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대학 캠퍼스 공간운용현황 평가에 관한 연구

        이재욱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국내 구조개혁을 진행하고 있는 상황 속에서 대학 캠퍼스 공간운용현황 평가요소를 개발하는 과정으로 공간관리업무의 흐름을 분석을 통해 공간등록/정보관리, 공간배분/현황관리, 공간예약/활용, 공간운영/유지관리, 공간수요관리의 과정으로 이어지는 공간관리 단위업무를 설정하였으며, 5가지 공간관리 단위업무와 이 단위업무에서 생산되는 데이터인 공간면적, 공간용도, 교육과정, 예약정보, 수용인원 등의 데이터들 간의 상관성 분석을 통해 공용공간 활용율, 강의별 좌석 점유율, 용도별 공간 구성 비율, 1인당 점유면적(단위면적), 공간별 공유지수, 교육과정 수업 구성 비율 등의 7가지 공간운용 평가지수로 설정 할 수 있었다. 이렇게 설정된 공간운용 평가지수는 기존의 공간운용현황을 평가하게 됨으로서 공간운용의 현황을 평가할 수 있으며, 공간수요 예측 및 관리를 위한 첫 단계로 볼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가장 핵심적인 것은 공간관리 단위업무에서 생산되는 데이터가 공간운용 평가를 통해 재생산되는 새로운 정보, 즉 공간운용에 대한 지식이 업무적 상관성의 유?무에 관계없이 부서들 사이의 정보를 공유?활용하여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고, 그것을 새로운 정보로 활용하여 또 다른 새로운 지식을 생산해 내는 것이다. 따라서 공간운용 평가지수는 공간운용 현황을 평가함으로서 단순한 데이터로 끝나는 것이 아닌 부서간의 공유를 통해 새로운 지식으로 축적되어 지식관리시스템의 하나로 정립되어야 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공간운용 평가지수는 C대학의 단위건물에 적용하였으나 대학 전체를 대상으로 적용한 경우와의 차이점은 적용 대상 건물 수의 확대와 계열별 구분에 따른 분석이다. 본 연구는 시스템화를 통한 평가를 진행하지는 않았지만 차후에는 대학별 정보화에 따른 행정정보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상시적으로 공간에 대한 평가를 진행 할 수 있는 시스템으로 발전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공간과 관련된 모든 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로 구축되어 교육과정 데이터와 연동되어 데이터를 재생산함으로서 공간의 재배분 및 시설확충, 대학경영을 지원하도록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본 연구를 기반으로 캠퍼스 시설의 공간의 효용성을 평가함으로서 대학의 현실적 여건에 적절한 공간 활용과 공간관련 각종 의사결정을 효율적으로 지원하고 나아가서는 대학경영을 지원하게 될 경우 다음과 같은 효과가 기대된다. - 구체적인 효과로서 가장 중요한 의미는 매학기 운영되는 시간표에 따른 공간의 활용과 각종 행사 및 비정기적인 활용에 따른 공간 배정 및 사용을 평가함으로서 공간 활용의 편중을 해결 할 수 있으며, - 이러한 데이터가 수년간 축적되어 진다면 각 학과(부)의 공간의 배분에 대한 만족도를 높일 수 있으며, - 공간 활용의 효용성이 증대되어 공간 활용율 또한 증대 될 것으로 기대되며, 새로운 시설수요에 대한 합리적인 의사결정 자료로 활용됨으로서 시설투자와 관련되는 기획예산을 합리적으로 편성할 수 있는 근거자료로 활용 될 것이다. - 또한 공간운용현황에 대한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평가함으로서 공간운용에 대한 기초적인 자료로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This study is a part of the process to develop evaluation elements of the present situation of use of space on the university campus, in the present condition where university structural reform around the country is under progress. In this study, the space management unit business was established, that is, space registration/information management, space distribution/present status management, space reservation/use, space operation/maintenance management, and space demand management, which were all connected as one process, through the analysis of the flow of space management business. Also, five space management unit businesses and the data produced by this unit business, space name, space scope, space use, curriculum, space reservation information, and the number of persons to be admitted, were processed by the correlation analysis among data, and seven space working evaluation index were established, which are the use rate of the space for common use, seat occupancy rate of each lecture, space composition rate of each use, the occupancy area per person (unit area), common use index of each space, and the composition rate of the classes in the curriculum. These space use evaluation index set up by this process can be used to evaluate the status of the existing space use, and this is the first step to space demand predict and management. The key in this process is that the data produced in the space management unit businesses, the new information regenerated by space use evaluation, that is, the knowledge on space use, create new knowledge by sharing and using the information among departments, which is used again to produce another new knowledge, regardless of the existence of correlations of business. Therefore, space use evaluation index, used to evaluation the space working condition(present condition of space use), should be accumulated as new knowledge through sharing among departments, rather than being treated just as simple data, and should become one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The space working evaluation index that was suggested in this study was applied the unit buildings of C university, in which case, the differences from the case of being applied to the whole university were the extended number of buildings for application, and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each system. In this study, the evaluation by systematization was not conducted, but in the following researches, the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into the one where the evaluation on the space can be performed at all times through the linkage with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built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in university. All data related to space can be accumulated as database, and made use of to support re-distribution of space, expansion and improve of facilities, and university management by re-creating data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data. When the efficiency of the space of campus facilities are evaluated based on this study, and when proper space use for the practical conditions of universities and various decision making related to the space, and furthermore, the university management are effectively supported, the following results are expected to be made. - The most important meaning as a specific result is that the heavy use of certain space can be solved by evaluation the space distribution and use according to the space use by the class schedules of each year and the space use by different events and irregular use. - If this data is accumulated for several years, the satisfaction with the space distribution of each department can be enhanced. - It is expected that the increased efficiency of space use will also cause better space use. It can be also used as the data to make a reasonable decision on the demand for new facilities, and as the ground data to make a budget for facilities investment more reasonably. - Also, it can be used as the basic data for space use, when the data of the space working condition is regularly evaluated.

      • 지속가능한 해양이용을 위한 생태계기반 공간관리에 관한 연구 : 한반도 주변해역을 중심으로

        이문숙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박사

        RANK : 248703

        Increasing demand for different marine space use is causing multiple conflicts and disputes. This study has been carried out from the perspective that widely-used existing marine spatial management approach is limiting the sustainable use of marine space. The ultimate objectives of this research are to clarify that the ecosystem-based approach is the most important and propose marine spatial planning is an important tool to achieve sustainable marine use. It means that continuous utilization of marine space in the future requires integrated and holistic management principles as well as practical measures fore the realization of such management demand. Four separate but interrelated steps were taken for this study. Firstly, the study analyzed disarrayed and often tangled concepts of marine spatial management and their relationship with marine spatial planning. The analysis also considered limitations when using the existing marine spatial management approaches. Secondly, the study investigated means and approaches used in land-space planning which has much longer history and experience in spatial management, and implications were drawn out on the marine spatial management methods. Thirdly, necessity of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management was documented through case study analyses. Lastly, as a conclusion, the study presented directions and various options which can be applied to realize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management in the marine water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management generally encompass overall space-based actions in all human activities of usage, conservation and development of marine resources for different purposes which are practiced in consideration of ecosystem and its services. It can employ available social, institutional and technical means to allow marine-use activities by human for appropriating environmental capacity and emphasizing the ecological system. Marine spatial planning is the core of such approach. The marine spatial planning has a spatial contrast to land-use planning which has long been employed the core concept of sustainable spatial management for land sector but conceptually similar in general ideas. The main point of land-use planning is based on prediction of future economic and social changes, most desired human activities are selected for the limited land space as well as determine the level of those human activities. Such planning quantitatively distributes the land spaces for reasonable land-use management, determines locations by functions, and presents evidence for operational basis for implementation and enforcement measures such as land-use regulations. In this study, implications were drawn out for marine spatial planning based on analyses concerning future prediction, space allocation planning method for the land-use planning as well as the process of planning and support system. Korea's marine space management is achieved by use-practice management policy system, and integrated coastal zone management policy system based on individual laws and regulations. These practices are limited because they lack detailed space management measures for operating spatial management, determining functional type and activity level of space based on sectoral approach. In order to overcome such limitation, introduction to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management approach method is necessary for managing resource-use demand by considering human activity as part of ecosystem components. In other words,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management fuses the theoretical concepts of ecosystem-based approach to marine space management, and introduces conceptual management principles and methodology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the existing space management approach. In this study, such concept has been verified by analyzing the cases of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planning applied in Europe, Australia, and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Finally, core principles, application directions, and the basic process of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planning are proposed to overcome the limitations in the existing and traditionally used approach in absence of specific space management measures for operating spatial management based on the sectoral approach and for determining functional type and activity level of space for the marine ar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The core principles of establishing and implementing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planning for marine areas around the Korean peninsula would be maintaining a healthy ecosystem, integration, trust and transparency, cooperation, and science-based. The application directions are proposed as follows : (1) providing a motivating basis and main driving groups for the planning, (2) internalizing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of stakeholders within the planning system, (3) assessing environmental capacity and suitability of space utilization, (4) future prediction and rational space allocation, (5) science-based marine spatial use planning for supporting decision making, (6) elucidating relationship with the existing marine spatial management related systems, (7) implementation measures for marine spatial planning. Lastly, marine spatial planning process is presented as follows : (1) establishing goals and objectives, (2) analyzing stakeholders, (3) assessing utilization appropriateness and accommodation capacity of environment, (4) predicting future and rational allocating of spaces, (5) proposing achievable and realizable measures and selecting final options, (6) confirming the planning, (7) implementing the planning, (8) evaluating and improving the planning. The primary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the study dealt with achievable and practical measures to realize and verify that the alternative to spatial management for sustainable marine use depends on application of ecosystem-based approach measures in that the concept of ecosystem-based approach is linked to 'sustainable use' principle. Another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is that it differentiated and elucidated disarrayed ideas of marine spatial planning into the concept of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management and marine spatial planning. Concepts, procedures, and methodologies to land-use planning which is key tools of land spatial management are set as corresponding concepts of marine spatial planning and implications are drawn out and ascertained. Thus this can be used as a model in the future for specific research studies on prediction, position allocation, capacity calculation, and other concepts of marine spatial planning. In conclusion, by presenting directions for marine spatial planning for the marine areas around the Korea peninsula, this can be used as supporting material for practical policy-decision making in promoting marine spatial planning and institutional improvement of Korea's ecosystem-based marine spatial management.

      • 연속미디어 디스크 캐쉬를 위한 디스크 공간관리 기법

        文星 충남대학교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2

        Recent advances in computing and communication make on-line access to multimedia information both possible and cost-effective. Some media such as video and audio are classified as continuous media(CM) because they convey meaning only when presented in time. The design of services to support CM differs significantly from that of services to support only traditional textual and numeric data because of large storage and high bandwidth requirements. High cost per gigabyte of disks makes them impratical as the sole storage medium for a large-scale server. For large-scale servers, economics will dictate the use of large tertiary storage devices such as tape library and optical jukeboxes. In this environment, Disks are used as a cache for CM data. For managing a CM disk cache effectively, disk storage manager should consider both the allocation/deallocation pattern of a disk storage and the pattern of a disk i/o scheduling algorithm. But existing disk storage managers have considered only the pattern of a disk i/o scheduling algorithm. So we analyzes both the affect of the allocation/deallocation pattern of a disk storage and the pattern of disk i/o scheduling algorithm. We suggest the effective disk storage management technique that is considered both the allocation/deallocation pattern of a disk storage and the pattern of a disk i/o scheduling algorithm. And we simulated the performance of our disk storage managements technique and a existing technique.

      • 지식산업센터의 공용공간 개선 연구

        권영훈 서울시립대학교 도시과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2

        지식산업 및 정보화시대를 맞이하였으며, 그 결과 사물인터넷(IOT), 정보통신기술(ICT), 클라우드를 통해 사람과 사물이 서로 연결되고,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등으로 더욱 지능화된 4차산업 혁명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지식산업센터도 크게 변하고 있다. 도입 초기 제조업 중심의 아파트형 공장(지식산업센터)에서 지식산업 및 정보통신산업, 벤처산업 등으로 산업구조가 변화하고 있다. 이로 인해 단순하고 폐쇄적인 공장에서 벗어나 다양한 지원시설과 입주업종의 규제 완화 등을 통해 복합적이고 개방적인 공장으로 많은 변화를 가져오고 있다. 특히 최근 사회문제로 대두되고 있는 COVID-19와 같은 바이러스의 감염 차단을 위한 고민과 인권 사각지대에 놓인 건물관리자들의 활동공간 등 공용공간에 관한 관심이 더욱더 커지고 있다. 최근 공급되는 지식산업센터는 민간주도의 분양사업이 대부분으로 사용자를 위한 편익보다는 공급자의 수익성에 중점을 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민간과 공공 각자의 역할분담으로 환경과 제도를 개선하고 관리자와 입주자 등 사용자에게 높은 만족도와 입주기업의 기업활동을 지원하는 등 수준 높은 공용공간이 요구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식산업센터의 도입배경과 시대적 변화, 관련법과 제도 등을 고찰하고 아파트형공장에서 지식산업센터로 명칭이 변경된 2010년부터 2021년 현재까지 서울과 경기 등 수도권에 공급된 30개 지식산업센터의 사례조사와 분석을 통해 문제점 도출과 개선사항을 제시하고, 사용자의 편익을 고려한 지식산업센터의 공용공간 개선방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세부연구내용은 건물 유지관리와 입주자의 업무지원을 위한 관리공간, 이용자들의 이동을 위한 이동공간, 건강과 위생을 위한 위생공간, 휴식과 사색을 위한 휴게공간 등 4가지 공용공간으로 분류하였다. 분류된 공용공간을 위치, 면적, 개수, 형태 등 각각의 특징과 실태를 비교 분석하여 문제점 도출과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제도적 측면과 계획적 측면으로 나누어 다음과 같은 결론을 도출하였다. 제도적 측면으로는 첫째 「산업집적활성화 및 공장설립에 관한 법률」에 근거한 산업통상자원부 고시를 통해 지식산업센터 가이드라인 마련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공용공간에 대한 기준이 없어 연구대상마다 면적과 형태, 위치, 개수 등이 서로 달라 상호 연관성을 찾을 수 없었다. 특히 관리공간 중 관리사무소는 96.7%, 용역원실은 100%가 지하에 위치해 환경이 열악한 상태로 조사되었다. 지식산업센터 가이드라인 마련이 공용공간 환경을 개선하는 좋은 방안이라 판단된다. 둘째, 기준과 지침 준수 시 용적률과 높이 완화, 세제 혜택 등 인센티브 제도 도입을 통해 사업참여 기회를 확대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분석결과 민간주도의 공급비율이 전국기준 92.4%, 본 연구대상은 100%로 조사되어, 민간이 스스로 공용공간을 개선하는 데 한계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었다. 휴게공간 중 공개공지는 용적률 완화적용을 받은 비율이 연구대상 전체의 50%로 사업환경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앞으로 확대시행 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셋째, 건축계획 기준과 기반시설이 우수한 계획입지의 공급확대와 공공주도형 지식산업센터의 공급확대로 공용공간에 대한 기준 제시와 함께 선도적 역할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사업의 이익을 추구하는 민간주도형의 공급으로는 공용공간 개선에 한계가 있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분석결과 계획입지가 연구대상 전체의 46.7%(전국 40.2%)로 공개공지 등 기반시설에 대한 인프라 구축이 잘되어 있었고, 현재 전국기준 공공주도의 공급비율이 7.6%로 공급을 확대하는 것이 공공의 선도적 역할로 공용공간 개선에 효과적인 방안이라 판단된다. 계획적 측면으로 첫째, 관리공간은 채광과 환기, 안전 등을 고려하여 선큰의 활용이나 지상에 계획하고, 각 실은 남녀의 특성을 고려하여 분리 배치해야 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분석결과 용역원실의 경우 87%가 지하에 있어, 채광과 환기가 열악한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미설치 비율이 13.3%, 남녀 구분이 되지 않은 비율도 16.7%로 조사되었다. 채광과 환기, 안전에 대한 기본적인 개선책으로 관리공간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둘째, 이동공간은 출입 통제시스템 적용과 비즈니스 기능을 도입하고, 엘리베이터 간 거리 기준을 마련하고 홀의 너비 등을 업무시설의 기준에 맞게 확대 도입해야 할 것으로 분석되었다. 분석결과 방문자의 출입을 통제하는 출입통제 시스템 적용 사례는 없었으며, 라운지와 같이 휴게와 대기, 비즈니스가 가능한 다목적 공간을 제공한 비율은 전체의 10%로 조사되었다. 엘리베이터의 배치형식은 분산형이 전체의 53.3%로 연면적 60,000㎡를 초과하는 대상에서 적용되었다. 엘리베이터 홀의 너비는 평균 3,355mm(업무시설기준 4,000mm)로 조사되었다. 업무시설의 기준을 도입하는 것이 이동공간을 개선하는 효과적인 방안이라 판단된다. 셋째, 위생공간은 입주자용 샤워실을 추가로 설치하고 샤워. 탈의. 화장실은 같은 영역에 배치하고, 입주업종의 특성을 고려하여 남녀의 비율을 적용해야 하는 것으로 연구되었다. 분석결과 연구대상 중 입주자용 샤워실을 제공한 사례는 없었으며, 샤워 탈의 화장실을 함께 갖춘 비율은 전체의 23.3%로 낮았고, 미설치한 비율도 36.7%로 위생에 대한 환경이 열악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화장실 변기의 남녀비율은 정책적인 이유로 2000년대 중반 이후부터 비슷한 비율로 나타나고 있었다. COVID-19로 전염병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는 요즘 중요한 대안이라 판단된다. 넷째, 휴게공간은 공개공지 범위확대와 함께 층별 휴게시설을 확대하고 운동기능과 휴게기능 등 다양한 기능의 휴식 공간을 도입해야 하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분석결과 공개공지는 현행법상 100%가 지상에 설치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간층과 지붕을 활용한 옥상 휴게공간의 비율은 전체의 83.3%로 조사되었다. 중간층의 휴게공간이 분양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되므로, 공개공지를 지상층의 외부공간까지 확대하는 방안을 도입해 사업자와 관리자 모두에게 이득을 주는 것이 휴게공간을 확대하는 데 있어 효율적인 대안이라 판단되었다. 실내 휴게공간은 인터넷과 시청각, 운동이 가능한 설비를 갖추는 것이 휴게공간을 개선하는 효과적인 방안이라 판단된다. 본 연구는 지식산업센터의 공용공간을 주제로 조사하고 분석하여 문제점 분석과 함께 개선점을 도출하였다. 연구대상이 공공과 임대를 제외한 민간공급과 분양형 센터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고, 전국이 아닌 서울 경기를 대상으로 한정해 특징과 상관관계를 분석하는 데 한계가 있었다. 추후 연구에서는 다양한 공급방식과 전국을 대상으로 제도적인 개선과 함께 건축계획의 방향을 제시하는 연구가 진행될 수 있기를 바란다. 주요어 : 공용공간, 관리공간(관리사무소, 회의실, 용역원실, 우편물수취함, 무인택배보관소, 재활용품보관소, 주차장), 이동공간(로비, 복도, 엘리베이터, 엘리베이터홀), 위생공간(화장실, 샤워실, 탈의실), 휴게공간(휴게실, 공개공지, 옥상휴게공간) With the advent of the knowledge industry and informatization era, humans and objects are now connected to each other through the Internet of Things (IOT),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s Technologies (ICT) and digital clouds. In the midst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big data and artificial intelligence have become more intelligent. Consequently,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is undergoing significant changes. First of all, the industrial structure has changed from a manufacturing-driven industry (flatted factory building) to a knowledge industry, information communications industry and venture industry (knowledge industrial center). This in turn has brought many changes from simple and closed factories to complex and open factories due to the presence of various support facilities and deregulation of industrial classification. In particular, there has been growing interest in public spaces, such as activity spaces for building managers who are often neglected vis-à-vis human rights, along with increasing concerns about the COVID-19 pandemic, which has recently emerged as a social issue. Most of the recent knowledge industrial centers implement privately-initiated presale projects, showing a tendency to focus on the supplier’s profit margins rather than on the user’s benefits. Therefore, a high level of public space is needed to improve the environment and system via a well-designed division of roles between public and private sectors, meet the needs of managers and occupants, and support the business activities of tenant companies. In this regard, this study fought to examine the introduction background of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changes over time and relevant laws and institutions, derive problems and improvements based on a case study and analysis of 30 knowledge industrial centers supplied to the Metropolitan area including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rom 2010, when the name was changed from the flatted factory building to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to 2021, and suggest a method to improve the public space of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considering the user’s benefits. The details of the research contents are as follows. The public spaces were divided into four different places: management spaces for building maintenance and support for occupants’ business, moving spaces for users’ movement, sanitary spaces for health and hygiene, and rest spaces for relaxation and contemplation. The characteristics and actual conditions of each public space, such as location, area, number and shape, were compared and analyzed to derive problems and suggest improvements. The following conclusions were drawn from both institutional and planning aspects. In terms of the institutional aspect, the research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devise guidelines for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through the announcement of the Ministry of Trade, Industry and Energy based on the 「Industrial Cluster Development and Factory Establishment Act」.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no correlation could be found between the research subjects with different areas, shapes, locations or numbers due to the absence of standards for public spaces. In particular, 96.7% of management offices and 100% of subcontracted workers’ rooms were located in underground spaces with poor environmental conditions. It is thus adjudged that the establishment of guidelines for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is a good method to improve the environment of public spaces. Second, it is necessary to expand opportunities for business participation through the introduction of incentive systems such as the relaxation of regulations on floor area ratio and height, and tax benefits when standards and guidelines are complied with The analysis found that the privately-initiated supply ratio was 92.4% on a national scale, and the ratio of the research subject was 100%, which suggests that there is a limit to the private sector’s self-improvement of public spaces. Among the rest areas, the ratio of relaxed floor area ratio applied to the privately-owned public space was found to have a significant impact on the business environment as it was 50% of the total research subjects, and the expansion should be required in the future. Third, there is a need to present standards for public spaces and take a leading role with the expanded supply of planned locations with excellent architectural planning standards and infrastructure, and publicly-initiated knowledge industrial centers. The research revealed that a privately-initiated supply that pursues business profits poses limitations in improving public spaces. The analysis results also showed that the planned location was 46.7% (40.2% nationwide) of the total research subjects, indicating that infrastructure, such as privately-owned public spaces, is well built, and the present publicly-initiated supply ratio is 7.6% nationwide. This suggests that the public sector’s taking a leading role in expanding supply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public spaces. The research findings from the planning aspect are as follows. First, the management space should be planned in the sunken space or on the ground in consideration of lighting, ventilation and safety, and each room should be placed separately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men and women, respectivel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87% of the subcontracted worker’s rooms were located in the basement with poor lighting and ventilation. The non-installation ratio was 13.3%, and the ratio of no separation between men and women was 16.7%. Therefore, the improvement of the management space is needed as a basic improvement measure against the problems of lighting, ventilation and safety. Second, it is necessary to apply the access control system, introduce business functions, establish a standard for the distance between elevators, and expand the width of the hall to meet the standards of business facilities for the moving space. The analysis found that there were no cases in which the access control system was applied to control visitor access, and the ratio of providing multi-purpose spaces such as a lounge available for rest, waiting and business was 10% of the total. In the layout of elevators, the distributed type was 53.3% of the total, and it was applied to the target with a gross floor area of 60,000㎡ or more. The width of the elevator hall was 3,355mm (4,000mm for business facilities) on average. It is judged that the introduction of standards for business facilities is an effective method to improve the moving space. Third, the sanitary space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an additional shower room for occupants. In addition, shower rooms, dressing rooms and toilets should be placed in the same area, and the ratio of men to women should be applied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tenant business category. The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cases where a shower room was provided for occupants among the research subjects. The installation ratio of shower rooms, dressing rooms and toilets altogether was low at 23% of the total, and the non-installation ratio was 36.7%, indicating poor sanitary environments. The proportion of males to females for toilet bowls has been similar since the mid-2000s due to policy and institutional reasons. It is considered to be an important alternative nowadays as the overall interest in the prevention of epidemics rises due to the outbreak of COVID-19. Fourth, it was found that for the rest space, it is necessary to expand rest facilities for each floor along with the expansion of the privately-owned public spaces, and to introduce places to relax with various functions for exercise and relaxation. The analysis also found that 100% of privately-owned public spaces were installed on the ground under the existing laws. The ratio of the rooftop rest space using middle floors and roofs was found to be 83.3% of the total. Since the rest space of the middle floor has a large impact on the sale, it is an effective alternative plan to expand the privately-owned public spaces to the external spaces of the ground floor to give benefits to both the operator and the manager. In addition, it is adjudged that for the indoor rest spaces, it is an effective method to install the Internet, audiovisual and exercise facilities for the improvement of the rest space. This study sought to investigate public spaces in light of the knowledge industrial center, analyze its problems and derive improvements. However, it poses some limitations in analyzing the characteristics and correlations because the research scope was limited to privately-supplied and sale-type centers, except for public and rental ones, and the research area was also limited to Seoul and Gyeonggi Province. For future work, it is hoped that research intended to suggest directions for architectural plans will be conducted on various supply methods and all parts of the country, along with institutional improvements. Keywords: Public space, management space(management office, conference room, subcontracted worker’s room, mail box, unmanned courier locker, recyclables storage, parking lot), moving space(lobby, hallway, elevator, elevator hall), sanitary space(toilet, shower room, dressing room), rest space(lounge, privately-owned public space, rooftop rest space)

      • SAN 논리볼륨 관리자를 위한 매핑관리자와 자유공간관리자의 설계 및 구현

        崔永熙 순천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48702

        A new architecture called the Storage Area Network(SAN) was developed in response to the requirements of high availability of data, scalable growth, and system performance. In order to use SAN more efficiently, most SAN operating systems support storage virtualization concepts that allow users to view physical storage devices attached to SAN as a large volume virtually. A logical volume manager plays a key role in storage virtualization. A logical volume manager consists of a configuration manager, I/O manager, a mapping manager and a free space manager. The configuration manager reconfigures physical disk devices on SAN into a logical volume. The I/O manager processes real inputs and outputs on SAN. The mapping manager translates the logical address of the upper module into the address of a particular physical device. Finally, the free space manager allocates the space required for storing new data and deallocates the unused space. Particularly the mapping manager and the free space manager have a major influence on the performance of the logical volume manager. A mapping manager plays a key role that the logical volume manager virtualize the storage of SAN. It also makes possible to support the on-line backup using snapshot, on-line volume reconfiguration by the attachment/detachment of disks, and on-line load balance for improving I/O performance. The free space manager maintains information on the free space of logical volume and appropriately allocates the disk for disk requests. How it maintains the free space effectively affects the overall performance of logical volume. In this dissertation, we design and implement efficient and flexible mapping methods for logical volume manager. The proposed mapping methods are the mapping method based on the mapping table and the hybrid mapping method based on the mapping table and the formula. The mapping method in this dissertation supports a snapshot that preserves a volume image at certain time and on-line reorganization to allow users to add or remove storage devices to/from SAN even while the system is running. In order for mapping managers to process snap-shots and reorganizations, an efficient freespace manager is required, and it affects the overall performance of logical volume. In this dissertation, we also design and implement a freespace manager for logical volume manager that aids flexible mapping. The freespace manager efficiently allocates physical blocks for logical blocks. Also, it processes space allocation requests to supports snapshots and reorganizations. In this dissertation, in order to verify the performance of the proposed methods, we perform the performance evaluation in the various environments. We show through the performance evaluation that our hybrid method achieves the same performance and degrades about 28% performance over the pool of GFS in terms of the average response time on the read and write operations. However, the proposed methods efficiently support the resizing and snapshots that the formula method does not provide.

      • 우리나라 해양공간관리 체계 정립에 관한 연구 : 해양지적제도 도입을 중심으로

        이진형 목포대학교 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8702

        2000년대 이후 국제사회는 해양자원 및 공간에 대한 이용개발 잠재력과 다양한 부가가치 창출 가능성에 주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는 해양국가로 이러한 환경적 요인에 의하여 어업, 휴양, 천연자원, 운송로 등 여러 가지 형태로 잠재력을 보유하고 있다. 이렇듯 해양은 사회·문화·경제적인 면에서 중요도와 가치가 대단히 높아져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우리나라에서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해양공간관리 제도가 존재하지 않고 생소한 개념으로 취급받는 실정이다. 해양공간관리는 체계적인 관리체계 미비로 개발·관리에 있어 효율성이 떨어지고 지방자치단체 마다 각기 다른 경계설정방식 때문에 각종 경계 분쟁이 속출하며, 관리와 책임의 기준이 모호하기 때문에 해양환경 악화, 어장 환경훼손 등 각종 사회적인 문제가 심각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해양공간관리의 개념 정립과 제도 도입의 필요성을 바탕으로 우리나라 해양공간관리 체계를 정립하고 해양공간관리의 방안으로 해양지적 도입을 논의 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해양공간관리의 개념·범위·구성요소 등을 검토하고, 해양공간관리 제도를 성공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외국의 사례와 비교·분석하여 우리나라의 환경에 적합한 해양공간관리 제도 도입에 대해 중점적으로 연구를 하였다. Since 2000's, international society has focused on utility potential and a possibility to create a variety of values-added to marine resources and ocean space. Korea has such potential in various forms such as fishery, rest, natural resources, and route according to the environmental factor which Korea is a maritime state surrounded by oceans. Like this, though the ocean is recognized as being important and having higher value in social, cultural, and economic aspects, it is actually recognized as a strange concept in Korea without professional and systematic marine spatial management system. Marine spatial management system is less efficient in development and management without equipping systematic management system and has serious social problems such as deterioration of marine environment and damage of fishery environment because various boundary disputes are caused due to different boundary settings for each local autonomous entity and the criteria of management and responsibility is vague. Therefore, the purposes of this study is to establish marine spatial management system in Korea based on the needs of establishing the concept of marine spatial management and of introducing the system and to discuss the introduction of marine cadastre as a plan of marine spatial management. To achieve such purposes, we are to review concept, range, components of marine spatial management, to compare, analyze the foreign cases successfully operating such system, and to study by focusing to the introduction of marine spatial management system suitable to Korean environments.

      • 대도시 쓰레기문제와 쓰레기 관리공간에 대한 연구 : 서울시 생활쓰레기 처리과정과 그 관리공간을 중심으로

        류효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0

        '쓰레기'는 도시의 탄생과 함께 발생한 개념이다. 도시의 고밀환경이 물질 순환에 필요한 충분한 시공간을 제공하지 못함에 따라 '쓰레기'가 발생하게 된 것이다. 산업혁명 이후 도시의 급속한 팽창, 다양한 인공재료 사용의 급증, 그리고 대량생산 대량소비의 사회체계는 '매립지 조성ㆍ소각ㆍ재활용'을 기본으로 하는 쓰레기 처리 방식을 낳았다. 한편 자본주의의 고도화에 따라 현대 도시가 생산도시에서 소비도시로 그 역할을 전환함에 따라 필연적 결과로 발생하는 대량의 쓰레기를 효율적으로 처리하는 것이 도시의 중요한 임무가 되었다. 그러나 건축ㆍ도시공간계획 분야에서 사람ㆍ 물류ㆍ정보의 순환에 대한 다양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것과 달리 쓰레기의 순환은 이로부터 거의 배제되어 왔으며, 그 결과 도시에서 쓰레기의 처리는 잉여공간 또는 공공공간에서 임시변통의 방식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서울의 경우 건축공간의 차원에서는 계단 아래ㆍ지하공간ㆍ건물 둘레의 오픈 스페이스 한 구석 등이, 도시공간의 차원에서는 길가ㆍ고가도로ㆍ철로ㆍ도시고속도로 등의 인프라스트럭쳐 주변, 공원ㆍ하천변 등의 공공공간에 붙은 공지 등이 주로 쓰레기의 관리가 이루어지는 공간이 되어 있으며, 이마저도 환경적ㆍ사회적ㆍ정치적 변화에 따라 수시로 그 존치가 논란이 되는 상황에 처해 있다. 본 연구는 먼저 도시의 쓰레기문제의 역사를 살펴보고 인류학자 메리더글러스의 ‘오염의 관념’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쓰레기를 인지하는 인간의 집단 의식을 고찰한다. 다음으로 서울시의 쓰레기 수거-처리 과정을 따라 단계별로 그 관리공간의 현황을 입지와 공간적ㆍ물리적 특성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마지막으로 ‘오염의 관념’과 쓰레기의 존재론을 통해 분석된 현실 공간을 해석함으로써 현대 도시의 쓰레기문제를 인식-행위-공간이 통합된 차원에서 파악하고자 한다. 연구 대상은 서울시의 생활쓰레기 처리공간으로 한다. 먼저 현지조사와 관련자 인터뷰를 통해 서울시 생활쓰레기 처리과정을 체계적으로 파악하고, 쓰레기 관리공간을 처리단계별로 구분하여 그 공간의 현황을 분석한다. 세부적으로는 먼저 서울의 주거지 구성을 크게 단독ㆍ다가구주택 아파트단지로 나누어 쓰레기 배출공간의 양상을 배치와 물리적 요건을 중심으로 분석하고, 다음 단계인 자치구별 생활쓰레기적환장을 입지 요건과 공간특성, 주변지역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는 공간의 관점에서 대도시 쓰레기 문제를 다룬다는 점에서 기존의 처리기술이나 행정 중심의 폐기물 연구와 차별성을 가진다. 또한 인간의인식과 공간체계를 연결하는 현황 분석을 통해 도시의 쓰레기문제와 관리공간을 다루는 인지적 토대를 마련한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진다.

      • 대학 캠퍼스 공간운용 분석요소 활용에 관한 연구

        박건우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687

        산업의 형태가 변함에 따라 대학교육 수요자의 욕구도 다양해지면서 대학교육 환경도 빠른 속도로 변하고 있다. 그리고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는 저출산, 고령화 현상은 대입자원의 감소로 이어져 대학 공급 과잉현상을 더 심화시킬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대학교육 수요자의 다양한 욕구와는 반대로 수요자 감소로 인한 대학경영 위기에 대응하여 각 대학들이 특성화와 구조조정을 서두르고 있다. 국내 대학들은 학생자원의 격감, 고등교육시장 개방이라는 새로운 환경변화에 직면해 있을 뿐만 아니라 취약한 재정구조, 열악한 교육여건, 백화점식 학과설치 등 교육의 경쟁력의 측면에서 구조적인 문제를 안고 있다. 따라서 대학교육의 경쟁력을 제고하기 위한 최우선 정책과제는 대학들이 안고 있는 이러한 구조적인 취약점을 개선하기 위한 구조개혁이라고 볼 수 있다. 국내 대학의 내·외부적 경영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구조개혁 등의 구체적인 경영혁신 방안이 요구되었고 그러한 경영혁신의 합리성과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학의 정보화가 정책적으로 추진되었다. 이와 같은 대학 정보화 과정에서 현재의 국내 대학들은 학사행정시스템을 구축하여 관련된 각종업무를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는 반면에 시설관련시스템 구축은 미비한 상태로 운영되어지고 있다. 본 연구의 주요내용과 관련된 연구분야는 대학경영혁신, 캠퍼스 시설관리라고 할 수 있다. 국내 대학의 내·외부적 경영환경이 악화됨에 따라 구조개혁 등의 구체적인 경영혁신 방안이 요구되었고 그러한 경영혁신의 합리성과 효율성을 증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대학의 정보화가 정책적으로 추진되었다. 이와 같은 정보화는 인적, 물적 자원을 관리대상으로 손실이나 중복투자를 최소화하기 위해 양자간의 적절한 대응관계를 설정하기 위한 수단이다. 대학의 정보화는 주로 인적 자원이나 지적재산권을 대상으로 이루어져 왔으나 최근에는 시설, 공간 등과 같은 물적 자원에 대한 정보화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되었다. 대학교육의 질은 교육을 지원하는 시설의 질적 수준에 크게 영향을 받으며, 교육에 소요되는 비용 또한 교육의 질과 별개로 생각할 수 없는 문제이다. 따라서 보다 양질의 교육 및 연구 환경을 추구하는 것은 대학의 본능적인 의지이며, 그러한 의지가 새로운 시설수요를 끊임없이 발생시킨다. 이러한 관점에서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현재 C대학이 추진하고 있는 Project의 구체적인 실현을 위한 시설수요의 증감과 수업의 질 향상, 수요자인 학생들의 공간사용 만족도 증대 등을 위한 방법의 하나로서 교육기본시설이 배치된 건물의 공간운용 분석요소를 활용하여 분석하고, 건물 특성별로 3가지로 분류하여 비교·분석한다. 이를 위하여 교육과정분석과 2008년 1-2학기 수업시간표 및 수강신청 인원의 분석으로 공용공간 활용율, 강의별 좌석점유율, 건물별 공간용도 구성비율 분석을 통해 공간에 대한 적정 활용율과 좌석점유율 분석을 통해 차후 대학경영에 필요한 기본 자료로 제시하고자 한다. This study focused on the development of analysis indexes for the present operational situation in university campus. In this study, seven analysis indexes for operational situation were established and applied to this study. They are the indexes of basic environment and space operation. The former includes the composition ratio of spatial usage, the type of lecture, and unit area per person. The latter includes the ratio of utilization, seat occupation of each lecture, common usage and rotation of each space. These Indexes was applied to three buildings of C university campus in Gyeongbuk and the operational situation of the buildings was analyzed. in which case, the differences from the case of being applied to the whole university were the extended number of buildings for application, and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division of each system. In this study, the analysis by systematization was not conducted, but in the following researches, the system needs to be developed into the one where the analysis on the space can be performed at all times through the linkage with administration information system built through information technology in university. All data related to space can be accumulated as database, and made use of to support re-distribution of space, expansion and improve of facilities, and university management by re-creating data in connection with the curriculum data. The key in this process is that the data produced in the campus space management, the new information regenerated by space use analysis. Therefore, space use analysis index used to analysis the space working condition(present condition of space use), should be accumulated as new knowledge through sharing among departments, rather than being treated just as simple data, and should become one of the knowledge management system. when the efficiency of the space of campus facilities are evaluated based on this study, and when proper space use for the practical conditions of universities and various decision making related to the space, and furthermore, the university management are effectively supported, the following results are expected to be made.

      • 국립대학 캠퍼스 공간 배정 및 운영기준 분석

        박승연 순천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687

        학령인구는 점차 감소하고 수도권 집중화는 더 극대화될 것으로 예측되므로, 비 수도권 대학은 교육 수요자(학생) 감소에 따른 변화, 수도권 대학은 공간 부족으로 인한 포화 상태의 캠퍼스 공간을 환경 및 사회 구조 변화에 맞춰 새로운 공간 유 형과 공간 수요에 발 빠르게 대응해야 한다. 캠퍼스 공간은 공동의 자산으로 공평 성, 일관성, 효율성, 융통성을 기본 원칙으로 공간을 배정하여 학내 구성원들이 공 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학내 구성원들이 캠퍼스 공간을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간 배정기준 마련을 위한 공간운영규정을 제안하고자 한다. 연구의 방법은 선행연구 와 문헌 고찰을 통해 ‘공간 운영’, ‘공간 배정’, ‘공간 공개념’에 대한 이론 과 제도, 관련 쟁점 등을 연구하고, 국립대학의 공간관리규정 및 공간배정기준을 비교·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고 효율적인 캠퍼스 공간관리를 위한 공간관리규 정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공간 배정기준은 사용주체가 전임교원과 학과(전공), 단과대학으로 구분되어 있 다. 대부분 대학에서 대학설립·운영 규정과 같이 면적(㎡)을 기본단위로 설정하고 있으나, 일부 대학에서 ‘칸’,‘실’단위를 기본단위로 사용하고 있다. 학과(전공) 당 기본 사용면적 기준은 주로 학생 수에 단위면적(㎡)을 곱해 기본공간 사용면적 을 산출하고 있는 대학이 가장 많고, 단과대학별 기본 사용면적 기준 또한 학생 수, 면적(㎡), ‘칸’, ‘실’을 기준으로 산출하여 배정하고 있다. 그러나 교육 수요자(학생)를 위한 공간 배정기준이 미비하며, 학과별 특수성을 반 영하지 않고 일괄적으로 배정하였다. 한정된 캠퍼스 공간에서 교육 수요자의 요구 와 유휴공간에 대비하여 효율적이고 유연한 관리를 위해서는 공간관리시스템을 갖춰야 할 필요성이 있다. 효율적인 캠퍼스 공간배정 및 운영기준을 위해서는 객관적이고 구성원 대부분이 동의할 수 있는 공간배정기준을 통해 공간을 관리하고 운영해야 한다. 국립대학 캠퍼스 공간 배정 및 운영 기준은 기준을 마련하는 과정에서 충분한 논의가 이루 어지지 않았거나, 기준이 현실에 맞게 수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명확하지 않은 경 우가 많다. 이로 인해 캠퍼스 공간 배정 기준이 명확하지 않아 공간이 효율적으로 활용되지 못하고 있다. 본 연구는 효율적인 캠퍼스 공간 운영을 위해 공간운영기준을 효율성 측면에서 총장이 공간 배정 및 관리의 최종 권한자로 공간의 중앙관리를 원칙으로 하였다. 융통성 측면에서 공간 공유를 위한 인센티브 도입과 교육 인증제 학과에 대한 규 정을 제안하였다. 수요자 친화적 공간운영기준으로는 공간조정위원회 구성에 학생 위원을 포함하여 학생의 의견을 반영한 공간배정이 이루어지도록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안한 규정이 모든 국립대학에 적용하기에 어려움이 있지만 향후 학령인구 감소와 수도권 집중화에 대응하여 대학의 유휴공간과 공간 부족을 효율 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지속적으로 관심을 갖고 변화를 시도해야 한 다. 이에 본 연구는 한정적인 캠퍼스 공간을 교육 수요자(학생)를 고려하여 효율적 인 공간배정 및 운영을 위한 공간운영규정을 제안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 모바일 PDA를 활용한 박물관 전시 시스템에 관한 연구

        이연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8666

        정보화 사회의 구현은 우리 사회 전반의 가치체계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인터넷으로 대표되는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기술의 등장은 기존의 수직적인 사회질서 대신 수평적 사회질서를 정착시켰으며, 무한복제가 가능한 디지털 데이터 기술의 등장은 지식이 생산되고 소비되는 양상에 큰 변화를 가져왔다. 또한, 급속한 속도로 발전하는 멀티미디어 기술은 대중의 눈높이를 한층 향상시키며 엔터테인먼트 중심적 성향을 사회 전 분야에 정착시켰다. 이러한 가치관의 변화는 사회문화 전 분야에 걸쳐 새로운 패러다임을 형성하였으며, 이는 우리 사회의 대표적인 대중문화 교육시설인 박물관에서도 마찬가지였다. 기존의 박물관은 비교적 경직되고 엄숙한 고급문화 체험학습의 장으로 간주되어 왔으나 이제 박물관 전시에 있어서도 이러한 신경향을 반영하는 새로운 전시 패러다임이 등장한 것이다. 이는 참여형 전시, 쌍방향 커뮤니케이션 강화, 새로운 전시매체의 활용, 엔터테인먼트 요소 강화 등의 키워드로 요약된다. 본 연구의 목적은 이와 같은 박물관 전시 패러다임의 변화를 인지하고, 새로운 전시 패러다임을 지원하는 시스템을 개발하여 궁극적으로 관람자에게 보다 바람직한 관람체험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에 따라 본 연구에서는 모바일 PDA라는 새로운 디지털 매체를 활용하여 전시 디자이너의 전시 디자인 작업 및 관람자의 관람행위를 지원해 줄 수 있는 통합 시스템을 제안하였다. 이 시스템의 가장 기본적인 기능은 전시 디자이너에 의해 계획된 관람동선 및 공간정보를 모바일 PDA를 통해 관람자에게 직접적으로 전달하는 것이다. 이 시스템은 기본적으로 전시 디자인 지원 모듈과 관람지원 모듈의 두 가지 모듈로 구성된다. 이 가운데, 전시 디자인 지원 모듈은 CAD 시스템을 바탕으로 전시 디자이너의 전시공간 디자인 작업을 효율적으로 보조하고, 관람자 흐름 정보를 제공하여 관리자의 손쉬운 전시장 관리를 지원한다. 한편, 관람지원 모듈은 모바일 PDA를 통해 관람행위를 효과적으로 보조하며 다양한 공간정보 및 전시물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깊이 있는 관람체험을 제공한다. 이러한 독립적인 두 모듈을 연결하여 하나의 통합적인 시스템으로 구성하는 것은 전시장 공간을 지능적으로 관리하고 관람동선을 자동생성하기 위한 공간관리 기술과 무선 인터넷 기술을 바탕으로 한 모바일 기술이다. 이러한 기술에 의해 연결된 두 모듈은 전시 디자인 과정에서 제작된 전시공간 배치정보 및 관람동선 정보, 전시물 정보라는 디지털 데이터를 공유하게 된다. 이러한 기술들은 시스템의 구현을 위해 필수적인 기반기술이며, 본 연구에서는 연구 및 개발을 통해 실제적으로 시스템을 구현하기 위한 이들 기반기술을 확보하였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시스템 프로토타입으로서 뮤즈맨(MuseMan) 이라는 시스템의 그래픽 인터페이스를 제안하였으며, 전시 전문가 집단의 설문 및 자문을 통해 이를 평가한 결과 시스템의 필요성 및 효율성 측면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얻을 수 있었다. 이러한 시스템의 제안을 통해 본 연구는 다음과 같은 의의를 지닌다. 첫째, 이동성을 기반으로 하는 모바일 PDA라는 매체를 활용함으로써, 박물관내에서 계속적으로 이동하는 관람자의 관람행위를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둘째, CAD 기반의 공간관리 기술을 기반으로 하는 전시 디자인 도구를 제공함으로써, 전시 디자이너의 전시장 설계 및 관람동선 계획작업을 합리적으로 지원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셋째, 모바일 PDA를 통해 관람자의 관람체험을 저장하여, 이를 전시 디자인 결과에 대한 피드백 자료 및 전시장 관리자료, 또는 관람자의 관람체험을 확장하기 위한 자료로 활용하는 방법을 제안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시스템의 제안을 통해, 새로운 전시 패러다임을 지원하고 전시 디자인 작업과 관람체험의 효율을 한 단계 끌어올릴 수 있는 방법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The implementation of an information-oriented society brought great change at the value system all over the society. The emergence of digital communication techniques, mainly represented to the Internet, allows us to move to the open society from closed hierarchical one. Digital technology also opens the door to infinity duplication, so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manner in which the knowledge is produced and consumed. A rapidly growing multimedia technology enhances our perception higher, and consequently enforces entertaining characteristics through the whole fields of the society. Such value changes generate a new paradigm in the society. A similar paradigm shift occurs in the case of the museum, the representative mass-education institution of the society. The existing museum, however, has regarded as the field of a high-level culture experience that is relatively sturdy and solemn. Recently a new exhibition paradigm has been proposed in museum exhibition as a direction to reflect such a new tendency, supporting user-participated exhibition, allowing the mutual communications, applying the new exhibition media, and demonstrating exhibition as entertainment. To support such a paradigm, the author suggests a system, called MuseMan, for both exhibition designers and museum visitors. The system utilizes mobile technology using mobile PDA and intelligent space management techniques. It consists of two different modules: an exhibition design-supporting module and a tour-supporting module. The exhibition design-supporting module, called MuseMan Studio, assists the exhibition designer by designing exhibition spaces, generating the touring paths automatically and manually, and finally monitoring the museum site. On the other hand, the tour-supporting module running on Mobile PDA, called MuseMan Browser, guides visitors in the middle of tours by providing various touring paths and visualizing tour schedules in various ways. The visitors can not only see the spatial guides such as way-finding, but also can customize touring paths for themselves. They also can select an exhibition item by tapping on a floor plan of mobile PDA, or just taking a picture of icon code for an exhibition item in order to retrieve the information about the item. By doing that they can immediately move to the web page for the exhibition item selected. The system has three significant result as follows: 1) The system efficiently supports visitors tour using mobile PDA; 2) The system rationally supports exhibition designers work using CAD-based space management techniques; and 3) The system offers the feedback data for exhibition design and the data to expand visitors touring experience by storing visitors touring experience using mobile PDA. The author hopes that this method propose a new alternative approach in the contemporary museum exhibi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