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원격교원연수 제도 및 운영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홍성우 계명대학교 2004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eachers' perception on distance in-servic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and its operation. Specifically, following research questions were established: First, how do teachers perceive distance in-servic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Second,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operation of distance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Third, how do teachers perceive the effectiveness of distance in-service training program for teachers? For this study, 455 teachers, who were 180 elementary school teachers, 155 middle school teachers, and 120 high school teachers, have responded on a questionnaire. However, data from 447 teachers have been analyzed using χ² test.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even though it has been a while since the initial launch of the distance in-servic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due to the advanced technolog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t is not well used at schools. As for the reason, most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do not have enough information on the system. Therefore, there should be systematical publicity and information about the distance in-servic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Second, most of the teachers thought that the distance in-servic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were advantageous in terms of cost and time, but they thought that off-line training was more advantageous in terms of the effectiveness of training. Therefore, distance in-servic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needs to be improved in order to make the system more advantageous. Also, the teachers thought that insufficient time was the biggest problem to participate in the distance in-servic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Third, generally teachers thought that the distance in-service training for teachers were desirable and they want to participate in the program, but they thought that the cost of distance in-service training system for teachers provided by private institution seems to be expensive compared to its effectiveness. 본 연구는 현재 운영되고 있는 원격교원연수 제도 및 운영실태, 그리고 그 효용성에 대하여 교사들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가. 교사들은 원격교원연수 제도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나. 교사들은 원격교원연수 운영실태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다. 교사들은 원격교원연수 제도의 효용성에 대하여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 이를 위해 대구광역시에 소재하는 초, 중, 고등학교에 재직하는 교사를 대상으로 질문지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표집 규모는 초등학교 180명, 중학교 155명, 고등학교 120명으로 총 455명을 표집하여 447부(98.5%)를 회수하였으며, χ²검증을 실시하였다. 지금까지의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정보통신 기술의 발달로 원격연수가 시작 된지 제법 되었지만 아직까지 학교 현장에서의 활용도는 그리 높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 원인 중에는 원격교원연수 제도에 대하여 잘 모르고 있어 연수를 받을 생각조차 못한 경우도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원격교원 연수제도에 대한 홍보나 안내가 보다 체계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둘째, 대부분의 교사들이 시간절약과 비용절약적인 면에서는 원격연수가 더 유리하다고 인식하고 있으나 학습효과적인 측면에서는 집합연수가 더 유리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따라서 보다 많은 교사들이 원격교원연수를 받게 하기 위해서는 학습 효과적인 측면에서도 원격연수가 더 유리할 수 있도록 원격연수의 운영방법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교사들이 원격연수를 받는데 가장 큰 문제는 시간 부족으로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원격교원연수가 시기에 관계없이 지속적으로 활성화되기 위해서는 원격연수를 받는데 필요한 시간을 충분하게 제공하여 연수효과를 높이는 방안이 구체적으로 연구되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들은 대체적으로 원격교원연수 제도에 대하여 바람직하다고 생각하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가기를 바라고 있으나, 사설(민간) 원격교원연수기관의 연수비용이 그 효용성에 비하여 비싸다고 인식하고 있다. 따라서 원격교원연수의 연수비가 적절하게 책정되었는지에 대한 공정한 검토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에 관한 연구

        손민경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지식 활용방법을 아는 것보다 활용 가능한 지식을 생산해 내는 것이 더 중요한 시대를 앞두고 교육의 수월성에 대해 자주 언급하고 있다. 그러면서 영재교육의 필요성 또한 제기되고 있다. 본 연구는 영재교육을 이끌어갈 담당교원의 직무연수 분석을 통해 직무연수 연수자 현황은 어떠한지, 직무연수 프로그램은 어떠한지, 그리고 직무연수의 개선점과 영재교육 전반에 관한 개선점은 무엇인지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조사연구는 K기관 주관 영재교육 담당교원 직무연수에 참여한 연수자 367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해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는 SPSS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통계처리하였다. 자료분석을 통해 밝혀진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영재를 지도하고 있거나, 앞으로 지도할 가능성이 높은 연수자들 중엔 석·박사 학위 소지자가 상당수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교직경력이 10-20년 사이인 연수자가 가장 많았으며, 현재 영재를 지도하는 연수자는 전체의 30% 정도였다. 이들은 수업활동에서 있어서 스스로의 역할에 대해 연구원, 과학자, 교수, 예능가 등 전문가로 인식하는 경향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둘째, 직무연수 프로그램에서 실습·분석·사례제시 등 학교현장에 직접적으로 이용 가능한 수업은 높은 호응을 얻은 반면, 이론에 치우친 수업에 대해서는 기피하는 경향이 강했다. 수업현장 참관, 영재아 면담, 모의수업, 심화과정 등을 추가되어야 하는 강의로 손꼽았다. 연수에서 얻고자 기대한 것과 얻은 것은 영재판별도구, 영재교수-학습자료, 영재에 대한 이해, 영재교육정책방향 등이었으며, 대체로 일치하였다. 셋째, 영재수업 참관 기회부여, 이론보다 실습위주의 프로그램, 심화과정 개설, 지필고사 지양, 지역별 토의시간 마련 등을 연수 프로그램에 대한 건의사항으로 제시하였다. 연수 운영 및 지원에 대해서는 지역을 고려한 반배치, 연수일정 사전공지, 연수교재 사전배포 등을 건의하였다. 넷째, 영재교육 담당교원으로서 바라는 우대조치로는 성과급 지급, 수업감면, 승진가산점 부여, 해외연수기회부여 등이 있었다. 영재교육에서 가장 중요한 것으로는 개방적 분위기, 도전정신, 다양한 경험, 교사능력 등을 손꼽았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영재교육 담당교원이 충분한 자격을 갖추기 위해서는 연수자 선정과정에서부터 엄격한 기준이 적용되어, 정말 필요한 교원이 연수를 받도록 하는 체계가 마련되어야 하겠다. 또한, 형식에 치우쳐 이론만을 나열하는 연수보다는 교원 중심의 내실있는 연수를 실시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원에 대한 충분한 보상이 이루어져서 우수 인력을 확보할 수 있는 체계가 구축되어야 할 것이다. The easiness of education is being often mentioned in the era when it is more important to develop knowledge that is able to be utilized than know the way of knowledge utilization. Then the need of gifted education is being raised in these day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realize a trainees' present status in the training program, a management state in training program, and an improvement in the training program and gifted education. The research subjects of this study are the 367 trainees who attend the training program on gifted educ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processed so as to analyze frequency and to test the significance of differences through one way ANOVA with SPSS-PC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it turned out that there are a lot of master's degree, doctor's degree holders among the trainees, who are coaching and will coach the gifted. Most of trainees are what have the teaching experience between 10 and 20 years. The trainees who coach the gifted at the present are occupied 30% of the whole. It apparently also turned out that they acknowledge their role as researchers, scientists, professors, and artists. Second, the trainees are interested in practical lecture, which can utilize on the spot, such as practice, analyzing, and case study. Otherwise they tend to avoid theoretical lecture. The nominated lessons, which should be added, are an interview with the gifted, a Visit of Class, enrichment Process, and simulation etc. What they expected to aid and aided in practice from the training program are policies of gifted education, comprehension on the gifted, resources of teaching-learning. Third, what the trainees requested are strengthening the practice on training program, setting up enrichment course, keeping away from writing test, providing a discussion time, providing opportunity of attendance in gifted class. It was also suggested the classifying in regard with region, informing training program schedule in advance and distributing a textbook in advance. Fourth, the prefential treatments which the trainees request on a point of gifted teachers are payment of piece rate, reduction of school work, allowance of promotion score, allowance of oversea training opportunity. What are the most important on gifted education are open mood, challenge spilit, various experience and teachers' capability. Though these results, the system that can provide a training program to only appropriate teachers must be established, as the strict standard have to be applied. And the substantiality of teachers centered rather than formality are necessary as well. Finally the system that can support enough compensation must be established in order to attract a brilliant human resources.

      • 증등교원연수기관의 수학과 일반연수교재 비교분석

        도호병 연세대학교 관리과학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수학교원 재교육의 목적은 교원들로 하여금 학생들에게 보다 유익한 학습을 경험하게 하기 위한 새로운 방법론을 터득하게 하고 수학이나 공학의 발달에 따라 학생들이 새로이 학습해야할 중요한 수학적 개념이나 절차에서의 변화가 무엇인지를 확인하게 함으로서 교원으로서의 전문성 제고를 위한 기회를 제공하기 위한 것임으로 목적대로 라면 연수에 많은 시간을 할애한 사람은 모든 학생들로 하여금 제대로 학습할 수 있도록 가르칠 수 있는 능력을 지녀야 함이 당연한 일이라 할 것이지만 현실적으로 그렇지 못하다는 것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이처럼 비효율적인 연수 현실을 개선할 수 있도록 연수 후 연수 교재의 효과적인 활용 방안을 찾아봄으로써 수학과 교원 재교육 내용과 교재의 활용 측면에서의 개선 방안을 모색하려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위와 같은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아래와 같은 하위수준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과정에 나타난 수학교과의 특성을 추출한다. 둘째, 현직교원연수의 교재내용을 단원별로 분류한다. 셋째, 교육과정과 연수교재와의 관련성을 찾아 유사점과 차이점을 탐색한다. 이론적 배경으로 교원, 교원 연수, 교육과정과 수학의 학문적 체계 중에서 집합론, 대수학, 해석학, 기하학, 선형대수학, 확률과 통계, 이산수학, 전산수학, 경제수학과 수학의 특성과 수학 교육의 목적을 기초로 하여 제 1차∼7차 교육과정에서는 1차 교과과정, 2차 교과과정, 3차 교육과정, 4차 교육과정, 5차 교육과, 6차 교육과정, 7차 교육과정을 다루고 있으며, 교육과정 분석에서는 수학의 학문적인 체계와 교육과정에 관하여 논한 후 일반연수교재 분석을 하여 다음 과 같은 결론을 얻게 되었다. 첫째, 교육과정에 나타난 수학교과의 특성은 대수, 해석, 기하, 통계의 분야는 1차부터 7차 교육과정까지는 큰 차이점을 발견하지는 못하였으나, 6차 교육과정 이후 컴퓨터의 활용을 강조하였음이 발견되었다. 둘째, 일반연수 교재의 단원별 내용을 살펴보면 대수, 해석, 기하, 통계를 공통으로 하였고 컴퓨터를 활용하여 수업현장에 이용하는 내용으로 편성되어있다. 셋째, 연수교재의 내용에서 대수, 해석, 기하의 영역은 고등학교 교육과정에는 나타나지 않는 전공분야의 내용이 대부분으로 이루어져 있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This research is aimed to measure and evaluate, and to raise mathematics teachers' competency on key concepts and processes of the subject matter for duration of both training and development.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earch for improving on efficient reality for research in an aspects of a context for mathematic teachers' reeducation and a use of training material by seeking a device for the effective utilization of education training material after the study. Objectives for attaining a main purpose already written are the followings. Firstly, it will drawn out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appeared in curriculums. Secondly, it will be classified as contexts in current education training materials by section. Thirdly, finding out connection between the existing and coming curriculum and education training materials, it will be explored their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As a theological background based on in-service teacher training, manifest curriculum, set theory, algebra, analysis, geometry, linear algebra, probability, statistics, discrete mathematics, computer mathematics, economic mathematics as disciplinary system of mathematics, characteristic of mathematics and purpose of mathematics education, after a research for all of the 1st to the 7th curriculum, and discussing scientific system of mathematics and curriculum in a curriculum analysis part, it will be reached to a conclusion like followings, through an analysis of the training and development materials in general level. Firstly, the characteristics of mathematics appeared in curriculums is that from 1st to 7th curriculum there are no great differences in the sections of algebra, calculus, geometry and statistics, but there were emphases on using a computer after 6th curriculum. Secondly, examining contexts in the liberal education training material by section, algebra, calculus, geometry and statistics are common and they are organized for using in classroom by computer. Thirdly, it is come to a conclusion that the most part of the algebra, calculus, geometry and statistics section in the education training materials are organized with specific major field not included in secondary school curriculum.

      • 한국교원연수정책의 변천과정에 대한 연구

        안진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사회변화에 따른 국가시책과 교육정책의 변화 속에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는 현직교사의 교육과 관련한 교원연수정책 분석을 하였다. 교원연수정책은 국가와 교사라는 권력 관계의 시각으로 바라보면 교사를 대상으로 실시 되는 국가의 통치 기제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교원연수정책은 국가권력의 실천 의지가 교사에게 전달되는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교원연수정책의 사회적 변화에 따른 시기별 변화와 특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의 목적에 따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한국교원연수정책의 목적에 나타난 시기별 변화와 특징은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인 교원연수정책을 발표하기 시작한 1960년대 이후부터 2016년까지를 연구범위로 설정하여 이 시기를 사회적 변화에 따라 구분을 하고, 각 시기 동안 발표된 한국교원연수정책의 목적 또는 추진 방향에 사용된 어휘에 대한 분석을 통해 시기별 변화와 특징을 분석하고 같은 시기 동안 교원연수정책의 관점에 대해 파악해 보았다. 이상의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정권의 교체라는 정치적 변화에 따라 시기 구분을 하고 분석한 결과 시기별로 주요어휘가 다르게 분석되었으며 시기별 특징도 다소 차이가 났다. 1960년대에 해당하는 제3공화국 시기는 연수 제도적 측면에서 정비의 시기에 해당하며, ‘재교육’, ‘신교육기술’과 같이 현장교육에서 실효를 거둘 수 있는 어휘들이 많이 나타나는 특징을 보였다. 이 시기는 정권에 의한 강한 재교육이 시행되는 특징을 보였다.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이 시기는 부족한 교원의 양산에만 치우쳐 왔던 시기를 거쳐 이제 현장교육의 어려움을 해결하기 위한 노력이 교원연수를 통해 이루어졌다. 제4공화국이면서 유신체제에 해당하는 1970년대는 교원연수의 목적에 ‘유신과업’이 직접 제시되는 등 국가시책을 바르게 이해하고 전달하며 현장교육에서 국가시책의 효과가 나타날 수 있는 전문성을 갖추는 것이 핵심적인 주제였던 시기이다. 제5, 6공화국 시기인 1980년대는 신군부정권의 시기로 교사에 대한 정신교육이 매우 강화된 시기이다. 이 시기에 ‘평생 학습자’라는 어휘가 처음으로 등장하였다. 의미연결망 분석을 통해 이 시기는 ‘교직관’, ‘사명감’을 중심으로 교사들의 정신교육과 전문성 강조 그리고 평생 학습자로서의 교사의 출현이다. 김영삼 정부에서 노무현 정부까지인 1990년대에서 2007년까지는 대통령 직선제에 의해 수립된 정부의 시기로 1995년 5.31 교육개혁안 발표의 영향으로 ‘자율과 경쟁’을 바탕으로 하는 시장 경제적 개념이 교원연수제도에 등장하고 ‘역량’이라는 어휘가 새롭게 포함되었다. 의미연결망 분석도 ‘교육개혁’이 가장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특징을 보였다. 2008년 이후 다소 보수적인 정권이 집권한 시기로 ‘자율경영’, ‘단위학교’ 등의 어휘들이 포함되면서 지속적인 교육개혁의 연속 선상에서 국가에서 단위학교로 권한위임 되는 특징을 보였다. 이 시기 주요어휘의 의미연결망 분석은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교원의 전문성은 가장 중요한 주제이며 이 전문성은 시대가 요구하는 ‘역량’을 중심으로 다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전체시기의 주요어휘를 살펴보았을 때 빈도수로 ‘전문성’, ‘교직관’, ‘국가’의 순으로 나타났고 의미연결망 분석은 ‘전문성’과 ‘국가’가 가장 핵심적인 단어로 나타났다. 이를 바탕으로 전체시기의 특징은 교원연수는 국가주도하에 국가의 중심적인 정책 방향으로 교원들의 전문성 향상이 주된 내용을 담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렸다. 제3공화국 이후 한국교원연수정책의 목적에 제시된 특징은 시기별로 다르게 나타났으며 이것은 한국교원연수정책이 국가주도와 국가 중심으로 시행되었다는 것을 보여준다. 본 연구에서의 시기 구분은 정치적 변화에 따른 시기 구분이었다. 박정희 정권을 시작으로 한 군부정권을 세 시기로 구분하고 대통령직선제를 통해 구성된 정부를 정책 방향의 성격에 따라 두 시기로 구분하여 총 다섯 시기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시기별 특징은 집권 정부의 국정 운영의 방향에 따라 나타난다. 정권의 정당성이 필요했던 군부정권의 시기에는 교사들에 대한 정책이해와 정신교육을 강조하였고 세계화에 부응하여 국가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개혁의 시기에는 개혁의 주체이자 대상으로 교사를 간주하고 다양한 정책 방향을 제시하였다. 이것은 현직교원연수제도가 현직교원들을 중심으로 변화되어 온 것이 아니라 국가주도와 국가 중심으로 변화되어 왔다고 할 수 있다. 교원연수정책문서에 사용된 중심어휘들을 결핍, 성장, 변화, 문제해결이라는 네 가지 접근 시각으로 범주화를 실시한 결과는 교사들의 현직교육을 통하여 시대가 요구하는 교사의 역할을 지속해서 요구하여 온 것으로 나타났다. 다만 권위주의적 정부시기에는 하향식으로 국가에 의해 교사에게 전달된 성격이 강하지만 문민정부 이후에는 국가주도이지만 상향식 형태, 즉 교육현장과 교사의 자기계발과 함께 교사 개인의 책임이 강조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 초등교원의 디지털 역량 강화를 위한 단계별 교원 연수 내용 요소 개발

        이대열 공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포스트 코로나 이후 교육은 급속도로 디지털화되고 있다. 불과 몇 년 동안 교육과정과 교육환경이 크게 변하였으며 소프트웨어, AI, 메타버스 등 다양한 미래교육의 등장으로 학교 현장은 변화의 소용돌이에 빠져 있다. 그 중 가장 대두되는 교육은 AI 교육으로 교육부에서는 2020년부터 초중고 교육과정에 AI 융합 교육 적용을 시도하고 있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할 때 교원의 AI 활용 역량을 강화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다시 말해, 체계적인 AI 활용 교원 연수가 필요하다. 그런데 지금까지의 교원연수는 연수 운영 기관이 주도하여 교육과정을 개발하여 운영하였으며 연수생의 다양한 요구를 반영하기에 어려운 형편이었다. 특히 정보분야의 교원의 격차가 매우 큰 상황에서 일률적으로 연수기회를 제공하는 것은 제고해야 하는 시기가 도래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개별 교원에게 맞춤형 연수방식과 내용을 제공해 줄 수 있는 기반이 되는 연구를 수행하였다. 이를 위해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여 진입-적응-선도의 3단계 AI 활용 교사 연수 요소를 개발하였다. 델파이 조사를 위해 현직 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 교수와 초등 현장 교원, 관리자, 교육청 전문직 20명을 섭외하였으며 조사는 총 3회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는 내용 타당도 검사를 실시하여 CVR 값이 .48 이상인 의견을 바탕으로 전문가 패널의 최종 동의를 얻어, 이를 근거로 단계별 AI 활용 교원연수 연수 요소를 완성하였다.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해외의 사례와 AI디지털활용역량(TPK)을 분석하여 AI디지털 활용 3단계 교원역량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영국의 디지털 교수 전문성 프레임워크, 유네스코 교원전문성 모델을 분석하였으며 AI디지털활용역량(TPK)에 의거하여 진입-적응-선도 단계의 3단계 프레임을 제시하였다. 진입 단계는 기본 AI 디지털 소양을 습득하는 단계이고 교수학습의 큰 변화가 나타나지는 않는다. 적용 단계는 기초 AI 디지털 소양 습득 및 도구를 선택하는 단계로 기존 교육목표 달성에 효율성을 추구하는 단계이다. 선도 단계는 심화 AI 디지털 역량 습득 단계로 AI 디지털 내용에 대한 자기주도학습이 가능하고 자신의 역량으로 타 교사에게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음으로 진입-적응-선도 3단계로 이어지는 AI 활용 교원 연수 요소에서 교원의 총괄 AI 디지털 역량 중 교수학습에 연관된 AI 디지털 소양을 추출하였고 AI 디지털 소양은 AI교육, 피지컬 컴퓨팅, 디지털 협업문서도구로 구분하여 세부 소양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 과정을 통하여 코로나19가 촉진시킨 교육현장에서 디지털AI 활용은 앞으로 단계별 AI 활용 교원 연수 연수 요소를 적극적으로 실제 현장에 적용하여 지속적인 수정 보완을 거친다면 효과적으로 AI 활용 교원 역량을 강화시킬 수 있을 것이라는 결론을 얻었다. 또한 추후 단계를 설정하는 방법으로 교원의 관심 수준, 참여 동기 등에 따라서 연수내용을 차별적으로 구성한 다양한 연수 요소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 敎員硏修制度의 改善에 關한 硏究

        박종국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원 연수는 교사의 자질 향상과 교직의 전문성 제고를 도모하는 데 본질적인 목적이 있다. 그러나, 교원 연수에 대한 중요성과 필요성은 인정하면서도 교원 연수 제도에 대해 많은 문제점들이 제기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우리 나라의 현행 교원 연수 제도의 문제점을 분석하고, 그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의 구체적인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 연수에 관계된 문헌 및 각종 연구 결과를 토대로 교원 연수의 개념, 필요성, 목적 등을 분석, 정리하였다. 둘째, 세계 주요 국가의 교원 연수 제도 현황과 우리 나라 교원 연수 제도의 변천 과정을 고찰하였다. 셋째, 교육부와 연수원 등의 연수 지침, 교육법전, 교육부와 한국교육개발원의 각종 통계, 교원들의 연수 과정 만족도 조사 결과, 현재 논의 중인 「교직발전종합안」 (시안) 에 대한 설문 조사 결과 통계 등을 통한 문헌 중심으로 현행 교원 연수의 현황과 문제점을 파악하고, 외국의 교원 연수 제도가 우리에게 주는 시사점을 토대로 우리 나라 교원 연수 제도에 대한 개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교원 연수의 문제점이 제기되었다. 첫째, 연수의 기회가 부족하고 불균형적이다. 둘째, 연수 시기가 하·동계 휴가 기간에 편중되어 있어 연수 효과를 반감시킨다. 셋째, 연수 과정 및 내용의 체계성이 부족하고 교원들의 요구와 학교 현장의 필요에 적절히 부응하지 못하고 있다. 넷째, 연수 방법이 집단 강의 위주로 효과적이지 못하다. 다섯째, 우수한 교수 요원을 확보하기 어렵다. 여섯째, 연수 기관의 교육 여건이 미흡하다. 일곱째, 연수 성적 평가에 따라 교사간의 갈등이 심화되고 있다. 위와 같은 교원 연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한 개선 방안을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연수 기회를 확대해야 한다. 교직 생활 전반에 걸쳐 교원들의 교직 전문성을 계속적으로 신장·유지시키기 위해서 주기적으로 체계적인 연수가 제공되어야 한다. 또한, 교원들이 연수에 보다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인 체제를 강화하고, 원격 교육 연수의 활성화, 해외 체험 연수 및 민간 기업체 파견, 자율 연수 휴직 제도 도입 등으로 다양한 연수 기회를 제공하여야 한다. 둘째, 연수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서 연수 시기를 다양화하여 개별적인 연수 요구에 부응하도록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해 자격 연수와 일부 직무 연수를 학기 중에 실시하는 방안을 마련하고, 「연수이수시간제」,「연수시간누가합산제」를 도입해야 하며, 개인의 사정과 희망에 따라 프로그램 또는 특정 과목의 선택, 이수 시기 등을 자율적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셋째, 교직에 임용되기 전에 받은 직전 교육과 교직에 임용된 후에 받는 현직 연수간에, 그리고 교직 생활 중에 받게 되는 계속적인 현직 연수들간에 연계성과 체계성이 있어야 하며, 직무간에도 연계성이 제고되어야 한다. 이를 위해 질 높은 교육 프로그램 운영을 위한 현직 교육과정 개발 과정이 체계적이어야 하며, 교육과정에 대한 기준 또는 준거가 마련되어야 한다. 또한, 교육부와 시·도교육청 지정 연수 기관의 질 높은 연수를 위해 연수 기관 평가 인증제를 도입하고, 연수 요구 조사를 통해 다양한 연수 과정을 개발해야 하며, 연수 과정간에 내용이 중복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 넷째, 교원들은 성인으로서 자기 지시적 욕구가 강하기 때문에 학습 과정에 주체적으로 참여하기를 원한다, 따라서, 교원 연수는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 태도를 함양하여 기존의 연수 기관 중심의 연수, 강사 중심의 연수에서 교사 스스로 탐구와 토론을 통해 창의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연수자 중심의 체제로 전환되어야 한다. 이를 지원하기 위해 연수원에 정보 통신망을 구축해야 하며, 새로이 설립된 「원격교육연수원」 을 통한 연수를 활성화시켜야 한다. 또한, 현장을 중심으로 한 교원 연수가 이루어져야 한다. 다섯째, 우수 교수 요원의 확보 및 전임 교수 요원의 자질 향상을 위해 교수 요원의 자격 기준을 강화하여 교수 요원의 전문성 신장이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해 새로이 신설될 교육학 전문박사(Ed.D.) 과정에서 그 학위를 취득한 자를 교수 요원으로 활용하는 방안도 마련해야 한다. 여섯째, 연수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 연수 여건을 개선해야 한다. 교원 연수 시설의 낙후성을 시급히 보완하여 쾌적한 분위기를 조성해야 하며, 각종 시청각 기자재 및 첨단 매체의 확보로 미래를 대비하는 연수가 되어야 한다. 특히, 최근 들어 교육부와 시·도 교육청 인정 자율 연수 기관이 증가함에 따라 연수 환경의 열악성은 더 심해지고 있다. 따라서, 연수 환경, 연수 프로그램, 연수의 질 등을 평가하여 인정 허가를 취소할 수 있는 「연수기관평가인증제」 를 도입하여야 한다. 일곱째, 연수 성적 평가 방법을 개선해야 한다. 현행의 상대 평가에서 절대 평가로 바뀌어야 하며, 평가 과목을 연수 과정 전과목으로 확대하고, 교과목에 대한 평가도 일정한 수준에 도달하면, 연수를 이수한 것으로 인정하는「연수이수제」를 도입하여야 한다. 또한, 'open book' 형태의 자율 평가제를 부분적으로 도입하는 평가 방식으로 전환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21세기 첨단 과학 기술과 정보 통신의 경쟁을 주도할 우수한 인재 양성의 성패는 교육에 달려 있다. 이와 같은 사회의 급격한 변화, 교사에 대한 계속 교육의 필요성, 정보 기술 및 교육 매체의 발달에 따라 교원 연수에 대한 새로운 방향을 정립하고, 교원의 자질과 전문성을 신장시키기 위해 끊임없는 노력이 이루어져야 한다. The purpose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teachers and to promote the specialization of the teaching profession. Although we recognize the impotance and the necessity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we raise many problems about it's system.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alyzing the problems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and presenting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it in Korea. The conten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It was surveyed the concepts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the necessities of it, the objects of it, and the like. And they were referred to sundry records and research papers. 2) It was analyzed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system of foreign countries, and their current status of it. It was analyzed the historical contexts, and the changing processes of it in our country, too. 3) It was grasped the pres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in-service teacher training. They are founded on a guide in-service teacher training of the Administration of Education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Institution, a body of the Law of Education, sundry statistics materials of the Administration of Education and the Korea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ion(KEDI), the examination of satisfaction about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ocess, and the results of a question about the Teaching Profession Development Integrated Plan. And it was presented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it in our country on the basis of suggestion of it in foreign countries. The problems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according to the result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1) The opportunity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is insufficient and unbalance. 2) The period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preponderates over vacation. So, it is ineffective. 3) The processes and the contents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have no system. And they inadequate teachers' requirement and the situation of school. 4) The method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is ineffective. Because it is mainly implemented by lecture-centered training methods and multifactorial class organization. 5) It is difficult to secure a superior teaching instructor. 6) The given education conditions are inadequate. 7) Evaluation system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causes the conflicts among teachers. A plan for the improvement of in-service teacher training are as follows : 1) The opportunity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should be expanded. It is required that periodic and systematic in-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s should be provided on overall teaching profession terms to continuously extend and maintain the speciality of teaching profession. The enticements should be reinforced so that teachers could actively take part in in-service teacher training. The various opportunity for in-service teacher training should be provided - for instance, distance education, overseas experience training, a nongovernmental companies detachment, and leave of absence system for self-determination training, etc. 2) Training programs should be diversely adjusted so that all the trainees could attend without any time and place restriction. And they should be guided for the trainees to select. It should be provided the study and training for applicant's qualification and one's duty during a semester, too. And it should be offered 「training completion system throughout a part time」and 「training completion system throughout acceleration adding up」. 3) It should be enhanced connection and systematization among the preceding training courses that a teacher had taken before one's appointment to teaching profession, the preliminary training courses that a teacher has taken after one's appointment to teaching profession, and in-service teacher training courses that a teacher is taking while in actual teaching profession. And then, it should be promoted them among different posts in teaching profession, too. So, the courses of incumbent curriculum development should have system, and it should be prepared a standard of curriculum. It should be introduced 「training institution evaluation recognition system」that could be evaluable training institution, and the various training programs that could be filled up trainees' needs should be developed. It should have no the similarity of curriculum in addition to them. 4) In-service teacher training is implemented by the actual experimentation, problem-centered discussion, and learner-centered system. Because adults have self-directed needs and want self-directed learning. So, the network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should be established in training institution, and the role of 「Distance Education Training Institution」that will establish in the should be revitalized. It is implemented field-oriented in-service teacher training, too. 5) It should be consolidated a standard for the qualification of teaching instructor, and their specialization should be carried out. It will be good that Doctor of Education will be granted a degree in the course for Doctor of Education will become a teaching instructor. 6) Full educational conditions should be prepared so that in-service teacher training could be successfully carried out. It should be prepared a comfortable mood, audio-visual materials, and a high-tech media for the future. Recently, Education conditions are more worse according to increase of recognized training institution through the Administration of Education and the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stitution of a city and a province. Therefore, it should be introduced 「training institution evaluation recognition system」that could be evaluable a training environment, training programs, and qualities of training, etc. 7) Evaluation system should focus on the achievement level the trainees should attain, that is, 「training completion system」and all the subjects the trainees learned should be involved. And it is desirable that the method of 'open book test' is partially introduced. The success or the failure of evaluation depends upon the upbring of superior talents who will play a leading role in scientific technology and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the twenty-first century. It's significant to establish a new orientation to keep pace with the needs of sudden changes in contemporary society, the necessity of continuous education for teachers, and the development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educational media. Furthermore, teachers' pursuit of study for self-development to enhance the quality and speciality of the teacher should be continually accomplished.

      • 울산광역시 중학교 교원연수의 활성화 방안

        임진수 울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논문은 울산지역 중학교 교사들을 위해 개설되는 교원연수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하여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연수 참여 실태와 요구 경향 등을 분석해 봄으로써 교원연수의 활성화 방안을 제시해 보는데 그 목적을 두고,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중학교 교사의 교원연수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둘째, 교원연수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셋째, 교원연수 개선을 위한 중학교 교사의 요구는 무엇인가? 넷째, 중학교 교사의 교원연수에 대한 활성화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 해결을 위하여 문헌 탐색과 조사연구를 실시하였으며, 울산광역시 중학교 교사 292명을 대상으로 설문지에 의한 자료 수집을하였다. 본 연구에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가. 교원 연수에 대한 인식 울산지역 중학교 교원들은 대체적으로 교원 연수의 필요성에 대해 높은 관심과 긍정적인 인식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신의 업무 능력 신장이나 승진을 목적으로 연수에 참가하기도 하지만 대부분 전문성 신장과 자신의 자질 향상을 위해 연수에 참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나. 교원연수의 운영 실태와 문제점 교원연수의 애로사항은 과중한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이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시간과 장소의 제한, 연수 내용과 방법의 획일성 등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사들의 업무 경감을 위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최근에 받은 교원연수의 연수 경비에 대해 그다지 만족하지 않았으며, 관리자의 수업 후 근무지 외의 연수에 대해서는 학교업무에 지장이 없는 범위 내에서 허용한다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선행연구의 결과와 비교해 볼 때 최근에는 교원 연수에 대한 관리자의 관심도가 상당히 높아진 것으로 조사되었다. 다. 교원 연수에 대한 교사의 요구 연수과정 중 상담․인성교육 연수과정에 참여를 원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교수․학습방법 , 컴퓨터․정보화 순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학생들의 생활지도와 인성 교육의 필요성이 증대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평가방법으로는 지필평가, 실습, 출석 등에 의한 절대평가를 원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강사는 외부기관의 전문가가 적당하다고 인식한 것으로 나타나 연수 교사들의 요구가 전문성 신장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것으로 판단된다. 라. 교원 연수의 활성화 방안 연수제도 개선을 위해서는 연수내용의 다양화가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교사가 가장 많았으며, 다음으로 연수비용 지원 순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연수제도 개선을 위해 연수내용의 다양화가 연수의 질 향상에 큰 요인으로 작용 한다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연수 참여 의욕이 경제적인 부담으로 위축되고 있어 연수 활성화를 위한 최고의 보상방법이 경비 지원에 있다고 볼 수 있다.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결론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원 연수가 전문성 신장과 자아 개발의 기회보다는 아직까지 학점 취득을 위한 것으로 인식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교사의 지속적인 자기연찬을 위한 기회가 되도록 연수내용의 다양화를 위한 교육청 단위의 노력과 각종 연수기관의 실질적인 프로그램이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겠다. 둘째, 교사들의 연수 참여 의욕이 교육시설과 경제적인 부담으로 위축되고 있어 연수 활성화를 위한 보상으로 경비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교원의 적극적 연수 참여를 유도하기 위해 각종 편의시설 및 교육 장비에 대한 정부차원의 투자가 선결되어야 하며, 교사의 다수가 원하는 프로그램을 개설하여 특정 연수 기관에 대한 인원수 제한이나 시간 문제로 인해 연수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셋째, 교사의 과중한 업무로 인한 시간 부족이 교원연수의 가장 큰 애로사항으로 지적되고 있다. 또한 연수경비의 지원이나 사무처리의 간소화, 법정 수업 시수 확보 등이 고려되지 않은 상태에서 의무연수 이수 방안을 추진하는 것은 다소 무리가 따른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연수 활성화를 위한 행정적, 재정적 지원 방안이 선행되어야 하겠다. 다섯째, 교사들은 이론식 수업과 대집단 연수의 문제점을 지적하였고, 강의와 실습 혼합 형태의 교육방법을 가장 선호하였다. 따라서 교육현장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다양한 우수사례 소개를 통하여 현장의 문제를 개선해 나갈 수 있는 사례발표 및 분임토의의 비율을 높여 연수에 참여한 교사들 간에 토론 및 실질적인 정보교류가 활발히 이루어지도록 연수 프로그램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 일곱째, 연수 성적이 공정하게 산출될 수 있도록 합리적이며 다양한 평가도구가 개발되어야 하며, 교사들이 가장 관심을 갖고 있는 연수 내용과 장소, 강사 선정 등에 대한 수요 조사와 연수 내용에 대한 충분한 사전 안내가 선행된다면 교사의 전문성 신장과 교원연수의 활성화에도 크게 기여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awareness of middle school teachers about the necessity and goal of teacher training geared toward improving teacher expertise and qualifications in the city of Ulsan, to analyse their participation in and needs for that, and ultimately to suggest in which way teacher training could be more prevailing. Four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perception of middle school teachers about teacher training? 2. What are the state of and problems with teacher training? 3. What are their needs for teacher training? 4. How could teacher training be more widespread among middle school teachers?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literature review and research study were implement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292 middle school teachers in the region of Ulsan, on whom a survey was conducted to gather data.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A. Awareness of Teacher Training The middle school teachers in the area of Ulsan viewed teacher training favorably with strong interest in general. Some underwent the training to improve their work handling or to get promotion, but the majority had their sights set on fostering their professionalism and qualifications. B. The State of Teacher Training and Problems Heavy workload and ensuing time constraints made it most difficult for them to take training courses, and the second largest hurdle was time limit of training courses and poor accessibility. Accordingly,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taken to curtail their workload. The costs of training courses they had lately taken were not considered reasonable enough to satisfy them. As for training outside school, the largest group was allowed by their school administrators to undergo that training provided that it didn't disturb their work performance. Contrary to the findings of earlier studies, school administrators showed a great deal of interest in teacher training in recent days. C. Needs for Teacher Training The greatest group wanted to take training courses in counseling and personality education, followed by teaching-learning methods, computer and information literacy. The reason seemed that the necessity of guidance and personality education was increasingly stressed since students were susceptible of social changes. As to evaluation methods, absolute evaluation such as written test, practice or attendance check was most preferred, and outside experts were viewed as eligible lecturers. It seemed to indicate that their needs focuses on acquiring better professionalism. D. How to Further Teacher Training In relation to the improvement of the training system, a diversity of training courses was considered the top priority, followed by funding. It implied that the diversity of training could affect the quality of it in large part, and that the best incentive was splitting the training expenses as financial pressure demotivated them. Based on the findings of the study, the following conclusion was reached: First, teacher training is still largely regarded as a means to earn credits rather than as a way to lead to better professionalism and self-development. Local educational authorities should try to diversify training courses to stir up the sustained self-training of teachers, and training institutions should develop more authentic, down-to-earth programs. Second, the teachers were demotivated by inadequate educational facilities and economic pressure. They should be funded to take more training courses, and the government should make a larger investment in all sorts of required facilities and teaching equipment to encourage their participation. The kinds of programs that could address many teachers' needs should be offered, and teachers should be entitled not to miss a chance to get training due to restrictions on training time or the number of trainees. Third, time constraints that resulted from heavy workload was the greatest difficulty they encountered. It seems not reasonable to force them to take a certain number of training courses without funding their training, streamlining work handling or determining the optimum legal teaching load. It's needed to take all the required actions first of all to make teacher training more prevailing. Fifth, the teachers pointed out that there's something wrong with theory-centered instruction and large-group training, and in terms of educational method, they had the most preference for a combination of lecture and practice. As a consequence, a wide range of excellent cases should be introduced to assist teachers to iron out problems they are faced with, and they should be given more opportunities to give a case presentation and have a small-group discussion to facilitate information exchange. Seventh, a variety of evaluation tools should be developed in a manner not to let teachers face pressure due to their training scores. Teachers' preference for the content of training courses, place and lecturers should be investigated since they are most concerned about those conditions, and they should be informed in advance about every training course. All the efforts will make a great contribution to boosting the professionalism of teachers and their training.

      • 교원 연수 학점제 인식과 활용 방안 : 제주도 중등학교 교원을 중심으로

        전영순 제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8703

        교원연수학점제란 교사들의 재직 중 이수한 각종 연수 등 자기 연찬의 결과를 일정한 기준에 따라 학점화된 점수를 누적 관리하고, 소정의 점수에 도달할 경우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게 함으로써 종전에 비해 자율적인 연수 문화의 정착을 유도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일종의 교원성장제도를 말한다. 본 연구는 교원연수학점제에 관한 제주도 중등학교 현직교사들의 인식을 수렴하여 나아가 이 제도의 활용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 목적이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① 교원연수학점제의 도입.실시에 관한 의견 교원연수학점제에 대한 인지도는 전체적으로 ‘잘 알고 있었다’라는 응답이 높게 나타났다. 연수 학점제의 도입에 대한 선호도도 전체적으로 찬성하는 편이 반대하는 편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수 학점의 이수 정도는 전체적으로 25학점 미만, 50학점 미만, 75학점 미만, 100학점 미만, 100학점 이상 순으로 나타났다. 연수학점제 실시시 관심 분야는 ‘프로그램의 종류의 다양성과 질적 내실화’ 항목에 가장 많은 반응을 나타냈고 다음으로 ‘승진 보수의 반영 정도’에 관심을 나타냈다. 그다음으로 ‘연수 참여 확대’ 순으로 응답하였다. 연수 학점제 실시에 따른 효과는 ‘교수 방법의 다양화’, ‘유인가 증대’, ‘교직의 전문성 신장', ‘현직 연수의 질적 내실화' 순으로 응답하였다. 연수 학점제 실시에 따른 역기능에서는 ‘점수 위주의 교직 풍토’, ‘현장 교육 소홀’, ‘연수 시간만 늘려 연수 효과 저하’ 순으로 나타났다. ② 교원연수학점제의 시행 방안에 관한 인식 비교 교원연수학점제의 기준시간으로 ‘10시간 기준 1학점’이 현행의 ‘15시간 기준 1학점’(29.5%)보다 높게 나타났다. 이상의 반응으로 보아 중등학교 교사들은 현행의 1학점 기준으로 15시간이 지나치게 높게 책정되어 있다고 생각하고 있었다. 이는 1호봉을 승급하는데 소요되는 누가 학점이 100학점(1500시간)으로 지나치게 높기 때문에 이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기준 학점이 적을수록 유리하다는 인식을 나타내주고 있다. 잔여 시간의 학점 환산 방법은 ‘잔여 시간을 누계하여 인정’ 항목에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정주기 의무연수제도 도입 방안은 긍정적인 응답이 부정적인 응답보다 훨씬 높았다. 기연수 소급 적용은 ‘증빙자료 첨부하면 모두 인정’, ‘학위, 자격증에 한해 부분인정’, ‘인사기록카드에 등재된 것만 인정’ 순으로 응답하였다. 학교단위 자율연수의 학점화 대상 포함 여부는 ‘불인정’, ‘교과연수회 연수만 학점 부여’, ‘교과연구회와 교내자율연수 모두 학점부여’, ‘교내연수 학점 부여’ 순으로 응답하였다. 연수활동 학점의 적정성에서는 전체적으로 ‘적당한 편’이 가장 빈도수가 많았다. 연수 비용자기 부담에 찬성하는 이유로는 ‘자신의 능력 계발 위해’와 ‘승진이나 보수에 반영되므로’ 순으로 응답하였다. 연수 비용 자기 부담에 반대하는 이유에서는 ‘국가나 지방자치단체가 책임져야’와 ‘본인 비용부담’ 순으로 응답하였다. 원격 연수의 운영 효과로는 ‘연수 참여의 기회가 확대될 수 있다.’는 항목에 가장 높은 반응을 나타냈다. 원격 연수시 당면해결 과제에서는 ‘지도 체제 구축’, ‘교재자료 개발‘, 공정한 평가’ 관리 순으로 응답하였다. ③ 교원연수학점제의 유인.보상 체제에 관한 인식 비교 연수 학점의 유인가 방법으로는 ‘호봉 승급과 승진 가산점에 모두 반영’, ‘호봉 승급에 반영’ 순으로 응답하였다. 호봉 승급의 기준으로는 ‘25학점’, ‘50학점’, ‘100학점’, ‘75학점’ 순으로 응답하였다. 승진 연구 가산점의 기준으로는 ‘25학점’, ‘50학점’순으로 높게 응답하였다. 교원연수학점제 제도와 교직 전문성 신장과의 관계에서는 긍정적인 반응이 부정적인 반응보다 높게 나타났다. ④ 교원연수학점제에 대하여 의견 공정한 관리 체제를 구축하고 결과는 어느 정도 반영시키는 것이 교사의 전문성 신장에 다소라도 보탬이 된다. 평가와 학점에 상관없이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연수가 우선 되는 방안이 필요하다. 교육청이나 학교 단위로 필요한 연수 프로그램들을 다양하게 전문가들에게 의뢰하여 교육의 전문성 향상은 물론 자기개발의 기회를 가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점수를 위한 연수가 아니라 교원의 전문성 신장을 위한 연수 내용과 과정이 필요하다, ‘교원 휴식년제’를 도입하여 이 기간을 통하여 필요한 부분을 연수토록 하고 전문성 제고를 위해 질 높은 프로그램개발과 연수 주관 부서의 전문성이 절대적으로 필요하다는 등과 같은 긍정적인 의견이 개진되었다. 그런가하면 도시와 농촌간 연수기회의 불공평 문제가 야기될 가능성이 있다거나 교직사회의 황폐화를 가져올 것이다. 연수와 점수 사이에 형평성이 어긋난다, 승진과 관련한 연수는 교직사회에서 학교교육을 소홀히 한다는 등의 부정적인 의견도 개진되었다. The teacher's in-service training is a kind of 'teacher's growth system' that is expected to induce the settlement of autonomic culture of in-service training for promotion when a teacher accumulates and manages 'credits' according to the fixed standard while they are completing various in-service. This study is to collect information of current secondary school teachers of Jeju province about The teacher's in-service training credit system, and to search for a practical plan of this syste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① Opinion about the introduction and execution of the teacher's in-service training credit system. The response of the questionaire for the teacher's in-service training credit system was generally, "know well about it." The preference for the introduction of the teacher's in-service training credit system received high approval. Most questioned felt under 25 credits was optimal, followed by 50 credits, 75 credits, and 100 credits and over 100 credits respectively. The study showed teachers wanted a variety good quality programs. Also, the grade received upon completion of the in-service should be reflected in the promotion. Finally, many felt participation for study and training should be expanded. The effectiveness of the teacher's in-service training credit system would create: 'the variety of teaching method,' 'The increasing inducement,' 'the expansion of speciality of teaching profession' and 'The quality of present study and training.' Dysfunctions with the operation of in-service training credit are in the order of 'credit-centered teaching atmosphere,' 'negligence of field study,' 'drop of efficiency of in-service training because of increasing hours of training.' ② Contrasts about recognition of practical plan of in-service training credit system. A modification of the current the teacher's in-service training credit system to 1 credit per 10 hours was hoped for rather than 1 credit per 15 hours as is the current standard(29.5%). According to the above responses, secondary school teachers thought that 1 credit per 15 hours is too much. 100 accumulative credits(1,500 hours) for promotion to the next salary level takes too long to reach. The method of converting remaining credit hours shows the highest response of 'the approval of accumulative credits.' The introduction of the regular periodic system of compulsory in-service training has more positive than negative response. About the retroactive application of the past studies, those questioned felt 'all courses if accompanied with documentary evidence' should be accepted followed by 'the partial authorization within degree or certificate' and 'authorization only for registration of the personnel record card.' Free in-service training in school units was disapproved of by those questioned, and the credits should only be granted for 'a regular course of Subject Research Aassociation,' and 'Granting credits for both Subject Research Association, and intramural free study and training' and 'intramural free in-service training.' 'Appropriate standard' is the highest rated answer about the appropriateness of activity of study and training. Reasons for assent of self-charge of in-service training are in the order of responses for improving self-ability and influencing the promotion or pay. Reasons for objection to self-charge of study and training are in the following order of responses: 'it is responsible for Government or Local Authorities' and next is 'self-charge.' The highest answer is that it would expand the chance to participate for in-service training about the effects of administration of remote in-service training. Solutions of urgent problem are answered in the order of: 'building of guidance plan',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and 'management of fair evaluation' ③ Contrast of recognition about the system of inducement and compensation of in-service training credit system. The methods of inducement of the in-service training responses are, first, that granted for 'the grade of increase in salary and additional points for promotion' and 'the grade of increase in salary'. The standards of the grade of increase in salary are answered in the order, first, of 25 credits, 50 credits, 100 credits and 75 credits. The standard of additional points for promotion are 25 credits and 50 credits.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in-service training credit system and expansion of teacher's speciality is more positive than negative response. ④ Opinion about the teacher's in-service training credit system. Those questioned felt it would be helpful for a fair management system to be constructed and as a result influence the expansion of Teacher's speciality. Nevertheless, in-service training without any relation to evaluation and credit, for the expansion of teacher's speciality, is a necessary priority. Necessary programs of in-service training should be developed by various specialists not only for improving the speciality of education, but also having the chance for self-improvement in education administration or school units. Namely, the course and quality of in-service training is necessary not for points but to have the chance for improving self-development. It is stated that teachers would like to in-service trai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a "Rest Year System." It is absolutely necessary to develop high quality program and speciality of division of management. On the other hand, the chance of unfairness of study and training between urban and rural communities would bring about the devastation of the Teachers' society. The balance between study and training versus credits related to promotion would be a negative factor such as negligence of School Education in Teachers' Societ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