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등학교 여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교우관계 및 사회성의 차이

        강태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8703

        고등학교 여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교우관계 및 사회성의 차이 강 태 구 부산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건강스포츠교육전공 (지도교수 박 종 태) 본 연구는 고등학교 여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에 따른 교우관계 및 사회성 의 차이를 연구함으로써 여학생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부산광역시 소재 10개의 고등학교 여학생 중에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경험이 있는 학생 220명과 참여 경험이 없는 학생 220명을 대상자로 선정하 여 불성실하게 응답한 40명을 제외한 400명을 최종 분석 대상으로 하였다. 설문지 배포 후 수집된 자료의 분석은 목적에 맞게 SPSS 26.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 여 통계처리를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을 위해 사용된 통계기법은 독립표본 t-test 및 일원변량분석(One way ANOVA)을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도출하였다. 첫째, 고등학교 여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여부에 따른 교우관계와 사회성 차이에서 교우관계에서는 친구와의 신뢰도, 교제의 지속성, 친구 간의 적응이 비참여 학생보다 참여 학생이 높은 평균을 보였고, 사회성에서는 사교성, 안정 성이 비참여 학생보다 참여 학생이 높은 평균을 보였다. 둘째, 고등학교 여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기간에 따른 교우관계 및 사회 성 차이에서 교우관계에서는 2년 이상 학교스포츠클럽에 참여 중인 여학생이 6개 월 미만, 6개월 이상 1년 미만 그리고 1년 이상 2년 미만 참여 중인 여학생들보다 하위요인인 친구와의 공동생활이 높은 평균을 보였고, 사회성에서는 하위요인 모 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고등학교 여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빈도에 따른 교우관계 및 사회 성 차이에서 교우관계에서는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고, 사회성에서는 주 3-4회 참여 중인 여학생이 주 1-2회 참여 중인 여학 생들보다 하위요인인 안정성이 높은 평균을 보였다. 넷째, 고등학교 여학생의 학교스포츠클럽 참여 유형에 따른 교우관계 및 사회 성 차이에서 교우관계에서는 단체종목에 참여 중인 여학생이 개인종목에 참여하 는 여학생들보다 하위요인인 친구와의 공동생활이 높은 평균을 보였고, 사회성 에서는 하위요인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와 같은 결과를 종합해 보면 학교스포츠클럽 비참여 학생과 비교해 참여 학 생이 교우관계 및 사회성의 차이에서 교우관계에서는 친구와의 신뢰도, 교제의 지속성, 친구 간의 적응이 비참여 학생보다 참여 학생이 높은 점수를 보였다. 사회성에서는 사교성, 안정성이 비참여 학생보다 참여 학생이 높은 점수를 보였 다. 이는 정규교육과정 내에서 이루어지는 체육활동과 함께 자발적인 학교스포 츠클럽에 참여는 고등학교 여학생들의 교우관계와 사회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고등학교 여학생들을 위한 학교스포츠클럽 프로그램 으로 더욱 다양한 종목이 개설되어 충분한 참여기회가 제공된다면, 청소년 시기 인 학생들의 신체 및 정신적 건강과 성장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한국 예술고등학교 제도 변화과정 분석

        주소영 고려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박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지난 65여 년 간 예술고 제도의 변화과정을 분석하였다. 예술고 제도의 구조/환경적 맥락으로 경제적 상황과 정치적 배경을 설정하였고, 중범위 수준의 제도적 맥락으로 예술관과 교육정책을 설정하여 그 변화와 맥락이 예술고 제도의 변화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했다. 예술고 제도의 뚜렷한 변화와 특징을 기준으로 형성기, 안정기, 다양화기의 3단계로 시기를 구분했다. 연구의 시간적 범위는 한국 최초의 예술고가 설립된 1953년부터 2018년 현재까지이며, 내용적 범위는 조기 예술전문교육을 지향하는 예술고 제도의 학교유형의 변화와 내부운영의 변화, 그리고 교육과정의 변화 등을 분석하였다. 각 시기별 제도의 구조/환경의 특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형성기(1953-1972)는 경제재건과 국민생활회복이 우선시되었고 민족문화진흥과 문화재보존 중심의 문화예술정책이 시행되었다. 교육정책은 초등의무교육 확립과 교육을 통한 국민의식개조, 반공교육 등이 강조되었다. 안정기(1973-1993)에는 중화학공업 중심의 경제성장으로 국민생활수준이 향상되었지만 정치적으로는 군사정부의 장기집권과 독재가 지속되었다. 그러나 문화예술은 독재정부의 정치적 정당화의 수단과 국제행사의 홍보용 공연으로 성장의 기회를 가질 수 있었다. 교육정책에서는 교육평준화 정책과 7.30 교육개혁조치 등으로 교육의 획일화가 나타났다. 다양화기(1994-2018년 현재까지)는 자율성과 다양성이 강조되어 정치, 경제, 교육, 문화 등 전반적인 자율화와 세계화가 이루어졌다. 문화예술은 문화산업, 문화콘텐츠 개발, IT기반 산업과 문화의 융화 등으로 대중예술의 성장과 확대가 이루어졌다. 교육정책에서도 고교평준화 정책 완화가 이루어지면서 교육운영의 자율화와 다양화가 이루어졌다. 예술고 제도의 변화과정을 시기별로 분석하여 정리해보면 다음과 같다. 형성기에는 예술고 제도의 학교유형이 이전 일반고 예술교과 수업에서 실업계에 준하는 일반고 예술전문교육기관으로 변화하였다. 일반고 학생들과 일반교과 수업을 함께 운영하고 예술전공 수업은 예술고 학생들만 대상으로 운영했다. 10여년간 일반고와 함께 운영되던 예술고는 1960년대 초반부터 독립적인 학교운영으로 변화했다. 일반수업과 전공수업 모두 예술고 자체에서 이루어지면서 학생선발, 교원임용 등이 학교자체주도로 이루어지기 시작했다. 교육과정은 국가 지정 교육과정이 확립되기 이전으로 예술고 자체 연구 교육과정이 운영되었다. 안정기는 규제와 통제가 국가주도로 이루어진 시기였지만 예술고는 예술교육과 학생선발의 특수성을 인정받아 특수목적고로 지정되었다. 규제와 통제는 일반고와 동일했지만 전국단위 학생모집과 우선선발권이 주어져 독자적인 학생선발이 가능한 제도적 보장을 받게 되었다. 예술고가 전국적으로 증가하고 내부 전공에서 연극영화와 사진영상, 문예창작 등을 개설하는 학교들이 점차 생겨났다. 제5차 교육과정에서 음악, 미술, 무용교과에 대한 편제 및 단위배정 확립으로 설립 이후 30여년만에 정부주도의 교육과정 체계가 확립되었다. 다양화기 예술고는 과학고, 외국어고와 함께 특수목적고로 재지정되어 학교운영과 교육과정에서의 자율성이 확대되었다. 문화산업과 문화콘텐츠의 개발로 대중예술이 부각되면서 예술고 자체 내에서는 대중예술전공 중심으로 학교가 신설되었다. 기존 순수예술 중심 예술고에서도 대중예술과목을 추가하는 현상이 나타났다. 대중예술의 성장으로 7차 교육과정에서는 예술에 관한 교과로 연극영화과를 비롯해 문예창작과, 사진과 등 대중예술전공에 대한 교육과정이 확립되었다. 제도의 외적 요인이 제도변화에 미친 영향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정치·경제적 시대상황은 형성기와 안정기 경제성장에 따라 예술고의 학생 수가 증가했으며 다양화기에는 문화가 경제의 중심이 되면서 예술고 전공의 다양화가 나타났다. 안정기의 문화예술정책은 유신정권과 제5공화국, 제6공화국의 정치적 정당성 확보와 국제행사의 홍보 수단으로 변화하면서 예술고 제도의 학생 수 증가와 예술교육의 인식변화에 영향을 미쳤다. 다양화기는 대중예술의 발달로 예술고 전공에서 순수예술, 국악, 대중예술 등으로 전공의 다양화가 확대되었다. 문화산업, 문화콘텐츠산업, 한류와 K-POP성행 등의 정부정책방향은 대중문화예술의 성장을 가져왔고 예술고 제도에서는 대중예술전공의 확대가 이루어졌다. 교육정책은 예술고가 일반고로 시작되어 현재 특수목적고로 정착되어 전문예술인 양성보다 대학진학을 위한 고등학교 과정으로 제도적 고착화되는데 크게 작용했다. 주제어: 예술고 제도, 구조/환경, 예술관, 교육정책, 제도 변화

      • 상업계 고등학교 수학교육의 현황 및 문제점과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박성용 명지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Education system today focused on Academic. high school of which students wish to enter university. Especially, the commercial school student who university don't enter has been neglected. Therefore the main purpose of this study helps students to develop their ability through general education as well as professional education and to apply this on industrial society. The mathematical curriculum in the commercial high school should be considered in the accomplishing students ability and the effective mathematical education which is suitable for the goal. First, it is necessary to have the students a sense of self-confidence for the mathematical curriculum through the students interests and motives We should teach them slowly and distinctly through the basic curriculum. Second, it is necessary to lead students, considering that their scholastic ability level were poor, so as to approach the high school curriculum in a easier substances including the middle school curriculum. Third, many student's of commercial high schools plan to enter university. So we should help them to have more opportunities for their study even after their graduation. In addition we should consider their circumstances.

      • 高校生의 性情報 媒體類型과 性態度에 관한 硏究

        고행자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교생들이 어떤 매체를 통해 성정보를 획득하고 있는지 종합적으로 실태를 파악하여 성정보 매체유형에 따라 그들의 성태도가 어떻게 다른가를 알아보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를 통하여 고교생들의 성교육 방향을 정립하고 교육수준을 결정하며, 보다 나은 성상담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고교생의 성정보는 어떤 매체를 통해 획득하며 집단별(성별, 학년별, 계열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둘째, 고교생의 성지식 정도는 집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고교생의 성태도는 집단별로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고교생의 성정보에 따른 매체유형별(교육, 언어, 인쇄, 영상, PC·전화매체) 성태도는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제주도내 인문·실업계, 남·여자고등학교 각 1개교씩 총 4개교를 선정하고 각 학교에서 다시 학년별 무선 표집방법에 의하여 1개 학급씩 선정하여 조사 대상자 613명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를 실시 하였다. 설문지의 구성은 조사자의 개인적 특성(3문항), 성정보 내용에 따른 매체유형(10문항) 및 성에 대한 지식(20문항)·태도(8문항) 등을 포괄하여 총41문항으로 구성하였다. 회수된 자료는 SPSS/PC^(+) 프로그램을 거쳐 백분율, F검증 및 Chi-Square(χ^(2))검증 등을 실시한 후 이를 종합적으로 해석하는 절차를 밟았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종합하여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들이 성정보를 획득하고 있는 매체유형은 성정보 내용에 따라 다르고 성별, 학년별, 계열별로 차이가 나타남에 따라 지금까지의 성상담과 성교육 방식이 재고될 필요가 있다. 둘째, 고등학생들의 성지식의 정도는 남학생, 고학년, 실업계학생일수록 높았지만 남·여학생 모두 성에 대한 지식의 정도는 의의로 결핍되어 있었으며, 성정보 매체유형별로는 교육, 영상, 언어, 인쇄, PC·전화매체 순으로 보다 더 정확한 성정보를 획득하고 있었다. 셋째, 고등학생들의 성에 대한 태도는 애매 모호하고 이중적인 가운데 다분히 남성 중심적인 성향을 지니고 있었으며 대부분의 여학생은 여전히 순결이데올로기에서 헤어나지 못하고 있었다. 넷째, 고등학생들은 남녀 모두 성적인 면에 관심을 갖고 있었지만 주로 관심을 두는 방향이 달랐다. 즉 남학생, 인문계학생일수록 신체적, 시각적인 성적 자극에 관련된 반응이 높은데 비해 여학생은 정서적인 면과 관련된 반응이 훨씬 두드러짐을 알 수 있었다. 다섯째, 고등학생들은 교육매체를 통해 성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는 보수적, 소극적, 수동적인 태도를 보인 반면 언어·인쇄·영상매체 등을 통해 성정보를 획득하는 경우에는 보다 더 적극적, 능동적, 충동적이다. 또한 신체 접촉에 대한 성적 허용성은 언어, 영상, 인쇄, 교육매체 순으로 성적 허용성에 대파여 보다 더 강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등학생들이 성정보를 어떤 매체를 통해 획득하고 있는가에 따라 성에 대한 태도가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 특성화 고등학생 1학년의 초기 학교생활적응

        박지혜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고등학생들에게 학교는 삶의 터전이자 동시에 그들이 올바른 성인으로 건전하게 성장할 수 있는 환경이어야 한다. 동시에 타인과의 바람직한 관계들 속에서 자신의 역할과 위치를 알고 효과적이고 능률적으로 책임을 다하고, 자신의 비전을 실현시킬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따라서 청소년의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무엇인지를 탐구하는 것은 중요하다. 특성화 고등학교 학생들은 자신의 진로를 이른 시기에 결정하며, 졸업 과 동시에 취업을 고민한다는 특성을 가지고 있어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이 더욱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 연구는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 155명 학생들의 학기 초, 학교생활적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학교생활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대인관계역량 변인, 학급풍토 변인으로 나누어서 살펴보았으며, 3월 중순, 4월 초, 4월 말 총 3개의 시점으로 종단 연구를 실시하여 시간의 흐름에 따른 변화를 추적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연구문제 1. 특성화 고등학교 1학년의 초기 3개 시점의 학교생활적응 수준에는 차이가 있을 것이다. 연구문제 2. 특성화 고등학교 1학년의 초기 학교생활적응에 대인관계역량이 영향을 미칠 것이다. 연구문제 3. 특성화 고등학교 1학년의 초기 학교생활적응에 학급풍토가 영향을 미칠 것이다. 이 연구에서는 서울특별시 A 특성화 고등학교 1학년 155명의 학생들을 대상으로 1학기 초, 3주 간격으로 세 번의 설문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얻어진 결과를 연구 문제 중심으로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에 있어서, 대인관계역량이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학교풍토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즉, 초기 학교생활적응에 보다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대인관계역량요인이며, 환경관련 요인인 학급풍토는 학교생활적응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음을 알 수 있다. 둘째, 시간의 흐름에 따른 특성화고등학교 1학년의 학교생활적응 변화양상은 비슷하였다. 3월 초, 신입생의 학교생활적응이 높은 수준을 유지, 4월 초에는 점차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으며 4월 말, 학교생활적응 수준이 높아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러나 실제 학생의 복잡한 학교생활적응을 위의 두 가지 요인만으로 측정한 점, 특정 한 학교의 학생들만을 대상으로 연구하였다는 점은 후속 연구 과제로서 앞으로 더 많이 논의되고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 濟州道 實業界 高等學校 學生들의 職業價値觀에 關한 調査 硏究

        고석희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제주도 실업계고등학교 학생들의 직업에 대한 가치관을 조사 분석하여 문제점을 파악하고 진로지도에 필요한 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직업가치관을 묻는 24개 문 항을 선정된 연구내용에 따라 사회ㆍ경제적 변인 별로 조사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입학동기와 배경을 보면 중학교 때부터 인문계 고등학교를 졸업한 후 대학진학을 희망하는 학생(40.9%)이 더 많았고, 이러한 경향은 여학생(51.3%)이 남학생(31.6%)보다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들의 성적은 중위권이 대부분이나 그중에서도 상위권에는 여학생이, 하위권에는 남학생이 많았다. 대다수 학생(74.8%)들은 실력이 부족하여 실업계 고등학교에 입학하게 되었으며, 46.1%의 학생은 본인 스스로가 진학을 결정했으나 학교선택에 만족 해 하는 학생은 절반도 안 되고 있다. 진로에 대한 관심과 태도를 보면 평소에도 취업과 진학문제 등에 대해 자주 생각하고 있으나, 그 중 가장 큰 고민은 남(29.3%)ㆍ여(46.2%)학생 공히 어떻게 하면 대학에 진학을 하느냐에 두고 있어 기회가 주어지면 진로를 변경할 의사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공학과와 자신의 적성과는 관련성이 적은 것으로 생각하고 있으며, 실업과목이 사회생활을 하는데는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부정적인 반응(36.6%)도 많이 나타났다. 직업에 대한 포부를 보면 자신의 진로는 적성과 능력에 따라 친구(35.1%)나 부모(27.6%)와 상의하여 결정하겠다는 학생이 다수이며, 특히 고등학교 졸업 후에는 대학에 진학하겠다는 학생(78.6%)이 무려 3분의 2나 되고 있다. 그 이유로는 훌륭한 전문가가 되기 위해서(34.6%), 학벌이 중요한 사회이기(19.9%) 때문에, 좋은 직장을 얻기 위해서(16.3%)라는 반응이다. 직업선택의 기준으로서는 적성과 흥미(57.7%) 및 자신의 능력(25.1%)에 따라 결정하겠다는 건전한 사고방식을 지니고 있으며, 가장 선호하는 직업은 "전문ㆍ기술직"과 "서비스직"으로서 전공과는 무관한 직업을 선택하려는 경향이 많이 나타나고 있다. 직업관에 대해 학생들은 남보다 실력이나 또는 특별한 기술이 있어야 자신이 원하는 직업을 가질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대다수 학생(65.6%)들은 가업승계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다. 이상의 연구 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첫째, 적성과 소질이 우수한 학생들이 체험학습을 통해 편견없이 실업계로 진학할 수 있도록 학과 및 진로에 대한 자세한 홍보와 학부모, 교사, 학생이 동참하는 진로탐색프로그램을 개발ㆍ운영해야 한다. 둘째, 특정 계열의 실업계 고등학교에 입학한 이후에도 계열변경이 가능하도록 하며, 부전공시간을 운영하여 중도 탈락하는 학생을 최소화 하도록 노력함은 물론 획일적인 직업교육을 지양하고 진학희망자를 위한 효율적인 진학지도가 병행실시 되어야 한다. 셋째, 학생들이 학교생활에 쉽게 적응하여 만족을 느낄 수 있도록 시대조류에 맞게 실업계 고등학교의 전공학과를 과감하게 통폐합하고 특성화하는데 많은 투자를 해야 한다. 넷째, 학생들이 전공과는 무관한 직업을 선호하는 경향이 많아 학교에서 배운 지식과 경험을 충분히 살릴 수 있도록 취업을 보장해 주고, 동일계 4년제 대학진학의 특전을 주어 미래를 기대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실업계 고등학교 교육은 지식과 기능교육도 중요하지만 학생들이 긍지와 희망을 가지고 직업기술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교과과정에 반영하여 올바른 직업윤리관을 확립하여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about course guidance. Twenty four items about occupational values have been investigated according to social or economic variables. In the variables of entrance motivation, 40.9 percent of the students wanted to enter high school and university. 74.8 percent of the students entered the vocational high school because of their poor achievement in middle school. 46.1 percent of the students decided themselves which high school to enter. Less than half the students are satisfied with their choice of high school. In the variables of attitude and interest, most students are concerned with entering university or college. If given the chance, they would like to change their course. They think that their department has less relation to their aptitude. 36.6 percent of the students thinks that vocational subjects don't benefit their social life. 35.1 percent of the students would decide which job to get based on their friends' advice and 27.6% with their parents' advice. 78.6 percent of the students wanted to university or college. The causes are to be an expert(34.6%), to get good school connections(19.9%) and to get a good job(16.3%). The standards of their job choice are aptitude and interest(57.7%), and their ability(25.1%). Their favorites are professional and technical jobs, and service jobs. Generally These jobs have no relation to their major. They thinks that they can get the desirable jobs only with ability and shill. 65.6 percent of students have indifference toward succession of their family occupation.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urse search program should be decided with input from parents, teachers and students. Second, uniform education should he reduced and effective course guidance be carried out for the students wishing to enter the university or college. Third, some departments in vocational high school should be abolished, integrated and specialized in accordance with the times. Fourth, the opportunity to find work related to their major should be increased. Plus vocational high school students should be able to continue their study in university. Fifth, suitable vocational ethics should be established so that the students get proper vocational and technical education.

      • 고등학교 진학률이 아파트 가격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증연구 : 노원구를 중심으로

        백운군 고려대학교 정책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The current government has the biggest issue of resolving hierarchical order of high schools, and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have been transformed into general high schools (a phase-out) as a political method. Related to it, news articles continuously reported that the schools could improve housing price in the educational special district. In this situation as the government and markets had different viewpoints that a minister from the government announced ‘that is unfounded’, this study began to research the effects of each high school’s entrance rate on housing price. Compared to existing researches, this study have distinction that is accuracy improvement on measuring entrance rate of good schools of high academic achievement that has been estimated by entrance rate of Seoul University, by adding entrance rate indexes of schools for gifted and autonomous private schools to the entrance rate index of special purpose schools, which prior researches have used as an index for relationship between entrance rate and housing price applying a hedonic model. As research range, this study selected 102 apartment complexes, placed within 500m from middle schools in Nowon-gu, Seoul, and including over 300 households, and this study conducted quantitative analysis on factors to influence apartment price, focusing on entrance rate of high schools. It applied Hedonic Price Model as an analysis model, and it set 11 variables, including subordinate variables as sales value and rental price of apartment, including explanatory variables as entrance rate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schools, and including entrance rate of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Then, it conducted data collection, and through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of OLS way it analyzed how the explanatory variables influence apartment price. As the results of empirical analysis, 5 explanatory variables, which are entrance rate of special purpose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street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subway station, building age, and floor area ratio, had significant effects on sales value of apartment in Nowon-gu. Rental price was influenced by 6 explanatory variables such as entrance rate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specialized vocational high schools, street of private educational institutes, building age, floor area ratio, and average rate of medium or over sized apartment. This study could find that the entrance rate of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high schools have positive relations with both of sales value and rental price of apartment in Nowon-gu, and the entrance rate of specialized vocational rate have negative relations with rental price. Those results suggest that educational variables should be considered for housing policy including apartments. It is possible that, since special purpose high schools and autonomous private schools, which selected students in the former period, are going to select students in the latter period together in 2019, sales value and rental price of apartments, in which they are around middle schools that are near by general high schools with good educational conditions, would be increased, so that it issues that careful policy plan should be devised such as changing high school assignment methods and synthesizing entrance rate information of the former period and latter period schools in order to prevent educational underprivileged students according to parental financial power. 현 정부에서의 교육정책 관련 가장 큰 이슈는 고교서열화 해소이며, 정책 일환으로 특목고 및 자사고의 일반고 전환(단계적 폐지) 정책이 시행되고 있다. 이와 관련하여 교육특구 지역의 주택가격을 상승시킨다는 언론기사가 연이어 보도되고 있고, 정부에서는 총리가 ‘근거 없다’ 라고 발표하여 정부와 시장이 다른 입장을 가지고 있는 상황에서, 고등학교별 진학률이 주택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를 시작하게 되었다. 본 논문이 기존 논문과 차별화된 점은, 헤도닉모형을 적용한 주택가격 관련 선행 연구에서 흔히 사용되던 지표인 특목고 진학률에 영재학교 및 자사고를 포함하여, 서울대학교 진학률로 파악한 학업성취도가 우수한 학교로의 진학률 측정에 정확성을 높였으며, 특성화고 진학률을 지표에 포함하여 면학분위기 등을 반영하려고 노력하였다. 연구범위는 서울시 노원구 전체 중학교의 반경 500m 내에 위치한 300세대 이상 아파트단지 102개로 하였고, 아파트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교육환경인 고등학교 진학률을 중심으로 계량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모형은 헤도닉가격모형(HPM : Hedonic Price Model)을 적용하였고, 종속변수는 아파트 매매가격 및 전세가격, 설명변수는 특목고·자사고 진학률, 특성화고 진학률 등 총 11개의 변수를 설정하고 자료 수집의 과정을 거쳐, OLS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통해 설명변수가 아파트가격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 노원구의 아파트 매매가격에는 특목고·자사고 진학률, 학원가 거리, 지하철역 거리, 건물경과연수, 용적률 등 5개 설명변수가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며, 전세가격에는 특목고·자사고 진학률, 특성화고 진학률, 학원가 거리, 건물경과연수, 용적률, 중형평수이상비율 등 6개 설명변수가 유의한 영향이 있다고 분석되었다. 특목고·자사고 진학률은 노원구의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 모두에 양(+)의 상관관계, 특성화고 진학률은 전세가격에 음(-)의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아파트를 포함한 주택관련 정책에 교육환경 변수들이 고려되어야 함을 의미하며, 2019년부터 전기고였던 특목고·자사고를 후기고인 일반고와 통합 선발하면서 교육여건이 양호한 일반고 인근의 중학교 근처 아파트를 중심으로 아파트 매매가격과 전세가격이 상승할 여지가 있어, 부모의 재력에 따른 교육 소외계층이 발생하지 않도록 고등학교 배정방법 변경 및 전기고와 후기고의 진학률데이터 통합 등 세심한 정책안이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하고 있다.

      • 시험 유용성 이론에 근거한 고등학교 정기고사 타당성 검증

        유은미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Bachman과 Palmer(1996)가 제시한 유용성의 여섯 가지 영역 중 ‘구인타당도, 신뢰도, 진정성, 상호 작용성, 영향’을 근거로 고등학교 정기고사의 유용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지역 10개, 경기지역 10개의 학교에서 실시한 2016년 1학기 1차, 2차 지필고사 문항을 무작위 표본 추출하였다. 코퍼스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어휘 난이도 분석과 가독성 분석을 통한 양적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원어민 강사 및 영어회화전문강사에 의한 질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또한 고등학교 정기고사의 역류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고등학교 1학년 학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경기 대부분의 지역에서 모국어를 사용하나, 문항수와 서답형 비율이 지역 간, 학교 간 차이를 보였다. 이는 평가의 일관성뿐만 아니라 평가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결과를 초래한다. 평가의 신뢰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체제의 일관성이 필요하다. 둘째, 코퍼스 프로그램의 분석 결과, 고등학교 정기고사 평가문항의 난이도와 체제는 일관성이 없고 지역별 차이를 보였다. 또한, 가독성 분석 결과 역시 지역별, 학교별, 혹은 학교 내 시험 별 차이를 보여 신뢰도가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셋째, 원어민들과 영어회화전문강사를 통한 문항의 질적 분석 결과, 교과서와 부교재, 모의고사 및 외부지문 반영률이 지역 간, 학교 간, 시험 간 차이를 보였으며, 이는 지문의 난이도와 가독성에 영향을 미쳐 시험의 신뢰도를 떨어뜨리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기지역의 경우 서울지역 보다 부교재 및 외부지문의 반영률이 높아 지문의 난이도가 높고 가독성이 떨어지는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일부 문항은 지문을 읽지 않고 보기만으로 정답 추론이 가능하여, 구인 타당도와 신뢰도를 낮추었을 뿐만 아니라 영어 의사소통 능력을 제대로 평가한다고 볼 수 없었다. 넷째, 설문 조사 결과의 역류 효과를 분석한 결과 학생, 교사 및 사회와 교육체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드러났다. 미시적으로는 정기고사를 준비하기 위한 학생 개개인에게 학습량이 증가되고, 거시적으로는 사교육비 지출의 증가 등 사회 전반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여 진다. 위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제언을 한다. 첫째, 난이도 및 체제의 일관성과 평가 문항 출제의 전문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과 전문적인 시험문항 도구 개발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둘째, 일부 학교 현장에서 시행되는 출제 문항 분담 방식을 지양하고, 모든 문항에 대한 공동출제, 공동검토를 구조화 할 수 있는 구조적 장치가 필요하다. 셋째, 의사소통능력 신장이라는 교육목표에 맞게 타당성 있는 문항을 출제하기 위하여 원어민강사와 교사 간 긴밀한 네트워크 구축이 필요하다. 마지막으로, 무엇보다 평가문항의 출제자인 교사들 자신의, 평가의 영향력에 대한 중요성 인식과 끊임없는 개선의지와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韓國 高等學校 地理敎科書에 反映된 人口 敎育의 分析

        김경란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학교 외의 인구 교육과 고등학교 지리교과서에 반영된 학교 내의 인구 교육을 비교함으로써 30년 가까이 흘러온 인구 교육을 분석하고자 한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단원의 구성면에서 보면, 제3차 교육과정에서 인구에 관한 독립 단원이 처음으로 생겨났으며 이 시기는 인구교육중앙본부외 제1, 2차 인구 교육의 시기와 일치하여 국가적 인구 교육의 노력이 학교내 교육에 반영되고 있음을 알수 있다. 둘째, 인구 단원이 전체 단원에서 차지하는 비중을 보면, 제1, 2, 3차 교육과정으로 가면서 증가하다가 3차에서 최고치를 이루고 제4, 5, 6차까지는 꾸준히 감소하였다. 이는 인구교육중앙본부의 인구 교육이 진행되는 시기에는 교과서 내용도 증가하다가 인구 교육의 쇠퇴와 함께 교과서의 인구 내용의 비중도 감소하였음을 알 수 있다. 셋째, 인구 단원의 내용 구성면에서 보면, 제3차 교육과정에 와서 비로소 인구 내용의 구성이 완성되고 '인구 문제' 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어 역시 인구 교육의 시대적 흐름이 반영되고 있다. '인구 문제'의 내용은 시대에 따라 변화하는 인구 문제를 담고 있으며, 2차∼6차 교육과정까지 변함없는 인구 문제의 대책으로 가족 계획 사업을 들고 있다. 최근에는 노인 문제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 넷째, 교과서 내의 학습자료의 이용 측면에서 보면, 인구 내용의 증가는 제3차 교육과정에서 최고치를 이루나 학습자료 이용률은 최저가 되어 인구 내용 증가 수준을 학습자료 이용 수준이 따라가지 못하였음을 알 수 있다. 제4, 5, 6차 교육과정으로 오면서 약간 증가하였으나 여전히 풍부한 학습자료 이용에 대한 반성이 요구된다. 다섯째, 교과서 이외의 학교 성교육은 계획적이고 일관된 프로그램이 결여되어 있다. 결론적으로 사회적 인구 교육을 반영하여 고등학교의 지리교과서의 인구 단원의 구성 및 비중, 내용이 변화되어 왔으나, 학습자료 이용 수준은 이를 따라가지 못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80년대 이후 단절된 사회 인구 교육과 일관성 없는 고등학교 성교육을 계획적이고 체계적인 인구 교육으로 변화시킬 의무가 교육 관련자들에게 요구되고 있다. 인구교육을 되들아 봤을 때, 최근의 사회적인 인구 문제 인식의 소홀함이 교육과정에 반영되지 않도록 인구 교육의 중요성에 대한 재고가 필요하다고 생각한다. This study has analysed population education with comparison the social population education with population education in school reflected in geography books used at high school.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In the view of composition of unit, independent unit on the population was shown for the first time in the third education curriculum. At this time, national efforts for the population education were reflected in the school education on the population, when the first and second population education by population education center were concurred with. 2. In the proportion of population unit to the total units, The proportion of population unit increased from the first to the third education curriculum, and maximized at the third education curriculum, but decreased steadly from the fourth to sixth education curriculum. It indicate that contents of population education in textbooks were increased when population education was done by population education center, but decreased with declination of population education. 3. In the content composition of population unit, composion of population contents was completed and had most proportion in the part of population problem in the third curriculum. This reflected interests in the social population education. The contents of 'population problem' have been followed the changing population problem. From second to sixth education curriculum, unchangeable countermeasure of population problem is Family Planning. Recently, the problem on the old is a major part of population problems. 4. In the side of utility of study materials in the textbooks, the level of utility rate of the study materials didn't catch up with the increasing level of population contents. The ratio of population contents was the highest in the third curriculum, but when the utility rate of study materials was the lowest. Although the utility rate of study materials increased slightly in the fourth, fifth, and sixth curriculum, reflection on the much more usage of study materials is demanded. 5. Sex education of school with the exception of textbooks is lacking of planned and consistent programs. As a result, composition, proportion and content of geography textbooks in high school have been changed in accordance with social population education, but the utility rate of study materials didn't catch up. Somewhat, it is needed to reform both discontinuous social population education after the 1980's and disconsistent sex education in high school into planned and consistent population education. When we reflect population education, it is needed to reconsider the importance of population education not to be reflected social indifference to population problem on education curriculum.

      • 學校圖書館 運營의 活性化 方案 : 濟州道內 高等學校圖書館을 中心으로

        강수복 濟州大學校 敎育大學院 199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제주도내 고등학교 도서담당교사 및 학생들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설문 조사를 통하여, 학교도서관의 문제점을 보완하고 학교도서관의 운영을, 활성화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학교도서관 현황, 도서담당 교사에 대한 사항, 도서관 이용실태 ,도서관 이용인식, 학생의 도서관이용에 관한 사항 등 5개 영역 26개 문항으로 구성하였다, 또한, 제주도내 고등학교 도서담당교사 23명과 인문계, 실업계 남, 여 학생 256명을 대상으로 질문지법에 의해 조사하였다. 자료처리는 빈도분석과 카이자승(X^(2))검증, T-검증, F-검증을 실시하였고, 통계패키지인 SPSS/PC^(+)로 전산처리 하였다.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제주도내 고등학교 도서관에 좌석수는 100석 미만(60.9%)과 장서수는 3,000권 이상 (60.9%)이 가장 많았으며, 도서관 위치는 학교건물내의 외곽에 위치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학교도서관의 사서교사는 단 1명도 임용, 배치되어있지 않았고 도서관 담당교사는 주로 30-40대가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으며 도서관 업무는 연구부 소속이 대부분이었다. 그리고 도서관 개방시간을 보면 점심시간(69.6%)에 주로 개방하고 있으며, 도서구입시 자료선정은 도서선정위원회(60.9%)에서 선정하며, 재원은 학교운영비(78.3%)에서 충당하고 있으며, 도서관 이용지도는 도서담당교사(82.1%)가 지도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은 도서관에 대한 인식에서 보면, 학교장이 도서담당교사에 대한 인식은 동일하게 대우한다(87.0%)로 응답하였고, 학생들의 도서관을 이용하지 않는 이유에 대해서는 입시위주의 교육 때문이라는 의견(30.4%)이 가장 많아 학생들의 도서관 인식이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서관 이용지도에 대해서는 대체로 권장한다(60.9%)는 의견이 높음을 알 수 있으며, 독서지도나 도서관 이용지도는 특별활동시간에(56.5%)지도하며, 도서담당교사의 직무만족도는 반 정도가 보통이다(52.2%)라고 응답하였다. 다음은 학교도서관에 대한 학생들의 인식에서 도서관 이용경험은 가끔 이용한다(39.8%)라고 응답하였고, 주로 도서를 대출하기 위해(61.7%)도서관을 이용하며, 도서관의 도움정도(66.4%)도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도서관 담당교사의 봉사도에 대해서 불만족(62.1%)인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38.8%는 도서담당교사가 전문직을 원하며, 도서관 이용법과 필요성에 대해서는 필요하다(49.6%)로 응답하여 그 필요성은 큰 것으로 보였다, 지도는 사서교사가 도서관 이용법 및 독서지도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응답이 41.0%로 나타났다. 이상과 같은 연구결과,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학교 도서관 시설에 관한 법적 근거를 열람 좌석수로만 규정하지 말고 참고 봉사실, 시청각실 등을 포함한 학교도서관에 대한 법적 기준 등을 강화되어야 한다. 둘째, 학교도서관운영에 있어 적절한 인력확보는 무엇보다 중요하며, 도서관이용도를 높이고 학생들의 편의를 위해서는 전담교사의 배치와 동시에 열람시간을 확대 운영해야 한다. 셋째, 학교도서관의 자료는 도서와 함께 시청각 교재, 전자매체 등, 학교 교육을 효과적으로 보조할 수 있는 충분한 교육자료가 구비되어야 한다. 넷째, 학교도서관 관장 부서도 학교의 지원시설 기능을 발휘할 수 있는 부서가 관장해야하며, 교육부뿐만 아니라 각 시, 도, 교육청에도 학교도서관 전담 부서를 설치, 운영토록 해야 한다. 따라서 도서관계와 교육계의 학교도서관에 대한 관심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으며, 학교장, 교사, 학생들의 새로운 인식의 변화와 사서교사의 직업의식 등이 요구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olve the problems of school libraries and present the ways to activate the school library management by the questionaries about school libraries through high school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library and students in Cheju province. For these purposes, this study consists of 5 areas and 26 subjects. 5 areas are as follows; 1) the conditions of school libraries, 2)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library, 3) the conditions of school library usage, 4) the recognitions of school library usage, 5) aspects about school library usage. The survey was performed by the teachers in charge of high school library and boy students and girl students (general ,vocational high schools), in all 256 people by the method of questionnaire. The disposal of data was examined by the analysis of frequency, X^(2)-inspection, T-inspection, and F-inspection. It was processed by SPSS/PC^(+). The resales of the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1) A number of high school libraries in Cheju province have less than 100 reading seats (60.9 %) and more than 3.000 volumes (60.9 %). Most school libraries are located at the outer spaces of the school buildings. 2) No librarian is arranged in every school and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library are mostly in their thirties or forties and belong to the department of research in school. 3) Many school libraries open at lunch hour (69.6 %) and when purchasing books, book-selection committees decide them (60.9 %). Its money is mainly supplied from school working expenses (78.3 %) and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library are largely responsible for school library usage (82.1 %) 4) In the recognition aspect of school library, many school principals' considerations about the teacher in charge of school library are the same as other teachers (87.0 %). School principals argue that the main reason for students' not using school library is the education for entrance examination (30.4 %) and it shows that students' recognition of school library usage is low. School principals recommend the instruction of school library usage (60.9 %). The instruction of reading or school library usage is conducted at special activity hours (56.5 %). School principals answer that the job satisfaction degree of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library is normal (52.2 %). In students' recognition aspect of school library, students often use it (39.8 %) to make a loan of books (61.7 %) and think that the aid of school library is low (66.4 %). They are not satisfied with the service degree of the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library (62.1 %) and want teachers in charge of school library to be specialized (38.3 %). They think that the usage and necessity of school library are needed (49.6 %) and that it is hopeful for librarians to teach school library usage and reading instruction(41.0 %). As a result, the sugges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legal bases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should not be prescribed to the seating capacity and legal standards of school library facilities including reference, service room and the visual, auditory senses room should be solidified. Second, reasonable personnel setup in managing school library is more important than anything else and school library usage must be increased. For students' convenience, exclusively responsible teacher should be alloted and opening hour for school library expanded at the same time. Third, enough educational materials to assist school education effectively should be possessed including reference books, the visual and auditory senses books, and electronic media in school library. Fourth, the department to assist school facilities should be responsible for school library. Exclusively responsible department in charge of school library should be made and managed in the cities and provinces' Offices of Education as well as the Department of Education. Therefore, the institutions of library and education should be interested in school library. School principals, teachers and students should change the recognition of school library and librarians' professionalism is requir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