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모형개발 및 검증과정에서 측정구조의 동치성 확인 방법 개발

        정현주 성균관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34319

        본 연구는 복잡한 이론모형을 검증할 수 있고, 측정변수와 이론변수(또는 잠재변수)를 동시에 포함할 수 있는 유용한 구조방정식모형의 한계점 가운데 하나로 지적되는 모형동치성(model equivalence) 문제를 다루고 있다. 동치모형이란 내용상 인과구조(causal structure)가 상이한 모형 간에 동일한 재생산(implied 또는 reproduced) 공분산행렬이 산출되는 경우로 정의된다. 따라서 동치인 모형들은 이론적으로는 매우 다른 자료의 해석을 의미하지만, 합치도 지수(fit index)의 값이 동일해서 경험자료에 합치시켰을 때 통계적으로는 비교가 불가능하다. 구조방정식모형에서 이론모형의 동치에 대해서는 이미 많은 연구가 있고, 이론모형을 중심으로 동치모형을 유도하는 실용적 규칙도 있다(이순묵, 1992, 2007; Lee, 1987; Lee & Hershberger, 1990; Hershberger, 1994, 2006; Stelzl, 1986). 그러나 측정모형에 대한 동치성 연구는 상대적으로 부족하여 동치모형 분석 및 검토 방법을 살펴보고, 경험연구에 연구자가 손쉽게 적용하기 위한 실질적인 방식을 제시하고자 한다. 먼저 서론에 이어 이론적 배경에서 구조방정식모형의 개념 및 가정과 모형을 나누는 두 부분인 이론모형과 구조모형에 대해 살펴보고, 동치모형의 정의와 문제점 및 동치모형 생성방법, 이론구조 및 측정모형에서 동치모형을 찾는 방법에 대해 다루었다. 다음으로, 측정모형에서 동치모형을 찾는 방식을 제시하고, 방식의 타당화를 위해서 모수도상화 및 시뮬레이션 연구 방법에 의해 측정모형의 동치성 분석 과정을 제시하고, 제시한 방식을 동치성 문제가 발생한 실제 경험 연구에 적용하여 측정모형의 동치성을 검토하였다. 최종적으로, 본 연구에서 측정 및 이론모형이 포함된 구조방정식모형에서 동치모형을 생성하거나 검증하기 위한 방법으로 1) 이론모형과 측정모형 전체로서 JID인 모형 간 동치성, 2) 사각구조의 모형과 사각구조보다 요인수효가 1개 증가한 직각구조 모형 간 동치성, 3) 사각구조 모형과 동일한 요인수효가 유지되는 변수복잡도 1 이상인 직각구조 모형 간 동치성, 4) 1차 요인 간 상관이 있는 모형과 하나의 2차 요인이 있는 모형 간 동치성, 5) 측정오차 간 상관이 있는 모형과 측정오차 간 상관이 요인으로 재모수화된 직각구조 또는 사각구조의 모형 간 동치성, 6) JID가 아닌 모형에서 JID 구획을 정의한 후, 그 구획에서의 변화에도 불구하고 모형 간 동치가 발생함을 타당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타당화된 방법을 활용하여, 연구의 전과 후에 동치모형에 대한 고려를 할 필요가 있다. 연구 시작 전에는 해석상 경쟁이 되는 동치모형들을 고려해보고 적절성을 평가하여 내용상 부적절한 모형을 배제할 수 있다. 또한 자료분석의 결과로 합치도가 높은 모형을 구한 경우에도 그에 대한 동치모형들을 검토함으로써 고려하지 못했던 새로운 이론적 가설을 개발할 수 있을 것이다.

      • 구조방정식모형(SEM)을 활용한 중국 이혼율 영향 요인 분석 연구

        후, 샤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34303

        본 연구는 세계 최대 인구 보유국인 중국이 최근 이혼 문제로 고심하고 있는 점을 고려해 급격하게 증가하고 있는 이혼율에 영향을 미치는 구체적인 요소를 파악하고자 하였다. 1987년 0.5(, 1000명당 이혼 건수)였던 중국의 조이혼율(이하 이혼율로 통칭)은 2019년 3.4로 17년 연속 상승하고 있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중국의 이혼율에 관한 연구는 다양하게 진행되어 왔으나 구조방정식 모형을 활용한 연구는 다소 미흡한 상태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중국 전체 지역을 기준으로 이혼율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 난 후 지역별로 이혼율 분포를 파악하여 이혼율이 높은 지역, 평균인 지역, 낮은 지역 간 이혼율 상승 원인과 지리적인 차이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National Bureau of Statistics of China, Global Data Lab 그리고 CEI Data의 오픈 자료로부터 중국의 2001년부터 2019년까지의 이혼율, GDP, 소비수준, 여성 수입 및 교육수준, 출산율 등의 총 12개 변수를 주관적으로 선택하였고, 기술통계분석, 다변량 분산분석(MANOVA)과 프로파일 분석(profile analysis, PA)을 통해 이혼율이 높은 지역(헤이룽장성:黑龍江), 평균 지역(산시성:陝西), 낮은 지역(광둥성:廣東)총 3개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확인하였다. 그리고 탐색적 요인분석과 다중 회귀분석을 통해 이혼율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했다. 끝으로 구조방정식 모형분석에서 이혼율이 높은 헤이룽장성과 평균인 산시성, 낮은 광둥성 간에 경제사회 개발화 특성 및 현대가족 특성이 이혼율과 출산율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여 결론을 내리고자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언급된 영향 외에도 이혼율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여러 가지 있을 것으로 여겨진다. 중국 통계 집계 특성상 최근 년도 자료를 활용하지 못했고 2021년 1월 중국 정부의 이혼 숙려제도 도입 후 이혼율에 또 다른 요인변수가 영향을 미쳤을 수도 있기에 이 제도의 도입 전후로 이혼율의 영향은 추후의 과제들에서 다루어지게 되기를 기대한다.

      • 스쿠버다이빙 참여에 대한 의사결정과정 연구 : MGB와 여가제약-협상모형의 적용

        임재필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4301

        Scuba diving is an adventurous recreational activity that is growing rapidly worldwide (Musa, Kadir, & Lee, 2006; Ong & Musa, 2012). This marine sport is also gaining popularity in South Korea, thanks to its rich marine environment and geographical conditions, which are becoming increasingly favorable for scuba diving activities due to the warming sea temperatures resulting from climate change (Kim, Heonil, 2011).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scuba diving activities is also increasing, thereby necessitating studies on the decision-making process and behavioral intentions of the scuba diving participants. The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al is a model that involves enthusiasm and emotional elements, such as positive anticipated emotions and negative anticipated emotions, in the preceding variables (e.g., attitude, subjective norm, and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of the planning behavior theory (Bagozzi, 1992; Perugini & Bagozzi, 2001). This model has proven its excellence in a variety of empirical studies in the field of social psychology (Carrus et al., 2008). Therefore, the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MGB) was applied in this study in order to identify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participants in scuba diving activities. This study is aimed at clarifying the constraints that interfere with the participation in scuba diving activities by applying the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LCN) model, and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se constraints and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s. Towards this end, the author aims to identify the decision-making process of the participants in scuba diving activity by applying an integrated model that incorporates the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LCN) model and the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MGB). What differentiates this study from the previous studies, in particular, is that it tried to grasp the decision-making process by applying an integrated model combining the two models. In order to accomplish the purpose of this study, the author conducted a survey for the Koreans who experienced scuba diving more than once from November 17, 2017 to November 21, 2017 by commissioning Korea Research, an online research company, to conduct the survey. Additional surveys were conducted during the same period via social network services on professional scuba divers with a diving certificate. A total of 559 copies of the questionnaires were retrieved, including 352 copies that were collected via Korea Research and 207 copies from professional divers. Next, frequency analysis and descriptive statistics analysis were conducted for all measured variables in order to check if there is any abnormality in the collected data. Reliability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ere also conducted in order to confirm the reliability and validity of the data. In addition, 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the validity of the discrimination between constituting concepts, and it was followed by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nalysis in order to test the hypotheses through structural relationships between potential variables. These results were used to validate the model incorporating the extended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EMGB) and the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model (LCN). The analysis revealed that subjective norms, perceived behavioral control, positive anticipatory emotions, and negative anticipatory emotion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the aspiration of the participants for scuba diving. On the other hand, intrinsic constraints and structural constraints, which restrict participation in scuba diving activities, were proven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negotiations. On the other hand, interpersonal constraints did not have any influence on the negotiation. In addition, the desire of the participants to engage in scuba diving activities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negotiation, whereas the participants in the scuba diving activity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behavioral intent through negotia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pport the validity of the integrated model that incorporates the model of goal-directed behavior (MGB) and the leisure constraints negotiation (LCN) model in explaining the behavioral intention of skin scuba diving.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Therefore, it may be possible to turn positive anticipatory emotions about potential scuba diving into an aspiration if one promotes positive emotional responses to scuba diving by providing them with an opportunity to experience scuba diving indirectly through VR software development that allows people to virtually experience scuba diving, and by implementing concerted marine environment cleanup campaigns (removal of disposed fishing nets and star fishes) in cooperation with fishermen on a regular basis. In addition, the author would like to propose the building of scuba diving pools in the downtown area in order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scuba diving sites that are hardly accessible physically. It is also necessary to complement and improve the existing facilities that make up the scuba diving resort.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have comfortable shower rooms, sufficient hot water supply, and personal diving equipment lockers. Another way to expand the popular base of scuba diving is to regularly hold underwater photoshoot events, underwater hunting competitions, and ice diving for scuba divers, as well as hold annual scuba diving festivals in specific areas. If such festivals host various events, such as underwater breathing or fin swimming competitions, it will contribute to raising the aspiration for scuba diving by strengthening the positive attitude of the participants toward marine sports. 모험적 여가활동으로서의 스쿠버다이빙(Scuba diving)은 전 세계적으로 크게 성장하고 있는 레포츠로서 국제적으로 빠르게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Musa, Kadir, & Lee, 2006; Ong & Musa, 2012). 또한 국내에서도 풍부한 해양조건과 기후변화로 인한 온난화로 스쿠버다이빙 활동에 더욱 유리한 지리적 여건을 갖추고 있다(김헌일, 2011). 더불어 스쿠버다이빙 활동 참여자들의 인구도 증가하고 있는 현실이다. 따라서 이에 따른 그들의 행동의도에 대한 의사결정과정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다. 목표지향적 행동모형은 계획행동이론의 선행변수(태도,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들에 열망과 함께 감정적 요소인 긍정적 예기정서(Positive anticipated emotion)와 부정적 예기정서(Negative anticipated emotion)를 포함한 모형으로(Bagozzi, 1992; Perugini & Bagozzi, 2001) 사회심리학 분야의 다양한 실증연구에서 그 우수성이 입증되었다(Carrus et al., 2008).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목표지향적 행동모형(MGB)을 적용하여 스쿠버다이빙 활동 참여자들의 의사결정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또한 스쿠버다이빙 활동 참여를 방해하는 제약요인은 무엇인지를 여가제약-협상(LCN)모형을 적용하여 규명하고 이러한 제약요인들과 여가제약협상 간에는 어떠한 영향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고자 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목표지향적 행동모형(MGB)에 여가제약과 여가제약-협상(LCN)모형을 추가한 통합모형을 적용하여 스쿠버다이빙 활동 참여자들의 의사결정과정을 규명하고자 한다. 특히 본 연구에서 두 모형을 통합한 모형을 적용하여 의사결정과정을 파악하고자한 것은 기존의 선행연구와는 차별화되는 점이라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온라인조사업체인 한국리서치에 의뢰하여 스쿠버다이빙을 1회이상 경험한 내국인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17일 ∼ 11월 21일 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아울러 스쿠버다이빙 자격증을 소지한 전문가 집단에도 SNS를 통하여 같은 기간에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확보한 설문지 부수는 한국리서치에서 352부, 전문가 집단에서 207부로 총 559부를 회수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이상 유.무를 확인하기 위하여 모든 측정변수의 빈도분석 및 기술통계분석을 실시하였고, 신뢰성과 타당성 확인을 위해 신뢰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구성개념 간의 판별타당성을 평가하기 위하여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잠재변수들 사이의 구조관계를 통해 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구조방정식모델링(SEM) 분석을 실시하여 확장된 목표지향적 행동모형(EMGB)과 여가제약-협상 모형(LCN)을 통합한 모형을 검증하는 데 이용하였다. 분석 결과 주관적 규범, 지각된 행동통제, 긍정적 예기정서, 부정적 예기정서가 열망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쿠버다이빙 활동 참여를 제약하는 내재적 제약과 구조적 제약은 협상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대인적 제약은 협상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스쿠버다이빙 활동에 참여하고 싶은 열망은 협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스쿠버다이빙 활동 참여자들은 협상을 통하여 행동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스쿠버다이빙 행동의도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목표지향적 행동모형(MGB)과 여가제약-협상(LCN)모형을 추가한 모형의 타당성이 지지되어 대부분의 연구 목적이 달성되었다. 본 연구의 실무적 시사점을 요약하면 스쿠버다이빙 활동 참여자들에게 VR(Virtual reality)을 통한 가상현실 체험을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개발하여 간접적으로 스쿠버다이빙을 경험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정기적으로 어민들과 협력하여 폐그물과 불가사리 수거 활동 등과 같은 프로그램을 실시하여 스쿠버다이빙에 대한 긍정적인 정서를 고취시킨다면 잠재된 스쿠버다이빙에 대한 긍정적 예기정서를 열망으로 발전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물리적으로 접근성이 좋지 않은 스쿠버다이빙 장소의 한계성을 극복하기 위하여 스쿠버다이빙 전용풀장을 도심구역 내에 건립하는 방안을 제안하고자 한다. 다른 한편으로는 스쿠버다이빙 리조트를 구성하는 관련시설들의 보완 및 개선이 요구된다. 즉, 쾌적한 샤워장과 풍부한 온수공급, 개인장비 보관함 등이 이에 해당된다. 또 다른 측면의 스쿠버다이빙의 저변확대 방안을 살펴보면 스쿠버다이버들을 위한 수중촬영 대회나 수중사냥 대회, 아이스다이빙 등을 정규화 하고 특정지역에서 해마다 스쿠버다이빙 축제를 개최하는 것이다. 축제에서는 수중에서 숨 참기, 핀 수영대회 등의 다양한 이벤트를 선보인다면 스쿠버다이빙에 대한 태도를 강화시켜 열망을 형성하는데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주제어: 스쿠버다이빙, 목표지향적 행동모형(MGB), 여가제약-협상모형(LCN), 구조방정식모델링(SEM) 분석

      • 웹기반 문제중심학습(e-PBL) 교수설계와 효과 분석

        류은수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박사

        RANK : 234300

        인터넷이 보급된 이후 정보통신기술의 고도화와 첨단 테크놀로지의 급격한 발달은 새로운 정보와 지식의 양을 급속하게 증가시켜 지식기반 융·복합 사회로의 체제를 굳건히 만들어 가고 있다. 지식기반 융·복합 사회에서 전통적 교수-학습 방법은 더 이상 학습자의 문제해결능력 향상에 도움을 주기 어렵다. 이런 이유로 최근에는 전통적 교수-학습 방법을 대신할 수 있는 수업방법으로 학습내용의 깊은 이해와 고차원적 사고능력을 향상시키는 문제중심학습(problem based learning: PBL)이 다양하게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PBL의 많은 장점과 교육적 효과에 대한 긍정적인 측면에도 불구하고, 한편으로는 시·공간적 한계와 인적·물적 자원의 어려움이 있어 실제 교육현장에서 PBL 수업방식을 확대·적용하는 것은 쉽지 않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PBL 수업과정 운영에서 발생하는 교수자의 부담과 PBL 수업방식에서 요구되는 학습단위·동시성·순환성 등의 환경적인 제한점을 극복하고자 e-learning과 면대면 PBL을 결합시킨 수업모형인 웹기반 문제중심학습(electronic-problem based learning: e-PBL)을 제안한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우선 온라인 학습 환경에서 학습자의 능동적인 참여와 활발한 인지적 작용을 이끌어 내는 문제해결 중심의 e-PBL 교수설계를 하고, 체제적 교수설계 이론인 ADDIE 모형을 기반으로 학습자의 수준이나 역할에 따른 학습내용과 학습활동을 제공할 수 있는 e-PBL 실행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다음으로 e-PBL 실행 프로그램을 경험한 I-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e-PBL 교수-학습 설계모형이 ARCS 학습동기 모형을 매개로 학습자의 수업만족도와 성과인지도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에 관련 있는 변인을 확인하고, 이 변인들 간에 어떠한 관계와 영향이 있는가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우선 부산 소재의 I-의과대학 의학과 1~2학년 198명을 연구대상으로 질문지를 실시하였으며, 측정도구는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구성요인과 문항을 수정?보완하여 개인배경 이외에 10개의 하위영역에 대해 5점 척도로 구성된 58개 문항을 개발하고, 최종 29개 문항을 관측변수로 사용하였다. 다음으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중심으로 구성요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confirmatory factor analysis: CFA)을 통해 관련 변인들 간의 미치는 영향과 효과를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연구모형의 적합도 평가와 표준화 경로구조도 분석을 통해 독립변인인 e-PBL 교수-학습 설계모형과 종속변인으로 사용된 수업만족도와 성과인지도 사이에서 ARCS 학습동기 모형의 매개효과(직접효과와 간접효과)를 확인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측정도구의 구인타당도는 양호하게 나타났으며 신뢰도 검증결과 Cronbach’s α도 0.934로 매우 높게 나타났다. 또한, 측정모형의 타당화를 위한 개념신뢰도와 분산추출지수 역시 기준값을 충족하였다. 둘째, 제안한 연구모형의 구성변인 간 상관분석 결과 e-PBL 수업 환경에서 ARCS 학습동기 모형의 모든 요인에서 유의하고 정적인 상관이 있었다. 다음으로 e-PBL 수업 환경에서 수업만족도와 성과인지도 역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하고 정적인 상관이 있었으며, 특히 문제해결력과 성과인지도 요인은 높은 상관관계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ARCS 학습동기 모형과 수업만족도 및 성과인지도 또한 모든 요인에서 유의하고 높은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e-PBL 수업 환경에서 ARCS 학습동기 모형을 적용했을 때 학습자의 수업만족도와 성과인지도가 함께 향상되는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연구모형의 요인구조를 검증하고 적합도 평가를 위해 구조방정식 모형의 확인적 요인분석(CFA) 결과 10개의 요인(학습목표 인지도, 협력학습역량, 문제해결력, 비판적 사고력, 주의력, 관련성, 자신감, 만족감, 수업만족도, 성과인지도)으로 구성된 연구모형의 적합도는 Q=1.913, RMR=0.054, SRMR=0.063, GFI=0.830, RMSEA=0.056, IFI=0.929, TLI=0.921, CFI=0.928로 ARCS 학습동기 모형을 매개로한 I-의과대학 e-PBL 수업의 수업만족도와 성과인지도 간의 구조적 관계에 관한 연구모형은 적합한 것으로 평가된다. 넷째, 연구모형의 측정변인과 잠재변인 간의 인과관계를 알 수 있는 표준화·비표준화 경로계수, C.R(critical ratio)값, P값으로 분석해본 결과 e-PBL 교수-학습 설계모형에서 ARCS 학습동기 모형을 매개로 수업만족도와 성과인지도 관련요인 및 변인간 관계는 전반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독립변인인 e-PBL 교수-학습 설계모형과 종속변인으로 사용된 수업만족도와 성과인지도 사이에서 ARCS 학습동기 모형의 매개효과 분석 결과 간접효과의 유의성 및 그 영향력을 알 수 있는 표준화 경로계수, 붓스트래핑(bootstrapping)의 BC법을 이용한 P값을 통해 완전 매개효과를 나타내고 있음을 검증하였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e-PBL 환경에서 학습자의 수업만족도와 성과인지도를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ARCS 학습동기 모형 중심의 e-PBL 교수-학습 모형의 설계가 중요하다는 것을 시사해주며, 실제 교육현장에서 면대면 PBL 수업의 한계를 극복하고 e-PBL 수업방식의 적용과 확산의 근거를 마련하는데 의의가 있다. 따라서 의학교육용 e-PBL 프로그램이 향후 의과대학뿐만 아니라 e-PBL 교수-학습 방법을 도입하려는 다른 단과대학의 교육에도 시사점을 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가 수업태도를 매개로 학업적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Zhao, Runze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4298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rapidly changing the industrial structure of mankind and even some jobs can be replaced directly by artificial intelligence. A new challenge facing education in response to these changes is to foster talent with core competencies in the future of the 21st century. As a result, learners are required to have a high self-efficacy, and at the same time, teachers are required to have high level of expertise. In addition, prior research has already demonstrated that the formation of positive relationships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predicts various learner outcomes and changes, such as their adaptation to school, participation in classes, and even self-efficacy. In China, however, there is a lack of research on the link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 in elementary schools and students' self-efficacy. This study seeks to use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SEM) to analyze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tudent relationship', 'class attitude', and 'academic self-efficacy' regarding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current research addresses the following questions: 1. How does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Chinese elementary schools affect students’ class attitude? 2. How does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Chinese elementary schools affect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3. How does the class attitude of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affect their academic self-efficacy? 4. How does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Chinese primary schools affect students’ academic self-efficacy by mediating their class attitude ? To solve these research problems, it was conducted analysis of prior research and developed measurement scales on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and the 'class attitude', and 'academic self-efficacy' of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interviews with students, plot test, and discussion among experts.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Scale' consists of three sub-factors: 'Intimacy', ' Teaching Capability', and 'Understanding and Empathy', 'the Class Attitude Scale' consists of three sub-factors: 'Favorability', 'Participation', and 'Importance’,‘the Self-Efficiency Scale' consists of two sub-factors: 'Self-confidence' and 'Self-direction'. All three scales showed good reliability(Cronbach' α) and good construct validity. The subject of the study was 472 fifth and sixth graders in four elementary schools in Beijing, China. A total of 450 students were finally selected for analysis after removing the data of respondents who did not respond to the questionnaire or gave insincere answers. To check the causa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test was conducted in April 2020, after which the 'class attitude' test was conducted two weeks later (early May),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test was conducted two weeks later (mid-May) afterwards.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f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students’ class attitude.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for the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 on the class attitude of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771,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Second,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f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for the effect of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of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s .423,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Third, the class attitude of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for the influence of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class attitude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is .529,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Fourth,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of Chinese elementary school students has been shown to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through the medium of the class attitude. The analysis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shows that the indirect effects of teacher-student relations in Chinese elementary schools on academic self-efficacy through the medium of class attitude are standardized.408,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Also, the standardizing factor for the direct effect of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Chinese elementary schools on the academic self-efficacy is .423, and the standardized coefficient for total effects was 1.831,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1). In other words, the attitude of teaching was found to be the partial mediator between the other two variables. Thus,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Chinese elementary schools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class attitude and the academic self-efficacy, and the class attitude is the mediator between the other two variables.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teacher-student relationship in Chinese elementary schools and the class attitude are key elements for improving the academic self-efficacy. Therefore, elementary school students in China can only have high academic self-efficacy if they have a positive class attitude and enjoy a good teacher-student relationship. 제4차 산업혁명으로 인해 인류의 산업 구조가 급속하게 변화하고 있으며 심지어 일부 직업은 인공지능으로 직접 대체되는 경우도 있다. 이와 같은 급속한 변화에 따라 교육이 직면한 새로운 도전은 21세기에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적 미래인재를 키우는 것이다. 이에 따라 학습자들에게 높은 자아효능감이 요구되고 있고, 동시에 교사에게 높은 수준의 전문성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더해, 교사와 학습자 간 긍정적인 관계 형성이 학생의 학교적응이나 수업참여, 나아가 자아효능감과 같은 다양한 학습자 특성에 영향을 미친다는 점 또한 선행 연구에 의해 이미 입증되었다. 그러나 중국에서는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와 수업태도 등이 학생의 자아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이 연구는 구조방정식 모형(SEM: Structural Equation Modeling)을 사용하여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 ‘수업태도’, ‘학업적 자아효능감’ 간의 인과관계를 경험적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는 수업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는 학업적 자아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중국 초등학생의 수업태도는 학업적 자아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관계는 수업태도를 매개하여 학업적 자아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이러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연구 분석, 초등학생과의 면담, 예비검사, 전문가 검토 등을 통해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 ’수업태도’, ’학업적 자아효능감 척도’를 개발하였다.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 척도’는 ‘친밀감’, ‘유능감’, ‘이해공감’의 3 가지 하위 요인으로 구성하였으며, ‘수업태도 척도’는 ‘호감도’, ‘참여도’, ‘중요도’의 3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하였고, ‘학업적 자아효능감 척도’는 ‘자기신뢰’, ‘자기조절’의 2가지 하위 영역으로 구성하였다. 세 척도 모두 신뢰도(Cronbach’ α)와 구인 타당도가 양호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대상은 중국 베이징시 4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 472명이었다. 변인 간의 관계를 확인하기 위해 2020년 4월에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 검사를 실시하였으며, 5월 초에 ‘수업태도’ 검사를 실시하였고, 5월 중순에 ‘학업적 자아효능감’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 중 설문지에 응하지 않았거나 부분적으로 불성실한 응답자를 제외하고, 최종적으로 분석 대상이 된 학생은 총 450명이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는 수업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가 수업태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771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둘째,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는 학업적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가 학업적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423으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셋째, 중국 초등학생의 수업태도는 학업적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 중국 초등학생의 수업태도가 학업적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표준화 계수는 .529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넷째,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는 수업태도를 매개로 학업적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조방정식 모형의 분석 결과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가 수업태도를 매개로 학업적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간접효과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408로,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또한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가 학업적 자아효능감에 미치는 직접효과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423이었고, 총효과에 대한 표준화계수는 .831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p<.001). 즉 수업태도가 두 변인을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요컨대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가 수업태도를 매개로 학업적 자아효능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수업태도가 두 변인을 부분 매개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중국 초등학생이 지각한 교사-학생 관계와 수업태도가 학업적 자아효능감 향상을 위해 매우 중요하므로 중국 초등학교에서 긍정적인 교사-학생 관계와 수업태도를 유지 · 발전시키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시사한다.

      • 지적직공무원의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임거배 청주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4283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turnover management of organizations with cadastral officials. It is done by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To that end, the following four major research questions of this study are: What is turnover intention?; What are the different types and functions of turnover intention?; What factors influence their turnover intention?; What is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the influencing factors?”The factors that affect the turnover intention were classified into personal factors, environmental factors, and job-related factors in this study. But only the job-related factors were used after excluding the factors determined by personal traits and the external environment. As for job-related factors, the following sub-factors were selected: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 method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theoretical study was conducted to establish an analysis model and hypotheses. Second, an empirical study was conducted through a questionnaire survey to explore the correlation between their turnover intention and the influencing factors. Third, a preliminary survey was carried out on 30 cadastral officials in Chungcheongbuk-do to collect data from September 21 to September 25 in 2015. It revealed that the content and terms of the measurement tool had no problems. Fourth, a survey was conducted on 250 cadastral officials working at the city hall, Gu-offices, county offices, and provincial office of Chungcheongbuk-do and Daejeon Metropolitan City from October 1 to October 5 in 2015. Fifth, 213 copies of the survey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and 204 copies were selected with data coding for analysis with SPSS 20.0 and AMOS 21.0. The data analysis methods used are as follows. First, a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Second, the reliability analysis of the measurement too was performed. Third, the following were reviewed: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and descriptive statistics with minimum and maximum values of each value (job stress, job satisfacti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urnover intention). Fourth, a maximum likelihood estimation-based analysis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estimatability of the structural equation model. Also, it was done to establish the sufficient conditions on the model. Fifth,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Sixth, the results on each variable were combined to construct a measurement model. Sixth, a proposed model was built by setting covariances through modification indices. Seventh, effect decomposition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f job stress,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on turnover intention in the verified model through AMOS bootstrapping. In recent years, the administrative paradigm has increasingly revolved around citizen interaction. Therefore, the roles of cadastral officials, who serve them face-to-face, are critical. In order to boost the quality of services, the work environment of civil servants must be improved. Thus, this study aims to suggest the necessity of turnover management at organizational levels to improve the work environment of cadastral officials. The ultimate purpose is to prevent their turnover intention.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the way to release job stress required for efficient turnover management. The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tasks are as follows. First, the analysis of effect relationship between sub-factors and turnover intention was not conducted in terms of gender, age, and position. Thus, the effect relationship analysis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a multi-group analysis by the gender, age, and position as to each variable. Second, although a sufficient sample was collected for a structural equation model, the subjects were limited to Chungcheongbuk and Daejeon City residents. In other areas, different results may be obtained. Thus, many different regions should be used for the sample collection to obtain more general, accurate findings. 본 연구의 목적은 지적직공무원을 대상으로 이직의도와 이직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과의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향후 지적직공무원 조직의 이직관리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연구질문은 이직의도란 무엇인가? 그 유형과 기능은 어떠한가? 이직의도에는 어떠한 요인들이 영향을 미치는가? 영향요인과 이직의도 간에는 어떠한 상관관계가 있는가? 의 4가지라 할 수 있다.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요인으로 우선 개인요인, 환경요인, 직무관련요인으로 분류하였으나 개인의 성향과 외부적 환경에 좌우되는 요인을 제외한 직무관련요인만을 이직의도에 영향요인으로 고려하였다. 직무관련요인의 세부요인으로는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을 채택하였다. 연구방법은 첫째, 이론적 연구를 통해 분석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였다. 둘째, 실증적 연구는 설문조사를 통해 이직의도와 영향요인 간의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셋째, 충청북도 내 지적직공무원 30명을 대상으로 2015년 9월 21일부터 25일까지 예비조사를 실시하였고, 측정도구의 내용 및 용어에 문제점이 없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넷째, 위를 토대로 2015년 10월 1일부터 5일까지 충청북도 내 도청, 시청, 군청 및 구청과 대전광역시 내 시청 및 구청에 근무하는 지적직공무원 25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고 213부가 회수되었으며 데이터코딩을 통해 최종 204부를 연구에 반영하였고, 자료 분석은 SPSS 20.0과 AMOS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자료 분석방법은 첫째,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둘째, 측정도구들의 신뢰도검증을 통한 Cronbach’s α 계수를 확인하였다. 셋째, 각각의 변수(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의 평균과 표준편차, 최대값, 최소값의 기술통계량을 검토하였다. 넷째, 분석모형이 구조방정식모형으로써 모형추정가능성을 확인하고, 충분조건을 만들기 위해 최대우도법(Maximum Likelihood Estimation)에 의한 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섯째,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였다. 여섯째, 수정지수를 이용한 공분산설정으로 최종적으로 제안모형을 만들었다. 일곱째, 최종적으로 검증된 제안모형에서 AMOS Bootstrapping 기법을 사용하여 직무스트레스, 직무만족, 조직몰입, 이직의도 간 직접효과, 간접효과, 총 효과를 검토하기 위해 효과분해를 실시하였다. 최근 행정의 패러다임이 국민과의 소통을 중심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대민서비스를 지원하는 지적직공무원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국민들에게 높은 질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업무를 수행하는 담당공무원들의 업무 또는 환경에 대한 질이 높아져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지적직공무원의 이직관리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효율적인 이직관리를 위해 직무스트레스를 해소할 수 있는 방안이 필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한계와 과제를 나타낸다. 첫째, 각 세부요인과 이직의도와의 영향관계 분석에 있어 개인의 성별, 나이, 직급 등으로 구분하여 파악하지 못했다. 따라서 향후 영향관계 분석은 각 요인별로 남녀 집단, 연령별 집단, 직급별 집단 등으로 구분하는 다집단분석(Multi-group analysis)이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구조방정식모형을 제시하기에 충분한 표본이 수집되었으나, 조사대상이 충청북도와 대전광역시로 한정되어 타 지역에서는 본 연구결과와 상이하게 나타날 가능성이 존재한다. 따라서 향후 연구의 표본 수집은 가능하면 많은 지역을 대상으로 균형 있게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 대규모 가축질병에 대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소비자의 축산물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신하림 강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34283

        본 연구는 현대사회에서 축산물의 안전성을 위협하는 대규모 가축질병 발생시, 위험에 대한 일반인의 주관적인 인식차로 야기되는 축산물 소비 급감 등의 사회적 혼란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보다 효율적인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전략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이를 위해 대규모 가축질병이란 위험에 대한 최종적인 수용 여부로 볼 수 있는 ‘축산물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적, 사회적 차원의 특성을 고려하는 ‘소비자 중심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는 가정 아래, 2단계로 나눠 소비자 인식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먼저 소비자의 위험인식과 최종적인 축산물 구매의도에 있어서 여러 선행연구 검토를 거쳐 설정한 변인들간의 구조적인 관계성을 밝히고자 관련 변인으로 뉴스이용정도, 관여도, 주관적 지식과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및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 불안감, 준거집단 등을 설정하였고 이들의 인과 관계를 포함한 구조적인 관련성을 가설로 설정하여 연구모형 1을 설정하였다. 이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성인남녀 728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그 결과를 구조방정식 모형(SEM)으로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사회적 차원의 요인인 뉴스 메시지의 영향력을 검증하고자, 동일한 위험 현상도 ‘언론이 보도하는 조류인플루엔자 보도를 접한 뒤, 메시지 프레이밍 유형(긍정적/부정적)과 메시지 소구(appeals)유형(신체적/경제적), 성별(남성/여성)에 따라 소비자의 내적 요인(불안감/통제가능성/축산물 구매의도)은 차이가 있을 것인가?’ 란 연구문제와 관련된 연구모형 2를 도출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 전국의 성인 남녀 302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통한 실험을 거쳐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 소구유형, 성별의 주 효과와 상호작용 효과를 알아보았다. 먼저 첫 번째 단계의 조사에 대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뉴스 이용정도, 관여도, 주관적 지식등 3가지를 외생변수로 상정해 위험인식에 미치는 영향력의 여부, 크기를 검증한 결과 3개 요인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력을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영향력의 크기로는 관여도, 뉴스이용정도, 주관적 지식 순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 위험인식이 커질수록 심리적 불안감도 높아졌는데, 이 경로의 매개변인으로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나온 반면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그렇지 않았다. 불안감이 높아질수록 준거집단의 정보제공에 대한 의존도는 높아지지만, 구매의사결정에까지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언론 보도의 메시지 유형과 프레이밍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실시한 두 번째 단계의 연구 결과는 아래와 같다. 불안감은 메시지 프레이밍과 메시지 소구유형, 성별의 차이에 따른 주 효과, 상호작용 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은 메시지 프레이밍, 소구유형, 성별의 차이에 따른 주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축산물 구매의도에서는 메시지 소구유형, 성별에서 주 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났다. 또 통제가능성에 대한 인식과 축산물 구매의도에서 메시지 소구유형과 성별간의 상호작용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은 신체적 소구유형에서 통제가능성에 대해 높은 인식을 보였고, 여성은 경제적 소구유형에서 통제가능성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인식을 보였다. 축산물의 구매의도에 있어서는 두 집단 모두 부정적으로 프레이밍 된 보도에서 축산물 구매의도가 더 낮은 것으로 확인됐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소비자의 개인적 특성을 고려한 맞춤형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이 필요하다는 점과 주관적 지식이 높을수록 위험인식은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난 만큼 ‘소비자의 정보역량’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 또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은 반드시 필요하지만 쌍방향으로 이뤄져야 하며 ‘대인 커뮤니케이션’의 중요성에도 주목할 필요가 있다. 뉴스 미디어는 대규모 가축질병 발생과 관련된 신체적, 경제적 위험을 언급하는 기사를 보도할 때 특히 신중해야 한다는 점이다. 소비자 중심의 리스크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궁극적으로는 위해 요소에 대한 궤변론적이고, 거짓된 정보를 소비자들이 스스로 분별해 내고, 뉴스 미디어와 정부, 축산물 생산자 에 대한 사회적 신뢰도를 강화시키는 효과로 이어질 수 있을 것이다. The objective of this study was to withdraw a more effective risk communication strategy that could minimize the social turmoil including the abrupt decrease in the consumption of livestock products, caused by the differences in the subjective perception of the public regarding the risk for the occurrence of a large-scale animal disease. This study selected news use level, involvement, subjective knowledge, risk communication, awareness of control possibility, anxiety, and reference group as variables, which were chosen from a literature review of previous studies, in order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these variables. The study model 1 was established by developing hypotheses regarding the structural relationships among them including the causal relationship.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on 728 adults in order to test these hypotheses empirically and the results were analyzed by using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As a next step, a study model 2 was derived, which was associated with the study question of “Will there be differences in the internal variables of consumers (i.e., anxiety, control possibility, and livestock goods purchase intention) depending on the message framing type (positive and negative), message appeal types (physical and economic), and gender (male and female) after receiving a report about avian influenza from the mass media for phenomenon posing the same level of risk?”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news message, a social level variable. An online surve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main effects and interactions of message framing, message appeal type, and gender to examine the question. First, the results of the first stage survey are as follows. News use level, involvement, and subjective knowledge were chosen as exogenous variables and the presence and magnitude of their effects on risk perception were evaluated. The results showed that these three variables were significantly effective and the magnitude of influence was in the order of involvement, news use level, and subjective knowledge. Moreover, psychological anxiety increased with higher awareness of risk. Risk communication was a significant mediator variable but the awareness regarding control possibility was not significant.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higher the anxiety, the higher the dependence of the reference group on the provided information. However, it did not affect the purchase intention decision. Next, the results of the second step, which was conducted to verify the effects of news reports’ message type and framing, are as follows. The main effects according to message framing, appeal type, and gender were not significant. In the livestock products purchase intention, the main effects were significant in message appeal type and gender**. Moreover, in the awareness of control possibility and livestock goods purchase intention, message appeal type, and gender significantly interacted. Male subjects showed high awareness regarding the control possibility in the physical appeal type while female subjects revealed relatively higher awareness regarding the control possibility in the economic appeal type. The results indicated that, in the livestock goods purchase intention, both groups had lower livestock good purchase intention in the response to the negatively framed reports. The results of this study implied that a customized risk communication, considering the personal characteristics of a consumer, would be needed and the higher subjective knowledge would reduce the risk perception. Consequently, it would be necessary to strengthen the information competency of consumers. Moreover, the results of the study suggested that risk communication shall be made bilaterally, although it is an essential element, and it will be necessary to pay attention to “interpersonal communication”. Particularly, the news media should be cautious when reporting news articles referring to physical and economic risks associated with a large-scale animal disease outbreak. The consumer-oriented risk communication will ultimately help consumers distinguish sophistic and false information and fortify the social credibility of the news media, government, and livestock producers.

      • VoIP 영상전화 수용도의 영향요인에 관한 구조방정식 모델분석

        곽기연 연세대학교 정보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34270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factors that affect behavioral intention in usage of VoIP video phones, and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considering the specific technical characteristics of VoIP technology. Methodology included identifying the parameters that affect behavioral intention to derive a hypothesis, which was tested using an expanded Structured Equation model based on the classical 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Market for VoIP video service is not yet fully available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bears significance in the sense that it is a positive study that execute statistical verification conducted on a sample of 350 early adopters that have experienced this service in its early stages of commercialization. Results indicate that external variables such as interactivity, compatibility, cost rationality, playfulness show a partial positive relationship? Correlation with a dependent variables such as perceived usefulness and perceived ease of use, ultimately affecting actual behavioral intention of users. ? 본 연구의 목적은 VoIP기술의 고유한 특성을 고려하여, VoIP 영상전화의 수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탐색하고, 요인 간 연관관계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 방법으로는 사용 의도에 미치는 변수(parameters)들을 정의하고, 연구가설을 도출하였으며, 전통 있는 기술 수용도의 평가모델인 기술수용모형(Technology Acceptance Model/TAM) 이론을 확장한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을 개발하였다. 아직까지 한국은 신기술인 VoIP를 활용한 영상전화의 서비스 시장은 보편화되지 않은 편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시장형성 과정의 초기 단계에서, VoIP영상전화 서비스를 실제로 경험한 초기 사용자(early adopter) 350명을 표본으로 선정하여, 통계적 검증을 실시한 실증적 연구라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분석 결과로는 상호작용성(interactivity), 적합성(compatibility), 비용의 합리성(cost rationality), 유희성(playfulness), 서비스 품질(service quality), 혁신성(innovation)과 같은 외부변수들이 인지된 유용성(perceived usefulness) 및 인지된 사용용이성(perceived ease of use)과 같은 종속변수에 부분적으로 정의 관계를 보였으며, 결과적으로 사용자의 실제 수용의도(behavioral intention)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 고등학생의 진로교육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윤지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34268

        최근 국가는 청소년들의 자아실현을 통한 행복한 삶을 위하여 인적·물적·제도적 측면에서 다양한 진로교육 정책들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변화가 학생의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그 영향은 어느 정도인지를 실증적으로 규명하기 위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지금까지 선행 연구들은 진로교육과 진로성숙도 또는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 간의 단선적인 관계만 살펴보았을 뿐, 이들의 통합적인 관계에 대한 연구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이 연구는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고등학생의 진로교육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경험적으로 검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 연구의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교육만족도는 진로성숙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는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셋째, 고등학생의 진로교육만족도는 학업성취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넷째, 고등학생의 진로교육만족도가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에서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가 있는가? 이와 같은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연구에서는 선행 연구 및 전문가 검토를 토대로 하여 ‘고등학생의 진로교육만족도’ 척도를 제작하였다. 이 척도는 교과(8문항), 비교과(8문항), 진로콘텐츠(3문항), 진로상담(2문항), 진로교육태도(7문항)의 다섯 가지 하위 영역(총 28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이 척도의 신뢰도(내적일치도 계수: Cronbach's α) 및 구인타당도(상관분석, 요인분석, 확인적 요인분석)는 양호한 수준으로 나타났다. 진로성숙도를 측정하기 위한 도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이 개발한 ‘중·고등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임언 외, 2012)’를 사용하였다. 이 검사는 태도(22문항), 능력(27문항), 행동(15문항)의 세 가지 하위 영역(총 64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에서는 B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2학년 학생 415명을 연구 대상으로 하였다. 이들의 2학년 1학기말 성적을 과목별로 수집하여 ‘학업성취도’로 사용하였다. 구조방정식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사용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분석하였고, Sobel test(Sobel, 1986)를 사용하여 진로성숙도의 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의 진로교육만족도는 진로성숙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준화계수치=.209, p<.01). 둘째,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는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준화계수치=.172, p<.05). 셋째, 고등학생의 진로교육만족도는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준화계수치=.140, p<.05). 넷째, 고등학생의 진로교육만족도는 진로성숙도를 매개로 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표준화계수치=.036, p<.05). 이러한 결과는 고등학생의 진로성숙도와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해서는 사전 요구조사와 사후 효과성 평가 등을 활용하여 학생들의 진로교육만족도를 높이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