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 유아교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적 웰빙과 교사-유아 관계 연구

        이경혜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807

        유아교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적 웰빙과 교사-유아 관계 연구 덕성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유아교육전공 이 경 혜 본 연구는 유아교사의 직무환경(기관 유형, 담당 연령, 교사 대 유아 비율, 근무 시간, 휴게 시간, 급여)에 따른 직업적 웰빙과 교사-유아 관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 수준에 따른 교사-유아 간 긍정적인 관계의 중요성을 알아보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사의 직무환경(기관 유형, 담당 연령, 교사 대 유아 비율, 근무 시간, 휴게 시간, 급여)에 따라 직업적 웰빙은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2. 유아교사의 직무환경(기관 유형, 담당 연령, 교사 대 유아 비율, 근무 시간, 휴게 시간, 급여)에 따라 교사-유아 관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3.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 수준에 따라 교사-유아 관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지역에 소재한 어린이집, 유치원에 근무하는 만 3, 4, 5세 및 혼합연령 학급의 유아교사 440명을 연구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 수준을 측정하기 위해 WOW(2014)가 개발한 직업적 웰빙 척도(Work Wellbeing Questions)를 번안하여 제작한 강현미(2016)의 척도를 본 연구자가 유아교사에 맞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다. 교사와 유아 간의 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Pianta(1991)의 교사와 유아 간의 관계에 대한 교사 지각용 평가 도구인 교사-유아 관계 척도(Student-Teacher Relationship Scale STRS)를 최지희(2015)가 번안한 후 유아교육전공 전문가에게 내용 타당도를 검증받아 사용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3.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른 일반적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빈도 분석,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과 교사-유아 관계 연구 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기 위한 신뢰도 분석, 유아교사의 직무환경 변인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의 차이와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한 t 검증, 일원변량분석(One-way ANOVA) 및 사후검증 Scheffé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적 웰빙은 기관 유형, 교사 대 유아 비율, 근무 시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담당 연령과 휴게 시간, 급여 요인에 따라서 직업적 웰빙 수준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둘째, 유아교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는 기관 유형, 담당 연령, 근무 시간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나 교사 대 유아 비율, 휴게 시간, 급여 요인에 따라서 교사-유아 관계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교사-유아 관계의 하위 변인별로 자세히 살펴 보면, 친밀감은 기관 유형, 교사 대 유아 비율, 휴게 시간, 급여에 유의한 결과를 보였고, 갈등은 휴게 시간과 급여에서 유의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의존에서는 교사 대 유아 비율과 휴게 시간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났다. 셋째,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에 따른 교사-유아 관계는 직업적 웰빙 수준을 상, 중, 하 집단으로 구분한 모든 집단 간 교사-유아 관계에 유 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직업적 웰빙 수준이 높은 상집단이 하집단에 비해 교사-유아 관계의 친밀감은 높게 나타났으며, 갈등과 의존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지금까지 국내에서 많이 이루어지지 않은 유아교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적 웰빙과 교사-유아 관계의 차이에서 직무환경 요인과 직업적 웰빙이 직접적으로 연관성이 있음을 확인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이는 유아교사의 직업적 웰빙 수준이 높을수록 교사-유아 관계가 긍정적으로 높게 나타난 결과를 볼 때 유아교사의 직무환경에 따른 직업적 웰빙 수준이 교사-유아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점을 시사한다. 따라서 유아교사의 직무환경과 직업적 웰빙에 지속적인 관심을 가지고 다양한 교사 웰빙 지원 체계 구축 등을 통해 교사가 행복하게 일할 수 있는 유아교육현장을 마련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행복한 아이들로 함께 성장하는데 필요한 실질적인 도움이 되기를 기대 한다.

      • 유치원 교사가 지각한 유치원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헌신도간의 관계 연구

        김정숙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유치원 원장의 지도성에 대한 교사들의 지각과 교사들의 헌신을 알아보고 원장의 지도성이 교사의 헌신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를 분석하여 교사들의 헌신도를 높일 수 있는 원장의 지도성에 대한 시사점을 얻고자 하는데 목적을 두고 실시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 원장의 지도성 유형은 유치원 원장 배경 요인에 따라 어떠하고, 유치원 교사의 헌신도는 기관유형, 경력에 따라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헌신도 간에는 어떠한 관계가 있는가? 본 연구를 위한 대상은 부산시내 공·사립유치원을 대상으로 3학급 이상의 공립유치원 20개원, 5학급 이상의 사립유치원 중 6개 지역교육청별로 7~8개원씩 46개원, 총 66개의 유치원을 무선 표집 선정하여 공립유치원 중에서 표집된 모든 교사와 사립유치원 중에서 원당 5~6명의 교사를 우선적으로 표집하여 이들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하여 조사하였다. 설문지의 주요 내용은 유치원 원장의 지도성 유형과 교사의 헌신도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빈도분석, t/F검증 및 일원변량분석, 상관관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하여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지도성 요인별에서 목표지향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인간지향성, 관료지향성 순으로 나타났다. 하위영역에서는 치밀한 계획과 실행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몰인간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헌신도 요인별에서는 충성심이 가장 높게 나타났고, 가치수용, 자발성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유치원 원장의 지도성 요인 중 교사들은 유치원 원장의 지도성 유형 중 인간지향성을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원장의 전공에 따라서 공립의 경우에는 '비전공'인 경우 높게 나타났으며, 반면 사립의 경우에는 '유아교육'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 원장의 지도성 요인 중 목표 지향성을 대체로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유치원이 사립인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공립학교의 경우에는 원장의 전공이 비전공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유치원 원장의 지도성 요인 중 교사들은 관료지향성은 대체로 보통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무유치원에 따라서 사립인 경우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원장의 전공에 따라서는 공립의 경우에는 유아교육인 경우 높게 나타났다. 셋째, 유치원 교사의 헌신도 요인 중 충성심, 자발성, 가치수용 모두 긍정적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립인 경우 유치원 원장의 지도성과 교사의 헌신도간의 상관관계는 원장의 지도성 요인이 인간지향성과 목표지향성에 대해서 교사의 헌신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으나 반면 관료지향성의 지도성 요인인 경우에는 오히려 교사의 헌신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사립인 경우 원장의 지도성 요인이 인간지향성과 목표지향성에 대해서 교사의 헌신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으나 반면 관료지향성의 지도성 요인인 경우에는 오히려 교사의 헌신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유치원 원장의 지도성과 교사의 헌신도간의 상관관계는 원장의 지도성 요인이 인간지향성과 목표지향성에 대해서 교사의 헌신도가 높아짐을 알 수 있었으나 반면 관료지향성의 지도성 요인인 경우에는 오히려 교사의 헌신도가 낮아짐을 알 수 있었다. In this study, about the leadership of the chief of Kindergarten for the teacher's perception, in knowing teacher's devotion, in the side of between chief's leadership and teacher's the level of devotion, what is the relationship? By analysis, for the increase of the teacher's the level of devotion, about the leadership for the kindergarten's chief. for acquiring spotlight, it is done. For like this research, the established research problems are as followings. First, in the form of leadership for kindergarten's chief, according to background element for kindergarten's chief, how is it? in kindergarten teacher's the level of devotion by organization form and career, how is it? Second, between the form of leadership for kindergarten's chief and teacher's the level of devotion, how is the relation? The objective for this research is selected at random, total 66 kindergarten, 20, public kindergarten, over 3 class, public and private kindergarten in Busan, 6.over 5 class, among private kindergarten, 46, according to local educational Authority from 7 to 8. The all selected teacher among public kindergarten, among the private kindergarten, from 5 to 6 each kindergarten teacher in advance, for this objective by questionaire is investigated. In the main contents of questionaire, the form of leadership for kindergarten's chief and teacher's the level of devotion are composed. in the selected data, frequency analysis, t/F test, one way variable analysis, co-relative relation analysis are done. Therefore, acquired results are as followings. First, in the form of leadership, objective-orientation appears highest, human orientation, bureaucracy-orientation appears in order. in the subsequent domain, accurate plan operating appears the highest, non-humanity appears the lowest, in the form of the level of devotion, loyalty appears the highest, value acceptance, spontaneity appear in order. Second, among the element of leadership for kindergarten's chief, in the side of teacher, among the form of leadership for kindergarten's chief, about human-orientation, positive recognition appears in general. According to the major for kindergarten's chief, in public, 'non-major' appears higher, but, in private, 'infant major' appears higher. Among the elementary of leadership for kindergarten's chief, objective-orientation appears higher in positive recognition. In the job for private kindergarten, it appears higher, in public, in the non-major for kindergarten's chief, it appears higher. Among the element of leadership for kindergarten's chief, at the side of teacher, about bureaucracy-orientation, it appears common in recognition. according to job, in private, it appears higher. According to major for kindergarten's chief, in public, in case of public, it appears higher in infant education. Third, among the element of the level for devotion, loyalty, spontaneity, value acceptance, all of them, it appears positive in recognition. Fourth, in case of public, in the co-relative relation between the leadership for kindergarten's chief and the level of teacher's devotion, in the element for the leadership of kindergarten's chief, about human-orientation and objective-orientation the level of teacher's devotion appears higher in knowing, but, in the case of the element of leadership for kindergarten's chief in bureaucracy-orientation on the contrary, the level of teacher's devotion appears lower in knowing. In private, in the element of leadership for kindergarten's chief, about human-orientation and objective-orientation, the level of teacher's devotion appears higher in knowing, but, in the case of the element of leadership for kindergarten's chief in bureaucracy-orientation, on the contrary, it appears lower in knowing. The co-relative relation between the leadership for kindergarten's chief and the level of teacher's devotion, in the element of leadership for kindergarten's chief, about human-orientation and objective-orientation, the level of teacher's devotion appears higher in knowing,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the element of leadership for kindergarten's chief in bureaucracy-orientation, on the contrary, the level of teacher's devotion appears lower in knowing.

      •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

        최은 숙명여자대학교 원격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로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과 그 경로에 대한 구조적 관계를 파악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이를 위한 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둘째,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이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에서는 서울, 경기, 대전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82개 기관의 유아교사 309명의 응답자료와 교사들이 담당하고 있는 남아, 여아 각각 1명에 대하여 응답한 설문지 618명의 자료를 최종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자료분석을 위해 SPSS 25.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빈도분석을 하였고, Cronbach’s α 값을 산출하여 연구도구의 신뢰도를 검증하였다. 각 변인들 간의 기술통계와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을 실시하였으며, AMO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조적 관계와 매개효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교사-유아 상호작용, 유아의 정서지능 간의 관련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이 높을수록 교사와 유아의 상호작용이 높았으며, 교사-유아의 상호작용이 높을수록 유아의 정서지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음악교수효능감이 직접적으로 유아의 정서지능에 유의한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이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하여 유아의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한 결과,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이 유아의 정서지능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는 않지만 교사-유아 상호작용을 매개로 유아의 정서지능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교사-유아 상호작용은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과 유아의 정서지능의 관계를 완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는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 유아의 정서지능,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관계를 확인하고, 교사-유아 상호작용의 매개효과를 확인하였다는 것에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유아의 정서지능에 영향을 미치는 교사의 음악교수효능감을 높이기 위한 체계적이고 다양한 교육의 필요성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understand the influence of early childhood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on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and the structural relationship of the path, and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the interaction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In order to verify these research objectives, this research question is as follows. First, do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and interactions between teachers and young children affect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does th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affect the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the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the young child? In this study, the final analysis of the response date of 309 early childhood teachers from 82 institutions working in kindergartens and day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Daejeon and the date of 618 people who responded to each of the boys and girls in charge of the teachers were analyzed used as data. In this study,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using the SPSS 25.0 program for data analysis, and the reliability of the research tool was verified by calculating cranbach’s α value. Descriptive statistics between each variable and the momentum correlation analysis of Person were conducted, and structural relationship and mediation effect were verified using the AMOS 25.0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the toddler’s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higher th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the higher the teacher-child interaction, The higher it was, the higher the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was. However, it was found that music teaching efficacy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effect of th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on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hrough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did not directly affect the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but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As a medium, it was found to indirectly influence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infants. In other words, it was found that the teacher-infant interaction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and the infant’s emotional intelligence.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meaningful in that it confirmed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music teaching efficacy, young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teacher-infant interaction, and the mediating effect of teacher-infant intera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uggest the necessity of systematic and diverse education in order to increase the teacher’s sense of efficacy in teaching music that affects children’s emotional intelligence.

      • 교사들의 동일 학습 과제 관련 질문에 관한 사례 연구

        임영숙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교수-학습 과정에서 교사들의 질문은 중요한 역할을 한다. 교사들은 학습 분위기를 조성하고 수업을 이끌며 학생들의 학업성취를 평가하기 위해 질문을 한다. 교사들은 또한 질문을 통하여 학생들에게 방향을 제시하고 사고를 자극하고 설정된 목표를 이루도록 학생들을 안내하기도 한다. 질문은 교수·학습과정에서 학생들의 지식을 개발하고 인지적인 힘을 개발하는데 중요한 도구로 여겨진다. 교사는 효율적인 수업을 위해 질문법에 능해야 하며 학생들의 사고를 자극하고 사고의 수준을 끌어올리기 위해 상위인지수준의 질문을 해야 할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많은 경험적 연구들은 교실에서의 교사에 의한 질문들의 대부분이 기억 혹은 사실적인 질문들임을 밝혀주고 있다. 이와 같은 기존 연구의 내용을 기반으로 하여 이 연구에서의 목적은 수업 시간에서의 질문의 행위를 분석하여 기술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목적에 따른 구체적인 연구 문제들은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이 일반적인 단위수업시간 동안 질문하는 질문의 유형과 빈도는 어떻게 되는가? 2. 동일학습 과제 수행 과정에서 교사의 질문은 학생들의 반응에 어떠한 역할을 하는가? 위의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Bloom의 교육목표 분류학을 이용하여 교사들의 수업 내용 중 동일 학습 과제 관련 질문에 관한 사례를 녹취하여 분석하였다. 학교의 분위기, 학교장의 경영 철학, 교사의 학급 경영 철학, 지역 간의 차이와 학년, 성별 등 다양한 요소들의 형태에 따라 수업은 그 내용과 과정 그리고 결과가 달라진다. 이 연구에서는 수업 내적인 면에서 교사의 질문에 중점을 두고 관찰하였다. 이 연구를 통하여 분석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들의 질문은 폐쇄적이고 수렴적이며 단답형을 요구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학생들의 사고는 그만큼 활동을 못한다는 것이다. 둘째, 수업은 특정 환경이나 상황 속에서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수업 환경을 고려해야 한다. 셋째, 학습을 하는 방법에 따라 교사의 질문도 달라질 것이며 그에 따른 학생의 반응도 다르게 나타날 것이다. 넷째, 질문의 종류에 있어서는 수업 과정이나 학생의 특수한 상황에 따라 적절한 형식의 질문을 할 필요가 있다.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교사의 다양하고 적절한 교수 방법 활용의 빈도에 비해서 학생들의 반응은 비교적 낮은 편이다. 또한 교사들의 질문 역시 지식, 이해, 적용 이 세 가지의 낮은 수준의 질문이 많으며 분석, 종합, 평가 영역의 질문은 그 빈도수가 현저히 적다. 그리고 지역, 성별, 학급의 규모, 과목, 학년 등에 맞는 적절한 질문이 필요하다. 이 연구결과는 교사들의 교실에서의 전형적인 수업 과정에서의 질문법의 모습을 분석함으로써 앞으로의 수정 방향과 보다 나은 질문법의 제시를 하며 교사들의 질문 및 질문법 책략의 시행에 효과적인 근거를 마련해 줄 것이다.

      • 중등학교 초임교사가 경험한 심리적 소진에 대한 연구 : 합의적 질적 연구를 중심으로

        문수영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중등학교 초임교사의 심리적 소진 극복 경험을 살펴보려는 목적을 가지고 초임교사들이 경험하는 소진 양상, 초임교사가 인지한 소진의 원인, 소진 대처 방법, 극복에 영향을 미친 요인, 그리고 초임교사가 인지한 소진 극복을 위한 지원을 탐색하였다. 심리적 소진을 경험한 중등학교 초임교사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고 합의적 질적 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한 결과 5개 영역과 17개 범주, 48개의 하위범주가 도출되었다. 초임 교사의 심리적 소진 경험에서 도출된 5개의 영역은 ‘심리적 소진 양상’, ‘소진의 원인’, ‘대처방법’, ‘소진극복에 영향을 준 요인’, ‘교사 소진 극복을 위해 필요한 도움’ 이다. 첫째, 초임교사들이 인지한 심리적 소진 양상의 범주는 ‘신체적·정서적 소진’, ‘부정적인 태도’, ‘업무에 대한 의욕상실’, ‘학생과의 거리두기’이다. 둘째, 본 연구에서 교사에게 영향을 미친 가장 큰 소진의 원인은 크게 7가지 범주로 ‘교직문화’, ‘주변인으로 인한 마음상처’, ‘교사 보호장치 미흡’, ‘학생지도’, ‘학교폭력 관련 제도의 한계’, ‘학교업무’, ‘수업’의 범주로 볼 수 있었다. 셋째, 본 연구에서 초임교사가 심리적 소진에 대처한 방법은 크게 3가지 범주로 ‘학교 내 직접적인 대처방법’, ‘학교 내 간접적인 대처방법’, ‘학교 밖 개인적인 대처방법’의 범주로 볼 수 있었다. 넷째, 소진극복에 영향을 준 요인으로는 크게 소진극복에 도움을 준 긍정적인 요인과 소진극복을 방해한 부정적인 요인이 있었다. 다섯째, 교사소진 극복을 위해 필요한 도움으로는 크게 두가지 측면이 존재했다. 첫째는 ‘학교의 변화 및 지원’이고 다른 한 가지는 ‘교사 마음 상처에 대한 관심과 투자’였다. 본 연구는 학교급을 ‘중등학교’, 경력적 특성을 ‘초임교사’로 한정하여 초임교사들이 겪은 구체적인 심리적 소진 경험에 대해 알아보았다. 초임교사들은 기대했던 교직과 실제 현장이 괴리를 마주하는 과정에서 소진을 경험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초임교사가 경험하는 심리적 소진에 대해 합의적 질적 연구방법을 택함으로써, 질적 연구의 장점을 살리면서도 이를 수치화하여 발생 빈도에 대해 분석하였으므로 다른 질적 연구보다 신뢰도를 높일 수 있으며 의의가 있다. 마지막으로, 초임교사들이 실제로 경험한 사례에 대해 소진 시 경험한 감정을 포함한 모든 자료의 최신성과 즉시성을 잘 반영하는 연구라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를 토대로 초임교사들이 겪은 심리적 소진의 원인, 대처방법 그리고 필요로 하는 지원 등을 파악하고 이를 위한 지원 체계를 마련하는 데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숙영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의 직무만족도 대한 관계성을 알아보고, 유아교사의 효능감이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에서 매개효과를 가지는지 알아보기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유아교사의 효능감은 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매개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 소재 유아교육기관에 근무 중인 245명의 유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으며, 총 245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설문의 신뢰도를 알아보기 위해 Cronbach's α 계수로 산출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되는 자료들은 통계 프로그램 SPSS 25.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연구대상의 일반적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빈도분석을 실시하여 빈도와 백분율(%)을 산출하였다. 또한, 각 변인들 간의 관계성을 알아보기 위해 중다회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Baron & Kenny(1986)가 제시한 위계적 회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매개효과 계수의 유의성을 확인하기 위해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는 유의미한 정적상관인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교사효능감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살펴본 결과,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개인적 효능감과 일반적 교사효능감 모두 정적상관을 보여주고 있다. 셋째,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 교사효능감,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분석에서는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교사효능감과 교사 직무만족도 모두 유의미한 정적상관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이 교사의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에 있어 교사효능감이 매개효과가 있을 것인지에 대한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교사효능감은 부분 매개변인의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유아교사가 인식한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효능감, 교사의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를 분석해본 결과, 유아교사의 효능감이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과 교사의 직무만족도 관계에서 부분 매개변인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교육기관 내 교사의 직무만족도를 증진시키는 방안 모색에 유의미한 교육적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In this study,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 efficacy, and teacher satisfaction recognized by the infant teacher, and whether the teacher's efficacy has a mediated effec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s transformative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1.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s transformational leadership, teacher efficiency, and teacher satisfaction perceived by the infant teacher? 2. Does the sense of effectiveness of an infant teacher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s perceived innovative leadership an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surveyed on 245 infant teachers working at the Seoul-based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 and a total of 245 copies were used as final analysis data. The Cronbach's fi coefficient was calculated to determine the reliability of the survey. The data used in this study were analyzed using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5.0 and frequency analysis was performed to determin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tudy subjects to calculate frequency and percentage. In addition, we conducted a multi-reciprocal analys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speaker, and used the hierarchical regression method proposed by Baron & Kenny (1986) to verify the intermediary effect of teacher efficacy in the transformation leadership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Finally, the Sobel test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 coefficient.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rector's transformation leadership recognized by the infant teacher an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it was found that the director's transformation leadership recognized by the infant teacher and the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significant static. Second, looking at the correlation between teacher effectiveness and teacher job satisfaction, both personal and general teacher effectiveness, which are the sub-factors of teacher effectiveness, show static correlation. Third, in the correlation analysis to se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director's transformation leadership, teacher efficienc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the director's transformation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were all significant static. Finally, after looking at the effects of teacher effectiveness on teacher satisfaction, it was confirmed that teacher effectiveness plays a part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s transformation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This study analyz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director's transformation leadership, teacher efficacy,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recognized by the infant teacher and foun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infant teacher played a part in the director's transformation leadership and teacher's job satisfaction relationship. These results are expected to provide meaningful educational implications for finding ways to enhance the job satisfaction of teacher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 초등학교 여교사의 비공식조직 실태 분석

        심남숙 강원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초등학교 여교사의 비공식조직 실태 분석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교육행정 전공 심 남 숙 본 연구는 초등학교 내에 자연 발생적으로 형성 되어있는 여교사들의 비공식조직에 대한 실태를 파악하고 비공식조직의 기능 및 영향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하여 학교 교육 및 학교 관리의 개선점에 대한 시사점을 모색해 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각종 문헌과 선행연구의 분석을 토대로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표집대상은 강원도 영서지역에 근무하는 초등학교 여교사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빈도와 백분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이에 대해 조사 대상 교사들의 특성에 따라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분산분석(ANOVA)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비공식조직에 대하여 대부분의 교사들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만족도도 높게 나타났으나 그리 활성화되어 있지는 않았다. 여교사들이 비공식조직에 참여하는 목적은 친목도모, 필요한 정보 수집, 자신의 발전, 원만한 교육활동 등의 순이었다. 둘째, 비공식조직에서 주로 논의되는 화제는 학생지도 및 학급 경영, 단순한 환담, 자녀교육문제, 애로점 토론 등이었으며 여교사들이 가장 많이 참여하고 있는 비공식 조직의 종류는 동학년 모임, 친목회, 상호 부조계, 학교동문·동창모임 순이다. 셋째, 비공식조직의 영향에서 긍정적인 순기능의 측면이 부정적인 역기능에 비해 강하게 나타났다. 긍정적인 영향으로 동료 교사와의 인간관계 개선, 스트레스 해소에 도움, 학급경영과 학생지도에 도움, 심리적 안정에 도움을 준다로 보고 있으며, 부정적인 영향으로는 업무추진의 공정성 저해, 유언비어 남발 등으로 인식하고 있다. 넷째, 비공식조직에 대하여 긍정적으로 생각할수록 필요성, 만족도, 모임빈도가 높으며, 필요성과 만족도가 높아 모임의 횟수가 잦으면 긍정적인 영향이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토대로 몇 가지 제언을 하면 첫째, 학교 조직 내 비공식조직에 대하여 여교사들은 필요성을 절감하고 있으며, 만족도와 긍정적인 측면이 높게 나타났으나 비공식조직이 그리 활성화되지 않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따라서 여교사들의 비공식조직 활동의 활성화를 가로막고 있는 장애요인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학교 내 비공식조직의 영향은 부정적인 측면보다 긍정적인 측면이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비공식조직의 영향 중 동료교사와의 인간관계 개선, 업무 및 스트레스 해소, 학급 경영과 학생지도에 도움, 심리적 안정에 기여하는 비공식조직의 기능이 순기능에 어떻게 작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분석 연구가 심층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교사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조직풍토의 매개효과

        조예슬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of organizational climate of childcare center perceived by teachers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eacher efficacy and job stres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54 teachers working in childcare centers located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This study measured teachers’ job stress with a scale developed by Shin Hae-Young(2004) for childcare teachers. To measure teachers’ efficacy, this study utilized a scale that Shin Hae-Young(2004) modified Enochs and Riggs(1990)’ 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STEBI) scale. To measure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a childcare center, this study utilized a scale that Jung Ah-Ram(2016) adapted and revised the 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ECWES) developed by Bloom(2010), as well as this researcher adapted and revised some questions from the revised Bloom’s ECWES(2016).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by technical statistics, independent sample t-test, one-way ANOVA, Scheffé or Dunnett T3 post-hoc test, and correlation analysis for identify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measurement variables. In addition,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confirm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and organizational climate of childcare center on job stress. The bootstrap was carried out to verify the mediating effect,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of the mediating effect was verified. The findings of this study were as the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job stress by teacher’s age, teacher career, position, institution type, and existence of assistant teach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teachers’ job stress by education level, class age, and teacher-to-child ratio.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 efficacy by teacher’s age, education level, teacher career, and position. No significant differences was found in teacher efficacy by institution type, class age, teacher-to-child ratio, and existence of assistant teach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organizational climate of childcare center by teacher career, position, institution type, and existence of assistant teacher. No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in organizational climate of childcare center by teacher’s age, education level, class age, and teacher-to-child ratio.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the total of teacher efficacy, teacher’s individual efficacy which is a sub-factor, the total of organizational climate and all sub-factors of the organizational climate have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The influence on teachers’ job stress was shown in the following order: Reward System, Supervisor Support, Decision Making, Collegiality, Task Orientation, Physical Setting, which are sub-fators of organizational climate, and teacher's individual efficacy, which is a sub-factor of teacher efficacy. Third, in the effect of teacher efficacy on job stress, the mediating effect of the childcare center organizational climate perceived by teachers was verified.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teacher efficacy, the more positive perceived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childcare centers, which lowers the teacher’s job stress. In conclusion, teacher efficacy affects on job stress through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childcare center perceived by teachers. Therefore,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to have a high level of efficacy and to positively recognize the organizational climate of childcare center because it leads to relaxation of job stress. 본 연구는 교사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조직풍토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 지역에 위치하고 있는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보육교사 454명이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측정하기 위해 신혜영(2004)이 어린이집 교사를 대상으로 제작한 직무스트레스 평정척도를 사용하였고, 교사효능감을 측정하기 위해 Enochs와 Riggs(1990)의 과학교수효능감 측정도구(Science Teaching Efficacy Belief Instrument: STEBI)를 신혜영(2004)이 번안 및 수정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어린이집의 조직풍토는 Bloom(2010)이 개발한 평정척도(Early Childhood Work Environment Survey, ECWES)를 정아람(2016)이 번안, 수정한 도구와 개정된 Bloom(2016)의 ECWES의 일부 문항을 본 연구자가 번안 및 수정하여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기술통계 및 독립표본 t검증과 일원변량분석, Scheffé 또는 Dunnett T3 사후검증, 상관분석을 실시하여 측정 변인들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또한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여 교사효능감과 어린이집의 조직풍토가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매개효과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첫째,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는 교사의 연령, 경력, 직위, 기관 유형, 담당 학급 내 보조교사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학력, 담당 학급 연령, 교사 대 아동비율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교사효능감은 교사의 연령과 학력, 경력, 직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기관 유형과 담당 학급 연령, 교사 대 아동비율, 담당 학급 내 보조교사 여부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어린이집의 조직풍토는 경력과 직위, 기관 유형과 담당 학급 내 보조교사 여부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으며, 교사의 연령, 학력, 담당 학급 연령, 교사 대 아동비율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둘째, 교사효능감 전체와 하위요인인 교사의 개인효능감, 조직풍토 전체와 조직풍토의 하위요인 모두가 직무스트레스와 부적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력은 조직풍토의 하위요인인 보상체계, 상급자의 지원, 의사결정, 동료 간 협력, 과업 지향성, 물리적 환경, 그리고 교사효능감의 하위요인인 교사의 개인 효능감 순으로 나타났다. 셋째, 교사효능감이 직무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에서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조직풍토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다. 즉, 교사효능감이 높을수록 어린이집의 조직풍토를 긍정적으로 인식하게 되어 교사의 직무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음을 의미한다. 결론적으로 교사효능감은 교사가 인식한 어린이집 조직풍토의 매개역할을 통해서 직무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친다. 따라서 교사가 높은 효능감을 가지고 어린이집의 조직풍토를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것은 직무스트레스의 완화로 이어지기 때문에 중요하다.

      • 기술 교사의 교과내용 만족도와 단원에 대한 인식

        박준수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부산․울산․경남지역의 기술 교사를 대상으로 기술교과 영역에 대한 구성, 교사의 자신감과 만족도, 재교육의 필요성 등에 대한 인식을 조사․분석하여 개선점을 찾고, 기술 교사의 양성 과정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실태를 분석하고자 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다. 이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모집단으로는 부산․울산․경남지역 중학교에서 수업 하고 있는 기술․가정 교과의 기술영역을 지도하는 기술 교사를 대상으로 했으며, 비례 유층 표집의 방법으로 표본을 구성하였다. 표본은 전체 472개교의 모집단에서 지역에 따라 분류하여 층을 구분한 후 비례 유층 표집(proportional stratified sampling)하였고, 하위 집단은 비율에 따라 부산 35%, 울산 11%, 경남 54%로 하였다. 표본 크기를 212개교로 결정한 후 하위 집단은 비율에 따라 난수표를 사용하여 표집 하였으며 부산 74개교, 울산 23개교, 경남 115개교가 표집 되었다. 이 연구를 위해 3개의 영역으로 구분된 20개 문항의 설문지를 개발하였다. 조사 도구인 설문지를 212부 배부하여 82.1%인 174부가 회수되었고, 부적당한 13부를 제외한 161부 76%를 분석하는데 사용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회수된 자료는 통계 프로그램인 SPSSWIN 10.0을 사용하여 유의수준 5%이내에서 χ2 검증과 빈도분석, 교차분석 등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 얻어진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부산․울산․경남지역 중학교의 기술 교사는 성별과 경력, 양성 과정에 관계없이 85%이상이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둘째, 교과 단원(영역)의 만족도를 보면 전체적으로 60%이상이 보통이상의 만족도를 보이고 있다. 셋째, 교과 단원(영역)의 자신감을 보면 전체적으로 80~90%이상이 자신감을 보이고 있지만, 컴퓨터와 정보처리, 컴퓨터와 생활, 전기․전자 기술, 기계의 이해 단원(영역)에서 경력이 많아질수록 자신감이 다소 결여되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넷째, 기술 교과의 단원(영역)에 대한 보충과 축소에 대한 결과로는 보충해야 할 단원(영역)으로 미래의 기술, 축소해야할 단원(영역)은 컴퓨터와 관련된 컴퓨터와 정보처리, 컴퓨터와 생활 단원으로 조사되었다. 다섯째, 기술 교사의 재교육 필요성에 대해서는 88%가 필요하다고 했으며, 재교육 방법으로는 43%가 방학 중 특별연수를 제안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술 교사의 양성 과정을 보면 지금의 체제가 적당하는 의견이 54%였고, 기술교과와 가정 교과와의 통합은 반대가 70%이상이었다.

      •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과 감정노동이 이직의도에 미치는 영향 : 보육헌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이명한 안양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780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emotional labor,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an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child care commitment in the relationship. To achieve the objective, the following research problems were established: First, do childcare teachers’ background variables, such as age, education level, teaching career, and types of institutions, play a role in their perception of work-family conflict, emotional labor, childcare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Second,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work-family conflict, emotional labor, childcare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Third, what is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sub-variants of work-family conflict(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sub-variants of emotional labor(natural behavior, superficial behavior, and internal behavior), childcare commitment, and sub-variants of turnover intention(turnover intention and transf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54 early childhood teachers working at childcare centers in Seoul, Gyeonggi and Incheon regions. A survey was conducted to measure the teachers’ perception of work-family conflict, emotional labor, childcare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using the SPSS 23.0 and AMOS 23.0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differences in work-family conflicts, emotional labor, child care commitment, and perceptions of turnover according to the personal background of childcare teachers. As for work-family conflicts, work→family conflic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and family→work conflict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marital status, types of institutions, and current work experience. In terms of emotional labor, there were differences in teachers’ natural behavior of emotional labor according to their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the age level of the class in charge, the class size and current work experience. The surface behavior of emotional labor differed in their educational level, the class size, and the inner behavior of emotional labor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ir age, educational level, marital status, the age level of the class in charge, the class size and current work experience. When it comes to the teachers’ perception of childcare commitment,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ir perception of professionalism according to their age, education level, marital status, the age level of the class in charge, the class size and current work experience. However,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eachers’ affection for teaching, and ardor(passion) in all variables except for no difference in the types of institutions. Second, the fit of structural models of the upper and lower concepts in this study was shown to be good. That is, th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s and emotional labor had a positive impact on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and their emotional labor had a positive impact on child care commitment. On the other hand, it appeared that their childcare commitment had a negative effect on the turnover intention. The effect of th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s on turnover intention was significantly positive, and the higher th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were, the higher the intention of transfer and transfer to the same occupation got. The impact on the intent to relocate to other occupations might differ depending on the sub-variants that constitute their emotional labor, and the higher their commitment was, the lower the intention to relocate to other occupations was. Third, the indirect effects of th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on their intention to change jobs through childcare commitment were not significant. Childcare commitment played a meaningful role in mediating their family→work conflict as well as well as family→work conflict and turnover intention. This means that th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 and family→work conflict are influenced not only directly by the intention of transfer but also indirectly by mediation of childcare commitment. However, the teachers’ natural, superficial, and inner actions had an insignificant effect on their turnover intention both directly and indirectly. The results show that childcare commitment does not significantly reduce the turnover intention, but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the intention of moving to another job. This study has an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identified the childcare teachers’ work-family conflict and emotional labor, the structural relationship between childcare commitment and turnover intention, and the practical measures to reduce the teachers’ turnover. Also, through the relation between the variables,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he mediation effect of childcare commitment and to investigate turnover intention by dividing it into turnover intention and transfer intention. With this study as a start, subsequent studies should be continued in order to expand the scope of the study to a larger area, and sufficient quantitative researches, in-depth interviews, and observational studies on turnover intention are needed for childcare teachers.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과 감정노동, 보육헌신, 그리고 이 직의도의 구조적 영향관계와 보육헌신의 매개효과를 알아보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1. 보육교사의 개인적 배경 변인에 따른 일-가정 갈등, 감정노 동, 보육헌신 및 이직의도의 인식은 어떠한가? 연구문제2.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 감정노동, 보육헌신과 이직의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연구문제3.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의 하위변인(일→가정 갈등, 가정→ 일 갈등), 감정노동의 하위변인(자연적 행동, 표면적 행동, 내 면적 행동)과 보육헌신, 이직의도 하위변인(이직의도, 전직의 도)의 구조적 관계는 어떠한가? 본 연구는 서울, 경기, 인천지역의 어린이집에 근무하는 보육교사 1,245명을 대상으로 일-가정 갈등, 감정노동, 보육헌신, 이직의도를 측정 하기 위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그 결과를 SPSS 23.0과 AMOS 23.0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주요결과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1과 보육교사의 개인적 배경변인에 따라 일-가정 갈등, 감정 노동, 보육헌신 및 이직의도의 인식을 살펴본 결과 전체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일-가정 갈등의 경우, 일→가정 갈등은 연령층에서만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고 가정→일 갈등에서는 연령, 결혼상태, 시설유형, 현원 근무 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감정노동의 경우, 자연적 행동은 연령, 학력, 결혼상태, 학급담당연령, 담당학급영아수, 현원 근무 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표면적 행동은 학력, 담당학급영유아 수에서 차이를 보였고 내면적 행동은 연령, 학력, 결혼상태, 학급담당연 령, 담당학급영아수, 현원 근무경력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보육헌신 의 경우, 전문성에서는 연령, 학력, 결혼상태, 학급담당연령 담당학급수, 현원 근무경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난 반면, 교육애와 열정에서는 시 설유형을 제외한 모든 변인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연구문제2와 관련해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 감정노동, 보육헌신과 이직의도 상위개념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일-가정 갈등 과 감정노동은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보육헌신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교사의 감정노동은 보육헌신에 정 (+)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지만 일-가정 갈등이 보육헌신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았다.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 및 감정노동 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 보육헌신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감정노 동과 이직의도 간의 관계에서만 보육헌신의 매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문제3에 관한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과 감정노동, 이직의도의 하위개념으로 모형을 구성하여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일-가정 갈등중 가정→일 갈등과 감정노동중 자연적 행 동과 내면적 행동은 보육헌신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 다. 보육교사의 이직의도에 대한 영향은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 모두 이직의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고, 교사의 자연적 행동은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보육교사의 전직의도에 영향을 미 치는 변인으로는 일→가정 갈등과 가정→일 갈등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감정노동 중 자연적 행동은 전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표면적 행동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 났다. 보육헌신은 전직의도에 부(-)의 영향을 미치는 반면, 이직의도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보육헌신의 매개효과를 검 증한 결과, 일→가정 갈등과 전직의도, 가정→일 갈등과 전직의도, 자연 적 행동과 전직의도, 내면적 행동과 전직의도의 관계에서 보육헌신의 매 개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일-가정 갈등의 하위변인과 이직의도, 감정노동의 하위변인과 이직의도, 표면적 행동과 전직의도 간 의 관계에서 보육헌신의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이론적?실천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이론적 함의로는 본 연구는 기존 연구와 달리 보육교사의 이직의도를 동일 직종으로의 이직 과 타직종으로의 전직 의도로 구분하고, 이에 대한 교사의 일-가정 갈등 과 감정노동, 보육헌신의 영향을 분석함으로써 보육교사의 이직 및 전직 의도의 영향요인에 대한 이론적 틀을 마련하였다는데 의의가 있다. 보육 교사의 일-가정 갈등과 감정노동, 보육헌신, 이직의도 간의 구조적 관계 를 상위개념 모형과 하위개념 모형으로 구분하여 분석함으로써 보육교사 의 일-가정 갈등과 감정노동의 연구에서 총합척도를 활용한 상위개념보 다 하위변인별 접근과 분석이 상대적으로 정교하고 타당함을 검증하였 다. 연구결과의 시사점으로는 보육교사의 일-가정 갈등 또는 일-가정 균 형을 위한 다양한 방안의 모색, 보육교사의 보육헌신 향상을 위한 감정 노동의 효과적 관리 및 지원, 보육헌신 강화 프로그램 개발?실행 및 조 직문화 형성 등이 요구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