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조경공사업의 시공능력과 시공실적의 상관분석

        안기선 대구한의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건설업의 영역 중 조경업을 영위하는데 도움을 주고자 조경공사의 입찰과정과 시공실적에 대한 조사·분석을 통하여 입찰과정에 있어서조경의 특수성을 반영하고, 조경업의 시공능력 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실시되었다. 본 연구를 위한 자료의 수집은 건설공사에 관련된 국내외 문헌과 행정기관의 자료와 법률도서를 참고하였고, 2003~2013년 건설업체수를 기반으로 업종별 변화과정을 살펴보았고, 시공능력과 시공실적과의 상관분석을 위해서는 2010~ 2011년 공사실적 현황과 2013년 현재 조달청 유자격자 명부에 따른 등급별 업체 중심으로 조경공사업을 등록한 업체 중 1등급에서 7등급까지 그리고 등급외 업체를 각각 무작위로 15업체씩 120개 업체를 선출하였다. 분석 자료의 수집은 건설협회에 등록된 업체 중 자료정보에 동의한 업체들의 재무제표 및 시공능력 등을 비드마스터라는 프로그램을 통하여 정리하였다. 분석항목은 토건시공능력액, 조경시공능력액, 조경3년간실적,유동자산, 유동부채 등을 활용하였다. 분석에 있어서는 실증적 분석 및 기술적진단을 병행하였다. 실증적 분석을 위해서는 사례연구 방법을 사용하였고, 기술적 진단을 위해서는 이론적 준거위에서 사례의 분석결과를 비판적으로 조명함으로써 대처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2003년 전국의 건설업등록수는 총 14,728개이고 건축43.3%, 토목31.7%, 토건 19.0, 조경 4.3%, 산업설비 1.7%를 차지하였다. 10년 후인 2013년 전국의 건설업등록수는 13,151개로 약 10.7% 감소하였고, 건축36.9%, 토목 21.4%, 토건 27.4, 조경 11.4%, 산업설비 2.9%로 나타나, 토목이 10.4% 감소, 건축이 6.4% 감소한 반면, 토건이 8.4% 증가, 조경이 7.1%증가, 산업설비가 1.2% 증가를 보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의 수도권에 집중하는 경향을 보였고, 10년 후에도 큰 변화는 없었다. 2. 10년간 전반적인 건설업체수와 건설업등록수는 감소하였지만 조경공사업은 업체수와 등록업체수가 급증하는 양상을 보였고, 이는 조경공사업의 필요성과 수요가 늘어나고 있음을 증명하는 부분이라 할 수 있겠다. 또한 이제까지 우리나라 건설업은 토목과 건축 분야의 입찰과 낙찰중심의 제도가 되어 있어, 조경분야의 자료가 입찰과 낙찰기준에 추가되어야 하고, 그러기 위한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다. 3. 조경공사의 특성은 환경적 요인이 다양하여 공사의 계절적 제한이 있고, 간단한 건축 토목 분야가 포함되기도 하고 사용되는 자재는 유일하게 생명체를 다루는 분야이면서 자재의 수급이 불균형한 특성을 가지고 있다. 또한, 공사의 영역과 규모의 규모가 다양하고, 건축 토목공사전후에 이루어짐으로서 공사기간이 길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4. 11년 토목공사 시공액은 40조 9,812억 원으로 금액으로는 전년대비 6.4%감소하였고 공사수도 전년대비 7.7% 감소한 33,444건으로 집계되어, 1건 공사당 평균시공액은 지난해보다 0.1억원 증가한 12.2억원으로 나타났다. 11년 건축공사 시공실적은 79조 7,537억원으로 전년대비 1.9% 증가했으나, 공사 건수도 6.8% 증가함에 따라, 1건 건축공사의 평균기성액은 14.9억원으로 지난해보다 0.7억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산업설비 시공실적은 전년대비0.1% 증가한 9조 5,950억원을 기록하였다. 공종별로는 하·폐수 종말처리장,쓰레기 소각시설, 발전소, 석유화학시설 공사가 증가하였고, 에너지 저장시설과 기타 플랜트관련 공사는 부진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조경공사는 2조 6,686억원으로 집계되어 전년대비 14% 감소하는 부진을 보였다. 5. 등급별 시공능력과 조경공사의 실적을 비교해보면 1등급은 시공실적이 가장 낮고 4등급 까지 꾸준히 증가하가다가 5등급부터는 다시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시공실적이 시공능력에 중간등급인 4등급에서 가장 큰 영향을 미치고 최고등급과 등급외에서는 큰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고할 수 있다 6. 토건시공능력에서 조경시공능력의 비율이 25%에 미치지 못하였지만 등급이 내려갈수록 토건시공능력과 조경시공능력의 비율이 비슷해져가는 양상을 보였다. 다만, 1등급의 경우 토건시공능력과 조경시공능력의 비율이 크게 다르게 나타났는데, 이는 1등급업체에서 조경공사가 차지하는 비율이 다른 낮은 등급의 업체보다 작기 때문으로 해석 할 수 있다. 7. 조경시공능력대비 유동자산의 비율은 1등급 업체가 다른 낮은 등급의업체보다 월등히 높았다. 유동자산의 비율이 높을수록 외부 영향에 잘 대응할 수 있다고 할 수 있다. 8. 등급이 높을수록 유동부채 비율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는 등급이 낮을수록 회사경영에 있어서 부채비율을 높이지 않으려고 한다고 해석할수 있다. 이는 건설경기의 침체가 장기간 예상되는 가운데 1등급 업체를 제외하고는 위험부담을 낮추려고 한다는 결론을 도출해 낼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help management oflandscaping business among construction industry; to reflect characteristics of landscaping on bidding procedures through investigation·analysis of bidding procedures and performance records of landscaping work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improvement of construction ability of landscaping business. Reference was made to data and legal documents of administrative agencies related to construction works for collection of data for this study; investigation was made on process of change as per business type on the basis of the number of construction companies during 2003~2013; with respect to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construction ability and performance records, 120 companies were randomly selected consisting of 15 companies each from the 1st grade to the 7th grade and non-rated companies according to status of performance records during 2010~2011 and to qualified contractors on register of the Public Procurement Service as of 2013. Such collected data were arranged through the Bid Master program as financial statements and performance ability of contractors which were registered on Construction Association of Korea and agreed to provide data·information. Analysis items were civil/building works construction ability amount, landscaping works construction ability amount, performance records for last 3 years, current assets, and current iabilities. As for analysis, empirical analysis and technical diagnosis were both used. For empirical analysis, case study methodology was used and for technical diagnosis, a countermeasure was suggested through critical lighting of case study analysis based on theoretical standard.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The number of registered construction companies in 2003 throughout the country was 14,728 with 43.3% for architectural, 31.7% for civil, 19.0% for civil/building, 4.3% for landscaping, and 1.7% for industrial facilities contractors. 10 years later, the number of registered contractors in 2013 was 13,151, which showed decrease in about 10.7%, with 36.9% for architectural, 21.4% for civil, 27.4% for civil/building, 11.4% for landscaping, and 2.9% for industrial facilities contractors. This means 10.4% decrease in civil, 6.4% decrease in architectural contractors while 8.4% increase in civil/building, 7.1% increase in landscaping, and 1.2% increase in industrial facilities contractors. According to area, they displayed a tendency to concentrate on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and Gyeonggi-do and there was no change in the tendency after 10 years. 2. Even though the number of overall construction companies and of construction business decreased during last 10 years, the number of landscaping companies and of landscaping business rapidly increased, which proves necessity and demand of landscaping have increased. In addition, construction business in our country has been focused on bidding and award system of civil and architectural works and therefore, data of landscaping field have to be included in bidding and award criteria and a study on this matter has to be carried out. 3. Landscaping works have characteristics owing to many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seasonal limitation of performance of works; they sometimes include simple civil or architectural works; and, only they deal with living things as construction materials and have features of unbalanced demand and supply of materials. Also, landscaping works have various fields and large scale as well as long construction period because they are implemented before/after civil and architectural works. 4. Performance records amount of civil works in 2011 was 40 trillion 981.2 billion won with decrease by 6.4% comparing to previous year and the number of civil construction works was 33,444 with decrease by 7.7%, which means average performance amount per one construction work was 1.22 billion won with increase of 10 million won comparing to previous year. Performance records amount of architectural works in 2011 was 79 trillion 753.7 billion won with increase by 1.9% comparing to previous year and the number of works also increased by 6.8% showing average performance amount per one construction work to be 1.49 billion won with decrease of 70 million won comparing to previous year. Performance records amount of industrial facilities works marked 9 trillion 595 billion won with increase by 0.1% comparing to previous year. As for work item, construction works for sewage treatment plant, refuse incineration plant, power plant, petrochemical facilities increased while construction works for energy storage facilities and others plants were inactive. Landscaping works showed 2 trillion 668.6 billion won with 14% decrease comparing to previous year. 5. If we compare construction ability per grade and performance records of landscaping works, the 1st grade revealed the lowest records; steady increase was shown up to the 4th grade; and, decrease was seen from the 5th grade. This means that construction ability had the greatest influence over the middle grade, i.e. the 4th grade while it did not give large influence to the highest grade and non-rated one. 6. Construction ability of landscaping works in civil/building construction ability did not reach 25% but ratio of civil/building construction ability and that of landscaping construction ability became similar as the grade went down. However, as for the 1st grade, ratio of civil/building construction ability and that of landscaping construction ability were quite different, which can be interpreted that ratio of landscaping works in the 1st grade was smaller than that of the lower grade. 7. Ratio of current assets to construction ability of landscaping works in the 1st grade companies was greatly higher than other companies with lower grades. It can be said that they dealt with exterior influence well as the ratio of current assets is higher. 8. Ratio of cur

      • 대형공사장 임시소방시설 실효성 확보 방안에 관한 실험적 연구

        조용구 경기대학교 공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최근 건축 시공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건축사업장의 규모도 점점 대형· 복합화 되고 있고 건물 완공에 임박해서는 인테리어 작업 등 가용 자원을 집중적으로 투입하게 된다. 최근 발생한 『‘19년 3월 용인 성복동 주상복합몰 공사장 화재』와『’20년 4월 이천 물류창고 공사장 화재』는 건축물 내부공사 중 용접 용단작업 과정에서 화재가 발생하였는데 용인 성복동 공사장 화재사고와 달리 이천 물류창고 공사장 화재사고는 다수의 사상자가 발생하였고 이를 지켜보면서 소방분야 임시소방시설의 성능개선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다. 현재 화재예방 소방시설 설치·유지 및 안전관리에 관한 법률과 국가화재안전기준은 소방공사의 규모와 종류에 따라 설치해야할 임시소방시설을 규정하고 있고 사업장별로 좁게는 소화기부터 넓게는 임시 옥내소화전까지 설치하여 공사 중 화재발생에 대비하고 있다. 만약 건축 공사 중 부주의로 화재가 발생할 경우 비상전원이 부설된 간이소화장치를 활용하거나 대형 공사장의 경우 내부 공사 시작 전에 임시 옥내소화전설비를 설치하고 연결송수관 송수구를 부설하면 화재 발생 시 현장 근로자가 초기에 사용할 수 있고 후에 도착하는 소방대의 소방차량에서 급수할 수 있어 화재 층에 진입하는 소방대원의 보호와 최악의 조건에서도 사용할 수 있어 인명피해 및 재산 피해를 경감할 수 있다. 이러한 전제하에 간이소화장치의 비상전원 법제화와 옥내소화전 송수구 부설 법제화 방안을 제시하였고 완공전 건물을 대상으로 최적의 토출압 조건을 제시하고 연결송수관 송수구에 소방차량 펌프로 가압송수하여 옥상층 방수구의 정압 및 토출압을 측정하는 성능확인 시험을 진행하였고 원하는 측정치를 확보하여 설비의 신뢰성을 확인하였다. 위와 같이 관련 법령 제도의 보완 방향에 대한 의견을 제시하며 건축공사 현장에 적용되어 소방분야에 근무하는 엔지니어로서 작은 역할을 하고자 한다. With the recent development in construction techniques, size of the construction sites are becoming larger and more complicated, and most of the available resources are concentrated for remaining jobs including interior work as the construction nears completion. The recent incidents of『March ‘19 Yongin Seongbuk-dong mixed-use building complex construction site fire』and 『April ’20 Icheon warehouse construction site fire』were both caused during the internal construction involving welding and melding works. However, seeing that incident in Icheon resulted in multiple casualties unlike that happened in construction site in Yongin Seongbuk-dong, it was deemed necessary to make improvement on temporary fire protection system. Laws on installment·maintenance and safety management of fire prevention facility and national fire safety standards regulates required temporary fire protection facility depending on the size and type of fire prevention construction which ranges from the installment of fire extinguisher to temporary fire hydrant system in order to prepare for portention incidents of fire that could occur during the construction process. If a fire results from negligence during construction process temporary fire extinguishing system with an emergency power attached can be used. In case of larger construction site, installation of temporary fire extinguishing facility along with fire department standpipe prior to the initiation of construction would allow the construction workers to use them in the earlier stage of fire and water can be supplied from the fire truck as soon as they arrive which would improve the safety of fire fighters waling into fire and minimize potential casualties as well as property damage by Under such premises, the study proposed the legalization of the installation of emergency power on temporary fire extinguishing system as well as the attachment of fire department standpipe on in-building fire hydrant. The study also proposed optimal conditions for applying flow pressure in buildings in progress of construction and conducted a test to measure static and flow pressure at the outlet located on the top floor by pumping the water through fire department connection from fire truck. The study successfully confirmed the reliability of the device by acquiring desired measurement value. By proposing suggestions on directions for improving related laws the writer of this study aims make contribution to construction sites as an engineer working in fire prevention field.

      • 사례기반추론(CBR) 기법을 적용한 공기연장 추가 간접비 산정 모델 : 국내 철도시설공사를 중심으로

        김기앵 서울시립대학교 국제도시과학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건설공사는 장기간에 걸쳐 이행되므로 입찰 또는 계약체결 당시에는 예측할 수 없었던 사유로 인하여 공사기간이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공사기간의 연장으로 계약금액을 조정하여야 할 필요가 있는 경우에는 그 변경된 내용에 따라 계약금액을 조정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발주기관은 공사기간 연장으로 인한 추가 간접비에 대한 예산 확보의 어려움과 지급 사례 부족 등의 이유로 해당 간접비를 인정하지 않고 있고, 국가 및 지방계약법령 상 공사기간 연장으로 인한 추가 간접비를 산출하는 신뢰할 만한 일관된 기준의 부재로 계약당사자 간 분쟁이 증가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연구는 계약당사자 간 소모적인 분쟁을 방지하고, 공사기간 연장으로 인한 추가 간접비 지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합리적인 간접비 산정모델을 도출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현행 국가 및 지방계약법령상 공사기간 연장으로 인한 추가 간접비 산정 기준과 최근 판례를 분석하여 기존 산정 방식의 문제점을 고찰하고, 사례기반추론(Case Based Reasoning) 기법을 활용하여 도출한 `일 평균 추가 간접비` 기반의 `공기연장 추가 간접비 산정모델`을 해결 방안으로 제시하였다. 특히 사례기반추론 기법 적용 시, 분석 대상을 공사기간 연장으로 인한 추가 간접비 소송 판결문에서 인정한 간접비를 기초로 하였다. 소송 판결문에서 인정한 간접비는 1차적으로 법원 감정인의 감정절차를 통해 객관성이 인정된 금액이고, 최종적으로 재판부의 법리적인 판단 하에 신뢰성이 확보된 금액이기 때문이다. 또한 `일 평균 추가 간접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공사규모(총 계약금액), 계약상대자 및 발주처의 유형, 입찰 및 계약방법, 공사가 연장된 기간, 설계변경 규모(계약금액 증액 분), 공사 지역으로 선정하고, 분류기준을 세분화하여 현장의 다양한 특성을 반영할 수 있는 산정모델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각 영향요인별 가중치는 선행연구에서 일반적으로 활용하는 설문조사나 회귀분석이 아닌 Weka(Data Mining Software in Java)에서 제공하는 Attribute Evaluator를 통해 도출된 계수로 설정하여 산정모델의 객관성을 높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사례기반추론 기법 적용모델을 활용한 공기연장 간접비 산정방식과 선행연구에서 제시된 손실보상율 방식 및 완성공사 원가통계 기반 요율 방식을 활용한 산정방식을 비교하여 산정모델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다만 공사기간 연장으로 인한 추가 간접비 소송이 최근에서야 많이 제기되고 있고, 소송 기간도 수년이 소요되는 특성상 본 연구에서는 17개의 철도시설공사 현장으로 한정된 판례를 분석하여 결과를 도출하였기 때문에 본 연구의 결과를 모든 현장에 적용하기에는 한계가 있다. 그러나 향후 철도시설공사는 물론 다른 상품(도로, 수자원시설, 산업단지 등)에 대한 사례를 수집·분석하여 공공 Database를 구축한다면 본 연구에서 제시된 산정모델의 Process를 적용하여 범용성을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As construction work is carried out over a long period of time, the construction period may be extended for reasons that were not predictable at the time of bid or contract settlement, and if it is necessary to adjust the contract amount with an extens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the contract amount should be adjusted according to the change. However, most ordering organizations do not approve such costs due to the difficulties in budgeting and a lack of cases of payment due to extended construction periods, and disputes between contract parties have been growing with the absence of reliable and consistent standards to calculate additional overhead from extension of construction periods under national and local contract law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 reasonable overhead calculation model that will avoid exhausting disputes between the Parties and facilitate payment of additional overhead due to extended construction periods. For this, the current national and local contract law analyzes the criteria for calculating additional overhead resulting from the extens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and recent judicial precedents to examine problems with the existing calculation method, and thus, A " model for calculating the extra overhead " based on the " average daily additional overhead " derived using the case-based reasoning is proposed as a solution. In particular, when the case-based reasoning method is applied, the analysis subjects were based on the overhead recognized in the judgment of an additional overhead suit due to an extension of the construction period. The reason why the overhead recognized in the judgment of a suit is primarily an amount credited for objectivity through the court's assessment process, and finally, a reliable amount based on the legal judgment of the judge. It also reflected the size of the construction (total contract amount), the type of contract holder and owners, bidding and contract method, and the amount of extension of construction work (contract size), and the amount of change in design and proposed the classification criteria were subdivided into different models to represent the different characteristics of the site. Additionally, weights for each influencing factor were not derived from surveys or regression analyses commonly used in previous studies, but from a modulus factor through the Attribute Evaluator by the Data Mining Software in Java (Weka) so have enhanced the objectivity of the calculation model in this study. Finally, for the feasibility assessment of this study which is the construction period extension overhead calculation model applied case based reasoning method this study carried out through the comparing the loss coverage method presented in the prior study and estimating method based on the construction cost statistics. However, additional overhead claims due to the extension of construction period have been raised only recently, due to the nature of the litigation period,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found to be limited to 17 railroad construction sites and were analyzed to obtain results, thu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imited to all project sites. Nevertheless, if the public databases will be made from sample of other products (roads, water resources facilities, industrial parks, etc.), as well as future railway installation is collected and analyzed, It would be possible to extend the general utility of the calculation model that can be presented in this study.

      • 건설공사 손실 제어 결정을 위한 확률적 위험성평가모형 개발

        김재혁 서울산업대학교 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일반적인 건설공사에 있어서 사고발생 빈도 및 심도에 대한 위험성평가 모델링을 적용한 체계적인 퍼지위험도 평가방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 제시한 평가법은 전문가의 경험과 주관적인 판단을 이용해서 건설공사 관련 위험사건들의 확률을 결정함으로써 건설공사의 위험도분석을 보다 실제적이고 객관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현재까지의 건설공사 위험도 평가 연구가 건설프로젝트의 범위가 다양하고, 건설공사 지리적 위치 및 공사목적물의 특성 등에 따라 그 위험도가 적용에 어려움이 있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보다 객관적으로 건설공사 위험도를 평가하고 Risk Control 할 수 있는 평가 방법을 제시하였다. 국내 건설공사 프로젝트는 사고 발생 빈도 및 심도 등 위험도 분석을 위한 객관적인 자료가 부족하였다. 이로 인해 건설공사 위험도 평가는 불가피하게 전문가의 경험 및 주관적인 자료에 의존하여 정성적으로 평가되었으나, 본 연구를 통해 국내의 건설공사의 위험도를 정량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위험성평가 모델링 절차는 정량적인 위험도 분석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위험 관리를 위해서도 매우 유용하게 쓰일 수 있다. In this thesis, an attempt is made to apply the concept of risk assessment analysis for loss control of general construction project. The risk assessment is adopted risk evaluation modeling including loss frequency and consequence of construction risk. The risk evaluation method is capable to adopt more practically and objectively for risk analysis of construction using specialist’s experience, and decision of probability of loss event. So far, risk assessment of construction is difficult for geographical position and characteristics of construct matter but this study is supposed more objectively method of risk assessment and risk control. The risk assessment for construction project is used qualitative method dependence on specialist’s experience and subjective data because domestic data for construction risk is objectively poor. This analysis model of risk assessment is an appropriate method using quantitative analysis model for various construction works.

      • 소방 일반공사감리제도 현실화 방안에 관한 연구

        허진 경기대학교 건설·산업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7807

        소방공사 감리제도는 건축물 규모에 따라서 책임감리원이 상주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상주감리와 책임감리원이 상주하지 않고 주 1회 방문하여 업무를 수행하는 일반감리로 구분된다. 그러나 일반감리 대상의 기준이 되는 연면적 30,000㎡의 건축물 또는 500세대의 아파트 5개를 일반감리원 혼자서 주 1회 방문하여 상주감리현장과 동일한 감리업무를 수행한다는 것은 거의 불가능에 가깝다. 더구나 중·소규모 건축물의 경우 시공업체의 규모가 작기 때문에 현장의 품질관리가 상대적으로 열악하다고 볼 수 있으므로 공사감리의 중요성이 더욱더 요구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방감리제도 중에서 일반감리제도를 중심으로 현재 운영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여 현실에 맞는 최적화된 개선방안을 도출하여 중·소규모 건축물 안전의 근간이 되는 소방공사의 일반감리제도가 확실히 정착하는데 기여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일반감리제도의 인식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유관단체인 발주자, 소방공무원, 소방감리업체 종사자 및 시공·설계업체 종사자 등 160명을 대상으로 소방공사 일반감리 대상, 일반감리원 배치기준, 일반감리원의 수행업무 및 감리대가·감리계약 등 4개 항목 38문항의 설문조사를 통하여 문제점에 대한 분석과 검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일반감리 대상 축소, 일반감리원 1인이 수행 가능한 현장개수 및 연면적 합계 축소, 일반감리원 조기 배치, 일반감리원 등급 상향조정, 상주감리원과 일반감리원의 업무범위 차별화, 타 분야와 간섭되는 업무범위 명확화, 소규모 민간건축물은 허가권자에 의한 감리자지정 및 현실에 맞는 대가로 감리계약 등의 개선안을 제시하였다. 아울러 앞으로 소방 일반감리제도의 품질향상과 발전을 위해서는 지속적인 개선방안이 요구되며 세부적인 소방감리업무에 대해서는 좀 더 깊은 연구와 조사를 통해 실행 가능한 세부기준 마련이 시급하다. Fire protection construction supervision system is divided into a resident supervision system in which a responsible resident supervisor carries out supervision duty depending on the size of a structure and a non-resident supervision system in which a responsible non-resident supervisor visits construction sites once a week and carries out supervision duty. But for a single non-resident supervisor to visit a structure with a total ground area of 30,000㎡ or 5 apartment complexes of 500 apartment units the target structure or a site of a non-resident supervision once a week and carries out an identical supervision duty as that of a resident supervisor is almost impossible. Moreover, in the case of a small- to medium-size architecture, quality control at the site is relatively less effective since the size of a construction company is small, making the job of protection supervision all the more important. Accordingly, in this research, an attempt was made to grasp actual condition of construction sites and problems thereof with an emphasis on non-resident fire protection supervision system in order to devise an optimum improvement method reflecting on-site needs in an effort to contribute to establishment of a non-resident fire protection supervision system which is the backbone of safety for small- to medium-size architecture. To investigate the degree of recognition of the non-resident supervision system, a questionnaire survey was carried out in this research with 160 persons as survey target, which includes ordering bodies, fire-fighting officers, fire construction supervisors, construction company employees, and designers, using a total of 38 questions under 4 categories including target of non-resident fire protection supervision, assignment standard of non-resident supervisors, duties of a non-resident supervisor, and supervision cost and supervising contract for analysis of problems and verification. As a result of this research, an improvement plan was presented which includes such measures as reduction in the number of non-resident supervision targets, reduction in the number of target supervision sites or a total size of ground area that can be covered by one non-resident supervisor, early assignment of non-resident supervisors, upward adjustment of grades of non-resident supervisors, differentiation in the range of duties for resident supervisors and non-resident supervisors, clear demarcation of job areas that are overlapped with other fields, designation of supervisors by authorities for small private architecture, and supervising contract with costs that reflect actual situation. Finally, for continuing enhancement in the quality of fire construction non-resident supervision system and development thereof, on-going improvement methods are required. For detailed fire protection supervision work, enforceable and specific standards are needed which require further research and survey.

      • 건축 시공업체의 환경관리 효율화 방안

        박재두 中央大學校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건축공사 착수 이전에 시공업체의 환경 관리를 위한 계획과 그에 따른 환경 영향 요인의 분석 및 합리적인 관리가 실제 현장에서 미약한 실정이다. 이러한 상황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으로써 시공단계만을 제한하여 시공업체의 환경관리 방안을 제안하고 이에 따라 효율적인 관리를 도모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하는 환경관리 방안은 건축공사 현장의 각 공종별 발생 가능한 환경영향 요인의 분석과 환경관리를 공사 참여주체자간의 환경 관리 수준의 결정과 이에 따른 요인의 중요도값을 도출하였다. 또한, 체크리스트를 이용하여 관리수준 이상의 환경요인을 선정, 이를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한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건축공사 현장의 환경관리에 관한 연구를 통하여 조사된 문제점으로는 실제 현장에서 체계적인 환경영향 요인의 분석이 이루어지고 있지 않고 공사가 계획되고 진행된다는 것이다. 현장 실무종사자들조차도 환경영향에 대한 인식마저 미흡하고 환경관리를 위한 노력으로 ISO 14000등의 인증을 통한 형식적인 계획의 수립과 현장소장의 경험과 관행적인 환경관리계획에 의해 공사가 수행되고 있다. 2) 이에 본 연구는 시공업체의 건축공사 예산의 편성 및 계획 시에 환경영향 요인을 체계적으로 분석에 의해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환경관리방안을 제안하였다. 3) 우선 각 공종별 잠재적 환경영향 요인들을 관련 문헌이나 현장을 직접 방문하여 전문가의 면담을 통한 환경영향 요인의 파악하였다. ISO 14000인증업체의 환경관리 계획서를 조사하여 얻은 결과를 환경영향 대상인 대기질, 수질, 소음,진동, 폐기물에 대한 영향을 공종별로 분류하였다. 4) 분류된 환경영향 요인들을 건축공사 중에서 아파트공사의 환경관리를 위한 관리방안으로 이를 적용하였다. 적용방법으로써 실제 현장의 종사자의 토의 과정을 통하여 환경관리 수준의 결정 및 환경영향 요인의 중요도를 산출하여야 하나 여러 제약으로 설문을 통하여 결과를 도출하고 관리수준은 W.G. Russel에 의해 제안된 5개의 환경관리 목표로 관리의 수준을 제안하고 이를 체크리스트로 작성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5) 설문조사결과로써 아파트공사의 경우 중요도 누적비율 80%이상으로 대기질의 경우 18개, 수질은 9개, 소음,진동은 11개, 폐기물은 15개의 주요 환경영향 요인이 분석되었다. 이를 환경관리 수준의 결정을 통하여 주요 관리요인의 선정과 시공계획을 수립하여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 사례기반추론을 이용한 IPC거더교의 개략공사비산정에 관한연구

        김기한 경북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기존 국내 도로 건설사업에 있어서 개략공사비 산정 기준은 국토해양부 및 기획예산처, 한국도로공사 등에서 제시하는 평균단가를 기준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계획단계에서는 공사비를 추정할 수 있는 정보의 빈약으로 정확성이 결여될 수밖에 없었고, 추정된 개략공사비의 정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이 필요하다. IPC거더교는 2000년 7월부터 2008년 6월말까지 1,720개에 달할 정도로 국내 교량건설 분야에서 자주 쓰이는 공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하지만, 중요성에 비해 IPC거더교의 체계적인 개략공사비 산정기법이 미흡한 실정이다. 본 연구에서는 사례베이스로부터 유사사례를 도출하고 그것을 이용하여, 해결책을 찾는 사례기반추론을 개략공사비 추정을 위한 방법론으로 활용하였다. 기존사례와의 유사성을 찾기 위한 방법으로 공사비 영향요인을 이용하였으며 영향요인별 가중치 산정은 자연진화의 원리를 접목한 유전 알고리즘(GA)을 활용하였다. 또 CBR 1 모델과 CBR 2모델 두 가지 모델을 제시하여 가용한 정보의 양에 따라 모델을 달리 사용할 수 있게 하였다. 이러한 모델은 현제 기획단계에서 체계화된 IPC거더교의 산정기준이 없고, 전문가의 판단에 의존하거나, 현행공사비 산정기준을 준용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할 때 본 연구모델의 활용을 통해 기획단계 개략공사비 산정업무의 정확성 및 신뢰도를 향상 시킬 수 있는 결과를 제시하였다. Outline of the existing local road construction projects based on cost calculation of the Land Ministry and the Planning and Budget, the Korea Highway Corporation, as at present are based on the average price. In the planning stages, but you can extrapolate costs to the poor accuracy of the information is not to gyeolyeodoel, estimated in step plan to outline ways to improve the accuracy of construction cost is necessary. IPC in 2000, seven were in school in 2008 to reach 6 to the end of 1720 the domestic dog, often used in bridge construction is a recognized method. However, the importance of a systematic overview of the school costs were calculated IPC technique is lacking. In the case of this research base, and use it to bring in similar cases, case-based reasoning to find a solution methodology used for the outline of the construction cost estimate. How to search for similarities with existing practices of cost factors used to calculate the weight of the natural evolution and the principles of younghyangyoinbyeol jeopmokhan genetic algorithms (GA) was used to. The CBR and the CBR model, Model 1 and 2 present two different models depending on the amount of available information, the model was used suitge. This model is structured in the current planning phase of the assessment standard IPC were no schools, rely on expert judgments, or the current costs are calculated junyong criteria when considering that the use of this research model, the cost of determining the outline planning stage of work The results can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can be had provided.

      • 建設工事都給契約 中徐終了時의 工事代金請求權에 관한 硏究

        김도균 전남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本 論文에서는 건설업의 특성상 人力雇傭側面 및 社會間接資本의 기반 산업으로서 다른 산업에 비해 사회경제적으로 上昇(Synergy)效果가 큰 점을 고려하여 볼 때 올바른 도급계약관계의 형성이 필요하고 그 전제조건으로 경제적인 불평등관계에 있는 수급인의 보호가 필수적인 점을 감안하여 建設工事都給契約關係의 여러 가지 문제점중의 하나인 都給契約 中途終了時의 受給人의 工事代金請求權에 대하여 살펴보고, 한편으로 그 工事請求權을 보전하는 이론적 근거를 검토하고자 한다. 건설공사도급계약의 解除 및 中途終了時에 解除의 遡及效를 제한한다고 할 때 그 이론적 근거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하는 문제를 전제로 하여, 建設工事都給契約의 기본적 개념과 건설공사도급계약이 일반도급계약과는 별개로 다루어져야 하는 이유 및 공사가 中途에 終了된 경우의 法律關係, 특히 도급계약해제시의 그 효과와 관련된 수급인의 工事代金請求權에 대하여, 먼저 도급인과 수급인의 歸責事由에 의해 공사가 中途終了된 경우 및 도급인과 수급인 兩者 모두에게 歸責事由가 없이 공사가 中途終了된 경우로 구분하여 검토하고, 다음으로 수급인의 工事代金請求權을 보호하는 이론적 근거에 관한 學說과 判例를 검토하였다. 細分하여 보면, 第二章에서는 건설공사도급계약의 一般에 관한 이해를 위하여 도급계약의 意義와 法的 特性, 공사금액의 결정방법 및 건설공사도급계약 체결시 공사금액의 결정방법, 공사의 未完成과 建物瑕疵의 區分에 대한 이론을 정리한다. 第三章에서는 建設工事都給契約의 解除에 대하여 約定解除, 合意解除, 法定解除등으로 구분하고, 그 해제의 효과를 검토한 후 건설공사도급계약의 해제시 해제권의 행사와 관련된 解除의 流用에 대해 고찰하여 본다. 第四章에서는 건설공사도급계약이 中途終了된 원인을 도급인 및 수급인 당사자 일방에게 歸責事由가 있는 경우와 양자 모두 歸責事由가 없는 경우로 나누어 각각의 경우에 수급인의 공사대금청구권에 대한 學說 및 判例의 입장을 정리하여 보고, 第五章에서 結論을 맺는다. 本 論文의 主要 事案인 都給契約의 中途終了時 수급인의 工事代金請求權에 관하여 살펴보면, 건설공사도급이라는 계약 자체가 建築物의 竣工이라는 일의 完成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므로 건축공사는 완공에 이르기까지 여러 段階別로 공사가 이루어지는데 이와 같이 단계별로 시행된 공사부분은 완성된 건물의 일부를 이루는 것 외에는 그 자체로서 독자적인 가치를 가진다고는 할 수 없지만, 공사 자체의 완성을 위하여는 반드시 거쳐야 할 工程이므로 그 한도 내에서는 완성된 부분의 가치를 인정하여 工事代金支給請求權을 인정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建設工事都給契約의 中途終了에 있어서 기완성부분에 대한 受給人의 工事代金請求權을 인정한다고 할 때에는 그 이론적 근거를 어떻게 구성할 것인가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建設工事都給契約이 중도에 해제된 경우에 수급인의 기완성된 부분에 대한 공사대금청구권을 인정할 수 있는 근거를 무엇이라고 할 수 있는가의 문제로서, 우리 大法院은 信義則과 民法 第668條 但書의 취지를 그 이론적 근거로 삼고 있으며, 學說은 건설공사도급계약을 繼續的 契約關係로 파악하여 繼續的 契約에서만 인정되는 계약의 解止規定을 적용한다는 견해, 건설공사의 중단시 그 중단이 당사자 어느 쪽의 歸責事由에 의한 것인가를 묻지 않고 수급인은 도급인에게 旣完成部分에 상당하는 공사 대금을 청구할 수 없다는 점이 民法 第106條의 事實인 慣習으로 정착하였다는 견해 등으로 나뉘어져 있다. 건설공사의 旣完成部分은 全體의 工程을 마치기 위한 과정으로서 그 가치를 인정할 수가 있으므로 도급인 및 수급인 어느 쪽의 歸責事由에 해당하는지를 불문하고, 완성된 건축물에 대하여는 비록 瑕疵가 있더라도 계약을 解除할 수 없다는 民法 第668條의 但書의 규정을 强行規定으로 보고 이를 類推適用하여 완성된 부분을 撤去하게 됨으로 인한 사회경제적인 손실 및 건설공사 도급계약 履行過程에서의 도급인과 수급인의 경제적 지위의 不均衡 등을 고려하여 도급인에게 기시공된 부분이 이익이 되는 경우에는 信義則上 衡平의 原則에 어긋나지 않는 한 미시공부분에 한하여서만 계약을 解除할 수 있다고 보아야 할 것이다.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a recipient's right to remuneration in case of a halfway termination as one of various problems of construction contract concerned, and examining a theoretical basis preserving it. The construct industry requires to establish the proper contract relations because the construct industry as basic industry inducing employment and an indirect social capital has more influence than other industries on society and economy with consideration of this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protect recipient under economical unequal rotations. A question is raised how the theoretical basis should be organized when a reflecting influence of cancellation or halfway termination of contract is restricted. This study explains the basic concept of construction contract and the reason which construction contract and general contract should be deal with differently. It also examines legal relations when construction stops in the middle. As for it, there are two cases examined; One case which the contractor and recipient are the cause of stop of construction. The other case which neither is responsible for it. In this situation, theory and precedent are used to support theoretical basis for protecting recipient. In details, chapter 2 arranges definition and legal feature of contact to promote understanding about general construction contract, tile method of decision of construction fee and the method in case that construction contract is contracted, and theory about division of between half-completed construction and defect of building. Chapter 3 divides cancellation of contract frequent in case of halfway termination of construction contract into stipulation cancellation, mutual agreement cancellation, and legal cancellation. The effect of cancellation is described in this chapter This chapter also examines diversion of cancellation related to exercise of right of cancellation when construction contract is cancelled. Chapter 4 deals with the cause of halfway stop of construction contract. There are two cases First, either contractor or recipient is responsible for it. Second, neither is responsible. In each case, it explains theory and precedent about recipient's right to remuneration. There remains problem of how the theoretical basis of it can be organized when recipient's right to remuneration against the completed part of building might be admitted in case of halfway termination of contract. The Supreme Court presents the purpose of proviso clause 668 of Civil Code and principle of faith and trust as a theoretical basis of it. A theory, on the other hand, is based on following point of view. It regards construction contract as continuous contract, and applies provision of cancellation of contract admitted only in continuous contract. There is another based on clause 106 of the Civil Code. This clause tells that recipient can claim payment against contractor in case of the termination of construction regardless of who is responsible for its termination. And it is said that it is fixed as a custom of fact. So we can reach following conclusion. Building is constructed gradually based on the design of construction. So the part of already completed construction should be admitted the value itself because construction is done step by step by design. Therefore, the contract about completed part of building should not be cancelled even though there is defect found. This rule is induced front the proviso clause of 668 of the Civil Code as a compulsory provision. The social and economic loss, as well as inequality of economic position between contractor and recipient under contract should be considered regardless of who is responsible for. As a result, only contract related to executory part of building can be cancelled within the principal of equality when completed part of building is profitable to contractor.

      • 공사일보 정보 요구사항 분석 및 현장관리자 텍스트메시지 내 공사일보 정보 수집방법에 관한 연구

        송태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건설 현장은 다양한 공종, 업체들이 함께 작업한다. 발주자, 원도급업체, 협력업체, CM, 감리자 등 다수의 이해관계자가 참여한다. 그러기에 성공적인 프로젝트 진행을 위해서는 각 이해관계자들 간의 효율적인 의사소통과 명확한 정보전달이 매우 중요하다. 프로젝트 참여자들은 다음과 같은 행위들을 통해 소통하고 정보를 전달한다. 크고 작은 회의, 직접 대면을 통한 대화, 전화/무전기 등을 통한 음성 전달, 오프라인 서류 등을 활용한 서면자료 전달, 이메일 또는 컴퓨터 파일(엑셀, 워드 파일 등)을 활용한 소통, 인터넷 기반의 회사 PMIS(Project Management Information System) 활용 등이 있다. BIM(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BIM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의사소통도 점차 늘어나고 있다. 또한 모바일 기술의 발전으로 인해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정보 전달도 증가하는 추세다. 특히 대부분의 스마트폰 사용자들이 일상생활에서 활용하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이 전문 건설관리 소프트웨어보다 건설 현장 의사소통에 더 많이 활용되고 있었다. 관리자들은 사용법이 복잡하고 추가적으로 설치해야하는 현장 관리 소프트웨어보다 사용하기 쉽고 추가적으로 설치가 필요 없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선호하였다. 대표적인 채팅 어플리케이션인 카카오톡, 네이버 밴드 등을 활용하여 텍스트 메시지 기반으로 소통하고 현장 정보를 주고받았다. 하지만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주고 받는 정보는 일회성 정보로 소모되며 체계적으로 저장되거나 활용되지 못하였다. 본 연구는 현장 관리자들 간의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한 의사소통에서 어떠한 정보들이 교환되며, 현장 관리에 유용한 정보들이 있는지 확인한다. 또한 현장 관리자들간의 텍스트 메시지에서 수집된 정보들로 현장 공사일보를 작성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 그 방법을 제시 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진행되었다. 현재 공사일보 작성의 문제점과 현장에서 건설관리 시스템,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활용 정도를 파악하기 위하여, 현장관리 경험이 있는 관리자들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였다. 현장관리자들이 생각하는 현재 공사일보 작성의 문제점, 개선방향, 채팅어플리케이션의 활용 현황 등에 대한 설문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현장관리자들이 생각하는 공사일보 작성방식의 문제점은공사일보 작성 시 걸리는 시간과 취합의 비효율성이었다. 또한 90% 이상의 관리자가 스마트폰 채팅 어플리케이션을 활용하여 현장 정보를 공유하고 있었다. 또한 현장에서 활용되고 있는 공사일보 16개를 수집, 분석하여 공사일보에 어떠한 정보들이 담겨져 있는지 파악하고 정보의 종류들을 분류 하였다. 정보의 종류는 총 64가지였으며, 6개의 성격으로 이 정보들을 나눌 수 있었다. 6가지 성격의 정보는 현장기본정보, 인력정보, 장비정보, 자재정보, 작업량정보, 작업내용 정보였다. 이렇게 분류된 공사일보 정보들을 현장관리자간 채팅 어플리케이션 내 텍스트 메시지로부터 수집할 수 있는지 확인하고자, 7개 실제 현장에서 활용되는 채팅 어플리케이션의 단체 대화방의 텍스트를 추출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이러한 채팅어플리케이션 대화 내에는 인력정보, 장비정보, 작업내용 정보 등 현장 관리에 유용한 정보들이 전달되었다. 하지만 대화들은 주로 자연어로 구성되어 있고, 데이터들이 정형화 되어있지 않으며 체계적으로 저장되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현장 관리자들 간 채팅 텍스트 데이터 내에 공사일보 정보를 포함한 대화문을 분류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Google Cloud NLP(Natural Language Process)를 활용하였으며 현장별로 공사일보 정보를 포함한 대화문 100개를 수집하여 객체리스트를 도출하였다. 이를 활용하여 수집된 데이터와 전체 채팅 대화문 사이의 유사도를 구할 수 있었다. 공사일보 정보를 포함한 대화문과 포함하지 않은 대화문의 코사인 유사도를 비교결과 공사일보 정보를 포함한 대화문과 포함하지 않은 대화문간의 유사도 차이가 있었다. 이를 통해 특정 유사도 이상의 값을 가진 말풍선을 수집하면 공사일보 정보를 포함한 대화문을 수집할 수 있었다. 또한 공사일보 정보를 포함한 대화문에서 상세정보를 분류하기 위한 규칙을 제시하였다. 이 규칙을 위하여 인원, 장비, 작업내용을 지칭하는 단어 라이브러리를 구성하였으며, 이 규칙을 활용하여 인원 정보 및 장비 정보의 출력 정보 수집이 가능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방법을 통해 현장관리자 간 채팅 텍스트 데이터 내에서 공사일보 정보를 수집할 수 있으며, 이는 현장에서 현장관리를 위해 작성되는 일일 공사일보 작성에 활용될 수 있다. 이를 활용하여 공사일보 작성의 시간 단축 및 현장관리자의 생산성을 향상 시키고, 효과적인 현장관리가 가능할 것이다.

      • 공공공사의 합리적인 공사비 산출을 위한 표준품셈 작업조 구성에 관한 연구

        정영호 경희대학교 2009 국내석사

        RANK : 247807

        건설산업에 있어서 사업 전 단계를 거쳐 신속한 사업규모의 파악, 경제적 타당성, 원가관리 등의 사업비를 신속하게 파악하는 것은 자금투자계획 수립과 예산의 확보뿐만 아니라 비용효과를 철저하게 분석, 관리할 수 있는 적산기술과 다양한 코스트 정보를 필요로 하고 있다. 그러나 현행 사용하고 있는 표준품셈은 자료의 표준화로 인하여 현장여건의 변화에 관계없이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실질적인 시장단가 반영의 어려움 등 실무적인 적용이 경직되어 있는 실정이다. 공사비 산정에 있어 보다 합리적이고 현실성을 위한 최적의 적산방법은 생산성을 고려한 작업조 구성을 기반으로 한 모델의 개발이 사업비 산정의 효율성 제고에 필수적으로 인식되고 있다. 적산모델에 있어서 세부 단위작업에 적용되는 작업조와 일정은 모두 중요한 관리대상이지만, 세부 단위 공종의 내용에 따라 그 차이가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건설 공사비를 산정함에 있어서 작업조를 고려한 공종을 선택하고 현장조사·데이터 분석을 하여 새로운 적산모델을 제시하였고 주요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1) 프로젝트 수행 전 단계에 걸쳐 공사비를 산정함에 있어서 표준품셈을 사용하여 왔으나 품셈에 의한 주된 문제점은 시설물의 종류, 규모, 공사의 특성에 관계없이 일률적인 적용에 기인하고 있다. (2) 새로운 적산모델을 구축함에 있어서 공종별 단위 작업량, 노무량, 기계장비 사용량 등을 분석하여 작업조에 의한 생산성 분석을 통한 현실적인 시장단가를 반영하는 유효한 적산모델을 마련하였다. (3) 현행 공종별로 세분화 되어있는 내역체계를 Object 개념의 내역체계로 전환함으로써 적산모델을 단순화시킬 수 있으며, 공사비관리를 일원화함으로써 체계적인 공사 관리 정착을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다. 현재 모든 시설물에 대해서 일률적으로 적용하고 있는 표준품셈의 산출방법은 기술자의 산출방법, 해당 공사의 파악 부족으로 인하여 정확도에서 많은 편차를 발생시켜 이에 따른 많은 시간과 설계변경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시설물별 공사의 특성 분석, 공사 작업량, 작업장소에 따른 실 노무량 분석, 지역의 위치, 환경 등의 자료의 통계적 분석을 통한 공사비 산정 방법의 연구가 지속적으로 수행되어야할 것이며, 공사비 산정의 신뢰도 및 견적 방법의 편리성을 증대시키는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Various information such as a project budget plan, cost estimation techniques, and cost data are needed to achieve prompt information on project size, economic feasibility, and cost management. However, standard means currently used lacks of adopting real market unit prices. A cost estimation model based on reasonable crew combination and real project schedule data is critical to estimate reasonable project cost. This dissertation selects and compares activities considering work crew combination and schedule and proposes a new cost estimation model.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as follow: (1) The standard means has been used to estimate project cost over project execution phases. There is, however, a critical problem in that the means apply same cost information without considering the size, characteristics, and duration of capital facilities. (2) An effective new cost estimation model should have a capability to correct several elements in typical cost estimation method. It should be possible to analyze unit work rate for each activity, productivity analysis of work crew combination and equipment usage rate. (3) The structure of the BOQ should be revised from activity-oriented to object-oriented. It will simplify the cost estimation model. To unify cost management and schedule management is a base for systematic project management. This research recommends a cost estimation method using scientific techniques that analyze an equipment plan, environment factors, and optimal crew combination. This research also claims the need of establishing a historical cost model that uses database including real market unit price and unit price of activity for each capital facility. Future research should focus on developing a project cost estimation method that reflects project characteristics like real unit price, location, environment, climat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