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관광형 도시재생 활성화 요소에 대한 성과인식 및 지속적 사업지지도 : 부산시 도시재생을 중심으로

        이승연 경희대학교 관광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3

        도시계획 및 개발의 패러다임이 도시의 정체성과 자립성을 중점에 둔 종합적 지역 활성화를 목표로 한 도시재생으로 변화하면서, 관광형 도시재생이 도시관광 트렌드로 급부상하고 있다. 쇠퇴한 도심과 관광의 결합을 통한 시너지 효과로 다수의 도시재생 관광지가 활성화되고 있지만, 관광을 통한 지역경제 활성화라는 이면에는 또 다른 사회문제가 발생되고 있다. 관광형 도시재생에 있어 지역사회 및 사업주체 간의 갈등을 최소화하고, 주민 참여와 지속적 지지를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지역민들의 인식조사 및 의견 수렴이 필수적으로 선행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관광형 도시재생사업 성과와 관련된 연구는 주로 주민과 관광객의 만족도, 참여도, 장소애착도에 대한 연구가 집중되어 이뤄졌으나, 주민이 체감하고 인식하는 사업성과 및 지지도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는 주민의 성과인식에 중요하게 작용하는 요인을 분석하고 성과인식과 지속적 사업지지도와의 영향관계를 분석하여, 보다 실효성 있는 개발계획 수립과 도시재생 활성화 지원정책의 시사점을 이끌어내는 것에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부산시 대표 도시재생 관광지인 감천문화마을, 비석마을, 흰여울문화마을을 중심으로 관광형 도시재생 활성화 요소에 대한 주민들의 성과인식을 지역적 성과인식과 관광적 성과인식으로 구분하여, 성과인식이 지속적 사업지지도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했다. 요인분석을 통해 관광형 도시재생 활성화 요인으로 사회·환경적, 문화·네트워크적, 경제적, 정책지원적 4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실증분석을 통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관광형 도시재생 활성화 요소와 지역적 성과인식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사회·환경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이 지역적 성과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문화·네트워크적 요인과 정책지원적 요인은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관광형 도시재생 활성화 요소와 관광적 성과인식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사회·환경적 요인과 경제적 요인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반면, 문화·네트워크적 요인은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주민들의 성과인식과 지속적 사업지지도 간의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지역적 성과인식과 관광적 성과인식 모두 지속적 사업지지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과적으로 관광형 도시재생에 있어 사회·환경적 활성화와 경제적 활성화는 주민들의 성과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성과인식은 지속적 사업지지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다수의 선행연구의 사회교환이론에 부합하는 결과로써 관광형 도시재생에 대한 주민들의 성과인식이 지역개발을 지속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한다는 것을 재확인 시켜주는 결과이다. 반면 다수의 선행연구와 반대되는 결과로, 지역의 문화·네트워크적인 부분은 주민들의 관광적 성과인식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코로나19 거리두기로 인한 공동체 활동의 둔화와 관광산업 침체로 인한 중간지원조직의 역할 감소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제시한다. 향후 관광형 도시재생사업 추진 시 지역사회에서 필요로 하는 사회·환경적 사업 내용이 무엇인지 파악하고, 주민들의 의견을 수렴하는 과정이 반드시 수행되어야 하며, 시설조성 후 지역사회의 운영·관리가 실질적으로 가능한지 여부를 확인하여 주민역량강화(S/W)사업과의 연계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한편, 관광으로 인한 경제 활성화는 지역의 젠트리피케이션 및 오버투어리즘과 같은 문제를 발생시켜, 원주민 이탈 현상을 심화시키는 원인으로도 작용함으로, 지역사회의 양극화를 해소하고 지역경제 선순환을 고려한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또한 코로나19로 인한 지역사회 네트워크의 공백을 없애고 지역공동체 중심의 재활성화가 이뤄질 수 있도록 적극적인 지원과 대책마련이 필요하며, 지역 관광 재기에 대비한 갈등관리 및 방문객 교육 등의 구체적인 방안마련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 관광형 도시재생 사업지의 장소성 형성이 지역사회 애착과 태도에 미치는 영향 : 서울시 용산구 해방촌을 중심으로

        김경아 경기대학교 관광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33311

        쇠락한 지역의 전면철거가 아닌, 지역자원을 활용하여 다시 활동적인 지역으로 재생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도시재생 사업은 오늘날 국책사업으로 지정되는 등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기성 시가지의 노후된 주택의 정비와 부족한 기반시설을 공급하는 등의 환경 개선에만 치중했던 기존의 도시정비사업과는 달리 도시재생사업은 지역주민의 삶의 질 증진을 목표로 하는 만큼 지역주민의 참여와 지지가 중요하다. 다수의 선행연구에서 지역주민의 참여를 유도하고 긍정적 태도를 유발하기 위해 지역사회에 대한 관심과 애착은 개발과정에서 주요 고려요소라 하였으나 지역과 개발단계에 따라 그 결과가 다르게 나타났다. 도시재생사업의 결과 관광객이 증가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는데 이로 인해 같은 장소에 관광공간과 생활공간이 공존하는 동일지역 다기능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결과를 가장 직접적으로 체감하는 것은 지역 주민이기에 초기엔 성공한 도시재생사업이라 평가하더라도 후에 그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 이에 도시재생사업 사업의 결과로 형성된 장소성 요인이 지역주민의 도시재생에 대한 태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필수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지지도와 참여를 적극 유도 할 수 있는 애착과 장소성간의 관계를 고찰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이와 함께 관광과 거주지가 공존하는 도시재생사업이 본래의 목적인 주민의 삶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기여하는가를 사업 지지도와 향후 참여의사로 대변하여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러한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서울특별시 용산구의 용산가2동 해방촌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였다. 연구자료는 지역주민을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방식으로 수집하였으며 총 139부 중 113부를 분석에 활용하였다. 분석 방법으로는 통계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 18을 활용하여 기술통계와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다음과 같은 연구 결과를 얻었다. 첫째, 해방촌의 장소성을 형성하고 있는 요인을 물리적, 활동적, 인적 요소로 구분하여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물리적 요소는 다시 신규편의시설과 기존편의시설로 나눌 수 있었다. 둘째, 장소성 형성요인과 지역애착과의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인적요소가 지역정체성에 정(+)의 영향을, 기존편의시설은 사회적친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신규편의시설은 정체성과 사회적 친분에 모두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 하였다. 셋째, 도시재생사업의 지지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개인적 관여도’와 ‘사업 효과성인지’, ‘설명회 참여경험’, ‘의존성’, ‘프로그램 참여 여부’가 유의한 변수임을 확인하였다. 넷째, 도시재생사업에 대한 참여의사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분석한 결과 ‘사업 효과성인지’, ‘개인 관여도’, ‘정체성’, ‘활동요소’는 정(+)의 영향을, ‘현재 진행상황인지’는 부(-)의 영향관계를 지니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관광과 관련한 특정한 장소(해방촌)를 조사대상지로 한정하여 거주민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기 때문에 일반적인 도시재생사업으로 일반화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그러나 도시재생사업의 중간단계에서 향후 진행해야하는 방향과 긍정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는 방안을 찾았다는데 본 연구의 의의가 있다고 생각된다. 키워드 : 도시재생, 장소성 형성요인, 애착, 참여의사, 지지도, 관광형 도시재생사업 The Urban Renewal Project have the purpose of renewing the neglected area by making the good use of the local resources, instead of tearing down the whole region. The importance of this project is well-recognized and is designated as a national project these days. The Urban Renewal Project is different from the previous Urban Rehabilitation Project, which focuses only on the environmental development, such as improving the aging houses of built-up area. It focuses on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residents’ life that requires the participation and supports from the residents. According to the several preceding researches, to induce the residents to participate and bring the positive attitude, the interest and attachment are important factors in the development process, however, the result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region and the development step. Because the result of the Urban Renewal Project shows that the case of the increase tourism is growing, the multi-function of having the tourism space and the living space in the same area occurs. The residents are the ones that the actually feel this result, so that the assessment of the Urban Renewal Project will change afterwards even though it was estimated as the successful project at the beginning. Therefore, there should be the research that shows how the the cause of the placeness that is formed by the result of the Urban Renewal Projects affects the attitude of the residents towards the projects. This study has the purpose of contempl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attachment and placeness to induce the supports and participation towards the Urban Renewal Projects. Along with this, it has the purpose of identifying the original purpose of the Urban Renewal Projects, which is to improve the quality of residents’ life even with the coexistence of tourism and residence, by representing the support for the project and the participation intention afterwards. To solve this research problem, the subject of the study is dedicated as Haebangchon Yongsanga 2, Yongsan-gu, Seoul. The research materials were collected with convenience sampling method by the residents, and 113 copies out of 139 copies were utilized to be analyzed. The analyzing method was to use SPSS, the statistics package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Through these processes, the study results are shown as below. First, the result of factorial analysis by classifying the causes into the physical, active, and human factors that were formed as the placeness of Haebangchon shows that the physical factor can be also divided as new amenities and existing amenities. Secon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cause of placeness and place attachment shows that human factor gives the regional identity the positive effects, and the existing amenities give the social intercourse the positive effects. On the other hand, the new amenities give the identity and the social intercourse the negative effects. Third, the result of analyzing the influencing relationship of affecting the support for the Urban Renewal Projects show that ‘Personal Involvement’, ‘Project Effectualness’, ‘Participation on Briefing Session, ‘Dependency’, and ‘Program Participation’ are variable factors. Fourth, the result of relationship of influencing the participation intention about the Urban Renewal Projects shows that ‘Project Effectualness’, ‘Personal Involvement’, ‘Identity’, and ‘Active Factors’ give positive effect, but ‘Current Progress’ has the negative influencing relationship. Since this study limited the target to be the specific area (Haebangchon) related to tourism and surveyed residents, it is hard to generalize it as the general Urban Renewal Projects, however, this study is relevant that it gives the method to bring the positive results and directions to further proceed at the middle stage of the Urban Renewal Projects. Keywords: Urban Renewal, cause of placeness, attachment, participation intention, support, touristic urban renewal project

      • 전통시장의 관광자원화와 그 공간의 변화 : 성북구 돈암시장에 대한 사례연구

        김현진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118558

        The following study focuses on defining and analyzing the cultural development of the traditional market as a tourism resource. Additionally, the study will examine the sustainability of cultural tourism markets which are often referred to as an alternative to the somewhat sedentary traditional marketplaces by identifying how the traditional market as a tourism resource is perceived by the merchants and representatives. To begin, the types of changes the traditional market progressed through were examined. In order to identify precise changes, the Donam Market in Seongbuk-gu was selected as the research subject and was examined based on three events. The first is in 1981 when <Market Law> was comprehensively amended. The traditional market policy, originally maintained without noticeable changes after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egun to be managed by the national policy with the 1981 <Market Law> amendment. The second is the 1997 Foreign Exchange Crisis (IMF), when the foreign assets came in and the domestic retail commerce expanded. The late 1990s was a period of time when the number of department stores and supermarkets increased, and the foreign asset inflow affected the retail market. Such modern retail establishments played an immense role in the stagnation of the traditional marketplace. Third was in 2009 when the disintegrated marketplace was unified under an individual identification as the “traditional” market. Previously referred to as a marketplace, the market had been unified in 2009 as a result of the <Special Act on the Development of Traditional Markets and Shopping Districts>. This identification was processed to rid stereotypes as an outdated location, and to initiate a social and cultural value to the perception of the market. Along with examining how the market progressed accordingly to each period, more changes were reviewed by analyzing the urban development projects that took place in Seongbuk-gu. Next, the development of the Donam Market and its surroundings were analyzed by dividing the production of space dimensions. It was perceivable that the Donam Market had aspired to overcome its stagnation by modernizing through the following pursuits: The reconstruction of the Seongbuk-gu district, the attainment of substantial locations through practices like the Seongbukcheon restoration project, the emergence of commercial districts, the provision of an area for the demolished, the establishment of a charitable imagery by promotions through mass media, and detailed evaluations of local merchants’ experiences an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hanging market and actual commerce. Finally, the location and the imagery that the Donam Market holds as a cultural tourism resource was examined. It was observable how the market used the image of a traditional sky fairy and the market’s logo in order to emphasize tradition and culture, as well as produce a sense of community and locality. Furthermore, it was noticeable how the Donam Market was specifically organized into ‘cultural area / culture + retail area / retail,’ reinforcing its meaning through spatial characteristics. To conclude, the traditional market progressing based on culture, was analyzed in terms of the development through society and environment, the imagery and meaning, and the perceptions that merchants hold regarding the changes. Also, the elements that make up the area produced this way were analyzed to examin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the environment surrounding the market. As a result, this study exemplifies the obligation for a critical analysis regarding the sustainability of a cultural tourism resource market as an alternative to a stagnant traditional marketplace, in addition to providing a detailed case analysis of what majority of the traditional marketplaces face in reality. 본 연구는 관광자원화 되는 전통시장 공간에 집중해 문화를 중심으로 새롭게 만들어지는 시장 공간의 이미지를 파악하고 의미를 분석한다. 그리고 관광자원으로 활용되는 시장이 상인을 비롯한 관계자들에게 어떻게 인식되고 있는가를 파악해 침체된 전통시장의 대안으로 언급되는 문화관광형 시장의 지속가능성을 살펴본다. 먼저, 전통시장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인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 성북구 돈암시장을 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세 가지 사건을 기준으로 시기를 구분했다. 첫째, <시장법>이 전면 개정된 1981년이다. 일제강점기 이후 큰 내용변화 없이 유지된 전통시장 정책은 1981년 <시장법> 전면 개정을 계기로 국가 정책에 의해 관리되기 시작했다. 둘째, 외국자본이 들어오고 국내 소매업태가 확장한 1997년 외환위기(IMF)다. 1990년대 후반은 백화점과 대형마트가 증가하고, 외국 자본이 유입하면서 소매 시장에 영향을 준 시기다. 마트 같은 현대적 소비 공간의 확산은 전통시장이 침체되는데 큰 영향을 미쳤다. 셋째, 혼재된 시장의 명칭이 ‘전통’시장으로 통일 된 2009년이다. 재래시장 혹은 전통시장으로 불리던 시장은 2009년 <중소기업의 구조개선과 재래시장 활성화를 위한 특별조치법>을 계기로 단일화된다. 전통시장으로 명칭이 통일 되면서 오래된 공간이 아닌, 역사적 배경에서 이어온 사회, 문화적 공간으로 시장의 의미를 만들려는 정책과 인식 개선이 진행됐다. 각 시기에 따른 시장 변화와 함께 성북구의 도시 개발 사업을 분석해 시장을 둘러싼 주변의 변화도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돈암시장과 그 주변의 변화를 공간의 생산 차원으로 나눠 분석했다. 성북구 지역 재개발, 성북천 복원 사업 등 직접적인 공간의 실천, 떠오르는 신흥 상권, 철거민들의 투쟁 공간, 인정이 넘치는 시장처럼 신문 기사나 상인회의 홍보를 통해 형성된 공간의 재현, 변하는 시장에 대한 상인들의 생각과 실제 장사와는 무관하다는 경험에 기반을 둔 재현의 공간을 각각 분석해 사회적 생산물로서, 침체를 극복하기 위해 현대화와 문화관광화를 시도하고 있는 돈암시장을 파악했다. 마지막으로 문화관광화 된 돈암시장에 대한 이미지 분석과 공간읽기를 시도했다. 전통과 문화를 강조하기 위해 공간의 재현 차원에서 새롭게 만들어진 선녀 이미지와 시장의 로고가 강조하고자 하는 이미지를 분석해 지역성을 시장에 재현하고, 공동체 의식을 강조하는 시장의 모습을 파악했다. 그리고 현재 운영되는 시장 공간의 배치와 구성요소들로 돈암시장과 그 주변 공간의 특징을 정리해 각각의 공간이 ‘문화 공간 / 문화+자본 공간 / 자본 공간’으로 구분되고 의미를 형성하고 있음을 읽어냈다. 문화를 중심으로 활성화되는 전통시장을 사회와 주변 환경의 변화, 만들어지는 이미지와 의미, 변화에 대한 상인들의 인식을 통해 공간의 생산 차원에서 분석을 시도했다. 또한 이렇게 생산된 공간과 구성 요소들을 분석해 다시 구분되는 시장과 그 주변 공간의 특징을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의 결과, 침체된 전통시장 활성화로 언급되는 문화관광형 시장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비판적 분석의 필요성을 환기시키고, 다수의 전통시장이 직면하고 있는 상황을 구체적인 사례분석으로 제시하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