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임상결정지원시스템의 국내 활용 방안

        백진이 숙명여자대학교 임상약학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22

        Background : Medication error can be caused at all levels during the medical procedure such as doctor's diagnosis, prescription, compounding of medicine and medication, but especially at the level of prescription. With the development of medical techniques, the types and ranges of choice for drugs have widened to the extent that it became more difficult for doctors to acquire sufficient knowledge on all sorts of drugs and to make appropriate use of them. Therefore, the introduction of 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CDSS), which is designed to support doctors for prescription by providing information on the use of drugs and patient's profile, would facilitate to reduce the number of medication errors. Purpose : This study intends to identify the ongoing states of the CDSS preparation in our country and considers how to enrich both health medical information and contents of the knowledgebase for drugs, which are necessary for the construction and utilization of CDSS in Korea. Method : The Ministry of Health & Welfare, Korea Food & Drug Administration (KFDA), Health Insurance Review & Assessment Service(HIRA), Firstdis, FirstDataBank Homepage, The Korean Society of Health-System Pharmacists(KSHP), Korea Pharmaceutical Information Center (KPIC), Druginfo, Kimsonline and others are researched to find out the substances of the basic medical knowledge provided in our country. It also examined the present situation and plan for constructing the CDSS in Korea, based on the project schedule propounded by Health & Medical Informational Project Promotion Group. In addition, it looked into various documents and reports to investigate the instrumental elements for the construction of the CDSS as well as the situations in America and the United Kingdom. Result : Considering the building process of the basis for the pharmaceutic knowledge, it notices that KFDA, HIRA, KPIC, KSHP and other informational companies for drugs are providing the information on various medicines and drugs on the internet; and most of hospitals in Korea are creating and managing its own codes according to the lists of drugs used in each hospital. However, this kind of medical knowledge is not suitable as a medical Knowledgebase generally available, due to the fact that the terms used are not standardized and do not include all drugs used domestically. Firstdis, which is co-founded by the Drug Information Research Institute of Sookmyung University and the cooperation between academics and industries, is currently providing together with FirstDataBank of the US, the American and Korean medical information databases, but at the expensive costs, so it is deemed that further Knowledgebase should be built in the way that it caters better for the reality of our nation. While most of the domestic hospitals are adopting the CDSS programs, primarily centering around the 3rd level hospitals, code numbers and terms of drugs used are not standardized as they are largely depending on self-developed programs. At the governmental dimension, it is undertaking the project with a view to formulating a comprehensive plan for enriched health medical information of 2005 and providing the optimal health and medical service for the people. As a component task, it is also conducting the development of the CDSS at the moment Conclusion : The CDSS must include basic pharmaceutic information(such as dosage, pharmacokinetics, pharmacodynamics, side effect and drug interaction), and send an alert signal for improper prescriptions in accordance with the profile of a patient and come up with alternatives. Moreover, the CDSS should ultimately result in the reduction of medication error so as to decrease the death rates and costs for treatment. It is also suggested that the CDSS be developed in the manner that it is linked to electronic prescribing and electronic health records (EHR), that can be shared between hospitals interactively, so that the patient can receive the optimal medication treatment. 배경 : 의료과오(medication error)는 의사의 진료, 처방 단계, 의약품의 조제, 투여 등 의료 과정의 모든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으며 특히 처방 단계에서 많이 발생한다. 의학 기술의 발달로 약물의 종류와 약물 선택의 범위가 넓어지면서 의사들이 모든 의약품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습득하고, 환자 진료에 활용하는 것이 어려워졌다. 따라서 의약품 사용과 환자의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의사의 처방을 지원해 주는 임상의사결정지원시스템(clinical decision support system, 이하 CDSS)을 사용하면 의료 과오를 줄일 수 있을 것이다. 목적 :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의 CDSS의 준비현황을 알아보고 우리나라에서 CDSS의 구축과 활성화를 위해 필요한 보건 의료 정보화와 의약품 지식 기반 내용 등을 살펴보고자 한다. 방법 : 보건복지부, 식약청, 심평원, 퍼스트디스, FirstDataBank, 병원약사회, 약학정보원, 드러그인포, 킴스온라인 등을 조사하여 우리나라에서 제공되고 있는 의약품 지식 기반의 내용을 조사하였고, 보건의료정보화사업추진단의 사업 계획서 등을 참고하여 우리나라의 임상결정지원시스템 구축 현황과 계획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한 미국, 영국의 현황과 임상결정지원시스템의 구축을 위해 필요한 요소 등을 알아보기 위해 여러 가지 문헌과 보고서를 참고하였다. 결과 : 의약품 지식기반 구축 상태를 살펴보면 식약청, 심평원, 약학 정보원, 한국병원 약사회, 의약품 정보 업체 등에서 인터넷을 통해 의약품 정보를 제공하고 있으며, 우리나라의 병원들은 대부분 각 병원에서 사용되는 의약품의 목록을 상품명에 따라 자체 코드를 생성하여 관리하고 있다. 하지만 이러한 의약품 지식 기반은 용어가 표준화되어 있지 않고, 국내에서 사용하는 모든 약물을 포함하지 않기 때문에 공통으로 이용 가능한 의약품 지식 기반으로써 적합하지 않다. 숙명여대 의약정보연구소와 산학협력으로 설립한 회사 퍼스트디스는 미국의 FirstDataBank와 함께 우리나라에 미국의 의약정보데이터베이스와 한국의 의약정보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하고 있는데 사용료를 지불하여야 하고, 좀 더 우리나라 현실에 맞는 지식 기반 구축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병원에서는 3차 병원을 중심으로 CDSS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는데 대부분 병원 자체에서 개발한 프로그램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약물 코드 번호와 용어의 표준화가 되어 있지 않다. 정부 차원에서는 2005년 보건의료정보화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국민에게 최적의 보건 의료 제공을 목표로 사업을 진행 중이며 세부 과제로서 임상지원시스템 개발을 진행 중이다. CDSS가 효과적으로 이용되기 위해서는 전자처방과 연계되어 사용되어야 한다. 신기능에 따른 용량 조절을 위해서는 환자의 serum creatinine(혈중 크레아티닌), 나이, 체중, 성별 등에 기반을 둔 creatinine clearance(크레아티닌 청소율) 값으로 신기능을 평가하여 신기능에 따라 금기가 되는 약물이나 잘못된 용량이 처방되었을 때 ‘경고’ 시그널을 발생시키도록 하고, 신독성이 있는 약물이 처방될 때, 환자의 신기능과 체중을 고려하여 약물 용량을 조절하는 규칙을 개발해야 한다. 약물 상호작용, 중복 처방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상호작용을 등급별로 나누어 의사가 처방을 했을 때 상호작용 등급과 기전이 자동 검색되어 경고창이 뜨도록 하고, 환자 정보와 처방 기록 등을 병원들 간에 공유할 수 있도록 하여 다른 병원에서 처방 받은 약물에 대해서도 중복 약물, 상호 작용이 검색되어야 한다. 또한 연령과 체중에 따른 표준 약물 용량과 연령 금기 약물의 정보를 구축하여 CDSS에 포함시켜야 하고, 환자의 알레르기 상호작용을 CDSS에 적용시키기 위해 알레르기 반응에 대한 자료들을 모두 코드화 시키고, 자료를 모아 알레르기와 과민 반응 간에 차이점을 식별할 수 있도록 해서 경고는 과민 반응이 아닌 진짜 알레르기 반응에 대해서만 제시한다. 의사가 경고를 무시했을 경우를 대비해 그 이유에 대한 메뉴를 만들어 해당하는 이유를 선택하게 하고, 환자의 알레르기 목록을 업데이트할 수 있게 한다. 전자건강기록(electronic health record, EHR)은 각각의 환자에 대한 보편적인 알레르기 목록을 공유할 수 있게 하여 여러 지역에서 알레르기 목록을 따로 만들어야 하는 불편을 줄여준다. 결론 : CDSS는 기본적인 약물 정보(용량, 약동학적 정보, 부작용, 상호작용 등)를 포함하고 있어야 하며, 환자 정보에 따라 부적절한 처방에 대해 경고 시그널을 발생시키고, 대안 등을 제시해야 한다. 또한 CDSS가 궁극적으로 의료 과오를 줄여 사망률과 치료비를 감소시키고, 환자에게 최적의 약물 요법을 제공하기 위해서는 병원 간에 상호공유가 가능한 EHR 및 전자처방(electronic prescribing)과 연계된 CDSS 개발이 필요하다.

      • 국내 미활용 바이오매스의 연료화를 위한 화학적 분석과 결과를 활용한 다변량 분석

        주유진 대구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255

        The use of biomass as a sustainable energy source in place of fossil fuels has gained popularity recently. In the case of Korea, in order to increase new and renewable energy, the existion RPS system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has been reinforced and the objective for delivering new and renewable energy is established at 40% and is being enlarged by 2034. As for Korea, the application of RPS is leading to an increase in the use of biomass energy, which is directly applicable to new and renewable energy sources. It is necessary to have a plan in place to secure a biomass energy source, nevertheless, as the majority of biomass utilized as a fuel is imported. Because Korea has four distinct seasons, unlike Southeast Asia, a variety of agricultural and forestry practices are used, and securing continually generated biomass energy sources is challenging. In Korea, facility agriculture has led to an increase in the quantity of agricultural byproducts in recent years, and the nature of these byproducts is also evolving. In particular, it is determined that the biomass in the mushroom waste medium, and the coir medium which are frequently utilized as media produced in the mushroom production business as a result of dietary changes is constantly growing. In this study, the chemical characteristics of agricultural by-products generated in Korea were compared and the possibility of use as fuel was evaluated, and the results of this chemical analysis were applied to form a group of biomass that can be used for a long time for one year through multivariate analysis. Following TGA examination of the biomass produced form these results, combustion properties were examined. Regarding the experimental materials, hogs and wood chips were also gathered for comparison. The cultivation calendar of agricultural by-products produced in the pruning and region of representative fruit trees by season in Korea was checked, collected, and collected in an airtight pack for analysis. Agricultural by-products typically exhibit between 40 and 60%, which is comparable to the properties of lignocellulosic biomass, according to the examination of their physical and chemical properties. It is generally believed that the moisture content needs to be reduced to 20% or less by a drying process in order to be utilized as fuel. Sin mushroom waste medium and coir medium are produced in environment similar to hydroponics, they have a higher moisture content than lignocelluosic biomass. A multivariate analysis was conducted, and a group was formed through cluste analysis and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for comparison with the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chemical analysis, which can present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fuel, are representatives of the potential of pollutants, A total of four variables were selected as nitrogen content and ash content. PC 1 and PC 2 can be used as the basis for principal component analysis. A comparative study was carried out with a focus on hogs and wood chips, which are frequently used as biomass fuel. It was verified that more than three different types of samples were combined with wood chips and that these samples were separated from the biomass group by the addition of nutrients and dosage barrels required for mushroom cultivation. The presence of several pruning fruit confirmed that the majority of the forms were grouped into wood biomass. It was confirmed that the pig manure and chicken manure, but was separated separately. Livestock manure, which is produced by the growth of the domestic livestock industry, is organic biomass, so it was included in the main component analysis. In order to group the data, cluster analysis was done using the major component analysis findings. Consequently, it was separated into three groups: medium samples of mushrooms and peppers, fruit trimming and wood chips, and the greatest calorific value pine. Fruit pruning, wood chips, and livestock manure were the three groups into which the result values were divided, along with samples of mushroom waste medium. Through this grouping, it was determined that concentrated by-products produced in Korea could be used as an energy source. Seasonally generated lignocellulosic biomass, with a focus on coffee waste and mushroom waste medium, which can be generated continuously for a year in a timely manner, is judged to be able to replace imported wood chips. 최근 화석연료의 대체에너지원으로써 바이오매스를 이용하여 지속 가능한 에너지 생산에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국의 경우 신재생에너지의 확대를 위해서 기존의 RPS 제도 (Renewable Portfolio Standard : 신재생 에너지 공급 의무화) 제도에 대한 강화하여 2034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 목표를 40%로 설정하고 확대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의 경우, 이러한 RPS 등으로 인해 신재생 에너지원 중 바로 확대 적용 가능한 바이오매스 에너지의 사용량을 확대하고 있다. 하지만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대부분의 바이오매스는 수입에 의존하고 있어 바이오매스 에너지원 확보에 대한 방안이 필요하다. 한국은 동남아시아 지역과 달리 4계절이 있어 다양한 농업 및 임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바이오매스 에너지원의 확보는 어려운 실정이다. 최근에는 한국의 시설 농업 등을 통한 농업부산물의 발생량이 증가하고 있으며, 발생의 형태도 변하고 있다. 특히 식생활의 변화 등으로 인해 버섯 재배 산업에 발생하는 버섯폐배지, 배지로 많이 활용하는 코이어배지 등이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바이오매스의 형태로 판단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농업부산물의 화학적 특성을 비교하고 연료로서의 활용 가능성을 평가하였으며, 이러한 화학적 분석 결과를 적용하여 다변량 분석을 통해 1년동안 장기적으로 활용 가능한 바이오매스의 그룹을 형성하였다. 이러한 결과에서 얻어진 바이오매스를 TGA 분석을 통해 혼합하였을 때의 연소 특성을 분석하였다. 실험재료는 한국의 계절별 대표하는 과일 나무의 전정가지 및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농업부산물을 재배 캘린더를 확인하고 수집하여 채취하였으며 밀폐된 팩에 회수하여 분석한 뒤 비교를 위해 목재칩과 호그도 수집하였다. 물리 화학적 특성 분석 결과 농업부산물의 경우 일반적으로 목질계 바이오매스의 특징과 같이 40-60% 정도를 나타내고 있다. 일반적으로 연료로 사용하기 위해 건조 공정을 통해 수분함량 20% 이하로 낮추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버섯폐배지와 코이어 배지의 경우, 수경재배와 비슷한 조건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목질계 바이오매스보다 높은 수분함량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화학적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연료의 질적 특성을 제시할 수 있는 탄소 함량과 고위발열량이 오염물질의 잠재량의 대표성으로 질소 함량과 재의 함량으로 총 4개의 변수를 선정하여 다변량 분석을 실시한 뒤, 군집분석을 통해 그룹을 형성하였으며 요인분석은 주성분 분석과의 비교를 위해 진행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 PC 1, PC 2 를 기준으로 주성분 분석을 해석할 수 있다. 보편적으로 바이오매스 연료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우드칩과 호그를 중심으로 비교 분석하였으며 버섯폐배지로 3종류 이상의 시료가 우드칩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고 버섯재배에 필요한 양분 및 도사통이 섞여 있어 바이오매스의 그룹과는 구분됨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대부분의 형태가 과일 전정가지류가 많아 목재 바이오매스로 군집화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국내 축산업의 확대로 인해 발생하고 있는 축산 분뇨의 경우 유기성 바이오매스이기 때문에 포함하여 주성분 분석을 실행한 결과, 우분의 경우 목질계 바이오매스에 가깝지만 돈분과 계분의 경우에는 따로 분리됨을 확인하였다. 주성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그룹화하기 위해 군집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버섯페배지 시료, 과일 전정가지와 목재칩, 가장 발열량이 높은 소나무 껍질 총 3개로 나뉘어졌다. 축산분뇨를 포함한 결과 값은 버섯폐배지 시료, 과일 전정가지와 목재칩, 축산분뇨로 그룹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그룹화를 통해 한국에서 발생하고 있는 농축산 부산물의 에너지화원으로 활용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고, 시기적으로 1년동안 지속적으로 발생 가능한 버섯폐배지, 커피 찌꺼기 등을 중심으로 계절별 발생하는 목질계 바이오매스를 활용한다면 수입하여 사용하고 있는 목재칩을 대체 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 국내은행의 메타버스 특성 요인에 따른 플로우와 고객만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안준석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32255

        본 연구는 국내은행의 메타버스 특성 요인에 따른 플로우와 고객만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히고, 그 변수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메타버스 특성 하위 요인의 선행 요인을 이해하고 은행에서 운영 중인 메타버스 특성 요인을 고찰하여, 이러한 특성 요인이 플로우와 고객만족 구매의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어떠한 구조적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 목적에서 출발하였다. 국내은행의 메타버스 특성 요인은 주로 모바일 및 PC 기반의 온라인 형태를 이루고 있으며 메타버스를 통해 다양한 마케팅을 시도하고 있다. 최근 오프라인 영업점을 보유한 은행 이외 카카오뱅크, K뱅크 등 온라인 플랫폼을 구축한 빅테크 업체들이 지속적으로 늘어나 금융사 간 치열하게 경쟁하고 있으며 이러한 상황에서 타 금융기관보다 경쟁력 우위를 확보하려는 은행들은 고객 이탈 방지 및 신규 유입 확대를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중 하나로 각 은행에서 메타버스를 활용하여 다양한 게임이나 체험 이벤트 실시하는 것은 플로우와 고객만족이 구매의도에 중요한 요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은행의 메타버스 특성 요인을 살피는 것은 상당히 의미 있는 연구일 것이다. 본 연구의 대상자는 국내은행에서 제공하는 메타버스를 경험한 이용자 중 400명을 편의표본추출법으로 구성하였다. 실증연구를 위해 설문지를 배포하고 최종 설문 데이터를 확보하는 과정을 통해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는 2022년 10월부터 11월까지 설문지를 400부 배포하여 350부를 회수하였다. 이중 미기입이나 부실한 응답 내용, 편중된 응답 등이 있는 47부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303부에 대해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으로 설정된 가설의 검증을 위해 수집된 자료는 데이터 코딩의 과정을 거친 후 SPSS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V.23.0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과 구조방정식을 위해 AMOS 22 프로그램(Analysis of Moment Structures)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가설 검정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위하여 선행요인으로 은행의 메타버스 특성 요인에 맞게 정보제공성, 실재감, 상호작용성, 동시성, 신뢰성을 선정하였다. 플로우와 고객만족을 매개변수로 선정하였으며 종속변수로 구매의도를 선정하였다. 이러한 구성 요인들이 구조적으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와 인과관계가 있는지를 모색하고자 연구모형과 연구과제들을 설정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메타버스 특성 요인 중 정보제공성은 플로우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 관계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실재감, 동시성, 신뢰성은 플로우와 고객만족에는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상호작용성은 플로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만 고객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의 요약은 다음과 같다. 첫째, 메타버스 특성 요인 중 정보제공성은 국내은행의 메타버스 시장이 아직 초창기 형태로 은행의 홍보 등을 위해 단순 보여주기 서비스를 제공하는 수준이다. 즉, 잠재 고객층인 MZ세대와 알파세대가 장기적으로 체험하고 이용할 수 있는 온라인 환경과 최신 금융정보를 제공하는 부분들이 미흡한 것으로 보이고 있어 플로우와 고객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재감은 금융기관을 이용한 고객들은 은행 영업점을 직접 방문하거나 PC 및 모바일 기기를 통한 이용 경험으로 금융 지식이 지각된 상황에서 메타버스 환경에서도 유사한 경험을 제공받는다고 나타나고 있어 플로우와 고객만족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국내은행 메타버스에서 고객들이 자유롭게 콘텐츠를 통해 다양한 경험 제공할 수 있도록 기업들이 노력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나, 이러한 경험을 토대로 고객들이 결과적으로 은행 영업점이나 인터넷뱅킹 채널이 아닌 은행메타버스 플랫폼에서 실제 금융거래를 할 수 있는 인프라가 구축되어 있지 않는 상황으로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고객들이 만족하기에는 부족한 상황으로 상호작용성은 플로우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고객만족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금융기관 메타버스에서 금융 활동이 원활히 이루어지기 위해 이용자 간의 경험을 통해 만족할 수 있는 신뢰성이 형성되어 플로우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동시성은 국내은행에서 제공하는 메타버스 플랫폼은 이용자들이 금융거래를 실제로 거래할 수 있는 채널보다는 은행의 홍보 수단으로 활용하고 있다. 예를 들어 특정 이용자가 채팅을 하거나 다른 이용자는 게임에 참여해서 포인트를 제공받는 등 동일 시간대에 각자의 경험을 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요소가 플로우와 고객만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플로우와 고객만족은 다른 선행연구와 마찬가지로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메타버스 특성 요인에 따른 플로우와 고객만족의 구조적인 영향이 구매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고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sought to clarify the effect of flow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purchase intention according to the metaverse characteristic factors of domestic banks and to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It started with the purpose of a study on how these characteristic factors affect flow and customer satisfaction purchase intention by understanding the preceding factors of the metaverse characteristic sub-factors and considering the metaverse characteristic factors operated by banks. The metaverse characteristic factors of domestic banks are mainly mobile and PC-based online, and various marketing is attempted through metaverse. Recently, the number of fintech companies that have built online platforms such as Kakao Bank and K Bank has continued to increase, and banks that want to secure a competitive advantage over other financial institutions are trying to prevent customer departure and expand new inflows. As one of them, flow and customer satisfaction can be important factors in purchasing intention to conduct various games or experience events using metaverse at each bank. Therefore, it would be a very meaningful study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banks' metaverse. The subjects of this study consisted of 400 users who experienced the metaverse provided by domestic banks using the convenience sampling method. For empirical research, this survey was conducted through the process of distributing questionnaires and securing final survey data. The survey distributed 400 questionnaires from October to November 2022, and finally used 350 copies for empirical analysis for the study, except for 50 copies with unwritten, poor responses, and biased responses. The data collected to verify the hypothesis set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were subjected to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hypothesis tests using the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 (SPSS) V.23.0 statistical package program and the AMOS 22 program for structural equations. For the purpose of the study, information provision, reality, interaction, concurrency, and reliability were selected according to the bank's metaverse characteristic factors as preceding factors. Flow and customer satisfaction were selected as parameters, and purchase intention was selected as dependent variables. Research models and research tasks were set up to find out how these constituent factors structurally affect and whether they have a causal relationship.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study, among the metaverse characteristic factors, information provision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flow and customer satisfaction, and reality, concurrency, and reliability had an effect on flow and customer satisfaction.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flow but did no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The summary of the research results is as follows. First, among the characteristic factors of the metaverse, information provision is still in the early form of the metaverse market of domestic banks, providing simple show services for the promotion of banks. In other words, it seems that there is a lack of rapid provision of the latest financial information that the MZ generation and Alpha generation, which are potential customers, can experience and use in the long term, so it does not affect flow and customer satisfaction. Second, customers using financial institutions receive similar experiences in the metaverse environment when financial knowledge is perceived by visiting bank branches in person or using PC and mobile devices, affecting flow and customer satisfaction. Third, it appears that companies are making efforts to provide customers with various experiences through content within the domestic bank metaverse, but based on this experience, the level of service provided by customers on the bank metaverse platform, not at bank branches or Internet banking channels, is not actually. Through this, it was found that interaction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flow as it was not enough for customers to be satisfied, but it did not affect customer satisfaction. Fourth, in order for financial activities in the metaverse of financial institutions to be carried out smoothly, satisfactory reliability is formed through experience between users, which has a significant impact on flow and customer satisfaction. Fifth, the metaverse platform provided by domestic banks uses it as a means of promoting banks rather than a channel through which users can actually trade financial transactions. For example, it has been shown that certain users can have different experiences at the same time, such as chatting or other users participating in the game and receiving points, and these factor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flow and customer satisfaction. Finally, flow and customer satisfaction, like other previous studies,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purchase intention, indicating that metaverse characteristic factors and structural effects of flow and customer satisfaction have a positive effect on purchase intention.

      • 국내기업의 MIS 활용현황 평가에 관한 연구 : D사 사례를 중심으로

        정효림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15903

        정보기술의 진보로 정보기술은 급변하는 기업 경영환경에서 경쟁무기로 대두되고 있으며 많은 기업들은 경쟁우위를 지키기 위해 정보시스템 투자를 확대하고 있다. 이제는 과거 단순히 업무처리의 효율화 추구라는 관점이 아닌 기업 경영전략 수행의 핵심 도구로 인식되고 있다. 특히 정보시스템의 활용은 기업의 성과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활용을 위한 평가 및 개선방안의 필요성이 증대 되고 있다. 본 연구 목적은 첫째, MIS 활용현황 평가틀을 재구성함으로써 국내 기업에서 체계적인 MIS 전략을 수립함은 물론 지속적으로 활용도를 높이는 것이다. 둘째, 재구성된 MIS 활용현황 평가틀을 사례기업에 적용하여 MIS 활용의 문제점과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성공적인 MIS의 방향과 지침을 제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기존의 MIS 평가와 활용현황 평가에 관한 문헌연구와 현장연구를 통해 활용 평가요인을 도출하고 도출된 항목을 중심으로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국내기업을 대상으로 설문을 통해 실증적으로 검증하였고 설문과 인터뷰를 통해 사례연구가 수행되었다. 사례 연구에 의해 파악된 개선방안을 간단히 소개하면, 경영진 과 중간관리자의 리더십 강화, 조직구성원의 의견을 수렴할 수 있는 공식적/비공식적 채널의 확보, 전략적 계획 수립에 초점을 둔 정보시스템 부서의 업무 계획, 다양하고 전문적인 제도적 장치 마련, IT 투자방향 설정을 위해 IT트렌드 및 경쟁업체의 동향 파악, 정보시스템과 정보시스템 인력에 대한 투자, 기업 정보 화 장기계획의 체계적인 유지 관리, 변화관리 등을 통해 성공적인 MIS의 지침을 제공하며 MIS 활용을 높일 수 있을 것이다. As a result of the rapid evolu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IT), IT became powerful weapon in the rapidly changing business environment. Increasingly many firms which concern about their market competitiveness accelerate investment in IS. From now on MIS should be used not only as a tool of efficient business management but also as key tool of performing business strategy. Especially, MIS implementation affects firm performance greatly and the importance of evaluation and improvement for the efficient and effective MIS implementation is increasing. The first purpose of this study is the reconstruction and verification of the evaluation framework of the MIS implementation. This framework is used to establish systematic MIS strategy and to encourage continually to use MIS. The second purpose is to lead successful MIS implementation in the business firms by applying the reconstructed evaluation framework of MIS implementation to the real case, so that difficulties for the MIS implementation are showed and suggestions for improvement are provided. A literature and field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organizational factors that affect MIS implementation and the questionnaire was developed based on suggested factors. After that validating the evaluation framework of MIS implementation by survey research in domestic firms, case study was conducted by interview and survey in the real site. This study's suggestions for improving MIS implementation are the following: Leadership reinforcement of the management and the intermediate manager of a corporation, development of formal/informal channel for information and knowledge sharing between company members, planning of IS team work more focused on the strategy plan establishment, preparing various and special system, grasping information for a IT investment direction set and trend of IT and the competitive enterprise, the investment for information system and information system manpower, systematic maintenance of long term information system plan, change management etc. These suggestions can help to lead successful MIS and to increase MIS implementation in this case site.

      • 국내 신문의 기사 제목 활자꼴 활용 현황 분석 : 조선일보, 중앙일보, 동아일보중심으로

        박민정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15903

        신문을 과거 납 활자로 조판할 당시의 글자 크기는 호(號)가 척도였으나 컴퓨터 조판 시대에 들어선 서양식 포인트(point) 개념과 일본식 급수(級數)개념으로 바뀌었다. 그러나 실제로는 제작편의 때문에 본문글자의 크기를 기준으로 한 배수(倍數)개념이 일반화되고 있다. 국내 신문에서는 전통적으로 활자의 제작과 관리를 기술부문으로 취급해 왔기 때문에 서체부문은 사실상 신문디자인의 영역이 아니었다. 활자 시대엔 활자를 만드는 주조(鑄造)부서에서 자모(字母, font)를 연구, 개발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신문마다 활자가 개성이 있어 보였으나 CTS시대에 들어서는 거의 외부전문기관에 의존하고 있어 조선일보를 제외하고 활자의 개성이 엿보이지 않는 실정이었다. 세로짜기 시대에 사용되어 오던 활자를 가로짜기 조판에 맞춰 사용하는 것뿐이었던 신문사들은 활자의 폭, 자음과 모음의 높이차, 활자사이, 단어사이 등 가로글줄 형성에 있어서의 문제점들로 인해 활자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가로짜기 용 활자꼴을 개발하기 시작하였다. 활자는 신문지면의 표정에 많은 영향을 준다. 활자가 모여 만든 글줄의 표정으로 인해 지면의 인상은 밝아질 수도 무거워질 수도 있다. 더구나 기사 제목 활자꼴은 신문지면에서 제호를 제외하고 가장 큰 크기로 사용되어 신문 지면에 중요한 역할을 한다. 신문기사의 제목은 우선 독자의 관심을 기사로 끌어들일 수 있는 주목효과를 불러일으켜야 하며, 색인의 역할을 제대로 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 여러 종류 제목을 적절히 조합하여 이해를 도와야 하고, 제목 활자들의 적절한 비례와 공간 구성으로 기사의 분위기를 표현하며 논조에 집중하도록 유인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기사의 제목은 지면 장식의 요소적인 역할이 되어야 한다. 이렇게 신문기사의 제목은 가장 기본적인 역할인 활자로서의 역할 뿐만 아니라 신문 지면의 인상을 좌우 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 이러한 신문의 인상은 곧 그 신문사의 인상이 된다고 볼 수 있다. 이 논문에서 본 연구자는 국내 신문 가로짜기용 기사 제목 활자 개발 방향을 정리하고 제목의 이러한 효과들을 위해 어떻게 활용되어지고 있는지 분석하였다. 그 이유는 첫째, 신문에서의 제목용 활자 활용은 신문 전체의 인상에 매우 큰 영향을 주기 때문이다. 둘째, 신문에서의 제목용 활자 활용은 제목의 주목효과 위해 효율적으로 활용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셋째, 신문에서의 제목용 활자 활용은 제목을 보다 효율적으로 표현되어 독자에게 쉽게 이해시킬 수 있어야 하기 때문이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이유로 제목의 기능에 충실히 제목이 활용 되고 있는지 다음과 같은 순으로 분석하였다. 1장에서는 활자와 시각유도에 관한 이론과 활자꼴과 글줄길이, 글줄간격의 가독성 등에 관한 선행 연구를 정리하여 분석의 이해를 돕고자 하였다. 2장에서는 신문기사 제목의 기능에 관한 내용적인 측면과 형식적인 측면의 기능을 설명하여 기능에 적합한 활용 분석에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국내 한글 신문의 제목용 활자꼴 개발 현황을 정리하여 신문사 별로 활자의 개발 방향이 어떠하였는지 정리하여 활용현황 분석의 근거로 삼았다. 4장에서는 신문의 제목용 활자 활용 현황 분석을 하여 활자꼴, 활자사이와 단어사이, 글줄사이의 비례, 글줄길이와 글자수의 비례, 제목 글줄의 형식 구조, 여백에 관해 측정하여 어떠한 체계가 잡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결론>에서는 신문의 제목용 활자 활용 현황을 분석하여 제목의 활자꼴 활용과 제목들간의 조합에 있어서의 체계를 정리해 낼 수 있었다. 그 결과 신문마다 제목의 주목효과, 기사체계의 효율화, 신문의 인상 확립을 위해 제목 종류별 활자 활용의 비율과 여백 공간의 비율이 효율성에 있어서 규칙적인 체계가 필요하다는 점을 알 수 있었다. 신문에 관한 선행 논문은 여러 차례 있어 왔지만 아직까지 기사 제목용 활자꼴 활용 현황에 관한 분석에 관한 선례가 없었다. 논문의 결과가 신문의 제목용 활자꼴 개발, 활용에 있어서 좋은 참고 자료가 되기를 바라며 후속 연구에 바탕이 되고자 한다. When the newspaper was printed with the type made of lead, 'ho(號)' was the scale for the size of the letters. As the computer printing system was introduced, the Western concept of 'point' and Japanese concept of 'series(級數)' replaced the 'ho.' However, the concept of 'multiple(倍數)' based on the size of the letter in the main text is commonly used in the actual printing for the sake of convenience. In the domestic newspaper industry, production and management of the type have been traditionally considered as a technical area, thus a style of type did not belong to the newspaper design. In the era of the lead type, the casting division in which the type is manufactured was in charge of the research and development of a font of printing type, so that each newspaper had a unique style of the type. However, in the era of CTS, almost every newspaper relied on the external agency for the type, thus no unique type feature could be found except for the Chosunilbo. The newspaper companies used the type which had been used in the vertical printing era by merely modifying it to the horizontal printing. But they start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type development due to the problems of the horizontal printing including width of the type, height difference of vowel and consonant, space between the types and space between the words. Accordingly, they started to develop the type pattern for the horizontal printing. Type significantly influences the impression of the newspaper and the impression of the lines composed of the types can make the newspaper impression either light or heavy. Moreover, the type pattern for the headline is used in the biggest size except for the title of the newspaper, thus it is important to the impression of the newspaper. The headline of the newspaper articles should attract readers' attention and act as an index. Thus, various headlines should be properly assembled to help readers understand the articles and the tone of the articles is expressed by appropriate proportion of the headline types and the spacial composition, resulting in letting readers concentrate on the tone of the argument in the articles. Finally, the headline of an article should act as a decorative component of the newspaper in general. Consequently, the headline of the newspaper article is significant not only in terms of the type which is the basic role, but also in terms of its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impression of the newspaper as a whole. The impression of the newspaper becomes the impression of the newspaper company. The author of this study organize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article headline type for the horizontal printing of the domestic newspaper, and analyzed how the headline type is utilized for the above mentioned effects of the headline. As for the reasons of importance of the headline type, first, the type utilization of the newspaper headline has an enormous impact on the impression of the newspaper in general. Second, the utilization of the headline type for the newspaper should be efficiently applied to attract readers' attention through the headline. Third, the utilization of the headline type for the newspaper should enable a more efficient expression of the headline, so that it makes readers understand the article easily. Based on the three reasons, the author of this study analyzed the actual state of the headline utilization which is truthful to the function of the headline as follows. In Chapter 1, theories of the type and 'inducing vision,' and previous researches on the legibility of the type pattern, length of the lines, and the space between the lines were examined and organized in order to assist the analysis. In Chapter 2, the function of the newspaper headline was explained in terms of the content as well as the form, so that it is useful for the utilization analysis based on the function. In Chapter 3, the development state of the type pattern for headline of the domestic newspaper in Korean language was summarized and the development direction of the type for each newspaper company was examined, so that they are used as a basis of the actual utilization analysis. In Chapter 4, the type utilization state of the newspaper headline was analyzed and type pattern, proportion between types, words and lines, proportion of the length of the lines and number of the letters, stylistic structure of the headline lines and a space were examined, in order to analyze the system thereof. In Conclusion, the actual state of the newspaper headline type utilization was analyzed, so that the system of the type pattern utilization and assembly of the headlines is summarized.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an orderly system is needed for the efficient proportion of the type utilization based on the headline category and the efficient proportion of the space, in order to draw readers' attention through the headline, enable efficiency of the systemized articles and establishment of the impression of the newspaper. There have been several previous theses on newspaper, however, there has not been an analysis of the utilization state of the type pattern for the newspaper headline. Accordingly,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expected to serve as a good reference material for the development of the type pattern for the newspaper headline and utilization thereof. Furthermore, it is anticipated that this study provides a basis for future researches.

      • 國內銀行의 職務分析 및 그 活用實態에 관한 硏究 : 특히 P銀行을 中心으로

        염성규 東亞大學校 經營大學院 1984 국내석사

        RANK : 215855

        Since the application of self-control policy for the general banks in our country which was announced in 1980, the bank enterprises in our country are facing with the rapid change of the environments such as a keen competition among banks to attract clients, the rapid growing of the business, and required services, the mechanization of the works, and the extension of the small - scaled branches, etc. To cope with these changes, this paper proposes that banks must reorganize the existing mechanistic structure into the organic structure and also redesign the contents of the jobs of the bank business. According to this reach and study, it is found out that the bank enterprises of today do not practice job-analysis and utilize its data when they design new jobs in the case of the out break of some new businesses, or to reorganize the organization, to calculate needed man power, to establish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and to practice the selecting, transfering and arranging of the staffs. At the same time, it is also found out some problems that to be solved on the point that their job-specification and the job-description are not clearly stated owing to having no utilization of job-analysis, that they have considerable difficulties in arranging the staffs who have required abilities and skills to perform given jobs, that the education-programs for the developments of the abilities of the staffs are not efficient, and that they have some difficulties in calculating the moderate needed numbers of staffs rationally. As a device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paper proposes that the bank enterprises in our country should establish the execusive post for the job-analysis, practice the job-analysis with scientific process periodically by well trained job analysists, and utilize the data which have been obtained from the job-analysis into the framing for the job-planning, calculating needed man power, selecting new employees and transfering staffs, stating job-specification and job-description, and planning educational and training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