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경주지역 세계문화유산 관광상품화 연구

        전명숙 경기대학교 대학원 2001 국내박사

        RANK : 247807

        오늘날 세계는 정치적 측면의 이념갈등을 통한 대립으로부터의 자유와 개방, 상호문화교류를 통하여 국경의 의미를 축소화하며 경제적 측면의 세계경제 재편성 및 인적 교류의 자유화가 지속됨에 따라 자국의 고유문화를 국가의 자산으로 인식하고 문화를 전략산업화하는 경향이 증가하고 있다. 특히 타지역의 문화교류를 통하여 인격함양의 기회와 지식과 정보의 범위를 넓히며 나아가 세계평화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하는 관광은 국가간의 이동과 교류를 통한 국제관광의 성장과 관광의 중요성에 대한 현대인의 인식확대로 인하여 각국이 문화를 수출산업으로 전략화하면서 문화관광상품 개발을 통한 국제적 경쟁력이 더욱 심화될 것으로 예상된다. 문화관광의 한 형태인 문화유산 관광은 관광지의 전통과 역사. 문화를 내포하고 있는 문화자원을 관광상품화하여 단순한 형태의 관광형태에서 벗어나 관광 고유의 가치, 특히 관광의 문화적 가치에 더 많은 관심을 두는 경향의 관광자의 욕구에 부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국에는 세계적 수준과 가치를 인정받은 세계문화유산이 2001년 3월 현재 총 7건이 등록되어 있지만 이들을 통한 관광상품의 개발은 아직까지 미미한 수준이다. 그 중에서도 한국문화유산의 보고라고 할 수 있는 경주지역은 불국사와 석굴암을 비롯하여 경주 역사유적지가 포함되어 세계적인 관광지로 거듭날 수 있는 질적·양적 관광자원과 자연환경을 갖추고 있지만 외래관광자의 경주방문은 과거 10년을 기준으로 정체기의 특성을 보이고 있는 점에서 본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되어 경주지역 세계문화유산의 관광적 가치와 의미를 고찰하고 관광 상품화하는 다각적인 방법을 모색하여 세계시장을 대상으로 한 외래관광자의 한국방문의 활성화를 이룩하고 궁극적으로 한국관광발전에 이바지하는데 본 연구의 목적을 두었다. 본 연구의 공간적 범위는 경주지역의 세계문화유산 관광상품이며 소비자인 관광자의 범위는 한국을 방문하는 인바운드 관광 외래 관광자를 연구 대상 고객으로 제한하였다. 관광상품 공급자의 범위는 여행사의 인바운드 상품개발기획자, 경주시, 중앙정부등 관광상품 기획. 제작자가 대상이며 관광상품화의 범주는 경주 유적지 관광자원의 매력의 관광상품화와 관광시설 및 서비스자원의 개발방안이 연구의 범위이다. 본 연구의 방법은 문헌연구와 사례연구를 병행하였으며 내용적 범주는 연구의 동기와 목적을 바탕으로 문제제기 및 연구목적을 구성하였고 문헌연구는 세계문화유산의 관광상품화에 대한 이론과 세계문화유산 사례분석 대상지에 관한 문화유산 정책 및 관광상품 현황으로 크게 나뉘어져 있다. 사례연구 대상지에서 나타난 세계문화유산 관광상품화 요인과 관광상품의 특성분석을 통하여 경주 세계문화유산의 관광상품화 방안을 모색하고 끝으로 전체적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여 결론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세계문화유산이라는 관광자원의 특성상 가시적이면서 물질적인 방법보다 문화유산의 역사적, 미학적 가치와 인류의 지혜를 통하여 오늘날 현대인의 자아를 재발견할 수 있는 연성관광(soft ware)의 접근을 통한 관광상품화에 중점을 두고 있다. 사례대상 유적지에서 나타난 관광상품화의 공통적 특성으로는 첫째, 세계문화유산의 보전과 가치재창출 둘째, 관광지역의 고유문화를 관광자가 체험할 수 있는 관광상품내용의 다양성 셋째, 관광지역 고유의 문화를 느낄 수 있는 관광시설 및 서비스로 분석되었다. 이들 내용분석요소에 준거한 경주지역 세계문화유산 관광상품화 방안은 첫째, 경주지역 세계문화유산 이미지 관광상품화 전략으로서 세계문화유산 가치 재창출과 지속가능한 관광상품화, 문화의 고유성 보전을 특성으로 하며 둘째, 관광상품의 다양화와 차별화 방안으로서 지역문화행사의 관광상품화와 주변관광지와의 연계, 주제화한 관광상품화이 세분화되었고 셋째, 관광시설 및 서비스 개선 방안으로는 한국전통호텔의 활성화와 경주대표 전통음식의 개발, 관광통역안내 시스템의 재정립, 지역 특산품의 관광상품화 방안이 제시되었다. 세부적 내용으로 경주의 이미지와 맞는 외래 관광자를 위한 한국식 전통호텔을 보문단지에 건립하여 신라궁중한정식과 사찰음식의 식단을 개발 경주지역 음식문화를 정립시킬 필요가 있으며 현재의 관광통역안내 시스템을 경주시의 관광정보센터내에 통역안내전문부서를 설치하여 유자격자로 구성된 경주지역 전문 문화유산 해설 통역안내원의 양성과 지역 전문가의 양성, 경주지역 주민으로 구성된 명예통역안내원제도를 활성화하고 주요 관광지에 언어별 전문 통역안내원을 배치하여 관광지에 대한 해설의 전문성 확보와 관광지의 보존을 동시에 추구하는 방안이 제기되었다. 지역특산품의 관광상품화 방안으로는 지역성을 살린 신라토기와 토우, 십이지신상을 주요 특산품목으로 지정하고 관광자가 직접 제작에 참여하여 기념할 수 있는 장소를 마련하여 공방을 이용하여 관광자가 직접 제작에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방안이 제기되었다. In the 21 century the number of participants in cultural heritage tourism has increased significantly and its popularity has grown rapidly. Cultural heritage does not only represent history but encompasses all aspects of human history. Cultural heritage comprises on one part the tangible heritage,that which is unmovable, such as monuments, buildings, archaeological sites, and historic complexes which embody cultural significant traditions. Cultural heritage also includes the intangible movable heritage such as intellectual heritage, including artworks of archaeological importance and those representing skills. However, to obtain a tourist product value, intangible heritage needs to be transformed into a tangible one, through their own symbol and meaning, so that it can reflect its own unique cultural character. In particular the world cultural heritage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tourism resources. And one of the main factors, which helps recognize and understand its historical background. UNESCO has selected seven world cultural sites in Korea. Two of them are located in the ancient city of Kyongju.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verify what factors change a cultural heritage into a tourism product and, how to create tourist products through Kyongju's world cultural heritage items in a way that contributes to the Korean tourism industry. To develop this theory of tourism merchandising, four international world cultural heritage cities has been analyzed, such as Ankor Wat, Kyoto, Edinburgh and Firenze. This data research has found that history, art, religion, regional and environmental authenticity are the main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tourism resources. In case of Ankor Wat, tourism has developed 41% per year particularly due to various components of its cultural heritage. The ancient Japanese city of the Heian period, Kyoto shows how to use its cultural heritage and transform it into a tourist product value, based on tourist resources, infra-structure development and facilities all together, while accentuating its authenticity. The originality of tourist products from Edinburgh are based on state preservation policy and conservation of the city texture, while creating and developing various cultural activities. In Firenze, the characteristic of tourist product depend totally on the historical fact that the city is the birth place of Renaissance. The development into a Cultural heritage tourism product has following process: I. Recogni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meaning and value of the world cultural heritage items. II. Value creation as a tourist product through cultural resources. III. Creation of traditional cultural image, uniqueness and theme on tangible and intangible resources IV. Application of Korean traditional concept to the tourist facilitities To make Kyongju a world cultural heritage tourism attraction the city needs to organize a competitive strategy which concentrates efforts on developing and maintaining the cultural image of the historical city and devotes great efforts for the preservation, development and creation of its own unique historical tradition and culture. This study emphasizes and developes the methods of soft-ware tourism products through the world cultural heritages in the Kyongju area. In the following study the reliability of positive research and propriety of application has to be studied with the consideration on the more refined research models and methods.

      • 경주국립공원 지구특성에 따른 이용자의 이용 및 관리에 대한 인식차이

        이슬비 서울시립대학교 일반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Gyeongju National Park is the only historical national park in Korea which is the treasure of national culture where rich historical and cultural resources from national treasure grade to common cultural assets exist. In 2008 when the authority to manage is transferred to th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a variety problems in management including lack of infrastructure and conflicts between managers and users have occurred. There is a strong perception of Gyeongju National Park as a representative tourist site of Korea, and the identity as a historical national park is not yet firmly established. The management zones are designated dispersively as 8 zones. Each zone has different resources and characteristics so it is hard to efficiently manage them. The 8 zones of Gyeongju National Park has different location, resource and characteristics, and there are urban-style and mountain-style characteristics evenly distributed in accordance with the characteristics of each zone, although it is a historical national park. This study identified the characteristics of each zone, and classified the zones into 3 types considering the characteristics of each zone. Tohamsan Zone was classified as a tourism type; Namsan·Daebon Zone as a history culture education type; Hwarang·Seoak·Sogeumgang·Gumisan·Danseoksan Zone as a neighbor park type. This study analyzed the differences in visiting behavior and perception among the different zones.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major visiting purposes for the tourism type are sightseeing and rest; for history culture education type, sightseeing, rest, history and environment education; and for neighbor park type; health enhancement. For the tourism type, considering the findings that visitors obtain the information on how to use from internet, use train as the transportation means and frequently use the accommodation facilities, it seems that the visiting rate by the visitors from other areas is high. They are also satisfied with the parking lot, toilet, temple and cultural asset facilities as well as overall visiting atmosphere. However, they demanded the expansion of facilities such as resource observation road and explanation board. They showed lower intention to re-visit and volunteer. For most user regulation policies, they showed positive responses. To sum, Tohamsan Zone is a representative zone of Gyeongju National Park and has concentrated users all year round so it is required to implement the user policy completely and expand the visiting facilities to increase cultural landscape management and satisfaction level. The users of the history culture education type, Namsan Zone and Daebon Zone, use their own cars visiting with their families and spend long time. They showed high level of intention to volunteer and smartphone use for park management. They were satisfied with guide board, visiting support center, temple and cultural asset facilities but perceived that there is a need to expand the convenience facility, resource observation road and visiting support center. With respect to management policy, they perceived strongly that there is a need to provide information via internet or smart devices and to strengthen the policing authority of the manager against the misbehaving users. There is a need to develop specialized program to maintain the values of resources for the visitors of history culture education type and meet their visiting purposes as well as to increase the volume and level of visiting facilities. In addition, it is required to supplement and develop the volunteering system to induce practical management effect. At a neighbor park type, Hwarang·Seoak·Sogeumgang·Gumisan·Danseoksan Zones, there are many local residents who visited to enhance their health or to take a walk or rest. They demand the expansion of resting facilities or convenience facilities. Although the frequency of use is high, their intention to participate in park management via smartphone or volunteer is low. They also responded that visiting guide system with additional fee, imposing penalty against unlawful entrance and selective fee system for each visiting zone are not necessary. The perception of local residents is directly related to use and has a great influence on the management. Thus, it is necessary to establish the identity of Gyeongju National Park and actively utilize the program to increase the level of use appropriate for the National Park. This study is a empirical study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of Gyeongju National Park which is the only historical type national park in Korea. This study has the implication that it examined the user perception across different zones and suggested the desirable management directions. In addition, it is expected that this study provides the basic data to efficiently manage the users of national parks. 경주국립공원은 우리나라 유일의 사적형 국립공원으로서 국보급 지정문화재부터 일반문화재까지 풍부한 역사문화자원이 존재하는 민족 문화의 보고다. 2008년, 국립공원관리공단으로 관리권이 이양되면서 관리 인프라의 부족, 관리자와 이용자의 갈등 등 다양한 관리 문제가 발생해 오고 있다. 경주국립공원은 일반인들에게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관광지라는 인식이 강하며, 사적형 국립공원으로서의 정체성도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관리구역도 8개로 모두 분산·지정되어 각각 자원이나 이용 특성이 다르므로 효율적 관리가 어려운 실정이다. 경주국립공원 8개 지구는 위치, 자원, 이용 특성 등에서 차이가 있으며, 사적형 국립공원이지만 지구별 특성에 따라 도시형 및 산악형의 특성이 골고루 나타난다. 본 연구에서는 지구별 특성을 파악하고 주요 탐방목적과 자원현황을 고려하여 3가지 유형으로 지구를 분류하였다. 토함산지구는 관광형, 남산·대본 지구는 역사문화교육형, 화랑·서악·소금강·구미산·단석산 지구는 근린공원형으로 분류하여 지구별 특성에 따라 이용자의 탐방행태와 인식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관광형은 경관감상 및 휴양, 역사문화교육형은 경관감상 및 휴양과 역사 및 환경교육, 그리고 근린공원형은 건강증진이 주요 방문 목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관광형의 경우 인터넷을 통한 공원 이용정보 획득과 교통수단은 기차 이용, 그리고 숙박의 비율이 높은 것으로 보아 타지역민의 방문율이 높다고 판단되며, 주차장, 화장실, 사찰 및 문화재 시설에서 혼잡함을 느끼고, 전반적인 탐방분위기에 만족하였다. 그러나 자원관찰로나 해설판 등의 시설 확충을 요구하고, 재방문 의사, 자원봉사활동 의사가 타 유형보다 낮았으나 대부분의 이용자 규제 정책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었다. 결과적으로 관광형인 토함산지구는 경주국립공원을 대표하는 지구로서 연중 이용자가 집중되므로 향후 이용자 정책을 철저히 시행하면서 문화경관관리 및 만족도 제고를 위한 탐방시설 확충이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역사문화교육형인 남산지구와 대본지구의 이용자는 자가용을 이용하여 가족과 함께 방문하고 긴 탐방 시간을 보냈다. 인터넷이나 스마트폰을 활용한 공원관리와 자원봉사활동 참여 의사가 높았으며, 안내판, 탐방지원센터, 사찰 및 문화재시설에 만족하지만 편의시설이나 자원관찰로, 탐방지원센터의 확충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관리정책에 대해서는 인터넷이나 스마트기기를 통한 정보제공과 잘못 이용한 이용객에 대해서는 관리자 단속권한 강화에 필요성을 강하게 인식하고 있었다. 역사문화교육형 이용자의 자원의 가치 지속과 교육적 방문 목적을 충족시키기 위해 특화된 프로그램을 개발 및 발전시키고 탐방시설의 양과 수준의 제고가 필요하다. 또한 자원봉사활동제도 시스템의 보완 및 발전을 통해 실질적 관리 효과를 유도해야 한다. 근린공원형인 화랑·서악·소금강·구미산·단석산 지구에서는 당일 방문하여 짧은 탐방 시간을 통해 건강증진이나 산책 및 휴식을 목적으로 방문한 지역주민이 많다. 휴게시설 및 편의시설의 확충을 요구하며, 이용 빈도가 높지만 스마트폰에 의한 공원관리 참여의사나 자원봉사활동에 대한 의사 등이 낮고, 추가로 별도의 요금을 부담해야 하는 탐방가이드제, 불법 입장에 따른 과태료 부과, 탐방로 구간 선택요금제 등에 대해서 필요하지 않다고 응답했다. 지역주민의 인식은 곧 이용과 직결되고 보존을 위한 관리에 크게 영향을 미치므로 먼저, 경주국립공원에 대한 정체성을 바로 정립하고 국립공원에 적합한 이용수준 향상을 위한 프로그램을 적극 활용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유일한 사적형 국립공원인 경주국립공원의 실정을 담은 실증적 연구로서, 각 지구의 특성에 따른 이용자의 인식을 조사 및 분석하여 바람직한 관리방향을 제언한 점에 의의가 있다. 또한 앞으로 국립공원의 효율적 이용자 관리를 위한 기초자료로서의 역할이 기대된다.

      • 慶州地域의 文化觀光 活性化 方案

        鄭恩敬 慶熙大學校 行政大學院 2001 국내석사

        RANK : 247807

        우리나라의 오천년 역사의 산물이고, 21세기의 시대적 변화에 맞추어 부각되고 있는 문화관광자원을 체계적인 관리와 적극적인 홍보의 부족으로 인해 많은 관광객들을 유치하지 못했다. 우리 주변에는 미쳐 깨닫지 못한 유·무형의 문화유산이 산재해 있고 곳곳에 있는 많은 유형문화재와 대대로 전승되어 오고있는 전통문화까지도 귀중한 문화유산이며 관광자원인 것이다. 이에 경주지역의 문화관광을 활성화 시킬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부문별로 문제점을 제시하고 그에 대한 대책과 방안을 서술하였다. 첫째, 수도권으로부터의 접근성 불량으로 관광객 유치에 큰 영향을 주고 있으므로 민관의 협조로 대중교통수단의 대폭 확대와 예약시스템 구축, 충분한 재원확보가 이루어져야 한다. 둘째, 경주지역은 매장된 문화재가 많을 것으로 인정된 곳이 많은 문화재가 풍부한 지역이다. 사유발굴의 경우도 보조금을 지급하는 등 특별법에 의한 근원적인 방안 필요하다. 셋째, 시설의 현대화를 위한 개발과 보존에 따른 양측의 의견이 상충되고 있어 지역민들의 공간과 관광객들의 공간을 구분해 지역민들에게 불편을 주는 일이 없도록 하여 관광자원의 훼손도 막아야 할 것이다. 넷째, 특색있는 문화이벤트를 관광비수기에 열어 경주가 문화관광자원만이 있는 곳이 아닌 계절과 상관없이 늘 관광객의 흥미를 유발하여 재방문 및 지역소득에 기여하도록 해야 한다. 다섯째, 경주는 유네스코가 지정한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어 있는 불국사·석굴암을 비롯한 사찰들이 산재해 있다. 이들을 복원·정비해 불교성지순례코스를 개발해 사찰 관광코스와 연계해 관광상품화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여섯째, 독특한 관광기념품을 만들어 경주의 이미지를 더욱 가깝게하고 만족도와 재방문을 유도해야 할 것이다. The cutural tourist resources as a object of tourism, is growing with the meet of current changes in 21centry. The cutural heritage of five thousands of years'product has great value of sightseeing as it is, however it has not been able to attract toursits by commercializing itslef with a lack of active promotion and unorganized care. Our cutural heritage's prodominance has been recognized and approved by others but its preservation and active use is still acheived negatively. and indeed it is not certain and not organized what we can preserve it and we can promote it and how we can attract both of natives or foreign tourists and how we can develope it as tourist resource. The leading tourist countries regards the tourist industry as a first resource which leads future to a importnat national industry and to a future leading high value added industry. Recently as korea face the provincial times and there growing local goverment earnistly spontaneously let know the area using the tourist products and gradually get to come to the mood of all over the country and brought out of substitue of ecomomical recovery. Kyongju is the traditional cradle of korea which can reveal the national excellency and traditional cultural subjectivity to the world and the representative historcal city of korea . To make kyoungju, which is such a beautiful city, as to be international tourist city and reborn as a international city, Kyoungju has to satisfiy the desire of various tourists besides providing with the historical sightseeing which kyoungju only had in the meantime. In this reserch, meeting with the reality as a capital city of Sinra, Kyoungju, the small city which involeved in historical and fruitful cutural tourist resourse, and has historical places and heritage, I will discuss its problems following and its activation scheam with the suggested materials which was searched, in this below with simple briefing . First, The difficulties of approch from the capital area. Without flight service, tourists have to come to kyoungju by near airport and it's difficult to tour one day that is most prefered touring time these days. Second, According to modernization of facility for development and preservation, So far since there has been confliction between the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the space of local residents and tourists should be divided and it shouldn't give the residents the inconvineance and protect them from the damage caused by tourist resources. Third, With opening the specific cutural events in the unbusy seasons, it should arouse tourist's interests and make them come to revist at any season and give a contribution to the area's income. Forth, By making the special tourist's products, it should approach more of kyoungju's image and lead tourists to revisit kyoungju again.

      • 慶州地域 新羅古墳 出土 像形土器의 檢討

        한도식 경주대학교 대학원 1999 국내석사

        RANK : 247807

        This study focused on making an investigation into the shaped-pottery, which seem that we can infer part of ancient society, excavated from Kyongju area. This paper, by analyzing and examining the excavation sites and the shaped-pottery among the objects, shows that there are the mutual relationships each other and each shaped-pottery has some feature and change aspect according to the age. I presume that the shaped-pottery was used not in daily lives like the stem bowls and long-necked jar but in a funeral ceremony which performed a religious ritual to pray the dead person to go another comfortable world after death. The results of this study may be summarized as follows. The shaped-pottery which was found for the first time in the wood-lined chamber tomb with earthen mounds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after that, were also appeared with the various and different style not only in wooden-chambered tomb with stone mounds, stone-lined pit tomb and jar coffin tomb during the Three Kingdoms period but also in stone-chambered tomb and funeral urn tomb during the Unified Silla period. Though shown in every kind of burial style at that time, they were generally buried with the dead who seemed to have the upper social status, judging from other burial objects. Those days, However, the size of tomb didn't always correspond to the social class. The burial location and excavated condition of them were a little different from each other according to the period and burial type. Generally, the previous studies suggested a prevalent theory that the shaped-pottery originated from Kaya region like Talsung, Hyunpoong, Haman and so on and spread over Kyongju area. On account of the accumulation of the recent excavation sources, though, the assumption needs to be modified. I have already mentioned that the origin of the shaped-pottery occured from the wood-lined chamber tomb with earthen mounds during the Proto-Three Kingdoms period. In the cases of duck-shaped one, the early one had only body without head and feet, then had feet, and about the mid 4th century the most balanced duck-shaped pottery appeared. Duck-shaped ones between the late 4th century and 5th century, however, had had many difference from the former period's. The body became smaller and unbalanced than before and got decoration on the surface. Besides the plume on the head disappeared and the head looking at the front turned toward other direction. It got more and more realistic. From the Three kingdoms period (the early 5th century) their shapes became various. Most of them were very realistic. For example, the house-shaped pottery, one of the outer one of the funeral urn in the Unified Silla period, shows the house structure of those day's precisely. Acknowledging this study is limited on the specific pottery among many objects excavated from the Silla tombs in Kyongju, and deficient to the entire research on the shaped-pottery. I expect that new study will be kept accomplishing on all the shaped-one as well as on the provenance unknown one by accumulating and analyzing more research sources.

      • 전통주 체험을 통한 지역 관광 활성화 방안 : 경주지역을 중심으로

        김성진 성균관대학교 디자인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경주는 다수의 유적을 보유한 한국의 대표적인 관광지이다. 하지만 문화유적 외에 경주시가 내세울 먹거리와 즐길거리 등 관광객의 구미를 당길 수 있는 관광 자원이 거의 없다. 그나마 경주 시내에 위치한 황리단길이 부각 되면서 20대와 30대의 관광객 유치로 경주 관광의 체면을 겨우 살리고 있다. 세계적으로 높은 인지도의 주류와 생산지는 보고 즐기는 것을 넘어 새로운 체험을 하는 특수 관광지로 떠오르기 시작하였다. 대표적으로 일본의 사케, 영국의 위스키, 중국의 고량주 러시아의 보드카 멕시코의 테킬라 독일의 맥주 등이 있으며 주류 생산지를 관광 상품화하고 개발하여 이익을 창출하고 있다. 따라서 술을 관광상품으로 활용해 지역경제를 활성화시킨 외국의 성공사례를 살펴보고 벤치마킹을 통해 경주지역의 전통주 체험과 연계한 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집집 마다 술을 빚던 가양주 문화를 기반으로 각기 다른 우리나라의 전통주는 각기 다른 지역의 문화자원으로서 관광자원으로 활용되기에 충분하다. 우리나라의 전통주는 지역의 환경을 반영하는 관광 자원으로서 높이 평가되어 활성화를 도모해야 한다고 판단하였다. 특히 경주지역의 무궁한 역사 문화와 연계한 전통주 체험이 관광 활성화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을 것으로 보았다. 전통주 체험을 통해 새롭게 경주 지역 문화의 차별성을 살려 관광 활성화 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하였다. 경주시 관광 활성화 방안으로 역사 자원과 연계한 전통주 체험을 통해 신라의 역사를 다시 알리고 경주시의 부가가치를 높인다. 지역사회의 인적·물적 자원을 연계 활용하고 막걸리와 경주의 역사 자원을 활용한 공예·식음 체험 등을 할 수 있는 체험관 등을 갖춘 막걸리 거리를 조성하고, 전통주를 홍보하는 지역축제 개최와 프리미엄 주류 상품 개발 및 시음 등 다양한 전통주 체험 프로그램 개발을 통한 경주의 관광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경주시를 찾는 관광객이 전통주 체험을 통해 신라문화를 경험하고, 전통주 체험이 다른 지역과 차별성 있는 관광자원으로 활용되어 경주시의 관광 활성화를 이끌 수 있는 새로운 도약 지점이 되길 기대한다. Gyeongju is a representative tourist destination in Korea with a number of cultural assets. However, other than those cultural relics, there are only few tourism resources that can appeal to tourists, such as food and entertainment. As Hwangridan gil, which is a tourist spot located in downtown Gyeongju, attract tourists in their 20s or 30s, the face of Gyeongju tourism has been barely saved. The world's highly recognized liquor-producing area has begun to emerge as a special tourist destination where tourists can have new experience beyond watching and enjoying. Some of the most famous examples are Japanese sake, British whiskey, Chinese Koryangju, Russian vodka, Mexican tequila, and German beer. Therefore, foreign success stories that revitalized the local economy by using liquors as a tourism product were examined, and measures to revitalize tourism in connection with the experience of traditional liquor in Gyeongju were suggested through benchmarking. Based on the Gyeongju culture, where each house used to make its own liquor, different Korean traditional liquors can to be used as a cultural resource for different regions. Korea's traditional liquor should be highly valued and revitalized as a tourism resource that reflects the local environment. The experience of traditional liquor linked to the infinite history and cultures of the Gyeongju area is considered to have a positive effect on revitalizing tourism. This research seeked ways to revitalize tourism by utilizing the uniqueness of Gyeongju culture through the experience of traditional liquor. As a way to revitalize tourism in Gyeongju, you can promote the history of Silla and increase the added value of Gyeongju through the experience of traditional liquor linked to historical resources. A plan to revitalize tourism in Gyeongju, it proposed to use local residents and material resources, create makgeolli streets as craft and food experience centers using Gyeongju's makgeolli and historical resources, and develop various traditional liquor experience programs such as holding local festivals and developing premium liquor products. This study hopes that tourists visiting Gyeongju will experience the culture of the Silla Dynasty through traditional liquor experiences, and that the traditional liquor experience will be used as a differentiated tourism resource from other regions, leading to the revitalization of tourism in Gyeongju.

      • 慶州地域 住居建築의 建築計劃的 硏究 : 한옥주거를 중심으로

        이종석 啓明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박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현재까지 경주에서 공급된 한옥주거의 물리적 공간과 거주자의 생활상의 요구 분석하여 공간과 생활간의 대응 메커니즘을 파악하고, 이를 통해 새로운 개념의 전통문화도시 주거를 개발 할 수 있는 건축계획적 자료를 마련하고자 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는 경주시의 도심을 중심으로 현재까지 주거형식의 시대적 원형을 외형적으로 유지하고 있는 동방 마을과 사정동, 황오동, 성건동 일대를 포함한 10개 지역을 조사지역으로 한정하였다. 조사 내용은 문헌 연구로서 선행연구 분석 및 통계자료 분석, 주택 유형별 현장 실측조사 및 사진 촬영, 주택 유형별 생활실태 조사, 주택 유형별 거주자 설문조사 등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된다. 1. 경주시의 문화적?역사적 의미를 지닌 주거지는 대부분 노후주택으로 방치되고 있는 실정이며, 개별 건축적 행위로 상가 혹은 다세대 주택이 들어서면서 주거지의 경관에 변화를 초래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주거지를 경주의 전통문화적 관점에서 조명해 보고자 하는 이론적 근거의 틀을 마련하였다. 2. 경주지역의 주거상황은 주택 보급률이 100%를 넘어서고 있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임차가구의 비중이 커지는 경향을 보이고 있다. 또한 최근 경주지역은 전출인구 증가에 의한 인구감소현상을 보이고 있으며, 이러한 현상은 도시 기능의 약화를 초래하는 근본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 또한 경주시가 갖는 전통문화적 환경에 기인한 지구의 지정은 도시개발과 시민 재산권 행사에 어려움을 주고 있으며, 이는 시민의 생활의 불편을 초래하는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이러한 주거상황에 대하여 경주의 전통문화도시 이미지와 어떤 맥락성을 갖는가에 대해 다각적으로 검토되어야 할 것이다. 3. 경주지역의 주거지의 가로체계는 신라시대에 이미 격자형식으로 개발되어 현재에도 대부분의 단독주택 주거지는 격자형태를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필지는 전면 폭이 좁고 안으로 세장한 장방형 필지의 형상이며, 그 규모는 개발시기와 지역에 따라 차이가 있다. 그리고 단독주택의 주택배치 및 형태는 한옥유형의 경우, ‘ㄱ’자형의 배치가 대부분이며, 일부 본채와 부속채가 ‘ㄷ’자형을 이루는 배치형태도 있다. 양옥유형은 ‘슬라브+경사지붕형’, ‘슬라브 변화형’과 ‘슬라브 + 눈썹지붕형’의 2층 다가구 주택 등이 대부분이다. 주거유형이 지역별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주택지 개발 시점의 시대적 상황이 반영됨으로써 단독주택지별 유형적 특성을 보이고 있다. 4. 평면 유형별 공간구성의 특성으로는 한옥의 평면구성은 원형을 유지하면서 내부공간을 대부분 현대식 생활에 적합하도록 변형하였다. 특히 재래식 부엌은 입식으로 변형되었고 화장실도 욕실과 함께 내부로 들어옴으로써 생활의 편리성을 도모하였다. 그리고 주택의 규모가 확장되는 경우는 경제적 수단의 한 방편으로 방수를 늘림과 동시에 제 2의 부엌을 만들어 주택의 일부를 임대하기 위함이다. 개량한옥의 평면구성은 양옥형식을 따르고 있으나, 지붕형태는 전통한옥을 유지하고 있다. 이는 경주시에서 미관지구나 사적지 주변지역에 대한 행적적인 규제로 기능은 현대식이나 외관형태는 전통형식을 따르도록 유도한 결과로 보인다. 5. 주택유형별 생활불편에 따른 공간변화의 요구들은 대부분 거주자들은 생활의 불편함이 주요 동기이다. 그러나 변화를 원하지만 실행하지 못하는 이유는 경제적, 법적 조건, 대지주변 조건 등의 제약조건이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현 주택의 만족도 및 주택유형의 선호도를 보면, 한옥형의 보급에 에 대한 행정적 권장과 정책적 필요성은 대부분 ‘불필요하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또한 경주지역에 가장 잘 어울리는 주거형태는 한옥형이라 응답하였으나, 실재 소유주택은 다양한 양옥형의 주택을 원하고 있음을 볼때, 실재 주거 생활과 주거 문화적 가치관에는 상당한 괴리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6. 요소별 공간변화의 원인과 특성으로는, 거실의 경우 생활중심이 거실에 집중되면서 소파, TV, 장식장 등의 보편화로 인하여 거실이 확장되었으며, 안방은 부부방의 침대사용과 생활의 편리성을 도모하기 위하여 화장실이 내부로 들어오면서 확장되었다. 부엌은 가전제품의 증가와 대형화로 입식부엌으로 변경되었다. 현관은 전면에 알미늄 섀시를 달아서 보온 및 방풍시설을 보완하였으며, 변소는 수세식 화장실로 변경되고 위생과 편리함을 도모하게 되었다. 임대공간은 기존방을 수리?보수 혹은 확장하고 간이부엌이나 화장실을 설치하는 경우를 볼 수 있다. 7. 주택 유형별 생활방식은 취침은 온돌식이 대부분이며, 식사는 여전히 밥상이용의 비율이 높다. 응접은 좌식의 비율이 높으나 양옥유형에서는 의자식의 비율이 비교적 높다. 단란은 주택유형에 따라 장소가 차이가 있다. 의례는 좌식으로 이루어진다. 생활방식에 대한 만족도는 대체로 만족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8. 향후 경주지역의 주거형태 제안을 위하여 경주지역에 어울리는 주택 유형에 관한 내용으로서, 대부분의 거주자들은 재래한옥유형이 가장 잘 어울리는 주택유형이라고 응답하였으나, 실제 본인이 소유를 희망하는 주거형태에 대해서는 일반적인 도시단독주택의 2층 양옥형의 주거형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9. 따라서 이상의 분석내용을 토대로 경주지역의 단독주택지 노후 주택의 재생과 새로운 주거형태의 창출은 문화적 지속성과 역사적 경관성을 고려하여 한옥형의 건축계획적 접근 방안을 모색하였다. 특히, 경주지역의 전통문화적 도시 성격을 감안한다면 주택의 공급은 종래 시장성원리에 일관할 것이 아니라 가능한 문화적 지속성과 역사적 경관성을 주거형태에 반영할 수 있는 자율적, 행정적 노력이 필요하다고 본다. 그러면서도 생활적 측면에서는 시민들의 ‘삶’인 생활적 원리를 이해하고 그 속에 내재된 문화적 내용이 수용?지속되어져야 할 것이며, 공간적, 생활적, 형태적으로 건축적 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는 건축계획적 방안이 모색되어져야 할 것이다. 그러나 본 연구는 경주의 전통문화도시의 성격에 부합한 주거유형 개발을 위하여 보다 다학문적 접근이 이루어지지 못한 점과 실재적으로 다양한 주거유형을 제시하지 못한 점이 본 논문의 한계라 할 수 있으며, 이러한 한계성은 차후 연구과제로 삼고자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rresponding mechanisms between residential spaces and living by analysing the physical spaces of Hanok residential buildings in the Gyeongju area, and their residents' needs for living, and to afford architectural planning data needed to develop new aspects of residence in a traditional cultural city. The study was carried out with 10 limited areas, including the Dongbang village, Sajeong-dong, Hwango-dong and Seonggeon-dong, where the types of residential buildings have been externally maintained in their original condition and configuration. Also, this study was performed by means of an analysis on previous studies and statistic data, field survey, photographing, survey of actual living, and questionnaire survey with residents, based on the types of house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1. It was shown that there were a lot of bedraggled old houses in the culturally and historically important residential areas of Gyeongju City, and that a range of construction activities for individual commercial buildings and multi family houses resulted in the changes in existing views from residential areas. It was theoretically required, therefore, to examine the residential areas from the viewpoint of history and culture. 2. When the situation of housing affairs in the Gyeongju areas was explored, it appeared that the number of rental house families was increased although the rate of housing distribution exceeded 100% in the areas, and that there was the reduction in its population, with the increase in the population moving out the areas. Basically, these phenomena could cause the city function of Gyeongju to become weakened. In addition, the city's designation as a zone featuring historical and cultural environments also could make it difficult to promote the city development and to exercise the citizens' property right, and their inconvenience of living could be caused accordingly. Under such housing circumstances, therefore, it was required to consider a wide range of their relations with its image as a city with unique historic and cultural legacies. 3. Because the road system in the residential areas of Gyeongju was developed in the shape of lattices, the residential areas for independent houses were mostly divided in the lattice form, and their divided units were rectangle shaped with narrow front width. The size of the units varied depending on their developed periods and locations. For the Hanok-called Korean traditional houses, the layout and form of independent houses were mostly ㄱ-shaped, and some of their main and attached buildings were ㄷ-shaped. For the western style of houses, their major types included "Slab+Sloped roof," "Combined slab roof" and "Slab+Eyebrow roof" of 2-story multi family houses. The difference in the housing type between locations was caused by the historical context of development in the residential areas. 4. The spacial composition of plane types was characterized by the fact that the indoor space of Hanok houses was remodeled to be ideally suited to residents' current lives while their plane type was kept in its original condition. In particular, their traditional kitchens were changed to a modern type of kitchens, in addition to their indoor bath rooms designed for convenient living. When the size of these houses was reformed, the number of their rooms also was increased in addition to another kitchen for the purpose of the rental, due to financial reasons. Nevertheless, that most of living behaviors continued to occur in their inner room and their living habits also were kept in traditional manners. The reformed Hanok houses' plane composition was based on that of the western style houses, but their roofs were maintained in the traditional form. Also, their planes were mostly ㄱ-shaped with the octagonal shaped roofs, probably because the administrative regulations of Gyeong City prescribed that the external appearance of all the Hanok houses located within designated zones or around historical reclis should be built in the Korean traditional manner although their internal functions were allowed for a modern type of reformation. 5. It was shown that residents' demands for spacial changes mainly resulted from `their living inconvenience. The residents desired to change the space but were not permitted for any change. The reason that their desire for change was not permitted included financial factors, legal requirements and limited conditions around the space. When the Hanok residents' satisfaction with current houses and their preferred house types were surveyed, the residents answered "No need" for administrative and political supports for the supply of Hanok type houses. Also, they responded that the residential building type best suited to the Gyeongju area was the Hanok type house. Based on the fact that house owners actually preferred a variety of western type houses, however, it was meant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residents' actual living house and their values of residential culture. 6. The characteristics and reasons for special changes in individual Hanok parts showed that the living room was mostly expanded because it served as family members' central living place where sofa, TV and other fixtures were furnished, and the inner room also was expanded and the bathroom was installed within the existing house for the purpose of convenient living and couple bed sharing. The kitchen was changed to a standing-type kitchen and became bigger and available for a variety of home electronics. The front door had a front aluminum sash designed to improve insulation and protection against wind. The toilet was changed to a flush type for sanitation and convenience. Rental space were provided by repairing or fixing the existing room with a simple kitchen and toilet. 7. When the living types were examined according to house types, it appeared that most of the residents slept on the On-dol floor, and used a table for eating. While the sitting-type reception was widely used, the chairs reception also highly used.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place where families enjoyed the simple pleasures of life, according to the house types. Every ceremony was performed in a sitting manner. The residents answered that they were relatively satisfied with their life style. 8. In addition, they responded that the house type best suited to the Gyeongju areas was the traditional Hanok type, but that house owners actually preferred a 2-story western type of independent houses. 9. Based on the above analysis, an attempt was made in this study to suggest the architectural planning approach to the Hanok type houses by taking both cultural continuity and historical views into consideration, in order to restore the bedraggled old houses in the Gyeongju areas and create a new house type. From the viewpoint of the Gyeongju community's tradition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especially, it is required to make administrative efforts considering the cultural continuity and historical views for the house type, rather than the existing market principle, when the housing supply policy is made. With respect to living, moreover, it is also necessary to understand the living principle as citizens' life, to accept and preserve cultural contents existing within the principle, and to find out methods for creating an architectural identity, in terms of space, living and formation. This study had some limits because diversified academic approaches to develop house types suitable for the tradition and culture of Gyeongju were not used and a variety of house types were not actually suggested. It seems, therefore, that further studies must be performed on those limits in the future.

      • 면진된 RC 슬래브-철골거더 합성교의 국내 지진파에 대한 구조 거동 평가

        김창현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relatively recent earthquakes, Gyeongju Earthquake(M5.8) and Pohang Earthquake(M5.4), were the largest earthquakes ever recorded in Korean history. And it served as an opportunity to change the existing perception that Korea is a safe region from earthquakes. Meanwhile, most bridge bearing type in Korea is steel bearings or laminated elastomeric bearings that are not seismic isolation bearings, unlike the United States or Japan which have a high seismic risk. Therefore, considering the Korea situation, it is necessary to apply seismic isolation retrofit to improve the seismic performance of bridges built before the strengthened legal seismic performance standards and bridges with outdated laminated elastomeric bearings. In order to seismic retrofit non-isolated bridges by using seismic isolators, this study designed seismic isolators based on the design standards for seismic isolators such as BE 1/76, BS 5400, Eurocode, etc., and some empirical methods. The designed bearings are examined whether they are satisfied the design criteria for laminated elastomeric bearings and laminated rubber type seismic isolation bearings in terms of the seismic design section of the road bridge design standards. Moreover, paying attention to the reason why the damage to structures in Pohang was greater despite the fact that the magnitude of the Pohang earthquake was slightly smaller than that of the Gyeongju earthquake, the study identified the waveform characteristics of the Gyeongju and Pohang earthquakes and compared their differences. Further, for RC slab-on-steel girder composite bridges, this study conducted time history analysis and structural response evaluation when Korean earthquakes (the Gyeongju earthquake and the Pohang earthquake) acted as seismic loads, to examine the effectiveness of seismic isolation of bridge structures of research targets to prevent possible risks of future earthquakes in Korea. Meanwhile, this study examined the seismic wave characteristics of the El Centro 1940 earthquake, which is viewed as one of the most notable earthquakes by structural and seismic engineers. This study identified how the structural response and seismic isolation effectiveness of the target bridge varied when the El Centro earthquake acted as a seismic load, compared to when the Korean earthquakes (the Gyeongju earthquake and the Pohang earthquake) acted as a seismic load. As a result, the seismic isolation bearings of the study designed based on the design standards for seismic isolators such as BE 1/76, BS 5400, Eurocode, etc., and empirical methods satisfied the design criteria for laminated elastomeric bearings and laminated rubber type seismic isolation bearings in terms of the seismic design section of the road bridge design standards. The bracketed duration of the Gyeongu and Pohang earthquakes, approximately 3~4 seconds, was short compared to the normal earthquake duration (e.g., approximately 25 seconds for the El Centro earthquake). Due to the short duration of strong motions, the damage from the two earthquakes was relatively small compared to the magnitude of the earthquakes. Furthermore, the dominant frequency of the Gyeongju earthquake (USN) was 6~10Hz, which corresponded to high frequency than the dominant frequency of general seismic waves. This explained the fact that most of the buildings damaged by the Gyeongju earthquake were small buildings with two stories or less. The dominant frequency of the Pohang earthquake (PHA2) was approximately 1.71Hz, which corresponded to the dominant frequency band of general seismic waves. It explained the fact that the buildings that suffered great damage from the Pohang earthquake were piloti buildings with approximately five stories or school buildings. Meanwhile, the dominant frequency of the El Centro earthquake was approximately 1.5~6.49Hz, which covered a wide range from low frequency to high frequency and was predicted to mainly damage buildings with 2~7 stories. In terms of the overall structural response of the bridges in this study, the Pohang earthquake (PHA2) was greater than the Gyeongju earthquake (USN), which was likely to be attributed to the dominant frequency band of the Gyeongju earthquake (USN) and Pohang earthquake (PHA2) as determined by Fourier spectrum. Moreover, all structural responses except for the deck displacement of the seismically isolated bridge significantly reduced compared to that of the non-isolated bridge. Seismic retrofit with seismic isolators improved the seismic performance of bridges, however, the efficacy of lead rods used to isolate bridges against Korean seismic waves was limited. In the case of the bridge adopted in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using only laminated rubber seismic isolation bearings without lead rods was more effective for seismic isolation of the Korean seismic waves, while using a lead-rubber seismic isolation bearings was more effective for seismic isolation of the El Centro seismic waves. 비교적 최근 발생한 경주지진과 포항지진은 각각 M5.8과 M5.4의 지진으로 우리나라 계기관측 역사상 가장 큰 지진이었으며, 그동안 우리나라가 비교적 지진으로부터 안전한 지대라고 생각하던 인식을 전환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한편, 우리나라는 지진위험도가 높은 지역인 미국이나 일본과 달리 아직 많은 교량에 지진격리받침이 아닌 강교좌나 탄성받침이 적용되어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국내 현실을 반영하여 법적으로 내진성능 기준이 강화되기 전에 지어진 교량 및 노후화된 탄성받침이 적용된 교량은 면진개수 등의 방법을 통해 내진성능을 향상시켜줘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비면진 교량을 면진장치로 내진보강 해주기 위하여 BE 1/76, BS 5400, Eurocode 등의 지진격리장치 설계규준집 및 경험적인 방법에 의해 지진격리장치를 직접 설계해본 후, 설계된 지진격리받침이 도로교설계기준 내진설계 편의 강재보강 탄성받침 및 적층고무형 지진격리받침 설계규준을 충족하는지 검토해본다. 또한, 포항지진이 경주지진보다 규모가 약간 작았음에도 불구하고 포항지진에 대한 구조물의 피해가 더 컸던 이유를 살펴보기 위해 경주 및 포항지진의 파형 특성을 알아보고 그 차이점을 비교해본다. 또한, 국내 지진(경주·포항)이 지진하중으로 작용하였을 시에 실재 RC Slab-on-Steel Girder 합성 교량을 대상으로 시간이력해석을 수행하여 구조거동평가를 실시해보고 국내에서 발생한 지진 규모에 대하여 향후 발생 가능한 지진 방재를 목적으로 본 연구에서 대상으로 하는 교량구조물의 면진 효용성을 살펴본다. 한편, 구조 및 내진 기술자 사이에서 역사적인 지진이라 평가받는 El Centro 1940 지진의 지진파 특성을 살펴보고 해당 지진이 지진하중으로 작용하였을 시에는 국내 지진(경주, 포항)이 지진하중으로 작용했을 때와 비교하여 대상 교량의 구조거동 및 면진 효용성이 어떻게 달라지는지 확인해본다. 연구 결과, BE 1/76, BS 5400, Eurocode 등의 지진격리장치 설계규준집 및 경험적인 방법으로 설계한 지진격리받침은 도로교설계기준 내진설계 편의 강재보강 탄성받침 규준 및 적층고무형 지진격리받침 규준을 충족하였다. 경주지진과 포항지진의 브래킷 지속시간(Bracketed Duration)은 약 3~4초 정도로 일반적인 지진 지속시간(예를 들면, El Centro 지진의 Bracketed Duration은 약 25초)과 비교하여 짧게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짧은 강진 지속시간으로 인해 지진 규모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해가 작았던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경주지진(USN)의 경우 탁월주파수는 6~10Hz로써 일반적인 지진파의 탁월주파수에 비해 고주파에 해당하며, 이를 통해 경주지진으로 인해 피해를 받은 건축물이 대부분 2층 이하의 소규모 건축물이라는 것이 설명된다. 반면, 포항지진(PHA2)의 경우 탁월주파수는 약 1.71Hz로써 일반적인 지진파의 탁월주파수 영역에 해당하며, 이를 통해 포항지진으로 인해 큰 피해를 받은 건축물이 5층 전후의 필로티 건축물 또는 학교 건축물인 것이 설명된다. 한편, El Centro 지진의 경우 탁월주파수는 약 1.5~6.49Hz로써 탁월주파수 영역이 저주파부터 고주파까지 넓게 포진해있으며, 주로 2~7층의 건축물에 피해를 입힐 것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의 대상 교량에 있어 전체적인 구조 응답은 포항지진(PHA2)이 경주지진(USN)보다 컸으며, 이는 Fourier spectrum으로 알아본 경주지진(USN)과 포항지진(PHA2)의 탁월주파수 영역에 따른 결과로 보인다. 또한, 비면진 교량의 경우보다 면진된 교량의 경우 상판 변위(deck displacement)를 제외한 모든 구조 응답이 확연히 줄어들었다. 면진장치로 내진보강하면 교량의 내진성능이 향상되지만, 국내 지진파에 대한 교량면진을 위하여 사용된 납봉 효능은 제한적이었다. 본 연구에서 채택한 교량의 경우 국내 지진파에 대한 면진장치는 납봉이 없는 적층고무베어링만을 사용하는 것이 면진에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El Centro 지진파에 대한 면진장치는 납-고무베어링을 사용하는 것이 면진에 더 유리한 것으로 나타났다.

      • 慶州 舊市街地 歷史的 景觀要素의 視覺的 特性에 관한 硏究 : 可視距離, 可視面積 分析을 中心으로

        기주석 울산대학교 대학원 2000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경주 구(舊)시가지에 남아 있는 역사적 경관요소들이 인지되는 정도를 비교하여 경관상 문제점들과 특징을 찾는데 있다. 즉 개개인에 따라 상대적이고 복잡한 속성을 갖는 평가와 판단의 측면은 유보하고, 시각을 통한 대상 자체의 물리적 환경이나 객관적 속성 파악에 초점을 맞추었다. 구체적인 분석방법으로 가시거리, 가시면적 두 가지 틀로서 인지도를 비교하였다. 가시거리와 가시면적은 경관에 대한 정량적인 분석방법으로 가시거리는 평면상에서 대상이 가시 되는 가로의 길이이며, 가시면적은 사진상에서 대상이 시야에 차지하는 상대적 면적비이다. 각 수치가 높을수록 인지도가 높은 대상이라 가정할 수 있다. 이러한 대상들간의 인지도 비교를 통해 얻은 본 논문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경주 구(舊)시가지 역사적 경관요소의 인지도 비교 고분군 유형에서는 노서동고분군과 노동동고분군이 인지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황남동고분군은 낮은 편이다. 건물 유형에서는 법장사, 구야마구찌의원(새천년민주당지구당사무소)의 인지도가 높고, 상대적으로 구일본사원(해병전우회)과 동경관이 낮은 편이다. 비건물 유형에서는 당수나무가 모든 항목에서 높은 인지도를 보이고 삼랑사지당간지주, 손시양정려비는 인지도가 낮은 편이다. 2) 경주 구시가지 역사적 경관요소들의 문제점 황남동고분군이 역사도시 경주의 도시이미지를 위해서 가장 시급히 정비가 요구되는, 즉 잠재력이 가장 큰 역사적 경관요소이다. 노서동고분군은 서쪽의 서성로, 남쪽의 태종로에서 가시되도록 정비가 이루어 진다면 경관적 측면에서 효과가 높다고 보여진다. 동경관과, 구일본사원이 경관정비시 효과가 큰 경관요소이며, 특히 동경관은 중앙로에서 가시 되도록 정비하는 것이 우선적으로 고려되어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조선시대에 조성된 역사적 경관요소들 중에서 경주읍성이 인지도가 비교적 높으며 중로(황성로)에 직접 면해있는 유리한 위치에 있다. 또한 비가시면적비가 중로의 북쪽에서 86%, 남쪽에서 51%로 높은 수치를 나타내므로 조선시대의 역사성을 부각시키는 가장 효과적인 경관요소이다. 3) 경주 구시가지 역사적 경관의 특징 경주 구시가지의 역사적 경관은 유형별로는 고분군이, 조성시기별로는 신라시대를 인지하는 경관적 특성을 갖고 있다. 경주 구시가지의 역사적 경관은 조선시대, 일제강점기의 역사성을 인지할 수 있는 성내동지역과 신라시대를 인지할 수 있는 태종로 주변지역으로 구분되는 경관적 특성이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problems and characters in landscape by comparing the degree that historical elements are recognized. Each individual has its own relative and complicated properties on values and judgements on the object, however, except this, just focused on objective property and physical environment of object itself. The visual distance and visual area were compared in the way of concrete analysis. The visual distance and visual area were the method of a quantitative analysis in a landscape. The visual distance is a length of street that is viewed in the two-dimension, and the visual area is relative area ratio of a objective that is viewed by eyesight on the picture. We can presume that the higher the each numerical value is, the more recognition the objective has. The result of this study is as follows; 1) Comparison of recognition level in the historical landscape's elements of the old part of Kyung-Ju city. In a Gobungun(Tumuli) type Noseodonggobungun(Tumuli in Noseo-dong), Nodongdonggobungun(Tumuli in Nodong-dong) have a high recognition level, and relatively Hwangnamdonggobungun (Tumuli in Hwangnam-dong) has low. In a building type Beopjangsa(Beopjang-Temple), Guyamaguchiuiw- on(Old Yamaguchi-Hospital) have a high recognition level, and comparatively Guilbonsawon(Old Japan-Temple), Donggyeonggwan has low. In a non-building type, Dangsunamu(Dangsu-tree) shows higher recognition in every parts, and Samnangsajidangganjiju(Flag pole supports of Samnangsa Temple site), Sonsiyangjeongnyeobi(Monu- ment commemorating the filial devotion of Son Siyang) has low. 2) Problems of historical landscape's elements in Kyung-Ju. For the historical city image of Kyung-Ju, Hwangnamdonggobun- gun is urgently required to e rebuilt; it has the most potential in historical landscape elements. If Noseodonggobungun is viewed in Seoseong-road of the west and Taejong-road of the south, it can get high effect on the view of a landscape. When Donggyeonggwan and Guyamaguchiuiwon is rebuilt, it will become the most effective landscape elements. Especially, it should be the first consideration that the eastern landscape is viewed in Jungang-road. Of historical landscape elements to be built up in the Chosun era, Gyeongjueupseong(Gyeongju Town wall) get pretty high recognition level and favourable location because of adjoining to a middle road(Hwangseong-road). It takes 86 percent of the northern a middle road and 51 percent of the southern a middle road in non-visual area ratio. It is the most effective landscape's element to heighten the history of Chosun era. 3) Characteristics of the historical landscape in the old part of Kyung-Ju It is characterised to recognize tumuli in types and Silla era in the period of building up. It is characterised to divide Seongnae-dong district that we can recognize the history of Chosun era and under the rule of Japanese imperialism into surrounding district of Taejong-road that we can recognize the history of Silla era.

      • 경주 경관의 형성 과정에 대한 비판적 해석

        유지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경주는 한국의 대표적인 역사관광도시이다. 그러나 최근의 무리한 문화재 복원과 유행적 관광지의 범람은 과연 신라문화의 가치가 경관에 적절한 방식으로 투영되어 왔는가라는, 경관의 형성 과정에 대한 근본적인 의문을 불러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지금까지 경주 경관에 대한 연구는 대체로 경관의 물리적 차원에서 드러나는 역사적 정체성을 양적으로 분석하는 데 초점이 맞춰져 있었다. 그러나 경관은 문화적 의미체계인 동시에 사회관계의 매개이므로, 물리적 차원 너머 사회·정치적 차원에 대한 연구 또한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표는 경주관광종합개발이 벌어진 197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경주 경관의 형성 과정을 비판적인 관점에서 해석하는 것이다. 역사경관에서의 전통과 헤리티지 담론, 장소마케팅, 스펙터클과 키치의 개념은 이를 위한 이론적 토대가 된다. 본 연구는 먼저 경관 변화의 동인으로서, 경제개발시대와 지방자치시대의 도시계획과 정책사업을 분석하였다. 경제개발시대에 중앙정부는 민족정신과 전통문화를 경제 발전의 정신적 원동력으로 삼고자 했으며, 이를 강조하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펼쳤다. 그중에서도 특히 문화재 성역화 사업이 활발히 벌어졌는데, 그 정점에 경주관광종합개발계획이 있었다. 개발계획은 천년 고도의 재현을 목표로 하여 도시 전체를 신라라는 민족 공통의 역사를 상징하는 공간적 무대로 설정하였다. 한편으로는 보문관광단지를 조성함으로써 도시공간의 상품화를 예고했다. 지방자치시대에는 세계화-지방화의 구도 속에서 경제 활성화를 위한 지역문화 활용 정책이 연이어 수립되었다. 이때 1970년대 경주관광종합개발계획이 만들어놓은 고도의 이미지는 다른 도시와 차별화하는 경주만의 도시 정체성으로 다시 활용되었다. 결과적으로, 두 시대의 정책과 계획은 이데올로기를 구현하고 문화 소비를 끌어내기 위한 전략으로 신라 천년 고도라는 도시 이미지를 형성했고, 이를 경주의 경관에 투영했다. 두 시대의 사회·정치적 맥락과 도시정책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본 연구는 경주 경관의 변화 양상을 세 차원에서 해석하였다. 첫째, 구도심의 역사경관은 새롭게 조성되고 활용되었다. 경주관광종합개발은 성역을 창출함으로써 역사 유적을 생활공간에서 감상의 대상으로 재구성하였으며, 신라 이미지의 강화를 위해 전통풍 외관의 한옥 주거지를 조성하였다. 지방자치시대에도 도시 이미지에 의존한 전통풍 관광시설이 조성되는 한편, 유행적 문화 소비 방식이 공간과 결합하면서 역사 유적은 고도의 분위기를 형성하는 배경으로 소비되었다. 둘째, 화랑정신이라는 추상적 개념이 경관에 구현되었다. 경제개발시대 중앙정부는 민족정신의 동의어로서 화랑정신을 강조하였고, 이를 실체화하기 위해 화랑교육원과 통일전이라는 완전히 새로운 경관을 창조하였다. 이후 화랑정신은 지방자치시대에서 신라문화를 명료하게 드러내는 장소마케팅 전략으로 재발굴되었다. 마지막으로, 스펙터클 경관의 집합으로 보문관광단지가 형성되고 확장되었다. 1970년대 구도심의 기능적 켤레로 조성된 보문관광단지는, 과거에 머물러 있던 전통문화의 가치를 현재의 발전상으로 연결 지어주는 동시에, 본격적인 여가 공간을 제공해주었다. 후자의 기능은 지방자치시대에서 극대화되었는데, 지방정부와 민간자본은 엑스포를 개최하고 각종 테마파크를 조성하면서 경관의 상품화를 주도하였다. 본 연구는 도시계획과 정책사업을 역사와 문화에 대한 당대의 인식이 반영된 결과물로 인식하고, 이를 경관 변화의 동인으로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기존의 연구와 구분된다. 또한, 경주 경관의 변화를 197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통시적으로 파악함으로써, 시대 간의 상호 연관성을 드러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경주 경관의 변화에서 도출한 세 차원의 특성은 경주를 비롯하여 자연화되어 수용되기 쉬운 역사도시경관에 대한 비판적 견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Gyeongju is one of Korea’s most popular historical tourism destinations. However, the recent immoderate cultural asset restorations and a saturation of trendy tourist spots raise a fundamental question about the landscape formation of Gyeongju: is the value of Silla culture reflected appropriately in the process? Studies related to the landscape of Gyeongju generally focus on analyzing quantitatively the historical identity revealed in the landscape’s physical dimension. However, landscapes are not only culturally constructed meaning systems; they also represent mediation in social relations, thus requiring further studies that go beyond the physical dimension to include social and political dimensions. The aim of this study is to critically interpret the Gyeongju landscape formation process beginning in the 1970s when the Gyeongju Tourism Development Plan was first implemented. The discourse on tradition and heritage, place marketing, and the idea of a spectacle or kitsch in the context of historic landscapes serve as the theoretical bases for this study. In this study, urban planning and related policies of the economic development era and local autonomous governance era—as the driving forces of landscape change—are analyzed.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emphasized a nationalist spirit and traditional culture to overcome the regime’s crisis and encourage people to work harder to attain rapid economic growth. This was visually embodied through the cultural asset protection project; at its center was the Gyeongju Tourism Development Plan. The development plan aimed to recreate the ancient capital city of a thousand years; it arranged for the entire city to symbolize the history of the Silla dynasty. It also foretold the commercialization of urban spaces for tourism. Then, during the era of local autonomy, policies for utilizing local culture as a way to vitalize the economy in the globalization-localization scheme continued to be implemented. Accordingly, the image of the ancient capital city of a thousand years, created by the Gyeongju Tourism Development Plan, became Gyeongju’s unique identity that differentiated it from other cities. The policies and plans of the two eras created an image of the ancient capital city as a strategy to embody ideology and stimulate cultural consumption, making it a part of Gyeongju’s landscape. Based on an analysis of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urban policy, the phenomenon of Gyeongju’s landscape change is interpreted in three ways. First, the historical landscape of the ancient urban center was newly created and utilized, and traditional hanok houses were built to reinforce the image of the Silla dynasty. During the era of local autonomy, traditional tourist attractions dependent on city images were being constructed, and historical sites were used to create an atmosphere for the ancient capital city whereby trendy cultural consumption merged with location. Second, the abstract Hwarang spirit blended in with the landscape. The Park Chung-hee government emphasized the Hwarang spirit as equivalent to a nationalist spirit and fashioned a completely new landscape with the creation of the Hwarang Education Center and Tongil-jeon (unification hall) in order to promote it. Later, during the era of local autonomy, the Hwarang spirit was rediscovered as a place marketing tool to clearly illustrate Silla’s culture. Lastly, the Bomun Tourist Complex was founded and expanded as a collective spectacle landscape. The complex, originally designed in the 1970s as an old urban center’s functional twin, brought forth the value of traditional culture, which had been a mere thing of the past, and connected it to current development. The complex also provided leisure space, which was expanded during the era of local autonomy. The local government and the private sector hosted an Expo and created various theme parks, further commercializing the landscape of Gyeongju. This study differs from existing studies in the perception of urban planning and policy-making as the result of those days’ view of history and culture and as driving forces of landscape change. In addition, it is significant that this study includes a diachronic analysis of landscape change from the 1970s to today, uncovering the connection between time periods. The characteristics of Gyeongju’s landscape shown in the results of this study provide critical views on urban images and landscapes that are assimilated and easily accepted in historical cities, including Gyeongju.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