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통과학 지도에 따른 과학교사의 불안과 교사의 인식에 관한 연구

        함길섭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공통과학은 제 6 차 교육과정에 신설된 과목으로 모든 고등학생들이 이수해야 하는 통합과학의 형태로 구성되어 있다. 일선 학교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공통과학의 지도 실태와 공통과학 지도에 따른 과학교사의 과학 불안, 그리고 공통과학 연수와 실험 연수에 대한 인식을 조사하여, 현장에 있는 과학교사들이 느끼는 불안을 줄이고, 교사 교육에 대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여,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육이 보다 발전적인 방향으로 되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공통과학을 지도하고 있거나, 지도한 경험이 있는 과학교사 137명을 대상으로 하여, 공통과학 학습 지도 계획, 학습 지도 내용, 학습 지도 방법, 교수·학습 방법, 교수학습에서의 교사 역할, 평가 영역, 평가 방법 등의 과학 불안 요인 7개 영역 33개 요인과 공통과학 교과와 연수에 관한 8개 영역, 공통과학 실험과 연수에 관한 8개 영역, 제 6, 7차 교육과정에 관한 4개 영역으로 구분하여 조사 분석하여 본 결과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첫째, 과학 불안을 느끼는 경우는 여자가 남자보다 많았으며, 연령과 교직 경력이 많을수록 불안을 적게 느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통과학 교과의 지도에 따른 과학 불안 요인은 7개 영역 중 학습 지도 방법에 불안을 느낀다고 응답한 경우가 가장 많았으며(57.97% ), 과학 불안 요인으로는 탐구학습 지도와 동기 유발에 불안을 느낀다고 응답하였다. 셋째, 공통과학에 대한 수업은 물리, 화학, 생물, 지구과학의 각 영역으로 나누어 지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의견이 많은 것은 공통과학의 본래 취지인 통합 과학적 사고력 증진에 기여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공통과학에 대한 연수에서는 교사의 재교육에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교사가 많았으며, 남자는 생물분야(22.66%)와 물리분야에서 어려움을 많이 느끼고 있고, 여자는 물리분야(17.19%)가 가장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으며, 전체적으로 물리분야가 가장 어려움을 많이 느끼는 것으로 조사됐다. 다섯째, 연수를 희망한 실험 종목으로는 ‘할로겐 원소의 반응성의 비교 실험’ , ‘마찰력의 측정’, ‘정지 마찰계수와 운동 마찰계수’, ‘다중 섬광 사진을 이용한 운동의 분석’, ‘소화효소의 작용’, ‘자극의 수용’, ‘판의 경계에서 나타나는 지질 구조 및 현상’ 그리고 ‘일기도 분석과 일기 예상’, ‘물체의 색깔과 복사에너지 흡수’, ‘화학전지 꾸미기’, ‘온실효과 실험’, ‘방사성 폐기물의 처리와 방사성 측정’, ‘저항과 반도체’, ‘광통신과 광학 기술’, ‘신소재의 개발’ 등으로 나타났으며, 연수를 시행하기 전 교사에 대한 연수 희망 종목을 받아본 후 연수를 시행한다면 좋은 효과가 있으리라 생각된다. 여섯째, 실험을 시범으로 지도할 때는 남자는 ‘다소 긴장되나 자신감이 있다’는 응답이 많았으며, 개별실험으로 지도할 때는 전체적으로 ‘다소 불안하고 걱정스럽다’가 가장 많았다(45.26%). 일곱째, 제 7 차 교육과정에서 실험에 대한 과학교사의 과학 불안은 ‘조금 많아질 것이다’와 ‘그대로 일 것이다’는 응답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어 제 7 차 교육과정에서도 실험에 대한 과학교사의 과학 불안은 계속되리라 생각된다. 끝으로, 학교현장에서 실험실습 여건을 조성하고, 다양한 학습자료의 개발, 끊임없는 과학교사의 자기 연수, 입시위주의 교육 지양, 과학교육에 대한 행·재정적인 지원으로 교사의 불안을 줄여줌으로서 학생들을 지도하는데 어려움이 없도록 해야 할 것이다. Science, a new subject introduced in the 6th curriculum, is composed of a form of integrated science which all high-school students should take. This study is designed to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 of high-school science by making a research of the actual condition of science instruction, by inquiring into the anxiety of science teachers caused by the subject of science, by examining into their understanding of science training and experiment training, by reducing the anxiety of teachers in charge of science and by offering basic materials for the education of teachers. With this in mind, I worked with a total of 137 teachers who are teaching science or have experience of teaching it, making an analysis of 33 factors belonging to 7 science-related anxiety factors (teaching plans for the learning of science, the contents of teaching, the methods of instruction, teaching-learning methods, teachers' roles in teaching and learning, evaluative areas and evaluative methods), 8 areas in relation to the experiments and training of science and 4 areas in regard to the 6th and 7th curriculum. I have come to the following conclusion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First, female teachers turn out to be more anxious than their counterparts in relation to science. The study shows that the more career they have and the older they are, they feel less anxiety. Second, 57.9 percent of the subjects say that they are anxious about the methods of instruction among the seven factors of science-related anxiety attendant the instruction of science, and they respond that they look upon the instruction of exploratory learning and motivation as factors which cause science-related anxiety. Third, many subjects say that the classes of science should be divided into such areas as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which proves that science fails to contribute to the enhancement of the faculty of scientific thinking; that is, the original purport of the subject. Fourth, many respondents say that training related to science is necessary for the reeducation of teachers. Male teachers are faced with a lot of difficulties in such areas as biology(22.66%) and physics, whereas their counterparts have difficulty in physics(17.19%). The subjects as a whole prove to feel that physics is the most difficult subject to teach. Fifth, the experiment items about which the subjects want to get training are as follows: 'A Comparative Test of the Reaction of Halogen Element', ‘Measurement of Frictional Force’, 'The Coefficient of Static Friction and the Coefficient of Kinetic Friction’, ‘An Analysis of Motions using Multiple Flash Light Photography’, ‘The Work of Digestive Enzyme’, ‘Stimulus Reception’, ‘Structures and Phenomena occurring on the Boundaries of Plate’ ‘An Analysis of Weather Maps and Weather Forecast’, ‘The Colors of Objects and the Absorption of Radiant Energy’, ‘The Decoration of Chemical Cell’, ‘A Green-house -effect Experiment’, ‘The Treatment of Radioactive Waste and the Measurement of Radioactivity’, ‘Resistance and Semi-conductors’, ‘Optical Communications and Optical Technology’, and ‘The Development of New Materials’ and so on. I think it will be more effective to carry out training programs after identifying the items about which teachers hope to take training before the implementation of related training. Sixth, many male teachers say that they are a little worried but confident when leading model experiment classes, and the subjects as a whole respond that they are a little anxious and worried when leading individual experiments(45.26%). Seventh, most of the subjects say that their anxiety will increase a little or remain as it is in relation to the experiments of the 7th curriculum, which suggests that their anxiety in regard to the experiments of science presented in the 7th curriculum will continue. Finally, I would like to suggest that the difficulties of science teachers should be removed by providing the conditions of experiment practices to schools, developing a variety of learning materials, giving science teachers chances for constant self-training, breaking away from exam-hell education, and supporting teachers in charge of science in an administrative and financial fashion with a view to reducing the anxiety of teachers.

      • 제6차 교육과정 고등학교 공통과학 교과서의 '생명' 단원에 대한 평가문항의 비교와 활용도 조사 분석

        최소영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3

        공통과학은 탐구 활동에 필요한 최소한의 개념만을 도입하여 경험 및 생활중심의 학습으로 과학의 영향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과목이므로 평가에 있어서도 탐구 활동 수행능력도 포함되어야만 하나 학교 현장에서의 공통과학교과는 현재의 대입 선발 방식과 학교에서의 평가 방식이 지식 내용의 암기에 치우쳐져 있기 때문에 탐구 활동의 과정적 측면보다는 내용적 측면에 치우친 교육을 하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공통과학 교과서의 여러 평가 문항들은 학생들에게 있어서는 학업 성취도 평가의 잣대이며 학교에서의 정기 고사 및 대입 선발고사를 대비하는 중요한 학습 자료이다. 이에 교과서 내에서 기본적인 평가의 실시와 그 결과에 대한 분석과 교수·학습 활동으로의 피드백 등 평가와 교수 학습 활동과의 유기적 연계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자료를 제공하고자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되고 있는 공통과학교과서 총 12종의 ‘생명’ 단원에 수록되어 있는 모든 평가문항들의 문항 수, 내용, 유형을 비교하고, 교사와 학생들의 교과서 평가문항에 대한 선호도 및 활용도를 조사 분석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공통과학 교과서 ‘생명’ 단원은 영양과 소화, 자극과 반응, 생식, 유전의 4개 중단원이 탐구활동 중심의 내용과 중단원별로 내용에 따른 연구·물음과 연습문제, 대단원 총 정리를 위한 단원종합문제의 평가문항으로 구성되어있다. 공통과학 교과서의 연구·물음 문항은 주관식 서술형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교과서의 중단원별 연습문제는 문항수가 고르지 않아 적절한 배분이 요구되었다. 단원종합문제는 문항 수가 충분하지 못한 경향을 보였고, 문항의 내용별로 분류한 결과 각 중단원의 내용별 문항 수는 평균 14개이나 생식 단원은 6개로 가장 적어 다양한 내용의 문항 개발이 필요하였다. 공통과학 교과서 ‘생명’ 단원의 모든 문항을 비교·분석한 결과 총 문항 수는 평균 48문항이었고, 교과서 별로 비교하면 29∼82문항으로 큰 차이를 보였다. 문항의 유형을 분석한 결과 전체 문항의 81.7%가 주관식 문항으로 편중된 경향을 보였고, 평가 영역별로는 지식 영역에 해당하는 문항이 전체 문항의 81.9%로 교과서 내용은 탐구활동 위주로 되어 있는 것에 비해 대조적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설문조사 결과 고등학교 교사들은 교과서 평가문항을 학생들의 성적을 쉽게 올리기 위해 사용하나 교과서 문항의 수, 내용, 유형, 평가 영역 등에 대해서는 만족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학생들이 선호하는 문항유형은 객관식이며, 객관식을 선호하는 가장 큰 이유는 답을 쓰기 쉽고 정확하기 때문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과서 평가문항에 대한 인식 조사 설문들에 대해서는 각 설문마다 52%의 학생들이 잘 모르겠다고 답하여 교과서 평가문항에 대해 큰 비중을 두고 있지 않으며, 교과서 평가문항을 정기고사에 활용하고 있다는 교사는 61%인데 반해 학생들이 교과서 평가문항이 교내 정기고사에 활용되고 있다고 생각하는 학생은 31%에 그쳐 학생들이 시험에 대한 관심과 정보가 부족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상과 같이 공통과학 교과서 평가문항은 실제 교육 현장인 학교에서 활용하고 있고, 그 필요성도 느끼고 있으나 대체적으로 교과서 평가문항에 대해 만족하지 못하고 있어 교과서 평가문항이 충분히 활용되기 위해서는 문항 수, 내용, 평가 영역, 문항 유형 별로 개선·보완이 요구된다. General science is the subject which induce the students to recognize the influences of science by introducing the minimal concepts which are needed in scientific inquiry. So the evaluation of general science must include the inquiry competence. But in reality most of the high school teachers emphasize the contents and neglect the process of inquiry in teaching general science because of the present college entrance examination system and the test methods of high school. The evaluation items in textbooks are the creteria of evaluation and important studying materials for the school tests and the Scholastic Aptitude Tests. In this study all the evaluation items in chapter 「Life」of twelve textbooks were analyzed and compared in order to provide teachers with the materials which they can use in teaching activities and evaluation. Conclusions are as follows. The chapter 「Life」was composed of four medium-size units such as nutrition, digestion, stimulus and response, and reproduction and heredity. Each unit has several exercises which are related to the contents. In the last part, there were overall exercises. The research items were made up of the subjective tests. The number of items in the medium-size units are not even. So they were required to be shared appropriately. The number of the overall exercises was not sufficient. The average number of exercises on nutrition, degestion, stimulus and response, reproduction and heredity were 14. On the other side the number of exercises on reproduction were only 6, so it was needed to make various items. The average number of evaluation items in chapter 「Life」of general science textbooks were 48. A book contains 82 items. Other book contained only 29 items. 81.7% of items were subjective tests. 81.9% of items were applicable to 「Knowledge」. It was contradictory to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which were composed of 「Inquiry」. It was found that high school teachers use the evaluation items in the textbooks to improve the students' records. But they were not satisfied with the number of evaluation items, contents, and types. The students preferred objective tests because they could find the answers easily. In the questionnaires on the evaluation items in textbooks, 52% of the students answered that they didn't know about them. They did not make much of them. 61% of the teachers responded that they use the evaluation items in textbooks in the mid-term and final test. On the contrary only 31% of the students recognized that the evaluation items in textbooks were used in the tests, suggesting that students were lacking of interest and information about the school tests. In conclusion the evaluation items in textbooks were used in school tests and they were requisite in school tests. However, neither the teachers nor the students were satisfied with the items. It may be required to increase the contents of the items.

      • 공통과학과 중, 고등학교 과학교과서의 물리 교과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 수준 비교

        김지한 이화여자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제 6차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공통과학은 내용의 수준을 중학교 수준으로 하향 조정하고 탐구 활동과 STS 정신을 강화시킨 최초의 고등학교 통합 과학 교과이다. 그러나 실제로는 학생들이 중학교 과학과 공통과학 내용에서 많은 수준 차이를 느끼며 공통과학을 어려워한다. 이는 공통과학의 내용 수준이 중학교 과학 및 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비해 높음을 의미한다. 또한 많은 연구에서 학생들이 진급할수록 물리를 어려워하며 흥미를 잃어가고 있음이 밝혀졌다. 본 연구에서는 보다 효과적인 과학 학습 및 학생들의 인지 수준에 맞는 새로운 교과서 개발을 위해 공통과학과 중학교 과학, 고등학교 물리 I, II의 물리 교과 내용의 인지수준을 전체적, 주제별, 개념별로 분석, 비교하여 각 교과의 인지 수준을 판정하였다. 교과 내용의 분석은 영국의 CSMS(Concepts in Secondary Mathematics & Science)Program에서 개발한 물리 교과 내용 분류틀을 사용하였으며 분석 대상 교과서로는 중학교 과학의 경우 금성, 두산동아, 공통과학 교과서로는 한샘, 두산동아, 교학사, 대한 교과서, 물리 I , Ⅱ 교과서로는 금성 천재교육의 교과서를 임의로 선택하였다. 교과서의 내용이 요구하는 사고력 수준은 초기 구체적 조작기를 1, 후기 구체적 조작기를 2, 초기 형식적 조작기를 3, 후기 형식적 조작기를 4로 임의의 점수를 부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각 교과의 물리 교과 내용이 요구하는 인지 수준 평균치는 중학교 과학 2.79, 공통과학 3.27, 물리 I 3.29, 물리 II 3.60 으로 나타나 공통과학의 물리 교과 내용이 요구하는 사고력 수준이 중학교 과학보다 월등히 높았으며 물리 I 의 수준과 비슷한 것으로 나타났다. 2. 각 교과서 모두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개념이 많았는데 전체 개념 중 중학교 과학의 68.2%, 공통과학의 82.8%, 물리 I 의 84.3%, 물리 Ⅱ의 94.1%의 개념이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했으며, 특히 물리 Ⅱ의 경우 후기 형식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개념의 비율이 가장 높았다. 3. 선행 연구에서 Piaget 이론과는 달리 대부분의 중·고등학생들의 인지 수준이 구체적 조작기에 해당하는 것으로 나타나 많은 학생들이 공통과학 및 타 교과의 물리를 어려워하고 흥미를 느끼지 못하는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과학 학습을 위해서는 학생의 인지 수준 파악, 다양한 학습 자료와 수준이 조정된 새로운 교과서의 개발 등과 같은 교과 내용과 학생의 수준 차이를 줄이기 위한 다양한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Since the introduction of the general science, the first integrated science curriculum for high school students based on the 6th education program requiring downward adjustment of content level, giving priority to research and experiment activities and stressing the STS, it has been continuously pointed out by many high school science teachers that most of the high school students feel a big gap between the general science and the middle school science in content level, and that they are having difficulties in studying the general science. This means the content level of the general science is remarkably higher than that of the middle school science, which does not seem to well serve the main purpose of the 6th education program. Also, it has been reported by many existing studies that many of the high school students are losing their interest in physics as they are moving up to higher grades because of the big difficulties they are having in physics study. This study was made to determine the respective cognitive levels of the physics parts contained in the general science, the middle school science, the physics I and II for high school students through analysis and comparison by whole part, by subject and by concept respectively, in order to facilitate the more effective science study and development of new general science textbooks more sutable to the cognitive level of the students. The textbook content was analyzed by utilizing the physics textbook content analysis method specified in the CSMS (Concepts in Secondary Mathematics and Science) Program of England, and the following target textbooks were selected on a random basis. Middle school science : KumSung, Doosan Dong-A General science : HanSaem, Doosan Dong-A KyoHakSa, DaeHan Textbooks Physics I & II : KumSung, ChunJae KyoYook In order to determine quantitatively the cognitive levels required by respective textbooks, each of the following stages was given an arbitrary point based on the degree of difficulty.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Summarized below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1. The average cognitive levels required by the physics parts of each curriculum are 2.79 for the middle school science 3.27 for the general science 3.29 for the high school physics I 3.60 for the high school physics II The above shows that the cognitive level required by the general science level is far higher than the middle school science level and that it is almost the same as the high school physics I level. 2. As shown below, the concepts belonging to the formal operational stages account for the major portion of each of all the target textbooks and the high school physics II shows the highest percentage. ◁표 삽입▷ (원문을 참조하세요) 3. Contrary to the Piaget's theory, the existing studies which were utilized in this study report that most of the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fall within the category of concrete operational stages. This means many students seem to be having big difficulties and are not interested in studying physics parts contained in the general science and those in the other curriculums as well. All of the aboves boil down to the conclusion that in order to achieve more effective science education, it seems necessary to make overall reassessment of the cognitive levels of the students, to develop various educational materials and new textbooks with content levels readjusted to meet the students' cognitive levels, and at the same time to make every effort to narrow the gaps between the content level and the cognitive level of the students.

      • 現行 高等學校 共通科學 敎育課程에서 化學敎育의 實態와 問題點에 관한 硏究 : 現場 敎育 中心으로

        李相伸 慶熙大學校 敎育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2

        The research shows that our scientific education according to study-centered-education curriculum in the past doesn't give good effects for extension of thinking faculty by focusing on delivering knowledge system, moreover it falls behind in the comparison of international relation. Modern science has a close relationship with technique and society. The object of education is that every person has a scientific technical accomplishment. Another object is that we should learn our experience in relation to science and that content can be adapted to our daily life. In this tenor, common science come into existence to deal with integrated natural phenomena and we can seek for the its meaning in the STS education. I think it is very important thing that we think what the solution about reality is by grasping the reality - how common science of 6th education curriculum is accomplished in school spot. Therefore, the research had a questionnaire about students and teachers, the problems about that is like this. Firstly, the content of common science textbook has a big difference with original tenor. In other words, it can't cause original tenor - creative solution, the understanding of integrated natural phenomena, the cultivating of scientific technical accomplishment, the solution of real life, the interests of natural phenomena and studying Secondly, if we investigate the operating reality of common science, during the class of research activity, that experiment-centered-study is not active occupies 61.9%. and that student's discussion dont activate is 76.2%. Also, during the common science's class, the opinion that the connected class is moderate is 66.7%, when teachers teach the subjects which don't major in, students can't understand well about that subject. This shows high figure as 85.7%. In general, it is true that many things we pursue in common science is not operating well. Therefore, this research shows the problems about this thing and a reform measure. First, the main problem is this. The common science for real life is thought to be useless and helpless. Therefore, we can make a great response for students if we make fields related our life interesting and accessible easily. Of course, it is natural that we have to make our best for organization of textbook. Second, students can do nothing without teacher's help or the help of a reference book because it enters main text or research activity without the basic content which students can think by themselves. In other words, the skill of solving problems is becoming lower. This explanation of principle or structure has to be described more with the appendix of the textbook to solve this problem. Third, we can indicate that there is little connection between units. I think that this is not only the problem of common science's structure but also the problem of our teacher's responsibility. During the common science, I can see that the class of a major field of study is interesting but the class of other fields of study is not so. Therefore, the study is a superficial knowledge and the study is not to base understanding about principle but to end as only memorizing. Fourth, The class of common science is not to focus on experiment, research but to focus on cramming education because of a heavy burden - an entrance examination. Therefore, the upcoming class is progressing to experiment-centered or research-centered study. And it can give many interests to students. To do so, the members of one class has to be decreased. So many students can take part in the experiment positively(actively) more. Fifth, the content of textbook is crude. Students and teachers, all feel about this problem. We have to bind related contents between each fields not to divide physics, chemistry, biology and earth science according to the subject name of common science. And we have to edit moderate quantities, not many quantities. Sixth, we need to train expert teachers. In the university, we have to make common science department to raise expert teachers who teach the common science. And we had better abolish the educational systems that one teacher who majored in one subject teaches 4 subjects. Another alternative idea is that the previous teacher had better utilize this following research study that the current research study. This research is that the teacher who majored in chemistry educate the teachers in other fields for some periods per each schools. That will become more effective research study than current research study. At the end, we have to activate a various of studying materials. Especially, the common science's education (chemistry field) using multi-media shows the movement from letter information to upper step - graphic information society. The graphic information is not only to induce the motive of teachers but also to express concretely (directly) abstract and vague world. Therefore, The educational application of the multi-media to make the best of graff information's effect helps students to develop their useful cognition. And foremost, the more effects of the educational circles for better common science's study in the 7th education curriculum will progress continuously

      • 예비 중등 과학교사를 위한 공통과학 교재 연구에서의 포트폴리오 평가의 적용

        홍난숙 이화여자대학교 2000 국내석사

        RANK : 248687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portfolio program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s on common science teaching materials. The portfolio program aims to enhance the active learning and the reflective thinking, and at the same time to promote the ability for performance assessment in the field. this portfolio program had been developed and lasted for 1st semester. 1999 with junior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science education in cooperative learning. This portfolio program consisted in the portfolio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5 kinds of common science textbooks chosen arbitrary, and the portfolio for developing instructional strategy. The portfolio was consisted of program goal statements, evidences and reflections, evidence checking list and self-assessment. In portfolio for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ents of common science textbook, 6 objectives are suggested: unit objectives set-up, concept-mapping, comparing and analyzing the content, survey the related misconceptions and hierarchy the contents, and affective objective. In portfolio for developing instructional strategy, 4 objectives are suggested: unit objectives set-up for one unit, understanding the learning models for science teaching, developing the instructional strategy for that unit, and affective objective. The portfolios are assessed with analytic scoring check lists by 2 raters and the inter rater reliability was .72~.97. pre-service science teacher considered that setting up the goal is more important than collecting data or making them into evidences. More then 65 percent of them also asked that it is worth to make portfolio. They suggested that evidence, learner-oriented education, and group activity as a merit but also suggested that heavy load for making portfolio as a defect. More than 60 percent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 answered that portfolio assessment is procedure-centered, and around 75 percent of them also asked that portfolio assessment is helpful to checking the procedure. About 90 percent of them preferred to concrete scoring standard in portfolio assessment because it is helpful for orientation. Half of them responded positive answer in the aspect of usefulness of portfolio in collecting the knowledge and using in pre-service teather education, and rest of them respond negatively to the same question. 70 percent of them, however, replied positively in the usefulness of portfolio in procedure centered class and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s. 57 percent of them said that they would choose portfolio as a performance assessment in school education. Many of who respond negatively to portfolio assessment suggested that it is difficult to apply school education and it takes too much time. In this respect, we consider to reduce the load in portfolio. Though portfolio program for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has many advantages to promote ability for performance assessment, to develop procedure-centered learning, it takes too much time and burdens them with load.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limit the amount of portfolio and to discuss completely and to guide in carrying out portfolio for general agreement in learning goal. 본 연구에서는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 학습과 반성적 사고를 증진시키고 장차 교육현장에서의 수행평가 능력을 신장하기 위하여 예비 중등 과학교사를 위한 공통과학교재연구 수업에 적합한 포트폴리오 수업전략을 개발, 적용 및 평가하고 포트폴리오 수업전략에 대한 인식을 설문조사 하였다. 연구대상인 예비 중등 과학교사들이 조별 협동학습으로 우리 나라 공통과학 교과서 5종의 내용 비교‧분석 포트폴리오와 공통과학 학습지도안 작성 포트폴리오를 제작하는 포트폴리오 수업전략을 개발하여 한 학기 동안 적용하였다. 포트폴리오 수업전략에서는 목표에 대한 이해, 목표에 대한 증거 및 증거에 대한 반성적 서술과 함께 증거 점검표와 자기 평가표의 형식을 사용하였다. 우리나라 공통과학 교과서 내용 비교‧분석 포트폴리오에서는 교과의 단원 목표 설정, 교과서 내용의 개념도 작성, 교과서 내용 비교‧분석, 관련 오개념 조사, 학교급별 내용 연계성 및 계열성 조사와 정의적 영역을 포함하는 여섯 가지 세부목표를 제시하였다. 공통과학 학습지도안 작성 포트폴리오에서는 단원 목표 설정, 과학 교수 학습 모형의 이해, 수업지도안 개발 및 정의적 영역의 세부 목표를 제시하였다.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해서 두 가지 포트폴리오의 각 세부목표에 대하여 구체적인 채점 준거를 개발하였다. 이 채점 준거에 근거하여 채점한 학생들의 포트폴리오 평가에 대한 두 명의 채점자간의 신뢰도는 .72 ~ .97로 나타났다. 예비중등과학교사들은 포트폴리오를 만들면서 자료 수집이나 증거 작성에 비하여 방향 설정을 보다 더 중요하게 생각하였으며, 전체의 65% 이상이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활동이 가치있었다고 응답하였다. 포트폴리오의 장점으로는 증거 자료와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 학습활동 및 조별활동을, 단점으로는 많은 시간의 소요, 불필요한 자료 수집, 포트폴리오를 만드는 작업의 부담감과 포트폴리오에 대한 이해 부족을 제시하였다. 또한 포트폴리오와 보고서 평가에 대해서는 포트폴리오는 과정 중심이고, 보고서는 결과중심이라고 60% 이상이 응답하였으며, 포트폴리오의 과정평가 기능에 대해서도 75% 이상이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채점준거에 대해서는 거의 90% 정도가 구체적 채점 준거가 제시되는 경우를 선호하였다. 예비교사 교육에서 지식 수집 또는 활용 측면에서의 포트폴리오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인 응답과 부정적인 응답이 거의 비슷한 정도였다. 그러나 과정 중심 수업 및 교재 개발 측면에서의 포트폴리오의 유용성에 대해서는 70% 정도가 긍정적으로 응답하고 있었다. 또한 학생지도 측면에서는 85% 이상이, 수행평가 시행 측면에서는 75%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는데 포트폴리오 평가의 직접 경험이 주요 이유였다. 그리고 장차 교사가 되었을 때 수행 평가로서 포트폴리오를 실시할 의향에 대해서는 57% 정도가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전체적으로 포트폴리오 수업전략에 대한 부정적인 응답의 이유로는 시간이 많이 드는 것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기가 어려움이 주로 제시되었다. 예비교사 교육에서의 포트폴리오 수업전략은 수행평가 능력을 신장시킬 수 있는 다양한 예비교사 교육과정에 적합한 것으로, 학습자 중심의 능동적인 학습과 과정 중심의 학습을 증진에 도움이 되지만 시간과 부담감이 크므로 이를 줄일 수 있는 개선 방안이 요구된다. 또한 포트폴리오는 목적과 용도가 다양하므로 수업전략 시행 시 충분한 의견교환과 안내를 하고, 채점자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서는 학습 목표의 이해에 대한 의견 교환과 함께 포트폴리오 양을 적당하게 제한하는 것이 필요하다.

      • 공통과학 수행평가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인식도 및 개선방안 연구

        김일동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687

        This study, which has been conducted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at high schools in the subject of General Science investigated the understanding by students of its reliability and fairness, analyzed its problems, and suggested thereby the direction of the improvement of the objectivity and usefulness. The process of the study involved are (1) the distribution, direct or indirect, of the questionnaires to the first and second grade, male and female, students at three high schools located in Namyangjoo City area and (2) the analysis of the questionnaires collected. The conclusions of the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some misunderstings were found that the Performance Assessment was American or other countries' method, unrealistic to local situations, being forcefully introduced and implemented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Second, the excessive evaluation through existing written tests, scholastic aptitude test for college entrance, and performance assessment, together with the assignments relating to the Performance Assessment, turned out to be burdensome. Third, the study indicated that the quality of the assignments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in General Science was be inappropriate Fourth, the questions were raised on the low level of the contribution allocated to General Science and little difference of its scores in the evaluation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Fifth, it was pointed out that the result of evaluation by the Performance Assessment lacks in the objectivity and reliability. Sixth, the requirements of less memorization and the availability of group study were the favorable aspects of the Performance Assessment, while the assessment falls short of the elements essential for the scientific solutions of actual problems and environmental issues. Seventh, dissatisfaction was expressed to the effect that the considerable expenses and time were required for the Performance Assessment and the facilities and equipment were insufficient.

      • 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공통과학 교과서 분석

        홍정윤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6 국내석사

        RANK : 248687

        6차 교육과정은 1992년도 부터 시작되어 고등학교 경우 1996년부터 적용되어진다. 본 논문에서는 6차 교육과정의 시작과 함께 새로이 편찬된 최초의 과학교과 통합 교과서인 [공통 과학]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방법으로 우선, 교육과정 변천사를 통해 과학교과 배당 단위수의 변화를 살피고, 시대에 따른 과학 과목의 비중도의 변천을 알아보았다. 다음으로 [공통과학]이 이루고자 하는 근본적인 취지를 알아보기 위해 통합 교육과정과 STS 교육과정이란 두가지의 이론적 배경을 검토해 보았다. 통합 교육과정이란 교과목을 통합적으로 조직하여 전달하므로 과중한 학습량을 줄여 궁극적으로는 전인 교육을 목적으로 하는 교육과정이다. STS 란 과학-기술-사회를 말하며, 지식의 사회화에 바탕을 두고 과학적 지식이 사회가 요청하는 지식을 그리고 기술 사회에 적합한 지식을 포함해야 한다는 것을 말한다. 교육과정에서도 이를 반영해야 한다는 것이 STS 교육과정이다. 이러한 배경을 갖는 통합 교과서인 [공통과학]이 그 근본적인 취지에 부합되게 편찬되었는지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 본 논문의 핵심이다. 또한 본 논문 내용상의 분석은 기존 중학교 및 고등학교 과학교과 내용을 기준으로하여 물리 분야의 분석으로 한정하였으며, 새로이 반영되고 있는 '환경' 및 '현대 과학과 기술'에 대해서도 대학의 교육과정을 참고로 물리 분야만를 선정하여 분석하였다. 결론적으로 볼때, [공통과학]은 생활 속에서 과학적 문제들을 접할때 과학을 보다 친숙히 여기며 다양하고 다각화된 과학적 사고를 바탕으로 과학적 문제 상황을 합리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과학 유능인을 양성하는데 그 근본적인 목적이 있다고 보여진다. 그러나 현재 편찬되어진 [공통과학] 교과서들은 이러한 목적성을 이루기에는 아직 미흡하다고 보여지며, 이에 대한 자세한 논의를 하였다. 마지막으로 자율적인 과학의 학습을 위해서 실험 등에 필요한 과학적 상황들을 찾아볼 수 있는 사회교과의 사회과부도와 같은 과학교과 부교재 편찬이 필수적이리라고 제언해 보았다. The sixth curriculum was proposed in the year of 1992 by the ministry of education and is applied to the high school education from the year of 1996. In this thesis, we analyzed the textbooks in the subject of integrated science which is adopted for the first time in high school science education with the beginning of the sixth curriculum. First, in order to assess how the importance of each science subject has been changed we studied how the allocated unit of each science subject has been changed with the curriculum. Second, in order to understand the purpose of integrated science we studied integrated curriculum and STS(Science-Technology-Society) curriculum. The purpose of integrated curriculum is to provide education for the whole person by integrating the various subjects and reducing the load of studing for the students. In STS curriculum, it is emphasized that the science curriculum should inculude knowledges requested by the society and knowledges adequate for the technology society. The main focus of this thesis was to see if the currently availale textbooks of integrated science are appropriate for the purpose of the subject. In particular, our analysis was restricted to those contents which are mainly in the field of physics as classified according to the previous high school curriculum. Concerning the new sections on Environment and Modern science and Technology, only those contents which are classfied as in the physics field according to the college curriculum are analyzed. To conclude, the textbooks of integrated science are not quite up to the purpose of the subject and it would be necessary to develop supplementary materials which could help the students to do self-study and to find references for the experiments and the investigations.

      • 공통과학과 10학년 과학 교과서의 생식 단원에 대한 개념 수준 및 탐구의 비교 분석

        이연숙 公州大學校 敎育大學院 2003 국내석사

        RANK : 248687

        본 연구는 제 6차 교육과정에 따른 공통과학 교과서와 제 7차 교육과정에 따른 10학년 과학 교과서 생식단원에 제시된 과학 학습개념을 구체적 개념 수준과 형식적 개념 수준으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두 교과서의 생식단원에 제시된 탐구 활동의 탐구 유형, 탐구 과정 및 탐구 상황을 비교 분석하였다. 분석에 사용된 교과서는 공통과학 3종, 10학년 과학 3종을 동일 출판사 것으로 채택하고 생식단원을 다시 5개의 소단원으로 구분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공통과학 교과서의 생식단원에 제시된 총 학습개념은 136개 이였고, 그 중 구체적 개념이 93(68.4%)개, 형식적 개념이 43(31.6%)개 이였다. 10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학습개념은 총 163개 이였고, 구체적 개념이 103(63.2%)개, 형식적 개념이 60(36.8%)개 이였다. 10학년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개념 수가 공통과학에 제시된 개념 수보다 총 27개가 증가했는데, 구체적 개념은 10개, 형식적 개념은 17개가 증가했다. 공통과학과 10학년 과학 교과서 생식단원에 제시된 총 탐구 활동 수는 공통과학에서 보다 10학년 과학에서 2.8배 증가하였다. 탐구 유형은 공통과학과 10학년 과학 교과서 모두 생각해 보기만 제시되었다. 탐구과정은 공통과학과 10학년 과학 교과서에서 자료의 해석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그 외에 결론의 도출이 약간 제시되었으며, 탐구의 수행, 탐구의 설계 및 문제인식은 아주 낮은 비율로 제시되거나 거의 제시되지 않았다. 탐구 상황은 순수 과학적 상황이 공통과학과 10학년 과학 교과서 모두에서 가장 높은 비율로 제시되었고, 사회 기술적 상황과 일상적 상황이 공통과학보다 10학년 과학에서 2배 이상 높게 제시되었다. 탐구활동 분석 결과, 탐구 유형, 탐구 과정 및 탐구 상황이 지나치게 특정한 방향으로 편중되어 나타났다. 그러므로, 새 교과서의 탐구활동 개발 시 모든 영역의 탐구 활동을 고르게 분포시켜 학습자의 과학에 대한 흥미와 창의력 신장에 도움이 되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oncept level for the reproduction unit between common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sixth curriculum and 10th grade science textbooks based on the seventh curriculum. Also,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types, processes and skills, and context of inquiry activities in the reproduction based on two kinds of textbooks. Three kinds of common science and 10th grade science textbooks were analysed and divided the reproduction unit into five subunits. The gross number of concepts was 136, the concrete of 93, the formal of 43 in common science. the gross number of concepts was 163, the concrete of 103, the formal of 60 in the 10th science. The number of concepts was increased 27, the concrete 10, the formal 17 in the 10th grade science more than in common science. The gross number of inquiry activities was increased 2.8 times in the 10th grade science. Types of inquiry were investigated only the Thinking in both textbooks. Processes and skills of inquiry were mostly presented the Interpreting data, and were not mostly presented the Formulating a conclusion and Performing an inquiry and Perceiving a problem, Designing an inquiry in both textbooks. Context of inquiry were showed mainly Natural scientific and Daily life and Techno-social were increased 2 times in the 10th grade science. As result of analysis, types and processes and skills, and context of inquiry were attached much important to a specific direction. In that time of the develope new textbooks, all sides of inquiry activities were equally distributed and would be help students extend the interest of science and an original ide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