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마을교육공동체의 지역적 실천 양상과 대안의 전망 : 안동시 송천초등학교와 미래교육지구 사업을 중심으로

        구가은 안동대학교 일반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이 연구는 안동지역에서 진행되고 있는 마을교육공동체 실천 양상을 분석하여 그 대안적 성격과 의미를 고찰하고 있다. 이를 위해 교육 실천을 이어온 안동시 송천초등학교의 사례를 중심으로, 2021년 ‘안동미래교육지구’ 사업의 전개에서 나타나는 교육현장의 구체적인 양상을 살펴보았다. 마을교육공동체는 학교와 지역사회의 다양한 주체들이 교육을 매개로 협력 및 연대하는 공동체이다. 현대사회의 교육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협력적 관계에 기반한 교육 실천을 통해 대안의 전망을 만들어가고 있다. 이를 커먼즈 체계 내 공동체문화 실천의 한 양상으로 바라보며 마을교육공동체 실천이 가지는 대안적⋅미래지향적 측면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인 논의의 전개는 다음과 같다. 먼저, 혁신교육의 흐름과 마을교육공동체의 부상에 대하여 이론적 정리를 진행하였다. 그리고 안동지역 교육공동체의 형성과정을 살펴보며 송천초등학교의 교육 실천사례를 서술한다. 이어 ‘안동미래교육지구’ 사업을 통해 드러난 각 주체들의 공동체문화 실천사례를 바탕으로 마을교육공동체 실천의 의의와 대안의 전망에 대해 분석하였다. 마을교육공동체 실천은 해체된 관계성을 다시 연결하고 재생산하며 미래적 가능성을 확장시켜 나가고 있다. 더불어 지역사회와 마을이 품고 있는 민속적 가치를 교육현장 속에서 새롭게 재발견⋅재구성해내고 있다. 이에 이 연구는 민속의 현대적 양상에 주목하여 마을교육공동체가 지니는 대안적⋅민속적 가치를 조망하였다는 의의를 담고 있다. This study has analyzed the aspects of practicing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n Andong and considered its characteristics and meanings as an alternative. For that, with the case of Songcheon Elementary School in Andong that has continued its educational practice, this author has examined concrete aspects found at the site of education in the development of ‘the Andong Future Education District Project’ in 2021.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s a group of people in which various types of agents from schools or the local community cooperate in unity with education as a medium. In order to solve educational problems arising in contemporary society, we are producing the prospect of alternatives through educational practice grounded on cooperative relationship. Viewing it as an aspect of practicing community culture within the commons’ system, this researcher has attempted to understand alternative and future-oriented perspectives which the practic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is equipped with. Concrete discussion was developed in the following ways. First of all, this author arranged theories about the trends of innovative education and the ris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Next, examining the process of forming the education community in Andong, this study described educational practice with the example of Songcheon Elementary School. After that, based on the cases of practicing community culture by different types of agents found in ‘the Andong Future Education District Project’, this researcher analyzed the significance of practice of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and its prospect as an alternative.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s practice reconnects dismantled relationships and reproduces relationships and also extends future possibilities. Moreover, it rediscovers and reconstructs ethnological value that the community and village are equipped with at the site of education. Accordingly,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has investigated alternative and ethnological value that the village education community has focusing on the modern aspects of folklore.

      • 남원시민의 공동체의식과 사회적경제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안상연 원광대학교 행정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began with the question of whether the two areas of community and social economy actually influence each other. For this purpose, the factors influencing Namwon citizens' social and economic awareness were analyzed, focusing on community awareness. Simultaneously, the functions and effects of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were also examined, by dividing the research subjects into a program participant group and a non-participant group, and comparing and analyzing them. The rapid economic growth of Korean society has created a social disease phenomenon represented by the gap between the rich, the poor, and the deepening competition. A part of civil society that sought alternatives in a competitive society raised the strengthening of the characteristics of a community as one of the solutions. There was a Seongmisan Village Community Movement that was formed in Seoul, and Jirisan Mountain Sannae Community was formed in Sannae-myeon, Namwon-si, in the Jirisan Mountain area. This private-led community movement became popular with institutionalization as the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and governance organizations spread. First, in the theoretical background, the process of establishing the Namwon-si Community Support Center was summarized, and previous studies on the awareness of social economy and community consciousness were taken into consideration. Many previous studies point to the 'sustainability' of the Korean community movement and the social and economic movement as the task at hand. The social economy is facing limitations in that its social performance based on social solidarity is weak, because it has grown based on quantitative performance only. The community is highly dependent on subsidies, so if it is eliminated from the support list, it will face a crisis of collapse or barely maintain it with the sacrifice from core activists. Therefore, in order for the community to grow beyond the establishment stage to the settlement stage, economic independence must be increased. Based on these previous studies, an empirical analysis was conducted through a survey of a group of 156 participants in the ‘Namwon Community Support Center program’ and a group of 164 non-participants to understand how citizens of Namwon comprehend community and social economy, and how the awareness of social economy is influenced by the community consciousness. The questionnaire was constructed by referring to previous studies. The awareness of social economy was measured in two factors: the recognition of the social economy and role expectation, and community consciousness was measured as four factors: membership consciousness, satisfaction, feeling of solidarity, and intimacy. The results of the survey are as follows: first, among general characteristics, gender and monthly income affect recognition or role expectations depending on which group has been surveyed. However, different ages, areas of residence, duration of residence, resident classification, and type of home ownership did not significantly affect the awareness of social economy.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factors, community consciousness and awareness of social economy, which was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within a significant range. By group, in the case of the community support center program participant group, solidarity had the most influence on awareness and role expectations, whereas in the case of the non-participant group, satisfaction was the highest correlation factor. Third, it was confirmed that both the community consciousness factor and the awareness of social economy factor of the group of participants in the program provided by the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were higher than that of the non-participant group. The meaning of this study is that first, through empirical analysis, the role of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was confirmed by comparing and analyzing a group of participants in the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 program and the non-participant group, and second, the correlation between the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 awareness of social economy was confirmed. It is also interesting that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the program recognize and trust the social economy based on a sense of solidarity. Finally, in order to support the village community and the social economy integrally according to their growth stage, it is suggested to strengthen the function of the intermediate support organizations. 이 연구는 공동체와 사회적경제라는 두가지 영역이 실제로 서로 영향을 주고 있는가라는 질문에서 시작되었다. 이를 위해 남원시민의 사회적경제인식에 미치는 영향요인을 공동체인식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동시에 연구대상을 프로그램 참여자집단과 미참여자집단으로 비교분석하여 중간지원조직의 기능과 효과를 같이 확인했다. 한국사회의 급속한 경제적 성장은 빈부격차와 경쟁의 심화로 대표되는 사회적 병폐현상을 만들었다. 경쟁사회 속에서 대안을 찾던 시민사회의 한 축은 공동체성의 강화를 그 해법의 하나로 제기했다. 서울에서는 성미산 마을공동체 운동이 있었고, 지리산권인 남원시 산내면에서는 지리산 산내공동체를 형성했다. 이런 민간주도의 공동체운동은 거버넌스 조직체인 중간지원조직이 확산되면서 제도화와 함께 대중화 되었다. 먼저 이론적 배경에서는 남원시공동체지원센터의 설립과정을 정리하고, 사회적경제인식과 공동체의식에 대한 선행연구를 고찰하였다. 많은 선행연구들은 한국의 공동체 운동과 사회적경제 운동의 ‘지속가능성’을 당면과제로 지적하고 있다. 사회적경제는 양적 성과 위주로 성장하여 사회적 연대에 기반한 사회성과가 취약하다는 한계에 직면하고 있다. 공동체는 보조금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 지원대상에서 탈락할 경우 와해 위기를 맞거나, 핵심 활동가의 희생으로 가까스로 유지하게 된다. 따라서 공동체가 설립단계를 넘어 정착단계로 성장하기 위해서는 경제적 자립도를 높여나가야 한다. 이런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실제 남원에서는 시민들이 공동체와 사회적경제를 어떻게 이해하고 있는지, 또한 사회적경제 인식은 공동체의식으로부터 영향을 받는지를 알기 위해 남원시공동체지원센터프로그램 참여자 집단 156명과 비참여자 집단 164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통한 실증분석을 실시하였다. 설문문항은 선행연구를 참고하여 구성하였다. 사회적경제 인식은 사회적경제에 대한 인지도와 역할기대감이라는 두가지 요인으로, 공동체의식은 구성원의식, 충족감, 연대감 친밀감이라는 네가지 요인으로 측정하였다. 조사결과 첫째 일반적 특성 중에서 성별 차이와 월 소득은 집단에 따라 인지도 혹은 역할기대감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그 밖의 나이, 거주지역, 거주기간, 주민구분, 주택소유 형식 등은 사회적경제 인식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둘째, 이 연구의 목적이었던 공동체의식 요인과 사회적경제 인식요인 간의 상관관계는 서로 유의미한 범위 내에서 있었다. 집단별로 보면, 공동체지원센터 프로그램 참여자 집단의 경우 연대감이 인지도와 역할기대감에 가장 영향을 많이 미치는데 비해, 미참여 집단의 경우 충족감이 가장 높은 상관 요인이었다. 셋째, 중간지원조직이 제공하는 프로그램 참여자 집단의 공동체의식 요인과 사회적경제 인식 요인 모두가 미참여자 집단에 비해서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의미는 첫째, 실증분석을 통해 중간지원조직 프로그램 참여자집단과 비참여자집단을 비교 분석함으로써 중간지원조직의 역할을 확인하였고, 둘째 공동체의식과 사회적경제 인식 간에 어떤 상관관계가 있는지를 확인하였다는 점에 있다. 프로그램 참여 시민의 경우 연대감에 기반하여 사회적경제를 인지하고 신뢰한다는 점 또한 흥미롭다. 마지막으로 마을공동체와 사회적경제를 성장단계에 따라 통합적으로 지원하기 위해서는 중간지원조직의 기능과 위상을 강화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을 남긴다.

      • 시민성 교육과 고등학교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공동체의식 내용에 관한 연구

        김종순 성공회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우리는 이 사회에서 점점 더 공동체 의식이 상실되어 가는 현상을 경험하고 있다. 사회 구성원간의 생활의 의존성은 커져 가는데 비해 서로에 대한 이해와 배려, 연대감은 오히려 점점 희박해져 가고 상호간의 불신과 갈등이 날로 심각해지고 있는 상황이다. 상호 협력보다는 경쟁을, 공동체의 화합보다는 개인의 사익추구가 우선시되는 환경이 형성되면서 사회구성원 간 상호 무관심과 연대 약화, 계층 간 격차, 집단 간 갈등, 사회에 만연한 적대감 등이 정도를 넘어서고 있으며, 이기주의, 경쟁적 문화, 이데올로기적 편협함이 오늘날 우리 사회를 지배하고 있다. 우리 사회의 다양한 갈등과 대립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사회 구성원들의 의식과 태도가 중요한 문제가 될 것이라고 본다. 그 중에서도 서로에 대한 이해와 배려, 더불어 살아가고자 하는 공동체적 연대성 등의 시민의식은 우리 사회의 많은 갈등과 불평등 현상 등을 해결해 가는 바탕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우리 사회의 공동체 의식을 회복하는 일이 중요한 사회적 과제가 되고 있다. 즉 우리 사회가 상생과 공존의 삶의 터전이 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상호 연대의식을 기반으로 하는 시민성이 요청되며, 이러한 공존의식과 태도는 사회적 풍토와 더불어 시민교육을 통해 지속적으로 교육되는 과정이 필요하다. 이런 점에서 본 연구는 사회과 교과서에 나타난 공동체 의식 관련 서술 내용의 분석을 통해 공동체 의식 교육이 사회통합과 연대를 위한 시민교육이 되고 있는가를 살펴보려는 것이다. 즉, 오늘날 우리 사회의 갈등과 대립을 조절하고 사회적 연대와 통합을 위해 요청되는 시민성으로서 ‘공동체 의식’이 사회과 교과서에서 어떤 내용으로 어느 정도 서술되고 있는지를 분석하고, 효과적인 사회과 시민교육의 역할 및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우선 시민성 개념과 쟁점을 짚어 보고 시민성의 두 모형으로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적 시민성의 특징과 논쟁을 살펴보았다. 인간의 존재가치를 개인의 자유의 쟁취와 향유에서 찾는 자유주의는 무엇보다 어떻게 국가로부터 개인의 자유와 권리를 보호할 것인가 하는 것을 중요한 목표로 삼는다. 반면에 공동체주의는 자유주의가 지나치게 개인에 집착하고 있음을 비판하면서 아리스토텔레스 등이 추구한 공동체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공동체주의는 개인의 권리와 개인적 존엄성보다는 공동선과 공공의 이익을 본질적인 가치로 받아들인다. 오늘날 자유주의가 지나치게 개인주의적 덕목에 포박되어 있는 탓에, 사회 내부에 이기주의적 편향성을 조장할 수밖에 없고 결과적으로 사회 구성원 상호간의 고립과 대립을 심화시키게 되었다고 공동체주의는 비판한다. 다음으로 사회 통합을 위한 시민교육의 필요성, 특히 사회과 교육의 목표와 시민성 교육으로서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리고 공동체 의식의 이론적 기초로서의 공동체주의, 공동체 의식의 개념과 가치 덕목들을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분석 범주와 주제를 설정한 뒤 고등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에 나타난 공동체의식 관련 내용을 분석하였다. 분석은 다음과 같은 4단계로 진행되었다. 1) 사회과 교육 목표인 민주 시민성 내용으로서 공동체 의식은 어느 정도 강조되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2) 공동체적 덕목으로 어떤 내용이 얼마나 제시되고 있는가를 분석하였다. 3) 공동체적 덕목들의 서술방법 혹은 내용의 전달방식에 대한 탐색을 통해 제시된 공동체적 덕목이 효과적으로 학습될 수 있는 서술인가에 대해 검토하였다. 4) 공동체적 접근의 사례로서 사회적 약자에 대한 언급 및 사회통합을 강조하는 관점이 공동체적 가치를 담고 있는가를 살펴보았다. 이러한 연구 주제를 가지고 사회 교과서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우선, 사회과 교육 목표인 ‘민주시민의 자질 육성’에는 중요한 자질의 하나로 ‘사회의 구성원으로서 능동적이고 책임 있는 시민’을 길러내는 것으로서 공동체 의식이 제시되고 있으며, 사회 교과서 내용에서도 공동체적 가치 덕목들의 서술 빈도가 높게 나타나고 있다. 그런데 강조되는 공동체적 가치 덕목이 대부분 공익 실현, 사회통합, 법과 규칙 준수, 준법의식, 책임 의식 등에 집중되고 있고 서술 방식 또한 추상적이고 축약적인 짧은 문장의 단순 설명이나 당위적 차원의 짧은 서술이 대부분이었다. 그런 반면에, 연대의식이나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 더불어 사는 태도에 관한 서술은 매우 미흡하였다. 또한 대부분의 교과서에서는 사회통합을 언급하고 있지만 당위적인 차원에서 ‘사회통합이 중요’하다고 언급하고 있을 뿐, 사회 통합을 위해서 필요한 공동체적인 접근과 노력에 대한 서술 내용은 없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고등학교 1학년 사회 교과서의 공동체 의식 관련 교육은 명시된 목표와 내용의 서술 빈도에 비해 가치 덕목들이 대부분 추상적이고 축약적인 개념으로 짧게 서술되어 있어 실제 수업 과정에서 학생들의 흥미나 이해를 어렵게 하고 있다. 이는 결국 교육활동을 통해 습득한 가 Today we are experiencing the gradual loss of community consciousness in this society. Compared to an increase of life dependency among social members, understanding, concern and solidarity for one another are rather gradually reduced, and unbelief and conflict among mutual members become serious day by day. With the creation of the environment where competition rather than mutual cooperation and a pursuit of private benefit rather than a harmony of community are prioritized, mutual indifference, weakened solidarity, a gap among classes, conflict among groups, hostility prevalent in the society and others among social members are going beyond the limits, and selfishness, competitive culture and ideological bias are dominating our society today. I see that in order to solve various conflicts and oppositions in our society the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social members before everything will become important questions. Especially the civil consciousness such as understanding and concern for one another and community solidarity for living together will form the basis for solving many conflicts and inequal phenomena in our society. Thus, restoring the community consciousness of our society becomes an important social task. That is, our society becoming the base for a win-win life of coexistence requires citizenship based on mutual solidarity of all things. Such consciousness and attitude of coexistence should continuously be taught through civil education together with social climate. In this regard, this study will explore whether community consciousness education becomes the civil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and solidarity through analyzing community consciousness-related descriptions appearing in social subject textbooks. Namely, it will analyze with what contents and to what degree 'community consciousness' as the citizenship required for controlling the conflict and opposition of our society today and constructing social solidarity and integration is described in the textbooks and seek the role and plan of effective social subject civil education. For it, this study first examined the concept and issue of citizenship, and the characteristics and disputes of liberal and communitarianistic citizenship as the two models of citizenship. Liberalism which finds human being-value in the obtainment and enjoyment of personal freedom takes important aim, above all, at how to protect personal freedom and rights from the state. On the other hand, criticizing liberalism for clinging excessively to an individual, communitarianism chooses to emphasize the community pursued by Aristotle and others. It accepts as its essential values common good and public benefit rather than personal rights and dignity. It criticizes liberalism today for being excessively arrested by individualistic virtues, inevitably promoting selfish biasedness inside the society and as a result deepening isolation and opposition among social members. Next, I have explored the necessity of civil education for social integration, in particular, the objective of social subject education and its role as citizenship education. And I have examined communitarianism as a theoretical basis for community consciousness and the concept and value virtues of the consciousness, established analytical categories and themes based on them and analyzed the community consciousness-related contents which appeared in the social subject textbooks for high school freshmen. The analysis was made in the following four steps. 1) I have explored to what degree community consciousness as the contents of democratic citizenship as the objective of social subject education was being emphasized. 2) I have analyzed how what contents were presented as the virtues of community. 3) I have examined whether the virtues of community presented through exploring a method of describing them or conveying their contents could effectively be learnt. 4) I have explored whether reference to the socially weak as a case of a community approach and a viewpoint of stressing social integration contained the values of community. The results from analyzing the social subject textbooks with such research theme are as follows. First, 'fostering the quality of a democratic citizen', which was the objective of the social subject education', presented community consciousness as fostering 'an active and responsible citizen as a social member' as one of his or her important qualities, and the value virtues of community were very frequently described in the contents of the textbooks. But most of the virtues emphasized were concentrated on the realization of the public benefit, social integration, observing law and rule, law-abiding consciousness, responsible consciousness and the like. Most of the methods of describing them were simple explanation of abstract and contractional brief sentences or short description on an obligatory level. On the other side, a sense of solidarity, interest in the socially weak and an attitude toward living together were very poorly described. Also, most of textbooks referred to social integration, but only mentioned that 'it was important' on a mandatory level and did not describe any community approach and effort necessary for it. Exploring the above results shows that community consciousness-related education in the social subject textbooks for high school freshmen makes it difficult for students to take interest in or understand most of value virtues in an actual class process because they are briefly described with abstract and contractional concepts compared to its explicit objective and frequency in description of contents. I could see that it was eventually more difficult for a value or virtue acquired through educational activities to be connected with concrete life attitude or behavior. Thus, I have explored some plans for a social subject as an alternative for it. First of all, the virtues of community i

      • 마가공동체와 사도계 공동체의 제자도 : 마가복음서 10장 32-52절을 중심으로

        기준호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마가복음서에서 중요한 논제 중의 하나인 제자도에 대한 기존의 연구들은, 예수를 '선생'으로 묘사하며 그가 제자들을 '가르친다'는 것에 집중하여 연구하였다. 이런 이전의 연구들은 마가복음서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역할이나 마가공동체의 사회적 정황을 간과하였다. 본 논문은 이전의 연구들에서 간과했던 이야기들에 등장하는 인물들에 초점을 맞추어 그들의 역할을 논의하고 그것을 통해 드러나는 공동체의 사회적 정황을 고찰할 것이다. 본 논문은 사회학적 성서 해석의 중수준적 접근 방법 (meso approach)을 사용하여 예수의 세 번째 수난 예고 (막 10:32- 34) 다음에 나오는 마가복음서 10장 35- 52절에 기록된 보아너게 (세베대의 두 아들들)와 소경 바디매오의 이야기에 대해서 논의할 것이다. 보아너게 이야기와 바디매오 이야기에 대한 이전의 논의들은 두 이야기가 서로 관련이 적은 독립된 이야기들로 연구되어 왔으며, 전자는 예수의 세 번째 수난 예고에 부가되는 제자들 간의 자리다툼의 이야기로, 후자는 예수가 소경 거지에게 베푼 기적적인 치유 이야기로 논의되었다. 그러나 본 연구는 표면적으로 긴밀한 관계가 없는 것처럼 보이는 두 이야기를 주인공들 (보아너게와 바디매오)의 역할에 초점을 맞추어 이야기들의 숨겨진 의도를 조명했다. 그리고 그들 각각의 역할을 중심으로 본문을 고찰해 볼 때, 이 두 이야기들에는 보아너게와 바디매오라는 인물들의 역할이 두드러지게 나타나며, 이것을 확장시켜 이해하면 이 두 이야기들은 제자도와 예수에 대한 이해의 차이로 인한 사도계 공동체와 마가공동체 사이의 갈등을 반영하고 있다. 본 연구는 사도계 공동체를 보아너게 그룹과 베드로 그룹 (베드로를 포함한 열 제자들)으로 구분하고, 보아너게 그룹을 베드로 그룹과 경쟁하고 우위를 점하려 했던 그룹으로 본다. 그리고 보아너게와 상대적인 인물로 마가공동체의 중심인물 중의 하나로 제시되는 바디매오를 상정한다. 또한 각 이야기 단락에서 시사되는 것처럼 사도계 공동체와 마가공동체의 갈등은 예수의 수난에 대한 그들 간의 서로 다른 이해에서 비롯된 것으로 본다. 마가공동체는 보아너게 이야기와 바디매오의 이야기를 통해서 사도계 공동체의 권세 지향적이고 영광 지향적인 태도에 대해서 비판하면서, 한편으로는 보아너게 그룹에게는 따름에 있어서 권세에 집착하는 그들의 모습을 비판하고 또 한편으로는 베드로 그룹에게는 제자로서 버림에 있어서 철저하지 못했음을 비판한다. 결국 마가공동체는 현재의 핍박 상황 속에서도 수난을 회피하지 않고 그들 자신이 예수의 수난에 동참했다는 것을 강조하고, 사도계 공동체의 수난 거부 (영광지향)를 비판하며, 이로 인해 자신들이야말로 예수의 길을 따르는 진정한 제자들이라는 것과 "예수와 복음을 위해서 버린 것"과 "수난 받는 예수를 따름"에 있어서도 자신들이 사도계 공동체보다 우월하다는 것을 주장한다. The current research on discipleship in Mark has focused on describing Jesus as "Teacher" of his disciples. Previous studies have failed to notice the roles of the characters in Mark and the social context of the Markan community. This thesis focuses on the characters in the narrative, overlooked by previous studies, and these characters' roles in the social context of the community. This thesis intends to select a sociological method of New Testament interpretation, specifically the meso-approach, to examine the stories of Bartimaeus and Boanerges in Mark 10:35- 52, after the third prediction of Jesus' passion (Mark 10:32- 34). Previous studies have focused on the independent nature of the two stories. The Boanerges story has been studied as a story of the disciples' request to occupy important positions, and as an addition to the third prediction of Jesus' passion. The Bartimaeus story has been studied as the miraculous healing of a blind beggar by Jesus. This study will illuminate the hidden purpose of the stories, focusing on the character s' (Boanerges and Bartimaeus) roles. I will demonstrate in each story that it is dominated by the roles of the characters, Boanerges and Bartimeus, and illustrate how the two stories reflect the conflict between the Apostles' community and the Markan community, because of the difference of under standing of discipleship and Jesus' role. I have classified the Boanerges group and the Petrine group in the Apostles' community. The Boanerges' group competes with the Petrine group to occupy a dominate position within the Apostolic group. Bartimaeus, a typical character in the Markan community, holds a similar position to the Boanerges group in the Apostles' community These two stories illustrate the conflict between the Apostles' community and the Markan community under standing of Jesus passion. Through the stories of Boanerges and Bartimeus, the Markan community criticizes the Apostles' community pur suit for honor and authority. On the one hand, the Markan community criticizes the Boanerges group for it s pur suit positions of honor and authority, but on the other hand they criticize the Petrine group for their unwillingness to"cast away all things to be a disciple of Jesus. At this time the Markan community was being persecuted. The community accept ed this persecution as its participation in the passion of Jesus. They also criticized the Apostles' community for rejecting the Passion of Jesus. More over, the Markan community asserts that they are true disciples following Jesus way and they were more devote their to discipline than the Apostles' community were, because they were willing to give up worldly pursuits and follow Jesus and the gospel, even to participate in Jesus Passion.

      • 마태공동체의 정황과 산상수훈의 윤리적 규범 형성의 관계 : 마태복음 6:19-21을 중심으로

        김도형 연세대학교 연합신학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의 목적은 마태복음에 기록된 산상수훈인 마태복음 6:19-21절이 마태공동체의 정황 속에서 어떤 의미를 가지면서 윤리적 규범으로 여겨지게 되는지를 연구하는 것에 그 목적을 둔다. 연구 과정으로 본 논문은 사회학적 신약연구방법을 통해 마태공동체가 처했던 정황을 분석하고 재구성하는 작업을 하였고 마태복음에 나타난 사건들을 분석함으로 구체적으로 마태공동체의 정황 속에서 요청되는 윤리적 규범들을 검출하여 마태공동체의 정황 속에서 차지하는 윤리적 의미를 서술하였다. 이 전체적인 과정을 통해 마태복음 6:19-21절이 마태공동체의 정황 속에서 요청되는 윤리적 요구에 어떻게 적용되는지를 연구하였다. 마태공동체는 당시 유대교 공동체와 대립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었고 내부적으로는 부유한 구성원과 가난한 구성원들 사이의 분열을 극복해야 할 처지에 놓여 있었다. 유대교와 동일한 신앙의 유산을 가지고 있었던 마태공동체의 구성원들은 기독교적인 신앙 안에 유대교적인 율법주의 신앙을 접목시키려는 시도들이 있게 되었고 이러한 와중에 마태복음의 저자는 그들의 공동체와 유대교 공동체를 분리시켜 그들만의 공동체 정체성을 확립시켜 나가야 할 필요를 가지게 되었다. 또한 마태공동체는 그안에 포함된 부유한 구성원들과 가난한 구성원들 사이의 갈등이 있었다. 이러한 공동체의 정황 속에서 마태복음의 저자는 두가지 문제를 한번에 해결할 수 있는 윤리적 지침이 필요했던 것이다. 마태복음 6:19-21절에 기록된 산상수훈은 그것을 읽는 독자들에게 “하늘에 재물을 쌓으라”는 권고를 한다. 이 구절을 통해 마태공동체는 나눔의 윤리적 규범을 행할 것을 요청받는다. 그러나 마태공동체에게 요청된 나눔은 단순히 재물만을 나누는 것이 아니었다. 근심하고 돌아간 부자청년의 사건(마19:16-26)을 분석하여 나온 사랑의 윤리적 가치는 나눔의 윤리적 규범이 위선적이고 이중적인 행위로 전락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역할을 한다. 오천명을 먹이신 사건(마 14:13-21)에서 검출되는 공존의 윤리적 가치는 나눔의 윤리적 규범을 통해 하나되기 시작한 공동체의 각기 다른 구성원들이 공존을 위해서 필요한 긍휼히 여김과 자족함의 윤리적 의미를 제시한다. 향유를 부었던 여인의 사건(마 26:6-13)에서는 나눔의 윤리적 규범이 이루어지는 과정에 있어서 나누는 자와 나눔을 받는 자가 서로를 존중하며 또 다른 분열과 소외를 피하며 온전한 공동체를 이룰 수 있도록 하는 섬김의 윤리가 검출된다. 이 같이 복음서의 사건들을 통해 검출되는 나눔과 사랑과 공존, 섬김의 윤리는 마태복음 6:19-21절의 윤리적 틀 안에 포함되는 세부적인 윤리들이 되며 6:19-21절의 산상수훈의 구절은 앞의 네가지 윤리적 가치를 포함하면서 마태공동체의 정황 속에 나타난 대립과 갈등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윤리적 방향을 지시하는 커다란 지침으로서의 역할을 한다고 볼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meaning of the Sermon on the Mountain(Matt 6:19-21) and how it was considered by the Matthean community. In order to do this, the study analyzes and reconstructs 'Sits im Leben'(the life circumstance) of Matthean community by the use of sociological method of the New Testament. Also, by analyzing the events in Matthew, this study concretely tries to find ethical norms(rules) and describe ethical meanings which were needed in the life circumstances of Matthean community. Through these approaches, this study shows how Matthew 6:19-21 is applied to ethical demands which were needed in the life circumstances of Matthean community. During those periods, Matthean community had conflicts with the Jewish community while internally they had to overcome the obstacles of disunion between rich and poor members. Also, members of the community who had common religious assets (inheritances) tried to graft Jewish laws(the law of Moses) with christian faith. Therefore, it was necessary for the writer of Matthew to separate their community from the Jewish community in order to establish an identity of their own. As mentioned above, there were internal conflicts between rich and poor members in the Matthean community. For these reasons, the writer of Matthew needed an ethical norm(rule) to solve these two problems simultaneously. As recorded in the Sermon on the Mountain found in Matt 6:19-21, readers are advised to store up treasures for themselves in heaven. In this passage, the Matthean community was asked to do ethical norms of sharing. However, this did not mean simple sharing of material wealth. The ethical value of love prevents the ethical norm of sharing from falling over hypocrisy and double-minded behaviors, which was found in the case of the rich young man in Matt.19:16-26. The ethical value of coexistence, which is found in the event of Jesus feeding 5000 people, recorded in Matt. 14:13-21, suggests that ethical meanings of compassion and self-satisfaction are critical for the members of the community to become united for their coexistence through the ethical value of sharing. In the event of Jesus being anointed in Bethany by a woman(Matt. 26:6-13), it is shown that mutual respect is present between the giver and the receiver through the ethical norm of sharing. Also, the event above demonstrates the ethics of serving, which prevents another disunion and alienation, instead it builds wholesome(complete) community. As written above, the ethics of sharing, love, coexistence and serving found in the Gospel are the particular ethics of the ethical framework in Matt. 6:19-21. And Matt. 6:19-21, the Sermon on the Mountain includes the four ethical values and becomes important guidelines in solving problems of confrontations(disunion) and conflicts in the Matthean community.

      • 공동체적 자유주의를 지향한 초등학교 경영 방향 연구

        양경남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국내박사

        RANK : 247807

        현대 사회는 급속히 변화하고 있으며 학교 또한 이러한 추세에 발맞추어 변화하고 있다. 학교가 변화의 물결 속에서 살아남고 그 자체의 정체성을 확립해 나가기 위해서는 패러다임적 변화가 있어야 한다. 공동체적 자유주의 이론은 현대 철학 사조에서 새롭게 조명되고 있는 한 관점으로서 교육이론의 한 패러다임이 된다. 본 연구는 미래교육의 한 패러다임이 될 공동체적 자유주의란 무엇인지를 탐색하여 이를 중심으로 교육이론을 도출하고, 그에 기초한 학교 경영의 방향을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의 내용을 설정하였다. 첫째, 공동체적 자유주의의 이론을 탐색한다. 둘째, 공동체적 자유주의 이론을 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공동체적 자유주의 교육원리를 도출한다. 셋째, 이를 중심으로 공동체적 자유주의 교육원리에 기초한 초등학교 경영원리와 효과적인 초등학교 경영 과정모형을 구안하여 구체적인 실천방안을 모색한다. 먼저 공동체적 자유주의의 이론적 배경을 고찰하기 위해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연원과 지향가치를 살펴보았고,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의 논쟁을 통하여 두 이론의 양립가능성을 조화와 균형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공동체적 자유주의의 특성을 알아보았다. 자유주의(liberalism)는 인간 존중, 자유와 권리, 공정성, 보편화 가능성, 정의의 원리 등에 입각해 서구 근대 사회를 이끄는 원동력이 되었으며, 교육에 있어서도 개인에게 자유로운 표현과 능력을 발휘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개성을 존중하며 개인의 자아실현을 위해 노력할 수 있는 풍토를 조성하는 등 학생 개인의 가치를 존중하는 인본주의 교육의 이념적 원리가 되기도 하였다. 그러나 집단의 연대의식이나 공동선을 추구하기보다는 개인의 자율성과 권리 신장을 위해 타인에 대한 무관심과 소외, 불평등을 야기시켰으며 이로 인해 사회적 연대의식이 결여되고 집단의 결속력이 무너져 가는 위기를 맞게 되었다. 이러한 자유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한 대안으로 나타난 것이 공동체주의(communitarianism)이다. 공동체주의는 자유주의의 폐해를 극복하고 인간성을 회복하기 위하여 공동체적 사회를 지향한다. 또한 타인에 대한 존중과 배려, 상호의존과 사회적 책임을 강조하고 집단의 연대성에 기초한 인간 관계를 통해 공동체적 전통을 추구하고자 한다. 그러나 공동체주의는 집단의 연대의식을 강조한 나머지 개인의 권리나 주장을 무시하며 집단의 이기주의에 빠질 위험이 있고, 전통과 과거에 집착하여 현대성과 부조화를 이룰 수 있고 획일화를 조장할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자유주의와 공동체주의간의 대립은 양자간의 조화와 균형을 추구하려는 움직임으로 나타났는데, Daniel Bell, Amitai Etzioni, Phillip Selznick과 같은 학자들에 의해 나타난 공동체주의적 자유주의, 혹은 줄여서 공동체적 자유주의(communitarian liberalism), 자유주의적 공동체주의(liberal communitarianism), 또는 신공동체주의(new communitarianism)라고 불리우는 이념들이다. 본 연구에서는 이를 공동체적 자유주의라 칭하였다. 공동체적 자유주의는 사회의 질서와 자유의 토대 위에 '공동체적 결속'과 구성원인 '개인의 자율성'의 측면 모두를 균형있게 중시하는 개념으로 개인의 권리와 공동체의 책임과 균형을 유지하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공동체적 자유주의는 이론적인 특성으로는 공공의 선과 사회적 결속, 공동체와 개인들 사이의 균형, 개인적 권리와 사회적 책임간의 조화를 들 수 있고, 이러한 특성들은 사회운동이나 정치적인 움직임 등과 같은 실제적 접근으로 연계된다. 둘째, 공동체적 자유주의의 교육적 적용에서는 공동체 자유주의의 교육 원리와 초등교육과의 관계를 고찰하고 이에 기초한 초등학교경영 방안을 모색하였다. 공동체적 자유주의의 원리는 자율성과 질서의 균형, 책임과 권리의 균형, 개인과 공동체의 균형, 그리고 중립성과 공동선의 균형의 네 가지를 들 수 있다. 이를 바탕으로 한 공동체적 자유주의 학교경영의 원리는 공동-탐구의 원리, 상호 책임의 원리, 참여의 원리를 들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학교경영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 공동체적 자유주의의 학교경영의 방향은 자율과 질서의 조화, 개인과 공동체의 조화, 현대성과 전통의 조화, 권리와 책임의 조화, 대화와 타협, 이타심과 상호협력, 사랑과 참여라는 7가지의 방향을 들 수 있다. 셋째, 공동체적 자유주의를 지향한 초등학교 경영 과정모형을 구안하기 위해 학교조직의 특성과 조직문화를 고찰하였고 초등학교의 특성 및 초등학교 경영의 문제점과 개선 방안을 고찰했다. 이를 바탕으로 공동체적 자유주의를 지향한 학교 경영 과정모형을 구안하였다. 다음으로 공동체적 자유주의를 지향한 학교 경영의 방향을 학교조직의 연계성, 사회자본의 활용, 공동체 네트워크 구축의 측면에서 제시했다. 공동체적 자유주의를 지향하는 학교조직이 성공적으로 발전하기 위해서는 연대성과 보조성이라는 공동체의 원리와 "우리 의식(we-ness)"에 기초를 두고 학교조직이 연계를 이루어야 하고, 사회자본의 확충을 통하여 올바른 인간관계를 수립하며 이를 바탕으로 서로를 존중하고 신뢰롭고 개방적인 학교풍토를 조성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학교조직도 위계적 조직과 생산성을 중시하는 조직에서 네트워크 조직과 학생, 교사 및 학부모와의 관계가 중심이 되는 학교공동체를 구축해야 한다. 또한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가 학생들의 학업을 위해 공동으로 협력하고, 서로 연계를 이루어 학교공동체를 구축해서 공교육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한다. 가정과 학교, 지역사회가 공동체를 이루어 각 구성원이 성원의식을 가지고 모든 학생들이 성공적으로 학업을 수행하며 건전한 공동체적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면 성공적인 학교 경영이 이루어지리라 전망한다. Schools are changing in accordance with the rapid change of our society. The paradigmatic change is essential for schools to survive the waves of the change and to establish their identity. The communitarian liberalism which is being newly elucidated in contemporary philosophy can be a paradigm of an educational theory.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licit an educational theory from exploring this communitarian liberalism and to develop a model of school management. To fulfill these purposes, the three research problems were formulated as follows: The first is to explore what the communitarian liberalism is. The second is to elicit the educational principles for school management, from this theory, which can be applied to education. And the third is to develop the principles and a model of effective elementary school management. At first, in order to fin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communitarian liberalism, the origins and values of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were explored.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were examined on the basis of harmony and equilibrium to know whether these can be co-existed. Liberalism, which is based on such principles as the respect for human dignity, freedom and rights, fairness, possibility of universality and justice, was the driving force leading modern western society and became an ideological principle of humanistic education which valued the individual students in respect of providing them the opportunities to express themselves and their abilities freely, respecting their personality, and fostering the atmosphere in which they can endeavor after their self-realization. It also caused, however, indifference toward others, alienation, and inequality since individuals pursued personal autonomy and extension of their rights rather than pursuing the group consciousness and the common good. As a result, it came to a critical situation that group consciousness and solidarity collapsed. Communitarianism was an alternative to overcome these negative influences of liberalism. it aimed for a communitarian society to overcome the drawbacks of liberalism and to recover humanity. It also emphasized the respect and care for others, mutual dependence and social responsibility. It pursued communitarian tradition through the human relationship based on group solidarity. Nevertheless, it had the possibility to ignore the individuals' rights and their claims since it over emphasized the group solidarity, and as a result of this, to get into group selfishness. It also had the tendency to form a discordance with modernity and to foster the standardization as it sticked to the tradition and past. The conflict between liberalism and communitarianism caused a movement pursuing the harmony and equilibrium of these two. The scholars such as Daniel Bell, Amitai Etzioni, Phillip Seiznick proposed the theories called communitarian liberalism or liberal communitarianism or new communitarianism, which is called as communitarian liberalism in this research. Comunitarian liberalism is a concept that values both 'communitarian solidarity' and 'individual autonomy' on the basis of order and freedom of a society and it is an effort to keep the equilibrium between the rights of individuals and responsibility for the community. Its theoretical characteristics are common good, social solidarity, the balance between community and individuals and the harmony between individual rights and social responsibility, which in practice lead to social or political movements. Secondly, the principles of comunitarian liberalism and their relationship with elementary education were explored and considered the management plans for elementary schools. Its four educational principles are balance between autonomy and order, balance between responsibility and rights, balance between individual and community and balance between neutrality and common goodness. The school management principles based on these educational principles are the ones of co-operative inquiry, mutual responsibility, and participation. The directions of school management based on these management principles are harmony between autonomy and order, harmony between individual and community, harmony between modernity and tradition, harmony between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nd conversation and compromise, altruism and mutual cooperation, love and participation. Thirdly, the characteristics and the culture of school organization were explored in order to develop a model of elementary school management aiming at communitarian liberalism. The features of elementary schools and their problems as well as the ways to improve those problems were also considered to form a model for school management. Finally, the directions of school management were suggested from the viewpoints of relationship among school organizations, the utilization of social capital, and the construction of community network. For the successful development, the school organization aiming communitarian liberalism should be linked by the principles such as the solidarity and support as well as the awareness of 'we-ness'. Besides right human relationship should be established through the expansion of social capital. As well as these, an open school climate should be fostered, in which school members respect and trust each other. In order to achieve these, the school organization should be changed from the hierarchical and production oriented one to the school community that students, teachers and parents become the center of. Furthermore, homes, local society, and school should cooperate with each other for students' successful development and make efforts to reform the public education. The successful school management will be achieved only when these three elements form a community and help the students to go through their learning and live their communitarian life successfully.

      • 부산 '대천천네트워크' 사례를 통해 본 실천공동체(CoP)의 공동체 학습경험과 공동체 역량발달 과정에 관한 연구

        이정민 부산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실천공동체(CoP) 관점에서 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의 참여 활동을 통해 학습경험을 분석하고, 그 과정에서 공동체 역량이 어떻게 발달되어 가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연구의 목적을 이루기 위해 부산 ‘대천천네트워크’를 채택하였고 연구방법은 사례연구를 통한 질적 연구이다. 자료수집은 내러티브 인터뷰와 마을공동체 관련 문서자료를 기반으로 하였고, 비교분석과 Yin(2016)이 제시한 시계열 분석을 통해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는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하여 도출되었다. 먼저, 실천공동체 관점에서 대천마을공동체의 학습경험에 대한 연구결과는 ‘활동가로의 과정에서 밀도 있는 관계 맺기’, ‘실천 과정을 통해 공유된 차별화된 자산’, ‘대천마을공동체의 기록과 공유’라는 세 가지 범주로 나타났으며 그에 따른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활동가로의 과정에서 밀도 있는 관계 맺기’에서는 공통의 관심사와 자발적 참여, 일상의 공간에서 나누는 정서적 유대감, 남다른 관계의 형성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천 과정을 통해 공유된 차별화된 자산’에서는 장기적인 학습지원체계, 합의에 기반한 의사결정 문화, 마을 활동의 미니멀리즘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천마을공동체의 기록과 공유’에서는 주민 연대와 네트워킹의 공간, 마을축제로 응집하며 결속함, 마을 전체가 함께 그리는 교육, 마을 기억의 공유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대천마을공동체 구성원들의 공동체 역량의 발달 과정에 대한 연구결과는 감성적 소통, 위기 대응력의 강화, 사회적 자본의 구축, 공동 자치력의 형성, 그리고 성찰성의 범주로 구분된다. 첫 번째 단계의 범주로써 ‘감성적 소통’에는 ‘배려와 공감을 배우다’와 ‘수평적 소통 문화를 익히다’로 나타났다. 두 번째 단계의 범주로써 ‘위기 대응력의 강화’에는 ‘관계성 혼란을 겪다’와 ‘갈등 최소화의 방법을 터득하다’, 그리고 ‘인정과 이해의 폭이 커지다’로 나타났다. 세 번째 단계의 범주로써 ‘사회적 자본의 구축’에는 ‘헌신적 협력으로 화합하다’와 ‘신뢰감을 통하여 공동체의 지속가능성을 추구하다’로 나타났다. 네 번째 단계의 범주로써 ‘공동 자치력의 형성’에는 ‘개인의 책임감에서 마을의 리더십으로 전환하다’와 ‘주민자치력이 생성되다’로 나타났으며 마지막 단계로써 성찰성의 범주에는 ‘끊임없는 성찰로 정체성을 재정립하다’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마을공동체에서 중요한 핵심인 구성원들이 공동체 참여를 통한 학습경험을 기반으로 주체적 구성원이 되어 가는 과정에서의 인식과 태도 그리고 가치의 변화에 집중하며 공동체 역량의 발달과정을 다각적으로 분석하였다. 따라서 연구 결과로 도출된 공동체 역량발달 과정이 지역사회의 지속가능성과 공동체 회복을 통한 주민들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는 관점에서 지역사회의 공동체 역량발달을 위한 정책 마련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학술적으로는 공동체 역량발달의 사례연구 모델을 제시하고 지역사회를 기반으로 한 마을공동체 성장의 방향성과 운영에 있어서 개선점을 보완할 수 있는 실천적 함의를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들의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 탐색

        김미화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들의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을 질적으로 탐구하고 분석해보는 데 있다. 위와 같은 목적에 따라 설정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들의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경험은 어떠한가? 본 연구에서는 경상북도 하늘군 소재 공립유치원 단일학급에 근무하며 「제3지구 공동교육과정」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참여하고 있는 현직 교사 4명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였으며, 연구자 본인을 포함한다. 자료 수집은 2021년 8월부터 2022년 1월까지 6개월 동안 이루어졌다. 연구 과정에서 연구자는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들의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 경험을 충분히 탐색하고 이해하기 위하여 면담, 연구자 일지, 문서 자료의 3가지 방법을 사용하여 자료를 창출하고 수집하였다. 면담은 개별 면담 2회 및 집단 면담(서면 실시)1회를 실시하여 총 73장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자 일지는 26개의 주제로 총 51장을 수집하였고 문서 자료는 교육과정 협의회 기록 101장, 수업 나눔 기록 56장, 마실 기록 10장, 컨설팅 기록 42장, 기타 문서 자료 50장을 수집하였다. 이것을 바탕으로 연구자는 연구 문제와 관련된 키워드를 중심으로 계속된 범주화 과정을 통해서 대주제로 통합 및 대제목을 도출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들은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서 협력과 소통의 가치를 경험하였다. 교육 현장에서 고립되고 단절되어있던 단일학급 교사들은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에 와서 나와 비슷한 동료들을 만나 공감대를 형성하였다. 이러한 공감대를 기반으로 유아와 놀이가 중심이 되는 교육과정을 함께 운영하였으며, 업무에 관한 다양한 정보를 교환하였다. 그럴 뿐만 아니라 외로웠던 마음을 나눔으로써 정서적 위로를 얻는 등 소속감을 느낄 수도 있었다. 둘째,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들은 수업 나눔을 통한 교육적 ‘마주침’을 통해 변화하였다. 동료 교사들과 함께 수업 이야기를 나누는 과정에서 자신과 같은 고민이 있음을 발견하고 서로 다른 생각과 관점을 통해 스스로가 가지는 고정 관념을 발견할 수 있었다. 또한 서로의 경험이 얽힘으로써 새로운 생각을 만들어내거나 고민의 방향을 찾아감으로써 교사로서 성장하고 발전할 수 있었다. 셋째,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들은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 운영상의 위기를 기반으로 발전을 위한 고민을 함께하였다. 교사들의 자발적 학습 의지를 믿지 못하는 관리자들로부터 불편한 시선을 느끼기도 하였고, 공동체 운영 과정에서 깊이 있게 다루지 못하는 부분이 발생하기도 하였다. 하지만 단일학급 교사들은 이러한 위기에 좌절하기 보다는 적극적으로 교사 학습공동체 운영의 의미를 드러내기 위해 노력하였고, 더 나은 공동체를 위한 방법을 함께 고민하고 시도해 나가고 있었다. 공립유치원 단일학급 교사들은 학교 밖 교사 학습공동체 속에서 동료 교사들과의 협력과 소통의 가치를 발견하였으며 정서적 위로, 소속감을 느낄 수 있었다. 또한 교육적 마주침을 통해 고정 관념을 발견하고 교사로서 성장하고 발전하는 등 단일학급 교사가 현장에서 경험하는 다양한 어려움을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를 통해서 극복해나가고 있었다. 이에 공립 단일학급 교사들이 자신의 상황에 고립되기보다는 동료들과 적극적으로 소통하고 협력하길 바라며, 학교 밖 교사학습공동체를 시작하려는 많은 단일학급 교사들에게 좋은 길라잡이가 되길 기대한다.

      • 대 바실리오 공동체와 수도승 전통 : 공동체적 친교(koinonia)의 전승과 회복

        최성욱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현대사회에서 인간의 관계성은 날로 어려움에 처하고 있다. 기계화 된 현대 사회는 인간 내면에 간직해야 할 상호존중과 나눔의 인격적 가치를 파괴했고, 친교를 통해 인간이 성숙해진다는 사람을 잊어버리게 했으며, 무한경쟁과 개인의 능력위주 교육을 교육하여 왔다. 그 결과 사람들은 서로를 위해 봉사하기 위해 각자 재능과 능력을 부여 받았다는 사실을 잊었다. 교회는 공동체적 친교의 부재로부터 일어난 현상들에 대한 대안적 전망을 제시하려 노력해 왔다. 그 일선에서 공동체생활의 친교적 가치를 회복하고자 노력했던 초세기의 인물로 대 바실리오가 있다 바실리오는 초대 교회공동체의 이상을 따라 수도승의 전승 안에서 '공동체적 친교'를 전승시키고 회복시키고자 하였다. 그리하여 교회가 대조사회(對照社會: Kontrastgesellschaft)로서 복음을 증거하는 공동체임을 제시했다. 그는 자신의 복음적 형제 공동체를 통해 세상에 복음이 전해지기를 바랬는데 이를 구체화시키기 위한 매개체가 '공동체적 친교'인 것이다. 이러한 공동체 형태의 수행을 개진해 나가기까지 바실리오에게 영향을 주었던 사상적 동기는 대략 두 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었다. 첫째, 바실리오는 인간이 혼자서 야생적으로 살아가지 않고 함께 살아가는 존재라는 공동체의식을 그리스 철학으로부터 배웠다. 인간은 창조 때부터 공동체를 이루어 살아왔을 뿐 아니라, 오랜 경험을 통해서 볼 때도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더라는 것이다. 특히 플라톤과 아리스토텔레스의 고대 철인들의 저술은 바실리오에게 공동체적 사상의 동기가 되었고, 인간이 공동체 안에서 살아감으로써 그 본연의 가치를 실현할 수 있다는 인식을 가지게 했다. 그 결과 바실리오는 공동체적 친교를 통한 수행 방법을 중점적으로 실천하게 된다. 둘째, 바실리오의 사상적 동기는 그가 표본으로 삼았던 초대 교회의 코이노니아 정신에서도 드러난다. 바실리오는 초대교회 공동체의 친교안에서 복음이 실현된다는 점을 발견했고, 이를 수용ㆍ발전시키는 과정에서 그의 수행방식은 자연스럽게 공동체적 면모를 띠게 되었다. "신도들의 무리는 한마음 한 정신이 되었다."(사도 4,32)는 말씀을 구체화 시키기 위해서는 은수 형태의 독수 생화보다는 회수도승 생활이 더 적합하다는 사실을 인식하기에 이르렀다. 바실리오는 복음적 친교가 그리스도인의 삶 안에서 실천되고 다시 교회 안에 살아 숨쉴 뿐만 아니라 세상 안에서 구현되기를 바랬다. 그 사상적 바탕 아래 만들어진 바실리오의 복음적 형제 공동체의 특징은 다음과 같이 제시할 수 있다. 첫째, 바실리오의 복음적 형제 공동체는 전통적인 수행생활을 수용하며 최대 교회 공동체의 코이노니아적 전승과 회복을 추구한다. 바실리오가 대다수 동방 교회나 수도원 전통을 정착시킬 수 있었던 것은 주위의 유익한 수도승 전통을 충실하게 수용하고, 선익을 뽑아 새로운 현실 안에 적응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더구나 당대 안토니오를 중심으로 하는 은수형태의 수행생활을 친교를 바탕으로 한 공주형태의 수행생활로 발전 전환시킨 바실리오의 공헌은 사막으로 건너간 교회의 보화들을 세상과 교회 안에 회복시켜 주는 결과를 낳았다. 둘째, 바실리오의 공동체는 복음중심이다. 그는 복음서 외에는 어떤 규칙서도 있을 수 없다고 단언하는 한편 '그리스도의 몸'과 '성령의 은사'라는 성서의 전통적인 표현을 따라 교회가 지향해야 할 공동체관을 설명한다. 초대 교회공동체가 '그리스도의 몸'이기를 희망했듯이 바실리오의 공동체도 '그리스도의 몸'이기를 희망한다. 그러나 이 공동체는 엘리트 집단이 아니다. 성령의 은사를 받은 각각의 사람들이 그리스도를 머리로 하고 각 지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받은 은사로 서로를 위해 봉사하는 공동체이다. 각자가 재능을 부여받은 것은 자기 자신 때문이 아니라. 다른 이들을 위해서이다. 따라서 바실리오의 공동체는 "다른 이들과 함께 살아갈 때 자기 자신의 선물을 서로 나눔으로써 선물을 넘치게 할 수 있다."(Cf, Reg fus. tr. 7, 2)는 이상을 따르는 '봉사하는 공동체'이다. 셋째, 은수생활을 중심으로 했던 안토니오의 수행형태와 비교했을 때 바실리오는 공동체적인 면모를 강조한다. 하지만 공동체생활의 효시인 파코미오와 비교하자면 친교적 가치를 한단계 더 발전시켰을 뿐만 아니라 초대 교회공동체의 친교정신으로 좀 더 회복시켰다는 특징을 지닌다. 복음적 가치의 친교를 실천하기 위해서는 은수생활보다는 공동체의 회수도승 형태를 통해서만 가능하다. 이점에서 안토니오보다는 파코미오의 수행형태와 좀 더 가깝지만, 파코미오 공동체가 아빠(사부)의 카리스마를 중심으로 하는 중앙집권적이었다면, 바실리오 공동체는 구성원 각자의 은사를 존중하는 지방분권적 특징을 지닌다는 측면에서 차이가 나타난다. 넷째, 친교를 중시하는 바실리오 공동체의 내부적 특징은 상호순명, 기도와 노동의 조화로운 추구, 공부, 포기 등 복음 성덕의 조화로운 실천을 통해 드러난다. 복음을 세상 안에 실현하는데 그 목적이 있었기에 사막이 아닌 사회에서 이루어졌고, 구호활동에도 참여하였다. 이러한 수도 공동체의 모습은 세상 안에서 대조사회(對照社會)로서 자리해야 할 교회의 모습을 예시하고 있다. 바실리오가 원했던 공동체는 엘리트 집단도 아니다. 그렇다고 세상과 절연하는 공동체도 아니다. 복음을 살아가는 그리스도인의 모임이었다. 세상 안에서, 세상과 함께 호흡하는 교회의 모습이었다. 서로간의 특권과 천대가 배제된 사랑의 공동체였으며, 사회와 교회 안에서 친교(koinonia)를 구체화하는 공동체였다. 나눔과 복음의 가치를 살아감으로써 상호존중과 인격적 나눔이 사회 안으로 확대되기를 바라는 대조사회의 공동체였다. 바실리오 공동체는 초대 교회공동체의 복음적 가치를 재현하여 사회 안에 친교적 새로운 대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 새로움은 세상 한복판에서 이룩되는 새로움이나 초대 교회의 친교적 전통을 계승하는 새로움이며, 만민의 해방을 위한 대조사회로서 교회의 연대감과 공동체의식의 고양을 계승하는 새로움이다. 이러한 바실리오 공동체의 특징들은 현대 사회의 개별화 현상과 친교의 부재현상에 대하여 화해로의 초대와 나눔에로의 전망을 제시하여 준다. 세상과 교회를 친교적 가치와 복음적 실천으로 초대하고 있는 것이다. 인간이 혼자서는 살아갈 수 없게 창조되었고, 삼위일체 하느님으로부터 창조되었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구원업적을 통해 복음적 가치로 초대받았기에 '너'를 향한 '우리'의 친교가 사랑의 확장을 구체화시킨다는 사실을 바실리오는 말하고자 한다. 대안적 사회 전망의 한 방편으로 바실리오가 제시했던 복음적 친교 공동체의 수행모습은 교회와 세상 안에 제시하고자 했던 하느님 나라의 실현과 완성을 향한 반추적 노력이었다고 할 수 있다. Human relationships in modern society have become troublesome. That is, innate values such as mutual respect and sharing have been destroyed and the truth that a person grows through fellowship has been forgotten. Only unbridled competition and an educational system that concentrates on individual ability have been imposed. This had made us forget that we have been endowed with our own talents and ability to serve one another. For an alternative outlook to the phenomena caused from the absence of community koinonia values, we turn to Basil who suggested a 'contrast society(Kontrastgesellschaft)' based on 'community koinonia' in accordance with the ideology of the first church community of koinonia in the monastic tradition. Basil hoped to spread the gospel throughout the world through an evangelical fraternal community and used 'community koinonia' as the medium to embody it. Basically, there are two ideological motives that influenced him. First, Basil`s sense of community underlies the idea that man does not simply live in a wild state by himself. Rather, man lives together with others. Also, man in the beginning, has lived in community and, therefore, cannot just live by himself. Furthermore, the writings of ancient philosophers such as Plato and Aristotle led Basil to be aware of the idea that man likes to live with others and realizes human values and ideals through such a life. As a result, community koinonia became the center of many ascetic practices and Basil wholeheartedly adopted it. Second, the koinonia of the early Church provided Basil with this ideal of a community. As the first church community developed, Basil`s method of ascetic practices became community-based since an evangelical lifestyle was realized through community koinonia. He also became aware that a monastic lifestyle in the form of living together with others was more adequate than an individual monastic lifestyle that emphasized seclusion from others. Such a life was meant the embody the scriptural passage, "all the believers were one in heart and mind"(Acts 4,32). Basil wanted evangelical fellowship to be embodied in the lives of all Christians, be made alive in the church, and to play a role as 'contrast society' in the world. The Characteristics of his evangelical fraternal community are as follows: First, Basil`s evangelical fraternal community became a center of adopting traditional ascetic practices and transferring them to community koinonia. The reason why Basil could synthesize the oriental churches and the monastery tradition was because he adopted aspects of the monastic tradition beneficial to him and adapted it to a new environment. Moreover, Basil transferred the existing hermit practices led by Antony to one of living together based on fellowship. This major contribution of Basil restored the treasure of the church that had crossed over the desert into a new environment occurring in the church and in the world. Second, Basil`s fraternal community was truly evangelical in it`s ideal. For example, he declared that no regulation other than the book of the gospel exists. He explained his view of community using biblical terms such as 'the body of Christ' and 'spiritual gifts'. He wished his community to be 'the body of Christ' just as the first churuch community had been. However, Basil`s community was not an elite group. It is a community where people who are endowed with spiritual gifts serve each other according to their gifts and recognize Christ as the head of this community. Talents given by God are not just for the individuals themselves, but for others. The community is 'a serving community' where "people share their gifts with others, living together so that gifts may overflow even more"(Cf, Reg. fus. tr. 7,2) Third, compared with Antony`s ascetic practices based on seclusion, Basil`s practices emphasize community. However, compared with Pacomius, the originator of community life, Basil developed the value of fellowship one step further by restoring the spirit of fellowship found in the first church community. With a monastic life in fellowship it is more possible to accomplish the ideal of evangelical fellowship than seclusive living ever could. Whereas Pacomius' community was a centralized group led by an appa or master`s charisma, Basil`s community was a decentralized group where each member`s gifts were respected. Fourth, the internal characteristic of Basil`s community based on fellowship are embodied by realizing such evangelical traits such as mutual obedience. the coordinated pursuit of prayer and work, study, and the practice of denial. They also participated in works of mercy in a societal setting and not in the desert because they pursued the realization of the gospel in the world. Such a monastic community worked with the church and operated in the world so that it might foster the image of church as 'contrast society' in the world. The community Basil wanted was neither an elite society nor a society separated from the world. This community was a group of Christians living by the gospel. Moreover, this community was the image of a church living in the world and with the world. This community embodied a koinonia in society and in the church based on love as a bond that excluded privilege and contemptuous treatment of others. Also, this community would show the face of a 'contrast society' where he hoped mutual respect and sharing would broaden out to society at large. Here, people would live by the values of the gospel and share with others. Basil`s community reproduced the evangelical values of the first church community and tried to suggest a new alternative based on fellowship in society. This new mode of living was one that accomplished in the center of society. It succeeded the fellowship tradition of the early church and restored the solidarity of the church. It developed commuity as 'contrast society' where is necessary for the liberalization of all nations. The characteristics of Basil`s community are an invitation to reconciliation and offers a vision of sharing vis-a-vis individualism and the absence of fellowship in modern society. His model of community invites the world and the church to the realization of evangelical values through fellowship. Through this community Basil wanted to talk about the truth that 'our' fellowship toward 'you' embodied the enlargement of love since man had been created not to live alone. Basil wanted to show that man came from the triune God, was created in the image of God, and invited to live the evangelical values through the accomplishment of Jesus` salvation. The ascetic practices that Basil emphasized in his evangelical fellowship community and suggested as a way of an alternative society, was a reflective effort to realize and complete the kingdom of God in a the church and in the worl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