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제7차 교육과정 작문 교과서 분석

        최승식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8831

        사회가 발달하고 복잡해질수록 의사소통의 중요성 및 사회적 상호 교류에 대한 욕구는 더욱 커진다. 그리고 자신의 생각을 정리하여 다른 사람에게 알릴 수 있는 능력, 다른 사람의 생각을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는 능력, 다른 사람과의 의견 교환을 통하여 새로운 의미 창출을 이루어 내는 능력이 중요하게 부각된다. 이러한 언어 사용 능력을 문식력 또는 문식성이라고 한다. 문식성의 발달의 수준이 높아질수록, 학습의 난이도가 높아질수록 작문이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며, 체계적으로 지식을 생산ㆍ교환ㆍ축적하기 위해서 언어 사용 능력 중에서도 고등정신 능력으로 일컬어지는 작문의 위상은 앞으로 더욱 높아지고 커지게 될 것이다. 학교 교육에서도 의사소통 능력을 포함하여 고등 사고 능력, 문제 해결 능력, 정서의 내면화 능력 등에 대한 교육이 강조되는데, 이와 같은 교육의 내용과 과정을 포괄하는 교과가 작문 교과이며, 학생들은 작문 교육과정을 통하여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문식력을 체계적으로 습득하게 된다. 이러한 학교 교육의 작문 교수-학습 상황에 영향을 주는 요소 중에서 일반적으로 교육과정의 구체적인 제시 형태이면서, 교사와 학생을 이어주는 역할을 담당하는 것이 교과서이다. 국어과의 경우, 그 동안의 교과서 분석이 주로 초등학교 교과서와 중학교 국어, 고등학교의 10학년 국어에 치중하여 진행되었으며, 선택 과목으로 편성되어 있는 심화 과정에 대해서는 심도 깊은 연구가 진행되지 못했다. 심화 과목 중에서도 ‘작문’은 단언적 지식과 절차적 지식의 통일이 이루어져야 학습 능력이 향상되는, 작문 이론과 작문의 실제 쓰기 과정이 통일되어야 하는 과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작문 교육의 성격에 대한 논의가 미비하였고, 그에 따라 작문 교과서가 갖는 역할과 기능에 대한 연구 역시 부족하였다. 이에 본고에서는 작문 교과의 교수-학습 상황에 끼치는 교과서의 영향력을 중점으로, 작문 교과서가 가져야 할 기능에 대해 알아보고, 그에 따라 제7차 교육과정의 작문 교과서를 분석하고 비교해 보았다. 우선 교과서를 바라보는 다양한 관점을 알아보고, 본고에서 견지하고자 하는 작문교과서의 관점을 정리하였다. 다음으로는 교과서란 무엇인가에 대해 그 개념을 정의하고, 그에 맞게 작문 교과서의 개념에 대하여 정리해 보았다. 그리고 정리한 개념을 바탕으로 작문 교과서가 갖추어야 할 기능은 무엇인지 살펴보고 그에 따른 분석의 준거를 마련하였다. 작문 교과서 분석 준거는 모두 14가지로, ‘인지주의, 사회구성주의 작문 이론 반영’, ‘활동 중심 글쓰기 교육과정 반영’, ‘작문 교육과정(학습목표) 재구성’, ‘「작문의 원리」에 따른「작문의 실제」단원 구성’, ‘작문 교수 전략 및 방법 제시’, ‘학습 준비 자료 및 도구 제시’, ‘배경지식의 활용’, ‘학습 보조 장치 활용’, ‘교사 시범 및 학생 활동지도 자료 제공’, ‘자기 주도 학습 자료 제공’, ‘사회적 상호 작용으로서의 의미 구성 연습’, ‘작문의 회귀적 과정 연습’, ‘자기 점검 및 상호 점검 평가’, ‘평가 결과 송환’ 등이다. 작문 이론 및 작문의 원리는 각 작문 교과서 전체적인 구성을 그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그 외의 세부적인 근거에 대한 분석은 「작문의 실제」단원의 「설득적인 글쓰기」단원을 대상으로 하였다. 「설득적인 글쓰기」단원은 모든 교과서에 실려 있고, 다루고 있는 글의 종류도 대체로 논설문과 연설문으로 유사하며 현대 사회에서 요구하는 대표적인 글쓰기라는 점에서 분석 대상 단원으로 정하였다. 분석 결과에 따라 해당 사항이 정확하게 제시되어 있는 항목에는 1점, 있으나 미약하게 제시된 항목은 0.5점, 제시되지 못한 항목은 0점을 주어, ‘Ⅳ. 결론’에서 정리하여 표로 제시하였고, 각 기능 항목별로 작문 교과서에 제시된 빈도를 중심으로 비교ㆍ분석해 보았다. 작문 교과서의 분석과 비교를 통하여 제7차 작문 교과서에는 ‘무엇을 가르칠 것인지(학습 내용)’에 대하여 잘 드러나 있지만, ‘어떻게 가르치고 배울 것인지(학습 방법)’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제시하지 못하고 있으며, 학습 내용에 대한 ‘평가의 결과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는지(평가 송환 방법)’에 대한 제시도 매우 부족함을 알 수 있었다. 본고 분석 결과를 통해 작문 능력 향상을 위한 실질적인 기능 향상에 도움을 주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우선 작문 교과서는 각 교수-학습 상황에 맞게 학습 내용을 구성할 수 있도록 하면서, 처음부터 끝까지 실제 교실 수업 상황을 고려하여 제작해야 한다. 글쓰기의 회귀적 과정이 교실 수업에서 실질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교과서가 구성되어야 하며, 진행되는 과정은 「작문의 원리」가 구현되는 과정이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교사와 학생의 상호 작용, 즉 대화와 토의를 통하여 작문 과정에서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경로를 제시하여야 한다. 그리고 자기 점검과 상호 점검을 통해 완성된 한 편의 글을 작성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교재가 작문 교과서가 되어야 한다. 이러한 과정을 염두에 두고 개발하는 작문 교과서는 학습목표의 내용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을 명시적으로 제시해야 하며, 학생들이 단원 학습을 위해 준비해야 할 사항과 평가한 내용을 다시 작문 활동에 활용하는 방법까지 자세하게 알려 줄 수 있어야 한다. 끝으로 작문 교과서 집필진에 더 많은 국어교육 전공자 및 현직 국어교사가 참여하게 하고, 학생의 의견을 교과서 제작에 충분히 반영한다면 더 효율적인 교과서가 개발되고, 작문 능력 향상을 위한 더욱 실질적인 교실 수업이 진행되리라고 본다.

      • 중국어 교과서 분석 : 제6차와 7차 교육과정 비교분석

        이지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831

        In this study, Chinese textbook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compared to those based o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focusing on structure, contents, and design in order to find changes in the new Chinese textbooks. Also how the new Chinese textbooks are aligned to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nd how the new textbooks are effective on student-centered learning and self-learning were examined. In chapter Ⅰ, the purposes and the needs of the study were described and literature related on textbook analysis were reviewed. In chapter Ⅱ, Chinese curriculum, theories on instructional material analysis, criteria for textbook selection were examined. The textbook analysis model suggesting textbook analysis criteria in order to compare the new textbooks with those based on 6th national curriculum was also developed. Applying the textbook analysis model developed, the textbook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compared to those based on 6th national curriculum in the following areas; structure, communication, language material, and design including editing and pictures. changes in the new textbooks were found and directions to develop good textbooks were suggested in the study. In chapter Ⅲ, the results were described based on chapter II.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the following; First, the structures and contents display modes of textbooks based on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ere more various and student-centered than those based on the 6th national curriculum. However, textbooks should not only integrated but also provide various materials which was appropriate to contents in order for students to be able to do self-learning. Second, there was a problem to improve communication skills because areas for communication skill were limited. One of the goals of the 7th national curriculum was to improve creativity. In order to accomplish this goal, various communication areas focused on creativity of Chinese culture should be provided in Chinese textbooks. Activities provided in the textbooks should also directly more related to concrete experiences of students and should be more creative and various in order to help students do self-learning. Chinese culture should be more considered in the Chinese textbooks. The new textbooks included general contexts than Chinese culture. Chinese culture should be introduced more widely in the new textbooks. Finally, it seemed that the improvement of textbook design made the new textbooks more interesting than those in the past. 본 연구는 제7차 교육과정에 의해 새로이 출간되어 2003년도부터 학교 현장에서 사용될 제7차 중국어 교과서와 제6차 교육과정에 따른 중국어 교과서를 교과서의 구성과 내용, 외형을 대상으로 비교·분석하여 교과서간의 변화 양상을 살펴보고 새 교육과정에 의해 집필된 교과서가 새 교육과정의 목표와 내용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지, 학습자 위주의 학습이 가능하도록 효율적이며 합리적이고,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적합하게 구성되어있는지 등을 알아보았다. 제Ⅰ장에서는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에 대해 알아보며 연구 방법을 제시하고 본 연구에서 진행할 교과서 분석을 위해 교과서 관련 선행 연구 자료들을 분석하였다. 제Ⅱ장에서는 교과서 제작의 지침이 되는 중국어과 교육과정과 교재 분석 이론, 제7차 교과서의 심사기준을 알아보고 이를 바탕으로 제6차와 제7차 교과서의 비교·분석을 위한 교과서 분석 대상과 분석기준을 제시한 교과서 분석 모형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교과서 분석 모형에 따라 제6차와 제7차 중국어 교과서를 교과서의 전체 구성체제에 관한 측면, 의사소통적 측면, 언어 재료 측면, 편집과 삽화를 다룬 외형적 측면으로 나누어 실제로 교과서 분석을 통해 제6차와 제7차 교과서의 비교 및 변화추이를 밝혀내고 교과서의 변화를 통해 이미 제기된 현 교과서의 문제점들과 그에 따른 올바른 교과서의 방향을 알아보았다. 제Ⅲ장에서는 제Ⅱ장에서 비교·분석한 교과서 연구자료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제7차 교과서의 단원 구성 및 내용 제시 방식이 제6차 교과서에 비해 통합적이고 다양하며 학습자의 내용 이해에 대한 배려가 많다는 점에서 제6차 교과서와 차이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제7차 교육과정에서 지향하는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통합적이되 내용의 특징에 맞는 다양한 자료를 얻을 수 있는 교과서가 요구된다. 둘째, 제6차 교과서뿐 아니라 제7차 교과서 역시 여전히 의사소통 기능의 범주가 특정 분야에 편중되어 의사소통 기능을 고르게 향상시키는데 문제점이 있다. 제7차 교육과정에서는 국제적 감각의 창조적 인간의 육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 문화와 창의적 기능에 좀더 중점을 둔 고른 의사소통 기능의 범주의 구성으로 다양한 의사소통 상황에 적응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과제 활동의 구성도 학습자의 구체적인 경험과 관련한 활동 중심으로, 보다 창의적이고 다양한 내용을 도입하여 학습자의 자기 주도적인 학습이 가능해지도록 해야 할 것이다. 또한 문화 내용의 적극적인 반영이 요구된다. 제7차 교과서는 대부분 일반적이고 보편적인 상황의 소개이며 중국 문화에 대한 소개가 부족한 편이다. 따라서 중국이나 중국인들에 관한 사실들을 중심으로 학습자의 수준에 맞으며 학습자가 관심을 갖을 수 있는 내용을 많이 도입하고 소개하여야 한다. 셋째, 제7차 교과서는 외형체제상의 많은 변화를 꾀함으로서 학생들의 학습내용에 대한 관심과 흥미 유발 가능성은 이전의 교과서에 비해 훨씬 높아졌다.

      • 중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의 쓰기 활동 유형 분석

        남지현 韓國外國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6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우리나라 중학교 학생들의 영어 쓰기 학업 성취의 향상을 위해 언어 입력의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교과서의 쓰기 활동 과업을 분석하고 중학교 수준의 바람직한 쓰기 활동 과업을 제언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현 7차 교육과정에 근거하고 있는 중학교 2학년 영어 교과서 6종을 채택하였다. 그리고 다음의 세 가지 분석 기준에 의하여 교과서 쓰기 과업을 분석하였다. 첫째, 쓰기 활동 유형이 제7차 교육과정 쓰기 영역의 성취 기준에 얼마나 부합하는지 알아본다. 둘째, 각 교과서는 쓰기 지도 원리에 따라 쓰기 활동을 어떻게 제시하는지 알아본다. 셋째, 각 교과서는 듣기, 말하기, 읽기의 타 기능과 연관된 통합 활동으로서의 쓰기 활동을 어떻게 제시하고 있는지에 대해 파악한다. 위와 같은 연구 문제를 통해 분석된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가 수준의 절대 평가 기준인 쓰기 영역의 성취 기준에 따른 분석 결과 교과서에 제시된 쓰기 활동들이 쓰기 성취 기준을 많이 반영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성취 기준을 반영한 대부분의 쓰기 활동은 언어의 형태와 정확성에 초점을 둔 활동이었으며 쓰기의 의사소통 기능이나 문단 수준의 글쓰기에 대한 성취 기준의 반영 비율은 저조하였다. 둘째, 쓰기 지도 단계에 따른 쓰기 활동의 유형 분석 결과 6종 교과서에 나타난 유형에 따른 쓰기 활동은 총 582항목 중 통제 작문 401항목(68.90%), 유도 작문 158항목(27.15%), 자유 작문 16항목(2.75%), 모방 작문 7항목(1.20%)순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이는 교과서에 나타난 쓰기 활동의 대부분이 문장 단위의 통제 작문임을 의미하며 제시된 대부분 활동들이 주로 학생들의 문법적인 요소에 대한 점검을 위한 것이기 때문에 교과서의 쓰기 활동을 통해 학생들 스스로의 의사를 표현하는 능력을 기르도록 하기에는 매우 부족하다고 볼 수 있다. 셋째, 분석 대상인 6종 교과서 모두 듣기, 말하기, 읽기 기능을 위한 교과서 단원 영역 내에서 해당 기능과 쓰기 기능을 전·후 활동에서 연계시켜 제시하고 있었으며 이는 쓰기 활동이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위해 독자적인 기능으로 간주된 것이 아닌 통합적인 기능의 하나로서 인식된 것으로 보인다. 위의 결과를 종합해 볼 때, 교과서가 제시해야 할 바람직한 쓰기 과업 활동의 방향을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교과서들은 국가 수준의 요구인 성취 기준을 충실히 반영하여야겠으며 아울러 교육과정 개발 담당자는 성취 기준 제시에 있어서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해 중학교 단계에서 자유 작문을 요구하는 것보다는 유도 작문을 성취 기준으로 제시하는 것이 훨씬 더 효과적이라고 본다. 또한 개별화 수업을 위해 학생들의 수준에 따른 성취 기준을 수준별로 다르게 제시될 필요가 있다. 쓰기의 성취 기준을 학생들의 수준에 따라 상·중·하로 나누어 학생들의 개인차를 고려한 쓰기 성취 기준을 제시한다면 7차 교육과정의 심화 보충형 수준별 수업을 위해서도 좋은 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 통제 작문이 쓰기의 정확성을 목적으로 둔 쓰기활동 유형이라 할지라도 학생들의 동기 유발을 시킬 수 있는 다양한 통제 작문 활동 과업을 제시할 필요가 있다. 뿐만 아니라 교과서의 쓰기 영역 안에서 쓰기 과업을 제시할 때 2~3개의 과업들이 통제작문, 유도 작문, 자유 작문의 각각 다른 과업으로 제시될 것이 아니라 쓰기 과업들이 서로 연관되어 해당 차시 내에서 수행할 수 있는 과정으로서의 글쓰기를 유도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의 쓰기 활동이 쓰기 영역 안에서만 국한되지 않고 타 기능과 연관하여 학생들의 통합적인 언어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활동이 되도록 교과서를 구성할 필요가 있으며 현 교사들은 이를 교수-학습 활동에서 다각적으로 이용하여 학생들의 의사소통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노력해야 할 것이다.

      • 상업정보고등학교 세무회계 교과서 연구

        백종은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상업정보계열 고등학교 학생들의 세무회계 실무능력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 세무회계 교과서 분석을 통해 현재의 세무회계 교과서가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서 편찬 방향과 교육 목표에 충실하게 이행됐는지 살펴보고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세무회계 교과서의 집필 작업에 필요한 자료 제시 및 시사점이 될 수 있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제 7차 교육과정에 의해 개편된 교육인적자원부로의 검인정 승인을 받은 3종류의 세무회계 교과서를 연구 대상으로 하여 제 7차 상업계열 교육과정 등을 중심으로 교과서의 개념과 편찬 방향 및 세무회계 교과서의 내용과 구성이 세무회계의 교육목표 및 과정에 부합하는지를 분석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현재 세무회계 교과서 문제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부 교과서의 집필진 구성에서 현장 교사의 참여가 부족했고, 단원별 집필 실명제를 실시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최근의 자료를 반영하지 않은 그림과 사진을 사용하여 교과서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기에는 부족한 면이 있었고, 특정 교과서에서󰡐세무회계의 정보의 이용과 전산화󰡑단원이 미 제시됐다. 또한 단원별 기본적인 실무예제 부족과 세법 개정부분 반영 미흡 등 의 문제점이 인식됐다. 이와 같은 세무회계 교과서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에 대한 개선 방향은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장 교사를 비롯한 다양한 집필진이 참여하여 교과서를 개발하는 것이 바람직한 방향이라고 하겠다. 이는 학교 현장에서 교과서로 직접 수업을 하고, 학생들의 학습 지도를 담당하는 교사가 교과서의 내용과 구성에 대해 가장 잘 알 수 있고, 그 밖에 교수, 공무원, 세무사, 회계사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집필진에 참여하여 세무회계 교과서가 실무와 이론을 함게 학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책임 있는 집필 및 집필자와 대화의 통로를 마련할 수 있도록 단원별 실명제가 실시되어야 한다. 둘째, 제 7차 상업계열 세무회계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세무회계 정보의 이용과 전산화’ 단원을 D교과서는 제시하지 못했다. 이는 교육인적자원부가 제시한 단원을 누락시켰으므로 앞으로 세무회계 교과서 심의과정에서 보다 철저한 심사가 필요하다고 본다. 셋째, 교육 효과를 거두기 위해서는 교과서에 대한 호기심과 흥미를 유발하고 학습동기를 부여해야한다. 이를 위해서는 좀 더 구체적이고 최근의 현장 자료가 보이는 그림과 사진 등의 자료를 제시해서 교과서가 현실감 있도록 해야 한다. 넷째, 실무능력 향상을 위해 단원별로 가능한 기본적인 실습 예제를 제시할 필요가 있다. 이는 세무회계 교과서의 전체 분량과 관련이 되겠지만 학생들의 실무능력 향상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본다. 다섯째, 세무회계 교과서 집필 시 개정된 세법 내용을 정확히 반영하고 단순 표기상의 오류가 발생하지 않도록 교정을 철저히 해야 한다. 여섯째, 제 7차 상업계열 세무회계 교육과정상 ‘세무회계 정보의 이용과 전산화’의 단원에 제시된 회계 소프트웨어의 설치 사용 방법, 활용 등을 스스로 해결할 수 있는 내용과 소프트웨어와 전사적 자원 관리를 위한 정보에 대한 사례와 관련된 내용을 제시해야 한다. 끝으로 본 연구의 사례와 내용을 참고하여 좋은 후속 연구가 나오길 기대해 본다.

      •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5학년 교과서 분석

        설한나 성신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831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5학년 음악 교과서 8종을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체제에 따라 종합적으로 분석함으로써 흥미롭고 질 높은 음악 교과서의 방향성 확립에 도움을 주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5학년 음악 교과서 8종의 영역별 비중 과 학습활동 형태, 교과 역량, 타 교과 연계를 학습활동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분석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2015 개정 교육과정에 의한 초등학교 5학년 8종 음악 교과서에는 표현 영역이 67.5%, 감상 영역이 21%, 생활화 영역이 11.5%로 표현 영역이 가장 많은 부분을 차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표현 영역을 2015 개정 교육과정 내용 체계의 5가지 기능으로 나누어 분석한 결과 노래 부르기가 28.4%, 악기로 연주하기 15.1%, 표현하기 9.1%, 만들기 7.5%, 신체 표현하기 7.4% 순으로 노래 부르기 활동이 많이 구성되었다. 둘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5학년 8종 음악 교과서 학습활동의 형태를 분석한 결과 ‘음악의 재생산’ 활동이 27.3%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었다. 다음으로 ‘음악에 대한 성찰’ 19.6%, ‘음악의 수용’ 16.8%, ‘음악의 전이’ 13.9%, ‘음악에 대한 정리 활동’ 13.8%, ‘음악의 생산 활동’ 8.6% 순으로 반영되었다. 학습활동의 형태에서 8종 교과서 모두 ‘음악의 재생산’ 활동과 관련된 악보를 보고 노래 부르기와 악기로 연주하기의 활동 비중이 높고, ‘음악의 생산’ 활동과 관련된 작곡, 즉흥 연주 등 1차적 표현활동 비중은 낮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 초등학교 5학년 8종 음악 교과서 중 교과 역량이 표기되지 않은 1종 교과서 ‘(주)와이비엠’ 출판사를 제외한 7종 음악 교과서의 교과 역량을 분석한 결과 교과서별로 교과 역량 반영 방법과 비중 편차가 큰 편임을 알 수 있었다. 넷째, 2015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5학년 8종 음악 교과서와 타교과 연계 비중을 분석한 결과 국어 교과가 51회로 가장 많이 연계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차후 초등학교 음악 교과서 개발 방향에 대하여 제언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음악 교과서에 다양한 형태의 학습 활동 과제들이 반영될 필요가 있다. 둘째, 출판사별 음악 교과 역량 반영 방법과 반영 비율에 있어 통일된 관점이 필요하다. 셋째, 음악교과와 타 교과 연계 학습 활동의 경우 다양한 과목과 활동 연계가 필요하다.

      •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국어 교과서 분석 : 7학년 문법 영역을 중심으로

        문희정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831

        학교에서 수업을 할 때 가장 기본적인 지침은 교육과정이다. 교육과정이 학생들에게 전달될 때 필요한 것이 바로 수업 시간의 주교재인 교과서이다. 교과서는 국가 차원의 교육 과정과 밀접한 관련을 맺게 되며, 학습 자료 가운데 가장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 이론상으로는 수많은 학습 자료 중 하나일 뿐이지만 실제 수업 시간이 대부분 교과서 중심 수업으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교과서의 영향력을 간과할 수는 없다. 그렇기 때문에 교과서의 교육 과정 반영 여부, 교육 목표 달성 여부, 단원의 구성 방식, 내용의 위계 등을 면밀히 검토해보는 연구가 반드시 필요하다. 물론 지금까지 개정 교육과정의 문법 영역에 대한 연구는 꾸준히 있어 왔다. 그러나 지금까지의 연구들이 추상적이고 거시적인 틀 속의 내용이 많았고, 직접 교육과정을 반영하여 수업을 해야 하는 학교 현장가의 입장에서 교육과정에 대한 내용에 대해 가질 수 있는 의문을 완전히 해결해 주지 못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의한 중학교 7학년 국어 교과서 중 문법 영역의 내용을 논의의 대상으로 삼았다. 특히 교과서에 반영된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내용을 충실히 이해하는 데도 목적을 두고 있지만 이에 따라 우선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 중 문법 영역의 개정 방향을 파악하고 그 내용을 분석하였으며, 다음으로 2007년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이 반영된 검정 교과서 중 문법 영역의 내용, 단원 배열, 진술 방식을 교과서별로 분석하여 문제점 등을 파악하고 보다 나은 문법 영역의 학습을 위한 방안을 연구하였다. 우선 2장에서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의 개정 방향 및 내용을 분석하였고, 3장에서는 특히 개정 교육과정 ‘문법’ 영역의 내용 구성과 체계를 자세히 살펴보았으며, 4장에서는 개정 교육과정에서 제시한 문법 영역의 교육 내용이 교과서에 잘 반영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그 단원들의 구성이나 배열, 학습 내용, 조직, 기술 등이 효율적인지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이번 연구를 통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첫 번째, 학교 현장에서의 국어 수업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정확하고 세밀한 교과서 분석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한다는 점, 두 번째, 이번 분석을 통해 2007년 개정 교육과정이 반영된 검정 교과서들은 대부분 영역 간의 통합과 연계를 중시하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세 번째는 문장 중심보다 담화 중심으로 된 자료로 진행되는 수업이 바람직하다는 것, 마지막 네 번째는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서 요구하는 통합적 교육을 문법 영역에서도 적극적으로 활용해야 한다는 점이다. 물론 지금도 이런 시도들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음을 이번 교과서 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었다. 앞으로도 2007년 개정 교육과정에 관한 연구가 꾸준히 진행될 것이라 생각하고 이에 따른 교과서 분석 등 실제적인 교수 · 학습과 관련된 논의 또한 활발히 이루어질 것이라 본다. The basic guideline in class is the curriculum. The curriculum is delivered to the students by the main material, textbooks, The textbooks are closely connected to the national curriculum and they hold the vital position among man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extbooks are just one of many teaching and learning materials theoretically, but when we consider that most lessons at school are textbook-oriented, we can't deny the influence of them. Therefore we need to analyze how the textbooks reflect national curriculum in them, how they achieve educational goals and how the units and hierarchy of contents are arranged, There have been researches on grammar of Revised curriculum. However, the researches so far achieved have been usually under the view of abstract and broad view, so they can't solve all the questions asked on-the-spot education setting which has to reflect the current curriculum directly. Hereupon, this paper reports on a Analysis of textbooks under 2007 the revised curriculum : the grammar of the 7th grad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for the true understanding of 2007 revised curriculum reflected on the textbooks. Accordingly, this paper tried to get the points of revision of the grammar and analyzed the contents, and then it investigated the resolution for the better grammar part learning understanding the manners of statement, unit hierarchy and the contents of grammar involved in authorized textbooks which reflect the 2007 the revised seventh curriculum. First of all, in part Ⅱ, this paper analyzed the contents and directions for revision of 2007 the revised curriculum, In part Ⅲ, it investigated the construction and organization of the grammar part of 2007 the revised curriculum, In part Ⅳ, it examined how the grammar parts in the 2007 the revised curriculum were reflected in the textbooks and then analyzed concretely how the units, learning contents, organization and techniques are efficient. This study suggested some results as follows. First, the detailed textbook analysis should be done in advance for the Korean classes in school to be efficient. Second, this study found that the authorized textbooks which reflect 2007 the revised curriculum value the combination and the connection of most parts. Third, the discourse-oriented materials are better than the sentence-oriented ones. And the fourth, we need to make the best use of combinational education in 2007 the revised curriculum. Through this study, we can find that these attemps have been achieved steadily. From now on, the researches on 2007 the revised curriculum will go on and according to those researches, the discussions on the practical teaching-learning such as the analysis of textbook will be made actively.

      • 제7차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중?고등학교 프랑스어 교과서 비교 분석

        홍지은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831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nd compare the French textbooks currently being used in junior and senior high schools in South Korea. Unlike English which is a required subject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rench is taught selectively as a second foreign language, and most students first meet French only in school. When we think of the acquisition of second language, the starting is the most important. So, French text books used in school have to be well made because they are to be the first experience for the students who will learn French as a second language. In class, text book affects students most directly. Thus, analyzing textbooks is needed not only as a scholarly study but also as a very practical way for choice and improvement. Moreover, French has been taught in junior high school as well as in senior high school since the 7th revised curriculum applied. And in order to induce students to choose French continuously from junior to senior high school, middle and high school textbooks must have to be connected on their contents. The curriculum is set up considering the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s of students and mutual connection between middle school level and high school level. So we have to examine thoroughly if the text books have appropriate contents and connectivity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In this study, I chose a middle school French text book and two high school French text books as analyzing objects. For convenience, let's call the middle school French text book 「book A」, and two high school French text books 「book B」 and 「book C」 each. This comparative analysis is based on the 7th revised curriculum in 2007 for the junior high school level and the 7th revised curriculum in 2009 for the senior high school level. In the first chapter, the formative system of selected three textbooks was analyzed and compared. In the second and third chapters, content system of them was analyzed and compared. In the second chapter, 4 functions of language are studied, and the third chapter consists of the analysis of the language materials: vocabularies, grammar elements, and communicational basic expressions. The results of these are as follows: First, all of the three textbooks are faithfully reflecting the curriculum structurally. They have the separated fields of 4 language skills: listening, speaking, reading, and writing. And the unit construction is a consistent pattern and is well-organized, so it is considered that students can foresee what they will learn next. Second, the number of language skill activities in 「book B」 and 「book C」, high school level, was more than in 「book A」, middle school level. Among the two high school text books, 「book C」 has much more activities than 「book B」. For each fields of language skills, 'listening' part is of great importance in the three. And 'speaking' activities tend to be done syntagmatically with 'listening' skills. And the high school text books put emphasis on phonetic factors like pronunciation, intonation, and liaison. For 'reading' part, all text books put little importance on this. For 'writing' part, activities are related to the exam types, not to various life writing types which are proposed in the curriculum. Third, for analyzing vocabulary, I used the glossarial index of each book. All the three books look well keeping the total number standard of basic words that the curriculum suggests, but there are many words which index doesn't have, although the words are in the body of the textbooks. This means it is possible for the books to use much more words than the curriculum suggests, and it might become a burden to students. And the fact that all the words used in the textbook are not included in the index also makes students feel uncomfortable. Moreover, the standard of arrangement of the index seems to be needed to be a good-looking textbook. Meanwhile, the level of connectivity between 「book C」 and 「book A」 seems to be higher than that between 「book B」 and 「book A」. Fourth, when it comes to grammar elements, 「book A」 contains 20 elements, and 「book B」 has 30 elements, which is 10 more than middle school level. And 「book C」 has 42 grammar elements, which is 22 more than 「book A」. Last, for communication materials, 「book A」 contains 10 of 14 elements of communication materials proposed in the middle school's curriculum. Meanwhile, high school's curriculum recommends textbooks to include 80 materials of 28 upper categories of communication. And 「book B」 contains 67 materials of 26 upper categories, and 「book C」 contains all the materials of all the categories, without omission. With these results above, I have some proposals. First, all the three text books contain 4 sections of language function in accordance with the curriculum, but there is a huge difference in the number of activities of each function. The number of listening and speaking activities is much more than those of reading and writing, so there is a possibility that students neglect studying reading and writing. So it is thought that the textbooks should keep a balance in the number of each section's activities. Second, for good communication which responds actively to globalization and diversification, it is needed to use a greater variety of subject-matters in exercises and instances, as the curriculum recommends many activities like memos, postcards, letters, e-mail, invitations, time tables, written advertisements, signs, sheet stories, poems, and chanson lyrics. But the subject matters of the three textbooks are limited to a few. Third, I suggest for the glosserial index to include basically the information: headword, word class, the first meaning, and the page that the word first appears. Also it must have some word arrangement-standards so that students can easily look up the words that they want to know. I think classifying the words according to subjects would be a good way. Fourth, the high school textbooks should be made regarding both beginners and learners who already met french in middle school. Because french can be taught now in junior high schools as well as in senior high schools according to the 7th revised curriculum. Thus, high school textbooks should include general contents of middle school textbooks so that the beginners can learn the basics, and so that the others can review what they learned in middle school. Fifth, at the same time as above, the high school text books should contain more grammar elements and materials, and also communication skill-expressions which are more intensified than in the middle school textbooks. It will be good for satisfying the level of cognitive developmental stages of students, and it will work as an achievement motivator for the students. In conclusion, the junior high school french textbook seems to be reconstructed based on some easy level contents of high school textbooks, and this made me feel something wanting. In order to invigorate french education; from junior high school to senior high school, and also after that; junior and senior highschool level textbooks have to be analyzed mutually before they are made. There is an urgent need for more systematic structures of language materials and functions as well as contents connection between the two levels.

      • 2015 개정 음악과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비교 분석 연구 : 국악 기악곡을 중심으로

        이슬기 전북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829

        본 연구는 2015 개정 음악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 10종에 수록된 국악 기악곡을 분석하였다. 국악 기악곡의 비중을 분석하기 위해 국악 성악곡과 국악 기악곡을 포함한 국악 제재곡을 각 교과서별로 분석기준에 따라 분류하고 그 비중을 알아보았다. 또한, 각 교과서별 수록된 국악 기악곡에 제시된 활동이나 학습목표를 기반으로 교육과정의 내용영역 즉, 표현영역, 감상영역, 생활화영역에 따라 분류하였고, 표현영역은 다시 가창영역, 기악영역, 창작영역으로 세분화하여 기준으로 삼았다. 이를 통해 2015 개정 음악 선택 중심 교육과정에 따른 고등학교 「음악」교과서에 수록된 국악 기악곡의 분류결과는 다음과 같다.

      • 다문화주의 평가도구의 개발을 통한 교과서 분석 :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의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김민아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8829

        우리나라는 다문화 사회로 진입하였으며 점차 다문화교육의 중요성을 강조하기 시작하였다. 교육현장에서는 2007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학습자에게 다양한 문화의 이해를 목표로 다문화교육을 실행하고 있다. 영어 교과의 경우 다문화적 관점에서의 영어 학습은 영어 실력의 향상뿐만이 아니라 학습자의 다문화 시민으로서의 정체성에도 영향을 미치므로 교과서의 다문화 요소에 대한 분석이 요구된다. 특히 이를 위한 다문화적 관점에서의 영어 교과서 평가 지표가 없으므로 평가 지표의 개발이 필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우선 다문화적 관점에서의 영어 교과서 평가 지표를 개발하고 이를 활용하여 2007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 학습활동을 중심으로 다문화요소의 반영정도를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기존의 다양한 교과서 평가 모델을 분석하였으며, 개발한 영어 교과서 평가 모델을 사용하여 총 6종의 2007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1학년 영어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기존의 교과서 평가 지표를 살펴본 결과, 문화가 중요한 평가 항목으로 제시된 모델이 많지 않았다. 대부분의 평가 지표들은 주로 교재의 물리적인 측면, 언어 요소, 그리고 교사의 역할을 평가 항목으로 제시하였으며 이외에 학습활동, 그리고 학습자 특성과 같은 평가 기준을 명시하였다. 문화 요소가 평가 항목으로 제시된 경우가 드물었으며, 하나의 독립된 항목으로 제시되어 있다 하더라도 그 평가 내용이 다양하지 않았다. 따라서 다문화와 관련된 다양한 내용을 분석할 수 있는 새로운 체크리스트의 개발이 필요하였다. 그리하여 본 연구에서는 다문화적 평가 지표의 개발을 위하여 Byram(1997)의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에 초점을 두고 평가 항목을 개발하였다. 평가 항목은 크게 목표, 내용의 제시, 그리고 학습활동의 일반적 항목으로 구성하였다. 내용의 제시는 다시 의사소통 지식과 문화간 지식으로 나누었으며 학습활동은 학습활동의 종류, 문화간 태도, 문화간 기술, 비판적 문화적 인식, 그리고 학습자의 역할을 중심으로 나눔으로써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반영 정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둘째, 다문화 평가 지표를 사용하여 2007개정 교육과정의 고등학교 1학년의 영어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 내용의 제시에 있어서 전반적으로 문화간 지식에 대한 내용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본문에 제시된 문화 지식이 대부분 단편적인 문화 정보를 나열하는 수준에 머물렀으며, 다른 문화에 대한 심층적인 이해를 도모하는 내용이 부족하였다. 즉, 다른 나라의 사회 정치적 제도와 지식의 생성 과정, 다른 나라의 관점에서 본 우리나라의 지리적 공간에 대한 내용 및 우리나라의 이미지, 다양한 나라의 사회화 및 인생주기, 역사적 관점에서 서술한 다른 나라의 민족 정체성에 대한 내용이 부족하였다. 또한 한국의 다문화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인종, 종교 및 계급과 같은 다양한 문화 집단의 모습을 제시하지 않았다. 학습활동의 경우 의사소통 능력을 반영하는 학습활동은 충분히 제시되었지만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과 관련된 학습활동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우선 문화간 태도의 경우 학습자로 하여금 타 문화에 대한 호기심을 갖게 하는 학습활동은 제시되어 있었지만, 궁극적으로 학습자가 다문화 시민 및 문화간 시민으로서의 정체성을 인식하고 형성할 수 있도록 기회를 부여하지 않았다. 문화간 기술을 향상시키는 학습활동 또한 충분히 제시되지 않았다. 몇몇 교과서는 다양한 문화의 상호작용의 차이에 대한 학습활동을 통해 학습자들이 다문화 사회에서 유연하게 대처를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더 나아가 단편적인 문화 정보 이면에 존재하는 다양한 문화간의 과거 및 현대의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 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지 않았다. 무엇보다도 비판적 문화적 인식을 향상시키는 학습활동의 제시가 부족하였다. 즉, 문서 혹은 사건의 이데올로기를 파악하거나 언어가 사고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인식하며 글을 쓰는 학습활동은 제시되어 있지 않았다. 이러한 결론을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고자 한다. 첫째, 우리나라 다문화 사회의 실정에 맞는 다문화교육 모델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많은 다문화 모델이 서구의 상황에 맞게끔 개발되었으므로 우리나라의 다문화 상황에 부합하지 않는 면이 있다. 그러므로 우리나라의 다문화 현실을 고려한 다문화교육 모델을 개발하고 이를 바탕으로 다문화 교육의 목표, 내용, 및 교수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는 새로운 교육과정에 대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둘째, 고등학교 영어 교과서에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에 대한 내용 및 학습활동을 확충해야 한다. 현재 2007개정 교육과정의 중등영어의 목표는 타 문화에 대해 이해를 하는 수준에 머물러 있다. 여기에서 더 나아가 학습자들이 다문화 사회에서의 영어 학습의 목표인 문화간 화자로 성장할 수 있도록 학습 목표를 설정하고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교과서를 개발해야 한다. 셋째,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평가 기준 및 평가 도구의 개발이 필요하다. Byram(1997)이 언급했듯이,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최소 수준을 의미하는 threshold을 알고 이를 평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의 목표, 평가 내용, 및 채점 기준을 포함하는 평가 도구를 마련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다문화 교육을 하는 교사들의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 및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지침에 대한 안내를 위하여 국가에서 교사들에게 지원을 해야 한다. 교과서가 다문화 요소를 충분히 포함하고 있을지라도 교사가 충분한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을 갖추지 못하고 있거나 다문화 교육에 대한 구체적인 교수법을 모르고 있다면 학습자는 효과적인 다문화 교육을 받을 수 없다. 그러므로 교사에 대한 적절하고 지속적인 다문화 교육이 필요하다.

      • 과학과 교육과정과 교과서의 기초탐구과정 분석

        박보화 단국대학교 2006 국내석사

        RANK : 248829

        초음파가 도입된 추출공정의 열역학적 특성해석과학교육에서 탐구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국가교육과정에서도 과학적 탐구와 그 과정을 점점 더 강조하였음에도 불구하고 그 내용 체계를 외국교육과정과 비교해 보면 탐구의 중요성만을 담고 있을 뿐 탐구 내용과 기준에 대한 자세한 언급은 없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국가수준의 교육과정에서 담을 수 있는 탐구능력요소의 세부 기준과 학년별 성취 수준을 단계별로 제시하기 위한 선행 연구로써 국내외 교육과정을 비교, 분석하고 문헌 연구를 통하여 기초탐구능력 하위요소 및 교과서 분석틀을 선정하여 교과서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 과학과 교육과정에서는 탐구의 중요성만을 강조하고 있지만 외국의 경우 학년별 요구되는 탐구 기준을 상세하게 제시하였다. 관찰과 측정을 보다 강조하고 있으며 특히 측정단계에서 사용될 도구들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둘째, 국내 교과서에 나타난 탐구능력 분석 결과 관찰과 측정은 전학년에 걸쳐 강조된 반면 예상과 분류는 특정 단원이나 주제에 치우쳐 강조되고 그 빈도 또한 매우 적었으며 추리는 학년이 높아질수록 강조되었다. 셋째, 관찰은 대부분 시각을 사용하고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단순관찰에서 조작적 관찰이 강조되고 관찰 도구의 사용도 증가하였다. 또한 목적 있는 관찰이 강조되고 혼자 관찰이 대부분을 차지하였다. 넷째, 측정은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정성적 측정에서 정량적 측정을 강조하였다. 어림하기, 비교하며 측정하기에서 대상과 환경에 변화주며 측정하기, 이차적 물리량 측정하기가 크게 증가하였고 반복 측정이나 평균값 계산 등 측정 결과의 활용 역시 고학년으로 갈수록 강조하였다. 다섯째, 분류는 다른 기초탐구능력에 비해 교과서에 나타난 빈도가 매우 적었고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더 감소하였다. 한 가지 특성에 따른 분류가 가장 많았고, 복합 특성에 따른 분류와 순서 나열하여 분류하기는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그 빈도가 증가하였다. 여섯째, 예상 역시 교과서에 나타난 빈도가 적고 실험결과에 대한 예상이 대부분이며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초보적 예상에서 경향분석? 외삽에 따른 조작적 예상이 증가하였다. 일곱째, 추리는 기초탐구능력 중에서 가장 고차원적 사고를 요하는 능력으로 학년이 높아짐에 따라 증가하였다. 관찰로부터의 추리가 가장 많았고 저학년에서 고학년으로 갈수록 일차적 추리에서 지식과 경험에 연결시키는 이차적 추리를 강조하였다. This is the precedent study in order to suggest the detailed factors of inquiry skill and the achievement level by the grade step-by-step that may be contained in the curriculums in the national level. In this study, the domestic and international curriculum cases were comparatively analyzed and the lower level of factors of basic inquiry skill and textbook analysis frame were selected through the reference to the literatures, in order to analyze the textbook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while the science curriculums in Korea only emphasize on the importance of the scientific exploration, those in foreign countries propose the detailed exploration standards required by the respective grade, specifically suggesting the tools used in the measurement steps. Second, in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factors of inquiry skill shown in the domestic curriculum, the observation and measurement learning was emphasized in the entire grades, while the expectation and classification learning was emphasized only on the specific sections or themes with little frequence. The reasoning learning was more emphasized for the higher grades. Third, the observation learning was proceeded with the visuals in most cases, and the higher grades emphasized on the manipulative observation than the simple one with the increased use of observation tools as well. In addition, the observation cases with the purpose are emphasized, and most of them account for those worked by own. Fourth, as the grades get higher, the curriculums emphasize on the quantitative measurement rather than the qualitative one. The transition was made from estimating and comparative measurement to greatly increase in measuring by giving the changes to the object and environment and measuring the secondary physical quantity. The utilization of measured results including the repeated measurement or average value calculation also increased as the grades got higher. Fifth, the classification is in very little frequency of being shown in the textbooks, compared with other factors of basic inquiry skill, which are more reduced as the grade gets higher. The classification according to one characteristics accounts for the most cases, and the sequencing classification according to the compound characteristics has increasing frequency as the grade gets higher. Sixth, the expectation is also in very little frequency of being shown in the textbooks, which is mostly expectation toward the experiment results. The manipulative expectation according to the trend analysis and extrapolation rather than to the beginner's expectation, as the grade gets higher. Sixth, the frequency of reasoning gets more increased as the grade gets higher, in which the reasoning from observation accounts for the most of those cases. As the grade gets higher, the curriculum emphasizes on the secondary reasoning to connect the knowledge into experiences, from the primary reasoning.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