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정일영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석사
In Korea, The elderly People has became important member in modern society. It was very important variables which a charge of the aged supporting has been severely heavy. And industry structure has been promoted to change the type of family. A change of the age has been conversed a elderly people's ability to the unless things. In this way, Although nuclear family have incresed in Korea society, social support system limitted to the family's supporting system. In this social structure, primary system which has to supported elderly people was famliy system as a collaborator. And adult-children have centered on the working together, this means that elderly people must have played a role as the childcare patron and household affair parton. As a result, the important thing was that intergenerational support gives the psychological reward to the elderly people. For this reason, this tendency means the primary studies was about psychological Well-being. In korea society, elderly people just want to support the adult-childrens as important member in family system. This tendency means the study which is Loneliness of elderly people must change a method of study. As a result, the Loneliness of elderly people was related to Intergenerational support exchange both elderly people and adult-children. It is a reason that impact of support exchange to the Loneliness of elderly people is important study. Privious study have been presented which we can difine the pattern of support exchange such as reciprocal pattern, receiving pattern, supporting pattern, non-exchange. Several studies have been traditionally suggested correlation of psychological reward and support exchange. and this study will able to approach the loneliness of elderly people that they have been severally ecognize, and the impact of support exchange on the Loneliness of elderly people. This study suveyed elderly people above sixty years old living in Seoul and Incheon. For the research, Total 250 copies of materials, and 200 copies were collected. 200 copies were taken statistics by SPSS 11.0 for Windows. And th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y, 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 Multiple Regression. The finding of study were as follows. Firstly, type of support exchange that is effected in multiple territory is as follows. first of all, in economic social support, type of support exchange is effected with education status, recognization, social activity status. The relationship pattern was most reciprocal, as the level of education is higher, the financial status is better, and the health status of elderly parent is better. In emotional social support, this study verified that supporting type was affected by a type of living together, projective finacial status. and in receiving type, it was affected by sex, aged, social activity competence. In instrumental social support, we verified that important variables which affected to type of support exchange was adult children who lives together, projective financial status. In consultatation social support, we could conform that important variables which affected to type of support exchange was a reliegion, projective health status, income for a month, social activity ability. Secondly, this study could verify which a type of support exchange should impact to the loneliness of elderly people. First of all, in financial social support, we could verify that reciprocal pattern and supporting pattern was the most effective variables on loneliness of elderly people. Also that's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which is projective health status, social active ability, activities of daily living and sex. And, in emotional social support, we could verify that a type of support exchange which is the most effective variables shows the reciprocal pattern. Also that's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which is projective health status, social active ability and sex. In instrumental social support, we couldn't verify the variables that is effective to loneliness of elderly people. Merely, it's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that is effective to the loneliness is a projective health status, social active ability. In consultatation social support, we can verify that type of support exchange which is the most effective variables shows the reciprocal pattern and receiving pattern. Also that's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which is projective health status, activities of daily living, sex and age. Implication of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These result have a implication on the research way which is cross-sectional approach. But this method of study has a implication on time that grasp the family' change. and we can suggest which It's that important variable is longitudinal method which have been studied the pattern of supprot exchange. And we must improve the scale of Loneliness about elderly people. It's the implication which except variable that is a Role loss. Role loss will be the variables which is important to measure on identity of the aged's role in korea society. Lastly, These result have implication which several type of family was absence in the study. In the present age, there was many type of family which was derived from a fixed type of family. It's the reason that we must study in this age the pattern of grand-child and elderly people. Key Word : Intergenerational support, Support exchange, Type of support exchange, Reciprocal pattern, receiving pattern, supporting pattern, non exchange, Finacial social support, Emotional social support, Instrumental social support, Consultatation social support, Loneliness of elderly people. 국 문 초 록 산업구조의 변화와 맞벌이의 증가로 인해 생활의 제 영역에서 성인자녀에 대한 노부모의 지원제공이 중요해 지고 있으며, 이러한 세대간의 교환행위가 노인에게 제공하는 심리적 보상감은 주지할 만한 요인으로 제시되고 있다. 특히 노인의 심리적 특질 중, 고독감은 자녀와의 일상생활 영역에서 일정한 자원의 교환행위가 부재할 시 발생하기 용이하나, 기존의 연구는 이러한 요인을 간과하고 있다. 이에 지원교환의 유형을 준거로 설정하여 노인이 경험하는 고독감의 특성에 대해 파악하였으며, 세대간 지원교환이 노인의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서울과 인천에 거주하는 노인 250명을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또한 본고에서는 다범주 로지스틱 회귀분석(Multinominal Logistic Regression)과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을 대입하여 조사결과를 산출하였으며 SPSS 11.0을 이용하여 통계를 조작화하였다. 상기한 문제제기를 통해 아래와 같은 연구결과를 검증하였다. 첫째, 영역별 지원교환의 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에 대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경제적 영역에서 지원교환의 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은 다음과 같다. 공급형의 경우 교육수준, 인지기능, 사회활동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있음을 검증하였다. 이것은 노인의 교육수준이 높고, 인지기능이 높고 사회적 활동능력이 활발할수록 경제적인 측면에서 자녀에게 제공하는 것이 많다는 것을 의미한다. 수급형은 종교, 주관적 건강수준, 사회활동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검증되었다. 즉 자신이 건강하다고 여기는 반면 종교적 활동이외에 별다른 사회적 활동이 없는 경우 상호호혜형 보다는 수급형이 될 가능성이 높음을 시사한다고 할 수 있다. 정서적 영역에서 공급형의 경우 동거유형과 주관적 경제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는 노인 스스로 자신의 경제적 수준이 좋고 안정적인 생활수준을 영위하고 있음을 인지하고, 자녀가 혼인한 경우에 더욱 많은 정서적 공감대 형성을 시도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수급형은 종교와 인지기능, 사회활동능력면에서 유의미한 경향을 나타내었다. 이것은 인지기능이 높고 반대로 사회적 활동이 저조한 경우 더욱 수급형이 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도구적 영역에서는 공급형의 경우 동거자녀수와 주관적 건강수준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이것은 자녀의 수가 적을수록 또한 자신이 신체적으로 건강하다고 여길수록 상호호혜형보다는 자녀에게 가사일과 육아등의 지원을 제공하는 측면에서 우위를 보이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수급형은 성별, 연령, 사회활동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음이 검증되었다. 즉 여성보다는 남성의 경우, 또한 연령이 높고 사회활동능력이 저하되어 있는 개인은 상대적으로 상호호혜형보다는 수급형이 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상담영역에서 세대간 지원교환의 유형을 결정하는 주요변인을 살펴보면, 공급형의 경우 종교, 주관적 건강수준, 한달 수입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보였다. 즉, 종교가 없는 경우보다 있을 시, 그리고 건강에 대한 믿음이 높고, 한달수입이 많을 경우 상호호혜형보다는 공급형이 될 가능성이 우월하다. 수급형은 종교와 사회활동능력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도출할 수 있었다. 즉, 종교가 없을수록 또한 사회활동능력이 저하되어 있을수록 상호호혜형보다는 수급형이 될 가능성이 높음을 의미한다. 둘째, 영역별 지원교환의 유형이 노인의 고독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증하였다. 경제적 영역에서 세대간 지원교환의 유형이 노인의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에 접근하였고 이들 유형 중 공급형과 상호호혜형이 유의미한 것으로 판별되었다. 그리고 노인의 자원변수 중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변인은 주관적 건강수준, 사회적 활동능력, 일상생활수행능력으로 판별되었으며, 인구사회학적 변인 중에서는 성별로 나타났다. 정서적 영역에서 지원교환의 유형이 노인의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고찰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으며, 상호호혜형이 노인의 고독감을 유의미하게 감소시키고 있었다. 이외에 주관적 건강수준과 사회적 활동능력, 일상생활수행능력, 인구사회학적 변인에서는 성별이 고독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도구적 영역에서 지원교환의 유형이 노인의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기 위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적용하였으며, 공급형과 상호호혜형, 수급형 모두 의미있는 간극을 표지하지 않았다. 이외에 주관적 건강수준, 사회적 활동능력이 노인의 고독감에 유의미한 영향을 유인하는 자원변수로 검증되었다. 또한 노인의 인구사회학적인 변인 중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 요인은 성별과 종교로 판별되었다. 상담영역에서 지원교환의 유형이 노인의 고독감에 유의미한 영향에 접근하기 위하여 다중휘귀분석을 적용하였으며, 수급형과 상호호혜형이 유의미한 요인으로 판별되었다. 이외에 주관적 건강수준, 일상생활수행능력, 성별, 연령이 유의미한 변인으로 검증되었다. 위의 내용을 맥락으로 이론적 함의를 정리하면 첫째, 세대간 지원교환을 설명하는 이론들 중 사회교환이론이 가장 유용하게 설명될 수 있음을 증명하였다. 둘째, 지원교환의 방향이 영역에 따라 상이해질 수 있음을 규명하였으며, 지원교환의 영역을 상담영역으로 확대하여 접근하였다. 셋째, 지원교환의 유형을 결정하는 요인을 노인의 인구사회학적인 변인과 자원변수로 확대하여 고찰하여 노인의 개인적 특성에 의해 다양한 형태를 보유한 지원교환의 유형이 발생할 수 있음을 파악하였다. 그리고 실천적 함의로는 첫째, 가족체계의 다양한 영역에서 존재하는 노인의 능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프로그램의 개발이 요구된다. 둘째, 노부모와 성인자녀의 관계형성 기술을 향상시키기 위한 실천가들의 노력이 요구된다. 셋째, 노인의 사회적 활동을 지지할 수 있는 서비스와 프로그램을 구축하여야 한다. 주요어: 세대간 지원, 지원교환, 지원교환의 유형, 공급형 지원교환, 수급형 지원교환, 상호호혜형 지원교환, 무교환형, 경제적 영역, 정서적 영역, 도구적 영역, 상담 영역, 노인의 고독감
장기요양시설 서비스 만족이 노인의 주관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 고독감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금기윤 한영신학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박사
본 연구의 목적은 장기요양시설 서비스 만족과 노인의 고독감, 주관적 안녕감의 관계를 규명하는데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첫째, 장기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개인적 특성과 시설 유형에 따른 서비스 만족 및 주관적 안녕감, 고독감에 대한 차이, 둘째, 장기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서비스 만족정도와 생활만족도 및 행복감의 차이, 셋째, 장기요양시설 서비스 만족과 입소 노인이 느끼는 고독감의 관계, 넷째, 장기요양시설 노인의 고독감과 생활만족도 및 행복감의 관계, 다섯째, 장기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서비스 만족과 주관적 행복감 사이에 고독감이 매개적 효과 관계를 파악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서울시 소재 장기요양시설인 노인요양시설, 노인전문병원, 노인요양 공동생활 가정에 입소한 노인 300명을 대상으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측정도구는 설문지이다. 각 설문지의 신뢰도는 Cronbarh's Alpha 테스트를 한 결과 주관적 안녕감의 하위 변인인 생활만족는 .787, 행복감은 .825, 고독감은 .80, 서비스만족은 .930으로 비교적 높게 나타났다. 총 300명의 응답결과를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하였으며, 자료분석은 SPSSVer 15.0과 ANOVA, t-검정, MANOVA, 다변량공분산분석, 위계적 회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자료 분석결과 도출된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인의 개인적 특성과 시설 유형에 따른 서비스 만족은 일상생활서비스, 의료서비스, 시설환경서비스, 모두에서 남성과 여성간의 서비스 만족에 차이가 있었으며, 시설 유형별 서비스 만족은 노인요양시설경우는 시설환경서비스, 노인전문병원의 경우는 의료서비스, 노인요양 공동생활 가정의 경우에는 일상생활서비스에 대한 만족이 가장 높았다. 이 외에 개인적 특성 조사항목별 검정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항목은 장애요양등급별, 학력별, 입소 전 동거여부, 입소 전 치매진단 유무이었으며, 하위요인 3개 서비스 만족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은 이용료 부담 주체별, 시설에서 운영하는 프로그램 참여 횟수에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으로는 연령별로는 일상생활서비스 및 시설환경서비스 유효, 의료서비스는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현 시설 입소기간에 따라 의료서비스는 유의한 차이 있으나 나머지 서비스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가족의 방문주기에 따라 시설환경서비스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일상생활서비스 및 의료서비스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노인의 개인적 특성에 따른 주관적 안녕감은 남성노인이 생활만족도와 행복감이 여성노인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여성노인의 경우 행복감이 생활만족도 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입소 유형별로 생활만족도는 노인그룹홈, 노인요양시설, 노인전문병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또한 행복감은 노인요양시설, 노인그룹홈, 노인전문병원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이 외에 개인적 특성 조사항목별 검정 결과 유의한 차이가 없는 항목은 장애요양등급별, 학력별, 입소결정 동기별, 입소 전 치매진단 유무별, 이용료 부담주체별, 프로그램 참여주기이었으며, 하위변인 2개 모두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인 현 시설 입소기간별 대해서는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부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항목으로는 연령별 생활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행복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으며, 가족 방문주기별 생활만족도는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행복감은 유의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인요양시설 입소노인의 서비스 만족 정도는 노인의 현재 및 미래의 생활만족도와 일상생활에서의 마음상태인 행복감에 영향관계를 갖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소 시설별로는 노인요양시설 입소 노인의 경우에는 생활만족도 및 행복감에 영향관계를 갖고 있으나 노인전문병원의 경우에는 행복감에만 영향관계가 있었으며, 노인그룹홈의 경우에는 주관적 안녕감과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넷째, 장기요양시설 입소 노인들이 느끼는 고독감은 입소 시설별, 서비스 만족 집단별로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입소 시설별로는 노인요양 그룹홈에 입소한 노인들의 고독감이 가장 낮았으며, 그 다음으로는 노인요양시설, 노인전문병원의 순으로 나타났다. 한편, 서비스 만족 집단별로는 노인요양시설과 노인전문병원의 경우에는 고독감과 영향관계가 있었으나 노인요양 그룹홈의 경우에는 고독감과는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해석된다. 다섯째, 장기요양시설 입소 노인들의 주관적 안녕감은 고독감의 크고 작음에 따라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주관적 안녕감을 구성하는 하위변인인 생활 만족도는 고독감의 크고 작음에 따라 영향관계가 있으며, 행복감 또한 고독감 정도에 따라 영향관계가 있는 것으로 해석된다. 여섯째, 장기요양시설 입소 노인들의 생활만족도와 주관적 안녕감 사이에는 고독감이 부분매개효과 및 완전매개효과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적으로는 주관적 안녕감을 구성하는 하위변인인 생활만족도와 장기요양시설 입소 노인들의 서비스 만족과의 사이에서 고독감이 부분매개효과 역할을 하며, 서비스 만족도는 생활만족도에 직접적인 영향과 함께 매개변수(고독감)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내용을 종합해 보면 장기요양시설은 만성질병으로 가족과 떨어져 생활하고 있는 노인에게 서비스 차원에서 충분히 욕구 만족을 느낄 수 있는 질적 향상을 고려하여, 노인의 남은여생이 주관적 차원에서 고독감을 경감하고 생활만족과 행복감을 충족시킬 수 있는 운영방안이 주요함을 시사하였다. 따라서 다가오는 고령사회를 대비하여 노인의 고독감, 무료함 등의 심각성을 인식하고 장기요양시설의 효율적 운영이 되도록 프로그램개발 및 시설확충 등을 제고할 수 있는 노인복지정책의 사회적 자본을 과감하게 투입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potential correlations among satisfaction with long-term care facility services, old people's loneliness and their subjective sense of well-being.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is study sought to 1) determine potential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t services, subjective sense of well-being and loneliness depend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old people residing in long-term care facility as well as type of facility. 2) determine potential differences in service satisfaction,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old people at long-term care facility residents, 3) determine potential correlations of old residents' satisfaction at services in long-term care facilities with their loneliness, 4) determine potential correlations among loneliness,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old residents at long-term care facilities, and 5) determine potential mediating effects of loneliness between servic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happiness of old residents at long-term care facilities. This study surveyed total 300 old residents at various long-term care facilities in Seoul metropolis (e.g. senior care centers, specialized senior hospitals and senior care group homes). This study employed a questionnaire form as measuring instrument for survey. As demonstrated by Cronbach's alpha test on the reliability of each questionnaire, it was found that subordinate variables of subjective well-being sense had relatively high alpha coefficients on the whole (life satisfaction: 0.787, happiness: 0.825, loneliness: 0.80, service satisfaction: 0.930). The data of questionnaire forms completed by total 300 respondents were used for final data analysis. All data were processed using SPSSVer 15.0 and were analyzed in form of analysis of variance (ANOVA), t-test,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 (MANOVA), multivariate analysis of covariance (MANCOVA) and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respectively. Based on data analysis, this study came to the following findings: First, according to analysis on service satisfaction depending upon old people's person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satisfaction at daily life service, medical service and facility environment service between male and female respondents. According to analysis on service satisfaction depending on type of long-term care facility, it was found that our respondents felt most significantly satisfied with facility environment service (at senior care facilities), medical service (at specialized senior hospitals) and daily life service (at senior care group homes). Moreover, according to test on service satisfaction depending on itemized personal characteristics,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service satisfaction depending upon disability care level, academic career, pre-admission cohabitation history and pre-admission senile dementia diagnosis history. 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ll three subordinate variables of service satisfaction depending on a person who assumes any cost of admission fee and the frequency of senior residents' participation in care program in their facilitie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daily life service, facility environment service and medical service depending upon age, wherea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medical service but other services of senior long-term care facilities depending upon the period of admission at current facilit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only in facility environment but daily life service and medical service depending upon the frequency of family visits. Secondly, according to analysis on subjective sense of our respondents' well-being, it was found that male respondents felt better happiness and life satisfaction depending on personal characteristics (of old people) than female ones, but female respondents felt better happiness rather than life satisfaction.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respondents residing at senior group homes felt more satisfied at their life than those at senior care centers and those at specialized senior hospitals respectively. And it was found that respondents residing at senior care centers felt better happiness than those at senior group homes and those at specialized senior hospital respectively. According to test on service satisfaction depending on itemized personal characteristics, there was not any significant difference in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depending on disability care level, academic career, admission motivation, pre-admission senile dementia diagnosis history, a person who assumes any cost of admission fee, and frequency of old residents' participation in care program.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ubjective sense of well-being depending on the period of admission at current facility, as were in both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but happiness depending upon age, while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life satisfaction but happiness depending on the frequency of family visits. Thirdly, it was found that service satisfaction of old people residing at senior care facilities had causal correlations with their current and future life satisfaction and their happiness (as a positive state of mind in daily life). In terms of admission facilities for senior care, it was found that senior care centers had causal correlations with both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of old respondents, but specialized senior hospitals had causal correlations only with happiness, and senior group homes had no causal correlation with subjective sense of well-being. Fourthly, it was found that admission facility and service satisfaction group had causal correlations with loneliness felt by old people residing at long-term care facilities. In terms of admission facility, it was found that old people residing at senior care group homes felt less lonely than those residing at senior care centers and those at specialized senior hospitals respectively. On the other hand, it was found that senior care centers and specialized senior hospitals had causal correlations with loneliness in terms of service satisfaction group, but senior care group homes had no causal correlations with loneliness. Fifthly, it was found that subjective sense of well-being felt by old people residing at long-term care facilities had more or less causal correlations with loneliness depending upon its severity. In details, it was found that life satisfaction (a subordinate variable of subjective well-being) had more or less causal correlations with loneliness depending upon its severity, and happiness (another subordinate variable) also had more or less causal correlations with loneliness depending on its severity. Finally, it was found that loneliness had partial and complete mediating effects between life satisfaction and subjective well-being sense of old people residing at long-term care facilities. In details, it was found that loneliness had partial mediating effects between two subordinate variables of subjective well-being sense, i.e. life satisfaction and service satisfaction of old people at long-term care facilities, whereas service satisfaction had firsthand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and also had secondhand effects on life satisfaction via a mediating variable (loneliness). Summing up, the findings of this study suggested that it is important to develop effective ways to operate long-term care facilities for senior people in such a way that those facilities can relieve old people from loneliness in subjective aspect for remaining life and can realize their life satisfaction and happiness with regard to qualitative improvement enough for old people to feel their needs satisfied in the aspect of senior service, when they reside at senior care facilities away from their family due to chronic diseases. Hence, as a part of preparations for impending aged society in Korea, it is required to recognize the seriousness of loneliness and tedium seen in senior population, and boldly invest social capitals of senior welfare policies into long-term care facilities with a view to enhancing program development and facility expansion ultimately for the purpose of their efficient administration.
고독감이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이관희 가톨릭꽃동네대학교 사회복지카리타스대학원 2024 국내석사
고독감이 노인들의 삶에 있어 중대한 영향을 줄 것이라고 보고 이를 극복하고 보다 긍정적이고 행복한 양질의 삶을 살아갈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는데 목적을 두고 65세 이상 노인을 대상으로 고독감이 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자기효능감이 어떤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연구 하였다. 연구방법은 충청북도의 11개 시군의 65세이상 노인 245명, 전국 5개 광역특별시 서울, 부산, 대구, 광주, 인천의 65세이상 노인 162명을 표집하여 전체 407명의 설문지을 취합하였다. 이중 설문 누락 등의 문제로 33개의 설문을 제외한 374명의 자료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행복감척도 24문항 5점 Likert Scale 척도, 고독감척도 20문항 4점 Likert Scale척도, 자기효능감척도 12문항 5점 Likert Scale 척도을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SPSS 통계프로그램과 R 프로그램을 이용하였다. 변인들 간의 관련성을 살펴보기 위해 고독감, 노인의 행복감, 자기효능감 간의 Pearson 적률상관분석을 적용하여 분석했다. 노인의 행복감에 고독감과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했고, 고독감이 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기 위해 Bootstrapping 방법과 R 프로그램의 lavaan을 사용하여 경로모형의 간접효과를 검증하고 분석했다. 연구 설계 시 가정했던 가설 ‘고독감이 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자기효능감은 매개효과를 가질 것이다.’ 를 토대로 연구한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보면 고독감과 노인의 행복감 간의 관계에서는 부적 상관이, 자기효능감과 노인의 행복감 간에는 정적 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 결과 주요 변인 고독감, 노인의 행복감, 자기효능감 간에 서로 유의미한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한 분석 결과를 살펴보면 독립변인 고독감이 노인의 행복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립변인인 고독감과 매개변인인 자기효능감을 모두 투입한 다중회귀분석에서는 고독감은 노인의 행복감에 부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고, 자기효능감은 노인의 행복감에 정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쳐 본 연구의 가설를 지지하였다. 셋째, 매개효과가 유의미한 통계적 의미를 어떻게 갖고 가는지 살펴보기 위하여 경로분석을 실시하였다. 결과를 살펴보면, 고독감이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자기효능감이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고독감이 노인의 행복감에 미치는 영향 모두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고독감이 자기효능감을 매개로 하여 행복감에 미치는 간접효과도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고독감이 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자기효능감을 통해 부분매개한다는 결과가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고독감이 노인의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데 있어 자기효능감이 간접적인 영향을 주고 있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노인들이 노후에 심리적 안정을 찾고 행복한 노후를 지켜 나가는 데 있어 고독감을 줄이고 자기효능감을 증진할 필요가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노인의 고독감과 사회적 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 여가활동 만족의 매개효과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influence of the daily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awareness of elderly users of senior leisure facilities on their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satisfaction with leisure activities in that process. And it's found that the elderly people who were less lonely and received more social support found themselves to be more satisfied with the leisure activities in which they engaged, and that these senior citizens suffered less depression. It's also proven that the mediating role performance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took place in the influential relationship between loneliness and depression. The theoretical, practical and political implications of the findings of the study could b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is study is of academic significance in that it found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produced mediating effects when the psychological regulation of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by the senior leisure facilities encouraged the senior citizens to regulate their own depression in daily life. That is, this study made some contribution to the enlargement of the scope of research by proving that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hich is a new variable and was perceived by the senior citizens while using the leisure facilities, exercised an influence when the psychological regulation of loneliness and social support affected their daily depression. Second, this study provided psychological and practical rationale that various attempts should be made to raise the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of elderly users of senior leisure facilities as a psychological factor in the area of senior leisure facilities and that these efforts could serve to lower their depression. In other words, it's proven that diverse programs and systems which aim at increasing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can be successful, and this study stirred up more discussions on the necessity of the kind of management that uses satisfaction level, which is one of business assessment indicators, in senior leisure and welfare. Besides, this study raised the need to make more managerial efforts to increase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Third, like other organizations including businesses, various programs geared toward increasing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as a way to relieve loneliness and depression and the management style of this approach turned out to be effective in senior leisure facilities that are social welfare agencies. Therefore a system that provides a variety of programs tailored to the characteristics of elderly users of senior leisure facilities in appropriate environments should be introduced to raise their leisure life satisfaction, and a standard manual for the management of the system should be provided. Necessary institutional measures should be taken to stimulate many senior leisure facilities to introduce this sort of system. Nowadays there is an increase in the weight of the elderly population in aging society, and the weight of their leisure activities is on the rise as well. Usually, elderly people suffer from severe loneliness and depression in everyday life, but they aren't provided with proper social support. The government and leisure facilities should make a lot of efforts to alleviate the loneliness and depression of elderly people doing leisure activities and to help them to find themselves to receive enough social support. In fact, however, not many studies have yet examined loneliness, social support, depression and the mediating effects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in senior leisure facilities in detail. This study attempted to investigate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users of senior leisure facilities in the metropolitan area to find an alternative on how to increase the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of elderly users of these facilities to lower their depression, and a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made to make it happen. The followings are suggestions from the findings of the study and the significance of it: First, existing studies haven't investigated a lot the depression of elderly users of senior leisure facilities, which is one of psychological indicators, and this study attempted to find an alternative by introducing the concept of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which is one of psychological indicators, as a mediating variable to lower the depression of these elderly people that is another psychological indicator. Second, this study is expected to make a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senior welfare and senior leisure facilities by applying the managerial concept of satisfaction level as the mediating variable to improve the performance of senior leisure facilities to relieve the depression of elderly users and by offering information on the effects of the mediating variable. Finally, this study found that the leisure activity satisfaction of the senior citizens played a mediating role though they suffered from loneliness and depression in daily life due to their own characteristics. Therefore local welfare facilities should develop and provide a wide range of leisure welfare programs in which local elderly people can actively participate. 노인여가시설을 이용 중인 노인들의 일상생활에서의 고독감과 사회적지지가 우울감에 미치는 영향 정도를 설명하기 위해 그리고 여가활동 만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고자 하였다. 연구를 통해 고독감이 낮을수록 그리고 사회적 지지가 높을수록 노인들의 여가활동 만족도는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반면에 우울감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이 연구과정에서 여가활동 만족의 매개적인 역할은 고독감과 우울감의영향관계에서 발생한다는 것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의 이론적,실천적, 정책적 함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는 노인여가시설을 통해 고독감 및 사회적지지의 심리적 조절이 일상생활에서 노인들의 우울감을 조절하고 유도하는데 있어서 여가활동 만족이란 매개효과를 실증하였다는데 학문적 의의가 있다. 이는 고독감 및 사회적지지의 심리적 조절이 노인들의 일상생활에서의 우울감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서 여가활동 만족의 새로운 변수에 의한 영향정도를 입증함으로써 연구의 범위를 확대하는데 미미하나마 기여를 하였다는 점이다. 둘째, 본 연구는 노인여가시설 영역에 있어 심리적 요인 차원에서여가활동 만족감을 높일 수 있도록 실천할 경우 이용노인의 우울감을낮출 수 있다는 심리적 실천적 근거를 제공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여가활동 만족을 제고시키는 다양한 프로그램과 제도 등을 실천하는 과정에서 그 성과를 입증함으로서 만족도라는 경영적 평가척도를 노인의여가복지에 적용시키는 경영의 필요성에 대한 논의를 다시 확장시켰으며, 여가활동 만족을 향상시키는 경영적인 부분의 실천을 더욱 강화하는 대책을 추구해야 할 것이다. 셋째, 일반 기업 및 기관에서처럼 사회복지기관인 노인여가시설에서도 고독감이 우울 감을 낮추는데 있어서 여가활동 만족을 낮추는 다양한 프로그램 및 경영 실천의 효과성이 입증되었다. 따라서 노인여가시설에서 이용노인들의 특성에 적합한 여가만족을 높일 수 있는 다양한 프로그램, 환경, 제도 등의 시스템을 도입하고 실천할 수 있는 표준 매뉴얼을 공급하고 확산될 수 있도록 제도적 뒷받침을 위한 노력을 해야 할 것이다. 한편, 고령화 사회에서 노인의 비중은 늘어나고 있는 가운데 노인의여가활동의 비중 또한 늘어나고 있다. 노인들은 일상생활에서 높은 고독감과 우울감, 낮은 사회적지지 상태에 놓여 있으며, 정부 및 여가시설의 입장에서는 여가활동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의 고독감과 우울감을 낮추고 사회적지지를 높이는 다양한 노력과 방안이 필요한 시점에 있다. 그러나 노인여가시설에서의 고독감과 사회적지지, 우울감 그리고 여가활동 만족이란 매개효과에 관하여 체계적으로 분석한 연구는 드문 실정이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수도권 지역 노인여가시설 이용자의 일반적 특성을 조사분석함으로써 노인여가시설을 이용하는 노인들의 우울감, 여가활동 만족의 매개효과 능력을 확대하고자 하는 정책적 대안을 찾는데 있다고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두 변수 이상의 독립변수(영향변수, 원인변수)들이 종속변수(결과변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가를 알기 위한 분석기법인 다중회귀분석(Multiple Regression Analysis)을 실시하였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 몇 가지 점에서 시사점과 의의를 갖는다. 첫째, 본 연구는 기존 연구에서 부족하였던 노인여가시설에서의 심리적 척도인 이용노인에 대한 우울감 감소를 위하여 심리적 척도중 하나인 여가활동 만족 개념을 매개변수로 도입하여 정책적 대안을 찾는 연구를 시도하였다. 둘째, 본 연구는 노인여가시설을 이용 중인 노인들이 갖고 있는 우울감을 낮추기 위하여 노인시설의 역할을 강화하는 측면에서 노인들이 참여하고 있는 여가활동에 대한 만족도를 매개변수로 적용하여 그 효과의 검증을 제시함으로써 향후 노인복지 및 노인여가시설의 발전에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결과 노인의 특성상 일상생활에서 고독감과 우울감은 높은 특성을 갖고 있으나 여가활동에 참여할 때의 만족감은 매개적 역할을 하고 있음에 따라 지역복지시설에는 인근의 노인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다양한 여가복지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운영해야 할 것이다.
독거노인의 고독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노년기의 발달과업은 죽음에 대한 적응이지만, 사회적 관계망이 위축된 독거노인은 죽음에 대한 불안을 경험할 가능성이 높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고독감이 죽음불안에 미치는 영향과 노인돌봄기본서비스의 수행 인력인 생활관리사가 제공하는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독거노인의 죽음불안 수준을 낮출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충청남도 계룡시에 거주하며 노인돌봄기본서비스를 받고 있는 65세 이상 독거노인 166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에서 수집된 자료를 PASW 18.0 프로그램을 통해 분석하였다. 그 주요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의 고독감 수준은 연령, 종교, 근로여부, 독거 이유, 주관적 경제상태,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가족관계에서, 사회적지지 수준은 독거 이유, 주관적 경제 상태에서, 죽음불안은 독거 기간, 주관적 경제상태에 따라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둘째, 독거노인의 고독감이 높아질수록 죽음불안 수준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고독감은 죽음불안에 정적 영향력을 지니고 있었다. 셋째, 독거노인이 받는 사회적 지지의 수준이 높을수록 죽음불안이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나, 사회적 지지는 죽음불안에 부적 영향력을 지니고 있었다. 넷째, 독거노인의 고독감과 죽음불안간의 관계에서 생활관리사의 사회적 지지는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독거노인의 죽음불안을 경감하기 위해서는 우선적으로 독거노인의 고독감을 줄이기 위한 전문적 개입프로그램을 실시하고, 노인돌봄기본서비스 생활관리사의 사회적 지지를 강화함과 아울러 생활관리사의 전문적 역량을 강화하기 위한 교육훈련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실시하여야 할 것이다.
연구는 일반노인들보다 고독감을 더 경험하는 시설노인들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과 그 요인들이 지니는 상대적 영향력을 판별해 내고 시설노인의 특성에 따른 고독감의 내용과 수준을 비교 분석하여 시설노인의 고독감을 경감시킬 수 있는 노인복지 실천방안을 제시하는데 기본적 연구목적을 두고 있다. 본 연구의 연구 결과에서는 노인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알아보기 위하여 Stepwise 방식의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과 한방 쓰는 분 수 변수가 가장 설명력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친하게 지내는 분 수, 같은 방을 쓰는 노인들과의 관계, 상담직원이 적을수록, 질병이 있는 경우 시설노인의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인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본 연구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시설노인의 고독감은 노인의 교육정도와 질병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인이 교육을 받은 수준이 높을수록 고독감을 적게 느끼고 있으며, 질병이 있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고독감을 많이 느끼고 있었다. 시설노인들이 느끼는 고독감은 노인들의 사회참여를 증가시킴으로써 대인관계의 갈등을 해소하여 여러 사람들과의 관계개선을 통하여 고독감을 감소시킬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노인들을 사회에 적극 참여시키기 위하여 기존의 서비스를 확대해 가는 방안으로 고독감 해소를 위하여 자녀와의 상호교류 증진 프로그램, 효도전화운동의 전개, 가정 봉사원에 의한 정서적 지지서비스, 여가 프로그램 및 사회단체 활동에의 참여 증진 등의 서비스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 때 노인들의 참여를 더욱 증진시키기 위하여 집단생활의 특수성과 대인관계에 폐쇄적인 시설수용 노인들이 특성에 부응하는 시설공간의 활성화와 위치 선정을 고려하여 시설 위치를 변두리에서 벗어나 교통이 편리한 지역사회로 설립함으로써 시설노인의 외출 뿐 아니라 가족이나 친지 등의 외부인들이 시설을 보다 편하게 방문할 수 있도록 유도해야 할 것이다. 또한 시설노인이라는 특수성을 감안하여 생산적이고 적극적인 활동을 마련하여 노인들이 적극 참여하고 대인관계의 갈등이나 긴장을 해소해 줄 수 있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기 위하여 시설 종사자들과 사회단체, 정부에서 여러 전문가들을 개입시켜 적극적으로 추진해야 할 것이다. This study is to find a factor that has influences on the solitude of the old in a welfare center, who experience much higher loneliness than those at home, and a relative influence of the factor, and compare and analyze what solitude is by degree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in order to provide a practical plan of reducing the loneliness of the old in a welfare center. To find an influential factors on the loneliness of the old, it was used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ing that a partner to a room is found to be highest correlated and that a partner to a room, close friends, and relations with the others in the same room, and decreased counseling workers are found to be influential factors on the loneliness of the old. Also, it is found that the solitude varies with the education level and diseases of the old. Specifically, the old with higher education levels experience the less loneliness, while those with a disease feel much loneliness. The solitude of the old will be reduced by increasing their participation in a society, reducing the interpersonal conflicts, and improving the relationships among people. To have the old participated in a society actively in order to reduce their solitude, it need to extend the existing services further, such as program for enhancing interaction with children, development of filial piety call campaigns, emotional support service by home volunteers, and participation in leisure program and social group activities. Further, considering appropriate use of facility and its location for the specific group living and closed inter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old in a welfare center, it needs the facilities established in a community, where is easily accessible, rather than a suburb, so that the old as well as outsiders such as their family or acquaintances may visit them more conveniently. Taking the specific circumstances of being the old in a welfare center into consideration, it is required productive and active activities that will lead the old to participate in them and to relieve their interpersonal conflicts or strains. For the development of such a program, it need for various experts of social groups and the government as well as center workers to cooperate actively.
독거노인의 우울과 고독감과의 관계: 사회적 지지의 매개효과와 사회적 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
방기연 강원대학교 산업과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provide a social welfare intervention plan for the social problems caused by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considering that social relationships can have a positive effect on loneliness in the relationship of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The study subjects were aged 65 years and older living alone, and seven of Eup-myeon-dong, Samcheok-si, were surveyed in seven Eup-myeon-dong areas. As the analysis method, PROCESS macro 3.14 was used.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see if the depression of the elderly living alone affects loneliness through social support, it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4. As a result of analysis, depression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and social support had a significant negative effect on loneliness. In other words, social support was mediated between depression and loneliness. Second, in order to find out whether social relationship is regulate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oneliness, it was analyzed using the PROCESS macro model 1. As a result of analysis, depression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loneliness, and social relationship had a negative effect on loneliness.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depression and social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loneliness, and it was found to have a moderating effect. Third, the PROCESS macro model 5 was used to find out whether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social support and loneliness is controlled by the social relationship, that is, the social relationship has a controlled mediating effect. As a result of analysis, depression had a negative effect on social support, social support had a negative effect on loneliness, and each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mediating effect. In addition, the interaction term between depression and social relationship had a positive effect on loneliness and had a moderating effect. In other words, social support is mediated by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oneliness, and the social relationship plays a role in reducing the relationship between depression and loneliness, which has been shown to have a controlled mediating effect of social relationship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n order to reduce the depression and lonelines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social relations with resources in the community such as family, relatives, friends, and neighbors are received, and social support such as emotional, economic, instrumental, and physical support is received and received frequently. This analysis offers several implications. First, practical implications suggest the importance of social relationships in reducing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In other words, the social relations promotion program means that it is an important factor to consider in addition to the existing social support, and the loneliness reduction program can be considered as a family volunteer group focused on human relations, family ties, and grandson and grandparent encounter programs. Second, I think that the policy implications should set qualitative policy goals that deal with the psycho-emotional aspects of the elderly living alone rather than quantitative policy goals such as caring for the elderly living alone through community care. If indicators such as loneliness or social relations are presented so that the elderly living alone can feel and care for them in detail, interest in qualitative performance may be expanded rather than quantitative performance. Keywords: Elderly Living Alone, Loneliness, Depression, Social Support, Social Relationships 본 연구의 목적은 우울, 사회적 지지, 고독감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가 고독감에 긍정적인 작용을 할 수 있다고 보고, 독거노인의 고독감으로 발생하는 사회문제에 대한 사회복지적 개입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연구대상자는 65세 이상 독거노인으로 삼척시 12개 읍면동 중 7개 읍면동지역을 중심으로 설문조사를 2020년 1월 4주간 삼척시 독거노인지원센터의 협조를 얻어 196부를 최종 분석하였으며, 분석방법은 PROCESS macro 3.14를 사용하였다.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독거노인의 우울이 사회적 지지를 통해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PROCESS macro 4번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울은 사회적 지지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고, 사회적 지지는 고독감에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주었다. 즉, 우울과 고독감 사이에서 사회적 지지는 매개하였다. 둘째, 우울과 고독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관계가 조절하는가를 알아보기 위해 PROCESS macro 1번 모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결과, 우울은 고독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관계는 고독감에 부적 영향을 미쳤다. 우울과 사회적 관계의 상호작용 항은 고독감에 정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미쳐 조절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우울, 사회적 지지와 고독감의 관계를 사회적 관계가 조절하는지, 즉, 사회적 관계가 조절된 매개효과를 나타내는지 알아보기 위해 PROCESS macro 5번 모형을 이용하였다. 분석결과, 우울은 사회적 지지에 부(-)적 영향을 미쳤고, 사회적 지지는 고독감에 부(-)적 영향을 미쳤으며, 각각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매개효과가 있었다. 그리고 우울과 사회적 관계의 상호작용 항은 고독감에 정적 영향을 미쳐 조절효과가 있었다. 즉 우울과 고독감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지지가 매개하는데, 사회적 관계는 우울과 고독감의 관계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하여 사회적 관계의 조절된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 결과를 통해 독거노인의 우울과 고독감 감소를 위해 가족, 친척, 친구, 이웃 등 지역사회 내 자원들과 사회적 관계를 맺고 정서적, 경제적, 도구적, 신체적지지 등의 사회적 지지를 많이 받고 빈도를 높이는 것이 독거노인들의 우울과 고독감 감소를 위해 중요하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분석은 몇 가지 함의를 제공한다. 첫째, 실천적인 함의는 독거노인의 고독감을 감소시키는데 있어 사회 관계의 중요성을 제시해 줍니다. 즉, 사회관계 증진 프로그램은 기존 사회적 지지와 더불어 중요하게 고려해야 할 요소라는 것을 의미하며, 고독감 감소 프로그램은 인간관계 중심의 가족봉사단, 가족결연, 손자와조부모 만남 프로그램을 고려해 볼 수 있다. 둘째, 정책적 함의는 커뮤니티케어를 통한 독거노인 지원 사업의 돌봄과 같은 정량적인 정책 목표보다는 독거노인의 심리정서적 측면을 다루는 질적인 정책 목표가 설정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독거노인이 체감할 수 있고, 세세하게 케어할 수 있도록 고독감이나 사회적 관계와 같은 지표들이 제시된다면, 양적 실적보다 질적 실적에 관심이 확대될 수 있을 것이다 핵심어 : 독거노인, 고독감, 우울, 사회적지지, 사회적 관계
재가노인의 고독감에 관한 연구 : 서울시 노인을 중심으로
맹희재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85 국내석사
오늘날 산업화·도시화에 따른 가족제도 및 가치관의 변화로 인하여 老人에 관한 문제가 한층 부각되고 있으며, 그러한 老人問題의 하나로 孤獨問題가 대두되고 있다. 老人의 孤獨感은 自他에 관련된 여러가지 要因들의 상호작용으로 인한 것이므로, 이러한 要因들을 규명하여 그에따른 대책을 마련함으로써 해결방안을 찾을 수 있다고 본다. 따라서 本 硏究는 배경변인(독립변인)들에 따른 老人孤獨感의 차이를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가족과 老人 스스로의 老年期대책에 도움을 주며, 家庭과 社會의 복지향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함에 목적이 있다. 本 硏究의 구체적 硏究內容은 다음과 같다. (1) 老人의 孤獨感은 각 독립변인(성·연령·배우자유무·현재소득유무·교육정도·자녀의 효심에 대한 지각·가족유형·정규모임 참여여부·친구유무·종교유무)에 따라 차이가 있을 것인가? (2) 老人의 孤獨感은 생활정도에 따라 성과 배우자유무 및 가족유형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일 것인가? (3) 老人의 孤獨感은 교육정도에 따라 성과 배우자유무 및 가족유형별로 어떠한 차이를 보일 것인가? 측정도구는 Nebraska대학「家族 및 人間發達學科」(Department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Family)에서 제작, M. R. Wythers가 사용한 것 가운데 일부를 추출하여 한국老人의 실정에 적합하도록 수정·보완하여 사용하였으며, 1984년 12월 27일부터 1985년 l월 25일까지 서울시내 420명의 在家老人을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자료분석은 백분비·빈도분포·산술평균을 구한뒤 ANOVA-test와 x²-test를 실시하였다. 硏究結果는 다음과 같다. (1) 배경변인별 고독감 ① 老人의 孤獨感은 性別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② 老人의 孤獨感은 연령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p<.05) ③ 배우자가 없는 老人은 있는 老人보다 孤獨한 경향이었다.(p<.01) ④ 자신의 현재소득이 없는 老人은 있는 老人보다 孤獨한 경향이었다.(p<.001) ⑤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孤獨感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1) ⑥ 老人의 孤獨感은 자녀들의 대우에 대한 지각이 불만족 할수록 높은 경향을 보였다.(p<.00l) ⑦ 정규모임에 참여하지 않는 老人은 참여하는 老人보다 孤獨한 경향이었다.(p<.001) ⑧ 家族類型別 老人의 孤獨感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⑨ 친밀한 친척·친구가 없는 老人은 있는 老人보다 孤獨한 경향이었다.(p<.001) ⑩ 非종교인은 종교인보다 孤獨한 경향을 보였다.(p<.001) (2) 생활정도에 따라 성과 배우자유무 및 가족유형별로 본 老人의 孤獨感 ① 배우자가 있는 男·女老人의 孤獨感은 생활정도가 높아질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p<.05) 그러나 배우자가 없는 경우는 女子老人들 중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 <.01) ② 전체적으로 본 가족유형별 老人 孤獨感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그러나 생활수준에 따라서는 생활수준이 높을수록 자녀와 동거하는 老人이 별거하는 老人에 비해 孤獨한 경향을 보였다.(p<.01) 즉 중·상층에서는 자녀와 동거하는 老人이 별거하는 老人에 비해 孤獨했다. (3) 교육정도에 따라 성과 배우자유무 및 가족유형별로 본 老人의 孤獨感 ① 배우자 유무에 관계없이 老人의 孤獨感은 교육정도가 높을수록 감소하는 경향이었다. 그러나 통계적으로는 배우자가 있는 男子老人 중에서만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1) ② 교육정도가 높은 老人들은 자녀들과 동거하는 경우 별거老人 보다 孤獨感이 컸고, 반대로 교육정도가 낮은 老人들은 별거하는 경우 동거老人에 비해 孤獨한 경향이었다.(p<.01) 이러한 경향은 男子老人에 비해 女子老人 중에 일층 현저했다. 이상의 결과로 볼때 個人 및 家族은 장기적 안목으로 생활을 계획하여 老年期에 달하기전 이에 대비한 경제적·신체적·심리적 준비를 갖추어야 할것이다. 老後의 생활적응을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자신의 능동적이고 자발적인 노력이 필요하나, 家族들은 특별한 관심과 애정으로서 老人들의 정서적·심리적·신체적 안정을 도와야 할것이다. 또한 최소의 생활보장을 위한 연금제도·의료대책 ·직업재적응 및 여가선용을 위한 노인교육program이 종교 및 사회·정책적 차원에서 모색되어야 할 것이며, 老人과 老人을 모신 家族들의 문제점이나 어려움을 상담할 수 있는 가족 및 老人문제상담소가 가정관리학적 차원에서 설치·운영되어야 할 것이라고 본다. 앞으로의 硏究는 老人의 孤獨에 관한 이론정립 및 측정도구의 개발로서 보다 심층·분석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The problem of aging in Korea arised more severely, specially in the feeling of loneliness due to the change of the value of life and the family structure with the result of industrialization and urbanization.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arised from the interaction of self and nonself, can be solved by finding the cause of these multiple factors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the social and family improvement by searching the cause of loneliness. Measurement used in this study was adapted the part of M.R. Wyther's questionare which had been produced in the Department of Human Development and the Family University of Nebraska and then modified adquatly to Koreans.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re 420 elderly population who live in their home located randomly chosen 8 distincts in Seoul. For the data analysis, ANOVA-test and x^2-test were used after calculating the percentage, frequency and mean.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Observing the differences in independent variables. 1) No sexual difference can be found in the depth of loneliness. 2) The depth of loneliness, increased proportional to the increase of age (P <.05) 3) Elderlies without partner showed deeper loneliness than,those having partner. (P <.01) 4) Incomeless elderlies showed deeper loneliness (P <.001) 5) The degree of loneliness decreased as the level of education increased. (P <.001) 6) The loneliness of the elderly largely arised from the discontentment of their offspring's attitude toward them. (P <.001) 7) The elderies who reqularly take part in their meeting of any kind showed less tendency of loneliness. (P <.001) 8) No difference of the depth of loneliness can be found among different family types. 9) The elderlies having close relatives of friends showed less tendency of loneliness. (P <.001) 10) Religion's old people have less tendency of loneliness. (P <. 001) (2) Observing the differences in living standard, with or without spouse and sex, the elderlies of highliving standard with spouse showed decreased tendency of loneliness. (P <.05) But in those without spous only widows showed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iving standard because most of widower felt loneliness. (P <.01) (3) Observing the differences, in educational level, with or without spouse and sex, the higher the educational of objectives, the less the loneliness they felt. But this difference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only in male groups with spouse. (P <.001) (4) Observing the differences in living standard, family types and sex, the higher the live standard of objectives, the more they contented their independent life separated from offsprings, while the objectives who have the lowest living standard were less contented with their independent life than in extended family. (P <.01) (5) Observing the difference in the level of education, family type and sex, the higher the education the more they were contented with their independent life. (P <.01) But this tendency of increased contentment was more distinct in female group. On the summery of this study, We should prepare our latter old life emotionally, physically and economically from the youth and for the adaptation of changes in aging, the active effort of elderlies themselves as well as affective concerns of whole family on them was needed, social securities for the minimun level of annuity, medical insurance, reajustment to new job, educational and recreational elderly program was pursued ulgently in the religious and socio-political aspect. In addition, not only psychological and socio-medial counseling systems existed but newly programed counseling systems in the aspect of Home Management was need for the better problem solving. The further precise study on the loneliness of aging should be made through more development of specific of measurement method and more result of study applied basic theories.
독거노인의 자기 통제감이 고독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지지의 조절효과
계속적으로 증가하는 독거노인과 함께 발생되는 여러 가지 사회문제 중 하나인 고독감은 특히 사회적 지지가 약한 독거노인에게는 자살이라는 극단적인 상황까지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외적 지지가 없더라도 독거노인 스스로 고독감에 대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내적요인인 자기통제감이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독거노인의 고독감을 종속변수로, 고독감 감소를 위한 내적요인인 자기통제감을 독립변수로 보고, 독거노인의 자기통제감이 고독감 감소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는 가설1과 사회적지지의 하위유형 중 독거노인의 자기통제감이 고독감에 영향을 미칠 때 조절효과를 가지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가설2를 검증하여 독거노인이 스스로 자신의 삶을 조절, 통제할 수 능력이 고독감을 감소시킴으로써 독거노인 문제 해결방안을 찾고 더 나아가 노인복지정책 및 실천적 함의를 모색하는 데 목적을 두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해 전국의 19개 지역에 거주하는 65세 이상의 독거노인 756명을 대상으로 일대일 방문을 통해 설문지 조사를 실시하였고, 그중에서 650개의 설문지가 회수되어 그 중 624명을 선별하여 조사대상으로 사용하였다. 연구방법으로는 사회과학을 위한 통계분석 프로그램(spss 18.0)을 이용하여 빈도분석, 기술통계, t-검증, 분산분석 등을 실시하였으며, 변수들의 관련성을 알아보기 위해 상관관계분석과 조절효과 검증을 위해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였다. 본 연구 결과로 독거노인에게 자기통제감이 고독감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이때 여성독거노인의 경우에는 사회적지지 중 물질적 지지가 자기통제감 향상과 고독감 감소에 조절변수로서 의미 있는 요인으로 작용하였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독거노인의 고독감을 감소하기 위해서는 다차원적인 개입이 요구되어진다. 즉, 자기통제감 강화, 안정적인 사회적지지 제공, 독거노인의 신체적․정신적 건강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남성과 여성 그리고 도시와 농촌의 독거노인에 대해 차별화된 접근을 통해 유형별 독거노인의 프로그램 개발 및 정책적 제안이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