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해금산조 진양조의 선율구조 연구 : -기경결해·선율형을 중심으로-

        왕정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1

        본 연구는 지영희류·한범수류·서용석류·김영재류 해금산조 진양조의 ‘기경결해’ 선율구조 및 ‘선율형’을 분석하고 두 방법론의 연관성을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네 류파의 선율구조 및 선율 전개 양상을 파악하고, 나아가 ‘기경결해’ 개념의 보편성과 객관성을 확보하여 산조의 선율 기능을 결정하고 선율 단락을 구분 짓는 하나의 분석 이론으로써 그 가능성을 제시하는 데 연구목적이 있다.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경결해’ 선율구조를 분석해본 결과, 네 류파의 진양조는 우조로 시작하여 계면조로 종지하며, 악곡의 전반부에 해당하는 우조에서는 대부분 ‘결’의 기능을 하는 선율이 나타나지 않는다. 반면, 악곡의 후반부에 해당하는 계면조에서는 주로 ‘결’의 기능이 나타난다. 이처럼 악곡의 흐름에 따라 연주자가 긴장과 이완의 미학을 예술적으로 발현하는 이유로 ‘기경결해’ 선율구조는 24박을 넘어서 18박, 30박, 48박 등 다양한 변형을 보이게 된다. 둘째, ‘기경결해’ 선율구조의 유형을 정리한 결과, 장단 수에 따라 24박의 ‘기본형’, 24박이지만 ‘기-경-결-해’ 선율 배치와 상이한 ‘기본형 변형’, 24박 미만의 ‘축소형’, 24박을 초과하는 ‘확장형’의 네 가지 유형으로 분류할 수 있다. 각 유형은 악곡 내에서 특정한 위치에 나타나는 경향이 있으며 유형별로 공통된 특징이 나타난다. 한편, 네 류파 중 지영희류·한범수류 진양조는 24박으로 구성된 선율구조가 대다수인데, 선율구조를 이루는 선율의 배치는 다양하여, ‘기본형’과 ‘기본형 변형’이 두루 나타난다. 서용석류 진양조는 24박을 초과한 ‘확장형’ 선율구조가, 김영재류 진양조는 24박 미만의 ‘축소형’ 선율구조가 가장 많이 나타난다. 셋째, ‘기경결해’ 선율구조를 이루는 ‘선율형’을 분석한 결과, 네 류파는 몇 개의 주요 ‘선율형’을 바탕으로 옥타브 변형, 골격음의 추가 혹은 생략, 수식음 추가 등의 방법으로 선율을 전개한다. 이때, 김영재류를 제외한 세 류파의 우조에서는 도입부에 모두 동일한 골격음의 방향성을 보인다. 계면조에서는 네 류파의 첫 계면조 ‘선율형’이 동일하며, 이를 계면조 전반에 걸쳐 축소 및 확장하는 전개 방식을 사용하는 것도 공통된다. 또한 선율의 긴장감을 고조하는 기능의 ‘선율형’은 모든 류파에서 유사하게 나타난다. 지영희류·김영재류 진양조는 한범수류·서용석류에 비해 다양한 ‘선율형’이 형성되는데, 이는 류파별 평조의 비중과, 평조의 선율 전개 방식에서 기인한다고 볼 수 있다. 경기 지역을 음악적 기반으로 하는 지영희류와 김영재류의 산조에서는 평조의 비중이 비교적 높고, 대체로 매 장단마다 새로운 ‘선율형’을 제시한다. 반면, 남도 지역을 음악적 기반으로 하는 한범수류에서는 형성된 평조 ‘선율형’이 단 한 가지로, 평조 선율에서도 우직하고 씩씩한 성음으로 연주하는 우조 ‘선율형’을 혼용한다. 서용석류 진양조는 악곡 내에 ‘평조’가 구성되지 않기 때문에 평조 ‘선율형’이 형성되지 않는다. 넷째, ‘기경결해’와 ‘선율형’의 연관성을 분석한 결과, ‘기경결해’ 선율구조 안에서 ‘선율형’이 갖는 규칙적인 특징을 발견하였고, 이에 따라 두 요소의 유기적인 관계를 추론할 수 있었다. ‘기’의 기능을 하는 선율은 골격선율을 형성하는 음이 1〜2개의 음으로 제한되어 한 장단 내에서 하나의 ‘선율형’을 완전하게 형성하지 못하는 경우, 혹은 새로운 ‘선율형’이 제시되는 경우의 두 가지 양상을 보인다. ‘경’의 기능을 하는 선율은 앞 선율을 모방하여 확장하거나 다음 장단과 선율의 흐름을 연결하는 특징이 있어 주로 앞뒤 ‘선율형’과 동일하게 나타난다. 또한 ‘경’의 기능을 하는 선율이 ‘기’의 기능을 하는 선율 뒤에 배치될 경우, 두 장단에 걸쳐 하나의 완전한 ‘선율형’을 형성한다. ‘결’의 기능을 하는 선율은 ‘선율형’을 구성하는 골격음의 개수가 확연하게 많아지며, 대체로 음역대가 높다. 또한 한 장단 내에서 ‘선율형’의 결합이 상대적으로 활발하다. ‘해’의 기능을 하는 선율은 각 류파의 악조별로 동일한 ‘선율형’을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특히 네 류파의 계면조에서 ‘e♭´d´(도시)·c´(라)·g(미)·c´(라)’의 ‘해’의 기능을 하는 종지 선율이 공통적으로 나타난다. This study analyzes the “Gi-gyeong-gyeol-hae”(Each word refers to introduction, development, conclusion and releasement) melody structure and “melody type”(melodic structure which can produce the very east/necessary melody) of four different Jinyangjo within haegeum(Korean Traditional two-stringed vertical fiddle) sanjo(a style of traditional Korean music, involving an instrumental solo accompanied by drumming on the janggu) respectively composed by Ji Young-hee, Han Beom-soo, Seo Yong-seok, and Kim Young-jae, and examines the correlation between the two methodologies. Throughout this examination, this study aims to present the concept of “Gi-gyeong-gyeol-hae” as a viable method that defines the function of melody and distinguishes the passage of melody within sanjo, by reviewing the melody structure and melody development pattern of the four schools and furthermore securing the universality and objectivity of the concept of “Gi-gyeong-gyeol-hae”. The results obtained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To start with, when analyzing the melody structure of “Gi-gyeong-gyeol-hae”, the Jinyangjo of the four schools begins with U-jo and ends with gyemyeon-jo, and most of the melodies that function as “Gyeol” do not appear in U-jo which corresponds to the first half of the music. On the other hand, in gyemyeon-jo, which corresponds to the second half of the music, the function of ‘gyeol’ is mainly shown. As the performer artistically expresses the aesthetics of tension and relaxa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music, the melody structure of “Gi-gyeong-gyeol-hae” goes beyond 24 beats, showing various variations such as 18 beats, 30 beats, and 48 beats. Secondly, by analyzing the types of “Gi-gyeong-gyeol-hae”, depending on the number of beats, “Gi-gyeong-gyeol-hae” can be classified into four structure types, such as "basic type" with 24 beats, “modified basic type” with also 24 beats but does not correspond with “Gi-gyeong-gyeol-hae”’s melody arrangement, “shortened type” with less than 24 beats, “extended type” with more than 24 beats. Each type appears at a specific point within the music and shows common characteristics within itself. Among the four schools, Ji Young-hee and Han Beom-soo school’s Jinyangjo demonstrate the melody structure consisting of 24 beats the most, but the arrangement of melody consisting the melody structure is diverse and show “basic type” as well as “modified basic type” equivalently. Seo Yong-seok school’s Jinyangjo displays the extended melody structure with more than 24 beats the most, whereas Kim Young-jae's Jinyangjo shows the shortened melody structure with less than 24 beats the most. Third, when analyzing the “melody type” that forms the melody structure of “Gi-gyeong-gyeol-hae”, the four schools tend to develop the melody by respectively changing the octave or adding/omitting structure tone or even adding various figuration tone with certain major “melody types”. At this point, among the four schools’ U-jo, three of them, except Kim Young-jae's, all present the same direction of structure tone. In addition, within gyemyeon-jo, the four schools show same first “melody type” of gyemyeon-jo, and this “melody type” develops with constant expansion and reduction throughout gyemyeon-jo. Also, the “melody type” that heightens the tension of the melody is similarly found within the four schools. In Kim Young-jae’s and Ji Young-hee’s Jinyangjo, various “melody types” can be observed compared to Han Beom-soo’s and Seo Yong-seok’s, this can be seen as a result of the melody development method shown in the pyeong-jo of each school. In the sanjo of Ji Young-hee and Kim Young-jae, who are musically based on Gyeonggi province, the volume of pyeong-jo was high, and in general, they introduce various new “melody types” in each rhythm. On the other hand, there is only one new pyeong-jo “melody type” in the Han Beom-soo’s pyeong-jo who is musically based on Nam-do province, and it puts together U-jo “melody type” that is played with solid and vigorous tones. In Seo Yong-seok’s Jinyangjo, no pyeong-jo “melody type” can be found since pyeong-jo does not form within the music. Finally, by examining the correlation between “Gi-gyeong-gyeol-hae” and “melody type”, the regular characteristics of the “melody type” within the melody structure of “Gi-gyeong-gyeol-hae” is found, by which the close link between the two factors may be speculated. The melody that functions as “Gi” either does not fully form “melody type” within a rhythm as the structure melody consists of only one or two tones, or shows a new “melody type”. The “melody type” which functions as “Gyeong” either goes through expansion by imitating the previous “melody type” or tends to connect the flow of following rhythm and melody, which leads to showing as same as previous/latter “melody type”. Also, it forms a complete “melody type” over the two rhythms when placed behind the melody functioning as “Gi”. In the melody that functions as “Gyeol”, the number of structure tones consisting the “melody type” significantly increases and they are mostly in high pitch. Moreover, the mix of “melody type” within one rhythm is relatively frequent. The melody that functions as “Hae” tends to have identical “melody type” within each school’s akjo. In particular, within the four schools’ gyemyeon-jo, the ending melody that functions as “Hae” with “do·si-la-mi-la” is commonly shown.

      • 산대놀이 음악의 구조 연구 : 염불타령, 허튼타령, 굿거리를 중심으로

        이승희 서울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687

        국 문 초 록 산대놀이는 조선시대의 산대도감극(山臺都監劇)에서 유래하여 민간으로 전승되어온 가면극으로 서울‧경기지역의 문화와 음악적 특징을 가지고 발전해왔다. 본 연구는 양주별산대놀이와 송파산대놀이, 퇴계원산대놀이의 반주음악 중 염불타령, 허튼타령, 굿거리를 중심으로 실제 연행에서 사용해온 자료를 통해 음악의 특징을 알아보고, 악곡의 구조와 선율의 구성 방식에 대하여 고찰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산대놀이의 기악전승 과정을 살펴보았는데, 양주와 송파에는 국가무형문화재 지정 당시에 지역의 음악을 담당하는 연주자가 많이 있었으며, 그 이후 전수장학생 선발 등을 통해 다른 지역의 음악인이 합류하여음악을 보존 전승해오고 있다. 퇴계원은 단절의 기간이 길었던 만큼 전문 연주자들을 중심으로 음악이 전승되고 있다. 둘째, 산대놀이의 반주음악의 구성은 염불타령, 허튼타령, 굿거리, 당악, 휘모리 등 동일한 악곡이 사용되며, 장단의 이름이 악곡명으로 사용된다. 악기편성은 피리, 대금, 해금, 아쟁, 장구, 북 등이며, 편성이 바뀌더라도 피리와 장구는 반드시 사용하였다. 양주와 퇴계원에서는 연희자들이 직접 태평소와 타악을 연주하는 과장도 있다. 셋째, 산대놀이에서 사용하는 장단형은 염불타령은 5박, 6박, 12박 등 지역별로 차이가 있다. 허튼타령은 4박 장단형으로 변형장단이 많이 나타나며 속도를 점차 빠르게 연주하는 특징이 있다. 굿거리는 4박 장단형으로, 제1-2박과 제3-4박이 동일한 형태의 장단으로 실제로는 2박으로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넷째, 불림은 장단의 속도와 고형(鼓形)을 제시하고, 음악의 시작을 알리는 역할을 한다. 염불타령은 각 산대놀이에서 거의 동일한 대사로 각 1회씩 사용하며, 허튼타령은 세 가지 방식의 불림을 사용하는데, 이 중 4음보격 가사를 부르는 방식이 주를 이룬다. 굿거리의 불림은 양주별산대놀이에서는 사용하지 않으며, 송파산대놀이와 퇴계원산대놀이는 서로 다른 형태의 불림을 각 1회씩 사용한다. 다섯 째, 선율의 음계는 염불타령과 굿거리가 ‘솔-라-도-레-미’의 진경토리, ‘허튼타령’은 ‘라-도-레-미-솔’의 반경토리에 해당하는 5음 음계이다. 선율의 유형은 염불타령은 5가지, 허튼타령은 5가지, 굿거리는 4가지를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러한 선율유형을 반복적으로 사용하여 악곡을 구성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섯 째, 선율 구성의 특징을 알아보았는데 염불타령은 1979년에는 불규칙하며 1981년 이후는 규칙적으로 나타난다. 허튼타령은 시대와 상관없이 불규칙하며, 굿거리는 1979년도의 선율구성이 불규칙하게 나타나며, 1981년 이후에는 비교적 규칙적인 것을 알 수 있다. 일곱 째, 선율을 변주하는 방식을 알아보았다. 경과음 변주는 골격음의 앞 꾸밈음이나 뒷 꾸밈음을 사용하며, 리듬형 변주는 음 길이에 변화, 음의 생략, 음의 위치 변화 등을 이용한다. 선율의 확장과 축소에 의한 변주는 골격음을 반복하거나 길이를 늘려 확장하고, 골격음의 길이를 줄이거나 생략함을 통해 선율형을 축소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산대놀이 음악은 동일한 선율유형을 여러 방식으로 변주하여 음악의 다양성을 추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시대에 따라 선율의 구성이 열린 구조에서 닫힌 구조로 점차 정형화되었으며, 정형화된 선율 안에서는 경과음이나 리듬의 변주방식을 통해서 선율의 변화를 만들어내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논문은 산대놀이의 1979년 이후의 자료에 한하여 이루어져 그 이전의 음악형태에 대한 고찰이 아쉬움으로 남는다. 이 연구를 통하여 지금까지 고정된 선율로 인식되어온 산대놀이 반주음악에 대해 열려있는 구조로 재인식하길 바라며, 나아가 이러한 선율의 다양한 변주방식이 연행에 적극적으로 반영되어 생동감 있는 반주로 이어지길 기대해본다.

      • 가곡의 이음성(異音性) 연구 : 남창 계면조에 기하여

        임경미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684

        가곡(歌曲)은 현악기와 관악기로 편성된 실내악 규모의 반주에 맞추어 시조시(時調詩)를 노래로 부르는 성악곡으로, 조선후기 300여년간 대표적인 가창음악으로서 시조문학의 향유 도구가 되어 오늘날까지 이르렀다. 현행 가곡은 관현반주 편성을 갖춰 부르는 형식적 특징을 가지고 있는 음악으로, 노래와 관현반주 선율이 하나의 선율적 흐름 안에서 진행되며 그 선율 형태는 노래와 동일하기도 하고 서로 다른 특성을 나타내기도 한다. 본고에서는 이와 같은 특성을 이음성 개념으로 분석하여 가곡에 나타나는 이음성의 본질을 구명하고 가곡을 구조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에 남창가곡 계면조 악곡 13곡을 대상으로 노래의 선율을 기준 삼아 관악기군과 현악기군에 나타난 이음성의 형태를 유형화하여 비교하고, 악곡 속도에 따라 나타나는 이음성의 특징을 계열별로 분석하였다. 이음성은 가곡 전반에 걸쳐 다양한 방식으로 나타나는데, 이음성의 유형은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동일한 경우와 상이한 경우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동일한 경우에 나타나는 이음성 유형은 골격음을 단위로 하여 골격음 첨가형, 골격음 생략형, 골격음 변화형, 그리고 골격음 시가차이형 등 모두 네 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동일한 경우에 관악기군에서는 골격음 첨가형이, 현악기군에서는 골격음 생략형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상이한 경우에 나타나는 이음성 유형은 선율을 단위로 하여 장인시 변화형, 변화시 장인형, 진행방향 상이형, 진행방향 동일형, 진행방향 복합형 등 다섯 가지 유형으로 정리할 수 있다.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상이한 경우에 관악기군과 현악기군에서 공통적으로 다섯 가지 유형 중 장인시 변화형이 가장 많이 나타난다. 악곡 속도 면에서 볼 때, 롱·락 계열을 제외한다면 이음성은 느린 악곡에서 많이 나타나고 있는 반면에 빠른 악곡에서는 적게 나타나고 있다. 위와 같은 내용으로 보아 남창가곡 계면조는 노래와 반주 악기군 간 구조선율이 동일한 경우의 이음성이 주를 이루지만 관악기군과 현악기군에서 두드러지는 이음성 유형은 서로 다르다. 또한 롱·락 계열을 제외한다면 악곡 속도와 이음성의 연관성이 나타난다. 이음성에 관한 연구는 방대한 가곡의 변주선율 연구와 깊은 관련이 있는 분야로, 이러한 연구가 다양하게 이루어진다면 가곡의 이해에 많은 도움이 될 것으로 생각한다. Gagok is a vocal music that sings Sijo poetry in accord with the accompaniment of the chamber music, which is composed of wind and string instruments. It became a representative vocal music for 300 years in the late Joseon Dynasty, and has reached these days. Current Gagok has the formal characteristics of singing with the accompaniment of wind and string instruments, the melody of the song and the accompaniment instruments do not proceed to the same structural melody, but exhibit a unique quality that progresses to different characteristics in the melodious flow.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heterophony and to investigate the essence of heterophony in Gagok. So, this study analyzes the heterophony form of 13 pieces of Namchang(song for male) Gyemyonjo and categorizes it and examined the characteristics of Gagok by each series. Heterophony appears in a variety of ways throughout the Gagok, and the type of heterophony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case where the basic structure of melody between the song and the accompaniment musical instruments are different. When the basic structure melody between song and accompaniment musical instruments are the same, the type of heterophony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in a basic musical tone: addition type of the basic musical tone, omission type of the basic musical tone, variation type of the basic musical tone and time-value difference type of the basic musical type. When the basic structure melody between song and accompaniment musical instruments are the same, addition type of the basic musical tone appears most in the wind instruments group and omission type of the basic musical tone appears most in the string instruments group. When the basic structure melody between song and accompaniment musical instruments are the same, the type of heterophony can be classified into four types in a basic musical tone: basic musical tone added type, basic musical tone omitted type, basic musical tone changed type and basic musical tone with different time-value type. When the basic structure melody between song and accompaniment musical instruments are different, the type of heterophony can be classified into five types in a melody: type of melody change when the Jangin(a long duration of sound), type of the Jangin when the melody change, type with different direction of melody, type with same direction of melody and type with complex direction of melody. In terms of music speed, except for the Long and Rak series, the heterophony appears a lot in slow music, and less in fast music. In summary, Gagok of Namchang Gyemyenjo consists mainly of heterophony, which appears when the basic structure melody between the song and the accompaniment instrument is the same. And the main type of heterophony differs from wind instruments group to string instruments group. Also, except for the Long and Rak series, there is a correlation between the music speed and the heterophony. The study of the heterophony is a field that is deeply related to the study of the variational melody of large number of Gagok, and I think further study will be needed. And if these studies are conducted in various ways, it would be helpful to understand the Gagok.

      • 장진주와 여창가곡의 비교연구

        안정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84

        ≪장진주≫는 장진주사를 노랫말로 하는 성악곡으로, 오늘날 악보로 그 형태가 전해지며 가곡으로 분류되고 있다. ≪장진주≫는 두 차례에 걸쳐 나타나는 조성의 변화와 장단형의 변화가 특징적인 악곡이다. 본 논문은 김기수의 악보집에 수록 된 ≪장진주≫와 현전하는 여창가곡 88곡 중 ≪롱·락·편≫을 제외한 52곡의 구조선율을 비교하여 선율의 근원을 밝혀내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장진주≫와 여창가곡의 구조선율을 각각 같은 장을 놓고 비교하되, ≪장진주≫의 경우에는 그 특징이 3장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기 때문에 3장에서만 비교대상 범위를 동일한 장에 제한을 두지 않고 넓게 보았다. 비교 대상이 되는 모든 악곡은 각 대강 내에서 중심이 되는 음을 골격음으로 정하고 그 골격음의 진행인 구조선율을 파악하여 서로 비교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그 결과, ≪장진주≫의 구조선율은 전반적으로 이수대엽 계열 곡들과의 진행이 일치하거나 유사하게 나타났다. 초장은 ≪계면조 이수대엽≫ <언약이> 외 14곡, 2장은 ≪계면조 이수대엽≫ <황화원상> 외 8곡, 3장의 일각은 ≪계면조 이수대엽≫ <창오산붕> 외 1곡의 가곡에서 동일한 진행을 발견하였다. 특히 장단형의 변화가 나타나는 ≪장진주≫의 3장 반각의 확대 부분에서도 가곡에서 나오는 구조선율 진행이 축소 된 형태로 반복되고 있었다. 우조 부분에서 나타나는 선율형 두 가지는 각각 ≪우조 중거≫ <청조야> 외 9곡에서 유사한 진행을 보이거나, ≪우조 두거≫ <일각이> 외 5곡의 초장 초두에서 동일한 진행을 보였다. 계면조 부분에서 역시 두 가지의 선율에서 각각 ≪계면조 이수대엽≫ <언약이> 외 5곡의 초장 이두, ≪계면조 이수대엽≫ <황산곡> 외 5곡의 5장 일각 진행이 같음을 알 수 있었다. 이후 3장 일각의 확대 부분은 ≪계면조 이수대엽≫ <창오산붕> 외 1곡이 같고, ≪계면조 중거≫ <이화우> 외 3곡에서 유사한 진행을 보였으며, 이두에서는 ≪계면조 이수대엽≫ <창오산붕> 외 11곡의 가곡 3장 이두와 구조선율이 일치하였다. 또한 4장은 ≪계면조 이수대엽≫ <언약이> 외 21곡의 가곡에서 동일한 진행을 보이고, 5장의 반각은 ≪계면조 두거≫ <임술지> 외 1곡의 5장 일각에서 5박에 해당하는 선율이 확장된 형태로 나타났다. 나머지 5장의 일각과 이두는 ≪계면조 이수대엽≫ <언약이> 외 12곡과 비슷한 구조선율이었다. 본고는 여창가곡과 ≪장진주≫의 구조선율 비교를 통하여 서로 동일하거나 유사한 형태를 보이는 점을 밝힘으로써, ≪장진주≫가 여창가곡을 기반으로 새로이 구성된 악곡이라는 사실에 힘을 싣는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해 오늘날 가창자들의 ≪장진주≫에 대한 악곡의 이해를 돕고, 나아가 후에 가곡의 재창작과정을 위한 바탕 역할을 하는 데에 의의가 있다.

      • 가곡의 선율형 연구

        조수현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671

        본 논문은 전통가곡의 노래와 반주의 선율형에 대해 연구한 것으로, 관현 반주가 따르는 유일한 반주 형태를 가진 가곡의 선율형을 찾아 가곡은 몇 개의 선율형으로 구성되는 악곡이며, 어떠한 선율형으로 이루어지고 진행되는지에 대하여 밝힌 연구이다. 또한 노래와 관악기·현악기 선율형의 비교를 통하여 노래와 반주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보았다. 여창은 남창으로부터 나오고 계면조는 우조로부터 파생되었기 때문에 가장 기본이 되는 가곡인 남창 우조 초수대엽, 이수대엽, 중거, 평거, 두거, 삼수대엽, 소용이, 우롱, 우락, 언락, 우편의 총 11곡을 분석 범위로 삼았다. 연구 결과는 첫째, 노래와 관악기군·현악기군은 크게 10개의 선율형을 가지고 있으며, 노래와 관악기군·현악기군 모두에서 나타난다. 선율형은 어떠한 구조선율을 가지고 있는가에 따라 나뉘며, 각각의 선율형은 㑣-太, 黃-㑲-㑣, 仲, 潢-林-仲, 太, 太-㑣, 南-(林)-仲, 林-仲, 黃, 㑣-黃의 구조선율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10개의 선율형은 ①구조선율이 반복되거나, ②구조선율의 앞·중간·뒤에 어떤 음(太, 仲이 자주 사용됨)이 사용되기도 하며, ③종지 부분에 쓰이면서 어떠한 종지음이 쓰이는가에 따라 최소 1개에서 최대 8개의 세부적인 선율형으로 나뉜다. 선율형의 길이는 짧게는 2박에서부터 길게는 27박에 이르는 구조를 갖고 있고, 이러한 선율형은 각 악곡 안에서 최소 7개에서 최대 9개씩 사용된다. 둘째, 반주가 노래와 같은 선율형으로 진행하여 노래에 따른 관현군 반주의 선율형 변화가 많지 않은 곡은 초수대엽과 우편이다. 반면 반주가 노래와 다른 선율형으로 나뉘어 진행하여 노래에 따른 관현군 반주의 선율형 변화가 많은 곡은 다음과 같다. 두거, 소용이, 우락은 모든 부분(초장 초두 이하 5장 이두)에서 선율형이 나뉘므로 가장 변화가 많은 곡이고, 삼수대엽(9부분), 우롱(8부분), 이수대엽(7부분), 중거(7부분), 평거(7부분), 언락(7부분) 또한 노래에 따른 관현군 반주의 선율형 변화가 많다. 그러므로 남창 가곡 우조의 곡들은 반주가 노래의 선율형을 그대로 따르는 것이 아닌 변화된 선율형으로 진행함을 알 수 있다. 셋째, 선율형을 통한 노래와 반주와의 일치도를 관악기군과 현악기군의 군으로 나누어 비교해 보았다. 그 결과 관악기군이 노래의 선율형과 더 많이 일치하는 곡은 초수대엽, 이수대엽, 삼수대엽, 우롱, 우편이고, 현악기군이 노래의 선율형과 더 많이 일치하는 곡은 평거, 두거, 소용이, 우락, 언락이다. 중거는 관악기군·현악기군에서 비슷한 비율로 노래선율과 일치한다. 즉 관악기군의 선율형이 노래와 더 일치하는 곡은 5곡이고, 현악기군의 선율형이 노래와 더 일치하는 곡은 5곡으로 남창 가곡 우조의 곡들은 관악기와 현악기의 노래선율과 일치하는 정도가 비슷함을 알 수 있다. 넷째, 관악기와 현악기의 각 군 안에서 변화가 가장 적고 그 군의 선율형을 가장 충실히 따르는 악기는 관악기 중에서는 대금이고, 현악기 중에서는 가야금이다. 반대로 군을 벗어나 가장 변화가 많은 악기는 해금이고, 그 다음으로는 피리, 단소의 순으로 볼 수 있다. 현악기는 양금과 거문고가 비슷하였는데, 특히 양금은 현악기군을 벗어나 노래와 관군의 선율을 골고루 넘나드는 특징을 보임으로써 현군에 속해 있지만 보다 자유로운 진행을 가진 악기로 볼 수 있다. 이와 같은 결론으로 미루어 볼 때, 가곡은 10개의 선율형으로 이루어지고, 이들의 다양한 변화형을 포함한 선율형의 조합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선율형을 통한 비교에서 관악기군과 현악기군의 노래선율과의 일치도는 비슷하다.

      • 영산회상 선율의 구조와 특징 연구 : - 세령산, 가락덜이, 상현도드리를 중심으로 -

        이재원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70

        본 연구에서는 현악영산회상 중 세령산ㆍ가락덜이ㆍ상현도드리 선율을 분석하여 각 악곡의 골격선율과 선율구조를 밝혔다. 이를 통해 악기별ㆍ악곡별 선율 특징을 확인하고, 영산회상이라는 모음곡 안에서 선율의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방법은 골격음 분석 방법으로 정간 대표음 및 합주 대표음 판정, 골격음 추출, 골격선율 및 상이선율을 통한 선율구조를 확인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줄풍류 편성에서 대표적인 다섯 악기인 가야금ㆍ거문고ㆍ대금ㆍ피리ㆍ해금을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세령산ㆍ가락덜이ㆍ상현도드리의 악곡별 골격음 비율, 선율구조, 골격선율과의 일치율을 살펴보았다. 악곡별 골격음 비율을 분석한 결과 세령산은 총 56개의 골격음 중 僙이 6개, 㑖이 21개, 㑣이 17개, 㒇가 8개, 黃이 4개이다. 가락덜이는 총 40개의 골격음 중 僙이 4개, 㑖이 16개, 㑣이 10개, 㒇가 5개, 黃이 5개이다. 상현도드리는 총 72개의 골격음 중 僙이 4개, 㑖이 20개, 㑣이 19개, 㒇가 6개, 黃이 22개, 太이 1개이다. 선율구조를 분석한 결과 세령산ㆍ가락덜이는 가야금ㆍ거문고 위주로 각 장의 종지구에서 상이선율이 나타났으며, 상현도드리는 상이선율이 모든 악기에서 나타났다. 악기별 골격선율과의 평균 일치율은 세령산이 93.9%, 가락덜이가 99%, 상현도드리가 90.3%로 가락덜이가 가장 높다. 둘째, 세령산ㆍ가락덜이ㆍ상현도드리는 㑖, 㑣이 주요한 골격음인 가운데 상현도드리는 黃의 비율 또한 높으며, 세 악곡 안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골격선율임에도 다양한 선율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앞선 분석을 토대로 비교해본 결과 세령산ㆍ가락덜이ㆍ상현도드리는 㑖, 㑣이 주요한 골격음으로 구성되어있으며 㑀는 골격음으로 나타나지 않는다. 이는 영산회상이라는 모음곡에 속한 악곡으로서 공통점으로 보여진다. 다만 상현도드리에서만 골격음 黃의 비중이 높아 전반적으로 음역의 상승이 일어났음을 알 수 있다. 세령산ㆍ가락덜이ㆍ상현도드리에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㑣-㑖-㑖 / 㒇-㑖-㑣 / 㑣-黃-㑣 세 골격선율을 비교 분석하여 세부적인 선율 차이에 의해 다양한 음악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세령산은 주로 골격선율보다 아래 음역을 활용하며, 가락덜이는 골격선율과 대부분 일치하고, 상현도드리의 경우 현악기와 관악기의 특징이 구분되었으며 골격선율 위ㆍ아래 음역을 활용하여 다채롭게 선율을 형성한다. 셋째, 악기별 비골격음을 분석한 결과 현악기와 관악기로 나뉘어 나타나는 특징, 특정 악기만 사용하는 비골격음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악기적 특성으로 볼 수 있는 비골격음으로 거문고는 문현인 㣴이 있고, 가야금은 한 옥타브 아래 음인 㣡ㆍ㣩 등이 있다. 넷째, 악곡별 비골격음을 분석하여 가락덜이는 세령산에 비해 현악기 선율이 단순화되었으나 관악기는 단순화되지 않았고, 세령산과 상현도드리 두 악곡에 동일하게 나타나는 골격선율에서 비골격음의 양상으로 인해 다른 선율을 형성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를 통해 세령산에서 가락을 덜어 만들어졌다는 가락덜이의 형성 배경이 현악기 선율 측면에서는 일치하나 관악기 측면에서는 일부 일치하지 않는 점을 알 수 있었으며, 앞서 같은 골격선율에서 나타나는 다양한 선율이 비골격음 양상에 따른 것임이 설명되었다. This study analyzed the melodies of Seryeongsan, Garakdeori, and Sanghyeondodeuri in the Yeongsanhoesang collection and revealed each song's skeletal melody and melody structure. Through this,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lody by instrument and music were confirmed, and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of the melody were examined in the Yeongsanhoesang. This research method consists of determining the representative tones of Jeonggan and the ensemble, extracting the representative tones, and checking the melody structure through the skeletal melody and different melodies as a skeletal tone analysis method. The subjects of the study are Gayageum, Geomungo, Daegeum, Piri, and Haegeum.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analyzed the similarity rate with the skeletal tones, melody structure, and skeletal melody of each of the three songs.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atio of the skeletal tones by music, Seryeongsan has a total of 56 skeletal tones, with six 僙, twenty-one 㑖, seventeen 㑣, eight 㒇, and four 黃. Garakdeori has a total of forty skeletal tones, with four 僙, sixteen 㑖, ten 㒇, five 㑣, and five 黃. Sanghyeondodeuri has a total of seventy-two skeletal tones, with four 僙, twenty 㑖, nineteen 㑣, six 㒇, twenty-two 黃, and one 太, respective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melody structure, the different melodies were observed mainly on string instruments in Seryeongsan and Garakdeori, and in Sanghyeondodeuri, all instruments showed different melodies. The average similarity rate with the skeletal melody rate according to the instrument is 93.9% in Seryeongsan, 99% in Garakdeori, and 90.3% in Sanghyeondodeuri. Second, the analysis results show that 㑖 and 㑣 are the main skeletal tones of Seryeongsan, Garakdeori, and Sanghyeondodeuri. In addition, 黃 also appears at a high rate in Sanghyeondodeuri, which shows a rise in the tone range. Furthermore, the same skeletal melody was found in the three songs through analysis. However, their detailed melodies were differe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auxiliary tones of each instrument, the characteristics of being divided into string and wind instruments and the auxiliary tones using only specific instruments were found. As auxiliary tones that can be seen as instrumental characteristics, Geomungo has 㣴, and Gayageum has 㣩 and 㣡. Fourth, as a result of analyzing each song's auxiliary tones, the melody of string instruments was simplified for Garakdeori, compared to Seryeongsan, but the wind instruments were not.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 different melody through the aspect of the auxiliary tones in the same skeletal tones as Seryeongsan and Sanghyeondodeuri. The previous contents discovered that the background of the formation of Garakdeori, which was made by removing the melody from Seryeongsan, coincides in terms of string instruments but not in part with wind instruments, and it explains that auxiliary tones influenced the various melodies in the same skeleton melody.

      • 양주별산대놀이 반주 음악 연구 : 1960년대 피리 선율을 중심으로

        박진형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67

        본고에서는 로버트 가피아스의 자료를 통하여 1960년대 양주별산대놀이 반주 음악을 살펴보았다. 피리를 중심으로 장단과 선율, 그리고 선율구조를 연구하였으며, 또한 현행 반주 음악과 비교해보았다. 그 내용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료의 과장명을 밝혔다. 그리고 반주에 사용된 장단 중 5박 장단은 현행 <염불> 장단에 해당하고, 4박 장단은 현행 <타령> 장단에 해당함을 밝혔다. 둘째, 각 음악에서 나타나는 음군을 찾아내고 그 기능을 밝혔다. <염불>은 ‘라솔 음군’, ‘도솔 음군’, ‘레솔 음군’, ‘미솔 음군’, ‘레미 음군’, 그리고 ‘(레)도솔 음군’, ‘(미레)도솔 음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리고 <타령 I>은 ‘레미 음군’, ‘레솔 음군’으로, <타령 II>는 ‘도솔 음군’, ‘미솔 음군’으로 이루어져 있다. 셋째, 음군에 따른 선율구조를 분석하고, 단락 형성원리를 밝혔다. <염불>은 ‘라솔 음군’이 단락을 시작하고, ‘도솔 음군’, ‘레솔 음군’, ‘미솔 음군’이 선율을 형성하며, ‘레미 음군’이 단락을 마친다. <타령 I>은 ‘레미 음군’이 단락을 시작하고 ‘레솔 음군’이 선율을 구성하며, 다시 ‘레미 음군’이 단락을 마친다. <타령 II>는 ‘도솔 음군’과 ‘미솔 음군’이 선율을 형성하며, 다른 기능의 음군은 없다. 넷째, 현행 반주 음악과 비교하여 공통점과 차이점을 살펴보았다. 장단은 빠르기는 달랐으나 형태는 유사하다. 염불 장단 반주 음악에서 공통적으로 ‘라솔 음군’, ‘도솔 음군’, ‘레솔 음군’, ‘레미 음군’, ‘(레)도솔 음군’이 나타났다. 또한 두 음악의 구조에서도 공통점이 나타났다. 이처럼 1960년대 양주별산대놀이 반주 음악을 연구하여 선율의 특징과 구조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현행 반주 음악과의 비교를 통해 두 음악의 밀접한 연관성을 확인하였다. 1960년대 양주별산대놀이 반주 음악은 치밀하고 완성도 있는 구성을 가진 음악이며, 현행 반주 음악과 많은 공통점이 나타난다. A Study of the Accompaniment for Yangju Byeolsandae Nori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1960s accompaniment for yangju byeolsandae nori using Robert Garfias’ archival collection. I examine its jangdan (rhythmic pattern), melody, and melodic structure focusing on piri and compare this to the current accompaniment. The results are following. First, I investigate the section found in the collection. Among the jangdan used in the accompaniment, 5-beat jangdan corresponds to the current <yeombul> jangdan while the 4-beat jangdan corresponds to the current <taryeong> jangdan. Second, I examine tonal groups in each piece and their roles. <Yeombul> consists of ‘la-sol,’ ‘do-sol,’ ‘re-sol,’ ‘mi-sol,’ ‘re-mi,’ ‘(re)-do-sol,’ and ‘(mi-re)-do-sol’ tonal groups. <Taryeong I> consists of ‘re-mi’ and ‘re-sol’ tonal groups, and <Taryeong II> consists of ‘do-sol’ and ‘mi-sol’ tonal groups. Third, I analyze melodic structures in regard to tonal groups and show how each section was formed. In <Yeombul>, ‘ra-sol’ tonal group opens a section, ‘do-sol,’ ‘re-sol,’ and ‘mi-sol’ tonal groups form a melody, and ‘re-mi’ tonal group ends the section. In <Taryeong I>, ‘re-mi’ tonal group opens a section, ‘re-sol’ tonal group forms a melody, and ‘re-mi’ tonal group ends the section. In <Taryeong II>, ‘do-sol’ and ‘mi-sol’ tonal groups form a melody and there are no other tonal groups playing different roles. Fourth, I compare the 1960s accompaniment to that of the present and demonstrat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Although the tempo of jangdan is different, its pattern is similar. In the accompaniment for <Yeombul>, ‘la-sol,’ ‘do-sol,’ ‘re-sol,’ re-mi,’ and ‘(re)-do-sol’ tonal groups are used in common. Also the structures of the two are similar. In conclusion, I investigate the characteristics of melody and its structure of the accompaniment for 1960s yangju byeolsandae nori. The accompaniment for yangju byeolsandae nori in the 1960s had a neatly organized structure and shows many similarities with the current accompanimen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