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공연예술축제의 활성화를 위한 방안 : 제3회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을 중심으로

        한승연 단국대학교 대중문화예술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Performance Art Festival is a special annual event that holds ordinary performance art activities together by the festive mood that it presents. Daegu, with its superiority in all fields related to performance arts, has created the only existing festival with originality by hosting The Daegu International Musical Festival showing. In order to set the Daegu International Musical Festival in place as the cultural artistic brand that could represent the city, as well as to invigorate the cultures of Daegu through the Daegu International Musical Festival, authors have examined the current situation and problems of the 3rd Daegu International Musical Festival and came up with three ways to improve it. Firstly, programming of low quality performances that were not suitable for the international festival was pointed out. Performance programs, as well as additional events were not managed efficiently due to insufficient preparation and sporadic locations.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officially invitational performances should be reduced in their quantity and performances should be selected based on their execution and popularity. Rather than inviting expensive performances, fringe type foreign musicals that persue various artistic experiments should be considered. For this, constant exchange with domestic and foreign musical organization and performance festivals are required. Dimf grantee homegrown musicals should be selected based on their potential for growth, yet contest submission time should be moved forward so that the level of execution can be increased in the festival. Free participation musicals should be increased in number so that the audiences have a wider variety of selection. Incompletely designed additional events should be drastically excluded and 'DIMF streets' or squares need to be created so that the festival can concentrate its focus Secondly, the absence of an artistic director is a crucial factor that decreases the level of performance programs as perviously mentioned. Therefore, selection of an artistic director with an international artistic mind and flair for management, and experienced specialists who can support the artistic director to lead the festival are crucial factors for the success of the festival. Lastly, promotion limited to only the Daegu area led to unequal distribution of the audiences, while various marketing methods did not appeal much. The Daegu International Musical Festival should be aware of the importance of promotion and establish detailed promotion strategies with the main concept, and should not neglect to promote the festival by constant exchange between domestic and international performance teams at all times. Performance art festival has provided greater expectations for local relations other than the sole purpose of artistry in the 21st century. It also has been understood as an important creative asset for local marketing and tourism. As a result, it could lead to more desire for internationalization and reproduction of standard program, and it can also create obsession over distinction, materials and competitive outcome rather than identity of the nature of Performance Art Festival itself. However, the festival can only successfully be settled as the representative of the city when and if it is performed with its unique purpose persistently. The 4th Daegu International Musical Festival, which will be held in 2010, could develop as the festival that represents Korea, when it retains its natural purpose and establish the solid foundation by solving problems one at a time. 공연예술축제는 일상적으로 벌어지는 공연예술 활동을 축제적 계기로 묶어주기도 하고, 또 축제를 통해 공연예술현장에 새로운 흐름과 활기를 만들어주는 전환점으로 작용하기도 하는 연례적 특별 이벤트라고 볼 수 있다. 공연실적과 공연장 현황, 관련 인력 현황, 관객 현황 등 공연예술과 관련한 모든 분야에서 우수한 성적을 나타내고, 도시의 비전을 ‘공연예술중심도시’에 두고 이를 위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하고 있는 대구는,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을 개최함으로써 국내유일의 독창성 있는 성격의 축제를 만들어 내었다. 앞으로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을 도시를 대표하는 문화예술 브랜드로 자리매김하고 나아가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을 통한 대구지역(문화)활성화를 이루기 위해서, 제3회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을 중심으로 그 현황과 문제점을 짚어 보고 개선방안을 크게 3가지로 정리해 보았다. 첫 번째로 국제적 축제에 걸맞지 않은 수준 낮은 공연프로그램의 기획으로 축제 자체의 질이 저하되는 문제를 지적했다. 공연프로그램뿐 아니라 부대행사도 부족한 준비와 산발되어 있는 축제 장소로 효율적으로 운영되고 있지 못하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우선 공식초청작은 그 수를 대폭 줄여 철저히 완성도와 대중성을 중심으로 작품을 선정하여 예산을 집중시켜야 한다. 또 초청비가 많이 드는 작품들보다 다양한 예술적 실험성을 추구하는 프린지 성격의 해외뮤지컬을 초청해야 하며 이를 위해서 국내 뿐 아니라 해외뮤지컬단체나 공연축제와의 꾸준한 교류가 필요하다. 창작지원작은 성장가능성을 중심으로 작품을 선정하는 기존의 방식을 유지하되 작품공모 시기를 앞당겨, 창작지원작으로 선정 후 본 축제에서 공연되기까지 준비기간을 늘려 그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해야 한다. 자유참가작은 편수를 늘려 관객의 선택의 폭을 늘릴 수 있다. 철저히 기획되지 않고 차별화 되지 않은 부대행사는 과감히 제외시키고, ‘DIMF 거리’나 광장을 조성해 축제를 한곳으로 집중시킴으로써 축제성을 강화시키는 방법을 제안했다. 두 번째로 제기한 예술 감독의 부재는 결과적으로 위에 언급한 공연프로그램의 수준에 대한 문제를 야기시키는 결정적인 원인으로 볼 수 있다. 따라서 국제적, 예술적 마인드와 경영능력을 가지고 있는 예술 감독을 선임하고 예술 감독이 일 년 내내 세계 각국의 공연을 접하고 교류하며 다음 축제를 준비할 수 있도록 해야 하며, 예술 감독을 도와 축제를 이끌어갈 경험 있는 전문 인력의 상시 근무는 성공적 축제를 위한 필수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세 번째 문제점은 대구 지역만을 중심으로 축제기간 동안에만 이뤄지는 홍보로 인해 대구 경북지역의 관람객이 대부분인 관객편중 현상으로 다양하게 준비한 마케팅 방안들이 별다른 반응을 얻지 못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은 축제 홍보에 있어서 홍보의 중요성을 재인식하고 그해에 메인 컨셉을 정해 구체적 홍보 전략을 수립해야 하며, 축제기간이 아니더라도 국내 공연단체와 공연예술축제는 물론 해외유명축제와 단체와의 정기적인 꾸준한 교류와 홍보물 배포 등을 통해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을 알리는 일을 소홀히 해서는 안 된다. 21세기를 전후해서 공연예술축제는 예술적 목적을 넘어 지역과의 관계 속에서 또 다른 기대치를 가지게 한다. 공연예술축제는 지역의 문화예술 콘텐츠로서 지역 마케팅, 또는 지역 관광의 중요한 창의적 자산으로 이해되고, 이러한 열망이 때로는 지나쳐 가시적이고 성급한 경제효과나 정치, 사회적 파급력을 만들기 위한 경쟁적 상황으로 몰리게 하고 있다. 그 결과는 국제화의 열망, 정형화된 프로그램의 복제 등으로 이어지기도 하고, 인간의 삶과 예술에 대한 질문, 그리고 사회적 공유라는 공연예술축제 본연의 정체성보다는 소재의 차별성, 대외적 성과에 집착하게 만들기도 하는 것이다. 하지만 축제 는 그 자체가 고유한 목적을 가지고 그것을 꾸준히 수행해 나갈 때에 비로소 축제의 성공과 함께 그 지역을 대표하는 도시의 이미지로까지 자리매김 할 수 있다. 2010년이면 4회를 맞이하는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또한 관람객 수, 공연 작품 수, 참가국 수 등 축제의 결과와 외적인 규모에 관심을 집중하고 성급한 발전을 기대하기 보다는, 대구국제뮤지컬페스티벌 본연의 목적과 방향성을 확고히 가지고, 나타나는 문제점을 하나하나 고쳐나가며 기반을 튼튼하게 구축한다면 구축단계, 발전단계, 상업화 단계로 성장하여 대한민국을 대표하는 공연예술축제 혹은 그 이상의 축제로 거듭날 수 있다.

      • 공연예술에 있어 관계마케팅의 적용과 활용방안에 관한 연구

        유혜영 단국대학교 경영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8703

        21세기는 문화의 세기라 일컫는 정도로 문화예술에 대한 가치가 날로 증대되고 있을 뿐만 아니라 문화예술산업에 관심과 기대 또한 매우 높아지고 있다. 이처럼 예술도 하나의 산업으로 인식되어지는 현 시점에 이에 알맞은 적절한 경영방법이 도입되지 않는다면 그 중요성과 가치에 대한 인식이 무색케 될 것이다. 근래에 들어 문화예술에도 이미 이와 같은 경영마인드가 많이 도입되어 있고 그에 인식은 문화예술계 전반에 걸쳐 이미 확고히 자리매김 되고 있다. 그러한 경영마인드 중 가장 시급하고도 유용한 것은 마케팅이라 할 수 있겠다. 종래의 예술가들은 예술을 상품화 취급하고, 대중과의 적절한 타협으로 예술 본연의 질을 떨어드리는 것이 마케팅이라 여기는 사람들도 있었지만 마케팅 이야말로 예술의 존패를 가름하는 관객과 수익을 생성할 수 있는, 나아가 예술 본연의 수준과 질을 높일 수 있는 방법이라 하겠다. 이러한 마케팅의 중요성과 그 도입과 적용의 문제는 이미 여러 단체들과 기관들 모두 실감하고 있는 부분이고 다른 논문에서 다룬바 있다. 그러나 여러가지 재정적인 문제, 전문인력의 부재, 시간상의 문제, 정부 지원 방법의 문제 등으로 인해 그 필요성을 느끼면서도 실천하지 못하고 있는 것이 우리나라 공연예술계의 현실이다. 최근 많은 국공립단체들이 민영화를 이루웠고, IMF이후 기업의 지원부분도 많이 감소하여 그 단체의 생존여부는 그 단체의 경영능력에 달려있게 되었다. 본 논문은 마케팅기법 중 요즘 들어 가장 효과적이며 많은 기업에서 수용하고 있는 관계마케팅에 대해 조사하고, 그 특징 중 일회성이 아닌 지속적인 관계형성을 통한 관객개발과 구전광고 효과를 통해 신규 관객개발등의 여러 가지 관계마케팅의 이점을 우리나라 공연예술시장이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하여 적절하게 도입하고자 하였다. 또한 관계마케팅의 실천수단이라 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 마케팅을 위한 데이터베이스 작업을 여러 단체와 극장에서 이미 많은 부분 진행하고 있으며, 인터넷 홈페이지 구축 등으로 마케팅 방법에 있어서도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많은 관객들이 이미 공연의 정보를 웹상에서 얻고 인터넷을 적극적으로 이용함으로 인해 마케팅에 있어서도 개별관객과의 더욱 친밀한 관계를 창출할 수 있게 되는 등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이처럼 인터넷의 이용은 개별 관객과의 관계를 더욱 가깝게 할 수 있게 되었고, 과거 일방적이고 무작의적이던 마케팅에서 관객 일대일간의 의사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환경에 이르게 되었다. 이에 우리나라 공연예술단체들은 신규관객 창출을 통한 시장점유율 증대에 마케팅 노력을 최대한 집중시키는 양적인 마케팅에 치중하였지만 앞으로 질적인면을 강조하는 새로운 경영 패러다임으로 전환할 수 있는 좋은 기회라 생각한다. 본 논문에서는 관객개발에 보다 장기적이고 안정적인 마케팅방법으로 관계마케팅을 제안하며 과거의 판매 지향주의 마케팅에서 관객 지향주의 마케팅으로의 의식을 변화를 유도하고자 하였다. 관계마케팅은 기존관객에 대한 관계형성, 유지, 강화라는 단계를 거쳐 우량관객으로 만들고 그들을 통한 구전광고 효과 등으로 신규관객개발을 가져올 수 있다. 이는 기존의 일방적이고 무차별적인 커뮤니케이션의 낭비적 요소를 배제하고 진정한 관객을 선별하여 그들이 원하는 것을 만족시키는 지속적인 관계를 유지할 수 있다면 마케팅활동의 효율성은 증가할 것이다. 하지만 우리나라 공연예술시장에 관계마케팅의 도입에 있어 기존의 예술마케팅이 가지는 원론적인 문제점으로 지금 당장 효과를 얻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여러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는 우리나라 공연예술시장에서 아직 관객과의 관계를 형성하여 이를 통한 이익증대는 기존의 제반시설 등의 부족으로 어려움이 따르지만, 본 논문은 앞으로의 공연예술시장의 소비자인 관객의 가치, 더 나아가 그들과의 관계의 중요성을 인식할 수 있는 마케팅전략으로 관계마케팅의 도입을 제안하고 그 활용방안을 연구하였다.

      • 무용공연예술에 미치는 무대분장에 관한 연구 : 발레 《백조의 호수》를 중심으로

        길선영 단국대학교 산업경영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3

        수많은 세월이 흘러 내려오는 동안 무대공연예술은 사회, 문화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 오늘날, 현대사회는 다양한 문화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시각적 표현예술이 새로운 문화적환경이라는 부분으로 크게 대두되고 있다. 더욱 창조적이며 획기적이고 보여 지는 것에 익숙해진 현대예술소비자들의 소비취향에 맞추어 현시대의 무대공연예술은 보다 다양한 표현방법으로 외적 창조에 힘써야 한다. 바로 공연예술에서 표현의 시각화를 효과적으로 나타낼 수 있는 부분이 무대분장 분야이다. 초기의 무대분장은 노천극장의 자연광선을 피하거나 배우의 일인다역을 행하기 위해 가면을 사용 하였다. 그 후 10세기 후반에 연극이 포교 수단이 되면서 현대적 의미의 분장이 싹트기 시작하였다. 무대분장은 종합예술의 한 요소로 다른 무대 디자인적 요소와 결합되어 배우가 나타내려는 배역의 창조를 위해 배우의 풍모를 감추거나 왜곡시켜 관객들에게 의사 전달하는 중요한 수단으로 예술적 성향이 짙은 분야이다. 최근 몇 년 동안 문화산업의 발전과 더불어 분장업계는 관련종사자들의 노력으로 빠른 속도로 급성장해 왔다. 그 결과 대학과 대학원에서 정규과정으로 채택되어 기술적인 측면뿐만 아니라 학술적인 연구단계까지 발전되고 있는 단계이다. 그러나 아직도 분장 분야는 이론체계의 확립과 기술적인 측면이 체계적이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2003년 국립발레단 《백조의 호수》공연을 보면 무대공연의 장치, 조명과 의상분야는 계획성 있게 작업이 이루어져 발레공연의 실질적 효과를 발생하고 있는데 비해 분장분야는 분석적이고 효율적이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무대분장은 공연예술의 특성상 배우와 관객과의 거리, 조명과 분장의 색 자체를 중요시 한다. 색에서 나타나는 명암과 제한된 테두리 안에서의 공간 등을 고려하여 빛과 음영처리로 부각시켜 이에 따른 색상분석으로 하나의 토탈 적인 개념연출이 필요하다. 무대의 다른 디자인들과 마찬가지로 창의적인 학적인 자세로 분장계획안에 의한 시각적인 표현매체를 통해 실질적이며 효과적인 분장작업이 필요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본론에서 분장의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분장의 개념정립과 분장의 실질적인 기술적 측면에 필요한 인체의 골격과〔두개골〕과 미적가치에 이르는 색체학적요소를 알아보며 발레공연 예술에 미치는 분장의 실체를 효율적이고 창조적인 분장디자인과정을 통해 발레공연 예술뿐만 아니라 발전을 거듭하고 있는 분장 계의 작은 힘이 되고자 한다. From the ancient times, the theatrical art has been closely associated with societies and cultures. At present times, the art of visual expressionism becomes influential as a part of a new cultural sphere along with various cultural industries. The theatrical art should be created and modified more variously in visualization for the consumers of the contemporary arts who are used to the medium of more creative and epochal visualization. The make-up art in the theatrical art is the major part that can express effectively to visualize expressions. Masks are used as means of make-up to avoid the direct light from Sun or to perform multiple roles in an open-air theater in early times. Since then, present meanings of the make-up art have begun to be developed, as the play became the means of missionary works in the late 10th century. The make-up art in the theatrical art is the field that has strong disposition to the art as a composite art. It can express the character of the cast to the audience by hiding or modifying the appearance of an actor/actress with the combination of other theatrical design. For last several years, the make-up art has been developed rapidly along with the development of cultural industries by the effort of the people in those related fields. Nowadays, the make-up art in the theatrical art is adopted as a regular coursed of the education in universities. It is advanced to not only in technical field, but also in scientific research. However, it is not well organized to establish in theory and technique yet. As an example, "Swan Lake" that was performed by Korean National Ballet in 2003 exhibited the quality of the stage settings, the stage lightings, and the stage costume, but make-up wasn't effective in most times. The make-up art in the theatrical art values the distance between actors/actresses and the audience, stage lightings, and the color tone. It is necessary to present total concept by the analysis of colorings by considering the brightness of the color and the limitation of space on the stage. The essence and effective make-up work is necessary to be visualized by the creative and scientific plan as other stage designs. Therefore I like to theorize the make-up art scientifically, and I also discuss the element of coloring that is necessary to express a contour of a face and an aesthetic value in practical techniques of the make-up. Consequently, I like to contribute to the make-up field by going through the creative and practical make-up design process that may effects on the various composite arts including ballet

      • 한국전통공연예술 강령탈춤의 해외공연을 위한 공연기획 및 제작시스템 개선 방안연구

        송연서 세종대학교 융합예술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오늘날의 ‘전통 계승’의 의미는 조상의 전통이나 문화유산, 업적, 풍속, 제도 등을 물려받아 이어가는 것을 말한다. 이런 해석에 비추어 본다면 요즘의 전통공연예술들은 단순 보존보다 계승에 가까워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해외교류정책을 담당하는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경영지원센터, 한국문화예술위원회에서 2006년에서 2011년 사이 국제시장 진출 및 국제교류 활성화를 집중 공략한 끝에 전통공연예술의 해외공연 진출 성공 사례가 2배 이상 증가함으로써 우리의 전통예술에 대한 해외의 관심이 높아졌다. 가치가 소멸되어가는 전통예술 중 하나인 강령탈춤 또한 지속적인 진화를 거듭하면서 전통 보존 가치를 인정받는 동시에 창의적 계승, 상품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특히 강령탈춤의 단순 보존이 아닌 ‘계승’으로서의 방안으로 고려할 때 어떠한 변화가 필요할 것인가를 생각해 보아야 한다. 본 연구는 강령탈춤의 가치와 해외공연 진출의 필요성을 밝히며, 강령탈춤의 해외진출을 위한 공연기획 및 제작시스템 개선 방안을 찾고자하는 연구이다. 선행연구를 통해 한국전통공연예술을 이해하고 그 가치를 탐구하며, 그런 가치들을 담고 있는 한국전통공연예술 중 하나인 강령탈춤에 관한 문헌고찰을 통해 강령탈춤의 특징과 구성을 드러내어 제작시스템을 살펴본다. 다음으로 강령탈춤의 현재 현황을 파악하고 한국전통공연예술의 해외진출을 위한 주요기관 문화체육관광부, 예술경영지원센타 지원정책과 전략, 그와 더불어 현대의 창의적 계승을 이어가고 있는 전통공연예술들의 현황과 흐름도 살펴본다. 선행연구 후 국내외 해외진출 성공 사례분석 연구와 해외진출 공연기획 및 제작 전문가 심층 인터뷰를 통한 실증 연구를 실시한다. 실제 국내 해외진출 성공 사례 창극 〈변경쇠 점찍고 옹녀〉, 국립현대무용단 〈불쌍〉, 퓨전국악음악〈김주홍과 노름마치〉와 국외 해외진출 성공 사례 중국 전통 가면극〈변검〉, 일 본〈슈퍼 가부키〉, 캐나다 〈태양의 서커스〉분석을 통하여 한국전통공연예술 작품의 성공 요인과 그들의 제작시스템에 대해 연구한다. 해외진출 공연기획 및 제작 전문가 터뷰를 통한 실증 연구는 실질적 현장감과 이해도를 넓히기 위해 전통공연과 관련하여 해외공연 실적, 공연기획 및 제작 관련 업무, 공공기관 및 민간단체, 개인을 대상으로 심층 인터뷰하는 실증연구를 진행하여 이를 분석한다. 이를 바탕으로, 앞의 국내외 해외진출 성공 사례 분석을 더하여 이를 강령탈춤과 비교하며 스토리 영역의 페쇄성으로 인한 스토리의 현대성, 개연성의 부족, 전문적 전략의 다양성, 창의성의 부재, 국가의 적극적 정책지원 부족의 강령탈춤의 공연기획 및 제작시스템의 문제점을 확인하였고 그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강령탈춤의 해외진출을 위한 공연기획 및 제작시스템 개선방안 논의를 요약하고, 비교 분석한 결과로 전문스태프 채용 및 분업화를 통한 무대구성, 창작 스토리와 전통적 춤사위 및 복색조화, 영상제작과 SNS를 통한 시각적 효과 강조한 홍보전략, 국가의 전통공연예술의 해외진출 정책 마련 등의 방향으로 연구자 나름의 재해석과 연구를 통한 방안을 제시하였다. The meaning of today's 'traditional succession' refers to the inheritance and succession of cultural heritage, accomplishments, customs, and regime. In the light of this interpretation, traditional performance art can be said to be closer to succession rather than simple preservation. The Ministry of Culture, Arts Management Support Center, and the Korean Culture and Arts Committee have been responsible for foreign exchange policies and focused on advancing international markets and enabling intercourse during the year 2006-2011. As a result, more than twice the success rate for traditional performing arts has increased overseas, which predicts more interests in our traditional art abroad. As one of the traditional art of value lapse, Kang Ryeong Talchum continues to evolve and is recognized for its traditional preservation value, but it needs to be creatively inherited and commercialized. In particular, consideration should be given to the necessary changes needed in the measure of succession rather than simple preservation of Kang Ryeong Talchum. This study reveals the value of Kang Ryeong Talchum and the need to advance overseas performances, and seeks to improve performance planning and production system. Through prior research, we will examine the production system by understanding the traditional Korean performing arts, exploring its values, and disclosing its features. Composition through literature review on the Gangnyeong Talchum, which contains this values will be proceeded. Further examination on the core of the Ministry of Culture and Arts management support policy strategies for overseas entry into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will be made to identify the current situation of Kang Ryeong Talchum as well as look into the flowchart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for creative succession plans. An empirical study will be conducted through an analysis of success stories in both domestic and foreign countries, performance planning, and an in-depth interview of production professionals. The success of Korean traditional performing arts and their production system is studied through the analysis of performance with the actual domestic overseas success story; <Bun Kung Sae Jum Jick Go Ong Neu>, National Modern Dance Company 〈Bull Sang〉, New Korean Classic Music 〈Kim Ju Hong and No Rem Ma Chi〉, Traditional Chinese masque 〈Bun Gum〉, Japan's <Super Bugatti>, Canada's 〈Cirque du Soleil>. Through an in-depth interview of the planning and production of overseas advance performances, empirical research is intended to broaden realism and understanding. This will be analyzed by conducting empirical research on performing overseas performances related to traditional performance results, planning, production-related work, public institutions, private organizations, and individuals. Based on this, the analysis of successes in foreign countries has been compared with Kang Ryeong Talchum. Issues and improvement measures were sought on transitional field of story modernity, lack of likelihood, the diversity of professional strategies, absence of creativity, lack of active policy support of the country, the issue of Kang Ryeong Talchum planning and production system. Finally, I will summarize, compare, and analyze the performance planning and production system improvement discussions for the overseas entry of Kang Ryeong Talchum. Finally, I summarize and discuss how to improve the performance planning and production system for the overseas entry of Kang Ryeong Talchum, and the comparative analysis results in the stage configuration through professional staff recruitment and division of labor in the direction of creative story and traditional dance-based, abdominal-color harmony, video creation and visual SNS promotion strategies, and foreign-market policy of the National Performing Arts, the researcher proposed a way of interpretation and research.

      • 공연예술산업의 유통기반 AHP분석 및 활성화방안 연구

        김선영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Korean performing artists and troupes are currently facing financial difficulties and they often have no choice but heavily relying on external support. In this context, this study comes up with plans to invigorate the country’s performing arts industry, under the condition that such plans don’t damage or modify the creative autonomy of the artists and troupes. Based on preliminary research, the paper starts by elaborating on current issues: the performing arts industry’s conceptual categorization (genres), marketability, popularity, specialization and reproduction. The paper then systematically defines the “arts industry” as “a state in which pure (basic) arts make a virtuous cycle of artistic activities by expanding the arts ecosystem’s value chain composed of creation/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To expand such a value chain, artists need to focus more on the distribution of their works by strengthening their communication with citizens through modern technologies like reproduction but without losing their own purposes and values. In other words, the purpose of the arts industry is to improve the financial conditions of artists and troupes by generating economic value from arts in order to ensure a virtuous cycle of producing better works. The performing arts industry’s value chain consists of creation/production, distribution and consumption. Among these elements, the paper analyzes “distribution” by studying documents and actual cases, thus suggesting current problems and solutions. The distribution of performing arts refers to the process of providing consumers with produced performances. Therefore, it encompasses a wide spectrum of activities: selection of media (e.g. venue), advertising, promotion, sales by humans, boosting activities (e.g. boosting sales) and ticket sales. However, it differentiates itself from “marketing” that includes production and consumption. As for public support for arts, support for distribution and media (subcategories: private venues, artistic events, international exchange and information sharing) is weak. In addition, major supporting institutions’ projects and their project costs reveal that support for distribution is insufficient. There are also other problems regarding distribution in Korea’s performing arts industry: lack of distribution companies, human resources, data and additional product merchandising, insufficient export of Korean performances and platforms excessively focused on theaters. The paper then studies relevant documents in order to come up with a solution to each problem and improvements to make. A survey was then conducted for about a month on 60 persons from theaters, performing arts-related institutions, organizations and academia. Their answers were analyzed through the analytic hierarchy process (AHP) to prioritize the aforementioned improvements. Their priorities were as follows: establishment of platforms (0.195), expansion of public support for distribution (0.177), training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for distribution (0.174), nurturing of arts agencies (0.152), strengthening of export (0.107), invigoration of additional product merchandising (0.102) and quantification (0.094). The paper then studies actual cases and documents to find specific ways to invigorate the distribution basis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by dealing with the priorities in reverse order. In the case of “quantification,” a transparent market structure is a prerequisite and this starts with securing accurate data. In that sense, the paper looks into Korea’s only existing relevant platform called Korea Performing Arts Box Office Information System; it analyzes how the system operates and what its problems are. The paper then suggests some solutions: enactment of relevant laws, big data service, reclassification of genres and improvement of the system’s usefulness. Moreover, in an attempt to improve and expand statistics, the paper points out problems regarding time, content and structure and elaborates on how to solve them. “Additional product merchandising” has drawn attention as a new source of profits. However, the Korean performing arts industry still doesn’t have such a series of strategic merchandising activities: 1. selection of goods or services meeting demand after scientific market research, 2. distribution of the goods and services at proper prices, time and space. To address this issue, the paper considers the scientific analysis of consumers’ needs, development of differentiated products with unique designs, nurturing of professional merchandisers and establishment of diverse distribution channels encompassing online and offline networks. As for “strengthening of export,” the paper first analyzes the current state and points out lack of information on markets and consumers. It then suggests some solutions: strategies differentiated from simple international exchange, new attitude toward exploration of international markets, each performance’s strategies based on local consumers’ taste, raising awareness of the industry and analysis of local consumers through the subdivision of markets. The next priority is “nurturing of arts agencies.” By studying foreign cases, the paper finds out that Korean planning companies serve as management companies and agencies at the same time. In order to ensure professionalism by nurturing agencies, the paper elaborates on the following first measures to take: guaranteeing planning companies’ legal status, standardization of remuneration for their activities and strengthening of their professionalism. Regarding “training of professional human resources for distribution,” the paper first points out a problem; the planner takes charges of almost all duties in the process of presenting a performance: planning, promotion, marketing, financing, arts policy, space management, human resources management and accounting. To deal with this issue, the paper suggests the following solutions: introduction of an official license system for each of planning and distribution and retraining intended to strengthen professionalism. In “expansion of public support for distribution,” the paper realizes the current structure of support that is focused too much on consumption and production. To improve such a situation, the paper suggests some solutions: increase of public financial support for distribution, training those in charge of distribution and diversification of distribution channels. The respondents’ first priority was “establishment of platforms.” In this last part, the paper studies foreign cases to reflect on how to add an online distribution platform to the Performing Arts Market in Seoul. It also elaborates on the concept and meaning of performance videos and summarizes the background and advantages of their recent popularity. In order for performance videos to develop into a new form of distribution, the following challenges need to be met: strengthening of the existing legal system for copyright, reduction of the high cost, production of high-quality videos (e.g. high definition) and verification and improvement of profitability. It is true that this research has limits. First, it doesn’t elaborate on each genre’s own distribution system. In addition, it doesn’t explain each solution’s economic ripple effects with specific numbers. This is partly because there isn’t any statistical data on planning companies, performance videos, export of performances and merchandising. Moreover, an in-depth study wasn’t carried out for the seven invigoration plans and each plan’s subcategories. I hope that this paper’s plans to invigorate the Korean performing arts industry’s distribution basis will lead to in-depth studies under the same theme and elaborate research on the concept of the distribution of performing arts.

      • 수요증가를 통한 공연예술산업의 수입부족(income gap)완화 방안 : 가격차별화전략 중심으로

        윤혜림 성균관대학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공연예술산업이 겪고 있는 만성적 수입부족(income gap)을 완화하려는 방법을 수요적 접근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다. 기존의 연구들에서 수입부족현상으로 인한 공연예술산업의 비용질병(cost disease)을 해결하기 위해 공급 측면에서 접근을 통해 비용을 절감하는 방안을 주로 연구한 반면 수요 측면에서의 연구는 아직 미미한 점을 고려하여 본 논문에서는 초점을 수요자로 맞추어 수입을 증가시켜 비용질병을 해결 방안을 모색했다. 우선 공연예술을 소비하는 관객의 유형을 크게 과시적 소비를 목적으로 하는 Veblen적 수요자와 쾌락적 소비를 목적으로 하는 Marshall적 수요자로 나누어 이 두 수요자의 상이한 가격탄력성을 바탕으로 가격차별화전략을 도입하여 소비자 잉여를 흡수함으로써 공연예술단체의 수입을 증가시켜 수입부족을 완화 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따라서 공연예술산업이 겪고 있는 수입부족현상을 완화시키기 위해서는 가격전략을 통한 공연예술단체의 자체 수입과 정부의 공공지원 사이의 균형을 이루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suggest a plan to mitigate income gap of performing arts industry through increasing demand. In this study consumers are divided into two groups. One is that consume performing arts in a way as conspicuous consumption that could be called as Veblenian consumers. Another group participates in the performing arts because of the pleasure, name this second group as Marshallian consumers. Based on the different price elasticity of the two groups, price discrimination strategy absorbs the consumer surplus that can increase the income of the performing arts organization. And it helps to cure mitigate the income gap. To relieve the income gap, the governments subsidizing and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revenue have to be balanced.

      • 한국 공연예술 진흥기금의 효과성에 관한 연구

        여상법 경희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박사

        RANK : 248703

        오늘날 우리나라에서도 국가발전에 있어 우리 사회가 당면한 문제를 해결해 주는 하나의 가치 있는 기반을 조성하는 능력의 총체로서 문화역량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국가발전에 있어 문화정책이 종래의 부수적이고 종속적인 위치에서 벗어나 전반적인 국가발전의 전략으로서 필수적이고 핵심적인 기능을 가져야 한다는 상황인식의 발전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문화정책의 방향과 목표를 설정하고, 행정적으로는 보다 전문적이고 체계적으로 이를 구현할 수 있도록 발전시켜야 할 필요성이 강조되면서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문화행정 또는 예술행정에 관한 관심이 고조되고 있다. 이번 연구의 목적은 우리나라 예술진흥을 위한 지원정책 시스템의 구조와 그 효과의 분석으로서, 우리나라 지원시스템은 “기금의 운영주체와 공연예술 단체 모두 권리만 주장하고 있으며. 효과에 대한 책임감은 없다”는 가설에서 출발하였다. 즉, 운영주체는 자신이 지원한 작품에 대하여 공적기금이 정당하게 사용되었는지, 수준은 어떤지, 신청된 내용에 맞게 만들어진 것인지를 객관적으로 평가하여야 하며, 수혜자인 예술단체는 자신이 생산한 작품에 대하여 성과와 향유자의 반응, 그리고 어떤 문제가 있었는지를 정리하여 공개하여야 하는데 이러한 과정이 생략되어 결국 공공의 이익을 추구하는 공적자금의 기본적인 효과를 전혀 살리지 못하는 결과만 초래하고 있다는 뜻이다. 또한, 우리나라 지원시스템의 경우, 공연단체의 지원신청과 작품선정 그리고 평가 등 대부분의 과정이 지난 10년간 같은 유형으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이 시점에서 그 효과를 되짚어 볼 필요가 있다는 것이 본 연구의 배경이다. 연구에 앞서 문화체육관광부에서 발간된 자료 중 지원정책에 대한 평가 자료를 먼저 분석하였다. 그 이유로 정부가 직접 시행하는 보조 사업은 모두 정책적인 결정에 의해 이루어진 것이며, 따라서 각 지자체를 통한 문화정책이나 행사 중 발전가치가 있는 사업으로 인정받고 있기 때문이며, 또 다른 이유로 연례적으로 개최되는 문화관련 혹은 집중 투자대상이 되는 부분에 대한 사후관리 방법을 알아야 했기 때문이다. 이를 기반으로 이번 연구의 주제인 ‘우리나라 예술진흥 정책에 의한 진흥기금의 효과성’ 측정을 위해 공연예술 소비자인 향유자의 정책 인지도, 그리고 공연예술 단체의 진흥기금 지원시스템에 대한 인식도 조사를 각각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우리나라 진흥기금의 효과 향상을 위해 지원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첫째, 진흥기금이 지원된 작품에 대한 세부적이고 정확한 사후 평가가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세부적인 평가는 차기 지원 사업에서 단체의 가치를 결정할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 될 뿐 아니라, 심사자로 하여금 좀 더 공정한 지원을 결정할 수 있으며, 공연단체의 진흥기금 사용에 대한 책임감도 강화된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공연평가의 경우 그 기준이 대부분 중앙의 시스템과 규모에 맞춰진 것이어서 중소도시, 혹은 영세한 공연단체에 그대로 적용된다면 공연예술 발전을 위한 정확한 데이터 추출엔 무리가 있다. 따라서 장소, 규모와 관계없이 질적 수준과 외적 환경평가에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가공된 툴의 개발이 우선되어야 한다. 이는 현행 배분형 지원방식에서 작품수준에 따른 집중적인 지원방식으로의 전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는 초석이 될 것이며, 이를 통한 우리나라 공연예술의 발전을 유도할 수 있다. 둘째, 공연예술 평가를 위한 모니터링 집단의 육성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현재,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을 비롯한 연구기관과 민간 조사기관 등 전문가 집단에 의해 평가가 운영되고 있지만 개별 공연예술 작품의 평가에서 작품의 감성적 부분의 성과보다 객석점유율과 같은 현실적 문제에 더 높은 점수를 주는 등 선입견이 개입될 소지가 있다. 따라서 신청서에 기재된 내용과의 동일성, 작품수준, 예산사용의 적절성, 관객반응, 지원에 따른 공연성과 등 직접적인 평가가 가능한 모니터링 집단의 육성은 우리나라 공연예술 환경의 선진화를 앞당기게 할 것이다. 선진국의 경우 지원을 위한 작품선정부터 공연평가까지 예술에 대한 보편적 지식과 지원의 정당성에 대한 일반론적 개념을 가지고 있는 자원봉사자에 의해 진행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도 전문적 지식을 가진 사람들에 의한 평가도 중요하지만 또 다른 한편으로는 공연예술에 관심있는 사람들의 자발적인 봉사를 유도할 수 있다면 평가의 정당성과 다양성, 그리고 정부의 지원정책의 대 국민 홍보라는 부가적 효과까지 기대할 수 있을 것이다. 이 연구를 통해 진흥기금의 효과성에 대한 정량적, 정성적 분석을 중심으로 진행하고자 했으나 정량적 분석에는 분명한 한계가 있었다. 예를 들어 “귀하는 우리나라 지원시스템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라는 질문과 함께 측정척도 5등간(5점) 중에서 선택하게 했으나, “①매우 필요하다”와 “④아주 필요없다”에만 의견이 표시되어 “어느 정도 필요하다, 필요없다, 모르겠다”와 같은 감정이 완화된 답을 하지 않았으며, 이외의 유사한 문항의 경우에도 대부분 같은 현상을 보였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정부의 관련 지원금이 공연예술 작품의 제작비와 무관할 정도의 소액다건식 지원으로 지원정책에 대한 호감도가 높게 형성되지 못하고 있다는 것과, 이마저도 혜택을 보지 못한 공연예술 단체가 많이 있는 등 우리나라 지원시스템의 문제점에서 비롯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만 대면인터뷰를 진행하면서 현장에서 활동하고 있는 공연예술단체의 가감없는 표현을 통한 문제점 파악으로 우리나라 지원정책에 대한 정성적 분석에는 어느 정도 효과가 있었으며, 이를 이번 연구논문의 의미로 둔다. 향후 진흥기금 지원주체는 기금 집행의 권리를 정당하게 행사하되, 역량있는 예술단체 선발에 따른 의무, 그리고 지원이 이루어진 단체의 관리와 감독을 통해 정책의 지향점이 달성될 수 있도록 관리할 수 있는 책임감의 수반이 필요하다. 공연예술 단체 역시 국민의 세금으로 지원되는 진흥기금으로 작품을 생산할 수 있는 당연한 권리를 행사하되, 좋은 작품을 생산하여야 하는 의무감, 그리고 이를 통해 우리나라 공연예술의 발전을 이루어야 한다는 책임감이 필요하다. 지원시스템의 개선 필요성은 이미 예술현장에서는 보편화되어 있었으나 정부 혹은 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이러한 문제점에 대한 인식은 크지 않았다. 따라서 보다 효율적이고 바람직한 지원정책과 평가시스템 개발을 통해 공연예술 단체의 발전과 삶의 질이 향상될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욕구는 사회가 다양화 될수록 더욱 증대할 것이다. Today in Korea, the interest in cultural capacity is increasing as the entire ability to formulate a valuable ground on which the problems facing domestic society on the way to the national progress could be solved. This change means the recognition of situation has been progressed that the cultural policy should have an essential and key function as a general strategy of national development, getting out of the existing secondary and subjective position. Therefore, recently the interest in culture administration or arts administration is increasing with the necessity to establish the direction and object of culture policy and to develop it to be able to realize it professionally and systematically.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structure of the system to support and promote domestic arts, and its effectiveness. This research started from the hypothesis, concerning the domestic support system, that "both the subject of fund operation and performing body just maintain their right, but there is no responsibility over the result". The subject of operation should give an objective assessment to the works it supports if the public fund is rightly used, how the level is, and if it is made suitable for its content. The artistic body, the beneficiary, should arrange and open, concerning the works it produces, the result and the response of appreciators and their problems. This procedure, however, is cancelled, resulting only in making no basic effect of the public fund that seeks the public interest. In case of domestic support system, the same pattern has been repeated for the last 10 years in most processes like performing organizations' application for support, selection of work and evaluation. It is the background of this research to check up ite effect. Before main research, analyzed was the evaluation resources of the support policy out of the resources published by The Ministry of Culture, Sports and Tourism. It was because all the subsidiary projects conducted directly by the government were made out by policy-level decision, because it was acknowledged as a valuable project out of cultural policy or events through each local government, also because a post-administrative method should be known over annually held culture-related section or the object of intensive investment. To measure the effectiveness of the theme of this research, 'the effectiveness of the promotion fund by Korean arts promotion policy' based on this, the recognition of policy by performing arts consumers, those who enjoy it, and the degree of recognition by performing arts body to the promotion fund support system were investigated respectively. The analysi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analysis showed the necessity of detailed and correct post-evaluation of the works that were supported with promotion fund. Detailed evaluation works as an important criteria that determines the value of organizations in the future support project and helps the inspector determine a fairer support, as well as reinforces performing organizations' responsibility for using the promotion fund. As for most of the performance evaluation used recently, its criteria is matched with central system and size. So if it is applied to a small city or to a small-scale performing organization, it will be unnatural to extract correct data for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Therefore, it should be preceded to develop a processed tool to be used for evaluating the qualitative level and external environment regardless of place and size. It would be the basis on which it enables to turn the current distribution-type support into an intensive support according to the level of work. Accordingly, domestic development of performing arts might be induced. Second, analysis showed the necessity to cultivate a monitoring group to evaluate performing arts. Currently the evaluation is in charge of professional groups such as research institutes including the Korea Culture & Tourism Institute and civil survey institutes. However, a prejudice might be intervened. For example, a higher grade could be given to a practical issue like audience ratio rather than to the accomplishment of works' emotional part in evaluation of individual performing arts works. Therefore it will advance the domestic environment of performing arts when upbringing the monitoring group that enables a direct evaluation such as the identification with the content written in application, the level of work, the appropriateness of budget use, the response of audience and the effect of performance according to support. In case of advanced countries, all the procedures from the selection of work for support to the evaluation of performance are conducted by volunteers who have a universal knowledge of arts and a general concept of the validity of support. The evaluation by professional people is of course important. However, if it is possible to draw volunteering out of those who are interested in performing arts, some side effects are expectable such as the validity and diversity of evaluation and the publicity of the government's support policy to people. The research tried to conduct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analysis of the effectiveness of promotion fund, but there was limitation with the quantitative analysis. For example, when subjects were allowed to make a choice out of 5 intervals(points) measuring scale together with the question "Do you think the domestic support system is needed to improve?", opinions are given only to “① it is urgently needed” and “④ it is never needed” and not to the mitigated answers like "it is somewhat needed", "it is not needed" or "I don't know", and other similar questions showed the same result. It is because good will of support policy is formed not such highly as the government's related support fund is small-amount-many-cases type regardless of the production costs of performing arts works. There are lots of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that are excluded even from that benefit, showing a problem of domestic support system. However, the qualitative analysis of domestic support system was somewhat efficient and this is the significance of this thesis, as problems were grasped through the expression of performing arts organization under activity on field as it is, in proceeding the face-to-face interview. Hereafter, the subject of promotion fund support should exert the right of fund execution rightly, but need responsibility to be able to accomplish the goat of policy through the obligation to select capable arts organization and the administration and supervision of the organizations supported.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could also exert the natural right to produce works with the promotion fund supported with taxpayers' money, but need the obligation of producing good works and the responsibility to be able to make progress of domestic performing arts. The necessity of improving support system has already been common in the field of arts, but the government or local governments have not yet recognized this problem rightly. Therefore,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should be developed and their quality of life, improv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more efficient and desirable support policy and evaluation system. These desire will be more increasing as the society is diversified.

      • 온라인 예술교육 실태와 효과에 관한 연구 : 순수음악을 중심으로

        윤재석 成均館大學校 2007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잠재 관객개발을 위한 온라인 예술교육 활성화 방안을 순수음악을 중심으로 연구한 것이다. 이를 위해 먼저 국내외의 예술교육현황 및 관객개발동향을 학교 밖 공공 예술기관의 예술교육이 활발한 미국과 한국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는 공연예술 오프라인 교육사례를 미국의 경우는 링컨센터와 케네디센터, 국내의 경우는 국립극장과 예술의 전당을 웹사이트에 나타난 내용을 중심으로 각각 분석했다. 세 번째로는 공연예술 온라인 교육사례를 미국은 뉴욕 필하모닉 오케스트라와 달라스 심포니 오케스트라, 국내는 공연예술 콘텐츠 웹사이트인 예술로와 소리 나라의 경우를 역시 웹사이트 내용을 이용해 분석했다. 두 분석에서는 웹사이트의 정보구성 체계, 제공정보의 유용성 측면, 교육내용과 구성 체계, 대상별 수준과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리고 잠재 관객층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공연예술교육 필요성 인식과 온라인 예술교육 시 중요한 점이 무엇인지를 확인하였다. 이와 함께 공연예술현장에서 기획자, 연주자, 경영자를 대상으로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여 온라인 예술교육의 가능성과 예상되는 문제점 및 해결방안에 대한 보완의견을 수렴하였다. 첫째, 국내외 예술교육현황 및 관객개발 동향은 다음과 같다. 먼저 미국의 경우는 수없이 많은 사례 대신 몇몇 예술교육에 대한 의식조사 결과를 인용했다. 미국 해리스 여론조사가 2005년 실시한 의식조사결과, 미국인의 93%는 공연예술은 틀림없이 아이들에게 균형 잡힌 교육을 제공한다는데 동의했다. 또 86%는 아동의 사고방식 개선에 도움을 준다고 밝혔다. 그 결과 79%의 응답자는 공교육에서 예술교육을 강화하는 조치가 시급히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이 같은 조사결과를 반영해 미국의 대부분의 예술 단체들은 교내 프로그램, 특별학생공연, 폭 넓은 교육소재로 예술을 활용함으로써 자신들의 예술형태에 대해 미래고객인 청소년, 아동 등을 교육하는데 중점을 두고 미래 지향적이며, 창조적으로 대응하고 있다. 구체적인 프로그램, 교육방법으로는 링컨센터, 케네디센터, 뉴욕필, 달라스 심포니의 사례가 있다. 국내의 경우는 관람객 개발 차원에서 장르별로 공연예술 프로그램을 운영하는 기관은 61개로 주로 대도시와 수도권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관객개발을 위해 공연 팸플릿, 상설공연, 무료공연이 이용되고 교육성 프로그램으로는 미술 강좌, 해설식 공연, 극장 밖 찾아가는 프로그램, 교사용 프로그램, 문화특활 탐방 등이 있었다. 이상의 관객개발 실태를 보면 국내의 예술교육은 첫째, 정책적 배려의 결과가 아닌 몇몇 선도적 공연기관의 시도로 출발했고 둘째, 전국적으로 보편화되지 못하고 대도시 일부에서만 시행되고 있으며 셋째, 장기적이지 못하고 단기적이어서 궁극적으로 관객증가로 연결되지 못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둘째, 공연예술의 오프라인 교육사례를 보면 링컨센터의 경우는 특정 프로그램의 집중발굴소개와 특별이벤트의 잦은 기획 및 체계화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시에 웹사이트에 오프라인 프로그램을 상설 안내하고 멀티시스템을 활용해 레퍼토리를 지속적으로 접근가능토록 했고 패키지 상품 중점 정보 제공으로 참여를 유도하고 있는 점이 돋보였다. 케네디센터는 실시간 공연자료 제공의 시스템화와 관객과 운영자가 원활한 의사소통, 초보자와 전문가의 관람이 쉽도록 구성한 점, 정보유용성측면에서 가족관객중심의 개발접근과 정보제공, 학생, 교사, 부모 계층 간 차별적 공연 정보 제공 등 다양한 공연 프로그램을 계층별 수준에 맞게 제공하고 있는 점이 장점으로 나타났다. 이중 케네디센터의 교육사례가 좀 더 구체적으로 구성돼 있는데 학교그룹을 위한 공연안내, 가족 프로그램, 순회프로그램, 전문가(교사, 학교장, 예술가, 인턴십) 프로그램 등이 있다. 국내의 경우 국립극장을 보면 토요문화광장, 남산문화탐방, 축제, 극장견학 프로그램 등인 예술교육이 오프라인 상으로 이뤄지고 있다. 이들 예술교육을 소개하는 국립극장 홈페이지는 80년대 이래 소장된 방대한 공연 영상을 제공하고 있는 점이 돋보인다. 그러나 예술교육측면에서 과정별, 내용별, 테마별 커뮤니티와 부가 서비스 요소를 활용한 고객유지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예술의 전당은 청소년 음악회, 11시 콘서트, 예술아카데미와 같은 프로그램을 이용해 관객개발을 위한 예술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이들 예술교육을 소개하는 홈페이지는 효과적이고 체계적으로 구성돼 있으나 예술교육에 대한 내용이 홍보와 예매 중심으로 돼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 케네디센터처럼, 구체적인 예술교육의 내용 안내가 있어야 할 것이다. 셋째, 본 연구의 중심인 온라인 예술교육사례를 보면 미국의 경우 뉴욕 필하모닉은 학교, 교사, 가족, 청소년, 성인, 어린이대상 교육내용 세분화와 전체 대상 중 어린이 대상 키드존을 세분화시켜 교육내용을 구성하고, 작곡워크숍, 작곡가 코너를 통해 지휘자, 독주자 소개와 시기별 음악사, 생활주변 악기코너 운영 소개, 새로운 소식, 전자우편 소개 등이 장점으로 나타났다. 달라스 심포니는 오케스트라 공연내용에 따른 악기와 유명공연물의 성공적인 사례 중심으로 구성하고 중장기적이며 수준별 교육체계를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대상별 수준과 특징에서 1~6학년과 7~12학년으로 나눠 음악저변확대를 위한 온라인 교육을 실시하고 마스터 클래스학급에 맞는 온라인 교육을 특징적으로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내의 경우 교육 내용과 구성 체계에서 예술로는 온라인 교육 테마관을 통해 예술자료 189만 건을 DB화하여 실시간 제공하고 있다. 예술교육콘텐츠 구성운영 및 대상별 수준과 특징을 보면 어린이, 청소년, 성인을 위한 배움터를 운영하고 공연예술작품을 디지털화해 감상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며 실생활에 유용한 교육정보를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리 나라는 수준별 온라인 교육체계 확립, 음악동서양사의 균형된 구성과 전래동요, 취타와 대취, 장구, 장단, 단소 등으로 세분화시켜 대상별 수준에 따라 음악전반에 대해 교육하고 있다. 또 게시판을 통해 수준별로 질의응답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잠재 관객층인 대학생을 상대로 한 설문조사에서 응답자들은 공연예술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높이 인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극장 및 예술 공간 중심의 현장교육(평균 5.8787), 어린이 청소년 대상 눈높이 교육(평균 5.8000)이 시급하게 필요한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상에서 예술교육이 실시될 때 중요하게 생각되는 항목으로는 교육내용의 풍부성(평균 5.6007), 콘텐츠(5.5545), 접속용이성(5.4455) 의사소통(5.3841), 학습과정(5.3609)의 순으로 집계됐다. 효율적인 공연예술 교육방식으로는 오프라인 체험식 교육(77.3%)이 압도적으로 많으나 온라인 체험식 교육(8.4%)도 일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온라인 체험식 교육의 비율이 적은 것은 아직 국내에서 실시되고 있지 않아 사례가 없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이는 오프라인 교육이 이상적이기는 하나 시간적 공간적 제약으로 확대가 불가능할 때 인터넷의 장점을 이용한 온라인 예술교육이 대안임을 알게 해주는 것으로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현장의 실무자를 상대로 한 심층인터뷰에서 응답자들은 온라인 예술교육이 현장감의 감소, 중장년층 접근 가능성 제한 등 한계가 있으나 최소의 비용으로 다수에게 접근가능, 시&#8228;공간의 제약 탈피, 연령별 세분화 가능 등의 장점 때문에 가능성은 충분하다는 결론을 내렸다. 이상의 국내외 공연장과 단체의 예술교육사례를 종합해 보면 국내 공연장 예술교육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기획공연의 경우 관객개발 차원에서 다양한 축제를 개최하고 그 중에서 교육적 성격이 강조된 축제를 다수 기획하고 있으나 축제 이후 관객과 극장과의 지속적인 관계를 형성시키기 위한 방안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장기적 관점에서 관객개발의 수단이 예술교육이므로 교육적 성격이 강조된 축제이후 참여 관객을 지속적으로 극장에 유인하려는 노력이 부족한데서 기인한다. 사전 온라인 웹사이트를 통한 충분한 홍보와 축제 후 다시 웹사이트에 공연내용을 올려 볼거리와 정보를 제공하고 지속적인 연계관리가 이뤄져야 한다. 둘째, 교육 프로그램이 오프라인에서는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으나 온라인에서는 보편화되지 못하고 극히 일부에서만 시행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국의 공공 공연장 중에서 온라인 교육의도를 가진 프로그램을 소유하고 있는 곳이 사실상 없는 것을 의미하며, 그나마 있는 곳도 공연안내수준에 치우쳐 있기 때문이다. 이는 많은 교육프로그램이 구상은 되고 있으나 아직 온라인 프로그램으로까지 실행되지 못하고 있음을 뜻한다. 온라인 교육의 중요성 인식 부족, 시스템 관리 경험 부족에 기인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셋째, 공연예술교육프로그램들이 장기적이고 체계적인 정밀한 계산에 의해 제공되고 지속적으로 시행되는 것이 아니라 일회성 또는 간헐적으로 홍보를 위한 것이 많아 실효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교육적 목적이 달성되기 위해서는 수준과 관심정도에 따라 세분화시켜 교육내용을 보다 높여야 할 것으로 보인다. 넷째, 대다수 교육 프로그램들이 관객 증대와 연결되지 못하고 교육 프로그램 또한 참여하는 사람들을 관객으로 만들기 위한 다양한 관리나 노력이 발견되지 않는 점도 눈에 띈다. 이런 이유는 공연프로그램의 부족과 예산, 전문 인력 부재 등 예술적, 경영적 관리 시스템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한편 미국의 공연장 예술교육과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이 결론을 내릴 수 있다. 첫째, 미국의 케네디센터와 링컨센터의 경우 예술교육의 중심이자 대표기관으로 교육프로그램이 모든 세대, 모든 계층의 사람들을 대상으로 다양하게 구성돼 있다는 점에서 특징을 보였다. 이는 그만큼 사회적으로 협력이 가능한 풍토와 시스템이 조직적으로 짜여있고 파트너십을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으로 보인다. 이는 특히 교사, 예술가, 교육관료, 예술 행정가를 교육 파트너로 삼아 온라인에서도 예술교육 시스템을 지속적으로 개발하고 있으며 교육주체이면서도 대상자인 잠재관객들을 위한 교육과정을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미국의 경우 예술교육을 위한 공연작품을 예술가 및 예술단체와의 활발한 협력을 통해 제작하고 저렴한 가격으로 제공하는 점이 돋보였다. 특히 작품이 독창적이고 실험적이며 일반 교과과목과 연계된 내용 등으로 어린이와 청소년에게 다양한 문화와 상상력이 풍부한 온라인의 세계를 잘 보여주고 있어 교육적 활용율이 높아 참여율 또한 높은 것이 특징이라 할 수 있다. 셋째, 미국의 경우 풍부한 교육 자료의 개발과 제공, 다양한 방법의 워크숍, 공연과 교육의 연계된 활동 등 교육프로그램을 통해 실제적으로 교육 효과를 높이기 위한 다양한 방안이 시도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위해 교육을 담당하는 예술가 단체와 교사들이 사전에 충분한 준비로 교육프로그램을 진행하고 있음이 주목된다. 특히 순회공연 프로그램은 문화소외지역을 찾아가는 우리나라의 찾아가는 문화예술프로그램과 비교될 수 있는데 순회공연의 교육적인 효과를 최대한 높이기 위해 공연 전에 교사 워크숍을 개최하고 공연 전 후에 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온라인 교육 활동을 병행하고 있는 점이 돋보인다. 일회적일 수밖에 없는 공연을 온라인에서 다시 보여줌으로써 지속적인 교육효과를 최대한 성취할 수 있도록 하고 있는 것은 우리에게 많은 시사점을 준다. 또한 온라인 이용율이 높은 학생들에게 예술과 친숙해질 수 있도록 게임과 같이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해 실시하고 있는 점도 높이 평가된다. 한편 국내 공연 예술교육의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인터넷 기술의 엄청난 발전 추세에 맞춰 온라인 공연예술교육의 효율성을 높이는 일이 필요한데 이를 케네디센터와 링컨센터의 공연예술 교육프로그램 사례와 접목시켜 활성화 방안을 제안해 보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잘 발달된 국내 인터넷 기반구조와 저변을 고려할 때 온라인 예술교육을 위한 매체로서 인터넷의 다양한 활용이 요구된다. 즉, 공연작품의 재구성을 통해 작품의 예술교육차원에서 미리 보기와 다시 보기를 할 수 있고 궁극적으로 재판매까지 이뤄질 수 있으나 아직까지 국내외 공연단체는 실행 전이다. 이미 방송 웹사이트는 미리 보기, 다시 보기, 소품벼룩시장으로 경제활동이 활발하다. 그러나 아직까지 대다수의 공연단체에서의 상품 재판매는 물론, 다양한 미디어의 활용이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예를 들어 공연관련 정보 제공도 현재는 단순 텍스트위주로 전개되고 있는데 이보다는 공연 연주자, 이전공연 자료, 공연관람자의 의견 인터뷰 등이 이루어질 경우 효과는 더욱 극대화 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공연 다시 보기, 미리 보기는 상품재판매 뿐만 아니라 해당 웹사이트의 결정적인 콘텐츠 요소로서 역할을 할 것이므로 시급한 도입이 요구된다. 둘째, 예술교육을 희망하는 방문자 또는 관객중심으로 온라인 웹사이트의 시스템 구조 전환이 요구된다. 방문자 특히, 목표 소비자의 용이한 파악과 이를 데이터베이스로 해 개별 마케팅을 실시할 수 있는 인터넷매체의 특성에도 불구하고 이와 같은 활동을 수행할 수 있는 콘텐츠의 구성이 되어 있지 않다. 또한 정기회원 확보를 위한 회원 유도 및 고객관계마케팅 정립 등은 아직 실용단계 이전이다. 이를 위해서는 사이트의 지속적인 방문 참여와 서로의 관심사항을 교환할 수 있는 사이트 방문자들의 커뮤니티 형성을 위한 콘텐츠 구성이 필요하다. 또한 방문자의 충성도를 높이고 정보의 고유성을 살리면서 지속적인 관계를 이룰 수 있는 효과적인 인터넷의 기술 활용이 요구된다. 셋째, 국내 공연단체의 경우 티켓구매가 일부 타 전문기관에서 대행하고 있어 정보화 사회에서 아주 중요한 고객 데이터베이스의 확보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게 돼 있다. 이들 고객 자료를 활용한 예술교육 희망자 확인과 관객개발을 위해 사용자의 지속적인 관심과 관계유지를 위한 다양한 콘텐츠의 구성이 요구된다. 넷째, 관객을 위한 공연예술 교육의 활성화를 위해 순수 예술 체험 프로그램에 대한 접근 기회 확대와 정부의 예술 교육정책 변화(전인 교육적 차원으로의 전환), 흥미를 유발할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선행돼야 한다. 예를 들어 공연장에 직접 참여하여 제작과정과 공연에 대한 사전 교육(오픈 리허설)을 받을 수 있고 유명 순수 공연예술가, 저명인사를 활용한 교육(거리감 좁히기) 및 정기적인 공연예술가 초청과 공연예술 단체 관람을 생활화해야 한다. 즉 오프라인 경로에서는 잠재고객 세분화에 의한 소그룹 교육, 강사 풀 시스템 구축, 현직 순수예술 관련 교사의 재교육, 예술가와의 만남(예술 캠프)을 실시해야 한다. 그리고 온라인 경로에서는 오프라인 연계 교육 프로그램, 공연예술가와 쌍방향 의사소통 체계, 다양한 공연물에 대한 간접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온라인 교육이 최소한의 비용으로 다수에게 접근이 가능하고 시&#8228;공간 적 제약이 없으며, 연령별 세분화가 가능한 장점을 살려 공연장 에티켓 캠페인, 작품설명과 같은 기본적 지식 제공, 에듀테인먼트 교육 프로그램을 통한 흥미 유발(게임, 퀴즈, 이벤트 등), 공적 온라인 교육시스템 구축(무료, 다양한 계층 참여 유도), 공연예술 교육 참가자들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지속적 참여 유도)가 요구된다.

      • 기업PR활동에 있어서 매체 유형이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공연 예술스폰서십 중심으로

        김기준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기업PR활동에 있어서 매체 유형(전파매체, 인쇄매체, 뉴미디어)에 따라 기업 이미지(기업행동이미지, 사회적 행동이미지, 사회공헌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이를 토대로 하여 앞으로 효과적인 기업PR활동의 나아가 발전 방향에 대해 제시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이론적 배경에서는 문헌 연구와 선행 연구를 토대로 공연예술스폰서십, 기업 이미지, 매체 등을 연구했다.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공연예술스폰서십을 기본 전제로 놓고 매체를 독립변수, 기업 이미지를 종속변수로 하여 연구 모형과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연구자는 실증 조사로서 서울(홍대, 대학로)지역에서 공연예술스폰서십에 대한 인지를 사전 질의를 통해 인지를 확인 후 인지하고 있는 남⋅여 총 200명에게 설문 조사를 한 결과 무성의 응답자 13명을 제외한 187명의 설문 조사하였다. 그 결과 몇 가지 특징적인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공연예술스폰서를 하는 기업에 대한 기업 이미지를 기술 통계(산술평균)로 분석한 결과, 사회공헌이미지, 기업행동이미지, 사회행동이미지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공연예술스폰서십은 기업 이미지 중 사회공헌이미지 향상에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뉴미디어는 기업 이미지(기업행동이미지, 사회공헌이미지)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에 기업 이미지 3가지 요인 중 사회적행동이미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PR매체유형과 기업 이미지 간의 일원분산분석 결과 PR매체는 기업행동이미지와 사회공헌이미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난 반면에 사회적행동이미지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각 매체별 공연예술스폰서 기업정보 정도를 평균 비교 분석한 결과 표본 집단은 전파매체와 뉴미디어가 평균 이상인 것으로 분석 되었으며 전파매체에서는 지상파TV가, 뉴미디어에서는 인터넷이 평균보다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표본 집단은 지상파TV와 인터넷을 통해 공연예술스폰서 기업에 관한 정보를 많이 얻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실증 결과를 바탕으로 연구자는 기업PR활동에 있어 공연예술스폰서십을 선택하였을 때 다음과 같은 전략을 제시하고자 한다. 매체의 유형에 따라 기업 이미지에 다르게 영향을 미치므로 기업PR활동을 함에 있어 가장 우선적으로 기업의 어떠한 이미지를 대상자에게 제고 시킬지를 정확하게 분석하여야 할 것이다. 이 후 기업 이미지 제고에 맞는 매체를 선정해야만 리스크가 적고 효과적인 PR활동을 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연구에서는 공연예술스폰서십 활동 전⋅후의 기업 이미지 차이에 관한 비교연구를 통해 공연예술스폰서십이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구체적인 연구나 공연예술스폰서십 주체(정부, 공공기관, 기업)에 따른 공연예술스폰서십의 효과 연구를 통해서 문화로서 공연예술의 발전을 이룰 수 있는 다양하고 포괄적인 연구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 무용극의 활성화 방안

        김자연 상명대학교 예술디자인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8703

        Vitalization of Korean Dance Plays through Narrative Storytelling Present-day economic developments have provided more spare time and greater convenience to the masses, who are engaging in a variety of cultural experiences in order to enhance their quality of life. Such phenomena have heightened peoples’ cultural and artistic disposition and have acted as a stimulant for growth in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The growth of the performing arts industry has led to greater necessity of new content development. As such, the performing arts market has introduced “storytelling,” where the narrative structures of literature act as the foundation on which works are formed. Storytelling is used in various fields and has become popularized and widely consumed. With the addition of technical attributes, storytelling is becoming more broadly utilized in the culture content industry, allowing it to develop further. Dance plays built on storytelling are also being performed across various genres. However, because dance plays deliver the plot through movements of the body, there are often parts difficult for the audience to understand. Dance performances that were too hard to grasp acted as factors that hindered popularization, and revealed a limitation that explained their underdevelopment in the performing arts market. As a method to address the above issues, narrative storytelling is expressed through various methods (videos on stage, subtitles, narration, acting, songs, etc.) in performance works. Further development and vitalization of dance plays in Korea are expected, through the addition of a narrative to storytelling elements to improve audiences’ understanding and the presentation of performances as new works created by a variety of methods. Thus, the conclusions reached regarding the vitalization of dance plays in Korea through the analysis of “Taekwonmumu Dalha” using narrative storytelling are as follows: First, direction for new cultural content should be provided by further studying assorted movements (which is an advantage of dance plays), the integration of different techniques and the storytelling of the works. Second, works of performing arts that combine commercial success factors and popular appeal must be created, by diversifying storytelling methods. Third, popular appeal should be secured, by utilizing the narrative method in multiple ways for easier understanding. Fourth, education in line with current cultural and performing arts trends should be carried out for dance plays in Korea to develop into diverse forms. Finally, by combining the above study results in the effort to vitalize dance plays in Korea, the limitations in dance plays can be overcome and their vitalization can be made possible.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was the planner and producer of “Clown Part 2: Are You Happy?,” which was created based on the above vitalization suggestions. The work, whose theme was “are modern-day people, whose inner-self is hidden behind a mask of deceit in this society, actually happy?,” implemented a narrative storytelling technique in which an acting narrator is featured, who facilitated the audience’s understanding. The performance of “Clown Part 2: Are You Happy?,” which was based on the vitalization suggestions presented in this study, provided a glimpse into the potential of dance plays in Korea, with narrative storytelling, as cultural content. 러티브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한국 무용극의 활성화 방안 현대 경제발전은 여가시간의 증대와 생활의 편의를 제공하였고, 사람들은 삶의 질적 향상을 위해 다양한 문화적 경험을 접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사람들의 문화․예술적 성향을 증가시켰으며, 이는 공연예술 산업의 성장 요인으로 작용하였다. 공연예술 산업의 성장은 새로운 콘텐츠 개발의 필요성을 증가시켰다. 그로인해 공연예술 시장은 문학의 서사 구조를 기반으로 작품을 구성하는 스토리텔링을 도입하였다. 스토리텔링은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며 대중화․소비화 되었고, 기교적 속성이 더해져 문화콘텐츠 산업에서 다양하게 활용되어 더욱 발전하고 있다. 무용극 역시 스토리텔링을 기반으로 다양한 장르에서 공연되고 있다. 하지만 무용극은 몸의 움직임을 통해 극의 줄거리를 전달하기 때문에 관객들이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들이 많다. 이해하기 어려운 무용공연은 대중화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였고, 공연예술 시장에서 발전하지 못하는 한계점을 나타냈다.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은 이러한 부분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 공연작품에 다양한 방식(무대영상, 자막, 내레이션과 연기, 노래 등)으로 표현되고 있다. 스토리텔링 요소에 내러티브를 더하여 관객들의 이해도를 높이고, 다양한 방법을 통한 새로운 작품으로서 공연을 선사한다면 한국 무용극의 발전과 활성화가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 분석한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을 이용한 ‘태권무무 달하’를 통한 한국 무용극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무용극의 장점인 다채로운 움직임과 다양한 기술의 접목, 작품의 스토리텔링을 더욱 연구하여 새로운 문화콘텐츠의 방향성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둘째, 스토리텔링의 기법을 다양화하여 공연예술작품으로 흥행성과 대중성을 겸비한 작품을 창작해야 할 것이다. 셋째, 내러티브 기법을 다각적으로 활용하여 이해하기 쉽도록 대중성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넷째, 한국 무용극이 공연예술에서 다양한 형태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시대의 문화적 흐름과 공연예술의 흐름을 잘 파악하여 그에 따른 교육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위의 연구를 종합하여 무용극 활성화 방안에 힘쓴다면 한국 무용극의 한계를 극복하고 공연예술로서 활성화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자는 위의 활성화 방안을 토대로 무용극‘광대 part.2 당신은 지금행복한가요?’를 기획․제작 하였다. 사회 속에서 가식의 가면을 쓴 채 내면을 숨기고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모습이 과연 행복한 것인가? 라는 주제로 만들어진 이 작품은 연기를 하는 해설자를 출연시키는 내러티브 스토리텔링 기법을 도입하여 관객들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한국 무용극의 활성화 방안을 토대로 제작하여 공연되어진 ‘광대 part.2 당신은 지금 행복한가요?’를 통해 내러티브 스토리텔링을 접목한 한국 무용극의 문화콘텐츠로서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