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재외동포 교육용 한국어 교재 개발·공급 현황 및 개선 방안 연구

        안정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7807

        재외동포 교육은 문화 영토의 보존과 확대, 한국어의 국제화, 국력신장과 국위 선양 등에서 의의를 가지고 있다고 할 때 세계 각처에서 흩어져 살고 있는 재외 동포들이 우리 민족 자산임을 자각하고 정부 차원에서 교육 지원이 정책적인 뒷받침 속에 계속 확대되어가야 함은 지명한 일이다. 재외동포 한국어 교육에 있어서 가장 시급하고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 것이 교재이다. 왜냐하면 재외동포 교육에 있어서 교재는 그것 자체가 교육과정이며 학습 자료이고 , 수업의 관리자 역할을 해내기 때문이다. 이토록 중요한 교재를 정부 예산으로 개발하여 전 세계에 무상으로 공급하는 사업은 매우 의의가 있고 바람직한 일이다. 그러나 막대한 예산을 들여서 개발된 교재가 현지 실정에 맞지 않아 그대로 방치되어 있다거나 활용도가 떨어진다거나 공급이 적절한 시기에 적절한 방법으로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이는 매우 안타까운 일이다.

      • 유치원 영어교재에 관한 분석 및 교사의 인식 : 광주광역시 시내 및 외곽 중심으로

        이수경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에서 공식적인 조기영어교육은 1997년도부터 초등학교 3~6학년에서 실시되고 있다. 유치원 교육 과정에서는 공식적으로 영어 교육과정을 채택하고 있지 않지만 실제로 사설 유치원과 어린이집에서 영어 교육을 실시하지 않는 곳은 거의 드물다. 이렇게 영어 교육이 보편화된 현실에서 우리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실시하는 영어 교육에 대해 관심을 갖지 않을 수 없다. 이에 본 연구는 유아교육 기관에서 사용하고 있는 영어 교재에 대한 내용 분석과 유치원 교사들의 영어 교재에 대한 인식을 살펴보고자 한다. 본 논문에서 다루는 영어 교재의 범주는 오디오 테이프, CD-ROM, 교사용 보조교재 등등은 제외시키며 유아들이 사용하는 순수한 책에 한정된다. 광주광역시 내 유치원 교사들에게 실시한 설문지에 의하면 유아 교육기관에서 20종의 교재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이 교재들은 거의 대부분 한국에서 출판되었다. 그 가운데 본 연구 대상으로 삼은 세 권 교재의 경우 5세에서 7세까지 3년간 30권 총 750~900쪽으로 짜여져 상당히 많은 분량을 배우고 있으며, 총 어휘 면에서 교재 A는 699개, 교재 B는 665개, 교재 C는 674개로 초등학교 3년~6년간 권장하는 450개보다 무려 1.5배나 많이 배우고 있다. 초등학교의 경우 7개 이상의 어휘로 구성된 문장이 제한받고 있으나 교재 A의 경우 8개 이상의 어휘로 구성된 문장이 종종 사용되고 있다. 유아 영어 문장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은 무엇보다도 문법 해설이 없다는 점이다. 교재의 장․단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교재 A의 장점은 교재의 구성이 한눈에 들어오며, 실제 상황을 통하여 의사소통 대화문을 제시한다. 어휘 카드가 함께 있어 부모님과 함께 할 수 있다. 각각의 소재에 따라 다양한 노래와 챈트가 있어 반복학습에 효과적이다. 또한 미비하지만 다양한 세계의 문화를 직․간접적으로 소개하고 있다는 점이다. 반면에 단점으로는 의사소통 예시문이 실제 상황보다 노래나 챈트 위주로 되어 있어서 자연스러운 발화가 아닌 의식적인 발화로 이끌어야 한다. 대화문보다는 스티커의 부착하는 부분이 많아 놀이나 활동의 개념이 강해 유아들의 영어 학습이라 할 수 없다. 교재 B의 장점은 각 Unit의 구성이 체계적이고 주제마다 유아들이 배울 어휘의 반복으로 지속적인 반복학습이 효과적임을 들 수 있다. 개구리(Hoppy)와 닭(Cobe)을 사람으로 캐릭터화하여 재미있게 학습을 이끈다. 반면에 단점으로는 교재 체제의 안정감은 있으나 변화가 없어 지루한 느낌을 준다. 한 Unit당 반복 어휘이지만 어휘수가 너무 많다. 중복되는 어휘의 수가 적어 유아들에게 제공되는 신출 어휘의 수가 많다는 점이다. 처음 영어를 시작하는 유아들에게 알파벳 익히기 등의 어려운 내용이 있다. 교재 C의 장점은 Story Book과 Activity Book으로 나누어져있다는 것이다. 각 권마다 다른 캐릭터를 사용하고 있어 일관성과 변화를 모두 추구했다. 유아들에게 적당한 양의 학습 내용의 제시와 계속적인 반복이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앞서 말한 바와 같이 한 Unit에서 내용이나 수준의 차이가 전혀 없는 매 시간 같은 문장의 반복 학습이 혹시 유아들에게 호기심 결여로 인해 지루함이 이어지지 않을까 우려되는 부분도 있다. 반면에 단점은 삽화가 다채롭고 사실감이 있으나 펜 터치의 세심함이 유아들에게 적합하지 않다는 점이다. Story Book의 내용 반복으로 인해 유아들의 학습 동기를 저하시킬 수 있다는 점이다. 2005년 9월~10월에 걸쳐 광주광역시 내의 유치원 영어 교재에 대한 인식을 파악하고자 재직하면서 학습을 맡고 있는 교사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설문에 응답한 유치원 교사 61명은 대부분 유아교육관련학과 졸업생(82.0%)으로 1년~5년(78.7%)경력을 가지고 있다. 수집된 자료 분석을 위해서는 설문지의 각 문항별 응답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으며, 교재의 유형에 따른 인식의 차이와 교사 전공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카이(X²)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사용하는 교재에 따라 유치원 교사의 인식을 살펴보면, 교재의 개별 단원의 내용의 실용성(80.3%), 학습 활동 요소(83.6%)로 긍정적 반응을 보였다. 또한 연령별 어휘의 수와 난이도의 적절성에 대해서는 26.2%의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현재 사용하는 영어 교재와 유치원 교육과정의 언어 교육목표의 연관성에 대해서는 30.9%가 부정적 반응을 보였다. 교재의 내용과 보조 자료와 노래와 챈트에 대한 긍정적 반응과 비교해 볼 때 언어 교육 목표와 관련지어 좀 더 세심한 주의를 기울일 필요가 있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의 전공에 따른 인식을 살펴보면, 유아교육 관련 교사들이 기타 전공 교사들에 비해 교재의 어휘의 수와 난이도(71.7%), 문장의 길이(65.6%)로 긍정적인 반응이 높았다. 유아들을 위한 영어 교재는 실생활에서 접할 수 있는 감각과 놀이 중심으로 구성되고, 감각과 경험이 사고와 행동에 깊게 작용하므로 아이들이 쉽게 즐겨 찾는 언어의 소재를 가지고 구성되어야 효과적일 것이다.

      • 중국 내 한국어교재의 말하기

        적위걸 광주여자대학교 사회개발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국 내 대학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 중에서 과제 중심으로 구성된 교재를 대상으로 말하기 과제의 의사소통 기능, 유형, 환경, 입력 자료, 수행 절차 등에 관한 분석을 시도하고자 한다. 그리하여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말하기 교육의 효과적인 과제 구성 및 활용 지도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우선Ⅰ장에서는 의사소통 능력이 향상을 위한 말하기 과제의 중요성을 살펴보고 중국 내 대학에서 한국어 학습자의 의사소통 능력 향상시키기를 위한 말하기 과제를 어떻게 구성하는지에 대한 목적을 제시하였다. 중국 내 한국어교재와 말하기 과제에 대한 선행연구를 살펴보고 본 논문의 연구할 가치가 있다고 확인하였다. 또한 연구할 방법도 제시해서 말하기 과제의 활동 지도방안에 위한 중국 실제 현황과 학습자의 요구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서 교재의 개념, 말하기 과제의 중요성 및 구성 요소를 살펴보고 말하기 과제의 활용 지도방안을 위한 이론적 근거를 마련하였다.Ⅲ장에서는 중국 내 대학의 한국어 교육의 현황과 분석 대상 교재의 선정에 대해 간단하게 살펴본 후 말하기 과제 분석과 설문 조사를 진행하였다. 우선, 현재 중국 내 여러 대학에서 많이 쓰이고 있는 한국어 통합 교재 4가지를 선정해서 중급 총5권에 포함된 말하기 과제를 대상으로 삼고 분석 기준에 따라 분석하였다. 그리고 표와 그래프로 정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재에서 포함된 말하기 과제들에 어떤 문제가 있는지를 발견함으로써 향후 Ⅳ장에서 제시할 과제의 구성 기준과 활용 지도방안에 대한 시사점까지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중국에 있는 다섯 지역 대학의 2학년 중급 한국어 학습자 70명을 선정해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지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눠서 구성하였다. 첫 번째 부분에서는 중국 대학에서 한국어 수업에서 말하기 과제를 어떻게 진행하고 있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두 번째 부분에서는 학습자들의 말하기과제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요구를 살펴보았다.

      • 한국 언어 문화 통합 교재 분석 연구 : -중국에서 출판된 교재를 중심으로-

        주민재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aims to analyze eight Korean language-culture textbooks published after 2010 following the certain standards, apprehend features and problems of each textbook, and ultimately propose improvement on those problems found on the book, considering current general trend of Korean culture education in China. After the establishment of diplomatic relation between Korea and China, although Korean language education has been gradually active in China, education of Korean culture has not been given major coverage since the education emphasizes only linguistic communication, mainly concentrating on four language skills. In case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hina, they learn about Korean and its culture through their textbook, and therefore, the role of the textbook, which links between the learner and the learning material, becomes significantly important. The study, thus, presents problems of Korean language-culture integrated textbooks published in China by analyzing carefully, and suggests solutions on those problems. The study divides standard of textbook analysis into three: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the learning material, and the addendum. The problems discovered while analyzing are as follows: When analyzing ‘the composition of the contents’, most textbooks did not clearly state their learning targets and proficiency, and composition of overall books and chapters ended up only on simple levels. Learning objective and pre-learning activity were also not covered in most textbooks. Learning activities for comprehension of Korean culture are hard to assure if the learner clearly understood the material after learning. Self-check part was missing in all the textbooks. In case of visual aid, unfocused, low-definition materials were used, and they were often overused. Finally, considering intermediary language, most textbooks presented Korean and Chinese at the same time. However, some passages and questions did not have Chinese interpretations, which determines the book as improper for self-studying learners. Next, when analyzing ‘the learning material’, we concentrated on Korean culture and vocabulary. In terms of presentation of Korean culture, the targeted textbooks mostly explained Korean culture, some of which took the method of conversation and explanation, and this assured that the methods of presenting Korean culture on the books are too limitative. ‘Living of Korean’ and ‘Korean society’ accounted for the major parts of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presented in the books. On the other hand, ‘Korean history’ and ‘Foreigner’s life in Korea' took little part of the contents, which shows that themes of Korean culture were not evenly suggested. The problems discovered through analyzing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in the targeted books can be defined as following six: errors on contents and statistics because the books were published long ago, way too much negative contents against Korea, specialty deficiency of the books, absence of validity in determining the contents of Korean culture, unilateral delivery of Korean culture, using nonstandard language and mistakes in word spacing. In case of vocabulary, some textbooks which presented vocabulary among targeted books adopted the method of presenting Chines equivalent to Korean words, showing limit along with the method of presenting Korean culture. Finally, when we checked up addendum on each book, few books offered audio CDs, which shows how little importance listening part takes in Korean language-culture textbooks in China. Among the targeted Korean language-culture textbooks, only one book offered answer sheet, indicating difficulty for learners in checking their answers. This study can be a reference material on developing Korean language-culture textbooks in China. This study is also meaningful in that it not just analyzed only textbooks of Chinese colleges as former study did, but also it included textbooks with general purpose, and in that it can aid later textbook development as it suggested improvement plan on problems of existing textbooks. 본 논문은 2010년 이후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 언어 문화 통합 교재 8권을 일정한 기준에 맞추어 분석하여 각 교재들의 특징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중국에서의 한국 문화 교육의 전반적인 경향을 살펴보며 최종적으로 교재들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목적을 둔다. 한·중 수교 이후 중국 내 한국어 교육은 점차 활발해지고 있으나 언어의 네 가지 기능 방면을 중심으로 한 의사소통 위주로 집중되어 있어 문화 방면은 아직까지 비중 있게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중국 내 한국어 학습자의 경우 교재를 통해서 한국어와 한국 문화에 대해 학습하게 된다. 이런 환경일수록 학습자와 학습 내용을 이어주는 교재의 역할은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본고에서는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 언어 문화 통합 교재를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이에 대한 해결책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교재 분석 기준을 크게 ‘내용 구성’, ‘학습 내용’, ‘부록’으로 나누었다. 분석을 통해 발견한 문제점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내용 구성’의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대부분의 교재가 학습 대상 및 숙달도를 명시하지 않고, 전체 구성 및 단원 구성은 단순한 학습 단계만으로 그치는 교재가 많았다. 학습 목표와 학습 전 활동 역시 거의 모든 교재에서 이를 다루지 않고 있다. 문화 내용 이해 확인 학습 활동도 대부분의 교재에서는 문화 내용 학습 후 이를 명확히 이해했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다. 자가 점검 항목은 모든 교재에서 제시하지 않았다. 시각자료의 경우 흔들린 초점, 저화질의 시각자료를 사용하거나 필요 이상으로 과잉 사용한 경우가 빈번했다. 마지막으로 매개 언어는 대부분의 교재가 한국어나 중국어를 같이 제시하는데 일부 본문이나 질문에 대한 중국어 번역이 없는 교재는 독학용 교재로 활용하기 어려울 것으로 사료되었다. 다음으로 ‘학습 내용’은 문화와 어휘를 중심으로 하였는데 먼저 문화 제시 방식에 있어서는 본 연구의 대상이 되는 교재들은 대부분이 설명 방식이며 일부는 대화·설명 방식으로, 문화 제시 방식이 한정적임을 확인하였다. 문화 내용은 ‘한국인의 생활’, ‘한국사회’의 범주가 가장 많았고 ‘한국의 역사’, ‘외국인의 한국생활’은 거의 없어 다양한 문화 내용이 고르게 분포되지 않음을 확인하였다. 교재 내 문화 내용 분석을 통해 발견한 문제점은 교재가 오래전에 출판되어 발생하는 통계, 수치, 내용상의 오류들, 한국에 대한 지나치게 부정적인 내용, 교재 내용의 전문성 결여, 문화 내용 선정의 타당성 부재, 일방적인 한국 문화 전달, 비표준어 사용과 띄어쓰기 오류 등 이상의 6가지로 종합해 볼 수 있다. 이어서 어휘 제시 방식의 경우, 본고 대상이 되는 교재 중 어휘를 제시하고 있는 소수의 교재들 대부분이 한국어 어휘에 대한 중국어 대역어를 제시하는 방식을 채택하여 문화 제시 방식과 더불어 한정적임을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부록’에서는 소수의 교재만 CD를 제공하여 중국 내 언어 문화 교재에서 듣기가 차지하는 중요성이 얼마나 적은지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모범 답안의 유무를 살펴본 결과로는 단 한 권만이 이를 제시하여 다른 교재들은 학습자가 스스로 학습 활동에 대한 답이 맞는지 확인할 방법이 없어 불편을 초래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논문은 중국에서 출판된 한국 언어 문화 통합 교재 개발에 관한 연구들의 참고 자료가 될 수 있으며, 기존의 연구들처럼 중국 대학의 교재만이 아닌 일반 목적의 교재까지 포함하여 분석하였고, 기존 교재들의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향후 교재 개발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 한국어 교재에 나타난 등급 간 연계성 연구 : -이유표현 문법 항목과 주제를 중심으로

        주재호 세종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807

        국문초록 본 연구는 ‘이유표현’ 문법 항목과 ‘주제’를 중심으로 한국어 교재에 나타나는 ‘등급 간의 연계성’ 을 고찰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계성은 교재를 구성하는데 중요한 원리 중 하나이다. 특히 한국어 교재는 1급에서 6급까지 등급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등급 간 연계성은 매우 중요하다. 대부분의 교재 구성에 있어서 교재는 나선형, 계열성, 지속성이 있어야 하고 등급 간 구성이 있어야 한다고 강조하고 있지만 ‘연계성’이라는 개념으로 논의된 연구는 많지 않다. 학습자들은 초급에서 제시되고 학습한 문법 항목들을 중·고급에 왔음에도 불구하고 이전에 배운 문법 항목만을 사용하려고 하고 뒤에 새롭게 제시되는 유사 문법 항목은 사용하지 않으려고 한다. 이로 인해 학습자들의 한국어 수준은 초급에 정체되고, 문법 사용의 오류를 발생시키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에 있어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이유표현의 문법 항목’과 ‘대화문의 주제’를 분석하여 연계성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2장에서는 교재 구성의 연계성에 대한 이론적 내용 들을 고찰하였다. 연계성의 사전적 개념과 연계성의 언어학적 개념을 살펴보았고 연계성에 대한 학자들의 이론을 정리하고 ‘문법 항목의 연계성’과 ‘주제의 연계성’의 기준을 마련하였다. 3장에서는 교재의 분석기준 및 방법에 대해 기술을 하고 교재 구성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재 분석은 말뭉치를 활용해 이유표현 문법 항목의 등급별 제시 횟수와 등급별 제시 비율, 항목별 제시 비율, 그리고 등급 간 증가량이 제시-반복-심화의 과정으로 확장되는 것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 적용 연구’에서 제시된 등급별 일치 여부와 유사 문법 간의 비교 등을 통해 교재에 나타난 문법 항목의 연계성을 확인하였다. ‘주제’에 대한 분석은 교재에 제시된 모든 대화문을 대상으로 하였다. 등급에 따라 제시된 주제가 무엇인지, 한 주제가 얼마나 제시되고 있는지, 등급 간 같은 범주의 주제가 얼마나 반복적이고 확대 제시되고 있는지를 분석함으로써 주제에 관한 연계성을 살펴보고, 이를 통해 교재 구성 시 연계성에 대한 필요성을 제언하였다. 4장에서는 2장에서 제시한 연계성의 개념을 다시 정리하였으며 3장에서 분석한 연계성에 관한 결과를 이유의 문법 항목과 대화문의 주제 그리고 주제와 문법 항목과의 관계를 요약, 정리하고 제언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어 교육에서의 연계성에 대한 개념을 정리했다는 점과 교재 구성원리 중 하나인 연계성 제시의 중요성을 제시하였으며, 이유표현 문법 항목과 주제 관련성을 밝힌 점에서 의의를 찾을 수 있다.

      • 어린이 중국어 교재 평가 분석

        김홍미 부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우리나라에서는 중국어 교육에 대한 수요 연령층이 점점 더 낮아져 어린이 중국어 교육이 매우 활성화되고 있다. 과거에는 실수요자를 중심으로 사교육 형태로만 이루어지던 것이 이제는 학교 방과 후 수업이나 사립학교의 정규과목에도 포함되어 어린이 중국어 교재 수요도 같이 급증하고 있다. 이 현상은 출판경쟁으로 이어져 시중에는 수많은 교재들이 쏟아지고 있고, 자유롭게 유통되고 있다. 이에 반해 우리는 현재 어린이 중국어 교재 선정이나 평가를 위한 기준이 없는 현실이며, 이로 인해 교재 선정의 어려움과 교재 개발이 난무해질 수 있는 문제에 직면해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 인식과 함께 그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서 어린이 중국어 교재 평가 체크리스트 평가 기준 마련을 시도해보고자 한다. 어린이 중국어 교재 평가 체크리스트 마련을 위해서 본고에서는 ‘중국어 교재 평가 체크리스트(신원철 등, 2017)’를 주요 표준으로 삼았다. 개발된 체크리스트는 책의 목표, 주제와 내용, 사회문화적 상황, 교수법, 활동 및 연습과제, 언어기능, 언어요소, 물리적 속성 및 자료의 총 8개 영역, 45개 항목으로 이루어져 교재의 종합적인 평가가 가능하고, 무엇보다 우리의 입장에서 평가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다만, 대학 교재에 초점을 맞추어 개발하였기 때문에 어린이와 어린이 교재의 특성에 맞도록 일부 항목들의 수정 및 보완, 병합, 추가의 과정을 거쳐 최종 43개의 항목으로 재구성하게 되었다. 재구성한 43개의 각각의 항목에서 다시 ‘상’, ‘중’, ‘하’의 평가 기준을 설정하여 실질적인 평가가 보다 용이하도록 하였다. 명확한 평가 기준 설정을 위해 중국어 관련 교수·학습 이론과 기존의 체크리스트를 참고하였고, 교재의 실제 대조 등을 살펴 정하였다. 본고에서 설정한 어린이 중국어 교재 평가 체크리스트 평가 기준을 실제 적용 평가해 보고자 총 6종의 대표 교재를 선정하였고, 구체적으로는 한국 편찬의 『하오빵 어린이 중국어』, 『맛있는 어린이 중국어』, 중국 편찬의 『汉语乐园, CHINESE PARADISE』, 『轻松学中文, Easy Steps to CHINESE』, 미국 편찬의 『Go! chinese』, 영국 편찬의 『Primary School Chinese』가 대상이며 각각의 기준에 맞추어 분석하고 평가하였다. 평가 결과에 따른 교재별의 특성 및 논의로 각각의 교재가 갖는 우수한 점과 보완점을 제시하였고, 교재간의 평가 결과 비교를 통해서 무엇보다 중요한 우리나라 어린이 중국어 교재 발전에 의미 있는 시사점과 방안을 제시할 수가 있었다. 본 연구는 어린이 중국어 교재 선정 및 평가 기준이 없는 상황에서 오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의 시도로서 어린이 중국어 교재 평가 체크리스트의 평가 기준을 설정해보았다. 비록 초보적 연구 수준이지만 어린이 중국어 교재 선정 및 개발과 평가에 있어 참고자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 随着全球汉语热的逐渐升温,韩国中小学校也纷纷开设汉语课程。与此同时,种类繁多的儿童汉语教材也应运而生。对于韩国儿童学习者来说,教材是他们获取汉语知识的主要来源,教材的质量直接影响着学生的学习效果和教师的教学质量。 本文对韩中美英4个国家编写的儿童汉语教材进行了对比分析及评估。筛选出6种教材在教学对象、教学目的、编写时间上都具有可比性和代表性。这6种教材分别是韩国编辑的 『하오빵 어린이 중국어』, 『맛있는 어린이중국어』;中国编辑的 『汉语乐园. 英文版』、『轻松学中文. 英文版』;美国编辑辑的 『Go! chinese』;英国编辑辑的 『Primary School Chinese』。以韩国最近构建的汉语教材评估指标 “汉语教材评估览表(신원철등 7인, 2017)” 作为主要的研究参考。具体的内容包括教材的目标、主题与内容、社会文化情况、教学法、活动与练习、语言机能、语言语素、教材外部属性与提供材料的总共8个领域 45个项目。主要是想为儿童汉语教材评估重新设定。以‘评估览表(신원철等 7人, 2017)’ 的主要标准来经过3个项目的修改,6个项目的合并,4个项目的添加最终改编为43个项目。以其43个项目再尝试设为 ‘上’, ‘中’, ‘下’的等级标准。等级标准设定参照有关汉语教学理论,教材的实际情况,还其他的评估览表。最终设定的儿童汉语教材评估标准来分析及评估上述的6种儿童汉语教材。 评估结果分别综述了这6种教材独有的特点,也指出了个别教材存在的一些问题,并在此基础上提出一些建议, 希望能为今后儿童汉语教材的选定及评估提供参考。

      • 초등환경교재 '환경이야기가 샘솟아요!'를 활용한 통합교과 수업 설계 및 적용 효과

        이임경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초등학교 저학년 환경교재를 활용한 통합교과 수업을 구성하고 적용하여 저학년 학생들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봄으로써 저학년 환경교육을 위한 환경교재 활용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2009 개정교육과정에 맞춰 개발된 ‘환경이야기가 샘솟아요!’교재를 2014 국가수준 환경교육 기준에 따라 분석하여 보고, 분석된 내용을 바탕으로 환경교육의 내용영역을 고루 반영한 수업주제를 선택하여 저학년 통합교과 수업을 위한 구체적인 교수·학습 안을 구성하였다. 서울특별시 소재 초등학교 2학년 1개 반을 대상으로 사전·사후 단일집단 설계를 통하여 12주에 걸쳐 적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 된 환경교재 활용 통합교과 수업이 학생들의 환경감수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결과에 대한 분석은 정량적·정성적 두 가지 방법을 사용하였다. 연구과정에서 얻어진 정량적 자료는 I-STATistics 통계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고, 정성적 분석은 학생들의 학습 활동 포트폴리오 자료와 면담을 통해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2014 국가 수준 환경기준 목표 및 내용 체계에 따라 ‘환경이야기가 샘솟아요!’ 교재를 분석한 결과, 목표 영역에는 심미안·감수성·가치·태도·참여, 내용 영역에는 ‘환경문제’, ‘인간 활동과 환경’, ‘환경감수성과 배려’영역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음을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환경이야기가 샘솟아요!’ 활용하여 통합교과 교수·학습 안을 구성하였으며, 이를 바탕으로 수업에 적용하여 통합교과 수업을 통한 환경교재의 다양한 활동을 적용할 수 있었다. 셋째, 환경감수성의 사전·사후 결과를 비교한 결과 환경교재를 활용한 통합교과 수업은 저학년 학생들의 환경감수성에 긍정적인 기여를 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얻게 된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환경이야기가 샘솟아요!’ 교재 내용 및 활동을 통합교과 수업에 다양하게 적용함으로써 학생들의 감수성을 함양할 수 있는 지속적인 환경교육을 실천할 수 있었다. 앞으로 환경교재의 다양한 활용과 교재 활용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며, ‘환경이야기가 샘솟아요!’ 후속으로 중·고학년 환경교육을 위한 생활 중심의 다양한 체험과 시사성 있는 소재로 관심을 유발할 수 있는 환경교재 개발이 이루어 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n integrated subject lesson plan using elementary environmental teaching material, ‘Environmental Story is Welling Up!’ And in this study, the integrated subject lesson plan has been applied to lower grades of elementary to confirm whether the proposed method has a beneficial effect on an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lower grades of elementary. This study has analyzed ‘Environmental Story is Welling Up!’, which is developed according to 2009 revised curriculum in view of The National Standard for Environmental Education(2014) and as a result, suggested a new detailed integrated subject lesson plan for lower grades. The investigation for the integrated subject lesson plan has been carried out with a second grade class of an elementary school in Seoul during 12 weeks with pre and post test. The pre and post test were carried out to confirm an influence of the integrated subject lesson plan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lower grades throug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ssessment. The evaluation forms provided by Kim(2008) and Kang(2014) were revised for the quantitative assessment of this research, and the quantitative data obtained in the test was analyzed by I-STATistics program. Data collected from studying activity portfolio and interview was analyzed qualitatively.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is study found out that in ‘Environmental Story is Welling Up!’ esthetic sense, sensitivity, value, attitude and participation are the best parts of domains of objectives; and ‘environmental problem’, ‘human activity and environment’, and ‘environmental sensitivity and consideration’ are the best parts of domains of contents in view of The National Standard for Environmental Education(2014). Second, this study proposes the integrated subject lesson plan for lower grades using ‘Environment Story is welling up!’, and shows that the integrated subject lesson plan is appropriate to be used in elementary school in accordance with integrated subject for lower grades. Third, this study shows that the proposed integrated subject lesson plan has a beneficial effect on the environmental sensitivity of lower grades of elementary. In the future study, it is recommended to develop a new study material that could be used for middle and upper grade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could attract attentions with a variety of experiences and topical materials, based on real life of them.

      • 中級汉語立體化敎材設計硏究 : 以口語敎學爲中心 : 오영옥

        오영옥 부산외국어대학교 일반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7807

        교재는 교육과정에서 중대한 영향을 끼친다. 하지만 지금 주로 사용하는 중국어구어교재는 대부분 전통적인 교육사상에 많은 영향을 받으므로 현재 정보화시대의 학습자들의 수요를 만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주요 현상으로 교재의 설계목표가 단순하고, 대상이 명확하지 않으며, 교재의 본문은 그에 상응한 영상자료가 없어 강의실에서 실제의 언어사용상황을 만들기가 쉽지 않다. 때문에 본 논문에서는 교재형식의 입체화를 실현하고자 원래의 종이교과서(교재와 그림포함)와 MP3 음성자료 외에도 CD-ROM교재, VCD, DVD 등 조합된 영상자료를 추가하고, 인터넷 네트워크 교육자원을 충분히 활용하여, 각종 교재의 우수성을 발휘하고자 한다. 동시에 선생님과 학생 혹은 학생들 간의 상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학습의 빈도와 질을 높이고 심지어 학습자와 기기 간에 상호작용을 통해 학생들의 자기주도학습능력을 높일 수 있다. 중급중국어구어교재에 대한 체계적이고 전면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서 이 시대에 특징에 걸맞은 입체화, 실용적인 구어교재를 편찬되어야 한다. 중국의 중급중국어구어교재는 모든 외국인 중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만든 것이다. 서로 다른 국가의 학생을 대상으로 동일한 교재를 사용하는 것은 과학적이지 못하다. 본 논문은 한국어를 모국어로 하는 학습자를 대상으로 중급중국어구어교재의 입체화를 위해 계획하고 건의하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구성주의 이론과 임무형교수법 이론을 근거로 쫭즈샹(2003) 등의 관점을 참조로 하고 조사통계 수치를 기초로 하여 중국어구어교재의 입체화, 구어교재의 화제를 본토화(本土化), 중국어 구어평가의 다원화하였다. 전체의 논문은 7장으로 구성되었다. 제1장에서는 주로 본 논문의 연구목적과 주제선택의 의의를 소개하고, 중국어구어교재의 연구진행과 정리 및 선행 연구성과와 그 한계점에 대하여 총괄하였다. 제2장에서는 주로 본 논문과 관련된 이론적 근거와 구성주의 이론과 임무형교수법 이론을 명백히 논술하였으며 논문의 틀과 연구사고와 연구방법에 대하여 소개하였다. 제3장에서는 4종의 구어교재의 구조체계와 단원구성, 화제, 단어, 문법, 연습문제에 대해 분석하고, 연구하였으며, 중급중국어구어 종이교과서의 장단점을 비교연구 하였다. 제4장에서는 교재분석의 기초 하에 설문조사를 통하여 국내 중국어 학습자들이 선호하는 화제와 구두평가 문제유형을 분석하였다. 제5장에서는 종이교과서를 이용한 수업과 멀티미디어교재를 이용한 수업의 비교를 통하여 종이교과서의 특징과 멀티미디어교재의 특징을 분석하였고, 한국인 중국어학습자의 구체적인 상황에 근거하여 임무형교수법 이론을 기초로 하여 2시간용 전자강의안과 멀티미디어 강의안을 제작하였다. 제6장에서는 전통적인 평가방식의 유형에 대해 논하고, 전통적인 평가방식과 멀티미디어 평가방식의 비교를 통하여 전통적 평가방식의 장점과 폐단을 제시하였으며, 동시에 멀티미디어 평가의 이점과 폐단에 대하여 분명히 기술하였다. 구어평가방식의 개방성 특징인 조건개방(条件开放), 상황개방 (情境开放), 책략개방(策略开放), 결론개방(结论开放)에 대하여 논하였고, 이는 4가지 형식의 모의시험문제에 근거하였다. 제7장 결론부분에서는 본 논문의 연구성과를 결론짓고, 논문의 창의적인 부분과 부족한 부분에 대하여 기술하였습니다. 논문의 창의적인 부분 첫째 국내의 중국어구어교재의 본토화(本土化)를 지적하였다. 국내파와 유학파 두 그룹의 중국어 구어화제와 평가문제유형에 대하여 조사하고 분석하여 통계하고 정리하였다. 둘째 처음으로 국내의 중국어구어교재 형식의 입체화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졌으며, 종이교과서를 이용한 수업과 멀티미디어교재를 이용한 수업의 비교를 통해 종이교과서의 특징과 멀티미디어교재의 특징을 분석하였다.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수업 중에 애니메이션과 그림 및 소리의 시범을 통하여 무미건조한 강의를 활기가 넘치도록 하였으며, 멀티미디어 교재도 종이교과서의 개발과 떨어질 수 없다는 것을 지적하면서 교재의 입체화 설계는 향후 반드시 필요하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한국인 중국어학습자의 구체적인 상황에 근거하여 임무형교수법 이론을 기초로 하여 2시간용 전자강의안과 중급중국어 구어멀티미디어 강의안을 만들었다. 구체적인 예를 들어 입체화교재의 우수성을 강조하였다. 셋째 중국어구어평가형식의 다원화에 대하여 분명히 논하였다. 전통적인 평가방식과 멀티미디어 평가방식의 비교를 통하여 전통적 평가방식의 장점과 폐단을 논하였으며 멀티미디어 평가의 이점과 폐단에 대하여 명백히 논술하였다. 키워드: 중국어구어교재, 한국인 학습자, 교재형식 입체화, 화제내용 본토화, 평가방식 입체화.

      • 유아용 영어 읽기 교재 평가도구 개발과 이를 활용한 교재 분석

        백인화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analyze the connectivity of factors related to the difficulty in reading materials for children Based on their reading difficulties, the reading books and their compositions were analyzed. Prior to the analysis, appropriate analysis methods were established which are Delphi method and literature reviews. Based on these methods, several components, such as word structure, vocabulary, layout, illustration, story structures, were evaluated. Finally, the inter-difficulty transitions were also closely looked at. In addition, Coh-Metrix was also used in parallel in order to conduct overall evaluations of these reading books. First, the word structures of the three reading books evaluated for this study all had very high difficulties; however, the vocabularies were appropriately composed of concrete words and abstract words. In other words, content-based material with familiar vocabularies was emphasized over difficult word structures. Second, the changes in the illustrations for the different levels were miniscule. The attempts to vary the illustrations were observed; however, they were very minor and did not transition between levels. Third, in contrast, the story structures transitioned effectively. There were more characters and places being added as the difficulty level progressed with increased story complexity. Lastly, the Coh-Metrix results allowed for detailed analysis of each reading book; however, the result comparison was not fruitful due to lack of any significant differences. In other words, Corpus tools, such as Coh-Metrix, may not be useful for preschool reading book comparison analysis studies such as this study. Based on these results, the conclusions and recommend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re is lack of current reading books with enough emphasis on word structures. Comprising reading books with concrete words and familiar abstract words can be effective. On the other hand, difficult word structures may hinder the learners. Therefore, finding the appropriate balance between the two is necessary in reading book selection. Second, , there was not enough meaningful and effective transitions for all three reading book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the transitional components and structures when selecting a reading book. There is not enough research being conducted on preschool literacy reading books at the moment. The current analysis tools commonly being used are generally limited to vocabularies and corpus;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onsider and apply the characteristics of preschoolers. It is necessary for this area of research to continue moving forward for the better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본 연구는 문자지도교육을 교재에 의존하는 현 유아 영어 교육 실정에서 유아가 영어를 읽을 때 고려되어야하는 다양한 요소를 타당성 있게 제시하여 분석하는 연구가 부재한 것으로 보았다. 이에 유아 교재의 읽기 난이도에 해당하는 요소를 바탕으로 연계성이 적절하게 구성되어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타당성이 있는 평가 도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평가 도구 개발에는 문헌연구와 델파이조사를 사용하고, 이를 통해 평가 도구의 요소와 평가방법을 결정하였다. 그 후 개발된 평가 도구를 활용하여 유아 교재의 단어구조, 어휘, 외형, 삽화, 스토리 구조를 평가하였다. 이에 도출된 수치를 요소별로 분석하고, 최종적으로 교재의 단계별 연계성을 살펴보았다. 더불어 Coh-Metrix 측정방법을 병행하여 언어의 특성도 함께 분석하여 교재의 총체적 평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세 교재 모두 단어구조의 난이도가 매우 높았다. 분석된 난이도는 7 - 9로 읽기에 입문하는 유아가 텍스트를 읽을 때 받는 학습 부담이 클 수 있기 때문에 읽기 난이도가 매우 높은 것으로 보인다. 둘째, 어휘의 종류는 구체어와 친숙한 어휘로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볼 때 유아 읽기 교재 텍스트의 단어 구성이 단어구조 난이도에 의한 단어보다 내용 중심의 친숙한 어휘로 구성되어 있는 것으로 보인다. 셋째, 세 교재 모두 외형의 단계별 차이를 고려하지 않았다. 텍스트의 위치는 교재별로 상의하나 단계별로는 변화가 없었고, 단계에 따른 활자의 크기 또한 변화가 전혀 없었다. 넷째, 단계별 삽화의 변화가 미미하였다. 외형에 비해 삽화의 명확함이나 내용과의 일치도에 단계별 변화를 시도한 것을 관찰할 수 있었지만, 그 변화가 매우 미미하여, 연계성이 이루어졌다고는 할 수 없었다. 다섯째, 스토리 구조의 연계성이 적절하게 잘 이루어졌다. 단계별로 등장인물과 장소가 추가되어 스토리구조가 복잡해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Coh-metrix분석은 교재를 정교하게 요소별로 분석할 수 있지만 분석된 결과를 보면 세 교재 간, 각 교재별 등급 간의 큰 차이가 보이지 않았다. 이는 유아 교재의 언어재료가 상대적으로 적기 때문에 Coh-metrix와 같은 코퍼스도구는 유아교재의 분석 및 평가에 알맞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였다. 첫째, 유아용 읽기 교재를 분석에 관한 기준이나 연구가 지속되어야 한다. 현재 유아용 읽기 교재를 분석에 관한 기준이나 연구가 부족한 실정이다. 앞으로 이에 관련된 연구가 지속적으로 실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같은 난이도로 제시되는 교재들도 출판사 별로 난이도가 다르기 때문에 교재를 선정하기 위해 학부모와 교사는 다양한 부분을 살펴보아야 한다. 셋째, 연계성이 이루어진 교재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세 교재 모두 연계성이 적절하게 이루어진 요소가 적었다. 연계성은 학습자가 적절한 난이도로 지속적인 학습을 하는데 중요한 요소이다. 따라서 교재를 선정할 때 요소별로 연계성이 적절하게 구성되어 있는지를 확인하고 교재를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 넷째, 난이도에 맞는 단어구조에 기초한 단어로 교재와 친숙한 단어가 함께 구성되어있는 교재가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단계별 외형이 차이가 있는 교재가 필요하다. 외형별 차이를 고려하여 제작된 교재를 선정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에 따른 국가적 기준이 없기 때문에 이에 관한 후속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