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옻칠 복합 재료를 이용한 기물 제작 연구 : 분체 재료와 옻칠을 중심으로

        고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박사

        RANK : 247807

        Lacquer craftsmanship is a creative activity that utilizes the excellent physical properties of lacquer materials for technical realization and spiritual pursuit, containing the rich culture of the East and outstanding artisan spirit as an intangible cultural heritage. However,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modern artistic tastes, lacquer craftsmanship has become a field in desperate need of experimental research utilizing modern material technology and innovative thinking, despite its historical tradition and vast practitioner base, to break free from the limitations of existing craft techniques. Socially, lacquer artists face several challenges, but researchers have identified three major issues as particularly important. First, artisans immersed in complex and repetitive technical processes lose their sensitivity to artistic expression, leading to a diminished ability to express emotions and feelings through liquid materials. Second, the long drying time of lacquer works slows down production, creating economically disadvantageous situations that do not align with modern society's fast consumption patterns. Third, the long drying period blocks the artist's involvement and makes it difficult to reflect spontaneous inspiration, reducing the passion for creation. To solve the difficulties of lacquer craftsmanship and the problems as creators, researchers have applied the theory of powder material science and industrial composite materials to lacquer craftsmanship. Through experiments and artistic creation, they transformed the basic physical properties of lacquer, a liquid material, developed new types of lacquer mixtures by advancing physical and chemical characteristics beyond decoration and application. This initiative aimed to change existing material usage practices, technical methods, and quality evaluation standards, presenting a new aesthetic in lacquer craftsmanship without the constraints of tradition. Researchers conducted experiments mixing easily accessible powder materials with lacquer, record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through quantitative research such as color measurement, hardness tests, and bending tests. First, the results of sprinkling powder materials on undried lacquer surfaces were analyzed for color information in the CIE Lab color space through color measurement, showing a close relationship with the color, particle size and weight, microscopic shape of the particles, and whether water was sprayed. Second, the results of mixing clay, water, and raw lacquer were analyzed for color, texture, and aesthetic analysis using a colorimeter and lacquer craft theory knowledge. The color and texture of the result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mixing ratio, and various texture phenomena and the three elements of 'dot-line-surface' decoration could appear alone or simultaneously. Third, texture analysis and physical tests were conducted on mixtures of lacquer, fibrous powder, and diatomaceous earth. The analysis found that effects such as wrinkles and cracks were closely related to the ratio of each material, and that the content of fibrous material and diatomaceous earth could reduce the wrinkling effect. The best hardness data of 1086HV1 was obtained with a mixture ratio of 10:12:0 measured by the Vickers hardness tester. When the ability to withstand shape changes was measured with a material detector, the mixture with a ratio of 10:7:2 showed the best effect, indicating excellent bending strength and durability. Similar analysis on mixtures with different thicknesses or replacing raw lacquer with colored lacquer showed that thicker mixtures have higher bending strength and lower likelihood of shape change, and that it is difficult to replace raw lacquer with colored lacquer.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composite materials, the combination of powder and fibrous materials explored unique textures distinct from traditional lacquer crafts, developing a new type of lacquer composite material to create baseless lacquerware. The researcher believes that in the contemporary environment where artistic creation intersects with scientific inquiry, craftsmen must understand new materials and new ways of thinking, actively applying modern technology and innovative thinking to the field of traditional crafts. This approach can contribute to creating new forms and unique styles beyond the existing system and artistic expression of traditional crafts, providing a new paradigm for the development of craft art. 칠 공예는 옻칠 재료의 우수한 물성을 활용한 기술적 실현과 정신적 추구의 창조적 활동으로서 풍부한 동양 문화와 뛰어난 장인 정신을 담 고 있는 무형문화유산이다. 그러나 현대의 다양한 예술 취향의 등장으로, 칠 공예는 역사적 전통과 방대한 종사자 기반에도 불구하고 기존 공예 기법의 제한을 벗어나 현대 재료 기술과 혁신적 사고를 활용한 실험적 연구가 절실한 분야가 되었다. 사회적으로 칠 공예 창작자들은 여러 도전에 직면하고 있지만 연구자 가 특히 중요하게 판단한 세 가지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인들은 복잡하고 반복적인 기술 과정에 몰입하다 보니 예술적 표현에 대한 감 수성을 잃고, 액체 재료를 통한 순간적인 감정과 느낌의 표현 능력이 저 하되었다. 둘째, 옻칠 작품의 긴 건조 시간은 생산 속도를 늦추므로 현 대 사회의 빠른 소비 패턴과 맞지 않아서 불필요 경제적으로 불리한 상 황을 초래한다. 셋째, 긴 건조 기간은 예술가의 관여를 봉쇄하고 순간적 영감의 반영을 어렵게 해 창작의 열정을 저하시킨다. 옻칠 공예의 어려움과 창작자로서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분체 재료학과 산업용 복합 재료의 이론을 칠 공예에 적용하였다. 실험 과 예술 창작을 통해 액체 재료인 칠의 기본적 물성을 변형하고, 장식과 도포 외의 물리적, 화학적 특성을 발전시키며 새로운 유형의 옻칠 혼합 물을 개발하였다. 이를 통해 기존의 재료 사용 관행, 기술 방법, 품질 평 가 기준에 변화를 주며, 전통의 굴레를 벗어나면서 새로운 미감을 가지 는 무태칠기를 선보이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일상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분체 재료와 옻칠을 혼합하는 실험을 진행했으며, 이를 색상 측정, 경도 시험, 굽힘 시험 등의 정량적 연구로 기록하고 분석했다. 첫째, 분체 재료를 건조되지 않은 옻칠 표면 에 뿌린 실험 결과물은 측색을 통해 CIE Lab 색공간에서 색상정보를 분 석하였다. 그 결과, 결과물의 색상과 질감은 사용된 분체 재료의 색상, 입자 크기와 무게, 입자의 미시적 형태 및 물 살포 여부와 밀접한 관계 가 있었다. 둘째, 토분, 물, 생칠을 혼합한 결과물을 색차계와 칠공예 이 론 지식을 이용해 색상 분석, 질감 분석과 심미적 분석을 실시했다. 결 과물의 색상과 질감은 혼합 비율과 밀접한 관계가 있었으며, 다양한 질 감 현상과 ‘점선면’ 장식의 삼요소도 단독 혹은 동시에 나타날 수 있 었다. 셋째, 옻칠, 섬유질 분체와 규조토를 혼합한 결과물의 질감 분석과 물리적 시험을 실시했다. 분석 결과, 주름과 규열과 같은 효과는 각 재 료의 비율과 밀접한 관련이 있었고 섬유질과 규조토 함량이 높을수록 주름 효과가 줄어들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또한 비커스 경도계로 측 정한 결과, 생칠, 섬유질, 규조토의 혼합 비율이 10:12:0일 때 1086HV1의 가장 우수한 경도 데이터가 나왔다. 재료 검출기로 형상 변화를 견딜 수 있는 정도를 측정했을 때, 10:7:2의 비율로 혼합한 결과 물이 가장 좋은 효과를 보이며 잘 부서지지 않고 우수한 굽힘 강도를 나타냈다. 동일한 방식으로 두께가 다르거나 색칠로 생칠을 대체한 결과 물도 분석했는데, 혼합물의 두께가 두꺼울수록 굽힘 강도가 높고 형태 변화 가능성이 낮으며, 색칠로 생칠을 대체하기 어렵다는 결과가 나왔다. 이렇게 복합 재료의 개념을 도입하여, 분체 재료와 섬유질 재료의 결합 으로 전통 옻칠 공예품과 구별되는 독특한 질감을 탐색하였다. 또한, 태 없이 형태를 만들 수 있는 새로운 옻칠 복합 재료를 개발하여, 무태칠기 의 기반이 되는 소재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예술적 창작과 과학적 탐구가 교차하는 현대 환경에서 공예 가는 신소재와 새로운 사고 방식을 이해해야 한다고 보고 이에 따라 현 대 기술과 혁신적인 사고를 전통 공예 분야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접근은 전통 공예의 기존 시스템과 예술적 표현을 넘어 현대 공예만의 새로운 형태와 독특한 스타일을 창출하는 데 기여할 수 있다. 이는 공예 미술 발전을 위한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할 것이다. 주요어 : 옻칠 공예, 옻칠 복합재료, 칠기, 금태칠기, 무태칠기 학 번 : 2019-34975

      • 양산 기술을 활용한 금속공예 상품 연구

        윤여동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18세기 산업혁명 이후 기계와 기술 그리고 현대 자본의 결합은 공산품 대량생산 체제의 출현을 가져왔다. 대량 생산 방식은 장인의 숙련된 기술과 예술적 감각에 의존하던 전통 공예 방식에 비해 미적 획일화와 몰개성을 초래하였다. 이 같은 폐해에 저항하고자 19세기 중반 영국에서 일어난 ‘미술·공예운동(The Arts & Crafts Movement)’의 정신은 각종 생산과 소비 패턴의 심대한 변화를 겪고 있는 오늘날 4차 산업혁명시대에도 여전히 유효하다. 최근 국내에서 활성화되고 있는 공예산업과 관련하여 주목 받고 있는 것은 문화 예술 수요자들과의 소통과 그들의 취향에 기반한 공방 중심의 수공예 생산 활동이다. 이와 관련하여 본 논문에서는 소수의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산업 연계에 의한 공예 생산 활동 방식’을 본 연구자의 구체적인 작품 활동 경험을 통해 조망하고 그 효용성을 뒷받침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첫째, 양산 기술과 수공예적인 요소를 결합한 작품을 중심으로, 둘째, 기업 연계에 의한 작품 연구로 크게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 번째 작품 연구에서는 반복 작업, 다품종 소량 생산에 알맞은 형태로 단시간 내에 많은 양을 생산할 수 있는 스피닝, 레이저 커팅, 캐스팅과 같은 기술을 사용하였다. 두 번째 작품 연구에서는, 아트 콜라보레이션을 통하여 화장품, 패션, 호텔, 카페 등의 기업 및 브랜드와 연계하여 금속공예품을 제작하였다. 다양한 분야와의 협업은 공예가의 활동 영역을 확장하고 경제적 활동을 가능하게 해 주었다. 오늘날 공예 산업의 환경 속에서 작품 활동을 지속하고자 하는 연구자로서 ①‘다품종 소량생산’의 공예품 생산 방식과 유통에 대한 경험을 공유하고, ②지속적인 작품 생산 활동을 통해 공예가의 안정적인 수익 창출 방안을 모색하며 ③공예품 생산량 증가를 통해 공예산업 활성화에 기여하며 공예품의 소비 증대를 통해 현대인의 문화욕구 충족과 삶의 질 향상을 도모하고자 한다. After the Industrial Revolution in the 18th century, the combination of machinery, technology, and modern capital led to the emergence of a mass production system for industrial products. The mass production method resulted in aesthetic uniformity and uniqueness compared to the traditional craft method that relied on the skilled skills and artistic senses of craftsmen. The spirit of The Arts & Crafts Movement, which took place in Britain in the mid-19th century to resist such evils, is still valid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which is undergoing profound changes in various production and consumption patterns. Recently, what is attracting attention in relation to the craft industry that is being activated in Korea is communication with cultural and artistic consumers and handicraft production activities centered on workshops based on their tastes. In this regard, this thesis aims to view the 'craft production activity method by industry connection' suggested in a few previous studies through the researcher's specific experience in work activities and support its effectiveness.   To this end, first, it was largely divided into works that combined mass production technology and handicraft elements, and second, research on works by corporate linkage. In the first work study, techniques such as spinning, laser cutting, and casting, which can produce a large amount in a short time in a form suitable for repetitive work and mass production, were used. In the second work study, metal crafts were produced in connection with companies and brands such as cosmetics, fashion, hotels, and cafes through art collaboration. Collaboration with various fields expanded the area of craftsmanship and enabled economic activities.  As a researcher who wants to continue own work activities in today's craft industry environment, I wants to share my experience in producing and distributing crafts, seek ways to generate stable profits for craftsmen, contribute to revitalizing the craft industry, and improve the cultural needs and quality of life.

      • 우리나라 전통 도자공예의 단계별 감상 지도 방안

        김현정 대구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교육과정이 바뀔 때마다 전통미술에 대한 비중이 점점 커지고 있으나, 학교에서 이루어지는 전통미술 감상 수업은 교과서에 의존한 형식적인 감상 또는 회화 영역 위주의 감상 활동이 선호되고 있다. 또 감상 수업 시 학생들이 무엇을 감상해야 하는지 감상 관점을 갖고 있지 못하며, 감상한 내용을 조형 언어를 사용하여 명확하게 표현하기를 어려워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전통미술 영역 중 미적 가치 뿐만 아니라 기능적인 면에서 학생들의 실생활과 밀접한 관련이 있는 도자공예를 대상으로, 작품 감상 시 분석적이고 단계적인 접근을 강조하는 펠드먼의 미술 비평 단계에 근거한 새로운 미술 비평 모형을 개발하여 감상 수업에 적용함으로써 우리나라 전통 도자공예의 감상 지도 방안을 모색해 보았다. 먼저 문헌 연구를 통해 도자공예의 특징과 종류, 도예 과정, 미술 감상과 비평 교육에 대한 조사를 하였다. 또 펠드먼의 미술 비평 단계를 이해하고 이에 근거하여 5단계의 ‘도자공예 비평 모형’을 개발하였으며, 미술과 교육과정을 분석하여 우리나라 전통 도자공예의 지도 현황을 알아보았다. 감상할 우리나라 전통 도자공예로는 청자, 분청사기, 백자로 제한하였으며, 매 감상 수업 1차시에서는 도자공예 비평 모형을 통해 ‘생각 열기 - 미적 요소 찾기 - 주제 찾기 - 작품 평가하기 - 더 나아가기’의 단계로 도자공예를 감상하였다. 그리고 감상한 내용이 다음 차시에서 표현 활동 및 이해 활동과 연계 지도되도록 하였다. 우리나라 전통 도자공예의 단계별 감상 수업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 스스로 감상 관점을 갖고 도자공예 비평 모형의 각 단계별로 감상 활동을 할 수 있게 되었다. 그리고 도자공예 비평 모형의 ‘미적 요소 찾기’ 단계에서의 관찰이 더욱 자세하게 이뤄졌으며, 감상 소감을 말하는 학생들의 언어적 표현력이 많이 신장되었다. 둘째, 감상 활동 후 전개된 조형 표현 활동이 더 다양하고 창의적으로 이루어졌다. 도자공예를 감상하고 그 특징을 잘 이해한 학생들은 표현 활동 시 사실적인 표현 능력의 신장을 보여주었을 뿐만 아니라, 더 나아가 배운 내용을 응용하여 창의적으로 디자인하는 능력을 보여주었다. 또 자신의 작품을 돋보이게 할 수 있는 표현 방법과 재료를 스스로 선택·활용할 수 있었다. 셋째, 학생들이 도자공예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고, 도자공예에 대한 이해 능력 또한 향상되었다. 앞으로 학생들이 우리나라 전통 도자공예를 바르게 이해하고, 이를 바탕으로 한 단계 더 높은 새로운 미술문화를 창조할 수 있도록 학교 현장에서 전통 도자공예에 대한 단계별 지도 방안을 지속적으로 적용·발전시켜야겠다. 연구에 대한 제언으로는 도자공예 비평 모형을 적용한 워크 시트를 개발하여 박물관에서의 현장 학습을 통해 학생들이 실물 도자공예를 감상하고 느낀 점을 언어로 표현할 수 있는 기회를 많이 제공하고, 교사가 먼저 도자공예에 대한 충분한 지식을 갖추어야겠으며 다양한 도자공예 참고 자료를 제작하여 감상 수업 시 활용해야겠다는 것이다. Whenever the curriculum changes, the portion of traditional arts gradually increases. However the appreciation class of traditional arts in school still prefers the formal appreciation depending on the textbook or painting-oriented appreciation activity. Students do not have a standpoint of appreciation for what in the class and feel difficult to represent what they appreciated exactly with a formative language. The object of this study is pottery craftwork out of traditional arts that is closely related to the practical life of students in aesthetical values as well as functional respect. This study groped for a plan of appreciation guidance to domestic traditional pottery craftwork by developing a new model of artistic criticism based on Feldman‘s artistic criticism stage that emphasizes analytical and gradual approach in appreciating a work and applying it to the appreciation class.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kinds and procedure of pottery craftwork, arts appreciation and critique education were investigated through literary research. 5 stage's 'pottery craftwork critique model' was developed based on the Feldman‘s artistic criticism stage that was understood. A map of current domestic traditional pottery craftwork was observed by analyzing the curriculum of arts department. The domestic traditional pottery craftwork to appreciate was limited to celadon porcelain, grayish-blue-powdered celadon and white porcelain. The procedure of appreciation class was 'mind opening-looking for aesthetical element-looking for theme-assessing the work-going forward' in every 1st appreciation class. The appreciated content was supposed to be instructed and connected with the next class' activities of expression and understanding.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gradual appreciation class of domestic traditional pottery craftwork. First, students came to be able to have their own standpoint and appreciate by each stage of pottery craftwork critique model. The observation in the stage of 'looking for aesthetical element' of pottery craftwork critique model was carried out in more detail and the verbal expression of the students about their impression was improved a lot. Second, the formative expressional activity after appreciation became more diverse and creative. Students who appreciated pottery craftwork and understood the characteristics well showed the increase of realistic expressional ability and the ability to design creatively while applying what learned. They came also to be able to select and use the expressional method and materials that can show up their own work. Lastly, students came to be much interested in the pottery craftwork and the comprehensive faculty was also improved. The plan of gradual guidance of traditional pottery craftwork should constantly be applied and developed in the school so that students can understand the domestic traditional pottery craftwork correctly and create a step higher new culture of arts based on it. Suggestions for research are as follows. A worksheet that applies pottery craftwork critique model should be developed to provide students with lots of opportunities to express verbally what they appreciated the real pottery craftwork and felt through field class in a museum. Teachers should first have a sufficient knowledge of pottery craftwork and produce various reference materials to apply in the appreciation class.

      • 현대 대나무공예에 활용 가능한 편조기법 패턴 연구

        황미경 조선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대나무는 매년 수확이 가능하고 용도가 다양하여 일상생활에 유용한 자원으로 활용 가치가 높은 친환경 소재이다. 죽세공예뿐만 아니라 섬유질이 풍부하여 성인병 예방에 효능이 있는 죽순과 댓잎을 이용한 음료, 식재료 등 여러 가지 식품으 로 사용하고 있으며 대나무 숯은 방습, 항균성이 있어 우리 생활 여러 곳에서 다양하게 쓰이고 있다. 또한 관광산업의 주요자원으로도 활용되고 있으며 빠르게 변하는 현대인의 지친 심신을 안정시켜주고 휴식을 제공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가구 및 인테리어소재와 건축자재에까지 대나무를 활용하는 움직임이 날로 늘어가고 있으며 세계는 지금 환경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지속가능한 대체재로써의 대나무에 관심을 갖고 다방면으로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진행하고 있다. 본 연구는 친환경 소재인 대나무를 가늘게 쪼개고 얇게 떠서 사용하는 죽세공예의 여러 가지 기법 중 편조기법에 활용되고 있는 다양한 패턴들의 종류와 활용도에 대해 연구하였다. 전통으로만 여겨졌던 죽세공예품을 다양한 편조기법의 패턴들 을 활용해 현대 라이프 사이클에 맞는 일상 생활용품으로 창작 하였다. 이와 같이 죽세공예 편조기법의 다양한 패턴을 활용한 생활용품들을 창작하기에 앞서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죽세공예가 발달했던 담양지역의 죽세공예 발달 역사와 죽세공예 재료인 대나무 분포 지역 및 종류별 특성을 파악하였다. 죽세공예는 다른 공예와는 달리 재료를 직접 가공해야만 하는 공예로 대나무 가공하는 과정을 자세하게 다루었으 며 염색 방법을 파악하기 위해 문헌과 선행 연구를 근거로 고찰하였다. 둘째, 죽세공예 편조기법으로 표현할 수 있는 패턴의 종류를 국내·외 사례연구 및 외국의 참고 서적을 고찰하여 정리하였다. 그 결과 현재 죽세공예를 하고 있는 여러 나라들은 거의 비슷한 패턴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패턴의 명칭 은 짜인 모양이 도형의 모양과 같아 이름 지어진 것으로 추측되는 사각형 패턴, 육각형 패턴과 팔각형 패턴 등이 있었다. 그리고 우리 주변에서 흔하게 접할 수 있는 자연물이나 사물 등의 이름을 본 따 지어진 것으로 추측되는 별 패턴, 마엽 패턴, 거북이 등껍질과 같다고 해서 귀갑 패턴을 비롯해 해바라기바닥 패턴, 국화꽃 패턴, 파도 패턴 등으로 기본적인 패턴은 거의 정형화된 패턴들을 사용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셋째, 죽세공예 편조기법중 제품의 바닥 부분과 몸통 부분에 주로 활용되고 있는 패턴을 문헌과 인터넷 자료들을 통해 고찰하였다. 주로 바닥 패턴으로 사용하는 국화바닥 패턴, 해바라기바닥 패턴, 별 패턴과 사방 망대 패턴을 제외하고는 바닥과 몸통을 병행하여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그리고 작업의 완성도를 결정하는 가장 중요한 과정인 마무리 기법으로는 갱기대 마무리, 테대 마무리, 세할(細割)테 마무리, 자연 마무리 기법이 있는 것으로 파악 되었다. 넷째, 작품제작 및 해설에서는 작품에 필요한 재료 준비와 작업 의도를 밝히고 아이디어 스케치 및 도안을 준비한 다음 죽세공예 편조기법으로 작업한 작업과정과 작품 설명으로 진행하였다. 다섯째, 죽세공예 편조기법의 다양한 패턴들을 활용하여 7개의 작품을 창작하여 제시하였다. 자연 소재인 대오리가 교차되면서 형성하는 기하학적인 선의 아름다움을 극대화시켜 표현하였다. 조명을 비롯한 본 연구의 작품들은 일반가정을 비롯해 한옥의 다실 등 다양한 공간에서 활용할 수 있는 현대 라이프 사이클에 맞는 제품으로 지속적인 디자인 개발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을 느꼈다. 끝으로, 죽세공예를 하면서 사용하고 있는 적지 않은 용어들은 일제 강점기에 사용했던 언어들로 현재까지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러므로 현장에서 본업으로 작업하고 있는 연구자에 의해 자주 사용하고 있는 용어 정리와 죽세공예 패턴에 관한 종류와 활용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나마 시작되었다는 데 의의를 두고 싶다. 그리고 전통공예에 머물러 있는 죽세공예가 한 발 더 내딛기 위해선 현대인들의 니즈에 맞는 디자인 개발이 절실히 필요하며 한국대나무박물관 내에 맞춤 형 죽세공예 전문 양성기관이 설립되어 지속적인 교육을 통한 연구 및 개발이 젊은 작가들에 의해 이루어지길 간절히 소망해 본다. Bamboo is an eco-friendly material that is highly valuable as a resource useful for everyday life because it can be harvested every year and has various uses. In addition to bamboo crafts, it, using its part such as bamboo shoots effective in preventing adult diseases and bamboo leaves contained high fiber, is used as various foods, drinks or food ingredients. Besides, bamboo charcoal is used in various places in our lives because of its moisture-proof and antibacterial. Furthermore, It is also used as a major resource for the tourism industry, providing rest and stabilizing the tired mind and body of modern people arise from rapid change. In addition, recently, the use of bamboo for furniture, interior materials, and building materials is increasing day by day, and the world is now interested in bamboo as a sustainable alternative making efforts to use it in various ways. This study is focused on the types and utilization of bamboo crafts‘ various patterns used in the weaving techniques, among the various techniques of bamboo crafts that use bamboo, an eco-friendly material, by thinly split and sliced. In this study, bamboo crafts, which were considered only traditional, were created as daily necessities suitable for the modern life cycle by using various patterns of weaving techniques. In this way, the contents derived from theoretical consideration before creating household products using various patterns of bamboo craft weaving techniques are as follows. First, I studied history of the bamboo crafts’ development in Damyang, where bamboo crafts were advanced, and the distribution area and characteristics of bamboo, materials of bamboo crafts. Unlike other crafts, bamboo crafts are crafts that can only be made by processing raw materials called bamboo to make products. For this reason, material preparation was an important process, and the steps of processing the material used in bamboo crafts was dealt with in detail and studies to understand the dyeing method were considered based on literature and previous. Second, I summarized certain types of patterns that can be expressed through the bamboo craft weaving technique by examining domestic and foreign case studies, and foreign reference books. As a result, it was found that several countries currently performing bamboo crafts use almost the same pattern. The names of the patterns were square patterns, hexagonal patterns, and octagonal patterns, which are presumed to have been named because the woven shape was the same as the shape of the figur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the basic patterns such as the earplugs pattern, sunflower floor pattern, chrysanthemum pattern, and wave pattern, etc. which are believed to have been named after natural objects or objects commonly encountered around us, are almost standardized. Third, as a result of examining the patterns mainly used in the bottom and body parts of the product through studies and Internet datum, it was found that the most of the patterns can be used in floor and body parts of the product in various ways, except for chrysanthemum floor patterns, sunflower floor patterns, star patterns, and square net patterns. What‘s more, it was found that there are most important finishing techniques determining the completeness of the work, which were Gan-ggi-dae finishing, rim finishing, Sehalte finishing, and natural finishing techniques. Fourth, in the production and commentary of the work, the preparation of materials necessary for the work and intentions were revealed. After idea sketches and designs were prepared, the process and explanations of work used bamboo crafting techniques were described. Fifth, seven works using various patterns of bamboo craft weaving techniques are presented. Works that maximize the beauty of geometric lines formed by crossing the natural materials of Daeori were found to be suitable for modern life-cycle. It can be used in various spaces such as homes, tea rooms in Han-ok, making me feel the need for continuous design development. Finally, not a few terms used in bamboo crafts are used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and still being used until now. Therefore, it is meaningful that research on the types and uses of patterns, arrangement of terms frequently used in the field, and bamboo craft knitting techniques has begun. In order for bamboo crafts remaining in traditional crafts to take a step forward, it is necessary to develop designs that meet the needs of modern people. I sincerely hope that research and development with continuous education will be carried out by young artists by establishing an institution specializing in customized bamboo crafts in the Korea Bamboo Museum

      • 화훼재료를 활용한 생활공예 디자인 연구 : 프리저브드 플라워 장미를 이용한 작품 중심으로

        차예순 대구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화훼장식은 유한성을 가진 물질적 재료로 제작되어지는 조형예술이다. 이러한 화훼장식에 조형과 혼합재료가 합해짐으로 표현영역이 무한 확대되고 있다. 공예의 기능성 탈피와 기존 관념에서 벗어나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표현하고자 하는 내용과 의미를 개성있게 연출하여 화훼장식의 개념의 확대, 다양한 혼합재료 도입, 형태와 기법들로 화훼장식품이 다양화되고 생활 속에 오래보존 되어 질 수 있게 되었다. 현대의 생활 슬로건이 자연친화적으로 변화되면서 공예와 쓰레기 줄이기 등 많은 방법들이 동원되어지고 있다. 즈음하여 유한성을 지닌 화훼장식에서 벗어나 생활 공간속으로 소비자의 욕구를 충족시키는 한편 소비를 늘이고 생활공간 장식품으로 오래 보존되어 소장될 수 있도록 연구하고자 하였다. 연구자는 생활공예를 알리고자, 2012년11월26일부터 한달동안 일반대중들과 함께할 수 있는 차와 공간이 있는 갤러리를 통하여 전시회를 개최하게 되었다. 또한 판매가 가능하도록 자연친화적이면서 일반적인 혼합재료와 계절에 맞도록 디자인하여 대중과 가까이 할 수 있는 계기가 되도록 하였다. 개인작가가 정해져 있는 기간 전시회나 통해서 볼 수 있는 기회를 일본과 같은 경우는 백화점에 공예전문담당 직원이 기획판매를 하듯이 백화점이나 모델하우스, 문화체험장, 일반 찻집 등 대중들이 많이 소통하는 장소를 통하여 늘 가까이에 접할 수 있는 생활공예가 되어서 단순히 보여주는 것으로 끝이 아닌 서로 소통할 수 있는 전시 환경과, 전시 정보를 나누며 끝없는 부가가치 재생산이 되는 책임과 의무를 가진다. 그러므로 화훼장식이 생활공예디자인이 되어 소멸되지 않고 보존되면서 인테리어 소품으로 각광받기를 기대하는 마음으로 생활공예 디자인의 필요성을 제언한다.

      • 현대공예 전시 특성에 관한 연구 : 예술공예와 산업공예의 전시 실무 비교를 중심으로

        정유경 홍익대학교 미술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생활 속의 예술’로부터 ‘예술을 위한 예술’을 향해 방향을 전환해온 것이 현대공예의 큰 흐름이다. 이러한 흐름은 사회적인 요구에 의한 것이 아닌, 일제 강점기를 통해 유입된 이 굴절된 공예관에서 부터 비롯되었고, 해방 이후 오늘에 이르기까지 여전히 우리 현대 공예계에 대세를 이루며 이어져오고 있다. 공예의 예술화는, 공예계 내부적으로는 공예의 표현 영역을 넓히는 순기능을 하였고, 사회적으로는 전통적인 공예관과 대립하면서 미술공예 외의 나머지 가능성을 크게 위축시키는 역기능을 가져왔다. 본 논문은 예술적 가치 정립을 위해 새로운 개념이나 정의를 만들어 온 현대공예의 연구 주제와 각도를 달리하여, 현존하고 있는 여러 유형의 공예가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방법으로서의 전시 특성이 무엇인지 연구했다. II장에서는 미술 전시와 비교하여 예술적인 요소와 산업적인 요소를 모두 지닌 공예의 전시가 차별화 되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유럽과 일본 그리고 우리 나라의 공예 변천사를 살펴, 본 논문에서 공예의 개념을 예술공예와 산업공예로 나누는 근거로 삼았다. III장에서는 예술공예와 산업공예가 지닌 각각의 특성이 사회적 가치를 지니는 활동으로 드러나게 하기 위해서, 전시 방법이 어떻게 달라져야 하는지 디스플레이, 홍보물과 홍보, 가격과 유통측면을 비교하면서 설명하였다. 작업의 결과물이 예술공예 분야에 속하는 경우, 개별성이 중시되는 디스플레이, 이미지의 왜곡이 없는 홍보물의 제작, 일간지를 통한 홍보, 일품으로 거래되는 유통구조 등 기존의 미술품과 유사한 전시 방법이 적용되었다. 반면 결과물이 산업공예 분야에 속하는 경우, 견본품 전시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는 새로운 형식의 전시 방법을 세우거나, 신제품을 홍보하는 프로모션의 한 방법으로서의 전시가 되어야 했다. 그리고 전시 방법을 선택하는 것에 앞서, 작가 스스로 예술적 가치가 있는 작업을 할 것인지, 산업적 가치가 있는 작업인지에 대한 작업의 정체성을 분명히 하는 일이 선행되는 것이 중요했다. 지금은 공예의 흐름이 어느 방향으로 기울고 있는가를 주시하면서 작업의 방향을 바꾸거나 바꿀 준비를 할 때가 아니다. 한때 다원론의 편리한 개념에 편승하여 무엇이든 다 공예일 수 있고 아닐 수도 있다는 논리 아래 무력화되었던 공예의 시대정신과 사회적 의미를 찾을 시점이다. 작가 스스로 자신의 작업이 사회적으로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정체성을 분명히 하고, 그 결과가 사회적인 의미를 지닐 수 있도록 사회와 소통할 수 있는 방법을 만들어 간다면, 공예의 가치와 역할을 사회적으로 자리매김해 나갈 수 있을 것이다. A changeover of the object from "Art in Life" to "Art for Art's sake" could be said as a big trend of contemporary craft. This kind of trend was originated by a distorted view flowed in and accepted during the era of oppressive Japanese colonial rule, not by socially demanded basis, and since the nation's liberation at the end of world War II, such a general tendency has not been changed yet. As a result, it largely prevails still in contemporary craft field of this country. The enhancement of craft to the arts contributed to a functional role in widening an expression field of craft inwardly while playing an important role as an inverted function blighting other feasibilities, excluding Art-Craft, confronting a traditional view on craft. This thesis made study viewing from a different angle on the study subject that formed a new conception and definition as a means that leads he existing various types of crafts to a communication with society for better understanding each other. Chapter II gave an explanation of why craft exhibition that retains all of artistic as industrial art elements should undergo a change, by making comparison with art in Europe, Japan and our nation. This comparison, in this thesis, is adopted as a basis for a classification of craft conception separating into an "Art-Craft" and 'Industrial-Craft". In chapter III, the explanation is made for how a display method should be differentiated cross-deferring to display, publicity pamphlets and PR, Price and distribution Systems. In the case that the products belong to an "Art-Craft" field, a similar methods such as an individuality-stressed display, production of distortion-free PR publicity, advertisement in newspapers and distribution systems that deals art works as a unique product are applied. On the other hand, when the an products belong to an "Industrial-Craft" field, a new method of exhibition is required or used to be a functional one for promoting such a new products. Before choosing a method of exhibition, it is important for an artist to be mindful that a decision on an identity of art work produced or any such art work project should have an industrial value. It is not the time to change or prepare for a change of direction of work closely watching in which direction the trend of craft is inclining to. An artist should make it clear by oneself whether one's own works could play a social role. And if they could remind a social significance and make a method to communicate with society, then value and role of craft could be established of itself in the society.

      • 교육부 제7차 중등미술교육과정을 통한 전통공예 적용사례 연구 : 광주·전남지역의 축제를 대상으로

        서선숙 조선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석사

        RANK : 247807

        Today's society has been very complicated and modern people living in such a complicated society also have complex consciousness structure. The development of culture has mixed the culture of east and west and it resulted in the confusion in setting the standard of modern people's life. However, there have been ancestors at any region and tradition and customs have been the standard of the people in the region. Korea achieved the modernization in the situation that the people could not decide their future at their own will and it has resulted in more confusions. Such a confusion has been improved through the means of education, but we cannot find out the concept of our identity yet. Therefore, this study is to seek how to find out our identity through art education. In particular, since traditional crafts are the area with our ancestors' wisdom and customs of living, it is to make a desirable man who can adapt himself to our changing socity in the process of conveying ancestors' ideas and spirit to students. However, since tradition belongs to the past in the passage of time, annual events of each region are delivered to students to infuse the sense of reality and future factors into students who will live the future.

      • 공예품의 인터넷 전자상거래 활용 방안에 관한 연구

        손홍대 慶一大學校 産業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세계문화산업 시장에서 산업공예의 위치는 20세기 후반에 와서 급격히 변화하고 있고, 따라서 신속한 대응전략은 생산 및 경영자, 공예가 모두에게 요구된다. 21세기의 모든 상품의 경쟁력은 디자인 관련 정보체계 구축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디자인 관련 정보체계의 구축』은 디자인 관련 업체의 지원, 전문인력 양성과 디자인 기술 수준 향상을 위해서도 기본적으로 해결되어야 할 과제이다. 과거와 달리 정보가 곧 생명이며, 경쟁력으로 직결되는 현대사회에서 정보체계의 구축은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급한 문제인 것이다. 이제 기업과 국가의 경쟁력은 단순한 원가절감이나 구조조정만으로 해결되지 않고 가격경쟁과 더불어 품질경쟁, 차별화경쟁, 시간경쟁 등 복잡한 양상을 띄게 된다. 창조적 기호상품의 개발능력이 디자인 경쟁력 강화의 관건이 되며 산업형태의 지식산업화가 가속화됨에 따라 산업공예품 즉, 문화상품의 디자인 능력이 갈수록 중요해지는 추세이다. 흔히 문화의 시대라고 예측하는 21세기는 종래의 단순한 기능성과 기술력만으로는 상품의 가치를 높이기 힘들고, 자국의 고유한 문화가 짙게 배여 있는 제품들만이 세계시장의 경쟁력에서 우위를 차지할 수 있다. 문화는 단지 눈으로 보이는 것뿐만 아니라 오랜 역사와 전통에 기반을 둔 정신적 유산을 포함하며, 새로운 시대에 대처하기 위하여 변화하며 발전하는 사회적 움직임을 함께 의미한다. 또한 사회구성원들의 정서적 공감대를 엮어내며, 차별성을 드러낼 수 있는 지식산업의 보고(寶庫)이자 외국에 대하여 다른 별도의 어떠한 투자보다도 자국(自國)을 더욱 적극적으로 홍보할 수 있는 이미지창출을 하는 것이 문화의 역할이다. 한국의 산업공예는 이러한 여건을 충족시키며 예술성을 지닌 상품, 나아가 지식문화산업으로 발전할 충분한 잠재력을 가지고 있다. 한국공예는 전통, 전승, 민속적 표현을 기반으로 한 역사성을 가지고 있으며 현대의 산업사회에 이르러 실용과 예술성을 겸비한 폭넓은 생산과 소비의 영역으로 확장 되고 있다. 이제 우리에게 주어진 과제는 현 사회의 관심과 그러한 의견을 바탕으로 한 창의적인 디자인과 제작, 조직적 육성정책의 수행을 통한 문화적 정체성을 지닌 상품의 개발로 세계의 지적산업을 주도하는데 있다. 즉, 미래지향적인 전략으로 부가가치를 최대화 할 수 있는 산업공예의 활성화를 도모하여 산업공예의 공급 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수요확충방안도 아울러 병행하여, 모든 지식산업에 동반된 성장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무엇보다 우선되어야하며 한국의 문화상품이 세계시장을 석권하는데 목표를 두고 단계적이며 효율적인 방법을 추구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공예품의 산업적 역할에서 공예품의 공급자 적인 측면 보다 수요확충방안에 컨셉(concept)을 두어 정보화, 세계화라는 시대적 조류에 맞추어 새롭게 대두되고 있는 인터넷을 도구로 한 공예산업의 전자상거래 활용 현황과 문제점을 살펴보고, 새로운 시대의 니즈(needs)에 부흥하는 정보화 마인드(mind)를 지닌 공예산업의 전략적 도구로서 인터넷 전자상거래의 활용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특히, 현재 국내의 어려운 경제여건을 감안해 볼 때 새로운 분야를 개척하여 투자를 한다는 것은 위험적 요소가 동반된 일이기도 하지만, 만약의 위험요소를 감수하면서도 우리가 지금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활용하고자 하는 이유는 미래 산업을 주도할 가능성 있는 경쟁 패러다임(paradigm)을 미리 도입하여 그 시장에서 우위를 차지하기 위함이며, 이런 의미에서 공예산업의 인터넷 전자상거래를 활용하고자 하는 시도는 미래지향적인 시각에서 의의를 가지고 접근할 수 있을 것이다. The position of industrial craft is changing rapidly in the late twentieth century, and prompt strategy for coping with this change is required of the makers, the management, and the craftsworkers alike. The competitiveness of all products in the twenty-first century is closely connected to constructing a design-related information structure. "The construction of a design-related information structure" is a task that must be undertaken also for supporting design-related enterprises, for the training of expert manpower, and the improvement of design technology. Unlike in the past, information is now of vital importance and is directly linked with competitiveness. Constructing an information structure is an urgent and pressing matter. The competitiveness of corporations and nations can no longer be achieved only through cost cuts or structural reform. Competitiveness now has a more complex aspect that includes, along with price competition, quality competition, market niche competition, time competition. and so on. The ability to develop creative preferential products is a key point for strengthening competitiveness, and as the configuration of the industry becomes more attuned to that of the knowledge industry, the designing capability of industrial craftwork, that is, cultural products, is becoming more and more important. The twenty-first century is commonly predicted to be an age of culture. Accordingly, it will be difficult to increase the value of products merely through practicality and technical capacity, and only products infused deeply in the native culture of their land will have a competitive edge in the global market. Culture means not only those elements that can be seen but also the spiritual legacy based on long history and tradition, and social movements that change and develop to meet the requirements of a new age. The role of culture is to bring together the members of society in an emotional solidarity, be a veritable treasury of knowledge industry, and to create an image of its native country, consequently advertising the country more effectively than any foreign investment could. The Korean industrial craft satisfies these requirements and has potential enough to grow to become an artistic commodity, and further on an info-cultural industry. Korean craft has historical qualities based on tradition, oral literature, and folk art expression. In the modern industrial society it is expanding to become a wide field of production and consumption with both practicality and artistic quality. The task before us now is to lead the global knowledge industry by developing products with cultural identity through creative design, production, and executing organizational support policies based on the concerns of today's society and consensus. That is, we must devise to activate industrial craft, which can maximize added value, through futuristic strategy, and seek to expand demand along with supply. Thus, our top priority is to prepare a basis of growth for all aspects of information industry, and we must pursue gradual and efficient methods for the cultural products of Korea to dominate the global marke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esent state and problems of Internet commerce utilization by the Internet-using craft industry, an industry newly raising its head in accordance with the global current of information revolution and globalization, with more emphasis on expansion of demand than on the supply aspect; and to seek ways to utilize Internet commerce as a strategic tool for the craft industry with the informational requirements that meet the needs of the new age. There is some danger in pioneering a new field and investing, considering the present economic difficulties of Korea. However, the reason we seek to utilize Internet commerce in the face of such dangers is to secure a predominant position in the market by introducing a competition paradigm that may lead the industry of the future. In this sense, the venture of the craft industry to utilize Internet commerce can be approached with significance in a forward-looking point of

      • 한국 전통공예의 효과적 전시방법론 연구 - 기획전을 중심으로 -

        최화은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Craft is an essential artistic activity in human life as it makes beautiful and useful things necessary for life. In addition, since crafts have developed along with human life, they have a deep history and are activities that contain cultural elements.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Korean traditional crafts are the result of containing Korea's unique culture and emotional beauty. Traditional crafts are of great value as beautiful artistic activities that contain the wisdom and unique culture of our ancestors. However, although Korean traditional crafts contain Korean beauty, they are not well known to the public. The researcher determined that the cause was a problem in the way traditional crafts were delivered to the public. Methods of delivering traditional crafts to the public include cultural products, exhibition viewing, educational programs, hands-on events, and media. Among them, the researcher selected ‘exhibition’ as a means to effectively inform the public. This is because exhibitions display traditional crafts and directly show them to the public, and are the most popular means of effectively helping people understand traditional crafts according to the exhibition plan. Existing craft exhibitions have been conducted in line with art exhibitions because the history of exhibitions in the craft field is not deep. Rather than an exhibition method suitable for traditional crafts, exhibitions that simply display works have been universal, and it was judged that this was a factor that hindered the understanding of traditional crafts. Therefore, in this study,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rafts are studied and methods to effectively display Korean traditional crafts are presented. In the research procedure, first, the concept of traditional crafts is organized by researching Korean traditional crafts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e characteristics of traditional crafts are arranged. Second,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 and Korean elements are derived through literature study. Third, in order to present an appropriate exhibition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rafts, I analyzed the cases of traditional craft exhibitions conducted over the past 5 years to suggest appropriate exhibition method for Korean traditional crafts. And I established an effective exhibition methodology as a hypothesis according to the results,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crafts, and Korean elements derived above. Four,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hypotheses set, the actual exhibition is planned and conducted, and it is verified through a survey of the experimenters who have experienced the exhibition. Finally, the research procedure is to draw conclusion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results of survey analysis with the traditional craft exhibition methodology suggested by the researcher. It is expected that the beauty of Korean traditional crafts will be widely known through the effective exhibition of Korean traditional crafts through this study. 공예는 생활에 필요한 것을 아름답고 쓸모 있게 만드는 것으로서 인간의 삶에 있어 필수적인 예술 활동이다. 또한 공예는 인간의 삶과 함께 발전해 왔기 때문에 그 역사가 깊으며 문화적 요소가 포함되어 있는 활동이다. 그렇기에 한국의 전통공예는 한국의 고유문화와 정서적 아름다움을 담고 있는 결과물이라고 할 수 있다. 전통공예는 우리 선조들의 지혜와 고유문화가 담겨져 있는 아름다운 예술 활동으로 그 가치가 크다. 하지만 한국 전통공예는 한국의 미를 담고 있음에도 대중들에게 잘 알려져 있지 않다. 연구자는 그 원인이 전통공예를 대중들에게 전달하는 방식에 문제점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대중들에게 전통공예를 전달하는 방식에는 문화상품, 전시관람, 교육 프로그램, 체험 행사, 미디어 매체 등이 있다. 그 중 연구자는 대중들에게 효과적으로 알릴 수 있는 ‘전시’를 수단으로 선택하였다. 전시는 전통공예품을 진열하여 대중들에게 직접적으로 보여주며, 전시 기획에 따라 효과적으로 전통공예의 이해를 도울 수 있는 가장 대중적인 수단이기 때문이다. 기존의 공예 전시는 공예 분야 전시의 역사가 깊지 않아 미술품 전시에 맞추어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전통공예에 적합한 전시 방법이 아닌 단순히 작품을 진열하는 전시가 보편적으로 이루어져왔고, 이러한 부분이 전통공예의 이해를 방해하는 요인이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 전통공예의 특성에 대해 연구하고 한국 전통공예를 효과적으로 전시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고자 한다. 연구 절차는 먼저 문헌연구를 통하여 한국 전통공예에 대해 연구하여 전통공예의 개념을 정리하고, 전통공예의 특징에 대해 정리한다. 또한 문헌연구를 통해 한국 전통의 미와 한국적 요소를 도출한다. 한국 전통공예에 적합한 전시 방법을 제시하기 위하여 최근 5년간 진행된 전통공예 전시 사례를 분석하고, 그 결과와 앞서 도출한 한국 전통공예의 특징, 한국적 요소에 따라 효과적 전시 방법론을 가설로 설정한다. 설정한 가설의 효과성 검증을 위하여 실제 전시를 기획하여 진행하고, 전시를 경험한 실험자들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검증한다. 연구자가 제시한 전통공예 전시 방법론과 설문조사 분석을 통한 결과를 비교 분석하여 결론을 도출하는 것이 연구의 절차다. 본 연구를 통해 한국 전통공예를 효과적으로 전시하여, 이를 통해 한국 전통공예의 아름다움이 널리 알려지기를 기대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