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창작 국악곡 감상 지도 내용 연구 : 침향무와 적념을 중심으로

        김영숙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471

        창작 국악은 전통적인 국악의 소재를 살리며 새로운 음악적 기법을 적용하여 만든 현대적 감각의 국악 작품을 의미한다. 이러한 창작 국악은 전통과 이 시대의 삶을 동시에 체험할 수 있어 학생들이 국악에 대한 거리감을 줄일 수 있는 제재임에 틀림없다. 그러나 학교 교육 현장에서는 창작 국악과 관련한 지도 내용과 활동들이 활발하게 이뤄지지 않고 있다. 창작 국악에 대한 지식이 부족한 음악교사들은 악보의 제시도 미흡한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만 의존하고 있는데, 교수 학습활동의 기본인 학습목표와 활동까지 소극적으로 다루어지다 보니 제대로 된 감상교육을 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창작 국악 감상 지도를 위한 구체적이고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본 연구를 위해 현행 7차 교육과정의 중등학교 음악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감상 영역의 창작 국악 기악곡을 검토하였고, 그 중 가야금 독주곡 ‘침향무’와 해금 독주곡 ‘적념’ 을 선정하여 감상 지도 방법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악곡의 특징적인 부분을 살펴 보기 위해 창작 국악 독주곡 ‘침향무’와 ‘적념’의 선율을 분석하였다. 그리고 2007년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내용체계에 근거하여 활동영역과 이해영역으로 나누어 악곡에 알맞은 감상 지도 내용을 다음의 다섯 가지로 구안해 보았다. 첫째, 악곡의 내용과 시대적·문화적 맥락의 이해를 위해 작곡가의 의도와 배경을 파악하고 악기 유래 및 역사와 관련된 문헌, 미술품, 풍속화를 감상하는 등 다양한 활동을 제시하였다 둘째, 장단을 파악하기 위해 각 악곡에 사용된 장단을 분석한 후, 장단의 기본박 짚기, 장단꼴 익히기 등의 활동을 통해서 장단을 체득하도록 하였다. 셋째, 선율 및 시김새 지도를 위해 악곡의 특징적인 선율을 가락선으로 그려보도록 하였으며 악기의 구음을 선율에 맞추어 부르도록 제시하였다. 넷째, 악기의 음색 및 연주법을 위해 새로운 연주기법에 의한 다양한 음색과 소리를 탐색하고 악기를 직접 체험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다섯째, 다른 예술과의 관련성 탐색을 위해 장단에 맞추어 춤사위로 표현하며, 악곡에 어울리는 문학 작품을 찾아 감상하도록 제시하였다. 이와 같이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창작 국악 감상 지도 내용과 활동에 관한 교수학습 지도법을 제시하였다. 이 지도법이 실제 학습자의 단계에 맞게 체계적으로 적용되어, 국악의 특징을 제대로 이해하고, 다양한 방법으로 표현하는데 도움이 되길 기대한다. 또한, 앞으로도 더 많은 창작 국악들에 대한 감상지도법이 계발되어 활용될 수 있도록 많은 후속 연구가 이루어지길 기대한다. Contemporary Korean music integrates traditional Korean music with new musical techniques. This music reduces the unfamiliar quality of traditional Korean music for Korean students by connecting it with more familiar contemporary sounds. In spite of this significant benefit, contemporary Korean music is rarely taught in school music classes. Since music teachers are not familiar with effective strategies for teaching this type of music and it is largely excluded from textbooks, it is almost entirely excluded from children’s musical education. This paper addresses this problem by offering approaches to listening to contemporary Korean music. The approach especially focuses on Chimhyangmu played by solo Gayageum, and Juknyum played by solo Haegeum, as presented in the music textbooks of the secondary schools. For this study, the melodies of the two pieces of music were analyzed, and the musical contents and activities were explored from the revised music curriculum 2007. Based on the analysis, the following five approaches were established. First, for understanding the period and the culture of the music, the intention and background of the composer must first be examined. From this information, the various approaches, for example, the origin and history of instruments and the appreciation of archives, art, and crafts related to the music, are presented. Second, the jangdan of the music, is analyzed, and students are instructed to recognize the beat and the pattern of the jangdan of the music. Third, for the melody and sigimsae of the music, students are asked to draw the remarkable melody lines, and to sing the proper guum of the melody. Fourth, for the timbre and technique of the music, students are directed to explore the various timbre and sounds of the instruments. Fifth, in order to explore the relation of the music with other arts, students are introduced to movements which accompany the jangdan, and to literature which is related to the music. Through these methods, students gain a greater appreciation for contemporary Korean music through the musical contents and activities of the 7th revised music curriculum. Further research is required to apply and systemize these results appropriately for different levels of students. Furthermore, the author argues that contemporary Korean music should be more fully integrated into the music appreciation curriculum.

      • 초등국악창작동요의 효과적 지도방법 연구

        이은실 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471

        오늘날 국악(國樂)은 한국인들이 가진 고유한 정서를 담은 세계의 음악이 되고 있으며, 이는 서양의 음악만이 중심이라는 사고에서 벗어나 동서양 각자의 음악에서 찾을 수 있는 가치를 재발견하게 하므로 특히 중요하다. 이러한 관점에서 국악창작동요는 현시대의 생활상이 드러나 있는 살아있는 음악이며, 전통을 계승할 수 있는 연속적인 음악이기에 충분히 가치가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제7차 교육과정에 의거하여 제작된 초등학교 3~6학년 음악 교과서 내의 국악창작동요 10곡 중 지도에 특히 어려움을 겪고 있는 7곡을 선정하여 더욱 효과적인 지도방법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 교과서 및 지도서를 지도요소 및 지도 방법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그 방법을 수정·변형하여 지도하여 교사는 좀 더 쉽게 가르치고, 학생은 더욱 이해하기 좋으며, 재미있게 배울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이에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재 교과서에 제시된 국악창작동요는 크게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첫째, 전통음악의 가장 큰 특징이라 할 수 있는 장단의 제시가 미흡하여 악곡이 가지는 빠르기나 셈여림, 분위기를 알기가 어렵고, 한국인 고유의 장단감에 따른 흥을 느끼기 어려우며, 기보에 있어서도 박자와 마디를 구분하여 제시할 때 미흡한 것이 많다. 둘째, 선율의 흐름은 어린 학습자가 쉽게 부를 수 있는 동요의 적절한 음역의 사용과 도약진행을 이루어야 하나 가창 학습시 부분적으로 어려움이 있었고, 특히 몇몇 악곡은 전통적인 선율진행(선법)보다는 일본식 선율을 연상하게 하는 진행을 하여 수정을 요하였다. 셋째, 가사의 내용 및 율격은 전통적인 소재에서 주로 많이 차용하였으나 현재를 담을 수 있는 정서적인 면에서 거리가 있었고, 내용이 특히 어둡거나 부정적인 것도 있었다. 넷째, 몇몇 악곡 중 정간보를 사용한 학습활동을 제시하여 시김새 및 리듬 지도에 활용하고자 하였으나 대부분 서양의 악보 및 악상기호를 사용하여 미숙함이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위의 분석 및 다른 많은 국악창작곡이 지닌 문제점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지도요소를 제시하여 교수·학습할 것을 제시하였다. 먼저 선율(음계와 선법)은 가창하기에 적절한 음역을 사용하고 5음뿐 아니라 12율까지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특히 토리와 연결하여 지도할 수 있는 것을 활용한다. 또, 속도감을 느끼거나 학습자에게 익숙한 장단과 박자를 사용하되 다양한 속도의 변화를 줄 수 있는 한배의 따른 형식 등이나 혼합박자까지 사용할 수도 있다. 다만 12/8박자나 9/8박자의 기보는 가사의 흐름 및 장단 진행에 맞도록 기보하여야 할 것이다. 가창에 적절한 형식이면 크게 제한을 두지 않아 다양성을 살릴 수 있도록 하며, 오늘날의 생활상이 충분히 반영될 수 있는 가사내용 혹은 어린이의 정서를 정화시키고 즐겨 부를 수 있는 가사 및 율격을 사용한 곡을 제안한다. 마지막으로 장단과 관련시켜 셈여림을 지도하고, 토리와 관련하여 시김새를 지도할 수 있는데 특히 서양식이 아닌 고유의 기보표현, 혹은 고유한 기보를 토대로 창의적으로 제시하여 전통적인 악보의 장점을 이해할 수 있는 악곡을 선정하도록 하여야겠다. 이러한 결과는 효과적으로 국악창작동요를 지도할 수 있는 기본적인 방법으로 제시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미래의 한국음악은 교사와 학생이 서로 발전시켜 나가는 진정한 교학상장(敎學相長)을 이루며 세계 음악으로 나아가는 밑거름이 될 것으로 믿는다.

      • 효율적인 창작국악 감상지도를 위한 수업모형의 구성에 관한 연구 : 중학교를 중심으로

        권주심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3455

        This dissertation has studied on the stage teaching model for middle school to improve an effect of education for student's creative Korean classical listening lesson. A creative Korean classical music has merit in important elements of classical music and the introduction of classical musical instruments. Also the creative Korean classical music are composed at present and has a way of sympathizing with students and is evaluated for various and globalized. First, middle school textbook has been investigated and analyzed for effective a creative Korean classical music. The music has been classified with music listening, music analysis and music comparison to lesson object. The listening stage has been classified to 2 stage - the brief listening and the detailed listening - for applying of the existing stage teaching on middle school lesson by ease. Besides the brief listening has been classified to the preparation stage and the first feeling stage. The detailed listening has been classified to the presentation of the lesson direction stage, the execution of the lesson objective stage and the arrangement of the listening stage. Finally, the detailed lesson teaching model has developed by the application of three types based on lesson objective and the stage lesson teaching.

      •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국악기 체험 및 창작 지도 방안

        김정은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454

        21세기 들어 아날로그 시대에서 디지털 시대로 접어듦에 따라 학교 현장의 수업 모습도 디지털 기기들의 등장으로 다양하게 변화하고 있다. 교육부에서는 이러한 교육 패러다임 변화의 기반을 다지기 위해 스마트교육 정책을 수립하여 진행하고 있다. 그러나 아직 음악 교육의 많은 영역에서 스마트교육이 실현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CATSNU GUGAK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실제로 접하기 어려운 국악기들을 체험해 보고, 음악 창작 교육에서 어플리케이션의 도움을 받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스마트교육 및 국악 창작 방안 선행연구를 고찰 한 뒤, 국악기 어플리케이션을 국악 수업에 적용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여 14차시 교수학습지도안을 설계하였다. 이 교수학습 지도계획은 학생이 수업의 주체가 되며 소극적으로 참여하던 학생들도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또한 스마트기기가 학급 인원수의 절반 이상 확보되었다는 것을 전제로 하고 있으며, 어플리케이션의 사용법을 배우는 것이 주된 목적이 아니므로 어플리케이션은 전체 수업의 1/3이하로 활용한다. 본 연구의 지도 방안은 장구, 소금, 가야금, 해금에 대한 지식을 습득한 후 어플리케이션 사용 방법을 익힌다. 악기에 대한 학습이 끝난 후에는 학생 활동 중심으로 국악곡을 창작해 나간다. 가사를 쓰고, 가락과 장단을 입힌 후 어플리케이션으로 연주해 보며 지속적인 수정작업을 통해 최선의 결과물을 만들어 낸다. 위와 같은 교수학습 계획을 경기도 화성시 소재 H초등학교 4학년 한 학급 28명의 학생들에게 총 14차시에 걸쳐 진행하였다. 지도 결과 우리나라 악기들에 대한 배경 지식이 많이 쌓이고, 국악기에 대한 관심도도 증가하였으며, 국악 창작과 관련된 다양한 활동들을 통하여 국악 창작에 대한 긍정적 인식 변화를 보였다. 창작곡의 수정 부분에서 학생들이 어플리케이션이 도움이 되었다라고 응답하였으며, 실제 악기를 연주해보기는 어렵지만 어플리케이션은 즉각적인 연주가 가능하기 때문에 창작에 대한 부담감이 감소되었다. 결론적으로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국악기 체험 및 창작 지도를 통해 학생들은 국악에 많이 익숙해졌으며, 어플리케이션 활용은 창작 활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다양한 국악기 어플리케이션 활용 프로그램을 수업에 적용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 영산회상의 창작 기법을 활용한 국악 창작 지도방안 연구

        박현경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33454

        인간의 표현 욕구에서 비롯된 음악 창작은 그 활동을 통해 개인의 창의성을 표출할 뿐 아니라 그 나라의 음악 문화적 특수성을 반영하기도 한다. 이런 의미에서 학생들의 국악창작활동은 개인의 개성과 창의성을 표현한다는 것 이외에도 우리 고유의 음악적 어법으로 문화적 특수성을 표현하고 이를 계승시켜 나간다는 점에서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창작활동은 대부분 주어진 가사나 리듬으로 가락 짓기, 주어진 3~4개의 음으로 가락 짓기 등으로 음악 만들기 활동에 있어 이러한 조건이 주어진다고 하여도 학생들은 국악창작활동이 낯설 뿐 아니라 국악적 요소에 대한 어떤 안내도 없이 음악 만들기를 하여야 하므로 매우 막막하게 느낀다. 때문에 주어진 원곡을 다양한 방법을 통해 변형시켜 새로운 음악을 만드는 국악에서의 창작기법은 학생들로 하여금 국악 창작에 대해 느끼는 막연함과 부담감을 덜 수 있을 뿐 아니라 붙임새, 장단, 한배 등 국악적 요소를 다양한 방법으로 변형시켜 창작활동을 하므로 이를 통해 국악의 요소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이를 반영한 음악 만들기 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국악곡 중 상영산을 시작으로 다양한 창작기법을 통해 여러 파생곡을 형성한 후 몇 개의 곡을 덧붙여 연주함으로써 오늘날의 상영산, 중영산, 세영산, 가락덜이, 삼현도드리, 하현도드리, 염불도드리, 타령, 군악, 이렇게 9곡의 모음곡 형식으로 이루어지게 된 영산회상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영산회상은 현악 영산회상과 평조회상, 삼현 영산회상이 있으며 본 연구에서는 기본적으로 현악 영산회상을 연구대상으로 하였으며 뒤에 나오는 선율의 이조에 있어서는 평조회상도 연구대상으로 하였다. 영산회상에서는 총 네 가지의 창작기법을 확인할 수 있는데 그것은 한배가 짧아짐에 따른 붙임새의 변화, 장단의 축소에 따른 붙임새의 변화, 선율의 반복, 선율의 이조이다. 먼저 한배가 짧아짐에 따른 붙임새의 변화는 영산회상의 중영산, 세영산, 가락덜이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창작기법으로 중영산에서 세영산, 세영산에서 가락덜이를 거치며 한배가 짧아짐에 따라 반복되는 2개의 동음을 합쳐 1박의 한 음으로 만들고, 2박 길이의 음은 짧게 1박으로 줄이며, 장식음을 생략할 뿐 아니라 2개의 음 중에서 앞이나 뒤의 음을 덜어냄으로써 붙임새를 단순하게 변화시켰다. 다음으로 장단의 축소에 따른 붙임새의 변화는 삼현도드리 초장 첫 3장단(국립국악원보 삼현도드리 돌장 및 초장 2장단)과 가락덜이 초장 첫 3장단(국립국악원보 세영산 4장)의 관계에서 확인할 수 있는 창작기법으로 가락덜이는 삼현도드리 3․2․2․3의 10박을 2․1․1․2의 6박으로 축소하면서 6박 6음의 붙임새를 갖게 되었다. 이때 삼현도드리에서 10박에 7개의 음이 붙는 경우에는 장단이 축소되면서 1박에 2개의 음을 붙임으로써 가락덜이 장단에 따른 6박 7음의 붙임새를 형성하기도 한다. 세 번째, 선율의 반복은 타령 해탄에서 확인할 수 있는 기법으로 거문고 곡에서 나타나는 변주곡 형태인 해탄은 타령 이외에도 하현도드리, 군악, 계면가락도드리가 있다. 해탄은 원곡의 일부가락을 독립적인 별도의 가락으로 바꾸어 연주하는 방법으로 타령 해탄에서 독립적인 가락의 변주가 이루어진 부분의 특징을 살펴보면 앞 반 장단을 반복하고 뒷 반 장단은 다르게 함으로써 비슷한 가락을 형성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뛰어가기 가락과 차례가기나 머무는 가락이 골고루 섞여 있으며 대부분의 앞 반 장단은 상행하고, 뒷 반 장단은 하행함으로써 전체적으로는 상하행의 자연스러운 선율 흐름이 나타나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율의 이조는 장단의 변화없이 이조를 통하여 곡을 만드는 방법으로 본 연구에서는 현악 영산회상과 평조회상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평조회상은 현악 영산회상의 선율을 6율(4도) 아래로 이조하여 만들어진 곡이다. 그 중에서도 평조회상의 상영산은 현악 영산회상 상영산의 모든 음을 일방적으로 6율(4도) 아래로 이조하는 것이 아니라 악기의 음역과 선율의 흐름을 고려하여 이조한 음을 다시 한 옥타브 올리는 경우가 있다는 점이 특징적이다. 위의 네 가지 창작기법을 활용한 지도방안을 구안하기에 앞서 지도단계를 비교감상하기를 통한 창작의 기법 찾기, 음악 만들기, 연주하기, 활용하기의 4단계로 설정하였으며 각각의 창작기법별로 이 4단계의 지도단계를 거치도록 지도 방안을 구성하였다. 먼저 비교감상하기를 통한 창작의 기법 찾기 단계에서는 원곡과 파생곡의 비교감상을 통해 창작기법을 확인하며 두 번째 단계인 음악 만들기에서는 앞서 단계에서의 활동을 통해 찾은 창작기법을 활용하여 직접 음악 만들기를 하고 기보한다. 연주하기 단계에서는 완성된 음악을 개별 또는 모둠별로 다양한 방법으로 발표해 봄으로써 음악 만들기 활동에 대한 의욕을 강화하고 학생들이 자신의 창작활동에 대한 반성을 할 뿐 아니라 창작의 기법을 정리해 보는 기회를 마련하였다. 마지막으로 활용하기는 앞서 익힌 창작의 기법을 정악이 아닌 민속악, 기악이 아닌 가창으로 영역을 달리하여 적용함으로써 국악 창작 기법을 활용한 음악 만들기 활동에 익숙해지는 단계이다. 본 연구를 통해 학생들이 국악곡이 만들어지는 과정에 대해 관심을 갖고 더 나아가 그와 같은 방법으로 음악을 만들어 보고자 하는 의욕을 가지게 되리라 생각한다. 또한 이러한 전통적 창작기법의 체험을 통해 만들어진 학생들의 작품 속에서 국악의 정체성을 찾을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 創作國樂 指導方案 硏究 : 중학교 3학년 감상자료 활용을 중심으로

        유상철 경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3375

        Music appreciation is the behavior that helps understand the beauty of the works of music and the artistic meaning and form harmonious character. Especially it helps students, who have sensitive feelings and want to expressive the feeling immanent deep in the heart, raise aesthetical sense through music appreciation and form character by purifying emo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teaching plan using resources from appreciation class for middle school 3rd graders. It presented the significance of music appreciation education and the desirable method of music appreciation through literary resources for middle school students' desirable music appreciation lesson, considered the concept of created Korean traditional music and investigated the justifiability of the propagation of created Korean traditional music appreciation. To cause interests to students and to present them various experiences, it groped for a way of using textbook in appreciation lesson and drew a teaching plan that is available for the actual field of education. Program music appreciation study is to develop students' musical perception, their reaction to sound and understanding to the maximum degree by programming the contents in a systematical order. The musical feeling and reaction of students can easily be observed by using the checklist. This researcher tried to draw a music appreciation lesson plan by various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and present a few of suggestions based on my opinions about the preceding research.

      • 창작국악감상 수업모형 구성에 관한 연구

        강미화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3375

        음악교육에 있어서 감상교육은 음악미를 체험하고 그 속에서 음악적 개념을 형성하며, 음악을 이해하고 분석하는 종합적인 능력을 기른다는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음악 감상이란 어떠한 형태로써 나타낼 수 없는 것이지만 이것이 즉 인간의 마음속에서 자기의 내용으로써 새롭게 창조되는 과정과 체험에서 교육적인 가치를 발견할 수 있는 것이며, 그 결과가 심성적 의식의 환기나 판단력의 도야에 이르렀을 때, 비로소 교양이 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것이 직접 목적이 될 수 없기에 음악 감상 교육에는 그 방법, 즉 어떻게 감상할 것인가? 라는 문제가 무엇보다도 강조되어야 한다. 더군다나 7차 교육과정에 의해 보다 적극적으로 수용되고 강조되고 있는 국악 교육 중에서도 창작 국악의 감상 교육은 교과서나 교육과정안에서 비중을 두는 만큼의 수업 연구나 결과는 보이지 않고 있는 현실이다. 국악도 예전부터 들어서 알고 있는 정악이나 민요, 판소리만 있는 것이 아니라 시대와 함께 하는 창작 국악이라는 것도 많이 작곡되고 연주되고 있으며, 또한 이러한 창작 국악으로 인해 국악을 보다 더 쉽게 접근하는 사람들이 많아지고 있음을 학교에서의 감상 교육을 통해 확대시킬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현재 학교에서의 음악 감상 수업은 너무 단순화, 획일화 되어 있는데다가, 선행 연구가 부족한 탓에 실제로 교사들이 창작 국악이라는 다소 생소한 장르를 수업하기엔 부담이 크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는 국악 창작곡 분석을 통해 교수자가 창작곡을 이해하고 학생에게 안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수업모형을 제안하기로 하고, 본 연구를 다음과 같이 구성하였다. 먼저, 이론적 배경에서 음악 감상 교육의 의의를 살펴보고, 창작국악의 정의 및 유래를 알아본다. 그리고 교육과정 내에서의 고등학교 1학년 음악 감상 수업의 내용분류를 통해 꼭 체득해야 할 요소들을 알아보고, 감상 활동의 교수․학습 방법을 살펴본 뒤에 고등학교 1학년 8종 음악교과서에 나온 국악 기악 창작곡을 분석한다. 마지막 단계에서는 수업모형을 제안하게 될 대상 제재곡들의 교과서 안에서의 학습목표를 비교해보고, 기존의 감상단계 연구를 통해 정리한 본인의 감상단계와 감상 수업시의 유의점을 살펴본 뒤, 수업모형을 제시하게 된다. 끝으로, 이러한 수업모형의 적용은 실제 교육현장에서의 수업사태에 있어서 많은 변수가 있으리라 생각되며, 교육 현장을 중심으로 실제적인 예들이 지속적으로 나타나야 할 것이라 사료된다. Music appreciation course in high school curriculum can be significant in various ways. First of all, it can help students to experience the beauty of music. Students also learn to build better musical concept to improve their ability in music comprehension. In regard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the 7th curriculum is unsuccessful in providing desirable instruction model, despite its effort to emphasize on music based on traditional culture. Recently, we interest in Korean traditional music is rapidly increasing, and it is only natural to expend school curriculum to include more information in music that is indigenous to this culture. On that account, this thesis is devoted to suggest study model that could assist teachers in preparing classes that deals with Korean traditional music. First of all, this thesis endeavors to find out significance of the class of appreciation by theoretical background and definition as well as history of the Korean traditional music by Korean Composer. And then, the important elements are viewed within the classification of high school 1st grade class of appreciation. After observing teaching-studying methodology of appreciation activity, each instrumental genre of created Korean traditional music is analyzed in the 8 type of textbooks of high school 1st grade. In the end, the teaching purposes of the material music are compared for suggesting a new class model, and old class model''s difficulties or limits are studied. The new class model is such as follows. The first song is the orchestral music <SongKwngBok>, the first Korean trditional music by Korean composer. It is possible to teach with historical facts or something external teaching tools. The Second, Daekum, a kind of a Korean clarinet, concerto <Deabaram Sori> is the early daycreation of concerto which expresses a poetical sentiment of Shin Sok Jung''s thoughts in music. This piece can be suitable for comparison between an instrumental point of view and discussion of aim at a creation. When this piece analyzed, a compared piece could be the Soekum, a kind of Korean piccolo,concerto <Chowon>. Third part will be <Chimhyangmoo>. It is suitable for comparing Gayageum Sanjo, which is traditional Korean classical music, with modern Gayageum tunes, which contain various unique executions. In conclusion, application of this class model will have many variables from the scene where the instruction take place and the actual examples should be appeared continuously in the real center.

      • 유아국악교육에서의 국악동요 수록 현황과 개선방안

        이혜원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00687

        전래동요와 창작국악동요는 각각 과거와 현재의 어린이들의 생활상을 담고 있고 전통음악을 경험하게 해주는 등 교육적 가치가 있다. 이러한 국악곡들을 교사들이 유치원 현장에서 지도할 때에 도움을 얻기 위해 교사용 지도서를 가장 많이 참고한다. 그러므로 교사용 지도서가 유아국악교육에 미치는 영향은 중요하다 할 수 있겠다. 이에 본 연구는 교육부 발행 유치원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및 장학자료에 수록된 전래동요 및 창작국악동요의 수록 현황과 음악적 특징 및 이에 나타나는 문제점을 알아보고 개선방안을 모색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국가에서 비교적 최근에 발행하였고 유아 대상 국악곡 지도방안이 담긴 교사용 지도서를 범위로 한정하여 교육부에서 발행한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유아 전통예술교육 프로그램, 3~5세 연령별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를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문제로는 첫째, 유치원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의 국악동요 수록 현황과 음악적 특징은 어떠한지 알아보았다. 둘째, 유치원 교육과정 교사용 지도서 국악동요 수록곡의 문제점을 알아보았다. 셋째, 위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를 위해 유치원 교사용 지도서 등에 수록된 전래동요와 창작국악동요의 지도 내용 및 음악적 형식을 분석한 결과, 전래동요에서는 기보법, 고착화 우려, 지역적 다양성 부족, 반주 악기 사용에 관련하여 문제점이 나타났다. 첫째, 기보법면에서는 국악 음계에 맞지 않는 조표, 정간보 기보법의 오류, 시김새 표기의 생략 등의 문제가 나타나 수정이 필요하다. 둘째, 오선보 위주의 악곡 제시로 말과 노래의 중간 형태인 전래동요의 음고를 고착화 할 우려가 있다. 실제 채록 음원을 교수 자료로 제공하거나 다양한 형태의 악보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셋째, 다양한 지역의 전래동요를 고루 수록하지 않았다. 유아들이 지역적 특성을 고루 경험할 수 있도록 보다 다양한 지역의 동요를 수록하여야 한다. 넷째, 반주악기로 피아노와 장구를 가장 많이 제시하였다. 이동이 쉬운 악기 사용, 몸 장단이나 입으로만 부르는 편이 전래동요에 더 적합하다. 창작국악동요는 작곡자의 의도대로 자유로운 양식을 지닐 수 있으나 향유 대상인 어린이의 발달에 맞아야 하며 창작‘국악’동요라는 이름처럼 국악의 양식을 일정 지녀야 국가수준 교육과정에 수록될 만한 대표성을 지닌다는 전제로 문제점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선율 진행, 시김새 사용의 부재, 한정적인 창작자, 장단 표기상의 오류, 부적절한 음역의 문제를 볼 수 있었다. 첫째, 서양음계의 선율진행을 보이는 창작국악동요가 많았는데 국악 음계의 사용으로 국악동요 다운 정체성을 보이는 곡 선정이 필요하다. 둘째, 시김새가 사용된 경우가 보이지 않았다. 감상의 여지 등을 위해 시김새가 반영된 곡도 수록할 필요가 있다. 셋째, 창작국악동요 수록곡의 창작자가 한정적이었다. 보다 다양한 창작자의 곡을 수록하는 것이 필요하다. 넷째, 일부 악곡의 박자 및 장단 표기에 오류가 있으므로 장단 고유의 강세를 살리기 위해 알맞게 수정이 필요하다. 다섯째, 일부 악곡에서 유아의 음역대에 맞지 않는 음을 사용하여 음역대에 맞는 적절한 곡 선정이 필요하다. 유아와 놀이 중심인 2019 개정 누리과정의 영향으로 기존에 제시되었던 활동자료집 형태의 교사용 지도서 발행은 요원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로 인한 교사의 자율성 강화로 유아교육기관에서의 국악교육은 더욱 그 입지가 좁아질 우려가 있다. 유아기부터 우리 음악의 근간과 멋을 자연스럽게 경험시켜 줄 수 있고 교사들이 어렵지 않게 접근할 수 있도록 장학자료의 개발 및 보급이 필요하다 하겠다.

      • 창작 국악곡 지도 내용의 문제점 및 개선방안

        배소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00671

        현대적 정서와 음악적 형식이 반영된 창작 국악곡은 학생들에게 전통 국악곡보다 상대적으로 근접한 시대의 곡으로 전통 국악과의 교량적 역할을 하면서 학생들로 하여금 국악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흥미를 이끌어 낸다. 이러한 창작 국악곡을 감상함으로써 학생들은 다양한 음악 요소뿐만 아니라 그 당시의 시대적 상황을 알 수도 있고 우리의 문화에 대하여 이해할 수도 있다. 또한 작곡가로부터 새롭게 탄생된 작품을 통하여 창조적 능력과 학생들 자신의 창의성도 키워나갈 수 있다. 따라서 창작 국악곡을 감상하는 것은 학생들의 음악성을 키워줄 뿐만 아니라 국악에 관심을 갖게 하고 나아가 우리 민족의 정체성을 깨닫는 데에도 도움이 되기 때문에 중요하다고 생각된다. 그러나 음악 교과서에는 창작 국악곡 감상 지도 내용을 제시함에 있어 학습 목표와 활동, 평가, 악보 등이 연계되어 제시되지 않아 체계적인 음악 감상을 하기에 어려움이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자는 교과서를 분석하여 잘못된 지도 내용을 찾아내고 이를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먼저,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 교과서와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음악 교과서의 감상영역에 제재곡으로 실려 있는 창작 국악곡의 수록 현황을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2007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창작 국악곡 수는 21곡이며 2009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음악 교과서에 수록된 창작 국악곡 수는 26곡이었다. 다양한 곡을 크게 독주곡과 합주곡, 기타로 나누어 총 33곡을 분석하였는데 합주곡이 독주곡에 비하여 현저하게 많이 수록되었으며 합주곡 중에서도 관현악곡이 많이 수록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창작 국악곡 33곡의 각각의 문제점을 학습 목표, 학습 활동, 관련 악보 등의 지도 내용 측면에서 살펴보았는데 이를 종합적으로 요약해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학습 목표에 작품의 특징과 교육과정이 맞물려 제시되지 않았다. 학습 목표는 수업의 방향을 결정하기 때문에 곡의 특징과 교육과정이 반영되어 분명하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교과서에 학습 목표가 제시되지 않은 경우가 있었고 학습 목표가 제시되었어도 곡의 특징이 나타나 있지 않아 효과적인 감상을 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둘째, 학습 목표와 연계되지 않는 학습 활동이 제시되었다. 학습 활동은 학습 목표를 성취하기 위한 활동으로 목표와 연계되어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하지만 목표와 관련 없는 활동이 제시된 경우가 많았다. 셋째, 학습 목표 및 학습 활동과 관련이 없는 악보가 제시되었다. 교과서에 제시되는 악보는 학습 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시되어야 하나 활동과 관련 없는 부분의 악보를 제시하였거나 교과서와 지도서에 제시된 악곡의 내용을 이해할 수 없는 부분의 악보를 제시하였다. 넷째, 오류가 있는 지도 내용과 악보를 제시하였다. 교과서는 학생들이 학습하는 교재로 정확한 내용을 제시해야 하지만 악기의 주법, 시김새 설명 등이 잘못 제시되었고 오류가 있는 악보를 그대로 제시하기도 하였다. 다섯째, 역사적·사회적 맥락에서 학습 활동이 제시되지 않았다. 역사적·사회적 맥락의 음악 감상은 보다 폭넓은 지식을 갖게 하고 2007 개정 교육과정과 2009 개정 교육과정에서도 이러한 맥락의 음악 감상을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이에 적합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수록할 필요가 있다. ‘송광복’, ‘만수산 드렁칡’, ‘매굿’ 등과 같은 곡은 역사적·사회적 맥락에서 감상하기에 적합한 곡이지만 이러한 맥락에서 목표나 활동이 제시되지 않아 중요한 지도 내용을 놓치고 있다. 위와 같이 교과서의 지도 내용에는 상당히 많은 다양한 문제점이 나타나 있었다. 효과적인 음악 감상을 하기 위한 종합적인 개선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해보았다. 첫째, 제재곡을 선정할 때에는 해당 곡을 왜 가르쳐야 하는지 분명한 취지가 있어야 하고 국악 요소가 분명하게 들어있는 곡을 선정해야 한다. 둘째, 학습 목표는 교육과정과 곡의 특징을 반영해야 하며 구체적인 활동을 제시할 수 있도록 뚜렷한 방향을 담아 서술되어야 한다. 셋째, 학습 활동은 목표와 연계되어 제시되어야 하고 구체적으로 제시되어야 한다. 넷째, 악곡 설명을 제시함에 있어 기본적인 곡의 구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해야 하며 오류가 없는 정확한 내용이어야 한다. 다섯째, 교과서에 수록되는 악보는 학습 활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제시되어야 하고 곡의 특징이 충분히 반영된 오류 없는 악보를 제시해야 한다. 여섯째, 학습 평가도 학습 목표와 활동의 연계선상에서 제시되어 올바른 감상지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본 연구자는 교과서의 문제점과 이를 위한 개선 방안에 중점을 두어 연구를 하였다. 교과서를 집필할 때에는 살펴본 문제점과 같은 실수를 범하지 않도록 보다 정확하고 적절한 악보 제시 및 구체적이고 효율적인 지도 내용을 실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연구자가 제시한 개선 방안을 토대로 학생들이 더욱 적극적이며 능동적인 감상 활동을 할 수 있도록 개별 악곡의 체계적인 감상 지도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나오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