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급 군종목사의 군생활 갈등 경험 연구

        고재천 백석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7774

        본 연구의 목적은 초급 군종목사들이 군생활 중에 겪은 갈등 경험이 어떻게 나타났는지 그리고 이들이 그 갈등들에 어떻게 대처하는지를 현상학적으로 밝히는 것이다. 이를 위해 6개월에서 4년 미만에 있는 초급 군종목사 8명의 참여자들을 심층 면접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를 Colaizzi의 현상학적 연구 방법에 의해 분석하여 105개의 구성의미와 33개의 주제들, 그리고 14개의 주제군을 도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초급 군종목사의 군생활 갈등 경험은 ‘군 문화와의 충돌로 인한 당혹감’, ‘부적응한 자신에 대한 자괴감’, ‘역할에 대한 확신 부족으로 혼란스러움’, ‘스트레스 누적으로 인한 탈진’, ‘목사로서 인정받아야 한다는 압박감’, ‘계급 체계에 대한 양가적 태도’, ‘의지할 대상의 부재로 인한 고립감’, ‘이해와 여유의 부족으로 손상된 관계’, ‘목사의 정체성을 지켜내려는 고군분투’, ‘영적 통찰을 통한 패러다임의 전환’, ‘적극적 소통을 통한 지지관계 형성’, ‘긍정적이고 열린 모습으로의 태도 변화’, ‘긍휼과 유연함으로의 성장’, ‘함께하는 사람들 속에서 찾는 보람’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초급 군종목사들의 심인적 갈등의 요인은 군에 대한 문화 충격, 군에서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가치와 신앙에서 우선적으로 추구하는 가치의 충돌, 장교와 목사로서 느끼는 부족감과 자책감, 자신의 역할에 대한 개념이 정립되지 않은 역할 모호, 목사와 장교라는 이중 신분, 목사로서 인정받아야 한다는 압박, 처음 겪어 보는 군의 계급 체계 경험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심인적 갈등들은 새로운 환경에 대한 저항, 스스로에 대한 자괴감, 자신의 역할과 정체성에 대한 혼란, 일에 대한 몰두와 탈진, 그리고 계급에 대한 양가적 태도인 피해의식과 특권의식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급 군종목사들의 관계적 갈등의 요인은 자신을 잘 드러내지 않으려는 목회자의 특성, 누적된 스트레스와 탈진으로 인한 여유의 부족, 군에 대한 이해 부족, 그들이 맺는 대인관계의 이중성으로 분석되었다. 이러한 관계적 갈등들은 사람들로부터 스스로를 고립시키고, 열심히 했지만 조직 내의 다른 구성원들과 갈등하며, 목회자로서의 전문성 발휘가 제한되고, 작은 일에도 예민해지고 거칠어지며, 사고가 부정적이고 경직되는 모습으로 나타났다. 셋째, 초급 군종목사들의 갈등 대처는 가장 먼저 ‘목사의 정체성 회복’에 집중하여 하나님과 바른 관계를 재정립하고, 기독교적 가치인 섬김과 사랑을 실천하려는 노력으로 나타났다. 참여자들은 기도와 말씀을 통해 통찰이 일어나 율법에서 은혜의 패러다임으로 변화되었고,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비공식적 의사소통도 활발히 구축하려 노력했다. 이들은 갈등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태도의 변화가 일어나서 군에 대해 긍정적 관점을 갖게 되고 장병들을 긍휼히 여기며, 주변 사람들과 신뢰를 형성하고 사람들의 성장 속에서 보람을 찾게 되었다. 이는 갈등과 고난이 가져다 준 성장의 열매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첫째 전후방 각지의 군선교 현장에서 주역을 감당하고 있는 군종목사 자신들의 갈등 문제를 다루고 있다는 점이다. 군과 관련된 기독교 계통의 기존 논문들이 대부분 군선교나 군상담 같은 주제에 집중되어 있는 것을 감안할 때 본 연구는 희소성이나 의미 면에서 모두 의의가 있다고 할 수 있다. 둘째 이 연구는 그 지위의 특성상 일반인들의 접근과 자기 노출이 매우 어려운 ‘현역 군종목사’들을 대상으로 이루어졌다는 점이다. 군은 특성상 외부 노출을 꺼려하는 폐쇄적 집단이며 목회자들 역시 자신의 모습을 있는 그대로 드러내기 어려운 사람들이다. 군종목사들은 위의 두 가지가 모두 해당되어 연구가 쉽지 않은 대상이다. 이 연구 결과들은 참여자에게는 자기 성찰과 통전적(統全的) 성장을 위한 계기를 마련해 주며, 그들을 돕고 지원하는 관계자들에게는 이들을 효과적으로 돕기 위한 주요 통찰과 자료들을 제공해 줄 것이다. 셋째 이 연구는 초급 군종목사들이 군에서 겪는 갈등의 요인을 상호적인 관점에서 볼 수 있는 통합적 시각을 제공하고 있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갈등의 원인을 규명함에 있어 군종목사들이 이중 신분으로 인해 불가피하게 겪어야만 하는 측면을 다룬다. 더 나아가서 사역에 대한 준비 미흡과 군 문화에 대한 몰이해 같은 참여자들 측면의 갈등 요인과 군종목사들의 특수 신분에 대한 이해와 배려의 부족 같은 군 측면의 갈등 요인을 모두 드러내고 있다. 넷째 본 연구 결과들이 초급 군종목사들이 군생활 갈등을 극복하는 과정에서 습득한 ‘효과적 갈등 대처’를 잘 드러내 주고 있다는 점이다. 그러므로 여기에서 얻어진 효과적 대처 방법들은 초급 군종목사들이 불필요하고 소모적인 갈등을 지혜롭게 피해가도록 돕고 이들이 직면해야만 하는 갈등들에 대해서는 더욱 유연하게 대처할 수 있도록 유용한 자료와 통찰을 제공해 줄 것이다.

      • 군내 자살예방을 위한 군종목사의 목회상담적역할

        윤경일 성결대학교 신학전문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727

        본 연구는 군내의 어려운 환경에서 위험한 임무를 감당하고 있는 병사들의 자살사고예방을 위해서 군종목사의 목회상담적 돌봄과 역할에 대하여 살펴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본 논문의 연구를 통해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살에 대한 학문적인 이해와 성경에서 말하고 있는 자살의 개념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그리고 군내에서 일어난 자살사고 실태를 조사한 내용들을 바탕으로 문헌연구중심으로 조사하였다. 또한 군종목사로서 장병들의 생명존중을 일깨우는 성직자와 자살예방을 위한 전문교관으로의 모습, 자살위기자를 선도하는 전문상담가로서 임무를 어떻게 수행하고 있는지를 살펴보았다. 군내의 자살사고예방을 위하여 체계적인 상담과 역할을 가지고 진정으로 생명을 살리는 사명을 감당하고 있는 군종목사의 목회돌봄이 무엇인지도 연구하였다. 둘째, 2003년부터 군종장교들에 의해 시행되고 있는 비전캠프를 살펴봄으로써 자살위기자 및 복무부적응자들의 건강한 자아상 회복을 돕고, 왜곡된 인식체계를 전환함으로 군내 자살사고예방에 크게 기여한 내용들을 연구하였다. 비전캠프 입소자 중 약 87%가 문제가 해결되거나 부대적응에 도움을 받고 있으며, 부정적인 자아상과 자살충동을 극복하고 군 생활에 성공적으로 적응하는 많은 사례들이 나타났다. 한 생명이라도 잃어버리지 않기 위해서 끊임없이 찾아다니는 목회적 돌봄과 사랑 가운데 아름다운 하나님의 형상이 나타난다고 생각된다. 셋째, 군대에서의 자살문제는 군조직의 특성 때문에 군에 미치는 영향은 일반인보다 심각할 수밖에 없다. 군인의 신분은 국가의 몸으로 군의 구성원이기 때문에 자신의 처신을 함부로 할 수 없는 특수한 위치이다. 강한 전투력을 유지하고 전시에 싸워서 이겨야 하는 군 조직에서는 단 한명의 병사라도 손실을 입는 현상은 없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군종목사의 목회상담역할의 중요성이 매우 중요하고, 자살우려자에 대한 목회적인 돌봄과 자살위기에서 오는 긴장감을 잘 극복 할 수 있도록 성장과 성숙을 위한 목회적 조언을 해주는 것이 필요하다. 즉 자살에 대하여 기독교에서 이야기하는 입장과 신앙생활이 병사들의 자살사고예방에 대한 두려움과 위기를 해소시켜 준다는 것을 인식시켜주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볼 때, 인간의 생명권은 가장 기본적인 권리이며, 모든 권리의 기본이다. 하나님만이 생명에 대한 지배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타인의 생명은 물론 자신의 생명에 대한 침해행위도 하나님의 주권에 대한 침해이다. 인간은 타인의 생명을 존중해야 할 뿐 아니라, 자기 자신의 생명을 지키고 유지해야 할 의무를 가진다고 본다. 즉 자기 생명을 끊는 자살행위는 어떠한 이유로든 죄악시 되는 행위이며, 특별히 군에서는 군기를 문란 시키고, 사기저하 및 대군불신을 초래함과 동시에 부모에게 가장 큰 불효를 저지르는 행위임을 알아야 한다. 한 사람의 생명은 자신의 것이 아니라, 하나님이 주신 선물이다. 그 선물을 소중하게 다루어야 하는 청지기로서 사명을 일깨우는 말씀이 군내의 군종목사를 통하여 선포되고 생명이 얼마나 소중한가를 깨닫는 교육의 장이 앞으로의 군내 자살사고예방을 위해서 모두가 큰 관심을 가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concentrates on preventing suicides of the soldiers living in a difficult environment, serving dangerous duties. The study looks into chaplain's role of the pastoral care & counseling in military. Following details summarize the result from the study. First, the general understanding of suicides and the meaning of suicide in the Bible are studied. In addition, documents are researched based on the investigations of the accidents in the past. The study also looks into the aspects of a reverend teaching a value of life to the force as a professional instructor, and how he guides the suicidal soldiers. For preventing suicide accidents in the military, such as being responsible for sharing an organized counseling and a role of saving lives, the meaning of the reverend's pastoral care is also studied. Second, having "the vision camp," run by the chaplain since 2003 helping potential suicidal men and the ones that are yet unadapted to the military to regain the confidence, the stories from the camp on supporting the suicide-prevention are studied. About 87% of the participants from the "vision camp" stated that the issue they had was getting solved or they are getting help being used to the military. Many cases of overcoming the temp for suicide and the negative minds are discovered. The pastoral care and love expecting no one to be lost seems to allow the figure of God to appear in the middle. Third, the suicide in the army is more serious than that of outside world because of the special feature of the military-organization. Because a soldier's identity means a nation's body or a part of the force, he is at a particular place where he cannot act irresponsibly. There must not be a loss of a soldier in the force that must preserve a strong combat capability and be able to win in a battle. Therefore, chaplain's part in the pastoral counseling is important. He also needs to be able to give biblical advices for the growth and maturity of the potentially suicidal soldiers. The Christian's position on talking about suicides and religious living relieve soldiers' terror and crisis from suicides. Life is a gift from God, it is not one's possession. As a leader, a chaplain holds a responsibility of spreading the wisdom in order to educate how precious this gift is for the "suicide-prevention" in the future, and everyone should look into it more and carefully.

      • 군선교를 위한 군종목사의 리더십 연구

        이윤호 韓南大學校 學際神學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694

        This study dealt with the chaplain leadership for the army mission. If a chaplain in front of God having a right readership does his best the mission, many military men and fellow non-Christians in the army will discover a new life and the salvation in Jesus Christ. Always the military men prepare a battle and day by day sacrifice themselves for their country. Thus, the military uniform is the shroud and their identification tag is their devotion. How valuable and good preaching the gospel for that man before the death is! For this ministry the chaplain usually must pray with tear and love his people. In order to achieve such a mission first of all he have to know well the meaning of the army mission and apply to that theology. Moreover he has to lead the military men and fellow believers to the Lord with a good leadership. In this thesis written that point I make clear in chapterⅠthat is the introduction the purpose and the sphere of the study. And in chapter Ⅱ, I am discussing the general state of affairs of the army mission and dealt with the history of the Korean army mission and the meaning of the theology of the army mission and made a search for the effective method of the army mission. In chapter Ⅲ, I scheme the theoretical understanding of the readership and examine the concept of the leadership and the history of the theory of the leadership and grasp the concept of leadership of the Old and New Testament to understand the leadership in Bible. Here the chaplain take aim at having the leadership to follow the model of Jesus' headship. And in chapter Ⅳ, I am arguing on the leadership that the chaplain must have, first, as a spritual leader the chaplain's leadership is to arm himself with a prayer and Words to have the leadership of the devotion for the pastoral ministry. And is to have the penetrating calling and the repentant leadership, the trustworthy and authoritative leadership. Second, chaplain's leadership as a counselor to scheme the understanding the army pastoral counsel is to counsel with making a chaplain's name card for counseling and writing a prayer card and is to pray for his military men and fellow Christians. And is to solve their a lot of difficult problems. Third, the chaplain must have the leadership as an executive official and always must prepare with putting first a plan and grasp the operation around a drawing and must apply this administration with a record to put in order well. Finally, in chapter Ⅴ, I conclude all the study. And I pray that God's grace and peace be with the ministrant chaplain in the army and his lovable military men and fellow Christians.

      • 未來 軍構造 改編에 따른 軍宣敎 改善方案 : 軍宗牧師들의 理解를 中心으로

        윤병국 總神大學校 牧會神學專門大學院 2007 국내석사

        RANK : 247629

        이 시대의 화두는 변화와 혁신이라는 말이다 사람의 심리적인 . 경향은 어떤 일에 익숙해지게 되면, 거기에 안주하고 싶어한다. 지금의 상황을 변경하려는 시도를 불편해한다. 여기에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하나는 몰라서 그럴 수 있고, 다른 하나는 알아도, 그에 따른 변화가 몰고 올 부담스러운 상황과 그로인해 입게 될 손해를 두려워하기 때문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변화를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사람과 그렇지 않고 피동적으로 그 상황을 맞는 사람의 운명은 천양지 차이가 난다. 군선교의 현실이 그렇다고 볼 수 있다. 군선교를 어떻게 할 것인가? 하는 문제로 선교전선에서는 다양한 이견들이 나타나고 있다. 때로는 입장을 같이하면서 격려를 받기도 하고, 그와는 반대로 상반된 이견 때문에 격론이 벌어지기도 한다. 그러나 변증법적 차원에서 볼 때에는 긍정적일 수 있다. 잠언에 “의논이 없으면 경영이 파하고 모사가 많으면 경영이 성립하느니라”(15장 21절)고 했다. 계시의 말씀인 성경이외에는 어떤 이론이나 의견도 열린 공간에서 마음껏 논의될 수 있어야 하고, 더 나은 공감대를 얻기 위해 열린 마음으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런 점에서 우리는 기독교가 내세우고 있는 선교전략인 비전 2020 실천운동에 대해서 전향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처음 이 운동이 시작 될 초기에는 의심쩍어하던 것들이 10년의 세월이 지나는 동안, 우려가 현실로 다가오는 상황들을 보면서 이제는 적어도 학문적 연구와 이견에 대한 존중감을 갖고 선교전략 전반에 대한 진지한 검토를 해야 할 때가 왔다고 생각한다. 우선 외부적 요인으로 국방개혁 2020에 따른 군구조개편일 것이다. 6. 25 전쟁 이후 50년 넘게 지속되어 오던 재래식 군구조 개편이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진행될 것이다. 즉 후진형 군대를 탈피하고 선진군대들처럼 병력은 슬림화하면서 과학․기술군대로 가자는 계획이다. 이렇게 되면 지금의 선교대상으로 삼고 있는 사병들의 숫자는 대폭 감소된 미래군대를 우리는 맞게 될 것이다. 재래식 환경에 맞추어진 선교전략은 변화를 요구받게 될 것이라는 점이다 외부적 요인으로서 다른 하나는 우리의 . 선교전략에 타종교들의 발빠른 대응과 효과가 주요하고 있다는 점이다. 우리의 전략은 이미 노출되었고, 타종교들도 군대를 우리만큼 포교의 중요한 현장으로 이해하고 있기 때문에 눈에 보이지 않는 싸움이 진행되고 있다. 물론 선교는 이 모든 것들을 예상해야 하고, 결연한 태도로 맞이할 필요가 있다. 그렇지만 우리의 이익이 침해당하고 선교의 열정과는 다르게 결과가 주어진다면, 그리고 좀 더 나은 길이 있는데도 지금의 방법을 고집하고 있다면 이는 바람직스러운 태도라고 보기 어려울 것이다. 다음은 우리 내부적인 요인이다. 군선교가 선교로서 이해되고 그에 따른 접근이 이루어지려면 올바른 선교학적 검토가 군선교 전반에 걸쳐 모색되어야 한다. 우리가 군진신학을 말하지만, 지금까지 이 신학적 논의에 참여한 사람들 중에는 학문적으로 선교학적 시각을 가지고 있는 분들이 많지 않았다는 점이다. 집을 지을 때, 자격이 있는 설계사에게 용역을 주어 설계도를 그리게 하고, 그것을 기초로 다양한 집을 짓는 것처럼, 이런 상식을 군선교전략을 세우는 일에도 적용하자는 얘기이다. 이제는 우리의 군선교도, 잘 기획되어 운영되는 해외선교처럼, 변화에 능동적으로 움직여 군선교 시스템을 구축하여 미래 군구조에 맞는 효과적인 선교를 해야 할 때가 왔다고 본다. 본 연구자는 그런 점에서 군선교의 현장에서 사역하는 현역 군종목사들이 선교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현실태와 문제점을 살펴보고, 그 해결책까지도 제시함으로써 군선교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해 보고자 한다. 일말이나마 본 연구가 한국 기독교 군선교에 기여하기를 기대해 본다. Change and transformation are popular conversational topics. Psychological tendency leads most people to feel uncomfortable about change and to insist the status quo. Some are simply unaware of the need for and the advantages of change, and others resist change despite knowing, because of the fear that transformation would somehow make life more difficult. Yet we know that the final destinies of those who respond to change actively and those who take it passively are markedly different. Military ministry is no exception in this sense. Various opinions are being voiced out regarding how military ministry should be practiced and transformed. While there are agreements on certain areas and disagreements on others, this discussions are healthy phenomenon. The Book of Proverbs says "Plans fail for lack of counsel, but with many advisors they succeed(15: 22)." With the exception of the Scripture, any manmade theory or opinion should be debated freely with an open heart. The Vision 2020 Movement, the backbone of the our military mission strategy, also needs a sincere evaluation. Questions and reservations raised 10 years ago when the Movement first began have now become realities, and it is high time for us to respect differing opinions and pursue scholastic research on the full range of issues concerning military ministry and the changes coming about. The external factor necessitating change in our military ministry is the transformation in the Korean military manpower structure driven by Defense Transformation 2020. The conventional structure maintained for over 50 years since the Korean War will begin to change starting next year. Like the armed forces of economically advanced countries, manpower will slim down, technology replacing the gap. The number of enlisted soldiers will decrease dramatically especially for the Army, meaning less to minister to. This of course calls for a change in our ministry approach as well. Another external factor driving change in our ministry strategy is that other religions are responding quickly and effectively to the above changes. Our strategy - that is, the Vision 2020 Movement - is disclosed to other religious groups within the military, and since those religious groups too view the military as a crucial battle ground for evangelism, there is an quiet but real fighting going on. This being true, military chaplains should not stubbornly insist the current practices and should explore new ways to improve the ministry in a changing environment. Internal factors exist as well. Although few, there are voices calling for the military to be viewed as a distinct mission field and military chaplains as professional missionaries ministering in a distinct environment. For fully understand this need, a full evaluation of military ministry from a missions perspective is called for. Like foreign missions that are systematically planned and operated, military ministry too needs to establish an effective ministry system that is fit for the future military manpower structure. Based on an independently conducted survey and other studies, this paper examines how currently serving military chaplains understand military ministry as missions, and evaluates the current ministry situation and problems within. It also offers specific solutions, in doing so proposing a new paradigm for the 21st century military ministr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