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의 영향 인자 및 건강관련행위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메타분석

        김건희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726

        인터넷과 정보미디어 기기의 이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정보에 대한 접근성이 크게 향상되었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면서 많은 사람들이 인터넷을 통하여 건강관련정보를 획득하고 이를 건강증진과 질병의 관리를 위해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인터넷상의 건강정보는 제공자나 출처가 다양하고 정보의 질에 문제가 있을 수 있어 잘못 활용될 경우 국민의 건강과 공중보건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따라서 인터넷 건강정보를 올바르게 이해하고 활용하는 능력, 즉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은 인구사회학적 특성 마다 차이가 있을 수 있고, 습득한 건강정보는 궁극적으로 실제적인 건강행위에 영향을 미칠 수 있으므로 약사를 비롯한 보건의료인은 개개인의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대한 고려를 바탕으로 보건의료서비스를 제공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인구사회학적 요인의 관련성과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이 건강관련행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정보는 문헌 마다 제시하는 결과가 다양하기 때문에 심도 있는 이해를 위해서는 보다 포괄적인 분석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하여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에 성별, 연령, 교육수준 등 인구사회학적 요인이 미치는 영향과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건강관련행위의 상관관계를 통합적으로 확인해보고자 한다. MEDLINE, EMBASE, Cochrane, KoreaMed, RISS 등의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 2021년 3월까지 발표된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 관련 문헌을 검색하였다. 검색어는 ‘e-Health’와 ‘literacy’의 관련 단어들의 조합으로 구성하였다. 이 중 일반인을 대상으로 하고, 검증된 도구를 이용하여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측정하였으며, 인구사회학적 요인에 따른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 수준 또는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건강관련행위의 관련성을 제시한 연구를 선정하였다. 세부 연구 주제에 따라 포함 문헌을 분류하고 체계적 문헌고찰을 실시하였으며, 정량적 분석이 가능한 연구 결과에 대하여 메타분석을 진행하였다. 총 1,922개의 문헌이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관련된 문헌으로 검색되었고, 그 중 79개의 문헌이 본 연구에 포함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징에 따른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 수준을 제시한 12개의 연구를 대상으로 정량적 분석을 수행한 결과, 성별에 따른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standardized mean difference[SMD]=0.02, 95% confidence interval[CI]: -0.06; 0.10, p=0.623). 연령에 대해서는 60세 미만 군이 60세 이상 군보다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 수준이 높았으며(SMD=-0.55, 95% CI: -0.72; -0.39, p<0.001),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 수준이 높았다(SMD=0.39, 95% CI: 0.10; 0.68, p=0.008).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건강관련행위의 상관관계를 제시한 15개 연구 결과를 메타분석 하였을 때, 통합상관계수는 0.31(95% CI: 0.25; 0.34)이었다. 하위분석에서 노인을 대상으로 한 경우, 일반인을 대상을 한 경우, 건강증진행위와의 관련성을 본 경우 각각의 통합상관계수는 0.37(95% CI: 0.29; 044), 0.32(95% CI: 0.25; 0.39), 0.36(95% CI: 0.27; 0.41)이었으며, 젊은 사람을 대상으로 한 경우, 환자를 대상으로 한 경우, 그 외의 건강관련행위와 관련성을 본 경우에 비해 더 높은 상관성을 나타냈다.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통해,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예측하거나 평가할 때 대상자의 연령과 교육수준의 고려가 필요하며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과 건강관련행위 사이에는 중등도 수준의 양(+)의 상관관계가 존재함을 확인하였다. 약사는 전문적이고 환자 중심적인 약물요법 관리와 복약상담뿐 아니라, 국민의 건강관련행위에 대한 관리와 건강증진을 위한 조언의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인터넷을 통해 건강정보를 접하는 국민들이 증가하고 있는 이 때, 건강관리 등을 포함한 약료서비스 제공 시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을 감안한 서비스를 고려해야 한다. 추후 국내 임상 환경에서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 평가 도구의 개발과 인터넷 건강정보 이해능력 증진 방안에 대한 추가적인 고찰은 디지털 헬스케어 시대에서 약사의 역할을 보다 확장할 수 있을 것이다. As the Internet and mobile use become more common, access to information has greatly improved. Also, as interest in health increases, many people acquire health-related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and actively use it to promote health and manage diseases. However, health information on the Internet can have various sources and problems with the quality of information, which can adversely affect the health of the people if it is misused.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understand the ability to understand and utilize online health information, that is, e-Health literacy (e-HL). Since e-HL can vary by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acquired health information can affect the practice of health behavior, pharmacists and other health care providers need to consider individual e-HL and provide health care services based on it.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e-HL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and the effect of e-HL on health-related behavior vary by literature.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comprehensively evaluate the effect of sociodemographic factors such as gender, age, and educational level on e-HL and the correlation between e-HL and health-related behaviors through a meta-analysi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 studies retrieved from MEDLINE, EMBASE, Cochrane, KoreaMed, and RISS up to March 2021. All studies conducted on the general population, using verified e-HL measurement tools, and presen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HL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or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included. The mean difference of e-HL scores according to socio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pooled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e-HL and health-related behaviors were calculated with a 95% confidence interval (CI). A subgroup analysis was done to explore potential sources of heterogeneity. A total of 22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systematic review of the relationship between e-HL and sociodemographic factors. In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12 resul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level of e-HL according to gender (standardized mean difference [SMD]=0.02, 95% CI: -0.06; 0.10). As for the age, the group under the age of 60 had a higher level of e-HL than the group over the age of 60(SMD=-0.55, 95% CI: -0.72; -0.39). As for the educational level, the higher the level of education, the higher the level of e-HL (SMD=0.39, 95% CI: 0.10; 0.68). Fifteen results of studies were included in the meta-analysis for the correlation between e-HL and health-related behaviors. The pooled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31 (95% CI: 0.25; 0.34). In the subgroup analysis, the pooled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37 (95% CI: 0.29 ;044) among the elderly, 0.32 (95% CI: 0.25; 0.39) in general population and 0.36 (95% CI: 0.27; 0.41) in the relationship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 In conclusion,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age and educational level of the subject when predicting or evaluating e-HL. Also, e-HL was moderately correlated with health-related behaviors. As the number of people accessing health information through the Internet is increasing, e-HL should be considered when providing pharmaceutical services. Additional considerations on the development of e-HL measurement tools for domestic clinical environments and the ways to improve e-HL will further expand the role of pharmacists in the digital healthcare era.

      • 건강신념모형을 적용한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김미나 을지대학교 보건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개인의 행동 변화를 설명하는 이론적 모형인 건강신념모형(Health Belief Model:HBM)을 적용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여 임신부의 구강건강증진과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초자료를 제공 할 목적으로 시행하였다. 2014년 8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서울특별시, 경기도, 인천광역시에 소재한 8개의 산부인과의원과 1개의 산모교실을 방문한 임신부 총 217명을 대상으로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이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자기기입식 설문지를 기입하기 전에, 연구대상자의 연구 설명문의 숙지와 연구 참여 동의를 얻어 연구대상자의 윤리적인 측면을 고려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PASW Statistics 18.0(IBM Co., Ar-monk, NY, USA)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임신부의 건강신념 수준을 살펴 본 결과 건강신념의 수준은 총 ‘3.61’점이었으며 인지된 유익성이 ‘4.37’점으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자기 효능감 ‘4.04’점, 인지된 민감성 ‘3.98’점, 인지된 장애성 ‘3.15’점 순이었으며 인지된 심각성이 ‘2.91’점으로 가장 낮았다. 2.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연령, 학력, 직업종류, 월평균 가구소득,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주관적 치과치료 필요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3. 일반적 특성에 따른 임신부의 건강신념요인 차이를 살펴 본 결과 연령, 직업유무, 주관적 건강상태, 주관적 구강건강상태, 주관적 치과치료 필요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4. 임신부의 건강신념요인과 구강건강관련행위의 상관관계를 살펴 본 결과 인지된 심각성은 치아에 좋은 식품섭취 노력,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인지된 유익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리고 인지된 장애성은 매 간식 후 칫솔질, 회전법 칫솔질, 임신 중 구강검진, 임신 전 구강검진과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자기 효능감은 매 칫솔질 후 구강위생용품 사용, 임신 중 구강검진과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5.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건강신념요인을 살펴 본 결과 인지된 심각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 임신 중 치과치료에, 인지된 유익성은 임신 중 구강검진에, 인지된 장애성은 매 간식 후 칫솔질, 회전법 칫솔질, 임신 중 구강검진에, 자기 효능감은 매 칫솔질 후 구강위생용품 사용, 임신 중 구강검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결과로 건강신념요인의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유익성, 인지된 장애성, 자기 효능감이 임신부의 구강건강관련행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임을 제시하며 임신부의 인지된 심각성, 인지된 유익성, 자기 효능감을 높이고 인지된 장애성을 낮출 수 있는 임신부를 위한 구체적인 구강보건교육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하다.

      • 약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 및 관련요인

        이은주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711

        본 연구는 개국 약사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관련요인을 규명하기 위하여 서울 서초구, 서대문구, 영등포구에서 약국을 개설하였거나 개설약국에 근무하는 약사 중 임의로 표본 추출한 173명을 대상으로 2002년4월 9일부터 4월 18일까지 10일간 자기 기입식 설문조사 방법으로 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은 SAS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시술적통계, t-검정,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들의 전체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의 평균은 2.53(± 0.37)이었고, 하위 영역별로는 영역별로는 영적 성장 영역이 2.83(± 0.48)으로 가장 높았으며, 건강책임 영역이 2.10(± 0.56)으로 가장 낮았다. 2. 일반적 특성과 경험별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의 관계에서는 1일 근무시간과 지각된 건강상태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전의 건강관련행위는 건강증진 생활양식의 모든 영역에서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r=0.76, p<0.01)를 보였다. 3. 인지 및 감정요인, 행동계획 수립과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의 관계에서는 자기효능감(r=0.48, p<0.01), 행위관련 감정(r=0.52, p<0.01),사회적 지지(r=0.42, p<0.01), 행동계획수립(r=0.54, p<0.01)이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와 유의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지각된 장애성(r=-0.33, p<0.01)은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4. 대상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에 관련된 주요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연령, 성별, 결혼상태, 1일 근무시간, 1일 수면시간, 지각된 건강상태, 이전의 건강관련행위와 인지 및 감정요인을 포함하여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한 결고, 이전의 건강관련해위가 회귀계수 0.48(p<0.01)로 가장 영향력 있는 요인이었으며 이전의 건강관련행위가 증가할 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증가하였다. 다음은 자기효능감으로 회귀계수는 0.13(p<0.01)이었으며 자기효능감이 증가할 수록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증가하였다. 전체 변수의 걸명력은 72.3%였다. 결론적으로 대상자의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는 이전의 건강관련행위, 자기효능감과 관련이 있으므로 건강증진 생활양식 실천정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건강관련행위를 하였을 때의 성취감을 통하여 자기효능감을 향상시켜야 할 것 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ssess the influencing factors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among pharmacists working at community pharmacy setting in Korea. A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as conducted upon community pharmacists from 3 local areas - Seocho-Gu, Seodaemun-Gu, and Youngdeungpo-gu - in Seoul, from April 9 to April 18. The questionnaire consisted of 136 questions, which were categorized into 10 scales: general characteristics (12 questions), implementation of health-promoting lifestyles (46), prior related behavior (7), perceived benefit of health-promoting life styles (8), perceived barrier (10); self-efficacy (7); activity-related affect (11), social support (18), situational influence (5), and commitment to plan action (12). The study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 for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scale was 2.53 on a 4-point scale, with the highest score for the subscale of spiritual growth (average score = 2.83) while the lowest score for health responsibility (2.10).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degree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according to daily working hours (p<0.05) and perceived health status (p<0.05). The Degree of health- 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was positively related to prior related behavior(r=0.76, p<0.01), self-efficacy(r=0.48, p<0.01), activity-related affect(r=0.52, p<0.01), social support(r=0.42, p<0.01) and commitment to a plan action(r=0.54, p<0.01) while negatively related to perceived barrier(r=-0.33, p<0.01).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results showed that the most influential and significant factor to affect the degree of health-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was prior related behavior(r=0.48, p<0.01), followed by self-efficacy(r=0.13, p<0.01). In conclusion, prior related behavior and self-efficacy we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implementation of community pharmacists in Korea. Further research will be needed to see whether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replicated with different samples and whether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generalized to the entire group of community pharmacists.

      •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

        도목현 아주대학교 보건대학원 아주대학교 2016 국내석사

        RANK : 249709

        - 국문요약 - 퇴행성 슬관절염 환자의 신체활동과 건강관련 삶의 질 관련성 이 연구는 2013년 국민건강영양조사 제6기 1차년도의 건강 설문조사에 응답한 총 8,018명 중 슬관절염 방사선 검사 대상인 50세 이상 70세 미만 2,096명에서 방사선 검사결과 퇴행성 슬관절염으로 의사의 진단을 받은 364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선정하여 격렬한, 중등도, 걷기 신체활동이 삶의 질과 건강관련 요인 간의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있다면 각 특성들이 어느 정도의 크기로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 파악하고자 하였다. 자료의 분석은 신체활동을 독립변수로 건강관련 삶의 질을 종속변수로 설정하였으며, 사회 인구학적 특성과 건강행위관련 특성은 기술통계와 빈도분석을 하였고, 건강행위 관련 삶의 질과 요인들 간의 관련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 건강행위관련 특성에 따른 삶의 질 차이는 t-test와 분산분석을 실시하였으며, 신체활동과 삶의 질 연관성에서는 사회 인구학적 특성, 건강행위관련 실천 특성, 정신 심리적 특성에 대하여 위계적 모형을 구축하여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의 결과 첫째, 대상자의 사회 인구학적 특성에서는, 남성, 50대 연령, 동거하는 경우에서 삶의 질이 높았다. 건강행위 관련 특성에서는 활동제한과 우울증상이 없고, 스트레스 인지가 낮으며, 주 5일 이상 걷기 실천의 경우에서 삶의 질이 높았다. 둘째, 격렬한 신체활동을 실천하는 경우 사회 인구학적 특성, 건강행위 실천 특성, 정신 심리적 특성을 모두 보정한 결과 삶의 질이 낮게 관찰되었다(p<0.1). 중등도 신체활동 및 걷기의 경우는 각각 실천하는 대상자들에서 삶의 질이 높은 경향을 보였으나 통계학적으로 유의하지는 않았다. 따라서 퇴행성 슬관절염 질환자는 격렬한 운동을 피하는 것이 삶의 질에 도움이 될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유의한 결과는 관찰되지 않았으나 이 연구의 결과가 시사하는 바로는 걷기 정도의 가벼운 운동은 권고할 만 하다고 생각된다. 핵심어: 퇴행성 슬관절염, 건강관련 삶의 질, 우울, 신체활동, 지각된 스트레스

      • 뇌동맥류 파열군과 비파열군의 건강관련행위 및 스트레스 비교

        이미선 계명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93

        본 연구의 목적은 뇌동맥류 파열환자와 비파열 환자를 대상으로 뇌동맥류 진단 당시의 생활습관과 관련된 건강관련행위와 스트레스 수준을 비교해봄으로써, 뇌동맥류 파열에 영향을 미치는 위험인자를 파악하고자 실시된 후향적 조사연구이다. 연구 대상자는 2013년 2월부터 2014년 4월까지 D시에 소재한 K 대학병원에서 뇌동맥류 파열 또는 비파열을 진단 받고 입원 또는 외래를 방문한 대상자로 파열군은 73명, 비파열군 78명으로 총 151명에게 이루어졌고, 연구기간은 2014년 2월 1일부터 4월 28일 까지 시행하였다. 연구도구는 뇌동맥류 최초 진단 시 전자의무기록, 생활습관관련 설문지, 수면 사정도구 PSQI, 신체활동 도구는 한국어판 신체활동설문지 자가 보고형 단축형, 건강증진행위 도구 HPLP-II, 스트레스 도구 PSQ 설문 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WIN 2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 백분율, 평균, 표준편차, 카이제곱 검정과 t-test, 다중 로지스틱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본 연구에서 질환적 요인인 고지혈증은 비파열군이 파열군보다 유의하게 높았으며(=9.97, p=.002), 고지혈증을 진단받은 대상자를 제외한 혈중 지질 중 총콜레스테롤(t=-2.09, p=.039), 저밀도 지단백 콜레스테롤(t=-2.13, p=.036), 중성지방(t=-2.44, p=.017)에서 비파열군에서 더 높았다. 2. 본 연구에서 생활습관 특성에서 흡연, 음주, 카페인 섭취, 발살바 행위(코풀기, 성생활, 배변), 분노, 놀람 횟수는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3. 본 연구에서 수면의 질은 두 군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두 군 모두 PSQI > 5점 이상으로 파열군에서 수면의 질이 더 낮았다(파열군=7.46점, 비파열군=6.98점). 4. 본 연구에서는 총 신체활동은 파열군 2602.26(3759.18)MET(min/week), 비파열군 2664.26(4263.77) MET(min/week)로 비슷하였으며, 앉아서 지낸 시간이 비파열군에서 파열군보다 많았다(t=-3.17, p=.002). 5. 본 연구에서 건강증진행위는 파열군이 비파열군보다 총점이 유의하게 낮았다(t=-3.49, p=.001). 이중 하위요인 중 영양관리(t=-3.85, p=<.001), 건강책임(t=-2.22, p=.027), 대인관계(t=-2.67, p=.008), 스트레스 관리(t=-2.20, p=.029), 정신건강(t=-2.37, p=.019)에서 유의하게 낮았다. 6. 본 연구에서는 스트레스는 두군 다 경고수준의 위험 수위였으며, 파열군에서 심리적 스트레스가 비파열군보다 높았다(t=3.11, p=.002). 7. 본 연구에서 뇌동맥류 파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중성지방, 앉아서 지낸 시간, 건강증진행위는 뇌동맥류 파열의 감소요인, 심리적 스트레스는 뇌동맥류 파열의 증가요인으로 나타났다. 이 결과를 근거로 뇌동맥류 환자들의 생활습관과 관련된 건강관련 자료를 제공하고,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를 통해 바람직한 생활습관을 유도함으로써 뇌동맥류 파열을 예방하고 건강증진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was a retrospective comparative survey of the health behaviors and stress levels of patients with ruptured or unruptured aneurysms at the time of intracranial aneurysm diagnosis, with the aim of identifying the risk factors for aneurysm rupture. Data were collected between February 1, 2014, and April 28, 2014, from 151 intracranial aneurysm patients (ruptured aneurysm, n=73; unruptured aneurysm, n=78) who visited as inpatients and outpatients after being diagnosed at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in Daegu. This study included a review of the electronic medical records at the time of initial diagnosis of intracranial aneurysm, a health habit-related questionnaire, the Pittsburgh Sleep Quality Index (PSQI) as a sleep assessment tool, the Korean version of an abbreviated self-report physical activity questionnaire as a physical activity assessment tool, the Health Promoting Lifestyle Profile II (HPLP-II) as a health-promoting behavior assessment tool, and the Perceived Stress Questionnaire(PSQ).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WIN 20.0, with the data reported as frequencies or mean and standard deviation, as appropriate. Analyses included Chi-square test, t-test, and multiple logistic regression analysis. The study results were as follows: 1. Hyperlipidemia, considered a disease-related risk factor in the current study, was significantly more common in the unruptured group than in the ruptured group (=9.97, p=.002). Excluding those with a diagnosis of hyperlipidemia, total serum cholesterol (t=-2.09, p=.039), low-density lipoprotein cholesterol (t=-2.13, p=.036), and triglyceride (t=-2.44, p=.017) levels were higher in the unruptured group. 2. No significant differences were detected in health behaviors between the two groups, including frequencies of smoking, alcohol intake, caffeine intake, Valsalva maneuvers (nose blowing, sexual activity, or defecation), anger, and fright. 3. The ruptured group had lower quality of sleep than the unruptured group, with both groups reporting PSQI scores > 5 (ruptured group= 7.46, unruptured group= 6.98); this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4. Total physical activity was similar in both groups, with the ruptured group reporting 2602.26 (3759.18) METS (min/week) and the unruptured group reporting 2664.26 (4263.77) METS (min/week). The total amount of time spent sitting was higher in the unruptured group than in the ruptured group (t=-3.17, p=.002). 5. The total score for the health-promoting behaviors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e ruptured group than in the unruptur ed group (t=-3.49, p=.001). Specifically, there were significa nt differences in the sub-scales of nutrition (t=-3.85, p=.001) , responsibility for health (t=-2.22, p=.027), interpersonal relations (t=-2.67, p=.008), stress management (t=-2.20, p=.029), and spiritual growth (t=-2.37, p=.019). 6. Psychological stress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ruptured group than in the unruptured group (t=3.11, p=.002). 7. The study identified triglyceride levels, total time spent sitting, health-promoting behaviors as protective factors for aneurysm ruptures, while psychological stress was a risk factor. We hope that the results of the present study will be valuable as data for educational materials that promote healthy lifestyle habits and stress management for patients with cerebral aneurysms, thus contributing to the prevention of aneurysmal ruptures and improved well-being for those affected.

      • 당뇨병 대상자의 삶의 질

        전영옥 강릉원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92

        당뇨병은 완치가 불가능한 반면, 건강한 생활습관과 약물요법으로 정상범위 혈당 조절을 통한 관리가 가능한 대표적인 만성질환이다. 하지만, 여러 심혈관계 합병증 외에도 족부절단이나 실명 같은 중증장애를 유발하며, 당뇨로 인한 긴장이나 불안, 우울, 무력감 등의 부정적인 정서는 당뇨를 비롯한 만성질환 대상자의 삶의 질을 저하시키는 주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당뇨병 대상자의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여러 요인들을 분석하고, 이 결과를 효과적인 당뇨병 관리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수 있다는 전제로 본 연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는 2013년 지역사회건강조사를 2차 자료로 활용하였으며, 분석도구로 SPSS 21.0을 사용하였다. 당뇨병 대상자의 삶의 질 지표로 EQ-5D 지수를 사용하였고, 당뇨병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관련행위, 질병관련특성 및 삶의 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분석하였다. 당뇨병 대상자의 삶의 질과 관련해서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에서는 성별, 연령, 친목활동이, 건강관련행위 중에서는 주관적 건강수준, 중등도 신체활동 일수, 우울경험, 주관적 스트레스 수준이, 질병관련특성 중에서는 인슐린 치료가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통해, 대상자의 질병 인식개선 및 스트레스 감소를 통해 건강한 신체와 정신을 유지하도록 유도하는 것이 삶의 질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결론을 얻을 수 있었다. 당뇨병 대상자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건강관련행위 및 질병관련특성 분석은 향후 근거기반의 당뇨병 대상자관리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 전문분야별 방사선사의 스트레스 수준과 스트레스 중재 요인과의 관련성 연구

        소병교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60

        이 연구는 대형병원에 근무하는 전문분야별 방사선사를 대상으로 스트레스 수준을 파악하고 스트레스에 관여하는 인자를 인구 사회학적 특성, 직무관련 특성, 건강관련 행위 그리고 인성으로 구분하여 그 관련성을 파악해 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은 1200병상 이상의 4개 대학병원 및 종합병원과 인천소재 1개 대학병원에 근무하는 방사선사 23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연구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전문분야별 방사선사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수준은 방사선종양 분야가 가장 높았고 핵의학 분야, 전산화단층촬영 및 핵자기공명영상 분야, 일반, 특수, 초음파, 기타 분야, 그리고 혈관촬영분야 순이었으며 모든 직종이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고위험군에 속했다. 2. 건강관련행위에 있어서 흡연자와 비흡연자 사이에 스트레스 수준에는 유의한 차이는 없었으나 운동하는 사람이 운동하지 않는 사람에 비해 스트레스 수준이 낮았다. 3. 직무특성과 스트레스수준 비교에서는 직무요구도가 낮을수록, 직무자율성이 높을수록, 사회적 지지도가 높을수록 스트레스를 적게 받고 있었다. 4. 인성과 스트레스 수준비교에서 내적 통제신념이 높은 사람, 자기존중심이 높은 사람, B형 행동유형이 스트레스를 적게 받고 있었다. 5. 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제 변수의 설명력을 파악한 결과, 인구 사회학적 특성에서는 종교, 건강관련 행위의 특성에서는 운동이 유의한 변수이었으며, 직무특성 변수에서는 직무자율성이 유의한 변수이었고 스트레스의 9.6%를 설명할 수 있었다. 인성변수에서는 내적 통제신념, 자기 존중심, A형 행동유형이 유의한 변수이었으며 인성변수로 스트레스를 36.1% 설명할 수 있었다. 이 연구의 결과를 보면 모든 직종의 방사선사는 사회심리적 스트레스 고위험군이었으며 스트레스 원인별 분석결과에서는 비종교자, 비운동자, 공격적이거나 경쟁적이며 참을성이 없는 A형 행동 유형자 그리고 자신에 대해 부정적이고 자존심이 낮은 방사선사가 스트레스를 많이 받고 있어 방사선사의 사회심리적 스트레스는 개개인이 갖고 있는 인성 특성과 직업의 특성의해 많은 영향을 받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tress level and to evaluate their relationships by classifying stress related factor to demographic social characteristic, job related characteristic, and health related behavior, and human nature of radiotechnologists working at university hospitals. Subjects were 231 radiotechnologists working at 4 university hospitals having capacity over 1200 beds, one large scale hospital, and 1 university hospital located in Incheon city. The result of this study is summarized as follows. The social psychological stress level of the special field radiotechnologists was highest in radiation therapy field and subsequently ranked as to nuclear medicine, computed tomography and magnetic resonance imaging, general radiography, specific radiography, ultrasound, the rest, and angiography field. All fields were evaluated to the high risk level of the social psychological stress. In the evaluation of the health related behavior, the results showed that there were no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smoker and non-smoker for the stress level, but regularly exercising participants had lower stress level than no exercising participants. In the evalu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the job related characteristics and the stress level, the stress level was lower as demand for duty of the job was lower, decision latitude was higher, and social recognition was higher. In the evaluation of relationship between the human nature and the stress level, participants of higher inner control conviction, participants of higher self-respect, and B type behaviorist underwent lower stress. In the evaluation of the description of factors affecting the stress, religion in the demography social characteristic, exercising in the health related behavior, decision latitude in the job related characteristic were significant variable in the statistical analysis and these variables were explained with 9.6% of the stress. Inner control conviction, self-respect, and A type behavior in the human nature characteristic were significant variable and these variables were explained with 36.1% of the stress. The overall results showed that all radiotechnologists were in the high risk level of the social psychological stress and, in results of the analysis according to factors causing stress, stress level was high in non- religionist, no exercising participants, aggressive, competitive, and not perseverant A type behaviorist, contradictive participants for oneself, and participants of low self-respect, therefore, the social psychological stress for the radiotechnologists was significantly affected by individual human nature characteristic and job related characteristic.

      •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의 관련성

        정승혜 가톨릭관동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33342

        This is a descriptive correlation study to identify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Korea coast guard, and to elucidate the relationship among depressive symptom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This study was performed as the analysis research of secondary data collected from a research project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2019R1G1A1100800, Hye-jin Kim, Senior - 58 - researcher). In terms of the research tool for depressive symptoms, this study used the 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ve Scale-Revised, K-CESD-R, which is the Korean version of the CESD-R tool developed by Eation et.al (2004) and translated and standardized by Lee et al. (2016). As for the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the symptom survey table for musculoskeletal diseases of the investigation guidelines on harmful factors for burdening tasks on musculoskeletal (KOSHA GUIDE H-9-2012) developed by the Korea Occupational Safety and Health Agency was used. In addition, this study used the tool of Choo and Kang (2015), which was translated into Korean from the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Ⅱ originally developed by Walker and Hill-Polerecky (1996) for the health-promoting behaviors. The data collected were processed using SPSS WIN 26.0 program. Those were analyzed the based on the real numbers and percentages, th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and ANOVA, Pearson’s and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and Scheffé’s test for post-hoc test, and multiple linear regression analysis depending on research purpose. 1. The analysis results revealed that the level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 coast guard was 6.38±8.12 points in average, the number of persons with depressive symptoms (≥13 points) accounted for 17.3% and the number of persons with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ccounted for 43.5%. The level of health-promoting behaviors showed 2.37±0.44 points out of 4. In terms of sub-domains, the highest was interpersonal relationship with 2.56±0.48 points, followed by spiritual growth in 2.55±0.54, stress management in 2.44±0.53, nutrition in 2.32±0.48, physical activity in 2.29±0.68, and health responsibility in 2.06±0.55.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health-related characteristics of Korea coast guard among current smoking (t=2.41, p=.017), proper physical activity (t=-4.48, p<.001), and daily sleep time (t=-2.68, p=.008). In addition,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promoting behaviors according to work-related characteristics of Korea coast guard was shown among shift work (t=-2.70, p=.007), work pattern (t=-2.05, p=.041), and years of work (t=3.13, p=.045). 3. In correlation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Korea coast guard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hown in the whole (r=-.24, p<.001), spiritual growth (r=-.27,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 (r=-.24, p<.001), physical activity (r=-.15, p=.015), health responsibility (r=-.16, p=.010), and stress management (r=-.19, p=.002)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Moreover,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also shown in the whole (ρ=-.18, p=.003), spiritual growth (ρ=-.13, p=.040), interpersonal relationship (ρ=-.15, p=.016), physical activity (ρ=-.18, p=.003), health responsibility (ρ =-.16, p=.009), and stress management (ρ=-.19, p=.002)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4. In associations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Korea coast guards, a significant correlation was shown in the whole (β=-0.20, p=.001), as for sub-domains, spiritual growth (β=-0.24, p<.001), interpersonal relationship (β=-0.20, p=.001), physical activity (β=-0.14, p=.008), health responsibility (β=-0.11, p=.064), and stress - 60 - management (β=-0.24, p<.001) between depressive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other words, in the adjusted analysis, higher depressive symptom levels we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There was a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terms of the whole (β=-0.15, p=.009), as well as sub-domains includ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β=-0.12, p=.046), physical activity (β=-0.13, p=.012), health responsibility (β =-0.12, p=.039), and stress management (β=-0.14, p=.015). In other words, in the adjusted analysi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were significantly and negatively associated with health-promoting behaviors. The findings identified thus far reveal that there is a correlation among depressive symptoms, work-related musculoskeletal symptoms,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Korea coast guard.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believed that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of the Korea coast guard will be improved by preparing nursing interventions that can enhance the health-promoting behaviors of the Korea coast guard. In this regard, this study suggests as follows. Ÿ There is a limitation to generalize the results of this study because of the limited number of Korea coast guards as subjects. Therefore, it is suggested a follow-up study that expands thenumber of subjects who are working at other local coast guard stations to provide a comparative analysis by region. Ÿ It is suggested to develop a health-promoting program of a multi-level strategy that improves the mental and physical health problems of Korea coast guard through the follow-up study to identify the factors affecting health-promoting behaviors in multi-level (intrapersonal, interpersonal, organizational, and community level). 본 연구는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의 수준을 파악하고,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한 서술적 상관관계연구이다. 자료수집은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NRF-2019R1G1A1100800, 연구책임자 김혜진)지원 연구사업에서 산출된 자료의 이차자료분석 연구로 수행되었다. 연구도구는 우울증상은 Eation 등(2004)이 개발한 CESD-R 도구를 이산 등(2016)이 한국어로 번안하여 표준화한 한국판 역학연구 우울척도 개정판(Korean version of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 Depression Scale-Revised, K-CESD-R) 도구를 사용하였고,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에서 개발한 근골격계 부담작업 유해요인조사지침(KOSHA GUIDE H-9-2012) 중 근골격계질환 증상조사표를 사용하였으며, 건강증진행위는 Walker와 Hill-Polerecky (1996)가 개발한 건강증진생활양식척도Ⅱ (Health Promotion Lifestyle Profile-Ⅱ) 도구를 한국어로 번안한 Choo와 Kang(2015)의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WIN 2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연구목적에 따라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와 ANOVA, 사후검정을 위한 Scheffé’s test, Pearson’s과 Spearman`s Correlation coefficients, 그리고 다중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1.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수준은 평균 6.38±8.12점으로 우울증으로 선별된 대상자(≥13점)는 17.3%이었고,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이 있는 대상자는 43.5%로 나타났다. 건강증진행위 수준은 4점 만점에 2.37±0.44점이었으며, 하위영역은 대인관계 2.56±0.48점, 영적성장 2.55±0.54점, 스트레스관리 2.44±0.53점, 영양 2.32±0.48점, 신체활동 2.29±0.68점, 건강책임 2.06±0.55점 순으로 나타났다. 2. 해양경찰의 건강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차이는 현재흡연(t=2.41, p=.017), 적정신체활동(t=-4.48, p<.001), 일일수면시간(t=-2.68, p=.008)과 작업관련 특성에 따른 건강증진행위 차이는 교대근무(t=-2.70, p=.007), 근무형태(t=-2.05, p=.041), 근무년수(t=3.13, p=.045)와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3.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의 상관관계에서 우울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에서는 전체(r=-.24, p<.001), 영적성장(r=-.27, p<.001), 대인관계(r=-.24, p<.001), 신체활동(r=-.15, p=.015), 건강책임(r=-.16, p=.010), 스트레스관리(r=-.28, p<.001)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으며,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에서는 전체(ρ=-.18, p=.003), 영적성장(ρ=-.13, p=.040), 대인관계(ρ=-.15, p=.016), 신체활동(ρ=-.18, p=.003), 건강책임(ρ=-.16, p=.009), 스트레스관리(ρ=-.19, p=.002)와 유의한 상관성을 보였다. 4.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의 관련성에서 우울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에는 전체(β=-0.20, p=.001), 하위영역의 영적성장(β=-0.24, p<.001), 대인관계(β=-0.20, p=.001), 신체활동(β=-0.14, p=.008), 건강책임(β=-0.11, p=.064), 스트레스관리(β=-0.24, p<.001)와 유의한 관련성이 있었고, 우울증상이 높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에는 전체(β=-0.15, p=.009), 하위영역의 대인관계(β=-0.12, p=.046), 신체활동(β=-0.13, p=.012), 건강책임(β=-0.12, p=.039), 스트레스관리(β=-0.14, p=.015)와 관련성이 있었고,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이 있을수록 건강증진행위가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통해 해양경찰의 우울증상, 작업관련 근골격계증상과 건강증진행위간의 관련성이 있음을 규명되었다. 본 연구결과에 근거하여 해양경찰의 건강증진행위를 향상시키는 간호중재를 마련시 해양경찰의 정신적·신체적 건강이 증진될 것으로 사료된다. 이에 본 연구에서 다음과 같이 제언한다. ● 일부 해양경찰만을 대상으로 한 연구 결과로 일반화하기엔 제한이 있으므로 다른 지방해양경찰서에 소속되어 근무하는 해양경찰까지 확대하여 지역별로 비교분석하는 추후연구를 제언한다. ● 건강증진행위에 영향하는 요인들을 다수준(개인수준, 개인간수준, 조직 및 지역사회수준)으로 파악하는 추후연구를 통해 해양경찰의 정신적·신체적 건강문제를 향상시키는 다수준 전략의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을 제언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