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외국인 유학생 대상 국어국문학 전공 기초 교육과정 개발 연구

        임형옥 고려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preparation curriculum for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major international students. International students who study in Korean universities often have difficulties when they take core subjects, mainly due to lack of essential knowledge in their major or incompetent task performance. If it is the case, a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may reduce such obstacles and help the students feel confident in their major subjects. In fact,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needs far higher command of Korean than others, which implies that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require a high level of Korean proficiency and competence in specific language use in their major. All these preconditions impose a heavy burden on the students, naturally supporting the need of a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reparation curriculum. For the development of a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preparation curriculum, this research takes various steps, including literature review, analysis of educational environment, needs analysis for both teachers and learners, and text analysis. First, the literature review shows features and content of a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The curriculum is likely to be close to Korean educatio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 And since the achievement standards in Korean educatio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 are defined based on the major content knowledge, the curriculum design of the preparation curriculum adopts the backward design method and procedure. Such a feature of Korean education for specific academic purpose is linked to content-based Instruction (CBI). Thus, the curriculum design also considers CBI models, especially Sheltered Instruction Observation Protocol (SIOP), which sets both content knowledge and language goals. At the end of the literature review, this research explains that the preparation curriculum should provide the essential knowledge of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ereinafter, ‘the essential knowledge’) and tasks that foster competence in specific language use in the major (hereinafter, ‘the competence tasks). Next, to see how well the needs and content of the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match with the needs in the teaching field, this study conducted an analysis of educational environment and needs analysis with the lecturers and the international students. The numb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majoring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vary in different universities. Among them, universities that have distinctive numbers of the international students responded positively for a major preparation curriculum. Also, both of the lecturers and their international students replied that lack of the essential knowledge and difficulty in performing the competence tasks are the barriers against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which shows the literature review corresponds to the needs in the field. With the result of the needs analysis, the text analysis was conducted to describe the essential knowledge and the competence tasks, using Korean textbooks in college introductory subjects and high schools. The text analysis shows that the essential knowledge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cludes theories of Korean linguistics or Korean literature, chronological features of Korean history and Korean literature history, and representative Korean authors and their works. Then, tasks described in university course handbooks are analyzed for the competence tasks. The task types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re divided largely in two: presentation and essay writing, and the ratio of the two task types is different in Korean linguistics and Korean literature major courses. Considering the ration and awareness burden, or awareness complexity, which international students may have when they perform the tasks, this paper suggests the sequence of the competence tasks. Based on the analysis above and SIOP, this research also sets goals for the preparation curriculum that can integrate the content and the language, and suggests the teaching content and methods needed for achieving the goals. Moreover, it suggests a practical methodology with a teaching and learning model where the knowledge and the tasks are systematically dealt in the curriculum. The outcome of the study can be used for improving curricula in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courses, and it also presents language-considered education for content knowledge experts and content knowledge-considered education for language experts. However, the suggestions and presentations of the preparation curriculum may still have room for improvement after being adopted and practiced in the field. I would like to leave this as a future research topic.

      • 인문계열 학과 법제 교육 연구

        김태림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8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mphasize the need for legal education in the humanities, especially in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s the cause of the actual problems experienced by humanities learners in the social field is the absence of legal education. Currently,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takes a method of spreading creations through various media. As a result, Schools that have incorporated practical studies into their major elective subjects within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have increased. The humanities must combine protective measures for self-sustaining growth. In this study, to protect the humanities themselves and thereby be at the forefront of the industrial field, we will speak within the scope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In order to confirm whether legal knowledge is required in the field of humanities, Chapter II reviewed laws related to the humanities. This is to check whether certain laws and regulations can affect humanities learning and utilization. The Constitution, which corresponds to the higher law, reviewed academic freedom and freedom of speech and publication, and confirmed laws that stipulate them in detail. The scope of research was narrowed by defining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corresponding to the higher concept of copyright law and presenting sub-laws and grounds. Subsequently, whether there are cases requiring legal knowledge within the scope of the study was listed by case. By examining cases related to freedom of expression, unfair practices in society in general, and whether AI's copyright is recognized as a future problem, the problem was recognized by dividing it into social expression consciousness and new issues according to social change. And finally, to confirm the case only for the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subject of the study. The most important cases are ‘The Cloud Bread Case’ and ‘IMWONGYEONGJEJIl Judgment’, which is a case in which fairy tale writer Baek Hee-na was not recognized for secondary copyright due to unfair contracts with publishers. Not only the rights of creators but also the rights of publishers were treated as an issue, raising awareness for both sides. The ‘IMWONGYEONGJEJI Judgment’ did not recognize the copyright of the classical translation that was recently commissioned and marked IMWONGYEONGJEJI, which confirmed the court's awareness of the classical data. In addition, the evidence was reinforced through actual lecture cases and interviews with instructors. The current status of copyright-related counseling also continued to increase, emphasizing its necessity. Chapter III examined whether legal education is being conducted in the humanities and social sciences, including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by dividing domestic and foreign cases. At this time, each department was selected according to 'whether to produce creations using specific media'. It was significant that the opening of each law subject was confirmed at the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and Literature at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in Korea and the Department of English and Literature at Columbia University abroad. Considering that the position of the English literature department in the United States and the Korean literature department in Korea is similar, it is expected that the scope of learning will be further expanded by utilizing literature and law in Korea. In addition, the Department of Media at Kyung Hee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Industrial Design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the Graduate School of Arts and Arts Management at Hongik University, the Department of Culture and Tourism at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nd the Department of Humanities and Contents were also able to confirm the opening of law-related subjects. Along with the above curriculum, we reviewed how the law school teaches copyright law and how other humanities departments educate legal systems. Based on this, Chapter IV proposed legal education as a single subject and a convergence subject. The single subject allowed them to understand copyright law in depth and access various cases, and the convergence subject allowed them to be familiar with copyright laws that can be actively used in the field through actual copyright registration and mock trials. In the process of expanding the horizon of humanities, including Korean and Korean literature, humanities took the lead in research based on humanities and producing contents through various media. several problems were derived in the process. In order for authors to be more active than before, they judged that they needed a means to accurately identify their rights to work and protect their creations. On the contrary, it was also intended to prevent unfair demands in advance because they did not know the criteria for rights. This study aims to take the first step by pointing out the problem of the current situation in which such legal education is absent and insisting on the necessity. 「인문계열 학과 법제 교육 연구」는 인문학 학습자들이 사회 현장에서 겪는 실제적인 문제의 원인을 법제 교육의 부재로 보고 인문학 계열, 특히, 국어국문학에서의 법제 교육 필요성을 역설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과거 국어국문학과에서 순수 문학과 어학을 중심으로 공부했다면, 지금은 보다 다양한 매체를 통해 창작물을 확산시키는 방식도 함께 취하고 있다. 이에 따라 국어국문학과 내에 실용 학문을 전공 선택 과목으로 편입시키는 학교가 늘었다. 문화콘텐츠학과 디지털 인문학 등이 바로 그것이다. 인문학은 자생을 위해 보호수단을 겸비해야 한다. 본고에서는 인문학 스스로를 보호하고, 그로써 산업 현장의 선두에까지 설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그 첫걸음을 국어국문학의 범위에서 말하고자 한다. 인문학 분야에서 법령 지식을 필요로 하는지 확인하기 위하여 Ⅱ장에서는 인문학과 관련된 법령을 검토했다. 특정 법령이 인문학 학습 및 활용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이다. 상위법에 해당하는 헌법에서 학문의 자유 및 언론·출판의 자유를 검토하고 이에 대하여 상세하게 정하고 있는 법률을 확인했다. 법률 중에서 인문학이 직접적으로 언급되는 ‘인문학 및 인문정신문화의 진흥에 관한 법률’의 내용과 저작권법을 살핌으로써 인문학 분야의 학습자들과 관계를 맺는 것은 저작권법임을 상세하게 서술했다. 그리고 저작권법의 상위 개념에 해당하는 지식재산권을 정의하고 하위 법률 및 근거 조항을 제시하여 연구 범위를 좁혔다. 이어서 해당 연구 범위 내 법령 지식 필요 사례가 있는지 사회적 분위기에 비추어 판례별로 열거했다. 크게 나누어 표현의 자유와 관련된 사례와 사회 일반의 불공정 관행, 미래 문제로 AI의 저작권 인정 여부를 살핌으로써 사회적인 표현 의식, 사회의 변화에 따른 새로운 쟁점과 함께 개인의 저작권 의식의 관점으로 나누어 문제를 인식했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연구 대상인 국어국문학에 한정하여 사례를 확인하고자 했다. 가장 핵심적인 케이스로 ‘구름빵 사건’과 ‘임원경제지 판결’이 있다, ‘구름빵 사건’은 동화 작가 백희나가 출판사와의 부당한 계약으로 2차 저작권을 인정받지 못한 사건이다. 창작자의 권리뿐 아니라 출판사 쪽의 권리에 대해서도 쟁점으로 다루어져, 양쪽 모두에게 경각심을 일깨웠다. ‘임원경제지 판결’은 최근 『임원경제지』를 교감·표점한 고전 번역본의 저작권을 인정해 주지 않은 것으로, 법원의 고전 자료에 대한 저작 의식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이었다. 더불어 실제 강의 사례와 교수자의 인터뷰를 통해 근거를 보강했다. 저작권 관련 상담 현황 또한 지속적으로 증가하여 그 필요성이 강조되었다. Ⅲ장에서는 국어국문학과를 비롯하여 인문·사회 계열에서 법제 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국내 사례와 국외 사례를 나누어 검토했다. 이때 각 학과는 ‘특정 매체를 이용하여 창작물을 생산하는지 여부’에 따라서 선택했다. 국내의 경상국립대학교 국어국문학과와 국외 컬럼비아 대학교 영어영문학과에서 각 법 과목 개설이 확인되어 유의미했다. 미국에서의 영어영문학과와 국내의 국어국문학과의 입지가 유사하다는 것을 고려하면, 국내에서 또한 문학과 법을 활용하여 학문의 범주를 더욱 넓힐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가 가능하다. 그밖에도 경희대학교 미디어학과, 숙명여자대학교 산업디자인과·홍익대학교 미술대학 및 문화예술경영대학원, 숙명여자대학교 문화관광학부, 상명대학교 인문콘텐츠학부에서도 법과 유관한 과목 개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지식재산권 교육이 불필요한 것이 아님을 현장 사례와 국내외 대학의 과목 개설을 통해 확인하고, 인문학의 수요 증가로 연구자의 현장 참여가 증가하며 그 보호 수단으로 법제를 익힐 필요성이 있음을 본고에서 보이고자 한다. 기계적으로 법제를 교육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캡스톤 디자인의 형태로 장기 프로젝트에 학생 및 연구자가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면 이상적일 것이다. 저작물이나 연구 성과물을 본인이 스스로 창작하고, 그에 대해 권리를 가진다는 것을 명확하게 깨달을 수 있도록 하는 것은 현장에 나아가서도 정당하게 창작물에 대한 권리를 주장함과 동시에 타인의 창작물을 존중하도록 하는 태도를 길러 줄 것이다. 위의 교육 과정과 함께 법학전문대학원에서 실제로 어떻게 저작권법을 교육하고 있는지, 그리고 다른 인문 계열 학부에서 어떻게 법제를 교육하고 있는지를 위와 같이 검토하였다. Ⅳ장에서는 이를 토대로 단독 교과로서의 법제 교육과 융합 교과로써의 법제 교육 방법을 나누어 제안했다. 단독 교과는 보다 깊이 있게 저작권법을 이해하고 다양한 사례를 접할 수 있게 하였으며, 융합 교과는 실제 저작권 등록과 모의재판 등을 통해 능동적으로 현장에서 활용할 수 있는 저작권법을 숙지할 수 있도록 했다. 국어국문학을 포함한 인문학 계열의 학문들이 그 학문의 지평을 넓히고자 하는 과정에서, 인문학자들이 주도적으로 인문학적인 사유를 기반으로 한 연구와 콘텐츠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생산할 때 파생되는 여러 가지 문제점을 문제의식을 가지고 보았다. 이전보다 활발하게 저작자들이 활동하기 위해서는 저작물에 대한 권리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창작물을 보호하는 수단이 필요하다고 판단했다. 반대로는, 권리의 기준을 알지 못하여 부당한 요구를 하게 되는 일도 사전에 방지하고자 했다. 본고는 이러한 법제 교육이 부재하는 현재 상황의 문제를 지적하고 필요성을 주장함으로써 그 첫걸음을 내딛고자 한다.

      • 15世紀 國語의 四聲體系와 傍點에 대한 硏究

        김영국 京畿大學校 1994 국내박사

        RANK : 248655

        「訓民正音」解例本에 설명되어 있는 四聲體系와 傍點에 대한 연구는 지난 40여년 동안 가장 활발히 논의되었던 문제 중의 하나이다. 그렇기 때문에 15세기 문헌에 표시되어 있는 傍點의 본질에 대하여 長短을 표시하기 위한 것이라는 說과 高低를 표기하기 위한 것이라는 說이 대립하고 있으며, 그밖에 高低와 長短을 함께 표기하기 위한 것이라는 中立說이 있다. 傍點의 본질을 長短으로 보는 견해에는 周時經(1908), 崔鉉培(1941), 南廣祐(1954), 李熙昇(1955), 黃希榮(1969), 지준모(1972), 李東林(1975), 朴炳采(1980), 安英姬(1980), 金永國(1986) 등이 있고, 傍點의 본질을 高低로 보는 견해에는 河野六郎(1945), 許雄(1955), 鄭然粲(1960), 李基文(1960), 李崇寧(1964), 金完鎭(1973), 文孝根(1974), 權在善(1974), 崔世和(1975), 金次均(1977), 김성기(1988), 權仁瀚(1991) 등이 있으며, 傍點의 본질을 高低와 長短으로 보는 견해에는, 李奭周(1982), 金永萬(1986) 등이 있다. 15세기 국어가 聲調言諸였다고 주장하는 학설의 주된 논지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訓民正音」解例本에 보면, 四聲體系와 傍點에 대한 설명과 그 용례가 있다는 점. 둘째, 다소 문란하기는 하지만,「訓民正音」창제 이후 약 100년간 우리 문헌에 傍點이 사용되었다는 점. 셋째, 현행 慶尙道 方言과 嶺東 海岸地域의 方言 및 咸鏡道 일부 地域의 方言에「訓民正音」해례본의 四聲體系의 調値와 대응되는 高低가 남아 있다는 점. 따라서 만약 우리 국어가 聲調言語라는 이들의 주장이 타당성이 있다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의문점에 대하여 납득할 만한 해답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첫째, 15세기 국어가 聲調言語라면, 그 이전 시기의 언어에서도 聲調의 흔적을 찾을 수 있어야 한다. 그런데 訓民正音 창제 이전의 어느 자료에서도 그 흔적을 찾을 수 없다는 점. 둘째, 15세기 국어의 聲調素가 둘(平聲과 去聲) 또는 셋(平聲, 上聲, 거성)이라면, 訓民正音 창제자들은 어째서 平·上·去·入 이라는 네 가지 聲調素를 제시했을까 하는 점. 셋째, 訓民正音 창제자들은 어째서 당시 聲調言語인 中國語에서도 사용하지 않았던 傍點이란 것을 독창적으로 만들어 사용했을까 하는 점. 넷째, 傍點이 국어의 聲調를 표시하기 위한 것이었다면, 어째서 100여년만에 우리 문헌에서 완전히 사라졌을까 하는 점. 다섯째, 訓民正音은 중부 방언을 중심으로 만들어졌음이 틀림없는데, 어째서 중부 방언에서는 그 흔적을 찾지 못하고, 경상도 방언에 그 모습이 나타나고 있다는 것인가 하는 점. 여섯째, 聲調란 한 단어나 한 音節에 音調의 변화로 의미가 변별되는 것을 말하며, 개개 音節의 音調의 변화에 의해 의미를 구별하는 언어인데, 漢藏語族(Sinno-Tibetic Family)에 속하는 언어들과 아프리카와 북아메리카의 여러 언어들의 공통특질이다. 그런데 국어는 多音節語이며 膠着語인데 어떻게 聲調言語가 될 수 있다는 것인가 하는 점. 일곱째, 15세기 국어가 聲調言語라면, 韻支과 散文에 있어서 韻律的 차이가 나타나야 하는데, 당시 간행된「龍飛御天歌」나「月印千江之曲」등의 韻文을「釋譜詳節」과 같은 散文과 비교해 보아도, 高低의 韻律規則 에 아무런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다는 점. 여덟째, 15세기 문헌에 표시된 傍點이 聲調의 기능을 갖고 있다면, 동일한 形態素에서도 聲調에 따라 각각 의미가 변별되어야 하는데, 고유어에서는 그러한 변별성이 보이지 않는다는 점. 따라서 필자는 15세기 국어가 聲調言語라고 주장하는 학자들이 이러한 의문점들을 얼마나 해결해 놓았는가를 하나하나 살펴봄으로써, 우리 국어는 聲調言語가 아니라는 논증의 자료로 삼고자 한다. 본 論文은 15C 국어는 聲調言語이며, 현재 경상도 방언의 高調體系를 볼 때 신라어도 聲調言語였다는 종래의 假說에 대하여 비판하는 형식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향가와 계림유사를 중심으로 한 訓民正音 창제 이전의 聲調說에 대하여는 그들의 주장을 비교·검토함으로써 어떤 새로운 자료가 발굴되지 않는 한 현재로서는 타당성이 없다는 것을 밝혔다. 그리고 訓民正音 창제 이후의 聲調說에 대하여는 訓民正音 창제자들이 어째서 四聲體系를 만들었으며, 中國語에도 없는 傍點까지 창안하여 국어의 韻律素를 설명하지 않으면 안되었을까 하는 이유를 살펴봄으로써 15세기 국어는 聲調言語(tone language)가 아니었다는 결론을 얻게 되었다. 그리고 15세기 국어의 韻律素를 표시하기 위해 生成된 傍點이 우리 문헌에서 어째서 그렇게 빨리 폐지되고 말았는가를 살펴보았다. 그렇게 함으로써 訓民正音 창제와 함께 生成된 四聲體系는 중국 韻學의 영향, 즉 音韻은 七音과 四聲이 橫과 縱으로 이루어져야 비로소 이루어진다는 音韻觀에 깊은 영향을 받아 왔던 訓民正音 창제자들이 국어의 韻律素(長短)를 中國語의 韻律素(長短과 高低)와 같은 것으로 인식함으로써 만들게 되었고, 傍點은 이와 같은 四聲을 구별하기 위해 만든 人爲的 表記形態임을 밝히게 되었다. 또한 傍點의 소멸시기는 생성 당시의 문헌에서부터 語末平聲化가 일기 시작하였으며,「杜詩諺解」(1481)에서는 語末平聲化가 보편화 되면서 많은 혼란이 보였고, 官板인「舍利靈應記」(1449),「樂學軌範」(1493)이나 민간에서 간행된「神仙太乙紫金丹」(1497) 등에 傍點이 전혀 사용되지 않은 것으로 보아 상당히 앞당겨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The research on the four tones system(四聲體系) and the side marks(傍點) explained in the「Hun-min-ceˇng-um He-rye(訓民正音 解例)」has one of the most active controversial issues during last 40 years. There has been a contradiction of theories between the intrinsic nature of the side marks i s to indicate a chrone and that is to a tone, and there is a neutral stance of both for the 15th century scripts. The view of the chrone theory in the intrinsic nature of the side marks is supported by Joo, See-Kyung, Choi, Hyun-Bae, Nam, Kwang-Woo, Lee, Hee-Seung, Hwang, Hee-Young, Lee, Dong-Lim, Park, Byung-Chae, Ahn, Young-Hee, Kim, Young-Gook, etc; the tone theory is by Haya, Yuk-Rang, Huh, Woong, Chung, Yeon-Chan, Lee, Ki-Moon, Lee, Soong-Nyung, Kim, Wan-Jin, Moon, Hyo-Keun, Kwon, Jae-Sun, Choe, Se-Hwa, Kim, Cha-Gyun, Kwon, In-Han, etc. : the neutralism is by Lee, Suck-Joo, Kim, Young-Man, etc. The following is the main summary of the assertion that 15th century Korean is the tone language. First, there are explanations and examples of the four tones system(四聲體系)and the side marks(傍點) in 「Hun-min-ce ̄ng-um He-rye(訓民正音 解例)」. Second, the side marks(傍點) had been used for about 100 years after the creation of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 although it was disorder. Third, there strill exists the corresponding tone of the Four tones system(四聲體系) and the side marks(傍點) in the current dialects in Kyeng-Sang(慶尙) , coast-side of Young-Dong(嶺東) area, and Ham-Kyeng(咸境). Accordingly, if our language is the tone language, it should be answered for the following questions to make the point the clear. First, if the 15th century's language is the tone language, there must have been a vestige of the tone before that time. But there was no records of that before the creation of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Second, if the tone element of the 15th century's language consisted of two(Low, High) or three(Low, Rising, High), why did the creators of the Hun-mim-ceˇng-um(訓民正音) suggest 4 tone elements of Phyeng(平). Sang(上). keˇ(去), and Ip(入) Third, why did the creators of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use the side marks(傍點) which even was not used in Chinese, the tone language itself? Forth, if the side marks(傍點) were to indicated the tone, why it disappeared totally in about 100 years after the creation? Fifth, it is clear that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must have been invented on the basis of the central dialects. Then, why can we find the vestige of that in the Kyung-Sang Dialects while none in the central dialects? Sixth, the tone is to make the meaning distinctive through the variation of a word, a syllable, by tune(音調). and it is common characteristics in the languages of Sinno-Tibetic Family(漢藏語族), Africa, and North America. Then, how can multisyilables and agglutinative Korean be the Tone Language? Seventh, if 15th century's language is the Tone Language, there must appear rhythmic variances in verse and prose. However, we cannot find any difference in verses as「Yong-pi-eˇ-cheˇn-ka(龍飛御天歌)」and「Ueˇl-in-cheˇn-kang-ci-gok(月印千江之曲)」contrast to proses as「Seˇk-po-sang-ceˇl (釋譜詳節)」. Eighth, if the side marks(傍點) in the 15th century's record had the function of the tone, the meaning should be identified in the same morpheme. But we cannot find that kind of distinctions in our native language. Therefore, I demonstrated that Korean is not the language and provide the supporting materials, by looking at how much the our scholars who have asserted that Korean is the tone language have proved for questions that I provided above. This treatise is constructed in a way to criticize the former assum-ptions that 15th century's language was the tone language on the basis that Shilla language was the tone language to see the tone system of current Kyung-Sang Dialects. Therefore, I showed it is unreasonnable for the theory of the tone langiage before the creaton of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to compare and examine their argumen-ts, unless they uncover new facts. And I proved for the theory of the tone language after the creation of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that 15th century's Korean language is not the tone language through the insight of why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creators had made the four tones system and why it was inevitable to make the side marks(傍點) for the explanation of the prosody. And I have studied why the side marks (傍點)to indicate the prosody had been abolished so quickly. To do so, I become to reveal that the four tones system with the creation of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was influences by the Chine-se Un-hak(韻學), and that phoneme was recognized by the Hun-min-ceˇng-um(訓民正音) creators as the same as the Chinese prosody(chroneme and toneme) by which a phoneme is organized with the combination in a manner of lengh and breath of seven sounds(七音) and four tones(四聲), and the side marks(傍點) were being made as an artitifical indication form to make differences to four tones(四聲), Also, I believe that the period of the extinction of the side marks(傍點) must be earlier that the previous thoughts according to the fact that there appeares to have been transform into Low-tone(平聲) of word-end in the records of the creation time, and then followes a cofusion period after the generalization of transform into Low-tone(傍點) of word-end, in turn, there was no usage of side marks(傍點) in such cen-tral presses as「Ak-hak-kyue-peˇm(樂學軌範)」or such private presses as「Sin-sun-thea-ul-ca-kim-dan (神仙太乙紫金丹」.

      • 해외 파견 한국어교원 재교육 방안 연구

        진현유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65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nhanc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by setting developmental directions of reeducation program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sent aboard, based on Korean language teachers’ perception on and needs for reeducation, who have experienced to be sent abroad. Chapter 1 suggested the purpose and the necessity of the study and examined researches related with Korean language teachers, which were conducted in various fields such as reeducation for teachers, teaching method, and training education. Above all, researches on reeducation for teachers have been actively discussed, in these days. This suggested the extension of theoretical education and exchange program among teachers sent abroad, and re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such as psychological counseling, by focusing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mplemented in foreign countries. Chapter 2 examin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involved with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investigated by dividing it into ‘training education’ and ‘reeducation’. For the condition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policie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certification system for Korean languag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s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qualification state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ere examined. Training education was compared with reeducation,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conditions. Some institutions in which Korean language education was implemented were suggested by dividing them into domestic and foreign ones. Chapter 3 conducted a preliminary study on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to be sent abroad, and then implemented the study by correcting and complementing the preliminary one. Poor parts in this study were improved by using the second questionnaire. An analysis on need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e questionnaire was used as basic data for setting developmental directions of the reeducation program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Chapter 4 suggested the contents of reeducation program for Korean language teachers sent aboard, based on results of questionnaire survey and analysis in this study. Finally, chapter 5 concluded that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in that it selected the contents of reeducation program, by summarizing contents above and analyzing need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ent abroad. This study has some limits, in that the number of respondents who participate i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low, most of them were women in their 20s and their demographic characteristics including careers, education levels, majors were similar, so various participants were not included in the questionnaire. Follow-up studies are required for the development of more systematic program, and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study stepwise education by career of Korean language teachers and the program for empowering them. However, this study is expected to be used as basic data for follow-up studies, in that it selected and provided the contexts of reeducation based on needs of Korean language teachers sent abroad.

      • 국어 명사형 어미의 계량적 연구

        김일환 고려대학교 2005 국내박사

        RANK : 248655

        국어에는 ‘-음’과 ‘-기’라는 두 가지 형태의 명사형 어미가 있다. 이들은 형태, 통사적으로 그 분포가 다양하고, 그에 따른 의미도 달라서 지금까지 많은 학자들의 관심을 받아왔다. 이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대개 상위문 술어와의 관련 양상을 통해 ‘-음’, ‘-기’의 양상을 통사적으로 구명하려 하거나, ‘-음’, ‘-기’가 보이는 의미의 차이에 주목하여 그 기저의미를 탐구하려는 방향으로 이루어져 왔다고 볼 수 있다. 그 결과로 ‘-음’은 기정(旣定), 완료성, 시제성, +대상성 등의 의미를, ‘-기’는 미정(未定), 미완료성, 비시제성, -대상성 등의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주장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음’, ‘-기’의 연구가 양적으로는 풍부하다 할지라도 몇 가지 점에서 미저 해결되지 못한 점이 있다. 먼저 ‘-음’, ‘-기’의 의미가 학자에 따라 지나치게 다양하게 설정되었다는 점이다. 이는 명사형 어미의 기저 의미를 어느 하나로 파악하기 어렵게 만드는 요인이 된다. 이러한 문제는 제한된 자료만을 대상으로 하거나 연구자의 직관에 따라 임의로 예문을 설정한 데에서 비롯된 것으로 보인다. 특히 제한된 분포를 보이거나 예외적인 현상에 대해서는 거의 주목을 하지 못해 왔는데, 이는 직관적인 언어 연구가 가지는 한계이기도 하다. 또 다른 문제점으로는 명사형 어미가 보이는 다양한 양상에 대한 심도 깊은 논의가 부족하다는 점이다. 특히 주어적 속격의 허가 양상이나 계사와의 결합 양상, 보조사와의 결합 양상 등에서 보이는 중요한 특성들이 기존의 연구에서 소홀히 다루어졌거나 미처 기술되지 못하기도 하였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는 ‘-음’, ‘-기’의 의미를 밝히기 위해 말뭉치를 적극적으로 사용하였다. 대상으로 삼은 말뭉치는 현대국어의 모든 양상을 충분히 포착하기 위해 최근의 현대국어 문어 말뭉치와 구어 말뭉치, 그리고 초기 현대국어의 모습을 확인할 수 있는 역사자료 말뭉치로 구성되었다. 먼저 말뭉치에서 명사형 어미가 보이는 분포를 외적 통합 양상과 내적 결합 양상으로 나누어 추출하였다. 외적 통합 양상에서는 상위문 술어와의 통합 관계, 주어적 속격의 허가 양상, 연어 표현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였고, 내적 결합 양상에서는 어기, 선어말어미, 보조사, 계사 그리고 문장 종결형으로의 기능에 대한 정보를 추출하였다. 이렇게 추출된 결과들을 귀납함으로써 명사형 어미 ‘-음’은 [존재성]을, ‘-기’는 [비존재성]을 의미한다고 주장하였으며, 이러한 의미가 말뭉치에서 나타난 명사형 어미의 다양한 분포를 적절히 설명해 줄 수 있다고 제안하였다.

      • 國語 膠着素 體系의 特性 硏究

        이훈 中央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8655

        본고의 목적은 한국어의 문법 기능을 전담하고 있는 助辭와 語尾類의 효과적인 기술을 위해 膠着素를 설정하고, 상호간의 공통점을 중심으로 統合的인 分類를 시도하는 것이다. 조사와 어미를 아우르는 국어의 교착소는 우리말의 문법적 특징을 가장 분명히 나타내는 요소들이다. 이러한 중요성에 따라 개별적 대상에 대해서는 전통문법 시기로부터 상당히 정교한 논의가 진행되어 왔다. 그러나 문법 모형의 측면에서 생성문법을 중심으로 한 형식문법의 이론들을 과다하게 적용시키는 바람에 교착소들의 본질적 특징을 무시하고, 동사의 하위범주화자질에 의한 구조적 부착으로 처리한 것이 대종을 이룬다. 이는 이론적 정교함을 위해 국어의 중요한 특징을 사장하는 것이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교착의 본질적 특성을 점검하고, 그에 따르는 통합적 분류를 시도하였다. 우선, 이를 위한 이론적 전제를 확인하기 위해 언어의 복잡성 문제를 검토할 수 있다. 괴델의 불완전성의 정리에 의해 증명된 공리계의 불완전성은 어떤 체계가 형식논리와 공리계로 치환되어 설명된다면 반드시 반복되는 문제이다.따라서, 언어학의 연구대상인 자연언어는 형식논리로 치환될 수 없으며, 계산 불가능성을 보이는 체계이다. 이렇듯 언어가 공리체계의 계산 가능한 대상이 아님에도 과거 이러한 접근을 해온 배경에는 근대 이후 서구 학문 전반에 만연한 생물학적 결정론이 자리 잡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언어학에도 고스란히 나타나는데 환원주의, 물화, 이분법, 계층화의 양상을 찾아볼 수 있다. 따라서 국어는 적응적 복잡계라 할 것이다. 이러한 전제 아래에서 굴절이나 파생을 국어에 적용시켜 보면, 국어의 교착소 첨가는 새로운 범주 생성의 기제이므로 굴절보다는 파생에 가까운 것이라 볼 수 있다.이에 따라, 기존의 논의에서는 통사적 파생을 통해 통사적 단어를 생성하는 통사적 접사를 설정하게 된 것이다. 그러나, 통사적 접사에 대한 구체적 검토를 해보면 핵이동이나, 의미역배당과 같은 자율통사론에 바탕을 둔 설명으로는 국어의 첨가 현상이 명확히 설명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통사적 접사설을 폐기하고 교착소 체계를 선택하면, 교착소의 품사적 지위에 대한 문제가 발생한다. 문장의 분석에서 드러나는 단위들은 모두 일정한 범주를 가지게 되는데, 내용어에 해당하는 어휘범주와 기능어에 해당하는 기능범주가 있다. 이 둘을 통칭하여 통사범주라 할 것인데 이는 곧 품사라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고에서는 어휘적 응집성과 단어의 분리성에 기반을 두어 조사와 어미를 독립된 품사로 볼 것을 제안하였다. 독립된 단위로서 교착소의 역할을 검토하기 위해 문장의 해석과 생성과정을 바탕으로 개념통합과정의 모형을 제시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의 문법모형들 중 형식문법의 대표격인 생성문법의 모델을 확인하였다. 생성문법에서 제시되는 통사연산의 기본전제는 어휘부에서 표현형에 사용할 어휘목록을 배번집합으로 일괄 인출하는 것이다. 그러나, 국어화자의 직관이나 뇌 유발전위를 측정한 실험에서 보이는 증거들은 어휘부와 연계되는 통사연산에 선형성과 자율성이 없다는 것을 보여준다. 따라서 인지문법의 개념통합구조가 자연언어인 국어의 문법에도 적용성이 높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교착소의 실제 양상을 확인하기 위한 첫 번째 작업은 문장에서 가장 먼저 분리되는 서술어미의 검토이다. 이 때 서술어미는 서술성과 관련하여 문형성의 궁극요소로 분리할 수 있다.종결(서술)어미를 포함하여 모든 조사나 어미들의 주요한 특성은 자체의 개념을 가진 개념통합의 단위로서 기능한다는 것이다. 또 다른 특성은 많은 교착소들이 어휘확장의 기제로 작용한다는 것이다. 조사와 어미 양쪽에서 비슷한 양상을 보이는데 서술격조사와 명사형 조사, 관형격/부사격조사와 관형형/부사형조사, 연결조사와 연결어미의 대칭성이 그것이다. 이들은 모두 일차적으로 어휘부류 체계 내에서 상호 변동적 확장을 위한 요소로 기능한다. 이 두 가지 특성을 기준으로 교착소 전체에 대한 통합적 분류를 우선 시도할 수 있는데, 이 경우 국어의 교착소들은 위상공간 안에 점층적이고 연속적인 분포를 보인다. 본고에서 최종적으로 정리된 사항은 교착소의 기본 특성과 분류이다. 우선 특성은 다음과 같이 제시되었다. 가. 독자적인 형태를 가지고 있다. 나. 형태들 사이의 분리가 분명하여 쉽게 첨락하는 교착소들이 있다. 다. 개념통합의 단위로 기능한다. 라. 어휘확장의 기제에 참여한다. 마. 분포에 따라 체언구 교착소와 용언구 교착소로 나뉜다. 바. 기능에 따라 구조성 교착소와 첨가성 교착소로 나뉜다. 이에 따른 교착소의 분류는 다음과 같다. 분포에 따라: 체언구 교착소, 용언구 교착소 기능에 따라: 구조성 교착소, 첨가성 교착소 - 구조성 교착소: 문구조 지표 부류 / 어휘확장에 참여하는 부류 * 문구조 지표 부류: 구조격조사, 접속조사, 서술어미 * 어휘확장 기제 부류: 사성조사, 사성어미 - 첨가성 교착소: 보조조사, 보조어미 본고는 몇 가지 점에서 기존의 논의와 차별성을 가지는데 우선, 문법모형에 대한 검증을 통해 통어적, 기능적인 기술이 우리말의 특성을 잘 살릴 것임을 검토한 점이다. 다만 이러한 관점은 전혀 새로운 것은 아니며 주시경, 김두봉, 김윤경을 잇는 분석적 관점의 일환이다. 분석적 체계는 종합적 체계로 절충될 성질의 것이 아니라 고도의 교착어인 국어의 특성을 가장 잘 살릴 수 있는 체계이다. 다음으로 19세기 언어학 이후 별다른 검증 없이 사용되어 온 ‘교착’의 개념을 재정의하고 기능적인 특성들을 제시한 것이다. 이에 따른 기능적 분류와 양상의 검토를 통해 조사와 어미 사이에 주요 어휘부류를 보충하기 위한 대칭적 체계를 확인한 것도 본고의 의의라 하겠다.

      • 18세기 후기 국어의 표기법 연구 : 윤음언해를 중심으로

        성인출 계명대학교 2004 국내박사

        RANK : 248639

        본 연구의 목적은 18세기 후기 국어의 표기법을 밝히는 것이다. 표기법은 음성언어를 문자화한 원리와 규칙이다. 이를 밝히기 위해 본 연구의 대상 자료인 윤음 언해문의 표기를 일일이 분석·검토하였다. 그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에서 연철과 분철은 표기도 달랐지만 발음도 달랐다. 연철은 연음으로 발음하였고, 분철은 형태소별로 절음(切音)하여 발음하였다. 분철은 문법의식과 음절 말자음의 음성적 특성으로 결정되었다. 중세국어와 근대국어의 유성 자음은 수의적으로 앞 음절의 말음으로 표기되는 특성을 보이었고, 마찰성의 자음은 모음 사이에서 거의 필수적으로 다음 음절의 초성으로 표기되는 특성을 보이었다. 중철표기는 폐쇄되었던 자음이 성문 개방에서 다시 발음된 것을 표기한 것이며, 15세기에도 일부 있었다. ‘ㅌ’을 ‘ㅅ(ㄷ)+ㅎ’으로, ‘ㅍ’을 ‘ㅂ+ㅎ’으로 분음 표기한 것은 형태소별로 절음하여 발음한 것의 표기이며, ‘ᄅᄅ’을 ‘ᄅᄂ’으로 표기한 것은 ‘ㄹㄹ’ 사이를 절음으로 발음하면서, 두 번째 ‘ᄅ’이 두음법칙의 적용을 받아 ‘ㄴ’으로 발음된 것이며, 이는 모두 실제 발음을 표기한 것이다. 중세국어의 8종성이 근대국어에서 7종성이 된 것은 음절말 ‘ᄃ’과 ‘ᄉ’의 중화에 의한 것인데, 이는 15세기 ‘ᄉ’의 개신음 [ʔ]이 [t]와 중화되어 ‘ᄉ→ᄃ’가 되고, ‘ᄉ’의 음역이 점차 [ʔ]로 확장되면서 16세기에는 ‘ᄃ→ᄉ’까지 이루어져 중화가 완성되었으며, 표기에서 ‘ᄃ’이 ‘ᄉ’으로 합류된 것은 17세기 후기 이후인데, 이것은 ‘ᄉ’이 [s]와 [ʔ]의 두 음을 갖는다고 생각했기 때문에 ‘ᄉ’은 ‘ᄃ’을 포괄하나 ‘ᄃ’은 ‘ᄉ’을 포괄할 수 없기 때문이었다. 7종성표기로 ‘(意), 붇(筆), 벋(友), 곧(處)’ 등이 ‘(意), 붓(筆), 벗(友), 곳(處) 등으로, ‘이웆(隣)’이 ‘이웃(隣)’으로 어형이 바뀌었는데, 그 이유는 7종성법에 의하여 ‘ㄷ’ 대신 ‘ㅅ’으로 표기한 ‘ㅅ’을 절음으로 발음하다 연음으로 발음하였기 때문이다. 초성 합용병서는 ‘ᄇ-’계와 ‘ᄉ-계’만 쓰였으며, 15세기와는 달리 ‘ᄇ-’계가 ‘ᄉ-’계로, ‘ᄉ-’계가 ‘ᄇ-’계로 교체 표기된 경우도 있는데, 이는 초성 합용병서가 모두 경음이었기 때문이며, 이 과정에서 ‘ᄇ-’계가 위축되고, ‘ᄉ-’계가 확장되었다. 종성 합용병서는 모음과의 연결에서 대부분 제1종성은 앞 음절의 종성으로, 제2종성은 후행 음절의 초성으로 표기되었으나, ‘, ’만은 묶어서 앞 음절의 종성으로 표기한 경우가 있으며, 자음 앞에서는 제1종성이나 제2종성 중 어느 하나가 탈락되기도 하였다. 각자 병서에는 ‘ᄊ, ᄈ, ᄄ, ᄍ’만 쓰였으며, ‘ᄁ’은 쓰이지 않았다. 그리고 ‘ᄍ’은 어두에 사용된 예가 없고, ‘ᄌ’의 변이음 표기에만 쓰이었다. 각자 병서의 음가는 경음이었고, 그래서 초성 합용병서와 혼용되었다. 사이시옷은 어떤 형태가 생략된 곳이나, 선행 명사의 의미를 강조하고자 한 곳을 절음(폐음화)시킨 표기이며, 후행어 두자음(頭子音)의 경음화는 수의적이었으며, 사이시옷을 표기한 곳은 ①선행 명사의 말음으로 ②후행 명사의 초성으로 ③선후 명사 사이에 놓인 조사의 말음으로 각각 표기하였으며, 윤음 언해문에서는 선후 명사의 중간에 표기한 예는 없다. 그리고 자음 다음에서는 사이시옷을 표기하지 않으려는 경향이 있었다. 동일어 이표기의 이유는 크게 보아 발음의 차이에 의한 것, 공시적․통시적 음운현상에 의한 것, 발음의 유사성에 의한 것, 두 형태의 발달에 의한 것 등이었다. 모음조화의 표기에서는 용언의 어간에 ‘-아/-어’계 어미가 연결될 때는 모음조화가 잘 지켜지고 있었으며, 관형형 어미는 아직 ‘>는’의 변화가 시작되지 않았으며, 주제격 조사 ‘’과, 목적격 조사 ‘’이 남아있는 것은 ‘’과 ‘’의 형태구조 즉 ‘+, ’+‘에서 두 번째 ’, ‘이 모음조화규칙의 적용을 받지 않았기 때문이며, 다른 어미와 조사의 연결에서는 ‘’가 비음운화됨에 따라 음모음형으로 통일되는 경향을 보이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notation system of Korean language in the latter half of the 18th century. The notation system contains principles and rules that represent a spoken language in letters. To this end, this study in detail reviewed Yun-eum eon-hae, which is the main study material of this thesis. The results are as follows: Yeon-cheol(the unitedly-written word) and bun-cheol(the separately-written word) in the middle Korean and in the early modern Korean were written differently, their pronunciations were also different. Yeon-cheol was unitedly pronounced and bun-cheol was pronounced in separation by morphemes. Bun-cheol was determined by grammatical consciousness and the phonetic characteristics of the final consonant in the syllable. Characteristically, in the middle and early modern Korean voiced consonants were optionally written as the final consonant of the preceding syllable and fricative consonants were almost necessarily written as the first consonant of the following syllable. Jung-cheol(double writing) is the transcription of what the final consonant, which had been closed as bun-cheol had been separately pronounced, was pronounced again by the opening of the glottis, and is a little bit found in the 15th century, too. Bun-eum pyo-gi(the writings of separate sound) from ‘ㅌ’ to ‘ㅅ(ㄷ)+ㅎ’ and from ‘ㅍ’ to ‘ㅂ+ㅎ’ were written in accordance with the pronunciation of the closed sound by morphemes. The writing from ‘ㄹㄹ’ to ‘ㄹㄴ’ was because the second ‘ㄹ’ was pronounced as ‘ㄴ’ by the du-eum beob-chik(the Rule of Initial Sound) as a closed sound was pronounced between ‘ㄹ’ and ‘ㄹ’. These are all the writings of the actual pronunciation. The reason that the pal-jong-seong(the eight final consonants) in the middle Korean were changed to the chil-jong-seong(the seven final consonants) in the early modern Korean was derived from the neutralization of ‘ㄷ’ and ‘ㅅ’. The derivative sound [ʔ] of ‘ㅅ’ was neutralized with [t] and ‘ㅅ’ became ‘ㄷ’. Furthermore, as the phonetic sphere of ‘ㅅ’ was gradually extended to [ʔ] and ‘ㄷ’ became ‘ㅅ’ in the 16th century, the neutralization was completed. That ‘ㄷ’ was incorporated into ‘ㅅ’ was since the latter of the 17th century, for ‘ㅅ’ was considered to have two sounds [s] and [ʔ] and ‘ㅅ’ included ‘ㄷ’, but ‘ㄷ’ could not include ‘ㅅ'. According to the chil-jong-seong pyo-gi(the seven final consonants writing), in word form, ‘(will), 붇(writing brush) 벋(friend), 곧(place)’ were changed to ‘(will), 붓(writing brush), 벗(friend), 곳(place)', respectively, and ‘이웆(neighbor)’ was changed to ‘이웃(neighbor)’, which was the result that ㅅ that had been written ㅅ and pronounced in a closed sound in lieu of ㄷ according to the chil-jong-seong-beob(the seven final consonants writing method) was combinedly pronounced. In the cho-seong hap-yong byeong-seo(initial consonant clusters), only ‘ㅂ-’ line and ‘ㅅ-’ line were used, and unlike in the 15th century, ‘ㅂ-’ line were written in ‘ㅅ-’ line and vice versa, for the cho-seong hap-yong byeong-seo were all tensed sounds. Through such a course, ‘ㅂ-’ line was reduced and ‘ㅅ-’ line was expanded. In the jong-seong hap-yong byeong-seo(final consonant clusters), the first final consonant was mostly written as the final consonant of the preceding syllable and the second final consonant was written as the first consonant of the following syllable, but only ‘ㄺ, ㄼ’ were together used as the final consonant without being combined with the following syllable. One of the first and second final consonants was left out when they precede a consonant. In the kak-ja byeong-seo(uniform consonant clusters), only ‘ㅆ, ㅃ, ㄸ, ㅉ’ were used, but ‘ㄲ’ was not used. In the case of ‘ㅉ’, it was never used in the initial, but used only as a allophone of ‘ㅈ’. The phonetic value of the kak-ja byeong-seo was tensed sound, so it was used with the initial consonant clusters. Sa-i si-os represents what is separately pronounced when a form is omitted or when a separation sound is intentionally attempted in order to stress the meaning of the preceding noun. If the onset of the following word becomes tensed sound or not was optional, and the examples of sa-i si-os include: (1) the ending sound of the preceding noun, (2) the initial consonant of the following noun, and (3) the ending sound of the particle between the preceding noun and following noun, and in the midst of the preceding noun and following noun, which is not found in Yun-eum eon-hae. Also, the trend of omitting sa-i si-os when it follows a consonant gradually increased. The reasons why the same word was differently written mainly include difference in pronunciation, synchronic and diachronic phonological phenomena, pronunciational similarity and respective development. In vowel harmony, it was well kept when the ending of ‘-아/-어’ line is connected to the stem of a declinable word, and in gwan-hyeong-sa-hyeong(attributive) ending, the change from ‘’ to ‘는’ did not begin yet. That ‘’, a subjective particle and ‘’, an objective particle remained was because the rule of vowel harmony did not apply to the configurational structure, i.e., the second ‘, ’, of ‘+’, ‘+’. In addition, as the trend that ‘ㆍ’ was left out of the phonographical system prevailed, connections of other endings or particles were being incorporated into negative vowel types.

      • 국어 동사의 상(相)에 대한 연구

        정규석 慶尙大學校 2005 국내박사

        RANK : 248639

        This study explains not only the conditioned situation of the grammatical category in terms of verbal original aspects but also a sort of grammaticalization process, that aspect expressions are derived into several grammatical categories, on the basis of the existing aspect studies. The existing studies of aspect have just focused on the aspectual meanings in auxiliary verb compositions, but this study tells that the verbal aspectual relations in the formations of a derivative verb and compound verb, and also shows that the verbal aspect is closely related to the grammatical person conditions and other combined conditions of ‘-neu-’ and ‘-deo-’. Summaries of the contents discussed so far are below. (1) After investigations about the validity of verbal aspectual features which many investigators have been researched, [±preliminary] character and [±perfect lasting] character are seemed not to be set for explaining the grammatical phenomenon related to a aspect. (2) Aspectual features can be very useful to find the existence of a multi-meaning verbs. Moreover, it is very useful to find out the principle of derivation by the aspectual meaning. (3) ‘V1’ and ‘V2’ of both ‘V1 eo V2’ form and ‘V1 go V2’ form should be compounded with the same aspectual features to form a compound verbs. Compound verbs are the things that aspectual features are the same and vocabularial meanings are derivative or contrary to each other, so the differences of aspectual meanings in combinative conditions of ‘V1’ and ‘V2’ are not shown clearly. However, auxiliary verb compositions are happened when the aspectual features of two verbs that they are close to each other in terms of selection-conditioned relations are same or opposite. (4) ‘-Eoss-’ is being used as a form of complete aspect or past tense after a sort of grammaticalization of an aspectual form in Middle Korean before. That is, it was appeared by that ‘-eo is-’ of Middle Korean became grammaticalized to ‘-eos-’ in 17th century through ‘-es-’. The establishment of ‘-eos-’ in 17th century shows that an adjective is recognized differently from a verb. An adjective neither is continuous nor doesn't have changing feature. The meaning of ‘-eoss-’ being used in present Korean came from the meanings of ‘-eos-’ grammaticalized after 17th century. Times Meanings Forms 17th century ‘perfective’(complete aspect) ‘-eos-’ ‘past’(tense) ‘-eos-’ In addition, for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oday's ‘-eoss-’, revealing the ‘complete’ aspectual meaning and ‘past’ tense meaning is closely connected with selecting some parts from verbal aspectual features in speaker's brain. (5) The meaning of ‘-eoss-eoss-’ that was suddenly appeared in 20th century off and on is found in relation to aspectual features of verbs and adjectives with the nature of the meaning of ‘-eos-’ grammaticalized after 17th century. Forms Meanings verbal stem + eoss1 ‘completion’ eoss2 ‘past’ adjective stem + eoss ‘past’ (6) In this study, ‘-ge ha-yeos-’ is regarded as the origin of ‘-gess-’ and ‘-ge yeos -’ is the intermediate form. Therefore, the transformational process of ‘-gess-’ form is below, -ge ha-yeos- > - ge yeos- > -ges- > -gess- The meaning of ‘-gess-’ is derived from the original meaning, ‘prearrangement’, and it is appeared as many modality meanings like ‘intention’, ‘prediction’, ‘possibility’ and ‘ability’. Moreover, when ‘-gess-’ is appeared as ‘prearrangement’, it is closely related with an aspectual feature of a verb. The verb, it is combined with ‘-gess-’, must have [+inchoative, -inner active] aspectual features in order that ‘-gess-’ has a prearranging meaning. (7) Situational elements which are conditioned in regard of a verbal aspectual feature are ‘-eo iss-’, ‘-go iss-’, aspectual elements like a complete ‘-eoss-’, grammatical persons, auxiliary verb compositions, derivative verbs, compound verbs and so forth. First, ‘V1’ needs [+perfective] aspectual features for ‘-eo iss-’ to be combined, because '-eo iss-‘ has the continuance meaning of ’completion‘. Second, a complete ‘-eoss-’ has the condition that it is not combined with an adjective. ‘Completion’ aspectual meaning cannot be found in an adjective because the movement or change of [-inchoative] an adjective cannot be externally observed. Third, the auxiliary verb composition like ‘V1 eo V2’ form combines two verbs which have identical aspectual features, ‘V1 go V2’ form combines two that have oppositional aspectual features. Fourth, Some conditions should be satisfied in order that specific derivative suffixes combine with verbs. Every verb that derivative suffixes combine with needs specific aspectual features. ‘Aspect non-conversion suffixes’ as well as ‘aspect conversion suffixes’ combine with some specific verbs. Fifth, ‘V1 eo V2’ form and ‘V1 go V2’ form of compound verbs have the same verb aspects, but they have just oppositional vocabularial meanings. That is, the oppositional things by ‘-eo-’ and ‘-go-’ in compound verbs are not aspectual meanings. It means that ‘V1’ and ‘V2’ should be combined to each other with the same aspectual features for compound verbs. (8) All sentences that we express are consisted of the situational elements which express situational meanings and the modality elements which express speaker's recognition about the situational meanings by specific methods or attitudes. So, there are some conditions for combination of modality elements in regard of a verb aspect. Such conditions are a recognition-time condition that is related to the combination of ‘-neu-’ and ‘-deo-’, a ‘-gess-’ condition and an intention condition. First, a modality element ‘-neu-’ is used in the situation of [-perfective] or [+inchoative], because it shows the present recognition-time. [-perfective] and [+inchoative] situation are the one that is significant to recognize at the moment of speaking. Second, even though a modality element ‘-deo-’ indicates that the time of recognition is earlier than the moment of speaking, it does not distinguish the existence of [+perfective] from objective situations. This is because ‘-eoss-’ was appeared as a grammatical form after 17th century, that conducted the role of the distinction. Therefore, even if ‘-deo-’ is being using to indicate the recognition at past in Present Korean, the existence of ‘-eoss-’ distinguishes whether the situation is perfective(or past) or not. Third, a predictive ‘-gess-’ as a most widely appearing modality element in Present Korean is used in most cases that combined words doesn't have [+inchoative, -inner active]. Fourth, to be an imperative sentence, a subject should be the second person and at least, a verb that it has [+inchoative, -inner active] aspectual feature should be used as a predicate.

      • 現代國語의 文型에 관한 硏究 : 文章의 形式構造를 中心으로

        柳勝國 中央大學校 大學院 2001 국내박사

        RANK : 248639

        이 논문의 목적은 文章의 外現的形式構造에 따른 基本文型의 설정을 바탕으로 現代國語의 文型構造전반을 체계적으로 記述하는 데 있다. 이에 따라 이 논문에서는 국어의 기본 문형을 설정하는 데, 敍述部의 형식 구조에 중점을 두어, 문장에서 서술어가 되는 동사나 형용사, 명사-즉 敍述詞-가 필수적으로 요구하게 되는논항들의 배열 형식을 이용하고자 한다. 먼저 국어의 문형을 核文型과 基本文型, 變化文型으로 나누어, 敍述詞의 의미론적 특성에 따라 서술부에서 다양하게 이루어지는 기본 문형을 대상으로 삼아 그 구조를 체계적으로 정립해 보려 한다. 그러므로 주어와 서술어, 목적어 등의 문장 구성 성분 중심으로 이루어져 온 旣存의 문형 설정에서 벗어나, 格助辭와 語尾를 기반으로 한 基本文型연구로 접근하고자한다. 먼저 문형의 개념에 대해서는 다음과 같이 정의한다. ① 文型이란 文章을 구성하는 要素들이 일정한 규칙에 따라 配合되는 문장의 틀을 말하는 것으로서, 여러 문장들의 模型또는 典型이 될 수 있는 형식인 ‘sentence pattern’을 이르며, 국어의 문형은 母文型과 基本文型그리고 變化文型으로 구분할 수 있다. ② 核文型은 모든 문장 형식의 모체로서, ‘단일 주어+단일 서술어’의 형식으로 이루어진 것으로서, 서술사의 성격에 따라 <무엇이 무엇이다>, <무엇이 어찌한다>, <무엇이 어떠하다>의 형식으로 구분된다. ③ 基本文型은 여러 문장들의 전형이 될 수 있는 문형들 가운데, 構造的으로 가장 기본이 되는 형식을 말하는 것으로서, 모든 문장의 형식을 포괄할 수 있는 basic sentence pattern을 이른다. ④ 실제 언어 현실에서 사용되는 문장들의 형식은 모두가 이 기본 문형을 토대로 하여, 문장 구성 요소의 縮約-省略- 또는 代置와 擴張이라는 형식적 변화를 통하여 이루어지는데, 이렇게 변화된 문형을 變化文型또는 變型이라 한다. 그리고 기본 문형을 설정하는 기준으로는 다음의 내용을 제시한다. ① 기본 문형의 설정은 문장의 구조적인 측면에서 ② ‘주부+서술부’의 구조를 근간으로 하여 ③ 서술부를 중심으로 하되 ④ 서술사의 의미론적 특성을 고려하여 ⑤ 문장 구성 상 서술사와 필수적인 관계를 맺는 논항을 모두 포함하되 ⑥ 이들 논항이 격조사 또는 어미와 결합한 형태를 대상으로 한다 이러한 개념과 기준을 가지고, 서술부의 형식과 의미 구조에 따라 국어의 기본문형을 다음과 같이 27형식의 문형으로 설정해 보았다. (1) 명사 서술문의 기본 문형 6형식 (2) 동사 서술문의 기본 문형 15형식 (3) 형용사 서술문의 기본 문형 6형식 문장의 敍述詞에 따라서는, 기존의 관점에서 볼 때 문장 구성의 주요 성분인, 주어와 서술어, 목적어, 보어 외에 일부 관형어와 부사어도 필수적인 요소로서 문장구성에 참여할 수 있으며, 따라서 국어의 문형을 설정할 때에는 이 관형어와 부사어가 문장 구성에 참여하는 형식에 대한 고려가 있어야 할 것이다. 이러한 기본 문형을 바탕으로 한 형식적인 측면에서, 문장 구성 요소의 생략과 첨가, 변화에 따라 실제 언어현실에서 사용되는 문장들의 형식을 변화 문형으로설정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생략의 경우에는 격조사의 생략, 단어의 생략, 어절의 생략 등이 있으며, 첨가의 경우에는 조사에 의한 것과, 어미에 의한 것, 조사나 어미에 의하지 않고 단어 자격으로 첨가되는 것의 세 가지 방식이 있다. 구성 요소의 변화에 의한 것으로는, 조사의 변화에 따라 이루어지는 變形과, 語順의 변화에 따라 이루어지는 변형, 그리고 終結語尾의 변화에 따라 이루어지는 疑問, 命令, 感歎, 應諾, 請誘文의 변형 등이 있다. 이외에도 보조어미나 보조용언의 개입, 서법의 사용 등에 의한 변화 문형이 있으나, 이 부분에 대해서는 후속 연구의 대상으로 남겨 두었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systematically elucidate the sentence structure of the preset-day Korean language on the basis of the establishment of basic sentence patterns by external formal structure. For that purpose, this study tried to utilize the distribution pattern of arguing points which are necessarily needed by verbs, adjectives and nouns which served as the predicate of a sentence, with emphasis upon the formal sentence structure of the predicate in establishing basic sentence patterns in the Korean language. At first, the present study classified sentence patterns in the Korean language into a key sentence pattern, a basic sentence pattern and a varied sentence pattern, and then pursued the systematic establishment of basic sentence patterns on those which took varied forms in the predicate according to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predicate words. Therefore, it attempted to approach to an inquiry into basic sentence patterns centering around the major sentence structure factors such as the subject, the predicate, objects, etc. First of all, the concept of the sentence pattern was defined, as follows: 1) A sentence pattern refers to the frame of a sentence in which sentence structure factors are combined according to certain rules, forms a form, i.e., a sentence pattern, that can be a model or a type of sentences. Sentence patterns in Korean may be divided into a mother sentence pattern, a basic sentence pattern and a varied sentence pattern. 2) A key sentence pattern as the mother of all sentence patterns consists of 'a single subject word plus a single predicate,' being classified according to the nature of predicate words into the patterns of ‘무엇이 무엇이다’, ‘무엇이 어찌한다’ and ‘무엇이 어떠하다’. 3) A basic sentence pattern refers to the most fundamental pattern in structure among those sentence patterns that can be a type of several sentences, being able to comprise all sentence patterns. 4) Sentence patterns used in practical language all are formed based on basic sentence patterns through formal variation of contraction-ommission--substitution or expansion of sentence structure factors. This transformed pattern is called a varied sentence pattern or a transformed pattern. And the standard to establish a basic sentence pattern was suggested, as follows: 1) A basic sentence pattern should be established in consideration of the sentence structure, 2) based on the structure of the subject plus the predicate, 3) centering around the predicate, 4) by taking into account the semantic characteristics of predicate words, 5) including arguing points maintaining indispensable relations with predicate words in the structure of a sentence, 6) by taking as its subjects the form in which these arguing points are combined with a case particle or with the termination of a word. With this concept and standard, 27 sentence patterns were established of basic sentence patterns in Korean according to the forms and semantic structure of the predicate, as follows: 1) 6 basic sentence patterns in noun predicate sentences. 2) 15 basic sentence patterns in verb predicate sentences. 3) 6 basic sentence patterns in adjective predicate sentences. According to the predicate of a sentence some pre-nouns and adverbs can take part in sentence structure as indispensable factors besides the main sentence structure factors such as the subject, the predicate, objects, and complements. In consequence, when one establishes a sentence pattern in the Korean language, he should take into account the pattern by which pre-nouns and adverbs take part in the sentence structure. Viewed from the formal perspective based on these basic sentence patterns, this study intended to establish varied sentence patterns with those sentences practically used in our daily linguistic life using omissions, additions and variations of sentence structure factors. Omissions included those in case particles, words, clauses, etc., while additions three kinds of those by postpositions, those by the termination of a word, and those by the word's own capacity neither by postpositions nor by the termination of a word. Moreover, variations by changes in sentence structure factors include those by changes in postpositions, those by changes in word disorder, those by changes in the termination of a word, those of interrogative sentences, imperative sentences, exclamation sentences, consenting sentences, requesting sentences, etc. Besides, there are such varied sentence patterns as those by the involvement of auxiliary termination of a word, the use of the mood, etc. but they remain to be studied in follow-up studies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