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온라인 예술교육 실태와 효과에 관한 연구 : 순수음악을 중심으로

        윤재석 成均館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잠재 관객개발을 위한 온라인 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순수음악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의 예술교육현황 및 관객개발동향을 학교 밖 공공 예술기관의 예술교육이 활발한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는 공연예술 오프라인 교육사례를 미국의 경우는 링컨센터와 케네디센터, 국내의 경우는 국립극장과 예술의 전당을 웹사이트에 나타난 내용을 중심으로 각각 분석했다. 세 번째로는 공연예술 온라인 교육사례를 미국은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달라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국내는 공연예술 콘텐츠 웹사이트인 예술로와 소리 나라의 경우를 역시 웹사이트 내용을 이용해 분석했다. 두 분석에서는 웹사이트의 정보구성 체계, 제공정보의 유용성 측면, 교육내용과 구성 체계, 대상별 수준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잠재 관객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공연예술교육 필요성 인식과 온라인 예술교육 시 중요한 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공연예술현장에서 기획자, 연주자, 경영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온라인 예술교육의 가능성과 예상되는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한 보완의견을 수렴하였다. 첫째, 국내외 예술교육현황 및 관객개발 동향은 다음과 같다. 먼저 미국의 경우는 수없이 많은 사례 대신 몇몇 예술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결과를 인용했다. 미국 해리스 여론조사가 2005년 실시한 의식조사결과, 미국인의 93%는 공연예술은 틀림없이 아이들에게 균형 잡힌 교육을 제공한다는데 동의했다. 또 86%는 아동의 사고방식 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밝혔다. 그 결과 79%의 응답자는 공교육에서 예술교육을 강화하는 조치가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조사결과를 반영해 미국의 대부분의 예술 단체들은 교내 프로그램, 특별학생공연, 폭 넓은 교육소재로 예술을 활용함으로써 자신들의 예술형태에 대해 미래고객인 청소년, 아동 등을 교육하는데 중점을 두고 미래 지향적이며, 창조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교육방법으로는 링컨센터, 케네디센터, 뉴욕필, 달라스 심포니의 사례가 있다. 국내의 경우는 관람객 개발 차원에서 장르별로 공연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은 61개로 주로 대도시와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관객개발을 위해 공연 팸플릿, 상설공연, 무료공연이 이용되고 교육성 프로그램으로는 미술 강좌, 해설식 공연, 극장 밖 찾아가는 프로그램, 교사용 프로그램, 문화특활 탐방 등이 있었다. 이상의 관객개발 실태를 보면 국내의 예술교육은 첫째, 정책적 배려의 결과가 아닌 몇몇 선도적 공연기관의 시도로 출발했고 둘째, 전국적으로 보편화되지 못하고 대도시 일부에서만 시행되고 있으며 셋째, 장기적이지 못하고 단기적이어서 궁극적으로 관객증가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공연예술의 오프라인 교육사례를 보면 링컨센터의 경우는 특정 프로그램의 집중발굴소개와 특별이벤트의 잦은 기획 및 체계화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웹사이트에 오프라인 프로그램을 상설 안내하고 멀티시스템을 활용해 레퍼토리를 지속적으로 접근가능토록 했고 패키지 상품 중점 정보 제공으로 참여를 유도하고 있는 점이 돋보였다. 케네디센터는 실시간 공연자료 제공의 시스템화와 관객과 운영자가 원활한 의사소통, 초보자와 전문가의 관람이 쉽도록 구성한 점, 정보유용성측면에서 가족관객중심의 개발접근과 정보제공, 학생, 교사, 부모 계층 간 차별적 공연 정보 제공 등 다양한 공연 프로그램을 계층별 수준에 맞게 제공하고 있는 점이 장점으로 나타났다. 이중 케네디센터의 교육사례가 좀 더 구체적으로 구성돼 있는데 학교그룹을 위한 공연안내, 가족 프로그램, 순회프로그램, 전문가(교사, 학교장, 예술가, 인턴십) 프로그램 등이 있다. 국내의 경우 국립극장을 보면 토요문화광장, 남산문화탐방, 축제, 극장견학 프로그램 등인 예술교육이 오프라인 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들 예술교육을 소개하는 국립극장 홈페이지는 80년대 이래 소장된 방대한 공연 영상을 제공하고 있는 점이 돋보인다. 그러나 예술교육측면에서 과정별, 내용별, 테마별 커뮤니티와 부가 서비스 요소를 활용한 고객유지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의 전당은 청소년 음악회, 11시 콘서트, 예술아카데미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해 관객개발을 위한 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들 예술교육을 소개하는 홈페이지는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돼 있으나 예술교육에 대한 내용이 홍보와 예매 중심으로 돼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 케네디센터처럼, 구체적인 예술교육의 내용 안내가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중심인 온라인 예술교육사례를 보면 미국의 경우 뉴욕 필하모닉은 학교, 교사, 가족, 청소년, 성인, 어린이대상 교육내용 세분화와 전체 대상 중 어린이 대상 키드존을 세분화시켜 교육내용을 구성하고, 작곡워크숍, 작곡가 코너를 통해 지휘자, 독주자 소개와 시기별 음악사, 생활주변 악기코너 운영 소개, 새로운 소식, 전자우편 소개 등이 장점으로 나타났다. 달라스 심포니는 오케스트라 공연내용에 따른 악기와 유명공연물의 성공적인 사례 중심으로 구성하고 중장기적이며 수준별 교육체계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상별 수준과 특징에서 1~6학년과 7~12학년으로 나눠 음악저변확대를 위한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마스터 클래스학급에 맞는 온라인 교육을 특징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경우 교육 내용과 구성 체계에서 예술로는 온라인 교육 테마관을 통해 예술자료 189만 건을 DB화하여 실시간 제공하고 있다. 예술교육콘텐츠 구성운영 및 대상별 수준과 특징을 보면 어린이, 청소년, 성인을 위한 배움터를 운영하고 공연예술작품을 디지털화해 감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실생활에 유용한 교육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리 나라는 수준별 온라인 교육체계 확립, 음악동서양사의 균형된 구성과 전래동요, 취타와 대취, 장구, 장단, 단소 등으로 세분화시켜 대상별 수준에 따라 음악전반에 대해 교육하고 있다. 또 게시판을 통해 수준별로 질의응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잠재 관객층인 대학생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은 공연예술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극장 및 예술 공간 중심의 현장교육(평균 5.8787), 어린이 청소년 대상 눈높이 교육(평균 5.8000)이 시급하게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상에서 예술교육이 실시될 때 중요하게 생각되는 항목으로는 교육내용의 풍부성(평균 5.6007), 콘텐츠(5.5545), 접속용이성(5.4455) 의사소통(5.3841), 학습과정(5.3609)의 순으로 집계됐다. 효율적인 공연예술 교육방식으로는 오프라인 체험식 교육(77.3%)이 압도적으로 많으나 온라인 체험식 교육(8.4%)도 일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체험식 교육의 비율이 적은 것은 아직 국내에서 실시되고 있지 않아 사례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오프라인 교육이 이상적이기는 하나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확대가 불가능할 때 인터넷의 장점을 이용한 온라인 예술교육이 대안임을 알게 해주는 것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현장의 실무자를 상대로 한 심층인터뷰에서 응답자들은 온라인 예술교육이 현장감의 감소, 중장년층 접근 가능성 제한 등 한계가 있으나 최소의 비용으로 다수에게 접근가능, 시․공간의 제약 탈피, 연령별 세분화 가능 등의 장점 때문에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상의 국내외 공연장과 단체의 예술교육사례를 종합해 보면 국내 공연장 예술교육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기획공연의 경우 관객개발 차원에서 다양한 축제를 개최하고 그 중에서 교육적 성격이 강조된 축제를 다수 기획하고 있으나 축제 이후 관객과 극장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한 방안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기적 관점에서 관객개발의 수단이 예술교육이므로 교육적 성격이 강조된 축제이후 참여 관객을 지속적으로 극장에 유인하려는 노력이 부족한데서 기인한다. 사전 온라인 웹사이트를 통한 충분한 홍보와 축제 후 다시 웹사이트에 공연내용을 올려 볼거리와 정보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연계관리가 이뤄져야 한다. 둘째, 교육 프로그램이 오프라인에서는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으나 온라인에서는 보편화되지 못하고 극히 일부에서만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의 공공 공연장 중에서 온라인 교육의도를 가진 프로그램을 소유하고 있는 곳이 사실상 없는 것을 의미하며, 그나마 있는 곳도 공연안내수준에 치우쳐 있기 때문이다. 이는 많은 교육프로그램이 구상은 되고 있으나 아직 온라인 프로그램으로까지 실행되지 못하고 있음을 뜻한다. 온라인 교육의 중요성 인식 부족, 시스템 관리 경험 부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공연예술교육프로그램들이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정밀한 계산에 의해 제공되고 지속적으로 시행되는 것이 아니라 일회성 또는 간헐적으로 홍보를 위한 것이 많아 실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적 목적이 달성되기 위해서는 수준과 관심정도에 따라 세분화시켜 교육내용을 보다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대다수 교육 프로그램들이 관객 증대와 연결되지 못하고 교육 프로그램 또한 참여하는 사람들을 관객으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관리나 노력이 발견되지 않는 점도 눈에 띈다. 이런 이유는 공연프로그램의 부족과 예산, 전문 인력 부재 등 예술적, 경영적 관리 시스템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편 미국의 공연장 예술교육과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미국의 케네디센터와 링컨센터의 경우 예술교육의 중심이자 대표기관으로 교육프로그램이 모든 세대, 모든 계층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양하게 구성돼 있다는 점에서 특징을 보였다. 이는 그만큼 사회적으로 협력이 가능한 풍토와 시스템이 조직적으로 짜여있고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특히 교사, 예술가, 교육관료, 예술 행정가를 교육 파트너로 삼아 온라인에서도 예술교육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교육주체이면서도 대상자인 잠재관객들을 위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미국의 경우 예술교육을 위한 공연작품을 예술가 및 예술단체와의 활발한 협력을 통해 제작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는 점이 돋보였다. 특히 작품이 독창적이고 실험적이며 일반 교과과목과 연계된 내용 등으로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다양한 문화와 상상력이 풍부한 온라인의 세계를 잘 보여주고 있어 교육적 활용율이 높아 참여율 또한 높은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미국의 경우 풍부한 교육 자료의 개발과 제공, 다양한 방법의 워크숍, 공연과 교육의 연계된 활동 등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실제적으로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시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교육을 담당하는 예술가 단체와 교사들이 사전에 충분한 준비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음이 주목된다. 특히 순회공연 프로그램은 문화소외지역을 찾아가는 우리나라의 찾아가는 문화예술프로그램과 비교될 수 있는데 순회공연의 교육적인 효과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 공연 전에 교사 워크숍을 개최하고 공연 전 후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활동을 병행하고 있는 점이 돋보인다. 일회적일 수밖에 없는 공연을 온라인에서 다시 보여줌으로써 지속적인 교육효과를 최대한 성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또한 온라인 이용율이 높은 학생들에게 예술과 친숙해질 수 있도록 게임과 같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 실시하고 있는 점도 높이 평가된다. 한편 국내 공연 예술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인터넷 기술의 엄청난 발전 추세에 맞춰 온라인 공연예술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일이 필요한데 이를 케네디센터와 링컨센터의 공연예술 교육프로그램 사례와 접목시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잘 발달된 국내 인터넷 기반구조와 저변을 고려할 때 온라인 예술교육을 위한 매체로서 인터넷의 다양한 활용이 요구된다. 즉, 공연작품의 재구성을 통해 작품의 예술교육차원에서 미리 보기와 다시 보기를 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재판매까지 이뤄질 수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외 공연단체는 실행 전이다. 이미 방송 웹사이트는 미리 보기, 다시 보기, 소품벼룩시장으로 경제활동이 활발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다수의 공연단체에서의 상품 재판매는 물론, 다양한 미디어의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공연관련 정보 제공도 현재는 단순 텍스트위주로 전개되고 있는데 이보다는 공연 연주자, 이전공연 자료, 공연관람자의 의견 인터뷰 등이 이루어질 경우 효과는 더욱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공연 다시 보기, 미리 보기는 상품재판매 뿐만 아니라 해당 웹사이트의 결정적인 콘텐츠 요소로서 역할을 할 것이므로 시급한 도입이 요구된다. 둘째, 예술교육을 희망하는 방문자 또는 관객중심으로 온라인 웹사이트의 시스템 구조 전환이 요구된다. 방문자 특히, 목표 소비자의 용이한 파악과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해 개별 마케팅을 실시할 수 있는 인터넷매체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의 구성이 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정기회원 확보를 위한 회원 유도 및 고객관계마케팅 정립 등은 아직 실용단계 이전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이트의 지속적인 방문 참여와 서로의 관심사항을 교환할 수 있는 사이트 방문자들의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콘텐츠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방문자의 충성도를 높이고 정보의 고유성을 살리면서 지속적인 관계를 이룰 수 있는 효과적인 인터넷의 기술 활용이 요구된다. 셋째, 국내 공연단체의 경우 티켓구매가 일부 타 전문기관에서 대행하고 있어 정보화 사회에서 아주 중요한 고객 데이터베이스의 확보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돼 있다. 이들 고객 자료를 활용한 예술교육 희망자 확인과 관객개발을 위해 사용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관계유지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의 구성이 요구된다. 넷째, 관객을 위한 공연예술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순수 예술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 기회 확대와 정부의 예술 교육정책 변화(전인 교육적 차원으로의 전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선행돼야 한다. 예를 들어 공연장에 직접 참여하여 제작과정과 공연에 대한 사전 교육(오픈 리허설)을 받을 수 있고 유명 순수 공연예술가, 저명인사를 활용한 교육(거리감 좁히기) 및 정기적인 공연예술가 초청과 공연예술 단체 관람을 생활화해야 한다. 즉 오프라인 경로에서는 잠재고객 세분화에 의한 소그룹 교육, 강사 풀 시스템 구축, 현직 순수예술 관련 교사의 재교육, 예술가와의 만남(예술 캠프)을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온라인 경로에서는 오프라인 연계 교육 프로그램, 공연예술가와 쌍방향 의사소통 체계, 다양한 공연물에 대한 간접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온라인 교육이 최소한의 비용으로 다수에게 접근이 가능하고 시․공간 적 제약이 없으며, 연령별 세분화가 가능한 장점을 살려 공연장 에티켓 캠페인, 작품설명과 같은 기본적 지식 제공, 에듀테인먼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흥미 유발(게임, 퀴즈, 이벤트 등), 공적 온라인 교육시스템 구축(무료, 다양한 계층 참여 유도), 공연예술 교육 참가자들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지속적 참여 유도)가 요구된다.

      • 지역 축제 공연 프로그램 개발 가능성 연구 : 금산인삼축제를 중심으로

        김은형 한남대학교 지역개발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8702

        지역축제는 지역의 문화정체성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지방자치시대 이후 활성화되기 시작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례로 삼은 금산의 인삼 축제도 금산지역의 특산물인 인삼의 이미지를 특성화하여 20여 년간 시행되어 오고 있는 지역축제의 한 유형이라 할 수 있다. 지역축제의 분류유형과 관련해 볼 때, 금산의 인삼 축제는 ‘산업형 문화관광 축제’로 분류될 수 있는데, 축제의 참여주체가 누구인지는 명확하지 않으며 내부인으로서의 지역민보다는 외부인 중심의 지역축제로서의 측면이 강하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그 동안 지역축제에서 오히려 참여주체로서의 그 위치를 확인 받지 못했던 내부자(지역민) 측면에 주목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금산에서 행해지는 가장 큰 문화행사인 금산인삼축제를 구성하는 다양한 문화프로그램을 그 분석의 대상으로 삼아 다른 지역들과는 차별화 된 금산의 전통과 문화에 기초한 축제 문화행사 프로그램의 대안을 제시해 보고자 하였다. 이와 관련한 논의의 전개로서 먼저 2장에서는 지역축제를 개관함으로써 논의의 기초를 마련하였고, 3장에서는 사례연구로 2000년 금산인삼축제의 현황을 중심으로 지역축제의 특성 및 문제점등을 분석해 보았다. 이러한 연구는 문헌자료와 수 차례의 답사 및 인터뷰, 그리고 VTR 및 인터넷 자료까지 병행하는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마지막 4장에서는 금산인삼축제를 대상으로 지역축제에서의 공연 개발 가능성을 제시해보았다. 여기에서는 무대 공연과 민속 공연, 그리고 전시 및 부대 행사로 나누어 앞으로의 개선 방향에 대하여 공간적 측면과 내용적 측면, 그리고 기술, 재정적 측면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대표적인 모델을 선택하여 공연 프로그램 개발을 시도 하였다. 프로그램의 개발에서 또한 중요시되어야 할 것은 지역의 고유한 전통과 지리적 특성 및 문화적 요소를 통일된 이미지로 특화하여 축제의 구심점 형성과 차별성을 부각시켜야한다는 점이라고 생각된다. 그리고 이를 지역의 상품화 및 수익사업으로 연결하여 지역경제의 활성화에 기여토록 하고 무대 공연화 함으로써 많은 사람들이 지역의 축제에 공감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구성하는 것이 중요하다. 지역축제에 관해 본고에서 제안해본(금산인삼제를 중심으로) 사항은 다음과 같다. 첫째. 마당극과 전통민속 공연물의 개발을 들 수 있는데, 금산의 경우 ‘강처사 설화 마당극’ 같은 경우 개발의 여지가 아주 많은 작품이라고 보여진다. 강처사 설화에 금산의 구전 전설이나 설화 등의 요소를 더욱 첨가하여 보다 큰 스케일의 뮤지컬(창극)로 발전시키는 방안을 생각해 보았다. 다음으로 농바우 끄시기인데, 이는 전통민속공연으로서 상당히 드라마적인 요소가 많다. 민속놀이로서 그것이 가지고 있는 전설부터가 하나의 드라마이고 또한 그 형식이 퍼포먼스로의 개발 여지를 충분히 가지고 있다 둘째, 그 동안 지역축제의 획일성을 말해주는 대표적인 단서의 하나가 되었던 미인대회를 금산인삼축제의 이미지(일례로 인삼과 관련한 건강이미지)를 차별적으로 부각시킬 수 있는 기준과 쇼의 진행등, 차별화된 전략을 통해 진행하게 되면 금산 인삼아가씨 선발 또한 춘향제와 다름없이 금산인삼축제만의 볼거리와 대표성을 띠게 되리라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대중매체를 통한 축제 및 지역이미지의 지속적인 홍보를 통해 참가자들의 다양성을 유도할 필요가 있다. 더불어 실제 축제 공연프로그램의 수행도 보다 젊은 층(주로 학생층)을 중심으로 운영해 나간다면, 지역역사, 문화와의 밀접한 관련성을 생각할 때 긍정적 효과가 창출되리라 생각된다. 넷째는 축제의 공간, 장소에 관한 중요성의 인식이다. 즉, 공간적으로 특화된 공연물의 개발이 시급하다고 할 수 있는데, 주무대(main stage)뿐만 아니라 다른 공간에서의 공연 이벤트 프로그램, 금산인삼축제 안에서 또 다른 차별화 된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일례로 ‘금산 보석사에서의 야외 음악회’라는 프로그램 개발의 예를 제시해 보았다. 마지막으로 전통과 현대의 접목으로서의 가치 창조를 들 수 있다. 일례로 전통민속공연인 탑제의 개발 가능성을 들어보았다. 요즘 공연예술계에선 총체극, 또는 종합예술이라는 말들을 많이 사용한다. 왜냐하면 무대공연 작품이 만들어지려면 문학적 요소와 음악, 미술, 무대기술 등의 요소들이 총체적으로 동원되기 때문이다. 탑제는 그것이 시연되는 장소, 참여자, 시간대, 촛불행진, 탑돌이 음악 등 종합적인 축제의 장이 될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 지역축제는 지역민들에게 자신들이 살고 있는 지역에 대한 자부심과 정체성을 갖게 하고, 자신들의 삶의 터전 위에 발전되어 온 문화의 공유를 가능하게 하는 場이기도 하다. 그렇기에 참여자들에게 내면적 감동을 주기 위한 지역만의 차별화 된 프로그램이 있어야 하고, 그것은 지역의 전통, 문화 등의 역사적 측면과 지리 환경적 측면이 함께 고려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기하는 것이다. After the implementing of local autonomy system, each local government has performed his own regional cultural festival. Recent researches, mostly, focused on the economic, political effects of regional festivals. So, they have some limitations in examining the implications of regional festivals as a means of the regional identity, cultural politics, etc. In other words, such studies tended to ignore the viewpoint of insiders as an important participants, focusing on the visitors and government officials. But these situations should not be taken for granted like naturalized things. Through this study, I tried to find the relationships between the insiders and regional festivals, not losing the practical effects(economic, political, communicative…) of them. So, firstly, I outlined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current regional festivals. Then, I interpreted the concrete problems of regional festivals, especially focusing on Geumsan Ginseng Festival 2000 as a case. Through examining the history and present situation of Geumsan Ginseng Festival 2000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with other regional festivals, I could identify that it has lots of similarities to other regional festivals: program contents, performance style, the subject of festival. etc. After that, I would like to propose some concrete performing programs related to the indigenous regional history and cultures, and insiders's consciousness. The possible programs I'd like to propose are following, First, I'd like to propose the reconstruction of the indigenous narratives and yard performances related to the regional tradition and culture, focusing on the current flow and consciousness of participants. Second, almost all of regional festivals have their beauty-contest, but their concrete standard for being a festival beauty are not differentiated. So, I think that the meta(general, western) standard in selecting a beauty for representing regional images must be changed, adopting the theme of each festival. Third, through the national-wide and endurable marketing by mass media, we have to supply insiders and visitors with many spectacles and affectionate performances related to regional characteristics. Fourth, we have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stages and performing places. In other words, regional festivals tend to have their differentiated programs related to special space and place: field, yard, mountains, streams and artificial stages. etc. Festival agents must try to represent the concrete and practical situations through the festival provisions and stage makings. For these purposes and especially the continuous improvements of regional festivals, we need more professional agents than the current preparatory committee. Such professional, I expect, could be able to cut lots of festival costs. Finally, we need to take some qualitative sides of regional festivals into considerations. For that time, many researchers and agents have focused on the quantitative effects of them, for examples economic spreading effects, cultural political strategies. etc. Regional festivals play important roles for constructing self-identification, place(regional)-identity, and reformulating regional traditions and indigenous values. So regional festivals have to find their own traditional (differentiated) values, then reflect their positive heritages on the programs of regional festivals. For such tries could be able to reinforce the regional characteristics and cope with the changing of external worlds(globalization).

      • 미술관에서의 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신성원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702

        현대시대의 미술관은 과거의 엄숙하고 딱딱했던 이미지를 벗고자 전시형태인 수집과 보관에 중점을 두던 미술관 기능이 점차 변모하면서 이제는 시민참여를 통한 전시와 연계한 다양한 공연 프로그램들을 선보이며 관람객들과 소통하는 놀이터 개념의 복합문화공간으로서 확장을 시도하고 있다. 이 후, 이 새로운 전시 연계 공연 프로그램의 형태를 전시 공간 내에 유입하기 시작하면서 관객들이 작품의 진행과정에 직접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새로운 관람경험을 확장시키며 이를 통해 관람객들로부터 큰 호응을 얻고 있다. 이에 따라 관람객의 참여와 만족을 이끌어내기 위해 미술관의 다양한 공연프로그램 제공들이 어떠한 기획활동을 통해 다양화되어야 하는지, 미술관 내 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의 활성화를 위해 어떠한 운영방식을 통해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대한 방안의 제시가 구체적으로 필요하다. 본 연구는 대중과의 거리를 좁히기 위한 소통의 매개공간으로 변화되어가고 있는 동시대의 국·공립미술관 내 퍼포먼스 등장과 미술관 내 공연프로그램이 왜 적용되어야 하는지 그 필요성에 대해 논하며 국내·외 미술관에서의 공연 프로그램 현황과 한계를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전시연계 공연 프로그램이 앞으로도 지속적으로 발전해 나아갈 수 있도록 활성화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그 목적을 두고자 한다. 이를 계기로 향후 미술관에서의 다양한 전시연계 공연프로그램들이 계획되어 있는 경우 미술관이라는 공간의 특수성을 잘 활용한 공연예술과의 적절한 조화로, 지금보다 생동감 넘치고 즐거운 장소가 될 수 있을 것이다. A modern art museum has changed to improve its past image, something sober and rigid derived by its function concentrated on collection under the shape of exhibition and custody by its expanding to a complex cultural place, where presents various performances in which the public can participate and to which exhibitions are linked. Since then, this new paradigm of exhibition linked to some performances have started to introduce into the inside of display space and it has become popular among spectators as this new paradigm gives some opportunities to them to participate in the process of a work directly and experience a new way of view. Therefore, to draw spectators’ participation and satisfaction, it is needed to propose a detailed measure of that which management planning is needed to diversify various performance programs and that which operation method is required for revitalizing exhibition-linked performance in an art museum. The study here analyzes present conditions of performance programs held in internal and external art museums and their limitations by discussing the appearance of performance program at contemporary national and public art museums that have changed to an intermediate space of communication for closing the distance with the audience and why performance programs should be applied in the art museums. Based on this, the study aims to propose an activation plan able to help a continuous development of exhibition-linked performance. With this, under the condition of domestic art museums which plan to hold various performances linked to exhibitions, they will become more lively and enjoyable place than today’s through proper harmony between the unique characteristic an art museum has -space- and performing arts that utilize this unique characteristic.

      • 금정예술공연지원센터 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이동용 부산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8687

        A Study on the Measures to Vitalize Programs of the Geum-Jeong Art Spot(GAS) Lee, Dongyong Interdisciplinary Program of Art—Culture and Image Media Graduate School Pusan National University Abstract This is a study on the vitalization of programs to realize the sustainable youth culture that can be promoted/supplied as an innovative, future-oriented, differentiated, and also competitive culture to create new and various things by analyzing the cases of programs executed by the Geum-Jeong Art Spot(GAS) as a base space for youth culture operated by the public-private cooperation, through the cases of domestic/foreign spaces & programs for youth culture, understanding of youth culture promoting/supporting programs in Busan-si, and the current status of youth culture & art of Geumjeong-gu.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programs executed by the Geum-Jeong Art Spot(GAS) to continuously carr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and sound youth culture ecosystem in the long-term through various attempts like operation/support of youth culture programs based on the public-private cooperation. In every society, the youth culture & art is cognized as the culture representing the whole values or behavioral patterns of the youth population. Rather than a culture formed by a unique value standard of a certain group regarding the dominant culture of a specific society as a partial culture contrary to the mainstream culture, it is carried on based on region and society. As the public area in gu-unit((Geumjeong-gu) is included in the basis of society, it would be necessary to put efforts to increase the opportunities for local residents and youths to enjoy culture, to vitalize youth culture, and also to produce creative and experimental culture/art activities, by attracting excellent youth culture & art contents through the support of youth culture & art in the public area. The public area should establish the measures to cope with difficulties of the investment in the new culture & art area and the low financial independence to support youth culture & art. Securing the finances and base facilities for youth culture & art by recruiting talented people with lots of driving force and experience in the new specialized projects, it would be urgent to establish the gu-unit culture foundation that can control them. In conclusion, to perform the advanced youth culture & art policies differentiated from other regions, more elaborate and strategic local program infrastructure should be established for the development of the value of the current special culture art education zone. It should be also organically managed/developed through the analysis on the environment in diverse angles. This study describes the measures to vitalize programs of Geum-Jeong Art Spot(GAS) to continuously carry on the establishment of the new and sound youth culture ecosystem in the long-term through various attempts like operation/support of youth culture programs based on the close public-private cooperation.

      • 대학공연장의 예술교육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안미향 숙명여자대학교 정책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32319

        Since the 1990's, many people have had strong desires to learn cultural attainments. As a result, cultural activities have been on the increase. They have not only appreciated cultural arts, but also participated in the activities of such fields. As cultural welfare is considered the major value in a policy decision, art education begins to be emphasized as an essential cultural enterpri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how some university theaters as cultural areas should function and show a special quality and also to propose some ways to vitalize the arts education programs. Analyzing the operating systems of the 6 university theaters in Seoul shows that they have contributed in a few ways to cultural welfare improvement of both their students and their local residents, for such theaters have only been used as the places for school work of the department of arts and lent to the outside for cutting down management expenses.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s the following ways to improve the arts education programs of those theaters. First, such missions as the improvement of cultural welfare, the promotion of creativity, and the training of experts on arts management must be established. Second, like an internship program, a cultural volunteer program, and a system of arts marketing, the operating system, which is oriented toward its customers, must be planned. Third, the program, which closely connects the field of arts with a schooling, must be developed. The politic suggestion of this study is to manage a foundation to continuously discuss how the arts education program should develop the cultural welfare. After this thesis, it is desirable that the Korean type of university theater's operating model should be proposed by means of some practical research on the partnership between the universities and their local societies and the relations between the demand for the arts education and the supply with such program. 이 논문은 대학공연장을 대학생의 문화복지서비스 차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의 문화공간 맥락에서 새롭게 이해하고, 그 기능과 활동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향을 제시하는 데 목적을 둔 것이다. 이것은 그동안 대학행정이 학생들의 문화수요에 효과적으로 부응하지 못했으며, 대학의 기존 공간과 시설도 문화공간으로서의 역할을 체계적으로 수행하지 못했다는 문제 인식에 바탕을 둔 것이다. 이 논문에서는 대학공연장의 기능 중에서 특히 예술교육프로그램에 초점을 두었다. 예술교육은 기본적으로 예술활동에 대한 인식능력과 창작능력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창의적 소비를 촉진할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에 대한 국민들의 접근기회를 증진하기 위한 중요한 매개 역할을 수행한다는 점에서 새로운 관객개발 차원에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특히 예술소비자의 행태가 단순히 전문예술가의 창작품을 향유하는 수동적 소비에서 직접 예술활동에 참여하는 주체적, 창의적 소비로 변화하고 있다는 점에서 예술교육의 중요성 또한 지속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를 위하여 이 논문에서는 대학공연장의 개념과 역할을 살펴보고, 대학공연장에 대한 환경 분석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서울시내 6개 대학공연장의 운영실태에 대한 실태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대학공연시설은 시설구조 개선을 통해 전문 공연시설로 전환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현재는 거의 공연공간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전문 예술프로그램 기획 및 경영체계를 갖추지 못하고 있으며, 마케팅 활동과 재정구조로 매우 취약한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공연장의 주요 활동은 주로 시설관리비 절감차원의 외부 대관사업과 예술계열 학생들의 교과 수업의 실습공간으로 운영되고 있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었다. 마찬가지로 대학공연장의 예술프로그램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현행 대학공연장은 대학생 및 지역주민들의 문화수요를 충분하게 반영하지 못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대학공연장의 예술교육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으로 다음과 같이 제시하였다 첫째, 대학 내의 구성원뿐만 아니라 지역사회 주민들의 문화복지 증진과 지식기반 사회에서의 창의성 함양, 예술행정의 전문인력 양성 등의 운영목표 확립이 필요하다. 둘째, 효율적이고 고객지향적인 운영체계의 설계다. 조직 및 인력관리에 있어서는 전문연구소, 인턴십, 문화자원봉사단의 시스템 도입과 마케팅 전략에 있어 예술마케팅, 질 높은 프로그램 기획, 타킷 오디언스 선정, 웹사이트개설, 대상별 가격 차별화와 재원관리에 있어서 스폰서 쉽, 유료 회원제, 워크숍 등 단기 교육과정 개설, 국고보조금 지원 등의 재원 확보의 다양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셋째, 문화와 학교교육의 연계성 프로그램 개발이다. 초․중․고․대학생, 예술행정 전문연수생 등 교육대상별 중점 개발방향은 교과, 동아리활동의 문화활동과 연계하여 문화복지 증진과 창의성 함양 제고와 이론과 실습이 병행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하며, 이러한 예술교육프로그램은 공연장 문화의 발전과 예술산업의 발전을 위해 필수적인 사업이 되어야 한다. 앞으로 대학공연장을 ‘대학교육과 문화’의 연계 차원에서 전문 문화공간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단순히 학교라는 지리적 경계를 넘어 지역사회의 문화공간이라는 차원에서 대학공연장을 접근할 필요가 있다. 그러기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관련 단체 및 조직들과의 유기적인 파트너십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또한 대학공연장의 역할과 기능을 재 설정하고, 창의적인 프로그램 기획 및 운영을 위한 전문 경영체계를 갖출 필요가 있다. 또한 초기단계에서는 정부와 대학의 적극적인 자금 지원이 필요하며, 단계적으로 전문마케팅과 경영을 통한 재정자립도를 높이기 위한 다각적인 전략이 필요하다. 앞으로 한국형 대학공연장의 경영모델을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들이 활성화될 필요가 있다.

      • 공연장의 프로그램 유형별 관객 참여경로 연구 : 시즌공연, 축제, 예술교육을 중심으로

        박진영 경희대학교 경영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2319

        본 연구는 공연장의 ‘시즌공연, 축제, 예술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관객의 최초 참여유형을 알아보고 그 참여계기 등을 살펴봄으로써 공연장이 관객을 최초로 공연장에 유인하고 이들의 참여빈도를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한 힌트를 찾아내려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위해 지난 5월 3주간 국립중앙극장, 고양아람누리, 대전예술의전당 공연관객을 대상으로 하는 현장설문조사와 공연을 한 번 이상 관람한 불특정다수 대상으로 하는 모바일조사를 동시에 실시하였다. 총 34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였고, SPSS 통계방식에 의한 빈도분석(Frequency analysis)과 교차분석 : 카이제곱검정(Chi-square test)을 진행하였다. 전체문항의 빈도분석을 바탕으로 각 항목별 관계성을 분석한 결과, 관객의 공연예술 수용단계(관심도)에 따른 공연관람빈도, 최초 참여 프로그램 유형과 계기, 참여 프로그램의 순서, 학력수준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소득수준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최초 참여한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참여계기, 참여 프로그램의 순서, 지속적 공연관람 결심 프로그램에는 모두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나 최초 참여계기에 따른 지속적 공연관람 결심 프로그램, 지역(서울, 경기, 지방)과 설문조사방식(현장, 모바일)에 따른 최초 참여 프로그램 유형에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는 ‘관객의 공연예술 최초 참여경험’에 대한 조사가 처음 시도되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다. 각 공연장의 프로그램 유형별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시즌공연’은 열성관객개발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관객이 공연을 관람하는 데에 단연 공연장의 핵심 프로그램인 ‘시즌공연’이 가장 큰 영향을 미쳤으며, 공연예술 수용단계(관심도)가 높은 집단에서 특히 더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공연장에서는 ‘시즌공연’ 프로그램의 경우, 더욱 우수한 콘텐츠를 개발하고, 시즌제(레퍼토리 시즌) 등 그 시스템을 정교하게 운영해야 할 것을 시사하고 있는 것으로 보여 진다. 둘째, ‘축제’ 프로그램을 경험하는 관객은 초기관객이 많고, 그 최초 경험이 지속적인 공연관람을 결심하는 데에 큰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시사한다. 따라서 ‘축제’ 프로그램은 관객의 일탈기회 제공을 위한 수단만이 아니라 관객을 공연장으로 유인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이들의 참여빈도를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해 축제기간 내 ‘시즌공연’과 ‘예술교육 프로그램’을 동시에 안내하는 등 초기관객을 정기적인 관객으로 개발하는 데에 힘써야 할 것으로 보인다. 셋째, ‘예술교육’ 프로그램은 단지 잠재관객 개발뿐만 아니라 장기적으로 열성관객을 육성하는 데에 중요한 지표임을 시사한다. 열성관객일수록 ‘예술교육’이나 ‘공연’을 먼저 접하고, 학력이 비교적 높았으며, ‘예술전공으로 인한 참여’ 계기가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따라서 공연장에서는 청소년 등의 잠재관객 또는 초기관객들이 공연현장을 경험할 수 있도록 공연연계형(해설이 있는 공연 등), 투어형(무대견학 등) 등의 교육 프로그램을 더욱 활성화시키면 좋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관객의 최초 참여경험이 지속적 공연관람을 결심하는 데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은 눈여겨볼만 하다. 관객이 하나의 경험을 통해 지속적인 경험을 결심하는 데에는 만족도, 관여도, 관심도 등 굉장히 다양한 영향이 미칠 수 있는데, 이번 연구에서는 공연장에서 ‘관객의 최초 참여경험’이 지속적인 경험을 결심하는 데에도 동일하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 결과가 도출되었기 때문에 이와 관련된 향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여 진다. 본 연구를 통해 관객의 최초 참여경험이 관객개발에 미치는 긍정적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무엇보다도 공연장의 프로그램 유형을 구분하여 관객의 참여경험, 참여계기, 참여 프로그램 순서, 지속적 공연관람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친 프로그램 등을 살펴봄으로써 각 프로그램별 관객의 차이를 이해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시사점을 통해 공연장이 관객을 최초로 공연장에 유인하고 이들의 참여빈도를 지속적으로 높여 관객의 기반을 공고히 하는 데에 기여할 수 있기를 기대해 본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first time participation category of audience in season performance, festival, arts education programs in theater as well as seek their trigger to participation for theaters to come up with hints on how to attract first-comers and continuously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frequency. As such, for 3 weeks in last May an on-site survey was made to performance audience from National Theater of Korea, Goyang Aramnuri, and Daejeon Arts center on target as well as mobile investigation to unspecified many audiences who have watched the show for more than once simultaneously. A total of 341 people were selected for research objects, a Frequency Analysis and Cross Analysis: Chi-square test by SPSS statistical method was mad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relationship by each category with frequency analysis of total questions on the basis, in the adoption stage(interest) of the audience, there have been significant differences by each one’s show watching frequency, the type of program the initial participation took place along with its trigger, the sequence of participated program, and education level, however, such significant difference was not shown by income level. Also, everyone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rigger to first participation, the order of program they participated, program types in which they choose to continuously watch the performance by their initially participated program type, however, the program type in which they decide to continuously watch the performance by their first participation trigger, their first participation program type by region(Seoul, Gyeong-gi, other provinces), and their first participation program type by survey method(on-site, mobile)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s. This study has a great deal of significance in that the investigation of ‘The very first participation experience of the audience in performing arts’ was attempted for the first time. The implication of each theater by program type are as follows. First, ‘Season performance’ implicates that it has important impact in fanatic audience development. ‘Season performance’, which is definitely the core program of the theater, had the greatest impact in the audiences’ watching the performance, and especially peaked in groups with higher performing arts acceptance stage(interest). Therefore, this implies that in case of ‘Season performance’ program in theater, it should develop better contents and exquisitely operate the system like to seasonal(repertoire) system. Second, in the case of ‘festival’, many who experienced the program were first visitors, and that implied that first experience had the greatest impact on continuously watching the performance. Hence, the ‘festival’ program should not only be used as a method that offers the opportunity of a break-away for the audience, but also be used for converting the first visitors to regular visitors by making one further step from just attracting the audience to the theater to guiding ‘Season performance’ and ‘Arts education’ programs during the festival in order to continuously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frequency. Third, ‘arts education’ implies that it not only is an important indicator for potential audience development, but is also an important indicator in promoting the long-term fanatic audience. The more fanatic audience tended to encounter ‘arts education’ or ‘performance’ in advance, had relatively higher school education, and showed higher opportunity for ‘participation due to their majoring in arts’. Therefore, it is highly suggested that theaters activate performance-connecting type and tour educational type programs so that potential audiences or first time visitors experience the performing site. Lastly, first time participators’ experience implied that it has positive impact in their decision to continuous performance watching. For one audience to decide continuous experience through one of their experience, various factors can influence, such as satisfaction, involvement, and interest; since, in this study, ‘the audience’s first participation experience’ was equally shown to have positive impact for them to decide to continuously do so, additional research related to this issue seems to be necessary. Through this study, the positive impact of the audience’s first participation experience on audience development was assured. Above all, it was possible to understand the difference of the audience by each program by looking into programs that made the greatest impact on audience participation experience, trigger to participation, participation program sequence, continuous performance watch through program type division. Through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it is anticipated that theaters attract first time visiting audience and consistently increase their participation frequency to contribute in consolidating the audience base.

      • 국공립공연장의 유아프로그램 활성화 방안 연구

        한계은 추계예술대학교 예술경영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32319

        우리나라에서 국민의 문화예술향수를 위한 정책이 중요하게 자리 잡고있는 가운데 많은 공공문화시설들이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다양한 계층을 위한 프로그램을 활발하게 운영하고자 노력할 뿐만 아니라 유아 · 어린이의 문화예술경험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확대하고자 하는 움직임이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등의 공공문화시설에서 현저하게 나타나고 있다. 이는 사회적 요구에 따른 반영이자, 지속적인 운영을 위한 항구적인 관객기반형성 방안의 일환으로 유아 · 어린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접근하고 있는 것이다. 이러한 현실에 비해 공연장에서 유아가 관객으로서 공연예술경험을 갖는 경우는 매우 취약하고, 유아의 공연관람은 어린이 프로그램 안에서 관람연령에 따라 참여여부가 달라지고있다. 공연장에서 유아프로그램은 장기적인 관객개발 측면에서 필요한 부분임에도 불구하고 유아프로그램 제공의 미온적인 태도와 유아관객에 대한 인식 부족이라는 문제점을 드러내고 있다. 그리하여 우리나라 공연장의 주류이며 공공성을 지닌 국공립공연장에서 유아프로그램을 활성화하는 방안을 위한 연구를 실시하게 되었다. 이에 따라 2장의 연구는 유아관점에서 예술경험의 의미와 유아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통해 국공립공연장의 유아관객의 인식과 유아프로그램의 중요성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3장에서는 국내 국공립 공연장 사례의 유아프로그램 현황에서 공연장 측면과 유아프로그램 측면에서 문제점 분석해보았다. 4장의 연구에서는 유아공연관람의 실태에 대한 설문조사분석 및 결과를 통해 유아공연관람의 수요층 형성과 잠재 수요층을 확인하였고, 5장에서는 해외사례의 유아프로그램의 현황 파악과 유아프로그램의 특징 및 활성화 요인을 분석하였다. 마지막 6장에서는 본 연구의 목적이 담긴 유아프로그램을 활성화 방안을 제언하였다. 국내 국공립공연장에서의 유아프로그램은 해외 경우에 비해 체계성과 지속성이 떨어지는 것을 보완하고 활성화하기 위해서 유아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의 방향을 가지는 것이 필요하다. 첫 번째로 국공립공연장에서 유아프로그램 확립을 위해서는 예술향유자로서, 관객개발의 기반형성에 유아를 포함하여 관객으로 인식해야하고, 유아프로그램 전문담당자를 두어 프로그램이 개발 될 수 있는 여건을 조성해야 한다. 또한, 유아프로그램에 대한 기본적인 원칙이나 근거 배경을 설정하여 지속적이고 체계적인 유아프로그램의 제공을 할 수 있는 내부적인 환경을 먼저 조성해야하는 것이다. 두 번째로 유아프로그램의 개발 및 운영의 방향을 세워야한다. 유아의 진정한 예술향유를 위해서 유아의 특성을 인지하고 유아전문가의 조언을 참고하여 프로그램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고 유아에게 단순한 공연관람 보다는 놀이의 요소를 혼합하여 경험을 통해서 유아의 자발적인 참여를 유도하여야 한다. 또한 유아의 정서적 발달이나 창의성발달에도 도움이 되는 교육적이면서 독창적인 프로그램을 개발하여야한다. 이와 같이 유아프로그램의 개발은 예술향유 · 참여 · 교육적 측면의 균형을 이루어야한다. 유아프로그램 개발에 따른 운영 활성화를 위해서는 유아의 특성을 고려하여 관람연령을 세분화한 유아프로그램을 지향해야하고, 유아 · 가족관객에게 국공립공연장의 유아프로그램에 대한 인식을 확립하고자 시기와 기간을 특화하여야한다. 또한 전속 · 상주 · 지역 예술단체의 상호협력관계를 통한 유아프로그램을 제공해야하는 것이다. 본 연구의 제안을 통해 국공립공연장은 유아와 가족관객에게 공연문화화를 가까이 접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고, 관객기반의 밑거름이 되는 유아관객의 확대를 위해 유아프로그램을 활성화하기를 기대한다. 더불어 국공립공연장이 유아 · 가족 관객층에게 지속적인 유아프로그램을 제공하여 친화적인 공공문화시설로 다가설 수 있게 본 연구가 미약하게나마 일조 할 수 있기를 바란다. The policy for the citizen to possess the enjoyment of culture and arts has been a major issue in Korea, and the interest has been focused in public cultural facilities. An effort to operate the programs for various age groups has not only been given, but also the essentiality of the arts experience for young children and youth has been recognized. The movement for the program development and expansion has obviously been shown up in public cultural facilities such as museum, gallery, library, and so on. This is a reflection of social demand. Therefore, a scheme for the formation of audience, including young children and youth, is required to maintain the business operation of the culture and art industry. In spite of this atmosphere, it is rare to have programs that enrich young children's arts experience, and young children's attendance in youth program is even determined by the age rating of the performance. Although the program for young children in performing theater is an important part on the side for long-term audience development, a lukewarm reception for providing young children program and the lack of recognition of young children audience still remain as the problems. Based on above facts, the research of the activation plan for the young children program in the public performing arts centers, which is the mainstream arts centers in Korea, commenced. In accordance with the above, Chapter 2 states the significance of art experience on young children, as well as the importance of the young children program and the recognition of young audience in the public performing arts centers. The facts are formulated through the abstract study in the essentiality of young children program. In Chapter 3, the problems are identified through the analysis of art centers and young children program in view of the current situation of domestic public performing arts centers. In Chapter 4, it summarizes the result of the survey regarding the current status of young children performance in theaters, and it is confirmed that the demand of the young children performance has already been built up. Chapter 5 analyzes the current situation, including the characteristics and the success factors of activation plan for the young children program. At last, Chapter 6 proposes the activation plan of young children program which is the main purpose of this research. To prevent the decline of systematization and durability in comparison to the overseas case and to activate the young children program of national and public theaters, it is necessary for the young children program to be developed and to have the operating direction. First of all, in order to establish the young children program in the public performing arts centers young children must be regarded as art possessors and as audience by recognizing and confirming the foundation purpose. Providing the environment and condition to develop the program, it is necessary to assign professional people to be in charge. Most important of all, setting up the internal environment is vital to keep the program systemic and durable by enacting the principle, basis, and background about the program properly. Secondly, it is necessary to have the development direction for the young children program. In order to provide a real art exposure to young children, acknowledging the characteristics of young children and referring to the professionals’ advice are needed. It is better to combine the interesting elements with performance to lead to voluntary participation rather than having a simple performance. Also, it is useful to create educational and creative program to help young children for emotional growth and increase their creativity. As such, these young children program developments should be balanced in terms of art exposure, participation and educational purpose. To activate the operation to develope the young children program, it is better to have a separate program for each sub-divided age in consideration of young children's characteristic. It is necessary to provide the young children program to let the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y to recognize with cooperation between a major and local arts company. It is the public performing art centers' role to lead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y to watch the performance with positive attitude. Through the proposal in this study, it is expected that the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y can easily approach to the performance culture in the public performing arts centers by setting the suitable environment. It is also expected that by activating the young children program, we can encourage art exposure to young children as this plays an important role in their life. Moreover, the young children must be regarded as the current audience and the potential audience. It is wished this study would be little helpful to which the public performing arts centers would friendly step forward to the young children and their family.

      • 프로그램의 시청동기 특성이 공연관람의도에 미치는 영향 : 크로스오버 보컬 오디션 프로그램을 중심으로

        손일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9

        Focusing on the Chinese crossover vocal audition program <Super Vocal>, this study researched and dissolved the viewing motivation, viewing level, program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viewing intention of the crossover vocal audition profram. In this study, in order to measure viewing motivation and viewing satisfaction, based on the use and satisfaction theory and expected value model, I set the questions. What motivation does the viewer have when ther watching a crossover vocal audition program? whether they are satisfied with the program, and whether they are satisfied with the crossover vocal audition. Measurement questions were set to investigated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program's viewing motivation, viewing level, viewing satisfaction and performance viewing intention. In order to intuitively find out the viewer's viewing effect, the viewing level was entered as a parameter. First, in this study, the viewing motivation of the crossover vocal audition program was set and analyzed as 'entertainment','topic pursuit','performer preference', and 'information collection'. And we asked how much have you watched the program to make sure the viewing level. According to previous studies, Five questions were set to make sure the degree of satisfaction with the program. They are 'I enjoy watching <Super Vocal>', 'I am satisfied with the contents of <Super Vocal>', 'I am satisfied with the professional evaluation of the producer', 'Satisfied with obtaining music information', and '<Super Vocal> satisfies my viewing needs.' The questions about intention of viewing a program-related performance is 'I intend to directly watch a music performance composed of songs performed in <Super Vocal>, 'I want to see the performances of <Super Vocal>'s participants', 'If I have an opportunity, I will see the <Super Vocal> participants' performances directly', 'I will try to watch the performances related to <Super Vocal> directly , and 'I thought it was worth watching the participants' performances after watching <Super Vocal>. In this study, the IBM SPSS 22 program was used to analyze data. Frequency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of the survey subjects.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find out the viewing motivation of the crossover vocal audition program, and reliability analysis and Cronbach Alpha values ​​were tested to test the reliability. Correlation analysis was performed to confirm the correlation between major variables, and simple regress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and phase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tested that entertainment and information-gathering motivation of the crossover vocal audition program can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the level of viewing. It was tested that the topic-driven of the crossover vocal audition program could have a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the level of viewing. The performer preference motivation of the crossover vocal audition program was tested as having no statistical effect on the level of viewing. It was found that the viewing degree has a mediating effect by performing a mediated regression analysis as a parameter. It was found that the degree of viewing of the crossover vocal audition program had a positive (+) effect on the satisfaction of the program and the intention of viewing the performances related to the program. It can be seen that the crossover vocal audition program has a positive (+) effect on the performance intention. 본 연구는 중국의 크로스오버 보컬 오디션 프로그램인 <성입인심>을 중심으로 크로스오버 보컬 오디션 프로그램의 시청동기가 프로그램 시청정도, 프로그램 만족도와 공연관람의도에 대해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에서는 시청동기와 시청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이용과 충족이론 및 기대가치 모델을 기반으로 시청자가 크로스오버 보컬 오디션 프로그램을 시청할 때 어떤 동기를 기지고 있는지, 프로그램에 대해 만족하는지, 그리고 크로스오버 보컬 오디션 프로그램의 시청동기, 시청정도, 시청만족도와 공연관람의도가 어떤 관계를 가지고 있는지에 대해 측정문항을 설정하고 조사하였다. 시청자의 시청효과를 직관적으로 알아보기 위해서 시청정도가 매개변수로 들어갔다. 먼저, 본 연구에서는 크로스오버 보컬 오디션 프로그램의 시청동기를 '오락', '화제추구', '출연자선호', '정보수집' 4가지 요인으로 설정하고 분석하였다. 시청정도는 어느 정도 시청하는지에 대해 질문하였다. 프로그램만족도는 선행연구에 따라, '나는 <성입인심> 시청을 즐긴다', '나는 <성입인심>의 내용에 만족한다', '프로듀서의 전문적 평가에 만족한다', '음악 정보를 얻을 수 있어서 만족한다', '<성입인심>은 나의 시청요구를 만족시켜 주는 편이다' 5가지 문항을 설정하였다. 프로그램 관련 공연 관람의도는 '나는 <성입인심>에서 연주된 곡들로 구성된 음악 공연을 직접 관람할 의도가 있다', '나는 <성입인심> 참가자들의 공연이 보고 싶다', '기회가 된다면 <성입인심> 참가자들의 공연을 실제로 관람하겠다', '나는 <성입인심> 관련 공연을 직접 관람하도록 노력할 것이다', '나는 <성입인심> 시청 후 참가자들의 공연을 직접 볼 가치가 있다고 생각했다' 5가지 문항을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데이터 분석을 위해 IBM SPSS 22 프로그램을 활용하였다. 조사 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정을 알아보기 위해서 빈도분석을 실시하였고 크로스오버 보컬 오디션 프로그램의 시청동기를 알아보기 위해서 요인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뢰도를 검증을 위하여 신뢰도 분석과 Cronbach Alpha 값을 측정하였다. 또한 주요 변인들 간의 상관관계를 확인하기 위해서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하였고 연구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단순회귀분석, 다중회귀분석, 매기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를 보면, 크로스오버 보컬 오디션 프로그램의 오락, 정보수집동기는 시청정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크로스오버 보컬 오디션 프로그램의 화제추구동기는 시청정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의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크로스오버 보컬 오디션 프로그램의 출연자선호동기는 시청정도에 대해 통계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이 검증되었다. 시청정도는 매개변수로 매개회귀분석을 수행하여 매개효과가 있다고 판명되었고 크로스오버 보컬 오디션 프로그램의 시청정도는 프로그램만족도, 프로그램 관련 공연관람의도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크로스오버 보컬 오디션 프로그램은 공연관람의도에 대해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 공연예술축제 프로그램 유형과 속성에 관한 연구: 국립극장 <여우락 페스티벌> 사례를 중심으로

        차경연 홍익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319

        In performing arts festivals, programs are the measure to assess the attributes and directivity of the festival and also a domain that determines the factors of success. Festivals can be planned with different kinds of programs such as introducing works by many different artists or by creating and presenting new works of art. However, a majority of the performing arts festivals in the country chose to go by the method of selecting works or artists verified for the quality of works or amusement and aligning them in a row, so it was assessed that the programs are unified and standardized. In this situation, the researcher focused on < Yeowoorak Festival>, a festival that was started by the National Theater of Korea since 2010, and how the festival consists of various festival programs and is known for its high competitiveness, recording 96% of average seat share ratio over the past 10 years. ‘Yeowoorak’ is the abbreviation for ‘here, is where our music is at.’ and the festival was planned to provide a chance for our generation to listen to our music centered on Korean traditional music. This study intended to focus on the case of <Yeowoorak> and identify how the festival program organization method affects the formation of competitiveness for the performing arts festival. For this, reference materials and preceding research were analyzed and derived the types of programs following by the organization method of the works and the key attributes that reveal the competitiveness. The program types of the performing arts festival were classified into ‘invitational type,’ ‘developmental type,’ and ‘production type,’ and the key attributes were classified into ‘artistry,’ ‘festivity,’ and ‘identity.’ Subsequently, the program types and key attributes derived through a theoretical consideration were applied to the case of <Yeowoorak> and the correlation was analyzed. Before conducting the analysis, the researcher supposed that the key attributes of the festival will be reinforced and appear in the ‘production type’ out of the three program types. The researcher revealed that it is because preceding researches about <Yeowoorak> mutually stated that the distinctive competitiveness of <Yeowoorak> is the production of works through collaboration, and this applies to the ‘production type’ as deduced earlier. To prove the hypothesis, 92 charged indoor performances of <Yeowoorak Festival> throughout 2010 to 2019 were classified based on the program types and the works categorized by types were analyzed from the aspects of the three key attributes. <Yeowoorak> first began as an ‘invitational type’ festival in the early stage by selecting and introducing existing works for the arrangement of the program. However, the festival gradually evolved into ‘developmental type’ where an attempt was made for partial transformation based on the existing works and aimed for ‘production type’ with a new arrangement in the festival like the integration between genres or collaboration among artists Based on the aspect of the key attributes of <Yeowoorak> based on the program types over the last 10 years, the three program types contributed differently to the festival performances. The details of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vitational type’ introduced artists recognized for their skills or works proven to carry amusement and secured the initial program level of <Yeowoorak> and contributed to building audience reliability and festival awareness. Second, ‘developmental type’ reinforced festivity with variable and atypical properties from the aspect of partly attempting some new changes based on the previously completed works. Third, ‘production type’ consists of works that are made by initiating new artistic experiments and attempts in the festival and actively contained the artistic directivity or vision of the festival. The collaboration between different genres and artists emphasized the festivity of the programs such as diversity·unexpectedness, and the new works that closely considered the directivity of the art director from the planning stage shaped sparse values and contributed to the formation of the festival identity. Especially, out of the key festival attributes, the identity was most noticeable in the ‘production type’ performances. Even in the aspect of charged seat share ratio, the ‘production type’ performance displayed prominent performance out of the three types of programs. It is analyzed that this result reflects on the curiosity and expectation about the premiere performances that are only available in <Yeowoorak> as well as the desire to discover new creative works. In addition, the works that are made into ‘production type’ programs led to various forms of influence even after the festival, and <Yeowoorak> was established as a center of creation and production that leads artists and also as a platform. Based on the analytical findings, it was identified that when festival directly produce the programs, it is effective for revealing the artistic directivity and identity of the festival and also securing notable values and competitiveness. This study is meaningful because it suggests a single viewpoint that identifies the competitiveness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through the three key attributes like artistry, festivity, and identity. Considering the domestic situation where a majority of performing arts festivals organize programs by selecting and introducing performances and artists verified for the quality of works and amusement, it is anticipated that examining the program organization method and the outcomes will suggest an implication about the intrinsic meaning and functions of the performing arts festivals. In particular, the ‘production type’ program was identified to cause the greates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the key attributes, and it not only shapes the intrinsic identity of the festivals but also function as a strategy for festivals to be the active production agent in the performing arts market in the aspect of market expansion by developing new groups or works. 공연예술축제에서 프로그램은 축제의 성격과 방향성을 가늠하는 척도이자, 성패를 좌우하는 요소다. 축제는 다양한 예술가의 작품을 소개하거나 새로운 작품을 만들어 선보이는 등 여러 가지 방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할 수 있다. 하지만 국내 대다수의 공연예술축제는 작품성⸱흥행성 등이 검증된 작품이나 예술가를 선정해 나열하는 방식을 취해 프로그램이 획일화⸱정형화 됐다는 평가를 받아왔다. 이런 상황에서 연구자는 2010년부터 시작한 국립극장 <여우락(樂) 페스티벌>(이하 <여우락>)이 다양한 방식으로 축제 프로그램을 구성하며 지난 10년간 평균 객석 점유율 96%를 기록할 정도로 경쟁력을 갖췄다는 점에 주목했다. ‘여우락(樂)’은 ‘여기, 우리 음악(樂)이 있다’의 줄임말로, 한국 전통음악을 중심으로 이 시대의 우리 음악을 들려주고자 기획된 축제다. 본 연구는 <여우락> 사례를 중심으로 축제 프로그램 구성 방식이 공연예술축제의 경쟁력 형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문헌 자료와 선행연구를 분석, 작품 구성 방식에 따른 프로그램 유형과 축제 경쟁력을 드러내는 핵심 속성을 도출했다. 공연예술축제의 프로그램 유형은 ‘초청형’ ‘발전형’ ‘제작형’으로, 핵심 속성은 ‘예술성’ ‘축제성’ ‘정체성’으로 분류했다. 이후 이론적 고찰을 통해 도출한 프로그램 유형과 핵심 속성을 <여우락> 사례에 적용해 이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분석에 앞서 연구자는 세 가지 프로그램 유형 중 ‘제작형’에서 축제 핵심 속성이 강화되어 나타날 것이라고 가정했다. 그 이유는 <여우락>을 다룬 선행연구에서 공통으로 <여우락>의 차별화된 경쟁력이 협업을 통한 작품 제작이라고 밝혔는데, 이는 앞서 도출한 ‘제작형’에 해당하기 때문이다. 가설을 검증하기 위해 2010년부터 2019년까지 <여우락> 실내 유료 공연 92편을 프로그램 유형에 따라 나누고, 유형별로 분류한 작품들을 세 가지 핵심 속성 측면에서 분석했다. <여우락>은 축제 초기 기존의 작품을 선별해 소개하는 ‘초청형’으로 프로그램을 구성했다. 하지만 점차 기존 작품을 바탕으로 일부 변형을 시도한 ‘발전형’과 장르 간 결합이나 예술가 간 협업 등으로 축제에서 새롭게 구성한 ‘제작형’ 프로그램을 지향하는 모습을 보였다. 지난 10년간 <여우락> 프로그램 유형에 따른 핵심 속성 양상을 살펴봤을 때, 세 가지 프로그램 유형은 각각 축제 성과에 각기 다른 기여를 나타냈다. 세부적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청형’은 실력을 인정받은 예술가들이나 흥행성이 검증된 작품을 소개하는 형태로 <여우락> 초기 프로그램 수준을 확보해 관객의 신뢰와 축제 인지도를 쌓는데 기여했다. 둘째, ‘발전형’은 기존에 완성된 작품을 토대로 일부 새로운 변화를 시도했다는 측면에서 가변적이고 비정형화된 특징으로 축제성을 강화했다. 셋째, ‘제작형’은 축제에서 새로운 예술적 실험과 시도를 주도해 만든 작품으로, 축제의 예술적 방향성이나 비전을 보다 적극적으로 담아냈다. 서로 다른 장르나 예술가 간의 협업은 프로그램에 다양성·의외성 등 축제성을 강화했고 기획 단계에서부터 예술감독의 방향성을 충실하게 반영한 신작은 희소한 가치를 만들며 축제 정체성 형성에 기여했다. 특히, 축제 핵심 속성 중 정체성은 ‘제작형’ 공연에서 가장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모습을 보였다. 유료 객석 점유율 측면에서도 세 가지 프로그램 유형 중 ‘제작형’ 공연이 월등히 우월한 성과를 보였다. 이는 <여우락>에서만 볼 수 있는 초연 무대에 대한 궁금증과 기대, 새로운 창작물을 발견하는 것에 관한 욕구가 반영된 결과로 해석된다. 또한, ‘제작형’ 프로그램을 계기로 이루어진 작업은 축제 이후에도 다양한 형태로 발전되어 <여우락>은 예술가들을 견인하는 창작과 생산의 중심이자, 하나의 플랫폼으로서 영향력을 발휘하고 있다. 이러한 분석을 종합해 봤을 때, 연구자는 축제가 프로그램을 직접 제작하는 것이 축제의 예술적 방향성과 정체성을 드러내고 차별화된 가치와 경쟁력을 확보하는 데 유효하다는 사실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예술성⸱축제성⸱정체성이라는 세 가지 핵심 속성을 통해 공연예술축제의 경쟁력을 확인하는 하나의 관점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를 지닌다. 국내 대다수의 공연예술축제가 작품성⸱흥행성 등이 검증된 공연과 예술가를 선정해 소개하는 방식으로 프로그램을 꾸리는 상황을 고려할 때, 다양한 프로그램 구성 방식과 이에 따른 성과를 살펴봄으로써 공연예술축제 본연의 의미와 기능에 대해 시사점을 제시할 것으로 기대한다. 특히, 축제의 핵심 속성 형성에 주도적인 역할을 했다고 밝혀진 ‘제작형’ 프로그램은 축제의 고유한 정체성을 만들 뿐 아니라, 새로운 그룹 혹은 작품 개발을 통한 시장 확장이라는 측면에서 축제가 공연예술시장의 능동적인 생산 주체로서 기능하는 전략이 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