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초등학생의 동물권 교육을 위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 개발

        한정이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생의 동물권 교육을 위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본 연구는 동물 학대와 이에 따른 생명 경시 문제를 인지하는 것에서 시작되었으며, 이에 연구자는 동물을 좋아하는 초등학생 시절부터 동물권에 대한 이해를 하여 생명존중까지 나아가기 위한 방법을 모색하였다. 이를 알아보기 위해 다음의 세 가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을 위한 동물권 교육의 내용은 무엇인가? 둘째, 동물권 이해를 위한 과정드라마는 어떻게 구성될 수 있는가? 셋째, 과정드라마는 초등학생의 동물에 대한 태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시 중랑구에 소재한 서울 S 초등학교 6학년 1개 학급 학생이다. 남 11명, 여 11명으로 구성되었으며 총 6회기에 걸쳐 개발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을 적용하였으며 각 회기는 3차시로 구성되어 있다. 초등학생의 동물권 교육의 내용은 2015 개정 범교과 학습 주제 ‘동물 보호 및 복지’의 주요 학습 내용과 서울시 교육청의 ‘생명존중 동물사랑’ 교육 위계 및 ‘실과 교육과정’을 바탕으로 범주화하였다. 동물권 교육에서 핵심적인 태도 형성과 관련하여 각 회기별 관련 태도를 선정하였다. 또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하여 측정도구로서 ‘동물에 대한 태도’ 검사지를 정량적 자료로 활용하였고 정성적 자료로서 프로그램 활동지와 참여자의 소감문, 그리고 수업 녹취록 및 교사의 인터뷰 자료를 활용하였다. 실험 기간은 2018년 10월부터 12월까지 6주 동안 진행되었으며 사전과 사후에 동물에 대한 태도 검사를 시행하였다. 통계 프로그램인 SPSS를 사용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지를 ‘독립표본 t검정’으로 확인하였다. 총 4가지 태도를 문항별로 나누어 평균과 표준편차를 비교 분석하였다. 정량적 평가 도구의 검사 한계를 보완하기 위하여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의 활동지, 참여자의 소감문, 인터뷰 자료, 녹취록 등을 분석하여 정성적 검사를 시행하였다. 참여자의 소감문에서 동물권 이해에 대한 생각을 다수 발견할 수 있었으며 6회기 후 집단 인터뷰를 통하여 동물권에 대해 변화된 생각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을 위한 동물권 교육 내용을 정립하여 과정드라마에 적용하였다. 지식, 기능, 태도로 동물권 교육 내용을 구성하였으며, 태도 교육의 중요성을 인지하고 과정드라마에 적용하였다. 과정드라마 속에서 학생은 동물권 주제를 경험할 수 있는 가상의 상황 속에 몰입하여 허구의 역할을 수행한다. 연극 속에서 ‘몰입하기’를 통해 자신의 생명존중의식에 대해 자발적으로 살펴볼 수 있으며 ‘거리두기’를 통해 동물권에 대해 자신의 생각을 주체적으로 정립할 수 있다. 또한 이 과정에서 예술로서의 연극을 느낄 수 있다는 데에 적용 가치가 있다. 둘째, 동물권 교육을 위한 과정드라마 수업 단계를 구성하고 지도 방안을 개발하였다. 2015 개정교육과정 범교과 학습 주제 중 동물 보호 및 복지와 서울시교육청의 동물 복지 교육 자료를 통하여 유기동물, 야생동물, 멸종 위기 동물, 실험동물, 동물원, 동물 농장이라는 6가지 주제를 선정하였다. 또한 과정드라마의 단계에 맞추어 동물에게 관심 갖기, 동물 복지 드라마 상황 구체화하기, 동물에 대한 태도 형성하기, 동물과 친해지기, 동물과 함께하기라는 단계를 구성하였다. 앞의 단계에 맞추어 교육연극 전문가와 생태전문가 그리고 수석교사의 지속적인 피드백을 거쳐 수업 지도안을 설계하여 적용하였다. 셋째, 초등학생들의 동물권에 대한 이해에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은 유용하다. 학생들의 인터뷰와 소감문을 분석해 보았을 때, 동물도 인간과 같이 고통을 느끼는 존재라는 기본적인 동물권에 대한 인식이 생겼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정량적 검사에서 동물에 대한 4가지 태도에서 사전 평균보다 사후 평균이 증가하였으며 통계적으로도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하였다.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초등학생의 동물권 교육을 위하여 과정드라마는 적용 가치가 있으며 본 연구자가 개발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은 정량적, 정성적 검사를 통해 동물권 교육에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프로그램은 2015 교육과정의 방향에 맞추어 연극 수업과 생명 존중 수업을 교실이라는 제한적인 공간 안에서 수행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자연감성과 예술감성을 기를 수 있는 효과적인 프로그램임이라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전통문화 지도방안 : 옛이야기를 중심으로

        정진영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옛이야기를 활용한 과정드라마를 통해 전통문화 지도 방안을 마련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문헌 연구를 통해 과정드라마의 개념과 특징, 효과 등을 알아보았고 전통문화교육의 목표, 가치, 학교에서의 전통문화교육을 위한 전통문화의 분류방법과 영역 등에 대해 알아보았다. 또 이와 함께 전통문화교육에 있어 옛이야기의 가치를 알아봄으로써 지도 방안의 근거를 마련하였다. 이어 전통문화의 영역에 따라 옛이야기 텍스트 4개를 선정하고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전통문화 지도 방안을 구안하여 4주간 경기도 의정부 소재 초등학교 6학년 29명의 학생들에게 수업을 실시하였다. 사전에 설문지를 통해 전통문화에 대한 인식 정도, 관심도 등을 알아보았고, 연구 기간 동안 매차시 학생들에게 소감문을 받고, 심층 면담 및 개별 면담 등을 실시하였다. 프로그램 적용 후에 다시 사후 설문지를 통해 전통문화 인식도, 관심도, 흥미도 등의 변화를 알아보았고 학생들이 작성한 소감문, 활동 결과물, 면담 결과 등을 토대로 자료를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할 수 있었다. 첫째,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전통문화 교육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학생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관심도와 흥미도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전통문화 교육 프로그램의 적용 결과 학생들의 전통문화에 대한 지식 습득의 정도가 높아졌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전통문화교육 프로그램에 있어서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것은 직접 몸으로 느끼고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줌으로써 큰 효과성이 있었다. 따라서 이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하여 앞으로 좀 더 다양한 연령층을 대상으로 하는 전통문화 지도방안이나 전통문화의 여러 영역을 다룬 지도방안의 연구가 필요할 것이며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양적으로 연구하여 그것을 입증해보이는 방안도 필요할 것이다.

      • 과정드라마 활동을 통한 극본 쓰기 지도 방안 연구

        양조운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극본 쓰기 활동으로 드라마 속 맥락 구축과 드라마 형식 탐색으로 극본을 구성할 수 있도록 지도 방법을 마련하는 데 목적이 있다. 허구적 상황에서 인물의 역할로 ‘살아보기’ 경험을 통해 극적 맥락을 구축하고, ‘거리두기’를 통해 객관적으로 허구적 세계를 탐색하여 이해를 확장하는 쓰기 활동이다. 과정드라마의 이론적 기반을 토대로 정교화된 극적 세계를 구축하고, 극적 세계에 대한 해석의 결과를 극본으로 표현하는 방법이다. Ⅱ장에서는 과정드라마의 대표적인 개념인 예비텍스트, 구조, 즉흥에 대하여 탐색하고, 극본에 대한 핵심 개념을 정의하며 논의를 전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과정드라마와 극본의 공통된 관련성을 살펴보며, 과정드라마에 기반한 극본 쓰기 활동과 교육적 가치를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극적 상황 몰입의 원리, 드라마 형식 체험의 원리, 드라마 형식 배치의 원리를 토대로 과정드라마를 통한 극본 쓰기 모형을 개발하였다. ‘알아보기–장면 만들기-확장하기’의 극본 쓰기 지도 모형을 설계하고, 질적 사례 연구를 통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였다. 초등학교 6학년 연구 참여자를 대상으로 2편의 예비텍스트를 선정하여 10차시의 수업을 진행하였으며, 참여자의 극본 쓰기 활동지에 나타난 반응과 교사의 관찰 결과를 분석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극의 형식을 드라마 형식으로 정의하였다. 드라마 형식을 기반으로 극본 쓰기를 작성하는 절차를 제안하였다. 참여자에게 극본 쓰기 방안을 안내함으로써 극본을 ‘어떻게’ 써야 하는지 단계적으로 제시하였다. 이 연구를 통해 다음의 세 가지 시사점을 얻게 되었다. 첫째, 과정드라마 활동은 참여자에게 극적 맥락을 제시하여 참여자의 자발적이고 즉흥적인 반응이 이루어졌다. 참여자 간 의사소통을 통해 허구 맥락이 생성되었다. 둘째, 참여자는 과정드라마 속 내재된 드라마 형식을 탐색하고, 드라마 형식을 활용하여 극본을 작성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드라마 세계를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개별적인 이해를 생성하였고, 생성한 결과를 극본으로 표현하였다. 이 연구는 극본 쓰기의 원리를 ‘학습자가 자신과 타인을 이해하고 표현 및 소통하는 활동을 통해 얻게 된 깨달음을 극본 쓰기 활동으로 표현하는 것’이라고 설정하였다. 학습자가 경험을 의미 있는 형태로 조직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의의를 지닌다. 이 연구를 통해 참여자가 자기 이해와 타인과의 소통이 가능하고, 이해 확장을 도모할 수 있는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과정드라마, 극본, 드라마 형식, 맥락, 의미 * 본 논문은 2021년 6월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위원회에 제출된 교육학 석사학위 논문임.

      • 소학(小學)을 통한 인성교육 방법 연구 : 과정드라마를 활용하여

        윤용숙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research explores effective personality education methods involving children as subjects. The research is conducted based on novel perspective unique to this paper integrating process drama and personality education method of Sohak. This research lets children experience different situations by stimulating them emotionally and translating physical and verbal expressions into spontaneous sentences. This research, therefore, aims to help children develop upright personality by engaging in role playing in process drama and reflecting upon themselves. Sohak refers to elementary educational institutions in China and at the same time Confucian scriptures. Sohak was the schools which admitted kids aged around 8 and Sohak was the most widely used textbook. Though definition of Sohak differs according to scholars, schools were called Sohak where kids received their first education. Process drama, a type of many drama methods, is so called because it values ‘the process of working together’. Specifically called process drama, this method allows both students and teachers to play given roles, create events, and learn values themselves. Process drama aims to participants to change their mindsets or perspectives through activities on a spontaneous manner. Personality encompasses personal character and morality. It refers to traits to respect oneself, realize identity, understand one another, and live together with others. Therefore, Sohak is an education to enrich humanistic character. To teach children on personality means to help them develop warm-hearted attitude and at the same time lead a meaningful life. This paper first defines the concept of Sohak and personality education for the purpose of applying the personality education of Sohak through process drama. This will be followed by ‘production of process drama’, learning plan after practicing play script, and episode method (linked activities) by Cecily O’Neil. A survey was conducted on parents after the 4th class to analyze and verify changes in children’s behaviour. The survey confirmed that process drama was effective in helping children develop good personality according to the teachings of Sohak. Though schools and families recognize the necessity of personality education, a systematic personality education has yet to be established. Given the tight academic calendar in most of schools with regular curriculum and events, it is difficult to offer separate personality education in schools. This is increasingly so with the number of double-income families on the rise recently. It is hoped that this research leads to development of practice-oriented personality curriculum for schools. The author will develop process drama based on the teachings of Sohak to allow children to experience process drama and perform self-reflection. As schools and attitude of teachers have a great influence on elementary students’ personalty, it is hoped that 본 연구는 효과적인 인성교육방법에 대해 연구한다. 적용대상은 아동이다. 연구의 근간은 과정드라마와 소학의 인성교육 방법을 융합한 본 연구만의 새로운 관점을 통해 이뤄진다. 아동들은 특정한 상황을 경험하면서 감성 자극에 노출되고 신체와 언어 표현을 즉흥적으로 문장으로 표현하면서 그 상황을 다양한 각도로 익히는 경험을 한다. 드라마 활동을 통해 역할 수행을 체험해 보고 이를 계기로 자기 성찰을 유도함으로써 올바른 인성을 갖출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소학(小學)이란 중국의 기초교육기관을 지칭하면서 동시에 유교경전을 의미한다. 소학은 여덟 살 전후의 아동들이 입학해서 공부하던 곳이었고 그 곳에서 가르치던 대표적인 책이 소학(小學)이었다. 처음 학문을 시작하는 학생들을 교육시키는 초등교육기관에 소학(小學)이란 이름이 사용됐다. 과정드라마란 교육 연극의 여러 방법론 중의 하나로 『함께 만들어 가는 과정』을 중시한다는 점에서 그 이름이 붙여졌다. 과정드라마는 다양한 역할을 수행함으로써 객관적 관점을 공유하게 하며 주관적 판단에 의존하는 기존의 생각의 틀을 극복하고자 하는 것이다. 과정드라마 활동의 목적은 즉흥적인 활동을 통해 집단이 공동으로 만들어 가는 연극과정 안에서 생각의 관점의 틀 혹은 태도를 바꾸는 것이다. 선한 인성이란 개성, 인격 그리고 도덕성을 포괄하는 개념으로써, 개인적으로 스스로에게 관심을 갖고 자기 자신을 존중하며 자아를 실현하고, 사회적으로 타인의 생각과 감정을 이해하고 존중하며, 이웃과 더불어 살아갈 수 있는 성품을 가리킨다. 이러한 의미의 인성을 기르는 교육이란 인간다운 품성을 함양하거나 고양시키는 교육이라고 할 수 있다. 즉 인성 교육을 한다는 것은 여러 활동을 통하여 그들의 마음을 조화롭게 통합해 주어 선한 인성을 가꾸어 가도록 함과 동시에 삶을 영위해 나갈 수 있도록 도와주는 것을 말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과정드라마를 통한 소학(小學)의 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적용하기 위하여 먼저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소학이 인성교육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소학(小學)의 명륜편1장, 2장, 3장을 소재로 과정 드라마를 활용하여 3가지의 활동을 적용 한다. 첫째, 과정드라마를 활용하는 주요 수업내용<과정드라마(Process Drama) 만들기>은 단계별로 8가지를 추출하여 적용 지도하였다. (1단계 소재정하기, 2단계 질문 만들기, 3단계 윔업 활동, 4단계 상상을 일으키는 문장 혹은 문장 혹은 문건 정하기, 5단계 드라마 보여주기는, 6단계 드라마 참여하기, 8단계 드라마 반추하기이다.) 둘째, 과정 드라마 만들기에서의 연극 대본을 아동들에게 연구 내용을 적용해 본 공개수업을 통한 학습 계획안을 통해 지도가 이루어지며, 과정드라마 만들기에서의 연극 대본을 아동들에게 연구 내용을 적용해 본 결과 소학 연극 대본을 읽어보고 인형으로 표현해 보는 활동이다. 셋째, 시실리오닐(Cecily O'Neill)에 에피소드 형식을 연계활동으로 적용 지도 하였다. 시실리오닐의 에피소드 형식은 에피소드와 드라마요인 의 과정을 교사와 아동이 역할을 즉흥적으로 바꾸기도 하고 학생이 부모역할로 바꾸기도 하면서 즉흥적으로 상황을 만들어 보고, 즉흥적인 직접 표현해 봄으로써 새로운 세계를 경험하여 새로운 시각으로 바라보는 활동이다. 아동들의 행동변화를 검증하기 위하여 과정 드라마를 활용한 소학(小學)이 인성교육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았다. 4차 수업의 내용을 토대로 10명의 아동 대상의 학부님들께 아동 행동 변화 평가 결과표를 수업지도 전․후 설문지와 소학연극 대본 활동 후 부모님께 편지쓰기를 통해 효과를 분석하였다. 검증해본 결과 본 연구에 적용한 소학의 가르침을 토대로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프로그램은 초등학생들에게 자기 성찰을 유도함으로 올바른 인성 교육 향상을 가져 왔다. 감성 자극을 통한 신체와 언어표현을 즉흥적인 문장으로 전환해 가면서 아동들이 뭐든지 이야기를 하려고 하고 올바른 언어로 인사하며 약속에 대한 중요성을 알게 되고 익히게 되었다. 학교나 가정에서는 인성 교육의 필요성을 실감하면서도 아직 체계적인 인성 교육이 잘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이는 학교라는 교육 현장에서 시행되고 있는 인성 교육은 교육 과정과 학교 행사 일정을 진행하는 데에도 벅찬 실정에 별도의 인성 교육 프로그램을 구성하여 운영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있으며, 가정에서는 맞벌이 가정이 늘어나며 더욱 어려움을 겪고 있다. 또한 우리나라에 경제 장기적 불황으로 인해 자식을 한명만 낳아 저 출산으로 이어지는 가족단위가 형성되고, 형제들이 적어지면서 아동들이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지고, 다양한 매체를 통해서 무분별한 정보를 습득하다보니 사회적인 인성이 교육 되지 않아 사회적인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를 토대로 학교현장에서 실천할 수 있는 실천지향의 인성교육프로그램이 새롭게 개발되기를 기대하며, 소학(小學)의 가르침을 토대로 과정드라마를 활용하여 실제 체험해 보고 자기 성찰을 유도함으로써 올바른 인성을 가출 수 있도록 개발할 것이다. 초등학교의 인성 교육에 있어 학교와 교사의 행동은 학생들에게 매우 많은 영향을 미치므로 본 연구가 학교 현장에서 실천 중심의 인성교육으로 학습시간에도 실시되기를 바란다.

      • 과정드라마(Process Drama)를 통한 연극 교육 활성화 연구 : 중등학교 수업 적용을 중심으로

        이현지 성결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focuses on process drama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ater education in South Korea, and suggests its application to classes in secondary schools focusing on its educational effects. With the advent of the special situation of COVID-19 along with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present era requires a change in the method of education. Moving with the change to the competency-based curriculum that takes place under such circumstances, the Ministry of Education paid attention to ‘theatre’ as a subject that can develop six core competencies in order to nurture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a future-oriented human resource. For school teachers, however, theater class is limited to Korean language lessons in the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curriculum, and is implemented as general electives in the high school curriculum. This means that theater education is still considered unfamiliar in schools. At the same time, it creates an environment in which it is difficult to continuously discuss the theater education method linked to schools. By recognizing these problems and analyzing them from various perspectives, the author of this study discovered the utility of process drama as a method of theater education in the larger context of school culture and arts. Especially, this study understands the need to expand the research on process drama, which is currently focused on young children and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secondary school students. Furthermore, it intends to focus in discussion on the educational effectiveness that can be achieved when using process drama in secondary school drama classes. In conclusion, this study emphasizes that education should be continuously developed and prepared for the future even in the present difficult time. It argues that breaking from the past education method which involved Korean youths simply memorizing printed knowledge and raising test scores, we should use the process drama related to convergent education to gain a deep insight into life and strive to solve the complex problems facing society. This is based on the belief that the use of process drama is useful for revitalizing theater education in the future, as shown through the blueprint for nurturing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 suggested through the previous revision curriculum and major changes such as the creation of a theater curriculum that leans on it.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f process drama is used in a class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t makes it possible to have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life of adolescence as it is a method suitable for the trend which emphasizes integrated (convergent) art education that characteristically works with future growth. Second, process drama covers from current problems to future problems and can promote creative problem-solving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through the essential structures of esthetic engagement, critical detachment, and various characteristics used during activities. In order to derive these results, this study studies the characteristics of process drama in literature and presents a case study of process drama for revitalization of domestic theater education. It is hoped that the educational effects that can be obtained through the course drama will be confirmed with this, and that various discussions will be conducted for the revitalization of theater as a school subject in the follow-up studies in the future. 본 연구는 국내연극교육의 활성화를 위하여 과정드라마(Process Drama)에 주목하여 그 교육적 효과를 중심으로 중등학교 대상 수업 적용을 제언하는 연구이다. 현시대는 4차 산업혁명 시대와 함께 ‘코로나19’ 라는 특수한 상황이 도래함으로써 교육의 방식도 변화가 요구된다. 이러한 역량중심 교육과정으로의 변화 흐름 속에서 교육부는 미래 지향적 인재상인 ‘창의·융합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하여 6가지 핵심역량을 기를 수 있는 과목으로 ‘연극’에 주목하였다.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 연극 수업은 초, 중등학교 교육과정에 국어 단원으로 한정되고 고등학교 교육과정엔 일반선택으로 시행되는 정도이다. 이는 연극 교육이 교육 현장에서 여전히 생소하게 여겨진다는 것이며, 동시에 현장과 연계된 연극 교육방법에 대한 논의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고 있다. 본 연구자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함과 동시에 다각도의 분석을 통하여 현시대의 학교문화예술의 큰 흐름에서 연극 교육 방법으로 과정드라마(Process Drama)가 지닌 효용성을 발견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현재 유아나 초등 대상에 집중되어있는 과정드라마에 대한 연구가 중등학교 대상으로의 확대가 필요함을 인식하며, 중등학교 연극 수업에서 과정드라마 활용시 이루어질 수 있는 교육적 효과성에 대해 집중 논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현재의 어려운 시기에서도 교육은 지속, 발전되어야 하며 미래를 대비하여야 함을 역설하고 있다. 우리의 청소년들이 단순히 활자화된 지식을 암기하고 시험점수를 높여야 했던 과거의 교육방식이 아닌, 융합교육과 연관된 과정드라마를 활용하여 삶에 대해 깊이 있게 통찰하며, 사회에서 당면한 복잡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노력해야 함을 주장한다. 이는 앞선 개정 교육과정들을 통해 주장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에 대한 청사진과 여기에 기대어선 연극교과의 신설과 같은 주요한 변화들을 통해, 과정드라마의 활용이 미래 연극 교육 활성화를 위해 효용성이 있다는 믿음에서 나타난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크게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등학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한 수업에서 과정드라마가 활용된다면 그 특성적으로 미래 성장과 함께하는 통합(융합)예술교육이 강조되는 흐름에 알맞은 방법으로써 중요한 청소년기의 삶에 대한 깊이 있는 이해를 가능하게 한다. 둘째, 과정드라마는 본질적 구조인 몰입과 비판적 거리두기, 활동 중에 사용되는 다양한 특성들을 통하여 당면한 문제부터 미래의 문제까지 아우르며 중등학교 학생들의 창의적인 문제 해결을 도모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과정드라마의 특성을 문헌연구하고 국내연극교육의 활성화를 위한 과정드라마 수업사례를 제시한다. 이를 통해 과정드라마를 통하여 얻을 수 있는 교육적 효과를 확인하고, 앞으로 진행되는 후속 연구에서도 연극교과의 활성화를 위한 다양한 논의들이 진행되었으면 한다.

      • 과정드라마를 통한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

        양새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This study has begun in the awareness of the need to preserve sustainability as a global citizen in the modern society where the world is increasingly threatened with sustainability and to preserve the sustainability of the worl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a process drama as an effective means to promote sustainability literacy, to develop a process drama for promoting the sustainability literacy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demonstrate the effectiveness of the process drama. Therefore, the research problems were set as follows. 1. How could process drama be organized to promote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stainability literacy? 2. How will process drama affect the formation and promotion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stainability literacy? In order to solve these research problems, the related research a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were analyzed. Through theoretical background analysis, this study defines sustainability literacy as knowledge, function, value and attitude that individuals and community should have in order to practice sustainable behavior of the world. And the process drama is not the performance-oriented drama but the process of participant experiencing the drama process in a certain structure and interacting with the experience of the drama, and it is characterized by the six constitutional procedures of theme, context, role, frame, sign and strategies. In this study, the significance of the process drama as the method of promoting sustainability literacy is divided into six aspects of interaction with the community, learning through experience, expansion of perspective, organic context formation according to the theme, improvisation and combination of physical, emotional and coginitive activities. The UN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the 2015 Social Studies Revision Curriculum and Sustainability Report questionnaire were referred to select sustainability issues as the theme of the drama, In order to apply such a process drama, action research was applied where the researcher sets up the research problem and carries out the program to collect and analyze the data. In this study, a drama program was conducted over 6 times for 6th grade students who were taught as homeroom teachers by the researchers. In order to secure the reliability of the study, triangulation test was conducted and data were gathered to be organized. As a result of the program execution, it was confirmed that the process drama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romotion of sustainability literacy. In the first program, participants participated in the process drama on the subject of sustainable production and consumption to experience the back side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In the second program, they developed a sympathetic and reflective attitude toward poverty and hunger. After that, they actively discussed cultural discrimination and dissociation in the third program, and produced good education plans on the topic of high quality education in the fourth program. Participants experienced a dilemma between economic growth and appropriate jobs in the 5th program, and in the final 6th program, participants realized the seriousness of climate change as they actually experienced it.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construct a drama for promoti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sustainability literacy, you need to choose the sustainability issues which causes reflection of participants and shape them in various viewpoints and dramatic expressions. Second, the process drama to promote sustainability literacy helps elementary school students to get the knowledge required for sustainability literacy, activate functions such as communication and solidarity, and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values ​​and attitudes toward practice.   Based on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the follow-up study is needed as follows. First, drama program for the formation of sustainability literacy could be developed for various communities. Second, it is necessary to continue discussions on the development of a process drama on the theme of various sustainability issues. Third,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how the process drama for enhancing sustainability literacy leads to actual action practice of the participants in the future.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investigates the method of constructing the drama of the subject on the theme of sustainability literacy that has not been studied in Korea and confirmed the effect of enhancing the sustainability literacy through it. It is expected that the process drama will have a more positive impact on the promotion of sustainability literacy through various subsequent studies. Key words: process drama, educational drama, sustainability, sustainability literacy, sustainable development 세계가 갈수록 지속가능성을 위협받고 있는 현대 사회에 글로벌 시민으로서 지속가능성 소양을 갖추고 세계의 지속가능성을 지켜야 한다는 문제의식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 소양을 증진할 효과적인 수단으로 과정드라마를 제안하고 초등학생의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을 위한 과정드라마를 개발하고 실행 연구를 시행하여 그 효과를 입증하고자 하였다. 따라서 연구 문제를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첫째, 초등학생의 지속가능성 소양을 증진하기 위한 과정드라마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둘째, 과정드라마가 초등학생의 지속가능성 소양 형성 및 증진에 어떤 영향을 미칠 것인가? 연구자는 관련 선행 연구를 분석하고 이론적 배경을 탐색하여 본 연구에서의 지속가능성 소양과 과정드라마의 의미를 아래와 같이 밝힌다. 먼저, 지속가능성 소양은 세계의 지속가능성을 유지하는 행위 실천을 위해 개인과 공동체가 갖추어야 할 지식과 기능, 가치와 태도로 정의하고 그 구성요소를 지식, 기능, 가치와 태도 영역으로 나누어 제시한다. 과정드라마는 공연 위주의 연극이 아니라 일정한 구조 안에서 참여자가 드라마의 과정을 즉흥적으로 체험하고 자신의 경험과 상호작용하는 과정이며 주제, 맥락, 역할, 프레임, 기호, 전략의 여섯 가지 구성 절차를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지속가능성 증진 방법으로써 과정드라마의 의의를 공동체와의 상호작용, 경험을 통한 학습, 관점의 확장, 주제에 따른 유기적 맥락 형성, 즉흥성, 신체와 정서, 인지적 활동 결합의 여섯 가지로 제시한다. 과정드라마의 주제로 적합한 지속가능성 쟁점을 선정하기 위하여 UN의 지속가능발전목표와 2015 사회과 개정 교육과정 및 지속가능성 소양 설문지 결과를 참고하였다. 또한 과정드라마를 적용하기 위하여 연구자가 직접 연구 문제를 정하고 학습자를 연구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실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실행 연구를 활용하였다. 연구자는 담임교사로 지도하는 6학년 한 개 학급을 선정하여 총 6차에 걸쳐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을 진행하였고, 연구의 신뢰도 확보를 위하여 삼각검증을 시행하여 자료를 수집하고 정리하였다. 프로그램 실행 결과 과정드라마는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하였다. 1차 프로그램에서는 지속가능한 생산과 소비를 주제로 한 과정드라마에 연구 대상이 참여하여 생산과 소비의 이면을 체험하였고, 2차 프로그램에서는 빈곤과 기아 문제에 공감하고 반성하는 태도를 길렀다. 3차 프로그램에서는 문화적 차별과 편견 해소를 주제로 토론하였고 4차 프로그램에서는 양질의 교육 방안을 참여자가 직접 만들었다. 5차 프로그램에서는 참여자가 경제성장과 적절한 일자리 사이의 딜레마를 체험하였고 마지막 6차 프로그램에서는 참여자가 실제로 살아보듯이 체험하며 기후 변화의 심각성을 실감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생의 지속가능성 소양을 증진하기 위한 과정드라마를 구성하기 위해서는 연구자가 참여자 견해에 변화와 반성을 일으키는 지속가능성 쟁점을 선정하여 이를 다양한 관점과 드라마적 표현 방식으로 제시한다. 둘째,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을 위해 개발한 과정드라마는 지속가능성 소양에 필요한 지식을 구체화하고 의사소통과 연대 등의 기능을 활성화하며 실천으로 나아가는 가치와 태도를 다지는 데 기여한다. 연구의 결론을 바탕으로 후속 연구에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다양한 공동체를 대상으로 지속가능성 소양 형성을 위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한다. 둘째, 다양한 지속가능성 쟁점을 주제로 한 과정드라마 개발을 위한 논의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셋째,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을 위한 과정드라마가 추후 참여자의 실제 행위 실천으로 이어지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그동안 국내에서 연구가 미비하였던 지속가능성 소양을 주제로 과정드라마 구성 방법을 탐색하고 그를 통한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 효과를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이후에도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하여 과정드라마가 지속가능성 소양 증진에 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계기가 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과정드라마, 교육연극, 지속가능성, 지속가능성 소양, 지속가능한 발전

      •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초등역사교육 지도 방법 연구

        한희 전주교육대학교 2017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논문은 역사 수업에서 학생들이 좀 더 유의미하고 능동적인 학습태도를 지니게 할 목적으로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초등역사교육 방법을 연구하였다. 기존의 수동적인 역사 교육에서 벗어나 학생들을 능동적인 학습태도를 지니게 하는 방법으로 과정드라마를 선택하였고 자세한 지도 방법을 구성하여 그 실현 가능성을 밝히는 것이 연구의 주된 목적이다. 기존의 역사수업은 역사적 사실을 단순 암기하도록 구성이 되어 있다. 교과서의 내용을 고정불변의 사실로 여기고 그 사실들을 많이 아는 것이 역사를 잘 이해하는 것이 된다. 이런 태도는 학교시스템 속의 주입식 교육과 어우러져 역사를 암기과목으로 만들었다. 이러한 수업 방식은 학생들의 학습 태도를 수동적으로 만들었다. 그러나 역사적 사실을 단순 암기하는 것만으로는 역사를 온전히 이해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로운 접근의 역사교육 방법으로 과정드라마를 통한 추체험 역사 교육을 제안한다. 학습자는 추체험과 과정드라마가 연결된 지점을 통해 역사를 체험하고, 역사적 행위자의 사고를 비판적으로 재사고하며 자신만의 의미를 구성해나간다. 역사교육의 학습자가 교과서의 역사적 사실을 단순 암기하는 수동적인 태도가 아닌 자신만의 의미를 구성해나가는 훨씬 깊이 있고 유의미하고 능동적인 학습 태도를 지향하게 만들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역사교육의 방향을 ‘과거 지향적’이 아닌 ‘현재와 미래지향적’으로 변화시키고, 어떻게 살아야할 것인가 하는 철학적인 문제까지 포괄하고자 한다. 먼저, Ⅱ장에서는 역사교육에서의 추체험과 과정드라마에 대한 연구를 하였다. 역사교육에서의 추체험의 개념과 등장배경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과정드라마의 개념을 알아보고 추체험과 과정드라마의 관련성을 밝혔다. Ⅲ장에서는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초등역사교육 지도방안을 연구하고 학생들에게 지도한 사례를 담았다. 먼저 과정드라마의 기본 구조와 구성 과정을 설명하였다. 그에 따라 5학년에 적용 가능한 ‘장보고’를 소재로 한 과정드라마와 6학년에 적용 가능한 ‘외규장각 의궤’를 소재로 한 과정드라마를 구성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제로 적용해 본 결과 학생들에게 어떤 효과가 있었는가를 중점적으로 다루었다. Ⅳ장에서는 앞서 살펴본 내용들을 토대로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초등역사교육의 성과를 다루어, 좀 더 유의미한 학습과 능동적인 학습 태도를 이끄는 초등역사교육의 발전을 모색하였다.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초등역사교육 지도 방법 연구는 추체험을 실현하는 방법으로 과정드라마를 선택하였고, 과정드라마를 활용한 초등역사교육 지도 방법 연구는 좀 더 유의미하고 능동적인 역사 학습 태도를 이끌어내고자 시도하였다. 이는 앞으로 역사 수업에서 학습자들이 능동적인 태도로 자신만의 의미를 구성하여 역사를 미래지향적인 과목으로 바라볼 수 있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 The present study was focused on finding the way for meaningful and active study attitude about history class, so Method of history education was researched by process drama. Existing history class makes students simply memorize a historical fact. This way makes students think history as a subject needing just memorizing. Also this way makes students have passive study attitude. But this way is not good way for understanding history. Therefore, I suggest Method of history education through Re-enactment Using Process Drama. In chapter II, re-enactment as a history education and process drama were discussed. First, we studied concept of re-enactment as a history education. Next, we studied concept of process drama and we made clear about the relation between re-enactment and process drama. In chapter III, the teaching methods were introduced, with some cases, to instruct history by process drama. First we developed the methods in steps to teach history by process drama, and then the methods were applied to students and confirmed the effects. In chapter IV, the products of process drama were discussed based on previous results here, and also we discussed about the progress of instruction which means the learners could have meaningful and active study attitude. The present study tried to deepen the understanding of history for students. This study will contribute to enhance the ability of learners to enjoy the history by various viewpoints of historic characters.

      • 과정드라마를 통한 평화통일교육 프로그램 개발

        이석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분단이 된 지 70년이 지나는 동안 국민과 학생들의 통일에 대한 의지는 줄어들고 그 당위성마저 의심을 받는 상황에 국가에서는 여전히 통일교육을 말하고 있지만 학생들에게 특별히 와닿지 않는다는 문제의식에서 이 논문을 시작하게 되었다. 기존의 통일교육 방법은 정부에서부터 시작되어 내려온 하향식 교육과정을 따르고 있으므로 창의적인 교육을 방해하고 있으며, 정부의 당위적 입장만을 대변할 가능성을 안고 있다. 또한 통일교육은 주로 지식 위주의 주입식 교육이 이루어지기 때문에 학생들이 다양성이 부족한 자료를 외우듯 공부하곤 한다. 학생들이 스스로 통일의 당위성과 통일의 의미에 대해 깊이 생각하여 상대를 이해하고 공감하며 편견없이 바라볼 수 있는 자세로 통일에 대한 가치관을 형성할 수 있는 교육방법으로 과정드라마를 통한 통일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고 수업을 구성하였다. Ⅰ장에서는 이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을 확인하며 프로그램을 만든 이유를 설명하고 이에 선행된 연구들을 검토하였다. Ⅱ장에서는 이론적 배경으로 통일교육의 개념과 변화양상을 알아보고, 앞으로 통일교육이 나아가야 할 지향점을 바탕으로 학생들이 통일교육을 통해 어떠한 가치를 배워야 할지, 통일교육을 위해서 필요한 가치는 무엇인지 알아보았다. 또 과정드라마의 개념과 과정드라마가 어떻게 가치를 내면화하는지 알아보고 과정드라마를 통한 수업이 통일교육에 어떤 도움이 되는지 분석하였다. Ⅲ장에서는 이 연구의 대상과 절차, 자료 수집 방법 등을 기술하여 어떠한 연구 방법을 사용하였는지 설명하였다. Ⅳ장에서는 과정드라마를 통한 통일교육 수업의 지도방안을 연구하고 학생들에게 지도한 사례와 함께 프로그램 운영 후 분석을 담았다. ‘우리 안의 스파이’, ‘미신’, ‘북한에서 사업하기’라는 세 개의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을 만들고 프로그램을 만든 이유와 프로그램에 대한 설명, 프로그램 지도안, 실제 활동 과정 중 일어난 일, 수업 후 분석 등을 다루었다. Ⅴ장에서는 프로그램 운영 후 프로그램으로 인해 참여자들이 학습목표에 도달하게 되었는지 여부와 그 이유를 다루어 결론을 짓고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았다. 첫째, 본 프로그램으로 참여자들이 학습 목표에 도달하지 못한 경우가 많았다. 이는 초등학교 5학년인 참여자들의 수준으로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핵심을 차지할 때가 있었기 때문이었다. ‘우리 안의 스파이’에서는 종전의 필요성을, ‘미신’에서는 북한에 대한 편견으로 우리가 잃는 것들에 대해 생각해보려 했지만 잘 이루어지지 않았다. 둘째, 본 프로그램의 개발이나 설문 문항에 더 많은 보강이 필요했다. ‘북한에서 사업하기’ 과정드라마에서는 설문 문항이나 필요한 활동이 부족하여 결과에 대해 좀 더 유의미한 분석을 하지 못했다. 이에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하였다. 첫째, 초등학교 5학년보다 좀 더 높은 학년을 대상으로 프로그램을 진행하거나, 과정드라마의 내용을 보강해서 초등학생이 이해할 수 있도록 할 것이다. 둘째, 질문과 활동을 보강하여 좀 더 유의미한 분석이 나올 수 있도록 할 것이었다. 본 연구를 보강하여 경직된 통일교육 방법에 다양성을 더하면서 학생들에게는 통일에 대한 가치관과 기대를 갖는데 도움이 되기를 기대한다.

      • 과정드라마를 적용한 공동체의식 함양 창의적 체험활동 프로그램 개발

        김성희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는 초등학교 4학년생(23명)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활동에서 추구하는 목표 중 하나인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위하여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론적 배경으로 창의적 체험활동과 공동체의식 및 과정드라마에 관한 국내외 연구를 고찰하였다. 또한 과정드라마와 창의적 체험활동 및 공동체의식과의 상관성을 연구함으로써 과정드라마와 두 개념간의 관련성을 밝히고, 과정드라마를 통해 공동체의식을 함양할 수 있다는 타당한 근거를 도출하여 제시하였다.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과정드라마를 창의적 체험활동 교육과정에서 실현하기 위하여 Dorothy Heathcote와 Cecily O'Neill을 중심으로 창의적 체험활동 중 인성 영역에 해당하는 12차시를 활용하여 총 6회기의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회기당 2차시씩(80분), 총 6회기를 6주 동안 실행하였다. 학생들의 공동체의식 변화여부를 측정하기 위해서 조성수(2007)의 공동체의식 검사지를 사전·사후에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통계적 절차에 의한 양적 검증 방법을 사용하고 추가적으로 학생의 학습 일지, 소감문 내용 및 연구자의 관찰 내용 등 정성적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분석에는 SAS를 사용하였으며, 검사도구의 신뢰도를 위한 Cronbach's α, 집단 내의 변화를 검증하기 위한 종속표본 t 검증 방법을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공동체의식 함양을 위한 과정드라마를 적용한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동체의식 사전 ․ 사후 검사 비교 결과 통계적으로 p < 0.05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으며, 평균점수 또한 3.20에서 4.14로 상승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교 4학년생의 공동체의식을 함양하기 위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이 긍정적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둘째, 회기별 학습 일지와 소감문, 면담, 교사의 수업 일지 내용을 분석한 정성적 분석에서도 공동체의식이 유의미하게 향상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동체 구성원으로서 공동체의 문제를 해결하고자 자발적으로 참여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의사를 표현하는 것의 중요성을 깨닫고 효과적으로 의사를 표현하는 것이 가능해졌다. 또한 공동체와 구성원 간 서로 영향을 주고받으며 삶을 영위한다는 인지적 이해를 바탕으로 다름을 인정하고 존중하며 더불어 살아가는 자세를 견지하려는 노력을 찾아볼 수 있었다. 이 프로그램의 의의는 드라마적 경험을 통해 창의적 체험활동이 추구하는 체험적이고 자발적인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공동체의식이 함양되도록 하였다는 데 있다. 또한 과정드라마가 교과 활동 뿐 아니라 교과 외 활동과도 연결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과정드라마는 협업과 질문을 강조하는 현 시대의 교육에 매우 효과적인 기제로 작용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가 학생들의 공동체의식을 함양하는 바탕이 되고 과정드라마의 학교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이기를 기대한다. This study aims to improve the sense of community by applying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program to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To achieve this purpose, I have completed the research jobs regarding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process drama as the background of the theory. And I have studie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cess drama &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and the improvement of the sense of community can be drawn by the process drama according to the related evidence. Totally, 6 weeks of the process drama program has been developed by using of the personality area(12 lessons) in the creative experience activity, most notably by Dorothy Heathcote & Cecily O'Neill, to make a realization of the process drama for the improvement of the sense of community The target group of this study was one of the group of 4th grade elementary student in Seoul. I conducted the process drama 2times persession(80minutes) for 6weeks. To measure the sense of community, I used the survey sheet for checking the sense of community, revised for the elementary school for 2 times(before/after the program). To analyze the result of the study, I used quantitative verification, and further analyzed the reviews & daily record written by students. I used the SAS for analyzing the result, the Cronbach's α, for reliability of check tools(test tools) and the t-test for verifying some changes among the subjects.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 found that the sense of community could be improved relevantly through the process drama program. Comparing the sense of community figures before & after the program, there was a statistical difference on the p < 0.05 level. Moreover the average has been increased and there were some meaningful results in the sub-level of the sense of community also. These can prove that the process drama program is efficient for improvement of the sense of community for 4th grade elementary students. Secondly, after analyzing their reviews, performance, interview, and teaching records, I found out that the sense of community could be improved relevantly, in the qualitative analysis. In the voluntary participation & expression perspective, students could have various and concrete thoughts by putting themselves into the main characters in the dramas, and they could also realize the importance of voluntary expression to solve the problem of the community effectively. And the sense of unity & co-influence perspective, they took an effort to accept the difference & try to respect each other, with understanding of the living together. So I found out that the voluntary participation & expression of the sense of community and the sense of unity & co-influence are related each other closely, because that it could help students to influence each other as a result of developing together. The importance of this program is that the creative activity can make a voluntary study & sense of community through the experience of drama. Furthermore, by integrating the curriculum and drama together, the school education could be extended to more wide level of education. The process drama could be applied to the current education system, as an effective method due to the importance of the cooperation & question. I expect that this study would be helpful for students to improve their sense of community, and to increase the possibility of applying to school education.

      • 환경소양 증진을 위한 과정드라마 설계 및 적용

        박인선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mplement a process drama program to enhance environmental literacy among elementary school students, and to study the impact of drama classes on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literacy refers to the knowledge and skills that individuals need to become environmentally responsible citizens. In contemporary society, environmental issues are complex and often involve conflicting values, making them difficult to address. As a result, discussions on effective promotion of environmental literacy have gained increasing attention. In this study, the researcher proposes process drama as an effective means to enhance environmental literacy and aims to examine whether environmental education through process drama has a meaningful impact on participants. The research questions established for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plores the meaning of environmental literacy and its constituent elements. Second, it incorporates the core elements of environmental literacy into the design of process drama classes. Third, it investigates whether reflective class implementation based on the empirical study is effective in enhancing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a review of previous studies and theoretical background was conducted. Based on this review, the study implemented an empirical study with a fifth-grade class consisting of 12 boys and 10 girls. The process drama program was conducted over four sessions, with each session extracting insights from both the process drama and environmental literacy perspectives to inform the design of the subsequent sessions. The process drama program was designed by reconstructing real-life cases and focusing on easily observable subjects, with key questions regarding the specific elements of environmental literacy (environmental knowledge, environmental attitudes, and environmental behaviors) at the core of the program. The first program was designed around the environmental issue of fast fashion. The second program focused on coal as a subject related to environmental justice. The third program centered on biodiversity. The final program addressed the environmental issue of food waste. Data was collected for each session using instructional videos, interviews, and drama reflections. To ensure the objectivity of the research, a pre-test and post-test were conducted using an environmental literacy measurement tool.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process drama serves as a "knowledge creator" and enables learner-centered environmental education. From a constructivist perspective, knowledge is understood as subjective meaning construction through interactions, and the study confirmed the reconstruction of meaning related to environmental issues through process drama. Secondly, process drama evokes a sense of seriousness and the need to address environmental issues. Participants considered process drama effective in making them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environmental issues and exhibited specific reactions related to the components of environmental attitudes. Lastly, process drama increases the potential for enhancing environmental literacy through aesthetic engagement and critical distancing. Participants stated that they found the process of experiencing process drama, reflecting on it from a third-person perspective, and sharing their thoughts with friends enjoyable and conducive to deeper thinking about the environment. This highlights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process drama. This study developed and applied a process drama program for enhancing environmental literacy and confirmed its educational significance. Further research is expected to explore how process drama can contribute to enhancing students' environmental literacy. 본 연구는 초등학생의 환경소양 증진을 위한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행하고, 드라마수업이 학생들의 환경소양 증진에 미치는 영향을 탐구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환경소양은 환경교육의 목적이자, 환경시민이 갖춰야 할 것을 의미한다. 현대 사회의 환경문제는 다양한 가치가 혼재되어 쉽게 해결하기 어려우며, 이에 따라 환경소양의 효과적 증진을 위한 논의 또한 점차 주목받고 있다. 이에 본 연구자는 환경소양을 증진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수단으로 과정드라마를 제안하며, 과정드라마를 통한 환경교육이 참여자들에게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환경소양의 의미와 그 의미를 구성하는 요소들에 대해 탐색한다. 둘째, 환경소양 핵심 요소를 과정드라마 수업 설계에 반영한다. 셋째, 실행연구에 기반한 반성적 수업 실행이 학생들의 환경소양 증진에 효과적인지 탐색한다.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선행연구와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고, 이를 바탕으로 5학년 한 학급(남: 12명, 여: 10명)을 대상으로 실행연구를 적용하였다. 과정드라마는 총 4회기에 걸쳐 진행하였으며 회기마다 과정드라마와 환경소양 측면에서 시사점을 도출하여 다음 회기 프로그램에 반영하였다. 과정드라마 프로그램은 실제 사례를 바탕으로 재구성하여 설계하였으며,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소재를 중심으로, 환경소양의 세부요소(환경지식, 환경정서, 환경행동)에 대한 핵심질문을 세워 프로그램을 구성하였다. 1회기 프로그램은 패스트패션으로 인한 환경쟁점을 주제로 구성하였다. 2회기 프로그램은 콜탄을 소재로 환경정의를 다룰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3회기 프로그램은 생물다양성을 중심으로 구성하였다. 마지막 프로그램은 음식물쓰레기로 인한 환경쟁점을 주제로 구성하였다. 회기마다 수업 영상, 인터뷰, 드라마소감문 등을 활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고, 연구의 객관성을 확보하기 위해 환경소양 측정도구를 활용하여 사전-사후 검사를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과정드라마는 ‘지식의 창조자’로서 학습자 중심의 환경교육을 실현하게 한다. 구성주의 관점에서 지식이란 상호작용을 통해 주관적으로 의미를 구성하는 것을 의미하며, 과정드라마를 통해 환경쟁점에 대한 의미의 재구성을 확인하였다. 둘째, 과정드라마는 환경문제에 대한 심각성 및 해결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게 한다. 과정드라마의 참여자들은 과정드라마가 환경에 대한 심각성을 느끼는 데 효과적이라고 답변하였으며, 환경정서의 세부 요소와 관련하여 구체적인 반응을 보였다. 마지막으로, 과정드라마는 미적 몰입과 비판적 거리두기 원리를 통해 참여자들의 환경소양 증진 가능성을 높인다. 참여자들은 ‘과정드라마에 대해 직접 겪어보고, 제 3자의 시선으로 돌아보며, 내 생각을 친구와 공유하는 과정을 통해 재밌고, 더 깊게 환경에 대해 생각해보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는 과정드라마의 특징이 교육적으로 의미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환경소양의 증진을 위한 과정드라마를 개발 및 적용하고, 교육적 의미를 확인하였다. 다양한 후속 연구를 통하여 과정드라마가 학생들의 환경소양 증진에 보탬이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