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형사형 전성어미 어절의 운율구 형성에 관한 연구

        박미경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33295

        본고는 낭독 발화의 문장 중에서 관형사형 전성어미가 포함된 어절을 중심으로 하여 운율구를 이루는 강세구나 억양구의 형성에 대해 대규모 자료를 바탕으로 살펴보고자 한다. 특히 관형사형 전성어미의 형태, 해당 어절의 음절수와 관련하여 운율구와 이들의 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고자 한다. 관형사형 전성어미에 관심을 두는 이유는 이들이 빈도가 높고, 단순한 구조의 문장에서 복잡한 구조의 문장들까지도 모두 포함할 수 있는 형태이므로 이 어절 앞뒤로는 다양한 형태의 억양을 관찰할 수 있기 때문이다. 운율구의 다양한 모습들을 고찰하여 단순히 몇 개의 문장에서 한정적으로 보일 수 있는 규칙만을 재고하는 것이 아닌, 낭독 발화에서 나타날 수 있는 수많은 형태에 대한 포괄적인 연구가 이루어질 수 있는 바탕이 되는 것이다. 해당 어절의 음절수가 1∼2음절인 경우, 어미 '-ㄴ'을 포함한 어절 앞에는 강세구가 잘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가장 많았고, 어미 '-ㄹ'의 경우는 해당 어절 앞에 강세구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이는 어미 '-ㄴ'을 포함한 어절의 선행 어절에 오는 동사나 형용사와 본용언-보조용언을 이루는 경우가 많고, 관용적 표현으로 쓰이는 '-에 관한, 대한, 의한' 등의 표현에 어미 '-ㄴ'을 포함한 형태가 많이 쓰이기 때문이다. 3∼4음절을 가지는 해당 어절 앞에는 어미와 관계없이 강세구가 형성되는 경우가 많았는데, 이는 어절 내부의 음절수가 강세구의 기본 구조인 THLH를 구현할 수 있는 충분한 음절수가 되기 때문이다. 5음절 이상을 가지는 어절에서는 어미 '-ㄹ'로 끝나는 어절이 발견되지 않았는데 이것은 어미 '-ㄹ'을 포함한 어절 내부에 운율구가 생겨 전처리 과정을 거치면서 두 개의 어절로 나뉘었기 때문이다. 한 어절의 음절수가 많으면 어절 내부에 강세구가 형성되기도 하는데 이런 현상은 어미 '-ㄹ'을 포함하는 어절과, 접두사를 가지는 어절에서 많이 일어나는 현상이다. 후행 어절과 해당 어절 사이의 운율구에 대해 살펴보면 3음절 이하의 음절수를 가진 해당 어절은, 어미 '-ㄴ'을 포함할 경우에는 강세구가 많이 형성되고, 어미 '-ㄹ'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운율구가 형성되지 않는 경우가 가장 많은 빈도를 차지했다. 그 이유로는 어미 '-ㄹ' 다음에 오는 어절에 의존명사가 다수를 차지하기 때문이다. 즉 의존명사 앞에 공기하는 단어로 3음절 이하의 어미 '-ㄹ'을 포함하는 어절이 대부분을 차지한다는 것을 살펴보았다. 4음절 이상에서는 어미 '-ㄹ'을 포함하는 경우가 거의 없으므로 어떤 경향을 가진다고는 이야기하기 힘들지만 억양구가 형성된 경우는 하나도 없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정리해보면 어미 '-ㄴ'의 경우 보통 해당 어절 뒤에 강세구가 형성되지만 어미 '-ㄹ'의 경우는 뒤에 운율구를 동반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이고, 어절수가 작아지면 어미 '-ㄴ'은 보통 앞어절과 하나의 운율구를 이루는 경향을 발견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로 미루어 어미의 형태 정보나 어절 내부의 음절수도 운율구 형성의 한 요인으로 볼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와 동시에 문법 구조, 의미적 구조, 초점 등의 요소를 고려한 규칙을 형성한다면 정확한 운율 예측이 가능하다고 하겠다.

      • 한국어 관형사형 전성어미에 대한 연구 : 중국어 ‘的’과의 대조를 중심으로

        이순연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295

        In this study, the function of adnominal transformational endings and the structure of relative clauses are understood through research on transformational endings used in relative clauses. Compared to the Chinese character '的', transformational endings in Korean have more complex usage rules. Therefore, through contrastive analysis help learners recogni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two languages. And through a survey, assess the level of Chinese learners' understanding of transformational endings in Korean at different proficiency levels. Also, analyze the causes of errors and provide direction for learning to help learners better understand transformational endings in relative clauses, improve learning efficiency, and smooth the connection between languages. The main contents of this paper are as follows. In Chapter 1, research purpose and methodology of this paper is discussed and related previous studies are summarized. In Chapter 2, through specific analysis based on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Noun Phrase Accessibility Hierarchy, Aspect Hypothesis, improve learner’s understanding of adnominal endings in Korean relative clauses. In Chapter 3, through the analysis of a table analyzing some adnominal endings related to certain parts of speech and tenses, summarize the characteristics of transformational endings used in Korean relative clauses. In Chapter 4, the characteristics of the Chinese character '的' is analyzed by explaining its system and usage rules according to its parts of speech and its expression of time indications through time nouns and adverbs. In Chapter 5, after explaining the structure of relative clauses, through contrastive analysis of examples help learners intuitively recognize the differences between the relative clauses and time indications of the two languages. In Chapter 6, the errors in the use of transformational endings in relative clauses according to basic information, tenses and proficiency levels is analyzed, the causes of errors are identified. Guidances for learning and methods for teaching is provided. In Chapter 7, contents of the entire study are summarized. The focus of this study is to enable Chinese learners to accurately understand and use transformational endings in Korean relative clauses.

      • 한국어 관형사형 전성어미 ‘-(으)ㄹ’과 ‘-는’ 대조 연구 : 일본어권 학습자 오류 분석을 바탕으로

        이리에 아키코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2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nd clearly present the basic meanings of “-(으)ㄹ” and “-는” in non-tense areas that are difficult for international learners, especially Japanese learners, and to guide them to reduce errors. The analysis of Japanese learners' errors in this study revealed that many errors occur in non-tense areas. Although the difference in tense between Korean and Japanese is one of the causes of errors, it was not so much the difficulty in using “-(으)ㄹ” because of the lack of future tense in Japanese, but rather the complexity of the role of “-는” that prevented learners from correctly understanding the meaning of the words “holistic” and “general” in particular, resulting in the errors. This study investigated the “것”, “만큼”, and “때”, which are commonly mistaken by learners in Japan, by examining example sentences in existing studies and textbooks and actual examples used in the Sejong Corpus. The result was that “-(으)ㄹ” has a generic role, as in “먹을 것” and “볼 것”, while “-는” has the role of referring to the object itself, for example, to distinguish between objects. In addition, “-(으)ㄹ” plays the role of presumption and assumption, while “-는” is used in cleft sentences to point to the object and to express the speaker's assertion. The roles of “-(으)ㄹ” and “-는” derived from existing research and this study are organized as follows. The role of “-(으)ㄹ” is, first, to indicate a situation that does not occur, second, to assume a situation that does not occur or to indicate presumption or intention toward a situation that does not occur. Third, it has the role of referring to an object collectively. The role of “-는” is, first, to indicate that an action is in progress and second, to indicate repetitive action. Third, it indicates a normative or immutable fact, fourth, a character or attribute, and fifth, a default fact. And sixth, it distinguishes and points to an object from others. In the case of “-(으)ㄹ”, except for “-(으)ㄹ 때”, it is difficult to translate into “テイル(teiru)”, while “-는” can be translated into both “ル(ru)” and “テイル(teiru)” depending on the context, but is closer to the concept of “テイル(teiru)”. As for “때”, “-(으)ㄹ 때” can be translated to “テイル(teiru)” in that the time represented by “-(으)ㄹ 때” is longer than that of “-는 때”. Such a contrast with the Japanese adnominal forms would be easier for learners to understand if it were implemented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Korean language education, adnominal endings are a grammar dealt with at the beginner level, but when learners go to the advanced level with unclear understanding, errors become fossilized and even advanced learners use them with confusion. Teaching many roles at the beginner level can be burdensome for learners, but it is important to have opportunities to teach about the roles of “-(으)ㄹ” and “-는” other than their tenses.

      • 한국어 관형사형 전성어미 ‘-던’에 대한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이진현 한국외국어대학교 KFL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26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expressions in Chinese that correspond to the Korean adnominal past tense ending ‘-deon(-던)’ and to assist the understanding of Korean language learners in Chinese-speaking regions. In Chapter 1, the research purpose was described, followed by a detailed examination of previous studies categorized into topics such as the analysis of ‘-deon(-던)’, research on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Chinese, and studies on learners' usage patterns and error patterns. Chapter 2 explored the theoretical foundation of the contrastive analysis hypothesis guiding this study and summarized the key content of the Difficulty Hierarchy Theory. In Chapter 3, the syntactic and semantic functional features of the targeted item, ‘-deon(-던)’, were analyzed. Based on this, the study established the semantic-functional categories of ‘-deon(-던)’, considering them especially important. Adapting 서만·유나(2021) theory with some modifications, the study reorganized the categories for the semantic functions as [진행] (progress), [지속] (continuity), [반복/습관] (repetition/habit), and [미완/중단] (incomplete/discontinued). Chapter 4 constructed corresponding expressions for the semantic functions of ‘-deon(-던)’ proposed in Chapter 3. Initial analysis of issues identified through previous corresponding expression studies was conducted, followed by an analysis of the characteristics of Chinese grammatical elements corresponding to the key attributes of ‘-deon(-던)’ Examples were provided to illustrate the corresponding expressions. Chapter 5 applied the Difficulty Hierarchy Theory to predict the difficulty level of the proposed corresponding expressions. It was initially applied at the syntactic category level and then extended to include the semantic functional categories of ‘-deon(-던)’ The significance of the results was also discussed. Chapter 6 concluded by summarizing the progress up to Chapter 5. The essential purpose, key content, results, limitations, and other aspec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for closure.

      • 한국어 전성어미에 대한 중국어 대응 표현 연구 : 전성어미 구성의 번역 양상을 중심으로

        부흐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167791

        이 연구는 다양한 하위 유형과 의미 양상을 갖는 한국어 전성 어미는 선행 단어와 결합에 따르면 중국어를 어떻게 대응하는지를 도출하는 데 목적이다. 대조언어학에 관점에서 출발하여 객관성을 보완하기 위해 실제 언어 자료 한국어 신숙경의 장편소설 『엄마를 부탁해』와 人民文学出版社에 편집한 薛舟·徐麗(2013) 역 중국어 번역본 『妈妈, 你在哪里?』, 조남주의 장편소설 『82년생 김지영』의 원본과 贵州人民出版社에 편집한 尹嘉玄(2019) 역 중국어 번역본 『82年生的金智英』에 나타내는 용례를 분석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기존 연구의 어미 체계와 중국어 어순(语序), 조사(助詞), 겹품사(兼类词)에 대해서 논의하였다. 제3장에서는 대조 언어학의 대응 법칙에 따라 한국어 명사형 어미, 관형사형 어미, 부사형 어미는 선행 품사에 따라 동사, 형용사 혹은 지정사와 결합하여 각각 유형에 따르면 중국어 대응 표현을 어떻게 나타내는지를 논의하였다. 먼저 제3 장에서 한국어 명사형 어미는 ‘-(으)ㅁ, -기, -ㄴ/는 것’의 중국어 대응을 살펴보았다. 이는 주로 有标记性名词化 ‘的자구’와 非标记性名词化 즉 단어나 어휘의 품사는 동사나 형용사이지만 문장에 주어, 목적어 자리에 나타나기로 실현된 것과 대응하였다. 제4장에서는 관형사형 어미의 중국어 대응 표현을 살펴보았다. 먼저 관형사형 어미 ‘-(으)ㄴ’은 동사와 결합하여 중국어의 수식 관계를 나타난 结构助詞 ‘的’과 대응하였다. 또한, ‘-(으)ㄴ’은 상태와 과거 의미가 나타날 때 動態助詞 ‘着’, ‘过’, ‘了’ 혹은 時間副詞 ‘已经’, ‘曾经’ 등과 대응하였다. ‘형용사 어간+-(으)ㄴ’의 중국어 대응은 주로 结构助词 ‘的’, ‘之’ 혹은 ‘관형어+중심어’의 구조로 나타났다. ‘-(으)ㄴ’은 지정사(이다/아니다)와 결합하여 중국어 结构助词 ‘的’, ‘为’, 혹은 ‘관형어+중심어’ 등의 구조와 대응하였다. 관형사형 어미 ‘-는’은 중국어의 ‘동사+的’, ‘동사+着的’ 또한, 수식관계를 나타내는 ‘관형어+중심어’, ‘수식구조의 어휘’의 표현과 대응하였다. 한편, ‘있다/없다+-는’은 중국어 대응에서는 ‘있다/없다’가 원래 지닌 의미와 함께 표현하므로 ‘(没)有…的’, ‘着…的’이 나타났다. 관형사형 어미 ‘-(으)ㄹ’은 다양한 의미 기능을 지니며 먼저 ‘-(으)ㄹ’은 미확정, 추측이라는 의미가 나타낼 때는 能愿動詞 ‘可以₁, 会₃, 要₃’와 대응하였고 예정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時間副詞 ‘即将’ 혹은 ‘要₁+동사+的’ 등과 대응하였다. 의지·의도의 의미를 나타낼 때는 能愿动词 ‘想, 要₁, 应该₁’와 대응하였다. 수식 기능만을 나타낼 때 ‘…的’, ‘…的时候’로 대응하였다. 또한, ‘명사+지정사(이다/아니다)+-(으)ㄹ’의 중국어 대응은 ‘是…的时候’로 , ‘-았/었+-(으)ㄹ’의 중국어 과거 의미를 나타내는 동태조사 ‘了₁’ 혹시 時間副詞 ‘已经’, ‘刚+동사+时’, ‘以前…时候’과 대응하였다. 관형사형 어미 ‘-던’은 동사와 결합하여 ‘동사+的’, ‘동사+过’, ‘동사+了’ 등과 대응하였다. 형용사와 결합하여 ‘的’, ‘曾(曾经)+的’과 대응하였다. ‘있다/없다+던’은 ‘正…的’와, ‘명사+지정사(이다/아니다)+-던’은 ‘的’ 또는 과거 경험을 나타내는 ‘原本…的’와 대응하였다. ‘-았/었던’은 중국어 ‘동사+过的’, ‘曾经…过的’, ‘已经…的’, ‘先前/以前…的’ 등과 대응하였다. 제5장에서 부사형 어미의 중국어 대응 표현을 살펴보았는데, 먼저 ‘-게’는 ‘…상태로, …정도로’의 의미가 지니며 중국어 ‘형용사+的’, ‘형용사+地(Ø)’와 정도를 나타내는 ‘得+정도보어’과 대응하였다. ‘-도록’의 중국어 대응은 정도부사로 쓰이는 ‘得’, 사태의 발전하는 정도를 나타낸 ‘到’, ‘以至于’, 사태의 목적을 나타낸 ‘为了’, 어느 정도까지 허가됨을 나타낸 ‘可以’로 대응했으며 ‘형용사+-도록’은 ‘到+정도보어’, ‘得+정도보어’를 대응하였다. 이상 분석 과정을 통해 한국어 전성 어미의 중국어 대응 표현을 논의하였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the assemblage pattern of Korean function-converting corresponds to Chinese. Data were used to ensure validity from the perspective of contrasting linguistics. Examples of Cho Nam-joo's novel 『82년생 김지영』 and 『82年生的金智英』 in Chinese translation of 尹嘉玄 edited in the 贵州人民出版社 were analyzed. And Shin Kyung-sook's novel 『엄마를 부탁해』 and 『妈妈, 你在哪里?』, a Chinese translation of 薛舟·徐麗 edited in the 人民文学出版社, Chapter 2, previous studies on the Korean mother system and Chinese word order, investigation, and article history were reviewed. Chapter 3 examines the preceding part-of-speech that combines with noun endings, adjective endings, and adverb endings in Korean, and discusses the corresponding expressions in Chinese. First, we looked at the Chinese correspondence of the noun endings in Korean, '-(으)ㅁ, -기, -ㄴ/는 것'. This mainly corresponded to the Chinese ‘的’, and the part-of-speech of a word is a verb or an adjective, but in a sentence, it corresponds to what appears in the place of the subject and the object. In Chapter 4, we looked at the Chinese counterparts of the adjective endings. First, the adjective ending ‘-(으)ㄴ’ was combined with a verb and corresponded to the proposition ‘的’, which indicates a figurative relationship in Chinese. Also, when ‘-(으)ㄴ’ indicates a state and past meaning, it corresponds to Chinese ‘着’, ‘过’, ‘了’, ‘已经’, ‘曾经’, etc. The combination of ‘-(으)ㄴ’ between the adjective stems mainly corresponds to the structure of ‘的’ , ‘之’ in Chinese or ‘determiner+core word'. When ‘-(으)ㄴ’ is combined with a c1opula, it corresponds to the structure of Chinese ‘的’ , ‘为’ or ‘determiner+的(Ø)+core word’. The adjective ending ‘-는’ corresponds to the Chinese ‘的’, ‘着Ø…的’ or the expression ‘determiner+core word’ and ‘the vocabulary of the formula structure’ On the other hand, ‘-는’ combined with ‘is’ or ‘not’ corresponds to ‘(没)有…的’, ‘着…的’ because it is expressed together with the meaning of ‘is’ or ‘not’ in Chinese. The adjective ending ‘-(으)ㄹ’ has various semantic functions, When used in the meaning of unconfirmed or guessed, it corresponds to ‘可以₁, 会₃, (将)要₄, 能(類)’. When used in the meaning of predestination, it corresponds to ‘即将’ or ‘要₁…的’, ‘就…了’. When expressing will or intention, it corresponds to ‘想, 要₁, 应该₁’, When only the modifier function appeared, it was matched with ‘在(Ø)…的时候’, and ‘determiner+core word’. In addition, ‘-(으)ㄹ’ combined with copula corresponds to Chinese ‘是…’, and ‘-(으)ㄹ’ combined with ‘-았/었-’ corresponds to Chinese ‘了₁, 已经/刚/以前’. The adjective ending ‘-던’, which is combined with a verb, corresponds to Chinese ‘的, (从前)…过, 了₁/了₂’, etc. When combined with an adjective, it corresponds to ‘的, 曾(曾经)’. ‘던’ combined with ‘있다’ and ‘없다’ corresponded with ‘(在)…的’, and ‘던’ combined with copula corresponded with ‘的’. In addition, ‘-았/었던’ corresponded to Chinese ‘过, 了₁/了₂, 曾经…过的, 已经…的, 先前/以前/原本…的’, etc. Chapter 5 discusses Chinese counterparts of adverb endings. ‘-게’ has the meaning of a certain state or degree and corresponds to the Chinese ‘的, 地, 得, 很’. The Chinese correspondence of ‘-도록’ corresponds to ‘得’, which is used as an adverb of degree, and ‘到, 以至于’ to indicate the degree of development of an event. In the case of indicating the purpose of the case, it corresponds to ‘为了’ and to the extent that it is permitted, ‘可以’ corresponds to it.

      •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 교육 방안 연구 : 관형사형 어미 ‘-(으)ㄴ,던,았던’을 중심으로

        LE THI LINH 인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85855

        관형사형 어미는 관형절로 복합 문장을 만들기 위해 초급 단계에부터 배우는 문법 항목이다. 한국어의 관형사형 어미는 베트남인 학습자에게 낯설고 어려운 문법 항목 중 하나이다. 이 논문의 목적은 과거 시제 관형사형 어미의 의미 기능 간의 차이점을 알아보고, 베트남인 학습자를 위한 관형사형 어미에 대한 효과적인 교수 방안을 제시할 것이다. 제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제2장에서는 한국어 관형사형 어미의 개념과 특성을 제시하였다. 제3장에서는 제2장에 제시한 이론에 의하여 한국과 베트남에서 주요 사용하고 있는 한국어 교재에 제시된 과거 시제 관형사형 어미 ‘-(으)ㄴ, -던, -았던’을 분석하여 관형사형 어미에 대해 어떻게 교육하고 있느냐를 살펴보고 분석 결과를 제시하였다. 제4장에서는 과거 시제 관형사형 어미의 개념을 제시하여 실제 동사 문장에서 어떻게 사용하여 관형절로 변환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는 과정을 통하여 관형사형 어미를 사용법을 설명하였다. 다음에는 중급 단계 학습자를 대상을 위해 관형사형 어미‘-(으)ㄴ, -던, -았던’의 상·서법 의미 교육 방안을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베트남인 중급 학습자를 위한 관형사형 어미‘-던’ 및 ‘-았던’간의 상∙서법 의미의 공통점, 차이점을 대조에 대한 실제 수업 모형을 제시하였다. 제5장에서는 제1장에서 제4장까지의 중심 내용을 정리하였다. Adnominal ending (An ending of a word attached to the stem of a verb or an adjective, which enables the word to function as a determiner), which form complex sentences through relative clauses, are a grammatical item taught from the beginner level. Korean adnominal ending are one of the grammar items that are unfamiliar and challenging for Vietnamese learners.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xplore the differences in the meaning and function of past tense adnominal ending and to present effective teaching methods for Vietnamese learners. Chapter 1 present the purpose and necessity of the study. Chapter 2 outlines the concepts the concepts and characteristics of Korean adnominal ending. Chapter 3 analyze the past tense adnominal ending ‘-n, -deon, -assdeon’ presented in Korean textbooks used frequently in Korea and Vietnam, based on the theories introduced in Chapter 2, and examining how these endings are taught and presenting the analysis results. Chapter 4 explains the usage of attributive endings by presenting the concept of past tense adnominal ending and demonstrate how they can be used in verb sentences to transform into relative clauses. It will also present teaching methods for the aspectual and modal meanings of adnominal ending for intermediate level learners. Lastly, an actual lesson model was presented to contrast the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in aspectual and modal meanings between the attributive endings ‘-deon’ and ‘-assdeon’ for intermediate Vietnamese learners. Chapter 5 summarize the main content from Chapters 1 to 4.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