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전통예술공연장의 운영 개선 방안 연구 : - 한국문화의집 KOUS 극장을 중심으로 -

        손진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2347

        전통예술 공연장의 운영 개선 방안 연구 - 한국문화의집 KOUS 극장을 중심으로 - 손 진 영 한국전통문화대학교 일반대학원 국제문화유산협동과정 K-POP 공연이 대세인 이때, 전통문화예술은 민족의 정체성과 관련되어 있어 중요하다. 그럼에도 우리나라 대표 전통문화예술 공연장인 한국문화의집(KOUS ; KOrea cUltural houSe) 공연에 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연구자는 KOUS 공연을 비롯한 전통문화예술 공연의 발전을 위하여 연구에 착수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공연장의 공간적 특성과 정체성을 준거로 삼아, 공연 운영현황을 살펴 개선방향을 제시하는 것이다. 연구의 방법은 우선 설립목적과 운영방침, 구조와 형태 등 KOUS 자료 분석으로 공연장 성격을 규정하고, 이를 준거로 공연목록 검토, 관객의 설문 자료, 관객심층 면접을 통해 다음과 같이 문제점을 찾고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첫째로 KOUS 자료 분석으로 밝힌 공연의 기준(준거)은 두 방향이었다. 하나는 설립목적과 운영방향과 관련된 ‘전통문화예술의 보급, 선양, 발전이라는 공공의 이익을 추구’, 또 다른 하나는 중소규모 공연에 적합한 (중)소극장, 관객과의 원활한 소통을 위한 돌출 극장이며, 용도로는 다양한 장르와 형태의 예술 공연을 위한 다목적 극장이었다. 둘째로 ‘전통문화예술의 보급, 선양, 발전이라는 공공의 이익 추구’라는 준거로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나타난 문제는 홍보의 미흡, 외국인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나 관광 상품화 노력의 미흡, 또한 민관협력이나 네트워크 형성 노력의 미흡이었다. 이에 홍보의 미흡에 대해서는, 지인중심의 인지경로를 탈피하여 홍보의 다양화와 선진화를 제안하였다. 특히, TV 등 대중매체, 인터넷, SNS 등 첨단 매체 활용을 강조하였다. 외국인에 대한 서비스와 관광 상품화의 미흡에 대해서는, 밖으로는 한류에 편승하거나 성공한 선진 사례를 벤치마킹해 공연의 세계화를 이루고, 안으로는 관광업체 등 내한 외국인 관련 단체와 연계하여 방한하는 외국인 유치를 제시하고, 공연장내 외국인 편의 시설을 갖출 것을 제안하였다. 민관협력이나 네트워크 부족에 대해서는, 교육계와 연계하여 체험학습 등의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고 기타 노인 단체, 지방문화단체와 연계할 것을 제시하였다. 셋째로, ‘극장규모와 형태를 준거’로 관련 자료를 분석한 결과, 여성 지향적, 프로그램에 따른 연령층의 편중 등의 편향성, 잠재고객 유치 노력 부족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공연의 편향성에 대해서는‘균형’있는 공연 프로그램의 편성과 운영을 제시했다. 이를 위해 남성 취향을 고려한 프로그램의 제작이나 편성을 해야 하고, 연령 편중 현상을 해소하기 위해 전통공연과 퓨전공연의 균형을 강조하였다. 잠재고객 유치와 관련해서는 교육의 장으로 활용하는 등 사전노출을 강화할 것을 제시하였다. 넷째로, 개선안을 종합하여 ‘KOUS 극장의 한국 전통문화예술공연장 랜드마크화’를 궁극적 지향점으로 삼아 장단기전략을 제시하였다. 단기 전략으로는, KOUS 공연장 홍보의 다양화 및 강화(홈페이지, 재단 공연 등 각종 협력공연의 시작과 말미 등 홍보), 협력 공연 추진, 교육계 및 관광업계와 협력한 공연장 활용안을 제시하였다. 장기 전략으로는 한국전통문화대학교의 전통문화예술공연학과 설치 유도, 국내외 관련 대학이 KOUS 극장을 체험코스나 실습장으로 활용하도록 유도, 공연장 외형에 특정 상징물(상징탑) 설치, 주차장 확대 및 전체 건물 사용의 재구조화 등을 제시하였다. 주제어 : 한국문화의집(KOUS), 전통공연, 공연장 성격, 관객 특성, 관람성향, 관객 만족도, 운영 개선안, 랜드마크

      • 전통공연예술의 제약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관객 특성에 따른 비교분석

        오예담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31

        본 연구의 목적은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제약이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연구로써 전통공연예술의 장벽, 제약요인을 다양하게 분류하고 관객 특성에 따라 세분화하여 제약과 관람의도 간의 차이를 비교 분석함에 있다. 선행연구 및 이론적 고찰을 통해 측정항목을 구성하여 흥미성 제약, 문화적 편견, 시간·비용 제약, 정보 제약, 시설 제약, 동반자 제약의 전통공연예술 제약요인이 도출되었다. 최종적으로 도출된 제약요인과 향후 관람의도와의 관계를 검증하였으며, 관객 특성인 연령, 관람경험, 교육경험을 기준으로 집단을 분류하여 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전통공연예술의 제약 하위요인 중 흥미성 제약, 문화적 편견, 시간·비용 제약, 정보 제약이 관람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 흥미성 제약, 문화적 편견, 시간·비용 제약, 정보 제약을 크게 느낄수록 관람의도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세분 집단 별 차이를 분석한 결과 노년층의 경우 흥미성 제약과 문화적 편견이, 비노년층의 경우 시간·비용 제약, 정보 제약이 관람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통공연예술 관람경험이 없는 집단은 흥미성 제약, 시간·비용 제약, 정보 제약이 관람경험 집단은 문화적 편견이 관람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통공연예술 교육경험이 없는 집단은 흥미성 제약, 문화적 편견, 정보 제약이, 교육경험 집단의 경우 문화적 편견이 관람의도에 유의한 부(-)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전통공연예술에 대한 소비행동을 심층적으로 예측하고 이해할 수 있는 모델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며, 관객 특성에 따른 비교분석을 통해 집단 별 세분화된 접근 방안을 파악함으로써 실무적으로 의미 있는 시사점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In order to examine the influence of limitations in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on audiences’ intention to attend a performance, this study conducts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constraints and the intention by categorizing various constraints and barriers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subdividing the characteristics of audiences. The measurement items for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drawn from the literature review and theoretical analysis were interest constraint, cultural bias, time and cost constraint, information constraint, facility constraint, and partner constraint. The study ve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raints that were ultimately drawn for measurement and the future intention to attend a performance, and categorized the audiences into groups by their age, experience of attending a performance, and educational experience to analyzed the existence of difference in their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attend a performance. The result showed that among the sub-factors of constraints, interest constraint, cultural bias, time and cost constraint, and information constraint ha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attend a performance. It means that the stronger the audiences feels the constraints, the less intention they had to attend a performance. Also, the result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 between the subdivided groups showed that interest constraint and cultural bias for older people and time and cost constraint and information constraint for younger people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intention to attend a performance. Interest constraint, time and cost constraint, and information constraint for the group with no experience of attending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cultural bias for the group with the experience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audiences’ intention to attend a performance. Moreover, interest constraint, cultural bias, and information constraint for the group with no educational experience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cultural bias for the group with the educational experience showed a negative influence on the audiences’ intention to attend a performance. The study results suggests a model that can predict and deeply understand the consuming behavior of audiences in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offers a practical and meaningful implications by understanding the approaching measures subdivided by groups based on a comparative analysis on the characteristics of audiences.

      • 뮤지컬 출연 아이돌에 대한 팬덤 특성과 소비가치가 관객몰입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호서릉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16030

        This study focuses on the transformative impact of idol-centered fandom culture on cultural consumption patterns and the resulting impact on the Korean musical market, and how idol fandom characteristics and consumption value affect audience immersion and repurchase intention in the Korean musical industry. The purpose was to find out whether The results of testing the hypothesis based on 558 survey data are as follows. First, fandom identification and participation appeared to be major factors predicting audience immersion, while distinctiveness had no significant effect. This suggests that the uniqueness of a fandom may attract initial interest but is less important for long-term commitment. Second, it was found that the distinctiveness, identification, and participation of fandom characteristic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and that strong fandom participation could actually have a negative effect on immersion and repurchase intention. Third, in terms of consumption value, the influence of social value and ego value was rejected, but emotional and aesthetic values ​​were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audience immersion. These results show that K-pop idols' participation in musicals can play an important role in increasing audience immersion and repurchase intention. Fourth, the social value, ego value, emotional value, and aesthetic value of consumption values ​​all influenced repurchase intention. This means that the value audiences derive from idol-related consumption directly influences their decisions to revisit music experiences. Fifth, it was confirmed that audience immersion has a direct positive effect on repurchase intention, which means that the more immersed the audience is in the musical, the stronger the repurchase intention. Sixth, audience immersion was found to play a mediating rol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fandom distinctiveness, identification, participation, and repurchase intention. Lastly, various dimensions of social value, ego value, emotional value, and aesthetic value of consumption value. It emphasizes the mediating role of audience immersion in influen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and repurchase intention. This study provided an understanding of how these changes deepen audience participation and increase the desire to revisit musical experiences in a cultural environment where K-pop idols are actively entering musical theater. It is anticipated that these research results will have important implications for musical production and marketing strategies. 본 연구는 아이돌 중심의 팬덤 문화가 문화 소비 패턴에 미치는 변화적 영향과 그에 따른 한국 뮤지컬 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주목하고, 아이돌의 팬덤 특성과 소비가치가 한국 뮤지컬계에서 관객몰입과 재구매의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558개의 설문 데이터를 바탕으로 가설을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팬덤의 동일시와 정보공유성이 관객 몰입을 예측하는 주요 요소로 나타났으며, 반면 차별성은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는 팬덤의 독특함이 초기 관심을 끌 수 있으나 장기적인 몰입에는 덜 중요함을 시사한다. 둘째, 팬덤 특성의 차별성, 동일시 및 정보공유성이 재구매 의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으며, 강력한 팬덤 참여가 오히려 몰입과 재구매 의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이 발견되었다. 셋째, 소비가치 측면에서는 사회적 가치와 자아적 가치의 영향이 기각되었으나, 감정적 및 미적 가치가 관객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K-pop 아이돌의 뮤지컬 참여가 관객 몰입과 재구매 의도를 높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넷째, 소비가치의 사회적 가치, 자아적 가치, 감정적 가치 및 심미적 가치는 모두 재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쳤다. 이는 관객이 아이돌 관련 소비에서 얻는 가치가 음악 경험을 재방문하는 결정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섯째, 관객몰입이 재구매의도에 직접적으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이는 관객이 뮤지컬에 더욱 몰입할수록 재구매의도가 강해짐을 의미한다. 여섯째, 팬덤의 차별성, 동일시, 정보공유성과 재구매의도의 관계에서 관객몰입이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지막으로 소비가치의 사회적 가치, 자아적 가치, 감정적 가치, 및 심미적 가치의 다양한 차원과 재구매의도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관객 몰입도의 매개 역할을 강조한다. 본 연구는 K-pop 아이돌의 뮤지컬 진출이 활발해지는 문화 환경에서 이러한 변화가 어떻게 관객의 참여를 더욱 심화시키고 음악적 경험을 다시 방문하려는 욕구를 높이는지에 대한 이해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연구 결과가 뮤지컬 제작 및 마케팅 전략에 중요한 시사점이 되기를 기대한다.

      • 공연예술 비(非)관람객 특성 및 요인분석 연구 : 라이프 스타일 AIO 분석을 중심으로

        손지영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15997

        본 연구는 공연예술 단체·기획사·공연장이 주목해야 할 중요한 주제이다. 공연예술 비관람객 무관심 집단을 중심으로 라이프스타일 측정항목을 세분화하고 라이프스타일 유형별로 비관람객 특성 및 요인을 분석하였다. 최근 들어 우리나라 공연예술 연구에서는 마케팅적인 접근 방법이 다각도로 활용되고 있는 추세다. 이 가운데 관객개발을 위한 마케팅 연구도 활발한 편이지만 관객의 본질을 이해하는 데는 여전히 미흡한 실정이다. 공연예술에서 관객은 필수 요소이다. 관객을 대상으로 하지 않은 공연은 없다. 그만큼 공연예술에서 관객이 차지하는 비중은 막중하다. 때문에 지금까지 관객개발을 위한 연구는 적잖게 이루어졌으나, 이는 공연 경험자를 대상으로 한 것이 대부분이다. 본 연구는 시각을 달리해 비관람객을 주목했다. 관람 유경험자도 중요하지만 관객개발의 본질은 관람 경험이 없는 사람, 즉 비관람객을 공연 현장으로 유인하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비관람객 특성 및 요인분석을 통해 그 답을 찾고자 하였다. 연구를 위해 연 1회 미만의 공연예술 비관람객을 대상으로 라이프스타일 AIO 분석기법을 활용하여 총 150명의 대상자에게 총 139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고 요인을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비관람객이 공연예술을 수요하지 않는 것은 단지 그들의 라이프스타일 즉, 살아가는 삶의 방법, 활동, 관심, 의견 차이에 있었다. 그동안 공연예술과 관객에 관한 연구에서는 관람객은 고학력, 고소득, 미혼자인 것으로 설명하여 비관람객이 저학력자, 저소득자, 기혼자일 것이라는 추측도 있었지만 본 연구결과에 따르면 비관람객은 저소득자, 저학력자, 기혼자만은 아니었다. 공연예술을 관람하거나 관람하지 않는 것은 단지 그들이 살아가는 삶의 활동, 여가, 방식, 취미, 관심, 생활패턴, 사회적 의견 등을 포괄하고 있는 라이프스타일의 차이에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공연예술 비관람객 특성을 “외향적 활동형”, “개방적 자유형”, “진보적 추구형”, “보수적 고립형”, “감각적 성실형”으로 명명하였다. 본 연구는 공연예술 비관람객 특성을 살펴보는 한편 관객에 목말라 있는 공연예술 관련 종사자와 기획사, 단체에게 꼭 필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라 기대한다. This study is an important topic that needs to be noted by the performing-art organization·management agency·a performance venue. It segmented the measurement items of lifestyle focusing on a group with indifference to non-audience in performing-art and analyzed non-audience characteristics and factors by lifestyle. In a recent research on the performing arts in our country, a marketing-based approach tends to be utilized from various angles. Out of this, even a research on marketing for developing audience tends to be brisk, but is in the real situation of being still insufficient in understanding the essence of audience. In the performing art, the audience is an essential element. There is no performance that doesn't target audience. The weight that audience possesses in performing art is vital to that extent. Hence, a few researches for developing audience have been performed so far. However, this is mostly what targets those who have experience of performance.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non-audience by differentiating a sight. Even a person with experience of audience is important. However, the essence of developing audience was judged to induce a person without the experience of audience, namely, non-audience, to a performance venue. Its solution was aimed to be sought through the characteristic and factor analyses on non-audience. For a research, AIO analytical technique in lifestyle was utilized targeting the performing-art non-audience with less than once a year.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otally 139 pieces targeting totally 150 people. It figured out a characteristic and analyzed a factor depending on lifestyle. As a result of research, what non-audience doesn't demand the performing art was put just in a difference of their lifestyle, namely, of a method, activity, interest and opinion in life. In a research on the performing art and the audience so far, the audience was described to include high academic background, high income and the unmarried. Thus, there was presumption as saying that non-audience will be a person with low academic background, a person with low income, and the married. Bu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non-audience didn't correspond just to a person with low income, a person with low academic background, and the married. Seeing or not watching the performing art relied upon a lifestyle of embracing activity, leisure, method, hobby, interest, living pattern, and societal opinion in their life. Accordingly, this study named the characteristics of non-audience in performing arts as “extroverted activity type,” “openly free type,” “progressive pursuit type,” “conservative isolation type,” “sensual sincerity type.” This study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of non-audience in performing arts, and is expected to be likely basic data that is certainly necessary for employees, management agency and organization related to performing arts.

      • 2006년 이후 픽사 애니메이션의 서사 특성과 전략 연구

        황정수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15915

        전 세계의 디지털영상 콘텐츠에 있어 서사 전략은 높은 작품성과 수익성 극대화를 위해 필수불가결한 항목이 되었다. 현대의 많은 제작자들은 서사 전략에 따라 애니메이션의 성패가 나뉜다는 것을 경험적으로 알고 있다. 전통적인 애니메이션 왕국인 디즈니는 관객의 니즈를 파악하지 못해 라이온 킹 이후 내리막을 걷기 시작한 반면, 픽사(Pixar) 스튜디오는 3D 장편 애니메이션을 등장시킨 동시에 치밀하고 세련된 서사 전략을 흥행 성공의 바탕으로 삼았다. 2000년대 들어 픽사 스튜디오는 애니메이션은 아동층의 전유물이라는 기존의 고정관념에서 탈피하여 성인 취향의 감성적 스토리텔링을 중심으로 한 다수의 애니메이션 작품을 선보임으로써 기존의 전통적 애니메이션과 뚜렷한 차별성을 보여주고 있다. 이러한 성인 관객 지향의 서사 특성을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상업적 흥행이 어려울 것으로 보이는 특이하지 않은 캐릭터들을 주인공으로 내세워 소소하지만 유희할 수 있는 주제를 선택한다. 둘째, 다양한 기술적 효과로 이야기를 효율적으로 운영함으로써 다양하면서도 보다 효과적으로 관객의 공감대를 이끌어낸다. 셋째, 성인관객의 감성을 극대화하는 방식을 내세워 주제 구현에 힘쓴다. 애니메이션의 서사 전략에 있어 향유자층의 분석과 그들을 위한 흥미 요소를 어떻게 장치할 것인가는 대단히 중요한 일이다. 픽사 스튜디오는 픽사 애니메이션만이 가지는 아날로그적 감성 구현을 통해 아동뿐만 아니라 성인 관객의 니즈를 파악하여 상업적 흥행과 동시에 예술적 성공까지 인정받는 결과를 얻게 되었다. 향후 애니메이션 제작은 다양한 감성에 기반을 둔 새로운 시각 부여를 통해 스토리의 다변화를 모색하는 방향으로 나아갈 것으로 예상된다.

      • 경북지역 소극장 활성화 방안연구 -관객 감정 지능을 중심으로-

        박문희 청주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183246

        본 논문은 소극장의 품질 특성 요인이 감정 지능을 통한 활성화 방안에 관해 알아보기 위해 변인들 간의 구조적 관계를 규명하고, 소극장의 품질 특성 요인이 감정 지능을 통해 활성화 요인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연구하였다. 연구 방법으로 첫째, 소극장의 특성 요인, 경북지역의 소극장 연혁 및 특징, 감정 지능의 개념 및 특성, 소극장 활성화 방안을 고찰하였다. 둘째, 연구 모형과 가설 설정하여, 셋째, 2020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약 31일간에 거쳐 경북 지역에 거주하며, 소극장을 한 번 이상 관람한 고객을 대상으로 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총 3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모두 회수되었으며, 미응답 등 성실하게 응답하지 않은 설문지 23부를 제외한 총 277부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다. 통계분석방법으로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구조 방정식모형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소극장의 서비스 품질(유형성, 신뢰성, 반응성, 확신성, 공감성)이 감성 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SEM으로 검증 결과, 소극장의 서비스 품질의 유형성은 감정 기능에서의 사회적 인식을 제외한 나머지 요인과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회적 인식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두 번째로 소극장의 서비스 품질의 신뢰성과 반응성은 감정 지능에 모든 요인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 번째로는 소극장의 서비스 품질에서 확신성과 공감성은 감정 지능에 모든 요인에 아무런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네 번째로는 고객의 감정 지능에서 자기 인식이 활성화 요인 중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천 의도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 번째로는 고객의 감정 지능에서 자기 관리와 사회적 인식은 활성화 모든 요인과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고객의 감정 지능에서 관계 관리는 활성화 요인 중 재이용 의도에 유의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추천 의도에는 아무런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현재 코로나 19와 같은 경제 불안의 시기에 지역별 소극장의 격차는 점차 심해지고 있으며, 앞으로 지역 소극장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및 새로운 청사진을 설립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structural relationship among variables of quality factors in little theaters so as to understand their activation plans by emotional intelligence and to review how the quality factors affected the activation plans by emotional intelligence. For study methods, 1) characteristics of little theaters, history and characteristics of theaters in North Gyungsang Province, concept and characteristic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their activation plans were reviewed; 2) the study model and hypotheses were established; and 3) a survey research was conducted from August 1st to 31st 2020 for a month in the subjects who lived in North Gyungsang Province and had ever visited little theaters at least once. A total of 300 copies of survey sheets were distributed and collected. 277 copies were used as the final analysis data excluding 23 copies of insincere answers such as non-response. With respect to the statistical method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were performed. As for the study results from SEM to review the effects of service qualities (tangibility, reliability, responsiveness, confidence, and sympathy) of little theaters on emotional intelligence, first, tangibility of little theaters did not show any impacts on the service quality factors excluding social recognition in the emotional intelligence which showed significant positive impact. Second, reliability and responsiveness among service qualities of little theaters showed the positive impacts on all th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significantly. Third, confidence and sympathy among service qualities of little theaters did not show any impacts on all the factors of emotional intelligence. Fourth, self-recognition in the customer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reuse intention among activation factors but not on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Fifth, self-control and social recognition in the customers’ emotional intelligence did not show any impacts on all the activation factors. Lastly, relationship control in the customers’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the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the reuse intention among activation factors but not on the recommendation intention. Based on the study result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activation plans and new blueprints for local little theaters, amid the times when the quality gap of little theaters among regions is deepened in the economic instability due to COVID-19.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