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0∼2003학년도 초·중등 교원 임용고사 교육평가 문항의 내용분석 및 측정학적 분석

        윤신원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육은 국가발전의 필수적 요건으로서 교육의 실패는 국가전체로 파급효과를 미친다. 특히 교육을 책임지고 있는 교사는 교육의 성패를 좌우하는 핵심적인 역할로 자질, 능력 면에서 우수한 교사의 역할을 하도록 교육정책, 교원정책이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므로 우수 교원의 선발이나 현직 교원의 자질 향상 등을 위한 합리적인 통제는 반드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합리적인 통제의 방법의 하나인 교원 임용고사는 우수 교원 선발을 목적으로 하는데, 우수 교원을 선발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임용고사가 타당하고 신뢰로운 문항으로 구성되어야 하고 출제 문항에 대한 전문적인 검토와 문항분석이 필요하다. 현재 시행되고 있는 초·중등임용고사의 1차 시험과목은 교육학 시험과 전공에 대한 필기시험으로 구성되며, 교육학 시험은 총 객관식 60문항으로 30점 배점으로 출제된다. 또한 교육학 시험은 교직의 분야별 전문적 지식을 측정하기 위해서 다양한 교육학 분야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 연구에서는 교육학 분야 중에서 교육평가 문항들을 질적·양적으로 분석해 보고자 한다. 본 연구는 2000년∼2003학년도까지 출제된 초·중등임용고사의 교육평가 문항들에 대한 전문적인 검토와 문항분석을 통해 교육평가 문항의 타당도와 신뢰도 문제를 제고해 보았다. 이 연구를 위해 사용된 자료는 2000∼2003학년도까지 지난 4년간 실시된 초·중등 임용고사에서 실시된 교육학 시험에서의 교육평가 문항 총 48문항에 대한 임용고사의 잠정적 수험생 232명의 응답이다. 이 연구에서는 교육학 및 교육평가 문항의 내용분석과 측정학적 분석을 이용하여 2000∼2003학년도까지 출제된 초·중등 임용고사의 교육평가 문항들을 질적·양적으로 분석하였다. 우선 교육학 및 교육평가 문항들의 출제 연도별, 내용영역별 출제경향 분석을 하였으며 문항의 측정학적 분석을 위해 내용영역에 따른 교육평가 문항들을 교육목표에 따라 분류하고 교육평가 전문가 7명이 문항별 내용타당도를 검증하고 내적일관성 신뢰도와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검사정보함수의 추정을 근거로 검사 도구에 대한 고전검사이론과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문항 특성(문항의 변별도, 난이도, 추측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문항의 측정학적 분석결과를 종합하여 문항 세부분석을 통해 2000∼2003학년도까지 출제된 교육평가 문항들의 문제점을 살펴보았다. 마지막으로 피험자의 대학관련 특성에 따른 검사결과의 차이를 비교해보았다. 교육학 및 교육평가 문항들의 내용분석 결과를 보면, 각 교육학 분야별 문항 비율의 경우 초·중등 교원 임용고사 모두 '교육과정', '교육 행정 및 법규, '교육사 및 철학', '교육심리' 문항이 주로 많이 출제되었다. 교육학 시험에서 교육평가 문항 수와 비율을 살펴보면 초·중등 교원 임용고사의 교육평가 문항은 각각 평균 6문항정도가 출제되었으며, 이는 전체 교육학 시험의 10%를 차지하는 문항 비율이다. 교육평가 문항의 내용영역별 문항 수를 살펴보면, 초등의 경우 '평가도구제작' 영역과 '연구방법' 영역에서 꾸준히 출제되었으나 중등에서는 그 출제비율이 낮았으며, 중등의 경우 '검사이론에 따른 문항분석', '수행평가와 최근동향', '교육통계' 내용영역에서는 초등에 비해 높은 출제 비율을 나타냈다. 교육평가 문항의 측정학적 분석 결과를 보면, 내용영역에 따른 교육평가 문항의 목표분류에서 대부분의 내용영역이 '이해력'을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검사이론에 따른 문항분석', '검사점수해석 및 보고' 영역에서는 '적용력'과 '분석력'을 요구하는 문항이 많이 출제되었다. 내용타당도와 문항특성분석의 결과를 보면, 내용타당도의 경우에 많은 문항들의 '교육과정과의 적합성'과 '교사업무와의 관련성'에 대한 내용타당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오답지의 매력도'에 대한 내용타당도는 낮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문항특성분석의 경우 총 교육평가문항 48개의 문항 중에서 정답시비가 있었던 한 개의 문항을 제외하여 47개의 문항에 대한 특성분석을 실시하였다. 고전검사이론에 의하여 분석된 검사 전체의 평균 변별도는 낮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문항반응이론에 의한 변별도는 적절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평균 난이도에 대해서는 모든 문항들이 비교적 쉬운 수준으로 나타났다. 평균 추측도는 비교적 낮은 수준이었다. 문항 세부분석에서는 문항의 문제점으로 정답의 부적절성에 의한 정답시비, 유사 문항의 반복 출제, 매력적이지 않은 오답지의 구성, 문제에 정답을 암시하는 표현, 교육평가 용어 선택의 부적절성 등의 문제점들이 지적되었다. 대학관련 특성에 따른 검사결과의 차이 분석에서는 수강과목에 따른 차이가 유의한 것을 알 수 있었는데 '교육평가' 수업을 수강한 수험생이 '교육과정 및 평가' 수업을 수강한 수험생보다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연구는 2000∼2003학년도까지 교원임용고사에서의 교육평가문항에 대한 정보만을 제공하고 있다. 그러므로 실질적인 활용을 위해서는 교육평가 영역만이 아니라 다른 영역에서도 확장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하겠다. Education is an indispensable condition necessary for national development and failure in education will influence all over the nation. Teachers are key characters to success or failure of education. Playing such important roll proper training such as Education Policy and Teacher Training should be executed to develope the quality and the ability of teachers. Further more, rational management on quality of teachers by selecting highly qualified teaching staff or developing the quality of current active teachers should be constituted. Continues study and effort to improve Teacher's appointment test, one of the rational management methods, is going on. To select highly qualified teachers the appointment test must be reliable, valid and highly distinct. Conclusively teacher appointment test should be with the ability to distinguish highly qualified teachers and must have the quality and quantity analysis of each item, for the questions presented, for reliable questions. The currently carried out Teacher appointment test consists 60 multiple choice questions on Pedagogy in written exam, 30 as the perfect score. Also, the Pedagogy test is composed with various specialized fields of study. From this research, I would like to verify the items on educational evaluation, one field of pedagogy. Around five to six items are presented in the exam from educational evaluation field and these questions must do their job as a reliable item. This research shows a study and grope for practical application scheme for the validated and reliable items on educational evaluation given in the Elementary, Secondary school teacher's appointment test from the year 2000 till 2003. 232 personal's answer to 48 questions given on the pedagogy test concerning educational evaluation for the last 4 years are they data used in this research. Using the quality and quantity analysis to test the validity of the items presented on Elementary, Secondary school teacher's appointment test from 2000 to 2003, this research compares the high valid questions with the low ones. First by analyzing the items on educational evaluation by subject, then a descriptive study by presented year, subject analysis by content and question trend, and on the base of content validity of items and item characteristics examined the validity of test tool. Also, analyzed item discrimination by CTT and IRT, item difficulty and the asymptotic probility. After testing the validity of educational evaluation items as stated above the results are as follow. On the ratio of pedagogy subject items both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ppointment test show a high mark on educational curriculum, educational administration and law, history of education also educational philosophy, and educational psychology. Inspecting the ratio of presented question on educational evaluation on the pedagogy test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ppointment test show an average of six question the subject which is about 10% of the whole exam. Looking at the number of educational evaluation items on the exam by presented year on the table of specifications many items require 'comprehension'. The number of items concerning the subject by content on educational evaluation was different between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teacher's appointment test, however, more effort to deal with the whole content must be shown rather then focusing on a particular content. On the matter of subject validity and item quality analysis many questions' subject validity was relatively on the lever of satisfaction. Item quality analysis was executed for all 48 education evaluation questions except one with argue of answer. The average discrimination level was low according to CTT, but scored appropriate on IRT. Average difficulty came out easy on both CTT and IRT. Average presumption was also relatively low. The information acquired through verifying the quality of educational evaluation will contribute to many education situations. Additional studies should be expanded to the other sections of Teacher appointment test. It is needed to grope for more proper methods through the comparison between different methods.

      • 관광교육평가와 피교육자 태도 연구

        정지상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48703

        인적자원의 의존도가 높은 관광관련 산업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고, 학문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는 관광분야에서 필요로 하는 전문인력 개발과 그에 필요한 관광교육의 평가와 태도에 관한 연구가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수준에 따른 관광 관련 학생들의 관광교육의 평가를 분석하고 이를 세분화하여 이러한 평가가 관광교육에 대한 태도에 체계적인 도움을 주고자 하며, 아울러 관광학 분야의 학문적 발전의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구체적으로 본 연구는 관광교육의 피대상자가 지각하는 각 구성요소의 평가를 바탕으로 현재의 만족도 및 관광산업을 바라보는 시각과 향후의 진학 의도나 취업의도 등을 통한 태도를 파악함으로써 현재 진행되어지고 있는 관광교육의 중요성과 구성요소의 중요도를 파악하고자 하였고, 이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관광교육의 평가가 관광교육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인과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으며, 이 같은 인과관계의 구조가 각 교육수준에 따라 나타나는 차이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분석되어진 결과는 각 교육기관에 따른 관광교육의 형태와 피교육자에 대한 교육자 및 교육기관의 향후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2005년 8월 28일부터 9월 25일 까지 약 28일간 관광교육을 수행하고 있는 교육기관인 4년제 대학, 전문대학, 전문교육기관 및 관광전문 고등학교에서 현재 관광교육을 받고 있는 학생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고, 총 600부를 배포하여 598부를 수거하여 이 중에서 조사대상자의 특성이 다르거나 통계적으로 활용이 불가능한 8부를 제외하고, 총 590부를 분석에 활용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er.12.0 for windows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러한 연구목적에 따라 연구모형과 가설을 설정하여 분석하였고, 그 결과 대부분의 요인 간 관계에서 유의한 인과관계가 형성되었다. 그리고 각 교육기관에 따라 이러한 인과관계는 매우 유의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나타난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설계의 과정에서 설정한 바와 같이 학생들이 지각하고 인지하며, 평가하는 관광교육의 구성인자들은 관광교육의 대상들의 태도에 매우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점이다. 즉 관광교육의 평가에서는 관광교육과정과 관광교육자, 관광교육기관 및 시설, 관광교재 등의 부분을 중심으로 이루어져야 한다는 점이다. 기존부터 계속되어온 대학종합평가 및 관광고등학교 감사 등의 교육기관 및 교육의 평가가 학생의 입장과 학생을 중심으로 한 기준으로 위 항목에서 중점적으로 평가되어야 한다는 것이다. 그리고 결국 이러한 노력이 관광교육의 대상자로부터 긍정적이고 발전적인 관광교육에 대한 태도를 형성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둘째, 각 교육기관에 따라 중요한 평가항목이 존재하며 분석과정을 통하여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였는데, 각각의 세부적인 인과관계에서 이러한 교육기관에 따른 차이는 향후에 이루어져야 하는 관광교육의 평과과정에서 교육기관에 따라 그 기준과 척도를 달리해야 하며, 이러한 차별화된 교육방침 및 기준을 바탕으로 하여 만족도와 발전전망을 향상시켜 취업의도와 진학의도를 높임으로써 관광교육에 대한 전체적인 긍정적 반응을 이끌어내는 노력을 아끼지 말아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표본적 한계점이 존재하고, 다소 탐색적인 연구로 진행되었다는 점, 관광교육 평가와 관광교육 태도간의 인과관계 및 이러한 인과관계의 집단 간 차이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면서 각각의 항목에 대한 차이나 각 요인의 변화, 그리고 학습효과 등의 다양한 연구가 수반되지 못하였다는 점 등의 한계점이 존재하는데, 향후의 연구에서는 이와 같은 부분을 보완하여 연구가 진행된다면 관광교육의 발전에 매우 효과적인 연구가 될 것이라고 사료된다. Development of professional and excellent human resource which is required to the field of Tourism and study about an attitude and an evaluation of Tourism education should be accomplished in advance in order to improve the competitiveness of the Tourism Industry highly reliant on human resource. In this study, the intention is that this evaluation would be helpful for organizing the positive attitude about tourism education and furthermore providing the fundamental sources for educational development as analyzing evaluations on students who are studying Tourism classified by their level of education and subdividing into several parts. This study in more specific way, as understanding the attitude through out current satisfaction as well as the view of tourism industry and intention of entering school or getting a job based on evaluation of each parts people in Tourism education perceive. And in order to accomplish this intention, we try to look into the casual sequence that evaluation of tourism education effects on attitude about evaluation of tourism and this tendency appears differently depend on each level of education. We expect to suggest the ideal way to go of each education institute and educator for educatee and a type of tourism education. We conducted a research on students who are taking tourism classes in education institutes such as 4-year university, community college, specialized institute and high school specialized in tourism from Aug. 28, 2005 to Sep. 25, 2005 about for 28days. During that time, we distributed 600 copies and received 598 copies of them and used 590 copies for analysis except 8 copies which could not put to practical use statistically or respondents had not related in each other. So 590 copies out of 600 ones are used for analysis, which is done by statistics package program called SPSS Ver.12.0 for Windows. According to this purpose of study we made a study model and an assumption for analysis so that we could find out similarities of casual sequence in most of the relations of elements. In addition, we found out this casual sequence has very similar differences depends on each educational institutes. The suggestions based on this results are followings. First, Students are perceiving and recognizing as we fixed it up before in the process of study plan and evaluating elements in tourism education influence on the attitude to people receiving tourism education. After all, evaluation in tourism education should be done focusing on tourism educational course , tourism educator , tourism educational institute as well as facility and tourism textbook and etc. And also for evaluation of educational institute and education such as tourism high school audit and university evaluation should be considered with student's view point. Finally this efforts will bring up positive and improved attitude about the tourism education from educatee. Second, there are important evaluation check lists in each institutes and we pulled out the conclusion through a process of analysis and this difference depends on institutes in each specific casual sequence should be different in a standard and a measure according to educational institute during the time of evaluation process of tourism education which is made after this. We should make our efforts to make positive atmosphere in tourism education as improving satisfaction and development prospect so that we could encourage a desire for working and studying based on this distinguishable standard and an education policy. In this study, there are critical points like we reached typical limitation and the procedure was quite probing and we couldn't bring various studies about differences of each part of item and changes about each elements as preceding this focusing on tourism educational evaluation and a casual sequence between the attitudes of tourism education and this differences of a casual sequence among the groups. If we supplement these problems on study, it would be very effective for development of tourism education.

      • 제7차 교육과정의 교육평가에 관한 연구 : 경기도 초등학교를 중심으로

        박종순 한경대학교 전자정부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 적용 4년째를 맞아 수요자 중심교육의 개혁의지가 얼마나 현장에 반영되었으며, 학교 자율적으로 실시되는 교육평가 제도의 운영 실태를 파악해보고, 그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들의 인식차이를 비교하여 교육과정 운영의 합리적인 정착방법과 평가방안을 모색하는데 있다. 위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경기 남부에 기거하는 교사와 학부모 308명을 대상으로 다음과 같은 내용을 구체적으로 설문한 후 분석하였다. 첫째, 초등학교에서의 제7차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초등학교에서의 제7차 교육과정의 특징인 수준별 교육과정 운영실태는 어떠하며 이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가? 셋째, 수요자의 능력을 중시하는 제7차 교육과정에서 재이수와 월반제도의 실효성은 어느 정도이며 이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넷째, 수요자의 능력을 중시하는 제7차 교육과정에 적합한 평가방법은 무엇이며 이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들의 의견에는 차이가 있는가? 수집된 자료는 학교소재지, 성별, 담당학년, 학교규모, 학급규모, 연령별로 빈도에 따라 백분율을 산출하였고, 개인적 배경 변인에 따른 차이 검증을 위해서 χ^(2) 검증을 하였으며, 모든 자료는 SPSS 10.0K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통계처리 하였다. 통계처리 자료를 분석해 본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첫째, 교육과정 운영면에서는 학부모, 교사, 교육과정전문가와 지경의 인사들이 참여하는 교육과정위원회 조직 후 학교의 실정과 아동의 특성을 고려한 당해 학교 교육과정을 편성 운영하여 학부모들의 지지도가 높게 나타났으며 수준별 교육 과정운영의 문제점은 과밀학급과 교사의 많은 잡무, 수준별 학습 진행의 어려움 등으로 나타났다. 둘째, 수준별 (단계형, 보충·심화형) 교과운영에 대하여는 학습 지도안을 구분하여 작성하지 않고 있었으며, 수준별 학습 적용은 학습방법, 학습자료의 차별화, 지도내용의 차별 등으로 나타났다. 보충·심화 학습의 자료로는 교육 전문잡지에서 발행하는 학습지를 주로 사용하고 있었다. 단계형 교과에 적용되는 진급시험은 실시는 하나 해당 어린이에 대하여 학부모의 동의가 있어야만 재이수가 가능하기 때문에 실행이 어렵고 월반에 대한 의견은 찬반 대립이 팽팽하였다. 셋째, 학교에서 주로 시행되는 평가 형태는 수행평가와 지필평가의 병행이 많았으며, 평가결과의 기술에 있어서 서술형으로 특기 사항만 입력하여 한 학기에 1회 정도 학부모와 아동에게 알려주는 현행 제도로는 평가의 개념이 지닌 학습 목표 성취 여부의 판단 자료나 학습수행정도를 파악하는 의사결정으로서의 역할에 못 미치기 때문에 새로운 방법이 모색되어야겠다. 이상에서 살펴보면 제7차 교육과정은 수요자들의 의견을 중시하는 계획과 실행으로 학부모들의 호응을 많이 얻고 있었으며, 평가형태는 지필평가와 수행평가가 병행되고 있었다. 월반과 재이수 제도는 실효성이 없었으며, 교사들은 단원평가 후에 학습방법, 학습자료의 차별 투입 등으로 소신껏 학습자를 위한 수준별 학습을 실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gree of application to the target situation that focuses on the learners for four years of the 7th National Education curriculum. I analyzed the administrative situation of the education evaluation system operating in schools themselves. Based on the data, I compared the differences of recognition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and tried to search for the rational models of application and evaluation in operating of education curriculum. To get the task, I made a survey and analyzed it from 308 members of in-service teachers and parents residing in the south Kyeonggi province. The contents of survey were followings: 1. What are the teachers' and parents' recognition like o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in elementary schools? 2. In elementary schools, how is the situation of level class operation? And what are the teachers' and parents' attitude or difference for the system? 3. How much degree of practicality of differentiate class system is available, especially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emphasizing on the learners? 4. What is the best evaluation model for the curriculum focusing on learner's ability? And Is there any different views between teachers and parents? I produced the results from the frequency on school location, gender, presiding grade, class size, and age. I made use of X^(2) inspection system to indicate the difference of variables from the personal background. The data were processed with SPSS 10.0K program. The result from the date that followings: 1. In curriculum management, parents' affirmative attitude was high after organizing the curriculum committee participated in local experts, parents, and teachers who tended to focus on the school situation and students' traits. The problem to solve in the level class program was the difficulties of large class size, teachers' burden of side works, management of the level class, and so on. 2. In level class education curriculum(steps type, complementary or in-depth type). They did not make the different types of curriculum for teaching. The application of the level teaching showed the order: the differences of teaching method,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contents. The complementary or in-depth teaching materials were largely relied on the texts from the reference educational materials outside the schools. The evaluation for the higher class would be possible only if the parents agreed to practice it, so the practice for test was not easy in reality. As a result of parents' view, the movement of higher class was not possible. 3. The types of evaluation in schools were largely the combination of performance test and written form. The description of the results of the evaluation was to write the traits of the students as a form of description, and to notice the result to the parents once a semester, which did not influence on deciding education performance or performance achievement as a judging data. Therefore a new technique should be introduced.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had a lot of positive attitude from parents who took emphasis on education learners, students, as shown the article above. The evaluation forms were the combination of performance and written type in the curriculum. The result 'of the level class was nor practical in reality. Teachers practiced the active level class for students themselves. The method of practicing it was to distinguish the teaching materials and teaching mathod after the course evaluation.

      • 학교생활기록 기반 교육평가 장치의 계보학

        김범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1995년 5․31 교육개혁 이후 등장한 학교생활기록 기반 교육평가 장치의 계보학을 구성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연구자는 Foucault의 통치성 이론과 ‘장치(dispositif)’ 개념에 기초해 ‘학교생활기록부’, ‘입학사정관전형’, ‘학생부종합전형’ 등 주요 학교생활기록 기반 교육평가 장치를 관련 문헌 자료 분석과 심층 인터뷰를 통해 탐구하였다. 이를 위해 장치 분석 관련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교육평가 장치의 핵심 분석 요소를 ‘지식’, ‘권력’, ‘자기’로 추출한 후, 학교생활기록 기반 교육평가 장치의 구성요소와 변화 양상을 탐구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기록 기반 교육평가 장치를 정당화하는 ‘지식(knowledge)’과 그 변화 양상을 탐구한다. 둘째, 학교생활기록 기반 교육평가 장치에서 작동하는 ‘권력(power)의 테크놀로지’와 그 변화 양상을 탐구한다. 셋째, 학교생활기록 기반 교육평가 장치에 대한 학생들의 ‘자기(the self)의 테크놀로지’와 그 변화 양상을 탐구한다. 이상의 연구 문제를 중심으로 실제 연구를 진행한 후 도출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교생활기록 기반 교육평가 장치는 김영삼 정부가 도입한 ‘학교생활기록부’를 통해 처음 등장하였고 이후 계속 확장되었다. 이 시기 진행된 신자유주의 교육개혁의 결과 시장주의 교육 담론이 급속히 확산되었다. 이후 김대중 정부는 지식기반사회론과 인적자원개발론에 근거한 다양한 정책들을 통해 교육을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한 주요 수단으로 공식화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존의 지필시험 기반 평가 패러다임의 한계에 대한 비판과 이에 대한 대안적 교육평가 장치의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학교생활기록부는 새롭게 출현한 통치성의 긴급한 요구에 대응하기 위해 등장한 교육평가 장치이다. 이후 발표된 김대중 정부의 ‘2002학년도 대입제도 개선안’은 학교생활기록 기반 교육평가 장치를 전면적으로 확대하기 위해 추진한 대표 정책이었다. 1999년 정부에 의해 전면적으로 도입된 수행평가는 평가의 시기와 내용을 학생의 모든 학습수행 과정으로 확대한 것으로 이 시기 평가 패러다임의 변화를 보여주는 구체적인 사례다. 이러한 신자유주의 통치성에 근거한 지식과 권력의 변화는 학생들의 자기 테크놀로지에도 영향을 미쳤다. 김영삼 정부의 국민교육헌장 폐지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과거와 달리 학생들은 ‘자율적 개인’으로 호명되기 시작했다. 이제 학생들은 규율과 통제를 내면화한 수동적인 주체가 아니라 자율적 주체로 인정되었다. 이러한 통치성의 변화는 고백의 테크닉으로 대표되는 학생 주체들의 자기 테크놀로지 출현의 배경이 되었다. 둘째, 학교생활기록 기반 교육평가 장치는 노무현 정부와 이명박 정부 집권기에 도입된 입학사정관제와 입학사정관전형을 통해 크게 강화되었다. 이 시기 확산된 경영주의 담론은 교육 영역의 신자유주의 통치성을 더욱 강화하였다. 또한 ‘우수학생’ 재개념화론에 따라 정량 평가 중심의 교육평가를 정성 평가와 결합하려 했던 ‘종합’ 평가 담론이 등장하였다. 동시에 진행된 학교생활기록부 전산화 정책은 학교생활기록부의 교육평가 장치로서의 가능성을 극대화했다. 한편 대표적인 학교생활기록 기반 교육평가 장치로서 ‘2008학년도 이후 대입제도 개선안’에서 제안된 입학사정관제와 입학사정관전형은 대입 선발 과정에서 대학주도성을 크게 신장시키는 역할을 하였다. 실제로 각 대학은 입학사정관전형 도입 초기의 ‘강제된’ 자율성으로 인한 미온적 태도와 달리 전형방법 다양화 및 모집 인원 확대를 통해 대학의 평가 테크놀로지를 크게 강화했다. 이에 상응하여 학생들의 자기 테크놀로지 또한 이에 상응하여 꾸준히 강화되었다. 학생들은 구체화된 대학별 인재상에 대한 분석과 대비를 통해 자신을 정상화하기 위한 효과적인 테크닉들을 생산하기 시작했다. 이 과정에서 ‘자기’에 대한 탐구는 일상화되었으며 그 결과 다양한 자기 테크닉들이 나타하기 시작했다. 이제 학생들에게 ‘자기’는 진지하게 탐구해야 할 일종의 ‘자기학(selflogy)’의 대상이 되었다. 초기에 출현했던 고백의 테크놀로지는 양과 질의 측면에서 크게 강화되었다. 학교생활기록부의 기록 내용과 항목이 증가하기 시작했고 각 대학의 자기소개서의 문항의 개수와 분량 또한 늘어났다. 한편 이러한 통치의 강화 과정은 동시에 학생들의 대항품행의 강화 과정이기도 했다. 이것은 다른 장치와 마찬가지로 교육평가 장치의 이중적 성격을 분명히 보여주는 것이다. 셋째, 포화 상태에 도달했던 학교생활기록 기반 교육평가 장치는 박근혜 정부 초반에 학생부종합전형이 도입되면서 간소화되고 정교화되었다. 이 시기 등장한 핵심 역량기반 교육 담론은 교육평가와 대입 선발의 중요한 기준이 되었다. 특히 핵심 역량기반 교육 담론과 평가 혁신 운동이 유기적으로 결합하면서 새로운 교육평가 장치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성장중심 평가, 학습을 위한 평가, 교육과정-수업-평가-기록의 일체화 운동 등과 같은 대안적 교육평가 담론들이 등장했고 이를 이론적․실천적 차원에서 정당화하기 위한 노력이 활발하게 진행되었다. 한편 학생부종합전형의 신뢰성과 공정성을 문제에 대한 기존의 논쟁은 ‘금수저’와 ‘깜깜이’ 전형 논쟁으로 불리며 더욱 치열하게 진행되었다. 이후 학생부종합전형이 한국 교육의 대표적 교육평가 장치가 되면서 학교생활기록부는 더욱 안정화되었다. 이 과정에서 학교생활기록 기반 교육평가 장치의 테크놀로지는 지속해서 세련화되었다. 그 결과 학생부종합전형의 정교화된 테크놀로지는 전문적 분석과 탐구의 대상이 되기 시작했다. 전에 없던 ‘학종 컨설턴트’와 ‘학종 컨설팅’이 등장했으며 뿐만 아니라 여러 관련 이해당사자들이 학생부종합전형에 대한 관련 지식과 테크놀로지 생산에 참여하였다. 이러한 현상은 평가 테크닉의 정교화에 따른 일종의 학종‘학’의 등장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교육평가 장치의 정교화 과정은 학생 주체들의 테크놀로지에도 밀접한 영향을 미쳤다. 학생들은 고교 입학 전후부터 끊임없이 자기를 점검하고 성찰하는 다양한 자기평가의 테크닉을 통해 일종의 ‘프로젝트’가 되었다. 새롭게 등장한 핵심 역량기반 교육 담론에 근거하여 재편된 대학별 인재상에 따라 비현실적인 능력을 갖춘 이데아적 학생 주체가 되거나 그렇게 보이기 위해 다양한 테크닉을 활용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상황에서도 학생 주체들은 일종의 자기만의 ‘콘셉트’ 구축 등 다양한 대항 테크닉을 활용하고 있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것은 학생 주체들이 교육평가에 단순히 포획되지 않고 오히려 장치로부터 탈주가능성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시도로 평가할 수 있다. 주제어: 장치, 통치성, 계보학, 교육평가, 학교생활기록부, 입학사정관전형, 학생부종합전형

      •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 개발 : CIPP 평가모형을 중심으로

        차봉은 인하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8703

        1970년대 이후 경제성장에 따라 의료수요가 증가하고 사회적으로 바람직한 의사에 대한 기대가 높아짐에 따라 의사를 양성하는 기관인 의과대학의 교육과정 또한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다. 바람직한 의사양성에 대한 관심과 기대가 증대됨에 따라 의학교육 체제에 대한 관리 또한 엄격해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40개 의과대학이 있는데, 모든 의과대학은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실시하는 의학교육 평가인증 과정을 통하여 의과대학 운영에 대한 승인을 받아야만 하는 상황이다. 의학교육 평가인증은 1998년 최초 시행되었는데, 2015년 이전 평가인증에서는 의과대학 평가 결과가 학교의 존폐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그러나 2015년 평가인증과 관련하여 고등교육법이 개정되고 대통령령이 제정됨에 따라 의학교육 평가인증은 필수과정이 되었다. 즉, 의과대학은 평가인증 결과에 따라 교육과정의 운영 여부가 결정되기 때문에, 의과대학의 평가인증은 상당히 중요한 과정이 되고 있으며, 그와 동시에 평가준비에 대한 부담이 있을 수 밖에 없다. 여기에 한국의학교육평가원이 2016년 WFME(World Federation for Medical Education) 인정위원회로부터 국제기준 승인을 받음에 따라 우리나라의 의학교육 평가인증 기준은 국제적 수준으로 경쟁력을 갖추게 되었는데, 이전 평가인증 기준과 비교하여 좀 더 방대해지고 의과대학 내 다양한 측면에서의 세심한 운영을 요구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각 의과대학은 새로운 평가인증 기준에 따라 추가적인 준비사항이 필요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국제적 인증을 받은 의학교육 평가인증 기준은 ASK2019(Accreditation Standards of KIMEE 한국의학교육평가원(KIMEE: Korean Institute of Medical Education and Evaluation) 2019)로 부르고 있으며, 기본적으로 2019년도 평가 대상교부터 적용받고 있다. 이러한 새로운 평가인증 기준인 ASK2019의 가장 큰 특징은 의과대학 교육과정평가라고 할 수 있는데, 의과대학 교육과정평가에 대한 부분은 이전 기준에서 수정되거나 변형된 기준이 아니라 새롭게 도입된 기준이라고 볼 수 있다. ASK2019 기준에 따르면 이전 의학교육 평가인증 과정에서 다루지 않았던 교육과정에 대한 평가와 피드백 과정을 평가 대상 자료로 제시해야 한다. 따라서 각 의과대학은 교육과정평가를 위한 전문성을 갖추고 지속적인 교육과정평가과정을 운영해야 하는 상황에 놓이게 된 것이다. 즉, ASK2019 평가인증 기준에서 요구하는 교육과정평가는 교육과정 개선에 대한 지속성과 전문성을 요구하고 있으며, 각 의과대학은 교육과정에 대해 전문적인 평가를 시행하고 지속적인 피드백을 통한 교육과정의 개선과정을 필수적으로 운영해야 하는 상황이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평가인증 ASK2019에서 요구하는 교육과정 운영평가의 특성을 고려하여 평가지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우선, 교육프로그램 평가모형인 CIPP 평가모형을 활용한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평가지표를 개발하여 전문적인 평가가 가능하도록 하였으며, 평가지표를 체크리스트 형태로 개발하여 주기별 평가가 가능하고 평가 결과 추이를 통해 피드백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평가의 지속성을 부여하고자 하였다. 또한, 평가인증 기준 ASK2019 중 교육과정 운영에 대한 상당 부분을 반영함에 따라 각 의과대학이 평가인증에 대한 접근성과 평가인증 준비에 수월성을 기대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는 궁극적으로 의과대학에 필요한 평가의 전문성을 확보하고 의학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과정이 될 것으로 기대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여 해결하고자 하였다. 첫째,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를 구성하는 요인과 문항은 무엇인가? 둘째,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의 타당성은 어떠한가? 셋째,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의 의미는 무엇인가? 이와 같은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CIPP 평가모형에 따라 선행연구를 분석하여 평가지표의 초안을 마련하였으며, 3차례 델파이조사와 요인분석을 통하여 평가지표를 수정하고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마지막으로는 전문가 인터뷰 과정을 진행하였는데, 개발된 평가지표에 대한 추가적인 해설을 통하여 평가지표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자 하였다. 선행연구 분석을 통하여 11개 요인과 97개 문항의 평가지표 초안이 마련되었다. CIPP 평가단계별로 살펴보면,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는 2개 요인으로 13개 문항, 투입평가(Input Evaluation)는 3개 요인으로 38개 문항,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는 3개 요인으로 32개 문항, 산출평가(Product Evaluation)는 3개 요인으로 14개 문항이었다. 델파이조사에서는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 2개 요인으로 11개 문항, 투입평가(Input Evaluation) 3개 요인으로 29개 문항,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 3개 요인으로 22개 문항, 산출평가(Product Evaluation) 3개 요인으로 13개 문항이 되었으며, 요인분석에서는 상황평가(Context Evaluation) 2개 요인으로 11개 문항, 투입평가(Input Evaluation) 2개 요인으로 26개 문항, 과정평가(Process Evaluation) 2개 요인으로 19개 문항, 산출평가(Product Evaluation) 2개 요인으로 13개 문항이 되어, 최종 8개 요인의 69개 평가문항으로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를 확정하였다. 의학교육 평가인증 기준에서 교육과정평가에 대한 부분은 대학별로 아직은 낯설고 생소한 기준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의과대학 교육과정이 좀 더 발전하기 위해서는 교육과정과 운영에 대한 평가는 필수적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시기에 본 연구와 같은 ‘의과대학 교육과정 운영 평가지표’의 개발은 의과대학의 교육과정을 평가하고 개선하여 궁극적으로 의과대학 교육의 질을 제고하는 데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미용과 교육평가에서 루브릭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피부 미용’교과목을 중심으로

        정가애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re have been several discussions on the educational evaluation methods, and various studies dealing the issue have been reported. In addition, there are several activities for enhancing the evaluation’s professionalism such as features of reliability, validity as well as the equity. Among the evaluation methods, the Rubric is the evaluation method describing the evaluation standards. For the cosmetic subjects, the practical performance should be tested as well as the written test, so there are more difficulties in accurately and fairly evaluating the practice performance test than the existing written test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Rubric’s influence on the academic performance in the educational evaluation for cosmetic subjects. This study selected the units applying the Rubric method as the unit of ‘Skin-Care (2011)’, the national textbook for cosmetic high school, and the two units of ‘Cleansing Procedure and ‘Facial Mask and Finishing Care’(2012), which are the two subjects among common 7 subjects to be tested in the national beauty expert(skin care) certificate exam. After developing the draft of Rubric, the 3 professors in the department of cosmetic education, and the content validity of was conducted by 3 teachers teaching the cosmetic subjects. And then the final Rubric model was developed, To verify the appropriateness of final Rubric model, the investigator conducted the survey asking ‘the instrument understanding’, ‘the instrument validity’, ‘the instrument reliability’, ‘the utilization easiness’, ‘the teacher’s preparedness ’ and ‘the result utilization’ targeting 30 teachers. Also, in order to find out the Rubric’ influence on the academic performance at applying the test, the investigator divided some students in the 2nd-grade of high school in to the experiment group and the control group, and then conducted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be fore and after the academic performancee valuation. Additionally, the investigator conducted the survey asking the Rubric’s influence on the results of educational evaluation targeting the experiment group who were tested by the Rubric model.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results from the Rubric’s appropriateness evaluation are as follows. In the survey targeting the teachers asking the appropriateness of Rubric model, it was shown that the factors of ‘instrument reliability’ and ‘result utilization’ had the highest scores. The highest scores of ‘instrument reliability’ means that if the Rubric model would applied to evaluate the academic performance, the same student would have the same score despite being calculated by different scorers. The highest score of ‘result utilization’ means that the scores resulting from the application of the Rubric model could provide useful feedbacks to both the students and the teachers. Next, the higher scores followed ‘the instrument validity’, ‘the instrument understanding’, and ‘the utilization easiness’ in order. Meanwhile, the ‘teacher’s preparedness’ had the lowest score. The reason is considered as because the teachers felt some difficulties in applying the Rubric model without any additional training. So, it is considered as that any training for additional training relevant the Rubric model would be need in order to enhance the easiness of teacher’s utilization for the Rubric model. Second, at applying the Rubric model, its influence on the academic performance produced following results. In the pre-test before conducting the academic performance test, the both groups (experiment and control groups) did not show any difference in their scores (p>0.05). For the control group, the result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he unit of cleansing procedure) showed some significant enhancement in evaluation items of ‘cleansing-motion explanatory diagram’, ‘work attitude’ in the practice process and ‘practice attitude’ in the practice attitude The reason of significant differences is considered as because the twice classes provided for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might partly enhance the students’ performance. For the experiment group, the results between the pre-test and the post-test (the unit of cleansing procedure) showed some significant enhancement in all evaluation items of ‘cleansing-motion explanatory diagram’, ‘work attitude’ and ‘point cleansing-motion’, ‘tool using method’, ‘cleansing-motion technique’ in the practice plan, and ‘work outcome’ , ‘harmony’ in the practice outcome, the ‘practice attitude’ in the practice attitude. The reason attitude of significant differences is considered as because the provision of careful guidelines about the Rubric model might enhance the students’ academic performance. True purpose of education evaluation is in improving educational activities, not in collecting, analyzing and reporting the data about the evaluation targets. Like that, it needs to help students to increase their academic performance by applying the Rubric model, not simply evaluating the students. In addition, in the educational evaluation using the Rubric model, the students showed much positive result in the ‘instrument reliability’. That means that even though different scorers calculate the same item for a student, the score would be same. Besides, as the all other parts of Rubric model got positive results, so the Rubric model will be good in being expanded into other cosmetic subjec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expected for objective Rubric models to be developed in other cosmetic subjects. 교육 평가에 대한 여러 논의들이 있고, 평가 기법에 대한 여러 가지의 연구들이 나오고 있다. 또한 신뢰도, 공정성 등 평가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여러 활동들이 이루어지고 있다. 그 중에서 루브릭은 평가 기준을 기술적으로 서술해 놓은 평가이다. 미용 과목은 지필 평가만이 아닌 실기 평가도 이루어져하여야 하기 때문에, 기존의 지필 평가보다 실기 평가를 정확하고 공정하게 평가하기에 많은 어려움을 느끼고 있다. 본 논문은 미용과 교육평가에서 루브릭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였다. ‘피부 미용’ 교과에서의 루브릭 적용 단원 설정은, 고등학교 국정 교과서인 ‘고등학교 피부 관리(2011)’와 국가자격시험 ‘미용사(피부) 종목(2012)’의 공통된 7과제 중 2과제인 ‘클렌징하기’ 단원과 ‘팩과 마무리 손질법’ 단원을 선정하였다. 루브릭 초안을 개발한 후, 미용교육과 전공 교수 3인과 미용 교사 3인의 내용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여, 최종 부브릭을 개발하였다. 최종 루브릭의 적합성 평가를 위해, 미용 교사 30인에게 ‘도구의 이해도’, ‘도구의 타당도’, ‘도구의 신뢰도’, ‘활용의 용이성’, ‘교사의 준비도’, ‘결과의 활용도’를 설문 하였다. 또한 루브릭 적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고등학교 2학년 학생들을 실험 집단과 비교 집단으로 나눈 후, 학업성취도 사전-사후 검사를 하였다. 또한 루브릭 모형을 제시한 실험 집단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루브릭이 교육평가에 미치는 결과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루브릭 적합성 평가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교사들을 통한 루브릭 적합성 평가의 설문지 조사에서는 ‘도구의 신뢰도’와 ‘결과의 활용도’가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났다. ‘도구의 신뢰도’가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나는 것은 루브릭 평가도구를 적용하면 같은 학생을 몇 명의 채점자가 채점하여도 채점 결과가 동일하게 나타나는 것을 의미한다. ‘결과의 활용도’가 가장 높은 점수로 나타나는 것은 루브릭 평가도구를 적용한 채점 결과가 학생이나 교사에게 유용한 피드백을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 다음으로는 ‘도구의 타당성’, ‘도구의 이해도’, ‘활용의 용이성’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반면, ‘교사의 준비도’ 부분에 있어서는 점수가 가장 낮게 나왔다. 그 이유는, 별도의 연수 없이 사용하는데 어려움을 느끼는 것으로 사료된다. 그렇기 때문에, 교사들의 준비를 위해 루브릭 관련 연수를 별도로 진행하여, 교사의 활용의 용이성을 올리는 것이 필요하다고 사료되어진다. 둘째, 루브릭 적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비교, 실험 집단의 사전 학업성취도 검사는 두 집단 간에 있어 성적의 차이가 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p>0.05). 비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클렌징하기 단원)의 결과에서는 실습 계획의 ‘클렌징 동작 도해도’, 실습 과정의 ‘작업 자세’, 실습 태도의 ‘실습 태도’는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 이유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위해 학습이 2번 이루어졌으므로 부분적으로 실력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 비교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팩과 마무리 손질법 단원)의 결과에서는 실습 과정의 ‘작업 자세’, ‘팩 도포 기법’, 실습 태도의 ‘실습 태도’에서 모두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그 이유는, 사전 검사와 사후 검사를 위해 학습이 2번 이루어졌으므로 부분적으로 실력이 향상된 것으로 사료된다. 실험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클렌징하기 단원)의 결과에서는 실습 계획의 ‘클렌징 동작 도해도’, 실습 과정의 ‘작업 자세’, ‘포인트 클렌징 동작’, ‘도구 사용 방법’, ‘클렌징 동작 기법’, 실습 결과의 ‘작품 결과’, ‘조화미’, 실습 태도의 ‘실습 태도’ 모든 평가 항목이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루브릭의 자세한 가이드라인 제시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킨 것이라고 사료된다. 실험 집단의 사전-사후 검사(팩과 마무리 손질법 단원)의 결과에서는 실습 계획의 ‘크림 팩 도포 도해도’, 실습 과정의 ‘작업 자세’, ‘전처리’, ‘도구 사용 방법’, ‘팩 도포 기법’, 실습 결과의 ‘작품 결과’, ‘조화미’, 실습 태도의 ‘실습 태도’ 모든 평가 항목이 매우 유의미한 결과를 나타냈다. 루브릭의 자세한 가이드라인 제시가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킨 것이라고 사료된다. 교육평가의 진정한 목적은 평가대상에 대한 자료를 수집 · 분석 · 보고하는 데 있는 것이 아니라 교육활동을 개선하는 데 있다. 권대훈. 교육평가. 학지사, p17, 2005. 이처럼, 루브릭을 통한 교육평가로 학생들은 단순히 평가하는 것에서 그치는 것이 아니라, 피드백을 하여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루브릭 교육평가에 대한 학생들의 결과에서는 ‘도구의 신뢰도’에서 많은 긍정적인 결과를 나타냈다. 이는, 여러 번 다른 사람이 동일한 종목을 채점해도 채점의 결과가 동일하다는 것이다. 그 외에 다른 모든 부분도 좋은 결과를 얻었으므로, 다른 미용 교과로 확대하여 적용해도

      • 특수학교 교육과정 평가 모형과 평가 준거 연구

        이만영 창원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 evaluation model and evaluation criteria to increase the effects of special education and manage the quality of the curriculum. The following agenda were set for this study. First, what should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model be like? Second, what are the evaluation criteria for special school curriculum? To resolve these two agenda, both theoretical and empirical methods were applied together. First of all, theoretical methods were applied to design a curriculum evaluation model in 3 steps. In the first step, we collected, sorted and analyzed curriculum evaluation models related to this study through literature analysis reviewing previous studies related to curriculum evaluation models. In the second step, elements that would compose an evaluation model through the establishment of curriculum and curriculum evaluation concept and the analysis of the evaluation related elements were selected and organized. In the third step, the designed curriculum evaluation model was validated.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model induced through these processes had a three dimensional structure composed of curriculum elements, curriculum aspects and evaluation functions. Curriculum elements mean the areas for evaluation and they may be divided into learners, contents, teachers and environments. Curriculum aspects mean the process of input, practice and output of the areas for evaluation (four elements of curriculum). Evaluation functions have sub elements of technology, interpretation and judgment. The developed model satisfied the requirements of the validation tool called 'Conditions of Curriculum Evaluation Model', which was developed internally. The contents of the validation tool are as follows. ① Contents: The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evaluation model should include curriculum elements and related elements and evaluation methods. ② Functional Conditions: The curriculum evaluation model should be designed to induce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a and evaluate the induced evaluation criteria. ③ Methods: The components of the curriculum evaluation model should be organized systematically. ④ Contextual Conditions: The curriculum evaluation model should be composed based on the curriculum evaluation concepts and curriculum evaluation logics. On the other hand, the issue to set the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a was resolved by inducing evaluation criteria through theoretical studies and verifying the validity of the induced criteria. Detailed processe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variables were abstracted by analyzing the literature related to evaluation criteria, selecting appropriate ones and setting them as 'Evaluation Criteria'. The criteria were verified through empirical study such as 'Factor Analysis'. As the result of this study, a total of 37 items were set as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a. Learner related criteria: congruence of the selection of the trainees for special education, relevance of the placement of the trainees for special education, dynamics of peer group activities, skillfulness of academic techniques, academic achievements, faithfulness of behavioral development, achievement of discrete subjects, achievement of club activities, effectiveness of remedy educational activities, effectiveness of transition education Curriculum Contents related criteria: consistency and relevance of educational goals, congruence of curriculum scheduling, congruence, relevance and efficacy of club activities, relevance and efficacy of discrete subjects, relevance of remedy education, faithfulness of customized programs, properness of contents adjustment, faithfulness of discipline, relevance of individualized transition education, educational content contribution Teachers related criteria: qualification and professionalism of teachers, congruence of teacher placement, relevance of teaching activities, relevance of teaching strategies, relevance of teaching materials, relevance of evaluation, faithfulness of coordinating professors, faithfulness of teachers' training, teacher contribution Environments related criteria: relevance of curriculum support, congruence of curriculum related organizations and faithfulness of activities, relevance of school and class rules, properness of educational elements coordination, faithfulness of the operation of reference and information processing room, faithfulness of the operation of special rooms, contribution to educational environments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a were verified through confirmatory factory analysis and they were proven valid. The reliability related this verification was very high.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model developed from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field in order to evaluate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Second,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evaluation criteria developed from this study can be applied to the field in order to evaluate the special school curriculum.

      • 핵심역량 기반 인구교육의 평가를 위한 루브릭 개발

        홍민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기존에 제시되지 않았던 인구교육의 평가에 있어서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의를 지닌다. 특히 ‘분석적-과제 중심 루브릭’ 개발 방법을 사례와 함께 제시하여. 학생 수행의 차이를 각 단계별로 자세하게 서술해 놓았기 때문에, 수행이 갖고 있는 특징과 문제점, 그리고 수준이 어떠한가를 정확하게 진단할 수 있어서 핵심역량을 평가하기에 가장 적절하다는 점에서 중요한 교육적 의의가 있다. 또한 학생이 목표에 맞추어 어떻게 학습을 해나가야 하는지를 구체적으로 안내해주고, 어떻게 평가받을 것인가를 알려 주기 때문에, 평가 준거에 도달할 수 있는 수행결과를 만들어내도록 노력하게 되면서 자기 조절 능력도 향상된다.

      • 기독교교육과정의 논리- 가치 주도 평가모형 적용 연구 - GPL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이영진 장로회신학대학교 2022 국내박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기독교교육과정이 교육의 현장 안에서 가지는 기독교교육적 의의와 성과를 알아보기 위해 기독교교육과정을 평가하고자 한다. 기독교교육과정을 평가하는 과정을 통해 획득된 기독교교육과정의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보다 구체적이고 효과적이며 의미 있는 기독교교육과정이 설계되도록 하는데 활용할 핵심적인 자료를 확보하고자 기독교교육과정의 평가모형을 탐색하고자 한다. 이 연구에서의 기독교교육과정의 평가란 ‘하나님 알기’라는 기독교교육의 목표를 통해 구체화된 교육의 실천으로서의 기독교교육의 제반 종합적 교육 실천들이 하나님의 계시로서의 성경을 학습의 내용이자 원리로 구현되었는지에 대해 검증하는 과정으로 본다. 이 연구는 기독교교육과정을 평가하는 효과적인 접근 방법의 하나로 논리주도평가(theory-driven evaluation) 모형에 주목한다. 논리주도 평가(theory-driven evaluation) 모형은 평가 대상이 가진 성과와 효과를 원인과 결과라는 인과론적인 메커니즘을 통해 살펴본다는 데 있어서 기존 평가모형이 가지지 않는 독보적인 장점을 가지고 있기에 기독교교육과정을 논리주도 평가모형으로 평가할 경우 기독교교육과정이 평가 대상으로서 가지는 고유하고 핵심적인 논리(Theory)가 탐색될 수 있다고 본다. 그러나 이 연구는 기독교교육과정을 논리주도 평가모형으로 평가할 경우 일반교육과정와 구별되는 고유성을 가지는 기독교교육과정의 특성이 그 평가적 절차 안에서 제대로 반영되지 못한다는 한계점도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기독교교육과정의 논리주도 평가모형 적용을 위해서는 기독교교육과정을 위해 재개념화된 논리주도 평가의 모형이 성립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이해한다. 그러기에 이 연구에서는 기독교교육과정에 적용할 논리주도 평가모형을 ‘논리-가치주도 평가모형(Theory- Value Driven Evaluation)’이라는 이름으로 재개념화하는 과정을 제안하고 있다. 이어 본 연구는 논리-가치주도 평가모형에 따라서 기독교교육과정을 평가한다고 할 때 실제적인 평가 절차와 전개 과정을 구현해 보고자 대한예수교장로회 통합교단의 GPL (God People: Light of the World) 교육과정을 평가해 보았다. GPL (God People: Light of the World) 교육과정의 개발이론, 개발지침, 개발세부사항을 파악하여 이 교육과정의 논리 –가치를 개발하였는데 이는 곧 영성의 가치, 미학성의 가치, 사회성의 가치, 통합의 가치, 자기주도성의 가치, 전인성의 가치, 연대의 가치, 공동체성의 가치, 영향력의 가치, 책무성의 가치로 설계할 수 있다. 이 각각의 GPL 논리–가치를 평가적 질문으로 연결하고 이를 평가적 전개과정에 대입, 사명, 수행, 산출, 응답, 영향, 중재의 단계로 구성한다. 이 연구는 실제 사례를 중심으로 실제 평가를 진행하는 사례연구가 아니라는 연구의 제한, 또 특정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밝히려는 이론 연구가 아니라는 것을 밝힌 후 기독교교육과정을 평가하는 도구로 논리-가치주도 평가모형을 상정하고 이 모형을 기독교교육과정 안에서 확장, 재개념화하는 가능성을 살피는 탐색적 연구(exploratory research) 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