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남북평화공존과 UN군사령부 역할 재구성

        차성주 경기대학교 정치전문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United Nations Command (UNC) in Korea was specially established for the purpose of defending the Republic of Korea from North Korea's invasion of the South by a resolution of the UN Security Council during the Korean War during the Korean War. He made a decisive contribution to the defense. In spite of the functional role of the UN military command for the peaceful coexistence of North and South Korea as the administrator of the present armisti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the factors of the phenomenon of the controversy regarding the existence of the UN military command in South Korea's political circles and in some corners of society are considered. It was discovered that the security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exists in a special state different from the general security system determined by agreements or treaties between sovereign countries. The Korean War, which broke out in the middle of the 20th century, is still not over 70 years later, but both sides have agreed to stop fighting. The uncomfortable truth has been confirmed that the armistice agreement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is an 'international security trusteeship system' in which the international community, such as the United Nations Command and China, manages the security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n politicians as well as South Korean politicians and academics may hate to define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urity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as an 'international security trusteeship system', but that does not deny the stark reality. Ahead of the South-North-US reunion at Panmunjom on June 30, 2019, then US President Trump asked President Moon Jae-in, “Will we cross the inter-Korean border or not?” At that time, President Moon Jae-in inquired to the UN Command and requested cooperation on the matter of crossing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After the United Nations Command in South Korea notified that it would approve access and security of security for President Moon Jae-in, US President Trump, and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to the southern area of ​​Panmunjom, South Korea informed the United States and North Korea of ​​the event that would cross the Military Demarcation Line (MDL) through a New York channel. . The fact that the area south of Panmunjom is not strictly Korean territory or that the Korean government does not exercise its sovereignty, and that the United Nations Command has granted permission and guarantee for the entry and personal safety of the president representing the country to the area is evident that the UN military command has security control over this area. It is evidence. The most important thing in conducting this study was to derive an objective evaluation of the functions and roles of the UN Command. To this end, the position of the UN military command was analyzed by in-depth analysis of the positions of China and North Korea, which are parties to the signing of the armisti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and selecting cases of international disputes and types of success or failure of UN peacekeeping activities as an analysis framework. Although the United States and Mexico face a border, they are defined as a state of “active peace” in academic terms, as they do not pose a threat to mutual security. Russia and Japan, the victorious and defeated powers of World War II, are in a state of “passive peace” because the state of war has been completely ended but a peace treaty has not yet been signed. The researcher named the Korean Peninsula a “compulsory peace” state in that peace was forced by military deterrence, such as the fact that the Korean Peninsula did not even end the 6.25 War and frequent armed conflicts in the form of local warfare such as the “West Sea Battle” at the border between the two Koreas. The reason for the frequent occurrence of military clashes on the Korean Peninsula is that the Cold War era's 'forced peace' strategy, which relied on the South and the North to rely on strict vigilance and destructive military deterrence, is also an important cause of the security system that is still maintained today. Since the UN Command in Korea is a special military organization established by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No. 84, the majority of international law experts believe that the abolition of the UN Command is also a resolution of the UN Security Council. It was also clarified that the UN Security Council resolution is a structure that the United States ultimately decides because the unanimity of the five permanent members is a requirement. If there is a practical discussion on the peace agreement, there is no doubt that the UN military command, the signatory of the armistice agreement, is the subject that determines the content and form of the agreement. The historical legitimacy of the United Nations Command, the South Korean manager of the ‘International Security Trusteeship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is a military organization specially established by the United Nations (UN). China and North Korea, which signed the armistice agreement, have been demanding the dissolution of the UN Command for decades, but if maintaining the status quo until the time the Korean Peninsula is reunified is the UN Command's strategy, the conclusion of a pea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may be passed on as a task for future generations to solve. . The Armisti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signed on July 27, 1953, is not an agreement signed by the government representing the country as the main body, but an agreement between military commanders who commanded military operations in war to stop fighting each other. The armistice agreement system is a system in which the UN Commander can immediately order the use of force without the need for approval from the South Korean government or the National Assembly if North Korea uses military force after violating the agreement to suspend combat agreed by both sides. The fact that the unification of the divided Korean Peninsula is the most important task for the Korean people, but more important than unification, is the fact that the peace between the two Koreas has become more self-evident. The Armistice Agreement on the Korean Peninsula, signed by the commander of the UN forces, the commander of the Chinese People's Volunteer Army, and the supreme commander of the North Korean army, is an agreement of an international legal nature reported to the UN Security Council. Therefore, it is clear that the end of the armistice agreement system and the historical transition to a peace agreement system are not problems that can be resolved by the political decisions of the two Koreas. The arguments that a peace treaty on the Korean Peninsula or the dissolution of the UN Command is possible if the South and the North make a decision while the UN Command, a party to the armistice agreement, ignores the substantive fact that it is the main agent of the peace agreement, and is weakly grounded. Although 70 years have passed since the ceasefire of the Korean War, the Korean Peninsula is still under the management and supervision of the 'International Security Trusteeship System'. As mentioned above, the views that downplay the essence of this phenomenon and view that the priority of inter-Korean policy is the conclusion of a peace agreement have proven to be contradictory logic lacking objectivity. The conclusion of a peace treaty, which is being discussed as an alternative to peace and prosperity on the Korean Peninsula, does not have objective conditions that can be pursued immediately in a situation where the denuclearization of North Korea is a priority. The changed international relations in the G2 era, in which the United States and China compete, clearly show the limitations and shortcomings of the Cold War era security strategy of mutual vigilance and deterrence. This study did not focus on the universal views of the ROK-US alliance and the free world, but focused on the intrinsic approach to North Korea research. As a result of looking at the ROK-U.S. alliance from North Korea's perspective, it was impossible to explain why North Korea insisted on dismantling the UN military command as a 'reunification strategy'. Rather, it was possible to establish a new perspective that the pressure that North Korea, which is relatively weak, is facing against the mighty US military power is at the level of 'fear'. It would be a wise move for peace to consider their concerns rather than ignoring North Korea and China's claims that "UN is the US military with the UN's hat" and that USFK is trying to abuse the UN's authority in case of an emergency on the Korean Peninsula. North Korea and China's distrust of the UN Command stemmed from the perception that the UN Command was a subordinate military organization to the United States rather than an independent UN military organization. The fact that the commander of the USFK, under the command of the US president, was also appointed as the commander of the UN forces provided a cause of distrust in North Korea and China to perceive the UNC as a military organization subordinate to the US. This is a mistake in the security policy of the ROK and US authorities. It is the natural duty of the UN Command, the administrator of the armistice agreement, to prepare measures to prevent recurrence even if an armed conflict in the form of local warfare such as the ‘West Sea Battle’ or the ‘Yeonpyeong Island Shelling Incident’ is assumed to be an accidental event. Nevertheless, the fact that the relevant countries have not even been negotiating with the relevant countries on the prevention of recurrence is analyzed as a phenomenon of “renunciation of duty” by the UN Command. Conclusion of a peace agreement is also important for the transition from a “compulsory peace” strategy, in which the South and the North rely on strict vigilance and destructive military force, to a “active peace” strategy in which mutual cooperation and trust are supported. However, more important and priority is the faithful implementation of the Armistice Agreement and the Inter-Korean Basic Agreement that have already been agreed upon by the UN Command, China, and the two Koreas. We present three roadmaps for peace policy regarding the <Proactive Peace> system through the reorganization of the role of the UN military command until a peace agreement is signed. First, the UN Command Pyongyang Special Headquarters was opened and operated. It is to expand the role of the UN Command, which is currently tasked with ensuring the security of South Korea on the Korean Peninsula, and reorganize the security system of the entire Korean Peninsula, including North Korea, into a security system in which the UN Command is responsible. The United States has already provided a “passive peace guarantee” to North Korea by promising not to threaten or attack North Korea with nuclear and conventional weapons through the September 19 Joint Declaration. While discussing the Iraqi and Libyan incidents, North Korea is demanding an 'active peace guarantee' at a level that allows them to give up their nuclear weapons, saying that a 'passive peace guarantee' is unreliable. The goal is to solve the North Korean nuclear issue according to the newly formed trust relationship by providing the UN Command's "active peace guarantee" that guarantees safety to North Korea, which is concerned about external military attack. Second, the permanent member of the UN Security Council (P5) dispatches one battalion-level force to the Korean Peninsula to establish the ‘UN Peace Brigade on the Korean Peninsula’. Until a peace treaty on the Korean Peninsula is signed, the 'Korean Peninsula UN Peace Brigade' is directly responsible for the security of the Northern Limit Line, the Southern Limit Line, and the maritime NLL, which are the borders between the two Koreas, so as to block the possibility of a military clash between the two Koreas at the source. Third, the establishment of a task force for countries related to the Korean Peninsula peace regime in Panmunjom. The point is to actually start the discussion on an “active peace regime” to end the limitations of the armistice agreement. The analysis that the end of the armistice agreement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and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the peace agreement system is highly likely to unfold according to the interests of the international powers is dominant. The reason that the decision structures centered on great powers cannot be approached only by the logic of right and wrong is a proof that the barriers to realism in international politics are that high. Logics in which these subjective and objective factors are overlooked will not be able to avoid criticism as 'utilitarianism' in fact. It is expected that follow-up studies that can materialize the peace policies presented in this study continue. Keywords: International Security Trusteeship System, Compulsory Peace, UN Command, Inherent Approach, Peace System, Armistice Agreement, Active Peace, Peaceful Coexistence of South and North Korea, Peace Agreement, Juche, Reconstruction. 주한 UN군사령부(United Nations Command, UNC)는 6·25 전쟁 당시 UN안전보장이사회 결의에 의해 북한의 남침으로부터 대한민국을 방어할 목적으로 특설되어 조선인민군 및 중국인민지원군을 격퇴하고 대한민국의 자유와 독립을 수호하는데 결정적인 기여를 했다. 현재 한반도 정전협정의 관리자로서 남북평화공존을 위한 UN군사령부의 순기능적 역할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정치권과 사회일각에서 UN군사령부의 존폐와 관련한 찬반 논쟁이 벌어지고 있는 현상의 요인들을 고찰하였다. 한반도 안전보장체제는 주권국가들 사이의 협정이나 조약으로 결정되는 보편적인 안보 시스템과는 성격이 다른 특수한 상태로 존재한다는 것을 발견했다. 20세기 중반에 발발한 6.25전쟁은 70년이 지난 지금도 종결된 것이 아니라 쌍방이 전투만을 중지하기로 합의한 상태이다. 한반도 정전협정체제는 UN군사령부와 중국 등 국제사회가 한반도의 안보체제를 관리하는‘국제안보신탁통치체제’라는 불편한 진실이 확인되었다. 북한의 위정자들은 물론이고 남한의 정치인들과 학계에서도 한반도 안보체제의 특성에 관해‘국제안보신탁통치체제’라고 규정하기를 싫어할지는 모르나 그렇다고 해서 엄연한 현실이 부정되는 것은 아니다. 2019년 6월 30일, 판문점 남-북-미 상봉을 앞두고 당시 트럼프 미국대통령은 문재인 대통령에게“남북경계선을 넘는 게 됩니까, 안 됩니까?”라고 질문했다. 당시 문재인 대통령은 군사분계선을 넘는 사안에 관해 UN군사령부에 문의하고 협조를 요청했다. 주한UN군사령부가 문재인 대통령과 미국 트럼프 대통령, 북한 김정은 위원장의 판문점 남측 지역 출입과 신변안전을 보장한다고 통보한 후 한국은 뉴욕 채널을 통해 군사분계선(MDL)을 넘게 될 행사에 관해 미국과 북한에 알렸다. 판문점 남측 지역도 엄연히 대한민국 영토이나 한국정부가 주권을 행사하지 못하고 국가를 대표하는 대통령의 해당 지역 출입과 신변안전에 관해 UN군사령부가 허가하고 보증하였다는 것은 이 지역의 안보통치권이 UN군사령부에 있다는 명백한 증거이다. 이 연구를 진행함에 있어 가장 중요한 것은 UN군사령부의 기능과 역할에 관한 객관적인 평가를 도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한반도 정전협정체결의 당사자들인 중국과 북한의 입장을 심층 분석하고 국제분쟁사례와 UN평화유지 활동의 성패 유형들을 분석틀로 선정하여 UN군사령부의 위상을 분석했다. 미국과 멕시코는 국경을 마주하고 있으나 상호 안보위협이 없는 상태로서 학술용어상‘적극적 평화’상태라고 규정한다. 제2차 세계대전의 전승국과 패전국 관계인 러시아와 일본은 전쟁상태는 완전히 종결되었으나 현재까지 평화조약을 체결하지 못한 관계여서‘소극적 평화’상태로 지칭한다. 한반도는 6.25전쟁도 종식하지도 못했고 남북한 경계선에서‘서해교전’과 같은 국지전 양상의 무력충돌이 빈번히 발생하는 등 군사적 억지에 의해 평화가 강제된다는 점에서 연구자는‘강제적 평화’상태라고 명명했다. 한반도에서 군사적 충돌이 수시로 발생하는 이유는 남과 북이 삼엄한 경계와 파괴적인 군사적 억지력에 의존하는 냉전시대의‘강제적 평화’전략이 지금도 그대로 유지되는 안보체제에도 중요한 원인이 있다는 결론을 얻었다. 주한UN군사령부는 UN안전보장이사회 결의 제84호에 의해 특설된 군사기구이므로 UN군사령부의 폐지문제도 UN안보리 의결사항이라는 것이 국제법 전문가들의 다수설이다. UN안보리 결의는 5개 상임이사국의 만장일치가 요건이므로 결국 미국이 결정하는 구조라는 것도 해명되었다. 평화협정에 관한 실제적인 논의가 이루어진다면 협정의 내용과 형식을 규정하는 주체도 정전협정의 서명자인 UN군사령부라는 것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한반도‘국제안보신탁통치체제’의 남한 측 관리자인 UN군사령부의 역사적 정통성은 UN(국제연합기구)에 의해 특설된 군사조직이다. 정전협정을 체결한 상대방인 중국과 북한은 수십 년간 UN군사령부의 해체를 요구하고 있으나 한반도가 통일되는 시점까지 지금의 현상유지가 UN군사령부의 전략이라면 한반도 평화협정체결은 후세대의 해결과제로 넘어갈 수도 있다. 1953년 7월 27일에 체결된 한반도 정전협정은 국가를 대표하는 정부가 주체가 되어 체결한 협정이 아니라 전쟁의 군사작전을 지휘한 군사령관들이 상호 전투를 중지하자고 맺은 협정이다. 정전협정체제는 북한이 쌍방이 합의한 전투중단 협정을 파기하고 군사력을 사용하는 경우 UN군사령관은 한국정부나 국회의 승인을 받을 필요가 없이 즉시 무력사용을 명령할 수 있는 체제다. 분단된 한반도의 통일은 한민족의 지상과제이나 통일보다 중요한 것은 남북평화라는 사실이 더욱 자명해졌다. UN군사령관과 중국인민지원군 사령원, 북한군 최고사령관이 각기 서명한 한반도 정전협정은 UN안보리에 보고된 국제법적 성격의 협정이다. 따라서 정전협정체제의 종식과 평화협정체제로의 역사적인 전환도 남북한의 정치적 결단에 의해 해결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는 점은 명백하다. 정전협정체결의 당사자인 UN군사령부가 평화협정체결의 주체가 되는 실체적 사실을 외면하고 남과 북이 결단하면 한반도 평화협정이나 UN군사령부의 해체도 가능하다는 주장들은 근거가 미약하다. 6.25전쟁의 포성이 멎은 때로부터 70년이 지났으나 한반도는 지금도‘국제안보신탁통치체제’의 관리와 감독을 받고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러한 현상의 본질을 경시하고 남북관계 정책의 우선순위가 평화협정체결이라고 보는 시각들은 객관성이 결여된 모순된 논리임이 입증되었다. 한반도 평화번영의 대안으로 거론되는 평화협정체결은 북한의 비핵화가 급선무인 상황에서 당장 추진할 수 있는 주객관적 여건들이 형성되어 있지 않다. 미국과 중국이 경쟁하는 G2시대의 변화된 국제관계는 상호 경계와 억지라는 냉전시대 안보전략의 한계와 단점들을 선명하게 보여주고 있다. 이 연구는 한미동맹과 자유세계의 보편적인 견해에만 매몰되지 않고 북한연구의 내재적 접근법에 주목하였다. 북한의 시각으로 한미동맹을 바라본 결과 북한이 UN군사령부의 해체를 주장하는 이유를‘적화통일전략’으로 해석하면 설명이 불가능했다. 오히려 미국의 막강한 군사력에 대해 상대적 약자인 북한이 받는 압박은‘공포’수준이라는 시각도 새롭게 정립할 수 있었다. 북한과 중국이‘UN사는 UN의 모자를 쓴 미군’이며 한반도 유사시 주한미군이 UN의 권위를 악용하려 한다고 주장하는 것에 대해 마냥 무시하기 보다는 그들의 우려사항을 살펴보는 것도 평화를 위한 현명한 처신일 것이다. UN군사령부에 대한 북한과 중국의 불신은 UN군사령부가 UN의 독립적인 군사기구가 아니라 미국에 종속된 군사기구라고 인식하는 데서 나오는 것들이었다. 미국 대통령의 지휘를 받는 주한미군사령관에게 UN군사령관을 겸임시킨 것은 북한과 중국으로 하여금 UN군사령부가 미국에 종속된 군사기구로 인식하도록 불신의 원인을 제공했다. 이것은 한미당국의 안보정책의 실책이다. ‘서해교전’이나‘연평도포격사건’같은 국지전 양상의 무력충돌을 우발적인 사건으로 전제하여도 재발방지 대책들을 마련하는 것은 정전협정 관리자인 UN군사령부의 당연한 의무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도 재발방지에 관한 유관국 협상조차 진행되지 않고 있는 점은 유엔군사령부의‘직무유기’현상으로 분석된다. 남과 북이 삼엄한 경계와 파괴적인 군사력에 의존하는 ‘강제적 평화’전략에서 상호 협력하고 신뢰하는‘적극적 평화’전략에로의 전환은 평화협정체결도 중요하다. 그러나 보다 중요하고 우선인 것은 UN군사령부와 중국, 남북한이 이미 합의하여 체결한 정전협정과 남북기본합의서 등을 충실하게 이행하는 것이다. 평화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UN군사령부의 역할 재구성을 통하여 북한에 대해‘적극적 평화보장’을 제공하기 위한 3가지 평화정책 로드맵을 제시한다. 첫째, UN군사령부 평양특별본부를 개설하여 운영하는 것이다. 현재 한반도 남한의 안전보장이 임무인 UN군사령부의 역할을 확대하여 북한을 포함한 한반도 전역의 안전보장을 UN군사령부가 책임지는 안보체제로 재구성하는 것이다. 미국은 9.19공동선언을 통해 핵무기와 재래식 무기로 북한을 위협하거나 공격하지 않는다고 공약함으로서 북한에 대한‘소극적 평화보장’은 이미 제공한 상태이다. 이라크와 리비아 사태 등을 목격한 북한은‘소극적 평화보장’은 믿을 수 없다면서 자신들이 핵을 포기할 수 있는 수준의‘적극적 평화보장’을 요구하고 있다. 외부의 군사적 공격을 우려하는 북한에 대해 UN군사령부가 안전을 보장하는‘적극적 평화보장’을 제공하여 새롭게 형성되는 신뢰관계에 따라 북핵문제도 해결하자는 것이다. 둘째, UN안전보장이사회 상임이사국(P5)이 각 1개 대대 급 병력을 한반도에 파견하여‘한반도 UN평화여단’을 창설하는 것이다. 한반도 평화협정이 체결될 때까지 남북한 경계선인 북방한계선과 남방한계선, 해상 NLL의 경비를 ‘한반도 UN평화여단’이 직접 관할하도록 하여 남북한 군사적 충돌의 가능성을 원천봉쇄 하자는 것이다. 셋째,‘한반도 평화체제 유관국 TF’를 판문점에 설립하는 것이다. 정전협정의 한계를 종식하기 위한‘적극적 평화체제’에 관한 논의를 실제로 시작하자는 것이다. 한반도 정전협정체제의 종식과 평화협정체제로의 역사적인 전환도 국제열강들의 이해관계에 따라 전개될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 우세하다. 강대국 중심의 결정구조들을 옳고 그름의 논리로만 접근할 수 없는 사유는 국제정치의 현실주의 장벽이 그만큼 높다는 반증이다. 이러한 주객관적 요인들이 간과된 논리들은 사실상‘공리공담’이란 비판을 피할 수 없을 것이다. 이 연구에서 제시된 평화정책들을 구체화 할 수 있는 후속 연구들이 계속 되기를 기대한다. 주제어 : 국제안보신탁통치체제, 강제적 평화, UN군사령부, 내재적 접 근법, 평화체제, 정전협정, 적극적 평화, 남북평화공존, 평화 협정, 주체, 재구성.

      • 국제 안보환경의 변화와 자주국방의 방향에 관한 연구

        신현배 慶熙大學敎 行政大學院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공산권의 총체적 붕괴로 시작된 탈냉전 분위기는 새로운 국제질서에 대한 기대치를 세계적으로 확산시키면서 현재와 미래환경의 속성을 파악하는 문제에 대한 세인의 관심을 집중시키고 있다. 또한 지식정보화, 세계화, 민주화 등으로 요약되는 신국제질서의 파장과 역동성이 점차 수평?수직적으로 확대?심화되어 가는 가운데 새로운 세기와 새 천년의 문턱을 넘어섰다. 지난 2000년에는 새 천년이 시작되는 첫 해이자 분단 55년 만에 처음으로 남북정상회담이 열린 역사적인 사건이 있었던 해이다. 세계는 세기적 또는 문명사적 전환기를 맞이하여 새로운 질서에 조응하는 화해와 협력의 국제질서를 모색해 나가고 있고, 남북관계에 있어서도 6?15 남북공동성명 이후 교류협력의 증대를 통해 한반도의 탈냉전 및 평화정착을 모색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국제분쟁과 남북한의 군사적 대치상황은 여전히 지속되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는 예전부터 지정학적으로 열강들의 세력다툼의 장이 되고 있다. 이데올로기적인 대립이 전 세계적으로 사라졌지만, 아직까지 분단의 상태로 남아 있는 한반도에서의 이익을 선점하려는 강대국들의 표적이 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국내?외적 변화의 시기에 개인, 국가를 막론하고 안전보장이 우리가 처한 가장 중요한 문제의 하나임에는 틀림없다. 따라서 앞선 장에서는 변화하는 세계, 즉 탈냉전과 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단순한 숫자적 군사력 비교가 아닌 우리의 주위 현실들을 살펴보고, 현재의 상태에서 정치?경제적 변화에 맞는 역할을 통해 우리가 처해 있는 위험을 제거할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였다. 즉 우리를 둘러싸고 벌어지는 국제적인 환경변화에 능동적으로 대처하여 물리적인 군사력에 부담을 주지 않고 실현 가능한 ‘자주국방’의 개념을 모색하려고 하였다.국제 정치?경제적 변화들은 크게 냉전의 붕괴와 세계화의 진행으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군사적 측면뿐만 아니라 비군사적 안보쟁점이 예민한 문제로 부각되고 있다. 특히 우리가 속한 동북아지역은 경제, 자원, 환경문제가 밀접하게 주변국가들과 연계되어 있다. 따라서 다자협력체제의 구축이 필요하다. 아직 남북한이 대립상태에 있고, 소련과 중국의 세력이 탈냉전의 기류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있고, 일본의 군사적 세력 확대와 중국의 경제력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다자간 안보협력체제의 구축을 통해 상호이해를 조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것은 협력안보(cooperative security)라는 개념으로 이해할 수 있다. 즉 전통적인 안보해결책에서 강조되던 억제, 경쟁, 봉쇄, 무력시위 및 제재 등의 강압적인 조치들보다는 국가간 협력외교의 증진을 통해 신뢰를 회복하는 예방외교 활동에 더 비중을 두는 것으로, 다자간 외교를 통하여 자국의 안보달성에 역점을 두며, 공식화된 국제기구보다는 대화협의체와 같은 좀 덜 공식적인 체제의 형성을 통해 국가간 신뢰구축에 역점을 두게 된다. 또한 변화들은 국가의 역할변화를 유도한다. 변화의 시기에 국가는 이미 주어진 영토 내에서 배타적 권리를 행사하는 국가가 아니다. 국가는 사회집단들간의 이해관계의 상충을 가져오고 정치적 문제를 야기하는 요소들에 직면하여 적절하게 대처해야 한다. 즉 국가는 엄정한 심판자로서의 위상을 확보함과 동시에 스스로의 유연성을 제공하기 위해 재조직되어야 한다. 이제껏 안보 중심적 사고에서 벗어나 세계화로 파생되는 여러 가지 복잡한 문제들을 인식하고, 특히 중소국인 우리의 현실에 적합한 방안인, 국제기구를 통한 해결방안을 모색하여야 한다. 국제기구는 복잡한 현안문제들의 해결방안을 예측하게 하는 정보의 교환장소로서 기능하고 있기 때문에 국제기구를 통한 외교의 강화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다. 세계화의 진행은 초국적화를 초래하고, 이것은 국가의 자율성을 제약하는 면이 있다. 그러나 자율성의 제약은 다른 면으로 국제기구들을 통해 국가가 새롭게 처리해야 할 과제를 부여한다. 즉 작게는 개인, 넓게는 지방자치단체, 국가 수준에서 세계화 시대에 부응하여 적응하는데 최대한의 보조자 또는 조력자의역할이하 하겠다. 한 나라 국방의 책임은 상당 부분이 물리적인 수단에 의하여 이루어진다. 탈냉전의 기류가 지배하고 있는 현재도 타당한 개념이다. 그러나 군사력보다는 경제력이 한 나라의 운명을 좌우하고 있는 세계화의 조류 속에서 마냥 군사력만을 확대할 수는 없다. 물리적인 수단의 확대가 아닌 정치?경제적인 변화에 맞는 역할변화를 통해 한 나라의 국방은 강화될 것이고, 여기에 다자협력 또는 국가의 역할변화를 통한 방법 모색의 의의가 있다 하겠다. The collapse of The Communist bloc caused new international order. The new international order which is be summed up with the post-cold war and the internationalization, is in the process of extension and deepening. Also in the South-North rel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through the increase of exchange and cooperation after the 6?15 South-North joint declaration, the post-cold war and the settlement of peace are being tried to find. However, international conflicts and the South-North confrontation have been continuing. In this age of internal and external change, it can be said that the national security is one of most important problems. Therefore, in this thesis, in the age of post-cold war and the stream of internationalization, not through the numerical comparison of military powers, but through the investigation of our environmental situation and our suitable role for political- economical changes in current situation, the more stable direction of self-reliance of national defense was investigated. Firstly, the environmental change in the side of international politics, After the collapse of Soviet Union, the nation structure of unified- multipolarized system was came to be formed. With disappearing of military threat, the enhancement of welfare and the economic develop- ment through reconciliation and cooperation, are in focus. And also, this mood of post-cold war affects powerful countries' actions around our country. First, the United Stats of America lays emphasis on recovery and development of their economy. And they present the curtailment of military spending and gradual withdrawal or reduction of foreign dispatched troops. Also USA plans to change their role in international society to the dominant role. Second, Japan is expanding their political-military influence based on their mighty economic power. Third, China, according to decrease of military importance, is nurturing their economic power. Through this, they plan to expand their influence in interanational stage. In the policy to the North of South Korea, the 'Sunlight Policy' have been prompted. This policy aims to construct conditions and environment for change by encouraging the cooperation for North's becoming a member in international society, dialogue which can lead North to self-changing, and economic cooperation. Secondarily, the change of international economic environment can be spoked as a internationalization. By disappearing of the pursuit of political-ideological line, with the market economy principal, whole-global economic exchanges and production activities which were beyond boundaries of countries. Also in deepening of mutual dependence, the symbiosis is important goal than conflict. This internationalization caused many shocks. First, the supernational integrative consolidation movement and racial-regional segregation movement emerged. By these, national exclusive district boundaries were reduced. And a country's action is decreased by supernational organizations' active operation. Second, the internalization of economy destroys the trade barrier and opens capital-labor markets. This are integrating appearances to the international economy, and also means the formation of economic bloc. This stream of internationalization affects people' ways of life in a certain country. The departure of WTO system in side of trade and the full-opened financial market cause conflicting of interests. In this part, roles of a country suited with changing situation are expected. Like above, international political-economic changes can be seen as a progress of collapsing cold war and internationalization. i. e. not only in military side, also non-military security issues are emerging as susceptive problems. Especially, in northeastern Asia we belong, problems of economy, resources, and environment are correlated with rounding countries. So, the establishment of multiple cooperation system is required. Still, in the condition that South and North Korea are in confronting situation, and Japanese military power and Chinese economic power are in expansion, the multiple security cooperation system can control mutual interests. Also, according to the age of change, a country must establish a position as a strict judge and at the same time, must endeavor to take flexibility. A country's national defence is formed with considerably substantial means. However, not through this substantial means, but through a role suited with political-economic changes, a country's national defence can be strengthened. And on this, there is the value of multiple cooperation or finding ways through the role change of a country.

      • 東北亞國際秩序의 새로운 지평과 韓半島의 安保

        서영광 京畿大學校 國際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급변하는 동북아 국제질서의 상황에서 나타나는 한반도를 둘러싼 4대강국간의 관계 구도속에서 한반도의 안보와 연계하여 고찰하고, 21세기의 동북아 신질서의 태동문제를 분석하면서 그에 대한 우리의 정책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시각에서 진행한 것이다. 사실 냉전기에 있어서 동북아의 관계와 질서문제는 미국과 구소련의 양극체제라는 균형된 세력의 견제와 대칭위에서 고찰해 볼 수 있다. 지금까지 세계질서의 한 축을 이뤘던 공산주의의 붕괴는 반세기 동안 인류의 사고와 세계질서를 지배해 온 이념적·지정학적 패권경쟁과 군사대결의 완화가능성을 잉태하고 있다. 그와 동시에 새로운 세계질서가 태동하고 있지만 그 실체는 아직 명확하게 노출되고 있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형국에서 우리는 남북한의 화해무드를 조성하면서 지역의 주도적 질서 형성자들이라 할 수 있는 4국가들의 정책과 행동 그리고 전략을 적절하게 수용하면서 능동적으로 안보환경을 조성해야 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동북아의 안보문제를 국제관계의 상황에서 고찰해 본다는 것은 현재 한반도의 해빙무드와 맞물려져 있기 때문에 그 중요성이 강조되는 것이다. 특히 남북한의 정상회담이나 남북 이산가족의 상봉 경의선 철도의 복원 등은 햇볕정책의 구체화의 일환으로 진행된 것이다. 무엇보다도 본 논문은 현재 진행되고 있는 동북아의 안보상황을 세부적으로 분석하고 그에 대한 각종 현안문제를 인식하는데 중점을 두어서 구성하게 되었다. 논문의 세부구성은 제2장에서는 국제안보환경의 새로운 변화양상과 동북아질서로서 세계안보질서의 특징과 동북아지역의 변화양태 그리고 안보역학관계속에서 신조류를 살펴보고, 3장에서 한반도 주변 4국의 전략과 최근의 남북관계를 검토한 후에, 4장에서는 한반도정세의 평가와 문제점을 분석했다. 그리고 5장에서는 한국안보를 위한 정책대안으로서 대내적인 측면과 대외적인 측면을 고찰하였다. 그 결과 탈냉전하에서 전개되고 있는 동북아 지역의 새로운 안보 질서는 어느 한 차원에서의 단언이 곤란한 복잡성과 유동성으로 특징지어졌다. 구소련의 해체로 공산국가들간의 결속관계가 와해되고 서방국가들간의 반구소련 연합전선도 무의미해짐에 따라 동맹협력권 내부의 분열이 초래되고 있는 가운데 개별 국가들은 국가이익 우선의 대내·외 정책을 강구해 나가고 있는 추세로 나타났다. 과거 역내 질서의 바탕을 이룬 이념중심 정치, 군사적 결속관계가 점차 경제적 실리가 근간을 이루는 지경학적 현실주의로 대체되고 있으며, 따라서 동북아 지역내 국가들간의 관계도 앞으로는 사안에 따라 협력과 비협력이 모색되는 이합집산적 형태를 띨 것으로 전망된다 할 것이다. 따라서 21세기에 전개될 동북아지역의 새로운 질서는 기존의 동맹관계의 유지와 조정을 요구한다. 한·미와 미·일간의 쌍무적 동맹관계는 이 지역의 안정과 평화를 유지하는 데 중추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다는 점에서 무엇보다도 남북한의 화해와 변화무드가 최우선적인 핵으로 등장된다 하겠다. 이러한 현실에서 동맹체제중 어느 하나라도 당사자간의 심각한 불화로 와해될 경우에는 해당국가의 군사력 증강으로 이어질 것이며, 그것은 다시 지역군비경쟁을 촉발시키고 지역적 평화 안정구조를 약화시킴으로써 결국은 이 지역 전체의 불안정으로 연결될 가능성이 크다. 아울러 동북아지역에는 협력관계와 갈등관계가 병존하게 될 것으로 본다. 왜냐하면 기존 전력구도가 약화 내지 해체되는 대신 새로운 역학구조와 질서가 형성되는 과정에서 협력과 갈등현상도 바뀌어질 것이다. 과거 적대적 진영에 있던 국가들간에 교차적 협력관계가 형성되는가 하면 같은 진영에서 전략적 협조를 유지하던 국가들간에 새로운 갈등의 폭이 커질 수도 있다. 이것은 갈등과 협력을 나누는 기본 결정인자가 바뀌어 가고 있기 때문인데 경제적 요인의 중시 현상이 그 대표적인 한 예라 할 것이다. 또한 그동안 잠재되어 있던 전통적 이해관계의 부각문제도 그 한 요인이 되고 있다. 결국 향후 동북아지역의 새로운 질서는 지역 평화와 안정 증진 및 공동이익 창출을 위한 국가간의 협력이 모색되면서도 전통적 이해관계와 경제문제를 둘러싼 갈등이 증폭될 것으로 전망되어진다. 무엇보다도 동북아에서는 안보역학관계의 전반적 변화가 불가피 할 것이다. 구소련의 해체 및 러시아의 위상 저하와 미국의 축소 지향적 전략변화 모색 대신 일본과 중국의 국가위상 제고 및 역할 증대가 추진될 것이고, 미국은 지속적으로 세력의 균형자 및 중재자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되어진다 하겠다. 따라서 동북아 지역의 역학관계는 미국이 계속 균형적 역할을 수행하는 가운데 일본과 중국이 강대국의 위상을 유지하고 러시아가 기득권을 유지코자 하는 다극체제의 형태로 발전될 것이다. 우리의 입장에서 본다면 지금부터 다가오는 도전을 슬기롭게 극복하여 통일된 한반도가 이뤄질 때 동아시아에서 5대 후보강국이 될 것은 자명하다. 인구 7천만∼8천만과 국민총생산 7천억 달러 이상의 국가로서 통일된 한반도는 미국, 중국, 일본, 러시아와 함께 적지 않은 국력을 행사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통일된 한반도가 이 정도의 강국이 되려면 지금부터 시작되고 있는 평화 및 통일문제를 효과적으로 관리해야 할 것이다. 남북한간의 통일에 효과적으로 대비하기 위해서는 안보, 경제, 남북관계를 총망라한 종합적 국가전략이 필요하다. 국가의 생존과 발전을 위해서 안보는 산소와 같다. 그것을 확보하지 않고서는 사람들이 생명을 유지 할 수 없으며 또 종종 그것을 잃어보지 않고서는 그 참가치를 이해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안보 없이 경제발전도 통일도 이룩될 수 없는 것이 사실이다. 한편, 건전한 경제발전과 능력을 배양하지 않고 안보를 유지할 수도 없다. 국가안보를 지키기 위해서는 국력을 배양해야 하고 군사력을 확보하려면 물질적 기반과 과학기술을 가져야 한다. 바로 이러한 의미에서 안보와 경제는 상호 보완하여야 하며, 첨단기술과 정보 혁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국제화 시대에 능동적인 적응력이 절실히 요구되는 것이다. 결론적으로 한반도에서 통일을 성취하는데는 대전략이 필요하다. 이 속에는 미국을 개입시켜서 미국이 우리의 안보, 국가이익을 지지하게 하고 동시에 중국도 그것을 지지하거나 적어도 방해하지 않게 하는 방안이 포함되어야 한다. 경제적으로 한국이 경쟁력을 높여서 비교우위나 경쟁우위를 갖게 하는 방안도 포함되어야 한다. 한반도가 처해 있는 지리적 여건을 감안하여 안보, 발전, 통일게 가장 현실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청사진도 포함되어야 한다. 이러한 구상을 기획하고 조정하며 평가할 수 있는 정보체제와 국가관리체제도 포함되어야 할 것이다. 결국 이러한 상황에서 종합적인 국가전략을 자율적으로 수립하는데 가장 시급한 것이 우리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가를 명확하게 정의하고 이 목표를 달성하는데 가장 적절한 자원을 최대한도로 동원하는 점일 것이다. 궁극적으로 안보, 발전, 통일은 우리의 자력으로 성취하겠다는 사고와 의지로 우리는 임해야 한다. 우리 힘만으로 달성할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미국과 같은 우방과 함께 공통목적과 이익을 확대하는 외교, 통상, 협의를 성공적으로 수행해야 할 것은 자명한 사실이다. This thesis examines the power-structure of the Northeast Asian nations and the security issues of the Korean peninsular in the post-Cold War era. Observing that the security order of the region is a complex and on-going subject, and that the topic deserves a multi-level analysis, information from various sources are gathered and analyzed. The study focuses on understanding the pending security issues of the Northeast Asian region. The thesis is organized as follows: ·Chapter 2 discusses the changes in the international security environment, the characteristics of the security order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and the new trends in security mechanism; ·Chapter 3 examines the strategies of the four nations surrounding Korea and the current South-North Korean relations; ·Chapter 4 analyzes the situation and the problems of the Korean peninsular; and ·Chapter 5 examines both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aspects of security on the peninsular, and proposes a policy alternative. It is observed, in particular that countries are re-examining their interests, as the ties between former communist countries have been broken with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the Western nations' united front against the former Soviets has become meaningless. The ideological, political and military ties in the Northeast Asian region are being substituted by geo-economic realism, and countries are now pursuing their economic interests foremost. Therefore, the international order of Northeast Asia in the 21st century calls for both the maintenance and adjustments of the old relations, and it appears that cooperative relations and conflicts will come into co-existence. Under the new order, countries will cooperate to maintain peace, improve stability and pursue common interests, but conflicts will be seen in the traditional areas and the economic sphere. In order to effectively prepare for the unification of the Korean peninsular, a comprehensive strategy, considering security, economic and political matters, must be designed. Security is like oxygen. Without security, people lose lives, and unless people are without security, they do not realize its value. Without security, neither an economic development nor a unification can be achieved. On the other hand, without a healthy economic development, security can not be maintained. In order to maintain security, military strength buttressed by economic strength and scientific technology is necessary. Therefore, security and economic strength are mutually complementing, and in this era of globalization, in which the development of high-technology and information revolution are in fast progress, countries must learn to quickly adapt to the changes in the environment.

      • 북한 군사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 1960~1999년을 중심으로

        전병준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67

        한 국가의 군사비는 대외적 요인과 대외적 요인으로 분석할 수 있다. 북한의 경우 대외적 요인에는 남한 군사비와 대외정책, 그리고 국제안보환경을 상정할 수 있다. 대내적 요인으로는 북한 내부의 당군관계와 거시경제적 요인을 들 수 있다. 북한은 1962년에 4대 군사노선을 채택하고 급격히 군사비를 증가시켰다. 급격한 군사비 증가는 당시 북한이 직면한 중·소분쟁과 쿠바 미사일 사건으로 기인한 국제안보환경의 악화와 군부의 부상으로 설명될 수 있다. 닉슨 독트린이 1969년에 발표되고 미 제7사단이 한국에서 철수하는 등 국제안보환경이 호전되었다. 또한 군부도 1969년에 숙청되고 당시 한번 당의 우위가 확인되었다. 이 결과 북한은 한국이 군비증강을 시작했음에도 불구하고 군사비 증가율을 낮출 수 있었다. 소련을 비롯한 다른 사회주의권의 붕괴 이후 북한은 심각한 대내외적인 위기에 직면하게 되었다. 또한 남한은 지속적으로 군비증강을 계속 해오고 있었다. 그리고 1994년 김일성 사후에 김정일은 이런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군부에 의존하게 되었다. 그러나 국제안보환경의 악화와 군부의 부상에도 불구하고 북한의 군사비는 낮은 증가율을 보이거나 심지어는 감소를 하고 있다. 북한의 경제난이 북한으로 하여금 군사비를 크게 증가시킬 수 없게 만들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거시경제적 요인이 이 시기의 북한 군사비 주요 결정요인인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국제안보환경과 거시경제적 요인이 가장 중요한 북한 군사비 결정요인이었다. 당군관계도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남한 군사비는 커다란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남북한 군비경쟁과 관련하여 북한은 공세적으로 남한은 방어적인 것으로 간주되어 왔다. 그러나 군사비에 관해서는 남한이 공세적으로 보인다. 남한은 1970년대 중반 이후 군사비의 금액에서나 증가율에서 북한을 능가해오고 있기 때문이다. 경제난으로 군사비의 증가가 어렵게 되자, 안보를 위하여 북한은 핵무기와 미사일 개발을 하고 있다. 오직 국제안보환경이 북한에게 유리하게 바뀔 때, 북한은 핵과 미사일을 완전히 포기할 것이다. 현재 김대중 정부의 대북포용정책과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페리 프로세스'(Perry Process)는 북한에게 우호적인 국제안보환경을 조성하고 있다. 하지만 미국이 추진하고 있는 전역미사일 방어계획과 남한의 미사일 사거리 연장정책은 북한에게 또 하나의 심각한 위협이 될 수 있다. 따라서 남한과 미국은 이 모순된 정책들을 합리적으로 조정할 필요가 있다. Military spending can be analyzed by both external and internal factors. In case of North Korea, external factors are South Korea's military spending and security environments and internal factors are party-military relations and macroeconomic performance. North Korea adopted the Four-Point Military Guidelines" in 1962 and increased military budget rapidly during 1960s. The rapid increase of military spending of North Korea was closely associated with unfavorable security environment such as Sino-Soviet conflict and the Cuban Missile Crisis and the rise of Military. The Nixon Doctrine in 1969 and the withdrawal of the 7th Infantry Division from the South Korea made security environments favorable to North Korea. In 1969, military leaders were purged and the dominance of the party over the military was strengthened by this purge. Although South Korea implemented Force Improvement Plan in 1974, favorable security environment and the purge of military permitted North Korea to lower the increase rate of military spending in 1970s. Since the collapse of the Soviet Union and other socialist countries, North Korea has confronted growing external and internal threats. Also South Korea has reinforced her military power continuously. After the death of Kim Il Sung in July 1994, Kim Jong Il has counted on the military. In spite of worsening security environments, lasting arms race with South Korea, and ascension of the military, military spending of North Korea has decreased. North Korea under the economic hard times such as minus economic growth and food crisis could not afford to increase her military spending. Macroeconomic factor, in other words, was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military spending of North Korea in 1990s. This analysis told that security environments and macroeconomic factor are the most important determinants of military spending of North Korea. Party-military relations are important determinants. Military spending of the South, however, has not given much impact on that of North. On the arms race on the Korean Peninsula, it is said that the North is aggressive and the South is defensive. But South Korea is more aggressive than North Korea on the military spending because the South has surpassed the North in both amount and increase rate of military expenditure since the mid-1970s. The north has developed nuclear weapons and missile for her security. Only the favourable security environments can dissuade the North from developing weapons of mass destruction(WMD). 'Sunshine Policy' and 'Perry Process' might make security environments favourable to North Korea. TMD project of US and South Korea's desire for increasing missile range from 180km to 300km, however, can be another severe threat to North Korea. For arms control South Korea and US must harmonize the North Korea policy with security policy.

      • 한국의 PKO 참여정책 발전에 관한 연구 : 교육·연구체계와 관련법 제정을 중심으로

        최원상 한성대학교 국제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8639

        본 논문은 국제연합(UN : United Nations)과 주요 국가들의 평화유지활동(PKO : Peace Keeping Operation )정책과 향후 전망에 대하여 살펴보고, 이에 따른 한국의 PKO 관련법 제정과 교육 · 연구 체계를 분석하여 발전방안을 조명하였다. 국제사회에서 한국의 국가이익 증진과 국가위상 향상을 통한 자주국방확립을 위한 한국의 PKO 참여정책의 발전방안 제시가 논문의 목적이다. PKO 참여를 다양한 형태와 대상으로 확대를 위하여는 무엇보다도 일관되고 지속적인 추진을 위한 관련법을 제정하여야 한다. 그러한 법적 근거하에 UN상비체제(UNSAS)의 참여수준단계 상향 조정, PKO상비부대 창설, PKO 전문교육기관 설치, 민 ·관 ·군이 통합되어 국가적 차원의 전략과 전술 수립 위주의 전문 연구기관으로서 국가급 PKO 센터 설립 등으로 국가적인 차원에서 참여를 추진하여야 한다. 최근 국회에 발의된 '국군부대의 국제연합 평화유지활동 파견에 관한법률안' 은 이러한 측면에서 볼 때, 조속히 제정이 되어야 한다. 또한 국가급 PKO 센터로 발전시키기로 한 국방대학교의 PKO 센터 연구체계와 현재 시행중인 PKO 관련 교육체계도 보다 보완되어야 한다. 교육기능을 더욱 강화하기 위하여는 전문교육기관을 설치하여 PKO 상비군체제를 준비하여야 한다. UN 의 PKO 정책은 급변하는 국제 정세와 함께 다양한 형태와 유형으로 변화하고, 지역적 분쟁 해결을 위한 수단으로서 더욱 강화 될 것이다. 왜냐하면 냉전 종식 이후 대규모 전쟁 발생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감소하였으나, 민족 ·종교 · 영토 ·자원 등을 둘러싼 갈등으로 지역적 차원의 국지분쟁은 오히려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이단. 따라서 UN 을 통한 평화유지방안의 연구는 그 어느 때보다도 절실한 실정이다, PKO 가 국제적 분쟁을 본질적으로 해결해준다는 보장책은 아닐지라도 평화적 해결 방법의 한 분야로서는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과정 없이는분쟁의 평화적 해결 기회는 없을 것이며, 강대국이 개입된 전쟁의 형태로 지역분쟁이 나타날 수 있는 가능성이 증대할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향후 세계 대다수의 국가들은 자국의 이익을 위하여 PKO 에 적극 참여할 것으로 전망 된다. 선진국은 세계무대에서 자국의 국위선양을 위하여, 개발도상국은 경제적 이익을 위하여 PKO 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 할 것이다. 왜냐하면 PKO참여는 그러한 목적을 실현하기 위한 국가 전략적 방안이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PKO 참여를 통한 국가이익 증진과 국위선양을 향상 할 수 있는 PKO 참여정책을 수립하여 한국의 자주국방 확립을 위한 몇 가지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PKO 참여확대를 위한 실질적이고 합목적적인 법적 근거의 마련이다. 이는 UN의 PKO 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 할 수 있는 근간이 될 것이며, 유사시 한국에 국제사회의 지원 명분을 축적하는데 가장 효과가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PKO를 보다 구속력 있게 실행하기 위한 법제화가 필요하다. 둘째, PK0정책발전을 위한 교육 · 연구체계의 확립이다. 국가이익 증진과 국가위상 향상을 통한 자주국방 확립을 위하여 국방대학교의 'PKO 센터' 는 민 ·관 ·군이 통합된 형태의 국가급 연구센터로 발전되어야 한다. 국내의 모든 군 교육기관은 양성과정에서부터 PKO 관련 과목을 개설하여 보다 조기에 PKO 의 중요성과 필요성을 교육하고, PKO 참여인원을 대상으로 하는 교육은 참여 전 ·후 교육으로 구분하여 교육체계를 더욱 강화하여야 한다. 셋째, PK0 참여범위와 대상의 확대이다. 한국은 PKO 참여시 의료 지원, 시설 재건, 정전 감시단 등 상대적으로 위험성이 적은 비전투분야 위주로 참여하고, 참여인원도 군인위주로 민간인과 경찰 등은 상대적으로 고 참여인원이 극히 미비하다. 이는 PKO 참여를 통한 국가이익을 극대화하는데 제한사항이 된다. 따라서 한국은 PKO 참여시 전투분야와 비군인들의 참여를 보다 확대하여 그 참여성과를 높여야 한다. 넷째, PKO의 전략적 참여를 통한 국가이익 증진과 국가위상 향상을 도모하여야 한다. PKO 의 목적은 분쟁해결과 평화유지에 있으나 그 이면에는 참여국가의 치밀한 국가이익이 잠재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유사시 UN 의 국제적인지원의 필요성은 불가피할 것이며 이를 위해 평소 PKO 참여는 이의 명분을 축적하여 줄 것이다. 이를 위해 PKO 대상국들과의 정치·경제 ·사회 ·문화 등 다양한 교류를 통한 국가이익의 증진을 위하여 단계적·전략적으로 신중히 참여하여야 한다. 또한, UN 업무의 이해증진과 그 활동의 참여를 확대하여 민 · 관·군 분야에서 다양하고 활발하게 UN의 활동에 적극 참여하여 한국을 세계에 홍보하여야 할 것이다. 이러한 방안들이 실현된다면, 한국의 PKO 는 국방정책의 일환으로 지속적으로 연구·발전되어 국가이익 증진과 국가위상 향상으로 한국의 자주국방 확립에 크게 기여하리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Peace Keeping Operation (PKO) policies of the United Nations (UN). Major nations and their prospects and thereupon, examine the code and education & research systems related to S. Korea' s PKO policies. and thereby, suggest the ways to help S. Korea improve her status in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nd enhance her national interests and self-reliant defense capacity through her participation in PKO. The PKO policy of the UN will remain a tool of solving the regional disputes, while being varied to meet the changing international situation. Although the possibility of a large-scale war has been lowered after the Cold War, the local disputes surrounding national and religious interests or natural resources have tended to increase. In the future, many nations throughout the world are expected to participate positively in PKO for their national interests ; Advanced nations would like to enhance their national status on the stage of the world, while developing nations want to harvest the economic interests through their participation in PKO. This study suggested several ways for the S. Korean government to design a PKO participation policy conducive to enhancement of national interests and status as well as self-reliant national defense capacity. First, it is necessary to arrange some effective and purposeful legal ground for participation in PKO. Then, S. Korea will be able to participate more positively in UN’s PKO, and subsequently, the international community would find a plausible cause to support S. Korea in a case of emergency. Accordingly, it is deemed urgent to enact a law binding us to PKO effectively. Second, it is also necessary to establish an education & research system for development of PKO policies. In order to enhance national interests and status and there through, reinforce the self-reliant defense capacity, it is desirable to upgrade the current 'PKO Center' under National Defense University to a national-level research center with civil, official and military experts recruited. It is required of relevant military educational institutes to operate a PKO-related curriculum included in their regular programs regardless of the ranks to awaken the military personnel of importance and need of PKO. Futhermore, the educational program for those personnel assigned to PKO needs to be divided into pre- and post-PKO programs reinforced. Third, it is desirable to expand the scope and targets of PKO. Currently, S. Korea is engaged in relatively less risky non-combat areas, and her PKO teams consist primarily of soldiers. Such a limited PKO participation may not allow for maximization of our national interests, so it is essential to expand the scope and target of PKO with more combat and non-combat personnel, so that our PKO may bear more fruits. Fourth, it is necessary to participate in PKO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to enhance our national interests and status. PKO aims to solve the disputes and keep the peace, but it underlies participating nations' sophisticated national interests. Therefore, S. Korea is requested to participate in PKO by stage and from a strategic perspective in order to enhance her national interests through diversified political, economic, social and cultural exchanges with those PKO target nations. Lastly, if the above suggestions should be materialized, S. Korea's PKO would continue to be researched into and developed as a series of her national defense policies only to enhance her national status and interests as well as her self-reliant defense capacity.

      • The role of NGOs in international security issues

        박혜윤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2000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논문의 목적은 비정부기구(NGO)가 국제안보영역에서 수행하는 역할과 그 가능성에 대해 고찰하는 것이다. 탈냉전 시기 변화하는 국제 정치 상황은 국제정치학에도 새로운 시각을 요구한다. 이에 국제 관계에서 국가 중심적 시각을 견지하는 현실주의 정치학에 대한 대안으로써 신자유주의적인 상호의존이론이 그 적실성을 인정받고 있다. 90년대 이후 구성주의 또한 주목을 받고 있으나 물적 설명의 토대가 아직 부족한 실정이다. 본 논문은 이에 상호의존 이론에 입각하여 현재 국제안보영역에서 활동하고 있는 비정부기구의 활동상을 살펴보았다. UN의 비정부기구 위원회, 영국의 무기거래에 반대하는 시민운동, 그리고 대인지뢰금지운동이 그것이다. 이들은 모두 정보와 지식의 보급 및 연대의 강화라는 기존 비정부기구의 역할 뿐만 아니라 국가의 안보 정책에 압력단체로써 역할 하거나 좀더 적극적인 경우에는 조약의 체결과 같은 제도의 설립도 주도하고 있었다. 이러한 실례로 볼 때, 상호의존이론에서 주장하듯 군사력을 바탕으로 하는 국가 주도의 국제안보레짐은 좀더 다양한 협상력과 상호 의존적 관계를 바탕으로 하는 국가와 국제기구, 비정부기구 간 협력과 견제의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국가의 역할이 완전히 소멸되었다고 보는 것에는 무리가 있으며 안보 문제의 특성상 이슈에 따라 국가가 레짐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경우도 있다는 점은 주지할 바이다. 또한 본 논문에서 다룬 세 가지 비정부기구의 경우는 극히 일부이므로 앞으로 더욱 많은 비정부기구 활동에 대한 연구가 요망된다. In this paper, I am discussing the role of NGOs in international security issues. My interest lies in the rising voice of civil power in international relations and examining its potentiality as a prominent actor in world politics After dismantling the Cold War structure, not only the ordinary people but also the scholars in international politics have faced the need for the perceptual change of the present world situation. State-centric viewpoint of realists is challenged by the more liberal, interdependent arguments which sound much relevant to the analysis of world polity. Especially, NGO, as a non-state actor, has enlarged its influence on security matter. While it is difficult to draw the clear definition of security from the literature, surely its conceptual boundary becomes extended. One of the strong cases of NGO's intervention in security issues may be the successful campaign of banning landmine. ICBL, which many NGOs over the world involved, took initiative in distributing the issues to make the world public opinion arouse, and finally forcing almost 100 countries to sign the treaty to band landmine. Its accomplishment is quite outstanding because the organization succeeded not only in its original job of education and mobilization of the people, but also in influencing the nation-state policy Although NGOs practices in security issue area seem quite positive, it still has some hurdles ahead; sanctions, for example, is one that NGOs cannot effectively use to the states to make them cooperate. Its own capacity to solve the security problem is still limited compared to the state. However, NGOs influence over the international issues will be strengthened more and more.

      • 해군력 발전과정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을 통한 미래 한국해군 발전방향에 관한 연구 : 영국해군을 중심으로

        구종수 한국해양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22

        해군력에 대한 발전기간과 규모의 차이는 상존하나 영국과 한국은 국가안보와 번영에 있어 해군력의 중요성을 인식하여 해군력을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건설하고 발전시켜 왔다. 이러한 해군력 발전과정에 있어 어떠한 영향요인이 실질적으로 작용했으며 또 중요했는가를 분석하기 위해 물리적·정치적·경제적·내부노력·과학기술적 요인 다섯 가지를 주요 영향요인으로 선정한 후 각각의 영향요인별 세부 분석요소들도 도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각 영향요인별로 영국과 한국의 해군력 발전과정을 시대별로 분석한 결과, ‘물리적 요인’은 해군력을 발전시켜야 하는 분명한 필요성을 제시해 주었으며, ‘정치적 요인’은 원하는 해군력의 규모를 결정지어 주었고, ‘경제적 요인’은 결정된 해군력의 규모를 실현시키는 실질적인 수단으로 작용되었다. 또 ‘내부노력 요인’은 해군력 발전과정에 놓여있는 수많은 미비점들을 개선·보완시켜 주었으며, ‘과학기술적 요인’은 최첨단 군사과학기술로 무장한 해군함정과 무기를 갖추게 하여 해전에서 승리를 달성토록 해주었다. 영국의 경우, 약 400년 이상 오랜 기간 동안 해군력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위 다섯 가지 영향요인들 모두는 각각의 특성과 기능을 적절히 발휘하여 해군력 발전 시대마다 중요한 영향을 미쳤음이 확인되었다. 그 중에서도 영국해군이 발전해온 전 과정에서 ‘정치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은 다른 영향요인 보다 중요도에 있어 우선 시 되었으며, 이 두 요인은 상호 불가분의 관계로 ‘예산지원’이라는 결정적인 산출물을 낳아 영국해군의 규모와 능력을 발전시키는데 실질적인 수단이 되었다. 이에 따라 영국해군은 오랜 기간 모든 요인에서 비약적인 발전과 공세적인 해양전략(정책)을 추구할 수 있었으며, 영국해군이 해외무역과 상업적 이익을 보호해 국익을 증대시키는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국민들이 명확히 인식하여 더 많은 지지를 보내줌으로써 결국에는 영국의 해군력을 더 강화시키게 되는 선순환적 관계가 유지되었다. 하지만 영국은 제1, 2차 세계대전 참가로 ‘경제적 요인’의 비중이 가장 높아지게 되었는데, 전후 발생한 엄청난 대외채무와 국내경제 악화로 해군력을 대폭 줄여야만 했었다. 그러나 전쟁을 통해 개발한 신기술(수중청음기, 대잠공격무기, 고주파레이더, 대잠항공기 등)의 발전으로 인한 ‘과학기술적 요인’의 중요성이 더욱 부각되어졌으며, 이는 최근까지 이어져 온 영국의 경제적 어려움 속에서 해군력의 크기는 줄이더라도 성능에서는 월등한 해군력으로 전환시키는 핵심요소로써 작용되어 왔다. 한국의 경우, 약 70년 정도의 짧은 역사를 가졌음에도 불구하고 현대식 해군력을 발전시키는 과정에서 물리적·정치적·경제적·내부노력·과학기술적 요인 다섯 가지 모두가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이 확인되었다. 한국의 해군력 발전과정에 미친 영향요인들 중에서는 ‘정치적 요인’, ‘경제적 요인’, ‘과학기술적 요인’의 중요도가 다른 영향요인 보다 우선시되었다. 이중 ‘정치적·경제적 요인’은 긴밀히 연결되어 ‘예산지원 결정’이라는 결과로 나타나 해군력 발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다. 특히 한국의 해군력 발전에는 ‘정치적 요인’에 대한 비중이 매우 높았는데, 이는 1970년대 박정희정부의 율곡사업 추진, 1990년대 김영삼정부의 대양해군 건설계획 추진 및 2000년대 김대중정부의 전략기동함대 건설계획 공식화에 따라 당시 소폭이지만 해군예산(방위력 개선비) 비율을 증가시키게 되었기 때문이었다. 이를 통해 1990년대 후반부터 원해작전이 가능한 구축함(KDX-Ⅰ/Ⅱ/Ⅲ)과 잠수함(209/214급) 등 고가의 해군무기체계들이 전력화될 수 있었으며, 여기에다 1970년대부터 시작된 기술개발 노력의 결실로써 현재 국내에서 첨단함정과 일부 무기들을 연구개발부터 제작까지 모든 과정을 처리할 수 있는 정도로까지 발전한 ‘과학기술적 요인’이 핵심적인 역할을 했다. 정리하면, 현대 민주주의 정치제도를 유지하고 있는 영국과 한국에서의 해군력 발전과정에는 다섯 가지 영향요인들 중 ‘정치적·경제적·과학기술적 요인’에 대한 중요도가 높게 평가되는 특징을 가지고 있었다. 그렇다고 그 외 영향요인들이 중요하지 않다는 것은 아니다. 해군력의 건설과 발전의 필요성은 물리적 요인의 세부요소인 ‘국제안보환경 요소’를 극복하기 위해서 비롯되었으며, 내부노력 요인은 정치적 요인의 세부요소 중 국가지도자(집권당) 등 국민의 지지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과 함께, 경제적 요인의 국방예산을 조절시키는 근원적인 역할을 담당할 뿐만 아니라, 최첨단 군사과학기술이 해군함정과 무기에 접목되도록 하는 역할을 포함하고 있기 때문이다. 지금까지의 분석결과를 통해 미래 한국해군의 발전방향에 주는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당면한 북한의 위협과 주변 해양강대국들의 잠재적 위협에 동시에 대응함에 있어 바다와 관련된 안보와 번영이라는 국가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는 가장 적합한 해양전략(해양력)의 수립이 요구되며, 여기에는 미래위협의 가능성이 가장 높은 중국에 대한 분석이 바탕이 되어야 한다. 둘째, 해군력 발전을 실현시키는데 있어 실질적 수단이 되는 적정 규모의 해군예산을 확보할 수 있도록 국민에 대한 실질적인 교육과 홍보 활동 및 정치적 결정과정에서 해군에 유리하도록 지원할 수 있는 여건조성이 필요하다. 셋째, 최첨단 군사과학기술이 접목된 전략기동함대 전력을 갖추도록 해야 하는 것으로, 한국해군이 갖추려는 전략기동함대의 전력은 적 보다 월등히 우수한 무기체계를 갖춘 해군함정과 무기체계로 구성되어지는 것이 가장 기본일 것이며, 적어도 잠재적 위협 중 가장 현실화될 가능성이 높은 중국의 해군함정과 무기체계 보다는 우위에 있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