사용하였다. 수행된 동작은 기본적인 4 가지 동작(Shoulder Extension, Triceps Press, Full Plank, Down stretch) 이며, 이때 발생하는 5가지 근육(상완삼두근, 상완이두근, 삼각근, 복직근, 척추기립근) 의 근활성도를 표면 근전도 장비를 통해 자료를 취득하였고, 강도에 따른 차이검 정은 반복측정분산분석(one-way repeated ANOVA)으로 분석하였다 도출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Shoulder Extension 동작 시 상완삼두근과 이두근, 삼각근에서 스프링 강도에 따라 근활성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둘째, Triceps Press 동작 시 삼각근과 복직근, 척추기립근에서 스프링 강도에 따라 근활성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Full Plank 동작 시 상완 삼두근과 상완 이두근, 복직근에서 스프링 강도 에 따라 근활성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넷째, Down Stretch 동작 시 상완이두근과 복직근에서 스프링 강도에 따라 근 활성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 요통환자의 신체요동 시 세조절을 위한 근활성도 비교 연구 : 20대를 중심으로

        김익환 용인대학교 2012 국내석사

        RANK : 248700

        본 연구의 목적은 신체요동 시 20대 요통환자의 의 자세조절을 위한 근활성도를 조사하고, 비교 분석하여 요통환자 치료의 기초자료를 제공 하는데 있다. 이 연구는 2011년 8월부터 9월까지 재학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였으며, 이중 요통이 있는 16명을 연구군으로, 요통이 없는 15명을 대상군으로 선정하였다. 모든 대상자들에게 선 자세에서 눈을 뜬 상태와 감은 상태로 진자충돌에 의한 신체요동 시 하지와 체간의 근활성도를 선행성, 대상성 자세조절 구간으로 구분하여 측정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그룹 간 근활성도 비교에서 개안 시에는 연구군이 대조군에 비해 배 곧은근 활동이 선행, 대상성 자세조절 구간 모두에서 뚜렷하게 저하 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p< .05). 2. 그룹 간 근활성도 비교에서 폐안 시에는 연구군이 대조군에 비해 선 행성 자세조절 구간에서는 양측이, 대상성 자세조절 구간에서는 오른 쪽 배곧은근 활동이 저하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p< .01). 3. 그룹내 구간별 차이 비교에서는 연구군의 경우, 충돌직후 인 대상 성 자세조절 구간 1 에서 정강이뼈 앞근의 활성도가 폐안 시 보다 개안 시에 더 높았다. (p<. 05) 4. 대조군의 그룹내 구간별 근활동 차이에서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신체요동에 대한 자세조절 시 예측조건과 관계없이 선행성, 대상성 자세조절 구간 모두 연구군이 대조군에 비해 복근의 근활성도가 저하되고, 정강이뼈 앞근의 근활성도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이는 요통환자의 변화된 상위 운동조절 시스템을 반영하는 결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러므로 향후 요통환자의 상위 운동조절 시스템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와 이를 개선할 수 있는 치료적 방법과 효과규명에 관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A object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Electromyographic activity for postural control in groups of the twenties in with low back pain(LBP) during their body perturbation and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reatment of low back pain. All subjects were exposed to external predictable and unpredictable pertubations induced by using a pendulum paradaigm, while standing with eyes open and closed. electrical activity of leg and trunk muscle was recorded and analyzed during four epochs representing typical section of anticipatory and compensatory postural control. The results were as follows 1. In comparison inter-group difference in conditions of predictable perturbation, a group of subject with LBP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tivity of Rectus abdominis than the control group in both of Epochs(p<0.05). 2. In comparison inter-group difference in conditions of Unpredictable perturbation, a group of subject with LBP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tivity of Bilateral rectus abdominis than the control group in Epoch of anticipatory postural control. and in Epoch of Compensatory postural control a group of subject with LBP only showed significantly lower activity of right rectus abdominis than the control group(p<0.01). 3. In comparison intra-group difference, in case of the subjects with LBP, it show significantly higher activity of anterior tibialis than other epochs during the first compensatory postural control (CPA1) immediately followed by impact under predictable conditions in comparison of intra-group difference(p<0.05). 4. In comparison intra-group difference in control group. there was no significantly difference. To summarize the result of this study, it is considered that significantly more person with low back pain than nomal person exhibited absent firing of trunk muscles for postural control durinng body pertubation. In conclusion, it show that characteristic of postural control mechanism in person with low back pain reflects result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