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지역거점공공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간호근무환경 및근접오류 보고의향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

        최은영 남부대학교 일반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descriptive study was conducted to identify the effects of the regional public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 on their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A survey was carried out on 202 nurses working at four regional pubic hospitals located in J-do and K-do, from August 22, 2022 to August 31, 2022, using a structured questionnaire.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a total of 116 items: 9 for general characteristics, 35 for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29 for nursing work environment, 11 for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 and 32 for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and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one-way ANOVA using the SPSS/WIN 25.0 program, as well as the Scheffé test for post-hoc comparison,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1. As for general characteristics, 177 respondents(94.7%) were female, and the largest age group was between 20 and 29, 69 respondents(36.9%). For marital status, 94 respondents(50.3%) were unmarried, and 129 respondents(69.0%) had a bachelor’s degree. 82 respondents(43.9%) had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and 164 respondents(87.7%) were general nurses. There were 109 respondents(58.3%) who responded ‘yes’ to an experience of reporting patient safety accidents, and the majority 173 respondents(92.5%) responded ‘yes’ to an experience of receiving patient safety education. 2.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scored 3.85±0.41 out of 5,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scored 2.68±0.40 out of 4. As for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 willingness to report entirely scored 8.09±1.60 out of 10, whereas willingness to report by item scored 3.70±0.74 out of 5.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scored 4.50±0.44 out of 5. 3.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position (t = -2.04, p = .043) and experience of receiving patient safety education in the past year (t = 3.37, p = .001). Nursing work environment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clinical experience (F = 5.54, p = .001), and according to the post-hoc comparison, less than 3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had a higher result than 5-10 years or more than 10 years of clinical experience.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experience of reporting patient safety accidents (t = 2.06, p = .041), and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marital status (t = -2.06, p = .041). 4.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r = .51, p < .001), nursing work environment (r = .29, p < .001), and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 (r = .36, p < .001).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nursing work environment (r = .60, p < .001) and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 (r = .25, p = .001). Nursing work environment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 with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 (r = .20, p = .007). 5. The factors affecting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included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β = .45, p < .001) and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 (β = .24, p < .001).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the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 the higher the performance level of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The explanatory power of this model was 30.9% (F = 21.77, p < .001). To sum up, regional public hospital nurses’ level of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increases when their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and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 is higher. Therefore, the level of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y can be increased when there are various policies and safety systems in place to prevent medical errors that can possibly happen in the process of delivering quality medical services, as well as the improvement of reporting system, non-punitive organizational culture, and activities to share an experience of accidents. .............................................................................................................................................................. Key words : Regional Public Hospital Nurses, Perception of patient safety culture, Nursing Working Environment, Willingness to Report Near miss, Patient Safety Nursing Activities 본 연구는 지역거점공공병원 간호사의 환자안전문화인식, 간호근무환경 및 근접오류 보고의향이 환자안전간호활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J도와 K도에 소재한 지역거점공공병원 4개 기관에 근무하는 간호사 202명을 대상으로 2022년 8월 22일부터 2022년 8월 31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로 조사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총 116문항으로 일반적 특성 9문항, 환자안전문화인식 35문항, 간호근무환경 29문항, 근접오류 보고의향 11문항, 환자안전간호활동 32문항이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5.0 program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와 one-way ANOVA, 사후검정으로 Scheffé test를 하였으며,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와 다중회귀분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서 여자가 177명(94.7%)으로 많았고, 연령은 20~29세가 69명(36.9%)으로 가장 많았다. 결혼상태는 미혼이 94명(50.3%)으로 많았고, 최종학력은 학사가 129명(69.0%)으로 가장 많았다. 총 임상 경력은 10년 이상이 82명(43.9%)으로 가장 많았고, 직위는 일반간호사가 164명(87.7%)으로 가장 많았다. 환자안전사고보고 경험은 ‘있음’이 109명(58.3%), 최근 1년 이내 환자안전교육을 받은 경험은 ‘있음’이 173명(92.5%)으로 많았다. 2. 환자안전문화인식 정도는 5점 만점 3.85±0.41점, 간호근무환경 정도는 4점 만점 2.68±0.40점, 근접오류 보고의향 정도에서 전체적 보고의향은 10점 만점 8.09±1.60점, 항목별 보고의향은 5점 만점 3.70±0.74점, 환자안전간호활동 정도는 5점 만점 4.50±0.44점이었다. 3.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인 일반적 특성 중 환자안전문화인식은 직위(t = -2.04, p = .043), 최근 1년 이내 환자안전교육을 받은 경험(t = 3.37, p = .001)이 었다. 간호근무환경은 임상 경력(F = 5.54, p = .001)이었고, 사후검정 결과 3년 미만이 5-10년 미만이거나 10년 이상인 경우보다 높았다. 근접오류 보고의향은 환자안전사고 보고 경험(t = 2.06, p = .041)이었고, 환자안전간호활동은 결혼상태(t = -2.06, p = .041)였다. 4. 환자안전간호활동은 환자안전문화인식(r = .51, p < .001), 간호근무환경(r = .29, p < .001), 근접오류 보고의향(r = .36, p < .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환자안전문화인식은 간호근무환경(r = .60, p < .001), 근접오류 보고의향(r = .25, p = .001)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간호근무환경은 근접오류 보고의향(r = .20, p = .007)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5. 환자안전간호활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환자안전문화인식(β = .45, p < .001), 근접오류 보고의향(β = .24, p < .001)이었다. 환자안전문화인식과 근접오류 보고의향이 높을수록 환자안전간호활동 수행정도가 높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본 모형의 설명력은 30.9%였다(F = 21.77, p < .001). 이상의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지역거점공공병원 간호사는 환자안전문화인식 수준이 높고, 근접오류 보고의향이 높을수록 환자안전간호활동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다. 따라서 양질의 의료서비스 제공 과정에서 발생가능한 의료 오류를 예방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안전시스템 구축, 근접오류 보고의향을 높이기 위한 보고체계의 정비, 비처벌적 조직문화, 사고경험 공유활동을 통해 환자안전간호활동 수준이 높아질 수 있을것으로 생각된다. ............................................................................................................................................................. 주요용어 : 지역거점공공병원간호사, 환자안전문화인식, 간호근무환경, 근접오류 보고의향, 환자안전간호활동

      • 공공병원 간호사의 심리적 자본, 간호업무환경이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

        황선미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33343

        <ABSTRACT>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on Job Embeddedness of Public Hospital Nurses by Hwang Sun Mi Department of Health Service Graduate School of Public Policy & Civic Engagement Kyung Hee University Advised by Professor Jang Mi Heui PhD, RN This study is descriptive survey study of nurses working in six public hospitals in Gyeonggi Province to ascertain the influence of psychological capitl and nursing working environment on job embeddeness.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5th to 31st, 2022 using questionnaires on psychological capital,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job embeddeness of 200 nurses working at public hospital in Gyeonggi Povince.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24.0 program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Pearson's correlations coefficient,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d tested with the Scheffé test. The result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1. The average psychological capital of nurses in public hospitals was 3.32 points, the average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was 2.43 points, and the average of the job embeddeness was 3.14 points. 2. Psychological capital differed according to the subject's age(t=2.95, p=.304), marital status(F=4.29, p=.015), work experience in public hospitals(F=2.72, p=.031), and position(F=3.14, p=.046). The post-mortem examination showed that nurses over 50 years old had higher psychological capital than nurses under 30 years old and 30~39 years old, but there was no difference in marital status, work experience in public hospitals, and position.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differs according to the age of the subject, and the post-mortem test showed that nurses over the age of 50 years old have a more positive perception of their nursing work environment than nurses aged 30~39 years old. Job embeddeness varies according to the age (t=10.39, p<.001), marital status(F=5.24, p=.006), public hospital work experience (F=4.26, p=.003), and position(F=7.98, p<.001) of the subject, and post-test results showed that chief nurses has higher job embeddeness than aged 50 years old or older nurses, nurses with more than 20 years of work experience in public hospitals and staff nurses. 3. After checking the correlation between psychological capital and nursing work environment with job embeddeness, it was found that all four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self-efficacy (r=.56, p<.001), optimism (r=.63, p<.001), hope (r=.68, p<.001), and resilience (r=.62,p<.001), which are sub-factors of psychological capital,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embeddeness, a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job embeddeness, all five sub-factors of nurses' participation in hospital policies (r = .60, p<.001), adequacy of personnel and resources (r=.63, p<.001), foundation for quality nursing (r=.68, p<.001), nursing managers' competence, leadership and support (r=.58, p<.001), and nurse-physician partnerships (r=.49, p<.001) were positively correlated with job embeddeness. 4. In order to understand the effect on the subject's job embeddeness,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which are significantly different from are age, marital status, public hospital experience, position and psychological capital, and all five nursing work environment sub-factors are put into independent variables. As a result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e regression analysis model of job embeddeness is less than 30 years old (β=-.28, p=.028) and 30~39 years old (β=-2.26, p=.025), adequacy of personnel and resources (β=.21, p=.005), the foundation for quality care (β=.18, p=.048), and hope (β=.30, p<.001), which could explain job satisfaction as 64.0%. The regression equation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F = 18.70, p<.001) As a result of the above study, the most important factor to improve the job embeddeness of nurses in public hospitals is hope, a sub-factor of psychological capital, and active program development is needed to enable nurses to have hope within the organization and increase self-elasticity. In addition,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a foundation for quality nursing, a sub-factor of the nursing work environment, and to properly provide manpower and resources to improve the quality of nursing to create an environment in which nurses in public hospitals can remain in the organization. Key words public Hospital nurses, job embeddedness, psychological capital, nursing work environment 본 연구는 경기도 소재 6개 공공병원에 근무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심리적자본, 간호업무환경이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22년 10월 25일부터 31일까지 경기도 소재 공공병원 근무하는 간호사 200명을 대상으로 심리적 자본, 간호업무환경, 직무착근도에 대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수집을 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4.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피어슨 상관관계수(Pearson's correlations coefficient), 다중회귀분석(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고, Scheffé test로 검정하였고,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공병원 간호사의 심리적 자본은 평균 3.32점, 간호업무환경 평균 2.43점, 직무착근도 평균 3.14점으로 나타났다. 2. 심리적 자본은 대상자의 연령(t=2.95, p=.034), 결혼상태(F=4.29, p=.015), 공 공병원 근무경력(F=2.72, p=.031), 직급(F=3.14, p=.046)에 따라 차이가 나타 났다. 사후검정 결과 30세 미만, 30~39세의 간호사보다 50세 이상의 간호사 들이 심리적 자본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나, 결혼상태, 공공병원 근무경력, 직급에서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환경은 대상자의 연령 (t=6.22, p<.001)에 따라 차이가 나타났으며, 사후 검정 결과, 50세 이상의 간호사들이 30~39세의 간호사들보다 자신의 간호업무환경을 긍정적으로 인 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착근도는 대상자의 연령(t=10.39, p<.001), 결혼상태(F=5.24, p=.006), 공공병원 근무경력(F=4.26, p=.003), 직급(F=7.98, p<.001)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사후검정 결과 50세 이상 의 간호사, 공공병원 근무경력 20년 이상인 간호사, 일반간호사보다 수간호 사에서 직무착근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심리적 자본, 간호업무환경과 직무착근도와의 상관관계를 확인한 결과, 대상 자의 심리적 자본은 직무착근도와의 관계에서 심리적 자본의 하부요인인 자 기효능감(r=.56, p<.001), 낙관성(r=.63, p<.001), 희망(r=.68, p<.001), 탄력성 (r=.62, p<.001)의 4가지 하부요인이 모두 직무착근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 는 것으로 나타났다. 간호업무환경과 직무착근도의 관계에서 간호업무환경 의 하부요인인 간호사의 병원정책참여(r=.60, p<.001), 인력과 자원의 적절성 (r=.63, p<.001),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r=.68, p<.001), 간호관리자의 능 력, 리더쉽과 지지(r=.58, p<.001), 간호사와 의사의 협력관계(r=.49, p<.001) 의 5가지 하부요인 모두가 직무착근도와 양의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 났다. 4. 대상자의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직무착근도에서 유의하게 차이가 난 일반적 특성인 연령과 결혼상태, 공공병원 경력, 직급과 심리적 자본 하위요인 4가지와 간호업무환경 하위요인 5가지를 모두 독립변수로 투입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직무착근도의 회귀분석 모형은 30세 미만(β=-.28, p=.028)과 30~39세(β=-2.26, p=.025), 인력과 자원의 적절성(β=.21, p=.005),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β=.18, p=.048), 희망(β=.30, p<.001)로 나타났으며, 이 모형은 직무만족도를 64.0%로 설명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회귀방정식은 통계적으로 유의했다(F=18.70, p<.001) 이상의 연구 결과 공공병원 간호사의 직무착근도를 증진시키기 위해 가장 중요한 요인은 심리적 자본의 하위요인인 희망이며, 간호사가 조직 내에서 희망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자아 탄력성을 높일 수 있는 적극적인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또한 간호업무환경의 하부요인인 양질의 간호를 위한 기반을 마련하고 인력과 자원의 적절한 공급을 통해 간호의 질을 높여 공공병원 간호사가 조직 내 잔류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해 주어야 할 것이다.

      • 공공병원 간호사의 소진 관련요인

        진유경 경희대학교 공공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3343

        Background Public hospital nurses are suffering from burnout due to higher fatigue and poor working environment than private hospital nurses and various and unreasonable demands of public services and medical vulnerable groups such as infection prevention and treatment. Purpose This study was aimed to examine the level of burnout and workload, co-worker support, mindfulness,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burnout relationships among public hospital nurses and relationship between them, and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on public hospital nurses’ burnout. Methods 206 nurses who are working in five public hospital have been considered as research sample. a five Public hospital in Seoul. For the study, to find the degree and differences between the demographic information about the quantity of workload in public hospital, co-worker support, mindfulness, and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and also to identify impact factors related to exhaustion, structured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Collected raw data was analyzed by SPSS 21.0 and to figure out the descriptive statistics and relation of each variable,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and multiple regression were applied. Findings The most important expected variable in nurse exhausting was workload, and co-worker support, and mindfulness follow the next. Burnout high when there is a lot workload. When they felt higher in co-worker support and higher mindfulness,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their burnout was low. Conclusions To prevent the burnout of nurses in public hospital,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of programs were required to enhance job restructuring and co-worker support. To build the environment of the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which is based on relationship and trust of organizing numbers, the leadership of superiors at work was required. Keywords : Burnout, Workload, Co-Worker Support, Mindfulness, Nursing organizational culture, Public hospital nurses 본 연구는 공공병원 간호사의 업무량, 동료지지, 마음챙김, 조직문화의 정도를 확인하고, 소진과 관련된 영향요인을 확인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연구대상자는 2019년 12월 16일부터 12월 31일까지 병원급 이상 공공병원 5곳에 근무하는 간호사로 설문에 동의한 206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WIN 21.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대상자의 각 변수에 대한 기술통계와 각 변수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해 t-test, 일원배치분석(ANOVA), 피어슨 상관관계(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다중회귀분석(Multiple Linear Regression)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공공병원 간호사의 소진 평균 점수는 5점 중 3.10점(SD=0.55)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소진 하위영역의 평균을 살펴보면 신체적 소진이 3.61점, 정서적 소진 2.94점, 정신적 소진 2.82점 순으로 나타났다. 공공병원 간호사의 업무량은 평균 점수 5점 중 2.96점(SD=0.67)으로 나타났다. 업무량의 하위 요인별 평균 점수를 살펴보면, 업무속도 31.3점, 양적 업무량 2.90점, 감정적 업무량 2.88점 순으로 나타났다. 공공병원 간호사의 동료지지의 평균 점수는 5점 중 3.70점(SD=0.55)으로 나타났다. 동료지지의 히위영역 평균을 살펴보면 신뢰로운 동맹 4.03점, 애착 3.94점, 조언 3.90점, 돌봄의 기회 3.68점, 사회적 소속 3.06점 순으로 나타났다.. 공공병원 간호사의 마음챙김의 평균 점수는 5점 중 3.84점(SD=0.69)으로 나타났다. 마음챙김의 하위영역 평균을 살펴보면 비판단적 수용 4.00점, 현재자각 3.95점, 주의집중 3.86점, 탈 중심적 3.55점 순으로 나타났다. 공공병원 간호사가 인식하는 조직문화 하위영역별 평균은 5점 중 위계지향문화 3.35점, 관계지향문화 2.96점, 혁신지향문화 2.68점, 업무지향문화 2.44점 순으로 나타났다. 2. 공공병원 간호사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소진의 차이에서는 나이(F=4.42,p=.013), 결혼유무(t=-3.38, p=.001), 근무형태(t=3.37, p=.001), 현 부서경력(F=3.31, p=.021), 직위(t=2.23, p=.045)에 따라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공공병원 간호사의 업무량, 동료지지, 마음챙김, 간호조직문화, 소진과의 상관관계 분석결과 업무량(r=.678, p<.001)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동료지지(r=-.244, p<.001), 마음챙김(r=-.400, p<.001), 조직문화의 하위영역 중 관계지향문화(r=-.422,p<.001), 혁신지향문화(r=-.266, p<.001), 업 무지향문화(r=-.165, p=0.18)는 모두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4. 공공병원 간호사의 소진의 관련요인을 확인하기 위하여 일반적 특성 변수 중 나이, 결혼 유무, 근무 형태, 현 부서경력, 직위의 변수를 더미 처리하여 입력방식을 통한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공공병원 간호사의 소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친 변수는 업무량, 마음챙김, 조직문화 중 하위영역인 관계지향문화였다. 회귀분석의 설명력은 58.0%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F=19.69, p<.001).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공공병원 간호사의 업무량, 마음챙김, 관계지향문화가 공공병원 간호사의 소진을 경감시키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따라서 공공병원 간호사의 소진 예방 및 경감을 위하여 업무의 재구성과 구성원 간 조직 내 서로 존중하고 신뢰하는 참여적인 분위기를 통한 가족적이고 유연한 관계지향문화 조성과 더불어 마음챙김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이 필요하다.

      • 공공병원 음압 격리병동 간호사의 COVID-19 확진자 간호 경험

        박지혜 중앙대학교 건강간호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3

        The COVID-19 pandemic exposes nurses who provide nursing care to threats from their physical health, mental well-being and ability to work. With the emergence of various new infectious diseases, it is very important to listen to and study the practical experiences of nurses in the medical field at this point in time when public hospitals are the mainstay of treat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a qualitative study to deeply understand the experience of nursing patients with COVID-19 in the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 of a public hospital and to explain the essential meaning. Interview data were collected using semi-structured questions from nurses caring for COVID-19 patients in isolation wards of public hospitals. A total of 12 subjects were enrolled. The data collection period was from January 8, 2021 to March 31, 2021. As a result of this study, the core and essence of the nurse's experience of caring for patients in the COVID-19 negative pressure isolation ward of a public hospital is 'jumping into the scene of a public disaster', 'calling and philosophy of a public hospital nurse', 'anguish in confusion with 'withstanding' and 'struggle with isolated patients'. Nurses performed nursing without prior knowledge of new infectious diseases, and experienced confusion in inaccurate response guidelines and systems. As a nurse, they did the best to treat patients by fulfilling responsibilities and vocation, and nurses were able to confirm that their fear was reduced and confidence was gained through education and training programs for medical staff in public hospitals. However, the anguish and endurance in the chaos continued, such as self-compulsiveness and isolation to take care of infectious disease patients and prevent the spread of the virus. Anguish and endurance in the chaos continued, such as isolation expressed as depression. Conflict with isolated patients deepened, and both patients and nurses felt sorry for the fact that basic human rights were not being respected in the harsh environment and circumstances. These results will provide an opportunity to discuss the stress of nurses who are struggling on the front line in preparation for the upcoming outbreak of a new infectious disease. Efforts to effectively improve infection control policies and measures necessary to support each other and recruit skilled personnel for infectious disease nursing will be required for social stability. COVID-19 감염병은 간호를 수행하는 간호사로 하여금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안녕, 직무능력으로부터의 위협에 노출 시킨다. 다양한 신종 감염병의 출현으로 공공병원이 주축이 되어 치료를 진행하고 있는 현 시점에 의료 현장에서, 실무적 환경에서 간호사가 경험하는 것을 이해하고 문제를 파악하며 설명할 수 있고, 그에 대한 해결방안을 찾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공공병원 음압 격리병동 간호사의 COVID-19 확잔자 간호 경험을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에 대한 본질적 의미를 설명하기 위한 질적 연구이다. 공공병원의 격리병동에서 COVID- 19 확진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반구조화 질문을 사용하여 면담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총 12명으로 자료 수집 기간은 2021년 1월 8일부터 2021년 3월 31일까지 수행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최종적으로 공공병원 COVID-19 음압 격리병동에서 환자를 돌본 간호사의 경험에 대한 핵심과 본질은 ‘공공재난의 현장으로 뛰어 듦’, ‘공공병원 간호사의 소명과 철학‘, ‘혼란 속의 고뇌와 견딤’, ‘격리 환자와의 투쟁’으로 나타났다. 간호사들은 신종 감염병에 대해 사전 지식 없이 두려운 상태에서 간호를 수행하였으며, 부정확한 대응 지침과 체계 속에 혼란을 경험하였다. 간호사로써 책임과 소명을 다해 환자 치료에 최선의 노력을 하였으며 공공병원 의료진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교육과 훈련 프로그램 등을 통해 두려움이 줄어들고 자신감을 얻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하지만 감염병 환자를 돌보며 전파 확산을 방지하기 위한 스스로의 강박과 고립이 우울감으로 표출되는 등 혼란 속에서의 고뇌와 견딤은 지속되었다. 격리된 환자와의 갈등은 깊어졌으며 환자도 간호사도 어쩔 수 없는 열악한 환경과 상황 속에 인간의 기본권이 지켜지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들은 향후 신종 감염병의 유행에 대비하여 일선에서 고초를 겪고 있는 간호사들의 스트레스에 대해 논의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할 것이며, 서로를 지지하고 감염병 간호에 숙련된 인력들을 충원하는데 필요한 감염 관리 정책과 조치, 사회적 안정에 있어 효율적인 개선의 노력을 위해 필요한 기초적 자료를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 결핵전문공공병원 간호사의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수행도 관련 요인

        이영옥 인제대학교 보건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33295

        결핵전문공공병원 간호사의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수행도 관련 요인 목적: 본 연구는 결핵전문공공병원 간호사의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수행도 관련 요인을 파악하여 간호사들의 결핵감염예방 능력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의 대상은 서울과 지방 소재 3개의 결핵전문공공병원 간호사 183명이며, 연구 도구는 지식, 태도, 수행, 일반적 특성, 결핵 관련 특성으로 구성된 자가 보고식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였고, SPSS/WIN Statistics Ver. 18.0을 활용하여 t-test, ANOVA, 상관분석, 다중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 결핵전문공공병원 간호사의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도 관련 요인에서 태도와 수행도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또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결핵관련 지식, 결핵감염관련 교육 이수 여부, 결핵감염관리지침서 숙지 여부, 결핵전문공공병원 근무기관, 결핵관련 근무 경력 등이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수행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확인되었다. 결론: 이상의 연구 결과를 기초로 고찰해 볼 때 결핵전문공공병원 간호사의 결핵감염관리에 대한 수행도를 높이기 위해서 결핵전문공공병원에서는 결핵감염 예방과 관련된 체계적인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정기적인 교육을 실시하여 긍정적 태도 변화를 유도하도록 하는 구체적 계획이 수립 시행 되어야 할 것이다. Related factor with Knowledge, Attitude, practical Skill about Tuberculosis Infection Control of nurses working in Tuberculosis special Public Hospitals Young Ok, Lee (Director: Prof. Park No Yai Ph. D) Department of Health Management Graduate School of Public Health, Inje University Objectiv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the related factor with knowledge, attitude, practical skill about tuberculosis infection control of the nurses working in tuberculosis special public hospitals to provide the basic data to provide the training program for improve the infection prevention abilities to prevention tuberculosis infection from one to the other. Methods: The data under study obtain from 183 nurses working three specialized tuberculosis public hospitals in Seoul and two other provinces. Detail data obtain by self-report structured questionnaires which composed with knowledge, attitude, practice, general characteristics, and tuberculosis-related characteristics analysing data using by SPSS/WIN Statistics Ver. 18.0, the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for the final result. Results: Based on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re are strong correlations between attitude and practice about tuberculosis infection control, and use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showed that factors which influence on practice included matter of completing the education related to tuberculosis infection, knowledge related tuberculosis control, experience of training related tuberculosis infection, understanding level of tuberculosis infection prevention guideline, experience of tuberculosis hospital and work experience of tuberculosis case care. Conclusion: All of above study shows, in order to improve the tuberculosis infection prevention ability of the nurses working in tuberculosis special hospital needs proper training program development and conduct the proper regular training that change the attitude practical skill to prevent the tuberculosis infection of the Tuberculosis special hospital.

      • 공공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과 직무 스트레스가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

        송우교 김천대학교 일반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33279

        This study is a descriptive study conducted in public hospital nurses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among emotional intelligence, job stress and job embeddedness. Als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termine the impact on job embeddedness. Through this study, we aim to provide basic data for human resource development management and program development to increase job embeddedn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49 nurses who worked more than six months at five public hospitals in G Provinc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from October 1 to October 17, 2023, using structured questions to conducting a online self-survey on general characteristics, emotional intelligence, job stress, and job embeddedness. To measure emotional intelligence, we used as the research tool translated by Hyeon woo Jeong (2007) was used the 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WLEIS) developed by Wong and Law (2002) which can be applicable to workers in various organizations. To measure job stress, we used 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y Ahn Mi-kyung (2003) which measure the stress experienced during work for nurses developed by Gu Mi-ok and Kim Mae-ja (1984). Job embeddedness was measured by using the clinical nurses’ job embeddedness tool developed by Park Soo-yeon (2020).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the SPSS Statistics 25.0 program.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were analyzed by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Emotional intelligence, job stress, and job embeddedness were analyzed by mean and standard deviation.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emotional intelligence, job stress, and job embeddedness according to the subjects' general characteristics were analyzed by using t-test, ANONA and the Scheff'e test was used as a post-hoc test.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tudy subjects' emotional intelligence, job stress and job embeddedness was analyzed by using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the effect of the subjects'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stress on job embeddedness was analyzed by using Multiple linear regression.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are summarized as follows. 1) The subject's emotional intelligence averaged 4.97±.76 out of 7, job stress averaged 2.49±.60 out of 5, and job embeddedness averaged 3.62±.45 out of 5. 2) Emotional intelligence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depending on the subject's age (F=2.969, p =.034).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job stress in age (F=4.257, p=.006), marriage (F=4.302, p=.015), family (t=-.470, p=.015), children (t=-.2.859, p=.005), type of work (t=2.265, p=.025). Job embeddedness was determined by age (F=6.926, p<.001), marriage (F=7.185, p<.001), family (t=3.304, p<.001), children (t=4.224, p<.001), working period (F=7.187, p<.001), position (F=5.994, p<.001), and type of work (t=-4.123, p<.001). 3) The subject's degree of job embeddedness has a positive correlation with emotional intelligence (r=.531, p<.001), while it has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stress with emotional intelligence (r=-.231, p=.005). We confirmed a correlation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intelligence, the higher job embeddedness, and the lower the job stress, the higher job embeddedness. 4) In the correlation between the sub-domains of emotional intelligence and job embeddedness, understanding of self emotional appraisal (r=.425, p<.001), others' emotional appraisal (r=.322, p<.001), and regulation of emotion (r=.433, p<.001), and use of emotion (r=.571, p<.001) showed a positive correlation. Sub-domains of job stress include heavy work load (r=-.174 p=.034), role conflict as a professional (r=-.178 p=.030), and problems of inter-personal (r=-.211 p=.010), inappropriate treatment and compensation (r=-.198p=.015)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job embeddedness. 5) The affecting the subjects' job embeddedness were variables use of emotion (β=.429 p<.001) and explanatory power on the job embeddedness was 33.1%.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the emotional intelligence of nurses in public hospitals, the higher their job embeddedness, and the lower their job stress, the higher their job embeddedness. In addition, it was confirmed that use of emotion sub-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 is a variable that affects job embeddedness. In order to increase job embeddedness, it is necessary to develop programs and education that can reduce job stress and strengthen emotional intelligence. 본 연구는 공공병원 간호사들의 감성지능과 직무스트레스, 직무착근도의 정도와 관련성을 확인하고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을 밝혀 효율적 인적 자원 관리의 자료로 제공하고자 시행한 서술적 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G도 소재 5개 기관의 공공병원에서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로 총 149명이었다. 자료수집은 2023년 10월 1일부터 2023년 10월 17일까지 구조화된 설문지를 이용하여 일반적 특성, 감성지능, 직무스트레스, 직무착근도에 대한 온라인 자가 설문을 작성하도록 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감성지능을 측정하기 위해 Wong and Law(2002)가 다양한 조직의 근로자에게 적용할 수 있도록 개발한 감성지능 측정도구(Wong and Law Emotional Intelligence Scale, WLEIS)를 정현우(2007)가 번역한 측정도구를 사용하였으며 직무스트레스에 관한 측정도구는 구미옥과 김매자(1984)가 간호사를 대상으로 개발한 근무 중 경험하는 스트레스 측정도구를 안미경(2003)이 수정․보완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직무착근도는 박수연(2020)이 개발한 임상간호사의 직무착근도 도구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 분석은 SPSS Statistics 25.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은 빈도, 백분율, 평균 및 표준편차로 분석하였고 감성지능과 직무스트레스, 직무착근도 정도는 평균과 표준편차로 분석하였다.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성지능, 직무스트레스, 직무착근도의정도 차이는 t-test와 ANONA를 이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사후 검정은 Scheffe‘s test를 이용하였다. 연구 대상자의 감성지능, 직무스트레스, 직무착근도의 상관관계는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로 분석하였으며 대상자의 감성지능과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착근도에 미치는 영향은 Multiple linear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대상자의 감성지능은 7점 만점에 평균 4.97±.76점이었고, 직무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평균 2.49±.60점이며 직무착근도는 5점 만점에 평균 3.62±.45점으로 나타났다. 둘째,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감성지능은 대상자의 연령(F=2.969, p=.034)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스트레스는 연령(F=4.257, p=.006), 결혼상태(F=4.302, p=.015), 동거가족 유무(t=-.470, p=.015), 자녀유무(t=-2.859, p=.005), 근무 형태(t=2.265, p=.025)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무착근도는 연령(F=6.926, p<.001), 결혼상태(F=7.185, p<.001), 동거가족 유무(t=3.304, p<.001), 자녀 유무(t=4.224, p<.001), 근무 경력(F=7.187, p<.001), 직위(F=5.994, p<.001), 근무형태(t=-4.123, p<.001)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대상자의 직무착근도는 감성지능(r=.531, p<.001)과 양의 상관관계가 있었고 직무스트레스(r=-.231, p=.005)와는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직무착근도가 높았으며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착근도는 높아지는 상관관계를 확인하였다. 넷째, 감성지능의 하위영역과 직무착근도의 상관관계에서 자기감성이해(r=.425, p<.001), 타인감성이해(r=.322, p<.001), 감성조절(r=.433, p<.001),감성활용(r=.571, p<.001)은 양의 상관관계를 나타내었다. 직무스트레스 하위영역과 직무착근도의 상관관계를 보면 업무량 과중(r=-.174, p=.034), 전문직으로서 역할갈등 (r=-.178, p=.030), 대인관계 상의 문제(r=-.211,p=.010), 부적절한 대우와 보상(r=-.198, p=.015)은 직무착근도와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섯째, 대상자의 직무착근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감성활용(β=.429,p<.001)로 나타났으며, 직무착근도에 대한 설명력은 33.1%이었다. 이상의 결과를 통해 공공병원 간호사의 감성지능이 높을수록 직무착근도가 높으며 직무스트레스가 낮을수록 직무착근도는 높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감성지능의 하위영역인 감성활용이 직무착근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임을 확인하였으며 직무착근도를 높이기 위해서 직무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감성지능을 강화할 수 있는 프로그램과 교육 개발이 필요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