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고구려 무용의 특징에 관한 연구

        이수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고는 고구려의 전성기인 4C-6C에 행하여졌던 연회무의 일종인 쌍쌍병립이무에 대하여 고구려의 고분벽화와 중국의 문헌기록을 통하여 그 춤의 형식적인 특징들과 존재적 실체성을 파악해보고자 하였다. 고구려의 무용은 크게 신께 바치는 신성한 의미의 춤과 인간을 위한 오락의 성격을 지닌 춤으로 나뉜다고 볼 수 있다. 건국초기에만 하여도 춤은 신성한 의식의 일부로서의 의미가 매우 컸다고 보여지나 국가로의 제도나 율법이 정비되어지고 중앙집권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면서 윤리와 사상, 사고의 변화에 있어서 신의 대리자인 왕이나 권세와 재력을 지닌 왕족을 위한 범주에 속하게 되었고 자연의 일부인 자신들이 스스로 즐기며 만족하던 춤보다는 귀족이나 권력자들에게 바치는 보여주기 위한 형식의 춤이 발전하게 된 것이다. 이러한 형식으로 발전되어진 고구려무용은 특정소수의 귀족이나 권력자를 위한 연회의 춤으로 그 특징을 갖으며, 이러한 특징을 지닌 무용에 대한 벽화를 발견할 수가 있다. 무용총이나 장천12호분에서 보여지는 가무도가 바로 그러하다. 그리고 이러한 특징은 중국의 문헌기록에서도 그 유사함을 발견할 수가 있으며, 이러한 사실은 당시에 고구려에서 유행하였던 춤이 중국에까지 전파되었음을 시사하는 것이고 타국의 문헌에 기록되어질 정도로 독창적이면서 높은 수준의 예술성을 지녔음을 알 수 있겠다. 4C-6C의 고구려는 정치, 경제, 문화적으로 괄목할 만한 성장과 발전을 하였던 시기로 예술도 탄탄한 토대위에서 폭 넓고 수준높은 성장을 하였다. 이 시기의 고구려무용은 적극적인 대외관계와 국가적 차원의 문화적 교류에 대한 지원을 통하여 외국으로의 활발한 진출이 이루어졌으며 더불어 외래의 舞樂도 수용하여 고구려 특유의 독특하고 고유한 양식으로 발전시켜 나갔다. 고구려인의 활달하고 씩씩한 기상과 북방기마민족의 기질이 융화되어 춤 속에도 녹아들게 되었고 이러한 고구려 고유의 독창적인 성격의 춤은 고구려가 멸망한 뒤에도 중국의 궁정내에서 여전히 인기있는 프로그램으로 연출된 사실을 문헌의 기록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본고에서는 벽화와 문헌의 기록을 통하여 공통된 특징을 지닌 대무형식의 雙立舞(雙雙竝立而舞의 줄임)에 대하여 크게 세가지측면에서 구분하여 개괄,논술하였다. 첫번째로 쌍입무의 반주악에 대하여 벽화와 문헌에 기록된 악기를 중심으로 그 특색을 짐작하여 보았고 두번째 무복을 통하여 무자의 사회적 신분과 동작과의 연관성을 살펴 보았으며 세번째로 벽화의 무태를 통하여 당시에 행하여졌던 춤의 동작에 대한 분석을 하였다. 위의 세가지 측면을 고구려 당시의 시대적 배경, 즉 국내외적 정세와 문화적 교류를 통한 영향적인 면에서 다각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본고는 본문의 내용을 통하여 고구려 무용의 특징중에서 문헌의 기록에도 있듯이 "쌍쌍병립이무"가 고구려무용의 대표되는 형식적인 특정임을 밝히고자 하였으며 그를 통하여 고구려무용에는 독무보다는 대무의 형식으로 추어진 춤이 많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를 통하여 본문의 내용들을 총괄하여 정리, 종합해 보면 당시에 행하여졌던 고구려무용의 수준에 대하여 조금 더 깊게 이해할 수 있는 계기가 된다는 데에 본고의 의의가 깊다고 하겠다. This dissertation explains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Ssanglipmu" (雙立舞) from the golden age of kokuryo. consulting the ancient tomb murals in kokuryo and the documents in China. The dances from the age of kokuryo can be classified into two major kinds. One is the sacred dance consecrated to god and the other is a form of entertainment for people. Early years of kokuryo. the dances were mostly used for the sacred ceremonies full of genuine religious fervor. but as the nation developed law and order and began to be centralized. the purpose of the dance changed. The ssangmu began to serve as a form of entertainment for the Royalty. The dance changed form a sacred dance to a secular one. When this change occured. the mentality of the dancers also changed. During a sacred dance, the dancers considered natural self-satisfaction as the most important factor but a the dance changed to a form of entertainment for the royalty, the mentality became more mechanical and exhibition-oriented. The dance of kokuryo is characterized by the festival dance for a minor aristocracies and authrities, also the murals that show the pictures of festival dance - for example. Muyongchong(무용총) and Jangchun 12 hobun(장천12호분) - can be found. These characterristics can be seen in the documentation of China, and the fact means that the dance of kokuryo were transmitted to China. And the dance of kokuryo was original and artistic on a high level, so the documents about the dance of kokuryo were put on record in Chinese documentations. Kokuryo made a great development In politics. economy, and culture between 4C and 6C, also the prosperity of the art is based on these social backing. The dance of kokuryo in this time advanced into foreigner actively, as it had active international relation and support for cultural exchange between contries. And it admitted foreign dance music, so it is developed in original style. The dance had active character of kokuryo and the speciality of of North Horse-riding People. In document. we can find the fact that this originality of kokuryo was the popular program in China Palace after kokuryo is falled. This dissertation which has three parts, also explains "Ssanglipmu". which has common features respectively. That is supported by murals and documents. On the first hand, accompaniment in ssanglipmu is characterized by musical instruments which is recorded in murals. And then. dancer's social status and relations with motions are brought out. laying stress on the costumes of dance. After that, the motions of dance In those days is stated by the forms of dance in murals. Historical background of kokuryo, that is international siruation and cultural exchange is considered in many-sided way about these three sides. This dissertation tried to make sure that ssangssangmu had the representative character in the dance of kokuryo. so we carne to know in this dissertation that in the dance of kokuryo, daemu is more than docmu. In conclusion, summing up the content of this text, this dissertation will help you to comprehend the dance of kokuryo more deeply.

      • 高句麗的 國際秩序認識의 成立과 展開 : 4-5世紀를 中心으로

        시노하라 히로카타 高麗大學校 2006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박사학위논문 <高句麗的 國際秩序認識의 成立과 展開>는 고구려가 주변 세력에 대해 가지고 있던 우월의식, 국제질서인식이 언제 성립되었고 그 인식이 고구려 대외관계에서 어떠한 형태로 나타났는가를 연구한 것이다. 그 개요는 다음과 같다. 고구려 금석문자료에는 고구려 고유의 군주호인 太王이 등장한다. 이 태왕은 고국원왕부터 평원왕(재위 559~590)까지 사용되었으며, 동시기(5호16국시대) 화북에서 전개했던 胡族 군주들의 天王호와 유사한 배경에서 등장하였다. 태왕호는 4세기 이후 고구려 군주가 <天의 혈통적 계승자>로서 서서히 관념적으로 정착되어 가는 과정에서 군주의 절대성을 나타내기 위해 창출된 칭호로서 미천왕의 후손에게 대대로 계승되었다. 태왕의 절대성을 나타내는 天은 두 가지 관념으로 설명된다. 하나는 고구려의 전통적인 <하늘>신앙으로 이를 통해 고구려는 부여와 北燕에 대해 우위를 확보하고자 하였다. 또 하나는 유가사상의 天子 개념에서 차용된 것으로 고구려는 그 개념의 일부인 “朝貢”을 통해 전통적 <하늘>을 공유하지 않은 세력들을 포섭하고자 하였다. 이 “天”은 고구려 내에서 한자로 표기됨으로써 전통적 관념과 외래적 개념을 나타낼 수 있는 다양성을 지니게 된 것이다. 이러한 天 관념의 다양성은 이 시기 고구려가 직면해 있던 현실 변화의 산물이었다. 4세기 초부터 고구려는 대외적인 영역확장, 그리고 외부에서 유입&#8228;망명해 오는 집단의 수용을 통해 기존의 고유 사회체계만으로 해결하기 어려운 다양성을 지니게 되었다. 고구려는 樂浪/帶方 故地에서 亡命 漢族세력을 현지 통치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한편 기존 高句麗 관인들에 대해서는 전통신앙을 중심으로 만들어진 秩序認識을 공유하게 하여 高句麗 중심의 국제질서를 誇示시켰다. 그리고 東西南北에 산재해 있는 周邊勢力에 대한 軍事的 優位를 확보하여 고구려를 정점으로 한 현실공간(天下)을 형성하였다. 이에 고구려의 <國際秩序認識>, 그리고 <天下觀>이 確立된 것이다. 이러한 秩序認識은 광개토왕대에 확립된 것으로 보인다. 그런데 長壽王代가 되면 高句麗의 정책은 남북조에 대한 <朝貢과 冊封>이라는 외교관계로 변한다. 다만 조공은 기본적으로 臣從을 의미하는 외교형식으로서 자국을 정점으로 한 고구려의 질서인식에서는 용납하기 어려우므로 조공외교에서는 漢族/胡族 출신 관인을 起用하면서 전통신앙을 공유하는 高句麗 官人에게는 情報를 統制하면서 질서인식을 유지하였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렇게 일단 순조롭게 시작된 대남북조 외교도 北燕을 둘러싼 서로의 인식 차이에서 대립으로 변하였다. 북연 天王인 풍홍은 북위에 대한 稱臣, 송의 책봉, 그리고 고구려의 질서인식에서도 하위에 자리매김된 존재였다. 고구려는 국내에서 공유되고 있는 질서인식을 유지하기 위해 그를 국내에서 살해할 수밖에 없었다. 풍홍이 사망함으로써 남북 양조는 풍홍을 지켜야 한다는 명분을 잃게 되었고 세 나라의 충돌은 무산되었다. 이 사건은 고구려의 국제질서인식이 또 다른 질서인식과 처음으로 충돌한 것이었으며, 고구려는 그 해결에 많은 시간을 들여야 하였다. 5세기 후반 고구려는 북위에 대한 조공외교를 재개하였다. 북위는 고구려에 대해 대체로 우호적인 태도를 보였으나 장수왕의 죽음을 계기로 고구려에 世子 入朝를 요구하였다. 북위에는 주변국에 왕, 세자를 元會儀禮에 참석하게 함으로써 자신이 <華>임을 과시하고자 하는 의도가 있었는데, 고구려의 입장에서 세자 입조는 그 질서인식의 정점에 있는 太王의 후계자가 직접 황제를 만나 군신관계를 맺는 것이 되므로 받아들이기 힘든 것이었다. 그래서 고구려는 북위의 요구를 거절하는 대신 조공외교를 질&#8228;양적으로 향상시킴으로써 이를 회피하였으며, 평화적 외교통로를 유지하기 위해 노력하였다. 이에 고구려의 성숙된 외교정책을 엿볼 수 있다. 4-5세기 고구려에 독자적인 질서인식을 형성, 추구할 수 있는 독창성이 존재했다는 점, 그리고 외부에서 들어오는 질서인식과 대립하면서 그것을 해결할 수 있는 외교 능력을 가지고 있었다는 점 등은 고구려사뿐만 아니라 당시 동아시아 민족사를 이해하는 데 큰 의미가 있다. 또 부족하나마 당시 多元的이고 重層的인 동아시아 질서가 관념세계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현실적으로 정치 운영 논리로서 기능했음을 지적할 수 있었다고 생각된다.

      • 고구려 고분벽화에 나타난 춤에 관한 연구 : 신화 해석을 중심으로

        남선주 경성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에서는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춤을 신화와 연결하여 해석하는데 있어 당시의 종교적 영향을 지적 해보고, 우리민족 문화를 중심으로 벽화에 나타난 춤을 해석하는데 그 목적을 두었다. 고대 춤을 검토하기 위하여 문헌 자료를 택하여 조사하고, 아울러 동양의 여러 문화적 자료들을 참고로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유물들을 비교·분석하였다. 이상의 내용들을 조사하는데 있어 고구려의 사상과 사회적 배경, 신화적 배경 등을 살피고 고구려 춤의 사적 개관, 춤의 종류, 춤의 형태와 특성 등을 조사하여 우리민족 사상의 근원인 신화와 연관하여 연구하는 방법을 택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고구려 고분 벽화에 나타난 많은 춤들 중에서 여섯 가지를 선별하여 무자, 동작, 악인, 악기, 무복 등으로 무용 형태를 대조하여 보았다. 그리고 벽화에 나타난 고구려 춤을 신화 해석의 한 예로 고구려 건국신화 중에서 「동국이상국집」동명왕편에서 「乃曰願與王射矣, 以 置百步射之, 其矢不入 臍, 猶如倒手, 王使人以玉指環, 縣於百步之外, 射之跛如瓦解, 松讓大驚」이라 하여 주몽의 활솜씨가 신기(神技)함을 기록하고 있는데, 무예 겨루기로 국가의 통치권을 쟁패하는 것은 고대사회의 주술적 신앙에 연유하는 것으로 고구려 역시 그러한 습속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습속으로 인하여 무용총 주실 북벽의 '택견무'와 같은 무예무가 연희되었던 것으로 볼 수 있다. 또한, 건국신화에는 주몽이 말을 아주 잘 다루고 아꼈다고 나오는 데, 이로 인해 고구려인 들을 흔히 기마민(騎馬民)이라 일컫는다. 그 지역적 특성상 말을 타고 달리는 기마민은 '뚝가닥 뚜가닥'으로 3박자 리듬을 가지게 되었는데, 이 3박자의 리듬은 농경민족의 '뚜벅뚜벅'의 2박자 리듬과는 다르게 동적이고 도약적인 리듬으로 활동적인 춤을 추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그 대표적인 예로 탈춤, 검무, 창춤, 북춤 등 힘이 있는 춤들을 들 수 있다. 위와 다른 각도로 고구려 고분벽화를 해석하는데 있어 중원 영향론과 불교 중심주의적으로 해석하는 경향을 흔히 접하게 된다. 이를 우리 고유의 민간신앙과 도교를 첨가하여 새로운 해석기재로 활용해보고자 하는 정재서의 주장에 근거를 두고 살펴보았다. 정재서는 지역적인 면에서 중국의 <山海經>과 고구려 신화와의 상관성에 관해 '중원 영향론적이다'라고 보는데, 신화에 '곰, 호랑이'가 공통적으로 나오는 부분과 태양에 대한 숭배 사상, 우리 나라 꽃인 무궁화, 근화(菫花)가 나오는 것, 새 깃을 꼽는 조우삽관(鳥羽揷冠)의 풍습, 조류숭배와 같은 난생신화, 예의궁술로 임신한 점, 스승이나 아버지가 죽어야 일인자가 된다는 점, 활의 명인, 불사관념 등등 고유한 부분이 동일한 신화 영역에서 함께 공유했던 당시의 호혜적인 시각에서 바라보아야 할 것이라고 하였다. 불교적 해석에 관한 부분을 신화와 연결시켜 보면, 해모수 신화에 대한 검토를 통해 고구려 신화의 도교적 계기와 후대 도교에의 영향 관계 등을 볼 수 있다. 이규보의 '동명왕편(東明王篇)'에서 오룡거를 타고 내려오는 해모수의 광경은 도교에서 신선이 강림할 때 즐겨 쓰는 표현과 흡사하다. 여기에서 해모수가 하늘에서 내려올 때 까마귀의 날개로 장식한 '오우관(烏羽冠)'을 썼다는 것을 주목해야 한다. 관을 장식하는 새의 깃털이 표현하는 기능은 천계(天界)를 왕래하는 기능에서 생긴 것이다. 여기서 해모수를 따르는 사람 1백 여인이 탔던 '고니' 또한 '학'과 더불어 신선설화에 자주 등장하는 조류이다. 조류의 동반은 <山海經>에서부터 보였던 조인일체(鳥人一體)신화의 표현이다. 여기서 쓴 까만 깃털의 관은 까마귀 깃털의 관을 의미하기도 하여 태양을 상징하는 삼족오(三足烏)를 연상시키기에 충분하다. 까마귀는 고구려 고분 벽화에서도 흔히 볼 수 있는데, 각저총의 현실의 동쪽 벽에 있는 전형적인 씨름그림에서도 '나무 위에 네 마리의 검은 새가 앉아 있고 그 밑에 우람한 체격의 두 젊은이가 서로 목을 맞대고 허리를 구부린 채 씨름 자세를 취하고 있다'고 나와 있는데 이로써 조류숭배 사상과 태양숭배사상인 고대종교 샤머니즘과도 연관이 있다고 본다. 이 모두는 해모수가 태양신이며 동이계의 신화영웅임을 다시 한번 암시해준다. 해모수 자체가 이미 후대의 도교설화에로의 변모의 계기를 내포하고 있음을 엿볼 수 있는 것이다. '복식'에서도 염색술이 발달되기 이전에 복식의 선을 짐승의 털로 둘러 입음으로서 악귀를 막아줄 깃이라고 믿었던 원시 신앙과 '절풍'에 깃털을 꽂은 '조우관(鳥羽冠)' 등을 통하여 '도교, 조류숭배사상, 신선사상, 샤머니즘'적인 요소를 엿볼 수 있다. 이렇게 원시도교 자료와 후대 도교설화에서 학 종류의 조류가 특별히 지적되는 것은 거듭 말해온 바 동이계 신화와 도교와의 문화적 연속 관계를 입증하는 뚜렷한 사례들이다. 고구려 춤을 신화적으로 해석해 본 결과 자연을 파괴·개척하기보다는 자연과 잘 조화하려는 무의식적 노력이 무수히 나타나고, 신들과 사람을 함께 묶어 생각하는 통합적 사고방식의 형태를 살펴볼 수 있었다. 이 사상은 현재 '나'라는 말보다 '우리'라는 말을 더 많이 쓰는 강한 공동체의식으로 발전한 것이 아닐까 생각하였다. 이 모든 것을 종합하여 고구려 무용관을 짧게 표현해 본다면, 고구려 춤처럼 이 세상의 모든 강한 것, 굳센 것, 무거운 것을 그 속에 간직한 의젓하고 깊이 있는 춤은 없으리라 생각되어진다. This study's purpose is based on the correlation of myth and dance that showed on the ancient tombs' wall paintings of the Kokurye period, and lie in the translation of the dance focused on our nation's culture on the wall paintings with the religious impact. To examine the ancient dances, I chose and investigated the literature documents and analyzed the ancient relics with the various oriental culture documents that represented on the ancient tombs' wall paper in Kokurye period. I chose this kind of investigative way that I looked through the Kokurye's thought, social background, and mythological background and examined the Kokurye's historical general view, the kinds of dances, the characteristics and forms of dance, and finally I correlate the myth, the nation's basic thought and the above-mentioned's results. Through the study, I selected six kinds of dances among many dances that represented on the ancient tombs' wall paintings in Kokurye period and I compared the dancers, musicians, movements, and dancer's costumes etc. with the dance forms. And I tried to hold out Kokurye's dances that showed on the wall paintings as the example of translation of myth. Accoring to the Kokurye's founding myth, [DongKukIsangGukGyp (동국이상국집)], at the chapter of the King, DongMyong, 「.......The King, JuMong's arrow skill was very excellent....... it compared to the God's skill.......」. In here we can see the truth that the ancient country's sovereignty based on the shamanism of the ancient society lay in the martial arts and Kokurye had also the same heritage. From this heritage, the dances such as the "Martial Arts" showed on the Northern main room of Muyongchong's were prevalent in Kokurye period. And also the founding myth told that the King, Jumong was an expert in horse caring and treating. From this myth, the Kokurye people were called usually horse racing people. The horse racing people who raced the road with the horseback owing to the characteristic of the region had the triple rhythm, "ddugadak, ddugadak". This triple rhythm is quite different from the duple rhythm, "ddubuk ddubuk" of the agricultural people. The triple rhythm is active and jumping rhythm. This truth showed us that the Kokurey people danced very actively. The representative examples are mask dance, sword dance, spear dance, drum dance and so on, they are all powerful and active dances. There are different translation that contrasted with the above-mentioned t겨th. Namely, they are the Chinese effect and Buddhism. This is based on the Jung Jae So's assertion that it added and mixed with the our unique folk religion and Taoism as the new translation. Jung Jae So insisted that the correlation of China's SanHekyong and Kokurye's myth was 'Chinese influential' in the regional point. The common factors that showed on the same myth, such as 'bear, tiger, and the the Sun worship thought, the Korean flower, the rose of Sharon, the custom of bird feather putting, Egg myth of the Ornithology worship, the pregnancy of the archery, the qualification that became the first lied in the death of the mentor's or father's, the marksman of the archery, immortality conception, shared with the mutual relation. In the relationship of the Buddhism and the myth, we can see the truth from the chapter of the King, Dongmyong written by Lee Kyu-Bo. This book explained to us Kokurye's mythic Taoism chance and the influence of the later Taoism through the examination of the myth of Hemosu. The sight of the Hemosu, who coming down with the flying crows-drawn coach is similar to the Taoism's God's ascension. From here we pay much attention to the story that Hemosu wore the crown decorated with the crow feathers when he came down from the heaven. The function of the bird's feathers to decorate the crown derived from the function of heavenly world that he come and go freely. And also the 'swan' or 'crane' that is ridden by the one hundred women is the kind of ornithology often appeared on the legendary God myth. The accompany of the ornithology is the unity expression of the myth between bird and man shown on the <SanHeKyong>. The black feather crown meant the crow's feather, it reminded of three-foot bird, which is a symbol of the Sun. The crow is often being seen on the Kokurye's wall paintings, it also appeared on the typical wrestling picture of the eastern wall of the Gakjechong's dark room. According to the explanations on the pictures, "There are four black birds on the trees, under the trees, the two sturdy youngsters had the posture of the wrestling, bending down their waists, facing with each other's necks. This showed us that the relationship of the ornithology worship, the Sun worship and the ancient religion -shamanism. All these suggested that Hemosu was the Sun of God, and the hero of the Eastern link of the myth. Hemosu himself implied the beginning of the myth change into the later Taoism myth. We can also this aspects from the clothes custom. Before the development of the dye art, people wore the of the animal as the line of the clothes, believing in the primitive religion from that the fur prevented the evil ghost. The crow crown decorated with the feathers suggested that 'Taoism, ornithology worship thought, the heavenly thought, Shamanism. The reason why the crane kind is mentioned in the primitive Taoism data and the later myth of Taoism is the definite proof that the correlation of the Eastern myth and cultural contiuation. The result of the mythic translation of the Kokurye dances said that they endeavored to harmonize with the nature instead rather than they tried to destory and develop unconsciously, and they showed syntheic way of the thinking that combined with Gods and men. This kind of thinking bore the word, "we", rather than "I" these days and developed into the strong community consciousness. To make this dance view of the Kokurye short, there is nothing in the world that could compare with the Kokurye dances containing the strog, the tough, the heavy, the profound, and the brave in the dances.

      • 문양을 중심으로 한 고구려사신도 연구

        장은영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5 국내석사

        RANK : 247807

        고구려는 우리의 역사상 가장 넓은 영토를 차지했고 중국과 겨루며 동북아의 지배권을 다투었다. 오늘날 전해오는 고구려의 고분벽화는 5세기에서 7세기 사이의 동아시아 전체의 문화업적 가운데 가장 뛰어난 것 중의 하나로 평가되고 있다. 미술사, 복식사, 음악사, 생활사, 무용사, 장식문양사 등 그 유래를 찾아보면 거의 대부분이 고구려 벽화에서 출발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연구대상인 고구려 벽화의 대부분은 이념의 대립으로 갈 수 없는 곳에 있기 때문에 직접 발굴, 연구하는 실체적인 연구가 거의 진행되지 못했다. 즉 고분의 대부분이 북한과 중국의 길림성 집안현에 위치해 있고, 그나마 북한측 고분발굴 보고서나 기타 고분관계 출판물도 직접 보는 것이 제한되어 일본을 통한 간접적인 자료입수에 의존해 왔다. 그런데 93년 8월에 중국의 연변대학 조선사 연구회와 한국 해외 한민족 연구소 및 조선일보사가 집안(集安)에서 남-북한과 중국·일본·대만·홍콩 학자들이 참가하는 '고구려 문화국제 학술회의'를 공동 주최하여 이 기간에 고구려벽화고분들은 공개가 되었고 참가했던 학자들이 직접 고분벽화를 보고 연구할 수 있는 성과가 마련되었다. 집안(集安)은 유리왕 22년 서울을 졸본에서 옮겨온 후 장수왕 15년까지 고구려의 서울이었고 장수왕 15년에 절대왕권의 재확립을 위한 자구책으로 평양천도를 하였다. 고구려 고분벽화는 그 시기와 발달단계에 따라 크게 셋으로 나눌 수 있다. 제 1기는 4세기말부터 5세기 전반으로 주로 인물풍속이 그려졌고 사신도가 벽화의 부수적 소재로 등장했다. 제 2기는 5세기 중반부터 6세기 전반까지인데 사신도가 천정으로 올라가고 인물풍속과 사신도의 비중이 거의 같은 비율로 나타났으며, 제 3기는 6세기 중반부터 7세기까지의 시기로 화면에 불교적인 요소가 거의 사라져가고 벽화의 부수적인 주제였던 사신이 현실 네벽의 중앙에 크게 그려지게 되어 사신도가 네 벽면에서 오행사상의 색상방위와 함께 표현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고구려 고분벽화의 전반에 걸쳐 자주 등장하는 주제인 사신도와 사신도에 나타난 문양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우수한 분묘의 축조술과 더불어 고분벽화는 고구려의 시대정신과 생활환경의 표현물인 동시에 당시 사회상의 단면을 반영하고 있으며 벽화내용이 다양하고 풍부하다. 그 내용은 벽화의 발달과정에 따라 큰 변화를 보이는데 여기서 중요한 것은 사신도 비중의 변화이다. 초기에는 사신도의 비중이 매우 미약하고 천정그림의 일부로 側室 後室 또는 다른 그림과 병존하였으나 말기에 이르면 방위신으로써의 역할 뿐 아니라 묘주가 묻힌 공간을 지키는 守護神으로써 벽면을 차지하게 된다. 이것은 고구려인의 정신문화의 변화, 즉 來世觀의 변화에 의한 것이다. 고구려의 사신도는 漢·六朝時代 중국 사신도의 영향을 받기도 했으나 색채와 형태등에서 고구려적인 면이 강하게 보이며 동양회화 자료로써 학술적 가치가 있다. Kokuryeo took possession of the widest land in our history and competed it's control over northeastern Asia with China. The Kokuryeo wall painting in ancient tomb handed down to us is estimated at one of the most things in northeastern achievement in culture between 5th and 7th century. Most things in art, clothing, musical, decorative art and dance history and so on dated back to the Kokuryeo wall painting. But most of wall paintings, the subject of this study, are in place we can not go because of ideological confrontation so that so far actual study to unearth and inquire into them at firsthand can not be implemented. That is to say, most of ancient tombs are located in North Korea and China, Jyba-hyun, Killim-sung and it is limited to read North Korean reports on unearthing ancient tombs or another publishment related to ancient tomb so that we have depended on reception through Japan. The history of Choseon study committee in Yeonbyun University, China, Korean foregin people study institute, Chosun Il Bo cosponsored International Symposium on Kokuryeo culture in which South and North Korean, Chinese, Japanese, HongKong, Formosan scholars participated in Jyban in August, 1993. In this period, the Kokuryeo wall painting in ancient tombs were opened to the public and it is an opportunity for scholars participated in this symposium to see and study them immediately. Jiban was the capital of Kokuryeo from 22 years after King Youri took power when moved from Cholbon to 15 years after King Changsoo took power and King Changsoo moved the capital to Pyongyang to reestablish absolute authority. The Kokuryeo wall painting in ancient tombs were devided into 3 parts according to their period and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the first period, from 4th to the early 5th century, a genre and character painting was appeared and Sasindo(four spirits painting) made its appearance as an incidental subject of wall paintings. In the second period, from mid 5th to early 6th century Sasindo moved to the ceiling and a genre and character painting and Sasindo appeared in the same specific gravity. In the third period, from mid 6th to 7th century Buddhist elements had been nearly disappeared in a scene and four spirits, an incidental subject were painted in the middle of the four walls with color direction of Five Hangism. This study tried to inquire into Sasindo after appeared in wall paintings of ancient tomb at large and a pattern in Sasindo. The wall painting of ancient tombs with excellent building technology is the expression of the spirit of times and life environment and simultaneously the reflection of social aspect and the story of a wall painting is various and plenty. The story was changed largely according to the process of development in wall paintings and among this, the most important thing is the change of the specific gravity of Sasindo. In the early stage, the specific gravity of Sasindo is too small and coexists with next room, back room and other painting as a part of ceiling paintings. But in the last stage, four spirits take not only a role of defending spirits but also a role of a guardian deity. This is resulted from the change of spiritual culture, a view of life after death. Kokuryeo Sasindo is influenced by Chinese Sasindo in the period of Han and Sixcho but has Kokuryeo chracteristics strongly in color and shape and academic value as the documents of a oriental painting

      • 고구려 머리 모양을 통한 문화콘텐츠 자료연구

        이승미 건국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807

        오늘날 우리나라 사람들은 경제적 여유와 개인주의 성향 등이 문화 활동에서 수많은 변화를 가져 왔으며, 현대의 머리 모양은 신분 직위 고하를 막론하고 자신의 취향에 맞게 다양한 머리모양을 하지만 시대를 거슬러 우리 선조들은 머리모양을 하나만 보더라도 신분과 사회적 직위, 혼인 유무를 알 수 있다. 고구려 주몽이 기원전 37년에 건국하여 668년 멸망 할 때까지 700여년간 존속 하면서 고조선의 생산력과 문화를 계승하여 그것을 더욱더 발전시킴으로써 고구려인들은 무덤벽화에 나타난 인물도, 사신도, 생활풍속도 등에서 그들의 생활상과 풍속 풍습 등을 고구려 벽화를 통하여 표현하였고, 고구려의 진취적이고 포옹력 있는 기본 정책을 바탕으로 고구려인의 역동적인 삶과 사상을 반영한 것은 상상 이상으로 종류가 다양했음을 알 수 있다. 무덤 벽화의 구조와 벽화를 살펴보면 전기에는 3세기 후반에서 5세기를 걸치는 시기로 생활풍속도가 주류를 이루었고 중기 5세기에서 6세기를 걸치는 시기에는 사신도, 생활풍속도와 함께 6세기 중엽부터는 사신도가 사실상 유일한 주제로 등장하고 있다. 무덤 벽화에서 나타나는 특이한 발견은 등장 인물에서 귀와 신발이 보이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고구려 무덤벽화는 고구려인들의 힘차고 용맹한 기상이 잘 나타나 있고 미술적으로 묵과 채색을 사용한 독특한 문화세계의 미술을 발전 시켰으며, 양식과 형식면에서도 삼국미술의 주도적 위치에 있었다. 고구려 무덤벽화에는 그 시대의 시대상을 표현하였으며, 머리모양은 근원적으로는 자연적 환경과 문화적 환경, 사상, 종교와 경제 등의 요소에 더 많이 좌우 되어 왔으며, 인종, 풍습, 관습, 정서, 그리고 머리양식을 통하여 민족, 성별, 성년과 미성년, 직업, 종교 등을 알 수 있다. 고구려 무덤벽화에서 확인되는 여자의 머리모양은 형태상 아홉 가지로 들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형태적 측면에서 머리 모양양식, 큰머리, 둘레 머리, 쪽진 머리, 푼기명 머리, 묶은 머리, 상투, 쌍상투, 삼 쌍 투 머리, 땋은 머리, 채 머리, 환 계 형으로 구분하였다. 큰 머리 형은 삼국시대부터 고려시대까지 성행하였고, 불교와 연관성을 갖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고구려 문헌기록과 무덤벽화에 나타나는 여인들의 머리모양을 자료 분석화 하여 문화 콘텐츠 측면에서 바라보는 전통사회의 문화가 아니라, 현대 사회 문화와의 연속성을 가진 문화 예술로서 문화의 정체성을 찾고, 현대와 미래의 문화를 창조하는 바탕이 되었으면 하는 것에 연구의 목적을 둔다. 이에 본 연구에서 우리의 문화 중에서 고구려 무덤 벽화를 일차적으로 재현 하였으며, 이차적인 머리모양을 재현하여 현대화의 연속성을 바탕으로 분석한 머리모양을 재현하여, 그 자료들을 콘텐츠화 하는 방안으로 제안한다. 본 연구의 구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서론 부분에 연구의 목적과 문제 제기를 하였다. 둘째, 문화 콘텐츠 개발의 의미에 대하여 고찰 하였다. 셋째, 고구를 고분 벽화를 통해 고구려인들의 머리모양을 분석 하였다. 넷째, 무덤벽화의 일차재현과 콘텐츠화를 위한 마네킹 재현을 이차적으로 수행하였다. 연구 결과는 머리모양의 재현과정을 통하여 우리 선인들의 창작 예술적 기질이 뛰어 났음에 감동을 받았으며, 무조건 왜래 문명을 따라잡기보다 전통을 가미한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 될 수 있도록 더욱 더 문화콘텐츠화 하여 개발하여야 할 것이다. 문화 콘텐츠 측면에서 바라보는 고구려의 머리모양을 현대 사회의 적합성을 가지고 문화산업 발전의 시너지 효과를 창출함은 물론 근․현대 문화자원의 독창적인 예술을 통하여 질적 성장과 함께 21세기 비즈니스 상품화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Nowadays, Korean people have made many changes in cultural activities due to economic abundance and individualistic disposition and the like. Contemporary people's hairdo is diverse to fit their taste independently of social status and position but our ancestors in the past had their own hairdo to fit their social status, position and marital status. Jumong founded the Goguryeo Kingdom BC 37 and lasted for 700 years or so until it collapsed in AD 668 and succeeded to the productivity and culture of Gojoseon and developed them further. Goguryeo people expressed their living conditions, folkways and custom in the painting of figures, the painting of envoys and the genre painting of life and the like drawn on the mural painting of the Goguryeo Kingdom. They reflected the dynamic life and thought based on the enterprising and generous basic policy of the Goguryeo people, which indicates that they are more diverse in kind than we imagine. An investigation of the structure of the mural painting in the tumulus shows that the genre painting of life formed the mainstream over the early period between the late third century and the fifth century, and the painting of envoys and the genre painting of life formed the mainstream over the period between the mid-5th century and the 6th century and the painting of envoys emerged as the sole subject indeed. The peculiar discovery found in the mural painting in a tumulum is that the ears and shoes are invisible in the character. The mural paintings in the tumulus of the Goguryeo Kingdom made a good expression of the energetic and brave spirit of Goguryeo people and developed the art of a peculiar cultural world using indian ink and colors from a perspective of art. They took a leading place of art in the three ancient kingdoms in terms of style and form. They expressed the phases of the times, and the hairdo of Goguryeo Kingdom was primarily much determined by such elements as the natural environment, the cultural environment, thought, religion and economy and so forth. It is possible to discern the nation, gender, adult and minority, occupation, religion and the like through the race, custom, folkways, emotion and hairdo. The women's hairdo found in the mural painting in the tumulus of the Gouryeo Kingdom can be divided into nine forms. This study attempted to divide the form of the Goguryeo women's hairdo into formal hairdo, bun, ponytail, topknot, double topknot, triple topknot, pigtail, and the like. Analysis shows that the women's formal hairdo was popular from the three ancient kingdoms to the Goryeo Dynasty and was related to Buddhism. An attempt was made to analyze the women's hairdo found in and the literature and records of the Goguryeo and the mural paintings in the tumulus. It is expected to lay the foundation for finding the identity of cultures as the cultures and arts associated with the contemporary society and cultures, not the cultures of the traditional society to take a look at it in terms of cultural contents, and for creating the present and future cultures. This study attempted to reenact the mural painting in the tumulus of the Goguryeo Kingdom in our cultures and reproduce their women's hairdo. And it sought to reenact the hairdo analyzed based on its continuity of mordernization and propose the scheme to transform the materials into contents. This thesis was composed as follows: Chapter 1, an introductory part, raised a purpose and question of study. Chapter 2 offered an investigation of the meaning of the development of cultural contents. Chapter 3 offered an analysis of the hairdo of Goguryeo people found in the mural painting in the tumulus of the Goguryeo Kingdom. The results of analysis show that our ancestors excelled in the temperament of creative arts through the process of reenacting the hairdo. It is necessary to develop cultural contents out of our traditions so that the Korean with traditions added may become global without following the foreign civilization unconditionally. It is expected that the hairdo of the Goguryeo people seen in terms of cultural contents will create the synergistic effect of cultural industrial development to have relevance to contemporary society but also become the business commodity of the 21th century with the qualitative growth of pure arts and industry of modern and contemporary cultural resources.

      • 4∼5세기 高句麗 國家祭祀와 佛敎信仰 硏究

        조우연 인하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247807

        종교란 超自然的 존재나 힘에 대한 믿음으로, 현실적 필요에 의해 그것에 의지 혹은 영향력을 행사하고자 하는 시도가 곧 종교행위이다. 하지만 주목해야 할 부분은, 동일 사회 구성원일지라도 계층별 서로 다른 종교적 심성내지는 목적을 갖고 있다는 점이다. 사회 지배층은 종교의 사회·정치적 기능에 더욱 치중하고 있어, 집단적 혹은 公的 목적 때문에 종교를 필요로 하고, 그에 비해, 일반 민중들은 현실 삶의 구제라는 私的인 목적을 위해 종교에 의지 한다. 서구학계에서 제기되어온 ‘大傳統’과 ‘小傳統’의 구분을 전제로 한 문화의 이해가 바로 그러한 차별성에 주목한 접근이다. 이러한 이론적 전제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종교행위자의 서로 다른 목적과 심성을 기준으로, 4∼5세기 고구려의 종교를 國家祭祀와 佛敎信仰으로 양분해 살폈다. 우선, 고구려에서 왕권과 지배층을 중심으로 전개된 공적의 목적이나 지배 당위성을 표방하기 위한 정치적 이론체계로서의 國家祭祀를 중심으로, 그 사회적 기능과 역할에 대해 살폈다. 다음으로, 개인차원의 祈福과 死後 문제에 대한 해결책으로서 기능을 담당했던 종교, 즉 私的 목적으로 존재한 종교의 형태에 대해, 4세기에 새롭게 수용한 불교에 주목해 봤다. 본 논문의 요지를 한 마디로 요약해보자면, 고구려 불교는 국가 차원에서 수용되어, 국가에 의해 주도 및 왕권과 국가체제를 뒷받침하기 위한 이론종교인 듯 보이나, 그 발전 양상은 私的宗敎로서의 성격이 짙으며, 그에 비해 고대국가 단계로 접어든 고구려에서 국가차원으로 치러진 국가제사는 비록 앞선 시기 종교형태를 그대로 유지했다고는 하나, 집단적(公的) 목적 내지는 지배층의 정치적 목적을 정당화하기 위한 이론체계로 확립된다는 것이다. 특히나 4∼5세기 ‘血緣(혹은 出自)’을 핵심으로 한 국가제사는 왕실에 의해 의도적으로 ‘시조 주몽’ 중심으로 재정립되어, 왕권강화와 고구려 집단 전체를 취합하기 위한 상징적 이론체계로 자리매김했던 것이다.

      • 고구려 '국중대회'의 구성과 기능

        류현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에서는 3세기 후반 三國 중 政治體 통합이 진전되고 있던 사회인 高句麗·夫餘의 祭天行事가 『三國志』에 國中大會로 표현되고 있음에 착안하여, 제천행사가 시대에 따라 그 기능이 변화하였음을 살펴보고자 한다. 즉 제천행사는 국가형성기 이전에도 존재했었고, 그 사회를 유지하는 기능을 수행하고 있었음은 틀림없다. 그러나 국가형성 이후 역사적 궤적이 왕권의 강화라는 사실을 염두에 두고 볼 때, 제천행사의 기능은 공동체 유지라는 측면 뿐 아니라 왕권강화에 이바지하는 역할을 수행하였다고 본다. 고대사회의 제천행사는 신화적 구성요소를 가지며, 제의 자체가 일정한 시기·순서 그리고 의미가 부여된 체계가 존재하였다. 때문에 제천행사의 구성과 건국신화를 비교하는 과정은 양자가 가진 사회적 기능의 동일성을 재확인하는 과정이기도 하다. 즉 신화가 가진 神聖性, 즉 지배의 정당성 실현이라는 부분이 제천행사에서 재현된다. 3세기 단계에서 부여·고구려 두 나라에 대한 제천행사를 國中大會라고 표기하였는가 하는 점은 당시의 정치적 발전과정을 전제로 해야 할 것이다. 당시 고구려·부여는 三韓이나 東沃沮와 달리 王의 존재가 확인이 되고 있었으며, 王權을 중심으로 하는 일원적 정치체계가 형성되는 과정에 있었기 때문이다. 건국신화의 내용은 주인공의 신성한 출생과정과 혈통을 확인하고, 일정 시련을 거치면서, 신과의 관계를 재확인하고 국가를 형성하고 있다. 이것이 고구려 國中大會에는 狩獵大會를 통한 능력확인 작업과 祭天行事를 통한 신성한 혈통의 확인, 마지막으로 諸加會議를 통해 일련의 정치적 행위로 유사한 구조를 보이고 있다. 각 단계별로 상징적 의미의 건국신화가 재현되고 있는 것이다. 즉 고구려전체에 왕의 統治力이 미치지 못하는 상황에서 國中大會가 가지는 의미는 신화적 신성성의 관념 속에는 지배의 정당성을 확보하고 현실적으로 統治力을 구현하는 場으로서의역할을 하고 있다. 수렵대회는 國中大會의 출발점이며 인재선발을 하고, 수렵을 통해 획득한 동물로 하늘에 제사를 지내면서 한해의 수확이나 사냥감이 풍부하기를 기원한다. 다음으로는 제천행사를 지내는데 제사의 주체가 되는 포의 신성성에 대해서 공동체적으로 인식하는 계기가 되었다. 또한 祭天에서 犧牲을 통해서 다음과정인 諸加會議의 결정사항에 神聖性이라는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그러나 각 단계를 보면 참여계층이 일정 신분적 계선을 가지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말하자면 초기부터 지배신분층의 권리를 가진 大加계층보다는 수렵은 이들보다 하위집단에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이는 고구려가 연맹체 단계를 극복하는 과정에서 읍락에서 성장하는 계층을 흡수하기 위한 방편으로, 간접적으로 지배되고 있던 5部에 대한 통제력을 강화하기 위한 것이었다. 즉 수렵대회에서 인물을 선발한다는 것은 神의 대리자인 왕에 의해 선택됨으로써 직접적으로 왕과의 관련을 가지게 하여 那部에 대한 간접적 통치방식을 극복하려는 노력이다. 두 번째의 제천행사는 東國大穴에서 행해지고 있다. 전구성원이 참석한다고 하는 전제하에 지배집단만이 참여하고 있는데, 실제적으로 장소를 살펴보게 되면 상층지배집단 일부만이 제의에 참석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諸加會議는 국가의 중대사를 결정하는 최고 의결기구로 서 여기서 결정되는 사항의 증요성으로 보아, 여기에 참석할 수 있는 인물들은 최상층 지배집단일 것이라는 점이다. 이러한 3단계 과정을 살펴본 결과 고구려 諸加會議는 외적으로는 전체 고구려인 들에게 공통시조로 인식되는 신에게 제사를 지내는 과정에서 공동체의식을 강화하고 있으면서도, 내적으로는 지배집단의 신분질서를 고착화하고 왕이 연맹초기의 那部세력을 해체시키기 위한 도구로 이용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신화의 권위를 이용하여 지배자의 지배질서를 합리화하고 있다. 즉 신적인 권위를 현실화시키는 과정이 바로 諸加會議의 3단계 구조라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高句麗 諸加會議의 구조를 확인하고 참여신분층을 살펴봄으로써 공동체 유지라는 측면과 더불어 집권화의 이중적 과제를 실현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그러나 중앙집권화가 되면서 변화하게 되는데, 앞 시기의 기능들이 체제정비 과정을 통해서 국가제도 안으로 흡수된다. 즉 초기의 종합적 기능이 분화되면서 상징적인 의미만이 남게된다. 초기에 일정 자치력을 가지고 왕권을 견제하고 있었던 加세력이 역사적 기능을 다함으로써 이들의 견제수단이었던 國中大會가 의미를 상실하게 되어 상징적·관념적 의미만이 남게 되었다. 결국, 고구려 國中大會는 지배자의 지배의 정당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실시되었으며, 신화적인 요소를 전제로 하여 신성한 권위를 갖추게 되었다. 고대사회의 지배자의 권위가 神으로부터 출발하고 있음을 확인하는 일련의 고찰은 고대 사회의 정치권력의 정당성을 어떻게 확보하고 있는지에 대한 문제에서 비롯하였다. 즉 지배권력이 현실적으로 구현되는 場이 사회내부라는 것을 재인식하는 과정일 뿐 아니라, 한국사회에서 지배자에 대한 관념이 어떻게 형성되었는가 하는 점에서 본고는 출발하였다. In this study, the functional changes in various religious services to Heaven by the times are investigated as ancient religious rituals of Koguryo(高句麗) and Puyo(夫餘) are described as Kukjungdaehyoi(國中大會), in which talent persons were looked out, services to heaven were done with hunted animals to pray for abundant harvest and hunting. And then there usually came religious services to heaven through which the god-like authority of the king as a host was publically accepted. Also through sacrifices in those services, decisions in the next Jega(諸加) meeting were granted holiness. But we should pay attention to the fact that those participants in each steps of service or meeting were in a given social position. From the start, hunting has more meaning to Soga(小加) classes than Deaga(大加) classes. This was from the double combination of Soga classes' desire for rise in position and king's centralization of power. The king needed to intensify his controlling power over five high classes indirectly ruled so far. That is, scouting talent persons in a hunting meeting meant king's appointment of them to higher social positions, thus directly involved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king. So an effort to overcome the indirect ruling upon Nadu(那部) classes. Second of all, all the religious services were held at Keukdongdaehyul(國東大穴). Actually the place only the upper ruling class could come to participate in the service. And finally, Jega(諸加) meeting was a king of deliberative assembly making decisions on important national matters at which only the uppermost class could be present. As a result of looking at those three stages, it is certain that Keukdongdaehyul of Koguryo externally consolidated community spirit in the process of making sacrifices to the founder of the kingdom, but internally, it was a tool to fix the class distinction of the ruling group and to break down the power of Nabu class. The ruler justified his rulership by using the mythological authority. This is, the three-stage structure of Kukjungdaehyoi is nothing but a process of realizing god-like authority. This study investigates the significance of Kukjungdaehyoi in the aspects of substantial composition and participant classes by the time when Koguryo developed into a unified nation. It was a formal event to acquire talent noblemen necessary for strengthening royal authority and admit Ga classes' social privileges in the participant classes were gradually reduced. Therefore, Kukjungdaehyoi could carry out somewhat contradictory task of intensifying royal authority and social unification.

      • 고구려 유적을 통해 본 고대 연천

        서희정 漢城大學校 大學院 2015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논문은 고구려 남진 초기인 4세기 말부터 고구려의 멸망시기까지 고구려의 영향력아래 있었던 연천지역의 고구려 유적에 대한 연구이다. 현재 남한 내 고구려 유적은 임진·한탄강유역, 양주분지, 한강유역, 금강유역 등 크게 4개의 지역으로 나뉘어 연구되고 있는데 연천은 임진·한탄강유역에 속한다. 연천의 고구려 관방유적은 크게 3개의 영역으로 나누어 운용된 것으로 보이는데 3개의 성을 중심으로 주변 보루들이 포진되어 있는 형국이다. 연천의 세 성들은 고구려의 남진시기부터 멸망시기까지 활용되었는데 각 성마다 중요하게 사용된 시기는 조금씩 다르게 나타난다. 은대리성은 장수왕의 한성공취 즈음에 집중 활용 되었고, 당포성은 연천 점유시기 전반적으로 활용되었으나 특히 대 신라시기에 중요하게 사용된 것으로 보인다. 호로고루는 목책 등으로 보아 초기에 중요하게 사용되다가 남진이 본격화 되던 시기부터는 연천 뿐 아니라 고구려 남진기지 총 사령부역할을 하였던 것으로 파악된다. 연천의 고구려 유적은 타 지역과 구별되는 점들이 있다. 고구려는 주변의 자연지형을 십분 활용하여 주로 산성을 쌓아 적을 방어하였다. 그런데 연천지역에는 강안에 평지성(平地城)이 발견된다. 호로고루, 당포성, 은대리성은 도강이 수월한 곳의 강 언덕에 평지성의 형태를 하고 있다. 관방유적 외에 2곳의 고분군이 있는데 연천의 고분군은 타 지역의 고분군과는 달리 밀집도가 높다. 남한 내 고구려고분군들이 한 유적 당 보통 1-2기의 석실분이 발견되는 반면 강내리 고분군의 경우 9기의 석실분이 발견되었으며, 신답리 고분군은 2기의 석실분이 조사되어 있으나 신답리 고분군 주위에 여러 기의 고분이 산재하고 있었던 정황이 있다. 연천의 고구려 유적들에서 발굴되는 유물들도 타 지역에 비해 차이점이 있다. 호로고루와 무등리2 보루에서 발견된 탄화곡물은 이곳에 군량미를 저장하던 시설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고구려 탄화곡물이 발견 된 곳은 연천지역 뿐이다. 또한 당포성, 호로고루, 무등리1 보루, 두루봉 보루, 아미성 등에서는 고구려 와편이 발견되었는데 현재 남한 내 고구려 와편이 발견된 곳이 8곳 중 5곳이 연천에 있다. 고구려 토기 또한 연천의 유적지 9곳에서 수습되었다. 그 외 호로고루와 강내리 고분군에서는 위계가 높은 유물들이 다수 발굴되었다. 유적의 규모나 수습된 유물이 남한 내 타 지역과 확연한 차이점을 보이는 점들은 연천지역이 안정적으로 고구려의 영역화가 진행되었고, 장기간 고구려의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던 지역임을 말해준다. 고구려는 광개토왕 말기 남진을 시작하는데, 이 시기에 연천은 고구려의 영역에 편입되어 고구려가 멸망할 때까지 고구려의 영역에 속하였다. 연천에 축조된 고구려 유적들은 고구려가 백제를 주 공격대상으로 남진을 진행하던 시기에 대부분 축성을 하였다. 이 시기 연천의 관방유적들은 고구려남진의 거점 및 보급기지 역할을 하였다. 이 즈음 연천에는 고구려의 고급 관리가 파견된 사령부가 있게 되고, 이곳에 파견된 고급관리(귀족)의 고분이 조성된다. 그 후 6세기 중엽, 나제동맹군의 반격으로 고구려의 남경(南境)이 북상하고 고구려와 신라는 임진·한탄강을 국경으로 삼게 된다. 대 백제시기에 축성한 관방시설들은 대 신라시기에 그대로 활용하는데, 대 신라시기에는 무등리 보루군이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고구려가 629년 낭비성전투에 패한 후 임진강을 경계로 신라와 대치하게 되는데 지리적으로 무등리 보루군도 신라 성들과 대치하는 형국이었다. 백제와 고구려가 멸망한 후 임진강유역은 다시 나당연합군과 고구려 부흥군과의 접전의 장소가 된다. 삼국사기의 호로하전투의 장소가 지금의 임진강 호로고루 인근이다. 그 후 신라가 당군을 몰아내고 삼국통일의 분기점이 되는 매초성전투를 치르는데 ‘매초성’ 또한 임진·한탄강 일대에서 찾는 것이 타당하다. 이처럼 연천지역은 고구려의 남진시기 고구려 남진의 거점기지로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였으며, 고구려의 멸망 시까지 고구려의 영역아래 있었다. 고구려시기 연천은 남한의 타 지역과는 달리 비교적 안정적으로 고구려의 영역화가 진행되었기 때문에 고구려가 비중 있게 경영하던 지역이다. 고구려가 270여 년 간에 걸쳐 연천에 남겨놓은 유적은 연천지역이 고구려사(高句麗史)에 있어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지역임을 알게 해 준다. This paper is a study of the remains of Koguryo in Yeoncheon area under the influence of Koguryo from the end of the fourth century, the Beginning of the Koguryo’s south advance until the fall of Koguryo period. Currently, Koguryo ruins in South Korea have been studied divided into four areas significantly which are Imjin and Hantan river, Yangju basin, Hangang basin, Geumgang basin etc. Yeoncheon belongs to imjin, Hantan basin. Koguryo’s military facilities in Yeoncheon show to be largely divided into three operating areas. They have a appearance surrounding sconces are located in with three castle being at the center of them. The three castles of Yeoncheon were utilized from the period of Koguryo’s southward advance until the collapse of Koguryo and every castles appear to be used most importantly but the used time is a little bit different. Eundaeri castle were Intensively utilized was Intensively utilized on the occasion of the attack and capture of Hanseong by the king, Jangsu of Koguryo and Dangpo castle was generally used at the time of Yeoncheon occupied, seems to be particularly important used in the Shilla’s period. Horogoru is importantly used in the early time when viewing on the basis of the barrier. Horogoru seems to have a total command role of south expansion base in Yeoncheon as well as to other areas of the south when the expansion of the south was in earnest. The Koguryo ruins of Yeoncheon have several points distinct from other regions. Koguryo built a castle to take full advantage of the natural topography of the surroundings for mainly building mountain castles and defending the enemy. But flatland castles are found at the inside of the river in Yeoncheon. Horogoru, Eundaeri castle, Dangpo castle have shapes of flatland castles on the hill over the river being easy to overapss and the scale is wide enough to not be able to see other historic sites of Koguryo in South Korea. In addition to the ruins of Koguryo’s military facilities, There are tombs of two places. Tombs of Yeoncheon have high density unlike elsewhere. One-two stone chamber tombs per ruins are usually found in Koguryo tombs of South Korea. On the other hand, In Gangnaeri tombs case nine stone chamber tombs were found, two of the tombs were investigated in Sindapri tombs. But there are a number of tombs were circumstantial around Sindapri tombs. Relics found in Koguryo ruins of Yeoncheon have a difference compared to the other area. Carbonized grains found in Horogoru, Mudeugri 2th sconce tell us that it was here where the military provisions were stored. Carbonized grains of Koguryo are only found here. Also Koguryo tile fragments were found in Dangpo castle, Horogoru, Mudeugri 1th sconce, Durubong sconce, Ami castle, etc. And now five of the eight place where tile fragments were found place in the Yeoncheon. Pottery was also collected in nine historic sites in Yeoncheon. Other many rank high relics have been unearthed in Horogoru, Gangnaeri tombs. The size of the ruins and the relics collected seem to rectify the apparent differences with South Korea in other areas. This suggests that the Yeoncheon region stablely became to Koguryo’s territory and was under the Koguryo’s direct effect for a long time. Koguryo was in entry into the South at the late of Guang-gaeto taewang. During this period, the Yeoncheon area was incorporated into the Koguryo and belonged to Koguryo’s territory until the fall of Koguryo. Koguryo ruins built in Yeoncheon mostly was built at that time that Baekje was the main target of Koguryo for expansion to the south. During this period, Yeoncheon was Koguryo’s base zone and a military supply base of Koguryo for expansion to the south. At this time The headquarters of the advanced management of Koguryo dispatched to Yeoncheon and the tombs of dispatched advanced management are formulated. Then in the mid-sixth century the southern boundary of Koguryo went up north due to the Shilla-Dang’s allied counteroffensive and Koguryo-Shilla fixed the Imjin, Hantan River as the border. Koguryo used the military facility of Koguryo built in the Baekje period with it in the Shilla period as it is. Mudeungri’s Bastion group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hilla period. After Koguryo was defeated in the battle of Nangbi castle, Koguryo and Shilla confronted each other Across the Imjin river as a boundary. Geographically Mudeungri’s Bastion group had a aspect of confrontation against Shilla castles too. After Baekje and Koguryo was destroyed Imjin river basin comes to the wrestle place where the Shilla-Dang’s Allies and the revival military of Koguryo fight each other. The place of Hroha’s battle on Samguksagi is the neighborhood of current Imjin. Shilla had driven the Dang army and afterwards took the battle of Maecho castle that was the turning point of the unification of the Three Kingdoms. Based on here, it is reasonable to find Maecho castle in the area of Imjin, Hantan river. Yeoncheon area thus played an important role as a base for expansion of the south of Koguryo when Koguryo entered the south and until the fall of Koguryo was below the zone of Koguryo. Because Yeoncheon became territorialized by Koguryo relatively stable at the time dominated by Koguryo unlike other areas of the south, Yeoncheon is where Koguryo rushed to operate. The relics left by Koguryo in Yeoncheon area over a period of 270 years suggest that Yeoncheon area has a significant place in the history of Koguryo.

      • 高句麗 國家形成에 關한 硏究 : 部體制論’에 대한 批判的 檢討를 中心으로

        김기영 인제대학교 2008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우리의 고대사회를 살펴봄에 있어서 중요한 시기라 할 수 있는 고구려의 국가형성과정을 밝혀보는 데 있다. 우리 고대사의 전개에서 고구려의 존재적 의미는 매우 컸다고 하겠으며, 아울러 전체 역사의 흐름 속에서도 고대국가의 형성과정은 큰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현재까지 고구려 국가형성에 관한 주된 논의로는 '部體制論'이 있었다. 고구려라고 하는 국가는 部體制를 근간으로 하는 연맹왕국단계에서 점차 발전하여 고대국가를 형성하였다고 한다. 이 '部體制論'은 고구려의 국가형성을 이해하는 한 기준이 되어왔으나 고구려 초기의 국왕의 존재를 너무 미약하게 보아 고구려 전체 사회의 지배자가 아닌 부체제 구조 속에서의 가장 강력한 部의 수장 정도로 파악하였다. 이에 고구려는 초기의 국가형성 시기부터 부체제와는 거리가 먼 중앙집권적인 강력한 왕권 중심의 체제가 확립되어 발전하였다는 '集權體制論'이 제기되어 '部體制論'을 비판하게 되었다. 고구려는 기원전, 후를 즈음하여 북부여에서 남하한 주몽 집단에 의해서 건국된 국가로써 당시 압록강 중 · 상류 지역에서 집단적으로 거주하던 소국단계의 那집단들을 통합 · 복속하면서 연맹왕국을 이루고 이후에 고대국가로 발전하면서 중앙집권국가의 과정을 거쳤다고 할 수 있다. 고대국가형성과정에서 나타난 것이 5부체제라 일컬어졌던 정치체제였다. 5부체제는 桂婁部, 沸流那部, 椽那部, 桓那部, 貫那部의 5部로 구성된 정치체제를 말하며 계루부가 가장 강력한 부로써 왕권을 형성하면서 이루어졌다. 고구려의 건국에서부터 고대국가형성과 발전까지 그 중심을 이루고 있었던 것이 이 5부체제였다고 할 수 있다. 고구려의 국가형성과정에서 부체제인 구조에 대해서는 충분히 이해할 수 있지만 초기의 고구려왕과 왕권의 존재에 대해서는 다소 비판적 검토의 과정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고구려 5부체제에 관한 기록은 『三國史記』와 『三國志』에서 주로 찾아볼 수 있다. 특히『三國史記』에서 그 자세한 기록을 살펴볼 수 있는데 고구려를 다룬 초기기사에 대한 신빙성에 대해 논란이 많아 기록에 대한 명확한 답을 내리기는 힘들다. 다만 초기기사를 긍정적인 관점에서 수용하여 살펴보면, 고구려는 5부체제를 중심으로 하여 고대국가를 형성하였으며 초기의 고구려 국왕이 전체 사회를 아우를 수 있는 강력한 지배력을 갖춘 중앙집권체제로서의 존재는 아니었더라도 강력한 한 部의 수장의 지위를 넘어 하부의 부체제를 제후국적인 존재로서 통괄적으로 지배하였음을 살펴볼 수 있다. 그리고 2세 말에서 3세기 초의 시기부터 고유명 부로서의 部가 소멸하고 방위명 부로서의 部가 성립하여 고구려가 점차 중앙집권적인 고대국가로 발전하였다. 결국 고구려는 5부체제를 중심으로 하는 단계를 거치면서 점차 발전하여 고대국가를 형성해나갔으며 이후 중앙집권적인 강력한 국가형성의 과정을 이룩해나갔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in the observation of our ancient society of Goguryo Dynasty through the formation or the early nation. The existence of Goguryo means a lot in the ancient history procedure. In addition, the formation process of the early nation is meaningful in the current s of the whale history. Up to now, there are mainly debates on the department -system theory about Goguryo establishment. The debates say a nation, called Goguryo, was on the basis of the department -system, and developed from the step of the allied kingdoms in the ancient nation. This department -system theory has been the standard of understaneing the establishment of the ancient nation, Goguryo, but it has considered the kings of the early Goguryo as trivial beings or the captains of the strongest department in the department -system, not as the ruler of the whole society of Goguryo. Centralization -system theory criticizes department -system theory, which Goguryo establishment the regal power system of the centralization of government from the beginning, far from the department -system. Before and after 1st century, Goguryo was established by Jumong group who went down to the south. At that time, they formed the allied kingdom through consolidation and annexation ofNagroups who lived in the middle and upper area of the Aplok river, in the state of the small nations. And then, Goguryo developed into centralization of government five department -system was the political system that was developed through this procedure of the establishment of the early ancient nation. Five department -system was composed of Gyoiru department, Biryuna department, Younna department, Gyoanna department, Hyoanna department and Gyoiru department was the most powerful department, forming the regal authority. Five department -system was the center from Goguryo foundation through the formation of the ancient nation and it's development. We can find out the records about five departsystem in Goguryo Dynasty in 『History of the three states in Korea』,『Chronicle of the three states in China』. Especially, It's hard to say whether or not it's true what 『History of the three states in Korea』says the reports in detail on the early Goguryo. Despite this controversy, if we view the early reports on the them positively, Goguryo formed the ancient nation on the basis of five department -system, and the king of Goguryo Dynasty reigned the lower department -system as the existence of the feudral lord, although he didn't have the centralized authority which could govern the total system. Further, between the late 2nd century and the early 3rd century, five department as onomastic department started from the King Gogukchun disappeared, and with five department as a directionname department founded, Goguryo gradually develop ed into the ancient nation of the centralizational authority. As a result, we can understand enough the structure of the department -system in the way of the establishment of the nation but the king and the royal authority during the early Goguryo Dynasty needs to be reviewed a little more critically. Therefore, Goguryo, going through the course of focusing on five department -system, steadily formed the ancient nation and them succeeded in the centralization of government.

      • 고구려의 국원성 설치와 운영

        홍기성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7807

        忠州에서 「中原高句麗碑」가 발견되면서 고구려가 國原城을 설치하여 忠州를 지배하였다는 사실이 명확해졌다. 그러나 고구려 관련 유적, 유물의 부족 및 문헌자료의 한계로 인해 國原城의 실체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고구려의 忠州 지배의 실상을 파악하기 위해서는 國原城을 ‘언제’, ‘어디에’ 설치하여 ‘어떻게’ 운영하였는가를 연구하는 것이 일차적으로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선학들의 연구 업적 및 2000년대 이후에 진전된 고고학 현황을 반영하여 國原城의 설치 시기, 위치, 운영 문제를 종합적으로 살펴보고자 하였다. 기존에는 「中原高句麗碑」와 475년 한성공략을 근거로 5세기 후반에 國原城을 설치한 것으로 보았으나, 「中原高句麗碑」를 5세기 중엽으로 보는 연구가 주목받으면서 입지가 흔들리고 있다. 「廣開土王陵碑文」을 검토한 결과 永樂 6년(396)에 남한강 유역까지 진출하였고, 永樂 10년(400)에 대신라구원작전을 실시하면서 군사 전략상 중요한 남한강 수로의 중심지인 忠州를 차지한 것으로 보인다. 廣開土王 때 國原城을 설치하였을 개연성이 높다. 위치와 관련하여 기존에는 5세기 고구려의 지방 통치 체제를 간과한 면이 있다. 고구려는 당시에 城, 村 지배 방식을 취하여 城을 중심으로 忠州를 지배하였다. 三國時代로 추청되는 忠州 지역의 城을 살펴본 결과 고구려 관련 유물, 유적이 발견된 곳은 장미산성 이외에 없다. 목책치성의 흔적, 끌모양 화살촉의 출토, 성벽하단부를 들여쌓기한 고구려 石城의 축성방법 등을 보았을 때, 장미산성이 國原城의 치소로 유력하다. 그리고 장미산성 주변의 봉황리마애불상군, 삼국시대의 유물과 유적이 풍부한 탑평리 일대, 「中原高句麗碑」가 발견된 용전리 일대, 두정리 고분군이 발견된 이류면 두정리 일대 등이 國原城의 영역 범위였고, 忠州의 북서쪽 및 서쪽 지역이 이에 해당된다. 國原城은 別都라기 보다 군사적 거점으로 운영되었다. 신라와 가야를 공략할 수 있는 전진 기지로 활용하였고, 國原城을 중심으로 신라의 北邊을 압박하였다. 羅濟同盟을 압박할 수 있는 지리적 장점을 이용하여 羅濟同盟軍의 군사적 활동을 지연시키고 견제하였으며, 삼국항쟁의 주도권을 장악하기 위하여 백제, 신라와 치열한 전투를 벌였다. 國原城은 對新羅外交의 중요한 역할을 하였다. 「中原高句麗碑」에 보이는 會盟은 대외적으로 羅濟同盟으로 이탈하는 신라를 회유하기 위한 의식이었다. 대내적으로 남쪽의 변방인 忠州에서 신라와 會盟을 하여 주민들에게 고구려의 위엄을 보임으로써 주민의 통제하기 위한 고구려의 의도였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