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어린이 찬양대의 교회음악 교육 실태 분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소현명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루터는 예배의 세 가지 요소를 기도와 찬송과 말씀이라 하였는데 찬송은 곡조 있는 기도로 최상의 찬송을 하나님께 드리는 것이 교회음악의 목적이다. 우리의 목소리와 악기들의 조화로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는 찬양대의 직분이야 말로 그 무엇보다도 중요한 것이다. 주일학교 어린이 찬양대가 교회음악의 교육을 통해 하나님을 향하여 참 찬양으로 나아가도록 이들을 지도하는 어린이 찬양대 지휘자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 또한 이들을 올바른 예배자로의 부름을 가르치기 위한 교육의 방향 역시 매우 중요한 일인 것이다. 교회력에 따른 찬양의 선정과 교회음악 교육은 우리를 향한 성부 하나님의 사랑의 증거이신 성자 예수 그리스도 일생과 사역의 모든 부분을 자연스럽게 배워가게 될 것이다. 어린이 찬양대를 교육하기 위한 기존의 여러 가지의 방안들이 나와 있고 또 연구되어 있지만 교회력에 따른 교회음악 교육이야 말로 성부 하나님의 성자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속사역과 성령 하나님의 도우심을 가장 잘 가르칠 수 있는 교안이 될 것이다. 주일학교 어린이 찬양대에서 교회력에 따른 교회음악 교육을 함으로 교회는 교육을 통하여 신앙의 첫 걸음마를 하는 어린이가 구원받고 예수 그리스도의 성품을 닮아가며 기독교 세계관으로 세상을 바라보고 그들이 계속적으로 성화되어가는 과정을 통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사람으로 자라나는 유익을 얻게 된다. 어린이 찬양대 지휘자들은 주일학교 어린이 찬양대에게 무엇을 어떻게 가르칠 것인가? 하는 생각으로 항상 고민하고 있다. 앞에서도 언급하였던 것처럼 주일학교 어린이 예배에서 찬양은 무척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모든 예배에서 찬양은 매우 중요하나 특별히 찬양대의 준비된 찬양은 어린이와 성인의 구별 없이 하나님의 성호를 높이는 중요한 역할로 그 무게는 같이 두어야 한다. 물론 이들의 교육을 위해 여러 가지의 방법을 모색하며 세우기도 하지만 때로는 내용이 너무나 속되고 질도 떨어지는 현대사회의 대중문화를 모방하는 경우들이 너무나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은 하나님께 드려지는 찬양에 대한 경외심의 부족과 찬양자로써의 부적절한 모습이며 더 나가서는 제 소견에 옳은대로 행하는 자와 같은 것이라 여겨진다. 그러나 교회력은 예수 그리스도가 중심에 있으며 교회의 정통성을 지니고 있는 고유한 시간표 인 것이다. 그래서 세상 문화에 변질되지 않은 정통적 교회 문화를 이루게 한다. 그러므로 교회력에 따른 교회음악 교육이 이 시대의 어린이 찬양대 교육에 있어 그 어느 교육 자료 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반복되는 교회력의 사건들은 어린이들의 신앙을 성숙시키고 거듭하여 그들의 마음속에 영적인 경험들도 가지게 한다. 잠언 22장 6절에서는 “마땅히 행할 길을 아이에게 가르치라 그리하면 늙어서도 그 길을 떠나지 아니 하리라”고 말하고 있다. 현대의 많은 교회에서 교회력을 순전히 따르지 않고 그 교회력 절기 가운데 몇 가지 절기만을 받아들여 지키고 있으며, 또 절기가 아닌 것도 절기인 양 잘못 알고 있기까지 한다. 예를 들면 성탄절과 주현절 부활절은 교회력 절기에 속하지만 어린이 주일, 그리고 어버이 주일과 국경일등은 사실상 교회력에 속한 절기가 아니다. 그런데 오늘날 교회에서는 이런 날들을 더 소중히 여기며 절기로 지키고 있는데, 이것은 예수 그리스도 안에서 하나님의 선하신 사역에 초점을 맞추기보다 사람을 향해 초점을 맞추는 인본주의적 사상으로 잘못 된 방향으로 가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잘못 된 방향으로 가고 있어도 깨닫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 한데, 사람이 중심이 된 예배는 복음으로의 관점을 가져야 할 성도로써의 예배자들을 속게 한다. 이제는 잘못되어 가는 그 자리에서 빨리 돌이켜 예배의 정통성을 가지도록 교육해야 한다. 이상에서 살펴 본 바와 같이 교회력을 통한 어린이 찬양대 교회음악 교육은 교회의 예배와 설교, 그리고 교회의 교육을 설정하고 계획하는데 지침서가 될 뿐 아니라 하나님을 믿고 예수 그리스도를 주로 시인하는 어린이들의 신앙 성장을 위하여 그리고 그리스도의 삶을 배우며 그것을 본받기 원하는 어린이 찬양대의 교회음악 교육을 위해서 꼭 필요한 것이다. 우리는 이제 이러한 교회력 절기의 가치를 새롭게 인식하고 적용시켜 오늘날 한국 교회의 주일학교 어린이 찬양대 교회음악 교육에 유익이 되고 더 나아가서는 교회의 밝은 미래가 되도록 해야 하며 하나님께 올려 드리는 참 찬양의 주인공들이 되도록 해야 하겠다. Martin Luther regards prayer, hymnal and Word as three essential parts of worship. Hymnal can be said as rhythmical prayer and the purpose of church music is to praise the Lord highly. The most important thing required of choir is to glorify God with their voice and instruments harmonizing. The leader of children choir on Sunday school has an important task of leading children on Sunday school to praise the Lord with their heart through education of church music. Also, attention must be paid to the direction of education which can help to bring forth right worshippers. The selection of hymnal and the teaching of church music according to Church Calendar will help children to learn Jesus and His works as a proof of God’s love. A lot of teaching methods for children choir have already been developed. Church music following Church Calendar will, however, be a textbook which teaches Father God, the Son of God, Jesus and the Holy Spirit of God. Children who learn church music following Church Calendar on children choir will get the following benefits. First, the church music will help children to find Jesus as their savior. Second, they will be formed after Jesus Christ. Third, they see the world through Christian world view. Fourth, they will glorify the Lord by getting sanctified continuously. The leader of children choir on Sunday school always thinks about what to teach to children choir. As mentioned above, hymnal on children worship is playing a very important role. Praise is very important in all worship. Especially, well-prepared hymnal of choir is of the essence when we make God great, regardless whether it is an adult choir or a children choir. Although a lot of teaching methods have been developed, many of them reveal bad quality and secular character that imitate modern culture thoughtlessly. We are of the opinion that this results from want of awe for praising the Lord, wrong attitude as worshipper and even the attitude of one “who does what was right in his own eyes” (Judg. 21:25). But Church Calendar is a received timetable which puts Jesus Christ at the core of church life. Attention to Church Calendar will create an orthodox church culture that will not be easily affected by secular stream. Church Calendar, when used for the purpose of the education of church music, is the best textbook for the education of children choir. The repeated events in Liturgical year will help children to grow in faith through repeated spiritual experience. Proverbs 22:6 says “Train up a child in the way the should go, and when he is old he will not depart from it.” Many churches of today do not keep the Liturgical year. Those that keep it do it only selectively. Even it is the case that some churches keep special Sunday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redemptive-historical works of God. For example, while both Christmas and Easter comprise Church Calendar, Thanksgiving Day, worship at the turn of the year, Children’s Day, and Parents’ Day do not actually belong to Church Calendar. Nevertheless, many churches of today think of these days as more valuable than Liturgical year. Rather than focusing on God’s good works as done in Jesus Christ, they reveal the tendency of men-centeredness. Yet, most Christians do not realize this wrong direction. Men-centered worship will lead worshippers astray who are required to hold an evangelical point of view. It is the time to turn back to, and teach, God-centered worship. As we saw above, education of church music for children choir based on Liturgical year will be a good guide line by which to plan worship, preaching, en church education. It is also necessary for the growth in faith of children and for the education of church music for children choirs who want to be formed after the likeness of Jesus Christ. We need to realize the value of Liturgical year and bring it back to the church practice. The education based on Liturgical year will give benefits will be of great benefit to the church music education for children choir, and make children good worshipper praising the Lord.

      • 영국 교회음악사를 통해 본 한국 교회음악 활성화 방안 연구 : 종교개혁 시대부터 19세기 까지

        최연태 백석대학교 기독교전문대학원 2013 국내박사

        RANK : 248703

        국 문 초 록 본 논문은 16세기 종교개혁 시대부터 19세기까지 영국 교회음악사를 통해 본 한국 교회음악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이다. 각 시대별로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해를 통해 예전 음악과 비예전 음악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면서 교회음악의 원리와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먼저 한국 교회음악의 문제점을 다음과 같이 언급하였다. 첫째, 예배 주제의 통일성이 없다는 것이다. 둘째, 예배에 있어 예전 음악과 비예전 음악의 구분이 모호하다는 것이다. 셋째, 교회력에 따른 회중찬송이 활성화 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점의 해결 방안으로 연구자는 영국 교회의 음악역사를 주목하였다. 그 이유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오늘날 다양한 양상을 보이는 한국 교회음악 가운데에서 어떻게 예전 음악을 구분할 것인가에 대한 시사점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종교개혁 이후 영국의 교회음악은 국교회인 성공회와 비국교회인 장로교 · 감리교 · 침례교 등 교회음악적 자산이 풍부하고 다채로웠기 때문에 오늘날 다양한 장르의 한국 교회음악 가운데에서 어떻게 예전 음악을 구분할 것인가에 대한 조언을 얻을 수 있다. 둘째, 한국 교회의 교회음악이 어떠한 방향으로 나아가야 하는지에 대한 통찰을 얻을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19세기 초 낭만주의 시대의 영향을 받아 문학적 · 예술적으로 일어난 예전 찬송가 운동은 그레고리안 찬트만을 고집하다 쇠퇴의 길을 걷게 된 당시의 가톨릭 교회와는 달리 예전음악의 틀을 지키면서 대중적인 요소들을 포함시켰다. 무엇보다도 교회력에 따라 회중 찬송가를 편집한 『고금 찬송가』(Hymns Ancient and Modern)는 예전(Liturgy)에 없었던 회중 찬송가의 모범을 보인 것으로써 이후 모든 개신교에서는『고금 찬송가』의 편집 방법에 따라 교회력에 따른 회중 찬송가를 모델로 삼게 되었다. 셋째, 오늘날 한국 교회음악이 신학과 어떻게 맥락을 같이 할 수 있는가에 대한 방향성과, 특히 예전과 비예전 음악의 조화를 어떻게 이룰 수 있는가에 대한 지향점을 찾을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서론에서는 문제제기와 연구목적, 선행연구, 연구방법과 연구범위에 대하여 언급했다. 제2장에서는 16세기 종교개혁 시대의 교회음악을 영국 국교회와 비국교회의 음악적 자산들을 통시적으로 고찰하면서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해를 통해 살펴보았다. 제3장에서는 17세기를 청교도 시대와 왕정복고시대로 나누어 비예전적이며 실용적인 음악과 예전적이며 예술적인 음악을 대비하면서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해를 살펴보았다. 제4장에서는 18세기 복음주의 시대의 교회음악을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해를 통해 살펴보았다. 제5장에서는 19세기 초 낭만주의 시대에 나타난 교회음악을 시대적 · 신학적 · 교회음악적 이해로 살펴보았다. 특별히 여기서는 개신교 찬송가집에 영향을 주었던『고금 찬송가』를 집중적으로 분석하였다. 제6장에서는 영국 교회음악의 역사적 고찰에 따른 한국 교회음악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으며, 예전 찬송의 확대와 비예전 찬송의 수용의 측면에서 회중찬송의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제7장 결론에서는 지금까지 살펴 본 내용의 핵심들을 요약하고 교회음악의 활성화 방안들을 제언하였다. 주제어: 영국 교회음악, 한국 교회음악, 고금 찬송가, 회중찬송, 예전 음악, 비예전 음악

      • 교회음악 갱신을 통한 중장년 영성교육 프로그램 실천연구 : 성광교회 사례를 중심으로

        이형욱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Church music is a spiritual gift created by God. Music is a "pathway through which God and man meet," a "breath of spirituality" and a "spirit that emerges with sound." Music used in churches is not an ornament. Through church music, we experience the spiritual God incount. And plays a great role in spiritual intercourse between the church members. Therefore church music is an expression of spirituality, and in itself it is spirituality. Music includes various contents such as Christian spirituality, anti-Christian spirituality and artistic spirituality. Of course these things are part of it, but the starting point of true spirituality begins with a relationship with God. The goal of church music is to honor God. Church music is the ultimate Christian art that harmonizes with the expression of Christian faith. Church music is the ultimate Christian art that harmonizes with the expression of Christian faith. Music is taking up more and more of modern worship. However, most pastors and church music leaders do not have theological training or even the curriculum on church music, so church music is selected according to their tastes and worship is guided by them. While Korean churches have grown rapidly, experts point out that the reckless use of church music has clouded the essence of worship. Therefore, redefining the spirituality of church music with theological logic is the task of this era. Looking at church history, one can see that church music was activated when the church moved from recession to growth. Church music has played a great role in moving the souls of the church members to accept the message of the Bible, and has greatly helped activating the spiritual programs performed in the church. Likewise, music itself can be a tribute to spirituality, but on the contrary, music can have a bad effect if used incorrectly. As such, church music has an organic relationship with spirituality, so theological spiritual understanding should precede it. Middle-aged church members face human limitations as they begin to age in terms of human growth and development, and have a spiritual desire to find the essential self. The purpose of the research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hurch music and spiritual education for middle-aged students in a teaching and to analyze the possibility of spiritual education, which is the foundation for the use of church music, and to suggest religious and educational practices. So we will first analyze the middle-aged members of the Korean church community, and specifically, we looked at the psychological, social, physical,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mid- to long-term period by referring to scholars such as McCadams. And through the period study of church music, which has a profound influence on spiritual education, we understand that spirituality and church music are inseparable and that church music and spiritual education should be approached on a spiritual level. Finally, an example of the church pastoral scene of a researcher who saw the linked practice of church music and spiritual education is presented. 교회음악은 하나님이 창조하신 영적인 선물이다. 음악은 ‘하나님과 인간이 만나는 통로’이며, ‘영성의 숨’이며, ‘소리로 나타나는 영성’이다. 교회에서 사용되는 음악은 장식품이 아니다. 교회음악은 영이신 하나님을 깊이 경험하게 하며, 성도간의 영적교제에 지대한 역할을 한다. 그러므로 교회음악은 영성의 표현이며, 그 자체가 영성이다. 음악은 기독교적 영성, 반 기독교적 영성, 예술적 영성과 같은 다양한 내용을 포함한다. 물론 이와 같은 것들이 일부분이지만 진정한 영성의 출발점은 하나님과의 관계성에서 출발한다. 교회음악의 목표는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것이다. 교회음악은 기독교 신앙의 표현과 조화를 이룬 극치의 기독교 예술이다. 현대예배에서 음악이 차지하는 비중이 갈수록 높아지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목회자와 교회음악 지도자들은 교회음악에 대한 신학적 교육을 받지 않았거나 교육과정조차 없어, 자신의 취향에 따라 교회음악이 선별되고 이들에 의해 예배가 인도되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교회는 급성장한 반면, 교회음악의 무분별한 사용으로 예배의 본질까지 흐리고 있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하고 있다. 이에 교회음악 영성을 신학적 논리로 재정립하는 것이 작금의 과제일 것이다. 교회사를 볼 때, 교회가 침체기에서 성장기로 전환 될 때, 교회음악이 활성화되었음을 알 수 있다. 교회음악은 성도들의 영혼을 움직여 성경의 메시지를 받아들이는데 지대한 역할을 해왔고, 교회에서 행해지는 영적프로그램을 활성화 시키는데 큰 도움을 주었다. 이처럼 음악은 그 자체가 영성을 나타내는 찬양이 될 수 있지만, 반대로 음악이 잘못 사용되면 좋지 않은 영향을 나타낼 수 있다. 이처럼 교회음악은 영성과 유기적인 관계가 있으므로 신학적 영성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중장년 성도들은 인간의 성장 발달 관점에서 노화가 시작되는 시기로 인간의 한계에 직면하며 본질적인 자아를 찾고자 하는 영적인 욕구를 가지는 시기를 보내고 있다. 이에 연구자는 교회음악과 중장년 영성교육과의 관계를 교회사적으로 살펴보고 교회음악 사용의 토대가 되는 영성교육의 가능성을 분석하고 종교교육적 실천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래서 우선 한국교회 교회 공동체의 중장년층을 분석할 것이며, 구체적으로, 매카담스 등의 학자들의 참고하여 중장년기의 심리, 사회, 신체, 사회문화적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영성교육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교회음악의 시대적 연구를 통하여 영성과 교회음악은 분리될 수 없는 통전적인 것으로 이해하고 교회음악과 영성교육도 영적인 차원에서 접근해야 할 것을 밝혔다. 끝으로, 교회음악과 영성교육의 연계된 실천 방안을 본 연구자의 교회 목회현장의 사례를 통해 제시하고자 한다.

      • 교회음악을 통한 기독교 교육

        백종국 목원대학교 신학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회음악이란 교회가 그 사명을 완수하기 위하여 필요로 하는 일체의 음악적 활동으로서 하나님을 찬미하며 그의 은혜에 감사하고 경건하며, 영감이 깃들어 있으며, 다양한 사람들이 부를 수 있고 이해될 수 있는 예술성과 종교성이 있는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교회에서 음악을 통한 교육은 오늘에 이르기까지 발전되어 왔던 과정에서 살펴보았듯이 어느 시대나 신학과 음악이 함께 발전되어 왔음을 알 수 있다. 종교개혁 이후만 보더라도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은 독일의 코랄을 낳고 칼빈을 중심한 경건주의 신학은 시편송을 발전시켰다. 또한 웨슬리를 중심한 심령운동은 새로운 찬송을 통해서 성도들의 신앙을 폭넓게 하였다. 그리고 미국의 찬송에 대한 보급으로 인한 영향으로 인해서 복음전파를 적극적으로 이끄는 계기가 되었다. 그러므로 오늘날 한국 교회음악이 발전되기 위해서 교회음악에 대한 바른 이해와 구체적인 방향을 통해 그 이론을 정립하고 실제적인 운영이 필요하다. 그런 의미에서 음악을 통한 기독교 교육을 실천하기 위하여 다음의 몇 가지 제안을 한다. 첫째, 교회음악이 교회 교육을 목적으로 활용된 개신교의 역사적인 전통을 기독교 교육을 담당하는 교사들로 하여금 교육되어져야 한다. 교회음악의 역사를 앎으로서 음악을 통한 기독교 교육은 더욱 풍부해 질 수 있다. 둘째, 기독교 교육에서 음악의 사용은 그 주제와 일관된 것이어야 한다. 이것이 이루어지지 않을 경우에는 음악은 끼워 넣기, 분위기 띄우기의 도구적인 사용이나 보조적인 수단으로 전락될 위험이 크다. 따라서 음악은 계획적이고, 조직적이며, 의도성을 가지고 교육되고 학습되어야 한다. 셋째, 기독교 교육에서 음악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도록 전문적인 교회음악 지도자 양성과 훈련계획이 시급히 요구된다. 교회는 이를 위해 음악 목사제도를 적극적으로 받아들이고 행정적인 지원이 강화되어야 한다. 넷째, 음악을 통한 기독교 교육은 그 음악의 사용에 대한 분명한 기준을 가져야 한다. 그 음악의 가사와 멜로디의 활용성에 대한 성서적, 역사적, 신학적 평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아름다움을 추구하는 예술의 창조성과 독창성, 상상력은 기독교 교육 현장의 교사와 지도자들에게 새로운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 하나님의 아름다우심을 기독교 교육의 현실로 이끌어올 때 한국 기독교 교육은 새로운 가능성을 맞이할 것이며, 또한 하나님의 구원 안에 있는 아름다운 인간성을 형성시킬 수 있는 희망을 갖게 될 것이다.

      • 음악목회의 필요성에 관한 연구

        이상철 칼빈대학교 신학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음악은 이미 구약시대 때부터 교회에서 아주 중요한 일을 하고 있었던 것을 볼 수 있다. 음악은 당시 예배에서 중요한 예배의식의 일부였으며 음악 담당자는 예배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맡았었다. 음악목회는 사제들의 목회와 마찬가지로 구약시대부터 있었고 따라서 음악 목회자들도 목사와 같이 사제의 한 사람이란 책임 의식과 사명의식을 뚜렷이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현대에 와서 음악만을 전공한 사람들이 교회음악을 담당함으로써 교회음악 본래의 기능뿐 아니라 바른이해가 도외시된 채 기술적인 음악 일변도로 나아가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 "이 백성은 내가 나를 위하여 지었나니 나의 찬송을 부르게 하려 함이니라"고 하신 이사야 43장 21절 말씀처럼 찬양을 요구하시는 것은 하나님의 명령이다. 하나님께 온전한 찬양을 드리기 위해서는 신앙의 자격을 갖춘 전임 음악지도자나 음악목사 제도 등의 합법적인 제도를 만들어 계획적이고 조직적인 행정에 의한 연구와 적합한 음악제도를 확립시켜서 우리나라 국민들에게, 한국의 교회음악 발전을 위해 노력할 수 있도록 기회를 주어야 할 것이다. 교회의 전통인 음악목회 전문직은 보호되어야 한다. 음악 목회자로서의 가장 큰 임무는 예배의 온 음악적 부분들이 온 교회 교인들과 함께 연합되어 같이 하나님께 영광돌리고 은혜 받도록 인도하는 것이다. 음악목사는 교회음악에 관한 행정과 지도를 맡은 성직자이다. 이제 한국교회도 교회음악에 전문성을 갖춘 목회자를 양성하여 교육하는 교회로 탈바꿈을 하여야 할 것이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교회가 목회 정책이나 예산 면에서 과감한 개혁을 구현하여야 할 것이다. 음악 목회자는 기술과 능력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도 영적 교통을 할 수 있는 자라야 한다. 사도 바울의 말처럼 이성으로도 노래하고, 심령으로도 노래하며, 예술성과 영성이 강조되며 균형을 이룰 수 있으며 이상적인 음악목회의 새로운 장을 이루어 나갈수 있으면 좋을 것이다. 한국 음악목회의 발전방향을 위해 다음의 몇 가지를 제안한다. 첫째로, 교회음악출판물의 엄선, 연구 및 검토를 전담하는 상설기관이 있어야한다. 음악목회의 근저를 이루는 출판물의 제 정비는 우리 교회음악목회의 발전을 위한 시급한 과정이기 때문이다. 둘째로, 음악목회자 양성이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지금 실시되고 있는 일부교단의 과정만으로는 너무나 인원이 부족하다. 셋째로, 교회음악 행정의 정통성을 정립해야할 것이며 이에 따른 음악목회의 방향설정 및 행정체제 확립에 강력한 추진이 있어야 할 것이다. 넷째로, 교회음악 지도자의 확고한 위치가 확립되어 교회음악 행정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교단별, 개 교회별 결단이 시급하게 이루어져야 할 것이라고 본다. 마틴 루터는 찬송가는 곡을 붙인 하나님 말씀이라고 하였는데 찬송을 빼놓고는 기독교를 말할 수 없다고 전제한다면 성서적이고 역사적인 뿌리를 둔 음악목회자의 필요성은 교회음악의 발전을 위하여 반드시 필요한 것이며 이러한 제도확립을 통해 교회음악인들의 협력체제 구축과 합동프로그램 개발, 그리고 한국실정에 맞는 음악목회 행정에 관한 계속적인 노력이 절실히 필요하다고 본다.

      • 한국 교회음악의 회중성에 관한 연구 : 성결교회를 중심으로

        송수민 서울신학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dissertation is about studying the tendency of using hymns in Korean church. I made some research for this theme and surveyed 1114 people such as mere christians, ministers, students majoring in church music, missionaries not majoring in hymnal music, and specialists in gospel music. There are several problems in common speaking of Korean church music. First, we lack the participation of people in church music. When we worship in Korean church, we sing three to four songs in a hymnal at most. we don't have chance to learn the importance of chanting hymns of praise so far because of the Korean traditional church culture in which preaching is always the main part in divine service without a doubt. Second, worshipping songs christians like to sing are different according to age. Therefore it is the rare case that teenagers and mid-aged people come and sing songs together in the same gospel concert. Are the concepts of church music different between teenagers and mid-aged believers? They are not different based on my survey. Church music leaders have to solve that problem. Third, music leaders in church are not much interested in worshipping songs many christians want to sing and have to sing. They can't lead believers to praising God with songs to help maintain their belief in their lives. I think that I had better send a questionnaire to christians who are making and consuming the church music to figure out the problems I've mentioned above and the culture of praising God with songs has to be developed based on the results of questionnaires. I talked about the questionnaires I sent to mere christians, ministers, students majoring in church music, missionaries not majoring in hymnal music, and specialists in gospel music in the main body and analyzed the results in the conclusion of my dissertation. This dissertation was written to gather views as much as possible and I tried to find out the meaning of the results. Most of the questions in my questionnaire are descriptive not to manipulate the results according to the writer's opinion. I did my best to put every analyses and graphic tables in my work. "I praise God with songs myself and help christians to sing hymns with their heart, to whom? to god, when? all the time!"

      • 1912년~1935년 한국 가톨릭 교회음악에 관한 연구(上) : 그레고리오 성가를 중심으로

        김도경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Korean Catholic Church and their chants have developed in various ways along with time and environmental changes. It can be classified into four different periods; period of CheonJu-Gasa(Ancient form of Catholic lyrics), introductory period of Gregorian Chant, period of Hymnal Books before and after 1948. CheonJun-Gasa was formed spontaneously by the faithful in order to spread Catholic doctrines and the faith. There were also Gregorian Chants that came along with history of Catholic Church. In Korean Catholic Church, Gregorian Chants were accepted when the Catholic liturgy was introduced by the influence of French Missionaries and their related congregations. However it was not as effective as expected. At initial stage, the liturgy could not be conducted due to persecutions and people could not afford to teach and share the Gregorian Chant which had unfamiliar melody and the lyrics. Nevertheless, Gregorian Chant achieved recognition of its importance in Korea and the Vatican recommended to use Gregorian Chants in all Catholic liturgy around the world. Since the Korean Hymnbook started to be published in 1910, it has shared the history of Korean Catholic music. Therefore the study on Korean Catholic hymnbook is a core factor to see the trend of Korean Catholic hymns. This paper will examine the historical and musical significance of following books especially concentrating on the hymnbook containing the Gregorian Chant; from 1912 copy of YongSan『Seminary Hymnbook』to primally published four part voice hymnbook 『Caholic Hymnbook』by Lee MoonKeun 1948. This paper will propose the improvement of the future Gregorian Chant by looking at a direction of the usage of Gregorian Chant within Korean Catholic hymnbook. It will be done looking through at the introduction and transition process of Gregorian Chant in Korea, usage within the hymnbooks and including some problems. Once we take advantage of the Gregorian Chant, the root of the Catholic Church Music, we will be able to overcome the limit coming from the shortage of hymnbooks on various liturgical seasons and subjects. 한국 가톨릭교회는 시대와 환경의 변화에 따라 다양한 모습으로 발전되어 왔으며 성가 역시 다양한 모습으로 변화되어 왔다. 이를 구분하면 천주가사 시기, 그레고리오 성가 유입 시기, 1948년 이전 성가집과 이후 성가집 시기 등으로 나누어 생각해 볼 수 있다. 한국 가톨릭교회 초기에 천주교 교리와 신앙을 전달할 목적으로 일반신자들에 의해 자생적으로 천주가사가 형성되었다. 또한 가톨릭교회에서 역사와 더불어 그 길을 함께 걸어온 ‘그레고리오 성가’가 있다. 한국 가톨릭교회에서 그레고리오 성가는 프랑스 선교사들과 프랑스 계통 수도원들의 영향으로 천주교 전례의 유입과 함께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졌다. 그러나 그 파급효과는 그리 크지 못했다. 도입초기에는 박해에 의해 전례가 제대로 수행되기도 어려웠고 선율과 가사가 모두 생소한 그레고리오 성가를 가르치고 향유(享有) 할 만한 여력이 없었다. 특히 가사가 라틴어라는 점에서 성가의 습득이 어려웠을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레고리오 성가는 현재까지 가톨릭 전례의 최고 음악으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으며, 교황청에서도 가톨릭의 모든 전례에 그레고리오 성가를 사용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한글성가집이 발간되기 시작한 1910년 이후부터 한국 가톨릭 교회음악의 역사는 성가집의 변천사와 그 맥을 같이한다. 본 논문은 1912년 용산『신학교 성가』등사본부터 최초로 출판된 정식 4부 합창 성가집인 1948년 이문근『가톨릭 성가집』발행 시기까지 성가집들의 역사적, 음악적 의의를 그레고리오 성가가 수록된 성가집을 통해 집중적으로 살펴볼 것이다. 또한 한국에서의 그레고리오 성가 유입과 변천과정, 성가집들 안에서의 활용, 그리고 문제점을 통해 한국 가톨릭 성가의 그레고리오 성가가 나아가야할 방향을 살펴보면서 개선방안을 제언해 볼 것이다. 미사전례 중심의 내용을 담은 성가가 부족한 현실에서 가톨릭 교회음악의 뿌리인 그레고리오 성가를 적극 활용한다면 전례시기별, 주제별 성가의 부족에서 오는 한계를 극복할 수 있을 것이다.

      • 한국교회 예배음악의 나아가야 할 방향 : C.C.M 사용을 중심으로

        김미진 경성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It is astonishing how much the Korean churches have been quantitatively revived and developed in its 120 years' history. Nevertheless, the Korean churches are still less advanced in qualities. Especially, service music is just little used in worship service because there's little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worship service and service music. In contrast, C.C.M.(Contemporary Christian Music), much of which is based on popular music, is whipping up Sunday services, causing lots of confusion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advisable direction of service music in future Korean churches through focusing on the current use of C.C.M in church service. For the purpose, this researcher examined what proper worship services mean, with a basic knowledge of service music. In addition, the researcher suggested how service music should be performed in a right way during worship service. Furthermore, the researcher examined the history of service music in Korean churches and the current situation of contemporary service music. The lives of Christians and unbelievers are little different in many aspects. The only difference between their lives lies in whether they worship God through worship service or not. Worship service is a human response to the calling of love and blessing from God. It is a material act of life. Worship service is like the dialogue of love between God and his people. It is to express religious emotions, especially awe for God, and respect God as the highest being. Service music is not just an auxiliary means of worship service, but a critical part of the service. However, the origin of the C.C.M. lies in secular music, not in church music. The musical forms, instruments and texts used in the C.C.M. are different from those of traditional service music. From a dimension of mission, it may be recommendable to use the forms and contents of secular music for the purpose of evangelization. But it seems not desirable to utilize those forms and contents in worship service. In other words, the forms, instruments and texts of service music need to be clearly discriminated from those of worldly music. Service music should be highly sophisticated and refined enough to express a true praise for the glory of God. In this study, this researcher tried to identify problems with worship service and service music in the Korean churches, especially focusing on the current use of the C.C.M., and propose how to solve those problems. This researcher hopes that further discussions and studies about worship service and service music are conducted, contributing to making the Korean churches provide high-quality worship services. Finally, the researcher expects that this study help provide a better direction for Korean churches and service music in the futur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