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남지역 중등학교의 교훈 및 교육목표 인지도에 대한 연구

        김가영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6

        The mottos and goals of middle and high schools should include and present the image of an ideal person that students want to resemble. In addition, behavioral characteristics that students are able to gain should be clearly stated. On the basis of these policies, not only the management of each school but also the mottos and aims of individual school education should be created and modified by means of all the school faculty members who participate in deciding school matters. However, the goals of school education tend to be frequently created by the educational board of the government even though each school has the right to decide on its matters. Consequently, the characteristics and traits of school might be ignored due to concentrating more on the school principals or homeroom teachers. Specifically, the future of the education depends on what the aims are. Therefore, each school should have its own specific goals which are attainable. Through this current study, the researcher examined how many people recognize their school mottos, analyzes the effect of school mottos and goals on school activities, and explores the roles of education in the field of current education. The following is the findings of this study: First,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responses to the items of the questionnaire, this study found that the most popular school motto was concerning sincerity which gained 22 percents. The second one was regarding diligence that had eighteen percents. The third popular motto was about creativity with nine percents. Second,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current school mottos and the ones which were used thirteen years ago. However, there was a slight difference in terms of the creativity and globalization. The current mottos focused more on these two factors such as the creativity and globalization. Third,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e questionnaire, the majority of school teachers and students recognize their school aims or school mottos. Besides, the participants thought that these mottos did not affect on school education in spite of the fact that they realized school education should be emphasized. The subjects of this study thought that the school aims or mottos need to be modified to fit into the current educational situation. 학교의 교훈이나 교육목표는 긴 미래를 보고 학생들이 궁극적으로 도달해야 할 바라는 인간상을 제시하거나 그 행동특성을 종합적으로 명시한 것이어야 할 것이다. 학교경영은 이러한 맥락에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학교의 교훈이나 교육목표는 전 교원은 물론 학교공동체의 공동사고나 참여에 의해서 결정되어야 하고 또 필요에 의해 수정되어야 할 것이다. 하지만 학교의 많은 자율성이 보장됨에도 불구하고 아직도 학교의 교육목표가 상위 기관의 방침이나 역점사업에 맞추어 이루어지는 경우가 허다하다. 그러다 보니 각 학교의 개성이나 특성이 무시되기 쉽고, 또 학교장이나 담당교사 위주로 만들어져 형식적인 존재로 전락할 가능성이 많다고 볼 수 있다. 교육의 장래는 그 목표를 무엇에 두는가에 따라 좌우된다. 이것은 곧 학교가 무엇을 달성할 것인가에 대한 명확한 개념이 없이는 교육의 본질이나 교육의 방법을 적절하게 결정할 수 없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를 통하여 학교의 교훈에 대한 인지도를 알아보고, 교훈이나 교육목표가 과연 교육활동에 얼마나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조사·분석하고, 학교 현장의 교육에 더욱 효과적인 교훈으로의 역할을 탐색해보고자 했다. 첫째, 경상남도 전체 중·고등학교의 교훈을 조사한 결과 가장 많은 교훈으로는 성실(22%), 근면(18%), 창의(9%)로 나타났다. (각 학교의 교훈을 중심으로 통계 처리하고 교훈이 없는 경우에는 교육목표로 대신했다) 둘째, 지금의 교훈은 13년 전의 교훈과 비교할 때 큰 변화가 없음을 알 수 있다. 그래도 13년 전의 교훈을 비교하여 차이점을 찾아본다면 창의성 교육이라든가 세계화를 강조하는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셋째, 학교 현장의 교훈 및 교육목표에 대한 인식 정도를 설문조사한 결과는 교사나 학생 모두 자기 학교의 교훈이나 교육목표를 대체로 알고는 있었다. 그리고 교훈은 학교 교육에 영향을 크게 미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학교 교훈을 주로 홈페이지에서 보고 있고, 학교교육에 그것이 강조되어야 한다는 인식은 하고 있다. 교사나 학생은 모두 교훈에 대한 인식에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으며, 교훈이 새로운 시대 상황에 맞게 바뀌어야 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 신재 주세붕(周世鵬)의 교훈시조(敎訓時調) 연구

        김중기 계명대학교 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5

        (Abstract) This paper is a study on 15 instructional Sijos(時調) by Sinjae Ju Se-bung(愼齋 周世鵬, 1495~1554, the 1st of King Yeonsan ~ the 9th year of King Myeongjong). Sinjae’s instructional Sijos investigated in this paper include 9 Sijos from "Doeuiga(道義歌)" and 6 Sijos from "Oryunga(五倫歌)." Taking these Sijos as the objects of this study, I start from the examination of genre names for explicating characteristics of them, and through a close analysis and investigation of them we explicate that these Sijos are those works that have opened a new genre of instructional Sijo in Chosun. First of all in studying Sinjae’s Sijos, I claim that instructional Sijo is an adequate genre name for covering all of his Sijos. An instructional Sijo is such a Sijo that should contain ‘the 5 Moral Rules(五倫)’ as contents of ‘Tao(道)’ from the viewpoint of Jaedojigi(載道之器), or concretize instructional contents like ‘behaving oneself prudently(愼).’ Considering that the contents of his Sijos include both the side of the ‘justice’ for the upper class’self-control and that of the enlightenment of the lower class, and that Sinjae himself was a Jaejisajok(在地士族) and a local governor simultaneously, and examining the instructional poetry after Sinjae collectively, we think that instructional Sijo is an appropriate name for his Sijos as it can cover the two kinds of contents, the enlightenment of folks and Sadaebu’s self-control. Secondly, I investigate literary creativity of Sinjea’s works. Though the existing studies have criticized Sinjae’s works for their non-distinctiveness and lack of creativity, we can see his creativeness and his works’ creativity from the arrangement of the first-middle-end lines of Sijo, the originality of their content connection to Confucian bibles, the match between their form and their structure with Confucian contents in places, the arrangement of Sinjae’s thoughts with Wise Men’s instructions, use of plain Korean, and modification of subject matters and construction. Furthermore, later on "Oryunga" was succeeded by and had direct influence on the sijos of Song Sun, Jeong Cheol, and Park In-ro etc.. Thirdly, I examine the backgrounds of the creation of the instructional Sijos, which is possible only through the complete examination of Sinjae’s works. By doing so, we reevaluate the cultural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the birth of Sinjae’s instructional Sijos both on the sides of a person and society, escaping from common and plain discussion. Sinjae’s instructional Sijos aim to put Confucianism into everyday life. This is the practice and literary figuration of Sin 愼 ‘to behave oneself,’ one letter from his another name. We consider his choice of Sijo, a poetic genre written in Korean, to be a reaction to Goryeo’s poetry. He sang the new ideology of Confucianism with the old genre, Gyeonggichega(景幾體歌), spread his ideology more concretely in the new genre Sijo, and positively used this genre. In addition, considering the fact that he positively expressed his ideas of poetry written in Korean earlier than Toigye, and wrote poems in Korean with his practical will, we can conclude that he encouraged a new movement into the poetic history in the early 16th century. We point out that the backgrounds of such activities include his scholastic status as a middle man from the tradition in Yeongnam Sarim(嶺南 士林), his personality with persuasiveness and powerful driving force, and his disposition to believe in the power of literature differently from his contemporary Confucian scholars. Through the discussion so far, I evaluate his Sijos as having creativity, and forming a stream in the history of poetry in Korean in Chosun as they were the great source for the stream of instructional Sijos in Chosun. (초록) 이 논문은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 1495~1554, 연산군 원년~명종 9년)의 교훈시조 15수에 대한 연구이다. 신재의 교훈시조는 <도의가> 9수와 <오륜가> 6수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를 대상으로 이 시조들의 성격을 규명하기 위한 장르명칭 고찰에서 출발하여 작품들의 면밀한 분석 및 연구를 통해 이들이 조선조 교훈시조라는 장르를 개척한 작품임을 밝혔다. 우선 신재의 시조를 연구함에 있어 그의 시조 모두를 포괄하는 명칭으로 교훈시조라는 장르 명칭이 적당함을 주장하였다. 교훈시조는 재도지기의 문학관에서 작품에 실어야 하는 ‘도(道)’의 내용이 ‘오륜’이거나 ‘스스로 삼가 하기(愼)’ 등의 교훈적 내용으로 구체화한 시조를 말한다. 시조의 내용이 상층의 자기 규제를 위한 ‘도의’의 측면과 하층민의 ‘교화’의 측면을 모두 포함한다는 점, 신재가 재지사족인 동시에 목민관이었던 점, 그리고 신재 이후의 교훈시가류를 종합적으로 고찰한다면 훈민과 사대부의 자기규제라는 두 가지 내용을 함께 포괄할 수 있는 ‘교훈시조’라는 명칭이 적절하다고 생각한다. 둘째, 신재 작품들의 문학적 독창성을 살펴보았다. 기존의 논의들은 신재의 작품을 몰개성적이고 독창성이 없다고 하였지만 시조 초․중․종장의 배열, 유학 경전 내용 연결의 독자성, 유학적 내용을 배치한 구조와 시조 형식의 어울림, 성현의 가르침과 자신의 생각의 배치, 쉬운 우리말 사용, 소재와 구성의 변용 등에서 신재의 개성적 측면과 작품의 독창성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이 <오륜가>는 이후 송순, 정철, 박인로 등으로 이어지며 직접적인 영향을 끼쳤다. 셋째, 신재의 작품에 대한 전면적인 고찰을 거침으로써만 논의될 수 있는 교훈시조 창작의 배경을 고찰하였다. 이로써 일반적이고 평면적인 논의에서 벗어나 신재의 교훈시조 발생의 문학사적, 역사적 의미를 개인과 사회의 양 측면에서 재평가하였다. 신재의 교훈시조는 유학의 생활화를 목적으로 하였다. 이는 그가 자호로 삼은 ‘삼갈 신(愼)’의 실천이며 문학적 형상화이다. 신재가 시조라는 국문시가 장르를 선택한 것은 고려시가에 대한 반동으로 볼 수 있는데, 그는 낡은 장르인 경기체가로도 새로운 유학이념을 노래하였으며, 새로운 장르인 시조에는 자신의 이념을 더욱 구체적으로 펼치고 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였다. 또한 퇴계보다 앞선 시기에 국문시가에 대한 논의를 적극적으로 표명하였다는 점은 실천적 의지를 가지고 국문시가를 창작했다는 점과 함께 16세기 전반 시가사에 새로운 움직임을 불어 넣은 것이다. 이러한 활동의 배경에는 그가 영남 사림 도맥의 중간적 인물이었다는 그의 학문적 위치와 함께, 설득력과 추진력을 갖춘 그의 성격, 그리고 당대 다른 유학자들과는 달리 문학의 힘을 믿은 인물이었다는 그의 성향이 함께 작용하였음을 강조하였다. 이로써 신재 주세붕의 시조작품은 독창성을 지녔으며, 조선시대 교훈시조 흐름의 큰 연원이 됨으로써 조선 시대 국문시가사의 한 흐름을 형성한 것으로 평가하였다.

      •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속담 교육 연구 : 교훈적 속담 교육을 중심으로

        김나영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4

        본 논문은 영어권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속담 교육의 효율적인 방안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외국어를 학습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서는 그 나라의 문화에 대한 이해가 반드시 필요하고, 따라서 효과적인 의사 전달 방법이면서 문화적 특징이 담겨있는 속담을 교육 대상의 자료로 선택 하였다. 속담은 그 민족의 문화적 특징이 간단하게 압축되어 있는 언어적, 문화적 산물로 그 사회에 속한 사람들이 공감하고 인정하는 특수한 문화적 배경을 갖는다. 따라서 한국어 교육에서 속담 교육은 기본적으로 한국어 학습자의 한국 문화와 한국인의 생활방식, 사고방식 등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속담은 이해 어휘 차원뿐만 아니라 표현 어휘로서의 역할도 크다. 즉 한국어 학습자가 적절한 상황에서 적절한 속담을 구사하면 한국어 특유의 언어적 표현을 제대로 인식했다는 것을 의미하는데 속담의 각종 수사법 교육을 통하여 유용하고 다양한 언어 표현들을 익히게 되어 문화 교육의 면뿐만이 아니라 언어 교육의 면에서도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특히 한국 문화와 매우 다른 양상을 보이는 영어 문화권 학습자들에게 반드시 속담 교육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식하고, 풍자적 속담에 비해 난이도가 높지 않고 영어권 학습자가 이해하기 쉬우며 학습한 것을 실제로 사용하기 좋은 교훈적 속담을 대상으로 학습 목록과 교육 방안을 마련하였다. 학습 목록의 마련을 위해서 먼저 대학 기관의 한국어 교재와 한국어 속담 교재를 분석하여 특징과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또한 교사와 학습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여 한국어 속담 교육의 현황과 요구정도를 파악하고 속담 학습 목록과 단계별 선정의 필요성을 확실히 하였다. 그러한 필요성을 바탕으로 하여 본 연구에서 정한 범위에 따라 45개의 교훈적 속담 학습 목록을 기준에 맞게 선정하였다. 뿐만 아니라 한국어 교훈적 속담 학습 목록을 주제와 소재별로 나누어 한국인의 전통적인 사고방식과 생활양식에 따른 문화 어휘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구성 어휘와 문법 난이도, 의미 투명도, 영어로의 직역 가능 여부 등에 따라 단계별로 속담을 구분하고, 효율적인 교육 방안을 각각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구체적인 교육 방법을 제시하고 학습 단계별로 교훈적 속담 교육의 실제 모형과 응용 가능한 연습 문제 유형을 제시하였는데, 본 연구를 통하여 영어권 학습자들의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의 의욕을 증진시키며 한국어 교육과 한국 문화 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come up with efficient plans of Korean proverb education for native English speakers. It's essential to understand a nation's culture in order to learn its language and communicate with its speakers with no difficulties. Thus the study chose proverbs, which make an effective communication means and reflect the cultural characteristics, as the educational materials. Proverbs are the linguistic and cultural products in which a people's cultural characteristics are compressed and have unique cultural backgrounds agreed and recognized by the members of the society. That means proverb education can help the learners of Korean understand the Korean culture and the lifestyles and thinking of Korean people. In addition, proverbs play a significant role not only in the area of understanding vocabulary, but also in that of expressive vocabulary. That is, when a Korean learner uses a proverb proper for the given situation, he or she is considered to have a right understanding of the unique linguistic expressions of Korean. By learning all sorts of rhetoric in proverbs, he or she can learn about diverse, useful expressions. Thus proverb education is highly critical for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for culture education. Recognizing that proverb education should be offered to native English speakers whose culture is widely different from the Korean culture, I created a study list and educational plan with didactic proverbs, which are not as difficult as satiric proverbs, thus easier for native English speakers to understand, and good for actual application. In making up a study list, I analyzed the Korean textbooks and the materials about Korean proverbs used by universities and identified their characteristics and problems. I also took a survey among the instructors and students to figure out the current state of Korean proverb education and the demands for the education to confirm a need for a study plan of proverbs and gradual selection. Based on the need, I selected 45 study plans of didactic proverbs within the research scope according to the criteria and categorized the study plans by the topics and materials to examine cultural vocabulary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thinking methods and lifestyles of the Korean people. I classified the proverbs into stages according to the constituent words, difficulty of grammar, transparency of meaning, and possibility of being literally translated into English before suggesting efficient educational plans. Finally, I provided specific educational methods and the actual models and applicable exercise problems of didactic proverbs education according to the study stages. The results of the study will hopefully stimulate the interest of native English speakers, increase their desire for learning, and improve their abilities regarding Korean education and Korean culture.

      • 계녀가사의 구성양상과 서술특성 : 남성·여성 화자의 차이를 중심으로

        안선영 성균관대학교 2005 국내석사

        RANK : 247804

        This thesis aims at studying the characteristics of Genyugasa(계녀가사)which played an important part in the education of women in "the Yi Dynasty" by observing differences of aspects of description which was caused by difference of speakers and making clear literary significance of it. Generally, Genyugasa(계녀가사)has been considered sa literature of women. However, male speakers appear in various types of Genyugasa(계녀가사), it is necessary to discuss Genyugasa(계녀가사) minutely. We can see the difference between the male speakers' delivery of instruction and that of general Gyohungasa(교훈가사). Also the difference of delivery of instruction between male and female speakers of Genyugasa(계녀가사)which has the charcters both of Gyubanggasa(규방가사)and Gyohungasa(교훈가사). In the education ofchildren in "the YiDynasty",there are differences in the aims and contents of education for boys and girls. The education of boys is for true gentleman(君子)which taking a serious view of Geogyeong(居敬) and Gungri(窮理). On the other hand the education of girls is the education which cultivates moral character mainly. Many Yeohunseo(女訓書) were in need for the education of girls,so many Yeohunseo(女訓書)were compiled not only nationally but also individually. Genyugasa(계녀가사) seems to be created under the influence of Yeohunseo(女訓書)likethis.ButGenyugasa(계녀가사)iscreatednotonly by transrating of the contents in Yeohunseo(女訓書),nor simply by turning a prose into a verse. The instruction of Genyugasa(계녀가사)was delivered by creating literary elements of its own. Genyugasa(계녀가사) can be divided into the type of male speakers' and the type of female's. There are differences in contents and aspects of description. Especially, in " the Yi Dynasty" where the arenas of men and women are seperated,the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 in cluding the role of men and women is striking, and the difference of the aspects of women causes the difference of experiences, and it brings the difference of statements. A male speaker seems to compose the Gasa(가사)to show how feels abouthis daughter who willmarry rather than to decorums of women. Even in the construction of work, the deliveries of instruction are relatively few considering those of his feelings. In the part of delivering the instruction, direct description is consistently appeared. And he delivers instruction in soft tone, not in systematic and intense tone. That is, male speakers put emphasis on revealing his insid econsciousness. On the other hand, female speakers deliver systematic and typical rules of the decorums of women in detail. The rules are based on actuallife. In the construction of work,revealing her feeling is few,and delivering the rule takes greater parts. The aspects of delivering the appear in various forms, which can be devided into Gyubumjeondalhyeong(규범전달형), Hangsildaebihyeong(행실대비형),Inmuldaebihyeong(인물대비형). Genyugasa(계녀가사)of male speakers'is changed from careful delivering of the rules of Yeohunseo(女訓書) to maximizing the revelation of their feeling, and Genyugasa(계녀가사)of female speakers' is changed from typical and customary delivering toconcrete and realistic delivering. Genyugasa(계녀가사)was created underthe primary aim of delivery of regardless of sex. However male speakers show much emotional side than instruction, and female speakers only deliver instructions without their feeling. It means that it is not necessary for th emale speaker to deliver strict rules to his daughter with Gasa(가사)because he has many ways to deliver the rules, but the female speakers have to deliver concrete rules because they have strong consciousness of the community. Moreover it is necessary for her to deliver rules for upscaling her position in the patriarchal system. And the contents and standards of instruction are variable according to the speaker's social position. The difference of social position brings about the difference of contents and the aspects of description, and it is connected to the difference of cognition of the instruction. 본고는 조선시대 여성교육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했던 계녀가사의 화자의 차이에 따른 서술양상의 차이에 주목하여 계녀가사의 특징을 살피고, 나아가 그 문학사적인 의의를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계녀가사는 흔히 여성의 문학으로 여겨져 왔다. 그러나 계녀가사의 여러 유형 중에는 남성화자도 등장하고 있기에 이에 대한 면밀한 논의가 필요하다. 교훈가사 전통에서 계녀가사의 남성작가가 전달하는 교훈은 일반적인 교훈가사와는 어떤 차이가 있고, 또 여성작가는 어떤 모습으로 교훈을 전달하고 있는지를 살필 수 있는데, 이러한 논의는 규방가사이면서 교훈가사인 계녀가사의 본질을 밝히는데 도움이 될 것이다. 조선시대의 자녀교육에 있어서 여자 아이들은 남자 아이들에 비하여 교육의 목표와 내용이 달랐다. 男兒의 교육이 居敬과 窮理를 중시하는 군자교육이었던데 반해, 女兒의 교육은 집안에서의 婦德함양을 목표로 하는 덕성교육이었다. 女兒의 교육을 위해서는 많은 女訓書가 필요했고, 그 결과 국가적인 차원에서뿐만 아니라 개인적인 차원에서도 많은 女訓書가 편찬되었다. 계녀가사는 이러한 女訓書의 내용을 그래도 옮기거나 단지 산문에서 운문으로의 단순한 전환을 통해서 창작된 것은 아니다. 계녀가사는 그 이상의 문학적인 장치를 마련해서 교훈을 전달하고 있다. 계녀가사를 남성화자의 작품과 여성화자의 작품으로 구분하여 볼 수 있는데, 그 교훈의 내용과 서술양상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특히 조선조 사회처럼 남성과 여성의 생활공간이 분리되고, 남성과 여성의 역할을 비롯한 사회·문화적인 차이가 두드러질 경우에 작품간의 차이는 더욱 커질 수밖에 없다. 남성과 여성의 문화적 차이는 경험의 차이를 낳고, 이러한 경험의 차이는 언술의 차이를 가져온다. 남성화자는 시집가는 딸에게 부녀자의 도리에 대해 말하려고 가사를 지었다기보다는 시집가는 딸에 대한 자신의 심정을 드러내기 위해서 가사를 지었던 것으로 보인다. 작품 구성에 있어서 자신의 감정 술회 부분이 많고, 이에 비해 딸에게 규범을 전달하는 부분은 상대적으로 적다. 또 규범을 전달하는 부분은 단순히 직접적인 서술로 일관하고 있고, 체계적이고 강한 어조가 아니라 매우 약화된 어조로 규범을 전달하고 있다. 결국 남성화자는 자신의 내면의식 표출에 중점을 두고 있는 것이다. 반면에 여성화자는 부녀자의 도리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형적인 규범을 실생활에 기초하여 자세히 전달하는 모습이 두드러진다. 작품의 구성에 있어서도 자신의 감정을 술회하는 부분은 거의 없고, 규범을 전달하는 부분이 대부분이다. 특히 교훈을 전달하는 서술양상이 매우 다양한 형태로 나타나도 있는데, 그 형태는 규범전달형, 행실대비형, 인물대비형으로 나눌 수 있다. 남성화자의 계녀가사는 女訓書의 세심한 교훈전달에서 가사의 감정표출의 극대화로, 여성화자의 계녀가사는 전형적이고 관습적인 교훈전달에서 구체적이고 현실적인 교훈 전달로 발전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계녀가사는 남성화자·여성화자를 막론하고 교훈을 전달한다는 일차적인 목표아래 창작되었지만, 남성화자는 교훈보다는 감정적인 면을 더 노출시키고 있고, 여성화자는 감정의 표출 없이 교훈만을 전달하고 있다. 이것은 계녀가사 말고도 여러 통로로 교훈을 전달할 수 있었던 남성화자와는 달리, 여성화자는 보다 강한 공동체의식 내지는 동일체의식이 있었기 때문에 규범을 조목조목 알려 줄 수밖에 없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여성화자는 가부장제 사회에서 자신의 지위를 강화해 나가기 위해서도 규범을 전달할 필요가 있었다고 볼 수 있다. 또 한 작품화자의 신분의 차이에 따라 교훈의 내용과 정도가 다를 수밖에 없다. 신분의 차이는 내용과 서술양상에 있어서 차이를 가져오는데, 이것은 결국 교훈에 대한 인식의 차이로까지 이어진다.

      • 『이솝 우화』의 인성교육적 의의

        강희진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742

        본 연구는 『이솝 우화』에 나타난 인성교육적 의의를 밝히는 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인성과 인성교육의 의미를 고찰하였고, 인성교육의 요소를 재구성하였으며, 『이솝 우화』의 특징과 교훈 분석을 바탕으로 『이솝 우화』의 인성교육적 의의와 한계를 도출하였다. 인성은 사람됨, 인간의 성품 등 바람직한 개인이 갖추어야 하는 자질로 설명되었으나 사회적, 시대적 흐름의 변화에 따라 인성과 인성교육은 개인에서 사회구성원으로서 삶을 살아가는 데 필요한 자질을 길러주는 방향으로 정의되는 추세이다. 고대 그리스 시대의 노예였던 이솝(Aesop)에 의해 쓰인 『이솝 우화』는 동물, 식물, 사물 등 의인화된 등장인물을 통해 교훈을 전달하는 짧고 재미있는 이야기로서 현실세계를 있는 그대로 그려내는 특징을 지닌다. 예로부터 도덕교육의 교재로 사용되어왔지만 교훈분석 결과 『이솝 우화』는 도덕성뿐만이 아니라 인간이라면 실생활에서 누구나 겪을 수 있는 이야기로서 그에 따른 다양한 교훈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솝 우화』에 나타난 인성교육적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인성교육이 자기이해와 함께 타인과 더불어 살아감에 있어 요구되는 도덕성을 근간으로 상황에 맞게 판단하고 행동할 수 있는 역량을 기르는 것임을 고려하였을 때 『이솝 우화』는 자신과 타인을 이해할 수 있게 하고, 현실에 근거한 삶의 지혜와 판단력을 길러주며, 더불어 사는 삶의 가치를 일깨울 뿐만 아니라 사고력 교육을 위한 교재로 활용가능하다는 점에서 인성교육적 의의를 가진다. 이러한 교육적 의의에도 불구하고 『이솝 우화』가 인성교육적으로 지니는 한계는 관계적 측면에서 요구되는 대화, 의사소통능력, 공감을 교육하는데 불충분하고, 독자에 따라 『이솝 우화』를 본 뜻과 달리 왜곡되게 해석할 가능성이 있으며, 인간의 변화 가능성을 인정하지 않는다는 것이다. 기존의 『이솝 우화』는 주로 아동을 위한 도덕교육 교재로 사용되어 왔다. 하지만 『이솝 우화』의 특징을 분석하고 교훈을 고찰한 결과, 『이솝 우화』는 선과 악이 공존하는 세상에서 마냥 도덕적이며 착하게 행동할 것이 아니라, 어떻게 판단하고 행동하는 것이 지혜로운지에 대한 교훈을 주는 이야기로 나타났다.

      • 누가文書에 나타난 社會的 敎訓에 關한 硏究 : 家難을 中心으로

        오문우 明知大學校 社會敎育大學院 1997 국내석사

        RANK : 247726

        본 논문은 사회적, 경제적 관심을 가장 많이 담고 있는 문헌인 누가문서 안에 나타난 가난과 부의 올바른 사용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누가문서는 오늘날 사회정의 실현의 최대 현안인 분배정의를 심도있게 다루고 있다. 누가문서는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을 누가의 저작이라는 관점에서 누가문서 또는 누가-행전이라는 웅어로 동일하게 사용한다. 본 논문은 '가난'과 '가난한 자'에 대한 이론적 접근을 토대로 소외된 자에 대한 관심을 '누가-행전'을 통해 설명하고 있다. 그리하여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교회의 사명을 제시함과 동시에 재물의 올바른 사용에 관한 윤리관을 제시하고 있다. 2장에서는 본 논문의 이론적 배경이 되는 누가-행전의 삶의 자리에 대해 살펴보았다. 누가-행전의 삶의 배경이 되는 누가 공동체는 부유하고 교양있는 이방인들로서 기독교 복음에 대한 기본적 개념을 알고 있었던 사람들이라고 여겨진다. 수신자인 데오빌로도 그들 가운데 한 사람일 것이다. 그러므로 누가는 자신의 회중들, 특히 부유한 이방 그리스도인들에게 그리스도인으로서 재물을 어떻게 다뤄야 하며 또 어떻게 처신하여야 하는가에 대해 적절한 윤리적 가르침을 주기 위하여 누가복음과 사도행전을 저술하고자 하였다. 3장에서는 성경에 나타난 가난의 개념에 대해 다루었다. 특히 누가는 가난을 물질적인 면에서 사용하였는데, "가난"을 나타내는 헬라어 명칭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가난한 자들의 일반적 명칭은 "프토코스"(πτωxoζ)이며, 이 단어는 주로 경제적 궁핍상태를 나타낸다. 누가는 가난한 자들을 말할 때 "프토코스"라는 헬라어를 사용함으로써 실제적으로 극한의 가난에 허덕이는 사람들을 생각하고 있다는 것을 밝히고 있다. 4장에서는 신약성경의 가난한 사람들에 대해 고찰했는데, 가난한 사람들은 대체적으로 거지라고 할 만큼 궁핍한 사람들이고, 생존의 한계상황에서 허덕이는 사람들이었다. 또한 중병에 걸린 환자와 장애자들과 동일시되고 있음도 보았다. 5장에서는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누가의 관심을 누가복음을 근거로 살펴봄과 동시에 세리와 죄인들, 여인에 대해 깊은 관십을 기울이고 있음을 보았다. 6장에서는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해결방안을 누가-행전을 통해 제시하였다. 즉, 우리는 주님의 청지기임을 깨닫고 자발적으로 공평하게 분배해야 한다는 것이다. 7장에서는 논문을 맺으면서 가난한 사람들에 대한 교회의 사명과, 어떤 방법으로 가난한 사람을 도울 것인가에 대해 대안을 제시하였다. 교회공동체는 기아와 궁핍상래에 있는 사람들을 원조와 개발로 도와야 하며, 교회공동체의 지체인 그리스도인은 제자도와 청지기도를 통해 나눔을 실천해야 함을 밝혔다. 누가-행전의 사회적 교훈은 오늘날 한국교회가 안고 있는 숙제 중의 하나인, 교회와 세상의 이분법적인 의식구조로 인한 신앙과 행위의 불일치의 문제에 대해 적절한 해답을 제시하고 있다. 이 점에서 누가신학은 그리스도인의 바른 삶을 일깨워주는 하나님의 선물이라고 생각한다. 우리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경제적 민주주의, 즉 사회적인 빈부문제 극복, 공평한 분배 정의를 위해 누가-행전이 제시하고 있는 교훈의 의미는 아주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누가가 사회적 혁명을 제안한 것은 아니다. 또한 부와 가난같은 현실적인 문제가 예수 그리스도 사역의 본질적인 문제도 아니다. 인간의 진정한 보화는 현세적이고 물질적인 것을 넘어서 하나님의 다스림 아래 사는 것이다. 그렇다고해서 가난한 사람들에 대해 무관심하계나 초연해서는 안되며, 모든 가진 사람들은 책임감을 가지고 자발적이고 적극적으로 나누어야 하는 것이다. 배고픈 사랍들을 먹이고, 헐벗은 사람들을 입히여 사랑을 베풀어야 한다. 기독교는 사회악에 해답을 제시할 수 있고, 또한 그 힘도 가지고 있다. 우리는 도움을 요구하는 사람들이나 또 우리가 도울 수 있는 사람 누구와도 이웃이 되어야 한다. 그러므로 교회안의 성령이 충만한 그리스도인들은 사회적 양심과 하나님께서 허락하시는 사회적 추진력을 가졌다고 할 수 있다. 교회는 가난한 사람들의 입장에 설 수 있어야 하며, 사랑과 봉사를 통해 예수 그리스도를 나타내야 한다. 이것은 오늘날 교회와 그리스도인들에게 예수님의 이웃사랑을 실천하는 한 방법으로 제시되어야 하고, 세상의 빛과 소금의 역할을 감당하라는 이 시디의 우리의 사명으로 받아들여야 할 것이다. This thesis is about the use of the poverty and wealth in the Luke-Acts which show the social and economic interests. The Luke-Acts, I think, is explaining well about the distribution justice which is a pending question to realize the social justice. In terms of Luke's writings,the Gospel According to ST.Luke and the Acts of the Apostles, are regarded as the Luke-Acts. This thesis explains concerning the neglected people based on theoretical approach of the 'poverty' and 'poor people' through the Luke-Acts. It shows the mission of churches about the poor and the morality of the best use of the wealth. The existence of the Luke-Acts that is the theoretical base of this paper is showed in chapter 2. The members of Luke union are rich, well educated foreigners and they knew the basic concept of the Christian Gospels, and Theophilus is one of them. Therefore, Luke intended to write the Luke and the Acts of the Apostles to teach hew to manage their wealth ethically and hew to behave morally as Christians for their congregations, especially for ones who were rich. The concept of the poverty is showed in Chapter 3. Luke used the word 'poverty' especially in the materialistic viewpoint. There are a number of words which mean 'poverty' in Greek, but the general name for the peer is "Ptochos"(πτωxoζ), which represents economic difficulties. As Luke used the word "Ptochos"(πτωxoζ) for the peer, he reminded the people who were tormented by poverty. In Chapter 4, the peer are really destitute like beggars and suffers from severe poverty. And it shows that the peer is identified with really sick and handicapped people. In Chapter 5, the anther considered Luke's concern about the peer based en the Luke-Acts, and found that Luke concerned very much about revenue officers, criminals and women. In Chapter 6, according to the Luke-Acts, some suggestion were made to solve the poverty problem. In this chapter, the author pointed out all Christians as the stewards who distribute our wealth to ether people for the Lord. In Chapter 7, I suggested the mission of churches toward the poor, and some suggestions to help those poor people as a conclusion of this paper. The churches have to help the poor in underdeveloped countries by developing and aiding them; moreover, Christians have to practice the stewardships and discipleship in their lives. Luke-Acts shows the right answers about the discord between the belief and behaviors by dichotomized way of thinking in real world, and it is one of Christians' problems to solve. In this point of view, Luke's Theology is God's present which shows the right way to live as the Christians. The lessons of the Luke-Acts, which dealing with the social wealth and poverty problem through equal distribution justices, are very important in this economic democracy our society is faced is faced with. However, Luke did not suggest social revolution, and the realistic problems such as poverty and wealth are not the essential questions of Christianity. The valuable treasure of human beings is living under God's teaching, getting over the reality. It doesn't mean to neglect the poor, but means that the rich must love the poor by distributing, helping and aiding them. Christianity can solve social evils, and has power to solve these problems.

      • 馬琴讀本における敎訓性の傾向と特質硏究 : 文化期に平林堂から刊行された讀本を中心に

        홍성준 단국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723

        江戸時代の文化を表す代表的な言葉は、「文芸大衆化」である。19世紀の江戸は世界で最も識字率の高い都市であって、これは幕府の支配階層をはじめ一般庶民も読書を通じて文化生活を楽しんでいたことを意味する。このような時期に活躍した代表的な作者に曲亭馬琴(1767~1848)がいる。彼は、読本・黄表紙・合巻といった小説ジャンルをもって、読者たちに多くの教訓と楽しみを与えた。当時、馬琴の作品はセンセーショナルな人気を得た。しかも、馬琴の成功に伴って、原稿料をもらい家計を支えていく生計型作者という新しい職業も誕生したのである。 馬琴の小説は既存の小説にくらべて、多少難しい文体や単語を駆使しながら高い水準の形式を指向した。現実ではありえない荒唐無稽な内容は、さまざまな階層の人々に愛されるようなものだったに違いない。しかし、彼の用いた語彙は一般庶民が理解するに少なからずの困難があったと思う。各作品の序文に、「婦幼」を読者とし、彼らに教訓を与えるために創作を行うという旨が必ず記されるが、果たして馬琴が本当に彼らを読者と考えていたのか疑問に残る理由もここにある。 序文以外の本文を見ると馬琴の創作意図をより具体的に探ることができる。中国の白話小説から構成や内容を受け入れ、興味津々なストーリー構成の中に教訓的な表現を加える、彼自身の世界を構築しているのである。これは馬琴の最高傑作にあたる『南総里見八犬伝』で完成する。28年という長い歳月を費やして完成した『南総里見八犬伝』は、その構想だけで我々が想像し難い時間が必要とされたと思われるし、このことは肇輯が刊行される直前に他作品の執筆量が急減した現象にも影響を及ぼしたに違いない。また、数々の作品で同じ故事が登場してストーリーの展開に影響を与えているということを見ることができ、これらをもって馬琴の教訓的な態度においての傾向をはかることができる。 本稿では馬琴という作者の創作意図をはかる第一歩として、教訓性というキーワードを中心に作者の傾向を考察した。馬琴の数多い作品のなかで、本稿の対象とする作品は、文化期に平林堂という書肆で刊行された『石言遺響』、『椿説弓張月』『敵討裏見葛葉』、『青砥藤綱摸稜案』である。そして、先に触れた『南総里見八犬伝』も対象の作品とする。平林堂は馬琴の一番信頼していた書肆であって、出版した作品は馬琴の読本五作品しか見られないくらい馬琴とは密接な関係を築いていた。 こうした平林堂との出版活動をもとに、馬琴が一番活発な執筆活動を行った文化期の作品をもって、彼の考えていた読者(教訓の対象)を考えた。なお、小説の中に見える教訓的な表現が『曲亭蔵書目録』にある書籍から引用された点、そして一つの作品でなく数々の作品に繰り返し用いられ、しかも変容されている点、最後にこれらの事実が『南総里見八犬伝』に受け継がれて行く点を調べた。 このような研究を通して馬琴の創作意図と馬琴小説の持つ教訓性を調べることができるが、これはさらに19世紀の日本文学においての意味を把握するにつながっていくと思う。この時代を代表し、江戸時代後期を代表する馬琴の作風は、それ以降の作者たちに少なくない影響を及ぼし、これは自然に近代文学の思潮へと繋がったといえる。したがって、古典と近代の橋頭堡の役割をする江戸文学の性格を理解するにおいて、馬琴小説の傾向性を把握することは大変重要な研究にほかならないのである。 에도 시대의 문화를 나타내는 말 중에서 가장 대표적인 것이 바로 ‘문예대중화(文芸大衆化)’이다. 19세기 에도는 세계에서 가장 문맹률이 낮은 도시 중 하나였으며, 이는 곧 막부 지배계층은 물론 서민계층도 독서를 통한 문화생활을 즐기고 있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시기에 활약을 한 대표적인 작가가 바로 교쿠테이바킨(曲亭馬琴, 1767~1848)이다. 그는 요미혼(読本), 기뵤시(黄表紙), 그리고 고칸(合巻)과 같은 소설장르를 통하여 독자들에게 많은 교훈과 즐거움을 안겨주었다. 바킨의 작품은 당시에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으며, 원고료를 받아서 생계를 꾸려나가는 생계형 작가라는 새로운 직업을 탄생시켰다. 바킨의 소설은 기존에 출판된 소설들과는 달리 다소 어려운 문체와 단어를 구사하여 수준높은 형식을 지향하였다. 현실에서는 있을 법하지 않는 황당무계한 내용은 다양한 계층의 사람들이 좋아할 만한 내용이었음에 틀림없다. 하지만 그의 어휘 선택은 일반 서민이 이해하기에 적지 않은 어려움을 주었을 것이라 생각된다. 각 작품의 서문에 ‘부녀자와 어린이(婦幼)’를 독자로 지정하여 그들에게 교훈을 주고자 창작활동에 임한다는 말이 반드시 포함이 되곤 하지만, 바킨이 과연 정말로 그들을 교훈의 대상으로서의 독자로 생각하고 있었는지 의문이 가는 이유도 바로 여기에 있다. 서문 외에 본문을 살펴보면 바킨의 창작 의도를 조금 더 자세히 알아볼 수 있다. 중국 백화소설(白話小説)의 구성과 내용을 바탕으로 한 흥미진진한 스토리 속에 특유의 교훈적 표현을 가미하는, 그 자신만의 소설세계를 구축해 나가고 있는 것이다. 이는 바킨의 최고 걸작인 『난소사토미핫켄덴(南総里見八犬伝)』에서 완성이 된다. 28년이라는 긴 세월을 통하여 완성된 『난소사토미핫켄덴(南総里見八犬伝)』은 구상만 해도 엄청난 시간이 걸렸으리라 짐작이 되며, 이는 제1집(輯)이 출판되기 직전에 다른 작품의 집필 수가 급감한 사실에도 영향을 미쳤음에 틀림없다. 또한 몇몇 작품에서 똑같은 고사(故事)가 등장하여 스토리 전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사실을 살펴볼 수가 있고 여기에서 바킨이 지닌 교훈적 태도의 경향을 가늠해볼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바킨의 창작의도를 가늠해 보는 첫 번째 단계로서 교훈성이라고 하는 키워드를 중심으로 작가의 경향을 알아보았다. 바킨의 수많은 작품들 중에서 본 논문의 대상으로 삼은 작품은 분카기(文化期, 1804~1818)에 헤린도(平林堂)라고 하는 출판사에서 출간된『세키겐이쿄(石言遺響)』,『진세쓰유미하리즈키(椿説弓張月)』,『가타키우치우라미쿠즈노하(敵討裏見葛葉)』,『아오토후지쓰나모료안(青砥藤綱摸稜案)』이다. 그리고 앞서 언급한『난소사토미핫켄덴(南総里見八犬伝)』역시 대상 작품으로 삼았다. 헤린도는 바킨이 가장 신뢰하고 있었던 출판사(板元) 겸 책대리점(貸本屋)으로서, 직접 출판한 작품은 바킨의 요미혼 5편이 전부일 정도로 바킨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다. 이러한 헤린도와의 업무를 바탕으로 바킨이 가장 활발히 집필 활동을 한 분카기의 작품을 통하여 그가 생각하였던 독자(교훈의 대상)를 알아보았다. 또한 소설 속에서 보이는 교훈적인 표현이 이른바 『교쿠테이장서목록(曲亭蔵書目録)』에 보이는 각종 서적들에서 비롯된 점, 그리고 하나의 작품이 아니라 여러 작품에서 반복되고 변형 과정을 거쳐 사용되고 있다는 점, 마지막으로 이러한 사실들이『난소사토미핫켄덴(南総里見八犬伝)』으로 계승된다는 점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연구를 통하여 바킨의 창작의도와 바킨 소설이 갖는 교훈성을 알아볼 수 있는데, 이는 더 나아가 19세기 일본 문학이 가지는 의미를 파악하는 데에 도움을 주리라 생각한다. 19세기 이른바 에도시대 후기를 대표하는 바킨의 작풍(作風)은 그 이후의 작가들에게 적지않은 영향을 미쳤으며, 이는 자연스레 근대문학 사조(思潮)의 흐름으로 이어졌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고전과 근대의 연결고리 역할을 하는 에도문학의 성격을 이해하는 데에 있어 바킨 소설이 지닌 경향성을 파악하는 일은 매우 중요한 연구라고 할 수 있겠다.

      • 전통 여성교육 연구 : 한.중 여성교훈서를 중심으로

        김광옥 경희대학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95

        여성교훈서란 전근대 사회에서 여성 교육을 목적으로 사용하던 교훈서를 총칭하는 말이다. 여성 교육은 전통 시대에 남성의 교육과 같이 교육기관을 통해 이루어지지 못했고, 가정 내에서 부덕 함양을 위해 비제도적으로 행해지는 것이 전부였다. 그러나 전통 사회에서도 여성교훈서를 통해 체계적으로 여성을 교육하려는 노력이 있었다. 조선 전기에는 국가적인 차원에서 여성의 교화를 위해 보급에 앞장섰으며 중국의 여성교훈서를 통해 학습시키고자 하였고 소혜왕후가 『내훈』을 지은 것을 필두로 조선 중기부터는 일반 사대부 가정에서 여성교훈서를 간행하게 되었다. 본 연구는 한국과 중국의 대표적인 여성교훈서를 비교 연구하는 방법으로 개별 여성교훈서의 특징과 독창성, 의의 등을 파악하고 전통 여성교육의 특징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여성교훈서가 여성의 부덕 함양과 교화를 목적으로 쓰여진 점을 간과할 수는 없지만 교훈서의 내용 안에 진보적인 여성관과 여성 교육의 필요성을 역설한 점을 찾아본 것이 본 연구의 의의라 할 수 있다. 전통 여성교육의 특징을 여성교훈서를 분석하여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모든 여성교훈서에서 부덕을 강조하며 여성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였으나 남성이 저술한 여성교훈서에서는 기초적인 교육 단계에서 머물러야 한다고 주장했고, 여성이 저술한 여성교훈서는 여성 교육 필요성을 더욱 강조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중국의 여성교훈서에서 여성의 낮은 지위를 강조한 반면, 한국의 여성교훈서에서는 남성에게 종속되어 무조건적으로 몸을 낮춰야 하는 여성상을 강조하지 않았다. 자녀교육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모든 여성교훈서에서 강조하고 있었으며 한국의 여성교훈서에서 태교의 중요성에 대해 자세히 언급하고 있는 점이 특징적이었다. 가정경영에 대해서는 조선 후기 여성교훈서에서 가장 여실히 나타나고 있었다. 조선 전기에 가부장제 도입으로 인한 유교적 질서를 구현하려 했다면, 조선 후기에는 한층 더 확장된 부덕을 강조하였으며 현명한 여성을 길러내어 가정 질서의 확립과 가정의 부귀를 도모하려 했다는 점을 밝혀내었다. 전통 여성교육은 여성을 교육시켜 사회로 진출시키려는 목적이 아닌 가정의 유지와 화목을 위한 수단이 되었던 점이 한계라 할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남성에게 절대적으로 복종해야 하는 삶을 교육시킨 것이 아니라 여성 교육의 필요성을 주창하였다는 점에 큰 의미가 있다. 본 연구를 통해 전통 사회의 여성교육이 가정 내에 얽매여있는 여성이 아닌 국가의 큰일을 해낼 수 있는 인물을 길러내려고 했다는 점을 밝힌 것이 가장 큰 의의라 할 수 있다. “Woman didactic literatures” is a general term for instructions used for women’s education in pre-modern. Unlike men’s education, women’s education for womanly virtues was not fulfilled through educational organizations, but informally performed at home with woman didactic literatures which helps women’s education formulates its own educational systems. For that reason, in the early period of Chosun Dynasty, the government tried to distribute Chinese woman didactic literatures to enlighten women, and from the beginning of “NaeHoon” written by SoHye Queen first in the nation, in middle period of Chosun Dynasty, Chosun’s nobles started to publish their own woman didactic literatures. The paper has a purpose of understanding traditional women’s education with the studies of characteristics, originality, and significance of woman didactic literatures by comparing Korean major woman didactic literatures with Chinese ones. Although woman didactic literatures were written mainly for womanly virtues, the progressive view of women’s roles and the needs for women’s education also were presented in the literatures. The findings of the studies relating to traditional women’s education with woman didactic literatures are concluded as followed. All the woman didactic literatures emphasized womanly virtues and recognized the needs for women’s education. However, the literatures written by male writers insisted the education remain in the basic level, on the contrary, the literatures written by female writers put more emphasis on the necessities of women’s education. Furthermore, although in the Chinese literature it is argued that women have low social status, in the Korean literature an aspect of subordinate women to men was not insisted. Moreover, it is also found that the necessities of children education were emphasized in all the woman didactic literature, and in the Korean literature the needs for antennal training was described in more detail than any other. Housekeeping was well demonstrated in the woman didactic literature written in the late period of Chosun Dynasty. In the early period, the literature showed the embodiment of Confucianism by introducing a paterfamilias-system. In the late period, however, it explained the extended womanly virtues that could raise wise female helping establish household rules and contributes to riches and honors of the household. The traditional women’s education had a limit that it was not for women’s advances to society, but only a measure to maintain harmony of household. However, it is a meaningful finding that the education emphasized the needs for women’s education rather than absolute subordinations to men. The main significance of the study is that the tradition women’s education put more value to raising the women who would be able to perform a meritorious deed for the country, not only restricted within the household chor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